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645Y1 - 작동스위치 잠금장치가 형성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작동스위치 잠금장치가 형성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645Y1
KR200459645Y1 KR2020100003656U KR20100003656U KR200459645Y1 KR 200459645 Y1 KR200459645 Y1 KR 200459645Y1 KR 2020100003656 U KR2020100003656 U KR 2020100003656U KR 20100003656 U KR20100003656 U KR 20100003656U KR 200459645 Y1 KR200459645 Y1 KR 200459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hatch
operation switch
present
contac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758U (ko
Inventor
김형돈
Original Assignee
김형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돈 filed Critical 김형돈
Priority to KR20201000036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64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7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7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6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30Mincing machines with perforated discs and feeding 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동스위치 잠금장치가 형성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의 주방 싱크대에 설치되는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의 작동스위치에 이중잠금장치를 형성하여 유아 등의 아동이 장난이나 실수로 장치를 작동하지 못하도록 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의 작동스위치가 내부에 접점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되고, 후면에 대응접점이 형성된 누름스위치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힌지로 고정되어 복귀스프링에 의해서 작동되는 해치스위치뭉치가 형성되고 상기 해치스위치뭉치와 연장되어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해치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작동스위치 잠금장치가 형성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에 의하면 해치스위치와 누름스위치를 동시에 작동시켜야 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줄어들고, 잠금장치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아나 어린이들이 작동스위치를 마음대로 작동시킬 수 없어서 안전한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작동스위치 잠금장치가 형성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DISPOSAL INSTALLED SWITCH WITH LOCKING DEVICE}
본 고안은 작동스위치 잠금장치가 형성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의 주방 싱크대에 설치되는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의 작동스위치에 이중잠금장치를 형성하여 유아 등의 아동이 장난이나 실수로 장치를 작동하지 못하도록 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란 주방의 싱크대에 설치되어 버려지는 음식물을 잘게 분쇄하여 곧바로 정화조로 내보내는 장치로, 대한민국에서는 이러한 장치가 하수관의 설치 등의 미흡으로 인하여 법으로 사용이 금지되어 오다가 최근에 하수관의 설치가 적당히 된 곳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법제정이 되었다.
종래의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는 미국, 유럽 등지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도 1과 같은 구조로 형성된다.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는 싱크대에 노출되는 유입부(11)와 내부하단에 모터(22)에 의해서 회전하는 커터(12)가 형성되며, 상기 커터(12)의 하단에는 배출블레이드(13)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블레이드(13)의 일측으로 배출부(14)가 형성된 분쇄부(10)와;
상기 커터(12)가 연결된 축(21)이 모터(22)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모터(22)의 일측에는 제어부(23)가 형성된 구동부(20)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작동스위치를 누구나 쉽게 눌러 작동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2) 유아나 어린이들이 장난으로 장치를 작동시켜서 고장의 원인이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싱크대에 노출되는 유입부와 내부하단에 모터에 의해서 회전하는 커터가 형성되며, 상기 커터의 하단에는 배출블레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블레이드의 일측으로 배출부가 형성된 분쇄부와;
상기 커터가 연결된 축이 모터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모터의 일측에는 제어부가 형성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제어부와 연결되는 작동스위치로 구성되되,
상기 작동스위치는 내부에 접점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되고, 후면에 대응접점이 형성된 누름스위치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힌지로 고정되어 복귀스프링에 의해서 작동되는 해치스위치뭉치가 형성되고 상기 해치스위치뭉치와 연장되어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해치스위치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작동스위치 잠금장치가 형성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해치스위치와 누름스위치를 동시에 작동시켜야 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줄어든다.
(2) 잠금장치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아나 어린이들이 작동스위치를 마음대로 작동시킬 수 없어서 안전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작동스위치 잠금장치가 형성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작동스위치 잠금장치가 형성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 작동스위치의 A-A부분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작동스위치 잠금장치가 형성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 작동스위치의 작동개념 확대도.
본 고안은 상기 작동스위치(100)는 내부에 접점(104)이 형성되고, 전방으로 홀이 형성된 몸체(102)와; 상기 몸체(102)의 홀을 막을 수 있도록 내부에 형성되고, 스프링(112)에 의해서 탄발지지되며, 후면에 상기 접점(104)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접점(114)이 형성된 누름스위치(110)와; 상기 몸체(102)의 내부에 힌지(126)로 고정되어 복귀스프링(124)에 의해서 작동되는 해치스위치뭉치(122)가 대응접점(114)과 접점(10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해치스위치뭉치(122)의 후방에 연장되어 몸체(102)의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128)가 구성된 해치스위치(120)로 구성되되,
상기 해치스위치뭉치(122)는 손잡이(128)이의 회전에 의해서 접점(104)과 대응접점(114) 사이에서 삽입탈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삭제
삭제
상기 커터(12)는 상단에 다수개의 날이 형성되고, 상기 날이 모터(22)에 의해 회전하면서 인입되는 음식물을 잘게 절단한다.
상기 배출블레이드(13)는 커터(12)에 의해서 절단된 음식물을 배출부(14) 쪽으로 모아서 배출하는 장치이다.
상기 배출부(14)는 배수트랩(3)과 연결된 배수관과 연결된다.
상기 작동스위치(100)는 제어부(23)와 전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23)는 작동스위치(100)의 작동신호를 인가받아 타이머에 의해서 일정시간 모터(22)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작동스위치(100)는 몸체(102)의 전방으로 누름스위치(110)가 형성되고, 측면으로 해치스위치(120)의 손잡이(128)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02)에는 제어부(23)와 전선으로 연결되는 접점(104)이 형성되고, 상기 접점(104)과 대응되는 대응접점(114)이 형성된 누름스위치(110)가 스프링(112)에 의해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대응접점(114)과 접점(104)이 이격된 사이에는 해치스위치뭉치(122)가 힌지(126)에 고정되어 위치하는데, 손잡이(128)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28)를 몸체(102)로 끌어당기면 힌지(126)에 의해서 해치스위치뭉치(122)가 대응접점(114)과 접점(104) 사이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후, 손잡이(128)를 놓으면 복귀스프링(124)에 의해서 해치스위치뭉치(122)가 회전하여 원위치로 돌아간다.
상기와 같이 대응접점(114)과 접점(104) 사이에서 해치스위치뭉치(122)가 빠져나오면 누름스위치(110)가 눌려지면서 대응접점(114)과 접점(104)이 맞닿아서 전류가 흐르게 되어 분쇄장치를 작동시킨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작동스위치 잠금장치가 형성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를 설치하되, 작동스위치(100)는 싱크대(2)의 상단으로 전선을 꺼내어 고정한다.
이후, 분쇄장치를 작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해치스위치(120)의 손잡이(128)를 잡음과 동시에 누름스위치(110)를 눌러서 장치를 작동시킨다.
이때, 누름스위치(110)에 의해서 신호를 받은 제어부(23)는 모터(22)를 일정시간 작동시켜서 유입부(11)로 유입된 음식물을 잘게 절단한 후에 배출블레이드(13)에 의해서 배수관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 : 분쇄부 11 : 유입부 12 : 커터
13 : 배출블레이드 14 : 배출부 20 : 구동부
23 : 제어부 100 : 작동스위치 102 : 몸체
104 : 접점 110 : 누름스위치 112 : 스프링
114 : 대응접점 120 : 해치스위치 122 : 해치스위치뭉치
124 : 복귀스프링 126 : 힌지 128 : 손잡이

Claims (2)

  1. 싱크대(2)에 노출되는 유입부(11)와 내부하단에 모터(22)에 의해서 회전하는 커터(12)가 형성되며, 상기 커터(12)의 하단에는 배출블레이드(13)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블레이드(13)의 일측으로 배출부(14)가 형성된 분쇄부(10)와;
    상기 커터(12)가 연결된 축(21)이 모터(22)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모터(22)의 일측에는 제어부(23)가 형성된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의 제어부(23)와 연결되는 작동스위치(100)로 구성되되,
    상기 작동스위치(100)는 내부에 접점(104)이 형성되고, 전방으로 홀이 형성된 몸체(102)와; 상기 몸체(102)의 홀을 막을 수 있도록 내부에 형성되고, 스프링(112)에 의해서 탄발지지되며, 후면에 상기 접점(104)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접점(114)이 형성된 누름스위치(110)와; 상기 몸체(102)의 내부에 힌지(126)로 고정되어 복귀스프링(124)에 의해서 작동되는 해치스위치뭉치(122)가 대응접점(114)과 접점(10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해치스위치뭉치(122)의 후방에 연장되어 몸체(102)의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128)가 구성된 해치스위치(120)로 구성되되,
    상기 해치스위치뭉치(122)는 손잡이(128)이의 회전에 의해서 접점(104)과 대응접점(114) 사이에서 삽입탈퇴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스위치 잠금장치가 형성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
  2. 삭제
KR2020100003656U 2010-04-08 2010-04-08 작동스위치 잠금장치가 형성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 KR2004596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656U KR200459645Y1 (ko) 2010-04-08 2010-04-08 작동스위치 잠금장치가 형성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656U KR200459645Y1 (ko) 2010-04-08 2010-04-08 작동스위치 잠금장치가 형성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758U KR20110009758U (ko) 2011-10-14
KR200459645Y1 true KR200459645Y1 (ko) 2012-04-04

Family

ID=45596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656U KR200459645Y1 (ko) 2010-04-08 2010-04-08 작동스위치 잠금장치가 형성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64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887Y1 (ko) * 1994-05-19 1997-05-21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스위치장치
KR0120626Y1 (ko) * 1993-02-25 1998-07-15 김광호 푸드 프로세서의 안전스위치 장치
KR100399421B1 (ko) 2001-08-30 2003-10-08 김수곤 음식물 찌꺼기 자동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2005254220A (ja) 2004-02-10 2005-09-22 Toto Ltd 給水型厨芥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626Y1 (ko) * 1993-02-25 1998-07-15 김광호 푸드 프로세서의 안전스위치 장치
KR970004887Y1 (ko) * 1994-05-19 1997-05-21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스위치장치
KR100399421B1 (ko) 2001-08-30 2003-10-08 김수곤 음식물 찌꺼기 자동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2005254220A (ja) 2004-02-10 2005-09-22 Toto Ltd 給水型厨芥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758U (ko) 201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302Y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기
KR10150915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분쇄장치
JP2008114149A (ja) 循環型生ごみ処理装置
EP2471601B1 (en) Automated safety device for mincing machines
KR2015005624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N110670677A (zh) 一种厨余垃圾处理器
KR200459645Y1 (ko) 작동스위치 잠금장치가 형성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
KR20190000244A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11249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94260B1 (ko) 분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KR101747946B1 (ko) 디스포저용 분쇄장치
WO2018014235A1 (zh) 一种智能化厨余垃圾处理设备
KR101317389B1 (ko) 싱크대용 수동 디스포저
KR20120087417A (ko) 목재 파쇄기
KR100782904B1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기
KR101691867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KR20140144591A (ko) 음식물 처리장치
CN212092567U (zh) 一种两端输出安全互锁装置
KR10141382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112602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건조장치
KR10162870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11248781A (zh) 一种安全互锁多功能切碎机
JP3725438B2 (ja) 厨芥処理装置
JP5282348B2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2400590B1 (ko) 전자클러치가 적용된 파쇄기가 장착되는 음식물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