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5235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5235A
KR20150075235A KR1020130163105A KR20130163105A KR20150075235A KR 20150075235 A KR20150075235 A KR 20150075235A KR 1020130163105 A KR1020130163105 A KR 1020130163105A KR 20130163105 A KR20130163105 A KR 20130163105A KR 20150075235 A KR20150075235 A KR 20150075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switch
latch arm
doo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9505B1 (ko
Inventor
김배영
강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3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505B1/ko
Priority to CN201410815444.0A priority patent/CN104728881B/zh
Publication of KR20150075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235A/ko
Priority to KR1020200090186A priority patent/KR102252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7Door interlock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nd related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발명으로, 스위치와의 접점을 유지하여 편차를 해소할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발명이다.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을 가지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래치몸체와, 상기 래치몸체에서 상기 본체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치암과, 상기 래치암에서 연장되어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래치;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차폐할 때, 상기 래치암에 의해 접점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래치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가지며,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와의 접점이 유지되어 제품의 신뢰성과 조립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조리기기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발명으로, 스위치와의 접점을 유지하여 편차를 해소할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발명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섭취 가능한 상태로 요리하는 주방 가전기기의 하나이며, 이러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의 종류에 따라 전기 조리기기와 가스 조리기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조리기기는 공급되는 전원의 전기 에너지를 열원으로 하는 조리기기이며 음식물의 가열을 위한 히터가 장착되고, 상기 가스 조리기기는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화염을 열원으로 하는 조리기기이며, 음식물의 가열을 위한 버너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는 형태에 따라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의 내부에 음식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가열하는 오븐의 형태와, 개방된 공간에서 음식물이 담긴 음식용기를 가열하는 레인지의 형태로 구분될 수도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음식물이 요리를 가능하게 하면서,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할 수 있는 복합적인 형태를 가지는 조리기기 즉, 오븐의 형태와 레인지의 형태가 결합된 오븐레인지의 형태로 제공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의 가열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열원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일 예로써 마이크로파를 수납된 음식물에 조사하여 가열하는 마그네트론이 장착될 수 있다.
근래에는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를 위하여 음식물의 가열을 위한 가열원이 둘 이상 장착되는 형태의 조리기기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요리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마련되고, 이러한 조리실은 도어에 의해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사용자에 의해 회동하면서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되고, 상기 조리실을 차폐하면서 다수의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선행 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46902호에는 전자레인지의 래치보드 구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며, 상기 등록특허에는 모니터스위치와 회로스위치의 동작 시간차가 커지도록 하는 래치보드의 구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상기 등록특허에는 도어가 닫히면서 래치에 의해 작동하는 모니터레버가 걸림래치에 의해 작동하는 회로레바보다 먼저 작동하여 모니터스위치의 오프가 회로스위치의 온보다 선행되는 구성이 개시된다.
또한, 다른 선행 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5968호에는 전자레인지 및 전자레인지의 도어 구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며, 상기 공개특허에는 경사진 상하 운동을 하는 래치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 및 전자레인지의 도어 구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상기 공개특허에는 부품 간의 치수 및 조립 편차로 인한 스위치의 접점 위치 변경이 방지되는 전자레인지 및 전자레인지의 도어 구조를 제안하고자 하는 발명이 개시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은 선행 기술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조리기기에는 도어가 장착되고, 이러한 도어의 회동에 의해 동작되는 스위치가 장착되며, 부품 간의 치수 및 조립 편차로 인하여 도어의 동작에 의한 스위치의 동작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조리기기의 도어는 회동하면서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며, 도어에 의한 스위치의 조작은 조리기기의 동작에 있어서 중요한 동작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도어에 의한 스위치의 조작은 조립의 편차와 부품 간의 치수 편차 등에 의해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편차는 제품의 불량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차에 의한 스위치의 접점 불량이 방지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도하지 않는 편차에 대응하여 스위치의 접점이 유지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을 가지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래치몸체와, 상기 래치몸체에서 상기 본체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치암과, 상기 래치암에서 연장되어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래치;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차폐할 때, 상기 래치암에 의해 접점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래치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가지며,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래치몸체와, 상기 래치몸체에서 상기 본체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서 상기 본체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치암을 가지는 래치;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차폐할 때, 상기 래치암에 의해 접점되는 스위치와, 상기 래치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가지며,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보드; 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암은 상기 탄성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와의 접점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에 장착되는 래치는 탄성 변형에 의해 스위치의 접점을 유지하는 탄성부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탄성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스위치의 접점이 유지되면, 조립 편차 또는 부품 치수의 편차 등과 같이 의도하지 않은 편차에 의한 스위치의 접점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스위치의 접점 위치가 유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래치와 보드의 조립 편차 또는 부품 치수의 편차에 의해 편차를 가지도록 조립되더라도 스위치의 접점은 유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스위치의 접점이 유지됨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의 접점이 유지됨에 따라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조립성의 향상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와 커버 및 제어 부품들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래치와 보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래치와 보드가 결합된 일부를 나타낸 확대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래치 동작을 나타낸 래치와 스위치의 확대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래치와 보드가 결합된 일부를 나타낸 확대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래치 동작을 나타낸 부분 측면도.
도 9 는 도 8에 의한 조리기기의 래치 동작을 나타낸 래치와 스위치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를 첨부되는 예시적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예시적 도면에는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하고, 이들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부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들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하는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 결합될 수 있으나, 이들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될 수도 있다고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에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될 수는 없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되는 도면의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조리기기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사각상자 형태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구(球)의 형태로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나, 안전성 및 기능성을 위하여 직육면체 형태의 외관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0)와, 상기 도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을 사용자가 조작하거나 동작 상태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컨트롤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면과 양 측면 외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11)가 장착된다.
상기 커버(11)는 일정 정도의 두께와 강도를 가지는 다수의 플레이트가 결합되면서 형성되고, 상기 커버(11)에 의해 감싸지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20)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커버(11)는 하나의 플레이트가 절곡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다수의 플레이트가 결합되면서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도어(3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중앙 부분에는 외부 공간에서 사용자가 음식물의 요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어(30)의 일 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30)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할 수 있는 구성이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서 볼 때 상기 도어(30)의 우측에는 상기 컨트롤부(40)가 위치된다. 상기 컨트롤부(40)는 사용자가 음식물의 요리를 위하여 직접 조작하는 다수의 버튼과, 상기 본체(10)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시창 등이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와 커버 및 부품들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부분 절개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커버(11)의 내부 공간에는 일정 정도의 공간을 가지는 상기 조리실(20)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실(20)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30)의 장착이 가능하면서 상기 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12)가 위치된다.
상기 조리실(20)의 후측에는 상기 본체(1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13)가 위치되며,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통공에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팬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조리실(20)의 상면에는 상기 조리실(20)의 내부 공간으로 복사열을 발산하는 히터(도 3의 21)가 장착되도록 일부가 절제된다. 이러한 절제면을 통해 상기 히터(21)에서 발산되는 열이 상기 조리실(20)로 전달된다.
상기 조리실(20)의 우측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장착되는 전장실이 형성된다. 상기 전장실에는 상기 조리실(20)의 내부 공간으로 마이크로파를 발산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본체(10)의 동작을 위한 다수의 제어 부품이 위치된다.
상기 조리실(20)의 우측면에는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산되는 마이크로파가 상기 조리실(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마이크로파홀이 형성되고, 이러한 마이크로파홀을 통해 유입되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상기 조리실(20)에 놓이는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요리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12)에는 상기 조리실(20)의 전면이 개방되도록 일정 면적만큼 절제되고, 상기 조리실(20)의 전면 우측에는 상기 컨트롤부(40)가 장착되도록 일정 면적만큼 절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플레이트(12)에는 상기 도어(30)에 장착되는 래치(도 3의 50)가 삽입되는 래치홀(121)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30)가 회동하여 상기 조리실(20)의 개방된 전면을 차폐하게 될 때, 상기 래치홀(121)에 상기 래치(5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홀(121)은 상기 래치(50)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수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플레이트(12)의 후면에는 다음에 설명할 보드(도 3의 60)의 장착을 위한 보드장착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보드장착부(122)는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12)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이러한 상기 보드장착부(122)에 상기 보드(60)가 결합 고정 지지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도어(30)에는 래치(50)가 장착되고, 상기 보드장착부(122)에는 상기 보드(60)가 장착된다. 상기 보드(60)에는 상기 도어(3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조리실(20)이 차폐될 때, 상기 래치(50)에 의해 접점되면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61)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도어(3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조리실(20)이 차폐될 때, 상기 래치(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62)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스위치(61)와 상기 가이드(62)는 상기 도어(30)의 회동에 의한 상기 래치(50)의 운동과 관계될 수 있다. 이는 다음에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와 상기 도어(30)를 조립하게 될 때 상기 래치(50)와 상기 보드(60)의 조립 편차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이러한 조립 편차를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즉, 조립 과정 또는 생산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편차인 상기 래치(50)와 상기 보드(60)가 조립에 의한 편차 또는 부품 치수에 의한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래치(50)에 의한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은 유지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처럼, 상기 도어(3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조리실(20)의 개방된 면을 차폐하게 될 때, 상기 래치(50)와 상기 보드(60)는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61)를 접점하게 되고, 상기 조리실(20)의 개방된 면을 개방하게 될 때, 상기 래치(50)와 상기 보드(60)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61)가 상기 래치(50)에 의해 접점되면, 상기 스위치(61)는 신호를 발생시키면서 상기 본체(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61)에서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어부는 신호에 따라 적합한 제어를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30)가 사용자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조리실(20)의 전면을 개방하게 되면, 상기 래치(50)의 일부는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을 해제하면서 상기 래치홀(121)을 통해 상기 전면플레이트(12)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해제에 의해 적합한 제어를 진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61)가 상기 래치(50)에 의해 접점되면, 상기 제어부는 이러한 신호에 의해 상기 히터(21) 또는 상기 마그네트론 등을 동작시키게 되고,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이 해제되면, 상기 히터(21) 또는 상기 마그네트론 등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래치(50)와 상기 보드(6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래치와 보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가 닫힌 상태의 래치와 보드가 결합된 일부를 나타낸 확대 측면도가 도시된다.
상기 도어(30)에는 상기 래치(50)가 장착된다. 상기 래치(50)는 상기 도어(30)에 장착되는 래치몸체(51)와, 상기 래치몸체(51)에서 후방 즉, 상기 본체(10)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치암(52)과, 상기 래치암(52)에서 연장되는 탄성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몸체(51)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래치몸체(51)는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면서 상기 도어(30)에 장착된다.
상기 래치몸체(51)의 상기 본체(10) 방향 면을 후면이라 가정하면, 상기 래치몸체(51)의 후면에는 상기 래치암(52)이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래치암(52)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상기 래치몸체(5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일정 길이 만큼 수평하게 연장된 다음,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연장되고, 끝 부분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연장된다.
도면에서 볼 때,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래치몸체(51)의 상반부와 하반부에 각각 형성되어, 두 개의 상기 래치암(52)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래치암(52)은 두 개가 아닌 세 개 또는 그 이상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이처럼, 상기 래치암(52)은 하나 또는 그 이상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래치암(52)의 수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두기로 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12)에는 상기 래치암(52)의 수와 대응하는 수의 상기 래치홀(121)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밝혀두기로 한다.
또한,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을 위한 접점 버튼을 압착하여 상기 스위치(61)가 접점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상기 래치암(52)의 하단부에는 상기 래치암(52)이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53)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래치암(52)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래치몸체(5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521)와, 상기 수평부(521)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향 경사를 가지는 상향경사부(522)와, 상기 상향경사부(522)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하향 경사를 가지는 하향경사부(5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521)는 상기 도어(30)가 상기 조리실(20)의 개방된 전면을 차폐하게 될 때, 상기 래치홀(121)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부분이 되며, 상기 상향경사부(522)와 상기 하향경사부(523)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2)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하향경사부(523)는 상기 스위치(61)를 접점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래치홀(121)을 관통하여 상기 전면플레이트(12)의 후방으로 인입하여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버튼을 압착하여 접점하게 된다.
이때, 실질적으로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은 상기 하향경사부(523)의 하단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버튼이 압착되면서 접점된다. 다만, 상기 하향경사부(523)의 하단부가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버튼을 압착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부(521)와 상기 상향경사부(522)가 형성되므로, 상기 래치암(52)을 접점부라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을 위하여 상기 수평부(521)와 상기 상향경사부(522)가 일정 거리를 확보하게 되고, 상기 하향경사부(523)에 의해 상기 스위치(61)가 접점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래치암(52)이 상기 수평부(521)와 상기 상향경사부(522)와, 상기 하향경사부(523)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물론, 상기 래치암(52)이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나,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더라도,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버튼을 압착하여 상기 도어(3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61)가 접점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상향경사부(522)와 상기 하향경사부(523)를 측방에서 보면, 대략 "∧"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향경사부(523)에는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53)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탄성 변형되는 부분으로 상기 하향경사부(523)의 하단부에서 전방 즉, 상기 도어(30) 방향 상세하게는 다음에 설명할 가이드(6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53)는 일정 정도의 강도와 면적을 가지는 탄성편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향경사부(523)와 일정 거리만큼 이격 위치되면서 상기 하향경사부(523)와 일정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하향경사부(523)의 후단부 하단에서 전방 즉, 상기 가이드(62)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를 가지면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향경사부(523)과 일정 정도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탄성부(53)가 상기 하향경사부(523)와 일정 정도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일정 정도의 간격만큼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래치암(52)의 하단부 즉, 상기 하향경사부(523)의 하단부에서 상기 가이드(6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도어(30)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62)의 후단부와 상기 래치암(52)이 최단 거리가 되는 공간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탄성부(53)의 전단은 상기 래치암(52)과 상기 가이드(62)의 상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하향경사부(523)로부터 상기 가이드(62)의 상단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끝 부분은 상기 가이드(62)의 상단부와 상기 래치암(52) 사이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53)의 전단, 도면에서 볼 때 상기 도어(30)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탄성부(53)의 전단은, 상기 도어(30)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62)의 후단부와 상기 래치암(52) 사이 공간에 위치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탄성부(53)가 상기 래치암(52)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래치암(52)과 상기 가이드(62)의 사이 공간으로 전단이 위치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래치암(52)과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면,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도어(30)가 상기 조리실(20)의 개방된 전면을 차폐하게 될 때, 상기 보드(60)에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62)의 후단부와 접하면서 탄성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위치가 유지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조립 편차 또는 부품 치수의 편차 등과 같은 편차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상기 스위치(61)의 정확한 접점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위치가 유지됨으로써 편차를 가지는 조리기기의 스위칭을 매칭하기 위한 시스템을 가지는 조리기기의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가이드(62)와 접하여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래치암(52)과의 간격이 변경되고, 이러한 간격 변경에 의해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 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53)는 의도하지 않은 편차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가이드(62)와 접하는 부분 상세하게는 접하는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 위치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으며, 상기 래치암(52)과 접하는 부분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의도하지 않은 편차에 의해 회동하는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 위치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볼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래치암(52)과의 간격이 변경되도록 상기 래치암(52)과 연결되는 부분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형태의 탄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62)와 접하면서 굴절 또는 압착되는 형태의 탄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 형태는 제한을 두지 않기로 한다. 다만, 어떠한 경우라도 의도하지 않은 편차에 의해 일정 정도의 탄성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변형에 의해 상기 래치암(52)이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버튼을 압착하는 접점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위치(61)가 장착되면서 상기 가이드(62)가 형성되는 보드(6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보드(60)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2)의 후면에 형성되는 상기 보드결합부(122)에 장착된다.
상기 보드(6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와 면적을 가지면서 세로 방향으로 긴 사각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드(60)에는 상기 도어(30)의 회동에 의해 접점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61)가 장착되고, 상기 도어(30)의 회동에 의해 유동하는 상기 래치암(52)을 안내하는 가이드(62)가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61)는 전체적으로 대략 사각 상자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도어(30)의 회동에 의해 상면에 형성되는 접점 버튼을 상기 래치암(52)이 압착함으로써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는 상기 컨트롤부(40)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어 부품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62)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사각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드(60)에 고정되거나, 상기 보드(6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62)는 상기 도어(30)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후단부가 상방으로 향하는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62)의 상면을 따라 상기 래치암(52)의 하단부가 안내된다.
다시 말해, 상기 도어(30)의 회동에 의해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래치홀(121)을 통해 상기 전면플레이트(12)의 후방으로 인입된다. 이때, 상기 래치암(52)과 상기 탄성부(53)의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62)의 상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62)의 상면을 따라 안내되어 후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가이드(62)의 끝 부분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62)의 길이보다 상기 래치암(52)의 후방 연장 길이가 더 길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래치암(52)의 후단부는 상기 가이드(62)의 끝 부분을 지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래치암(52)의 상기 상향경사부(522) 후단까지 상기 가이드(62)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하향경사부(523)는 상기 가이드(62)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향경사부(523)의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62)의 상단부를 지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61)의 상면에 위치하는 접점 버튼을 압착하게 되면서,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스위치(61)를 접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암(52)이 상기 스위치(61)를 접점하게 되는 경우 의도하지 않은 편차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가이드(62)의 후단부와 상기 래치암(52)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가이드(62)의 후단부와 접하면서 탄성 변형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53)가 상기 가이드(62)의 후단부와 접하면서 상기 탄성부(53)와 상기 래치암(52) 사이 간격이 변경되는 탄성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만큼 상세하게는 상기 탄성부(53)와 상기 래치암(52) 사이 간격만큼 상기 래치암(52)과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버튼이 편차를 가지게 되더라도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위치는 유지되므로,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이 양호해지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스위치(61)가 접점되면 상기 스위치(61)에서는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스위치(61)에서 발생되는 신호는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어 상기 도어(30)의 닫힘 여부 등을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의한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위치가 유지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도면에서 볼 때, 의도하지 않은 조립 편차 또는 부품 치수 편차 등과 같은 편차에 의해 상기 래치암(52)의 위치가 일정 정도 전방으로 편차를 가지는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도어(30)를 회동시켜 상기 조리실(20)의 전면을 차폐하게 되면,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가이드(62)에 의해 안내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암(52)의 상기 하향경사부(523)가 상기 가이드(62)를 지나는 상태에서 하방으로 향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하향경사부(523)가 하방으로 향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가이드(62)의 후단부와 접하면서 상기 래치암(52)와 접하는 부분(도면에서 볼 때 하단부)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단부가 탄성 변형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53)가 상기 가이드(62)와 접하면서 탄성 변형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래치암(52)와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도어가 닫힌 상태의 래치와 보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상기 래치몸체(51)의 구성과 상기 래치암(52) 및 상기 탄성부(53)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탄성부(53)의 전단에는 상기 탄성부(5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54)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부(54)는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탄성부(53)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도어(3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54)는 상기 탄성부(53)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도어(30)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62)와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면서 상기 도어(30)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54)는 상기 탄성부(5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탄성부(53)의 전단에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53)에 고정 장착됨으로써 회동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상기 이탈방지부(54)는 상기 가이드(62)에 지지되면서 상기 탄성부(5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53)가 상기 가이드(62)와 접하면서 탄성 변형될 때, 상기 가이드(6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부(54)가 상기 가이드(62)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탄성부(53)의 전방 이탈 또는 후방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면에서 볼 때, 상기 이탈방지부(54)의 하면은 상기 가이드(62)의 상면에 접하면서 지지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이탈방지부(54)의 하면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62)의 상면에 접하면서 지지되고, 이러한 지지에 의해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가이드(62)의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탄성부(53)의 하방 이탈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탄성부(53)의 탄성에 의해 상기 래치암(52)의 하단부가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이 가능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8과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래치와 스위치를 나타낸 측면도가 도시되고,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래치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가 도시된다.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래치몸체(51)의 후면에서 수평으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기 수평부(521)의 위치에 상기 탄성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수평부(521)의 위치에 형성되면서 상면과 하면이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수평부(521)의 위치에 형성되면서, 상면과 하면의 일 부분이 일정 정도의 면적만큼 절제되는 절제 부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래치암(52)과 상기 래치몸체(51)의 사이에는 상기 래치몸체(51)에서 상기 본체(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탄성부(53)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탄성부(53)로부터 상기 본체(10)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53)는 전체적으로 상기 래치몸체(51)와 상기 래치암(52)의 사이에 개입되면서, 상기 본체(10) 방향으로 수평하게 상기 래치몸체(51)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30)가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여 볼 때, 상기 탄성부(53)의 상면에는 측방에서 보면 하방으로 절제되면서 대략 "∪" 형태로 절제되는 상면탄성부(531)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53)의 하면에는 측방에서 보면 상방으로 절제되면서 대략 "∩" 형태로 절제되는 하면탄성부(532)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상면탄성부(531) 또는 상기 하면탄성부(532) 만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탄성부(53)의 수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두기로 한다. 다만,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 강도를 고려하여 측방에서 볼 때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스위치(61)와 접점되는 부분의 하단부가 상기 탄성부(53)의 하단부보다 더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53)와 상기 래치암(52)은 측방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하향 경사를 가지며 상기 본체(10)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는 상기 스위치(61)가 가장 하측에 위치하여 장착될 수 있는 경우를 가정하여 상기 스위치(61)가 의도하지 않은 편차에 의해 가장 하측에 위치하여 장착되는 경우에도 상기 래치암(52)에 의해 압착되면서 접점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탄성부(53)의 하단부보다 상기 래치암(52)이 상기 스위치(61)를 접점하기 위한 하단부가 더 하측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스위치(61)를 접점할 수 있게 되며, 의도하지 않은 편차에 의해 상기 스위치(61)가 일정 거리만큼 상측에 위치하여 장착되더라도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이 가능하도록 유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래치암(52) 즉, 상기 상향경사부(522)와 상기 하향경사부(523)는 상하 방향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상하 방향의 유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61)의 접점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래치몸체(51)의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래치암(52)이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탄성부(53)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50)는 상기 보드(60)에 상기 스위치(61)가 설정 간격인 L1 만큼의 거리를 가지도록 장착될 때, 상기 스위치(61)를 접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만, 의도하지 않은 편차에 의해 상기 스위치(61)가 L2의 거리만큼 거리를 가지도록 장착되는 경우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스위치(61)가 D2의 거리만큼 상측으로 이동하여 장착되고,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스위치(61)가 D1의 거리만큼 상측으로 이동하여 장착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5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61)의 접점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53)는 상기 상면탄성부(531)와 상기 하면탄성부(532)의 간격이 변경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 위치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도어(30)를 상기 조리실(20)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래치암(52)은 상기 래치홀(121)을 관통하여 상기 전면플레이트(12)의 후방으로 인입된다.
상기 스위치(61)가 의도하지 않은 편차에 의해 설정 위치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53)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상면탄성부(531)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하면에 형성되는 상기 하면탄성부(532)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래치암(52)는 상기 스위치(61)와의 접점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의도하지 않은 편차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스위치의 접점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많은 장점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조리기기의 생산 및 제조, 판매를 위한 산업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10. 본체 11. 커버
12. 전면플레이트 121. 래치홀
122. 보드장착부 20. 조리실
30. 도어 40. 컨트롤부
50. 래치 51. 래치몸체
52. 래치암 521. 수평부
522. 상향경사부 523. 하향경사부
53. 탄성부 531. 상면탄성부
532. 하면탄성부 54. 이탈방지부
60. 보드 61. 스위치
62. 가이드

Claims (11)

  1.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을 가지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래치몸체와, 상기 래치몸체에서 상기 본체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치암과, 상기 래치암에서 연장되어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래치;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차폐할 때, 상기 래치암에 의해 접점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래치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가지며,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래치암에서 상기 가이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래치암과 이격 형성되는 조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의 상단부와 상기 래치암 사이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조리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가이드와 접하면서 상기 래치암과의 간격이 변경되는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의 접점이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조리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가이드와 접하는 위치가 변경되는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의 접점이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조리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에 지지되면서 상기 탄성부의 이탈이 방지되는 이탈방지부가 더 제공되는 조리기기.
  7.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래치몸체와, 상기 래치몸체에서 상기 본체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서 상기 본체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치암을 가지는 래치;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차폐할 때, 상기 래치암에 의해 접점되는 스위치와, 상기 래치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가지며,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보드; 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암은 상기 탄성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스위치와의 접점 위치를 유지하는 조리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암은,
    상기 탄성부의 하단부보다 상기 스위치와 접점되는 부분의 하단부가 더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조리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래치몸체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에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절제 형성되는 조리기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래치몸체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에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절제 형성되는 조리기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래치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조리기기.
KR1020130163105A 2013-12-24 2013-12-24 조리기기 KR102139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105A KR102139505B1 (ko) 2013-12-24 2013-12-24 조리기기
CN201410815444.0A CN104728881B (zh) 2013-12-24 2014-12-24 烹饪器具
KR1020200090186A KR102252922B1 (ko) 2013-12-24 2020-07-21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105A KR102139505B1 (ko) 2013-12-24 2013-12-24 조리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186A Division KR102252922B1 (ko) 2013-12-24 2020-07-21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235A true KR20150075235A (ko) 2015-07-03
KR102139505B1 KR102139505B1 (ko) 2020-07-31

Family

ID=5345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105A KR102139505B1 (ko) 2013-12-24 2013-12-24 조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9505B1 (ko)
CN (1) CN1047288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3877B (zh) * 2019-04-30 2023-08-01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984Y1 (ko) * 1986-12-23 1989-10-13 주식회사 금성사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KR0113673Y1 (ko) * 1995-05-29 1998-04-15 배순훈 전자렌지의 도어 록 장치
KR19990018746U (ko) * 1997-11-14 1999-06-05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도어스위치 지지구조
KR100437407B1 (ko) * 2002-04-04 200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래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7545A (en) * 1982-05-03 1984-07-03 General Electric Company Door latch assembly
JPS59200133A (ja) * 1983-04-28 1984-1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の安全装置
JPH06105129B2 (ja) * 1985-02-06 1994-12-21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装置
KR100272367B1 (ko) * 1997-11-15 2000-11-15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구조
CN2670789Y (zh) * 2003-11-05 2005-01-12 厦门灿坤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微波炉的安全控制装置
CN1904486A (zh) * 2005-07-29 2007-01-3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微波炉门的连锁结构
CN101230999B (zh) * 2007-01-25 2012-06-1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微波炉门开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984Y1 (ko) * 1986-12-23 1989-10-13 주식회사 금성사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KR0113673Y1 (ko) * 1995-05-29 1998-04-15 배순훈 전자렌지의 도어 록 장치
KR19990018746U (ko) * 1997-11-14 1999-06-05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도어스위치 지지구조
KR100437407B1 (ko) * 2002-04-04 200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래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505B1 (ko) 2020-07-31
CN104728881A (zh) 2015-06-24
CN104728881B (zh)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735B1 (ko) 조리기기
US20230408108A1 (en) Cooking device
KR101662941B1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US11149956B2 (en) Cooking appliance
KR101617539B1 (ko) 조리기기
KR20150006129A (ko) 오븐 레인지
US9939159B2 (en) Cooking appliance, burner and burner assembly
EP2527746B1 (en) Control panel for a microwave oven
JP6535234B2 (ja) 加熱調理器
KR20150075235A (ko) 조리기기
US8820311B2 (en) Oven range
JP2017058066A (ja) コンロ
KR102252922B1 (ko) 조리기기
US10465914B2 (en) Cooking device
US20160320066A1 (en) Cooking device
KR100826713B1 (ko) 가스오븐레인지
KR100717454B1 (ko) 오븐 및 오븐의 제어 장치
KR20160035774A (ko) 조리기기
JP2019027639A (ja) 加熱調理器
KR200386575Y1 (ko) 전기오븐의 컨트롤패널
KR20220164390A (ko) 조리 기기
KR101690329B1 (ko) 조리기기
KR100499482B1 (ko) 토스터를 갖는 전자레인지
KR100813720B1 (ko) 오븐의 제어 장치
KR101702663B1 (ko) 전자레인지용 그리스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