KR20000047803A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7803A
KR20000047803A KR1019990053926A KR19990053926A KR20000047803A KR 20000047803 A KR20000047803 A KR 20000047803A KR 1019990053926 A KR1019990053926 A KR 1019990053926A KR 19990053926 A KR19990053926 A KR 19990053926A KR 20000047803 A KR20000047803 A KR 20000047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ember
support
rotation
switch device
ar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사키유지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34594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7340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34594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73405A/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47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80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6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slidable in a plane in one direction and pivotable around an axis located in the sliding plane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01H2019/146Roller type actu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스위치는 장치는 회전축이 세로인 조작부재와, 조작부재를 회전가능하게 또한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부재와, 조작부재의 회전을 검출하는 제 1검출부와,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작부재의 이동을 검출하는 제 2검출부와, 회전축에 따라서 조작부재의 이동을 검출하는 제 3검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 mechanism}
본 발명은 3개의 다른방향으로 조작가능한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부 종래의 휴대전화기는 회전 및 누르는 것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이용하고 따라서 하나의 조작부로서 사용한다. 이러한 휴대전화기에 사용된 이런 종류의 스위치 장치는 판 베이스에 직교하는 주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베이스에 대해서 직선 이동가능한 조작부재를 갖는다. 조작부재는 전화기 본체의 외형을 미적 손상시키지 않도록 소형으로 고안된 원형의 얇은 판 구조이다.
이러한 스위치 장치를 가진 휴대전화기는 조작부재를 회전함으로써 전화기 본체에 내장된 메모리에 기억된 복수의 전화번호들 중에서 원하는 번호를 검색하고, 조작부재를 누름으로써 그 검색한 전화번호를 송신하도록 된다.
최근에 일부 이용가능한 휴대전화기는 전화기능 이외에 단문을 작성하는 기능과, 그것을 전자메일(E-mail)을 통해 송신하고 그런한 문장을 E-mail을 통해서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여러 기능을 갖는다. 휴대전화기가 증가된 기능 수를 갖도록 고안되기 때문에, 그에 대응하며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증가된 기능 조작 키가 제공되어야 한다. 그 기능은 기능조작키와 다이얼키를 포함하여 복수의 조작키 각각을 다수 조합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 그러므로, 증가된 기능 수때문에, 다기능 휴대전화기는 소형으로 고안되고 쉽게 조작될 수 없다. 또한, 휴대전화기가 복수의 조작키의 조합을 조작함으로서 기능을 실행하도록 고안되면, 조작 그 자체는 복잡해진다. 어쨌든, 종래의 다기능 휴대전화기는 쉽게 조작할 수 없다.
또한, 휴대전화기의 스위치 장치에 사용된 조작부재는 원형의 얇은 판 구조로 되기 때문에 쉽게 조작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3개의 다른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는 진보된 새로운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고, 다기능을 실행하고, 쉽게 조정하고 또한 스위치 장치가 사용되는 휴대전화기 등의 본체를 소형화하도록 고안함으로써 종래기술의 상기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회전가능한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를 회전가능하게 또한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 뿐만 아니라 회전축에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단과,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을 검출하는 제 1검출부와,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을 검출하는 제 2검출부와,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축에 따라서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을 검출하는 제 3검출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지지수단은 상기 조작부재를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축에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조작부재를 지지하는 이동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스위치 장치가 조작되어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축에 따라서 조작부재가 움직일 때, 상기 지지부재는 조작부재의 회전축에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제 3검출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이동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 지지수단은 조작부재의 회전축을 따라서 조작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축부와 관통공중 한쪽은 조작부재의 회전축을 따라서 거기에 형성된 가이드 오목부를 가지는 반면에, 축부와 관통공중 다른쪽은 상기 가이드 오목부와 맞물리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될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 상세한 기술로부터 좀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전화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위치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휴대전화기에 설치된 스위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스위치 장치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스위치 장치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스위치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휴대전화기에 설치된 스위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스위치 장치에 사용된 조작부재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스위치 장치의 또 다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스위치 장치에 사용된 조작부재의 다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휴대전화기 2. 캐비넷
10. 스위치장치 11. 조작부재
12. 제 1지지부재 13. 제 2지지부재
15. 지지구멍 17. 회전검출부
21. 지지구멍 24. 압력검출부
25. 단자 35. 고정부재
41. 베이스판 45. 이동검출부
47. 가세부재
휴대전화기에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이후에 비제한적인 일예로서 설명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일시예가 적용된 휴대전화기를 설명한다. 전반적으로 휴대전화기는 도면부호(1)로 나타내고, 스위치 장치는 전반적으로 도면부호 10으로 나타낸다. 도시한 것처럼, 휴대전화기(1)는 전화기회로, 스피커/송신기 및 수신기/수화기가 내장된 전화기 본체로서 수화기와 같은 캐비넷(2)을 갖는다. 캐비넷(2)은 전체로서 대체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캐비넷(2)은 복수의 푸시버튼을 포함하는 다이얼 키(3)와 휴대전화기(1)에 내장된 메모리에 기록된 전화번호와 휴대전화기(1)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로 만들어진 표시부(4)의 조작 판이 되는 전면(2a)을 갖는다. 표시부(4)는 캐비넷(2) 길이의 거의 중간에 배치된다. 다이얼키(3)는 표시부(4)의 아래에 배치된다. 기능제어키(5)는 표시부(4)와 다이얼키(3)사이에 설치된다. 기능제어키(5)는 휴대전화기(1)의 기능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더욱이, 캐비넷(2)의 전면(2a)에는 그 캐비넷(2)에 내장된 수신기/수화기의 진동판에 대향하여 위치되는 복수의 작은 구멍인 수신기 구멍(6)과 또한 캐비넷(2)에 내장된 스피커/송신기의 진동판에 대향하여 위치되는 복수의 작은 구멍인 스피커 구멍(7)이 형성된다. 수신기 구멍(6)은 캐비넷(2)의 상부 전단 부분에 위치되고 스피커 구멍(7)은 캐비넷(2)의 하부 전단 부분에 위치된다. 따라서 수신기 구멍(6)과 스피커 구멍(7)은 사람의 귀와 입 사이의 거리에 거의 대응하는 간격으로 각각 떨어져 있다. 수신기 구멍(6)과 스피커 구멍(7)사이의 간격은 사용자가 수신기 구멍(6)을 귀 가까이에 놓고 휴대전화기를 한손으로 잡을 때, 스피커 구멍(7)이 입 가까이에 놓여 휴대전화기(1) 사용자의 음성을 흡음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더욱이, 휴대전화기(1)는 캐비넷(2) 상단의 한쪽 측면의 모서리 근방의 바깥쪽에 위치한 헤드부(8a)를 갖는 신축가능한 송수신 안테나(8)가 설치된다. 안테나(8)는 캐비넷(2)으로부터 헤드부(8a)를 당김으로써 신장될 수 있다.
더욱이, 표시부(4)와 기능제어키(5)사이와 안테나(8)가 설치된 측면 근방에 대향하는 캐비넷(2)의 측면 근방의 위치에는 스위치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 장치(10)는 휴대전화기(1)에 내장된 스피커/송신기 및 수신기/수화기에 입력이나 스피커/송신기 및 수신기/수화기의 기능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스위치 장치(10)의 위치(표시부(4)와 기능제어키(5)사이와 안테나(8)가 설치된 측면 근방에 대향하는 캐비넷(2)의 측면 근방의 위치)때문에, 휴대전화기를 한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스위치 장치(1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스위치 장치(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스위치 장치(10)는 표시부(4)와 기능제어키(5)사이와 안테나(8)가 설치된 측면 근방에 대향하는 측면 근방의 위치에서 캐비넷(2)의 전면(2a)에 형성된 개구부(9)에 노출되어 설치된 조작부재(11)와, 그 조작부재(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 및 13)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조작부재(11)는 전체가 전반적으로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그 세로로 신장하는 회전축을 갖는다. 조작부재(11)는 손가락 등으로 조작할 수 있는 몸체(14)를 포함한다. 몸체(14) 외주면에는 몸체(14)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오목부(14a)가 새겨져 형성된다. 몸체(14)의 세로 말단에는 지지부재(12)의 축부가 맞물리는 지지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구멍(15)은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지지부재(12)의 축부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다. 또한, 조작부재(11)의 다른 세로 말단에는 조작부재(11)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검출부(17)의 설치를 위한 지지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재(11)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검출부(17)는 조작부재(11)의 다른 세로 말단에 고정된다. 회전검출부(17)는 지지부재(12)에 대향하는 측면에 회전검출부(17)에 대향하는 지지부재(12)의 측면에 설치된 접점에 슬라이딩 접촉(sliding contact)(도시 생략)되는 접촉자(도시생략)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검출부(17)는 조작부재(11)의 한쪽 말단면에 대향하는 면에 조작부재(11)에 고정된 계지편(engagement piece)(17a)이 설치되어 있다. 계지편(17a)은 조작부재(11)의 세로 말단에 형성된 지지구멍(16)에 맞물리고, 따라서 회전검출부(17)는 조작부재(11)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지지부재(12)에 대향하는 회전검출부(17)의 면의 중앙에는 지지부재(12)에 형성된 지지구멍(21)과 맞물리는 돌기 지축(17b)이 형성되어 있다. 지축(17b)은 지지부재(12)에 형성된 지지구멍(21)의 지름보다 작은 바깥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다. 지축(17b)이 지지부재(12)의 지지구멍(21) 지름보다 작은 바깥 지름을 갖기 때문에, 지축(17b)은 조작부재(11)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구멍(15)에 느슨하게 끼워 맞쳐 있다.
지지구멍(17b)이 지지구멍(15)에 느슨하게 끼워 맞쳐져 있고 따라서 조작부재(11)는 지지부재(12 및 13)에 느슨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조작부재(11)는 앞뒤로 회전가능하며 조작부재(11)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 즉,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화살표 A방향으로 또한 화살표 A의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 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조작부재(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는 조작부재(1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8)와 조작부재(11)의 회전 및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와 검출부로부터 조작신호를 외부회로에 공급하기 위한 단자가 설치된 회로부(19)로 구성된다. 지지부(18)는 지지부재(12)의 선단측(free end)에 위치된다. 상기 기술한 것처럼, 지지부(18)의 거의 중앙부에는 지축(17b)이 도 2 및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 또한 화살표 A의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지지구멍(12)이 형성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조작부재(11)의 회전을 검출하는 조작부재(11)의 다른 세로 말단에 설치된 지축(17b)은 회전검출부(17)에 설치된다. 지지구멍(21)은 회전검출부(17)의 축부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조작부재(11)를 회전가능하게 또한 조작부재(11)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조작부재(11)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검출부(1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접점(22)이 지지구멍(21)의 원주를 따라 설치된다. 회전검출부(17)의 접촉자는 접점(22)과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조립중에 지지부재(12)가 지지대(23)에 지지될 때 조작부재(11)의 하부 말단에 거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지지부재(12)의 회로부(19)는 지지부재(12)의 베이스에 설치된 지지대(23)를 갖는다. 조작부재(11)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작부재(11)의 이동을 검출하는 압력검출부(24)를 지지하도록 지지대(23)가 설치된다. 지지대(23)는 조작부재(11)의 세로방향으로 돌출된다. 압력검출부(24)는 조작부재(11)와 대향하는 지지대(23)의 면에 설치된다. 조작부재(11)가 가압되면, 몸체(14)의 다른 세로 말단이 압력검출부(24)와 접촉되어 가압이 행해진다.
또한, 회로부(19)의 베이스에는 회전검출부(17) 및 압력검출부(24)로부터 휴대전화기(1)의 제어회로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단자(25)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25)는 지지부재(12)에 배설된 배선 패턴(도시 생략)에 의해 접점(22) 및 압력검출부(2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더욱이, 회로부(19)의 양쪽 측단부에는 조작부재(11)의 회전축을 따라서 이동하는 조작부재(1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구멍(26)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12)와 함께 조작부재(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3)는 조작부재(11)를 지지하도록 지지부재(12)의 지지부(18)와 협력하는 지지부(28)를 갖는다. 지지부(28)의 거의 중앙에는 조작부재(11)의 지지구멍(15)에 맞물린 지축(29)이 설치된다. 지축(29)은 지지구멍(15)의 지름보다 작은 외부지름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지축(29)은 조작부재(11)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게 된다.
지지부재(13)는 그 베이스에 조작부재(11)의 회전축에 따라서 조작부재(11)를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지지부(31)가 설치된다. 가이드지지부(31)는 양쪽 측단에 설치된 가이드(32)를 갖는다. 가이드(32)는 지축(29)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신장하는 원기둥 처럼 형성된다. 조립중에 조작부재(11)가 지지부재에 지지될 때 가이드(32)는 지지부재(32)내의 가이드구멍(26)에 그 선단측이 맞물린다. 조작부재(11)의 회전축을 따라서 이동하는 조작부재(11)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축(33)은 가이드홀(26)과 가이드(32)에 삽입된다.
조작부재(11)와 지지부재(12 및 13)는 고정부재(35)를 이용하여 서로 조립된다. 고정부재(35) 전체는 전반적으로 C형을 갖는다. 그것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계지부(37)를 각각 가지는 한쌍의 암(arm)(36)으로 구성된다. 계지부(37)는 지지부재(12 및 13)에 지지된 조작부재(11)를 유지한다. 암(37)은 서로 근접하거나 탄성변위되도록 형성된다. 고정부재(35)는 지지부재(13)의 지축(29)이 조작부재(11)의 지지구멍(15)에 맞물리고 조작부재(11)에 고정된 회전검출부(17)의 지축(17b)이 지지부재(12)의 지지구멍(21)에 맞물리는 상태로 지지부재(12 및 13)를 고정한다. 즉, 고정부재(35)는 계지부(37)가 각각 지지부재(12)의 측면 가장자리에 맞물릴 뿐아니라 고정부재(35)가 전체로서 지지부재(12 및 13)에 테를 두른 상태로 조작부재(11)가 지지된 지지부재(12 및 13)를 고정한다.
지지부재(12)에 테를 두른 고정부재(35)로 조작부재(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같이 베이스판(41)에 설치된 이동 가이드장치(40)에 조작부재(11)의 회전축을 따라서 즉,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화살표 B방향과 화살표 B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베이스판(41)은 지지부재(12 및 13)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측면 가장자리에 따라서 형성된 상승벽(42)과, 상승벽(42)에 대향하여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된 한쌍의 상승편(43)을 갖는다.
도 2 ∼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베이스판(41)에 설치된 이동가이드장치(40)는 조작부재(11)의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는 즉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화살표 B방향과 화살표 B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지지부재(12 및 13)를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축(33)과, 가이드축(33)이 삽입된 가이드(32)와, 상승벽(42)에 형성되고 가이드(32)와 가이드구멍(26)에 삽입된 가이드축(33)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구멍(42a)과, 상승편(43)에 형성되고 가이드축(32)의 타단에 고정되는 고정구멍(43a)을 포함한다. 가이드(32)와 가이드구멍(26)에 삽입된 가이드축(33)의 일단이 고정구멍(42a)에 고정되고, 가이드축(33)의 타단이 고정구멍(43a)에서 고정된 상태로, 이동가이드장치(40)는 조작부재(11)가 지지되고 또한 고정부재(35)가 테를 두른 지지부재(12 및 13)를 조작부재(11)의 회전축에 따라서 이동하도록 즉, 도 2 및 4에 나타낸 화살표 B와 화살표 B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한다.
또한, 이동가이드장치(40)는 휴대전화기(1) 사용자가 도 2 및 도 4의 화살표 B방향 및 화살표 B의 반대방향으로 조작부재(11)을 이동할 때 멈춤쇠(클릭킹)를 제공하는 가세부재(47)를 포함한다. 가세부재(47)는 예를들면 일단이 베이스판(41)에 설치된 계지돌기(48)에 계지되고 타단이 지지부재(13)에 설치된 계지돌기(49)에 계지된 토션스프링(tortion spring)이다. 따라서, 가세부재(47)는 조작부재(11)가 지지된 지지부재(12 및 13)를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화살표 B방향으로 가세한다.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스위치 장치(10)는 도 2 및 도 4의 화살표 B와 화살표 B의 반대방향으로 조작부재(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 및 13)의 이동을 검출하는 이동검출부(45)를 포함한다. 이동검출부(45)는 캐비넷(2)과 일체로 설치된 베이스판(46)에 설치된다. 그것은 지지부재(12)에 의해 가압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조작부재(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 및 13)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될 때, 이동검출부(45)는 지지부재(12)에 의해 가압된다. 이때, 그것은 조작부재(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 및 13)의 이동을 검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위치 장치(10)는 이후에 기술되는 것과 같이 조립된다.
스위치 장치(10)에서, 조작부재(11)는 회전검출부재(17)의 계지편(17a)이 그 조작부재의 다른 세로 말단 표면에 형성된 지지구멍(16)에 맞물리는 상태로 지지부재(12 및 13)에 지지된다. 즉, 조작부재(11)에 설치된 회전검출부(17)의 지축(17b)은 지지부재(12)의 지지구멍(21)에 맞물리고, 지지부재(13)의 지축(29)은 조작부재(11)의 지지구멍(15)에 맞물린다. 암(36)이 서로 멀어지게 탄성적으로 변위하는 고정부재(35)는 조작부재(11)가 지지된 지지부재(12 및 13)에 고정되거나 둘러 싸이고, 서로 향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변위된 암(36)의 계지부(37)는 지지부재(12)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서로가 맞물리다. 따라서, 조작부재(11)와 지지부재(12 및 13)는 상기에서 처럼 서로 조립되어 조작유닛을 형성한다. 이 조작유닛에서는, 가이드축(33)이 가이드(32)와 가이드구멍(26)에 삽입된다. 베이스판(41)에 상승벽(42)에 형성된 고정구멍(42a)과 상승편(43)에 형성된 고정구멍(43a)의 가이드축(33)의 말단을 고정함으로써, 조작유닛은 베이스판(41)에 고정된다. 그리고, 가세부재(47)는 그 일단이 베이스판(41)에 설치된 계지돌기(48)에 맞물리고 그 타단이 지지부재(13)에 설치된 계지돌기(49)에 맞물리게 설치된다. 따라서, 조작유닛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화살표 B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세된다. 조작부재(11)가 도 2 및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될 때마다 사용자가 클릭을 느끼기 위해서, 조작부재(11)는 토션스프링과 같은 가세부재에 의해 도 2 및 도 4의 화살표 A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세되는 것에 주목해햐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스위치 장치(10)에서, 조작부재(11)가 지지된 지지부재(12 및 13)는 도 4에 나타낸 화살표 B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세되고,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이동검출부(45)를 가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우선, 조작부재(11)는 상호간에 즉, 도 2의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조작부재(11)가 회전될 때, 회전검출부(17)의 접촉자는 지지부재(12)의 접점(22)과 접촉하여 조작부재(11)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 1조작신호가 단자(25)에 공급되고, 이를 통해서 휴대전화기(1)의 제어회로에 공급된다. 따라서, 조작부재(11)의 회전이 검출된다.
또한, 조작부재(11)는 그 회전축과 직교하는 도 2 및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지축(17b 및 29)이 지지구멍(21 및 15)에 각각 느슨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조작부재(11)는 도 2 및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압력검출기(24)를 가압한다. 조작부재(11)가 도 2 및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압력검출기(24)를 가압할 때, 이동에 대응하는 제 2조작신호는 도 2 및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의 단자(25)에 공급되고, 이를통해 조작부재(11)의 휴대전화기(1)의 제어회로에 공급된다. 따라서, 조작부재(11)의 이동이 검출된다.
더욱이, 휴대전화기(1)의 기능모드는 회전축에 따라서 즉 도 2 및 도 4의 화살표 B방향으로 스위치 장치(10)의 조작부재(11)를 이동함으로써 그때마다 변경될 수 있다. 즉, 조작부재(11)가 도 2 및 도 4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될 때, 그것은 이동검출부(45)를 가압하고, 그러면 도 2 및 도 4의 화살표 B의 방향으로 가세부재(47)에 의해 가압된다. 이동검출부(45)가 도 2 및 도 4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된 조작부재(11)에 의해 가압될 때, 도 2 및 도 4의 화살표 B방향으로의조작부재(11)의 이동에 대응한 제 3조작신호를 휴대전화기의 제어회로 제공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도 조차, 조작부재(11)는 도 2 및 도 4의 화살표 A 및 B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도 4의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스위치 장치(10)는 회전축이 세로로 신장되는 조작부재(11)를 이용한다. 따라서, 조작부재(11)는 용이하게 조작하기 위해서 크게 고안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장치(10)에 있어서 조작부재(11)는 지지부재(12 및 13)에 대향하는 세로 말단이 지지되기 때문에, 가압될 때 조차도 과도한 힘이 지축(17b 및 29)에 인가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조작부재(11)는 지지부재(12 및 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스위치 장치(10)에서 회전검출부(17), 압력검출부(24), 이동검출부(45), 단자(25) 등과 같은 모든 전기적 소자가 지지부재(12)에 배치되기 때문에, 스위치 장치(10)는 간단하며 소형으로 고안될 수 있다. 더욱이, 스위치 장치(10)는 상기 기술된 3개의 다른방향으로 조작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조작부로 다기능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스위치 장치(10)를 설치한 휴대전화기(1)는 이후에 기술된 것처럼 사용된다.
음성 송신을 위해서, 예를들면 다이얼키(3)를 사용하여 목적지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스위치 장치(10)의 조작부재(11)는 도 2 및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된다. 입력된 목적지 전화번호는 휴대전화기(1)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휴대전화기(1)에 내장된 메모리에 기록된 전화번호중 원하는 번호를 선택하기 위해서, 스위치 장치(10)의 조작부재(11)는 도 2의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된다. 조작부재(11)가 회전될 때, 회전검출부(17)의 접촉자는 지지부재(12)의 접점(22)과 접촉하여 조작부재(11)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 1조작신호 단자(25)에 공급되고, 이를통해서 휴대전화기(1)의 제어회로에 공급된다. 따라서, 조작부재(11)의 회전이 검출될 수 있다. 그 후에, 선택한 목적지 전화번호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화살표 A방향으로 조작부재(11)를 가압함으로써 송신될 수 있다. 조작부재(11)가 도 2 및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될 때 처럼 가압검출부(24)를 가압하면, 도 2 및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 조작부재(11)의 이동에 대응하는 제 2조작신호가 휴대전화기(1)의 제어회로에 공급되는 단자(25)에 공급된다. 따라서, 조작부재(11)의 이동이 검출된다.
또한, 휴대전화기(1)는 조작부재(11)를 도 2 및 도 4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전자우편, 데이터 송수신과 같은 기능중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는데 적용된다. 즉, 이동검출부(45)가 도 2 및 도 4의 화살표 B방향으로의 이동한 조작부재(11)에 의해 가압될 때, 도 2 및 도 4의 화살표 B방향으로 조작부재(11)의 이동에 대응하여 제 3조작신호를 휴대전화기(1)의 제어회로에 공급한다. 이후에, 휴대전화기(1)는 조작부재(11)를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화살표 A 및 B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전자우편 작성 및 송수신과 같은 동작모드 중에서 선택한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스위치 장치(10)는 회전축이 세로로 신장되어 있는 조작부재(11)를 사용한다. 따라서, 조작부재(11)는 용이하게 조가하기 위해서 크게 고안될 수 있다. 또한, 3개의 다른방향으로 조작될 수 있는 휴대전화기의 스위치 장치(10) 때문에 휴대전화기(1)에 설치된 기능 중 어느 것도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즉, 휴대전화기(1)는 조작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휴대전화기(1)의 스위치 장치(10)에서 조작부재(11)가 지지부재(12 및 13)에 그 대향하는 세로 말단ㅇ; 지지되기 때문에 가압되더라도, 과도한 힘이 지축(17b 및 29)에 인가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조작부재(11)는 지지부재(12 및 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스위치 장치(10)에 있어서 회전검출부(17), 압력검출부(24) 및 이동검출부(45)가 지지부재(12)에 배치되기 때문에, 스위치 장치(10)는 간단히 그리고 소형으로 고안될 수 있고, 휴대전화기(1)의 디자인을 소형화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기술된 스위치 장치(10)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이 스위치 장치는 전반적으로 도면부호(51)로 나타낸다. 스위치 장치(51)는 조작부재(11)가 회전축으로 따라서 3단계로 이동될 수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서 스위치 장치(10)의 도면부호와 동일한 번호는 도 2 ∼ 도 4와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내고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스위치 장치(51)는 앞서 기술된 스위치 장치(10)의 가세부재(47) 대신에 판스프링(52)을 포함한다. 지지부재(13)의 선단측은 판스프링(52)에 맞물린다. 판스프링(52)은 그 중간에 결합오목부(53)를 가지며, 또한, 결합오목부(53)에 인접한 결합오목부(54 및 55)를 가진다. 이들 결합오목부(53, 54 및 55)는 판스프링(52)을 접어서 형성된다. 지지부재(13)의 선단측은 돌기(56)로 종단된다. 돌기(56)는 선택된 오목부(53, 54 및 55)의 어느 하나에 맞물린다. 즉, 조작부재(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 및 13)가 조작부재의 회전축 즉, 도 5의 화살표 B 및 C방향으로 이동될 때, 돌기(56)는 판스프링(52)의 결합오목부(53 및 54)사이에 형성된 돌기(57)와 결합오목부(53 및 55)사이에 형성된 돌기(58)를 또한 탄성변위시키고, 따라서 결합오목부(53,54 및 55)중 선택한 하나에 맞물린다. 따라서, 스위치 장치(51)는, 조작부재(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 및 13)가 도 5의 화살표 B 및 C방향으로 이동될 때, 멈춤쇠(클릭)를 제공한다.
또한, 스위치 장치(51)는 조작부재(11)가 지지된 지지부재(12 및 13)의 각각의 위치를 검출하는 이동검출부(59 및 60)를 포함한다. 이동검출부(59)는 캐비넷(2)과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59a)에 지지되고, 조작부재(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 및 13)가 도 5에서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될 때 지지부재(12)에 의해 가압된다. 이동검출부(60)는 캐비넷(2)과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60a)에 지지되고, 조작부재(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 및 13)가 도 5에서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될 때 지지부재(13)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이동검출부(59)는 돌기(56)가 결합오목부(54)에 맞물린 것(제 1위치)을 검출하는 반면에, 이동검출부(60)는 돌기(56)가 결합오목부(55)에 맞물린 것(제 2위치)을 검출한다. 결합오목부(53)와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조작부재(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 및 13)가 돌기(56)와 함께 그들 각각의 중간위치에 있을 때, 이동검출부(59, 60)는 가압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된 것처럼 구성된 스위치 장치(51)에 있어서, 조작부재(11)는 상호간에 즉, 앞서 기술되어 있는 스위치 장치(10)에서와 같이 도 1의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장치(51)에서 조작부재(11)는 그 회전축에 직교하는 도 5의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더욱이, 스위치 장치(51)에서 조작부재(11)는 도 5의 화살표 B와 C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스위치 장치(51)에서, 조작부재(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 및 13)가 지지부재(13)의 돌기(56)가 결합오목부(53)에 맞물리는 그들 각각의 중간 위치로부터 도 5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될 때, 돌기(56)는 판스프링(52)의 돌기(57)를 탄성변위시키고 결합오목부(54)에 맞물린다. 이때, 돌기(57)가 돌기(56)에 의해 탄성변위되면 사용자는 클릭감을 느낄 것이다. 이동검출부(59)는 지지부재(12)에 의해 가압되며, 조작부재(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 및 13)가 그들 각각의 제 1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조작부재(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 및 13)가 돌기(56)가 결합오목부(53)에 맞물리는 그들 각각의 중간 위치로부터 도 5의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될 때, 돌기(56)는 판스프링(52)의 돌기(58)를 탄성변위시키고 결합오목부(55)에 맞물린다. 이때, 돌기(58)가 돌기(56)에 의해 탄성변위되면 사용자는 클릭감을 느낄 것이다. 이동검출부(60)는 지지부재(13)에 의해 가압되며, 조작부재(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 및 13)가 그들 각각의 제 2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조작부재(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 및 13)가 그들 각각의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이동검출부(59 및 60) 모두는 가압되지 않는다. 또한, 조작부재(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 및 13)가 그들 각각의 제 1 또는 제 2위치로부터 그들 중간 위치로 이동되면, 돌기(56 및 58)는 탄성변위되고, 멈춤쇠를 제공한다.
상기 스위치 장치(51)는 휴대전화기(1)용 하나의 조작부를 구성한다. 조작부재(11)를 다른 3방향 중 선택한 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휴대전화기(1)의 기능중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중간 위치의 어느 하나로서, 제 1 및 제 2위치는 도 5의 화살표 B 및 C의 어느 한 방향으로 조작부재(11)를 이동시킴으로써 선택될 수 있고, 휴대전화기(1)의 다기능이 하나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6 ∼ 도 9를 참조하여, 휴대전화기(1)에 사용된 상기 기술된 스위치장치(10)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이 스위치 장치는 전반적으로 도면부호(61)로 나타낸다. 이 스위치 장치(61)는 지축이 삽입되어 있는 지지구멍을 통해서 세로로 형성되어 있는 조작부재(62)를 포함한다. 조작부재(62)는 지축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6 ∼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스위치 장치(61)의 조작부재(62)는 캐비넷(2)의 전방 측면의 표시부(4)와 기능제어키(5)사이에 위치된 개구부(9)에 앞서 기술된 것처럼 안테나(8)가 설치된 측면 근방에 대향하는 측면 근방의 위치에 노출되어 설치된다. 조작부재(62)는 전반적으로 원기둥형으로 손가락 등으로 조작할 수 있게 형성된 몸체(3)로 구성된다. 몸체(63)는 그 외주면에 몸체(63)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오목부(63a)가 새겨져 형성된다. 조작부재(62)는 그 중심축을 따라서 세로로 형성된 관통공(64)를 갖는다.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관통공(64)의 내부벽은 조작부재(62)의 회전축을 따라서 이동되는 조작부재(62)를 가이드 하기 위해 가이드 오목부(64a)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재(62)의 세로 말단에는 그 회전축을 따라서 이동되는 조작부재(6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65)의 결합돌기(64b)가 관통공(64) 주변에 형성된다. 또한, 조작부재(62)의 다른 세로 말단에는 조작부재(62)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검출기(71)가 설치된 고정베이스(69)가 결합된 지지구멍(도시생략)이 형성된다.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조작부재(62)의 다른 세로 말단에 설치된 가이드부재(65)는 결합돌기(64b)가 결합된 반원형의 가이드 오목부(66)를 갖는다. 가이드부재(65)는 이후에 더 기술되는 회전지지부재(67)의 축부(68)에 결합되기 때문에, 조작부재(62)의 회전축을 따라서 조작부재(62)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가이드부재(65)에는 지지부재(74)의 암이 결합된 가이드 슬릿(guide slit)(65a)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재(62)와 함께 회전가능한 회전지지부재(67)는 조작부재(62)의 관통공(64)에 삽입된 축부(68)와, 축부(69)와 일체로 형성되고 조작부재(62)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검출기(71)가 설치된 상기 고정베이스(69)로 구성된다. 축부(68)는 조작부재(62)의 관통공(61)과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조작부재(62)가 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관통공(68)에 끼워진다.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축부(68)에는 관통공(64)의 내부벽에 형성된 가이드 오목부(64a)와 맞물린 가이드 돌기(68a)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64a)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68a)로 축부(68)가 조작부재(62)의 관통공(64)에 삽입되고, 따라서 조작부재(62)는 축부(68)의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68a)조작부재(62)의 가이드 오목부(64a)에 결합되면서 회전지지부재(67)는 조작부재(62)와 회전가능하게 된다.
축부(68)는 선단 세로 말단면에 형성된 지지구멍(68b)을 갖는다. 지지구멍(68b)은 회전지지부재(67)가 지지된 이후에 더 기술되는 지지부재(74)에 설치된 지축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축부(68)는 조작부재(62)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검출부(71)가 설치된 고정베이스(69)와 일체로 설치된다. 고정베이스(69)는 전반적으로 조작부재(62)의 다른 세로 말단면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고안된다. 조작부재(62)의 다른 세로 말단면에 형성된 지지구멍에 결합된 결합돌기가 그 조작부재(62)의 다른 세로 말단면에 대향하는 다른 세로 말단면에 형성된다. 회전지지부재(67)는 조작부재(62)의 지지구멍에 결합되고 가이드돌기(68a)는 가이드오목부(64a)에 결합되기 때문에, 회전지지부재(67)는 조작부재(62)와 함께 회전한다.
고정부재(69)의 다른면에는 조작부재(62)와 회전지지부재(67)와 함께 회전되고 조작부재(62)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검출부(71)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검출부재(71)는 조작부재(62)가 설치된 회전지지부재(67)를 지지하는 지지부재(73)에 대향하는 그 측면에 설치된 접촉자를 갖는다. 접촉자는 접촉자에 대향하는 지지부재(73)의 측면에 설치된 접점(도시생략)에 슬라이딩 접촉된다. 또한, 회전검출부(71)는 지지부재(73)에 대향하는 그 중앙에는 지지부재(73)에 형성된 지지구멍과 맞물린 지축(71a)이 설치되어 있다. 지축(71a)은 지지부재(73)의 지지구멍의 지름보다 작은 바깥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지축(71)은 지지구멍에 느슨하게 끼워져 있고, 따라서 축부(68)의 직교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지지부재(67)에 끼워진 조작부재(62)는 도 6 ∼ 도 7에 나타낸 것같이 지지부재(73) 및 다른 지지부재(74)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부재(73)는 조작부재(6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75)와, 조작부재(62)의 회전 및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와 검출부로부터 외부회로에 제어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단자가 설치된 회로부(76)로 구성된다. 지지부(75)는 지지부재(73)의 선단부에 설치된다. 지지부(75)의 거의 중앙에는 조작부재(62)가 회전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그리고 회전지지부재(67)의 축부(68)에 직교방향 즉, 도 8의 화살표 A방향 및 화살표 A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구멍(77)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검출부(71)에 설치된 지축(71a)은 지지구멍(77)에 맞물려 있다. 지지구멍(77)은 조작부재(62)가 끼워진 회전지지부재(67)를 회전지지부재(67)의 축부(68)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회전검출부(71)의 지축(71a)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지지구멍(77)의 주위에는 조작부재(62)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검출부(71)의 접촉자가 슬라이딩 접촉되고, 따라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접점(78)이 형성된다. 회전검출부(71)의 접촉자는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접점(78)에 접촉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회로부(76)는 지지부재(73)의 베이스 말단에 설치되고 지지부재(73)에 의해 지지된 조작부재(62)의 하단에 거의 대응하는 위치에 축부(68)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작부재(62)의 이동을 검출하는 압력검출기(79)를 지지하는 지지베이스(79a)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베이스(79a)는 조작부재(62)의 세로로 돌출되고 조작부재(62)에 대향하는 측에 배치된 압력검출기(79)를 갖는다. 제어부재(62)가 가압될 때, 압력검출기(79)는 조작부재(62)의 몸체(63)와 접촉되어 가압된다.
회로부(76)의 베이스 말단에는 회전검출부 및 압력검출기(71 및 77)로부터 휴대전화기(1)의 제어회로에 제어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단자(81)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81)는 지지부재(73)에 내장된 배선패턴(도시생략)을 통해서 접점(78), 회전검출기 및 압력검출기(71 및 7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기술된 것처럼, 회전지지부재(67)를 지지하는 지지부재(73)와 일체로 하는 지지부재(74)는 조작부재(6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73)의 지지부(75)와 일체하는 지지부(82)로 구성된다. 지지부재(82)의 거의 중앙에는 회전지지부재(67)의 축부(68)의 세로 말단면에 형성된 지지구멍(68b)에 맞물린 지축(83)이 설치되어 있다. 지축(83)은 지지구멍(68b)의 지름보다 작은 바깥지름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지축(83)은 축부(68)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회전지지부재(67)를 지지한다.
지지부재(74)는 전반적으로 한쌍의 암(84)을 가지는 C형 부분을 갖도록 구성된다. 각각 암(84) 선단에는 계지부(85)가 설치된다. 암(85)의 계지부(85)는 지지부재(73)에 맞물린다. 암(84)은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게 탄력적으로 변위된다. 계지부(85)가 지지부재(73)에 맞물리면, 암(84)는 외부로 변위된다. 조작부재(62)가 끼워지는 회전지지부재(67)의 지축(83)은 지지구멍(68b)에 맞물리고, 회전지지부재(67)에 끼워진 회전검출부(71)의 지축(71b)은 지지부재(73)의 지지구멍(77)에 맞물리고, 지지부재(74)의 계지부(85)는 지지부재(83)에 맞물린다. 따라서 지지부재(74)는 회전지지부재(67)를 지지하도록 지지부재(73)와 협력한다. 암(84)은 가이드부재(65)의 가이드슬릿(65a)에 맞물림을 유의한다.
더욱이, 스위치 장치(61)는 회전지지부재(67)의 축부(68)의 축방향의 즉, 도 8의 화살표 B방향의 이동조작부재(62)의 이동을을 검출하는 이동검출부(86)를 포함한다. 이동검출부(86)는 지지부재(73)에서 조작부재(62)의 한 측면에 의해 가압되는 위치에 캐비넷(2)과 일체로 설치된 베이스(86a)에 설치된다. 조작부재(62)가 끼워진 회전지지부재(67)가 도 8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될 때조작부재(62)의 한 측면에 의해 이동검출부(86)는 가압되고, 따라서 조작부재(62)가 도 8의 화살표 B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을 검출한다.
더욱이, 스위치 장치(61)는 사용자가 도 8의 화살표 B방향으로 조작부재(62)를 이동할 때 멈춤쇠를 제공한 가세부재(87)를 포함한다. 가세부재(87)는, 예를들면 토션 스프링이다. 그 일단은 지지부재(74)에 설치된 계지돌기(도시생략)에 지지되고 타단은 가이드부재(65)에 설치된 계지돌기(도시생략)에 지지되고, 따라서 조작부재(62)가 끼워지는 회전지지부재(67)를 도 8의 화살표 B방향으로 가세하고 있다.
상기 기술된 것과 같이 구성된 스위치 장치(61)는 이후에 기술된 것처럼 조립된다.
우선, 회전지지부재(67)의 축부(68)는 조작부재(62)의 관통공(64)의 내부벽에 형성된 가이드오목부(64a)에 맞물린 축부(68)에 축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돌기(68a)로 조작부재(62)의 관통구멍(64)에 삽입된다. 따라서, 조작부재(62)는 축부(68)에 이동가능하게 그리고 축방향으로 끼워진다. 회전지지부재(67)는 지지부재(73)에 대향하는 고정베이스(69)의 측면에 설치되고, 고정베이스(68)의 고정면은 조작부재(62)의 한쪽 세로 말단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검출부(71)는 조작부재(62)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해 조작부재(62)와 함께 회전한다. 더욱이, 가이드부재(65)는 조작부재(62)의 타단의 세로 말단면에 설치된다.
이와같이 조작부재(62) 및 회전검출부(71)의 회전지지부재(67)는 지지부재(73 및 74)에 의해 지지된다. 회전검출부(71)의 지축(71b)은 지지부재(73)의 지지구멍(74)에 맞물리고, 지지부재(74)의 지축(83)은 회전지지부재(67)의 지축(68)의 지지구멍(68b)에 맞물린다. 암(84)은 조작부재(62)와 지지부재(73)에 맞물린 계지부(85)를 포함하는 것으로, 지지부재(74)는 지지부재(73)에 설치되고 따라서 회전지지부재(67)를 지지하는 지지부재(73)와 함께 작동한다. 따라서, 조작부재(62)를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67)는 지지부재(73 및 7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 뿐만 아니라 회전지지부재(67)의 축부(68)와 직교하는 방향 즉, 도 8에 나타낸 화살표 A방향과 화살표 A의 반대방향으로 지지된다. 이후에, 가세부재(87)는 지지부재(74) 및 가이드부재(65)에 끼워진다. 조작부재(62)가 끼워진 회전지지부재(67)는 가세부재(87)에 의해 도 8의 화살표 B방향의 반대 방향에 의해 가세된다.
조작부재(62)가 끼워진 회전지지부재(67)는 조작부재(61)가 동작될 때 멈춤쇠를 설치하도록 도 8의 화살표 B방향으로 가세부재(87)에 의해 가세될 수 있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 경우에, 가세부재(87)는 그 일단을 지지부재(73)에 정지하고 타단을 회전지지부재(67)에 지지한다.
상기처럼 조립된 스위치 장치(61)에서, 조작부재(62)는 도 8의 화살표 B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세부재(87)에 의해 가세되고, 이동검출기(86)를 가압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회전지지부재(67)에 끼워진 조작부재(62)를 가지는 회전지지부재(67)가 지지부재(73 및 7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러므로, 조작부재(62)는 상호간에 즉, 도 6의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조작부재(62)가 회전될 때, 회전검출부(71)의 접촉자는 지지부재(73)의 접점(78) 중 선택된 하나와 접촉하고 따라서 조작부재(62)의 회전에 대응하는 제 1조작신호가 단자(81)에 공급되고, 단자(81)를 통해서 휴대전화기(1)의 제어회로에 제 1조작신호가 공급된다. 따라서, 조작부재(62)의 회전이 검출된다.
조작부재(62)는 회전지지부재(67)의 축부(68)와 직교하는 도 8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지축(71b 및 83)은 각각 지지구멍(68b)과 지지구멍(77)에 느슨하게 끼워지기 때문에, 압력검출부(79)를 가압하도록 도 8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압력검출부(79)는 도 8의 화살표 A방으로 이동된 조작부재(62)에 의해 가압될 때, 도 8의 화살표 A방향으로 조작부재(62)의 이동에 대응하는 제 2조작신호는 단자(81)에 공급되고, 단자(81)를 거쳐서 휴대전화기(1)가 제어회로에 조작신호가 공급된다. 따라서 화살표 A방향으로 조작부재(62)의 이동이 검출된다.
더욱이, 스위치 장치(61)에서 조작부재(62)가 끼워진 회전지지부재(67)의 축부(68)의 축방향으로 즉, 도 8의 화살표 B방향으로 조작부재(62)를 이동함으로써 휴대전화기(1)의 기능중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돌기(68a)가 가이드오목부(64)에 맞물리기 때문에 도 8의 화살표 B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한 조작부재(62)는 이동검출부(86)를 가압하고 이후에 도 8의 화살표 B방향으로 가세부재(87)에 의해 가세될 것이다. 이와같이 이동검출부(86)가 가압될 때, 도 8의 화살표 B방향으로 조작부재(62)의 이동에 대응하는 제 3조작신호는 휴대전화기(1)의 제어회로에 공급된다. 따라서 조작부재(62)의 이동이 검출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조작부재(62)는 상기 기술된 것처럼 화살표 A 및 B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또한, 도 6의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것처럼, 스위치 장치(61)는 회전축이 세로인 조작부재(62)를 이용한다. 따라서, 조작부재(62)는 용이하게 조작하기 위해 크게 고안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장치(61)에서 조작부재(62)의 대향하는 세로 말단이 지지부재(73 및 74)에 지지되기 때문에, 가압될 때 조차도 과도한 힘이 지축(71b 및 83)에 인가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조작부재(62)가 지지부재(73 및 74)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스위치 장치(61)에서 회전검출부(71), 압력검출부(79), 이동검출부(86) 및 단자(81) 등과 같은 모든 전자부품이 지지부재(73)에 배치되기 때문에, 스위치 장치(61)는 단순하게 그리고 소형으로 고안될 수 있다. 더욱이, 스위치 장치(61)가 상기 3개의 다른방향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다기능을 하나의 조작부로 선택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기술한 스위치 장치(10)와 달리, 암(84)이 스위치 장치(61)의 지지부재(74)에 설치되고, 따라서 고정부재(35)가 설치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스위치 장치(61)를 위한 부품 수가 줄어들게 되고, 제조비용의 삭감 및 스위치 장치(61)를 더 소형으로 고안할 수 있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기술된 스위치 장치(61)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스위치 장치는 전반적으로 도면부호(91)로 나타낸다. 스위치 장치(61)는 조작부재(62)가 3단계로 축부(68)의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장치(61)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소자는 도 6 내지 도 9의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내고,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스위치 장치(91)는 상기 스위치 장치(61)의 가세부재(87) 대신에 지지부재(73)의 선단이 맞물린 판스프링(92)를 포함한다. 판스프링(92)은 그 중간에 결합오목부(93)와 결합오목부(93)에 인접한 결합오목부(94 및 95)를 또한 포함한다. 결합오목부(93)는 중간 위치에 설치하고, 결합오목부(94 및 95)는 각각 제 1 및 제 2위치에 설치된다. 이들 결합오목부(93, 94 및 95)는 판스프링(92)을 접어서 형성된다. 지지부재(73)의 선단은 돌기(96)에 의해 종결된다. 돌기(96)는 오목부(93, 94 및 95)중 선택한 하나에 맞물린다. 즉, 조작부재(62)가 도 10의 화살표 B 및 C방향으로 이동될 때, 돌기(96)는 결합오목부(93 및 94) 사이에 형성된 돌기(97) 결합오목부(93 및 95)사이에 형성된 돌기(98)를 탄성변위시키고, 따라서 결합돌기(93, 94 및 95)중 선택한 하나에 맞물린다. 따라서, 스위치 장치(91)에서 조작부재(62)는 도 10의 화살표 B 및 C방향으로 이동될 때 멈춤쇠를 제공한다.
또한, 스위치 장치(91)는 조작부재(62)의 위치를 검출하는 이동검출부(99 및 100)를 포함한다. 이동검출부(99)는 캐비넷(2)과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99a)에 지지되고, 조작부재(62)가 도 10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될 때 조작부재(62)에 의해 가압된다. 이동검출부(100)는 캐비넷(2)에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100a)에 지지되고, 조작부재(62)가 도 10의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될 때 조작부재(62)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이동검출부(99)는 돌기(96)가 결합오목부(94)에 맞물리 것 (제 1위치)을 검출하는 반면에, 이동검출부(100)는 돌기(96)가 결합오목부(95)에 맞물리는 것(제 2위치)을 검출한다. 조작부재(62)가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이동검출부(99 및 100)는 가압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된 것과 같이 구성된 스위치 장치(91)에서는, 조작부재(62)는 앞서 기술된 스위치 장치(61)와 동일하게 상호간에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장치(91)에서, 조작부재(62)는 도 10의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더욱이, 스위치 장치(91)에서 조작부재(62)는 도 10의 화살표 B 및 C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스위치 장치(91)에서 돌기(96)가 결합오목부(93)와 맞물리는 그 중간 위치로부터 도 10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될 때, 돌기(96)는 판스프링(96)의 돌기(97)를 탄성변위시키고, 결합오목부(94)에 맞물린다. 이 때, 사용자는 돌기(97)가 돌기(96)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위될 때 클릭감을 느낀다.
조작부재(62)가 제 1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해 조작부재(62)에 의해 이동검출부(99)가 가압된다. 돌기(96)가 도 10의 화살표 C방향으로 결합오목부(93)와 맞물리는 중간 위치로부터 이동될 때, 돌기(96)는 판스프링(52)의 돌기(98)를 탄성변위시키고 따라서 결합오목부(95)에 맞물린다. 돌기(96)가 돌기(98)에 탄력적으로 변위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클릭감을 느낀다. 따라서, 이동검출부(100)는 조작부재(62)가 제 2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조작부재(62)가 중간위치에 있을 때, 이동검출부(99 및 100) 모두는 가압되지 않는다. 또한, 조작부재(62)가 제 1 또한 제 2위치로부터 중간위치로 이동될 때, 돌기(97 및 98)는 돌기(96)에 의해 탄성변위되고 사용자는 클릭감을 느낀다.
상기 기술된 스위치 장치(91)는 휴대전화기(1)를 위한 1개의 조작부를 구성한다. 조작부재(62)를 3개의 다른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휴대전화기(1)의 기능중 원하는 하나를 선택할 수있다. 중간, 제 1 및 제 2위치 중 어느 하나가 도 10의 화살표 B 및 C의 어느 한 방향으로 조작부재(62)를 이동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조작부를 조작하는 스위치 장치(61)보다 휴대전화기의 더 많은 기능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11를 참조해서, 상기 스위치 장치(91)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이 스위치 장치는 전반적으로 도면부호(101)로 나타낸다. 조작부재(62)는 3단계로 축부(68)의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에서, 스위치 장치(61)와 동일한 소자는 스위치 장치(61)와 동일 부호로 나타내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101)는 판스프링(92a) 대신에 조작부재(62)의 관통구멍(64)의 내부벽에 형성된 가이드오목부(64a)에 복수의 결합오목부(102, 103 및 104)을 사용한다. 조작부재(62)가 중간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돌기(68a)를 중간 위치에 맞물린다. 조작부재(62)가 이동검출부(99)를 가압하는 제 1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돌기(68a)는 결합오목부(102)와 인접한 결합오목부(103)에 맞물린다. 조작부재(62)가 이동검출부(100)를 가압하는 제 2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돌기(68a)는 결합오목부(102)와 인접한 결합오목부(104)에 맞물린다. 결합오목부(102, 103 및 104) 중 2개의 연속적인 결합오목부 사이 즉, 각각의 결합오목부(103 및 102)사이와 결합오목부(102 및 104)사이에 탄력적인 변위 돌기(105 및 106)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105 및 106)는 축부(68)의 가이드돌기(68a)에 의해 가압 및 탄성변위되고, 멈춤쇠를 제공한다.
스위치 장치(101)에 있어서, 조작부재(62)는 도 11의 화살표 B 와 C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재(62)가, 가이드돌기(68a)가 결합오목부(102)에 맞물린 중간 위치로부터 도 10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될 때, 가이드돌기(68a)는 돌기(105)에 탄력적으로 변위되어 결합오목부(103)에 맞린다. 이 때, 가이드돌기(68a)에 의한 돌기(105)의 탄력적인 변위은 멈춤쇠를 제공한다. 이동검출부(99)는 조작부재(62)에 의해 가압되고, 이동검출부(99)는 조작부재(62)가 제 1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조작부재(62)가 가이드돌기(68a)가 결합돌기(102)에 맞물리는 중간 위치로부터 도 10의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돌될 때, 가이드돌기(68a)는 돌기(106)에 탄성변위되고 결합오목부(104)에 맞물린다. 이 때, 가이드돌기(68a)에 의한 돌기(106)의 탄력적인 변위이 멈춤쇠를 제공한다. 이동검출부(100)는 조작부재(62)에 의해 가압되고, 이동검출부(100)는 조작부재(62)가 제 2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조작부재(62)가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이동검출기(99)와 이동검출기(100)는 어느것도 가압되지 않는다. 조작부재(62)가 제 1 또는 제 2위치로부터 중간 위치로 이동되면, 돌기(105 및 106)는 돌기(68a)에 의해 탄성변위되고 멈춤쇠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한 스위치 장치(101)는 휴대전화기(1)를 위한 1개의 조작부를 구성한다. 다른 3방향 중 하나를 선택하는 조작부재(62)를 이동함으로써, 휴대전화기(1)의 기능 중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중간 위치, 제 1 및 제 2의 위치 중 어느 하나가 도 11의 화살표 B 및 C방향의 어느 한 방향으로 조작부재(62)를 이동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1개의 조작부를 조작하는 스위치 장치(61)보다 휴대전화기(1)의 더 많은 기능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오목부(102, 103 및 104)가 조작부재(62)의 관통구멍(64)의 가이드오목부(64a)에 설치되기 때문에, 스위치 장치(101)는 더 소형으로 고안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10)가 사용된 휴대전화기(1)에 관해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출원에 한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디스크기록장치 및/또는 재생장치 등과 같은 전자기구에 사용된 스위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가 디스크기록장치 및/또는 재생장치에 적용된 경우에, 이것은 음량조절, 트랙점프 등을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검출부는 회전축을 따라서 여러 단계로 조작부재를 이동하도록 가변저항기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전자기구의 기능이 선택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하는 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회전축의 축방향을 세로로 향하는 조작부재를 이용하는 것으로, 조작부를 크게할 수 있고,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3방향으로 조작가능하다는 것에서 다기능을 가진 전자기구에 이용한 경우, 1개의 조작부로 많은 조작을 행할 수 있고, 전자기구의 조작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작부재 양단이 한 쌍의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에서, 가압조작을 행할 때라도 조작부재의 지지부재에 과도한 힘을 적게할 수 있고, 조작부재가 지지부재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 뿐만 아니라 회전축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단과,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을 검출하는 제 1검출부와,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을 검출하는 제 2검출부와,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축을 따라서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을 검출하는 제 3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조작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축에 따라서 상기 조작부재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장치가 구동되어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축에 따라서 조작부재가 움직일 때, 상기 지지부재는 조작부재의 회전축에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제 3검출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이동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축에 따라서 조작부재를 가세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연속하는 지그재그 부분을 가지고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축에 따라서 배치된 판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그재그된 판 스프링의 어느 골에 부분적으로 맞물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조작부재의 회전축을 따라서 조작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축부와 관통공중 한쪽은 조작부재의 회전축을 따라서 거기에 형성된 가이드 오목부를 가지는 반면에 축부와 관통공중 다른쪽은 상기 가이드 오목부와 맞물리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축에 따라서 조작부재를 가세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연속하는 지그재그 부분을 가지고 조작부재의 회전축을 따라서 배치된 판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그재그된 판 스프링의 어느 골에 부분적으로 맞물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19990053926A 1998-12-04 1999-11-30 스위치 장치 KR200000478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45945 1998-12-04
JP10345944A JP2000173404A (ja) 1998-12-04 1998-12-04 スイッチ装置
JP10345945A JP2000173405A (ja) 1998-12-04 1998-12-04 スイッチ装置
JP98-345944 1998-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803A true KR20000047803A (ko) 2000-07-25

Family

ID=26578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926A KR20000047803A (ko) 1998-12-04 1999-11-30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71488B1 (ko)
EP (1) EP1006546A3 (ko)
KR (1) KR20000047803A (ko)
CN (1) CN113220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785B1 (ko) * 2004-06-02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거리센서를 이용한 회전량 감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32865B1 (en) 1997-11-23 2003-07-16 Adact Ltd. Display device
US6809724B1 (en) * 2000-01-18 2004-10-26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1255991A (ja) * 2000-03-10 2001-09-21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EP1132855A3 (en) * 2000-03-10 2005-11-02 Alps Electric Co., Ltd. Input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1357758A (ja) * 2000-06-12 2001-12-26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入力装置
EP1182851A1 (en) * 2000-08-24 2002-02-27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Input device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P1182852A1 (en) * 2000-08-24 2002-02-27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improved selection device
JP2002111813A (ja) * 2000-08-24 2002-04-12 Sony Internatl Europ Gmbh 無線通信システムの携帯型通信装置
KR100804790B1 (ko) * 2004-03-10 200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선택스위치를 구비한 스크롤키
EP1995752B1 (en) * 2007-04-20 2013-10-16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Multifunctional rotary switch
FR2998414B1 (fr) * 2012-11-19 2014-12-26 C & K Components Sas "dispositif perfectionne de commande a tambour et a voies de commutation multiples"
US9786257B2 (en) 2015-07-30 2017-10-10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Capo with attachment mechanism and fretting action in separate offset plan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5837A (ja) * 1991-01-31 1992-09-02 Sony Corp 電子機器
JPH0536532U (ja) * 1991-10-17 1993-05-18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複合動作スイツチ
US5436954A (en) * 1992-09-08 1995-07-25 Hitachi, Ltd. Foldable radio telephone set with rotary selector integral with foldable hinge element
EP0715441A1 (en) * 1994-11-28 1996-06-05 AT&T Corp. Roller bar menu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cellular telephon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1659A (en) * 1956-04-20 1958-07-01 Jay M Eitel Control mechanism
US3293381A (en) * 1962-09-06 1966-12-20 Telsta Corp Contact mechanism with rotatable and slidable switch actuators
GB1137261A (en) * 1965-04-02 1968-12-18 Plessey Uk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 switch assemblies
US3573412A (en) * 1969-05-26 1971-04-06 Us Navy Natural response manipulator apparatus
US4823634A (en) * 1987-11-03 1989-04-25 Culver Craig F Multifunction tactile manipulatable control
US5635926A (en) * 1994-08-02 1997-06-03 Li; Kenneth K. Pointing and/or directional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and positioning of an objec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5837A (ja) * 1991-01-31 1992-09-02 Sony Corp 電子機器
JPH0536532U (ja) * 1991-10-17 1993-05-18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複合動作スイツチ
US5436954A (en) * 1992-09-08 1995-07-25 Hitachi, Ltd. Foldable radio telephone set with rotary selector integral with foldable hinge element
EP0715441A1 (en) * 1994-11-28 1996-06-05 AT&T Corp. Roller bar menu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cellular telephon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785B1 (ko) * 2004-06-02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거리센서를 이용한 회전량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71488B1 (en) 2001-08-07
EP1006546A3 (en) 2001-03-07
CN1260643A (zh) 2000-07-19
EP1006546A2 (en) 2000-06-07
CN1132209C (zh) 200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3051B1 (en) Radio telephone
US6941618B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JP4399504B2 (ja) オーディオプレーヤー操作キーが備わった移動通信端末機
KR100871925B1 (ko) 전환 장치
KR20000047803A (ko) 스위치 장치
GB2329070A (en) Navigation key for a portable handset
KR100454865B1 (ko) 휴대용통신장치
KR100575936B1 (ko) 휴대단말기의 회전키 장치
GB2310561A (en) Mobile telephone keys usable for a range of positions of a sliding cover
JP4574541B2 (ja) 電子機器
KR100685218B1 (ko) 로테이션 앤 클릭 타입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데이터 입력 방법
JP2000173404A (ja) スイッチ装置
JP3991491B2 (ja) 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83466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양방향 키
KR101042818B1 (ko)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
JP2001053854A (ja) ダイヤル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0173405A (ja) スイッチ装置
KR10078983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545652B1 (ko) 자체 조작키를 갖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502348A (ja) 電子装置の各種機能のナビゲーション選択装置
KR2005005296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구조
KR20060030273A (ko) 단말기의 슬라이딩 키 장치
KR20040077165A (ko) 슬라이드형 키패드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
JP2002245902A (ja) サイドスイッチ付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
UA46599A (uk) Спосіб зміни орієнтації робочої області радіотелефону і радіотелефон для його реалізаці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