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729A - 윈도 몰딩의 부착구 - Google Patents

윈도 몰딩의 부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729A
KR20000022729A KR1019990033863A KR19990033863A KR20000022729A KR 20000022729 A KR20000022729 A KR 20000022729A KR 1019990033863 A KR1019990033863 A KR 1019990033863A KR 19990033863 A KR19990033863 A KR 19990033863A KR 20000022729 A KR20000022729 A KR 20000022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aped
band
attachmen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0598B1 (ko
Inventor
야마모토야스오
료무라다카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00022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5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6Mounting of windows characterised by fixation means such as clips, adhesive,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과제) 윈도 몰딩이 들뜨지 않도록 또한 초적음(草笛音)이 발생하기 않도록 부착할 수 있는 부착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창유리(4)가 장착되는 장착 오목부(2)의 오목부 벽면(2a)을 따라서 점착되는 밴드형 판형상부(11)와,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의 하단에서 창구멍(3)측의 오목부 저면(2b)을 향하여 연장되며 또한 선단측에서 상기 오목부 저면(2b)과 대략 평행하게 되는 연장형 판형상부(12)와, 상기 연장형 판형상부(12)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오목부 저면(2b)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맞닿는 탄성형 판형상부(14)와,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의 상기 오목부 벽면(2a)에 대한 점착측과 반대가 되는 측의 하부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또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측으로 걸어맞춤수단(13c)을 구비한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 벽면(2a)을 따라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를 점착하여 사용되고 또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와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와의 사이를 윈도 몰딩(20)의 걸어맞춤형 판형상부(22)의 삽입틈새(Y)로 하고 있는 부착구.

Description

윈도 몰딩의 부착구 {Attachment of a window molding}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창구멍을 덮도록 구비되는 창유리의 주연부와 상기 창유리가 장착되는 장착 오목부의 벽면과의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덮어 가리는 윈도 몰딩의 부착에 이용되는 부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차의 창구멍을 덮도록 구비되는 창유리의 주연부와 상기 창유리가 장착되는 장착 오목부의 벽면과의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덮어 가리기 위해서 통상 윈도 몰딩을 부착하고 있으며, 이 윈도 몰딩의 부착수단으로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윈도 몰딩(110)의 부착구(100)가 이용되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윈도 몰딩(110)의 부착구(100)는, 창유리(120)가 장착되는 장착 오목부(121)에 있어서의 오목부 벽면(121a)을 따라서 양면 접착테이프(130)에 의하여 점착되는 밴드형 판형상부(101)와,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01)의 하단에서 창구멍(122)측의 오목부 저면(121b)를 향하여 연장됨과 아울러 선단측에서 상기 오목부 저면(121b)에 대략 평행하게 되는 연장형 판형상부(102)를 가지며, 또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01)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 벽면(121a)에 대한 점착측과 반대가 되는 측의 하부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01)측으로 걸어맞춤수단(103a)을 구비한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03)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 저면(121b)에 상기 연장형 판형상부(102)를 접촉시키고 또한 상기 오목부 벽면(121a)을 따라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01)를 양면 접착테이프(130)에 의하여 점착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장착 오목부(121)에 장착되는 댐 러버(dam rubber)(123)를 구비한 창유리(120)의 주연부와 상기 부착구(100)와의 사이에 충진되는 접착제(140)에 대하여 윈도 몰딩(110)에 있어서의 점착형 판형상부(111)를 삽입하고 또한 상기 윈도 몰딩(110)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12)를 상기 부착구(100)에 있어서의 밴드형 판형상부(101)와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03)와의 사이에 삽입하여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03)에 대하여 윈도 몰딩(110)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형 판상부(112)를 걸어맞추고, 상기 접착제(140)가 경화될 때까지 상기 윈도 몰딩(110)을 상기 부착구(100)로 유지하도록 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윈도 몰딩(110)의 부착구(100)는, 이 부착구(100)를 장착 오목부(121)에 부착할 때, 부착구(100)를 장착 오목부(121)의 저면(121b)측을 향하여 눌러붙임으로써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장착 오목부(121)의 벽면(121a)측을 향하여 눌러붙임으로써 부착하는 것이므로, 상기 부착구(100)에 있어서의 연장형 판형상부(102)가 상기 장착 오목부(121)의 저면(121b)에 학실하게 맞닿지 않는 상태로 부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장착 오목부(121)의 저면(121b)에 대하여 틈새없이 부착구(100)가 부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육안으로는 판단하는 것이 곤란하고, 부착구(100)의 연장형 판형상부(102)와 장착 오목부(121)의 저면(121b)과의 사이에 생기는 틈새에 의해서 윈도 몰딩(110)이 들뜨게 되어 초적음(草笛音)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일으키는 일이 있고, 또 윈도 몰딩(110)의 부착면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일으키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윈도 몰딩의 부착구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들뜸이 없어 외관이 양호한 상태로의 윈도 몰딩의 부착과 초적음의 발생이 없는 윈도 몰딩의 부착을 이룰 수 있는 부착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관한 윈도 몰딩의 부착구에 의한 부착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는 상기 부착구의 부착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상기 부착구를 이용한 윈도 몰딩의 부착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4는 상기 부착구의 부착상태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상기 부착구를 이용한 윈도 몰딩의 부착상태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은 상기 부착구와, 이 부착구에 의해서 부착되는 윈도 몰딩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7은 상기 부착구의 정면도
도 8은 상기 부착구의 측면도
도 9는 종래의 윈도 몰딩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장착 오목부 2a - 오목부 벽면
2b - 오목부 저면 3 - 창구멍
4 - 창유리 6 - 접착제
10 - 부착구 11 - 밴드형 판형상부
12 - 연장형 판형상부 13 - 걸어맞춤형 판형상부
13c - 걸어맞춤수단 14 - 탄성형 판형상부
17 - 박육부 18 - 양면 접착테이프
20 - 윈도 몰딩 21 - 밴드형 판형상부
22 - 걸어맞춤형 판형상부 22a - 걸어맞춤수단
23 - 점착형 판형상부 Y - 삽입틈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창유리가 장착되는 장착 오목부에 있어서의 오목부 벽면을 따라서 점착되어 사용되는 부착구로서, 상기 부착구가 상기 오목부 벽면을 따라서 점착되는 밴드형 판형상부와,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의 하단에서 창구멍측의 오목부 저면을 향하여 연장되며 또한 선단측에서 상기 오목부 저면과 대략 평행하게 되는 연장형 판형상부와, 상기 연장형 판형상부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오목부 저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맞닿는 탄성형 판형상부와,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 벽면에 대한 점착측과 반대가 되는 측의 하부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또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측으로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한 걸어맞춤형 판형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 벽면을 따라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를 점착하여 사용됨과 아울러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와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와의 사이를 윈도 몰딩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형 판형상부의 삽입틈새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 몰딩의 부착구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윈도 몰딩의 부착구는, 부착구에 있어서의 연장형 판형상부에서 더 연장되어 있는 탄성형 판형상부를 창유리가 장착되는 장착 오목부에 있어서의 저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맞닿게 한 상태로 상기 장착 오목부에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상기 탄성형 판형상부를 상기 장착 오목부의 저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맞닿게 한 상태를 확인하면서 상기 부착구를 부착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장형 판형상부에서 연장되어 있는 탄성형 판형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형 판형상부측에 박육부(薄肉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몰딩의 부착구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윈도 몰딩의 부착구에 있어서는, 상기한 특징에 부가하여 상기 창유리가 장착되는 장착 오목부에 있어서의 오목부 저면에 대하여 상기 부착구에 있어서의 탄성형 판형상부를 확실하게 또한 유연하게 밀착상태로 접촉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관한 윈도 몰딩(20)의 부착구(1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8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관한 윈도 몰딩의 부착구(10)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윈도 몰딩의 부착구(10)를 구비한 자동차의 앞부분측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착구(10)를 창유리(4)가 장착되는 장착 오목부(2)에 양면 접착테이프(18)에 의하여 점착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부착구(10)를 이용하여 창유리(4)의 주연부와 장착 오목부(2)의 벽면(2a)과의 사이에 윈도 몰딩(20)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착구(10)를 창유리(4)가 장착되는 장착 오목부(2)에 양면 접착테이프(18)에 의하여 점착한 또다른 부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부착상태에서 부착구(10)를 이용하여 창유리(4)의 주연부와 장착 오목부(2)의 벽면(2a)과의 사이에 윈도 몰딩(20)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착구(10)와 이 부착구(10)에 의해서 부착되는 윈도 몰딩(20)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부착구(10)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8은 상기 부착구(10)를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윈도 몰딩(20)의 부착구(10)는 창유리(4)가 장착되는 장착 오목부(2)에 있어서의 오목부 벽면(2a)을 따라서 점착되어 사용되는 부착구(10)로서, 상기 부착구(10)가 상기 오목부 벽면(2a)을 따라서 점착되는 밴드형 판형상부(11)와,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의 하단에서 창구멍(3)측의 오목부 저면(2b)을 향하여 연장되며 또한 선단측에서 상기 오목부 저면(2b)과 대략 평행하게 되는 연장형 판형상부(12)와, 상기 연장형 판형상부(12)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오목부 저면(2b)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맞닿는 탄성형 판형상부(14)와,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 벽면(2a)에 대한 점착측과 반대가 되는 측의 하부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또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측으로 걸어맞춤수단(13c)을 구비한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 벽면(2a)을 따라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를 점착하여 사용됨과 아울러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와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와의 사이를 윈도 몰딩(20)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형 판형상부(22)의 삽입틈새(Y)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자동차에 사용되는 윈도 몰딩(20)의 부착구(10)에 있어서는, 적어도 상기 부착구(10)에 있어서의 연장형 판형상부(12)에서 더 연장되어 있는 탄성형 판형상부(14)가 창유리(4)가 장착되는 장착 오목부(2)에 있어서의 오목부 저면(2b)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맞닿은 상태로 상기 장착 오목부(2)에 부착되므로 이 부착부에서 초적음등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으며, 또 상기 부착구(10)의 탄성형 판형상부(14)를 장착 오목부(2)에 대하여 압압할 때 상기 탄성형 판형상부(14)의 탄성적인 휘어짐을 확인하면서 상기 부착구(10)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들뜸이 없는 상태로 또한 외관이 양호한 윈도 몰딩(20)의 부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관한 윈도 몰딩(20)의 부착구(10)에 있어서, 상기 연장형 판형상부(12)에서 연장되어 있는 탄성형 판형상부(14)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형 판형상부(12)측에 박육부(薄肉部)(17)가 형성되어 있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윈도 몰딩(20)의 부착구(10)에 있어서는, 상기 특징에 부가하여 상기 창유리(4)가 장착되는 장착 오목부(2)에 있어서의 오목부 저면(2b)에 대하여 상기 부착구(10)에 있어서의 탄성형 판형상부(14)를 확실하게 또한 유연하게 밀착상태로 접촉시킬 수 있다.
자동차에 형성되는 창구멍(3)은 예를 들면 보디(1)를 구성하는 패널(1a)에 차량의 형태에 따라 창의 형상 및 치수를 구비한 개구부로서 구성되는 것이고, 이 창구멍(3)을 덮도록 창유리(4)를 삽입상태로 수납하는 장착 오목부(2)를 상기 보디(1)를 구성하는 패널(1a)의 표면측(2e)에서 단차형상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창구멍(3)의 주연부를 패널(1a)의 표면측(2e)에서 단차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하여 창유리(4)가 수납되어 장착되는 장착 오목부(2)로 하고 있으며, 상기 패널(1a)의 표면측(2e)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수직경사면이 상기 장착 오목부(2)에 있어서의 오목부 벽면(2a)이 되고, 이 오목부 벽면(2a)의 하단에 형성되는 굴곡부(2c)를 통하여 상기 표면측(2e)의 면과 대략 평행하게 또한 상기 창구멍(3)을 향하여 형성되는 수평면이 상기 장착 오목부(2)의 오목부 저면(2b)이 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윈도 몰딩(20)을 부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부착구(10)는, 상기 창구멍(3)의 주연부에 형성되는 장착 오목부(2)의 벽면(2a)과 저면(2b)에 걸쳐지도록 상기 오목부 벽면(2a)에 대하여 양면 접착테이프(18)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창구멍(3)을 덮도록 장착되는 창유리(4)의 주연부의 측방을 따라서 상태좋게 구비되어 이용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부착구(10)에 의한 윈도 몰딩(20)의 부착은, 전형적으로는 상기 부착구(10)의 부착상태가 확인가능한 부위,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구멍(3)의 주연부에 형성되는 장착 오목부(2)에 있어서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특히 프런트 글라스로서의 창유리(4)의 상부측 가장자리가 수납되는 장착 오목부(2)를 따라서 부착된다.
상기 장착 오목부(2)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부착구(10)는 상기 장착 오목부(2)에 부착된 부착구(10)가 상기 장착 오목부(2)의 벽면(2a)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형상 및 치수로 되어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착구(10)에 있어서는, 이 부착구(10)가 그 상단이 상기 오목부 벽면(2a)의 상측 가장자리부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부착될 수 있는 폭으로 된 장척상(長尺狀)의 것을 사용하며, 이것을 소망하는 길이로 절단가능하고 또한 상기 장착 오목부(2)의 벽면(2a)을 따라서 밀착되게 부착할 수 있는 가요성을 구비한 형상 및 소재로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착구(10)는, 상기 장착 오목부(2)에 있어서의 경사진 오목부 벽면(2a)에 양면 접착테이프(18)에 의하여 점착상태로 강고하게 부착되는 밴드형 판형상부(11)와,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의 하단에서 상기 창구멍(3)측의 상기 오목부 저면(2b)을 향하여 경사상태로 연장되며 또한 그 선단측이 상기 오목부 저면(2b)과 대략 평행하게 되어 상기 오목부 저면(2b)에 접촉되거나 또는 그 선단측이 상기 오목부 저면(2b)에서 떨어진 상태로 사용되는 연장형 판형상부(12)와, 상기 연장형 판형상부(12)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오목부 저면(2b)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맞닿는 탄성형 판형상부(14)와,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 벽면(2a)에 대한 점착측과 반대가 되는 측의 하부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와 대향하는 측에 걸어맞춤수단(13c)을 구비한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의 상부측에서 일단 상측으로 연장된 후 상기 오목부 벽면(2a)측으로 굴곡되는 굴곡부(15a)를 가지는 탄성형 굴곡부(15)를 일체로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연장형 판형상부(12)는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의 하단의 전체 폭에 걸쳐서 그 하단에서 일련으로 연장된 구성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에서 상기 창구멍(3)측의 오목부 저면(2b)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12a)와, 상기 경사부(12a)의 선단에서 상기 오목부 저면(2b)과 평행하게 또한 면적으로 접촉하도록 연장되는 수평부(12b)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장착 오목부(2)에 있어서의 굴곡부(2c)의 형태에 관계없이 상기 연장형 판형상부(12)의 수평부(12b)의 하면부분을 오목부 저면(2b)에 대하여 면적으로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연장형 판형상부(12)에서 더 연장되는 탄성형 판형상부(14)는, 이 탄성형 판형상부(14)가 오목부 저면(2b)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맞닿아 접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전형적으로는 상기 경사부(12a)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연장형 판형상부(12)의 선단의 전체 폭에 걸쳐서 그 선단에서 일련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탄성형 판형상부(14)를 탄성적으로 휘어지도록 압압하여 상기 오목부 저면(2b)에 밀착시키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탄성형 판형상부(14)는 그 기단부측에, 특히 상기 탄성형 판형상부(14)가 상기 오목부 저면(2b)에 접촉하는 면측에, 상기 연장형 판형상부(12)의 선단부를 따르는 상기 탄성형 판형상부(14)의 길이방향측의 전체 폭에 걸쳐서 박육부(17)로서의 오목홈(17a)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박육부(17)로서의 오목홈(17a)에 의하여 상기 탄성형 판형상부(14)를 더 확실하게 상기 오목부 저면(2b)에 대하여 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에 있어서의 외측면측, 즉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 벽면(2a)에 대한 점착측과 반대가 되는 측의 하부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요성을 구비한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는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의 길이방향측의 전체 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와의 사이에 상기 윈도 몰딩(20)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형 판형상부(22)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홈형상의 삽입틈새(Y)를 구성하도록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에서 측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수평연장부(13a)와 이 수평연장부(13a)에서 상측을 향하여 또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연장되는 기립연장부(13b)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수평연장부(13a)와 상기 기립연장부(13b)가 연접하는 부분에서 하측을 향하여 또한 상기 기립연장부(13b)의 연장면상에 위치하도록 돌출되는 돌출형 판형상부(16)를 형성하여 상기 부착구(10)를 취급할 때의 유지수단, 접착제(6)에 대한 점착수단 등으로서 기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의 기립연장부(13b)의 상부측에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측으로 돌출되는 걸어맞춤돌기(13c')를 상기 윈도 몰딩(20)의 걸어맞춤에 이용되는 걸어맞춤수단(13c)으로서 상기 기립연장부(13b)의 길이방향측의 전체 폭에 걸쳐서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와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와의 사이가 상기 윈도 몰딩(20)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형 판형상부(22)가 삽입되는 홈형상의 삽입틈새(Y)로서 구성하고 있다.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와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와의 사이에 구성되는 홈형상의 삽입틈새(Y)는, 상기 걸어맞춤돌기(13c')에 상기 윈도 몰딩(20)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형 판형상부(22)에 구비되어 있는 걸어맞춤수단(22a)이 걸어맞춰졌을 때에,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22)에 있어서의 걸어맞춤수단(22a)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이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의 면에 맞닿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부착구(10)는,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 연장형 판형상부(12),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 및 돌출형 판형상부(16)를 가요성과 경도를 가지는 소재,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수지재 등에 의하여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형 판형상부(14) 및 탄성형 굴곡부(15)를 탄성재, 예를 들면 각종의 일래스토머재 등의 고무상 탄성재, 더 구체적으로는 폴리아미드계 일래스토머에 의하여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형 판형상부(14)와 탄성형 굴곡부(15)를 다른 구성부분과 구별되는 색채를 구비한 것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한 구성으로 된 부착구(10)는, 이 부착구(10)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목적에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 연장형 판형상부(12) 및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 등의 길이방향측에 걸쳐서 보강수단, 예를 들면 유리섬유등의 보강섬유(19)를 내부에 구비시킨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탄성형 굴곡부(15)는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의 상단의 길이방향측의 전체 폭에 걸쳐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의 상단에서 일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형 굴곡부(15)의 굴곡내측에 양면 접착테이프(18)가 구비되는 구성, 즉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에 점착되는 양면 접착테이프(18)의 두께보다도 상기 탄성형 굴곡부(15)에 있어서의 굴곡부(15a)의 돌출폭이 작은 구성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탄성형 굴곡부(15)의 선단이 오목부 벽면(2a)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부착구(10)의 주요부는, 장방형상을 이루는 밴드형 판형상부(11)의 일측면에 있어서의 폭측의 일측에 치우친 위치에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의 길이방향측에 걸쳐서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를 돌출상태로 구비하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가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에서 일단 돌출된 수평연장부(13a)와 이 수평연장부(13a)에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와 대향하도록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의 폭측의 타단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기립연장부(13b)로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에 있어서의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가 돌출되는 측의 단부에서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의 돌출측의 하측을 향하여 굴곡되도록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경사부(12a)와 상기 경사부(12a)의 선단측에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에 대한 경사각을 상기 경사부(12a)보다도 크게 하여 상기 경사부(12a)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수평부(12b)와, 상기 수평부(12b)의 선단측에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에 대한 경사각을 상기 수평부(12b)보다도 작게 하여 상기 수평부(12b)에 일체로 연장되는 탄성형 판형상부(14)를 구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부착구(10)에 있어서의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에 대하여 이 밴드형 판형상부(11)에 있어서의 오목부 벽면(2a)를 향하는 측, 구체적으로는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측의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의 면의 길이방향측에 걸쳐서 양면 접착테이프(18)를 점착상태로 부착함과 아울러, 상기 장착 오목부(2)의 저면(2b)에 대하여 싱기 밴드형 판형상부(11)에 있어서의 연장형 판형상부(12)와 탄성형 판형상부(14) 모두 또는 탄성형 판형상부(14)가 접촉되도록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를 상기 양면 접착테이프(18)를 이용하여 상기 오목부 벽면(2a)에 점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부착구(10)에 점착되는 양면 접착테이프(18)는, 그 폭측에 있어서의 일단, 구체적으로는 상기 양면 접착테이프(18)의 상단측을 상기 탄성형 굴곡부(15)의 굴곡부(15a) 하면에 접하도록 함과 아울러, 양면 접착테이프(18)의 하단측이 대략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의 하단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부착구(10)에 점착되어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부착구(10)에 점착되는 양면 접착테이프(18)는 열경화성 접착체층의 앙면에 각각 점착제층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부착구(10)를 상기 양면 접착테이프(18)의 점착수단에 의하여 상기 장착 오목부(2)의 벽면(2a)에 점착상태로 부착함과 아울러, 차체 도장(塗裝)을 위한 건조공정시의 열에 의하여 상기 열경화성 접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을 일체로 용융시키고, 이 용융에 의해서 일체로 된 열경화성 접착제와 점착제에 의하여 상기 부착구(10)를 상기 장착 오목부(2)의 벽면(2a)에 대하여 강고하게 고착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통상은 부착구(10)에 점착되지 않은 측의 점착면상을 덮도록 박리라이너(도시생략)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한 점착사용시에 이 박리라이너를 박리하고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부착구(10)가 부착되는 장착 오목부(2)는, 상기 창유리(4)의 표측면이 상기 장착 오목부(2)의 상단부(2d)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수납깊이를 가진 오목부 벽면(2a)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부착구(10)를 상기 오목부 벽면(2a)에 구비한 상태에서 댐 러버(5)를 이면측에 구비한 창유리(4)를 상기 장착 오목부(2)내에 수납상태로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장착 오목부(2)에 상기 창유리(4)를 수납한 후에는 상기 장착 오목부(2)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부착구(10)와 상기 창유리(4)의 이면측에 구비되어 있는 댐 러버(5)와의 사이에 접착제(6)가 충진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 오목부(2)의 벽면(2a)에 점착상태로 부착된 부착구(10)의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를 이용하여, 상기 장착 오목부(2)에 장착된 창유리(4)의 둘레측부와 상기 장착 오목부(2)의 상단부(2d)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덮도록 구비되는 윈도 몰딩(20)은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등에 의하여 성형되는 성형재등이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윈도 몰딩(20)은 전형적인 일형태로서의 윈도 몰딩(20)을 나타낸 것으로서, 비교적 판두께가 두꺼운 상태의 장척상을 이루는 밴드형 판형상부(21)와,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21)에 있어서의 상기 부착구(10)측의 하면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또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21)의 길이방향측에 걸쳐서 돌출상태로 형성되는 걸어맞춤형 판형상부(22)와,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21)의 대략 중앙위치, 구체적으로는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22)와의 사이에 상기 부착구(10)의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하측을 향하여 또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21)의 길이방향측에 걸쳐서 돌출상태로 형성되는 점착형 판형상부(23)와,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22)가 돌출형성되는 측의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21)의 상단부에서 상기 오목부 벽면(2a)의 상단부(2d) 외측에 있는 표면측(2e)의 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21)의 길이방향측에 걸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상태로 연장되는 연장형 판형상부(24)와,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21)의 측면에서 상기 연장형 판형상부(24)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21)의 길이방향측에 걸쳐서 돌출상태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 오목부(2)의 벽면(2a)에 맞닿는 맞닿음형 판형상부(25)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으로 된 밴드형 판형상부(21)는 그 판두께가 비교적 두껍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단부(21a)가 상기 장착 오목부(2)에 장착되어 있는 창유리(4)의 상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22)가 상기 부착구(10)에 있어서의 밴드형 판형상부(11)와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홈형상의 삽입틈새(Y)에 삽입되어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에 있어서의 걸어맞춤수단(13c)으로서의 걸어맞춤돌기(13c')에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22)의 걸어맞춤수단(22a)으로서의 걸어맞춤돌기(22a')가 걸어맞춰지고, 또한 상기 맞닿음형 판형상부(25)가 상기 오목부 벽면(2a)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연장형 판형상부(24)가 상기 오목부 벽면(2a)의 상단부(2d)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면측(2e)에 접촉상태로 눌려붙여짐과 아울러,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점착형 판형상부(23)가 상기 접착제(6)내에 삽입상태로 점착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장착 오목부(2)에 있어서의 상기 창유리(4)와 상기 부착구(10)와의 사이에 걸쳐서 부착되는 윈도 몰딩(20)은,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의 걸어맞춤수단(13c)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수단(22a)을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의 걸어맞춤수단(13c)과 서로 대향되도록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22)에 있어서의 점착형 판형상부(23)측으로 다단형상으로 또한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22)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돌출되도록 형성한 걸어맞춤돌기(22a',22a')로서 구성하고 있으며, 이 다단형상으로 된 걸어맞춤돌기(22a',22a')로서의 걸어맞춤수단(22a,22a)중 어느 하나를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의 걸어맞춤수단(13c)으로서의 걸어맞춤돌기(13a')에 걸어맞출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점착형 판형상부(23)는, 이 점착형 판형상부(23)를 상기 접착제(6)내에 삽입하였을 때에 이 점착형 판형상부(23)가 접착제(6)에 확실하게 점착되어 유지되도록 그 선단측을 대략 경사지게 한 굴곡형 판형상부(23b)로 하고, 또한 이 굴곡형 판형상부(23b)의 굴곡부 상부측에 이 굴곡형 판형상부(23b)의 길이방향측에 걸쳐서 돌기(23a)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부착구(10)를 이용한 윈도 몰딩(20)의 부착은, 상기 장착 오목부(2)의 벽면(2a)에 대하여 양면 접착테이프(18)를 구비한 상기 부착구(10)를 점착하여 부착함과 아울러, 상기 부착구(10)의 내측에 상기 창유리(4)가 수납되도록 상기 장착 오목부(2)내로 상기 창유리(4)를 끼워넣은 후 이 창유리(4)의 댐 러버(5)와 상기 부착구(10) 사이에 접착제(6)를 충진하고, 이어서 상기 접착제(6)가 경화되기 이전에 상기 윈도 몰딩(20)에 있어서의 점착형 판형상부(23)를 접착제(6)내에 삽입하고, 또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21)의 내측단부(21a)를 상기 창유리(4)의 상면에 맞닿게 하고, 또한 상기 연장형 판형상부(24)를 상기 장착 오목부(2)의 상단부(2d)의 외측에 있는 패널(1a)의 표면측(2e)에 맞닿게 하고, 또한 상기 맞닿음형 판형상부(25)가 상기 상단부(2d)에 맞닿도록 상기 윈도 몰딩(20)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형 판형상부(22)를 상기 부착구(10)의 홈형상의 삽입틈새(Y)에 대하여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를 휘어지도록 하면서 삽입하고, 상기 홈형상의 삽입틈새(Y)를 구성하는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의 걸어맞춤수단(13c)에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22)의 걸어맞춤수단(22a)를 걸어맞추고, 상기 접착제(6)의 경화에 의하여 부착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윈도 몰딩(20)의 부착에 이용되는 부착구(10)는, 이 부착구(10)에 있어서의 돌출형 판형상부(16)등을 손으로 쥐고서 양면 접착테이프(18)가 부착된 측을 상기 장착 오목부(2)의 벽면(2a)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이 부착구(10)의 하단측에 형성된 탄성형 판형상부(14)를 오목부 저면(2b)에 대하여 눌러붙임과 아울러, 이 오목부 저면(2b)을 따라서 상기 탄성형 판형상부(14)가 휘어져 있는 것을 확인하면서 상기 부착구(10)를 오목부 벽면(2a)에 대하여 점착상태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 저면(2b)에 대한 탄성형 판형상부(14)의 압압상태의 확인은, 이 탄성형 판형상부(14)를 다른 구성부분과 다른 색채를 구비한 착색부로 한 점, 특히 상기 장착 오목부(2)의 면(面)에 있어서 명료하게 식별가능한 색채로 착색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며, 부착구(10)의 부착위치를 확실하게 확인하면서 상기 장착 오목부(2)에 대하여 상기 부착구(10)를 점착상태로 부착을 할 수 있다.
이 결과, 오목부 벽면(2a)에 점착상태로 부착되는 부착구(10)는 그 연장형 판형상부(12), 특히 수평부(12b)를 오목부 저면(2b)에 대하여 맞닿은 상태로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윈도 몰딩(20)을 들뜸이 없는 상태로 또한 외관이 양호한 장착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구(10)에 의한 상기 윈도 몰딩(20)의 부착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구(10)에 있어서의 연장형 판형상부(12)의 수평부(12b)의 하면이 상기 오목부 저면(2b)에 밀착된 경우, 또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12b)가 상기 오목부 저면(2b)에 직접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서도 상기 수평부(12b)에서 연장되어 있는 탄성형 판형상부(14)가 오목부 저면(2b)에 탄성적으로 밀착상태로 접촉되는 것이므로 당해 부분에서 초적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없다.
또한, 상기 부착구(10)에 구비되는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는,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와의 사이에 상기 윈도 몰딩(20)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형 판형상부(22)가 삽입되는 홈형상의 삽입틈새(Y)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된 것이어도 되고, 또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에 구비되는 걸어맞춤수단(13c)은 상기 윈도 몰딩(20)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형 판형상부(22)의 걸어맞춤수단(22a)에 걸어맞출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된 걸어맞춤수단(13c)이어도 되고, 복수개의 다단형상으로 구비된 걸어맞춤수단(13c)이어도 된다.
또, 상기 윈도 몰딩(20)은, 상기 창유리(4)의 표면측과 상기 장착 오목부(2)에 있어서의 상단부(2d)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패널(1a)의 표면측(2e)에 걸쳐서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부착구(10)의 홈형상의 삽입틈새(Y)내에서 상기 부착구(10)의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형 판형상부(22)와 상기 접착제(6)에 삽입되는 점착형 판형상부(23)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으면 되며, 상기 점착형 판형상부(23)를 복수의 것으로 하여도 되고 또 어떠한 형태의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22)는 상기 부착구(10)의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에 걸어맞출 수 있는 걸어맞춤수단(22a)을 구비한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된 것이라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윈도 몰딩의 부착구는, 창유리가 장착되는 장착 오목부에 있어서의 오목부 벽면을 따라서 점착되어 사용되는 부착구로서, 상기 부착구가 상기 오목부 벽면을 따라서 점착되는 밴드형 판형상부와,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의 하단에서 창구멍측의 오목부 저면을 향하여 연장되며 또한 선단측에서 상기 오목부 저면과 대략 평행하게 되는 연장형 판형상부와, 상기 연장형 판형상부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오목부 저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맞닿는 탄성형 판형상부와,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 벽면에 대한 점착측과 반대가 되는 측의 하부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또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측으로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한 걸어맞춤형 판형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 벽면을 따라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를 점착하여 사용됨과 아울러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와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와의 사이를 윈도 몰딩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형 판형상부의 삽입틈새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형 판형상부를 상기 장착 오목부의 저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맞닿게 한 상태로 상기 장착 오목부에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들뜸이 없는 상태로 또한 외관이 양호한 상태로 윈도몰딩을 장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초적음이 발생하지 않는 윈도 몰딩의 부착구로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Claims (2)

  1. 창유리(4)가 장착되는 장착 오목부(2)에 있어서의 오목부 벽면(2a)을 따라서 점착되어 사용되는 부착구(10)로서,
    상기 부착구(10)가 상기 오목부 벽면(2a)을 따라서 점착되는 밴드형 판형상부(11)와,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의 하단에서 창구멍(3)측의 오목부 저면(2b)을 향하여 연장되며 또한 선단측에서 상기 오목부 저면(2b)과 대략 평행하게 되는 연장형 판형상부(12)와, 상기 연장형 판형상부(12)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오목부 저면(2b)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맞닿는 탄성형 판형상부(14)와,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 벽면(2a)에 대한 점착측과 반대가 되는 측의 하부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또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측으로 걸어맞춤수단(13c)을 구비한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 벽면(2a)을 따라서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를 점착하여 사용됨과 아울러 상기 밴드형 판형상부(11)와 상기 걸어맞춤형 판형상부(13)와의 사이를 윈도 몰딩(20)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형 판형상부(22)의 삽입틈새(Y)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 몰딩의 부착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형 판형상부(12)에서 연장되어 있는 탄성형 판형상부(14)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형 판형상부(12)측에 박육부(1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 몰딩의 부착구.
KR1019990033863A 1998-09-28 1999-08-17 윈도 몰딩의 부착구 KR100340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89993A JP2000103229A (ja) 1998-09-28 1998-09-28 ウインドウモールディングの取付具
JP289993 1998-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729A true KR20000022729A (ko) 2000-04-25
KR100340598B1 KR100340598B1 (ko) 2002-06-12

Family

ID=17750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863A KR100340598B1 (ko) 1998-09-28 1999-08-17 윈도 몰딩의 부착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0103229A (ko)
KR (1) KR1003405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355B1 (ko) * 2013-02-08 2015-04-27 (주)해밀리 차량 전면유리에 장착되는 풍절음 방지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103229A (ja) 2000-04-11
KR100340598B1 (ko) 200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63504A (ko) 몰딩 부착용 클립 및 몰딩 부착구조
ATE511973T1 (de) Automobiles verkleidungsteil
JP3715227B2 (ja) 車両用窓縁モールと窓板組立体
JP2001071830A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の取り付け構造
KR100340598B1 (ko) 윈도 몰딩의 부착구
CN111873919A (zh) 用于机动车辆的装饰部件及其生产方法
CA2022324C (en) Weather strip
JP2022083514A (ja) カウルモールとカウルトップガーニッシュとの連結構造
JPH037493B2 (ko)
JP3991407B2 (ja) ドアトリムの接合構造
JP5014769B2 (ja) ルーフモールとその製造方法
JPH09115370A (ja) グロメット
JP2001233140A (ja) エンブレム又はマーク
JP3213804B2 (ja) オーバフェンダ部材へのモールディング装着構造
KR100324384B1 (ko) 자동차 도어의 싸이드 프로텍터구조
KR20030038359A (ko) 2부재의 결합용 파스너
KR0118478Y1 (ko) 자동차용 몰딩구조
JP4964713B2 (ja) シール体構造
JP3637536B2 (ja) フック
KR200251587Y1 (ko) 사인보드
JPH05239853A (ja) シンクの取付装置
JPS6343161Y2 (ko)
KR0120264Y1 (ko) 자동차의 도어 조인트몰딩 장착구조
JPS6140592Y2 (ko)
KR19980041834U (ko) 차량의 사이드프로텍터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