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9375A - 크롤러 크레인 - Google Patents

크롤러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9375A
KR20000029375A KR1019990047094A KR19990047094A KR20000029375A KR 20000029375 A KR20000029375 A KR 20000029375A KR 1019990047094 A KR1019990047094 A KR 1019990047094A KR 19990047094 A KR19990047094 A KR 19990047094A KR 20000029375 A KR20000029375 A KR 20000029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inding drum
main winding
auxiliary winding
crawler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6545B1 (ko
Inventor
고바야시유타카
요코야마쇼조
Original Assignee
모리와키 츠구토
코벨코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798858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0002937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와키 츠구토, 코벨코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와키 츠구토
Publication of KR20000029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주 감기드럼, 보조 감기드럼 및 제3 드럼에 각각 구동용의 압유를 공급하는 파워플랜트를 포함하는 엔진을 선회 프레임의 좌우 어느 한 측면쪽에 탑재하고, 또한, 주 감기드럼, 보조 감기드럼 및 제3 드럼의 후부에, 앞면이 오목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한 카운터 웨이트를 탑재하여 오목부내에 붐 기복드럼을 설치하여, 상기 주 감기드럼 및 상기 보조 감기드럼과 동일 또는 그 이상의 크기의 제3 드럼이 상기 선회 프레임상에 탑재 가능하게 되므로 다용도 작업에도 대응 가능한 크롤러 크레인이 제공가능하다.

Description

크롤러 크레인{CRAWLER CRANE}
본 발명은, 다용도 작업에 대응 가능한 크롤러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도 9, 도 10은, 종래의 크롤러 크레인(51)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크롤러 크레인(51)에서는, 좌우에 주행용 크롤러(52)를 구비한 주행대(53)상에, 강체의 선회 프레임(54)이 선회 자유롭게 탑재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54)상의 선단부에는, 작업용의 붐(55)이 전후방향으로 요동 자유롭게 부착되고, 붐(55)의 후부에는, 선회장치(56), 주 감기(제1)드럼(57), 보조감기(제2)드럼(58), 제3 드럼(59)이 일렬로 배열 설치되어, 각각의 작업용 로프의 감기를 하게 되어 있다. 제3 드럼(59)의 후부에는, 엔진(60)이 배열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유압펌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파워 플랜트를 구동하여 각각의 드럼에 압유를 공급함과 동시에, 선회 및 주행용의 구동력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엔진(60)의 후부, 즉 선회 프레임(54)상의 후단부에는, 전도(轉倒)방지용의 카운터 웨이트(61)가 탑재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61)의 형상은, 앞면이 엔진(60)과 간섭하지 않도록 편평하게 되어 있다. 한편, 선회 프레임(54)의 전방을 향하여 좌측으로 뻗어 나온 프레임상에는, 붐 기복드럼(62)이 배열 설치되어, 붐(55)의 기복용 로프의 감기를 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선회 프레임(54)의 전방을 향해서 우측으로 뻗어 나온 프레임상에는, 운전실(63)이 설치된다.
또한, 도 11(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드럼은 어느 것이나 드럼 측면에 부착된 건식 브레이크(64)에 의해서 제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크롤러 크레인(51)은 예를 들면 표준 크레인작업, 고중량 파지작업, 다중벽버킷(유압식)작업, 다중벽버킷(기계식)작업, 지반드릴작업, 굴착 및 말뚝박기작업, 검층작업, 연속지하벽 만들기작업, 구멍내로 박기작업 등의 각종 작업을 위해 이용된다. 이들의 작업에 수반하여, 현수 하물, 버킷의 상하운동은, 표준 장비인 주 감기드럼(57), 보조 감기드럼(58)의 감아올림, 풀림 작업에 의해서 행하여 진다. 이에 대하여, 제3 드럼(59)은, 선택 장비이고, 이에 의해, 고중량 파지작업에서의 케이싱 잭 핸들링, 진동작업에서의 진동 부위 끌어당기기, 바지(vessel) 상 작업에서의 크레인 작업 등이 이루어진다. 바지 상 작업에서는, 주 감기드럼(57)은 크램셸버킷 개폐용으로, 보조 감기드럼(58)은 크램셸버킷 지지용으로 사용하고, 제3 드럼(59)은 테트라(tetra) 등의 설치 크레인 작업용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크롤러 크레인에서는, 작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작은 후단 선회 반경을 만족시키는 한편, 로프 감기용량이 큰 광폭 드럼을 탑재할 필요가 있다는 본체 레이아웃상의 제약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크롤러 크레인(51)의 구성에서는, 제3 드럼(59)을 선택 장비할 때, 상기 본체 레이아웃상, 주 감기드럼(57) 및 보조 감기드럼(58) 보다도 소형의 제3 드럼(59)밖에 조립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제3 드럼(59)의 로프의 감아 넣는 양의 제한에의해 로프 직경이 작아, 매달아 올리는 작업시에 여러개의 걸기로 할 필요가 있고, 또한, 매달아 올리는 능력에도 제약이 있다. 따라서, 작업 용도에 맞춰서 드럼을 사용할 때, 제3 드럼(59)은 크롤러 크레인의 작업 용도에 상당한 제약을 주고 있었다.
또한, 도 12,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60)을 선회 프레임(54)의 측면에 배열 설치한 예(크롤러 크레인(51'))도 있지만, 굴착 작업 등에서 요구되는 큰 브레이크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도 14(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의 건식 브레이크(64')가 2중 장비되어 있고, 이 경우도 역시 소형의 제3 드럼(59)밖에 조립할 수 없었다. 또한, 도 12 ∼ 도 14b에 있어서의 그 밖의 구성은 상기한 예(크롤러 크레인(51))와 마찬가지이고, 각각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구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다용도 작업에 대응 가능한 크롤러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크롤러 크레인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크롤러 크레인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크롤러 크레인의 주 감기드럼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크롤러 크레인의 개략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 1에 따라 크롤러 크레인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 2에 따라 크롤러 크레인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 3에 따라 크롤러 크레인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 4에 따라 크롤러 크레인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크롤러 크레인의 일예에 따라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크롤러 크레인의 일예에 따라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a 및 11b는 종래의 크롤러 크레인의 일예에 따라 각각의 주 감기드럼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크롤러 크레인의 또 하나의 예에 따라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는 종래의 크롤러 크레인의 또 하나의 예에 따라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14a 및 14b는 종래의 크롤러 크레인의 또 하나의 예에 따라 각각의 주 감기드럼의 부분확대도이다.
제 1의 발명은, 선회 프레임; 상기 선회 프레임 상에 탑재되어 작동용 로프를 감고 있고, 회전축들이 붐의 중심 축선에 직교하여 상기 선회 프레임상에 탑재되도록 각각이 일렬로 배열 설치된 주 감기드럼, 보조 감기드럼 및 제3 드럼; 구동용의 압유를 상기 주 감기드럼, 상기 보조 감기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에 공급하는 파워 플랜트를 포함하는 엔진(상기 선회 프레임의 좌우 어느 한 측면쪽에 탑재된 상기 엔진); 앞면이 오목면으로 형성된 오목부를 갖는 카운터 웨이트(상기 주 감기드럼, 상기 보조 감기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의 후부에 탑재된 상기 카운터 웨이트); 그리고 상기 오목부 내에 설치한 붐 부대장치를 구비하는 크롤러 크레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드럼의 브레이크 형식의 여하를 불문하고, 상기 주 감기드럼 및 보조 감기드럼과 동일 또는 그 이상의 크기의 제3 드럼이 상기 선회 프레임상에 탑재 가능해지기 때문에, 제3 드럼에도 주 감기드럼 및 보조 감기드럼과 동일 또는 그 이상의 매달아 올리는 능력이 얻어지고, 사용자에 의한 다용도 작업에서의 드럼 선택도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 장치에서는 제3 드럼에 의한 매달아 올리는 작업을 여러개의 걸기로 행하고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3 드럼의 로프의 감아 넣는 양이 커지고, 제3 드럼의 로프 직경을 굵게 하여 그 걸기 수량을 줄여서 작업할 수가 있게 되므로, 작업 속도가 향상하고, 또한, 로프의 감아 넣는 작업도 쉬워진다. 또한, 제3 드럼에서도 주 감기드럼 및 보조 감기드럼과 같이 풀림 자유낙하 할 수 있도록 되기때문에, 작업효율이 향상하고, 다용도 작업에도 대응 가능해진다.
제 2의 발명은, 선회 프레임; 상기 선회 프레임 상에 탑재되어 작동용 로프를 감고 있고, 회전축들이 붐의 중심 축선에 직교하여 상기 선회 프레임상에 탑재되도록 각각이 일렬로 배열 설치된 주 감기드럼, 보조 감기드럼 및 제3 드럼; 구동용의 압유를 상기 주 감기드럼, 상기 보조 감기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에 공급하는 파워 플랜트를 포함하는 엔진; 그리고 상기 주 감기드럼, 상기 보조 감기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을 각각 제동하기 위하여 상기 각 드럼에 배치되는 내장형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크롤러 크레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카운터 웨이트의 형상의 여하를 불문하고, 상기 주 감기드럼 및 보조 감기드럼과 동일 또는 그 이상의 크기의 제3 드럼이 상기 선회 프레임상에 탑재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제 1의 발명과 같이, 제3 드럼에도 주 감기드럼 및 보조 감기드럼과 동일 또는 그 이상의 매달아 올리는 능력이 얻어지고, 사용자에 의한 다용도 작업에서의 드럼 선택도 가능해진다.
제3의 발명은, 상기 제 1, 2의 발명을 조합시켜 적용한 것이며, 따라서, 본 제3의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승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예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크롤러 크레인(이하, 단지 "크롤러 크레인"이라고 한다.)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크롤러 크레인(1)은, 선회 프레임(2)상에, 작업용 로프를 각각 감는 주 감기드럼(3), 보조 감기드럼(4) 및 제3 드럼(5)을, 각각의 회전축이 붐(6)의 중심축선과 직각이 되도록 일렬로 배열 설치하여 탑재한 점에서는 종래예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크롤러 크레인(1)에서는, ① 주 감기드럼(3), 보조 감기드럼(4) 및 제3 드럼(5)에 각각 구동용의 압유를 공급하는 파워 플랜트를 포함하는 엔진(7)을 선회 프레임(2)의 좌우 어느 한 측면쪽에 탑재하고; ② 이들의 주 감기드럼(3), 보조 감기드럼(4) 및 제3 드럼(5)의 후부에, 앞면이 오목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한 카운터 웨이트(8)를 탑재하여 이 오목부 내에 붐 부대장치를 설치하고; 그리고 ③ 이들의 주 감기드럼(3), 보조 감기드럼(4) 및 제3 드럼(5)을 제동하는 드럼 내장형 브레이크(9)를 각각의 드럼에 장비하고 있는 점에서 종래예와 다르다. 또한, 본 크롤러 크레인(1)은, 상기 ①과 ②의 조합, 또는, ①과 ③의 조합(이 경우는 카운터 웨이트(8)의 앞면은 편평한 형상 등 무엇이나 좋다)의 것이라도 좋고, 그 경우도 종래예와 다르지만, 여기서는, 주로 상기와 같이 ①과 ②와 ③의 조합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도 2는, 크롤러 크레인(1)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본 크롤러 크레인(1)에서는, 좌우에 주행용 크롤러(10)를 구비한 주행대(11)상에, 선회 프레임(2)이 선회 자유롭게 탑재되어 있다. 본 크롤러 크레인(1)의 선회 프레임(2)은, 그 측면 좌우 세로판을 베이스로 한 상자구조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2)상의 선단부에는, 작업용의 붐(6)이 전후 방향으로 요동 자유롭게 부착되고, 붐(6)의 후부에는, 선회장치(12), 주 감기(제 1)드럼(3), 보조감기(제 2)드럼(4), 제 3 드럼(5)이 일렬로 배열 설치되어, 각각의 작업용 로프의 감기를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크롤러 크레인(1)에서는, 엔진(7)이 선회 프레임(2)의 전방을 향하여 좌측으로 뻗어 나온 프레임상에 배열 설치하였다. 이 엔진(7)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유압펌프등으로 이루어지는 파워 프랜트를 구동하여 각각의 드럼에 압유를 공급함과 동시에, 선회 및 주행용의 구동력도 공급한다. 이러한 엔진(7)의 배열 설치에 의해, 선회 프레임(2)상에 스페이스가 생긴다. 그러나, 단순히 엔진(7)을 옆에 놓은 것만으로는, 종래 거기에 배열 설치되어 있던 붐 부대장치인 붐 기복용 드럼(13)과 엔진(7)이 간섭해서, 그와 같은 배열 설치는 실현 불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본 크롤러 크레인(1)에서는, 선회 프레임(2)상의 후단부에 탑재되어 있는 전도 방지용의 카운터 웨이트(8)의 형상을, 앞면이 오목면형상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 오목부내에, 붐 기복용드럼(13)을 끼우도록 배열 설치하고, 붐(6)의 기복용 로프의 감기를 하도록 하였다. 이 카운터 웨이트(8)의 형상에 의해, 제3 드럼(5)의 후부에 붐 기복용 드럼(13)을 탑재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붐 기복용드럼(13)과 엔진(7)이 간섭하는 일이 없게 되고, 엔진(7)을 선회 프레임(2)의 좌측으로 뻗어 나온 프레임상에 쉽게 배열 설치할 수가 있었다.
그 결과, 선회 프레임(2)상에, 예를 들면 동일 형상의 주 감기드럼(3), 보조 감기드럼(4) 및 제3 드럼(5)은, 각각의 회전축이 붐(6)의 중심축선과 직각이 되도록 일렬로 탑재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동등 크레인류와 동등 선회 후단반경에 대한 제약들 속에서, 풀림 자유낙하 기능을 가진 동일한 감아올림 윈치드럼의 3개 탑재가 가능해지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하고, 작업 용도를 다양화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선회 프레임(2)의 전방을 향하여 우측으로 뻗어 나온 프레임상에는, 운전실(14)이 설치되고, 여기서 작업자가 각종의 조작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크롤러 크레인(1)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드럼은 어느 것이나 드럼 내장형의 습식 브레이크(15)에 의해서 제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습식 브레이크는, 예를 들어 다판 디스크 타입의 브레이크에 압유를 공급하여 제동 시의 발산 열량을 제거하는 것이다. 감속기도 예를 들어 유성기어를 이용한 드럼 내장형의 것을 채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림 등의 뻗어 나온 부분이 없어져서, 엔진(7)의 횡 배열 설치가 가능해진다. 그 결과, 선회 프레임(2)상에 스페이스가 생기고, 선회 프레임(2) 상에, 동일형상의 주 감기드럼(3), 보조 감기드럼(4) 및 제3 드럼(5)이, 각각의 회전축선이 붐(6)의 중심축선과 직각이 되도록 일렬로 탑재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동등 크레인류와 동등 선회 후단반경에 대한 제약들 속에서, 풀림 자유낙하 기능을 가진 동일한 감아올림 윈치드럼의 3개 탑재가 가능해지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하고, 작업 용도를 다양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드럼폭을 종래예 보다도 넓게 취할 수 있게 되므로, 감는 용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버킷작업 시에 감아올림 드럼에서의 원활한 작업이 가능하여, 로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었다. 이와 함께, 브레이크 주위의 조립, 보수 유지 스페이스가 불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점에서도 동등 크레인류와 동등 선회 후단 반경에 대한 제약들 속에서, 풀림 자유낙하 기능을 가진 동일 감아올림 윈치드럼의 3개 탑재가 가능해지고, 작업 효율의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었다. 단지, 종래예와 마찬가지의 건식 브레이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크롤러 크레인(1)에서는, 각각의 드럼을 선회 프레임(2)상에 도시하지 않은 핀 고정 부분으로 고정함으로써, 각각의 드럼을 선회 프레임(2)상에 탈착 자유롭게 탑재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각각의 드럼의 부착 위치가 임의로 얻어지고, 작업에 따라서 드럼 플랜지 직경이 큰 드럼을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드럼의 조립, 분해가 더욱 용이해지고, 그 결과, 선회 프레임(2)의 형상이 간소화되어 그 제작비용의 절감도 도모할 수가 있었다. 단,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볼트 고정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엔진(7)을 선회 프레임(2)의 전방을 향하여 우측으로 뻗어 나온 프레임상에 배열 설치해도 좋고, 그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단, 그 경우에는, 운전실(14)을 선회 프레임(2)의 좌측으로 뻗어 나온 프레임상에 배열 설치하는 것이 된다.
이하, 본 크롤러 크레인(1)의 동작예에 관하여 개략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올 케이싱 작업(전 선회 굴착)에 있어서, 본 크롤러 크레인(1)에서는, 주 감기드럼(3)에 의한 크라운 조작에 의해 해머그래브의 개폐를 행하고, 보조 감기드럼(4)에 의해 해머그래브의 지지를 행한다. 그리고, 제3 드럼(5)에 의해 케이싱 잭의 매달기 작업 등의 동반 작업을 행한다. 이러한 각각의 드럼의 협동 작업에 의해, 케이싱 잭을 설치하고, 케이싱의 세워 넣기를 하여, 케이싱 잭으로 케이싱을 회전·압입시키면서, 해머그래브로 케이싱내를 굴착하여 기둥 구멍을 만들고, 콘크리트를 흘려 넣어, 기둥을 조성할 수가 있다. 즉, 이들의 일련의 작업에 있어서, 본 크롤러 크레인(1)에서는, 굴착 작업을 주 감기드럼(3) 및 보조 감기드럼(4)에 의해 실시하고, 중량물의 핸들링은, 주 감기드럼 및 보조 감기드럼과 같은 사이즈의 제3 드럼(5)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드럼에 의한 작업에 이용되는 로프 직경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걸기 수량이 적어도 되고, 현수 하물의 상하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광폭 드럼이므로, 버킷작업 시 감는 수를 적게 할 수 있어, 로프의 소모가 적어진다. 또한, 동일 사이즈의 드럼을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작업용도에 맞춰서 임의의 드럼을 주 감기드럼, 보조 감기드럼 또는 제3 드럼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동일 감아올림 윈치력, 동일 감아올림 속도, 동일 브레이크력이 얻어지고, 또한, 동일 로프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드럼이 고장나더라도, 긴급 대책으로써 다른 드럼을 사용하여 작업을 속행할 수가 있다. 물론, 각각의 드럼에 의한 풀림 자유낙하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그 밖의 변형예를 도 5 ∼ 도 8에 도시했다. 예를 들어 도 5는, 각각의 드럼에 건식 더블 브레이크를 장비하고, 또한, 각각의 드럼을 볼트 고정한 것, 도 6은, 각각의 드럼에 습식 브레이크를 장비하고, 또한, 각각의 드럼을 핀 고정한 것, 도 7은, 각각의 드럼에 습식 브레이크를 장비하고, 동시에, 엔진을 좌측에 탑재한 것, 도 8은, 각각의 드럼에 습식 브레이크를 장비하고 , 또한, 엔진을 우측에 탑재한 것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들의 도면에서와 같이, 동일 형상의 주 감기드럼(3), 보조 감기드럼(4) 및 제3 드럼(5)을 일렬로 배열 설치하여 탑재하고, 또한 소형의 제3 드럼(15)을 탑재할 수도 있다. 그 밖의 부호는, 도 1과 마찬가지의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지 탑재형의 크레인에도 응용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 감기드럼 및 보조 감기드럼과 동일 또는 그 이상의 크기의 제3 드럼이 상기 선회 프레임상에 탑재 가능하게 되므로, 제3 드럼에도 주 감기드럼 및 보조 감기드럼과 동일 또는 그 이상의 매달아 올리는 능력이 얻어지고, 사용자에 의한 다용도 작업에서의 드럼 선택도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예에서는 제3 드럼에서의 매달아 올리는 작업을 여러 개의 걸기로 행하고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3 드럼의 로프의 감아 넣는 양이 커지고, 제3 드럼의 로프 직경을 굵게 하여 그 걸기 갯수를 줄여서 작업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향상하고, 동시에, 로프의 감아 넣는 작업도 용이해진다. 또한, 제3 드럼에서도 주 감기드럼 및 보조 감기드럼과 같이 풀림 자유낙하를 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하고, 다용도 작업에도 대응 가능하게 된다.

Claims (8)

  1. 선회 프레임;
    상기 선회 프레임 상에 탑재되어 작동용 로프를 감고 있고, 회전축선들이 붐의 중심 축선에 직각이 되어 상기 선회 프레임상에 탑재되도록 각각이 일렬로 배열 설치된 주 감기드럼, 보조 감기드럼 및 제3 드럼;
    구동용의 압유를 상기 주 감기드럼, 상기 보조 감기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에 공급하는 파워 플랜트를 포함하고 상기 선회 프레임의 좌우 어느 한 측면쪽에 탑재된 엔진;
    앞면이 오목면으로 형성된 오목부를 갖고 상기 주 감기드럼, 상기 보조 감기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의 후부에 탑재된 카운터 웨이트; 그리고
    상기 오목부 내에 설치한 붐 부대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크레인.
  2. 선회 프레임;
    상기 선회 프레임 상에 탑재되어 작동용 로프를 감고 있고, 회전축선들이 붐의 중심 축선에 직각이 되어 상기 선회 프레임상에 탑재되도록 각각이 일렬로 배열설치된 주 감기드럼, 보조 감기드럼 및 제3 드럼;
    구동용의 압유를 상기 주 감기드럼, 상기 보조 감기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에 공급하는 파워 플랜트를 포함하고 상기 선회 프레임의 좌우 어느 한 측면쪽에 탑재된 엔진; 그리고
    상기 주 감기드럼, 상기 보조 감기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을 제동하기 위하여 상기 각 드럼에 장비되는 드럼 내장형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크레인.
  3. 선회 프레임;
    상기 선회 프레임 상에 탑재되어 작동용 로프를 감고 있고, 회전축선들이 붐의 중심 축선에 직각이 되어 상기 선회 프레임상에 탑재되도록 각각이 일렬로 배열 설치된 주 감기드럼, 보조 감기드럼 및 제3 드럼;
    구동용의 압유를 상기 주 감기드럼, 상기 보조 감기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에 공급하는 파워 플랜트를 포함하고 상기 선회 프레임의 좌우 어느 한 측면쪽에 탑재된 엔진;
    앞면이 오목면으로 형성된 오목부를 갖고 상기 주 감기드럼, 상기 보조 감기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의 후부에 탑재된 카운터 웨이트;
    상기 오목부 내에 설치된 붐 부대장치; 그리고
    상기 주 감기드럼, 상기 보조 감기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을 제동하기 위하여 상기 각 드럼에 장비되는 드럼 내장형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크레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감기드럼, 상기 보조 감기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을 상기 선회 프레임상에 탈착 자유롭게 탑재 가능한 핀 걸음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크레인.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감기드럼, 상기 보조 감기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이, 어느 것이나 풀림 자유낙하 기능을 갖는 드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크레인.
  6. 선회 프레임상에, 작업용 로프를 각각 감는 주 감기드럼, 보조 감기드럼 및 제3 드럼을, 각각의 회전축이 붐 중심축선과 직각이 되도록 일렬로 배열 설치하여 탑재한 크롤러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주 감기드럼, 상기 보조 감기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에 각각 구동용의 압유를 공급하는 파워플랜트를 포함하는 엔진을 상기 선회 프레임의 좌우 어느 한 측면쪽에 탑재하고, 또한, 상기 주 감기드럼, 상기 보조 감기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의 후부에, 앞면이 오목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한 카운터 웨이트를 탑재하여 상기 오목부내에 붐 부대장치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크레인.
  7. 선회 프레임상에, 작업용 로프를 각각 감는 주 감기드럼, 보조 감기드럼 및 제3 드럼을, 각각의 회전축이 붐 중심축선과 직각이 되도록 일렬로 배열 설치하여 탑재한 크롤러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주 감기드럼, 상기 보조 감기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에 각각 구동용의 압유를 공급하는 파워플랜트를 포함하는 엔진을 상기 선회 프레임의 좌우 어느 한 측면쪽에 탑재하고, 또한, 상기 주 감기드럼, 상기 보조 감기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을 제동하는 드럼 내장형 브레이크를 각각의 드럼에 장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크레인.
  8. 선회 프레임상에, 작업용 로프를 각각 감는 주 감기드럼, 보조 감기드럼 및 제3 드럼을, 각각의 회전축이 붐 중심축과 직각이 되도록 일렬로 배열 설치하여 탑재한 크롤러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주 감기드럼, 상기 보조 감기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에 각각 구동용의 압유를 공급하는 파워 플랜트를 포함하는 엔진을 상기 선회 프레임의 좌우 어느 한 측면쪽에 탑재하고, 또한, 상기 주 감기드럼, 상기 보조 감기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의 후부에, 앞면이 오목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한 카운터 웨이트를 탑재하여 상기 오목부내에 붐 부대장치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주 감기드럼, 상기 보조 감기드럼 및 상기 제3 드럼을 제동하는 드럼 내장형 브레이크를 각각의 드럼에 장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크레인.
KR1019990047094A 1998-10-29 1999-10-28 크롤러 크레인 KR100316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09075 1998-10-29
JP30907598A JP3436157B2 (ja) 1998-10-29 1998-10-29 クローラクレー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375A true KR20000029375A (ko) 2000-05-25
KR100316545B1 KR100316545B1 (ko) 2001-12-12

Family

ID=1798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094A KR100316545B1 (ko) 1998-10-29 1999-10-28 크롤러 크레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20358B1 (ko)
EP (2) EP1452477B1 (ko)
JP (1) JP3436157B2 (ko)
KR (1) KR100316545B1 (ko)
AT (1) ATE278631T1 (ko)
DE (1) DE6992084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8239B2 (ja) * 2000-05-11 2003-12-1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クローラクレーン
JP4237995B2 (ja) * 2001-09-28 2009-03-11 コベルコクレーン株式会社 自走式クレーン
DE112005000728T5 (de) * 2004-03-31 2007-03-22 Kobelco Cranes Co., Ltd. Kran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en des Krans
JP2009149434A (ja) * 2007-12-25 2009-07-09 Kobelco Cranes Co Ltd クローラクレーン
CN101249928A (zh) * 2007-12-31 2008-08-27 泰安泰山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履带起重机
JP4930536B2 (ja) * 2009-03-27 2012-05-16 コベルコクレーン株式会社 作業車両
DE102015115146A1 (de) 2015-09-09 2017-03-09 Bauer Maschinen Gmbh Baumaschine und Verfahren zum Auf- und Abbewegen eines Hubelementes
JP7056037B2 (ja) * 2017-08-25 2022-04-1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CN111039201A (zh) * 2019-12-27 2020-04-21 江苏政田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滑轮的起重机吊臂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8787A (en) * 1968-11-12 1971-05-18 Northwest Engineering Corp Control system
US4000784A (en) * 1975-04-24 1977-01-04 The Manitowoc Company, Inc. Demountable self-propelled crane transport assembly
CA1033688A (en) * 1975-10-23 1978-06-27 Manitowoc Company Demountable gantry, boom hoist and counter-weight
DE2554910A1 (de) 1975-12-06 1977-06-16 Bodo Toense Fahrbarer autokran bzw. mobilkran fuer schwerstlasten
IT1073562B (it) * 1976-03-19 1985-04-17 Fmc Corp Perfezionamento nelle gru a torre
US4194638A (en) * 1978-06-07 1980-03-25 The Manitowoc Company, Inc. Ring supported tower crane
GB2048201A (en) 1979-02-07 1980-12-10 Carruthers & Co J H Rope hoist
US4328954A (en) * 1979-05-07 1982-05-11 Pettibone Corporation Winch with compact, high efficiency and high ratio gearing suitable for free fall
EP0048076A1 (en) 1980-08-18 1982-03-24 AMERICAN HOIST & DERRICK COMPANY Mobile crane structure
US4336889A (en) * 1980-10-27 1982-06-29 Fmc Corporation Ring supported truck crane and method of setting up
US4421241A (en) * 1981-04-24 1983-12-20 Fmc Corporation Removable live mast and hoist unit
JPS59207394A (ja) 1983-05-11 1984-11-2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超大型クレ−ン
US4950125A (en) 1986-12-19 1990-08-21 Reco Crane Company, Inc. "True free fall" hydraulic winch system for converting a "backhoe" to a "crane"
US5823279A (en) 1991-09-20 1998-10-20 Hanitowoc Crane Group, Inc. Carbody to crawler connection
US5427256A (en) 1991-09-20 1995-06-27 The Manitowoc Company, Inc. Crane upper works to lower works alignment system
US5484069A (en) * 1991-09-20 1996-01-16 The Manitowoc Company, Inc. Process for self-disassembling a crawler crane
DE69321786T2 (de) * 1992-08-07 1999-03-18 Manitowoc Crane Group Inc Fahrzeugkran mit Vorrichtung zum Anbringen des Gegengewichtes
US5598935A (en) 1993-03-18 1997-02-04 American Crane Corporation Frame structure for lift crane machinery
JPH0925093A (ja) * 1995-07-10 1997-01-28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ウインチブレーキ冷却装置
US6244449B1 (en) 1997-04-01 2001-06-12 Manitowoc Crane Group, Inc. Free fall disconn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20846T2 (de) 2005-11-17
EP0997428B1 (en) 2004-10-06
DE69920846D1 (de) 2004-11-11
EP0997428A1 (en) 2000-05-03
EP1452477A2 (en) 2004-09-01
KR100316545B1 (ko) 2001-12-12
EP1452477B1 (en) 2014-01-15
JP2000136089A (ja) 2000-05-16
JP3436157B2 (ja) 2003-08-11
ATE278631T1 (de) 2004-10-15
EP1452477A3 (en) 2005-03-30
US6520358B1 (en) 2003-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6545B1 (ko) 크롤러 크레인
JP3424616B2 (ja) クローラ走行式の作業機械
JP2007191286A (ja) クレーンおよびクレーンの分解方法
US5992655A (en) Caterpillar sideboom replacement assembly
US4950125A (en) "True free fall" hydraulic winch system for converting a "backhoe" to a "crane"
US5048172A (en) Method for converting a "backhoe" to a "crane" using a "true free fall" hydraulic winch system
JP3478239B2 (ja) クローラクレーン
CN210048316U (zh) 一种具有锁定保护机构的提升机
CN108975181A (zh) 一种塔式起重机的拆卸方法
JP2001090118A (ja) 旋回式建設機械
JP2000211888A (ja) 建設機械の連結ピン着脱装置
KR20090041549A (ko) 회전 집게 구동장치
CN103466476B (zh) 塔式起重机
JP2981429B2 (ja)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着脱装置
CN220201139U (zh) 一种船舶用吊装索具
JP2011046486A (ja) 走行体フレーム吊上装置
JP6721002B2 (ja) 足場構造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作業機械
JPH0547820Y2 (ko)
JP4174155B2 (ja) 動圧密装置
JP2001199685A (ja) 吊下げ昇降装置
JPH053568Y2 (ko)
JPH0995965A (ja) バックホウ装着用の巻上げ装置
JP3673763B2 (ja) 移動式クレーン
JP2000143157A (ja) 自走式クレーン
JP2002145582A (ja) 作業機械のブーム起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