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051A - 헬멧의 실드부착 구조 - Google Patents

헬멧의 실드부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051A
KR19980024051A KR1019970024379A KR19970024379A KR19980024051A KR 19980024051 A KR19980024051 A KR 19980024051A KR 1019970024379 A KR1019970024379 A KR 1019970024379A KR 19970024379 A KR19970024379 A KR 19970024379A KR 19980024051 A KR19980024051 A KR 19980024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shield member
shaft
shield
helm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9440B1 (ko
Inventor
아키히로 구로야나기
Original Assignee
하세가와 다케히코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세가와 다케히코,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세가와 다케히코
Publication of KR19980024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4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하게 실드부재를 착탈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실드부재를 개폐하여도 실드부재가 이탈하지 않는 헬멧의 부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실드부재(4)의 좌우 양단부(4a)가 헬멧 본체(2)의 좌우 외측면에 형성된 지지축(5a) 주위에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헬멧(1)의 실드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5)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실드부재(4)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된 실드홈부(4b)가 삽입가능한 축홈부(5i)를 지지축(5a)의 축방향 일부에 형성하고, 지지축(5a)과 맞물려 실드부재(4)를 회전시키기 위한 축공(4c)을 실드홈부(4b)에 연속하여 형성하고, 지지축(5a)의 축홈부(5i)의 삽입시킨 실드부재(4)를 축홈부 이외의 지지축(5a) 부위로 이동시키기 위해 압박하는 압력수단(A)을 형성하여, 이 압력수단(A)에 의하여 압박된 실드부재(4)를 압박에 대항하여 지지축(5a)에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수단(B)을 형성한다.

Description

헬멧의 실드부착 구조
도 1은 헬멧의 측면도,
도 2는 실드부재(shield 部材)를 닫은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실드부재를 연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실드부재의 정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지지축 본체(支持軸 本體)의 측면도,
도 6은 실드부재의 측면도,
도 7은 커버체(cover體)의 측면도,
도 8은 실드부재 및 커버체를 떼어낸 상태의 측면도,
도 9은 도 8의 IX-IX선을 따른 실드부재 및 커버체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X-X선을 따른 실드부재 및 커버체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XI-XI선을 따른 실드부재 및 커버체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실드부재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헬멧(helmat)2 : 헬멧 본체
4 : 실드부재(shield 部材)4a : 실드부재(4)의 좌우 양단부
4b: 실드홈부(shield 溝部)4c : 축공(軸孔)
5 : 지지축 본체(支持軸 本體)5a : 지지축
5i : 축홈부(軸溝部)A : 압력수단
B : 유지수단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의 전면 개구부(開口部)를 개폐시니는 실드부재를 구비하는 헬멧의 실드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헬멧 본체의 전며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투명한 실드부재를 구비한 헬멧이 있다. 예를 들어 실공소 63-48665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실드부재의 좌우 양단부를 헬멧 본체의 좌우 외측면에 형성된 지지축 주위에 소정각도 만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장착된 것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이와 같이 실드부재를 지지축 주위에 소정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장착하는 것에는, 지지추의 쐐기부(빠짐 방지수단)에 실드부재의 결합공을 맞추어 부착하여서 실드부재를 지지축에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실드부재를 열었을 대에 결합공이 쐐기부의 위치가 되면 빠져 나가게 되어 실드부재가 지지축으로부터 이탈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단하게 실드부재를 착탈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실드부재를 개폐시켜도 실드부재가 이탈하지 않는 헬멧의 실드부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1항의 발명은, 실드부재의 좌우 양단부가 헬멧 본체의 좌우 외측면에 형성된 지지축 주위에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헬멧의 실드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실드부재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된 실드홈부가 삽입가능한 축홈부를 상기 지지축의 축방향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과 맞물려 상기 실드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축공을 상기 필드 홈부에 연속하여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의 축홈부에 삽입시킨 실드부재를 상기 축홈부 이외의 지지축 부위로 이동시키기 위해 압박하는 압력수단을 형성하여, 이 압력수단에 의하여 압박된 상기 실드부재를 압박에 대항하여 지지축에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드부재를 지지축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단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축에 장착된 실드부재는 압력수단과 유지수단에 의한 간단한 구조로 압박에 대항하여 지지축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실드부재를 개폐시켜도 실드부재가 지지축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커버체를 형성하는 경우, 커버체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실드부재의 착탈을 가능케 하는 구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과 아울러, 만일 커버체가 주행중에 떨어져도 실드부재는 떨어지지 않으므로 지장없이 헬멧을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제2항의 발명은, 상기 압력수단은 상기 헬멧 본체 외측면측에 형성되어 이 압력수단은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일정거리 만큼 이간시킨 위치에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지지축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드부재는 탄성변형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조의 압력수단과 유지수단으로 실드부재를 지지축에 유지시킬 수 있다.
청구항 제3항의 발명은, 상기 지지축의 축심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를 삽입시켜 상기 지지축이 형성된 지지축 본체를 상기 헬멧 본체에 상기 나사로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축 본체의 나사공 외주에 지지축 축심을 중심으로 한 복수의 원호공을 형성하여 이 원호공의 외주에 상기 지지축의 축수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의 축홈부를 상기 원호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부위에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 본체의 표면을 덮는 커버체에, 상기 원호공에 삽입시켜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지지축 본체와 결합하는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축 본체의 표면을 덮는 커버체가 지지축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실드부재를 동작시켜도 실드부재가 지지축 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커버체를 지지축으로부터 분리시켜 실드부재를 동작시키면서 나사를 느슨하게 하거나 조르거나 하여 헬멧 본체에 대한 지지축 본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헬멧 본체에 지지축 본체, 실드부재 및 커버체를 부착하는 구조는 효율적인 콤팩트화가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한 헬멧의 실드부착 구조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헬멧의 측면도, 도 2는 실드부재를 닫은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실드부재를 연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실드부재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지지축 본체의 측면도, 도 6은 실드부재의 측면도, 도 7은 커버체의 측면도, 도 8은 실드부재 및 커버체를 떼어낸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도 8의 IX-IX선을 따른 실드부재 및 커버체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X-X선을 따른 실드부재 및 커버체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XI-XI선을 따른 실드부재 및 커버체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자동 이륜차(自動 二輪車) 등에 승차할 때에 사용되는 헬멧(1)은 좌측부분과 우측부분이 똑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좌측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고 우측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헬멧(1)은 헬멧 본체(2)를 갖고, 헬멧 본체(2)의 앞면에 장착자의 얼굴에 대응하는 개구(3)를 갖으며, 이 개구(3)를 개폐시키는 투명 수지제의 실드부재(4)가 형성되어 있다. 실드부재(4)는 탄성변형될 수 잇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실드부재(4)의 좌우 양단부(4a)의 헬멧 본체(2)의 좌우 외측면에 형성된 지지축 본체(5)의 지지축(5a) 주위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지지축 본체(5)는 커버체(6)로 덮여 있다. 지지축 본체(5) 및 커버체(6)도 실드부재(4)와 마찬가지로 수지(樹脂)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 본체(5)는 지지축(5a)과 고정축부(固定軸部)(5b)를 구비하여, 이 지지축(5ㅁ)과 고정축부(5b)의 축심(軸芯)에 형성된 나사공(5c,5d)에 나사(78)를 삽입시킴으로써, 지지축 본체(5)가 헬멧 본체(2)에 나사(7,8)로 고정된다. 지지축 본체(5) 지지축(5a)의 나사공(5c)의 외주에는 지지축(5a)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복수의 원호공(圓弧孔)(5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 본체(5)는 고정축부(5b)의 근방에 지지부(5f)를 갖으며, 이 지지부(5f)에는 결합공(5g)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 본체(5)의 표면을 덮는 커버체(6)의 이면(裏面)에는 대향하는 한 쌍의 돌기(6a)와 돌기(6b)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체(6)의 돌기(6a)를 지지축 본체(5)의 원호공(5e)에 삽입시키고 또한 돌기(6b)를 지지축 본체(5)의 결합공(5g)에 삽입시키면, 돌기(6b)가 지지부(5f)에 연속하여 형성된 가이드(guide)의 경사면(5m)에 접하여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커버체(6)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키면 돌기(6b)가 가이드 경사면(5m)상을 결합공(5g)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결합공(5g)의 위치에서 들어가 돌기(6b)의 쐐기부(6b1)가 결합공(5g)과 결합함과 동시에 돌기(6a)가 슬라이드하여 쐐기부(6a1)가 원호공(5e)과 결합하여 커버체(6)가 지지축 본체(5)에 확실하게 그리고 간단하게 부착된다. 이와 같이 지지축 본체(5)의 지지부(5f)에 형성된 가이드의 경사면(5m)에 의하여 커버체(6)의 돌기(6b)가 걸리는 일 없이 원활하게 결합공(5g)에 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6)에는 일부를 남기고 잘라내어 압력부(6c)가 형성되고 이 압력부(6c)의 이면에는 돌기(6d)가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압력부(6c)를 가압함으로써, 돌기(6d)가 실드부재(4)의 좌우 양단부(4a)를 밀어 실드부재(4)가 지지축 본체(5)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커버체(6)의 압력부(6c)는 두께를 얇게 하여 용이하게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지지축 본체(5)의 원호공(5e)의 외주에는 축수부(軸受部 ; 축받이부)(5h)가 형성되고, 또한 지지축(5a)에는 축홈부(5i)가 원호공(5e)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축 본체(5)에는 지지축(5a)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실드부재(4)의 좌우 양단부(4a)에 형성된 실드홈부(4b)가 삽입가능한 축홈부(5i)를 지지축(5a)의 축방향의 일부에 형성하고 있다.
한편 실드부재(4)에는 지지축(5a)과 맞물려서 실드부재(4)를 회전시키기 위한 축공(4c)이 실드홈부(4b)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 본체(5)에는 지지축(5a)의 축홈부(5i)에 삽입된 실드부재(4)를 축홈부(5i) 이외의 지지축(5a)의 부위로 이동시키기 위해 압박을 주는 압력수단(A)이 형성되어 있다. 압력수단(A)은 헬멧 본체 외측면에 형성되며, 이 압력수단(A)은 지지축(5a)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간시킨 위치에 형성된 돌기부(5j,5k)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지지축 본체(5)에는 압력수단(A)의 돌기부(5j,5k)에 의하여 압박된 실드부재(4)를 압박에 대항하여 지지축(5a)에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수단(B)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수단(B)은 지지축(5a)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flange部)(51)로 이루어져 있다.
실드부재(4)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드부재(4)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지지축 본체(5)의 지지축(5a)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의 압력수단(A)과 유지수단(B)으로 실드부재(4)를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실드부재(4)는 탄성변형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실드부재(4)를 밀면 그 좌우 양단부(4a)가 돌기부(5j,5k)에 의하여 압박되어 실드부재(4)의 축공(4c)은 도 10(a)의 지지축(5a)의 축홈부(5i)와 결합한 위치에서 도 10(b)의 축수부(5h)의 위치로 이동하고, 지지축(5a)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51)에 의하여 유지되어 실드부재(4)가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실드부재(4)가 회전할 때에 소정 각도의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결합기구를 성립시키기 위한 스프링수단(C)이 수지재료로 이루어진 지지축 본체(5)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수단(C)은 지지축 본체(5)의 지지부(5f)에 근접하여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부(5n)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부(5n)는 보스부(boss部)(5n1)에 홈부(5n2)를 형성하여 구성되고 선단부에는 실드부재(4)의 좌우 양단부(4a)의 빠짐을 방지하는 결합부(5n3)를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부(5n)는 실드부재(4) 좌우 양단부(4a)의 외주부에 접하게 되어 실드부재(4)가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그 때 스프링부(5n)의 정수(定數)를 별로 크게 하지 않고 최적치(最適値)로 한다.
또한 지지축 본체(5)에는 실드부재(4)를 활짝 열 때 가능하는 스토퍼(stopper)를 스프링수단(C)에 형성하고, 스토퍼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스프링부(5n)가 실드부재(4) 선단부의 외주부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헬멧(1) 장착자가 무리하게 큰 힘으로 실드부재(4)를 활짝 열지 않도록 실드부재(4)의 선단부(4d)가 처음에 지지축(5a) 근방에 형성된 볼록부(5o)에 접하여 작동하고, 그 후 스프링부(5n)의 스토퍼에 타단부(4e)가 접하여 스토퍼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즉 실드부재(4)는 처음 볼록부(5o)의 스토퍼로 이미 활짝 열려진 것을 장착자에게 알리어 큰 힘을 가하지 않도록 주의를 환기시킨다.
또한 지지축(5a)에 장착된 실드부재(4)는 압력수단(A)과 유지수단(B)에 의한 간단한 구조로 압박에 대항하여 지지축(5a)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실드부재(4)를 개폐시켜도 실드부재(4)가 지지축(5a)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커버체(6)를 형성한 경우, 커버체(6)를 장착한 상태라도 실드부재(4)의 착탈을 가능케 하는 구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만일 커버체(6)가 주행 중에 떨어져도 실드부재(4)는 떨어지지 않으므로 지장없이 헬멧(1)을 사용할 수 있다.
실드부재(4)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실드부재(4)를 도 4에 나타내는 장착하는 위치까지 열어서 커버체(6)의 압력부(6c)를 손가락으로 가압하면 압력부(6c)의 이면의 돌기(6d)가 실드부재(4)의 좌우 양단부(4a)를 밀기 때문에 도 10(b)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축수부(5h)로부터 분리되어 축홈부(5i)의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실드부재(4)를 떼어내면 축공(4c)이 축홈부(5i)의 위치를 통하여 분리되어 커버체(6)를 지지축 본체(5)에 부착된 상태로 실드부재(4)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축 본체(5)의 표면을 덮는 커버체(6)를 지지축 본체(5)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실드부재(4)를 개폐시켜도 실드부재(4)가 지지축 본체(5)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커버체(6)를 지지축 본체(5)로부터 분리시켜 실드부재(4)를 개폐시키면서 나사(7 ,8)를 느슨하게 하거나 조르거나 하여 헬멧 본체(2)에 대한 지지축 본체(5)의 위치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한 헬멧 본체(2)에 지지축 본체(5), 실드부재(4) 및 커버체(6)를 부착하는 구조는 효율적인 콤팩트화가 가능하다.
도 12는 실드부재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압력수단(A)이 판 스프링(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판 스프링(60)은 지지축 본체(5)의 지지축(5a)에 코킹(caulking) 등으로 부착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외측으로부터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기와 같이 청구항 제2항의 발명에서는 실드부재를 지지축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단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축에 장착된 실드부재는 압력수단과 유지수단에 의한 간단한 구조로 압박에 대항하여 지지축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실드부재를 개폐시켜도 실드부재가 지지축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커버체를 부착하는 경우, 커버체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실드부재의 착탈을 가능케 하는 구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만일 커버체가 주행중에 떨어져도 실드부재는 떨어지지 않으므로 지장없이 헬멧을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제2항의 발명에서는 실드부배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조의 압력수단과 유지수단으로 실드부재를 지지축에 유지시킬 수 있다.
청구항 제3항의 발명에서는 지지축 본체의 표면을 덮는 커버체를 지지축 본체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실드부재를 동작시켜도 실드부재가 지지축 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커버체를 지지축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실드부재를 동작시키면서 나사를 느슨하게 하거나 조르거나 하여 헬멧 본체에 대한 지지축 본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헬멧 본체에 지지축 본체, 실드부재 및 커버체를 부착하는 구조는 효율적인 콤팩트화가 가능하다.

Claims (3)

  1. 실드부재(shield 部材)의 좌우 양단부가 헬멧 본체의 좌우 외측면에 형성된 지지축 주위에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헬멧의 실드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실드부재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된 실드홈부(shield 溝部)가 삽입가능한 축구부(軸溝部)를 상기 지지축의 축방향 일부에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과 맞물려 상기 실드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축공(軸孔)을 상기 실드홈부에 연속하여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의 축홈부에 삽입시킨 실드부재를 상기 축홈부 이외의 지지축 부위로 이동시키기 위해 압박하는 압력수단을 형성하여,
    이 압력수단에 의하여 압박된 상기 실드부재를 압박에 대항하여 지지축에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의 실드부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수단은 상기 헬멧 본체 외측면측에 형성되어 이 압력수단은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일정거리 만큼 이간시킨 위치에 형성된 돌기(突起)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지지축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flange部)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드부재는 탄성변형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의 실드부착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축심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를 삽입시켜 상기 지지축이 형성된 지지축 본체를 상기 헬멧 본체에 상기 나사로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축 본체의 나사공 외주에 지지축 축심을 중심으로 한 복수의 원호공(圓弧孔)을 형성하여 이 원호공의 외주에 상기 지지축의 축수부(軸受部)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의 축홈부를 상기 원호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부위에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 본체의 표면을 덮는 커버체에, 상기 원호공에 삽입시켜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지지축 본체와 결합하는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의 실드부착 구조.
KR1019970024379A 1996-09-02 1997-06-12 헬멧의 실드부착 구조 KR100439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193896A JP3559844B2 (ja) 1996-09-02 1996-09-02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取付構造
JP8-231938 1996-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051A true KR19980024051A (ko) 1998-07-06
KR100439440B1 KR100439440B1 (ko) 2004-10-14

Family

ID=1693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379A KR100439440B1 (ko) 1996-09-02 1997-06-12 헬멧의 실드부착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826317B1 (ko)
JP (1) JP3559844B2 (ko)
KR (1) KR100439440B1 (ko)
DE (1) DE69726354D1 (ko)
TW (1) TW35706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674B1 (ko) * 1998-11-13 2002-07-19 주식회사 홍진크라운 헬멧용 시일드의 결합장치
KR100427684B1 (ko) * 2002-05-31 2004-04-28 주식회사 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시일드 결합장치
KR100951343B1 (ko) * 2008-01-21 2010-04-08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946B1 (ko) 2004-11-25 2006-04-10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US8214920B1 (en) 2008-02-18 2012-07-10 Sperian Eye & Face Protection, Inc. Hard hat adapter for a welding helmet
US10973274B2 (en) 2018-07-31 2021-04-13 Kimpex Inc. Helmet, mounting system for a helmet and method of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9612A (ja) * 1987-06-09 1988-12-16 新井 理夫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ルドの取付構造
JPH0324892A (ja) * 1989-06-22 1991-02-01 Canon Inc 撮像装置
JPH04100910A (ja) * 1990-08-20 1992-04-02 Shoei Kako Kk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取付構造
JPH04126812A (ja) * 1990-09-12 1992-04-27 Dainippon Ink & Chem Inc 乗車用ヘルメット
JPH0621370B2 (ja) * 1991-05-31 1994-03-23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取付構造
JPH0764437B2 (ja) * 1991-06-04 1995-07-12 村田機械株式会社 積層荷物のピッキング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674B1 (ko) * 1998-11-13 2002-07-19 주식회사 홍진크라운 헬멧용 시일드의 결합장치
KR100427684B1 (ko) * 2002-05-31 2004-04-28 주식회사 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시일드 결합장치
KR100951343B1 (ko) * 2008-01-21 2010-04-08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26317A2 (en) 1998-03-04
JP3559844B2 (ja) 2004-09-02
DE69726354D1 (de) 2004-01-08
TW357066B (en) 1999-05-01
EP0826317B1 (en) 2003-11-26
KR100439440B1 (ko) 2004-10-14
EP0826317A3 (en) 1999-09-15
JPH1077520A (ja) 1998-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295B1 (ko) 개폐체의개폐장치
KR940001979Y1 (ko) 헬멧에 있어서의 보호판 부착구조
KR900002951B1 (ko) 푸시버튼장치
KR940007999B1 (ko) 헬멧에 있어서의 안전판의 부착구조
US1099013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omponent-protecting structure
KR940025398A (ko) 플렉시블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9980024051A (ko) 헬멧의 실드부착 구조
US7119297B2 (en) Push button
GB1588134A (en) Electric components
JP3811163B2 (ja)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取付構造
JP2610794B2 (ja)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の取付構造
JPH06139911A (ja) 回路遮断器
US5659928A (en) Openable structure for housing
JP2003097133A (ja) 蝶番構造
KR20040059095A (ko) 냉장고 도어의 핸들 장착구조
JP2586624Y2 (ja) パネル取付ユニットのロック機構
KR100257269B1 (ko) 캠코더의 전자 뷰파인더 장착구조
EP0053557A1 (fr) Dispositif d'enclenchement du type "bris de glace"
KR0131421Y1 (ko) 전화기의 힌지용 플런저 이탈방지 구조
KR960001212B1 (ko) 전기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KR19990006487A (ko) 누름버튼스위치 및 그 누름버튼스위치를 이용한 스위치장치
GB2240879A (en) Electric switch
KR100610410B1 (ko) 미싱제어박스
MY132492A (en) Seesaw switch
JP2000251862A (ja) 電池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