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3499A - 배양장치 - Google Patents

배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3499A
KR20000023499A KR1019990041583A KR19990041583A KR20000023499A KR 20000023499 A KR20000023499 A KR 20000023499A KR 1019990041583 A KR1019990041583 A KR 1019990041583A KR 19990041583 A KR19990041583 A KR 19990041583A KR 20000023499 A KR20000023499 A KR 20000023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lamp
door
cabin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1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2493B1 (ko
Inventor
유이찌다마오끼
부수지마히로끼
미요시데쓰야
사가다다히사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00023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4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C12M41/14Incubators; Climatic cha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7/00Means for sterilizing, maintaining sterile conditions or avoiding chemical or biological contam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내부의 기체중에 부유하는 잡균을 용이하게 살균하여, 배양물의 잡균에 의한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양물을 배양하는 배양용기 (11) 가 기내 (23) 에 설치가능하게 되어 있고, 외부도어 (13) 를 닫힘조작함으로써, 기내가 밀폐구조로 구성되어, 배양물을 무균상태로 배양하는 인큐베이터 (10) 에 있어서, 기내의 기체중에 있어서의 잡균을 살균하는 자외선램프 (30) 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양장치 {CULTURE APPARATUS}
본 발명은, 탄산가스 (CO2) 인큐베이터나 멀티가스 인큐베이터 등에 적용되어, 기내를 무균상태로 하여 세포나 미생물 등의 배양물을 배양하는 배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양장치는, 배양장치내부 (기내) 의 온도나 CO2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기내를 무균상태로 하여 배양물을 배양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기적인 멸균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배양장치에서는, 배양물을 수용한 배양용기를 기내에 반출입할 때에, 외부의 공기가 기내로 유입되어, 이 공기중의 잡균이 기내에 침입해버린다. 배양장치는, 배양물뿐만아니라 상기 잡균도 생육되기 쉬운 환경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잡균이 성장하여 배양물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배양장치에는, HEPA 필터 등의 제균필터를 설치하여, 기내를 순환하는 기체를 제균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제균필터를 설치한 종래의 배양장치에서는, 포착한 잡균은 죽지않으므로 제균필터의 2 차측이 잡균에 의해 일단 오염되어 버리면, 제균필터에 의한 제균, 살균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배양물이 잡균에 의해 오염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 이 제균필터는, 포어사이즈 (공경) 가 잡균보다도 작기 때문에, 기체가 제균필터를 통과할 때의 압력손실이 커서, 제균필터가 막히기 쉽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의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장치내부의 기체중에 부유하는 잡균을 용이하게 살균하여, 배양물의 잡균에 의한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치내부의 기체중에 있어서의 오존농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배양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배양장치의 제 1 실시형태가 적용된 탄산가스 (CO2) 인큐베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인큐베이터의 도어를 닫은 정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인큐베이터의 도어를 닫은 측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인큐베이터의 도어를 닫은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인큐베이터에 있어서의 자외선램프를 점등제어하는 전기회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배양장치의 제 2 실시형태가 적용된 탄산가스 (CO2) 인큐베이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인큐베이터의 도어를 개방한 정면도 (설명도) 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배양장치의 제 3 실시형태가 적용된 탄산가스 (CO2) 인큐베이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인큐베이터의 도어를 닫은 측단면도 (설명도) 이다.
도 10 은 도 8 의 인큐베이터의 도어를 개방한 정면도 (설명도) 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배양장치의 제 4 실시형태가 적용된 탄산가스 (CO2) 인큐베이터의 도어를 닫은 측단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배양장치의 제 4 실시형태가 적용된 탄산가스 (CO2) 인큐베이터의 도어를 개방한 정면도 (설명도) 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배양장치의 제 5 실시형태가 적용된 탄산가스 (CO2) 인큐베이터의 도어를 닫은 측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 의 인큐베이터의 도어를 개방한 정면도 (설명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인큐베이터 11 : 배양용기
12 : 장치본체 13 : 외부도어
20 : 천면판부 21 : 측면판
22 : 측면판 23 : 기내
24 : 기체순환통로 30 : 자외선램프
31 : 램프 스위치 32 : 제어장치
39 : 배면부재 41 : 배양용기
40 : 반사부재
제 1 항 기재의 발명은, 배양물을 배양하는 배양용기가 장치내부에 설치가능하게 되어 있고, 도어를 닫힘조작함으로써 상기 장치내부가 밀폐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배양물을 배양하는 배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내부의 기체중에 있어서의 잡균을 살균하는 살균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2 항 기재의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균등은, 장치내부를 구성하는 차폐판으로 덮여 배치되고, 이 차폐판에 의해, 상기 살균등으로부터의 광이 상기 장치내부의 배양물로 직접 조사되지 않도록 차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3 항 기재의 발명은,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장치내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장치본체와의 사이에서 기체순환통로를 형성하는 내판부재이고, 살균등은, 이 내판부재로 덮여 상기 기체순환통로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4 항 기재의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치내부에는, 가습용수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살균등은 이 가습용수의 수면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5 항 기재의 발명은,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균등을 덮는 반사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6 항 기재의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균등은, 장치내부에 설치되어, 광을 상기 장치내부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7 항 기재의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양용기는, 장치내부로 조사된 광을 차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8 항 기재의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균등은, 도어의 개폐조작에 연달아 작동하여 점등과 소등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9 항 기재의 발명은, 제 8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균등은, 도어가 열림조작된 때에 소등되고, 도어가 닫힘조작된 때에 이 닫힘조작후 소정시간 점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10 항 기재의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균등은, 도어의 닫힘상태에 있어서,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11 항 기재의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균등은, 자외선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12 항 기재의 발명은, 제 11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램프는, 200 nm 이하의 파장이 저감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에는 다음의 작용이 있다.
장치내부의 기체중에 있어서의 잡균을 살균하는 살균등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이 살균등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장치내부의 기체중에 부유하는 잡균을 용이하게 살균할 수 있고, 그 결과, 배양물의 잡균에 의한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에는 다음의 작용이 있다.
살균등은 차폐판으로 덮여 배치되고, 이 차폐판에 의해, 상기 살균등으로부터의 광이 장치내부로 조사되지 않도록 차폐되었기 때문에, 장치내부에 설치된 배양용기내에서 배양되고 있는 배양물에, 살균등으로부터의 광이 직접 조사되지 않으므로, 배양물의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에는 다음의 작용이 있다.
장치내부에는, 가습용수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살균등은 이 가습용수의 수면근방에 설치되기 때문에, 기내를 순환하는 기체만이 아니라, 가습용수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살균등을 반사부재로 덮음으로써, 광범위에 걸쳐 가습용수를 살균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반사부재로 살균등이 덮임으로써, 기내에 직접 살균등의 광이 조사되는 일은 없다. 또, 점등한 자외선램프 (30) 의 열에 의해 물그릇 (38) 의 증발을 촉진할 수 있다.
제 7 항에 기재된 발명에는 다음의 작용이 있다.
배양용기가, 장치내부로 조사된 광을 차폐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살균등으로부터 장치내부로 광이 조사되고 있는 경우에도, 배양용기내에서 배양되고 있는 배양물에 광이 직접 조사되지 않으므로, 이 배양물의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제 8 항에 기재된 발명에는 다음의 작용이 있다.
살균등의 점등과 소등이, 도어의 개폐조작에 연달아 작동하여 실시되기 때문에, 도어가 열림조작되어 장치내부로 잡균이 침입하여도, 도어의 닫힘조작후에 살균등을 점등시킴으로써, 이 살균등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침입한 잡균을 신속하게 살균할 수 있다.
제 9 항에 기재된 발명에는 다음의 작용이 있다.
살균등은, 도어가 닫힘조작된 후 소정시간 점등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도어의 열림조작에 의해 장치내부로 침입한 잡균을 신속하게 살균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살균등의 장시간의 점등에 의해 기체의 조성변화나 장치내부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더욱, 살균등의 장수명화 및 전력소비량의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
제 10 항에 기재된 발명에는 다음의 작용이 있다.
살균등은, 도어의 닫힘상태에 있어서,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장치내부의 기체를 살균하여, 장치내부의 무균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닫힘상태에 있어서, 살균등이 연속적으로 점등하는 상태가 아니기때문에, 기체의 조성변화나 장치내부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더욱, 살균등의 장수명화 및 전력소비량의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기재된 발명에는 다음의 작용이 있다.
장치내부의 기체중에 있어서의 잡균을 살균하는 자외선램프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이 자외선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장치내부의 기체중에 부유하는 잡균을 살균할 수 있고, 그 결과, 배양물의 잡균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자외선램프는, 200 nm 이하의 파장이 저감된 것이기 때문에, 자외선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한 오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장치내부의 기체중에 있어서의 오존농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장치내부에 설치된 배양용기중의 배양물의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A]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배양장치의 제 1 실시형태가 적용된 탄산가스 (CO2) 인큐베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양장치로서의 탄산가스 (CO2) 인큐베이터 (10) 는, 샬레 등의 배양용기 (11 : 도 3) 내에 배양액이나 배지와 함께 수용된 배양물 (세포 또는 미생물 등) 을 배양하는 것이다. 이 전면(前面)이 개구된 장치본체 (12) 에는, 외부도어 (13) 및 내부도어 (14) 가 장착되어 있고, 이 외부도어 (13) 및 내부도어 (14) 가 장치본체 (12) 의 상기 개구를 개폐자유롭게 폐쇄하고 있다. 외부도어 (13) 의 닫힘조작시에 인큐베이터 (10) 가 밀폐구조로 구성된다.
장치본체 (12) 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측면벽 (15 및 16) 과, 배면벽 (17) 과 천면벽 (18) 과 저면벽 (19) 이 연이어 설치되어 일체로 구성된다. 이들의 측면벽 (15, 16), 배면벽 (17), 천면벽 (18), 저면벽 (19) 및 외부도어 (13) 는 단열구조로 구성된다.
천면벽 (18) 의 내측에, 차폐판 또는 내판부재로서의 천면판부 (20) 가 배치되고, 양 측면벽 (15, 16) 의 내측에, 차폐판 또는 내판부재로서의 측면판 (21, 22) 이, 각각 천면판부 (20) 에 연이어 설치되어 배치된다. 이들의 천면판부 (20), 측면판 (21 및 22), 천면벽 (18), 측면벽 (15 및 16), 배면벽 (17) 및 저면벽 (19) 에 의해, 인큐베이터 (10) 의 장치내부로서의 기내 (23 ; 즉 기내공간) 가 구성된다.
천면판부 (20) 와 천면벽 (18) 사이, 측면벽 (15) 과 측면판 (21) 사이, 측면벽 (16) 과 측면판 (22) 사이의 각각의 공간은, 서로 연이어 통하여 기체순환통로 (24) 가 형성된다. 이 기체순환통로 (24) 중, 천면판부 (20) 와 천면벽 (18) 과의 사이에 팬 (25) 이 설치된다. 이 팬 (25) 의 구동에 의해, 천면판부 (20) 에 개구된 흡입구 (26) 로부터 기내 (23) 의 기체가 기체순환통로 (24) 내에 흡입된다. 이 흡입된 기체는, 도 2 의 파선 화살표와 같이 기체순환통로 (24) 내를 이동하여, 측면판 (21 및 22) 의 각각의 아래 가장자리에 형성된 분출구 (27) 로부터 기내 (23) 로 분출된다.
이와 같이, 기내 (23) 내부의 기체는, 팬 (25) 의 구동에 의해 기내 (23) 를 상승하여, 이 기내 (23) 와 기체순환통로 (24) 내를 순환한다. 이 기체의 순환에 의해, 기체순환통로 (24) 의 온도 및 탄산가스 (CO2) 의 농도 등이, 배양물의 성육에 적합한 수치로 조정된다. 또한, 팬 (25) 은, 외부도어 (13) 의 열림조작시에 정지되어, 외부의 공기가 기내 (23) 내부로 유입되기 어렵도록 고려되어 있다.
그러나, 대향하는 1 쌍의 측면판 (21, 22) 에는, 연직방향으로 복수의 걸림구멍 (28)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걸림구멍 (28) 에 양단이 걸려, 여러장의 선반 (29) 이 기내 (23) 에 수평상태로 장착된다. 이들의 선반 (29) 에,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양용기 (11) 가 얹혀진다. 배양용기 (11) 는, 외부도어 (13) 및 내부도어 (14) 의 열림조작시에 기내 (23) 로부터 반출되고, 또 기내 (23) 에 반입되어 선반 (29) 에 얹혀진다.
또한, 도 1 중의 부호 38 은, 기내 (23) 의 기체를 가습하기 위한 물을 넣는 물그릇이다.
그리고, 기체순환통로 (24) 중 천면판부 (20) 와 천면벽 (18) 의 사이에, 살균등으로서의 자외선램프 (30) 가 배치된다. 이 자외선램프 (30) 는, 기체순환통로 (24) 내부를 흐르는 기체에 광으로서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 기체중에 부유하는 잡균 등을 살균하는 것이다. 이 자외선램프 (30) 로부터의 자외선에 의해, 기내 (23) 의 기체중에 있어서의 잡균이 살균되어 저감되고, 기내 (23) 가 무균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자외선램프 (30) 가 천면판부 (20) 로 덮여 기체순환통로 (24)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램프 (30) 로부터의 자외선은 천면판부 (20) 로 차폐되어, 기내 (23) 에 직접 조사되는 일이 없다.
또, 자외선램프 (30) 는, 광학필터 등을 채용하여 200 nm 이하의 파장이 저감되고 있고, 따라서, 이 자외선램프 (30) 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서도, 기체순환통로 (24) 내부의 기체에 오존발생이 억제된다. 그 결과, 자외선램프 (30) 의 점등에 의해서도, 기내 (23) 내부의 기체중에 있어서의 오존농도의 상승이 억제된다.
또한, 자외선램프 (30) 는, 외부도어 (13) 의 개폐조작에 연달아 작동하여 점등, 소등한다.
다시말하면, 장치본체 (12) 에는, 외부도어 (13) 의 닫힘조작시에 이 외부도어 (13) 가 맞닿는 위치에,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램프스위치 (31) 가 설치된다. 장치본체 (12) 의 배면벽 (17) 의 외측에 배치되어 설치된 제어장치 (32; 도3) 는, 외부도어 (13) 가 닫힘조작되어 램프 스위치 (31) 가 ON 동작했을 때에,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레이 (33) 의 릴레이스위치 (34) 를 ON 동작시켜, 글로우 스타터 (35) 의 작용에 의해, 전원 (36) 으로부터의 전압을 안정기 (37) 를 통하여 자외선램프 (30) 에 인가하여, 이 자외선램프 (30) 를 점등시킨다. 또, 제어장치 (32) 는, 외부도어 (13) 가 열림조작되어 램프 스위치 (31) 가 OFF 동작했을 때에는, 릴레이 (33) 의 릴레이스위치 (34) 를 OFF 동작시켜 자외선램프 (30) 를 소등시킨다.
상기 자외선램프 (30) 의 점등은, 외부도어 (13) 가 닫힘조작된 후 소정시간 (예를 들면 5 분간) 이루어져, 외부도어 (13) 의 열림조작에 의해 기내 (23) 에 유입한 기체중의 잡균을 살균한다.
또한, 제어장치 (32) 는, 외부도어 (13) 의 장시간의 닫힘조작상태에 있어서, 자외선램프 (30) 의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도록 제어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 (32) 는, 외부도어 (13) 의 장시간의 닫힘조작상태에 있어서, 일정시간 (예를 들면 2 시간) 마다 소정시간 (예를 들면 5 분간) 자외선램프 (30) 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하여도 된다. 이 외부도어 (13) 의 장시간의 닫힘조작상태하에 있어서의 자외선램프 (30) 의 점등에 의해, 인큐베이터 (10) 의 기내 (23) 가 정기적으로 살균되어, 기내 (23) 의 무균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의 일정시간 (소등시간) 및 소정시간 (점등시간) 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도어 (13) 의 닫힘조작상태에 있어서, 제어장치 (32) 가 자외선램프 (30) 를 연속적으로 점등시키지 않음으로써, 기내 (23) 의 온도상승, 및 자외선의 조사에 의한 오존의 발생 등에 조성변화를 함께 억제할 수 있어, 더욱, 자외선램프 (30) 의 장수명화 및 전력소비량의 저감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 (1) ∼ (7) 을 나타낸다.
(1) 인큐베이터 (10) 는, 기내 (23) 의 기체중에 있어서의 잡균을 살균하는 자외선램프 (30) 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이 자외선램프 (30) 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기내 (23) 의 기체중에 부유하는 잡균을 용이하게 살균할 수 있고, 그 결과, 배양물의 잡균에 의한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2) 자외선램프 (30) 가 천면판부 (20) 로 덮여 기체순환통로 (24) 내에 배치되고, 이 천면판부 (20) 에 의해, 자외선램프 (30) 로부터의 자외선이 기내 (23) 로 조사되지 않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기내 (23) 에 설치된 배양용기 (11) 내에서 배양되고 있는 배양물에, 자외선램프 (30) 로부터의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지 않으므로, 배양물의 육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3) 자외선램프 (30) 의 점등과 소등이, 외부도어 (13) 의 개폐조작에 연달아 작동하여 실시되기 때문에, 외부도어 (13) 가 열림조작되어 기내 (23) 에 잡균이 침입하여도, 외부도어 (13) 의 닫힘조작후에 자외선램프 (30) 를 점등시킴으로써, 이 자외선램프 (30) 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침입한 잡균을 신속하게 살균할 수 있다.
(4) 자외선램프 (30) 는, 외부도어 (13) 가 닫힘조작된 후 소정시간 점등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외부도어 (13) 의 열림조작에 의해 기내 (23) 에 침입한 잡균을 신속하게 살균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외선램프 (30) 의 장시간의 점등에 의해 오존의 발생이나 기내 (23) 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더욱, 자외선램프 (30) 의 장수명화 및 전력소비량의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
(5) 자외선램프 (30) 는, 외부도어 (13) 의 장기간의 닫힘조작상태에 있어서,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기내 (23) 의 기체를 살균하여 기내 (23) 의 무균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6) 외부도어 (13) 의 장기간의 닫힘조작상태에 있어서, 자외선램프 (30) 가 연속적으로 점등하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오존의 발생이나 기내 (23) 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더욱, 자외선램프 (30) 의 장수명화 및 전력소비량의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
(7) 자외선램프 (30) 는, 200 nm 이하의 파장이 저감된 것이기 때문에, 자외선램프 (30) 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한 오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기내 (23) 의 기체중에 있어서의 오존농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기내 (23) 에 설치된 배양용기 (11) 중의 배양물의 성육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B] 제 2 실시형태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배양장치의 제 2 실시형태가 적용된 탄산가스 (CO2) 인큐베이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달아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배양장치로서의 탄산가스 (CO2) 인큐베이터 (10) 에서는, 자외선램프 (30) 는, 측면판 (21) 과 측면벽 (15) 사이의 기체순환통로 (24)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자외선램프 (30) 로부터의 자외선에 의해, 기내 (23) 의 기체중에 있어서의 잡균이 살균되어 저감되고, 기내 (23) 가 무균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자외선램프 (30) 가 측면판 (21) 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자외선램프 (30) 로부터의 자외선은 측면판 (21) 으로 차폐되어, 기내 (23) 에 직접 조사되는 일이 없는 것은 상술의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상술의 효과 (1) ∼ (7) 을 나타낸다.
[C] 제 3 실시형태
도 8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배양장치의 제 3 실시형태가 적용된 탄산가스 (CO2) 인큐베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 는 동 측단면도 (설명도) 이며, 도 10 은 동 도어개방 정면도 (설명도) 이다. 이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달아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의 배양장치 (10) 에서는, 배면벽 (17) 측에 배면판 (39) 을 배치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천면판부 (20) 와 천면벽 (18) 사이의 공간과 연이어 통하게 하여 기체순환통로 (24) 를 형성하고 있다. 팬 (25) 은, 배면벽 (17) 과 배면판 (39) 사이에 설치되어, 천면판부 (20) 와 천면벽 (18) 사이의 공간의 기체를 흡입하고, 배면벽 (17) 과 배면판 (39) 사이의 공간에 토출하여, 기내의 기체를 순환시키고 있다.
측면벽 (15, 16) 의 내측에는, 대향하도록 2 쌍의 선반지지 기둥 (43, 44) 을 설치하고 있다. 이 선반지지 기둥 (43, 44) 에는, 연직방향으로 복수의 걸림구멍 (28) 이 형성되고, 여러장의 선반 (29) 이 기내 (23) 에 수평상태로 장착된다. 이들의 선반 (29) 에,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양용기 (11) 가 얹혀진다.
자외선램프 (30) 는, 기체순환통로 (24) 의 출구, 즉 배면벽 (17) 과 배면판 (39) 사이의 공간의 하부에 있어서, 가습용의 물을 저장하고 있는 물그릇 (38) 의 상방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자외선램프 (30) 의 자외선은, 순환하는 기체중에 부유하는 잡균 등을 살균함과 동시에, 물그릇 (38) 의 가습수에도 자외선이 조사되므로, 이 가습수중의 잡균 등도 살균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점등한 자외선램프 (30) 의 열에 의해 물그릇 (38) 의 증발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램프 (30) 는, 기체순환통로 (24) 의 출구부분에 설치된 반사부재 (40) 에 의해 덮여 있다. 이 반사부재 (40) 는, 자외선이 배양장치내부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반사부재 (40) 의 적어도 내면은 자외선을 반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물그릇 (38) 의 가습수를 광범위에 걸쳐 살균할 수 있다.
자외선을 반사시키기 위해서는, 여러가지의 방법이 있고, 예를 들면, 경면마무리를 실시하거나, 금속재료로 작성하거나, 도금마무리를 실시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금속재료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스테인레스의 소재를 사용하여도 효과가 있지만, 자외선의 반사효율이 좋은 알루미늄을 사용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따라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의 효과 (1) ∼ (7) 에 추가로, 다음의 효과 (8) ∼ (10) 를 나타낸다.
(8) 잡균은 수중에서 번식하기 쉽지만, 자외선램프 (30) 가 물그릇 (38) 의 상방근방에 배치되었으므로, 이 자외선램프 (30) 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기내 (23) 의 기체 및 물그릇 (38) 내의 가습용의 물의 양자를 살균할 수 있다.
(9) 또한, 자외선램프 (30) 를 반사부재 (40) 로 덮음으로써, 배양장치내부로의 조사를 방지함과 동시에, 물그릇 (38) 을 광범위에 걸쳐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살균효율을 좋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0) 또, 점등한 자외선램프 (30) 의 열에 의해 물그릇 (38) 의 증발을 촉진할 수 있다.
[D] 제 4 실시형태
도 11 및 도 12 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배양장치의 제 4 실시형태가 적용된 탄산가스 (CO2) 인큐베이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달아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4 실시형태에서의 배양장치로서의 탄산가스 (CO2) 인큐베이터 (10) 는, 자외선램프 (30) 는 기체순환통로 (24) 에 배치되지 않고, 기내 (23) 에 설치되어, 자외선램프 (30) 로부터의 자외선이 직접 기내 (23) 로 조사되도록 되어 있다. 도 11 은 자외선램프 (30) 를, 배면벽 (17) 측에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도 12 는 자외선램프 (30) 를 측면벽 (22) 측에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램프 (30) 는 기내의 어느 위치에 설치하여도 된다. 이 자외선램프 (30) 로부터는, 200 nm 이하의 파장이 저감된 자외선이 조사된다.
또한, 이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배양물을 수용하는 배양용기 (41) 는, 자외선을 투과시키지 않고 차폐하는 재질로 구성된다. 또는 배양용기 (41) 는, 배양용기 (41) 를 구성하는 예를 들면 유리재료 등의 구성재료의 표면 또는 내면에, 자외선을 차폐하는 도료 등이 도포되어 구성된다 (또한, 유리재료는 일반적으로 자외선을 통과시키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므로 그대로 사용하여도 되지만, 보다 자외선을 통과시키지 않도록 하는 재질 또는 도료 등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양용기 (41) 가, 자외선램프 (30) 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차폐하도록 구성되었으므로, 배양용기 (41) 내에 수용된 배양물에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상기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1), (3) ∼ (7) 에 추가로, 다음의 효과 (11) 를 나타낸다.
(11) 인큐베이터 (10) 의 기내 (23) 에 설치되는 배양용기 (41) 가, 기내 (23) 로 조사된 자외선을 차폐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자외선램프 (30) 로부터 기내 (23) 에 자외선이 조사되어 있는 경우에도, 배양용기 (41) 내에서 배양되어 있는 배양물에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지 않으므로, 이 배양물의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E] 제 5 실시형태
도 13 및 도 14 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배양장치의 제 5 실시형태가 적용된 탄산가스 (CO2) 인큐베이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와 도어개방 정면도 (설명도) 이다. 이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달아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의 배양장치 (10) 에서는, 자외선램프 (30) 가, 기내 (23) 에 설치되고, 물그릇 (38) 내의 물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이 물그릇 (38) 의 상방근방에 있어서의 배면벽 (17) 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 5 실시형태에서도, 배양물을 수용하는 배양용기 (41) 는, 자외선을 투과시키지 않고 차폐하는 재질, 또는 유리재료 등의 구성재료의 표면 또는 내면에, 자외선을 차폐하는 도료 등이 도포되어 구성되는 것은 상술의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배양용기 (41) 내에 수용된 배양물에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상기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1), (3) ∼ (7) 에 추가로, 제 3 실시형태의 효과 (8), (10) 및 제 4 실시형태의 효과 (11) 를 나타낸다.
(11) 인큐베이터 (10) 의 기내 (23) 에 설치되는 배양용기 (41) 가, 기내 (23) 로 조사된 자외선을 차폐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자외선램프 (30) 로부터 기내 (23) 에 자외선이 조사되어 있는 경우에도, 배양용기 (41) 내에서 배양되어 있는 배양물에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지 않으므로, 이 배양물의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이상,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않는다.
예를 들면, 천면판부 (20), 측면판 (21, 22) 이 착탈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인큐베이터 (10) 의 보수시에 천면판부 (20), 측면판 (21, 22) 을 떼어내, 자외선램프 (30) 를 점등시킴으로써, 천면벽 (18), 측면벽 (15, 16) 의 벽면을 살균할 수 있다.
또, 자외선램프 (30) 를 기체순환통로 (24) 에 배치시키지 않고,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천면벽 (18) 의 외벽면에 설치하여, 이 천면벽 (18) 을 하방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차폐판으로 덮어, 이 차폐판에 의해 자외선램프 (30) 로부터의 자외선이 기내 (23) 의 내부 (배양용기 41) 로 직접 조사되지 않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자외선을 차단하는 배양용기 (41) 대신에, 통상의 배양용기 (11) 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동일하게 제 5 실시형태에 차폐판을 설치하여 자외선램프 (30) 로부터의 자외선이 기내 (23) 의 내부 (배양용기 41) 로 직접 조사되지 않도록 하여도 된다. 이 때, 차폐판을 제 3 실시형태와 같이 반사판으로 구성하면, 상술의 효과 (9) 를 나타내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기체순환통로 (24) 를 장치본체 (12) 의 외측까지 덕트 등을 사용하여 연장시키고, 이 덕트내에 자외선램프 (30) 를 배치하여, 덕트내를 흐르는 기체를 살균하고, 이 기체를 기내 (23) 로 들어가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배양물이 자외선에 대하여 매우 약한 경우에는, 제 1 실시형태의 배양용기 (11) 대신에, 제 2 실시형태의 배양용기 (41) 를 인큐베이터 (10) 의 기내 (23) 내부에 설치하여도 된다. 또, 배양물이 자외선에 대하여 매우 강한 경우에는, 제 2 실시형태의 배양용기 (41) 대신에 제 1 실시형태의 배양용기 (11) 를, 인큐베이터 (10) 의 기내 (23) 내부에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제어장치 (32) 는, 외부도어 (13) 의 열림조작시에 자외선램프 (30) 를 점등시켜, 유입하는 공기중의 잡균을 살균하고, 외부도어 (13) 를 닫힘조작으로 한 후 소정시간 (예를 들면 5 분간) 경과후에, 자외선램프 (30) 를 소등시키도록 제어하여도 된다.
또, 자외선램프 (30) 는, 기체순환통로 (24) 에 있어서, 측면벽 (15) 과 측면판 (21) 사이의 공간, 또는 측면벽 (16) 과 측면판 (22) 사이의 공간에 배치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배양장치에 의하면, 장치내부의 기체중에 있어서의 잡균을 살균하는 살균등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장치내부의 기체중에 부유하는 잡균을 용이하게 살균하여, 배양물의 잡균에 의한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배양물을 배양하는 배양용기가 장치내부에 설치가능하게 되어 있고, 도어를 닫힘조작함으로써 상기 장치내부가 밀폐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배양물을 배양하는 배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내부의 기체중에 있어서의 잡균을 살균하는 살균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등은, 장치내부를 구성하는 차폐판으로 덮여 배치되고, 이 차폐판에 의해, 상기 살균등으로부터의 광이 상기 장치내부의 배양물로 직접 조사되지 않도록 차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장치내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장치본체와의 사이에서 기체순환통로를 형성하는 내판부재이고, 살균등은, 이 내판부재로 덮여 상기 기체순환통로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내부에는, 가습용수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살균등은 이 가습용수의 수면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등은, 반사부재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등은, 장치내부에 설치되어, 광을 상기 장치내부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용기는, 장치내부로 조사된 광을 차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등은, 도어의 개폐조작에 연달아 작동하여 점등과 소등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등은, 도어가 열림조작된 때에 소등되고, 도어가 닫힘조작된 때에 이 닫힘조작후 소정시간 점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등은, 도어의 닫힘상태에 있어서,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등은, 자외선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램프는, 200 nm 이하의 파장이 저감된 것임을 특징으로 배양장치.
KR1019990041583A 1998-09-29 1999-09-28 배양장치 KR100582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488198 1998-09-29
JP98-274882 1998-09-29
JP98-274881 1998-09-29
JP27488298 1998-09-29
JP99-32814 1999-02-10
JP03281499A JP3670876B2 (ja) 1998-09-29 1999-02-10 培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499A true KR20000023499A (ko) 2000-04-25
KR100582493B1 KR100582493B1 (ko) 2006-05-23

Family

ID=27287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583A KR100582493B1 (ko) 1998-09-29 1999-09-28 배양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255103B1 (ko)
EP (2) EP0990699B1 (ko)
JP (1) JP3670876B2 (ko)
KR (1) KR100582493B1 (ko)
AU (1) AU749515B2 (ko)
CA (1) CA2284003C (ko)
DE (2) DE69935083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252B1 (ko) * 2001-10-11 2004-08-04 김정희 세포 배양용 인큐베이터
KR100732193B1 (ko) * 2006-07-07 2007-06-25 유창수 미생물 배양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03684D0 (en) * 1998-02-24 1998-04-15 Genevac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during evaporation of samples
JP3670876B2 (ja) * 1998-09-29 2005-07-13 三洋電機株式会社 培養装置
US6845971B2 (en) * 2001-06-18 2005-01-25 Slant/Fin Corporation Sterile humidifier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2003079254A (ja) * 2001-07-05 2003-03-18 Ccs Inc 植物育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システム
US7357296B2 (en) * 2001-12-24 2008-04-15 Pitney Bowes Inc. Method and system for decontaminating mail
JP4272850B2 (ja) * 2002-06-17 2009-06-03 学校法人慈恵大学 ヒト細胞・組織培養システム
JP4564720B2 (ja) * 2003-04-09 2010-10-20 菊治 山下 インキュベータおよび細胞培養方法
JP2005095097A (ja) * 2003-09-26 2005-04-14 Sanyo Electric Co Ltd 培養庫
FR2860800B1 (fr) * 2003-10-08 2006-02-03 Jouan Sa Enceinte de traitement d'echantillons biologiques a element d'encadrement amovible
JP2005118021A (ja) 2003-10-20 2005-05-12 Sanyo Electric Co Ltd 培養庫
US20050156492A1 (en) * 2004-01-20 2005-07-21 Mr. Steve Utke Cabinet cool - a high quality whisper quiet temperature controlled cabinet cooling system
EP1721684A3 (de) * 2005-05-09 2008-07-30 Liconic Ag Nutzraum mit in-situ-Entkeimungsvorrichtung
ATE497801T1 (de) * 2005-12-21 2011-02-15 Carbossiterapia Italiana S R L Gerät und verfahren zur subkutanen gasabgabe für therapeutische zwecke
JP4916201B2 (ja) * 2006-03-27 2012-04-11 三洋電機株式会社 培養装置
JP4268624B2 (ja) * 2006-06-02 2009-05-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培養システム、培養装置、及び培養容器箱、並びに空気清浄化方法
JP5042545B2 (ja) * 2006-07-05 2012-10-03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棚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インキュベータ
WO2008008342A2 (en) * 2006-07-13 2008-01-17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Dual spectrum illuminator for containers
WO2008088379A2 (en) * 2006-07-14 2008-07-24 Xcellerex, Inc. Environmental containment systems
WO2008128360A1 (de) * 2007-04-20 2008-10-30 Liconic Ag Nutzraum mit fremdkeimunterdrückung
JP2009136160A (ja) 2007-12-03 2009-06-25 Sanyo Electric Co Ltd 水位検知装置及び培養装置
GB2461707B (en) * 2008-07-08 2013-06-26 Ruskinn Life Sciences Ltd Laboratory apparatus for a controlled environment
WO2010024163A1 (ja) * 2008-08-26 2010-03-04 三洋電機株式会社 培養装置
JP5341434B2 (ja) * 2008-08-26 2013-11-13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培養装置
JP5587629B2 (ja) * 2010-02-04 2014-09-10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インキュベーター
KR101447741B1 (ko) * 2011-11-22 2014-10-0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세포배양기용 수분공급장치
DE102013013665B4 (de) * 2013-08-16 2015-12-03 Thermo Electron Led Gmbh Laboratoriumsbrutschrank mit verbesserter Feuchtigkeitseinstellung
EP3015541A4 (en) * 2013-09-30 2016-07-13 Panasonic Healthcare Holdings Co Ltd WORKING SPACE
JP6259838B2 (ja) * 2014-01-24 2018-01-10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インキュベー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細胞培養システム、加湿水の供給方法
CN103820305A (zh) * 2014-03-07 2014-05-28 黑龙江省科学院微生物研究所 一种可区分不同光照强度的微生物培养装置
USD788185S1 (en) * 2014-12-05 2017-05-30 Urban Cultivator Inc Indoor herb cultivator
CN105985906B (zh) * 2015-02-04 2018-05-11 上海力申科学仪器有限公司 高温灭菌水套式培养箱
WO2017169850A1 (ja) * 2016-03-28 2017-10-05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培養装置及び培養装置の制御方法
EP3828259B1 (en) * 2018-09-06 2023-11-22 PHC Corporation Culture device
CN109321461A (zh) * 2018-11-19 2019-02-12 袁永华 一种便于调节的细胞工程用细胞培养装置
US11039585B1 (en) * 2018-11-20 2021-06-22 Cody Huntzinger Modular hydroponic growing system
USD909239S1 (en) * 2019-01-18 2021-02-02 Lg Electronics Inc. Shelf for plant cultivator
CN110205241A (zh) * 2019-04-23 2019-09-06 扬州市海诚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杀菌效果好且便于夹持试管的生化培养箱
CN110117539A (zh) * 2019-06-20 2019-08-13 深圳市涛卉杯业有限公司 一种动植物细胞无菌培育器皿
US11388862B2 (en) 2019-06-27 2022-07-19 Crescent Metal Products, Inc. Grow cabinet
CN110551627A (zh) * 2019-09-09 2019-12-10 金琰哲 一种便于调节培养环境的医学细菌培养装置
USD959325S1 (en) * 2019-12-23 2022-08-02 Lg Electronics Inc. Plant cultivator
USD959326S1 (en) * 2019-12-23 2022-08-02 Lg Electronics Inc. Plant cultivator
JP7449479B2 (ja) * 2019-12-25 2024-03-14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ガス処理方法、保管庫、インキュベータ、滅菌器
CN111321072B (zh) * 2020-03-05 2021-04-20 通用生物系统(安徽)有限公司 一种用于单克隆抗体制备的细胞培养箱
US11596703B2 (en) 2020-09-03 2023-03-07 John Farrell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anitizing assembly
CN112522097A (zh) * 2020-12-30 2021-03-19 深圳市瑞沃德生命科技有限公司 实验室用培养箱
CN113773960B (zh) * 2021-09-18 2023-09-26 湖南格致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纯度培养干细胞的培养装置及其培养方法
CN115895836B (zh) * 2023-02-08 2024-03-08 诸城舜沃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菌落培养箱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0297U (ja) * 1984-05-23 1985-12-17 株式会社 ソフト・エネルギ−・システム 植物組織培養装置
FR2565598B1 (fr) * 1984-06-06 1986-10-03 Inst Nat Sante Rech Med Appareil modulaire pour la culture cellulaire
JPS62238449A (ja) * 1986-04-10 1987-10-19 Sanyo Electric Co Ltd 培養庫のco↓2ガス濃度検出装置
SU1703679A1 (ru) * 1986-04-21 1992-01-07 Специ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е Бюро С Опытным Производством Института Проблем Криобиологии И Криомедицины Ан Усср С @ - инкубатор
JPH0214262A (ja) 1988-07-01 1990-01-18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液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WO1990003426A1 (en) * 1988-09-27 1990-04-05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Apparatus for implantation and raising of seedling
JPH02142462A (ja) * 1988-11-22 1990-05-31 Komatsu Ltd 植物培養装置における排気系殺菌装置
JPH035399U (ko) * 1989-05-30 1991-01-18
JPH0431531U (ko) * 1990-07-05 1992-03-13
JPH0744422U (ja) * 1991-11-20 1995-11-21 敏彦 白井 回転便座による殺菌消毒灯つき洋式便器
JPH0611657U (ja) * 1992-07-09 1994-02-15 第一電通株式会社 包丁殺菌装置
JP2578521Y2 (ja) * 1993-09-03 1998-08-13 株式会社くろがね工作所 殺菌灯付ロッカー
JPH07256141A (ja) * 1994-03-17 1995-10-09 Ebara Res Co Ltd 室内の無菌化方法及び無菌室
WO1995026396A1 (fr) * 1994-03-28 1995-10-05 Mitsubishi Chemical Co. Bac de culture
JP2707484B2 (ja) * 1994-03-31 1998-01-28 岡谷電機産業株式会社 電気ポット
JPH08112548A (ja) * 1994-10-14 1996-05-07 Corona:Kk 空気清浄機
JPH08150031A (ja) * 1994-11-30 1996-06-11 Toyo Fine Kk 履物収納装置
JPH10113096A (ja) * 1996-08-23 1998-05-06 Toray Ind Inc 昆虫の飼育装置および飼育方法
JPH10117948A (ja) * 1996-10-17 1998-05-12 Yoichi Akama 生鮮野菜類等の殺菌洗浄法、及びその装置
KR19990041583A (ko) * 1997-11-22 1999-06-15 구본준 반도체 소자의 웰 형성 방법
JPH11290059A (ja) * 1998-04-06 1999-10-26 Masashi Funayama 炭酸ガス培養器
JP3670876B2 (ja) * 1998-09-29 2005-07-13 三洋電機株式会社 培養装置
US6006659A (en) * 1998-10-13 1999-12-28 Rosenthal; Richard A. Personal pasteuriz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252B1 (ko) * 2001-10-11 2004-08-04 김정희 세포 배양용 인큐베이터
KR100732193B1 (ko) * 2006-07-07 2007-06-25 유창수 미생물 배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019299A (en) 2000-03-30
US6593131B2 (en) 2003-07-15
CA2284003C (en) 2008-09-02
DE69905675T2 (de) 2003-12-18
US6255103B1 (en) 2001-07-03
DE69935083D1 (de) 2007-03-22
KR100582493B1 (ko) 2006-05-23
JP2000166536A (ja) 2000-06-20
EP1262540A3 (en) 2004-02-11
JP3670876B2 (ja) 2005-07-13
US20010006812A1 (en) 2001-07-05
DE69935083T2 (de) 2007-10-18
DE69905675D1 (de) 2003-04-10
EP1262540B1 (en) 2007-02-07
CA2284003A1 (en) 2000-03-29
EP0990699B1 (en) 2003-03-05
EP0990699A1 (en) 2000-04-05
EP1262540A2 (en) 2002-12-04
AU749515B2 (en) 200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493B1 (ko) 배양장치
KR101314888B1 (ko) 아이솔레이터용 인큐베이터
US4935371A (en) Sterilizable gas permeable container for use in culturing living cells
KR101174405B1 (ko) 멸균방법 및 장치
US6297047B1 (en) Ultraviolet sterilization of CO2 cell-culture incubator internal environments
KR102262659B1 (ko) 인큐베이터 및 인큐베이터 오염 제거 방법
KR20090005625U (ko) 무균실 출입용 항균장치
KR102299070B1 (ko) 이동식 책 걸이대가 갖추어진 책 소독기
KR100366000B1 (ko) 무균 자동화 버섯재배장치
KR20050030858A (ko) 배양고
JP2003220120A (ja) 殺菌灯付きパスボックス
KR102474821B1 (ko) 원판 회전형 무균 그린 버섯 재배기
CN202547246U (zh) 一种杀菌保鲜冰箱
CN103375961A (zh) 一种杀菌保鲜冰箱
CN110425654B (zh) 一种医学环境灭菌装置
JPH11132620A (ja) 冷却ケース
CN219491855U (zh) 一种鲜炖即食燕窝现场制售洁净无菌室
CN216934156U (zh) 一种消毒柜
CN213553954U (zh) 一种新型实验室专用消毒灭菌净化柜
CN217438199U (zh) 可在线灭菌的二氧化碳培养箱
CN216336720U (zh) 纯净水用杀菌器
CN216496618U (zh) 消毒装置
CN219783252U (zh) 并联式带消解功能的氙准分子活性氧簇消毒器
CN215350852U (zh) 一种病理标本取材台
CN214415337U (zh) 一种可升降的多功能紫外线消毒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