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4965U -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965U
KR20000014965U KR2019980028344U KR19980028344U KR20000014965U KR 20000014965 U KR20000014965 U KR 20000014965U KR 2019980028344 U KR2019980028344 U KR 2019980028344U KR 19980028344 U KR19980028344 U KR 19980028344U KR 20000014965 U KR20000014965 U KR 200000149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discharge
diaphragm
chamber
nois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34719Y1 (ko
Inventor
김태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80028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719Y1/ko
Priority to PCT/KR1999/000832 priority patent/WO2000040861A1/en
Priority to CN99803462A priority patent/CN1121555C/zh
Priority to DE69938291T priority patent/DE69938291T2/de
Priority to US09/622,784 priority patent/US6626648B1/en
Priority to EP99962536A priority patent/EP1062427B1/en
Publication of KR200000149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9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7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7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72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1/00Acoustics
    • Y10S181/403Refrigerator compresssor muff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토출소음부(30) 내부의 소음실(31,31')을 구획하는 격막(45)을 소음실커버(37)에 접합을 통해 체결시켜 조립하는 것이다. 즉, 상기 격막(45)이 일체로 부착된 소음실커버(37)를 패킹(35)을 게재한 채 소음실(31)이 형성된 프레임(2) 상에 체결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격막(45)의 가장자리에는 경사부(47)가 형성되어 접합작업시에 용융된 모재(C)가 상기 격막(45)과 소음실커버(37)를 확실하게 체결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의 조립성과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으로 압축된 작동유체의 토출소음을 최소로 저감시키기 위한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팅로드 방식의 밀폐형 압축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부용기(1t)와 하부용기(1b)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1)의 내부에는 밀폐된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공간에는 프레임(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자(4)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크랭크축(5)을 회전시켜 주기 위한 고정자(3)가 고정되어 있고, 이와 같은 프레임(2)은 스프링(2S)에 의해 밀폐용기(1)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크랭크축(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축(5)에는 회전자(4)가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고정자(3)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크랭크축(5)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크랭크축(5)의 상단에는 편심핀(5b)이 상기 크랭크축(5)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편심핀(5b)이 형성된 반대쪽에는 균형추(5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축(5)의 하단에는 하부용기(1b)의 저면에 있는 윤활유(L)를 크랭크축(5)에 형성되어 있는 오일유로(5a)로 빨아 올리기 위한 펌핑기구(5d)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내부에 압축실(6')이 구비된 실린더(6)가 상기 프레임(2)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실(6')에는 피스톤(7)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피스톤(7)은 상기 크랭크축(5)의 편심핀(5b)과 커넥팅로드(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편심핀(5b)은 상기 커넥팅로드(8)의 크랭크축연결부(8a)와 연결되고, 피스톤(7)과 커넥팅로드(8)의 피스톤연결부(8b)는 피스톤핀(7')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6)의 선단에는 상기 압축실(6')로 유입되고 배출되는 작동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9)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어셈블리(9)에는 헤드커버(10)가 장착되어 압축된 후 토출되는 작동유체가 지나가는 토출방(10')(도3참고)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도면부호 12는 작동유체를 밀폐용기(1)의 내부로 전달하는 흡입파이프이고, 13은 압축된 작동유체를 압축기의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파이프이다.
한편 작동유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흡입머플러(11)가 상기 밸브어셈블리(9)를 통해 실린더(6) 내부에 있는 압축실(6')과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압축되어 토출되는 작동유체의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는데, 이는 도 2에서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헤드커버(10)에 의해 형성된 토출방(10')과 연통되게 토출유로(14)가 상기 실린더(6)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의 일측에는 상기 토출유로(14)를 통해 전달된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토출소음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소음부(16)에는 소음부커버(17)가 씌워져 내부에 소음을 위한 소음실(16')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소음부(16)에서 작동유체를 토출시키는 루프파이프(18)가 상기 소음부커버(17)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소음부커버(17)는 상기 토출소음부(16)의 체결보스(16b)에 체결되는 볼트(19)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토출소음부(16) 내부에 소음실(16')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음실(16')을 두 부분으로 구획하여 소음효과를 높이기 위한 격막(21)이 상기 소음실(16')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격막(21)은 그 중앙에 통공(22)이 형성되어 있어 두 부분으로 구획된 소음실(16')을 연통시키고, 상기 통공(22)을 관통해서 상기 볼트(19)가 상기 체결보스(16b)와의 체결되고, 상기 볼트(19)에 의해 체결되는 상기 소음부커버(17)와 함께 프레임(2)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소음실(16')로부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막(21)의 양측과 상기 프레임(2) 및 소음부커버(17) 사이에 패킹(20,20')을 게재시킨다. 그리고, 상기 볼트(19)가 상기 소음부커버(17)를 관통하는 부분에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와셔(19')가 그 사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된 작동유체가 토출되는 것을 설명한다. 압축실(6')의 내부에서 피스톤(7)에 의해 압축된 작동유체가 밸브어셈블리(9)(보다 상세하게는 토출밸브)를 통해 헤드커버(10)의 토출방(10')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6)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토출유로(14)를 통해 상기 소음실(16')로 전달된다. 상기 소음실(16')로 전달된 작동유체는 두 부분으로 구획된 소음실(16')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압력파의 맥동이 저감된 후, 상기 루프파이프(18)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토출소음저감장치에서 상기 소음부커버(17)와 격막(21)을 볼트(19)를 사용하여 체결하는 작업은 그 조립성과 작업성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소음부커버(17)와 격막(21)을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토출소음부(16)에 해당되는 프레임(2) 상에 패킹(20')을 놓고, 상기 패킹(20') 상에 격막(21)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상기 격막(21)상에 또 하나의 패킹(20)을 올려놓은 후, 상기 소음부커버(17)를 안착시켜 볼트(19)로 체결한다.
이때, 상기 소음부커버(17), 패킹(20,20') 및 격막(21)은 가조립조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어서, 상기 볼트(19)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부품들의 설치상태가 쉽게 흐트러지고, 이들이 서로 정확하게 체결되지 않게 되는 등 조립성 및 작업성에 많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토출소음저감장치의 조립성과 작업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밀폐형 압축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토출소음저감장치의 토출소음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밀폐용기 2: 프레임
3: 고정자 4: 회전자
5: 크랭크축 5a: 오일유로
5b: 편심핀 5c: 균형추
5d: 펌핑기구 6: 실린더
6': 압축실 7: 피스톤
8: 커넥팅로드 9: 밸브어셈블리
10: 실린더헤드 11: 흡입머플러
16: 토출소음부 17: 소음부커버
18: 루프파이프 30: 토출소음부
31,31': 소음실 33: 체결보스
35: 패킹 40: 소음실커버
41: 통공 43: 루프파이프
45: 격막 46: 통공
48: 접합부 50: 볼트
52: 와셔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압축되어 토출되는 작동유체의 소음을 저감시켜 배출하는 소음실과, 상기 소음실을 외부와 차폐하는 소음실커버부와, 상기 소음실커버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소음실을 구획하는 구획부재와, 상기 소음실을 외부와 차폐하도록 상기 소음실커버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소음실커버부의 내부에 형성된 단차부에 접합작업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구획부재는 전체적으로 반구형상을 가지고 그 가장자리에는 소정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를 구비하여 접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는 그 구성부품의 개수가 최소화되어 조립성 및 생산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것과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압축기의 프레임(2) 상에 토출소음부(30)가 형성되는데, 상기 프레임(2)의 일측에 소음실(31)이 형성된다. 상기 소음실(31)의 상부는 토출실커버(40)에 의해 외부와 차폐되어 있다. 상기 소음실(31)의 중앙 저면에는 체결보스(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실커버(40)는 대략 반구형상으로서 상기 소음실(31)이 형성된 프레임(2) 상에 패킹(35)을 게재하여 체결된다. 상기 토출실커버(40)의 정점부에는 통공(41)이 형성되어 있어, 아래에서 설명될 볼트(50)가 관통하여 상기 체결보스(32)에 체결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실커버(40)에는 루프파이프(43)가 설치되어 있어 토출소음부(30)로부터 소음이 저감된 작동유체를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토출실커버(40)의 내부에는 상기 소음실(31)을 구획하여 별도의 소음실(31')을 형성하는 격막(4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격막(45)은 그 형상이 상기 토출실커버(40)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가장자리에 경사부(4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격막(45)의 중앙에는 역시 통공(4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소음실(31)에서 작동유체를 소음실(31')로 유동시키는 역할과, 아래에서 설명될 볼트(50)가 관통하여 위치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격막(45)은 그 상기 토출실커버(40)의 내부 하면에 접합작업에 의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실커버(40)는 볼트(50)에 의해 상기 프레임(2)의 체결보스(32)에 체결된다. 상기 볼트(50)의 머리부와 상기 토출실커버(40)의 사이에는 와셔(52)가 게재되어 체결된다.
한편, 상기 접합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도 6을 참고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토출실커버(40)의 내부 하면을 둘러서는 단차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차부(44)에는 상기 격막(45)의 경사부(47)가 안착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단차부(44) 상에 안착된 격막(45)의 경사부(47)상에 접합작업을 위한 모재(C)를 위치시킨 상태로 접합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모재(C)는 용융되면서 상기 경사부(47)의 경사에 의해 상기 단차부(44) 측으로 유동된 후 경화되어 접합부(48)를 형성하여 상기 격막(45)이 상기 토출실커버(40)에 체결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압축실(6')에서 압축된 작동유체는 상기 소음실(31)로 안내되어 소음이 저감되고, 다시 상기 격막(45)의 통공(46)을 통해 상기 소음실(31')로 안내되어 소음이 저감된다. 그리고, 상기 소음실(31')에서 소음이 저감된 작동유체는 상기 루프파이프(43)를 통해 토출소음부(30)를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작동유체의 토출소음을 저감시키는 토출소음부(30)를 조립하는 것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패킹(35)을 상기 소음실(31)이 형성된 프레임(2)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소음실커버(40)를 상기 프레임(2) 상의 제 위치에 올려 놓는다. 그리고, 상기 볼트(50)를 상기 소음실커버(40)의 통공(41)과 격막(45)의 통공(46)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체결보스(32)에 체결하여 조립을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토출소음부(30)의 내부에는 격막(45)에 의해 두 개의 소음실(31,31')이 형성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토출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상기 소음실커버(40)에 격막(45)이 이미 일체로 체결된 상태에서 소음실커버(40)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소음실커버(40)의 조립 시에 상기 소음실(31)이 형성된 프레임(2) 상에 단지 패킹(35) 만을 게재하면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는 토출소음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소음실을 구획하는 격막을 소음실커버에 일체로 체결한 상태로 조립라인에 제공하므로 토출소음저감장치의 조립성과 작업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압축되어 토출되는 작동유체의 소음을 저감시켜 배출하는 소음실과,
    상기 소음실을 외부와 차폐하는 소음실커버부와,
    상기 소음실커버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소음실을 구획하는 구획부재와,
    상기 소음실을 외부와 차폐하도록 상기 소음실커버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소음실커버부의 내부에 형성된 단차부에 접합작업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전체적으로 반구형상을 가지고 그 가장자리에는 소정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를 구비하여 접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
KR2019980028344U 1998-12-31 1998-12-31 밀폐형압축기의토출소음저감장치 KR2002347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344U KR200234719Y1 (ko) 1998-12-31 1998-12-31 밀폐형압축기의토출소음저감장치
PCT/KR1999/000832 WO2000040861A1 (en) 1998-12-31 1999-12-29 Apparatus for noise depreciating in hermetic compressor
CN99803462A CN1121555C (zh) 1998-12-31 1999-12-29 用于密闭式压缩机的降低噪音的装置
DE69938291T DE69938291T2 (de) 1998-12-31 1999-12-29 Vorrichtung zur geräuschdämpfung in hermetisch abgeschlossenen kompressoren
US09/622,784 US6626648B1 (en) 1998-12-31 1999-12-29 Apparatus for noise depreciating in hermetic compressor
EP99962536A EP1062427B1 (en) 1998-12-31 1999-12-29 Apparatus for noise depreciating in hermetic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344U KR200234719Y1 (ko) 1998-12-31 1998-12-31 밀폐형압축기의토출소음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965U true KR20000014965U (ko) 2000-07-25
KR200234719Y1 KR200234719Y1 (ko) 2002-02-28

Family

ID=19544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344U KR200234719Y1 (ko) 1998-12-31 1998-12-31 밀폐형압축기의토출소음저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26648B1 (ko)
EP (1) EP1062427B1 (ko)
KR (1) KR200234719Y1 (ko)
CN (1) CN1121555C (ko)
DE (1) DE69938291T2 (ko)
WO (1) WO20000408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456B1 (ko) * 2000-11-17 2002-12-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741B1 (ko) * 2000-09-28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CN100378328C (zh) * 2003-06-27 2008-04-0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密闭型压缩机的循环管组装结构
US20050106038A1 (en) * 2003-11-14 2005-05-19 Lg Electronics Inc. Compressor
KR100565012B1 (ko) * 2004-07-01 2006-03-3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US20060018778A1 (en) * 2004-07-20 2006-01-26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Hermetic compressor
US7578659B2 (en) * 2005-01-31 2009-08-25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Compressor discharge muffler
US20080044298A1 (en) * 2006-08-15 2008-02-21 Laski Stephen J High pressure pump, frame and housing assembly
BRPI1103736A2 (pt) * 2011-08-02 2013-07-30 Whirlpool Sa cÂmara abafadora de descarga para compressores de refrigeraÇço e processo de fechamento de cÂmara abafadora de descarga
CN104797819A (zh) * 2012-10-05 2015-07-22 阿塞里克股份有限公司 包括排气消声器的封闭式压缩机
KR101492342B1 (ko) * 2013-11-11 2015-02-1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SG10201802579WA (en) * 2018-03-28 2019-10-30 Panasonic Appliances Refrigeration Devices Singapore Hermetic compressor having discharge muffl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801721B1 (de) * 1968-10-08 1970-10-01 Danfoss As Schalldaempfer fuer gekapselte Kaeltemittelverdichter
US3968854A (en) * 1975-03-18 1976-07-13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Low noise level muffler for small engines
US4061444A (en) * 1976-07-30 1977-12-06 Lennox Industries, Inc. Compressor muffling arrangement
IT1172782B (it) * 1983-12-12 1987-06-18 Necchi Spa Silenziatore per motocompressori
JPS61179379A (ja) 1985-01-31 1986-08-12 Kanebo Ltd 柔軟で丸味感を有するシ−ト材料の製造法
JPS61179379U (ko) * 1985-04-26 1986-11-08
KR870008543U (ko) * 1985-11-30 1987-06-12
KR200141490Y1 (ko) * 1993-04-24 1999-05-15 김광호 압축기의소음감쇠장치
JPH07174072A (ja) * 1993-12-20 1995-07-11 Matsushita Refrig Co Ltd 冷媒圧縮機および冷凍装置
US5496156A (en) * 1994-09-22 1996-03-05 Tecumseh Products Company Suction muffler
KR0156720B1 (ko) * 1995-07-27 1999-03-20 김광호 왕복동형 압축기
KR100222924B1 (ko) * 1996-07-12 2000-01-15 배길성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
BR9604126A (pt) * 1996-08-21 1998-05-26 Brasil Compressores Sa Amortecedor de sucção para compressor hermético
KR19980027501U (ko) * 1996-11-16 1998-08-05 박병재 자동차의 연료탱크 구조
KR100210091B1 (ko) * 1997-03-14 1999-07-15 윤종용 압축기의 소음감쇠장치
KR100269951B1 (ko) * 1997-11-05 2000-10-16 배길성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DE19923734C2 (de) * 1999-05-22 2001-03-29 Danfoss Compressors Gmbh Saugschalldämpfer für einen hermetisch gekapselten Verdich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456B1 (ko) * 2000-11-17 2002-12-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62427A1 (en) 2000-12-27
EP1062427A4 (en) 2004-07-14
CN1121555C (zh) 2003-09-17
CN1292070A (zh) 2001-04-18
EP1062427B1 (en) 2008-03-05
US6626648B1 (en) 2003-09-30
WO2000040861A1 (en) 2000-07-13
KR200234719Y1 (ko) 2002-02-28
DE69938291T2 (de) 2009-03-12
DE69938291D1 (de) 200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4719Y1 (ko) 밀폐형압축기의토출소음저감장치
KR0167365B1 (ko) 피스톤형 압축기
JP4485830B2 (ja) 圧縮器
KR100618223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KR100324525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
KR100476430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기 장착구조
KR100424589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루프파이프 체결구조
KR200336981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
KR100299224B1 (ko) 밀폐형압축기의토출소음저감장치
KR100816833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KR100324524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
KR100565012B1 (ko) 밀폐형 압축기
KR100366455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
KR200184104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구조
KR19990060436A (ko) 밀폐형 압축기의 압력파이프 진동저감장치
KR200184097Y1 (ko) 밀폐형 압축기의 밀폐용기
KR200267900Y1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어셈블리
KR100830233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일체형 흡입머플러
KR200401733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기
KR100593389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조립체
KR200230841Y1 (ko) 압축기의토출머플러
KR20000014959U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
KR100865137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장착구조
KR100301475B1 (ko)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
KR200184074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가스켓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