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868Y1 - 전원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868Y1
KR200266868Y1 KR2019980025361U KR19980025361U KR200266868Y1 KR 200266868 Y1 KR200266868 Y1 KR 200266868Y1 KR 2019980025361 U KR2019980025361 U KR 2019980025361U KR 19980025361 U KR19980025361 U KR 19980025361U KR 200266868 Y1 KR200266868 Y1 KR 200266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witch
power
reciprocating
sli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395U (ko
Inventor
박근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25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868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3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3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868Y1/ko

Links

Landscapes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양측면에 각각 마련된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구비하는 기기에 설치되는 전원 차단장치에 관하여 개시된다. 개시된 전원 차단장치는: 상기 기기의 내부에 소정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도어의 클로즈 동작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왕복이동부재; 상기 제1 도어가 오픈될 때 상기 왕복이동부재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위치시키는 왕복이동부재 복귀수단; 상기 기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과 연결되는 하나의 스위치; 상기 왕복이동부재의 일단부에 왕복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도어의 클로즈 동작에 의해 상기 왕복이동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한 때 상기 제2 도어의 클로즈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직각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스위치를 간섭하여 온(ON)시키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2 도어의 오픈/클로즈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왕복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재 이동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하나의 스위치로서 두 개의 도어가 모두 클로즈된 때에 상기 스위치를 온(ON)시키고, 두 개의 도어 중 어느 하나가 오픈되더라도 상기 스위치를 오프(OFF)시켜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원 차단장치
본 고안은 서로 직교하는 양측면에 각각 마련된 두 개의 도어를 구비하는 기기의 전원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스위치로서 두 개의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가 오픈되더라도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전원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나 복사기 등의 인쇄기 및 기타 기기에 있어서는, 그 내부의 보수나 부품의 교체를 위하여 서로 직교하는 양측면에 각각 마련된 두 개의 도어를 구비하는 것이 많다.
도 1은 종래의 인쇄기에 마련된 도어와 전원 차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인쇄기(100)는 그 내부에 감광벨트나 감광드럼과 같은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를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기와, 현상 장치 및 가열, 건조 장치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기(100)에는 그 내부 장치들의 보수나 교체를 위하여 또는 오작동으로 인해 장치내에 끼워진 기록지 등을 분리하기 위하여 그 전면과 측면에 각각 제1 도어(111)와 제2 도어(11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쇄기(100)에는 급지장치(120)와 배지장치(130) 등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인쇄기(100)는 그 내부에 고전압이 인가되므로, 상기 제1 도어(111)와 제2 도어(112)를 오픈할 때에는 안전을 위하여 전원을 차단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전원 차단장치가 마련된다. 종래의 전원 차단장치는 상기 제1 도어(111)와 제2 도어(112) 각각의 오픈 동작에 의해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두 개의 스위치(141, 14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도어(111)와 제2 도어(112) 중 어느 하나가 오픈되더라도 전원을 차단시키고, 두 개가 모두 클로즈되어야 전원을 연결시키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전원 차단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도어(111, 112)에 대응하여 두 개의 스위치(141, 142)를 사용하게 되므로, 상기 스위치(141, 142)와 전원을 연결하는 고압용 전선이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전원 전압의 강하 및 노이즈가 과다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상술한 인쇄기(100) 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기타 기기에도 동일하게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스위치만으로 두 개의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가 오픈될 경우에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전원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쇄기에 마련된 도어와 전원 차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두 개의 도어가 모두 클로즈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왕복이동부재와 스위치작동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위치에 카바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는 제1 도어를 오픈할 때, 도 6은 제2 도어를 오픈할 때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두 개의 도어를 모두 오픈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제1 도어 112...제2 도어
200...전원 차단장치 210...왕복이동부재
211...가이드 홈 212,232...제2 스프링연결 돌기
213...제1 스프링연결 돌기 220...제1 스프링
230...슬라이딩부재 231...가이드 리브
233...스위치간섭부재 240...제2 스프링
250...돌출부재 260...스위치
261...스위치 몸체 262...스위칭 버턴
263...탄성부재 270...스위치 카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는: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양측면에 각각 마련된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구비하는 기기에 설치되는 전원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내부에 소정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도어의 클로즈 동작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왕복이동부재; 상기 제1 도어가 오픈될 때 상기 왕복이동부재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위치시키는 왕복이동부재 복귀수단; 상기 기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과 연결되는 하나의 스위치; 상기 왕복이동부재의 일단부에 왕복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도어의 클로즈 동작에 의해 상기 왕복이동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한 때 상기 제2 도어의 클로즈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직각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스위치를 간섭하여 온(ON)시키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2 도어의 오픈/클로즈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왕복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재 이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도어와 제2 도어가 모두 클로즈된 때에 상기 스위치를 온(ON)시키고, 상기 제1 도어와 제2 도어 중 어느 하나가 오픈되더라도 상기 스위치를 오프(OFF)시켜 전원을 차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왕복이동부재 이동수단은, 상기 왕복이동부재와 상기 기기의 소정 부위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왕복이동부재를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는 전원을 연결하는 접점부가 내장된 스위치 몸체와, 상기 스위치 몸체의 일측면에 돌출된 스위칭 버턴과, 상기 스위치 몸체의 일측면에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고 중간부는 상기 스위칭 버턴과 소정 간격을 갖도록 된 판 형상의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 이동수단은 상기 제2 도어의 내측면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제2 도어의 클로즈시에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제3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된 돌출부재와, 상기 왕복이동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제3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나의 스위치만으로 두 개의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가 오픈될 경우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두 개의 도어가 모두 클로즈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200)는 서로 직교하는 양측면에 마련된 두 개의 도어를 구비하는 인쇄기 등 기타 기기에 설치되어 두 개의 도어 중 어느 하나가 오픈되더라도 전원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왕복이동부재(210)와, 왕복이동부재 이동수단과, 스위치(260)와, 슬라이딩부재(230)와, 슬라이딩부재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왕복이동부재(210)는 인쇄기 등 기타 기기의 내부에 소정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일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230)가 결합된다. 상기 왕복이동부재(210)의 타단부는 상기 제1 도어(111)가 클로즈 동작시에 상기 제1 도어(111)의 내측면에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도어(111)가 상기 왕복이동부재(230)의 타단부를 밀어주게 되므로 상기 왕복이동부재(230)는 제1 방향(A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왕복이동부재 복귀수단으로서 제1 스프링(22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스프링(220)은 그 일단부가 상기 왕복이동부재(210)에 마련된 제1 스프링연결 돌기(213)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기기의 소정 부위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왕복이동부재(210)를 상기 제1 방향(A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A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도어(111)가 오픈되면 상기 왕복이동부재(230)는 상기 제1 스프링(220)의 탄성력에 의해 제2 방향(A2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260)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쇄기 등 기타 기기의 내부에 하나가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260)는 전원을 연결하는 접점부가 내장된 스위치 몸체(261)와, 스위칭 버턴(262)과, 탄성부재(263)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칭 버턴(262)은 상기 스위치 몸체(261)의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263)는 판 형상을 가지며, 그 일단부는 상기 스위치 몸체(261)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중간부는 상기 스위칭 버턴(262)과 소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260)는 스위치 카바(270)에 의해 보호된다. 상기 스위치 카바(270)는 상기 기기의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 몸체(261)는 상기 스위치 카바(270)의 내측면에 스크루(264)에 의해 체결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부재(230)는 상기 왕복이동부재(210)의 일단부에 상기 왕복이동부재(210)의 이동방향과는 직각되는 방향으로 왕복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230)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스위치(260)의 탄성부재(263)를 간섭하는 스위치간섭부재(233)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230)와 상기 왕복이동부재(210)의 결합구조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왕복이동부재(210)의 일단부에는 상기 왕복이동부재(210)의 이동방향과는 직각되는 방향으로 두 개의 평행한 가이드 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230)의 저면 양측 가장자리부위에는 상기 가이드 홈(211)에 삽입되는 가이드 리브(231)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부재(230)는 상기 가이드 홈(2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부재 이동수단은 상기 제2 도어(112)의 오픈/클로즈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재(230)를 왕복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돌출부재(250)와 제2 스프링(240)을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재(250)는 상기 제2 도어(112)의 클로즈 동작시에 상기 슬라이딩부재(230)의 스위치간섭부재(233)를 제3 방향(B1 방향)으로 밀어주는 것으로, 상기 제2 도어(112)의 내측면에 돌출 설치되며, 일측에는 경사면(251)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스프링(240)은 상기 왕복이동부재(21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230) 각각에 마련된 제2 스프링연결 돌기(212, 232)에 그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230)를 상기 제3 방향(B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4 방향(B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두 개의 도어가 모두 클로즈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도어(111)와 제2 도어(112)가 클로즈된 상태에서는 상기 왕복이동부재(210)는 제1 방향(A1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이고, 상기 슬라이딩부재(230)의 스위치간섭부재(233)는 상기 제2 도어(112)의 돌출부재(250)와 상기 스위치(260)의 탄성부재(263)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재(250)가 상기 스위치간섭부재(233)를 제3 방향(B1 방향)으로 밀고 있으므로,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263)가 상기 스위치간섭부재(233)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스위칭 버턴(262)을 누르게 되므로 상기 스위치(260)는 온(ON)되어 전원이 연결된다. 따라서, 두 개의 도어(111, 112)가 모두 클로즈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260)는 온(ON) 상태에 있게 된다.
도 5는 제1 도어를 오픈할 때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도어(112)는 클로즈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도어(111)만 오픈하게 되면, 상기 왕복이동부재(210)는 상기 제1 스프링(220)의 탄성력에 의해 제2 방향(A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재(230)도 제2 방향(A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스위치간섭부재(233)는 상기 스위치(260)의 탄성부재(263)와 상기 제2 도어(112)의 돌출부재(250) 사이에서 빠져나오며 상기 제2 스프링(240)에 의해 제4 방향(B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263)는 상기 스위치간섭부재(233)의 간섭으로부터 해제되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므로 상기 스위칭 버턴(262)이 돌출되어 스위치(260)는 오프(OFF)된다.
한편, 상기 제2 도어(112)가 클로즈된 상태에서, 오픈되어 있는 상기 제1 도어(111)를 다시 클로즈시킬 때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도어(111)의 클로즈 동작에 의해 상기 왕복이동부재(210)의 타단부가 상기 제1 도어(111)의 내측면에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왕복이동부재(210)는 상기 제1 스프링(22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제1 방향(A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재(230)도 제1 방향(A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스위치간섭부재(233)는 상기 돌출부재(250)의 경사면(251)을 따라 상기 탄성부재(263)와 상기 돌출부재(250) 사이로 끼어 들어가며 제3 방향(B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263)가 상기 스위치간섭부재(233)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스위칭 버턴(262)을 누르게 되므로 상기 스위치(260)는 온(ON)되어 전원이 연결된다.
도 6은 제2 도어를 오픈할 때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도어(111)는 클로즈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도어(112)만 오픈하게 되면, 상기 왕복이동부재(210)는 제1 방향(A1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제2 도어(112)의 돌출부재(250)는 제4 방향(B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재(230)도 상기 제2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제4 방향(B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260)의 탄성부재(263)는 상기 스위치간섭부재(233)의 간섭으로부터 해제되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므로 상기 스위칭 버턴(262)이 돌출되어 스위치(260)는 오프(OFF)된다.
한편, 상기 제1 도어(111)가 클로즈된 상태에서, 오픈되어 있는 상기 제2 도어(112)를 다시 클로즈시킬 때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2 도어(112)의 클로즈 동작에 의해 상기 돌출부재(250)가 상기 스위치간섭부재(233)를 제3 방향(B1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263)가 상기 스위치간섭부재(233)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스위칭 버턴(262)을 누르게 되므로 상기 스위치(260)는 온(ON)되어 전원이 연결된다.
도 7은 두 개의 도어를 모두 오픈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도어(111)와 제2 도어(112)를 모두 오픈하게 되면, 상기 왕복이동부재(210)는 상기 제1 스프링(220)에 의해 제2 방향(A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230)는 제2 스프링(240)에 의해 제4 방향(B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간섭부재(233)는 상기 스위치(260)의 탄성부재(263)를 간섭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탄성부재(263)는 원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스위칭 버턴(262)은 돌출되어 스위치(260)는 오프(OFF)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260)를 온(ON)시키기 위해서는, 도 2를 참조하며 설명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도어(111, 112)를 모두 클로즈시켜야 한다. 즉, 상기 왕복이동부재(210)는 제1 방향(A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슬라이딩부재(230)는 제3 방향(B1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전원 차단장치의 작동을 종합하면, 상기 제1 도어(111)와 제2 도어(112)가 모두 클로즈된 때에 상기 스위치(260)를 온(ON)시키고, 상기 제1 도어(111)와 제2 도어(112) 중 어느 하나가 오픈되더라도 상기 스위치(260)를 오프(OFF)시켜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는 하나의 스위치만으로 두 개의 도어의 오픈/클로즈에 따른 전원의 연결 및 차단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 두 개의 스위치를 사용함으로 인한 전원 전압의 강하 및 노이즈 발생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차단장치는 서로 직교하는 양측면에 각각 마련된 두 개의 도어를 구비하는 인쇄기 등 기타 기기에 사용된다. 상기 전원 차단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스위치만으로 두 개의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가 오픈될 경우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되고, 두 개의 도어가 모두 클로즈 된 때에 전원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스위치를 사용함으로 인한 전원 전압의 강하 및 노이즈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양측면에 각각 마련된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구비하는 기기에 설치되는 전원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내부에 소정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도어의 클로즈 동작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왕복이동부재;
    상기 제1 도어가 오픈될 때 상기 왕복이동부재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위치시키는 왕복이동부재 복귀수단;
    상기 기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과 연결되는 하나의 스위치;
    상기 왕복이동부재의 일단부에 왕복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도어의 클로즈 동작에 의해 상기 왕복이동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한 때 상기 제2 도어의 클로즈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직각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스위치를 간섭하여 온(ON)시키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2 도어의 오픈/클로즈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왕복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재 이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도어와 제2 도어가 모두 클로즈된 때에 상기 스위치를 온(ON)시키고, 상기 제1 도어와 제2 도어 중 어느 하나가 오픈되더라도 상기 스위치를 오프(OFF)시켜 전원을 차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동부재 이동수단은, 상기 왕복이동부재와 상기 기기의 소정 부위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왕복이동부재를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전원을 연결하는 접점부가 내장된 스위치 몸체와, 상기 스위치 몸체의 일측면에 돌출된 스위칭 버턴과, 상기 스위치 몸체의 일측면에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고 중간부는 상기 스위칭 버턴과 소정 간격을 갖도록 된 판 형상의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가 간섭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스위칭 버턴을 가압하여 상기 스위치를 온(ON)시키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간섭이 없는 경우에는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 됨으로써 상기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차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동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왕복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두 개의 평행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저면 양측 가장자리부위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차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 이동수단은, 상기 제2 도어의 내측면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제2 도어의 클로즈시에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제3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된 돌출부재와, 상기 왕복이동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제3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차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장치는 인쇄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차단장치.
KR2019980025361U 1998-12-17 1998-12-17 전원 차단장치 KR200266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361U KR200266868Y1 (ko) 1998-12-17 1998-12-17 전원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361U KR200266868Y1 (ko) 1998-12-17 1998-12-17 전원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395U KR20000012395U (ko) 2000-07-05
KR200266868Y1 true KR200266868Y1 (ko) 2002-05-09

Family

ID=69507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361U KR200266868Y1 (ko) 1998-12-17 1998-12-17 전원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86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304B1 (ko) * 2006-04-11 2007-10-11 김주일 도어 오픈시 전원공급 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395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9587A (en) Auxiliary switch for circuit-breaker and corresponding circuit-breaker
US8071903B2 (en) Trigger switch
US3715545A (en) Momentary push button switch with improved non-conductive cam for normally retaining movable leaf spring contacts in a non-operative position
US5311253A (en) Image-form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imaging unit
US10811209B2 (en) 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KR200266868Y1 (ko) 전원 차단장치
KR970076939A (ko) 푸쉬록 스위치장치
CA1229243A (en) Timer drive mechanism
KR100327243B1 (ko) 전원 차단장치
US6274832B1 (en) Switch actuators for toys
JP3899127B2 (ja) スイッチ装置
JPH0676719A (ja) 電磁作動スイッチ
WO2020008640A1 (ja) 遮断器
SU653633A1 (ru) Кнопоч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KR100186376B1 (ko) 진공전자접촉기의 개폐용 보조스위치
JP3593690B2 (ja) スイッチ装置
KR930007315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인터록 장치
KR930006820Y1 (ko) 가역형 전자접촉기의 쇄정장치
KR910000628Y1 (ko) 전자레인지의 마이크로 스위치 개폐장치
JP2000182471A (ja) スイッチ装置
JPH1069831A (ja) 安全スイッチ
JP3609569B2 (ja) 電気かみそり
KR0119496Y1 (ko) 캠코더의 줌밍용 스위칭 장치
KR100486749B1 (ko) 3상 분리형 개폐기의 수동트립장치
JP2522020Y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