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820Y1 - 가역형 전자접촉기의 쇄정장치 - Google Patents

가역형 전자접촉기의 쇄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820Y1
KR930006820Y1 KR2019910014340U KR910014340U KR930006820Y1 KR 930006820 Y1 KR930006820 Y1 KR 930006820Y1 KR 2019910014340 U KR2019910014340 U KR 2019910014340U KR 910014340 U KR910014340 U KR 910014340U KR 930006820 Y1 KR930006820 Y1 KR 9300068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ever
support
protrus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4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451U (ko
Inventor
윤순조
Original Assignee
금성계전 주식회사
성기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계전 주식회사, 성기설 filed Critical 금성계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4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820Y1/ko
Publication of KR9300074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4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8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8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2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 H01H50/323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re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역형 전자접촉기의 쇄정장치
제1도는 종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제1a도는 작동전의 상태도, b도는 일측 레버가 이동된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장치갈 전자접촉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제3a도는 작동전의 상태도, 제3b도는 일측 레버가 이동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돌기
3 : 걸림턱 6, 7 : 레버
10 : 지지대 11 : 걸림홈
12 : 쐐기돌기부
본 고안은 2대의 전자개폐기를 이용하여 모터와 같은 동력기계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운전하는 경우 한쪽의 전자개폐기가 흡인(작동)되어 모터가 어느일방향으로 운전중일 때 다른 한쪽의 전자개폐기가 흡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장치인 가역형 전자개폐기의 쇄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쇄정장치를 2대의 전자개폐기 사이에 설치하여 전자개폐기를 기계적으로 쇄정시켰다.
제1도는 종래 쇄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케이스(21)내에 좌, 우 한쌍의 레버(23)(24)가 설치되어 있고 각 레버(23)(24)의 끝 부분은 대략 3각 형상으로 된 캠(25)의 양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캠(25)에 형성된 돌기(26)와 케이스(21)에 형성된 돌기(22)사이에는 스프링(27)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각 레버(23)(24)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케이스(21)의 바깥측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각각 전자개폐기의 가동 접촉자 지지대와 결합되어 전자개폐기의 흡인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돌출부와 전자개폐기 및 가동접촉자 지지대는 도시를 생략함).
즉, 제1a도와 같이 좌, 우 레버(23)(24)와 캠(25)이 모두 중립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면상 좌측레버(23)의 돌출부와 결합된 전자개폐기의 가동접촉자 지지대가 흡입되면 제1b도와 같이 좌측레버(23)가 하강함과 동시에 캠(25)이 우측레버(24)와의 연결부분을 축으로 하여 도면상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 캠(25)의 하단부는 케이스(21)에 형성된 홈부분으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b도와 같이 좌측레버(23)가 이동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우측레버(24)에 결합된 전자개폐기의 가동접촉자 지지대가 흡입되어 우측레버에 당겨지는 힘이 작용하여도 우측레버는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다시말하여 좌측레버(23)에 연결된 전자개폐기가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킬 때 흡인되고 우측레버(24)에 연결된 전자개폐기가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킬 때 흡입되는 것으로 가정할 때 제1b도와같이 좌측레버(23)에 연결된 전자개폐기가 흡인되어 모터가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상태에서는 모터의 역방향 구동용 전자개폐기는 흡인이 불가능하게 되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같다.
또 제1b도와같이 좌측레버(23)가 이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좌측레버와 결합되면 전자개폐기가 차단되고 케이스(21)의 돌기(22)와 캠(25)의 돌기(26) 사이에 결합된 스프링(27)의 힘에 의해 레버와 캠은 제1a도와 같은 상태로 복원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개폐기 쇄정장치는 전자개폐기와 쇄정장치가 별도로 설치된 상태로 연결되는 구조이어서, 예를들어 전자개폐기가 레일 부착형인 경우 전자개폐기가 레일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레일을 따라 벌어질 수 있기 때문에 레일부착형 전자개폐기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고, 또 레일부착형 전자개폐기가 아닌 경우에도 쇄정장치의 유동방지를 위해 쇄정장치를 별도의 패널에 나사로 고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2대의 전자개폐기 사이에 직접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쇄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제2도와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2도는 본 고안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본 고안 장치는 크게 나누어 좌, 우 케이스(1)와 케이스내에 설치된 한쌍의 레버(6)(7), 그리고 케이스 일측으로 결합되는 지지대(10)로 구성된다.
좌, 우 레버(6)(7)에는 돌출부(6a)(7a)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케이스(1)에 형성된 구멍(5)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바깥측면에는 케이스를 전자개폐기에 결합하기 위한 돌기(2)와 케이스를 지지대에 결합하기 위한 걸림턱(3)이 형성되어 있다.
각 레버(6)(7)의 저면부 중심에는 핀(8)이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스(1)의 보스(4)와 상기 핀(8) 사이에는 스프링(9)이 결합되어 각 레버는 항상 일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는다.
지지대(10)에는 케이스(1)의 걸림턱(3)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의 걸림홈(11)과 지지대를 전자개폐기에 결합하기 위한 쐐기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제3도는 본 고안 장치가 2대의 전자개폐기(A)(B) 사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로서, 케이스(1)의 돌기(2)는 전자개폐기(A)(B)의 홈부(13)에 끼워져 결합되며 지지대(10)에 형성된 쐐기돌기부(12)는 전자 개폐기에 형성된 쐐기돌기부로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각 레버(6)(7)의 돌출부(6a)(7a)는 전자개폐기(A)(B)내에 설치된 가동접촉자 지지대(14)(15)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된 본 고안 장치의 작동과 그 효과를 설명한다.
제3a도는 전자개폐기(A)(B)가 모두 흡인되지 않은 작동전의 상태로서, 핀(8)은 좌, 우 레버(6)(7)사이의 저면 중앙부분에 위치하여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어느일측의 전자개폐기가 흡인되는 경우, 예를들어 제3b도와 같이 도면상 좌측의 전자개폐기(A)가 흡인되어 해당 전자개폐기 내에 설치된 가동접촉자 지지대(14)가 이동하면 가동접촉자 지지대(14)와 연결되어 있는 레버(6)가 가동접촉자 지지대(14)와 함께 이동하게 되며, 이때 핀(8)은 도면상 우측으로 약간 밀려나면서 레버(6)의 측면과 접속하게 된다.
따라서, 제3b도와 같은 상태에서는 우측의 전자개폐기(B)가 흡인되어 가동접촉자(15)가 이동하려는 힘을 받아도 가동접촉자(15)와 결합된 레버(7)가 핀(8)에 걸려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전자개폐기는 흡인이 되지 않는 것이다.
또 흡입되었던 전자개페기(A)가 차단되면 케이스(1)의 보스(4)와 핀(8)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9)의 힘에 의해 레버(6)가 원위치로 복귀되며, 상기 설명은 도면상 좌측의 전자개폐기(A)가 흡인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우측의 전자개폐기(B)가 흡인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작동에 의해 좌측 전자개폐기(A)는 흡인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케이스(1)의 일측에 지지대(10)를 연결하고 케이스와 지지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돌기(2)와 쐐기돌기부(12)에 의해 쇄정기구를 직접 전자개폐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일부착형 전자개폐기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쇄정기구를 별도의 나사에 의해 조립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없어진다.

Claims (1)

  1. 한쌍의 레버(6)(7)가 내장된 케이스(1)에 돌기(2)와 걸림턱(3)을 형성하고 지지대(10)에는 걸림홈(11)과 쐐기돌기부(12)를 형성하여 돌기와 걸림홈에 의해 케이스와 지지대를 연결하며, 전자개폐기에는 돌기(2)와 쐐기돌기부(12)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케이스와 지지대가 2대의 전자개폐기 사이에 직접 끼워져 결합될 수 있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형 전자접촉기의 쇄정장치.
KR2019910014340U 1991-09-04 1991-09-04 가역형 전자접촉기의 쇄정장치 KR9300068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4340U KR930006820Y1 (ko) 1991-09-04 1991-09-04 가역형 전자접촉기의 쇄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4340U KR930006820Y1 (ko) 1991-09-04 1991-09-04 가역형 전자접촉기의 쇄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451U KR930007451U (ko) 1993-04-26
KR930006820Y1 true KR930006820Y1 (ko) 1993-10-07

Family

ID=19318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4340U KR930006820Y1 (ko) 1991-09-04 1991-09-04 가역형 전자접촉기의 쇄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8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451U (ko) 199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2222A (en) Plug connection device for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 of two electronic units
JPH06185610A (ja) 自動変速機用シフトロック装置
KR930006820Y1 (ko) 가역형 전자접촉기의 쇄정장치
US5145057A (en) Auxiliary contact unit for an electromagnetic switch
JPH0743901Y2 (ja) スイッチ
JP3142588B2 (ja) 補助スイッチのための適応装置
EP0540073B1 (en) Device for mechanical control of electric circuit breakers and similar appliances, provided with latching, blocking and signalling means
JPH0676719A (ja) 電磁作動スイッチ
KR0128810Y1 (ko) 전자접촉기의 상호쇄정장치
KR930006821Y1 (ko) 가역형 전자개폐기의 쇄정장치
US6886426B2 (en) Shift lever apparatus, shift lock method, shift lock system and vehicle
KR200211733Y1 (ko) 전자개폐기의 인터록장치
KR0132226Y1 (ko) 가역식 전자개폐기의 가역유니트 연결장치
EP0393597B1 (en) Contact device
CN218939518U (zh) 接地开关的联锁装置以及开关柜
JPH0117803Y2 (ko)
KR930007315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인터록 장치
CN214254239U (zh) 电磁闭锁装置和开关柜
JP2504513Y2 (ja) 電気機器のスイッチ構造
KR910000626Y1 (ko) 전자레인지의 마이크로 스위치 구동장치
JPH0747776Y2 (ja) 回路しや断器のインタ−ロツク装置
KR200150074Y1 (ko) 전자접촉기의 베이스와 아크박스의 체결구조
JPS5926981Y2 (ja) スイッチ開閉装置
JPH0528882Y2 (ko)
JPH052865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