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293Y1 - 전원 개폐 및 절환용 로터리스위치 구조 - Google Patents

전원 개폐 및 절환용 로터리스위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293Y1
KR200182293Y1 KR2019990027442U KR19990027442U KR200182293Y1 KR 200182293 Y1 KR200182293 Y1 KR 200182293Y1 KR 2019990027442 U KR2019990027442 U KR 2019990027442U KR 19990027442 U KR19990027442 U KR 19990027442U KR 200182293 Y1 KR200182293 Y1 KR 200182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rotary switch
base plate
rotary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치화
원경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한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한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한전기
Priority to KR2019990027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2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36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only two operative positions, e.g. relatively displaced by 180 degrees
    • H01H19/38Change-over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Landscapes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 개폐 및 절환용 로터리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기초판(8)에 전달축(7)을 매개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로터리스위치(1)와;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스위치(1)의 좌우에 1 개씩 설치되어 있고, 양단(兩端)이 상기 기초판(8)의 계합홈(6)에 지지되어 있으며, 단면(斷面)이 물결형상의 굴곡을 가지고 있되 스위치중심(A)을 향한 볼록부가 상기 스위치(1)의 이웃하는 2개의 산(9,9)과 접촉되는 2개의 판스프링(10)으로 초기 구성되어 있어; 종래기술에 비하여 매우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립하기가 용이하고 작업공수가 줄어들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고장발생의 확률이 감소되어 보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로터리스위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원 개폐 및 절환용 로터리스위치 구조{The Rotary Switch Structure for Controlling Load}
본 고안은 전원 개폐 및 절환용 로터리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하기 용이한 로터리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냉난방기 등 각종 전자제품의 전원개폐 및 절환용 스위치로서, 일반적으로 로터리스위치가 많이 사용된다.
통상의 대표적 전원 개폐 및 절환용 로터리스위치 구조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초판(8)에 전달축(7)을 매개하여 로터리스위치(1)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인장스프링(3)의 일단(一端)은 기초판(8)에 연결되어 있어서 타단(他端)에서 하중이 작용되면 늘어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2)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3)의 타단에 연결되고, 레버(2)의 타단은 기초판(8)에 형성된 계합홈(6)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레버(2)의 중간 위치에는 핀(5)을 매개로 롤러(4)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스위치(1)의 이웃하는 2개의 산(9,9) 사이에 들어가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개폐하고 절환하기 위해 전달축(7)에 회전하중을 가하면, 스위치(1)의 산부(9)가 레버(2)에 설치된 롤러(4)를 타고 넘어가는 힘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2)가 계합홈(6)을 중심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갖게 되므로, 스프링(3)이 인장되는 것이다. 일단, 산(9) 하나가 넘어가면 롤러부(4)가 스위치(1)의 그 다음 산(9)과 산(9) 사이에 걸려서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이, 전원 개폐 및 절환의 규칙적인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로터리스위치 구조는 부품이 다소 많아서 연결부위가 복잡하다. 따라서, 실제작시 공수가 많아지므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고장이 발생될 확률이 높아 보수비용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안의 목적은 구조를 단순화 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높은 전원 개폐 및 절환용 로터리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전원 개폐 및 절환용 로터리스위치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전원 개폐 및 절환용 로터리스위치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면부호의 설명>
1... 로터리스위치(rotary switch) 2... 레버(lever)
3... 인장스프링 4... 롤러(roller)
5... 핀(pin) 6... 계합(係合)홈
7... 전달축 8... 기초판(base plate)
9... 스위치 산부(山部) 10... 판스프링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기초판에 전달축을 매개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로터리스위치와;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스위치의 좌우에 1 개씩 설치되어 있고, 양단(兩端)이 상기 기초판의 계합홈에 지지되어 있으며, 단면(斷面)이 물결형상의 굴곡을 가지고 있되 스위치중심을 향한 볼록부가 상기 스위치의 이웃하는 2개의 산과 접촉되는 2개의 판스프링으로 단순하게 초기 구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본 고안에 따른 전원 개폐 및 절환용 로터리스위치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전달축(7)을 매개하여 기초판(8) 상에 형성된 로터리스위치(1)는 전술한 종래기술과 동일하다.
또한, 물결형상의 굴곡이 형성된 판스프링(10)이 상기 스위치(1)의 좌우에 나란히 2개 설치된다. 상기 기초판(8)에는 계합홈(6)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0)의 양단(兩端)이 걸리게 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1)가 작동하기 전에는, 상기 스위치중심(A)을 향한 상기 판스프링(10)의 볼록부가 상기 스위치(1)의 2개의 산(9,9)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10)은 탄력이 있어서 일정 하중으로 볼록한 부분을 누르면 밀려 들어가고 하중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되돌아 오게 되어 있다.
전원을 개폐하고 절환하기 위해 스위치(1)가 작용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스위치(1)에 회전하중을 가하면 산(9)이 판스프링(10)의 볼록부를 누르게 되고, 자연스럽게 판스프링(10)을 타고 넘어가게 된다. 산(9) 1개가 볼록부를 완전히 타고 넘으면, 눌려졌던 판스프링(10) 볼록부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면서 다음 위치의 이웃하는 2개의 산(9,9)에 접촉하면서 멈추게 된다. 따라서, 등간격의 단속적 회전이 가능하고 전원 개폐 및 절환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로터리스위치(1) 및 물결형상 판스프링(2)의 단순구성에 의해 요구되는 전원 개폐 및 절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기술에 비하여 매우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립하기가 용이하고 작업공수가 줄어들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고장발생의 확률이 감소되어 보수비용이 절감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전원 개폐 및 절환용 로터리스위치 구조에 있어서,
    기초판(8)에 전달축(7)을 매개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로터리스위치(1)와,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스위치(1)의 좌우에 1 개씩 설치되어 있고, 양단(兩端)이 상기 기초판(8)의 계합홈(6)에 지지되어 있으며, 단면(斷面)이 물결형상의 굴곡을 가지고 있되 스위치중심(A)을 향한 볼록부가 상기 스위치(1)의 이웃하는 2개의 산(9,9)과 접촉되는 2개의 판스프링(10)으로 초기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개폐 및 절환용 로터리스위치의 구조.
KR2019990027442U 1999-12-08 1999-12-08 전원 개폐 및 절환용 로터리스위치 구조 KR200182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442U KR200182293Y1 (ko) 1999-12-08 1999-12-08 전원 개폐 및 절환용 로터리스위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442U KR200182293Y1 (ko) 1999-12-08 1999-12-08 전원 개폐 및 절환용 로터리스위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293Y1 true KR200182293Y1 (ko) 2000-05-15

Family

ID=19600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442U KR200182293Y1 (ko) 1999-12-08 1999-12-08 전원 개폐 및 절환용 로터리스위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2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59174A1 (en) A circuit breaker with movable main contact multi-force-level biasing element
KR19990088051A (ko) 전기절환장치
US5841085A (en) Press-button switching device with spring-biased bridge-forming contact
US11177085B2 (en) Slowing mechanism for switching apparatus and switching apparatus
US6538553B2 (en) Switching element for electric switch
KR200182293Y1 (ko) 전원 개폐 및 절환용 로터리스위치 구조
JPH09147709A (ja) スイッチ装置
US2648731A (en) Quiet snap switch
US5909020A (en) Switching device for connections between electric circuits
JP4173006B2 (ja) 開閉接触子装置
US6604277B2 (en) Method for locking contacts in automatic transfer switch
JP3935965B2 (ja) モジュラ電気スイッチ
WO2003016204A1 (fr) Actionneur et commutateur
US4091247A (en) Double pole-double throw switch
CN113838686A (zh) 动触头压力保持机构和双电源转换开关
CN113628915B (zh) 翘板组件及翘板开关
EP1387377B1 (en) Modular disconnector with snap closing mechanism
CN213459533U (zh) 开关装置
KR950003274B1 (ko) 진공차단기의 접점구동장치
KR19990001691A (ko) 오븐버너 점화장치의 스위치 구조
CN215770982U (zh) 辅助开关装置及具有其的断路器
KR100327243B1 (ko) 전원 차단장치
CN215834480U (zh) 辅助开关装置和断路器装置
CN219226207U (zh) 动触头单元和断路器
US5663540A (en) Double pivot point overtravel switch actu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