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810Y1 - 전자접촉기의 상호쇄정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의 상호쇄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810Y1
KR0128810Y1 KR2019920000418U KR920000418U KR0128810Y1 KR 0128810 Y1 KR0128810 Y1 KR 0128810Y1 KR 2019920000418 U KR2019920000418 U KR 2019920000418U KR 920000418 U KR920000418 U KR 920000418U KR 0128810 Y1 KR0128810 Y1 KR 01288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ntactor
contactor
moving device
magnetic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00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726U (ko
Inventor
다까또 히로따
Original Assignee
나까오 다께시
후지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오 다께시, 후지덴끼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오 다께시
Publication of KR9200157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7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8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8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2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2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 H01H50/323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2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 H01H50/323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relays
    • H01H2050/325Combined electrical and mechanical interlocking, e.g. usually for auxiliary conta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가동접촉자(27A, 27BB)와 고정접촉자(25A, 26A, 25B, 26B)를 구비하는 한쌍의 폐접점이 상호쇄정장치(3)와 각각의 폐접점에 가역접속되어 전기적 인터록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두 전자접촉기의 여자회로에 배치된다. 가동 접촉자(27A, 27B)는 전자접촉기가 투입될 때 전자접촉기의 대응 가동접촉자 지지대에 의해 구동되고 개리되도록 구성된 구동부재(5A, 5B)와 함께 인터록된 각각의 레버(36A, 36B)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가역접속된 두 전자접촉기가 동시에 투입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하여 상호쇄정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전기적 인터록이 동시에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Description

전자접촉기의 상호쇄정장치
제1도는 어느 전자접촉기도 투입되지 않았을때의 본 고안 실시예의 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 - Ⅱ선을 따라 취한 내부측면도.
제3도는 전자접촉기 중 하나가 투입되었을 경우를 나타내는 제1도 실시예의 횡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Ⅳ - Ⅳ선을 따라 취한 내부측면도.
제5도는 제1도 실시예의 구성부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6도는 어느 전자접촉기도 투입되지 않았을 때의 종래예의 횡단면도.
제7도는 전자접촉기 중 하나가 투입되었을 경우를 나타내는 제4도 종래예의 횡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종래예의 구성부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9도는 전기적 인터록(interlocking)을 설명하는 전자접촉기의 여자회로를 도시한 결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전자접촉기 3 : 상호쇄정장치
5A, 5B : 구동부재 6 : 쇄정핀
10A, 10B : 받침부재 16A, 16B : 경사면
18 : 공동부 19A, 19B : 측벽
본 고안은 모터의 정역운전에 적용할 수 있는 전자접촉기의 상호쇄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역 접속된 2개의 전자접촉기를 기계적으로 인터록하여 전자접촉기의 동시 투입을 방지하는 전자접촉기의 상호쇄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종류의 상호쇄정장치가 알려져 있다.
제6도는 2개의 전자접촉기가 모두 개로상태에 있을 때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제7도는 그중 하나가 투입상태에 있을 때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제8도는 두 전자접촉기 분해사시도이다.
제6도에는 가역접속된 전자접촉기(1A, 1B)와 각 가동접촉자를 지지하여 상하방향으로 동작하는 가동접촉자지지대(2A, 2B)가 도시되어 있다. 상호쇄정장치(3)는 두 전자접촉기(1A, 1B)의 동시투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한쌍의 구동부재(5A, 5B)와 이 구동부재의 경사면(16A, 16B) 사이에 형성된 V자형 공동부(18)에 배치된 쇄정핀(6) 및 이 쇄정핀을 받치는 받침부재(10A, 10B)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재(5A, 5B)는 암(17A, 17B)을 개재하여 각각의 가동접촉자 지지대(2A, 2B)에 연결되며 서로 접촉하고 있는 동안 좌우대칭인 케이스(4A, 4B)내를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케이스(4A, 4B)는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자접촉기(1A, 1B)의 측벽에 끼워맞춰지는 위치결점돌기(9A, 9B)를 구비하고 있다. 전후 2개의 복귀스프링(7)은 쇄정핀(6)을 상부로 향하게 하여 경사면(16A, 16B)을 누르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며 공동부(18)의 중심에 위치한다.
제8도는 상기 상호쇄정장치(3)의 구성부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케이스(4A, 4B)에 구멍을 뚫어 형성시킨 슬롯(8A, 8B)은 구동부재(5A, 5B)의 각 암(17A, 17B)을 통과시키도록 의도된 것이다. 복귀스프링(7)의 일단부는 쇄정핀(6)에 걸리며 타단부는 케이스(4A, 4B)에 구비된 원통형 돌기(11A, 12B)의 각 접합단부에 걸린다. 받침부재(10A, 10B)는 케이스(4A, 4B)와 일체로 형성된 직각 기둥 형상이다. 구동부재(5A, 5B)와 쇄정핀(6) 및 복귀스프링(7)을 포함하는 케이스(4A, 4B)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나사구멍(12A, 12B)을 통과하는 나사(13)에 의해 일체로 체결된다.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 전자접촉기(1A, 1B)가 제7도의 하방으로 흡인되는 가동코어(도시하지않음)와 함께 투입되면 가동코어와 일체로 연결된 가동접촉자 지지대(2A, 2B) 또한 이동하는 원인이 되며 그에따라 구동부재(5A, 5B)도 케이스(4A, 4B)의 내벽면과 상호 접촉면(15A, 15B)(제8도)에 의해 안내되어 하강한다. 제7도는 전자접촉기(1B)가 투입될때 구동부재(5B)가 하강하는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구동부재(5B)가 하강하면 쇄정핀(6)은 구동부재(5B)의 경사면(16B)에 의해 좌측으로 눌려지고 구동부재(5A)의 하측으로 미끄러진다. 그결과 구동부재(5A)는 받침부재(10A)에 의해 쇄정핀(6)을 개재하여 하강하는 것이 저지되고 전자접촉기(1A)의 투입이 허용되지 않게 된다. 전자접촉기(1A)가 투입상태에 있는 동안 전자접촉기(1B)는 투입이 허용되지 않는다. 즉 상호 쇄정장치(3)가 작용하여 전자접촉기(1A, 1B)의 동시 투입을 저지시킨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쇄정핀(6)이 중심에 위치하면 구동부재(5A, 5B)중 어느 하나의 하강이 저지된다.
제9도는 전자접촉기(1A, 1B)를 사용하는 모터의 정역전 장치의 제어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전자코일(F, R)은 전지용 푸시버튼 스위치(21)를 개재하여 병렬연결된다. 투입용 푸시버튼 스위치를 구성하는 개리접점(22A, 22B)과 전자접촉기(1B, 1A)의 폐접점(24B, 24A)은 각각 역으로 직렬접속된다. 한쪽의 전자코일(R 또는 R)의 여자회로가 닫히면 다른 쪽의 전자코일(R 또는 F)의 여자회로는 열린다. 이와같이 이들 여자회로는 서로 전기적으로 인터록 되어있다. 거기에는 또 투입용 푸시버튼 스위치의 개리접점(22B, 22A)과 기계적으로 인터록되는 폐접점(23A, 23B)이 구비된다.
제6도 내지 제8도를 참고로 하여 기술한 종래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가) 상호쇄정장치(3)는 폐접점이 내장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기계적 인터록 외에 제9도에 나타낸 전기적 인터록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자접촉기(1A, 1B) 자체의 상폐접점을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그만큼 유용한 상폐접점 하나가 줄어드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경우에는 보조접점을 추가하든가 또는 릴레이를 추가하는 등의 수단이 강구되지 않으면 안된다.
(나) 쇄정핀(6)은 복귀스프링(7)에 의해 구동부재(5A, 5B)의 경사면(16A, 16B)으로 당겨져 경사면상에 유지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상호쇄정장치(3)가 조립될때 쇄정핀(6)이 공동부에 수용되도록 복귀스프링(7)을 끌어당겨야 한다.
따라서 조립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시간도 많이 소모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환경하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가회로를 필요로하지 않고도 전기적 인터록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고 용이한 조립을 제공하는 전자접촉기의 상호 쇄정장치에 의해 상술한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과 이점은 이후 상세히 설명하게된 내용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도 있고, 본 고안을 실질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실감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과 이점은 특히 첨부한 청구범위에 기술된 수단을 그 필요에 따라 통합적으로 취사 선택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실현되고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구현되어 광범위하게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전자접촉기용의 상호 쇄정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한편, 가역접속되는 2개의 전자접촉기의 각 가동접촉자 지지대에 의해 구동되고, 일단에 경사면과 이 경사면의 종료지점부터 하향 돌출하는 측벽을 가지고 있으며, 이 경사면 및 측벽을 향해 상기 케이스로 부터 돌출하는 받침부재와 함께 공동부를 형성하는 한쌍의 구동부재와, 상기 공동부에 배치되고, 상기 경사면, 상기 측벽, 상기 받침부재 중 각각 하나와 상기 구동부재 중 어느 하나의 벽면에 의해 밀폐되어 상기 전자접촉기의 동시 투입을 저지하도록 상기 구동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쇄정수단과,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재 중의 하나와 인터록 된 레버에 의해 연결된 가동접촉자와 상기 가동접촉자와 마주하는 고정접촉자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가동접촉자에 연결된 상기 구동부재 중의 하나가 그 대응 전자접촉기의 개리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가동접촉자가 상기 고정접촉자들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이루도록 작용하는 한쌍의 스위치를 구비한다.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그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목적, 이점, 원리를 설명하는데 적합하도록 도시된 것이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설명을 단순화 하기 위하여 종래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제1도는 두 전자접촉기가 개리할때의 횡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Ⅱ - Ⅱ선을 따라 취한 내부측면도이며 제3도는 두 전자접촉기중의 하나가 투입된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Ⅳ - Ⅳ선을 따라 취한 내부측면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의 내부사시도이다.
제1, 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예의 것과 유사한 한쌍의 구동부재(5A, 5B)는 각 케이스(4A, 4B)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되고 레버(36A, 36B)는 각 구동부재(5A, 5B)와 인터록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레버(36A, 36B)는 3갈래로 나누어진 형태의 3개의 암을 구비하며, 그중 2개는 케이스(4B)와 일체로 된 원통형 돌기(30A, 30B) 및 구동부재(5A, 5B)로 부터 각각 돌출한 원통형돌기(40A, 40B)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 나머지 하나의 암에는 가동접촉자(27A, 27B)가 접촉스프링(28A, 28B)과 함께 결합된다. 가동접촉자(27A)와 함께 폐접점을 구성하는 고정접촉자(25A, 26A)는 케이스(4B)에 고정되어 전자접촉기중의 하나가 개리되어 있으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른 가동접촉자(27A)에 의해 브리지된다. 이와 동일하게 가동접촉자(27B)와 함께 폐접점을 구성하는 고정접촉자(25B, 26B) 또한 케이스(4B)에 고정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동접촉자(27A)와 접촉스프링(28A)은 레버(36A)의 슬롯(37A) 안으로 삽입되고, 스프링받침(29A)은 가동접촉자(27A)와 접촉스프링(28A) 사이에 삽입된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동접촉자(27B)도 동일한 방식으로 레버(36B)에 맞추어진다. 구멍(38A, 38B)과 구멍(39A, 39B)은 원통형돌기(30A, 30B)와 원통형돌기(40A, 40B)에 각각 결합된다. 고정접촉자(25A, 26A)는 케이스(4B)에 고정되기 전에 각각 케이스의 홈(33A, 34A)에 삽입되고, 고정접촉자(25B, 26B)는 케이스(4B)에 고정되기 전에 각각 케이스의 홈(33B, 34B)에 삽입된다. 단자나사(32)는 고정접촉자(25A, 25B, 26A, 26B)의 각 나사구멍(43A, 43B, 44A, 44B)에 체결된다. 이 경우에 가동접촉자(45A, 45B)와 고정접촉자(41A, 41B, 42A, 42B)는 가동접촉자(27A, 27B)와 고정접촉자(25A, 25B, 26A, 26B)의 대향면과 각각 접합한다.
한편 종래예에서 쇄정핀(6)에 부착된 복귀스프링(7)은 본 고안에서는 구비되지 않는 대신 측벽(19A, 19B)이 구비되어 구동부재(5A, 5B)의 각 단부를 에워싼다. 쇄정핀(6)은 구동부재(5A, 5B)와 받침부재(10A, 10B) 사이의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허용된다. 쇄정핀(6)이 이들 측벽(19A, 19B) 내부에 밀폐되면 이 쇄정핀은 그 공간으로부터 미끄러져 나오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두 전자접촉기(1A, 1B)는 구동부재(5A, 5B)의 하강이 쇄정핀(6)을 개재하여 받침부재(10A, 10B)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동시에 투입되지 않는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사면(16B)에 의해 눌려진 쇄정핀(6)은 전자접촉기중의 하나가 투입되면 구동부재(5A)(청구범위의 경우 제1이동장치에 해당함)의 하방으로 미끄러져 가므로 구동부재(5B)(청구범위의 경우 제2이동장치에 해당함)가 하강한다. 따라서 다른 전자접촉기는 투입이 저지된다. 하나의 전자접촉기가 투입되면 다른 하나의 전자접촉기는 투입이 저지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자접촉기중의 하나가 투입되면 구동부재(5B)는 하강하고 구동부재(5B)와 인터록 된 레버(36B)는 원통형돌기(30B)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가동접촉자(27B)를 고정접촉자(25B, 26B)로부터 분리시킨다. 결국 다른 접촉기의 전자코일의 여자회로에 이 접촉자를 삽입하면 전자접촉기의 투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상호쇄정장치(3)는 전자접촉기가 투입될때 개리되는 내장폐접점을 구비하기 때문에 전자접촉기의 폐접점을 이용하지 않고도 전기적 인터록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 구동부재(5A, 5B)가 측벽(19A, 19B)을 구비하기 때문에 종래예에서의 복귀스프링(7)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호 쇄정장치만으로 기계적 전기적 인터록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고 전자접촉기의 폐접점의 부족을 피할 수 있다. 또 복귀스프링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간단해지고 부품수의 감소에 따라 비용이 절감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다음의 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도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케이스(4A, 4B)와, 상기 케이스(4A, 4B)내에 배치되는 한편, 가역접속되는 2개의 전자접촉기(1A, 1B)의 각 가동접촉자 지지대에 의해 구동되고, 일단에 경사면(16A, 16B)과 이 경사면의 종료지점부터 하향 돌출하는 측벽(19A, 19B)을 가지고 있으며, 이 경사면 및 측벽을 향해 상기 케이스(4A, 4B)로 부터 돌출하는 받침부재(10A, 10B)와 함께 공동부(18)를 형성하는 한쌍의 구동부재(5A, 5B)와, 상기 공동부에 배치되고, 상기 경사면, 상기 측벽, 상기 받침부재 중 각각 하나와 상기 구동부재 중 어느 하나의 벽면에 의해 밀폐되어 상기 전자접촉기(1A, 1B)의 동시 투입을 저지하도록 상기 구동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쇄정수단과, 상기 케이스(4A, 4B)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재(5A, 5B)중의 하나와 인터록 된 레버(36A, 36B)에 의해 연결된 가동접촉자(27A, 27B)와 상기 가동접촉자와 마주하는 고정접촉자(25A, 26A, 25B, 26B)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가동접촉자에 연결된 상기 구동부재 중의 하나가 그 대응 전자접촉기의 개리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가동접촉자가 상기 고정접촉자들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이루도록 작용하는 한쌍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상호쇄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쇄정수단은 상기 구동부재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받침부재 사이에서 미끄럼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쇄정핀(6)이며, 상기 구동부재중 어느 하나가 그 대응 전자접촉기의 투입 위치에 있을때 다른 구동부재가 그 대응 전자접촉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저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상호쇄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18)는 5변형으로서 상기 받침부재(10A, 10B)는 그 1면을 구성하고 상기 각 구동부재의 각 경사면 및 측벽은 5변형 공동부의 2면을 각각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상호쇄정장치.
  4.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한편, 제1 전자접촉기의 접촉자 지지대에 접속되고, 이 제1 전자접촉기의 접촉자 지지대의 대응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두 위치중의 한 위치로 이동하는 제1 이동장치와, 상기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한편, 제2 전자접촉기의 접촉자 지지대에 접속되고, 이 제2 전자접촉기의 접촉자 지지대의 대응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두 위치중 한 위치로 이동하는 제2 이동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 이동장치의 각 일단에는 경사면(16A, 16B)과, 이 경사면의 종료지점부터 하향돌출하는 측벽(19A, 19B)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이동장치의 경사면 및 측벽을 향해 돌출한 받침부재(10A, 10B)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부(18)와, 상기 공동부(18)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전자접촉기의 동시 투입을 저지하도록 상기 경사면(16A, 16B), 상기 측벽(19A, 19B), 상기 받침부재(10A, 10B) 중 각각 하나와 상기 한쌍의 구동부재 중 어느 하나의 벽면에 의해 밀폐되어 제1, 제2 이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쇄정수단과, 상기 케이스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이동장치가 상기 제2 전자접촉기의 투입에 반응하여 이동될때 상기 제1 전자접촉기를 전기적으로 단전시키고 상기 제1 이동장치가 상기 제1 전자접촉기의 투입에 반응하여 이동될때에는 상기 제2 전자접촉기를 전기적으로 단전시키는 스위치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상호쇄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쇄정수단은 쇄정핀이며, 상기 제2 전자접촉기가 투입되는 곳에 상기 제2 이동장치가 위치할때 상기 제1 전자접촉기에 의해 상기 제1 이동장치가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도록 상기 쇄정핀은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제1 이동장치 사이를 미끄럼 이동하고 상기 제1 전자접촉기가 투입되는 곳에 상기 제1 이동장치가 위치할때 상기 제2 전자접촉기에 의해 상기 제2 이동장치가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도록 상기 쇄정핀은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제2 이동장치 사이를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상호쇄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는 5변형으로서 상기 받침부재는 그 1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1이동장치의 상기 경사면 및 측벽은 5변형 공동부의 제2면 및 제3면을 구성하며, 제2이동장치의 경사면 및 측벽은 5변형공동부의 제4면 및 제5면을 각각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상호쇄정장치.
KR2019920000418U 1991-01-17 1992-01-15 전자접촉기의 상호쇄정장치 KR012881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4690 1991-01-17
JP1991004690U JP2589610Y2 (ja) 1991-01-17 1991-01-17 電磁接触器の相互鎖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726U KR920015726U (ko) 1992-08-17
KR0128810Y1 true KR0128810Y1 (ko) 1998-12-15

Family

ID=11590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00418U KR0128810Y1 (ko) 1991-01-17 1992-01-15 전자접촉기의 상호쇄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16398A (ko)
EP (1) EP0495502B1 (ko)
JP (1) JP2589610Y2 (ko)
KR (1) KR0128810Y1 (ko)
DE (1) DE6920246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7566A1 (fr) * 1994-11-28 1996-05-31 Abb Control Sa Dispositif de condamnation electrique et mecanique pour contacteurs
SE513806C2 (sv) * 1999-03-03 2000-11-06 Abb Ab Förreglingsanordning och användning av en sådan anordning
FR2907963B1 (fr) * 2006-10-27 2009-01-09 Abb Entrelec Soc Par Actions S Module de raccordement electrique entre un premier et un second contacteurs et montage inverseur correspondant
JP5504925B2 (ja) * 2010-01-29 2014-05-2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可逆形電磁接触器
CN109950087B (zh) * 2019-04-25 2020-09-01 河北佰纳德自控仪表有限公司 一种三工位隔离开关执行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2958A (en) * 1965-10-11 1967-09-19 Square D Co Two-part mechanical interlock for electromagnetic contactors
US3592985A (en) * 1970-02-06 1971-07-13 Square D Co Mechanical interlock for two switches that are mounted on a common support
JPS57154315A (en) * 1981-03-20 1982-09-24 Nippon Steel Corp Down coiler having gap display device
US4544810A (en) * 1984-01-09 1985-10-01 Eaton Corporation Interlocking pushbutton selector switch
JPH0724176B2 (ja) * 1984-01-23 1995-03-15 アレン―ブラッドリイ カンパニー 機械電気的組み合わせ連動機構
WO1985003382A1 (en) * 1984-01-23 1985-08-01 Allen-Bradley Company Combination mechanical and electrical interlock mechanism
EP0171453B1 (de) * 1984-08-16 1989-01-11 Letzel, Helmut Vorrichtung zur Sicherheitsverriegelung bei Schutzeinrichtungen zum Verhindern des Eingriffs in gefahrbringende Räume
FR2581242B1 (fr) * 1985-04-24 1988-08-26 Telemecanique Electrique Dispositif de commande electrique adaptable a un dispositif de commutation a deux etats
JPS6268371A (ja) * 1985-09-19 1987-03-28 Nec Corp テレビ撮像システム
JPS62115254A (ja) * 1985-11-12 1987-05-26 San Ei Chem Ind Ltd こんにやく
FR2617328B1 (fr) * 1987-06-26 1989-11-03 Telemecanique Electrique Dispositif de condamnation mecanique et electrique pour contacteurs
JPH0734339B2 (ja) * 1989-03-17 1995-04-12 新晃電機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99317U (ko) 1992-08-27
JP2589610Y2 (ja) 1999-02-03
EP0495502A1 (en) 1992-07-22
DE69202467D1 (de) 1995-06-22
EP0495502B1 (en) 1995-05-17
DE69202467T2 (de) 1995-10-05
US5216398A (en) 1993-06-01
KR920015726U (ko) 199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6971A (en) Magnetic circuit device
US3436497A (en) Electrical switch having a lost motion operator assembly
US4006322A (en) Auxiliary interlock switch with interchangeable and reversible chisel-shaped contacts and spring biasing mechanism
US3949333A (en) Auxiliary switch for electromagnetic contactor
KR0128810Y1 (ko) 전자접촉기의 상호쇄정장치
EP0817230B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JPS61500936A (ja) 機械電気的組み合わせ連動機構
JPH03110734A (ja) 電磁接触器
US6207914B1 (en) Push-button switch incorporating self-restoring function
JPH0864064A (ja) 多段階操作インタ−ロック付押釦開閉器
AU564544B2 (en) Combination mechanical and electrical interlock mechanism
EP0096387B1 (en) Contactors
JPH0565030U (ja) スイッチ
US3525960A (en) Electromechanically and manually operable switch mechanism
KR200207545Y1 (ko) 멀티 전자 접촉기
JPH0130246B2 (ko)
KR100186376B1 (ko) 진공전자접촉기의 개폐용 보조스위치
KR20200099031A (ko)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
US3207869A (en) Electrical switch with mechanically interlocked movable contact carriers
US4427853A (en) Convertible momentary/maintained electric switch
KR910004228Y1 (ko) 다단식 푸쉬버튼 스위치
JPH0561736B2 (ko)
KR930006820Y1 (ko) 가역형 전자접촉기의 쇄정장치
GB2071419A (en) Electric Switching Device
KR200211733Y1 (ko) 전자개폐기의 인터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