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3061A - 유체동력학적 커플링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동력학적 커플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3061A
KR20000023061A KR1019990038598A KR19990038598A KR20000023061A KR 20000023061 A KR20000023061 A KR 20000023061A KR 1019990038598 A KR1019990038598 A KR 1019990038598A KR 19990038598 A KR19990038598 A KR 19990038598A KR 20000023061 A KR20000023061 A KR 20000023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liner
grooves
pist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8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1397B1 (ko
Inventor
쏘바주프레데릭
아랍라바
꼬쏘니에르필립
Original Assignee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filed Critical 레메이르 마르
Publication of KR20000023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8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in which a fluid is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73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friction surface of the lock-up clutch
    • F16H2045/0278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friction surface of the lock-up clutch comprising only two co-acting friction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유체 커플링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피스톤(40)과 횡단 벽 사이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너(1, 7)를 포함한다. 라이너는 나선부의 일부분으로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냉각 홈(4, 5)을 구비한다.
각 나선형 홈은 라이너의 내주연부 및 외주연부에서 반경방향에서 종료하는 2개의 단부 부분(2, 3)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에 적용가능하다.

Description

유체동력학적 커플링 장치{A FLUID COUPLING HAVING COOLING GROOVES}
본 발명은 기계적 전동용 유체동력학적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또는 일반적으로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제 2 734 038 호에 개시된 종류의, 특히 자동차용 유체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프랑스 특허출원에 있어서, 유체 커플링은 횡방향 벽을 갖는 입력 요소, 출력 요소, 종동축에 회전 결합되도록 배열된 출력 요소와 구동축에 회전 결합되도록 배열된 입력축 사이에 작동적으로 개재된 록-업(lock-up) 클러치를 포함한다.
록-업 클러치는 횡단 캐스팅 벽에 회전 결합되어 그에 대해 축방향으로 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피스톤을 포함한다. 피스톤 및 횡방향 벽은 그들 사이에 가변 체적 챔버를 형성하는데, 이 가변 체적 챔버는 출력 요소에 단단히 또는 탄성적으로 회전 결합되도록 배열된 마찰 디스크와, 피스톤과 디스크 사이 및 디스크와 횡방향 벽 사이에 각각 죄어지기에 적합한 마찰 라이너에 의해 외측이 경계지어 진다.
각각의 마찰 라이너는, 마찰 디스크, 피스톤 및 횡방향 벽으로 이루어진 요소들 중 하나에 고정되는데, 각각의 마찰 라이너는 클러치가 결합된 때 마찰 디스크, 피스톤 및 횡방향 벽 사이에 죄어지도록 배열된다.
각각의 마찰 라이너는 디스크에 대해 편심된 원호의 형태를 갖는 홈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홈은 각 라이너의 내주연부로부터 외주연부까지 일반적으로 나선형의 일부로 연장하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를 위해 "나선형 홈"이라 지칭된다. 홈은 내주연부와 외주연부에서 보다 넓으며, 그것을 통해 록-업 클러치를 냉각시킬 목적으로 액체가 흐를 수 있다. 이것은 각 홈의 내주연부 및 외부 부근의 재료의 뾰족한 부분의 존재를 고려할 때 각 홈의 내주연부 및 외주연부 부근의 마찰 라이너의 기계적 강도에 대한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체로 횡방향으로 배향된 벽을 갖는 입력 요소와, 출력 요소와, 상기 횡방향 벽에 대해 축방향으로 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횡방향 벽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마찰 라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 라이너는 그 내주연부와 외주연부의 양 단부 사이에서 그 주연부가 나선형의 일부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표면을 갖는, 유체동력학적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의 각 단부는 반경방향으로 배향되므로, 상기 홈은 상기 마찰 라이너의 내주연부 및 외주연부에서 반경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중에, 나선형 홈의 단부 부근에서 마찰 라이너의 재료가 찢겨지지 않는다. 또한, 본발명에 의해 제공된 해결책은 간단하고 저렴하다. 이와 관련하여, 더 이상 홈의 단부에 플레어 효과(flared effect)를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라이너를 성형하기 용이하다. 라이너의 유용한 표면이 보존된다. 홈은 일정한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나선형의 일부로 형성된 홈의 특별한 형태로 인하여, 유체는 라이너의 외주연부로부터 내주연부로 용이하게 이동되며, 이에 의해, 라이어가 효과적으로 냉각된다.
본 발명의 일 양호한 특징에 따르면, 각 나선형 홈의 길이를 최대로 하기 위해, 각 홈의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각 단부가, 홈의 폭 이하의 반경을 갖는 라운드된 접속 구역을 통해 홈의 나선형 주연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마찰 라이너의 유용 표면이 최대로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비제한 예로서 제공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백히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마찰 라이닝이 해제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체동역학적 커플링 장치 또는 유체 커플링의 부분 축단면도,
도 2는 도 1의 댐퍼 플레이드 및 마찰 디스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유체 커플링의 중앙 부분을 도시하는 축단면도,
도 4는 유체 커플링의 횡단 벽을 향해 있는 마찰 디스크의 마찰 표면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7 : 마찰 라이너 2, 3 : 단부 부분
4, 5 : 냉각 홈 10 : 외주연부
11 : 내주연부 14 : 횡단 벽
40 : 피스톤 54 : 출력 요소
128 : 구동 러그 140 : 지지 러그
152 : 마찰 디스크 170, 171 : 표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유체동력학적 유체 커플링 장치는 1998년 3월 3일자로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98 02808 호의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형태이며, 상기 특허 출원은 참고로 본원에 인용한다.
본 경우에서 자동차에 있어서 이러한 장치는 케이싱의 형태인 밀봉된 입력 요소(12)와, 허브 형태인 출력 요소(54)와, 록업 클러치를 포함한다. 록업 클러치는 주변 환형 부분(114)과, 피스톤(40)과 마찰 라이너(1, 7)를 구비하는 환형 마찰 디스크(152)를 포함한다. 피스톤(40)은 케이싱(12) 또는 함께 회전하는 입력요소에 고정된다.
이러한 유체 커플링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오일인 액체로 충전된 장치 자체의 축방향 대칭축인 회전축(X-X)상에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케이싱(12)은 벽(14)을 구비하며, 상기 벽(14)은 대체로 횡방향으로 배향되며, 구동 샤프트에 회전식으로 결합되기에 적합하다. 이 경우에 이러한 구동 샤프트는 자동차의 내연 기관의 출력 샤프트이다. 이러한 커플링은 반경방향 플랜지를 이용함으로써 성취되며, 이러한 방법은 상술한 플랜지를 벽(14)에 체결하기 위한 나사형성부중 하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벽(14)은 반부 쉘의 부분이며, 이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플랜지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싱은 상술한 환형 플랜지에 전형적으로 용접으로 밀봉식으로 고정된 제 2 반부 쉘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2 반부 쉘은 블레이드형 터빈 휠(104)을 또한 포함하는 토크 컨버터의 블레이드형 임펄스 휠을 구성하도록 형성된다. 휠(104)은 허브(54)와 함께 회전하도록 허브(54)에 고정된다.
허브(54)와 그에 따른 터빈 휠(104)은 본 경우에 토크 전달 장치의 입력 샤프트인 종동 샤프트에 회전식으로 결합되도록 배열된다. 통상적으로 그리고 특히 자동차의 시동시에, 티빈 휠(104)은 터빈 휠의 블레이드와 임펄스 휠 사이의 오일의 유동으로 인해서 임펄스 휠에 의해 회전식으로 구동된다.
자동차가 일단 시동되면, 록업 클러치는 특히 임펄스 휠과 터빈 휠(14) 사이의 모든 활주 작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케이싱 벽(14)과 허브(54) 사이의 직접적인 회전 커플링을 형성한다. 이것은 연료를 절감하게 한다.
또한, 록업 클러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러치는 자동차의 내연 기관의 소정의 영역에서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슬립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클러치를 냉각시키는 것은 중요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마찰 라이너(1, 7)에는 냉각 홈(4, 5)이 형성된다.
이들 홈(4, 5)은 밀봉된 케이싱(12)내에 보유된 유체(본 실시예의 경우에 오일)가 심지어 클러치가 결합되어 있을 때에도 통과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의 마찰 디스크(152)는 주변 환형 부분(114)에 강성으로 또는 탄성으로 결합되며, 상기 부분(114)은 대체로 축방향으로 배향되며, 함께 회전하도록 터빈 휠(104)에 결합된다. 주변 부분(114)은 허브(54) 또는 터빈 휠(104)에 자체가 고정된 댐퍼 플레이트(94)에 고정되어, 터빈 휠(104)은 전형적으로 삽입된 환형 링(106)을 통해서 허브와 함께 회전하도록 허브에 결합되며, 터빈 휠(104)은 그 내주연부에 링(106)과 함께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링(106)은 본 실시예에서 댐퍼 플레이트(94)를 허브(54)에 체결시키는 리벳(95)에 의해 리벳팅함으로써 허브(54)에 전형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댐퍼 플레이트(94)는 예를 들면 용접 또는 시임에 의해 터빈 휠(104)에 직접 고정된다.
마찰 디스크(142)는 상술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98 02808 호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개시된 장치에서와 같이 댐퍼 플레이트와 직접 맞물릴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 1 및 도 2에서, 마찰 디스크(152)는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부재(122)에 의해서 댐퍼 플레이트(94)에 탄성으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들 부재(122)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컬 스프링의 형태이다. 스프링(122)은 디스크(152)에 의해 지지된다.
디스크(152)는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되어 있고, 피스톤(40)과 케이싱 벽(14) 사이에서 피스톤(40)에 의해 축방향으로 파지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크(152)는 금속이며, 그 외주연부에 구동 러그(128)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구동 러그(128)는 터빈 휠(104)쪽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각 러그는 2개의 연속적인 스프링(122) 사이에 수납되어 있다. 마찰 디스크(152)는 댐퍼 플레이트(94)의 주변부분(114)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댐퍼 플레이트에는 케이싱 벽(14)쪽으로 축방향으로 개방된 축방향 홈이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으로 배향된 구동 러그(128) 각각은 접합 굽힘부를 통해서 마찰 디스크(152)의 외측 에지(153)에 결합되며, 댐퍼 플레이트(94)의 주변부분(114)에 의해 규정된 상술한 축방향 홈내로 축방향으로 관통되며, 스프링(122)은 구동 러그(128) 사이에 수납된다. 이를 위해서, 러그(128)는 반대 방향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대향된 핑거(134)를 포함하며, 각 핑거는 스프링이 제 위치에 유지되도록 스프링(122)중 각각 하나내로 관통된다.
또한, 마찰 디스크(152)는 마찰 디스크(152)의 외측 에지로부터 스프링(122)을 향해 대체로 연장되는 지지 러그(140)를 그 외주연부에 구비하고 있다. 지지 러그(140)는 마찰 디스크의 원주 둘레에서 구동 러그(128)와 교호적으로 배열된다. 지지 러그(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자형상 단면으로 굽혀지며, 이들은 댐퍼 플레이트의 주변부분(114)쪽으로 대체로 경사진 방법으로 연장된다.
러그(142)의 자유 종단 외측 에지 부분(142)은 홈(114)에 포함된 외측 환형 부분(116)의 축방향 종단 환형 에지 부분(146)에 형성된 노치(144)에 수납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마찰 디스크(152)의 각도 변위는 댐퍼 플레이트(94)에 대해서 한정된다.
스프링(122)은 지지 러그(140)에 의해 한 방향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다른 방향에서 댐퍼 플레이트의 주변 부분(114)의 홈의 기부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홈(114)의 환형 내부 부분은 모든 방향에서 스프링(122)의 축방향 이동과 마찰 디스크(152)의 축방향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경사져 있다.
홈 부분(114)의 환형 외측 부분(116)은 또한 스프링(122)의 원주방향 단부와 맞물리도록 함몰부(124)가 압축형성된다. 주변부분(114)은 대체로 C자형 단면을 갖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의 반경방향 내측 부분에는 유사한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마찰 디스크(152)의 구동 러그(128)와 댐퍼 플레이트(94)의 주변부분(114)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 동안에, 스프링(122)은 원주방향으로 압축된다.
피스톤(40)은 횡단 케이싱 벽(14)에 회전식으로 피스톤(40)을 결합하는 텅(180)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고정된 횡단 케이싱 벽(14)에 대한 축방향 이동을 위해서 장착된다. 텅(180)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며, 이들 텅은 피치원에 대해서 대체로 접선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텅(180)은 피스톤(40)에 그 단부중 하나가 리벳되어 있는 반면에, 타단부는 프랑스 특허 공개 제 2 726 620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공동 구동 링을 통해 또는 직접 텅이 횡단 케이싱 벽(14)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40)은 중앙 보어(33) 및 외측과 연통되는 보어(33)를 형성하는 관통 구멍(50)을 구비하는 중심설정 부재 또는 중앙부(30)에 의해 밀봉식으로 안내된다. 중앙부(30)는 장치, 즉 구동 샤프트에 대해서 유체 커플링을 중심설정하며, 케이싱내에서 중앙부는 케이싱 벽(14)상에 맞물리도록 반경방향 패드(2)가 형성된 플랜지(31)를 포함하며, 이 플랜지를 통해 중앙부가 중심으로 연장된다.
패드(32)는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다. 피스톤(40)은 플랜지(31)의 외주연부상의 축방향 활주 이동을 위해서 장착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참조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짧은 플랜지 또는 페룰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밀봉 링은 이러한 지점에서 밀봉을 안내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된다.
중앙부(30)의 보어(33)는 제어 챔버(48)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가 형성된 종동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와 연통되어 있다. 제어 챔버(48)는 피스톤(40) 및 케이싱 벽(14)에 의해 축방향으로 한정되어 있다. 반경방향에서 제어 챔버(48)는 플랜지(31)에 의해 내측에서 그리고 마찰 디스크(152)에 의해 외측에서 한정되어 있다.
피스톤(40)의 각 측면상에서 압력이 변화됨으로써, 피스톤(40)은 마찰 라이너(1, 7)를 파지하거나 해제하도록 한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마찰 라이너가 파지되는 경우에, 즉 록업 클러치가 결합된 경우에, 엔진으로부터의 구동 토크는 케이싱 벽(14)으로부터 댐퍼 플레이트(94)로 직접 전달되고, 마찰 디스크(152) 및 스프링을 거쳐서 허브로 전달된다. 다음에, 제어 챔버(48)는 가압되고 유체 용기에 결합된다.
한편 마찰 라이너(1, 7)가 해제된 경우에, 챔버(48)는 가압되며, 다음에 록업 클러치는 분리된다. 토크는 유체 커플링의 터빈 휠 및 임펄스 휠을 거쳐서 케이싱 벽(14)으로부터 허브(54)로 전달된다.
피스톤(40)의 축방향 이동은 종동 샤프트내의 제어 챔버(48) 및 덕트의 압력을 변경시킴으로써 이뤄진다. 따라서, 마찰 라이너(1, 7)를 냉각시키는 것은 중요하며, 모든 경우에 제어 챔버(48)와 케이싱(12)에 의해 형성된 홈의 나머지부 사이가 연통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피스톤(40)은 디스크를 거쳐서 케이싱 벽(14)에 회전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디스크는 횡단 벽(114)에 고정되며 커플링의 장부 및 장부촉이음에 의해 피스톤에 고정된 슬리브와 그 내주연부에서 맞물리며, 피스톤은 국제 출원 공개 제 WO93/13339 호에 개시된 방법으로 횡단 벽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마찰 라이너(1, 7)는 환형이며 외주연부(10) 및 내주연부(11)를 구비한다. 도면에서, 마찰 디스크(152)의 메인 부분은 링(154)의 형태이며, 마찰 라이너(1, 7)는 링상에 고정되어 있다. 라이너(1, 7)는 링(154)의 대향 표면상에서 접착제 접착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라이너는 그 링 부분의 각 측면상에서 하나의 라이너와 함께 디스크(152)에 고정되어 있다. 마찰 라이너는 케이싱 벽(14)과 환형 링 부분(154) 사이에 그리고 링 부분(154)과 피스톤(40) 사이에 각기 삽입되어 있다, 라이너(1, 7)는 케이싱 벽(14)의 횡단 표면(170)과 피스톤(40)의 횡단 표면과 직접 마찰 결합되어 있다. 이들 표면(170, 171)은 반작용 표면이며, 케이싱 벽(14) 및 피스톤(40)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다. 반작용 표면(170, 171)은 환형이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이들 반작용 표면은 각기 케이싱 벽(14) 및 피스톤(40)에 고정된 부품상에 형성되어 있다. 벽(14)의 반작용 표면은 상술한 국제 출원 공개 제 WO93/13339 호에 개시된 방법으로 케이싱 벽과 함께 회전하도록 피스톤(40)을 결합하는 디스크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마찰 라이너는 예를 들면 용접, 접착제 접착 또는 납땜에 의해서 벽(14)의 반작용 표면(170) 및 피스톤(40)의 반작용 표면(171)에 각긱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라이너(1, 7) 사이의 마찰 결합은 마찰 디스크(152)의 환형 링(154)의 대향 표면에서 이뤄진다.
또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환형 링(154)은 마찰 라이너내에 삽입되며, 그 대향면은 피스톤(40) 및 벽(14)과 협력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너는 피스톤(40)과 케이싱 벽(14)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모든 경우에, 피스톤(40)은 마찰 라이너(7)용의 마찰 표면 또는 체결 표면을 구성하는 횡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표면을 그 외주연부에 구비하고 있다.
냉각 홈(4, 5)은 환형 마찰 라이너(1, 7)상에 형성되며, 이러한 특정 예에서 냉각 홈은 벽(14) 및 피스톤(40)쪽으로 각기 향해 있는 라이너(1, 7)의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각 마찰 라이너(1, 7)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4, 5)이 있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2개의 동일한 홈(4, 5)은 각 마찰 라이너에 대해서 제공된다. 홈(4, 5)은 각 마찰 라이너(1, 7)의 외주연부(10)로부터 내주연부(11)까지 대체로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홈(4, 5)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반대방향으로 대향되어 있다. 홈(4, 5)은 마찰 디스크(152)의 중앙부에 대해서 중앙이 편심된 원호의 형태이다. 따라서, 이들은 나선형의 일부로서 연장되어 있다.
홈은 하나의 마찰 라이너로부터 다른 라이너까지 선택적으로 배치되며,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마찰 라이너의 유용한 표면이 최대화도록 일정한 폭을 갖고 있다. 또한, 이것은 라이너를 쉽게 제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에 따르면, 홈의 각 단부 부분(2, 3)은 반경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내부 단부 부분(2)은 마찰 라이너(1, 7)의 내주연부(11)에서 개방되어 있는 반면에, 외측 단부에 있는 다른 단부 부분(3)은 마찰 라이너의 외주연부(10)에서 개방되어 있다.
각 홈(4, 5)의 메인 부분은 상술한 방법으로 나선형 메인 부분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각 홈(4, 5)은 각 마찰 라이너의 외주연부(10) 및 내주연부(11)에서 반경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그 결과 용접에 의해 쉽게 장착되어 라이너가 사용하기에 강하게 된다.
나선형 홈의 각 반경방향 단부 부분(2, 3)은 각기 곡선 접합 영역(6, 8)을 통해 각 홈(4, 5)의 메인 부분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곡선 영역(6, 8)의 반경은 홈(4, 5)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서, 각 홈(4, 5)은 단부 부분(2, 3)에도 불구하고 최대 길이를 유지한다. 따라서, 냉각 성능은 나선형 홈의 짧은 단부 부분(2, 3)에 의해서 변경되지 않는다. 또한, 접합 영역(6, 8)은 마찰 라이너의 유용한 표면에서의 감소가 최소로 될 수 있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나선형 홈은 마찰 디스크(152)의 회전 방향을 추종한다. 그러나,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이들 홈은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모든 경우에, 마찰 라이너의 유용한 표면은 최대화된다. 따라서, 각 나선형 홈의 나선형 부분의 용접 방향은 관련된 마찰 표면과 무관하다. 클러치가 결합된 경우에, 유체는 홈(4, 5)의 길이를 따라서 각 마찰 라이너(1, 7)의 외주연부로부터 내주연부까지 쉽게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싱 벽(14)쪽으로 향해 있는 각 홈(4)은 제 1 구동 러그(128)의 영역에서 라이너(1)의 외주연부(11)에서 반경방향으로 개방된 내부 단부 부분(2)을 구비하고 있다. 동일한 홈의 외측 단부 부분(3)은 제 1지지 러그(140)와 제 2 구동 러그(128) 사이에서 라이너(1)의 외주연부(10)에서 반경방향으로 종료되며, 제 1지지 러그(140)는 본 경우에 연속적인 제 1 러그 및 제 2 구동 러그(128)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40)을 향해 있는 각 홈(5)은 피스톤(40)쪽으로 향한 마찰 라이너(7)의 외주연부(10)에서 반경방향으로 종료하는 외측 단부 부분(30)을 갖고 있다. 이러한 외측 단부 부분(3)은 제 1 지지 러그(140)의 영역에서 중심으로, 즉 제 1 러그(140)의 반경방향 대칭축에서 개방되어 있다.
홈(5)의 내측 단부 부분(2)은 제 2 구동 러그(128)에 인접한 제 2 지지 러그(140)의 영역에서 마찰 라이너(7)의 내주연부에서 반경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러그(140, 128)가 존재함으로써 나선형 홈의 단부 부분(3, 2)의 종단을 위해서 사용된다. 이것은 록업 클러치가 결합될 때 유체의 양호한 유동이 이뤄질 수 있게 한다.
지지 러그(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외측 단부 부분(3)이 러그(140)의 영역에서 중앙으로 종료되는 것으로 인해서 제1 지지 러그(140)는 유체의 유동을 용이하게 한다.
물론 마찰 라이너(1, 7)중 단지 하나상에만 나선형 홈(4, 5)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너의 홈형 표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40) 또는 마찰 디스크(152) 또는 케이싱 벽(14)의 횡방향으로 배향된 표면과 마찰식으로 협동하도록 배열된다. 다른 변형예에서, 마찰 라이너의 다른 표면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홈 또는 홈들(4, 5)은 환형 링(154)상에 고정된 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는 반대로 될 수 있다. 물론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마찰 디스크(152)는 생략되며, 피스톤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나선형 홈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마찰 라이너를 지지한다. 이러한 변형예에 있어서 마찰 라이너를 지지하는 케이싱 벽 자체이다. 다음에, 피스톤은 허브 또는 터빈 휠과 강하게 또는 탄성적으로 회전 결합된다.
따라서, 록업 클러치는 단일 마찰 라이너를 구비하며, 피스톤은 횡방향 케이싱 벽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모든 경우에, 유체는 홈을 통해서 유동되어 냉각이 이뤄지고, 마찰 라이너는 보다 크거나 작은 범위를 라이너를 파지하여 연마될 수 있다.
각 마찰 라이너상의 홈의 개수는 적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면과 다른 면 사이에서의 홈의 변경에 의해서 라이너의 양호한 냉각 및 라이너의 최대 작용 표면을 형성하는 양호한 효과가 있다.
물론 많은 개수의 지지 러그는 2개의 연속적인 구돌 러그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중에, 나선형 홈의 단부 부근에서 마찰 라이너의 재료가 찢겨지지 않는다. 또한, 본발명에 의해 제공된 해결책은 간단하고 저렴하다. 이와 관련하여, 더 이상 홈의 단부에 플레어 효과(flared effect)를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라이너를 성형하기 용이하다. 라이너의 유용한 표면이 보존된다. 홈은 일정한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나선형의 일부로 형성된 홈의 특별한 형태로 인하여, 유체는 라이너의 외주로부터 내주연부로 용이하게 이동되며, 이에 의해, 라이어가 효과적으로 냉각된다.
본 발명의 일 양호한 특징에 따르면, 각 나선형 홈의 길이를 최대로 하기 위해, 각 홈의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각 단부가, 홈의 폭 이하의 반경을 갖는 라운드된 접속 구역을 통해 홈의 나선형 주연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마찰 라이너의 유용 표면이 최대로 되도록 한다.

Claims (8)

  1. 대체로 횡방향으로 배향된 벽(14)을 갖는 입력 요소(12)와, 출력 요소(54)와, 상기 횡방향 벽(14)에 대해 축방향으로 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피스톤(40)과, 상기 피스톤(40)과 횡방향 벽(14)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마찰 라이너(1, 7)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 라이너(1, 7)는 그 내주연부(11)와 외주연부(10)의 양 단부(2, 3) 사이에서 그 주연부가 나선형의 일부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4, 5)이 형성된 표면을 갖는, 유체동력학적 커플링 장치(5)에 있어서,
    상기 홈(4, 5)의 각 단부(2, 3)는 반경방향으로 배향되므로, 상기 홈은 상기 마찰 라이너의 내주연부(11) 및 외주연부(10)에서 반경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력학적 커플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홈(4, 5)의 폭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력학적 커플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4, 5)의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각 단부(2, 3)가, 상기 홈(4, 5)의 폭 이하의 반경을 갖는 라운드된 접속 영역(6, 8)을 통해 당해 홈의 주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력학적 커플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요소(54)에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40)과 상기 횡방향 벽(14) 사이에 죄어지기에 적합한 마찰 디스크(15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마찰 라이너(1, 7)는 상기 피스톤(40), 마찰 디스크(152) 및 횡방향 벽(14)으로 구성된 요소 중 하나에 대해 고정된 표면(170, 171)과 마찰적으로 협동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피스톤(40)은 상기 횡방향 벽(14)에 회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력학적 커플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마찰 라이너(1, 7)가 상기 마찰 디스크(152)의 양측에 배치되어 그에 고정되며, 상기 각각의 마찰 라이너(1, 7)는 나선형의 주연부와 내측 단부(2) 및 외측 단부(3)를 포함하는 두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홈(4, 5)을 갖도록 형성된 표면을 가지며, 상기 단부들은 각각 상기 마찰 라이너(1, 7)의 내주연부 및 외주연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종지되며 상기 홈(4, 5)은 일 마찰 라이너로부터 다른 마찰 라이너로 교대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력학적 커플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디스크(152)는, 각각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부재(122)를 구동시키고 상기 탄성 부재(122)를 일 축방향으로 억제하기 위해, 교대로 배열된 구동 러그(128)와 억제 러그(140)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 라이너(1, 7)의 제 1 홈(4, 5) 중 하나의 외측 단부(3)는 상기 억제 러그(140)의 제 1 러그 부근에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력학적 커플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러그(140)는 경사지며, 상기 제 1 억제 러그(140)에 관련된 상기 제 1 홈(4, 5)의 외측 단부(3)는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 1 억제 러그(140)의 반경방향 대칭축에서 종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력학적 커플링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다른 마찰 라이너의 상기 제 2 홈의 내측 단부(2)는 반경방향으로 상기 구동 러그(128)의 부근에서 종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동력학적 커플링 장치.
KR1019990038598A 1998-09-10 1999-09-10 유체 동력학적 커플링 장치 KR1006813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11320 1998-09-10
FR9811320A FR2783298B1 (fr) 1998-09-10 1998-09-10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a rainure de refroidiss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061A true KR20000023061A (ko) 2000-04-25
KR100681397B1 KR100681397B1 (ko) 2007-02-15

Family

ID=9530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598A KR100681397B1 (ko) 1998-09-10 1999-09-10 유체 동력학적 커플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0088081A (ko)
KR (1) KR100681397B1 (ko)
DE (1) DE19939396B4 (ko)
FR (1) FR27832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6453B1 (fr) * 2003-06-17 2006-05-19 Valeo Embrayages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t garniture de friction pour un tel appareil
JP2020200859A (ja) * 2019-06-07 2020-12-17 株式会社エフ・シー・シー トルクコンバ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69673B (en) * 1985-01-11 1989-04-05 Ferod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utch facings
US5209330A (en) * 1991-12-23 1993-05-11 Ford Motor Company Slipping bypass clutch for hydrokinetic torque converter
DE4432624C1 (de) * 1994-09-14 1996-04-04 Fichtel & Sachs Ag Hydrodynamischer Drehmomentwandler mit einer Überbrückungskupplung
FR2726620B1 (fr) 1994-11-04 1997-01-10 Valeo Procede de montage d'un embrayage de verrouillage pour accouplement hydrocinet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mbrayage de verrouillage et accouplement hydrocinetique le comportant
FR2734038B1 (fr) 1995-05-11 1998-08-07 Valeo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9622593C2 (de) * 1995-10-04 2000-02-03 Mannesmann Sachs Ag Überbrückungskupplung eines hydrodynamischen Drehmomentwandlers
FR2751386B1 (fr) * 1996-07-18 1998-09-18 Valeo Garniture de friction pour un embrayage comportant un reseau de rainures
DE19734678B4 (de) * 1996-08-23 2017-03-0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ydrodynamischer Drehmomentwandler
US5878860A (en) * 1997-04-22 1999-03-09 Borg-Warner Automotive, Inc. Plate and facing assembly
FR2775747B1 (fr) * 1998-03-03 2000-07-13 Valeo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939396B4 (de) 2011-08-18
DE19939396A1 (de) 2000-03-23
JP2000088081A (ja) 2000-03-28
FR2783298A1 (fr) 2000-03-17
FR2783298B1 (fr) 2001-02-09
KR100681397B1 (ko)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32807B2 (ja) 二方ねじり減衰装置及び流体トルクコンバータにあるクラツチから成る装置
JP4933710B2 (ja) 自動車用流体動力結合装置
JP2002520550A (ja) 特に自動車用の液圧結合装置
US5477950A (en)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in a torque converter clutch assembly
JPH06294458A (ja)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を有する流体力学的なトルクコンバータ
US6390263B1 (en) Locking clutch for coupling apparatus with hydrokinetic coupling
JPH10299835A (ja) 機械式ねじり振動減衰装置
US6264018B1 (en) Lockup device of a torque converter
KR100661988B1 (ko) 자동차용 유체동력학 커플링 장치
KR100681397B1 (ko) 유체 동력학적 커플링 장치
US6827187B2 (en) Hydrodynamic coupling device
US5480012A (en)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in a torque converter clutch assembly
JP3577671B2 (ja) 特に自動車用の流体力学的結合装置
JP2004518095A (ja) 流体式連結装置
JP5192626B2 (ja) フルードカップリング装置
JP3709500B2 (ja) 特に自動車用に適するトーションダンプ装置
JPH05172185A (ja) 流体動力学的動力伝達装置用の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
KR100494959B1 (ko) 자동차용유체동력학커플링장치
JP3695989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2003035354A (ja) 自動車の流体連結装置
US11346431B2 (en) Lock-up device
US11384824B2 (en) Lock-up device
JP2000230625A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5204364B2 (ja) 自動車等の流体連結装置
JP3322709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ー用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ダンパ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