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1834A - 주차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주차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1834A
KR20000031834A KR1019980048064A KR19980048064A KR20000031834A KR 20000031834 A KR20000031834 A KR 20000031834A KR 1019980048064 A KR1019980048064 A KR 1019980048064A KR 19980048064 A KR19980048064 A KR 19980048064A KR 20000031834 A KR20000031834 A KR 20000031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sensor
vehicle
parking
alarm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8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48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1834A/ko
Publication of KR20000031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83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2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5Predicting travel path or likelihood of collision
    • B60W30/0956Predicting travel path or likelihood of collision the prediction being responsive to traffic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3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5/931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8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 B60Y2300/095Predicting travel path or likelihood of collision
    • B60Y2300/0954Predicting travel path or likelihood of collision the prediction being responsive to traffic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주차경보장치는 운행을 종료한 후 자동차를 주차할 때 자동차와 가까운 거리에 있는 전후방의 물체를 감지하여 자동차가 일정거리 이내로 근접할 때 인접 물체와의 거리를 표시함과 동시에 경보음을 출력함으로써 안전한 주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현재의 기어상태를 감지하는 기어 센서와, 자동차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복수개 설치되어 인접된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와, 현재 주행중인 자동차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이동거리 센서와, 현재 주행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주차경보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작동 스위치와, 기어 센서에서 입력된 현재의 기어상태가 후진기어 상태인 경우 자동으로 주차경보장치를 작동시켜 자동차의 후방관련 센서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작동 스위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주차경보장치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기어 센서에서 입력되는 현재의 기어상태를 판단하여 전방 또는 후방관련 센서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동거리 센서와 차속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사전에 설정된 이동거리 이하이고 사전에 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통해 인접된 물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며, 측정된 거리가 사전에 설정된 경보거리 이내인 경우 운전자에게 경보하기 위한 경보음 발생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운전자가 물체와의 거리를 알 수 있도록 거리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출력된 경보음 발생신호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발생부와, 제어부에서 출력된 거리표시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차와 물체간의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를 주차할 때 자동차의 기어상태, 현재속도, 이동거리 등에 따라 주차경보장치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주차시 인접한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근접거리에 있는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경보함과 동시에 인접 물체와의 거리를 표시해 줌으로써 운전자가 손쉽게 주차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주차시 발생되는 자동차간의 접촉사고 등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차경보장치
본 발명은 주차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운행을 종료한 후 자동차를 주차할 때 자동차와 가까운 거리에 있는 전후방의 물체를 감지하여 자동차가 일정거리 이내로 근접할 때 인접 물체와의 거리를 표시함과 동시에 경보음을 출력함으로써 안전한 주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발전되어 온 기계 및 전자기술 등이 총체적으로 집약된 것으로서, 최근 생활의 윤택함과 더불어 시시각각으로 크게 변화되는 환경에 발맞추어 원활한 업무, 일상 생활의 편리, 여가 활용 등을 위해 보급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자동차의 운행시 또는 운행을 종료한 후에는 일정 공간에 주차하게 되는데, 이때 운전자가 운전미숙 등의 실수로 다른 자동차 등의 물체와 접촉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차시 자동차와 가까운 주변 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충돌의 염려가 높은 거리 이내로 되는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경보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경보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차경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는 송수신 일체형 센서로서 자동차 후방의 일정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후술되는 제어부(2)에서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감지신호를 제어부(2)로 출력한다.
제어부(2)는 운전자에 의해 후진기어상태로 되면 센서(1)가 작동되도록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센서(1)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에 의해 자동차의 후방에 물체가 있는지를 판단하며, 자동차 후방에 물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음 발생신호를 후술되는 경보음 발생부(3)로 출력한다.
경보음 발생부(3)는 제어부(2)에서 출력된 경보음 발생신호에 따라 자동차에 구비된 스피커(4)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주차경보장치의 작용을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주차경보장치의 흐름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제어부(2)에서 운전자가 자동차의 운행을 종료한 후 주차시키기 위해 기어의 위치를 후진상태로 하는지를 판단하여(S1), 후진기어 위치에 있는 경우 센서(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제어신호가 출력된다(S2).
이와 같이 제어부(2)에서 구동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센서(1)에서는 자동차의 후방에 물체가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물체에 의해 반사된 감지신호를 제어부(2)로 출력한다(S3).
이에 따라 제어부(2)에서는 센서(1)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통해 자동차의 후방에 물체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4).
판단결과 자동차의 후방에 물체가 감지되면 이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 제어부(2)에서 경보음 발생부(3)로 경보음 발생신호가 출력되고(S5), 경보음 발생부(3)에서는 제어부(2)에서 출력된 경보음 발생신호에 따라 자동차에 구비된 스피커(4)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게 된다(S6).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주차경보장치는 단순히 자동차의 후방에 대한 경고만을 수행할 뿐 자동차의 전방이나 코너에 있는 물체를 감지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속도, 이동거리에 따라 주차경보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인접 물체와의 거리를 계산하고 이를 표시해 주는 장치가 없었기 때문에 주차경보장치의 효율이 크게 감소됨은 물론 후방에 물체가 감지되면 인접된 물체와 충돌위험이 있는 위험거리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항상 경보음이 출력되기 때문에 오히려 운전자에게 혼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행을 종료한 후 자동차를 주차할 때 자동차와 가까운 거리에 있는 전후방의 물체를 감지하여 자동차가 일정거리 이내로 근접할 때 인접 물체와의 거리를 표시함과 동시에 경보음을 출력함으로써 안전한 주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경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차경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주차경보장치의 흐름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경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경보장치의 흐름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기어 센서 20 : 센서
30 : 이동거리 센서 40 : 차속 센서
50 : 작동 스위치 60 : 제어부
70 : 경보음 발생부 80 : 표시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경보장치는 현재의 기어상태를 감지하는 기어 센서와, 자동차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복수개 설치되어 인접된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와, 현재 주행중인 자동차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이동거리 센서와, 현재 주행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주차경보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작동 스위치와, 기어 센서에서 입력된 현재의 기어상태가 후진기어 상태인 경우 자동으로 주차경보장치를 작동시켜 자동차의 후방관련 센서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작동 스위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주차경보장치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기어 센서에서 입력되는 현재의 기어상태를 판단하여 전방 또는 후방관련 센서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동거리 센서와 차속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사전에 설정된 이동거리 이하이고 사전에 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통해 인접된 물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며, 측정된 거리가 사전에 설정된 경보거리 이내인 경우 운전자에게 경보하기 위한 경보음 발생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운전자가 물체와의 거리를 알 수 있도록 거리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출력된 경보음 발생신호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발생부와, 제어부에서 출력된 거리표시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차와 물체간의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차경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경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기어 센서(10)는 현재 자동차의 기어상태를 감지하여 후술되는 제어부(60)로 출력한다.
센서(20)는 송수신 일체형 센서로서 자동차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복수개씩 설치되어 있으며, 후술되는 제어부(60)에서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한다.
이동거리 센서(30)는 현재 주행중인 자동차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후술되는 제어부(60)로 출력한다.
차속 센서(40)는 현재 주행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후술되는 제어부(60)로 출력한다.
작동 스위치(5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주차경보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로서, 자동차의 속도가 일정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주차경보장치가 작동되지 않는다.
제어부(60)는 기어 센서(10)에서 입력된 현재의 기어상태가 후진기어 상태인 경우에는 자동으로 주차경보장치를 작동시켜 자동차의 후방관련 센서(20)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작동 스위치(5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주차경보장치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기어 센서(10)에서 입력되는 현재의 기어상태를 판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 또는 후방관련 센서(20)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60)는 주차경보장치가 작동되면 이동거리 센서(30)와 차속 센서(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단하여 사전에 설정된 속도 이하이고 사전에 설정된 이동거리 이하인 경우 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통해 자동차와 인접된 물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가 사전에 설정된 경보거리 이내인 경우 운전자에게 경보하기 위한 경보음 발생신호를 후술되는 경보음 발생부(70)로 출력하며, 운전자가 물체와의 거리를 알 수 있도록 거리표시 제어신호를 후술되는 표시부(80)로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60)는 주차경보장치 동작중 이동거리 센서(30)에서 감지된 이동거리가 설정거리 이상이거나 차속 센서(40)에서 감지된 자동차의 속도가 설정속도(예를 들어, 20Km/H) 이상인 경우,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 스위치(50)가 오프되는 경우에는 주차경보장치를 오프시킨다.
경보음 발생부(70)는 제어부(60)에서 출력된 경보음 발생신호에 따라 자동차에 구비된 스피커(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경보음을 출력한다.
이때 경보음 발생부(70)에서 출력되는 경보음은 자동차의 전방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전방 스피커를 통해, 그리고 자동차의 후방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후방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어 운전자가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경보음 발생부(7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운전자가 보다 빨리 인지할 수 있도록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단계적으로 경보음의 간격이나 음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표시부(80)는 제어부(60)에서 출력된 거리표시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차와 물체간의 거리를 표시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주차경보장치의 작용을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경보장치의 흐름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제어부(60)는 기어 센서(10)를 통해 현재 기어가 전진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10).
판단 결과 전진기어 상태인 경우 주차경보장치는 파워 오프 상태를 유지하며(S20), 후진기어 상태인 경우에는 자동으로 주차경보장치가 작동된다(후술되는 단계 S90, S100 참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주차경보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작동 스위치(50)를 조작하는지를 판단하고(S30), 작동 스위치(50)가 온 되면 제어부(60)에서는 차속 센서(40)에서 입력되는 자동차의 속도가 사전에 설정된 속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며(S40), 차속이 설정 속도 이하인 경우에는 이동거리 센서(30)에서 입력되는 이동거리신호가 설정된 이동거리 이하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50).
이때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동작 스위치(50)는 자동차의 속도가 설정 속도 이상인 경우, 또는 설정 이동거리 이상인 경우에는 작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술한 단계(S40)(S50)의 판단 결과 자동차 속도가 설정 속도 이하이고 이동거리도 설정 이동거리 이하인 경우에는 주차경보장치가 작동되고, 제어부(60)에서는 현재의 기어 상태를 판단한다(S60).
판단결과 전진 기어인 경우 제어부(60)에서 전진관련 센서(20)로 구동제어신호가 출력되고(S70), 이에 따라 구동되는 센서(20)의 인접 물체 감지신호가 제어부(60)로 입력된다(S80).
그러나 상술한 단계(S60)의 판단 결과 후진 기어인 경우 제어부(60)에서 전진관련 센서(20)로 구동제어신호가 출력되고(S90), 이에 따라 구동되는 센서(20)의 인접 물체 감지신호가 제어부(60)로 입력된다(S100).
이제 제어부(60)에서는 센서(20)에서 인가된 감지신호를 통해 자동차와 인접된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한다(S110).
이때 제어부(60)에서 인접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때에는 센서(20)에서 외부로 발신된 초음파가 외부 물체에 반사되어 재입력되는 반사파의 도달시간을 이용하여 측정하게 된다.
이렇게 제어부(60)에서 측정된 거리는 표시부(80)를 통해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숫자 또는 문자로 표시된다(S120).
그리고 제어부(60)에서 측정된 인접 물체와의 거리는 사전에 설정된 경보거리와 비교하여 설정 경보거리 이내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130).
판단 결과 측정된 거리가 설정된 경보거리 이내인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전방 또는 후방에 인접 물체가 있음을 경고하도록 제어부(60)에서 경보음 발생부(70)로 경보음 발생신호가 출력되고, 이 경보음 발생신호에 따라 경보음 발생부(70)에서 스피커로 경고음이 출력된다(S140).
즉 전방의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자동차의 앞쪽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이 출력되며, 후방의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자동차의 뒤쪽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이 출력되어 운전자가 인접된 물체의 위치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경보음 발생부(70)에서 스피커로 출력되는 경보음은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인접 물체와의 거리에 비례하여 단계적으로 경보음의 간격이나 음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표시부(80)를 통해 나타나는 거리와 경보음 발생부(70)를 통해 출력되는 경보음에 따라 인접된 물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자동차를 조심스럽게 조작하여 주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주차경보장치에 의하면, 자동차를 주차할 때 자동차의 기어상태, 현재속도, 이동거리 등에 따라 주차경보장치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주차시 인접한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근접거리에 있는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경보함과 동시에 인접 물체와의 거리를 표시해 줌으로써 운전자가 손쉽게 주차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주차시 발생되는 자동차간의 접촉사고 등을 크게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현재의 기어상태를 감지하는 기어 센서;
    자동차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복수개 설치되어 인접된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
    현재 주행중인 자동차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이동거리 센서;
    현재 주행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주차경보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작동 스위치;
    상기 기어 센서에서 입력된 현재의 기어상태가 후진기어 상태인 경우 자동으로 주차경보장치를 작동시켜 자동차의 후방관련 센서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작동 스위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주차경보장치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기어 센서에서 입력되는 현재의 기어상태를 판단하여 전방 또는 후방관련 센서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이동거리 센서와 차속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사전에 설정된 이동거리 이하이고 사전에 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통해 인접된 물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며, 측정된 거리가 사전에 설정된 경보거리 이내인 경우 운전자에게 경보하기 위한 경보음 발생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운전자가 물체와의 거리를 알 수 있도록 거리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경보음 발생신호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발생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거리표시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차와 물체간의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경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차경보장치 동작중 상기 이동거리 센서에서 감지된 이동거리가 설정거리 이상이거나 차속 센서에서 감지된 자동차의 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인 경우 자동으로 주차경보장치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경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음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경보음은;
    자동차의 전방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전방 스피커를 통해, 그리고 자동차의 후방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는 후방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경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음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경보음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인접 물체와의 거리에 비례하여 단계적으로 경보음의 간격이나 음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경보장치.
KR1019980048064A 1998-11-10 1998-11-10 주차경보장치 KR20000031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064A KR20000031834A (ko) 1998-11-10 1998-11-10 주차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064A KR20000031834A (ko) 1998-11-10 1998-11-10 주차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834A true KR20000031834A (ko) 2000-06-05

Family

ID=1955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8064A KR20000031834A (ko) 1998-11-10 1998-11-10 주차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18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089B1 (ko) * 2013-09-04 2015-02-04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주차 보조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089B1 (ko) * 2013-09-04 2015-02-04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주차 보조 장치 및 방법
CN104417548B (zh) * 2013-09-04 2017-04-12 株式会社万都 停车辅助装置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60717A1 (en) Radar sensor platform
EP31335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ision warning
KR20180110909A (ko) 차량 충돌 방지 경보 장치
JPH1166496A (ja) 前方警報装置
KR20140078872A (ko) 차량의 통합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00031834A (ko) 주차경보장치
KR20040035149A (ko) 차량의 전방 장애물 식별장치
KR20040035143A (ko) 차량의 전후측방 감시장치
KR100204775B1 (ko) 자동차 후진시 장애물 경고장치
KR20000031835A (ko) 주차경보장치의 감지거리 최소화방법
KR0184815B1 (ko)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JP2005343426A (ja) 障害物検出装置
KR100523573B1 (ko) 차량의 차선이탈 경보장치
KR100277334B1 (ko) 자동차 후진시 장애물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774207B2 (ja) 車間距離表示装置
KR200262478Y1 (ko) 차량의 사각지대 안전경보장치
JP2006044295A (ja) 車両用警報装置
KR20030017851A (ko) 자동차의 후방차량 감지장치
KR20050036493A (ko) 차량의 전/후방 장애물 감지장치
KR200263003Y1 (ko) 후방물체의 감지에 의한 자동차용 도어 잠김 장치
KR20040053984A (ko) 차량의 장애물 감지 장치 및 방법
KR19980013240U (ko) 후방장애물 거리감지확인 경보장치
KR100213754B1 (ko) 차간거리 및 장애물 위치가 표시되는 차량용 시계
KR0143848B1 (ko) 자동차의 후진시 돌발물 경고방법
KR0161228B1 (ko) 물체와의 거리표시기능을 가진 자동차의 감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