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836A - 접속제어장치및접속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접속제어장치및접속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836A
KR20000016836A KR1019990008715A KR19990008715A KR20000016836A KR 20000016836 A KR20000016836 A KR 20000016836A KR 1019990008715 A KR1019990008715 A KR 1019990008715A KR 19990008715 A KR19990008715 A KR 19990008715A KR 20000016836 A KR20000016836 A KR 20000016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signal
remote
control unit
lo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5205B1 (ko
Inventor
다키노부히로
마카베히데오
도미타마사토
Original Assignee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구사 나오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16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2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Abstract

본 발명은 소비전력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는 접속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태 제어부(22)는 원격 상태 검지부(24)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상태 신호(ST2)가 불활성인 경우에 국부 상태 생성부(23)를 불활성화한다.

Description

접속 제어 장치 및 접속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CONNECTION}
본 발명은 개인용 검퓨터 등의 기기를 케이블로써 접속하는 접속 제어 장치 및 접속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과 함께, 그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 가능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주변 기기도 종류가 많아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 기기를 접속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경우, 그 접속은 모든 기기의 전원이 꺼진 상태로 되어야만 한다. 이것은 구축된(전원이 투입된) 네트워크에 기기를 접속한 경우, 나중에서 접속된 기기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것이 인식되지 않기 때문이고, 인식되지 않으면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핫 플러그(hot plug)로 플러그 앤드 플레이(plug and play)를 행할 수 있는 규격이 제안되고, 그 규격으로 기기를 접속하는 접속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핫 플러그는 핫 플러그 인(hot plug-in) 또는 핫 스와핑이라 불리고, 전원을 넣은 상태에서 기기의 접속, 분리를 행할 수 있는 기능이다. 플러그 앤드 플레이는 네트워크의 상태를 항상 감시하고,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 또는 분리된 경우에, 네트워크의 재구축을 행하는 기능이다. 그리고, 개인용 컴퓨터 등의 기기에 있어서, 소비전력의 감소화가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접속 장치에 있어서도, 소비전력의 감소가 요구되고 있다.
핫 플러그와 플러그 앤드 플레이를 행하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국부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항상 인식하는 것이다. 종래,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기기에는 그 기기를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접속 제어 장치(이하, 접속 장치라 함)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기기는 외부에 접속된 접속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그 접속 장치는 네트워크와의 접속 단자에 항상 그 기기의 존재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출력한다. 이 상태 신호는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이다.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된 모든 기기는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접속된 복수개의 기기는 서로 원격의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상태 신호를 검출하며, 그것에 의해 네트워크를 재구축한다. 이렇게 해서, 기기는 서로 출력하는 상태 신호에 의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한다. 그리고, 접속된 기기는 인식한 기기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기기는 접속 상태에 관계없이 상태 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즉, 기기는 네트워크에 접속할 필요가 없을 때에도 상태 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 부분이 항상 동작하고 있게 되고, 기기의 소비전력 감소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를 일으키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소비전력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는 접속 제어 장치 및 접속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제어 내용의 설명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접속 장치의 블록 회로도.
도 4의 (a) 내지 (d)는 접속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5의 (a) 내지 (d)는 접속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도.
도 7은 제어 내용의 설명도.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접속 장치의 블록 회로도.
도 9의 (a) 내지 (e)는 접속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10의 (a) 내지 (e)는 접속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의 접속 장치의 블록 회로도.
도 12는 데이터와 상태 신호의 관계를 도시하는 파형도.
도 13은 제4 실시 형태의 접속 장치의 블록 회로도.
도 14는 다른 접속 장치의 블록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41, 53, 64, 72: 상태 제어부
23, 42a, 42b, 54: (국부)상태 생성부
24, 43a, 43b, 55: (원격)상태 검지부
S1, S1a, S1b: 제어 신호
S2, S2a, S2b: 검지 신호
ST1, ST1a, ST1b: 국부 상태 신호
ST2, ST2a, ST2b: 원격 상태 신호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국부 노드의 존재를 네트워크내에 통지하기 위한 국부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상태 생성부와, 원격 노드가 출력하는 원격 상태 신호를 검지하고, 그 검지 결과를 출력하는 상태 검지부와, 상기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상태 신호가 소실된 경우에 상기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하며, 국부 노드가 네트워크내에 신호를 출력 또는 입력하는 경우 또는 상기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상태 신호가 검지된 경우에 상기 상태 생성부를 활성화하는 상태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그 상태 제어부에 의해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상태 신호가 소실된 경우에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함으로써 전력소비가 적어진다.
또, 상태 제어부는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국부 노드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때에는 상태 생성부를 활성화함으로써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상태 제어부는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국부 노드의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에 상태 생성부를 활성화함으로써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상태 제어부는 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원격 상태 신호가 불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상태 생성부를 활성화하고, 네트워크의 상태를 감시한다. 그 후, 원격 상태 신호가 활성화하지 않을 때에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함으로써,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태 제어부는 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국부 노드와 원격 노드의 접속이 확인된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있어서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함으로써, 네트워크로부터의 간섭을 무시할 수 있다.
상태 제어부는 청구범위 제6항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일정 주기 국부 노드가 네트워크내에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고, 또한 원격 노드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이 없는 경우에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함으로써 소비전력을 감소시킨다.
상태 제어부는 청구범위 제7항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네트워크의 접속을 절단하고 싶을 때,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8항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상태 제어부에 클록 신호를 공급하는 PLL 회로를 가지며, 상태 제어부는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할 때에 PLL 회로를 불활성화함으로써, 소비전력을 감소시킨다.
청구범위 제9항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기준 클록 신호와 PLL 회로에서 생성되는 클록 신호가 입력되고, 상태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기준 클록 신호와 클록 신호중의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그 선택 신호를 상태 제어부로 출력하는 선택기를 구비하며, 상태 제어부는 상태 생성부를 활성화할 때에 클록 신호가 입력되고,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할 때에 기준 클록 신호가 입력되도록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저주파수의 기준 클록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상태 제어부는 전력소비가 적다.
상태 제어부는 청구범위 제10항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하는 경우에, 기준 클록 신호를 동시에 불활성화하도록 발진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태 제어부는 청구범위 제11항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하는 경우에도, PLL 회로를 활성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상태 제어부는 청구범위 제12항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하는 경우에, 클록 신호의 주파수를 낮추도록 PLL 회로를 제어하며, 이것에 의해 소비전력이 감소된다.
상태 제어부는 청구범위 제13항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하는 경우에, 기준 클록 신호의 주파수를 낮추도록 발진기를 제어하며, 이것에 의해 소비전력이 감소된다.
상태 제어부는 청구범위 제14항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하는 경우에, 접속된 CPU를 동시에 불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상태 제어부는 청구범위 제15항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포트의 각각에 구비되는 상태 생성부와 상태 검지부를, 1개의 포트의 원격 상태 신호를 활성화한 경우에 다른 포트의 국부 상태 신호를 활성화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상태 제어부는 청구범위 제16항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포트의 각각에 구비된 상태 생성부와 상태 검지부에 대하여, 1개의 포트의 원격 상태 신호가 활성화하여도, 다른 포트는 그 원격 상태 신호가 검지되지 않는 한 불활성화함으로써, 이것에 의해 소비전력을 감소시킨다.
상태 제어부는 청구범위 제17항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하는 경우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드라이버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불활성화하며, 이것에 의해 소비전력을 감소시킨다.
상태 제어부는 청구범위 제18항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상태 생성부를 활성화하는 경우에, 드라이버 및 수신기를 활성화하여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청구범위 제19항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원격 노드가 출력하는 원격 상태 신호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상태 신호가 소실된 경우에 국부 노드의 존재를 네트워크내에 통지하기 위한 국부 상태 신호를 불활성화함으로써, 그 국부 상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 부분의 소비전력이 적어진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직렬 인터페이스의 하나인 IEEE1394 규격에 준거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기기로서의 개인용 컴퓨터(11)는 외부 주변 기기로서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이하, 카메라라고 함)(12)와 케이블(13)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11)와 카메라(12)는 IEEE1394 규격으로써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또한, IEEE1394 규격 이외의 것에 의해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개인용 컴퓨터(11)와 카메라(12)는 IEEE1394 프로토콜에 준거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케이블 접속 제어 장치(이하, 접속 장치라 함)(14, 15)를 각각 포함한다. 접속 장치(14, 15)는 접속 단자로서의 커넥터(16, 17)를 각각 포함하고, 양 커넥터(16, 17)에 케이블(13)의 커넥터가 접속된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11), 카메라(12)와 접속 장치(14, 15) 사이를 각각 케이블로써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양 접속 장치(14, 15)는 핫 플러그로써 플러그 앤드 플레이를 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즉, 접속 장치(14, 15)는 이들 장치(14, 15)를 통해 기기(11, 12)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기능은 기기 사이에서의 상태 신호의 수수에 의해 제공된다. 즉, 양 접속 장치(14, 15)는 원격으로 출력하는 상태 신호(이하, 국부 상태 신호라 함)의 생성하는 기능과, 원격의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상태 신호(원격 상태 신호)의 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양 접속 장치(14, 15)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국부 상태 신호의 생성 기능을 활성화/불활성화로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2는 접속 장치(14, 15)가 국부 상태 신호를 제어하는 조건을 나타낸다.
상세히 기술하면, 접속 장치(14, 15)를 구비한 개인용 컴퓨터(11), 카메라(12)를 각각 노드라고 부른다. 현재, 개인용 컴퓨터(11)로부터 네트워크의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그 개인용 컴퓨터(11)를 국부 노드라고 부르고, 카메라(12)를 원격 노드라고 부른다.
국부 노드는 조건 1-1.(활성화된 원격 상태 신호가 원격 노드로부터 출력되며, 그것을 검지했을 때), 조건 1-2.(국부 노드가 네트워크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때)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국부 상태 신호를 활성화한다. 그리고, 국부 노드는 조건 2-1.(원격 상태 신호의 불활성화를 검지했을 때)에 해당하는 경우에, 국부 상태 신호를 불활성화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접속 장치(14, 15)는 개인용 컴퓨터(11), 카메라(12)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 즉 각각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국부 상태 신호를 활성화하지 않는다. 이것은 그 국부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회로 부분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를 삭감하고, 이것에 의해 장치(14, 15), 나아가서는 개인용 컴퓨터(11), 카메라(12)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킨다.
다음에, 접속 장치(14, 15)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접속 장치(14)의 블록 회로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의 카메라(12)에 구비된 접속 장치(15)는 개인용 컴퓨터(11)에 구비된 접속 장치(14)와 구성, 동작이 같기 때문에, 상세한 도면 및 동작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의 접속 장치(14)는 PLL 회로(21), 상태 제어부(22), 국부 상태 생성부(23), 원격 상태 검지부(24), 데이터 전송 회로부(2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 호스트 인터페이스(27)를 포함한다. PLL 회로(21)에는 호스트 장치로서의 개인용 컴퓨터(11)에 구비된 발진기(11a)에서 생성되는 기준 클록 신호(SCK)가 입력된다. PLL 회로(21)는 기준 클록 신호(SCK)에 기초하여 그 기준 클록 신호(SCK)의 주파수보다 높은 소정 주파수를 갖는 클록 신호(CLK)를 생성한다. 그리고, PLL 회로(21)는 생성된 클록 신호(CLK)를 상태 제어부(22)와 데이터 전송 회로부(25)로 출력한다. 상태 제어부(22)와 데이터 전송 회로부(25)는 입력되는 클록 신호(CLK)에 기초하는 주기로써 동작한다.
상태 제어부(22)에는 국부 상태 생성부(23)와 원격 상태 검지부(24)가 접속되어 있다. 원격 상태 검지부(24)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를 통해 접속 원격(도 1의 카메라(12)의 접속 장치(15))에 접속된다. 원격 상태 검지부(24)는 접속 장치(15)로부터 출력되는 국부 상태 신호가 네트워크(도 1의 케이블(13))를 통해 원격 상태 신호(ST2)로서 입력된다.
원격 상태 검지부(24)는 원격 상태 신호(ST2)가 활성 상태에 있을 때, 그 활성화한 상태 신호(ST2)에 응답하여 검지 신호(S2)를 활성화하고, 그 검지 신호(S2)를 상태 제어부(22)로 출력한다. 상태 제어부(22)는 활성화한 검지 신호(S2)에 응답하여 국부 상태 생성부(23)로 출력하는 제어 신호(S1)를 활성화한다.
국부 상태 생성부(23)는 활성화한 제어 신호(S1)에 응답하여 활성화하고, 활성화한 국부 상태 신호(ST1)를 출력한다. 접속이 원격인 접속 장치(15)로 출력한다. 이렇게 해서, 상태 제어부(22)는 활성화한 원격 상태 신호(ST2)를 검지한 검지 신호(S2)에 기초하여 국부 상태 신호(ST1)를 활성화한다.
원격 상태 검지부(24)는 불활성화한 원격 상태 신호를 검지하면, 검지 신호(S2)를 불활성으로 한다. 상태 제어부(22)는 불활성의 검지 신호(S2)에 응답하여 국부 상태 생성부(23)에 대한 제어 신호(S1)를 불활성화한다.
국부 상태 생성부(23)는 불활성화한 제어 신호(S1)에 응답하여 불활성이 된다. 이것에 의해 국부 상태 신호(ST1)는 불활성이 된다. 이렇게 해서, 상태 제어부(22)는 불활성의 원격 상태 신호(ST2)를 검지한 검지 신호(S2)에 기초하여 국부 상태 신호(ST1)를 불활성화한다.
또, 상기 상태 제어부(22)는 활성화한 검지 신호(S2)에 기초하여 활성화한 신호(S3)를 생성하고, 그 신호(S3)를 데이터 전송 회로부(25)로 출력한다. 이 신호(S3)는 CPU(11b)가 네트워크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것은 원격 상태 신호(ST2)가 검지되었을 때에는 기기가 접속 원격으로서 접속되어 활성화한 상태이다. 이것에 의해, 호스트 장치인 개인용 컴퓨터(11)와 접속 원격의 기기로부터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태 제어부(22)는 검지 신호(S2)를 신호(S3)로서 출력하여도 좋다.
상태 제어부(22)에는 데이터 전송 회로부(25)가 접속된다. 데이터 전송 회로부(25)는 드라이버(25b)와 수신기(25c)로 이루어지는 버퍼 회로(25a)를 포함한다. 데이터 전송 회로부(25)는 호스트 인터페이스(27)에 접속되고, 그 호스트 인터페이스(27)는 호스트 장치로서의 개인용 컴퓨터(11)에 구비된 CPU(11b)에 접속된다. 또한, 데이터 전송 회로부(25)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에 접속되며, 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는 접속 원격 장치로서의 카메라(12)에 접속된다.
데이터 전송 회로부(25)는 CPU(11b)로부터 호스트 인터페이스(27)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로써 취급하는 IEEE1394 규격의 데이터로 포맷하여 그 데이터를 드라이버(25b)를 통해 출력한다. 이 출력 데이터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를 통해 원격 장치로 출력된다.
한편, 데이터 전송 회로부(25)는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 수신기(25c)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CPU(11b)가 취급하는 데이터로 포맷하여 그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출력 데이터는 호스트 인터페이스(27)를 통해 CPU(11b)로 출력된다.
데이터 전송 회로부(25)에는 CPU(11b)로부터 전송하는 데이터가 입력될 때, 그 데이터 전송에 앞서 데이터 전송의 개시를 나타내는 신호(S4)가 입력된다. 데이터 전송 회로부(25)는 이 신호(S4)를 상태 제어부(22)로 출력한다.
상태 제어부(22)는 신호(S4)에 기초하여 국부 상태 생성부(23)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한 국부 상태 생성부(23)는 활성화한 국부 상태 신호(ST1)를 출력한다. 이렇게 해서, 상태 제어부(22)는 호스트 장치인 개인용 컴퓨터(11)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할 때, 국부 상태 신호(ST1)를 활성화한다.
그런데, CPU(11b)가 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할 때, CPU(11b)는 먼저 원격 장치인 카메라(12)에 대하여 수신 명령을 송신한다. 카메라(12)는 수신 명령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 회로부(25)는 이 수신 명령에 기초하여 신호(S4)를 상태 제어부(22)로 출력한다. 상태 제어부(22)는 신호(S4)에 응답하여 국부 상태 제어부(22)를 활성화시킨다. 이렇게 해서, 상태 제어부(22)는 호스트 장치인 개인용 컴퓨터(11)가 데이터를 수신할 때, 국부 상태 신호(ST1)를 활성화한다.
다음에, 상기 접속 장치(14)를 구비한 개인용 컴퓨터(11)와, 접속 장치(15)를 구비한 카메라(12)를 접속 및 분리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의 (a) 내지 (d)는 접속 장치의 동작 설명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4에는 네트워크의 접속에 관계되는 접속 장치(14, 15)를 도시하고, 개인용 컴퓨터(11), 카메라(12)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활성화한 신호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불활성 상태의 신호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면에는 국부 상태 신호를 「국부」, 원격 상태 신호를 「원격」으로 나타낸다.
현재, 도 4의 (a)에 도시하는 접속 장치(14, 15)는 전원이 투입되어 비접속 상태에 있다. 이 때, 양 장치(14, 15)는 각각 원격 장치의 원격 상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즉 원격 상태 신호가 불활성인 것을 검지한다. 그리고, 그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양 장치(14)는 국부 상태로 유지한다.
다음에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장치(14, 15)를 접속한다. 이 때, 양 장치(14, 15)는 서로의 원격 상태 신호가 불활성이기 때문에, 이것을 검지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양 장치(14, 15)는 국부 상태 신호를 불활성 상태로 유지한다.
현재, 접속 장치(14)로부터 접속 장치(15)로 데이터를 전송한다.(실제로는, 도 1의 개인용 컴퓨터(11)로부터 접속 장치(14, 15)를 통해 카메라(12)로 데이터가 전송됨.)
이 때,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장치(14)는 국부 상태 신호를 활성화한다. 이 국부 상태 신호를 원격 상태 신호로서 수취하는 접속 장치(l5)는 원격 상태 신호가 활성화하고 있기 때문에, 국부 상태 신호를 활성화한다. 이 활성화한 국부 상태 신호는 접속 장치(14)에 원격 상태 신호로서 입력된다.
이렇게 해서, 접속 장치(14, 15)는 서로 활성화한 원격 상태 신호를 검지한다. 이것에 의해, 양 접속 장치(14, 15) 사이의 접속이 완료되고, 데이터가 접속 장치(14)로부터 접속 장치(15)로 전송된다. 또한, 접속 장치(15)로부터 접속 장치(14)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도 동일하게 하여 양 장치(14, 15) 사이의 접속이 완료된다.
다음에,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장치(14, 15)의 접속이 절단되면, 각각 원격 상태 신호가 입력되지 않게 되기(원격 상태 신호가 불활성이 됨) 때문에, 양 장치(14, 15)는 국부 상태 신호를 불활성으로 한다.
이렇게 해서, 접속 장치(14, 15)는 전원을 투입한 상태로 케이블(13)을 접속한 후에 데이터 전송을 개시할 때, 국부 상태 신호를 활성화시켜 접속을 완료한다. 이것에 의해, 접속 장치(14, 15)는 핫 플러그로 플러그 앤드 플레이를 행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그리고, 접속 장치(14, 15)는 비접속인 경우 및 케이블(13)을 접속한 후에 데이터 전송이 개시될 때까지 동안의 전력 소비를 적게 한다.
도 5의 (a) 내지 (d)는 본 실시 형태의 접속 장치(14)와, 종래의 접속 장치(28)를 접속/분리할 때의 동작 설명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도 4와 같이, 활성화한 신호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불활성 상태의 신호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면에는 국부 상태 신호를 「국부」, 원격 상태 신호를 「원격」으로 나타낸다.
현재, 도 5의 (a)에 도시하는 접속 장치(14)와 종래의 접속 장치(이하, 종래 장치라 함)(28)는 전원이 투입되어 비접속 상태에 있다. 이 때, 종래 장치(28)는 항상 활성화한 국부 상태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접속 장치(14)는 원격 장치의 원격 상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즉 원격 상태 신호가 불활성인 것을 검지한다. 그리고, 접속 장치(14)는 그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국부 상태 신호를 불활성의 상태로 유지한다.
다음에,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장치(14)와 종래 장치(28)를 접속한다. 그렇게 하면, 접속 장치(14)에는 종래 장치(28)로부터 출력되는 국부 상태 신호가 원격 상태 신호로서 입력된다. 접속 장치(14)는 이 활성화한 원격 상태 신호를 검지하고, 국부 상태 신호를 활성화한다. 종래 장치(28)는 접속 장치(14)로부터 출력되는 국부 상태 신호를 원격 상태 신호로서 수취한다.
이렇게 해서, 접속 장치(14), 종래 장치(28)는 서로 활성화한 원격 상태 신호를 검지함으로써, 원격 장치를 인식한다. 이것에 의해, 양 장치(14, 28) 사이의 접속이 완료되고,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5의 (c)에 도시하는 데이터 전송시에 있어서, 접속 장치(14)와 종래 장치(28)는 서로 원격의 장치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장치(14)와 종래 장치(28)의 접속이 절단되면, 접속 장치(14)는 종래 장치(28)로부터 원격 상태 신호가 입력되지 않게 되기(원격 상태 신호가 불활성이 됨) 때문에, 국부 상태 신호를 불활성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접속 장치(14)와 종래 장치(28)를 접속 및 분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실시 형태의 접속 장치(14, 15)를 접속 및 분리하는 경우와 같이, 핫 플러그로 플러그 앤드 플레이를 행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그리고, 접속 장치(14)는 비접속인 경우의 전력소비를 적게 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1) 상태 제어부(22)는 원격 상태 검지부(24)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상태 신호(ST2)가 불활성인 경우에 국부 상태 생성부(23)를 불활성화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국부 상태 생성부(23)의 정도만큼 소비전력이 적어진다.
(2) 상태 제어부(22)는 원격 상태 검지부(24)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활성화한 원격 상태 신호(ST2)를 검지한 경우에 국부 상태 생성부(23)를 활성화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전원이 켜진 핫 플러그의 상태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접속된 원격 장치를 인식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플러그 앤드 플레이를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2 실시 형태를 도 6 내지 도 10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일부 생략한다.
도 6은 직렬 인터페이스의 하나인 IEEE1394 규격에 준거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에 있어서, 기기로서의 개인용 컴퓨터(11), 외부 주변 기기로서의 디지털 VTR(이하, VTR이라 함)(31) 및 외부 주변 기기로서의 컬러 프린터(이하, 프린터라 함)(32)는 케이블(13)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11), VTR(31), 프린터(32)는 IEEE1394 규격으로써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또한, IEEE1394 규격 이외의 것에 의해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개인용 컴퓨터(11), VTR(31), 프린터(32)는 IEEE1394 프로토콜에 준거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케이블 접속 제어 장치(이하, 접속 장치라 함)(33, 34, 35)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11), VTR(31), 프린터(32)와 접속 장치(33, 34, 35) 사이를 각각 케이블로써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각 접속 장치(33, 34, 35)는 각각 2개의 입출력 포트를 가지며, 각 입출력 포트에 대응하여 접속 단자로서의 커넥터(33a, 33b, 34a, 34b, 35a, 35b)가 설치되어 있다. 각 커넥터(33a, 33b, …)에는 케이블(13)의 커넥터가 접속된다. 도 6에 있어서, 개인용 컴퓨터(11), VTR(31), 프린터(32)는 커넥터(33b)와 커넥터(34a) 사이, 커넥터(34b)와 커넥터(35a) 사이가 각각 케이블(13)로써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11), VTR(31), 프린터(32)는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각 기기(개인용 컴퓨터(11), VTR(31), 프린터(32))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각 접속 장치(33∼35)는 핫 플러그로써 플러그 앤드 플레이를 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즉, 접속 장치(33∼35)는 이들 장치(33∼35)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11), VTR(31), 프린터(32)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기능은 기기 사이에서의 상태 신호의 수수에 의해 제공된다. 즉, 양 접속 장치(33∼35)는 접속 원격으로 출력하는 상태 신호(이하, 국부 상태 신호라 함)의 생성하는 기능과, 접속 원격의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상태 신호(원격 상태 신호)의 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각 접속 장치(33∼35)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국부 상태 신호의 생성 기능을 활성화/불활성화로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7은 접속 장치(33∼35)가 국부 상태 신호를 제어하는 조건을 나타낸다.
상세히 기술하면, 접속 장치(33∼35)를 구비한 개인용 컴퓨터(11), VTR(31), 프린터(32)를 각각 노드라고 부른다. 현재, 개인용 컴퓨터(11)로부터 네트워크의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그 개인용 컴퓨터(11)를 국부 노드라고 부르고, VTR(31), 프린터(32)를 원격 노드라고 부른다.
국부 노드는 조건 1-1.(활성화된 원격 상태 신호가 원격 노드로부터 출력되며, 그것을 검지했을 때), 조건 1-2.(국부 노드가 네트워크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때), 조건 1-3.(네트워크로부터의 간섭을 무시하기 위해서 국부 상태를 불활성화한 경우에, 간섭을 무시하고 싶은 상태가 종료되었을 때)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국부 상태 신호를 활성화한다. 그리고, 국부 노드는 조건 2-1.(원격 상태 신호의 불활성화를 검지했을 때), 조건 2-2.(네트워크로부터의 간섭을 무시했을 때)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국부 상태 신호를 불활성화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접속 장치(33∼35)는 개인용 컴퓨터(11), VTR(31), 프린터(32)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 즉 각각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국부 상태 신호를 활성화하지 않는다. 이것은 그 국부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회로 부분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를 삭감하고, 이것에 의해 장치(33∼35), 나아가서는 개인용 컴퓨터(11), VTR(31), 프린터(32)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킨다.
다음에, 접속 장치(33∼35)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은 접속 장치(33)의 블록 회로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6의 VTR(31), 프린터(32)에 구비된 접속 장치(34, 35)는 개인용 컴퓨터(11)에 구비된 접속 장치(33)와 구성, 동작이 같기 때문에, 상세한 도면 및 동작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의 접속 장치(33)는 도 6의 2개의 커넥터(33a, 33b)에 대응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접속 장치(33)는 커넥터(33a, 33b)에 대응하는 상태 제어부(41), 국부 상태 생성부(42a, 42b), 원격 상태 검지부(43a, 43b), 데이터 전송 회로부(4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5a, 45b)를 포함한다. 또 접속 장치(33)는 제1 실시 형태의 접속 장치(14)와 같이 PLL 회로(21)와 호스트 인터페이스(27)를 포함한다.
상태 제어부(41)는 국부 상태 생성부(42a, 42b)의 활성화/불활성화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데이터 전송 회로부(44)는 CPU(11b)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5a, 45b)에 각각 접속되는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의 포맷 변환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음에, 각 구성 부재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한다.
PLL 회로(21)는 호스트 장치로서의 개인용 컴퓨터(11)에 구비된 발진기(11a)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클록 신호(SCK)에 기초하여 그 기준 클록 신호(SCK)의 주파수보다 높은 소정 주파수를 갖는 클록 신호(CLK)를 생성한다. 그리고, PLL 회로(21)는 생성한 클록 신호(CLK)를 상태 제어부(41)와 데이터 전송 회로부(44)로 출력한다.
상태 제어부(41)에는 국부 상태 생성부(42a, 42b)와 원격 상태 검지부(43a, 43b)가 접속되어 있다. 원격 상태 검지부(43a, 43b)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5a, 45b)를 통해 접속 원격으로 접속된다. 원격 상태 검지부(43a, 43b)는 접속 장치(34)로부터 출력되는 국부 상태 신호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상태 신호(ST2a, ST2b)로서 입력된다.
원격 상태 검지부(43a, 43b)는 원격 상태 신호(ST2a, ST2b)가 활성 상태에 있을 때, 그 활성화한 상태 신호(ST2a, ST2b)에 응답하여 검지 신호(S2a, S2b)를 활성화하고, 그 검지 신호(S2a, S2b)를 상태 제어부(41)로 출력한다. 상태 제어부(41)는 활성화한 검지 신호(S2a, S2b)에 응답하여 국부 상태 생성부(42a, 42b)로 출력하는 제어 신호(S1a, S1b)를 활성화한다.
국부 상태 생성부(42a, 42b)는 활성화한 제어 신호(S1a, S1b)에 응답하여 활성화하고, 활성화한 국부 상태 신호(ST1a, ST1b)를 출력한다. 접속 원격으로 출력한다. 이렇게 해서, 상태 제어부(41)는 활성화한 원격 상태 신호(ST2a, ST2b)를 검지한 검지 신호(S2a, S2b)에 기초하여 국부 상태 신호(ST1a, ST1b)를 활성화한다.
원격 상태 검지부(43a, 43b)는 불활성화한 원격 상태 신호(ST2a, ST2b)를 검지하면, 검지 신호(S2a, S2b)를 불활성으로 한다. 상태 제어부(41)는 불활성의 검지 신호(S2a, S2b)에 응답하여 국부 상태 생성부(42a, 42b)에 대한 제어 신호(S1a, S1b)를 불활성화한다.
국부 상태 생성부(42a, 42b)는 불활성화한 제어 신호(S1a, S1b)에 응답하여 불활성이 된다. 이것에 의해 국부 상태 신호(ST1a, ST1b)는 불활성이 된다. 이렇게 해서, 상태 제어부(41)는 불활성의 원격 상태 신호(ST2a, ST2b)를 검지한 검지 신호(S2a, S2b)에 기초하여 국부 상태 신호(ST1a, ST1b)를 불활성화한다.
또, 상기 상태 제어부(41)는 활성화한 검지 신호(S2a, S2b)에 기초하여 신호(S3)를 활성화시키고, 그 신호(S3)를 데이터 전송 회로부(44)로 출력한다. 이 신호(S3)는 CPU(11b)가 네트워크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것은 원격 상태 신호(ST2a, ST2b)가 검지되었을 때에는 기기가 접속 원격으로서 접속되어 활성화한 상태이다. 이것에 의해, 호스트 장치인 개인용 컴퓨터(11)와 접속 원격의 기기로 네트워크가 구축되고,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태 제어부(41)는 검지 신호(S2a, S2b)를 신호(S3)로서 출력하여도 좋다.
상태 제어부(41)에는 데이터 전송 회로부(44)가 접속된다. 데이터 전송 회로부(44)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5a, 45b)에 대응하는 버퍼 회로(44a, 44b), 레지스터(46)를 포함한다. 각 버퍼 회로(44a, 44b)는 드라이버(47)와 수신기(48)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전송 회로부(44)는 호스트 인터페이스(27)에 접속되고, 그 호스트 인터페이스(27)는 호스트 장치로서의 개인용 컴퓨터(11)에 구비된 CPU(11b)에 접속된다. 또한, 데이터 전송 회로부(44)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5a, 45b)에 접속되고, 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5a, 45b)는 원격 장치(도 6의 VTR(31), 프린터(32))에 접속된다.
데이터 전송 회로부(44)는 CPU(11b)로부터 호스트 인터페이스(27)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로써 취급하는 IEEE1394 규격의 데이터로 포맷하여 그 데이터를 드라이버(47)를 통해 출력한다. 이 출력 데이터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5a, 45b)를 통해 원격 장치로 출력된다.
한편, 데이터 전송 회로부(44)는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5a, 45b), 수신기(48)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CPU(11b)가 취급하는 데이터로 포맷하여 그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출력 데이터는 호스트 인터페이스(27)를 통해 CPU(11b)로 출력된다.
데이터 전송 회로부(44)에는 CPU(11b)로부터 전송하는 데이터가 입력될 때, 그 데이터 전송에 앞서 데이터 전송의 개시를 나타내는 신호(S4)가 입력된다. 데이터 전송 회로부(44)는 이 신호(S4)를 상태 제어부(41)로 출력한다.
상태 제어부(41)는 신호(S4)에 기초하여 국부 상태 생성부(42a, 42b)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한 국부 상태 생성부(42a, 42b)는 활성화한 국부 상태 신호(ST1a, ST1b)를 출력한다. 이렇게 해서, 상태 제어부(41)는 호스트 장치인 개인용 컴퓨터(11)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할 때, 국부 상태 신호(ST1a, ST1b)를 활성화한다.
그런데, CPU(11b)가 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할 때, CPU(11b)는 먼저 원격 장치에 대하여 수신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장치는 수신 명령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 회로부(44)는 이 수신 명령에 기초하여 신호(S4)를 상태 제어부(41)로 출력한다. 상태 제어부(41)는 신호(S4)에 응답하여 국부 상태 제어부(41)를 활성화시킨다. 이렇게 해서, 상태 제어부(41)는 호스트 장치인 개인용 컴퓨터(11)가 데이터를 수신할 때, 국부 상태 신호(ST1a, ST1b)를 활성화한다.
데이터 전송 회로부(44)의 레지스터(46)에는 CPU(11b)로부터 상태 데이터가 입력된다. 상태 데이터는 이 접속 장치(33)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이고, CPU(11b)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명령과, 상태 테이터를 데이터 전송 회로부(44)로 출력한다. 데이터 전송 회로부(44)는 입력되는 명령에 응답하여 상태 데이터를 레지스터(46)에 격납한다.
상기와 같은 설정 동작은 접속 기기 사이, 즉 도 6의 개인용 컴퓨터(11)와 VTR(31), 프린터(32)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통상의 데이터의 전송이 행해지지 않을 때 레지스터(46)에 격납될 필요가 있다. 즉, 데이터의 전송 등과 같은 네트워크의 간섭을 무시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데이터 전송 회로부(44)는 이러한 경우에, CPU(11b)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기초하는 신호(S4)를 상태 제어부(41)로 출력한다. 상태 제어부(41)는 이 신호(S4)에 응답하여 국부 상태 신호(ST1a, ST1b)를 불활성화한다.
국부 상태 신호(ST1a, ST1b)는 원격 장치에 원격 상태 신호로서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 원격 장치는 원격 상태 신호가 불활성이기 때문에, 불활성의 국부 상태 신호를 출력한 장치(이 경우는 접속 장치(33))가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되었다고 판단하며, 그 장치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상태 제어부(41)는 네트워크로부터의 간섭을 무시할 때, 국부 상태 신호(ST1a, ST1b)를 불활성으로 한다. 또한, 상태 데이터의 격납 이외에, 네트워크의 간섭을 무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다음에, 상기 접속 장치(33∼35)를 접속 및 분리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의 (a) 내지 (e)는 접속 장치(33∼35)의 동작 설명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각 접속 장치(33∼35)를 구비한 개인용 컴퓨터(11), VTR(31), 프린터(32)를 생략하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활성화한 신호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불활성 상태의 신호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면에는 국부 상태 신호를 「국부」, 원격 상태 신호를 「원격」으로 나타낸다.
현재, 도 9의 (a)에 나타내는 접속 장치(33∼35)는 전원이 투입되어 비접속 상태에 있다. 이 때, 각 장치(33∼35)는 각각 원격 장치의 원격 상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즉 원격 상태 신호가 불활성인 것을 검지한다. 그리고, 그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각 장치(33∼35)는 국부 상태 신호를 불활성의 상태로 유지한다.
다음에,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장치(33∼35)를 접속한다. 이 때, 각 장치(33∼35)는 서로의 원격 상태 신호가 불활성이기 때문에, 이것을 검지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각 장치(33∼35)는 국부 상태 신호를 불활성 상태로 유지한다.
현재, 접속 장치(33)로부터 접속 장치(34, 35)로 데이터를 전송한다.(실제로는 도 1의 개인용 컴퓨터(11)로부터 접속 장치(33, 34)를 통해 VTR(31)로, 또는 개인용 컴퓨터(11)로부터 접속 장치(33∼35)를 통해 프린터(32)로 데이터가 전송됨.)
이 때,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장치(33)는 국부 상태 신호를 활성화한다. 이 국부 상태 신호를 원격 상태 신호로서 수취하는 접속 장치(34)는 원격 상태 신호가 활성화하고 있기 때문에, 국부 상태 신호를 활성화하고, 그 국부 상태 신호를 접속 장치(33, 35)로 출력한다. 접속 장치(33)는 활성화한 국부 상태 신호를 원격 상태 신호로서 수취한다.
접속 장치(34)가 출력하는 국부 상태 신호를 원격 상태 신호로서 수취하는 접속 장치(35)는 원격 상태 신호가 활성화하고 있기 때문에, 국부 상태 신호를 활성화하고, 그 국부 상태 신호를 접속 장치(34)로 출력한다. 접속 장치(34)는 활성화한 국부 상태 신호를 원격 상태 신호로서 수취한다.
이렇게 해서, 접속 장치(33∼35)는 서로 활성화한 원격 상태 신호를 검지한다. 이것에 의해, 접속 장치(33∼35) 사이의 접속이 완료되고, 데이터가 접속 장치(33)로부터 접속 장치(34, 35)로 전송된다. 또한, 접속 장치(34, 35)로부터 접속 장치(33)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도 동일하게 하여 각 장치(33∼35) 사이의 접속이 완료된다.
다음에, 도 9의 (d)에 나타내는 데이터의 전송이 없는 상태에서, 접속 장치(33)는 네트워크로부터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국부 상태 신호를 불활성화한다. 이것에 의해, 접속 장치(33)는 소비전력을 적게 한다.
이 때, 접속 장치(34)는 접속 장치(33)로부터 입력되는 원격 상태 신호의 불활성 상태를 검지한다. 그러나, 접속 장치(34)는 접속 장치(35)로부터 활성화한 원격 상태 신호가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 접속 장치(34)는 국부 상태 신호를 활성 상태로 유지한다.
즉, 접속 장치(33, 34) 사이가 분리되고, 접속 장치(34, 35) 사이는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이렇게 해서, 플러그 앤드 플레이 기능에 의해, 접속 장치(34, 35)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가 재구축된다.
다음에, 접속 장치(33)는 네트워크로부터의 간섭을 무시하는 상태로부터 해제되면, 국부 상태 신호를 활성화한다(도 9의 (e)). 이 국부 상태 신호를 원격 상태 신호로서 수취하는 접속 장치(34)는 원격 상태 신호가 활성화하고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접속된 접속 장치(33)를 인식한다. 이것에 의해, 접속 장치(33∼35) 사이가 다시 접속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해서, 플러그 앤드 플레이 기능에 의해, 접속 장치(33∼35)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가 재구축된다.
이렇게 해서, 접속 장치(33∼35)는 전원을 투입한 상태로 케이블(13)을 접속한 후에 데이터 전송을 개시할 때, 국부 상태 신호를 활성화시켜서 접속을 완료한다. 이것에 의해, 접속 장치(33∼35)는 핫 플러그로 플러그 앤드 플레이를 행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그리고, 접속 장치(33∼35)는 비접속인 경우 및 케이블(13)을 접속한 후에 데이터 전송이 개시될 때까지 동안의 전력소비를 적게 한다.
도 10의 (a) 내지 (e)는 본 실시 형태의 접속 장치(33, 34)와, 종래의 접속 장치(49)를 접속/분리할 때의 동작 설명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도 9와 같이, 활성화한 신호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불활성 상태의 신호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면에는 국부 상태 신호를 「국부」, 원격 상태 신호를 「원격」으로 나타낸다.
현재, 도 10의 (a)에 도시하는 접속 장치(33, 34)와 종래의 접속 장치(이하, 종래 장치라 함)(49)는 전원이 투입되어 비접속 상태에 있다. 이 때, 종래 장치(49)는 항상 활성화한 국부 상태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접속 장치(33, 34)는 원격 장치의 원격 상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즉 원격 상태 신호가 불활성인 것을 검지한다. 그리고, 접속 장치(33, 34)는 그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국부 상태 신호를 불활성 상태로 유지한다.
다음에,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장치(33, 34)와 종래 장치(49)를 접속한다. 그렇게 하면, 접속 장치(34)에는 종래 장치(49)로부터 출력되는 국부 상태 신호가 원격 상태 신호로서 입력된다. 접속 장치(34)는 이 활성화한 원격 상태 신호를 검지하고, 국부 상태 신호를 활성화한다. 종래 장치(49)는 접속 장치(34)로부터 출력되는 국부 상태 신호를 원격 상태 신호로서 수취한다.
또, 접속 장치(33)는 접속 장치(34)로부터 출력되는 활성화한 국부 상태 신호를 원격 상태 신호로서 수취하여 국부 상태 신호를 활성화한다. 접속 장치(34)는 접속 장치(33)로부터 출력되는 국부 상태 신호를 원격 상태 신호로서 수취한다.
이렇게 해서, 접속 장치(33, 34), 종래 장치(49)는 서로 활성화한 원격 상태 신호를 검지함으로써, 원격 장치를 인식한다. 이것에 의해, 각 장치(33, 34, 49) 사이의 접속이 완료하며,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10의 (c)에 도시하는 데이터 전송시에 있어서, 접속 장치(33, 34)와 종래 장치(49)는 각각 네트워크에 접속된 장치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0의 (d)에 도시하는 데이터의 전송이 없는 상태에서, 접속 장치(34)는 네트워크로부터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국부 상태 신호를 불활성화한다. 접속 장치(33)는 접속 장치(34)로부터의 불활성한 국부 상태 신호를 원격 상태 신호로서 수신하고, 그것에 응답하여 국부 상태 신호를 불활성화한다. 이렇게 해서, 접속 장치(33, 34)는 소비전력을 적게 한다.
다음에, 접속 장치(34)는 네트워크로부터의 간섭을 무시하는 상태로부터 해제되면, 국부 상태 신호를 활성화한다(도 10의 (e)). 이 국부 상태 신호를 원격 상태 신호로서 수취하는 접속 장치(33)는 원격 상태 신호가 활성화하고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접속된 접속 장치(34)를 인식한다. 또한, 종래 장치(49)는 접속 장치(34)로부터 활성화한 원격 상태 신호를 수신하여 접속 장치(34)를 인식한다. 이것에 의해, 접속 장치(33, 34), 종래 장치(49) 사이가 다시 접속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해서, 플러그 앤드 플레이 기능에 의해, 접속 장치(33, 34)와 종래 장치(49)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가 재구축된다.
이와 같이, 접속 장치(33, 34)와 종래 장치(49)를 접속 및 분리하는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의 접속 장치(33∼35)를 접속 및 분리하는 경우와 같이, 핫 플러그로 플러그 앤드 플레이를 행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그리고, 접속 장치(33, 34)는 비접속인 경우의 전력소비를 적게 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1) 복수개의 포트를 구비한 케이블 접속 장치(33)에 있어서도, 상태 제어부(41)는 원격 상태 검지부(43a, 43b)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상태 신호(ST2a, ST2b)가 불활성인 경우에 국부 상태 생성부(42a, 42b)를 불활성화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국부 상태 생성부(42a, 42b)의 정도만큼 소비전력이 적어진다.
(2) 상태 제어부(41)는 원격 상태 검지부(43a, 43b)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활성화한 원격 상태 신호(ST2a, ST2b)를 검지한 경우에 국부 상태 생성부(42a, 42b)를 활성화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전원이 켜진 핫 플러그의 상태에서 네트워크에 접속된 원격 장치를 인식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플러그 앤드 플레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은 양태로 변경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태 제어부(41)는 제1, 제2 포트를 동시에 활성화 또는 불활성화하도록 하였지만, 제1, 제2 포트를 독립하여 제어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즉, 상태 제어부(41)는 각 포트에 있어서 활성화한 원격 상태 신호(ST2a, ST2b)를 검지한 경우에, 각각 대응하는 국부 상태 생성부(42a, 42b)를 활성화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한쪽 포트에만 원격 장치를 접속한 경우에, 다른쪽 국부 상태 생성부를 활성화하지 않은 만큼, 소비전력을 낮게 할 수 있다.
○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3개 이상의 포트를 구비한 접속 장치로 구체화하여 실시하여도 좋다.
(제3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3 실시 형태를 도 11, 도 12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제1,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이들의 설명을 일부 생략한다.
도 11은 케이블 접속 제어 장치(이하, 접속 장치라 함)(51, 52)의 블록 회로도를 나타낸다. 이들 접속 장치(51, 52)는 각각 제1 실시 형태의 개인용 컴퓨터(11), 카메라(12)에 구비된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11), 카메라(12)는 저항(R1∼R5), 콘덴서(C1, C2)를 각각 포함한다.
접속 장치(51, 52)는 같은 구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1개의 접속 장치(51)에 대해서 구성을 설명하고, 다른 접속 장치(52)의 그것을 생략한다.
접속 장치(51)는 PLL 회로(21), 상태 제어부(22), 데이터 전송 회로부(53), 국부 상태 생성부(54), 원격 상태 검지부(55), 저항(R6, R7), 기준 전원(E1)을 포함한다.
데이터 전송 회로부(53)는 2조의 차동인 신호선쌍(LA, XLA, LB, XLB)을 갖는다. 제1 신호선쌍(LA, XLA)은 접속 원격의 제2 신호선쌍(LB, XLB)에 접속되고, 접속 원격의 제1 신호선쌍(LA, XLA)은 접속 장치(52)의 제2 신호선쌍(LB, XLB)에 접속된다.
데이터 전송 회로부(53)는 DS 링크 방식에 대응하여 데이터 및 스트로브를 제1 신호선쌍(LA, XLA), 제2 신호선쌍(LB, XLB)의 2쌍을 이용하여 원격 데이터 전송 회로부(53)에 전송한다.
데이터 전송 회로부(53)는 전송하는 데이터, 스트로브에 따라 제1, 제2 신호선쌍(LA, XLA, LB, XLB)에 소정치 이상의 전위차를 부여한다. 상세히 기술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회로부(53)는 전송하는 데이터가 「1」인 경우에 신호선(XLA)의 전위를 신호선(LA)의 전위보다 소정치 낮게 하고, 데이터가 「0」인 경우에 신호선(XLA)의 전위를 신호선(LA)의 전위보다 소정치 높게 한다.
제1 신호선쌍(LA, XLA)에는 국부 상태 생성부(54)의 출력 단자가 저항(R1, R2)을 통해 접속된다. 또한, 국부 상태 생성부(54)의 출력 단자는 콘덴서(C1)를 통해 접지(GND)에 접속된다.
제2 신호선쌍(LB, XLB)에는 저항(R3, R4)의 제1 단자가 각각 접속되고, 저항(R3, R4)의 제2 단자는 공통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그 접속점이 저항(R5)을 통해 접지(GND)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R5)에는 병렬로 콘덴서(C2)가 접속된다.
원격 상태 검지부(55)는 2개의 입력 단자를 갖는 비교기로 이루어진다. 원격 상태 검지부(55)의 제1 입력 단자에는 같은 저항치를 갖는 저항(R6, R7)을 통해 제2 신호선쌍(LB, XLB)이 접속된다.
저항(R1∼R5)은 종단 저항이다. 저항(R1∼R4)은 같은 저항치를 가지며, 저항(R6, R7)은 같은 저항치를 갖는다. 이들 저항(R1∼R7)의 저항치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R6, R7의 저항치≫R1∼R4의 저항치
R5의 저항치≫R1∼R4의 저항치
R6, R7의 저항치>R5의 저항치
구체적인 값의 일예로서, 저항(R1∼R4)은 55 옴(Ω), 저항(R5)은 5 kΩ, 저항(R6, R7)은 7 kΩ의 저항치를 갖는다.
이러한 저항치를 갖는 저항(R1∼R5)에 의해, 제1 신호선쌍(LA, XLA), 제2 신호선쌍(LB, XLB)에 대하여, 도 12에 도시하는 전위차와 소정의 오프셋 전압을 부여한다. 즉, 국부 상태 생성부(54)는 상태 제어부(22)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S1)에 기초하여 활성화 또는 불활성화한다. 그리고, 활성화한 국부 상태 생성부(54)는 제1 신호선쌍(LA, XLA), 제2 신호선쌍(LB, XLB)에 대하여 소정의 전위차와 오프셋 전압을 인가한다.
따라서, 접속 장치(51)에 접속 원격(도 11의 경우는 접속 장치(52))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 제2 신호선쌍(LB, XLB)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는 소정의 오프셋전압을 갖는다. 접속 장치(51)의 원격 상태 검지부(55)는 이 오프셋 전압의 유무에 따라, 활성화된 원격 상태 신호의 유무를 검지하는 셈이다.
즉, 원격 상태 검지부(55)는 저항(R6, R7)에 의해, 제2 신호선쌍(LB, XLB)의 전위의 평균치(평균 전압)를 입력한다. 원격 상태 검지부(55)의 제2 입력 단자에는 기준 전원(E1)으로부터 소정의 기준 전압(Vref)이 입력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상태 검지부(55)는 입력한 평균 전압과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평균 전압이 기준 전압(Vref)보다 높은 경우에, 활성화한 원격 상태 신호를 검지한다. 그리고, 원격 상태 검지부(55)는 그 검지 신호(S2)를 상태 제어부(22)로 출력한다. 상태 제어부(22)는 그 검지 신호(S2)에 기초하여 활성화한 제어 신호(S1)를 출력하며, 국부 상태 생성부(54)를 활성화시킨다.
한편, 원격 상태 검지부(55)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한 평균 전압이 기준 전압(Vref)보다 낮은 경우에, 불활성화한 원격 상태 신호를 검지하고, 그 검지 신호(S2)를 상태 제어부(22)로 출력한다. 상태 제어부(22)는 검지 신호(S2)에 기초하여 불활성화한 제어 신호(S1)를 출력하며, 국부 상태 생성부(54)를 불활성화시킨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1) 차동인 2조의 신호선쌍(LA, XLA, LB, XLB)을 갖는 접속 장치(51)의 국부 상태 생성부(54)는 활성화했을 때 제1 신호선쌍(LA, XLA)에 소정의 오프셋 전압을 인가한다. 원격 상태 검지부(55)는 제2 신호선쌍(LB, XLB)에 오프셋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원격 상태 신호의 유무를 검지하고, 그 검지 신호(S2)를 상태 제어부(22)로 출력한다. 상태 제어부(22)는 활성화한 원격 상태 신호를 검지하지 않은 경우에, 국부 상태 생성부(54)를 불활성화한다. 그 결과, 원격 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원격 장치가 불활성인 때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4 실시 형태를 도 13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제1,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이들의 설명을 일부 생략한다.
도 13은 케이블 접속 제어 장치(이하, 접속 장치라 함)(61)의 블록 회로도를 나타낸다.
접속 장치(61)는 PLL 회로(62), 선택기(63), 상태 제어부(64), 국부 상태 생성부(23), 원격 상태 검지부(24), 데이터 전송 회로부(2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 호스트 인터페이스(27)를 포함한다. PLL 회로(62)에는 호스트 장치로서의 개인용 컴퓨터(11)(도 1)에 구비된 발진기(11a)에서 생성되는 기준 클록 신호(SCK)가 입력된다. PLL 회로(62)는 기준 클록 신호(SCK)에 기초하여 그 기준 클록 신호(SCK)의 주파수보다 높은 소정 주파수를 갖는 클록 신호(CLK)를 생성한다. 그리고, PLL 회로(62)는 생성한 클록 신호(CLK)를 데이터 전송 회로부(25)로 출력한다. 데이터 전송 회로부(25)는 입력되는 클록 신호(CLK)에 기초하는 주기로써 동작한다.
또한, PLL 회로(62)에는 상태 제어부(64)로부터 제어 신호(S5)가 입력된다. PLL 회로(62)는 제어 신호(S5)에 응답하여 활성 또는 불활성이 된다. 활성화한 PLL 회로(62)는 입력되는 기준 클록 신호(SCK)로부터 클록 신호(CLK)를 생성하며, 그 클록 신호(CLK)를 출력한다. 불활성화한 PLL 회로(62)는 클록 신호(CLK)의 출력을 정지한다.
선택기(63)에는 기준 클록 신호(SCK)와, PLL 회로(62)에서 생성되는 클록 신호(CLK)와, 상태 제어부(64)로부터 선택 신호(SL)가 입력되는 선택기(63)는 선택 신호(SL)에 기초하여 기준 클록 신호(SCK)와 클록 신호(CLK)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그 선택 신호를 클록 신호(CK1)로서 상태 제어부(64)로 출력한다.
상태 제어부(64)는 원격 상태 검지부(24)로부터 입력되는 검지 신호(S2)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S1, S5)를 활성화 또는 불활성화한다. 상세히 기술하면, 상태 제어부(64)는 원격 상태 검지부(24)로부터 활성화한 원격 상태 신호(ST2)를 검출한 것을 나타내는 활성화한 검지 신호(S2)에 기초하여 활성화한 제어 신호(S1) 및 제어 신호(S5)를 출력한다. 국부 상태 생성부(23)는 활성화한 상태 제어 신호(S1)에 응답하여 국부 상태 신호(ST1)를 활성화시킨다. PLL 회로(62)는 활성화한 제어 신호(S5)에 응답하여 활성 상태가 되며, 기준 클록 신호(SCK)에 기초하여 생성한 클록 신호(CLK)를 출력한다.
한편, 상태 제어부(64)는 원격 상태 검지부(24)로부터 불활성인 원격 상태 신호(ST2)를 검출한 것을 나타내는 불활성 검지 신호(S2)에 기초하여 불활성인 상태 제어 신호(S1) 및 클록 제어 신호(S5)를 출력한다. 국부 상태 생성부(23)는 불활성화한 상태 제어 신호(S1)에 응답하여 국부 상태 신호(ST1)를 불활성화한 상태 제어 신호(S1)에 응답하여 국부 상태 신호(ST1)를 불활성화한다. PLL 회로(62)는 불활성화한 클록 제어 신호(S5)에 응답하여 불활성 상태가 되며, 클록 신호(CLK)의 출력을 정지한다.
또, 상태 제어부(64)는 검지 신호(S2)에 기초하여 선택 신호(SL)를 선택기(63)로 출력한다. 상세히 기술하면, 상태 제어부(64)는 활성화한 검지 신호(S2)에 응답하여 선택 신호(SL)를 활성화한다. 이 선택 신호(SL)를 받는 선택기(63)는 PLL 회로(62)로부터 입력되는 클록 신호(CLK)를 선택하여 그 선택 신호를 클록 신호(SK1)로서 상태 제어부(64)로 출력한다.
한편, 상태 제어부(64)는 불활성인 검지 신호(S2)에 응답하여 선택 신호(SL)를 불활성화한다. 이 선택 신호(SL)를 받는 선택기(63)는 외부(발진기(11a))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클록 신호(SCK)를 선택하여 그 선택 신호를 클록 신호(CK1)로서 상태 제어부(64)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태 제어부(64)에는 국부 상태 신호(ST1)를 활성화할 때에, PLL 회로(62)에서 생성되는 클록 신호(CLK)가 입력된다. 한편, 상태 제어부(64)에는 국부 상태 신호(ST1)를 불활성화할 때, 기준 클록 신호(SCK)가 입력된다.
이 기준 클록 신호(SCK)의 주파수는 클록 신호(CLK)의 주파수보다 낮다. 따라서, 상태 제어부(64)는 기준 클록 신호(SCK)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이 때의 동작 속도는 클록 신호(CLK)에 기초하는 동작 속도보다 느리다. 따라서, 기준 클록 신호(SCK)로써 동작하는 상태 제어부(64)의 소비전력은 클록 신호(CLK)에 기초하는 그것보다 낮다. 즉, 상태 제어부(64)는 국부 상태 신호(ST1)를 불활성화하여 국부 상태 생성부(23)의 소비전력을 낮게 하는 동시에, 자체의 소비전력을 낮게 한다.
또, 국부 상태 신호(ST1)를 불활성화하는 경우, PLL 회로(62)는 클록 신호(CLK)를 정지한다. 이 때문에, 클록 신호(CLK)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데이터 전송 회로부(25)는 동작을 정지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한 소비전력이 낮아진다.
이들 회로의 불활성 상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활성화한 원격 상태 신호(ST2)가 검출된다. 또는 CPU(11b)로부터 활성화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계속한다. 활성화 신호는 CPU(11b)로부터 호스트 인터페이스(27), 데이터 전송 회로부(25)에 포함되는 패턴을 통해 상태 제어부(64)에 신호(S4)로서 입력된다. 상태 제어부(64)는 이 신호(S4)에 응답하여 국부 상태 생성부(23)와 PLL 회로(62)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선택 신호(SL)에 의해 PLL 회로(62)가 출력하는 클록 신호(CLK)를 클록 신호(CK1)로서 수취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1) 상태 제어부(64)는 원격 상태 검지부(24)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상태 신호(ST2)가 불활성인 경우에, 국부 상태 생성부(23)를 불활성화하는 동시에, PLL 회로(62)를 정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태 제어부(64)는 선택 신호(SL)를 선택기(63)로 출력하여 클록 신호(CLK)보다 주파수가 낮은 기준 클록 신호(SCK)가 입력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상태 제어부(64)는 통상 동작에 비하여 낮은 주파수로 동작하기 때문에, 그만큼 소비전력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은 양태로 변경하여도 좋다.
○ 상기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PLL 회로(62)는 상태 제어부(6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S5)에 응답하여 클록 신호(CLK)의 주파수를 통상 동작으로부터 낮게 하도록 이루어져도 좋다. 즉, 상태 제어부(64)는 국부 상태 생성부(23)를 불활성화하는 경우에 PLL 회로(62)에서 생성되는 클록 신호(CLK)의 주파수를 낮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선택기(63) 및 선택 신호(SL)를 불필요하게 한다.
○ 상기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4의 접속 장치(71)의 상태 제어부(72)는 발진기(73)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클록 신호(SCK)를 분주기(74)를 통해 입력한다. 그리고, 상태 제어부(72)는 국부 상태 생성부(23)를 불활성화할 때, 발진기(73)의 발신을 정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PLL 회로(62)의 동작을 정지할 때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태 제어부(72)는 입력되는 클록 신호의 주파수를 낮게 하도록 발진기(73) 또는 분주기(74)의 분주비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상태 제어부(72)는 통상 동작보다 낮은 주파수로 동작하기 때문에, 그만큼 소비전력이 적어진다.
○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태 제어부(22, 41, 53, 64, 72)는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원격 상태 신호가 불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국부 상태 생성부(23, 42a, 42b, 54)를 활성화한 후, 원격 상태 신호(ST2, ST2a, ST2b)가 활성화하지 않을 때에 국부 상태 생성부(23, 42a, 42b, 54)를 불활성화하도록 하여도 좋다.
○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태 제어부(22, 41, 53, 64, 72)가 국부 상태 생성부(23, 42a, 42b, 54)를 활성화하는 조건을 증가시켜도 좋다. 예컨대, 구동 전원이 공급될 때에 국부 상태 생성부(23, 42a, 42b, 54)를 활성화시키도록 한다.
즉,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태 제어부(22)는 접속 장치(14)의 구동 전원, 즉 개인용 컴퓨터(11)의 전원이 켜지면, 제어 신호(S1)를 활성화하도록 하여도 좋다. 국부 상태 생성부(23)는 활성화한 제어 신호(S1)에 응답하여 활성화하고, 활성화한 국부 상태 신호(ST1)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를 통해 출력한다.
동일하게,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태 제어부(41)는 접속 장치(33∼35)의 구동 전원, 즉 개인용 컴퓨터(11)의 전원이 켜지면, 제어 신호(S1a, S1b)를 활성화하도록 하여도 좋다. 국부 상태 생성부(42a, 42b)는 활성화한 제어 신호(S1a, S1b)에 응답하여 활성화하고, 활성화한 국부 상태 신호(ST1a, ST1b)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5a, 45b)를 통해 출력한다.
동일하게, 제4 실시 형태(다른 형태)에 있어서, 상태 제어부(64(72))는 접속 장치(61(71))의 구동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 신호(S1)를 활성화하도록 하여도 좋다. 국부 상태 생성부(23)는 활성화한 제어 신호(S1)에 응답하여 활성화하고, 활성화한 국부 상태 신호(ST1)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태 제어부(22)는 접속 장치(51, 52)의 구동 전원, 즉 개인용 컴퓨터(11), 카메라(12)의 전원이 켜지면, 제어 신호(S1)를 활성화하도록 하여도 좋다. 국부 상태 생성부(54)는 활성화한 제어 신호(S1)에 응답하여 활성화하며, 제1 신호선쌍(LA, XLA)에 소정의 오프셋 전압을 부여함으로써 활성화한 국부 상태 신호를 원격 장치로 출력한다.
이상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전력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는 접속 제어 장치 및 접속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9)

  1. 상태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국부 노드와 원격 노드의 네트워크 접속을 확인하는 접속 제어 장치에 있어서,
    국부 노드의 존재를 네트워크내에 통지하기 위한 국부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상태 생성부와;
    원격 노드가 출력하는 원격 상태 신호를 검지하고, 그 검지 결과를 출력하는 상태 검지부와;
    상기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상태 신호가 소실된 경우에 상기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하고, 국부 노드가 네트워크내에 신호를 출력 또는 입력하는 경우 또는 상기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상태 신호가 검지된 경우에 상기 상태 생성부를 활성화하는 상태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제어부는 국부 노드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때에 상기 상태 생성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제어부는 국부 노드의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에 상기 상태 생성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제어부는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상기 원격 상태 신호가 불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상태 생성부를 활성화한 후, 상기 원격 상태 신호가 활성화하지 않을 때에 상기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제어부는 국부 노드와 원격 노드의 접속이 확인된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있어서, 그 네트워크로부터의 간섭을 무시하는 경우에 상기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제어부는 일정 주기 국부 노드가 네트워크내에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고, 원격 노드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이 없을 경우에 상기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제어부는 네트워크의 접속을 절단하려고 할 때, 상기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 제어부에 클록 신호를 공급하는 PLL 회로를 가지며,
    상기 상태 제어부는 상기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할 때에 상기 PLL 회로를 불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클록 신호와 상기 PLL 회로에서 생성되는 상기 클록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상태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클록 신호와 클록 신호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그 선택 신호를 상기 상태 제어부로 출력하는 선택기를 구비하며,
    상기 상태 제어부는 상기 상태 생성부를 활성화할 때에 상기 클록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할 때에 상기 기준 클록 신호가 입력되도록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제어부는 상기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하는 경우에, 상기 기준 클록 신호를 동시에 불활성화하도록 상기 발진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제어부는 상기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하는 경우에, PLL 회로의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제어부는 상기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하는 경우에, 상기 클록 신호의 주파수를 낮추도록 상기 PLL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제어부는 상기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하는 경우에, 상기 기준 클록 신호의 주파수를 낮추도록 상기 발진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제어부는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하는 경우에, 접속된 CPU를 동시에 불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포트의 각각에 상기 상태 생성부와 상태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태 제어부는 1개의 포트의 원격 상태 신호가 활성화한 경우에 다른 포트의 국부 상태 신호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포트의 각각에 상기 상태 생성부와 상태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태 제어부는 1개의 포트의 원격 상태 신호가 활성화하여도, 다른 포트는 그 원격 상태 신호가 검지되지 않는 한 불활성화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드라이버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가지며, 상기 상태 제어부는 상기 상태 생성부를 불활성화하는 경우에, 상기 드라이버 및 수신기를 불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제어부는 상기 상태 생성부를 활성화하는 경우에, 상기 드라이버 및 수신기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19. 상태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국부 노드와 원격 노드의 네트워크 접속을 확인하는 접속 제어 방법에 있어서,
    원격 노드가 출력하는 원격 상태 신호를 검지하고, 그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상태 신호가 소실된 경우에 국부 노드의 존재를 네트워크내에 통지하기 위한 국부 상태 신호를 불활성화하며, 국부 노드가 네트워크내에 신호를 출력 또는 입력하는 경우 또는 상기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상태 신호가 검지된 경우에 상기 국부 상태 신호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KR10-1999-0008715A 1998-08-21 1999-03-16 접속 제어 장치 및 접속 제어 방법 KR100385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35597 1998-08-21
JP23559798A JP4025429B2 (ja) 1998-08-21 1998-08-21 接続制御装置及び接続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836A true KR20000016836A (ko) 2000-03-25
KR100385205B1 KR100385205B1 (ko) 2003-05-27

Family

ID=1698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715A KR100385205B1 (ko) 1998-08-21 1999-03-16 접속 제어 장치 및 접속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77605B1 (ko)
JP (1) JP4025429B2 (ko)
KR (1) KR100385205B1 (ko)
TW (1) TW5084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1738B2 (ja) * 1999-05-12 2005-07-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伝送管理方法
JP3807477B2 (ja) * 1999-10-04 2006-08-0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その通信方法、電子カメラ、並びに通信システム
KR100374353B1 (ko) * 2000-07-06 2003-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니트 이중화 보드의 절체회로
US7912989B2 (en) * 2001-05-16 2011-03-22 Ricoh Company, Ltd. Network interface for decreasing power consumption
JP2003076452A (ja) * 2001-09-05 2003-03-14 Nagano Fujitsu Component Kk コンピュータ切替器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並びにデータ交換用プログラム、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これを組み込んだコンピュータ本体
US6810439B2 (en) * 2003-02-18 2004-10-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to monitor connections to a device
US20040168008A1 (en) * 2003-02-18 2004-08-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gh speed multiple ported bus interface port state identification system
US7480751B2 (en) * 2003-09-08 2009-01-20 Broadcom Corporation Serial data interface system and method using a selectively accessed tone pattern generator
US7200764B2 (en) * 2003-12-15 2007-04-03 Inventec Appliances Corporation Current limiting device and a PDA utilizing the current limiting device
US20050165909A1 (en) * 2003-12-19 2005-07-28 Cromer Daryl C.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permitting a server to remotely access asset information of a mobile client
US20060089819A1 (en) * 2004-10-25 2006-04-27 Dubal Scott P Chipset activation
US7381922B2 (en) * 2004-10-27 2008-06-03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a welding system
US8285887B2 (en) * 2008-01-29 2012-10-09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Link state detection system for network cable
WO2011050740A1 (zh) * 2009-10-30 2011-05-05 北京飞天诚信科技有限公司 多卡座读卡器的识别方法及其与主机的通信方法和系统
JP2013058906A (ja) * 2011-09-08 2013-03-28 Denso Corp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9547533B2 (en) * 2012-10-15 2017-01-17 Optum Soft, Inc. Efficient reliable distributed flow-controlled event propagation
US10061629B2 (en) 2015-07-22 2018-08-28 Optumsoft, Inc. Compact binary event log generation
US10682719B2 (en) 2017-01-27 2020-06-16 Lincoln Glob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welding with AC waveform
US11110536B2 (en) 2017-01-27 2021-09-07 Lincoln Glob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welding with AC waveform
US10722967B2 (en) 2017-01-27 2020-07-28 Lincoln Glob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welding with AC waveform
US10744584B2 (en) 2017-01-27 2020-08-18 Lincoln Glob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welding with AC wavefor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7745B2 (ja) 1981-03-11 1983-10-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処理システム
JPS61117629A (ja) 1984-10-23 1986-06-05 Fujitsu Ltd 電源障害時の誤り検出方式
JPH01251148A (ja) 1988-03-31 1989-10-06 Nec Corp コンピュータ周辺装置用インターフェイス保護回路
JPH06164780A (ja) 1992-11-25 1994-06-10 Nec Corp ファクシミリ装置
JP3617105B2 (ja) 1995-02-16 2005-02-02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動作モード制御方法
JP3601205B2 (ja) * 1996-08-26 2004-12-15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動作モード制御方法
US6026494A (en) * 1998-04-21 2000-02-15 Xircom, Inc. Algorithm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an auto-negotiating ethernet trans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08495B (en) 2002-11-01
JP4025429B2 (ja) 2007-12-19
KR100385205B1 (ko) 2003-05-27
JP2000069029A (ja) 2000-03-03
US6477605B1 (en) 2002-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5205B1 (ko) 접속 제어 장치 및 접속 제어 방법
US6363085B1 (en) Universal serial bus repeater
US6516205B1 (en) Portable terminal with bus manager switching function
US5553250A (en) Bus terminating circuit
JP3610424B2 (ja) 電子機器及びインタフェース回路
EP1248203B1 (en) Universal serial bus circuit to detect connection status
US20050185665A1 (en) Management method for a bidirectional and simultaneous exchange of digital signals and a corresponding interface for a bidirectional and simultaneous communication
US6920569B1 (en) Device configured as stand-alone or slave based on detection of power supply in a powered data bus system
US5404545A (en) Interface isolation and selection circuit for a local area network
KR100373617B1 (ko) 전자기기및그동작모드제어방법
JP2001016532A (ja) 信号入出力装置
WO2019069785A1 (ja) 中継装置、受信装置、及びそれらを用いた伝送システム
US20210104889A1 (en) Hot swapping protection device for power over ethernet and method thereof
US6463496B1 (en) Interface for an I2C bus
JP3987163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
KR100239119B1 (ko) 피씨와 통신하는 모니터
JPH0884154A (ja) バスラインシステム
KR20010101532A (ko) 인터페이스
JP2001306413A (ja) Usb通信デバイス
JP2510221B2 (ja) ネットワ―クのノ―ドアドレス設定方式
JP2004128629A (ja) 信号伝送回路
CN117539811A (zh) 通讯接口、传输线材、功能模组、电子设备及控制方法
KR100260887B1 (ko) 디바이스 베이 제어기능을 갖는 유에스비 허브 시스템
JP2583238Y2 (ja) 有線/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2002175221A (ja) 信号処理回路及び信号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