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074Y1 -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가스켓구조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가스켓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074Y1
KR200184074Y1 KR2019990030286U KR19990030286U KR200184074Y1 KR 200184074 Y1 KR200184074 Y1 KR 200184074Y1 KR 2019990030286 U KR2019990030286 U KR 2019990030286U KR 19990030286 U KR19990030286 U KR 19990030286U KR 200184074 Y1 KR200184074 Y1 KR 200184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lock
suction gasket
valve assembly
suction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준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30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0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0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가스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흡입가스켓(30)은 그 중앙에 보어홀(3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 토출포트(3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블록(6)에 밸브어셈블리(9)의 체결을 위한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체결공(36)이 네 모서리에 각각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어홀(32)의 주변에는 장공(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38)은 그 주변에 상기 실린더블록(6)과 밸브어셈블리(9)의 체결에 의해 작용하는 면압이 집중되도록 하여 누설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가스켓구조{Suction gasket for hermetic compressor}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블록과 밸브어셈블리 사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가스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형 밀폐형 압축기는 크랭크축의 회전을 피스톤의 직선왕복으로 변환하는 방식에 따라 스카치 요크식과 커넥팅 로드식으로 나눌 수 있다. 도 1에는 커넥팅로드 방식의 밀폐형 압축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부용기(1t)와 하부용기(1b)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1)가 구비되고, 상기 밀폐용기(1)의 내부에는 프레임(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에는 고정자(3)가 고정되어 있고, 이와 같은 프레임(2)은 스프링(2S)에 의해 밀폐용기(1)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크랭크축(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축(5)에는 회전자(4)가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고정자(3)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크랭크축(5)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크랭크축(5)의 상단에는 편심핀(5b)이 상기 크랭크축(5)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편심핀(5b)이 형성된 반대쪽에는 균형추(5c)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 5a는 오일(L)을 공급하기 위해 크랭크축(5)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이다.
한편, 내부에 압축실(6')이 구비된 실린더블록(6)이 상기 프레임(2)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실(6')에는 상기 크랭크축(5)의 편심핀(5b)과 커넥팅로드(8)로 연결된 피스톤(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블록(6)의 선단에는 상기 압축실(6)로 유입되고 배출되는 작동유체를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9)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유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소음기(11)가 상기 헤드커버(10)와 연결설치되어 있다.
도면 부호 5d는 오일(L)을 상기 통로(5a)로 흡상시키는 펌핑기구이고, 12는 작동유체를 밀폐용기(1)의 내부로 전달하는 흡입파이프이고, 13은 압축된 작동유체를 압축기의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파이프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 상기 밸브어셈블리(9)와 실린더블록(6)의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흡입가스켓(20)이 개재된다. 상기 흡입가스켓(20)은 상기 밸브어셈블리(9)의 흡입밸브(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실린더블록(6)이 각각 금속재질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서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흡입가스켓(20)에는 그 중앙에 상기 실린더블록(6)에 형성되어 있는 압축실(6')의 선단과 일치하는 보어공(22)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보어공(22)의 일측에는 토출포트(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포트(24)는 상기 압축실(6')에서 압축되어 밸브어셈블리(9)를 통해 토출된 냉매가 헤드커버(10)의 토출방을 지나 외부로 토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흡입가스켓(20)의 네 모서리에는 상기 밸브어셈블리(9)와 상기 헤드커버(10)를 실린더블록(6)에 체결하는 체결볼트(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는 체결공(26)이 각각 천공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흡입가스켓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흡입가스켓(20)은 상기 밸브어셈블리(9)와 헤드커버(10)를 실린더블록(6)에 체결하는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체결력에 의해 면압을 받아 상기 밸브어셈블리(9)와 실린더블록(6) 사이에서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흡입가스켓(20)은 상기 보어공(22)과 토출포트(24) 및 체결공(26)을 제외한 부분 전체에서 면압을 받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흡입가스켓(20)에 작용하는 면압은 누설이 많이 발생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구별없이 동일하게 작용하도록 된다. 따라서 실제로 압축기의 동작중에 냉매의 압력이 많이 작용하는 부분으로 상기 흡입가스켓(20)의 존재에 불구하고 누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밸브어셈블리와 실린더블록 사이를 보다 확실하게 밀봉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밀폐형 압축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가스켓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가스켓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밀폐용기 2: 프레임
3: 고정자 4: 회전자
5: 크랭크축 6: 실린더블록
7: 피스톤 8: 커넥팅로드
9: 밸브어셈블리 10: 헤드커버
11: 소음기 30: 흡입가스켓
32: 보어홀 34: 토출포트
36: 체결공 38: 장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실린더블록과 밸브어셈블리의 사이에 위치되는 가스켓몸체와, 상기 가스켓몸체에 중앙에 형성되어 실린더블록 내부의 압축실과 연통되는 보어홀과, 상기 가스켓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압축되어 토출된 후 외부로 전달되는 냉매의 유로의 일부가 되는 토출포트와, 상기 보어홀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어 그 주변부분의 면압을 증대시키는 면압증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면압증대부는 상기 보어홀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장공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가스켓에 의하면 면압의 크기를 흡입가스켓의 위치에 따라 달리하여 냉매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가스켓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것과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원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흡입가스켓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흡입가스켓(30)은 대략 사각형의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흡입가스켓(30)은 금속과 금속의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이 체결되는 체결력에 의해 압착되어 이들 사이를 통한 누설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금속재질의 실린더블록(6)과 밸브어셈블리(9)의 흡입밸브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어셈블리(9)가 실린더블록(6)에 체결되는 체결력에 의해 압착되어 실린더블록(6)과 밸브어셈블리(9) 사이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흡입가스켓(30)의 중앙에는 상기 실린더블록(6)에 형성되어 있는 압축실(6')의 선단 형상과 동일한 보어홀(32)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실(6')에서 압축된 후 밸브어셈블리(9)를 통해 토출된 후 압축기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토출파이프(13)와 연통되는 유로를 통한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토출포트(24)가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가스켓(30)의 네 모서리에는 밸브어셈블리(9)와 헤드커버(10)를 상기 실린더블록(6)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볼트가 통과하는 체결공(36)이 각각 천공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흡입가스켓(30)의 보어홀(32)의 주변에는 각각 장공(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38)은 상기 보어홀(3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장공(38)은 상기 밸브어셈블리(9)와 실린더블록(6)이 상기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력에 의해 작용하는 면압을 그 주변에 작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장공(38)이 없을 때, 상기 장공(38)의 위치에 작용하던 면압을 장공(38)의 주변에 작용하게 하여, 상기 장공(38)의 주변에 보다 큰 면압이 작용함에 의해 누설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장공(38)의 형성위치는 상기 흡입가스켓(30)중 냉매의 누설이 많이 발생하는 부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어홀(32)과 토출포트(24) 사이에는 장공(38)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가스켓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흡입가스켓(30)은 금속재질은 실린더블록(6)과 밸브어셈블리(9)의 흡입밸브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이 체결되는 체결력에 의해 압착되어 이들 사이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보어홀(32)의 주변은 압축시에 고압이 작용하는 부분으로 상기 고압의 냉매는 상기 흡입가스켓(30)이 없을 경우 금속과 금속이 접촉하게 되는 상기 실린더블록(6)과 밸브어셈블리(9)의 흡입밸브의 사이를 통해 누설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가스켓(30)이 이들 사이에 개재되어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흡입가스켓(30)의 존재에 불구하고, 상기 체결볼트의 체결력이 서로 균일하지 않은 등의 이유에 의해 일측을 통해 누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입가스켓(30)의 보어홀(32)의 주변에 장공(38)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장공(38)의 위치에 작용하여야 할 면압이 그 주변에 작용하게 되면서 상기 장공(38)의 주변에 보다 큰 면압이 작용하면서 그 밀착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장공(38)의 주변에 더욱 큰 면압이 작용함에 의해 누설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가스켓 구조에 따르면, 보어홀의 주변에 다수개의 장공을 형성하여 밸브어셈블리와 실린더블록의 전면 사이의 체결력에 의해 작용하는 면압이 상기 장공의 주변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하여 이들 사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Claims (2)

  1. 실린더블록과 밸브어셈블리의 사이에 위치되는 가스켓몸체와,
    상기 가스켓몸체에 중앙에 형성되어 실린더블록 내부의 압축실과 연통되는 보어홀과,
    상기 가스켓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압축되어 토출된 후 외부로 전달되는 냉매의 유로의 일부가 되는 토출포트와,
    상기 보어홀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어 그 주변부분의 면압을 증대시키는 면압증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가스켓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면압증대부는 상기 보어홀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장공임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가스켓구조.
KR2019990030286U 1999-12-29 1999-12-29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가스켓구조 KR200184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286U KR200184074Y1 (ko) 1999-12-29 1999-12-29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가스켓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286U KR200184074Y1 (ko) 1999-12-29 1999-12-29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가스켓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074Y1 true KR200184074Y1 (ko) 2000-06-01

Family

ID=19604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286U KR200184074Y1 (ko) 1999-12-29 1999-12-29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가스켓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0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65249A (ko)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설치구조 및 그 방법
KR200184074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 가스켓구조
KR101179418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및 이를 사용한 밸브 어셈블리
KR20020045392A (ko)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핀 설치구조
KR200184104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구조
KR200267900Y1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어셈블리
KR100476430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기 장착구조
KR100324526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장착구조
KR20020023517A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조립체
KR100299224B1 (ko) 밀폐형압축기의토출소음저감장치
KR100816833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KR100299217B1 (ko) 밀폐형압축기의압력파이프진동저감장치
KR100299215B1 (ko) 밀폐형압축기의냉매흡입구조
KR100816828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제조방법
KR100324527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및 헤드커버어셈블리
KR200336981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
KR200336980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
KR200221545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밸브용 리테이너구조
KR100424589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루프파이프 체결구조
KR200234712Y1 (ko) 밀폐형압축기의흡입머플러장착구조_
KR100865137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장착구조
KR200267897Y1 (ko) 밀폐형 압축기의 작동유체 흡입장치
KR200184099Y1 (ko) 밀폐형 압축기의 체결볼트
KR100702991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밸브장치
KR200184071Y1 (ko) 밀폐형 압축기의 데드볼륨 저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