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737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737B1
KR101504737B1 KR1020130133448A KR20130133448A KR101504737B1 KR 101504737 B1 KR101504737 B1 KR 101504737B1 KR 1020130133448 A KR1020130133448 A KR 1020130133448A KR 20130133448 A KR20130133448 A KR 20130133448A KR 101504737 B1 KR101504737 B1 KR 101504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food waste
housing
opening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석환
Original Assignee
채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석환 filed Critical 채석환
Priority to KR1020130133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Abstract

본 발명은 설거지물이 배수되는 부분과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는 부분을 분리함과 아울러 일정량을 물을 채운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하도록 구성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완벽하고 효과적으로 분쇄하여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Food waste processing device and food waste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을 분쇄하여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사용하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하는 장치이다.
도 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51425호(발명의 명칭 :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개시된 도면이다.(참고로 특허 공보에 개시된 도면을 그대로 첨부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등록특허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이하 '특허발명'이라 함)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본다.
하우징(110)의 상부 개구부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미생물 투입부(112)를 통하여 하우징(110) 내에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시키는 미생물이 주입된다. 이후 음식물 쓰레기는 제1커터(120)에 의해 1차 분쇄되고, 이렇게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제1커터(120)의 유입구(124)와 유출구(126)를 통하여 제2커터(130)로 이동한 후, 제2커터(130)에 의해 더욱 미세하게 분쇄된다.
미세하게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밑판(150)으로 이동되고, 밑판(150)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152)을 통하여 하부의 격벽(116) 위로 이동된 후, 경사진 격벽(116)에 의해 배출구(111)로 이동되면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특허발명을 포함한 종래 기술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물이 배수되는 부분과 분쇄된 음식물이 배출되는 부분이 하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 등에서 올라오는 냄새 등을 차단하기 어렵고, 특히 배수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면서 바로 배출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분쇄 효율이 떨어지고 배수구 막힘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등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설거지물이 배수되는 부분과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는 부분을 분리함과 아울러 일정량을 물을 채운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완벽하고 효과적으로 분쇄하여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 뚜껑 및 제어박스 등을 구비하여 음식물 분쇄에 필요한 적정량의 물을 공급하면서 자동으로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부에 물 또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하측으로 제1공간, 제2공간, 제3공간, 제4공간이 차례로 구획될 때, 상기 제1공간의 측면에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4공간의 측면에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 사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될 때 상기 유입구로 들어온 물이 제2공간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수되도록 하는 차단 뚜껑과; 상기 제2공간과 제3공간 사이에 구비된 것으로, 회전판과 이 회전판의 상부에 자유 회전되게 설치된 다수의 돌림쇠로 구성되어, 회전 작동됨에 따라 제2공간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기구과; 상기 제2공간과 제3공간을 이루는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상하로 길게 돌출되어, 상기 분쇄기구가 회전할 때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걸리는 동시에 돌출된 부분 사이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통과하여 아래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분쇄 대응체와; 상기 제3공간과 제4공간 사이에 구비된 것으로, 복수의 칼날로 구성되어, 회전 작동됨에 따라 제3공간으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제4공간으로 배출하는 분쇄커터와;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어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기구 및 분쇄커터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배출밸브 및 모터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박스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에는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뚜껑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 뚜껑은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 뚜껑 본체와, 상기 뚜껑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뚜껑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 뚜껑은 상기 개폐판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닫히도록 개폐판을 회전시키는 타이머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기구를 구성하는 돌림쇠는 상기 분쇄 대응체에 가장 근접한 면 쪽에 상하 방향으로 이어진 다수의 홈부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의 제4공간의 바닥면에는 중앙부에서 상기 배출구 앞쪽까지 일정 높이만큼 돌출된 안내 배플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은, 상기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으로서, 상기 차단 뚜껑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유입구를 통해 제2공간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고, 하우징의 유입구에 스위치 뚜껑을 닫는 제1단계와; 상기 스위치 뚜껑을 닫게 되면, 스위치 작용에 의해 제어 박스에 ON 작동신호가 입력되고, 배출밸브에 신호를 입력하여 배출구를 닫는 제2단계와; 상기 스위치 뚜껑의 개폐판을 회전시키면 스위치 뚜껑의 개구부가 개방되고, 상기 이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 내로 물을 주입하게 되면, 타이머에 의해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개구부는 닫히는 제3단계와; 상기 스위치 뚜껑의 개구부가 닫히면 제어 박스에서 모터에 작동신호를 출력하여 모터를 작동시켜, 분쇄기구 및 분쇄커터를 회전시키면서 하우징 내에 물이 차있는 상태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제4단계와; 제4단계의 시간이 일정 시간 지속된 후에, 제어 박스에 신호에 따라 배출밸브가 작동되어 배출구가 개방되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제4공간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5단계와; 배출밸브가 개방된 후,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제어박스에서 OFF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6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으로서, 차단 뚜껑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유입구를 통해 제2공간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고, 제어박스 작동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제어 박스에 ON 작동신호가 입력되고, 배출밸브에 신호를 입력하여 배출구를 닫는 제1단계와;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로 일정량의 물을 주입하고 난 후에, 상기 차단 뚜껑을 하우징 내에 다시 장착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에 제어 박스에서 모터에 작동신호를 출력하여 모터를 작동시켜, 분쇄기구 및 분쇄커터를 회전시키면서 하우징 내에 물이 차있는 상태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제3단계와; 제3단계의 시간이 일정 시간 지속된 후에, 제어 박스에 신호에 따라 배출밸브가 작동되어 배출구가 개방되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제4공간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4단계와; 제4단계를 통해 배출밸브가 개방된 후,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제어박스에서 OFF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은, 설거지물이 배수되는 부분과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는 부분이 분리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쇄하여 처리할 수 있는 동시에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 등으로부터 올라오는 악취 등을 보다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어 배출되는 부분이 배출밸브가 구비되어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가 확실하게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 분쇄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에는 배출밸브 없이 분쇄와 동시에 물이 배수되는 구조여서 덜 분쇄된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어 하수구 막힘 현상 등의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배출밸브가 구비되어 막힌 공간에서 물이 차있는 상태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가 믹서기에서와 같이 곱게 일정하게 분쇄되어 하수구의 막힘 현상을 줄일 수 있는 등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분쇄 후에 배출 밸브를 개방하여 일시에 물과 함께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일시 배출압력에 의해 분쇄공간에 음식물이 남지 않게 되어 더욱 위생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 뚜껑 및 제어박스 등을 이용할 경우에 음식물 분쇄에 필요한 적정량의 물을 공급하면서 자동으로 음식물 분쇄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ㄸ한, 본 발명은 분쇄기구의 돌림쇠에 스트라이프 형태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를 좀 더 강하게 벽면 쪽으로 밀어내면서 분쇄할 수 있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 분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쇄 공간의 바닥면에 안내 배플이 구비되기 때문에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완벽하고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51425호에 개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뚜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뚜껑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구를 중심으로 상측에서 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구의 돌림쇠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커터 및 바닥면을 중심으로 상측에서 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사용하는 싱크대(개수대)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장치는 싱크대에서 물이 배출되는 부분인 배수구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먼저 장치의 전체적인 주요 구성을 설치 위치 등을 중심으로 간단히 설명하고, 그 다음 주요 구성 부분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부에 유입구(14)가 구비된 하우징(10)이 구비된다. 이 하우징(10)의 내부가 유입구(14)로부터 하측으로 제1공간(A), 제2공간(B), 제3공간(C), 제4공간(D)이 차례로 구획될 때, 상기 유입구(14)에는 스위치 뚜껑(20), 제1공간(A)과 제2공간(B) 사이에는 차단 뚜껑(30), 제2공간(B)과 제3공간(C) 사이에는 분쇄기구(40), 제3공간(C)과 제4공간(D) 사이에는 분쇄커터(60), 하우징(10)의 내측 벽면에는 분쇄 대응체(50), 배출구(16)에는 배출밸브(70), 하우징(10)의 하부에는 모터(80) 및 제어 박스(90) 등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 부분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10)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3개 즉, 상부 하우징(11), 중부 하우징(12), 하부 하우징(13)이 상호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하우징(10)을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분리하여 상호 조립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하우징(10)의 상측에는 물 또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4)가 구비된다. 여기서 유입구(14)는 싱크대에서 물이 배출되는 부분이다.
상부 하우징(11)과 중부 하우징(12)의 내측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요 구성 부분에 의해 제1공간(A), 제2공간(B), 제3공간(C), 제4공간(D)으로 분할되어 구성된다.
상부 하우징(10)에는 제1공간(A)의 측면에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15)가 구비되고, 중부 하우징(10)에는 제4공간(D)의 측면에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6)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15)는 설거지 등을 할 때, 물이 빠지는 부분으로 하수관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배출구(16)는 2차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나 하수관 등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스위치 뚜껑(20)은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처리할 때 사용되는 구성 부분으로서, 하우징(10)의 유입구(14)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위치 뚜껑(20)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2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다수의 개구부(21a)를 갖는 뚜껑 본체(21)가 구비되고, 이 뚜껑 본체(21)의 상부에 뚜껑 본체의 개구부(21a)를 개폐하는 개폐판(22)이 구비된다.
뚜껑 본체(21)는 유입구(14)에 끼워지게 구성됨과 아울러, 스위치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스위치 작동은 유입구(14)에 스위치 뚜껑(20)이 결합되면, 뚜껑 본체(21)의 외주면에 구비된 자성체(25)에 의해 하우징(10)에 구비된 리드 스위치(26)가 작동되면서 제어 박스(90)에 작동 신호를 전달하여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위치 작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작동하는 스위치의 구성을 응용하여 다양하게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반드시 스위치 뚜껑(20)에 구성하지 않고, 싱크대 또는 본 발명의 장치에 별도의 작동 스위치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우징(10)에는 뚜껑 본체(21)가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걸림부(17)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걸림부는 뚜껑 본체(21)의 외주면과 암수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뚜껑 본체(21)는 다수의 개구부(21a)가 형성되는데, 이 개구부(21a)들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대응되는 개폐판(22) 역시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개구부(21a)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다.
따라서, 뚜껑 본체(21)의 개구부(21a)와 개폐판(22)의 개구부(22a)가 일치하게 되면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고, 일치하지 않게 되면 개구부(21a)가 작아지거나 완전히 닫히게 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은 스위치 뚜껑(20)의 개구부가 점차 닫히는 과정을 연속하여 보여준다.
이러한 스위치 뚜껑(20)의 개폐 구조는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개폐판(22)을 회전시켜 작동시킬 수 있으나, 자동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첨부된 도면은 자동개폐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 뚜껑 본체(21)의 하부에 타이머(24)가 구비되고, 이 타이머(24)에 의해 개폐판(22)이 회전하면서 뚜껑 본체(21)의 개구부(21a)를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타이머(24)는 태엽 방식 등의 기계식 타이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식 타이머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개폐판(22)은 그 중심이 뚜껑 본체(21)를 관통하는 타이머의 축(24a)에 연결되고, 중앙부에는 개폐판(22)을 일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는 작동 노브(23)가 구비된다. 작동 노브(23)는 스위치 뚜껑(20)의 손잡이로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머(24)는 분쇄할 음식물 쓰레기의 양에 따라 물이 유입되는 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선풍기의 타이머(24) 등과 같이 작동 노브(23)를 회전시키는 정도에 따라 시간 설정을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스위치 뚜껑(20)의 개폐 구조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할 때 개구부(21a)를 통해 하우징(10) 내측으로 물이 들어가고, 모터(80)가 작동되면 개구부(21a)가 닫혀서 물의 유입을 차단함과 아울러, 내부의 분쇄물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스위치 뚜껑(20)은 포크 등 이물질이 하우징(10) 내부에 들어갔을 경우에 튀어나오는 위험 또는 사용자의 손이 딸려 들어가는 위험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다음, 차단 뚜껑(30)은 하우징(10) 내측에서 제1공간(A)과 제2공간(B) 사이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하우징(10) 내에 장착될 때 상기 유입구(14)로 들어온 물이 제2공간(B)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면서 배수구(15)를 통해 배수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 차단 뚜껑(30)은 하부 공간에서 올라오는 냄새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10)의 내측면에는 차단 뚜껑(30)이 걸리도록 단턱 구조의 장착면(11a)에 형성되고, 차단 뚜껑(30)의 외주면에는 하우징(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고무 패킹(33)이 설치된다.
차단 뚜껑(30)은 손잡이(31)가 구비되는데, 중앙부에 오목하게 파인 부분에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오목하게 파인 부분 없이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차단 뚜껑(30)은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해 제2공간(B)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때는 상기 유입구(14)를 통해 외부로 빼낸 상태로 이용하게 된다.
다음, 분쇄기구(40)는 상기 제2공간(B)과 제3공간(C) 사이에 구비된 것으로, 도 8,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41)과 이 회전판(41)의 상부에 자유 회전되게 설치된 다수의 돌림쇠(43)로 구성되어, 모터(80)의 의해 회전하면서 제2공간(B)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기능을 한다.
회전판(41)은 원판형 구조로 이루어져 모터(80)의 축(81)에 장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판(41)은 필요에 따라 다수의 홀 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돌림쇠(43)는 회전판(41)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외곽의 분쇄 대응체(50) 쪽으로 밀어붙여서 강판처럼 갈아서 아래쪽으로 보내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회전판(41)에 쇠축(44)으로 자유 회전 및 요동 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판(41)을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함께 회전, 요동하도록 구성된다.
돌림쇠(43)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삼각형 구조로 형성되고, 쇠축(44)에 장착된 부분에서 먼 쪽 부분인 앞쪽면(43a)은 계단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앞쪽면(43a)에서 양측면(43c)으로 이어지는 연결면(43b)은 점차 넓어지는 경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돌림쇠(43)는 앞쪽면(43a)과 연결면(43b)쪽에 상하 방향으로 이어진 다수의 홈부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스트라이프 홈(43d)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스트라이프 홈(43d)이 없다면, 분쇄물이 분쇄 대응체(50)에 밀착되어 갈리지 않고 튕겨져 나가거나 미끄러지는 현상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돌림쇠(43)에 스트라이프 홈(43d)이 형성된 경우에 홈에 음식물이 밀착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분쇄 대응체(50)로 이루어진 벽면에 음식물이 원활하게 부딪히면서 갈리게 되는 것이다.
도 8에서는 돌림쇠(43)가 3개 설치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2개 또는 4개 이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분쇄 대응체(50)는 제2공간(B)과 제3공간(C)을 이루는 하우징(10)의 내측 벽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상하로 길게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분쇄기구(40)가 회전될 때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걸리는 동시에 돌출된 부분 사이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통과하여 아래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분쇄 대응체(50)는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원통형 금속 구조물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slit)(53)을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다수 형성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분쇄 대응체(50)는 원통 구조의 상부(51)가 하우징(10)의 내측 벽면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슬릿(53)이 형성된 하측 부분은 벽면에서 일정 정도 이격되게 설치되며(도 2 참조), 슬릿(53)의 하부는 개방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0참조).
다음, 분쇄커터(60)는 하우징(10) 내에서 제3공간(C)과 제4공간(D) 사이에 구비된 것으로, 복수의 칼날로 구성되어, 모터(80)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3공간(C)으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2차로 분쇄하여 제4공간(D)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도면에서는 십자(+)형 구조로 배치된 분쇄커터(60)를 예시하였으나, 일자(-)형 구조로 배치된 분쇄커터(60)를 설치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하우징(10)에서 제4공간(D)의 바닥면(1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16)를 향해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4공간(D)의 바닥면(18)에는 중앙부에서 상기 배출구(16) 앞쪽까지 일정 높이만큼 돌출된 안내 배플(19)이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안내 배플(19)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바닥면(18)의 중앙부에서 배출구(16)의 센터를 잇는 선(a)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내 배플(19)은 분쇄물이 걸리면서 배출구(16) 쪽으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기능을 하게 된다.
다음, 배출밸브(70)는 배출구(16)에 구비되어 배출구(16)를 개폐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제어 박스(90)의 신호에 따라 배출구(16)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모터(80)는 하우징(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기구(40) 및 분쇄커터(60)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제어 박스(90)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다음, 제어박스(90)는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스위치 뚜껑(20) 또는 작동 스위치 등으로부터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모터(80) 및 배출밸브(70)를 제어하여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작동을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거지만 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지 않을 때는, 스위치 뚜껑(20)은 분리한 상태에서 차단 뚜껑(30)만 장착하여 사용한다.
이때에는 그릇, 야채 등을 씻은 설거지물이 유입구(14), 제1공간(A)을 경유하여 배수구(15)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는 제2공간(B)과 그 하부 공간으로는 차단 뚜껑(30)에 의해 물이 유입되지 않고, 작동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음에 따라 분쇄기구(40) 및 분쇄커터(60)는 작동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때의 작동을 설명한다.
차단 뚜껑(30)을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유입구(14)를 통해 제2공간(B)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고, 하우징(10)의 유입구(14)에 스위치 뚜껑(20)을 닫는다.
스위치 뚜껑(20)을 닫게 되면, 스위치 작용에 의해 제어 박스(90)에 ON 작동신호가 입력되고, 배출밸브(70)에 신호를 입력하여 배출구(16)를 닫는다.
이와 함께 스위치 뚜껑(20)의 개폐판(22)을 회전시키면 스위치 뚜껑(20)의 개구부(21a)가 개방되고, 이 개구부(21a)를 통해 하우징(10) 내로 물을 주입하게 되면, 타이머에 의해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개구부(21a)는 닫히게 된다.
즉, 개폐판(22)을 회전시키면, 뚜껑 본체(21)의 개구부(21a)가 개방되면서 하우징(10)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고, 이때 물을 주입하게 되는데, 개폐판(22)이 타이머(24)에 의해 서서히 다시 원위치로 회전하면서 개구부(21a)가 닫히게 되어, 하우징 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은 차단된다. 개폐판(22)은 분쇄할 음식물 쓰레기의 양에 따라 회전량을 조절하여 물이 유입되는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스위치 뚜껑(20)의 개구부(21a)가 닫히는 시간 즉, 스위치 뚜껑(20)이 닫히면서 제어 박스(90)에 ON 작동신호가 입력된 후 일정 시간 뒤에 제어 박스(90)에서 모터(80)에 작동신호를 출력하여 모터(80)를 작동시켜서, 하우징(10) 내에 물이 차있는 상태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다.
모터(80)가 작동되면, 분쇄기구(40) 및 분쇄커터(60)가 회전하게 되고, 제2공간(B)으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회전판(41)과 돌림쇠(43)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 벽쪽으로 밀려가고, 벽쪽의 분쇄 대응체(5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1차 분쇄되면서 분쇄 대응체(50)와 회전판(41) 사이 및 분쇄 대응체(50)의 슬릿 사이를 통해 제3공간(C)으로 내려가고, 이후 제3공간(C)에서 분쇄커터(60)에 의해 2차 분쇄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이 일정 시간 지속된 후에, 제어 박스(90)에 신호에 따라 배출밸브(70)가 작동되어 배출구(16)가 개방되면, 2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제4공간(D)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분쇄된 음식물은 경사진 바닥면(18)에 의해 배출구(16) 방향으로 흘러가고, 또한 분쇄커터(60)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 등이 안내 배플(19)에 걸리면서 배출구(16)를 통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된다.
배출밸브(70)가 개방된 후,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제어박스(90)에서 OFF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8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상기에서는 스위치 뚜껑(20)을 이용하는 작동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스위치 뚜껑(20)을 이용하지 않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차단 뚜껑(30)을 개방한 후에 하우징(10) 내에 음식물 쓰레기 및 적정량의 물을 투입한 후에, 다시 차단 뚜껑(30)을 닫고 배수 밸브 및 모터(80)를 작동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스위치 뚜껑(20) 대신에 싱크대 일측 또는 하우징(10)의 일측에 별도의 제어 박스 작동 스위치를 설치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상부에 물 또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하측으로 제1공간, 제2공간, 제3공간, 제4공간이 차례로 구획될 때, 상기 제1공간의 측면에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4공간의 측면에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 사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될 때 상기 유입구로 들어온 물이 제2공간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수되도록 하는 차단 뚜껑과;
    상기 제2공간과 제3공간 사이에 구비된 것으로, 회전판과 이 회전판의 상부에 자유 회전되게 설치된 다수의 돌림쇠로 구성되어, 회전 작동됨에 따라 제2공간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기구과;
    상기 제2공간과 제3공간을 이루는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상하로 길게 돌출되어, 상기 분쇄기구가 회전할 때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걸리는 동시에 돌출된 부분 사이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통과하여 아래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분쇄 대응체와;
    상기 제3공간과 제4공간 사이에 구비된 것으로, 복수의 칼날로 구성되어, 회전 작동됨에 따라 제3공간으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제4공간으로 배출하는 분쇄커터와;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어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기구 및 분쇄커터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배출밸브 및 모터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기구를 구성하는 돌림쇠는 상기 분쇄 대응체에 가장 근접한 면 쪽에 상하 방향으로 이어진 다수의 홈부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우징의 제4공간의 바닥면에는 중앙부에서 상기 배출구 앞쪽까지 일정 높이만큼 돌출된 안내 배플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에는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뚜껑이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 뚜껑은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 뚜껑 본체와,
    상기 뚜껑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뚜껑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닫히도록 개폐판을 회전시키는 타이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2에 기재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으로서,
    상기 차단 뚜껑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유입구를 통해 제2공간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고, 하우징의 유입구에 스위치 뚜껑을 닫는 제1단계와;
    상기 스위치 뚜껑을 닫게 되면, 스위치 작용에 의해 제어 박스에 ON 작동신호가 입력되고, 배출밸브에 신호를 입력하여 배출구를 닫는 제2단계와;
    상기 스위치 뚜껑의 개폐판을 회전시키면 스위치 뚜껑의 개구부가 개방되고, 상기 이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 내로 물을 주입하게 되면, 타이머에 의해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개구부는 닫히는 제3단계와;
    상기 스위치 뚜껑의 개구부가 닫히면 제어 박스에서 모터에 작동신호를 출력하여 모터를 작동시켜, 분쇄기구 및 분쇄커터를 회전시키면서 하우징 내에 물이 차있는 상태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제4단계와;
    제4단계의 시간이 일정 시간 지속된 후에, 제어 박스에 신호에 따라 배출밸브가 작동되어 배출구가 개방되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제4공간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5단계와;
    배출밸브가 개방된 후,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제어박스에서 OFF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6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8. 삭제
KR1020130133448A 2013-11-05 2013-11-05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KR101504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448A KR101504737B1 (ko) 2013-11-05 2013-11-05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448A KR101504737B1 (ko) 2013-11-05 2013-11-05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737B1 true KR101504737B1 (ko) 2015-03-23

Family

ID=5302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448A KR101504737B1 (ko) 2013-11-05 2013-11-05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7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4657A (zh) * 2019-10-31 2019-12-31 怀化锦江农汇生态农业有限公司 全素食营养餐的各组分碾碎加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5217A (ja) * 1995-12-12 1997-06-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厨芥処理機
JP2007321360A (ja) * 2006-05-30 2007-12-13 Noritz Corp ポップアップ排水栓
JP2008114149A (ja) * 2006-11-02 2008-05-22 Max Co Ltd 循環型生ごみ処理装置
KR20110099423A (ko) * 2010-03-02 2011-09-08 하이에나 (주) 믹서 기능을 갖는 음식물찌꺼기 처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5217A (ja) * 1995-12-12 1997-06-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厨芥処理機
JP2007321360A (ja) * 2006-05-30 2007-12-13 Noritz Corp ポップアップ排水栓
JP2008114149A (ja) * 2006-11-02 2008-05-22 Max Co Ltd 循環型生ごみ処理装置
KR20110099423A (ko) * 2010-03-02 2011-09-08 하이에나 (주) 믹서 기능을 갖는 음식물찌꺼기 처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4657A (zh) * 2019-10-31 2019-12-31 怀化锦江农汇生态农业有限公司 全素食营养餐的各组分碾碎加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883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101217227B1 (ko) 음식물 분쇄처리감량기
KR10157996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2971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070059033A (ko) 2단 칼날 구조와 자체 정화 구조를 가진 가정용 음식물처리기
KR101835559B1 (ko) 미생물 처리기
KR101202272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03201435A (zh) 饮食垃圾处理装置
KR20140060609A (ko) 3차 감량기 일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7996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7004581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US11866918B2 (en) Food waste disposal device
KR1015047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KR101365033B1 (ko) 설거지물 및 음식물 폐수와 음식물 쓰레기 분리형 처리장치
KR101301569B1 (ko) 이중 분쇄날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장치
KR101682059B1 (ko)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KR101388560B1 (ko) 요리 폐수와 설거지 물을 음식물 쓰레기와 분리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144591A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847093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20038322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87147B1 (ko) 오물처리분쇄기
KR100977758B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기
KR102079541B1 (ko)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
KR20130096100A (ko) 탈수와 분쇄 및 건조 기능을 갖는 음식물 처리장치
KR2012005086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