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841Y1 - 압축기의토출머플러 - Google Patents

압축기의토출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841Y1
KR200230841Y1 KR2019980005104U KR19980005104U KR200230841Y1 KR 200230841 Y1 KR200230841 Y1 KR 200230841Y1 KR 2019980005104 U KR2019980005104 U KR 2019980005104U KR 19980005104 U KR19980005104 U KR 19980005104U KR 200230841 Y1 KR200230841 Y1 KR 2002308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discharge
baffle
cover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1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023U (ko
Inventor
유용규
Original Assignee
이충전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전,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충전
Priority to KR20199800051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84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0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0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8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841Y1/ko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 블록의 토출 머플러 설치부에 볼트 체결되는 반구형의 머플러 커버에는 반구형의 머플러 배플이 용접 결합되며, 머플러 배플와 실린더 블록의 사이에는 환상의 개스킷이 개재되고, 머플러 커버에는 압축된 냉매가 압축기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 라인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여, 토출 머플러의 설치 작업은, 머플러 커버와 일체화된 머플러 배플의 상부에 개스킷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지고, 머플러 커버와 머플러 배플이 용접 결합되어 그 사이에 개스킷을 개재시키지 않아도 내부의 냉매가 그 사이을 통해 누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토출 머플러의 설치를 위한 각 부품의 정렬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개스킷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본 고안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출 머플러의 부품을 감소시킴과 더불어, 조립 작업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한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에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밀폐형 압축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 용기(1)(2)의 내부에 고정자(3)와 회전자(4)로 이루어지는 전동 기구부(5)와, 상기 회전자(4)의 중앙에 압입 고정된 크랭크 샤프트(6)의 회전 동작에 의해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후 토출시키는 압축 기구부(7)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압축 기구부(7)는 냉매의 흡입 공간을 이루는 실린더(8)가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 블록(9)과, 상기 크랭크 샤프트(6)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실린더(8)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피스톤(10)과, 상기 실린더(8)의 단부에 복개 고정되는 실린더 헤드(11)와, 상기 실린더(8)와 실린더 헤드(11)의 사이에 개재되어 냉매를 실린더(8)의 내부로 흡입함과 아울러 압축 냉매를 토출시키는 밸브장치(12)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실린더 헤드(11)의 상부에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흡입머플러(13)가 고정자(3)와 밀착되는 형태로 세워져 고정되며, 그 흡입머플러(13)에는 하부 용기(2)를 관통하여 설치된 흡입튜브(14)가 연결 고정되어 있다.
아울러, 도 2내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냉매의 순환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토출 머플러(20)가 제공된다.
토출 머플러(20)는 반구형 머플러 커버(21)와 반구형 배플(22)로 이루어져 실린더 블록(9)에 형성된 토출 머플러 설치부(15)에 볼트(30) 체결되며, 머플러 커버(21)에는 냉매가 압축기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 라인(40)이 연결되고, 토출 라인(40)에는 토출 튜브(41)가 연결된다.
그리고, 토출 머플러(20)를 통해 토출되는 냉매가 머플러 커버(21)와 머플러 배플(22) 및 실린더 블록(9)과의 사이를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개스킷(23)(24)이 각 부품의 사이에 개재된다.
전술한 토출 머플러(20)가 실린더 블록(9)의 토출 머플러 설치부(15)에 설치되면, 토출 머플러(20)의 내부에는 제 1 및 제 2 토출방(25)(26)이 형성되며, 제 1토출방(25)의 체적이 제 2토출방(26)의 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압축기에 의하면, 압축기가 구동되어 크랭크 샤프트(6)가 회전됨에 따라 피스톤(10)이 실린더(8)내에서 왕복운동하는 것에 의해 냉매의 흡입, 압축 및 토출 과정이 발생된다.
냉매 흡입관(14)을 통해 유입된 냉매는 흡입 머플러(13)를 통해 실린더 헤드(11)의 흡입실(11a)로 유입되고, 계속해서 밸브장치(12)의 냉매 흡입공(미도시)을 통해 실린더(8)의 내부로 흡입되며, 이와 같이 실린더(8) 내부로 흡입된 냉매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10)에 의해 압축된다.
이어서, 실린더(8) 내부에서 압축된 냉매는 밸브장치(12)의 냉매 토출공(미도시)을 통해 토출 밸브(미도시)를 개방시키면서 토출되어 실린더 헤드(11)의 토출실(11b)을 거쳐 토출 머플러(20)로 유입되며, 토출 머플러(20)로 유입된 냉매는 토출 라인(40)과 토출 튜브(41)를 통해 압축기의 외부로 토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에 의하면, 토출 머플러(20)를 구성하는 머플러 커버(21), 머플러 배플(22) 및 개스킷(23)(24)은각각의 단품이기 때문에 실린더 블록(9)에 볼트(30) 체결을 통해 고정시킬 때 각 부품이 움직이게 되어 각 부품이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지 못하게 되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토출 머플러(20)의 결합시 작업자는 머플러 커버(21)상에 개스킷(24), 머플러 배플(22) 및 개스킷(23)을 순차적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적층시킨 후 볼트(30) 체결되기 전까지 움직이지 않도록 정렬시켜야 하므로 결합 작업이 매우 번거로웠다.
더불어, 머플러 커버(21)와 머플러 배플(22)이 단품이며, 또한, 실린더 블록(9)에 볼트(30) 체결되어도 그 사이에는 틈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사이에 개스킷(24)을 개재시킬 수밖에 없으므로 부품 구입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안출된 것으로, 토출 머플러를 실린더 블록에 볼트 체결하기 위해 수행되는 각 부품의 정렬 작업을 단순화시킴과 아울러, 볼트 체결시 부품이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밀봉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토출 머플러를 구성하는 부품의 사이를 통해 내부의 냉매가 누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부품 감소에 따른 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조립 작업의 공정수를 감소시키려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압축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토출 머플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 1의 우측면도.
도 3은 종래 토출 머플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종래 토출 머플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실린더 블록 15 : 토출 머플러 설치부
20 : 토출 머플러 21 : 머플러 커버
22 : 머플러 배플 24 : 개스킷
24,25 : 토출방 30 : 볼트
40 : 토출 라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실린더 블록의 토출 머플러 설치부에 설치되어 토출 소음을 저감시키는 압추구기의 토출 머플러에 있어서, 반구형의 머플러 커버의 상면 주연부에 반구형의 머플러 배플을 용접 고정하여 하나의 머플러 커버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상기 토출 머플러 설치부의 하면에 개스킷 및 상기 머플러 커버 어셈블리를 순차적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를 상기 머플러 커버 어셈블리의 머플러 커버 및 머플러 배플을 관통하여 토풀 머플러 설치부에 체결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종단면도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토출 머플러(20)는, 반구형의 머플러 커버(21)와 반구형의 머플러 배플(22)로 이루어져 실린더 블록(9)에 형성된 토출 머플러 설치부(15)에 볼트(30) 체결되며, 머플러 커버(21)에는 냉매가 압축기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 라인(40)이 연결된다.
머플러 커버(21)와 머플러 배플(22)은 단품으로 생산된 후 용접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그리고, 머플러 배플(22)과 실린더 블록(9)의 사이를 통해 내부의 냉매가 누출되지 않도록 그 사이에는 개스킷(24)이 개재된다.
토출 머플러(20)를 실린더 블록(9)에 볼트(30) 체결하면 토출 머플러(20)의 내부에는 제 1 및 제 2 토출방(25)(26)이 형성되며, 제 1 토출방(25)의 체적이 제2 토출방(26)의 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토출 머플러(20)를 실린더 블록(9)에 볼트(30) 체결하기 이전에 머플러 커버(21)와 머플러 배플(22)을 용접 결합한다. 용접시 머플러 커버(21)와 머플러 배플(22)의 설정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별도의 지그를 사용한다.
이어서, 머플러 배플(22)의 상면에 개스킷(24)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머플러 커버(21)를 토출 머플러 설치부(15)에 안착시킨 후 볼트(30)를 체결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머플러 커버(21)와 머플러 배플(22)이 용접 결합되어 각 부품 단품으로 제조되어도 그 결합에 의해 각 부품이 일체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머플러 커버(21)와 머플러 배플(22)이 일체화됨에 따라 토출 머플러(20)를 실린더 블록(9)에 볼트 체결하기 이전에 각 부품을 정렬하기 위해서 종래와 같이 머플러 커버의 상부에 단품인 개스킷, 머플러 배플 및 개스킷을 각각 하부에서부터 적층시키지 않고, 머플러 배플(22)의 상면에 하나의 개스킷(24)만을 안착시키면 된다.
그리고, 머플러 커버(21)와 머플러 배플(22)이 용접 결합되어 그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머플러 커버와 머플러 배플의 사이에 개스킷을 개재시키지 않아도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에 의하면, 토출 머플러의 설치 작업이 머플러 커버에 개스킷을 안착시킨 후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완료되므로 작업 공정수가 감소되어 작업 시간 단축은 물론, 작업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내부 냉매의 누출 방지를 위한 개스킷이 두 개에서 하나로 감소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실린더 블록(9)의 토출 머풀러 설치부(15)에 설치되어 토출 소음을 저감시키는 압추구기의 토출 머플러(20)에 있어서,
    반구형의 머플러 커버(21)의 상면 주연부에 반구형의 머플러 배플(22)을 용접 고정하여 하나의 머플러 커버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상기 토출 머플러 설치부(15)의 하면에 개스킷(24) 및 상기 머플러 커버 어셈블리를 순차적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30)를 상기 머플러 커버 어셈블리의 머플러 커버(21) 및 머플러 배플(22)을 관통하여 토풀 머플러 설치부(15)에 체결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토출 머풀러.
KR2019980005104U 1998-04-03 1998-04-03 압축기의토출머플러 KR2002308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104U KR200230841Y1 (ko) 1998-04-03 1998-04-03 압축기의토출머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104U KR200230841Y1 (ko) 1998-04-03 1998-04-03 압축기의토출머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023U KR19990039023U (ko) 1999-11-05
KR200230841Y1 true KR200230841Y1 (ko) 2002-02-28

Family

ID=6950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104U KR200230841Y1 (ko) 1998-04-03 1998-04-03 압축기의토출머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8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023U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2381B2 (en) Cylinder head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US4715790A (en) Compressor having pulsating reducing mechanism
KR100402460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구조
KR100235512B1 (ko) 압축기의 머플러 구조체
KR200234719Y1 (ko) 밀폐형압축기의토출소음저감장치
JPH08200218A (ja) 往復動型圧縮機
JP4485830B2 (ja) 圧縮器
KR200230841Y1 (ko) 압축기의토출머플러
KR100402461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핀 설치구조
KR100480087B1 (ko)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고정구조
KR100682499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구조
KR100565012B1 (ko) 밀폐형 압축기
KR200336981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
KR200148569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 사일렌서 패킹
KR200165729Y1 (ko) 밀폐형 압축기의 진동 방지장치
KR100274621B1 (ko) 압축기의 밸브 장치
KR100190138B1 (ko)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
KR200184104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구조
KR19990034128A (ko) 밀폐형 전동 압축기의 토출배관장치
KR100221139B1 (ko) 밀폐형 압축기용 토출밸브
KR0162481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베어링 체결구조
KR100274618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장치
KR19990031723A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장치
KR100865137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장착구조
KR200163924Y1 (ko) 압축기의 밸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