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746U - 전자레인지의 도어스위치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도어스위치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746U
KR19990018746U KR2019970032036U KR19970032036U KR19990018746U KR 19990018746 U KR19990018746 U KR 19990018746U KR 2019970032036 U KR2019970032036 U KR 2019970032036U KR 19970032036 U KR19970032036 U KR 19970032036U KR 19990018746 U KR19990018746 U KR 199900187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witch
door
latch member
microwave oven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성윤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32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746U/ko
Publication of KR199900187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746U/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에서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도어스위치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지지구조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전자레인지 본체에 체결되는 래치부재와, 상기 래치부재에 접촉하여 동작하는 도어스위치, 그리고 상기 도어스위치를 래치부재를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도어스위치를 래치부재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스위치와 래치부재는 항상 접촉하게 되어, 도어스위치의 정확한 동작을 확보한다. 탄성부재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도어스위치를 래치부재를 향하여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도어스위치 지지구조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의 도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스위치가 도어의 래치에 의한 정확히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도어스위치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하면서 종래의 도어와 연동하는 캐비티어셈블리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전자레인지에서는 도어스위치는, 전자레인지의 동작중에 캐비티(2a) 내부로 공급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기 이하여, 도어의 여닫힘 상태에 따라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웨이브가 공급되는 상태인 가열도중에 사용자가 도어를 열게 되면, 도어의 열림과 같이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를 말한다.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2)는, 조리가 진행되는 공간인 캐비티(2a)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캐비티(2a)의 옆에는 전자레인지를 구동하기 위한 고압트랜스, 마그네트론 등이 장착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2)의 전면, 즉 전자레인지의 전면(4)에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제어판넬(도시 생략)을 장착하는 패널장착부(6)가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장착부(6)를 형성하기 위한 일측면에는 상기 전면(4)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래치보드체결부(4a)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래치보드체결부(4a)에는 래치보드(10)가 체결된다. 상기 래치보드(10)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의 래치부재(14)부재(도시 생략)가 걸림으로서, 전자레인지의 도어가 완전하게 체결될 수 있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도어가 열리면 이를 감지하여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여, 마이크로스위치로 구성되는 3개의 도어스위치(11)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래치보드(10)에는 상하에 설치되는 도어스위치(11a, 11b, 11c)와, 도어의 래치부재(14)가 체결되는 체결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어스위치는, 프라이머리스위치, 세컨더리스위치, 그리고 모니터스위치로 구성되어, 각각에 설정되어 있는 부분에 대한 전류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12)는 도어의 래치부재(14)가 접촉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는 경사체결면(12a, 12b)을 구비하고 있으며, 도어의 래치부재(14)가 상기 경사체결면(12a, 12b)를 접촉하면서 진행하여, 그 이면에 걸리게 되면, 도어가 완전하게 닫히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어의 래치부재(14)는 전면(4)에 성형되어 있는 관통공(4c)를 통하여 상기 경사체결면(12a, 12b)에 접촉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어가 닫히게 되면, 도어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래치부재(14)는, 상기 전면(4)의 관통공(4c)를 통하여 들어가서, 래치보드(10)의 경사체결면(12a,12b)에 밀착된다. 계속되는 도어의 누름에 의하여, 도어의, 래치부재(14)는 경사체결면(12a, 12b)을 타고 넘어서 그 이면에 걸림으로써 도어는 완전하게 닫히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래치부재(14)의 상단부는 제1도어스위치(11a)와 접촉하고, 하단부는 제2도어스위치(11b) 및 제3도어스위치(11c)에 동시에 접촉하여, 각각을 온상태로 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전자레인지는 구동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 즉 래치보드(10)에 각각 고정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도어스위치(11)와, 상기 도어스우치(11)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도어에 설치된 래치부재(14)의 구성에 의하면, 실제로 상기 도어스위치(11)의 설치위치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래치부재(14)에 정확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되지 않으면 안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스위치(11)의 어느 하나라도, 정확하게 설치되지 않고 원래의 위치에서 어긋나게 되면, 실제로 래치부재(14)와는 이러한 위치차에 의한 갭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래치부재(14)와 도어스위치(11) 사이에 갭이 발생하면, 도어스위치와 래치부재의 정확한 접점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도어스위치의 정확한 동작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정확한 위치에 상기 도어스위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조립공정자체가 보다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어, 조립성이 저하되는 단점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조립공정에서의 조립성이 저하됨은 물론, 불량율이 높아지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스위치의 정확한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스위치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상 보다 신속하게 조립이 가능한 도어스위치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캐비티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도어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의 도어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도어스위치 지지구조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전자레인지 본체에 체결되는 래치부재와, 상기 래치부재에 접촉하여동작하는 도어스위치, 그리고 상기 도어스위치를 래치부재를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탄성부재에 의하여 도어스위치는 래치부재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갭을 보정하면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항상 상기 래치부재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탄성부재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는, 도어스위치를 상기 래치부재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하며, 이러한 구성은, 보다 간단한 구성요소인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에는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의한 도어스위치의 지지구조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래치부재(30)에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각각의 도어스위치(40)를 래치부재(30)의 접촉부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래치부재(30)에 의하여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구성을 살펴보면, 도면부호 30은 전자레인지의 도어(도시 생략)에 설치되는 래치부재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래치부재(30)는 전자레인지의 몸체에 닫히게 되면 전자레인지 내부의 체결구조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내부에 공급되는 마이크로웨이브가 외부가 누설되지 않고, 대상물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상기 래치부재(30)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부재(30)의 상하단부(32, 34)는,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도어스위치(40)와 접촉하게 되어 도어스위치(40)가 온상태로 되어, 전자레인지 내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즉, 래치부재(30)의 상단부(32)는 제1도어스위치(42)의 액츄에이터와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제1도어스위치(42)를 온상태로 하게 되며, 래치부재(30)의 하단부(34)는, 제2도어스위치(44) 및 제3도어스위치(46)와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이들을 온상태로 하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도어스위치(40)는, 래치부재(30)와 접촉하는 부분, 즉 래치부재(30)의 상하단부(32, 34)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즉 상기 각각의 도어스위치(42, 44, 46)는, 래치부재(30)의 접촉부분을 향하는 탄성력을 구비하는 탄성부재(52,54,56)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탄성부재(52,54,56)에 의하여 탄성력을 받게 되는 도어스위치(40)는 래치부재(30)가 체결된 상태에서 정확하게 래치부재(30)의 접촉부분과 정확한 접촉이 가능하게 된다.
탄성부재(52,54,56)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부재(30)의 접촉부분을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을, 도어스위치(40)의 각각의 이면측에 설치하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코일스프링을 도어스위치(40)의 후방에 설치하여, 래치부재(30)를 향한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래치부재(30) 측을 향하여 상기 도어스위치(40)를 잡아당기는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을 통하여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코일스프링 이외에, 리프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어스위치(40)가 지지되는 이면과 지지면 사이에 소정의 리프스프링(leaf spring)을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도어스위치(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래치부재(30) 측을 향하여 일정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스위치를 래치부재의 접촉부분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도어스위치를 조립하는 경우, 래치부재와의 관계에서 다소 조립공차가 발생하더라도, 래치부재와 정확하게 연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스우치의 조립에 있어서, 래치부재와의 간격(gap)을 0으로 하거나, 또는 그 이하로 설치(도어스위치를 향하여 근접한 위치)하는 것에 의하여, 래치부재와의 상대거리가 다소 유동적으로 하더라도, 상기 탄성부재가 도어스위치(40)를 래치부재(30)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충분하게 보상되며, 접점을 항상 동작할 수 있도록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스위치(40)는 종래와 같이 래치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캐비티어셈블리에 직접 설치되는 경우에도 본 고안에 의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먼저 도어스위치는 소정의 유격을 흡수할 수 있고, 또한 소정의 갭에 대하여 이를 보상하는 것도 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지지구조를 가지는 도어스위치는, 도어이 개폐에 대하여 정확하게 동작하게 되어 오동작에 의한 마이크로웨이브의 누설 또는 다른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구조에 의하면, 도어스위치가 일정한 범위 내의 간격(gap)을 탄성부재에 의하여 흡수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조립공정에서 허용가능한 조립공차의 범위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는 종래와 비교해 볼 때, 더욱 신속한 조립성을 확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전자레인지 본체에 체결되는 래치부재와;
    상기 래치부재에 접촉하여 동작하는 도어스위치; 그리고
    상기 도어스위치를 래치부재를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위치 지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도어스위치를 래치부재를 향하여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어스위치 지지구조.
KR2019970032036U 1997-11-14 1997-11-14 전자레인지의 도어스위치 지지구조 KR199900187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036U KR19990018746U (ko) 1997-11-14 1997-11-14 전자레인지의 도어스위치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036U KR19990018746U (ko) 1997-11-14 1997-11-14 전자레인지의 도어스위치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746U true KR19990018746U (ko) 1999-06-05

Family

ID=6969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036U KR19990018746U (ko) 1997-11-14 1997-11-14 전자레인지의 도어스위치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74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235A (ko) * 2013-12-24 2015-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200092904A (ko) * 2013-12-24 2020-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235A (ko) * 2013-12-24 2015-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200092904A (ko) * 2013-12-24 2020-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8746U (ko) 전자레인지의 도어스위치 지지구조
KR950025337A (ko) 고주파 가열장치
KR20040024392A (ko) 전자렌지
KR200149715Y1 (ko) 전자렌지의 인터록 메카니즘
KR100303561B1 (ko) 전자렌지의 컨트롤패널
KR100327243B1 (ko) 전원 차단장치
KR20020039498A (ko) 전자레인지의 도어래치장치
KR0137169Y1 (ko) 전자렌지의 인터록 메카니즘
US20040144778A1 (en)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KR20000074891A (ko) 전자렌지의 안전장치
KR100212046B1 (ko) 전자렌지의 락 장치
KR200207702Y1 (ko) 조립위치 설정용 멈춤돌기를 갖는 전자렌지
KR19990018745U (ko) 전자레인지의 전면일체형 인터룩장치
KR19980030340U (ko) 전자렌지의 인터록 메카니즘
KR100264123B1 (ko) 전자렌지 서멀컷아웃스위치 브라켓트
JP2002357324A (ja) 加熱調理器
KR200147229Y1 (ko) 전자렌지용 도어개방 감지스위치
KR19990018614U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
KR20040083799A (ko) 전자레인지의 래치 어셈블리 구조
KR100233428B1 (ko) 전자렌지의 도어 스토퍼 구조
KR100231027B1 (ko) 전자렌지의 전원차단장치
KR19990003181U (ko) 전자렌지의 록장치 고정용 나사
KR200437401Y1 (ko) 기중차단기용 개폐기구의 버튼 지지 핀 고정장치
KR200183823Y1 (ko) 전자렌지
JPS631609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