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3206A - 생약의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 항종양 활성이 강화된 생약함유 조성물, 생약 처리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평가방법, 및 생약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생약의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 항종양 활성이 강화된 생약함유 조성물, 생약 처리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평가방법, 및 생약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3206A
KR20000023206A KR1019990039799A KR19990039799A KR20000023206A KR 20000023206 A KR20000023206 A KR 20000023206A KR 1019990039799 A KR1019990039799 A KR 1019990039799A KR 19990039799 A KR19990039799 A KR 19990039799A KR 20000023206 A KR20000023206 A KR 20000023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mushrooms
antitumor activity
herbal
herbal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조 니와
Original Assignee
코조 니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조 니와 filed Critical 코조 니와
Publication of KR20000023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2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04Homeopathy; Vitalisation; Resonance; Dynamisation, e.g. esoteric applications; Oxygenation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9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ipids, e.g. cholesterol, lipoproteins, or their recep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β-글루칸 함유 버섯을 로스팅(roasting)하고, 그후 "코지(Koji)"를 첨가하고 발효시키며, 이어 유제를 제조하는 항종양 활성의 강화방법에 대한 발명, 이러한 방법이 적용된 생약 함유 조성물의 발명,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량의 증가율이 크면 내복투여시 항종양 활성이 더 큰 것으로 평가 및 예상하는 방법에 대한 발명, 그리고 상기 방법들을 이용하여 생약에 적용된 처리의 항종양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약의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 항종양 활성이 강화된 생약 함유 조성물, 생약 처리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 평가방법, 및 생약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 평가방법 {ANTITUMOR ACTIVITY STRENGTHENING METHOD CRUDE DRUGS, COMPOSITION CONTAINING CRUDE DRUG STRENTHENING ANTITUMOR ACTIVITY, EVALUATING METHOD OF ANTITUMOR EFFECTIVENESS BY CRUDE DRUG TREATMENT, AND EVALUATING METHOD OF ANTITUMOR EFFECTIVENESS OF CRUDE DRUG}
본 발명은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다당류(polysaccharides)를 함유하는 버섯과 같은 생약의 항종양 활성의 강화방법, 평가방법 등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복투약(internal administration)시 항종양 활성의 발현을 증대시키는 기술 또는 내복투약시 항종양 활성의 효능을 예상하는 기술 등에 관한 것이다.
한방약(Chinese medicines), 건강식품과 같은 분야에서 지금까지 다양한 종류의 버섯들이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가노더마 {GANODERMA(REISHI) (포메스 (Fomes (SARUNOKOSHIKAKE)))}, 포리아(PORIA (BUKURYO)), 마이타케 버섯(MAITAKE, 그리폴라 프론도수 딕슨(Grifola frondosu Dickson))과 같은 것들은 제암 활성(carcinostatic activity)과 같은 항종양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항종양 활성을 보이는 버섯의 유효 성분에 관하여 많은 연구들이 행해졌고, 버섯에 함유된 다당류들(polysaccharides)이 유효한 항종양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지고 있다.
실제로, 한방약 분야에서 건조 버섯을 달여 그 즙을 마심으로써 내복적으로 이용하였다.
합성된 의약과 비교해 볼 때 부작용이 적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한방약들은 지금까지 자연 의약으로 이용되어져 왔다. 일본약전(Japanese pharmacopoeia)에서는, 많은 한방약들이 생약으로 설명되어 있다.
한편, 버섯들의 항종양 활성과 관련하여, 이들의 달인 즙(decoction) 또는 추출물(extract)을 음식물과 함께 쥐 등의 실험동물에게 투약하고, 아무런 한방약제가 투약되지 않은 실험군의 쥐들과 투약된 관리군의 쥐들을 비교 및 관찰하여, 예를 들면 암의 소멸상태, 전이된 상태, 또는 쥐들의 생존 비율과 같은 것을 시험함으로써 버섯의 유효성을 고찰하였다.
게다가, 그러한 실험동물들에서 독성과 유효성을 또한 시험하고, 사람에 적용할 때의 안전성을 충분히 확인한 후에, 이 의약들을 실제로 내복투약하여 임상실험함으로써 사람에의 항종양 활성의 유효성을 최종적으로 확인하였다.
제암성질, 암 전이-억제 성질 등과 같은 버섯의 항종양 활성은 지금까지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알려져 있고, 그것들의 유효성이 주지되어 있다. 버섯 건조물을 달이고 그 즙을 음용하거나, 알코올 등으로 추출된 유효 성분을 비타민 조제와 같은 기타 성분과 혼합하여 건강음료식의 형태로 만드는 방법이 이용되어져 왔다.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는 달인 즙의 음용과 같은 내복 수단에 의한 복용에 의하면, 그것의 치료 효과가 명백히 발견될 수 있도록 의약적 효과가 얻어지는 경우는 의외로 거의 없다. 커다란 의약적 효과를 가져 최근 주목을 끌고 있는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 이는 또한 "아가리쿠스"로 불리운다)에서도 같은 경향이 관찰될 수 있다. 게다가, 최근 주목을 끌고 있는 마이다케 버섯(MAITAKE, 그리폴라 프론도수 딕슨(Grifola frondosu Dickson))에서도 그 의약적 효과를 입증할 만한 예가 거의 없다.
그러나, 그들이 의약적 효과를 보이지 않는다고 해도, 매우 한정된 수의 예들에서는 명백히 유효한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버섯에 의해 제공되는 항종양 활성의 발현에서 차이가 일어나는 메커니즘을 알아냄으로써 어떤 사람에 대하여도 버섯의 항종양 활성을 얻어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있는지에 관해 연구하였다.
항종양 활성을 갖는 버섯의 유효성이 실험동물에서 확인된다고 해도, 그것이 실제 인체에 내복되는 거의 모든 경우에 있어, 상기에 언급한 바대로 예상된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임상시험에서 실제 내복투약에 의해 그것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는, 일정 조건하에 투약 시스템을 조절하면서 정해진 기간동안 내복투약 및 그것의 관찰을 계속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환자에게의 내적 투약에 의해 버섯의 효과가 나타나건 혹은 나타나지 않건 간에, 결과를 얻어내기 위하여는 상당한 기간이 요구된다.
이러한 방법은 확실히 효과적이지만, 예를 들면 수많은 천연물을 선별함에 의해 효과적인 항종양 활성을 갖는 물질을 찾아내는 것은, 엄청난 시일이 요구되므로 보다 더 짧은 기간 내에 항종양 활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임상시험을 받고 있는 환자가 갑자기 합병증을 일으켜 관리하지 않는 치료방법이 급히 환자에게 적용되었을 경우, 그 환자에 대한 효능의 확인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장기간의 임상실험에서는 효능의 확인이 이루어질 수 없는 매우 많은 경우가 일어나게 되기 때문에, 테스트 자체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장기간 동안 임상실험을 수행하는 것이 반드시 쉽지만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시약이 인체에 투입되었을 때 이러한 임상실험을 수행함이 없이 항종양 효능의 발현을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항종양 활성을 갖는 물질로서, 한방약에서 버섯 이외에 수많은 물질들이 생약으로서 알려져 왔고, 버섯에 관한 상기 문제들이 모든 생약을 포함하는 관점에서 해결될 수 있다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종양 활성의 다당류를 함유하는 버섯 등과 같은 생약의 항종양 활성을 효과적으로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섯 등과 같은 생약이 인체에 투입되었을 때, 임상실험을 수행함이 없이 그것의 항종양 활성을 예상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종양 활성의 다당류를 함유하는 버섯 등과 같은 생약을 포함하고, 효과적으로 그들의 항종양 활성을 발현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언급된 목적, 그 외의 목적과 신규한 특질적인 특징은 다음의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항종양 활성의 다당류를 함유하는 생약에 적용되는 항종양 활성의 강화방법에 관한 것이고, 로스팅(roasting)과 발효를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생약의 항종양 활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원적외선으로 생약을 로스팅하는 로스팅 단계, 및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발효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발효단계의 이후에, 본 발명은 원적외선으로 로스팅된 참깨 같은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유분(oily component)에 상기 발효된 생약을 투입한 유제(oily agent)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β-글루칸(β-glucan)을 함유하는 버섯을 사용하는 것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 아가리쿠스 블라제이(Agaricus blazei)), 마이다케 버섯(MAITAKE, 그리폴라 프론도수(Grifola frondosu)), 시이다케 버섯(SHIITAKE, 코티넬러스 시이다케(Cortinellus Shiitake)), 마츠다케 버섯(MATSUTAKE, 트리콜로마 마츠다케(Tricholoma matsutake)), 시메지다케 버섯(SHIMEJITAKE, 리오필럼 데카스테스(Lyophyllum decastes)), 및 에노키다케 버섯(ENOKITAKE, 플라물리나 벨루티페스(Flammulina velutipes))로 구성되는 군중에서 선택된 버섯을 최소한 하나 사용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이 사용되었을 때, 본 발명은 원료 아가리쿠스 버섯에 원적외선에 의한 로스팅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항종양 활성이 강화된 생약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에 언급된 구성의 항종양 활성의 강화방법이 적용된 생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함유하는 생약에 적용되는, 치료적 항종양 활성에서의 효능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코사헥사에노인산(docosahexaenoic acid)과 같은 불포화 지방산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지질 과산화물(lipid peroxide)을 생성하는 계에 상기의 처리가 적용된 생약을 첨가하는 단계와, 상기 처리된 생약 농도의 증가율에 대한 상기 생성된 지질 과산화물의 증가율이 클수록 상기 생약 항종양 활성의 강화처리의 효과가 큰 것으로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생약으로서 β-글루칸을 함유하는 버섯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항종양 활성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생약에 의해 나타난 항종양 효능을 평가함으로써 임상시험을 거치지 않고 생약 효능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코사헥사에노인산과 같은 불포화 지방산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지질 과산화물을 생성하는 계에 생약을 첨가하는 단계와, 상기 생약 농도 비율에 대한 상기 생성된 지질 과산화물의 증가율이 클수록 상기 생약의 내복투약에 의한 항종양 활성의 효능이 큰 것으로 평가 및 예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항종양 활성 강화 방법중 어느 것이 상기 생약에 적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자는 한방약중 항-활성산소 억제 물질(anti-active oxygen inhibiting substance)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그러한 연구를 거쳐 본 발명자는 활성산소 또는 지질 과산화물이 인체에 주목할만한 영향을 주고, 이 물질들은 다양한 전염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인체의 세포조직의 분열에 관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인체의 세포조직에는 SOD(superoxide dismutase)로 불리우는 효소가 그러한 활성산소로부터 인체의 세포조직을 보호하고 활성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존재한다. SOD의 양은 나이를 먹으면서 감소하고, 체내의 활성산소의 제거는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그것의 감소는 40세 또는 그 이상에서 특히 현저하고, 체내 활성산소의 제거는 충분히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데, 이것이 다양한 종류의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것이 최근 밝혀지게 되었다.
또한, 과량의 활성산소가 만성 또는 급성 자극이나 화학물질 등에 의해 생성되었을 때, 활성산소의 제거가 체내에 존재하는 SOD에 의해 초기부터 충분히 이루어질 수 없으면 사람은 다양한 질병을 앓게 된다.
따라서, SOD의 결핍 때문에 활성산소가 충분히 제거되지 못함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질병에 대하여, SOD를 투입하여 치료를 실행하는 것이 고려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방법에 의하면 주사약의 경우에는 효과가 인정되지만, 내복약의 경우에는 현저한 효과가 인정되지 않고 효능이 증명되지 못한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내복약에 대하여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점에 관하여, 본 발명자는 SOD가 위액에 불안정하고, 분자량이 30000 또는 그 이상으로 소화기관에 흡수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존재하는 네 가지 활성산소중 슈퍼록사이드 (superoxide, O2 -)에 대해서만 작용하는 작용한계가 있다는 것을 본 발명자는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는 인체내 과량의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으면서 내복이 가능한 물질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결국 식물의 씨(seed)나 싹(germ)을 적당한 조건에서 로스팅(roasting)한 물질에 첨가하고, 이후 미생물을 넣어 발효시킨 로스팅된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식물성 기름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내복 사용시에도 유효한 활성산소 제거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일본 특허 제 2,125,887호 참조).
상기의 식물의 씨나 싹에는, 플라보노이드(flabonoids), 폴리페놀 (polyphenols), 타닌(tannin), 토코페롤(tocopherol), 비타민 B2등과 같은 저분자량의 항-활성산소 물질들이 본래 존재한다. 본 발명자는 그러한 저분자량의 항-활성산소 물질이 상호 또는 다른 성분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분자 화합물을 생성하거나 흡수 또는 내포(inclusion)에 의해 복잡한 컴플렉스나 고분자 화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상태로 섭취되었을 때, 저분자량의 항-활성산소 물질로부터 기대되는 항-활성산소 억제작용이 얻어질 수 없다.
즉, 상기와 같은 상태로 섭취되었을 때조차, 많은 사람들은 항-활성산소 물질을 위액에 의해 저분자량 물질로 소화할 수 없고, 따라서 항-활성산소 억제 작용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점을 "식품공업", 35권, No. 14와 "천연식물·종자의 DDS, SOD와 같은 작용을 하는 식품의 개발·개량과 그 약리·생화학적 고찰"에서 서술하였다.
본 발명자는 식물의 씨나 싹에 함유된 상기 항-활성산소 물질을 질병의 치료나 예방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 항-활성산소 물질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자는 식물의 씨나 싹을 온화한 조건에서 가열하고 로스팅함에 의해, 식물의 씨나 싹에 함유된 항-활성산소 물질이 상기 컴플렉스로부터 부분적으로 자유화되거나, 화학적 변화에 의해 활성 작용기를 생성함으로써 부분적으로 활성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처리를 행함에 의해, 종전의 로스팅과 비교할 때, 항-활성작용이 현저하게 강화되었다.
한편, 제암성질 또는 암전이 억제 성질과 같은 버섯의 많은 항종양성 활성 기능은 β-글루칸 등과 같은 다당류에 일반적으로 기초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그러한 β-글루칸은 상기 식물의 씨나 싹에 함유된 항-활성산소 물질과 다르기 때문에, 본 발명자에 의한 상기 일련의 활성산소에 관한 연구의 목적에는 벗어난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버섯의 항종양 효과의 발현에서,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달인 즙의 음용으로 내복되었을 때 몇몇 사람에게는 현저한 효과를 보이지만, 다른 많은 사람들에 대해서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상기 항-활성산소 물질이 저분자량이라는 사실이라는 것과 유사한 생각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에 관해 고찰하였다.
즉, β-글루칸의 항종양 활성의 작용과 메카니즘이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다고 해도, 버섯이 내복될 때 버섯의 항종양 효능의 출현에 차이점이 있다는 사실은 버섯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이 쉽게 작용하는 환자들이 있고 거의 작용하지 않는 환자들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복투약 형식에 의하면, 체내에 섭취된 버섯은 즉시 또는 이후에 위액에 의해 처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 버섯의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는지 작용하지 않는지는 그러한 위액 처리에 상당하게 관련된다고 생각하였다. 즉, 본 발명자는 위액 처리에는 개인적인 차이점이 있고, 이러한 개인적 차이가 항종양 효능의 발현에서 차이점을 가져온다고 생각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자는 위액의 세기에는 개인적인 차이가 있다는 임상적 사실의 관점에서, 내복 사용시 항종양 작용의 발현의 용이성과 위액 처리와의 관계 에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웠다.
즉, 버섯에 함유된 항종양 활성을 보이는, 위액의 목적물인 유효성분은 효능이 발현되기 어려운 상태에 존재하고,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그것은 개인별로 차이가 있는 위액에 의해 효능이 쉽게 발현되는 상태로 변화한다. 즉, 한 사람이 본래 강한 위액을 갖고 있다면, 섭취된 버섯에 함유된 항종양 활성을 갖는 성분은 항종양 작용을 나타내기 쉬운 상태로 되고 이로써 항종양 효능이 발현된다.
그러나, 본래 약한 위액을 가진 사람은, 항종양 활성을 갖는 성분이 항종양 작용을 쉽게 나타내는 상태가 되지 않으므로, 항종양 효능은 발현되지 않는다.
최근 많은 사람들은 버섯의 항종양 작용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그 작용이 쉽게 발현될 수 있을 정도로 변화시킬만한 강한 위액을 갖고 있지 않고, 결과적으로 버섯의 항종양 활성의 효능을 확인할 수 있는 많은 예들이 내복투약에 의해서는 거의 관찰될 수 없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즉, 본래 강한 위액을 갖고 있는 사람의 경우에, 버섯에 함유된 항종양 활성에 대해 효과적인 성분들이 예를 들면, 중합에 의해 사슬과 같이 손잡고 있어 움직일 수 없는 상태(비유적 표현이지만), 즉 활성화 될 수 없는 비활성 상태에 있다고 해도, 성분들은 위액에 의해 잘려 자유로운 활성화 상태에서 유효한 성분들로 변화함으로써 항종양 활성이 체내에 나타나게 된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암에 대해 효과적인 유효성분들이 서로 사슬로써 연결된 비활성 상태에 있는 사슬을 위액으로써 절단할 수 없다. 따라서, 암에 유효한 성분은 그들이 손을 맞잡고 있어 체내에서 그 효능을 나타낼 수 없는 비활성 상태에서 장에 흡수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유효 성분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처리가 버섯에 용이하게 적용된다면, 상기의 문제점은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본 발명자는 그러한 비활성 상태에 있는 버섯의 유효성분을 활성화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시도하였으나, 쉽게 효과적인 수단에 도달할 수는 없었다. 이것은 실제적 시스템이 너무 복잡하여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어떻게 유효성분이 비활성 상태에 있는지와 같은 유효성분의 상태에 관한 충분한 지식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었다.
본 발명자는 다양한 실험을 시행하였고, 마지막 실험에서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등의, β-글루칸과는 매우 다른 활성산소 억제 물질을 활성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스스로 발명한 상기 언급된 방법을 적용해 보았다.
그러한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그 수단은 플라보노이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고, 적용 목적물은 β-글루칸과는 매우 달라서 비활성 상태도 물론 매우 다를 것이므로, β-글루칸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법의 변형이 시초에는 무척 난해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실험 결과는 본 발명자의 예상과는 상당히 차이가 있어서, 쉽게 활성화 되는 플라보노이드 등과 같은 활성산소 억제물질과 매우 다른 구조를 갖는 β-글루칸을 변화시키는데에, 활성산소 억제 물질을 활성화하기 위한 수단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발명자는 먼저 원적외선에 의해 로스팅된 버섯을 본 실험에서 사용하여, 그것이 내복투약되었을 때 원적외선으로 로스팅되지 않은 버섯의 경우와 비교하여 항종양 효능이 개선됨을 알아냈다. 게다가, 버섯을 원적외선으로 로스팅하고, 미생물, 특히 "코지(Koji)" (아스퍼길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또는 효모를 첨가하여 발효시켰을 때, 항종양 효능이 더욱 개선됨을 발견하였다.
버섯으로서,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함유하는 버섯, 예를 들면 그 의약적 효능 때문에 최근 특히 주목을 끌고 있는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 지금까지 언급된 포메스(Fomes) (SARUNOKOSHIKAKE), 포리아(PORIA)(BUKURYO) 등과 같이 잠재적인 항종양 활성을 갖는 버섯들도 아무런 문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에 대하여 부연하면, 수확과 건조후 변화가 많은 조건하에서는, 원적외선 로스팅과 발효처리가 이루어져도 충분한 효능을 얻을 수 없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수확후 오래되지 않은 생것의 상태(raw state)와 같은 비건조 조건하에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은 쉽게 상하므로, 원적외선 로스팅 처리를 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면, 생것의 상태(raw state)에서 긴 시간을 견딜 수는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저온의 냉장고에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적외선 로스팅 등과 같은 처리는 수확후 3일 이내에 가해져야 한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 로스팅과 발효 처리의 이후에, 결과물을 유처리(oily treatment)했을 때 항종양 효과가 개선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면, 원적외선 로스팅된 참깨 등과 같은 식물로부터 얻어진 유성분이 첨가되면 유성분이 발효처리의 결과물을 감싸게 된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식물의 씨나 싹에 함유된 항-활성산소 물질을 저분자량의 화합물로 만드는 수단은 또한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함유하는 버섯의 항종양 활성을 발현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초기에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그러나, 실제로 그 물질을 본 실험에 적용해 봄으로써 효과가 얻어질 수 있음이 명확해졌고, 이로써 본 발명이 완성되었다.
본 발명자는 또한 항종양 활성의 관점에서 특별한 주의를 끌지 못하는 버섯이라도, 상기 처리법을 시행함으로써 주목할 만한 항종양 활성이 발현될 수 있음을 또한 밝혀 냈다. 예를 들면, 마이다케 버섯(MAITAKE, 그리폴라 프론도수 딕슨(Grifola frondosu Dickson)) 등이 원적외선에 의한 로스팅과 미생물에 의한 발효 처리를 받았을 때,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에 필적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항종양 활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마이다케 버섯(MAITAKE, 그리폴라 프론도수 딕슨(Grifola frondosu Dickson))과 같은 버섯의 항종양 활성은 지금까지 알려져 왔지만, 그것은 일반적으로 최근 주목을 끌게 된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의 그것에 필적할만한 효능을 가졌다고 생각되진 않았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과 같은 처리법을 버섯에 적용함에 의해서, 마이다케 버섯(MAITAKE, 그리폴라 프론도수 딕슨(Grigola frondosu Dickson))과 같은 버섯의 고유적인 항종양 효능은 충분히 발현되고,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의 그것에 상당하는 항종양 활성이 나타난다.
즉, 버섯이 보유한 잠재적인 항종양 활성은 충분히 나타나지 못하고 있고, 오늘날에도 그 효능이 명백하게 확인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처리법을 버섯에 적용함으로써, 그들의 항종양 활성이 명백하게 나타나고, 예상하지 못했던 정도로 발현될 수 있다.
버섯들에는, β-글루칸이 보다 많이 또는 적게 함유되고, 상기 처리법은 강하게 그 작용과 발현을 촉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마이다케 버섯(MAITAKE, 그리폴라 프론도수 딕슨(Grifola frondosu Dickson))외에도, 본 발명의 처리법은 시이다케 버섯(SHIITAKE, 렌티너스 에도데스(Lentinus edodes)), 마츠다케 버섯(MATSUTAKE, 트리콜로마 마츠다케(Tricholoma matsutake)), 시메지다케 버섯(SHIMEJITAKE, 리오필럼 데카스테스(Lyophyllum decastes)), 및 에노키다케 버섯(ENOKITAKE, 플라물리나 벨루티페스(Flammulina velutipes)) 등과 같이 식용 재료로서 통상 사용되는 버섯에 적용될 수 있다. 결국, 그 방법은 그들에 함유된 잠재적인 항종양 활성을 강하게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진다.
본 발명의 상기 버섯의 항종양 활성 강화 방법이 적용되었을 때, 고가의 희귀한 버섯을 사용하지 않고 통상 싼 값으로 간단히 입수가능한 버섯의 β-글루칸이 활성화될 수 있고, β-글루칸의 양이 희귀한 버섯의 그것보다 적을 때라도 희귀한 버섯에 통상적 방법이 사용되었을 경우와 비교하여, 현저히 효과적인 항종양 활성이 개발될 수 있다. 이는 환자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항종양 활성을 가진 버섯이 건조 및 분말화되어 단순히 혼합된 통상적인 조성물에 비하여, 본 항종양 활성 강화 방법이 적용되는 버섯을 함유한 조성물은 그 항종양 활성이 유의하게(significantly) 상승한다.
게다가, 상기 일련의 버섯 연구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도코사헤사노인산 등과 같은 불포화 지방산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지질 과산화물을 생성하는 계에 버섯을 차츰 그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첨가하고, 다양한 농도의 각각의 버섯에 대하여 생성된 지질 과산화물의 양이 조사된다. 결과적으로, 버섯이 생성된 지질 과산화물을 증가시키는 정도가 클수록, 내복에 의한 항종양 작용은 더 커지는 것을 보인다.
즉, 다양한 종류의 버섯이 같은 농도의 상기 지질 과산화물을 생성한 계에 투입되고, 생성된 각각의 지질 과산화물의 양이 측정된다. 생성된 지질 과산화물의 양이 크면, 실제 내복되었을 때 항종양 효능은 더 강력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방법이 채용된다면, 버섯이 내복적으로 사용되었을 때 항종양 효능이 발현되는가의 여부는 실제 내복투여 없이도 예상할 수 있다. 실험적 내복투여를 위한 임상실험이 환자에게 시행되지 않았을 때에도, 본 방법은 내복투여에 의한 항종양 효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다양한 종류의 처리방법을 버섯에 적용하고, 각각 처리방법이 실행된 버섯을 첨가하여, 생성된 지질 과산화물의 양을 비교함으로써 각 처리방법의 항종양 효능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은 버섯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것이나, 본 방법은 버섯이외에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함유하는 생약에도 적용될 수 있다. 최소한 β-글루칸을 함유한 생약에 대한 적용은 효과적이다.
본 방법은 식물로부터 유도된 생약, 동물로부터 유도된 생약, 그리고 광물로부터 유도된 생약을 포함하는 천연 생약(natural crude drugs)과 같은 버섯이외의 생약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많은 한방약들이 천연적으로 성장한 생약을 사용하지만, 적절한 조건하의 농장에서 수확된 생약일 수도 있고, 취수 경작(water culture) 등과 같은 인공적 경작에 의해 성장한 것들일 수도 있다.
게다가, 예를 들면 'Japanese pharmacopoeia' 등에 설명된 생약외에도, 생약으로서 그것이 본 발명이 적용되었을 때 효과적인 항종양 활성을 나타낸다면, 그러한 천연물 또는 경작물이 본 상세한 설명에 언급된 생약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형태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생약의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 항종양 활성이 강화된 생약을 함유하는 조성물, 생약 처리의 항종양 효능의 평가방법, 및 생약의 항종양 효능의 평가방법에 관하여, 항종양 활성의 다당류인 β-글루칸을 함유하는 생약으로 잘 알려진 버섯들을 사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구현예 1)
본 발명의 구현예 1에서는 생약의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과 항종양 활성이 강화된 생약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설명된다.
생약의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에서, β-글루칸을 함유하는 버섯은 첫째로 원적외선으로 로스팅(roasting)하고, 곧 "코지(Koji)" 등과 같은 미생물을 첨가하여 소정의 습도 및 온도하에서 발효를 시행한다. 발효단계가 완료된 후에, 결과물을 미세한 분말로 적절하게 제조하고, 미세 분말은 원적외선으로 로스팅된 참깨를 압축하고 짜서 얻은 유분(oily component)으로 코팅하여 유제(oily agent)를 제조한다.
또한, β-글루칸을 함유하는 버섯을 상기 원적외선 로스팅단계, 미생물에 의한 발효단계, 및 유제화 단계에 연속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얻어진 물질은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이 적용된 버섯을 함유하여 내복투약시 효과적인 항종양 작용을 나타내는 조성물이 된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이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버섯으로서, β-글루칸을 함유하는 버섯이 사용되었다. 특히 β-글루칸을 많이 함유하고 항종양 효능을 일반적으로 갖는 버섯이 사용할 때, 항종양 효능이 강하게 발현되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버섯으로서, 포리아(BUKURYO),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 폴리포러스(CHOREIMAITAKE, 폴리포러스 움벨라투스 프리에스(polyporus umbellatus FRIES)), 마이다케 버섯(검은색, MAITAKE, 그리폴라 프론도수 딕슨(Grifola frondosu Dickson)), 마츠다케 버섯(MATSUTAKE, 트리콜로마 마츠다케(Tricholoma matsutake)), 그리고 시이다케 버섯(SHIITAKE, 코티넬러스 시이다케(Cortinellus Shiitake))가 사용되었다.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에 대하여는, 그것을 건조후에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생것의 상태(raw state)에서 사용할 때 강력한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본 발명자의 실험으로써 발견하였고, 따라서 수확 이후 저온(4℃)의 냉장고에 저장하여 수확한 날로부터 3일 이내에 사용하였다.
아가리쿠스 버섯 이외의 기타 버섯에 관하여는, 그것들을 생것의 상태와 중국 의약에 종래부터 제공되는 건조 상태에서 사용할 때 효능에서 그다지 중요한 차이점이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포리아(BUKURYO), 폴리포러스(CHOREIMAITAKE, 폴리포러스 움벨라투스 프리에스(polyporus umbellatus FRIES)), 마이다케 버섯(검은색, MAITAKE, 그리폴라 프론도수 딕슨(Grifola frondosu Dickson)), 마츠다케 버섯(MATSUTAKE, 트리콜로마 마츠다케(Tricholoma matsutake)), 그리고 시이다케 버섯(SHIITAKE, 코티넬러스 시이다케(Cortinellus Shiitake))에 관하여는 건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덧붙여, 본 구현예에서는 두 종류의 마이다케 버섯이 사용되었다. 일본에서 생산된 그것들은 주로 설국(snow country)인 니이가타현에서 주로 재배되었고, 공식적으로 설국 마이다케 버섯(유키구니 마이다케) 또는 검은 마이다케 버섯(구로마이다케)으로 불리우며, 본 명세서에서는 마이다케 버섯(흑색)으로 언급된다.
한편, 중국에서 구해지는 마이다케 버섯(MAITAKE, 그리폴라 프론도수 딕슨(Grifola frondosu Dickson))은 본 명세서에서 폴리포러스(POLYPORUS) (CHOREIMAITAKE, 폴리포러스 엄벨라터스 프리에스(Polyporus umbellatus FRIES)로 언급되고, 상기 마이다케 버섯(흑색)과는 필요에 따라 구별된다. 특히, 폴리포러스(POLYPORUS) (CHOREIMAITAKE, 폴리포러스 엄벨라터스 프리에스(Polyporus umbellatus FRIES)에서는 뿌리가 주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항종양 강화방법의 첫 번째 단계는 상기 다양한 종류의 버섯이 원적외선에 의해 로스팅되는 원적외선 로스팅(roasting) 단계이다. 이러한 원적외선 로스팅 단계에서 사용되는 원적외선은 바람직하게 약 4 내지 14㎛의 파장을 가진 원적외선이다. 버섯들은 이와 같은 범위의 파장을 갖는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세라믹이 그 내부에 코팅된 팬(pan), 노(kiln) 등과 같은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로스팅된다. 팬, 노 등과 같은 장치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라믹 분말을 금속산화물의 돌(stone), 자갈(gravel), 모래(sand) 등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로스팅을 실행하는데에서,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이외에는 통상적인 한방약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이 일단 건조된 것들을 사용한다.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에 관하여는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생것의 상태로 사용한다.
상기 버섯은 상기의 장치, 예를 들면 화강암(granite), 세라믹, 텐슈세키 스톤(Tenshouseki stone) 등과 같이 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로 제조되는, 4 내지 14㎛의 파장의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토병(earthen pot)에서 30 내지 90분간 타지 않는 정도로 잘 교반하면서 점차적으로 로스팅한다.
로스팅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버섯의 β-글루칸의 유리를 촉진한다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로스팅에 사용되는 원적외선으로서 상기에 언급된 장치외에도, 백금 전자파 섬유(platinum electromagnetic wave fiber) 등과 같이 그것이 4 내지 14㎛의 파장을 가진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을 포함한다면 임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원적외선 로스팅 단계의 이후에, 두 번째 단계로서 발효단계가 제공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원적외선 로스팅 처리를 적용하고 나서, "코지(Koji)" 또는 효모와 같은 발효 박테리아를 사용하여 습기를 함유한 실내에서 30 내지 36℃에서 48 내지 72시간동안 발효가 실행된다. 이것은 발효시간을 줄이기 위한 발효 도구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발효에 사용되는 미생물로서, "코지" 외의 미생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발효를 실행하는데 있어, "코지"에 부가하여 성숙한 파파야(matured papaya), 파인애플 과즙, 무화과 껍질(rind of a fig), 포도 껍질(rind of a grape), 어린 대나무의 외피(a bark of a young bamboo) 등과 같이 발효 능력을 갖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디아스타아제(diastase), 판크레아틴 (pancreatin) 등의 소화효소, 프로테아제(protease), 펩신(pepsin), 트립신 (trypsin) 등과 같이 미생물로부터 유도된 단백질 분해효소, 헤미셀룰라아제 (hemicellulase)와 같은 다당류 분해효소, 또는 상기 소화효소나 단백질 분해효소 등을 생성하는 전구물질이 발효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에 의한 실험에 따르면 발효가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가 이루어졌을 때, 그리고 미생물 중에서도 "코지"로써 발효가 이루어졌을 때, 항종양 활성의 강화차원에서 보다 더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었다. 이러한 발효단계 이후에, 출발물질은 분쇄되었다.
분쇄에서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분쇄기가 사용될 수 있으나, 분쇄중 고온조건을 생성하는 기계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재 분쇄기(stone mill)와 같이 고온을 형성하지 않는 분쇄수단을 이용하여 분쇄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원적외선 로스팅 단계와 발효단계가 적용되는 출발물질 버섯은 이어 유제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유제(oily agent)화 과정은 발효후의 상기 출발물질의 미세한 분말을 원적외선 로스팅된 참깨로부터 얻어진 유분(oily component)에 투입하는 것이다.
유제화에 사용되는 유분으로서, 로스팅된 참깨로부터 채취된 기름(이하, 참깨 페이스트(paste) 기름이라 한다)이 사용될 수 있다. 참깨 페이스트 기름은 생참깨를 100℃를 넘지 않는 온도에서 긴시간동안 천천히 원적외선 로스팅하고, 로스팅 이후 참깨를 갈아서 압축함으로써 얻어지는 기름이다. 이러한 참깨 페이스트 기름에서, 참깨를 갈아서 생기는 미세한 고형물은 이러한 상태로 남아 반죽과 같은(paste-like) 형상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참깨 페이스트에 상기 발효후 분쇄된 버섯을 첨가하여, 미세 분쇄된 버섯을 참깨 유분으로 피복하게 된다. 버섯을 피복함으로써, 이러한 페이스트 기름의 피복이 없는 경우와 비교할 때, 질환부위 세포에의 침투력이 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유제화 단계는 최근 관심을 끄는 약물운반 시스템(drug delivety system, DDS)의 관점에서 효과적인 목표 지향성을 제공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첨언하면, 유제화 단계는 상기와 같이 중요한 단계이고 그 단계를 제공하는 것이 본래 바람직하지만, 유제를 제조하는 것이 적절하게 이행할 수 없는 어떠한 문제가 있다면 유제화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말할 수 있는 이유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원적외선 로스팅 단계와 발효단계가 확실히 이행되었다면 유제화 단계가 이행되지 않았어도 항종양 작용을 강화하는 효과는 유의하게 커진다는 것이 실험을 통해 검증되기 때문이다.
또한, 유제의 제조에 있어 상기 참깨 페이스트 기름과 생참깨로부터 채취된 기름이 적당한 비율로 혼합된 혼합 기름을 사용할 때, 더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생참깨로부터 채취된 기름을 혼합함으로써, 기름방울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고, 이로써 높은 점도와 큰 기름방울 크기를 갖는 참깨 페이스트 기름으로 피복된 버섯의 경우와 비교할 때 목표 세포에 침투하는 능력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생참깨로부터 채취된 기름은 생참깨를 갈아서 그 결과물을 압축하고, 고형물을 제거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시판된 참기름에 해당한다.
참깨 페이스트 기름과 상기 생참깨로부터 얻어지는 참기름을 혼합하는 비율은 첨가되는 출발 미세 분말의 양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므로 한마디로 규정할 수는 없지만, 참깨 페이스트 기름 1중량부에 대하여 참기름 1 내지 3중량부가 적당하다. 또한, 혼합하는 기름과 출발 미세 분말의 혼합비는, 예를 들어 혼합하는 기름 1중량부에 대하여 출발 미세 분말 4 내지 5중량부 정도가 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항종양 활성이 강화된 버섯을 도코사헥사노인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지질 과산화물을 생성한 계에 첨가하였고 생성된 지질 과산화물의 양을 조사하였다. 이와 함께, 내복 투약에 의한 그 항종양 효능 또한 임상실험에 의하여 측정되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된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의 비교를 위해, 원적외선 로스팅만을 버섯에 적용했을 경우, 다당류 분해효소 발효만을 적용했을 경우, "코지" 발효만을 적용했을 경우, 원적외선 로스팅과 "코지" 발효 모두를 적용했을 경우, 그리고 아무런 처리를 적용하지 않는 미처리의 경우 각각에 관하여 생성된 상기 지질 과산화물의 양과 임상실험에서의 효능을 조사하였다.
상기 다당류 분해 효소 발효를 실행하기 위하여, 다양한 다당류 분해 효소를 사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중 대표로서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를 사용하였다.
덧붙여, 원적외선 로스팅만이 적용된 경우, 다당류 분해효소 발효만이 적용된 경우, "코지"발효만이 적용된 경우, 그리고 원적외선 로스팅과 "코지"발효 모두가 적용된 경우에서, 각 처리가 이루어졌을 때 물질은 상기에 언급한 과정으로 미세분말로 분쇄되었고, 이후의 실험에서 이용되었다.
각 시료의 분쇄 정도는 분쇄된 입자크기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동일한 정도의 평균 분쇄입자 크기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미처리의 경우,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을 생것의 상태로 잘게 나누어 사용하였고, 기타 버섯은 건조후 미세분말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상기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량의 측정은 하기와 같이 이행되었다. 도코사헥사에노인산(docosahexaenoic acid) 일정량을 복수개의 시험관에 넣고, 이전에 각각 다른 양으로 칭량된 버섯을 각각의 도코사헥사에노인산에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와 함께, 각 시험관의 내용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형성된 지질 과산화물의 양을 측정하였다.
도코사헥사에노인산은 원료액체를 10배 에탄올로 희석시키고, 그 희석액을 다시 200배가 되도록 희석시켜 최종 희석액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상기 처리(미처리 포함)가 적용된 버섯 시료는 60㎎/㎖의 버섯 농도가 되도록 일정량의 에탄올에 첨가하고, 그 에탄올은 상온에서 2 내지 6주동안 놓아둠으로써 에탄올에 의한 추출을 행한다. 실험에서 시료를 사용하는 데에는, 0.6㎎/㎖의 최종농도가 되도록 추출액을 희석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요령으로 제조된 도코사헥사에노인산 희석액 0.05㎖와 시험관 내의 버섯 시료 0.1㎖ 및 에탄올 0.85㎖를 혼합함으로써, 총량은 1㎖가 된다. 이 시험관에 자외선을 3시간동안 조사하여 지질 과산화물을 생성하도록 한다. 생성된 지질 과산화물은 TBA 반응(thiobarbituric acid reaction)으로 측정된다.
산성 조건하에서 생성된 지질 과산화물을 가열하여, 유리된 말론디알데히드 (malondialdehyde, MDA)와 티오바비튜린산(thiobarbituric acid, TBA)를 반응시키고, 생성된 흡수 극대 물질(absorbtion maximum substance)을 정량하여 간접적으로 생성된 지질 과산화물의 양을 얻도록 한다.
TBA 반응을 실행하는데 있어서는, 7% 소듐도데실설페이트(sodium dodoecylsulfate) 0.2㎖, 0.1N 염산 2㎖, 인텅스텐산(phosphotungstic acid) 0.3㎖와 0.67% TBA와 아세트산을 1 : 1로 혼합하여 제조된 시약 1㎖을 자외선이 조사된 각 시험관에 첨가하고, 이후 12분 동안 95℃를 유지하여 TBA반응을 행한다.
이후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TBA반응층을 n-부틸알코올로 추출하여 n-부틸알코올층에 형광분광 광도법(fluorospectrophotometric method)를 적용하여 MDA의 양을 측정하였다. 측정을 행하는데 있어, 515㎚ 파장의 빛이 여기광(exciting light)으로 사용되었고, 535㎚ 파장으로 형광측정하였다. 사용된 형광분광 광도계는 400V의 광전자 배증관(photomultiplier)을 사용하여 히타치(Hitachi Ltd.)에서 제작한 F2000이고, 여기광 조사에 있어서의 밴드 패스(band pass)를 20㎚로하고, 형광측정(fluorescence)시의 밴드 패스를 20㎚로 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지질 과산화물 생성 시스테에의 자외선 조사로써 처리가 행해진 버섯에 대한 도코사헥사에노인산의 효과에 관련하여, 상기 요령으로 측정된 MDA값(MDA의 양과 같고, 흡광도로 표시됨)이 조사되었다. 그 결과는 표 1에 개시되었다.
한편, 상기 버섯중에서 포리아(BUKURYO), 마이다케 버섯(MAITAKE, 각각 검은 마이다케 버섯(쿠로마이다케), 설국 마이다케 버섯(유키구니 마이다케)), 과 폴리포러스(CHOREIMAITAKE, 폴리포러스 움벨라투스 프리에스(polyporus umbellatus FRIES))에 있어서, 미처리, 다당류 분해효소 발효처리, "코지" 발효처리, 원적외선 로스팅 처리 + "코지" 발효처리, 원적외선 로스팅 처리 + "코지" 발효처리 + 유제화 처리 각각의 경우에 유방암, 위암, 및 폐암에 대한 임상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는 표 2, 3, 및 4에 개시되었다.
표 2에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된 상기 버섯들의 유방암에 대한 치료 효능이 나타나 있다. 표 3과 4는 표 2에서와 같은 처리가 적용된 다양한 버섯의 위암 환자와 폐암환자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첨언하면, 표 2 내지 4에서 다음식으로부터 계산된 유효율(Effective ratio)이 또한 나타나 있다.
유효율 = (유효수 + 미소한 유효수) × 100 / (유효수 + 미소한 유효수 + 비유효수)
MDA생성에 대한 각종 버섯의 영향
처리의 종류 검사 항목과 시료 MDA값(평균) 순위
콘트롤(버섯미첨가) 115 -
미처리 포리아아가리쿠스 버섯폴리포러스 움벨라투스 프리에스마이다케 버섯(흑)마츠다케 버섯시이다케 버섯 269283439398218189 431256
원적외선 로스팅 포리아아가리쿠스 버섯폴리포러스 움벨라투스 프리에스마이다케 버섯(흑)마츠다케 버섯시이다케 버섯 288341536490271233 431256
다당류분해효소발효 포리아아가리쿠스 버섯폴리포러스 움벨라투스 프리에스마이다케 버섯(흑)마츠다케 버섯시이다케 버섯 284375551525304265 531246
"코지"발효 포리아아가리쿠스 버섯폴리포러스 움벨라투스 프리에스마이다케 버섯(흑)마츠다케 버섯시이다케 버섯 296399594528302280 531246
원적외선 로스팅 처리+ "코지" 발효 포리아아가리쿠스 버섯폴리포러스 움벨라투스 프리에스마이다케 버섯(흑)마츠다케 버섯시이다케 버섯 334489799768412381 631245
원적외선 로스팅 처리+ "코지" 발효처리+ 유제화 포리아아가리쿠스 버섯폴리포러스 움벨라투스 프리에스마이다케 버섯(흑)마츠다케 버섯시이다케 버섯 362509827792430397 631245
각각 버섯은 6㎎/㎖가 첨가되었다.
유방암 환자에 대한 각종 버섯의 치료효능
처리의 종류 시료 유방암(200명) 유효율(%)
유효 미소한 유효 비유효
미처리 포리아아가리쿠스 버섯마이다케 버섯 011 323 373736 7.57.510.0
다당류 분해효소 발효 포리아아가리쿠스 버섯마이다케 버섯 124 465 353231 12.520.022.5
"코지" 발효 포리아아가리쿠스 버섯마이다케 버섯 134 576 343030 15.025.025.0
원적외선 로스팅 처리+ "코지" 발효 포리아아가리쿠스 버섯마이다케 버섯 2412 467 343031 15.025.047.5
원적외선 로스팅 처리 + "코지" 발효처리 + 유제화 포리아아가리쿠스 버섯마이다케 버섯 3614 589 322617 20.035.057.5
괄호내의 숫자는 시험받은 총 사람수를 나타낸다.
(유효 + 미소한 유효) 실례의 수
유효율 = ――――――――――――――――― × 100 (%)
총 실례의 수
이하 표 3과 4에서도 동일하다.
위암 환자에 대한 각종 버섯의 치료효능
처리의 종류 시료 위암(120명) 유효율(%)
유효 미소한 유효 비유효
미처리 포리아아가리쿠스 버섯마이다케 버섯 001 221 282828 6.76.76.7
다당류 분해효소 발효 포리아아가리쿠스 버섯마이다케 버섯 223 133 272524 10.016.720.0
"코지" 발효 포리아아가리쿠스 버섯마이다케 버섯 123 245 272422 10.020.026.7
원적외선 로스팅 처리+ "코지" 발효 포리아아가리쿠스 버섯마이다케 버섯 135 357 262218 13.326.740.0
원적외선 로스팅 처리 + "코지" 발효처리 + 유제화 포리아아가리쿠스 버섯마이다케 버섯 146 478 251916 16.736.746.7
괄호내의 숫자는 시험받은 총 사람수를 나타낸다.
폐암 환자에 대한 각종 버섯의 치료효능
처리의 종류 시료 폐암(80명) 유효율(%)
유효 미소한 유효 비유효
미처리 포리아아가리쿠스 버섯마이다케 버섯 001 121 191818 5.010.010.0
다당류 분해효소 발효 포리아아가리쿠스 버섯마이다케 버섯 113 124 181713 10.015.035.0
"코지" 발효 포리아아가리쿠스 버섯마이다케 버섯 113 235 171612 15.020.040.0
원적외선 로스팅 처리+ "코지" 발효 포리아아가리쿠스 버섯마이다케 버섯 234 135 171411 15.020.045.0
원적외선 로스팅 처리 + "코지" 발효처리 + 유제화 포리아아가리쿠스 버섯마이다케 버섯 235 245 161310 20.035.050.0
괄호내의 숫자는 시험받은 총 사람수를 나타낸다.
같은 종류의 버섯에서, 미처리의 경우보다는 원적외선 로스팅이 적용되었을 때, 원적외선 로스팅이 적용된 경우보다는 다당류 분해효소 발효가 적용되었을 때, 다당류 분해효소 발효보다는 "코지" 발효가 적용되었을 때, "코지" 발효가 적용되었을 경우보다는 원적외선 로스팅과 "코지" 발효 두가지가 적용되었을 때, 원적외선 로스팅과 "코지 "발효 두가지가 적용되었을 경우보다는 원적외선 로스팅, "코지" 발효와 유제화 과정 세가지가 적용되었을 때, 생성된 지질 과산화물 양의 지표가 되는 MDA 값이 커진다는 것을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원적외선 로스팅과 다당류 분해효소 발효 사이의 포리아(BUKURYO) 및 다당류 분해효소 발효와 "코지" 발효 사이의 마츠다케 버섯(MATSUTAKE, 트리콜로마 마츠다케(Tricholoma matsutake))을 제외하고는, 시험에 적용되는 버섯의 종류에 무관하게 공통적이다.
포리아(BUKURYO)에 관하여는 원적외선 로스팅이 적용될 때 및 다당류 분해효소 발효가 적용되었을 때, 그리고 마츠다케 버섯(MATSUTAKE, 트리콜로마 마츠다케(Tricholoma matsutake))에 관하여는 다당류 분해효소 발효가 적용되었을 때 및 "코지" 효소가 적용되었을 때 거의 같은 MDA값(정확하게는 한 처리법의 값이 다른 치료법의 값보다 1% 정도 크다)이 얻어질 수 있다.
한편, 같은 종류의 버섯에서 미처리의 경우보다는 다당류 분해효소 발효가 적용되었을 때, 다당류 분해효소 발효가 적용되는 경우보다는 "코지" 발효가 적용되었을 때, "코지" 발효가 적용되었을 경우보다는 원적외선 로스팅과 "코지" 발효 두가지가 적용되었을 때, 원적외선 로스팅과 "코지 "발효 두가지가 적용되었을 경우보다는 원적외선 로스팅, "코지" 발효와 유제화 과정 세가지가 적용되었을 때 유방암 환자, 위암 환자, 그리고 폐암 환자 각각의 경우에서 유효율이 커진다는 것을, 상기 각각의 처리가 적용된 포리아(BUKURYO),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 마이다케 버섯(MAITAKE, 검은 마이다케 버섯(쿠로마이다케), 설국 마이다케 버섯(유키구니 마이다케))과 폴리포러스(CHOREIMAITAKE, 폴리포러스 움벨라투스 프리에스(polyporus umbellatus FRIES))를 유방암 환자, 위암 환자, 그리고 폐암 환자에게 투입했을 때의 임상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표 2 내지 4로부터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포리아(BUKURYO)는 미처리의 경우에 비하여 원적외선 로스팅 + "코지" 발효 + 유제화 과정이 적용되었을 때, 유효율이 7.5%에서 20.0%로 3배 정도 상승하는 것을 표 2로부터 알 수 있다.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에서는 유효율이 7.5%에서 35%로 4.9배 정도 상승하였다. 마이다케 버섯(MAITAKE)에서는 항종양 효과의 발현성인 유효율이 10.0%에서 57.5%로 약 5.75배 정도 경이적인 상승을 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표 3과 4에서도 같다.
상기 결과로부터, 원적외선 로스팅 단계, "코지" 발효 단계, 그리고 유제화 단계를 순차적으로 결합한 처리방법이 버섯의 항종양 작용의 발현성을 증대시키는 방법으로서, 즉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으로서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보인다.
미처리된, 그리고 원적외선 로스팅과 "코지" 발효 처리가 적용된 각종 버섯에서의 자유 β-글루칸의 양
처리의 종류 시료 β-글루칸의 양
미처리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마이다케 버섯(MAITAKE,흑) 9.0g/100g24.4g/100g
원적외선 로스팅 처리+ "코지" 발효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마이다케 버섯(MAITAKE,흑) 14.2g/100g30.4g/100g
한편,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으로서 자유 β-글루칸의 양을 항종양 효능의 발현을 증대시키기 위한 처리를 한경우와 미처리의 경우에 측정하였다. 사용된 버섯은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과 마이다케 버섯(MAITAKE, 검은 마이다케 버섯(Kuromaitake))이고, 이들은 표 2 내지 4에서 큰 유효율을 나타낸다. 그리고, 분석은 일본 오사카 쓰이타시의 식품분석센터(Food Analysis Center)에서 이루어졌다.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나 있다.
표 5의 결과로부터, 원적외선 로스팅 + "코지" 발효처리가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과 마이다케 버섯(MAITAKE)중 어느 하나에 적용되었을 때, 자유 β-글루칸의 양이 증대됨을 알 수 있다. 검은 마이다케 버섯(Kuromaitake)이외의 마이다케 버섯(MAITAKE)과 관련하여, 동일한 효과가 폴리포러스(CHOREIMAITAKE, 폴리포러스 움벨라투스 프리에스(Polyporus umbellatus FRIES))에서도 나타난다. 한편, 표 2 내지 4의 임상실험 결과에서, 미처리의 경우보다는 원적외선 로스팅 처리 + "코지" 발효 처리를 적용하는 경우에 항종양 효능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표 2 내지 4의 결과와 표 5의 결과를 연결하여 조사함으로써 버섯의 항종양 작용에 유효한 β-글루칸중에서도 특히 자유 β-글루칸의 양이 클 때, 항종양 효능이 현저하게 발현된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이 미처리 버섯에서는 항종양 작용을 갖는 β-글루칸이 서로 결합된 사슬(비유적 표현)을 형성하여 소위 비활성 상태인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에 있고, 버섯이 내복투입되었을 때 사슬이 보통사람의 위액에 의해 절단되지 않아서 예상보다 항종양 활성이 나타나지 않는다라는 가설을 설정함으로써 상기의 일련의 연구를 발전시켰다. 그러나, 자유 β-글루칸 양의 증가는 현저하게 항종양 작용의 발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발견되었고, 본 발명자가 예상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항종양 활성의 강화방법을 구성하는 원적외선 로스팅 단계, 발효 단계, 그리고 유제화 단계로써 생성된 조성물은, 표 5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유 β-글루칸의 양이 증가된 조성물이므로 내복투약에 있어 항종양 활성을 유효하게 나타낸다. 상기 항종양 활성의 강화방법이 적용되지 않는 버섯(미처리 버섯)을 함유하는 조성물과 비교하여, 그것의 항종양 활성은 현저하게 증가한다.
또한 표 1로부터, 버섯에서 MDA 값의 크기의 순위는 미처리를 포함한 각종 처리 사이에서 변화한다. 표 1에 나타난 순위에서 세 종류의 포리아(BUKURYO), 마츠다케 버섯(MATSTUTAKE), 시이다케 버섯(SHIITAKE)에 관하여, 미처리, "코지" 발효, 그리고 원적외선 로스팅 + "코지" 발효의 3가지 처리법에서 항종양 효능의 순위가 바뀔 가능성을 보인다.
예를 들어, 원적외선 로스팅 및 "코지" 발효가 적용되면 항종양 활성이 포리아(BUKURYO), 마츠다케 버섯(MATSUTAKE), 그리고 시이다케 버섯(SHIITAKE)의 순서로 높게 되는 반면에, 미처리의 경우에는 항종양 활성은 시이다케 버섯(SHIITAKE), 마츠다케 버섯(MATSUTAKE), 그리고 포리아(BUKURYO)의 순서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항종양 활성의 강화방법을 적용하여, 항종양 활성이 낮게 평가되었던 미처리 버섯의 순위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천연 생약을 사용한 한방약 분야에서, 높은 항종양 활성을 갖는 버섯이라 해도 안정하게 생산량을 확보할 수 없는 희귀종들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였을 때는 그러한 희귀종 대신에, 충분한 생산량을 확보할 수 있거나 경작할 수 있는 버섯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공급의 안정화와 제품의 저가화가 가능하고, 이로써 많은 사람들이 버섯의 항종양 효능을 효과적으로 향수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의 설명에서는 최상의 구현예로서, 원적외선 로스팅 처리, 발효처리, 및 유제화 처리의 세 종류가 적용되는 처리만이 설명된다. 그러나, 원적외선 로스팅 처리만이 적용되거나,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 등과 같은 다당류 분해효소 발효 처리만이 적용되거나, "코지" 등과 같은 미생물에 의한 발효처리만이 적용되거나, 원적외선 로스팅 및 발효처리만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미처리의 경우에 비해 항종양 효능의 발현이 강화된다.
그래서, 장비의 조건 때문에 유제화가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이유가 있을 때, 원적외선 로스팅 처리와 미생물 발효가 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항종양 작용은 미처리의 경우에 비해 현저하게 효과적으로 나타난다.
게다가, 상기 버섯에 원적외선 로스팅, 발효 처리, 유제화 처리의 세 종류 또는 원적외선 로스팅과 발효 처리의 두 종류가 적용되는 처리공정에서, "코지"와 같은 미생물 또는 효모 박테리아를 이용한 발효처리에 더하여, 다당류 분해효소를 이용한 발효처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종양 작용 강화방법의 유제화 단계에서, 로스팅된 참깨로부터 얻어진 참깨 페이스트 기름이 사용되나, 참깨이외에도 로스팅된 콩, 옥수수, 잇꽃 (safflower), 달맞이꽃, 쌀겨, 평지씨(rapeseed) 등을 원적외선으로 로스팅하고 이후 짜고 압축하여 얻은 식물기름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이 적용된 버섯을 함유하는 조성물에서, 상기 방법으로 버섯을 처리하여 얻어진 물질에 부가하여, 비타민제와 같이 항종양 작용을 발현하는데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성분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조성물로서, 본 발명자에 의해 개발된 활성산소 억제 효과를 갖는 조제물이 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항종양 작용 강화 처리된 생약 함유 조성물은 젤라틴 캡슐 등으로 캡슐화시켜 용이하게 내복투약될 수 있는 약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적당한 부형제(excipient), 결합제(binder) 등을 사용하여, 그것은 정제화(tabletting)에 의한 정제가 되거나, 별 문제없이 과립제(granule) 또는 환제(pill)와 같은 조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복투약에서의 항종양 활성을 강화시키는 방법이지만, 본 발명의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이 적용되는 버섯을 사용하여 제조된 주사약이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항종양 활성의 발현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설명에는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와 같은 버섯의 경우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져 있지만, 상기에 언급된 버섯으로만 한정할 필요는 없고, β-글루칸을 함유하는 버섯은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메지다케 버섯(SHIMEJITAKE, 리오필럼 데카스테스(Lyophyllum decastes)), 에노키다케 버섯(ENOKITAKE, 플라물리나 벨루티페스(Flammulina velutipe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우기, β-글루칸 외의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함유하는 생약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섯을 포함하여 폭넓게 식물로부터 유래된 천연물 또는 경작물중 β-글루칸과 같은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함유하는 것들의 항종양 효능의 발현을 강화시키는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구현예 2)
본 구현예에서는 생약의 항종양 활성의 효능 평가방법과 생약처리의 항종양 효능 평가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구현예 1에서 설명된 자외선을 조사하여 지질 과산화물이 생성되는 실험계에 항종양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버섯 등의 생약을 첨가하고,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량을 조사한다. 그 양을 늘려가면서 버섯을 첨가할 때,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량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경향을 가진 버섯은 그것이 투약되면 강력한 항종양 활성을 보인다.
즉, 첨가된 버섯농도의 증가율에 대하여 생성 지질 과산화물의 증가율이 큰 값이라면, 버섯은 내복투약되었을 때 강한 항종양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실험계에 복수종류의 버섯을 투입하고, 첨가된 버섯농도에 대한 지질 과산화물 생성량의 증가율을 서로 비교하면, 복수종류의 버섯이 내복투약에 의해 항종양 효능을 나타내는 효과의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 2에서의 두 가지 평가방법을 상기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표 1에서 각 처리방법에 대한 MDA값을 서로 비교하면, 원적외선 로스팅 등과 같은 처리가 이루어진 경우, 비처리의 경우에 비해 더 큰 MDA 값을 나타낸다.
원적외선 로스팅 또는 "코지" 발효중 어느 것을 적용하였을 때는 "코지" 발효가 적용되는 버섯의 MDA값이 더 크다. "코지" 발효와 원적외선 로스팅을 조합하여 사용하였을 때는 원적외선 로스팅 또는 "코지" 발효중 어느 것 하나만 적용하였을 경우보다 MDA값이 더 크다. 게다가, 원적외선 로스팅, "코지" 발효와 유제화 처리의 세가지가 적용되었을 때의 MDA값은 원적외선 로스팅과 "코지" 발효 두가지 적용되는 경우보다 더 크다.
한편, 각각 포리아(BUKURYO),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 마이다케 버섯(MAITAKE, 검은 마이다케 버섯(쿠로마이다케), 설국 마이다케 버섯(유키구니 마이다케))과 폴리포러스(CHOREIMAITAKE, 폴리포러스 움벨라투스 프리에스(polyporus umbellatus FRIES))에 대하여, 미처리, 다당류 분해효소 발효 처리, "코지" 발효 처리, 원적외선 로스팅 + "코지" 발효 처리, 원적외선 로스팅 + "코지 " 발효 + 유제화 처리 각각으로써 유방암, 위암, 및 폐암에 관하여 임상실험이 이루어진 상기 표 2, 3, 및 4로부터, 같은 버섯에서는 표 1에서 높은 MDA값을 나타내는 처리가 적용될 때 임상 효과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임상효과의 크기, 즉 항종양 효능의 효과는 MDA값을 지표로서 사용하여 판정할 수 있고, MDA값을 크게 하는 처리가 항종양 효능을 나타내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도코사헥사에노인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생성된 지질 가산화물의 양을 나타내는 MDA값이 클수록, 처리는 버섯의 항종양 활성에서 매우 효과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버섯들에 대한 동일한 처리 방법에 관하여 표 1의 결과와 표 2 내지 4의 결과를 비교하면, MDA값의 크기의 순위는 임상적 효능에서 유효율 크기의 순위와 일치한다. 즉, 도코사헥사에노인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지질 과산화물을 생성한 계에 같은 처리가 적용된 각각 다른 버섯을 같은 농도로 첨가하고, 생성된 지질 과산화물의 양이 MDA값과 함께 보여졌을 때, 생성된 MDA의 양을 크게 하는 버섯은 항종양 효능을 나타내는 데에서 효과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버섯의 항종양 활성은 도코사헥사에노인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생성된 지질 과산화물의 양을 나타내는 MDA값을 크게 하는 버섯은 내복투약시에 높은 항종양 활성을 갖는다고 예상할 수 있다. 즉, 임상실험을 실행하지 않고도, 각종 버섯의 내복투약에 의한 항종양 활성의 효과을 예상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설명에서는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 등과 같은 버섯에 적용되는 경우가 설명되어졌지만, 상기 언급된 버섯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β-글루칸을 함유한다면 그 외의 버섯에 적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β-글루칸 외의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함유한 버섯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버섯이외에도 식물로부터 유래된 천연물 또는 경작물과 같은 생약으로서 β-글루칸과 같은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함유하는 것들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도코사헥사에노인산이 사용되었지만, 예를 들면 자외선 조사 및 버섯의 첨가에 의해 지질 과산화물을 생성하는 불포화 지방산과 같은 도코사헥사에노인산외의 지방산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자외선 조사 및 버섯의 첨가에 의해 지질 과산화물을 생성하는 불포화 지방산은, 그것이 생체로부터 유래된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합성 지방산이라도 상기 평가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코사헥사에노인산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지질 과산화물을 생성하는 계에 제암성 다당류를 함유하는 버섯을 첨가함으로써, 그리고 각 농도에 따라 생성된 지질 과산화물의 양을 파악함으로써, 사용되는 버섯 각각에 대한 임상실험을 거치지 않고도 암과 같은 악성종양의 진행단계에 따라 적절한 평균적 투여량을 용이하게 예상할 수 있다.
즉, 버섯 농도와 각종 버섯의 MDA값과의 관계는 상기의 요령으로 파악하여 두고, 이와 함께 어떤 종류의 버섯에서 MDA값과 암의 각 진행 단계에서의 효능을 예비적으로 임상시험에서 확인하여 둔다. 상기와 같이 실행함으로써, 암 등과 같은 종양의 각 진행단계에서 효과있다고 확인된 MDA값을 얻기 위하여 버섯의 농도가 역으로 계산된다면, 평균 내복투약량이 버섯 농도로부터 용이하게 예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생약의 항종양 활성이 MDA와 같은 일반적인 지표로 비교될 수 있으므로, 임상시험을 행하여 비교되었었던 다양한 종류의 생약의 항종양 활성을 임상시험을 행하지 않고도, 즉 환자에게 만의 하나 위험을 끼치지 않고도 비교할 수 있게 된다.
즉, 각종 생약에 공통적인 척도로 사용할 수 있는 파라미터(parameter)로서 MDA 값을 발견해내고, 또 MDA 값과 항종양 활성을 연관시킴으로써 항종양 활성에 대한 상호평가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의미는, 수많은 생약의 상호평가가 간단하고 쉽게 행해질 수 있다는 관점에서 매우 큰 것이다.
본 발명의 생약의 항종양 활성의 강화방법에 의하면, 내복투약시 버섯과 같은 생약의 항종양 활성의 효능은 이러한 방법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의 항종양 활성의 강화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지 않을 때는 유효하다고 인정되지 않는 버섯 등의 생약에서도, 내복투약에서 효능을 증대시킴으로써 항종양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종양 활성 강화방벙이 적용되는 버섯 등의 생약을 함유한, 본 항종양 활성 강화 생약 조성물은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생약을 함유한 조성물에 비해 내복투약시 높은 항종양 효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생약처리의 항종양 효능 평가방법에 의하면, 생약에 적용된 각종 처리방법의 항종양 활성의 관점에서 본 효능을 짧은 기간내에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의 항종양 효능 평가방법에 의하면, 내복투약시 생약 효능을 임상시험없이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의 동물실험 또는 임상시험을 거친 후에 결과가 얻어지는 통상적인 방법에 비해, 무수하게 많은 천연물을 선별해냄으로써 항종양 효능이 있는 물질의 탐색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9)

  1.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함유한 생약에 적용하는 항종양 활성의 강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약을 원적외선에 의해 로스팅(roasting)하는 로스팅 단계,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발효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로스팅과 발효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생약의 항종양 활성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의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으로서 β-글루칸을 함유한 버섯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의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으로서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 마이다케 버섯(MAITAKE, 그리폴라 프론도수(Grifola frondosu)), 시이다케 버섯(SHIITAKE, 코티넬러스 시이다케(Cortinellus Shiitake)), 마츠다케 버섯(MATSUTAKE, 트리콜로마 마츠다케(Tricholoma matsutake)), 시메지다케 버섯(SHIMEJITAKE, 리오필럼 데카스테스(Lyophyllum decastes)), 및 에노키다케 버섯(ENOKITAKE, 플라물리나 벨루티페스(Flammulina velutipes))로 구성되는 군중에서 선택되는 버섯을 최소한 1종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의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을 사용하고, 생것의(raw) 아가리쿠스 버섯을 원적외선으로 로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의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발효단계의 이후에, 원적외선으로 로스팅한 참깨와 같은 식물로부터 얻은 유분(oily component)으로 발효된 생약을 도포한 유제(oily agent)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로스팅, 발효, 및 유제화 단계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생약의 항종양 활성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의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생약으로서 β-글루칸을 함유한 버섯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의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으로서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 마이다케 버섯(MAITAKE, 그리폴라 프론도수(Grifola frondosu)), 시이다케 버섯(SHIITAKE, 코티넬러스 시이다케(Cortinellus Shiitake)), 마츠다케 버섯(MATSUTAKE, 트리콜로마 마츠다케(Tricholoma matsutake)), 시메지다케 버섯(SHIMEJITAKE, 리오필럼 데카스테스(Lyophyllum decastes)), 및 에노키다케 버섯(ENOKITAKE, 플라물리나 벨루티페스(Flammulina velutipes))로 구성되는 군중에서 선택되는 버섯을 최소한 1종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의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을 사용하고, 생것의(raw) 아가리쿠스 버섯을 원적외선으로 로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의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
  9. 원적외선으로 생약을 로스팅하는 단계,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발효단계를 포함하는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이 적용된 생약을 포함하여, 로스팅과 발효를 행하지 않는 경우보다 생약의 항종양 활성이 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종양 활성이 강화된 생약 함유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생약으로서 β-글루칸을 함유한 버섯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종양 활성이 강화된 생약 함유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으로서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 마이다케 버섯(MAITAKE, 그리폴라 프론도수(Grifola frondosu)), 시이다케 버섯(SHIITAKE, 코티넬러스 시이다케(Cortinellus Shiitake)), 마츠다케 버섯(MATSUTAKE, 트리콜로마 마츠다케(Tricholoma matsutake)), 시메지다케 버섯(SHIMEJITAKE, 리오필럼 데카스테스(Lyophyllum decastes)), 및 에노키다케 버섯(ENOKITAKE, 플라물리나 벨루티페스(Flammulina velutipes))로 구성되는 군중에서 선택되는 버섯을 최소한 1종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종양 활성이 강화된 생약 함유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을 사용하고, 생것의(raw) 아가리쿠스 버섯을 원적외선으로 로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종양 활성이 강화된 생약 함유 조성물.
  13. 제 9항에 있어서, 발효단계의 이후에, 원적외선으로 로스팅한 참깨와 같은 식물로부터 얻은 유분(oily component)으로 발효된 생약을 도포한 유제(oily agent)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로스팅, 발효, 및 유제화 단계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생약의 항종양 활성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종양 활성이 강화된 생약 함유 조성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생약으로서 β-글루칸을 함유한 버섯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종양 활성이 강화된 생약 함유 조성물.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으로서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 마이다케 버섯(MAITAKE, 그리폴라 프론도수(Grifola frondosu)), 시이다케 버섯(SHIITAKE, 코티넬러스 시이다케(Cortinellus Shiitake)), 마츠다케 버섯(MATSUTAKE, 트리콜로마 마츠다케(Tricholoma matsutake)), 시메지다케 버섯(SHIMEJITAKE, 리오필럼 데카스테스(Lyophyllum decastes)), 및 에노키다케 버섯(ENOKITAKE, 플라물리나 벨루티페스(Flammulina velutipes))로 구성되는 군중에서 선택되는 버섯을 최소한 1종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종양 활성이 강화된 생약 함유 조성물.
  16. 제 15항에 있어서,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을 사용하고, 생것의(raw) 아가리쿠스 버섯을 원적외선으로 로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종양 활성이 강화된 생약 함유 조성물.
  17. 항종양 활성의 다당류를 함유한 생약에 적용되는 처리가 항종양 활성에 대하여 갖는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코사헥사에노인산(docosahexaenoic acid)과 같은 불포화 지방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지질 과산화물(lipid peroxide)을 생성하는 계에 처리를 적용하는 생약을 첨가하는 단계와 상기 생약 농도의 증가율에 대한 상기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량의 증가율이 큰 생약일수록 생약 항종양 활성의 강화처리의 효과가 크다고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처리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 평가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생약으로서 β-글루칸을 함유한 버섯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처리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 평가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으로서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 마이다케 버섯(MAITAKE, 그리폴라 프론도수(Grifola frondosu)), 시이다케 버섯(SHIITAKE, 코티넬러스 시이다케(Cortinellus Shiitake)), 마츠다케 버섯(MATSUTAKE, 트리콜로마 마츠다케(Tricholoma matsutake)), 시메지다케 버섯(SHIMEJITAKE, 리오필럼 데카스테스(Lyophyllum decastes)), 및 에노키다케 버섯(ENOKITAKE, 플라물리나 벨루티페스(Flammulina velutipes))로 구성되는 군중에서 선택되는 버섯을 최소한 1종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처리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 평가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을 사용하고, 생것의(raw) 아가리쿠스 버섯을 원적외선으로 로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처리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 평가방법.
  21. 항종양 활성의 다당류를 함유한 생약이 나타내는 항종양 효능의 유효성을 임상시험을 거치지 않고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코사헥사에노인산과 같은 불포화 지방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지질 과산화물(lipid peroxide)을 생성하는 계에 생약을 첨가하는 단계와 상기 생약 농도의 비율에 대한 상기 지질 과산화물 생성량의 증가율이 큰 생약일수록 내복투약에 의한 생약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가 큰 것으로 평가 및 예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 평가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생약을 원적외선으로 로스팅하는 로스팅 단계와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발효 단계를 포함하는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로스팅과 발효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상기 생약의 항종양 활성이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 평가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생약으로서 β-글루칸을 함유한 버섯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 평가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으로서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 마이다케 버섯(MAITAKE, 그리폴라 프론도수(Grifola frondosu)), 시이다케 버섯(SHIITAKE, 코티넬러스 시이다케(Cortinellus Shiitake)), 마츠다케 버섯(MATSUTAKE, 트리콜로마 마츠다케(Tricholoma matsutake)), 시메지다케 버섯(SHIMEJITAKE, 리오필럼 데카스테스(Lyophyllum decastes)), 및 에노키다케 버섯(ENOKITAKE, 플라물리나 벨루티페스(Flammulina velutipes))로 구성되는 군중에서 선택되는 버섯을 최소한 1종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 평가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을 사용하고, 생것의(raw) 아가리쿠스 버섯을 원적외선으로 로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 평가방법.
  26. 제 21항에 있어서, 발효단계의 이후에, 원적외선으로 로스팅한 참깨와 같은 식물로부터 얻은 유분(oily component)으로 발효된 생약을 도포한 유제(oily agent)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로스팅, 발효, 및 유제화 단계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생약의 항종양 활성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 평가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생약으로서 β-글루칸을 함유한 버섯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 평가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으로서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 마이다케 버섯(MAITAKE, 그리폴라 프론도수(Grifola frondosu)), 시이다케 버섯(SHIITAKE, 코티넬러스 시이다케(Cortinellus Shiitake)), 마츠다케 버섯(MATSUTAKE, 트리콜로마 마츠다케(Tricholoma matsutake)), 시메지다케 버섯(SHIMEJITAKE, 리오필럼 데카스테스(Lyophyllum decastes)), 및 에노키다케 버섯(ENOKITAKE, 플라물리나 벨루티페스(Flammulina velutipes))로 구성되는 군중에서 선택되는 버섯을 최소한 1종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 평가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아가리쿠스 버섯(AGARIKUSUTAKE)을 사용하고, 생것의(raw) 아가리쿠스 버섯을 원적외선으로 로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 평가방법.
KR1019990039799A 1998-09-17 1999-09-16 생약의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 항종양 활성이 강화된 생약함유 조성물, 생약 처리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평가방법, 및 생약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 평가방법 KR200000232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63753 1998-09-17
JP26375398 1998-09-17
JP10-323374 1998-11-13
JP10323374A JP2000159682A (ja) 1998-09-17 1998-11-13 生薬の抗腫瘍活性強化方法、抗腫瘍活性強化生薬含有組成物、生薬処理の抗腫瘍有効性評価方法、および生薬の抗腫瘍有効性評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206A true KR20000023206A (ko) 2000-04-25

Family

ID=26546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799A KR20000023206A (ko) 1998-09-17 1999-09-16 생약의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 항종양 활성이 강화된 생약함유 조성물, 생약 처리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평가방법, 및 생약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JP (1) JP2000159682A (ko)
KR (1) KR20000023206A (ko)
CN (1) CN1255376A (ko)
AU (1) AU4486299A (ko)
BE (1) BE1012725A5 (ko)
CA (1) CA2282234A1 (ko)
DE (1) DE19944695A1 (ko)
DK (1) DK199901235A (ko)
ES (1) ES2155802B1 (ko)
FR (2) FR2783426A1 (ko)
GB (2) GB9920710D0 (ko)
ID (1) ID23150A (ko)
IL (1) IL131722A0 (ko)
IS (1) IS5183A (ko)
IT (1) IT1307267B1 (ko)
NL (2) NL1013049C2 (ko)
NO (1) NO994463L (ko)
SE (2) SE9903307L (ko)
SG (1) SG7663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110A (ko) * 2020-12-16 2022-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꽃송이버섯 생리활성성분 및 영양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KR20220086112A (ko) * 2020-12-16 2022-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잎새버섯 생리활성성분 및 영양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KR20220087185A (ko) * 2020-12-17 2022-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생리활성 및 영양성분이 증가된 표고버섯차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89466B1 (en) * 2001-04-27 2007-02-21 Ajinomoto Co., Inc. A dispersion on the basis of beta-glucan containing superfine particles, a corresponding process of manufacturing and the use of said dispersion
WO2002090559A1 (en) * 2001-05-07 2002-11-14 Biohub Co., Ltd. A method for preparing lactic acid fermented solution of mushroom and lactic acid fermented solution of mushroom produced thereby
JP4499979B2 (ja) * 2001-05-21 2010-07-14 コンビ株式会社 病原菌感染抑制用組成物
JP4561098B2 (ja) * 2001-06-01 2010-10-13 味の素株式会社 糖尿病用薬剤
JP4826696B2 (ja) * 2003-04-07 2011-11-30 ビーエイチエヌ株式会社 血管新生阻害剤
US7977379B2 (en) 2002-05-15 2011-07-12 Bhn Co., Ltd. Method for angiogenesis inhibition or immunostimulation
JP4681801B2 (ja) * 2002-05-15 2011-05-11 ビーエイチエヌ株式会社 血管新生阻害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89417A (ja) * 2003-09-19 2005-04-07 Noevir Co Ltd 糖尿病予防・治療用組成物
JP4587441B2 (ja) * 2004-02-12 2010-11-24 株式会社クレハ 新規な糖尿病治療剤および食品
WO2006030750A1 (ja) * 2004-09-17 2006-03-23 Ssi Co., Ltd. 乳癌を抑制するカワリハラタケ抽出物
JP2006273835A (ja) * 2005-03-04 2006-10-12 Michishi Tani 悪性腫瘍治療剤及びそれを含む飲食品
WO2011014729A1 (en) * 2009-07-31 2011-02-03 Yukiguni Maitake Co., Ltd. Maitake mushroom coffee
JPWO2011081024A1 (ja) * 2009-12-29 2013-05-09 株式会社富士見養蜂園 旨味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309511A (zh) * 2016-08-30 2017-01-11 青海民族大学 圆孢蘑菇抑制cdc25酶有效部位及制法和应用
CN106333969A (zh) * 2016-08-30 2017-01-18 青海民族大学 圆孢蘑菇抑制hdac1酶有效部位及制法和应用
US20200397817A1 (en) * 2017-11-30 2020-12-24 SHIEH, Darbin Method for predicting and modulating susceptibility of cancer cell to programmed cell death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6413A (en) * 1975-12-18 1977-06-27 Kureha Chem Ind Co Ltd Production of oncostatic substances
US4177108A (en) * 1977-03-02 1979-12-04 Tetsuro Ikekawa Process for producing emitanin
DE2842691A1 (de) * 1978-09-30 1980-04-10 Karl Dr Med Theurer Energetische anregung biologischer arzneimittel
JPS57206618A (en) * 1981-06-12 1982-12-18 Noda Shiyokukin Kogyo Kk Preparation of antitumor substance
JPH02203765A (ja) * 1989-02-02 1990-08-13 Nippon Beet Sugar Mfg Co Ltd 抗腫瘍機能を有する食品及びその製造法
JP3357383B2 (ja) * 1991-08-14 2002-12-16 昌宏 黒田 低分子化植物性組成物
JP2955126B2 (ja) * 1992-06-22 1999-10-04 笑代 丹羽 医薬用油性製剤、食品用油性製剤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6015913A (en) * 1996-09-06 2000-01-18 Mars, Incorporated Method for producing fat and/or solids from cocoa bea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110A (ko) * 2020-12-16 2022-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꽃송이버섯 생리활성성분 및 영양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KR20220086112A (ko) * 2020-12-16 2022-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잎새버섯 생리활성성분 및 영양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KR20220087185A (ko) * 2020-12-17 2022-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생리활성 및 영양성분이 증가된 표고버섯차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94463L (no) 2000-03-20
CN1255376A (zh) 2000-06-07
SE9903307L (sv) 2000-03-18
ITTO990784A1 (it) 2001-03-14
NO994463D0 (no) 1999-09-15
SE9903307D0 (sv) 1999-09-16
GB2341800A (en) 2000-03-29
IS5183A (is) 2000-03-17
ES2155802B1 (es) 2001-12-01
DK199901235A (da) 2000-03-18
FR2788697A1 (fr) 2000-07-28
SE0100195L (sv) 2001-01-24
IT1307267B1 (it) 2001-10-30
NL1013049A1 (nl) 2000-03-21
AU4486299A (en) 2000-03-30
GB9920710D0 (en) 1999-11-03
DE19944695A1 (de) 2000-03-30
CA2282234A1 (en) 2000-03-17
ID23150A (id) 2000-03-23
GB9921387D0 (en) 1999-11-10
NL1019705A1 (nl) 2002-01-29
SE0100195D0 (sv) 2001-01-24
JP2000159682A (ja) 2000-06-13
BE1012725A5 (fr) 2001-02-06
ES2155802A1 (es) 2001-05-16
SG76631A1 (en) 2000-11-21
IL131722A0 (en) 2001-03-19
FR2783426A1 (fr) 2000-03-24
NL1019705C2 (nl) 2002-03-26
NL1013049C2 (nl) 2002-01-11
ITTO990784A0 (it) 1999-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9891A (en) Antioxidant composition of natural products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KR20000023206A (ko) 생약의 항종양 활성 강화방법, 항종양 활성이 강화된 생약함유 조성물, 생약 처리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평가방법, 및 생약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의 평가방법
KR100848515B1 (ko) 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화장품
KR0138738B1 (ko) 오일 조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838113B1 (ko) 식용금분이 함유된 상황버섯 재배방법 및 그 상황버섯
Hassan et al. Wheat Grass (Triticum aestivum L.) Benefits Health in a Pandemic Scenario
NL1017117C2 (nl) Werkwijze voor de versterking van de antitumoractiviteit van een amygdalinebevattend materiaal, preparaat dat versterkt amygdalinebevattend materiaal bevat, werkwijze ter beoordeling van de antitumoreffectiviteit van een behandeling van amygdalinebevattend materiaal, en werkwijze ter beoordeling van amygdalinebevattend antitumormateriaal.
KR100838705B1 (ko) 버섯 균사체 배양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
CN103919934B (zh) 预防与治疗癌症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KR20160007717A (ko) 상지 배지에 배양한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이 증진된 상황버섯 균사체 가압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612962B1 (ko) 골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Balakrishnan Review on: Growing a glass of rich immune booster at your home: Triticum aestivum L.(wheat grass) beneficial effect on health in this pandemic scenario
KR102175244B1 (ko)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22096B1 (ko) 진흙버섯속 상황버섯을 이용한 식품
CN101460182A (zh) 基于海巴戟天的抗病毒制剂和施用方法
KR20060098144A (ko) 몰로키아와 홍삼을 함유한 건강식품 조성물
KR20170112295A (ko)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갈매보리수 열매 추출물의 제조방법
Shalaka et al. Formulation and Development of Herbal Nutritional Wafers as Dietary Supplement for Lactating Wom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