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121A - 카메라에 적용된 데이터기록장치와 이를 가진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에 적용된 데이터기록장치와 이를 가진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121A
KR20000012121A KR1019990031463A KR19990031463A KR20000012121A KR 20000012121 A KR20000012121 A KR 20000012121A KR 1019990031463 A KR1019990031463 A KR 1019990031463A KR 19990031463 A KR19990031463 A KR 19990031463A KR 20000012121 A KR20000012121 A KR 20000012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tle
recording
data
typ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3494B1 (ko
Inventor
쯔지모토신이치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20000012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4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e.g. title, time of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 G03B2217/242Details of the marking device
    • G03B2217/244Magnetic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 G03B2217/246Details of the mark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mera Data Copying 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기록매체상의 기록용량을 최소화하면서 각종 타이틀중에서 선택된 소망의 타이틀을 화상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는 카메라는 화상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디바이스와; (i)외부장치와 호환성을 가지고, 복수의 문자로 이루어진 타이틀로서 정의된 수치코드로 이루어진 제 1종류의 타이틀데이터를 화상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제 1기록동작과, (ⅱ) 소정의 문자 규격에 따라 각각이 각 1문자에 대응하도록 정의된 복수개의 문자코드를 조합해서 형성된 제 2종류의 타이틀데이터를 화상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제 2기록동작을 상기 기록디바이스에서 행하는 데이터기록제어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 1종류의 타이틀데이터와 제 2종류의 타이틀데이터는 카메라에 내장된 메모리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Description

카메라에 적용된 데이터기록장치와 이를 가진 카메라{DATA RECORDING APPARATUS ADAPTED FOR CAMERA, AND CAMERA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의 타이틀 등의 데이터를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기록디바이스를 가진 카메라에 적용된 데이터기록장치 및 이러한 데이터기록장치를 가진 카메라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화상의 촬영에 있어서, 화상에 따라서 기록된 화상에 대응하는 타이틀을 가지는 것이 유익하다. 이렇게 기록된 타이틀은 프린트된 화상이나 화면 또는 CRT등에 의한 촬영화상을 감상하는데 유용하다. 이외에도, 이러한 타이틀은 기록된 화상의 기록가치를 향상시킨다. 화상에 따라 타이틀을 기록하는 디바이스를 가진 각종 카메라는 각종 방식으로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 8-292478호에는 복수의 기제작된 타이틀과 각 타이틀의 수치코드를 미리 기억하고 있는 카메라가 개시되어 있다. 이 카메라에서는 선택스위치에 의해 이미 제작된 타이틀중 하나의 선택을 허용하여 사진필름상에 적용가능한 화상에 따라서 기록된 타이틀을 가질 수 있다. 선택된 타이틀은 타이틀에 대응하는 수치코드에서 사진필름에 자기기록된다. 다음에 사진필름에 기록된 수치코드는 사진프린터에 의해서 재생되고 수치코드에 대응하는 타이틀(문자정보)로 변환된다. 그래서, 사진프린터는 사진프린트상에 타이틀을 프린트한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9-22056호에는 기제작된 타이틀 대신에 복수개의 키이를 가진 키보드를 사용해서 소망의 타이틀(이후 임의의 타이틀이라고 함)을 카메라사용자가 제작하도록 구성된 카메라가 개시되어 있다. 이렇게 제작된 임의의 타이틀에 의해서 카메라는 임의의 타이틀을 사진필름상에 1문자당 1바이트를 사용해서 형성된 문자코드로 기록한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8-54678호에는 기제작된 타이틀과 임의의 타이틀을 처리할 수 있는 카메라, 이러한 타이틀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러한 타이틀을 제작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실공평 6-45944호에는 임의의 타이틀을 제작하는 수단과, 특정의 날짜나 시간과 임의의 타이틀을 연관하는 수단과, 시계수단을 가진 카메라가 개시되어 있다. 특정의 날짜나 시간에 도달시에 개시된 카메라의 구성에 따라서 임의의 타이틀은 사진필름상에 인쇄된다. 이런 기술은, 일본국 특개평 8-171134호에도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특개평 6-303522호에는 시계수단을 가지고, 이 시계수단에 의한 시간량의 결과에 적합한 기제작된 타이틀을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메라일체형 비디오테이프리코더(소위 캠코더)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국 특개평 8-292478호에 개시된 카메라는, 사진촬영시에 촬영자가 이미 기억된 기제작의 타이틀중에서 소망의 타이틀을 선택해서 간단한 동작에 의해서 기록된 타이틀을 가지도록 허용한다. 이 카메라의 다른 이점은 이 타이틀이 타이틀에 대응하는 수치코드로 기록되므로 이 타이틀은 비교적 작은 기록스페이스, 즉 비교적 작은 기록용량에서 기록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기록가능한 타이틀은 수치코드와 타이틀사이의 연관에 대해서 사진프린터에 의해 수용가능한 타이틀에 한정된다. 그러므로, 이 카메라의 구성에 따르면 일반적인 타이틀만 기록가능하다.
또한 상기 일본국 특개평 9-22056호에 개시된 카메라는, 임의의 타이틀을 기록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그 카메라에 의하면 개성적인 타이틀을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타이틀을 형성하는 문자는 하나씩 입력되어야 하기 때문에 타이틀입력동작은 간단하지 않고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1바이트가 1문자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전체의 타이틀을 하나 기록하는데는 큰 기록스페이스의 사용이 항상 필요하다.
또한, 상기 일본국 특개평 8-54678호에 개시된 카메라는 소망에 따른 임의의 타이틀과 기제작된 타이틀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그 카메라도 임의의 타이틀 입력시에 촬영자가 복잡한 동작을 행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일본국 실개평 6-64544호와 상기 일본국 특개평 8-171134호에 개시된 카메라의 경우에 특정의 타이틀은 특정기일이나 시간으로 되면 자동적으로 기록된다. 이들 카메라는 타이틀기록의 조작성에서 우수하다. 그러나 임의의 타이틀입력시와 특정기일과 시간의 설정시에, 복잡한 동작을 할 필요가 있다. 이들은, 타이틀이 사진필름상에 광학적으로 프린트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수의 문자로 이루어진 타이틀만 프린트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이들의 단점은 일단 타이틀이 기록되면 타이틀을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회로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내부구성을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표시기의 표시내용을 표시하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자기헤드의 외관 및 내부구성을 각각 표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ROM에 미리 기억된 타이틀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타이틀의 선택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일연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기록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회로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표시기의 표시내용을 표시하는 도면
도 12(a)와 도 12(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ROM내에 미리 기억된 타이틀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타이틀의 선택동작을 표시하는 클로우차트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일연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기록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표시기의 표시내용을 표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ROM내에 미리 기억된 타이틀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타이틀의 설정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마이크로프로세서 11: 타이틀 선택스위치
15: 표시기 18: 자기헤드
19: 자기기록회로 24: 시계회로
51: 타이틀선택스위치 4A: ROM
F: 필름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기록매체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디바이스와, (ⅰ)외부기구와 호환성을 가지고 복수의 문자로 이루어진 타이틀로서 정의된 수치코드로 이루어진 제 1종류의 타이틀 데이터를 화상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제 1기록동작과, (ⅱ) 소정의 문자규격에 따른 각각이 각 1문자에 대응하도록 정의된 문자코드를 복수개 조합해서 형성된 제 2종류의 타이틀데이터를 화상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제 2기록동작을 상기 기록디바이스에서 행하는 데이터기록제어디바이스를 구비한 카메라에 적용된 데이터기록장치 또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구성과 특징은 첨부한 도면과 연관해서 아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이들 도면중에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회로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카메라의 외관을 표시하고, 도 3은 카메라의 내부구성을 표시하고, 도 4는 도 2에 표시된 카메라에 설치된 표시기의 표시 내용을 표시하고, 도 5(a) 및 도 5(b)는 카메라내에 포함된 자기헤드의 내부구조 및 외관을 표시하고, 도 6은 도 1에 표시된 ROM내에 미리 기록된 타이틀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이고, 도 7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에 의해 실행되는 타이틀선택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에 의해 실행되는 일면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에 의해 실행되는 기록동작의 설명을 도와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구성은 우선 도 1내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해서 아래와 같이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도시에서 카메라(1), 촬영렌즈(2), 카메라(1)의 메인스위치(3)를 포함한다. 카메라(1)는 마이크로프로세서(4)를 구비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4)는 ROM(4A)과 RAM(도시생략)을 가진다. 카메라(1)의 모든 동작, 표시 등은 마이크로프로세서(4)내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제어된다. 카메라(1)와 촬영렌즈(2)의 각부 기구는 마이크로프로세서(4)의 지령에 따라서 작동한다.
측광회로(5)는 촬영시에 피사체의 휘도를 검출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4)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셔터제어부(6)는 측광회로(5)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4)에서 주어진 지령에 따라서 촬영시에 셔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측거회로(7)는 촬영시에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검출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4)에 측정된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오토포커스제어부(8)는 측거회로(7)에서의 입력에 의거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4)에서 주어진 지령에 따라서 촬영렌즈(2)의 오토포커스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에는 릴리즈버트(9)이 구비되어 있다. 릴리즈버튼(9)의 제 1스트로크에 의해 스위치SW1이 ON되면, 측광회로(5)의 측광동작과 측거회로(7)의 거리측정동작이 개시된다. 릴리즈버튼(9)의 제 2스트로크에 의해 스위치SW2가 ON되면 셔터제어부(6)는 촬영동작을 행하게 한다. 타이틀기록 ON/OFF스위치(10)는 타이틀이 촬영시에 기록되는가에 대한 지령을 입력하기위해 구비되어 있다. 타이틀선택스위치(11)는 소망의 타이틀을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DATE스위치(12)는 날짜의 기록, 시간의 기록, 비기록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PAR스위치(13)는 소망하는 프린트의 어스팩트비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용어 "PAR"은 "print aspect ratio"의 약자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경우에, 3개의 프린트어스팩트비중 하나를 소망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3개의 프린트어스팩트비는 3:2인 어스펙트비C, 16:9인 어스팩트비H, 3:1인 어스팩트비P를 포함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촬영시에 선택된 타이틀, 날짜 또는 시간 및 PAR에 대한 정보는 사진필름상에 기록되고, 사진프린터에 의해서 후에 재생된다. 사진프린터에서는 타이틀과 날짜나 시간에 대해 재생된 정보에 의거해서 사진프린트의 앞쪽이나 뒤쪽에 타이틀과 날짜나 시간이 프린트된다. 또한, 재생된 PAR정보에 의거해서 사진프린트의 프린트배율과 프린트범위, 용지사이즈를 결정한다.
표시회로(14)는 카메라의 각종상태를 표시하는 표시기(15)를 구동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표시기(15)는 LCD등이고,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의 타이틀기록이 ON상태인지 OFF상태인지를 표시하는 타이틀 ON/OFF표시부(15a), 제 1 및 제 2종의 타이틀이 선택되어 있는지를 표시하는 타이틀종류표시부(15b), 선택된 타이틀의 내용을 표시하는 타이틀표시부(15c), 날짜-시간 기록기능이 ON상태인지 OFF상태인지를 표시하는 날짜-시간 ON/OFF표시부(15d), 날짜-시간 표시부(15e), 선택된 어스팩트비를 표시하는 어스팩트표시부(15f), 필름의 ISO감도를 표시하는 ISO표시부(15g), 섬광기의 발광모드를 표시하는 섬광모드 표시부(15h), 카메라에 필름카트리지가 장전되어 있는 지를 표시하는 카트리지 존부표시부(15i), 프레임카운터표시부(15j)를 포함한다.
카메라는 필름급송모터(16)를 가진다. 급송모터구동회로(17)는 필름급송모터(16)를 구동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자기헤드(18)는 필름F상에 자기기록을 행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자기기록헤드(19)는 기록시에 자기헤드(18)를 구동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압판(20)(도 3참조)은 필름F의 평면성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 카메라본체(도시생략)에 장착되어 있다. 자기헤드(18)는 압판(20)의 입상부(20a),(20b)이 접착됨으로써, 압판(20)상에 장착되어 있다. 패드부재(21)는 플라스틱재료 등으로 이루어져 잇다. 스프링(22)은 패드부재(21)에 부세력을 가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패드부재(21)와 스프링(22)은 자기헤드(18)에 대항해서 자기기록층을 가진 필름F의 베이스면(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은 필름F의 전면)을 푸시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이 푸시작용하에서, 자기헤드(18)와 필름F의 베이스면은 밀착상태로 유지되어 필름F의 급송공정에서 자기기록을 적절하게 실행한다.
도 3에서 T1과 T2는 각각의 촬영프레임 F1,F2,F3... 에 대한 자기헤드(18)의 기록동작에 의해서 필름F의 베이스면에 형성된 2개의 자기트랙을 표시한다.
도 5(a)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자기헤드(18)는 2개의 기록채널 C1,C2을 가진다. 도 5(b)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채널 C1,C2는 코어(18a),(18b), 보빈 (18c),(18d), 보빈(18c),(18d)둘레에 감긴 코일(18e),(18f), 단자(18g),(18h)(도시생략) 또는 (18i),(18j)로 이루어져 있다. 다른 기록내용은 코일(18e),(18f)에 기록전류를 부여해서 채널C1,C2에 의해서 각각 기록될 수 있다.
포토리플렉터 PR1, PR2(도 1 및 도 3참조)은 필름급송량 검출회로(23)에 접속되어 있고, 필름F의 퍼포레이션P의 통과를 검출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포토리플렉터 PR1, PR2의 출력으로부터 필름급송량검출회로(23)에 의해 얻은 검출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4)에 공급된다. 포토리플렉터PR1, PR2는 압판(20)에 형성된 구멍(20c),(20d)을 개재해서 필름F의 퍼포레이션P을 검출한다. 시계회로(24)는 날짜 및 시간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기억회로(25)는 자기헤드(18)에 의해서 필름F에 기록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이제, 필름F를 급송하는 구조배열을 주로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필름급송모터(16)가 제 1방향으로 회전하면, 피니언기어(26)의 회전은 전달기구(도시생략)를 개재해서 전달되어 원웨이(one-way)클러치 등을 개재하여 스풀드라이버(27)를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 권취스풀(28)을 화살표B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스풀드라이버(27)가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풀(29a)을 회전시킨다. 스풀(29a)의 회전에 의해서 필름카트리지(29)내에 설치된 필름F의 선단부를 필름카트리지(29)의 필름출구부(29b)로부터 송출시킨다. 필름F의 선단부가 권취스풀(28)에 도달하면, 필름F은 권취스풀(28)에 의해, 권취되도록 한다. 이때, 스풀드라이버(27)에 의한 필름의 송출동작은 공지의 원웨이 클러치 층의 구성에 의해 그 동력전달이 절단되도록 되어 있다. 필름급송모터(16)는 권취스풀(28)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롤러(30),(31)는 실수없이 권취스풀(28)둘레에 필름F의 선단부가 감기도록 필름F을 안내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필름급송모터(16)가 제 2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풀드라이버(27)는 화살표A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필름F를 되감는다. 도 3에 있어서, (O)는 촬영렌즈(2)의 촬영중심, 즉 카메라의 촬영애퍼추어의 중심을 표시한다.
다음에, 카메라의 ROM(4A)내에 미리 기억된 타이틀의 내용을 도 6을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6은 각 타이틀에 대해서 16진수로 표시된 ROM(4A)상의 어드레스, 타이틀의 종류, 타이틀에 할당된 수치코드, 타이틀의 내용, 그 타이틀을 기록할 때 필요한 기록데이터량을 표시한다.
타이틀은 제 1종의 타이틀과 제 2종의 타이틀로 구분된다. 제 1종의 타이틀에는 각각의 수치코드가 할당되어 있다. 제 1종의 타이틀이 선택되면, 기록매체상에는 대응수치코드가 기록된다. 기록된 수치코드는 이후에 사진프린터, CRT모니터장치 등에 의해서 재생된다. 재생된 수치코드에 대응하는 타이틀은 재생장치에 포함된 변환테이블을 개재해서 원상태로 복원된다. 다음에 타이틀을 예를 들면, 사진프린트의 전면이나 후면에 프린트되거나 CRT모니터상에 표시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 1종의 타이틀은 사진프린터, CRT모니터장치 등의 사진촬영후에 사용된 장치와의 사이에 수치코드에서 호환성을 가진다. 따라서 제 종의 차이틀은 일반적이고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 1종의 타이틀의 이점은 수치코드만을 기록하기 때문에 1바이트만의 기록데이터량이 기록될 수 있다는데 있다.
각각의 제 2종의 타이틀은 ISO464(문자규격의 일예) 등에 따라서 1문자 1바이트의 문자코드에서 문자열로 해서 기록매체상에 기록된다. 기록된 문자코드는 사진프린터, CRT모니터장치 등에 의해 재생된다. 문자열이 복원되어 사진프린터의 표면 혹은 후면으로의 프린트, CRT모니터상에 표시 등이 행해진다. 따라서 제 2종의 타이틀은 개인적인 타이틀의 선택에 적합하다. 1문자기록에는 1바이트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 2종타이틀은 비교적 큰 기록데이터량을 필요로 한다.
다음에, 소망의 타이틀의 선택시에 행하는 동작을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의 스텝S101에서는 타이틀선택스위치(11)가 ON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검사를 행한다. ON이 아니면 동작의 플로우는 개시시로 복귀한다. ON이면 스텝S102로 진행한다. 스텝S102에서는 이전에 설정되거나 최후에 설정된 어드레스에 의한 증가에 의해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다음에 플로우는 스텝S102에서 스텝S103으로 진행한다.
스텝S103에서, 설정된 어드레스가 도 6에 표시된 최종어드레스보다 큰지를 판정하기 위해 검사한다. 크지 않으면, 플로우는 S105로 진행한다. 스텝S105에서는 도 6에 표시된 R0M(4A)의 내용에 따라서 표시기(15)의 표시부(15b),(15c)에서 비교적 증가된 어드레스에서의 타이틀의 내용과 타이틀의 종류를 표시하기 위해 표시를 행한다. 다음에 플로우는 개시시로 복원된다.
어드레스가 최종어드레스보다 큰것이 스텝S103에서 판정되면, 플로우는 스텝S103에서 스텝S104로 진행한다. 스텝S104에서는 선두어드레스"ooh"를 설정하고 플로우는 스텝S105로 진행한다. 스텝S105에서는 선두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타이틀의 종류(이 경우에 "TYPE1")와 타이틀의 내용(이 경우에 "생일")이 표시기 (15)에 의해서 표시되고 플로우는 개시시로 복귀한다.
일단, 타이틀선택스위치(11)가 푸시되면, 선택된 타이틀은 도 6에 표시된 내용에 따라서 하나의 타이틀에서 다른 타이틀로 변경된다.
다음에 카메라에 의해 실행된 일연의 동작은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해서 언급한다.
도 8에 대해서, 카메라의 메인스위치(3)가 ON되면, 동작의 플로우는 스텝S201에서 개시한다. 스텝S201에서는 릴리즈버튼(9)이 제 1스트로크까지 푸시되어 스위치SW1을 ON하는 지를 판정하기 위한 검사를 행한다. ON이 아니면 플로우는 이 스텝에서 대기한다. 스위치SW1이 ON이면, 플로우는 스텝S201에서 스텝202로 진행한다. 스텝S202에서는 측광회로(5)에 의해서 촬영피사체의 측광을 행한다. 다음의 스텝S203에서는 측거회로(7)에 의해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스텝S204에서는 프린트를 얻기 위한 컬러보정과 프린트노출의 결정시에 기준으로 사용가능한 노출데이터를 데이터기억회로(25)에 기억시킨다. 다음에 플로우는 스텝204에서 스텝S205로 진행한다. 상기 언급한 노출데이터는 스텝S202 및 S203에서 얻은 측광치와 측거치로부터 얻어진 정보이다. 따라서, 노출데이터는 섬광기의 발광을 행하는지에 대한 데이터, 피사체의 광도에 대한 데이터, 피사체까지의 거리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다음에 스텝S205에서는 PAR스위치(13)를 사용해서 선택된 프린트어스팩트비 (PAR)의 데이터가 데이터기억회로(25)에 기억된다. 다음에 플로우는 스텝S205에서 스텝S206으로 흐른다. 스텝S206에서는 날짜나 시간의 기록을 위해 제공된 DATE스위치(12)가 ON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검사를 행한다. ON이 아니면 플로우는 스텝S208로 진행한다. ON이면 플로우는, 스텝S207로 진행한다. 스텝S207에서는 DATE스위치(12)에 의해 기록된 기록모드의 데이터(이 경우에는 날짜나 시간)는 데이터기록회로(25)에 기억된다. 다음에 플로우는 스텝S208로 진행한다.
스텝S208에서는 타이틀의 기록을 위해 제공된 타이틀 ON/OFF스위치(10)가 ON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검사를 행한다. ON이 아니면, 플로우는 스텝S212로 진행한다. ON이면 플로우는 스텝S209로 진행한다. 스텝S209에서는 타이틀선택스위치 (11)에 의해 선택된 타이틀이 제 1종류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검사를 행한다. 제 1종류이면, 플로우는 스텝S210으로 진행한다. 스텝S210에서는 선택된 타이틀의 수치코드가 데이터기록회로(25)에 기억된다. 그러면 플로우는 스텝S210에서 스텝S212로 진행한다. 스텝S212에서는 셔터속도, 애퍼추어치, 필름감도치 등을 포함한 각종 촬영데이터를 데이터기억회로(25)에 기억시킨다. 그후 플로우는 스텝S213으로 진행한다.
선택된 타이틀이 스텝S209에서 제 1종류가 아니고, 즉 제 2종류이면, 플로우는 스텝S209에서 스텝S211로 진행한다. 스텝S211에서는 선택된 타이틀의 문자코드가 데이터기억회로(25)에 기억되고, 플로우는 스텝S213으로 진행한다. 이 때, 촬영데이터는 기억되지 않는다. 이것은 각각의 제 2종의 타이틀이 촬영데이터로서 사진필름상에 동일한 영역에 기록되도록 설정되기 때문이고, 제2종의 타이틀이 기록되는 경우에는 타이틀을 기록하기 위한 이영역의 사용은 촬영데이터의 기록보다 우선된다.
스텝S213에서는 릴리즈버튼(9)이 제 2스트로크까지 푸시되어 스위치SW2를 ON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검사를 행한다. ON이 아니면 플로우는 스텝S201로 복귀한다. ON이면, 플로우는 스텝S214로 진행한다. 스텝S214에서는 촬영동작을 아래와 같이 행한다. 우선 오토포커스제어동작이 스텝S203의 결과에 의거해서 오토포커스제어부(8)를 개재해서 촬영렌즈(2)의 구동에 의해서 행해진다. 그후에, 셔터제어부(6)는 구동되어, 스텝S202의 결과에 의거해서 필름F상에 노출동작을 행한다.
다음에 스텝S215에서는 급송모터구동회로(17)가 구동하여 필름의 다음의 촬영프레임의 위치까지 옮기는 필름급송동작을 개시한다. 스텝S216에서는 자기헤드(18)가 자기기록회로(19)를 개재해서 구동하여 데이터기억회로(25)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각종 정보를 필름의 자기기록층에 자기적으로 기록한다. 다음에 플로우는 스텝S217로 진행한다. 스텝S217에서는 필름F이 1프레임량만큼 급송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포토리플렉터 PR1, PR2와 필름급송량검출회로(23)를 개재해서 검사를 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플로우는 1프레임량의 급송완료시까지 대기한다. 필름급송동작의 완료시에 플로우는, 스텝S218로 진행하여 필름급송모터(16)상의 급송모터구동회로(23)의 구동동작을 정지시킨다. 다음에 필름F의 1프레임량만큼 행한 카메라동작을 종료한다.
다음에 도 8의 스텝S216에서 필름F상에 행해진 자기기록상태를 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시는 필름F의 제 1프레임F1, 제 2프레임F2, 제 3프레임F3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필름F은 제 3프레임F3까지 촬영하기 위해 노출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정보는 기록된다.
자기헤드(18)는 촬영동작이 제 2프레임F2에서 종료될 때 위치하는 위치에 도시되어 잇다.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정보는 제 1자기트랙T1, 제 2자기트랙T2로 구분되어 기억된다. 따라서 제 1프레임F1에는 제 1자기트랙T1-1와 제 2자기트랙T2-1이 형성되고, 제 2프레임F2에는 제 1자기트랙T1-2와 제 2자기트랙T2-2이 형성되고, 제 3프레임F3에는 제 1자기트랙T1-3과 제 2자기트랙T2-3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자기트랙T1,T2는 자기헤드(18)의 제 1채널C1과 제 2채널C2에 의해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3프레임F1,F3에 형성된 자기기록의 상세부는 도 9의 확대부에서 각각의 예로서 표시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 1종의 타이틀은 제 1프레임F1을 위해 기록된다. 제 1자기트랙T1에 기록된 자기 정보는 자기정보의 개시를 표시하는 SS(start sentinel)정보(1바이트), 날짜나 시간정보의 ID를 표시하는 ID1정보(1바이트), 실제의 날짜나 시간데이터(5바이트), 어스팩트비정보의 ID를 표시하는 ID2정보(1바이트), 노출데이터의 ID를 표시하는 ID3정보(1바이트), 제 1종의 타이틀의 ID를 표시하는 ID4정보(1바이트), 타이틀에 사용하는 언어(일어, 영어, 독어 등)를 표시하는 언어코드(1바이트), 실제로 선택되고 기록되는 타이틀의 수치코드(1바이트), 자기정보의 종료를 표시하는 ES(end sentinel)정보(1바이트)를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선택된 타이틀이 "Happy Birthday To You"이면 영어를 표시하는 언어코드와 수치코드"1"이 제 1자기트랙T1에 기록된다.
제 2자기트랙T2에 기록된 자기정보는 자기정보의 개시를 표시하는 SS정보(1바이트), 촬영데이터의 ID를 표시하는 ID5정보(1바이트), 실제촬영데이터(10바이트), 자기정보의 종료를 표시하는 ES정보를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제 3프레임F3을 위해 기록된 자기정보의 예의 경우에, 제 2종의 타이틀은, 데 3프레임F3에 기록된다. 제 3프레임F3의 제 1자기트랙T1에 있어서, 자기정보는 제 1프레임F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기록된다. 그러나, 제 1종의 타이틀이 선택되지 않기 때문에, 타이틀의 ID4정보, 언어코드, 수치코드는 제 3프레임F3의 제 1자기트랙T1에 기록되지 않는다. 제 2자기트랙T2에 기록된 자기정보는 자기정보의 개시를 표시하는 SS정보(1바이트), 제 2종의 타이틀의 ID를 표시하는 ID6정보(1바이트), 타이틀에 사용된 언어를 표시하는 언어코드(1바이트), 실제로 선택되고 기록된 타이틀을 표시하기 위해, 1문자당 1바이트를 사용해서 형성된 문자코드열로 표현된 타이틀데이터, 자기정보의 종료를 표시하는 ES(end sentinel)정보(1바이트)를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선택된 타이틀의 "Younger Brother's Birthday"이면, 영어를 표시하는 언어코드나 26바이트의 문자코드가 제 2자기트랙T2에 기록된다.
제 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는 미리 기억된 제 1종 및 제 2종의 타이틀중에서 선택된 소망의 타이틀의 기록을 허용한다. 일반적으로 사용가능한 타이틀을 선택하면, 타이틀은 1바이트의 수치코드에 간단히 기록될 수 있어서, 기록스페이스의 효과적인 이용을 허용한다. 한편, 개인적인(일반적이지 않는)타이틀을 선택하여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실시예의 이점은 카메라사용자가 제 1종 및 제 2종이 타이틀사이의 차이에 주의를 하지 않고서 소망의 타이틀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타이틀의 내용이 표시되기 때문에, 타이틀의 선택은 우수한 조작성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또한, 타이틀의 종류도 표시되기 때문에, 제 2종의 타이틀이 선택되면, 촬영데이터가 기록될 수 없다는 것을 카메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재확인 시킬 수 있다.
제 1실시예는 제 1기록트랙T1에 다른 기본데이터(날짜나 시간데이터, 어스팩트비데이터, 노출데이터)와 함께 1세트인 소량의 기록데이터를 가진 제 1종의 타이틀을 기록하고, 제 2자기트랙에 임시데이터인 촬영데이터 대신에 대량의 기록데이터를 가진 제 2종의 타이틀을 기록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진필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록용량이 제한되는 경우에 제 1실시예는 제한된 기록용량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이들 도면중에서, 도 10은 제 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도 1에 대응하고, 제 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회로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카메라의 모든 부품은 도 1과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따르면, 타이틀선택스위치(51)는 제 1종의 타이틀중에서 소망의 타이틀의 선택시에 사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타이틀선택스위치(52)는 제 2종의 타이틀중에서 소망의 타이틀의 선택시에 사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은 도 10에 표시된 표시기(15)에 의해 행해지는 표시내용을 표시한다. 도 11에 있어서, 도 4에 표시된 것과 동일한 모든 표시부품은 도 4와 마찬가지의 동일부호로 표시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1종의 타이틀 ON/OFF표시부(15K)는 제 1종의 타이틀을 기록하는 기능이 ON상태인지 OFF상태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제 1종의 타이틀 표시부(15l)은 선택된 제 1종의 타이틀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제 2종의 타이틀 ON/OFF표시부(15m)은 제 2종의 타이틀을 기록하는 기능이 ON상태인지, OFF상태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제 2종의 타이틀표시부(15m)는 선택된 제 2종의 타이틀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0의 ROM(4A)에 미리 기억된 타이틀의 내용을 표에 표시한다. 도 12(a)는 제 1종의 타이틀을 표시한다. 도 12(a)의 표에는 제 1종의 타이틀의 각각에 대해서 타이틀에 할당되고 16진수로 표시된 ROM(4A)상에 어드레스, 타이틀에 할당된 수치코드, 타이틀의 내용을 표시한다.
도 12(b)는 제 2종의 타이틀을 표시한다. 도 12(b)의 표에는 제 2종의 타이틀의 각각에 대해서 타이틀의 내용과 어드레스를 표시한다. 도 12(a) 및 도 12(b)의 각각의 표에서 선두어드레스는 "기록없음"으로 할당되어 있다.
제 1종 및 제 2종타이틀의 의미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기록매체상에 제 1종의 타이틀은 수치코드로 기록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제 2종의 타이틀은 문자코드로 기록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소망의 타이틀 선택시에 행해진 동작은 도 1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해서 다음에 설명된다.
도 13의 스텝S301에서는 타이틀선택스위치(51)가 ON인지를 판정하기 위한 검사를 행한다. ON이 아니면 동작의 플로우는 스텝S306으로 진행한다. ON이면, 플로우는 스텝S302로 진행한다. 스텝S302에서는 어드레스가 제 1종의 타이틀에 대해 최종시간에 설정되거나 미리 설정되어진 하나의 어드레스ADRS1에 의한 증가에 의해 설정된다. 다음에 플로우는 스텝S302에서 스텝S303으로 진행한다. 스텝S303에서는 설정된 어드레스가 도 12(a)에 표시된 최종어드레스보다 더 큰가를 판정하기 위한 검사를 행한다. 크지 않으면, 플로우는 스텝S305로 진행한다. 스텝S305에서는 증가된 어드레스의 타이틀내용과 제 1종의 타이틀을 기록하는 기능이 ON상태에 있다는 사실을 표시하기 위해 표시기(15)에서 표시를 행한다. 다음에 플로우는 스텝S306으로 진행한다.
어드레스가 스텝S303에서 최종어드레스보다 큰 것으로 판정되면, 플로우는 스텝S303에서 스텝S304로 진행한다. 스텝S304에서는 선두어드레스 "ooh"가 어드레스ADRS1에 설정되고, 플로우는 스텝S305로 진행한다. 스텝S305에서는 표시기(15)가 아래의 방식으로 표시를 행하게 한다. 이 경우에 선두어드레스가 "기록없음"을 표시하기 때문에 "OFF"가 표시기(15)의 표시부(15k)에 표시되고, 표시부(15l)에는 표시가 되지 않는다.
스텝S306에서는 타이틀선택스위치(52)가 ON인지를 판정하기 위한 검사를 행한다. ON이 아니면 플로우는 개시시로 복귀한다. ON이면 플로우는 스텝S307로 진행한다.
스텝S307에서는 어드레스가 제 2종의 타이틀을 위해 이전이나 최후에 설정된 하나의 어드레스 ADRS2에 의한 증가에 의해서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플로우는 스텝S307에서 스텝S308로 진행한다. 스텝S308에서는 설정된 어드레스가 도 12(b)에 표시된 최종 어드레스보다 더 큰지를 판정하기 위한 검사를 행한다. 크지 않으면, 플로우는 스텝S310으로 진행한다. 스텝S310에서는 표시기(15)가 증가된 어드레스의 타이틀내용과 제 2종의 타이틀을 기록하는 기능이 ON상태에 있다는 사실을 표시하게 한다. 다음에, 플로우는 개시시로 복귀한다.
어드레스가 스텝S308에서 최종어드레스보다 더 큰것으로 판정되면, 플로우는 스텝S309로 진행한다. 스텝S309에서는 도 12(b)에 표시된 선두어드레스"80h"는 어드레스ABRS2에 설정된다. 다음에 플로우는 스텝S310으로 진행하여 표시기(15)가 표시부(15m)에 "OFF"를 표시하고 표시부(15m)에 아무것도 표시하지 않는다.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제 1종의 타이틀중 하나의 선택은 타이틀선택스위치 (51)가 푸시될 때마다 도 12(a)의 내용에 따라서 행해진다.
또한, 이때 2개의 타이틀을, 즉 제 1종의 타이틀중 하나와 제 2종의 타이틀중 다른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동작수순을 도 1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4에 표시된 스텝S201 내지 S207은 도 8의 스텝S201 내지 S207에 표시된 제 1실시예의 작용과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스텝S201 내지 S207을 아래 설명에서 생략한다.
도 14의 스텝S401에서는 제 1종의 타이틀의 기록기능이 타이틀선택스위치 (51)에 의해서 ON되어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검사를 행한다. ON이 아니면 즉,OFF이면, 플로우는 스텝S403으로 진행한다. ON이면 플로우는 스텝S402로 진행한다. 스텝S402에서는 타이틀선택스위치(51)에 의해 선택된 타이틀의 수치코드가 데이터기억회로(25)에 기억된다. 다음에 플로우는 스텝S402에서 스텝S403으로 진행한다.
스텝S403에서 제 2종의 타이틀의 기록기능이 타이틀선택스위치(52)에 의해서 ON되어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검사를 행한다. ON이 아니면 플로우는 스텝S404로 진행한다. ON이면 플로우는 스텝S405로 진행한다. 스텝S404에서는 셔터속도, 애퍼추어치, 필름감도치 등과 같은 각종 촬영데이터가 데이터기억회로(25)에 기억된다. 다음에 플로우는 스텝S404에서 스텝S213으로 진행한다.
플로우가 스텝S403에서 진행한 경우에, 타이틀선택스위치(52)에 의해 선택된 타이틀의 문자코드는 데이터기억회로(25)에 기억되고 플로우는 스텝S213으로 진행한다. 이때 제 2종의 타이틀이 촬영데이터로서 사진필름상의 동일영역에 기록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촬영데이터를 기억하는 스텝S404는 스킵되고, 제 2종의 타이틀중 하나가 기록되는 경우에 타이틀의 기록을 위한 이 영역의 사용이 촬영데이터의 기록보다 우선된다.
스텝S213과 스텝S213이후의 스텝은 도 8을 참조해서 상기 언급한 제 1실시예의 스텝S213 내지 S218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에서 생략한다.
제 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도 9에 대응하는 도 15는 도 14의 스텝S216에서 필름F상에 형성딘 자기기록의 상태를 표시한다.
도 15의 확대상태에서의 예에 의해 표시된 제 1프레임F1에 형성된 자기기록의 상세부는 제 1종의 타이틀이 선택되어 제 1프레임F1에 대해서 기록되는 경우를 표시한다. 그러므로, 제 1프레임F1에 대한 자기정보는 도 9에 표시된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확하게 기록된다.
제 3프레임F3에 대해, 기록된 자기정보의 경우에, 제 1종의 타이틀과 제 2종의 타이틀은 프레임F3에 대해서 기록된다. 제 1자기트랙T1에 기록된 자기정보는 자기정보의 개시를 표시하는 SS(start sentinel)정보(1바이트), 날짜나 시간정보의 ID를 표시하는 ID1정보(1바이트), 실제의 날짜나 시간데이터(5바이트), 어스팩트비정보의 ID를 표시하는 ID2정보(1바이트), 실제의 어스팩트비데이터(1바이트), 노출데이터의 ID를 표시하는 ID3정보(1바이트), 실제 노출데이터(4바이트), 제 1종의 타이틀의 ID를 표시하는 ID4정보(1바이트), 타이틀에 사용된 언어(일어, 영어, 독어 등)를 표시하는 언어코드(1바이트), 실제로 선택되어 기록된 타이틀의 수치코드(1바이트), 자기정보의 종료를 표시하는 ES(end sentinel)정보(1바이트)를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선택된 타이틀이 "Happy Birthday"이면, 영어를 표시하는 언어코드와 수치코드 "2"가 제 1자기트랙T1에 기록된다.
제 2자기트랙T2에 기록된 자기정보는 자기정보의 개시를 표시하는 SS정보(1바이트), 타이틀에 사용된 언어를 표시하는 언어코드(1바이트), 실제로 선택되어 기록된 타이틀데이터, 자기정보의 종료를 표시하는 ES(end sentinel)정보(1바이트)를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선택된 타이틀이 "Younger Brother's Birthday"이면, 영어를 표시하는 언어코드와 26바이트의 문자코드가 제 2자기트랙T2에 기록된다.
제 2실시예는 2개의 타이틀까지 즉 미리기억된 제 1종의 타이틀중에서 선택된 하나와 미리 기억된 제 2종의 타이틀중에서 선택된 다른 하나를 동시에 기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은 제 1실시예보다 나은 제 2실시예의 이점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제 3실시예의 특징은 날짜나 시간이 결정되면 타이틀을 자동적으로 결정하여 기록하는 데 있다. 제 3실시예에 적합한 카메라의 구성은 제 3실시예가 타이틀기록ON/OFF스위치(10)와 타이틀선택스위치(11)가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서 제 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16은 제 3실시예에 따른 표시기(15)에 의해 행해진 표시의 내용을 표시한다. 도 16에 있어서, 도 4에 표시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모든 표시부품은 도 4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 16에는 현재 날짜가 타이틀이 기록되는 날짜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구성된 부분(표시부품)(15o)(15p)이 도시되어 있다. 그렇다고 하면, 부분(15o)에 "YES"를 표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부분(15p)에 "NO"를 표시한다. 타이틀이 기록되는 날짜인 경우에 기록되는 타이틀의 내용은 표시부(15q)에 표시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ROM(14A)에 미리 기억된 타이틀의 내용을 표에 표시한다.
도 17에 있어서, 특정의 날짜는 타이틀과 연관되어 있다. 도 17의 표는 특정의 날짜, 타이틀을 위해 구성되고 16진수로 표시된 ROM(4A)의 어드레스, 타이틀에 할당된 수치코드, 타이틀의 내용, 각 타이틀의 기록시에 필요한 기록데이터량을 포함한다. 어드레스 "ooh"는 미기재된 날짜에 할당되고 이러한 미기재된 날짜에 대해서는 타이틀이 기록되지 않는다.
제 1실시예의 도 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7에 표시된 타이틀은 제 1종의 타이틀과 제 2종의 타이틀로 구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종 타이틀을 특정날짜와 연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드레스 "oFh"는 일본국의 국경일중 하나로서, 최근 제정된 "식목일"에 대한 것이다. 이 특정날짜에 대한 타이틀이 제 1종의 타이틀로서 설정되어 있으면, 사진프린터, CRT모니터장치 등과 호환성을 가지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그 타이틀은 제 2종의 타이틀로서 그 타이틀을 미리 기억해서 이 날짜에 연관시킬 수 있다.
다음에, 기록되는 타이틀을 설정하는 동작은 도 18의 플로우차트를 참고해서 설명한다.
도 18의 스텝S501에서는 시계회로(24)에 의해서 날짜가 갱신(다음 날짜로 되는지)되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검사를 해안다. 갱신되지 않으면 동작플로우는 개시시로 복귀한다. 갱신되면 플로오는 스텝S502로 진행한다. 스텝S502에서는 갱신된 날짜에 상당하는 어드레스가 표 17의 표에 따라서 설정된다. 다음의 스텝S503에서는 설정된 어드레스가 "ooh"(기록없음)인지를 판정하기 위한 검사를 행한다. 그렇다고 하면, 플로우는 스텝S504로 진행한다.
스텝S504에서는 표시회로(14)가 표시기(15)를 구동시켜서 표시부(15o)에는 표시를 하지 않고, 현재 날짜가 타이틀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날짜인 것을 표시하는 표시부(15p)에는 표시를 하고, 표시부(15q)에는 표시를 하지 않는다. 다음에, 플로우는 동작의 메인플로우로 복귀한다.
한편, 설정된 어드레스가 스텝S503에서, 어드레스 "ooh"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플로우는 스텝S505로 진행한다. 스텝S505에서는 표시회로(14)가 표시기 (15)를 구동시켜서 표시부(15o)에는 표시를 행하고, 현재날짜가 타이틀이 기록된 날짜인 것을 표시하는 표시부(15p)에는 표시를 하지 않고 표시부(15q)에는 적용가능한 타이틀의 내용을 표시한다. 다음에 플로우는 동작의 메인플로우로 복귀한다.
상기 언급한 제 3실시예는 타이틀의 기록이 행해지는 가를 자동으로 결정하고, 타이틀기록시에 날짜에 따른 타이틀의 내용을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언급한 타이틀의 기록을 포함한, 제 3실시예의 카메라에 의해 행해지는 동작은 도 8의 플로우차트에 표시된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제 3실시예의 동작은 다음 사항에서 제 1실시예와 다르다.
제 1실시예에서는 도 8의 스텝S208에서 타이틀기록기능이 타이틀기록 ON/OFF스위치(10)에 의해서 ON상태인지, OFF상태인지를 판정하기 위한 검사를 행한다. 그러나 제 3실시예에서는 타이틀기록기능의 ON/OFF상태에 대한 검사는 현재 설정된 어드레스가 어드레스"ooh"인지를 판정해서 행하게 된다.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3실시예는 기록되는 타이틀이 제 1종이면 수치코드를, 타이틀이 제 2종이면 문자코드를 데이터기억회로(25)에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스텝S210 및 S211). 제 2종의 타이틀이 기록되면, 촬영데이터가 기억되지 않으므로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록되지 않는다(스텝S212를 스킵함).
제 3실시예에서 얻는 필름F상의 자기기록상태는 도 9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예를 들면, 촬영날짜가 4월 12일이면 제 1종의 타이틀인 "부활절"이 기록된다. 이 경우에 기록상태는 도 9에 표시된 제 1프레임F1에 대한 기록의 예와 동일하다. 촬영날짜가 4월 29일이면 제 2종의 타이틀인 "식목일"이 기록된다. 이 경우에 기록상태는 도 9에 표시된 제 3프레임F3에 대한 기록의 예와 동일하다.
상기 언급한 제 3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특정 날짜에 적합한 제 1종 또는 제 2종의 타이틀이 미리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최선의 타이틀은 촬영시에 추가 동작없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제 3실시예는 타이틀이 각각의 타이틀기록일에 기록되는 것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카메라 사용자가 타이틀이 기록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타이틀과 각각의 특정일사이의 연관이 카메라사용자에게 명백해지면, 표시기(15)상에 타이틀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15g)(도 16참조)는 표시기의 사이즈와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제 3실시예가 불필요한 타이틀ON/OFF스위치(10)를 구성하고 있는 한, 이러한 구성은 타이틀기록일중 하나에서 촬영시에 적용가능한 타이틀의 기록을 소망하지 않을때, 작동되는 카메라에 포함된 타이틀 ON/OFF스위치를 가지는 것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는 제 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특정날짜와 연관시켜서, 타이틀을 기록하는 기능을 가지고, 제 1또는 제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타이틀을 선택하여 기록하는 기능을 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실시예의 이점은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1) 사진프린터, CRT모니터장치 등의 외부장치와 호환성을 가지고, (수치코드는 타이틀의 내용과 잘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범용적이고 탈개인적인 제 1종의 타이틀뿐만 아니라, 1문자마다 사용된 하나의 문자코드로 기록될 수 있는 제 2종의 타이틀은 ROM등과 같은 기억수단에 기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종의 타이틀과 같은 탈개인적인 타이틀만을 기억하는 종래의 구성과는 다르게, 개인적인 타이틀도 본 발명에 대해서는 기록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다.
2) 이 경우에, 제 1종의 타이틀과 제 2종의 타이틀모두는 각 문장 대해 사용된 문자코드로 기억되지 않지만, 제 1종의 타이틀은 수치코드에 기억되어 기록되어, 필름에 필요한, 기록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3) 제 2종의 타이틀의 경우에 카메라에 외부조작에 의해 제 2종의 타이틀을 각각 입력하는 대신에, 사용빈도수가 높은 최대의 타이틀을 미리 기억시켜서, 카메라의 조작성을 우수하게 한다. 또한, 세계의 각종지역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타이틀을 기록하는 구성은 카메라의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4) 제 1실시예는 제 1종의 타이틀과 제 2종의 타이틀을 종류로 구분하지 않고서,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카메라사용자가 개인적인 타이틀과 탈개인적인 타이틀사이의 차이에 상관없이 소망에 따라 이들 타이틀을 선택하도록 한다.
5) 제 2실시예는 제 1종의 타이틀과 제 2종의 타이틀을 종류로 구분해서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는 제 1종의 타이틀의 선택과 제 2종의 타이틀의 선택을 위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택스위치는 필요에 따라 2개의 타이틀전부를 선택하기 위해(예를 들면, 2개의 타이틀은 서로 연관되어 있다). 제 1종의 타이틀중 하나와 제 2종의 타이틀중 하나를 항상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따.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타이틀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카메라 사용자의 의도와 거의 일치하게 기록될 수 있다.
6) 제 3실시예는 대응 날짜정보(날짜. 시간 등)와 관련해서 제 1종의 정보와 제 2종의 정보 각각을 미리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정날짜중 하나에서 촬영시에는 특정날짜에 연관된 제 1종 또는 제 2종의 타이틀이 자동으로 선택되어 기록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타이틀을 선택하는 수고와 타이틀선택을 잊어버리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외에도, 소망의 타이틀은 각종 다수의 타이틀중에서 기록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7) 또한, 특정날짜에 관련된 제 1종이나 제 2종의 타이틀을 자동으로 기록할 때에 표시는 타이틀기록이 행해지는 것을 표시하도록 한다. 카메라의 조작성은 그 구성에 의해서 더욱 향상된다.
8) 기록되고 선택된 타이틀을 표시하는 기능은 카메라사용자가 타이틀의 기록전에 타이틀의 내용을 인식하도록 한다. 따라서 타이틀은 우수한 조작성으로 기록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실시예에 있어서, 도 6, 도 12(a), 도 12(b), 도 17에 표시된 표의 경우에는 제 1종의 타이틀의 내용이 ROM(4A)내에 기억되어 표시기(15)상에 선택된 타이틀의 내용을 표시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타이틀내용을 기억하지 않고서 타이틀의 수치코드만을 기억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그 경우에 선택된 타이틀의 수치코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타이틀과 수치코드사이의 연관을 예를 들면 카메라의 사용설명서를 참조해서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실시예에는 기록매체로서 하나의 사진필름상에 촬영한 화상을 광학적으로, 타이틀을 자기적으로 기록하도록 구성된 카메라에 대해서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종의 타이틀과 제 2종의 타이틀을 미리 기억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고, 본 발명의 효과는 촬영한 필름을 가지고 전기적이나 자기적으로 기록된 타이틀을 가진 카메라를 구성해서 마찬가지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 카메라에는 제 1종의 타이틀이나 제 2종의 타이틀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타이틀종류선택스위치, 이 타이틀종류선택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제 1종의 타이틀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 1종타이틀선택스위치, 이 타이틀종류선택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제 2종 타이틀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 2종타이틀선택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스위치는 도 10에 표시된 스위치(51),(52)에 상당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각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는 기록매체상의 기록용량을 최소화하고 각종타이틀중에서 선택된 소망의 타이틀을 기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는, 외부장치와 호환성을 가진 범용적인 제 1종의 타이틀중 뿐만 아니라 개성적인 제 2종의 타이틀중에서 소망의 타이틀을 선택하여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는 카메라사용자가 제 1종의 타이틀과 제 2종의 타이틀사이에서 판정할 필요없이 소망의 타이틀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는 제 1종의 타이틀중 하나를 선택하고 제 2종의 타이틀중 하나를 선택해서 복수의 타이틀을 동시에 기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는 타이틀과 특정의 적용가능한 날짜와의 연관에 의거해서 제 1종타이틀이나 제 2종타이틀을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는 기록되는 타이틀의 내용을 카메라사용자가 인식하게 함으로써 우수한 조작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개략적이나 블록형태로 표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카메라분야에서 모두 공지되어 있고, 그 특정구성과 동작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이나 최선의 모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로 고려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언급하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사상과 범위내에 포함된 각종 변형과 동등한 구성을 포함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작용을 포함하기 위해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화상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디바이스와;
    (i) 외부장치와 호환성을 가지고, 복수의 문자로 이루어진 타이틀로서 정의된 수치코드로 이루어진 제 1종류의 타이틀데이터를 화상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제 1기록동작과, (ⅱ) 소정의 문자 규격에 따라 각각이 각 1문자에 대응하도록 정의된 복수개의 문자코드를 조합해서 형성된 제 2종류의 타이틀데이터를 화상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제 2기록동작을 상기 기록디바이스에서 행하는 데이터기록제어디바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에 적용된 데이터기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기록제어디바이스는 이 제 1종류의 타이틀데이터와 이 제 2종류의 타이틀데이터를 미리 기억시키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기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이 제 2종류의 타이틀데이터로서, 이 제 1종류의 타이틀데이터로 규정되지 않은 타이틀에 대응하는 타이틀데이터를 미리 기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기록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기록제어디바이스는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중에서 상기 기록디바이스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기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기록디바이스가 기록하는 데이터로서,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제 1종류의 타이틀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제 2종류의 타이틀데이터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기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제 1종류의 타이틀데이터와 복수의 제 2종류의 타이틀데이터를 미리 기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기록디바이스가 기록하는 데이터로서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제 1종류의 타이틀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제 2종류의 타이틀데이터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기록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제 1종류의 타이틀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기록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기록제어디바이스는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복수의 제 1종류의 타이틀데이터중에서 상기 기록디바이스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기록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제 2종류의 타이틀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기록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기록제어디바이스는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복수의 제 2종류의 타이틀데이터중에서 상기 기록디바이스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기록장치.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계시수단의 계시에 따라서 상기 기록디바이스가 기록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기록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계시수단의 계시가 제 1시간으로 되는 것에 따라서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중에서 소정의 제 1종류의 타이틀데이터를 상기 기록디바이스가 기록하는 데이터로서 선택하고, 상기 계시수단의 계시가 제 2시간으로 되는 것에 따라서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중에서 소정의 제 2종류의 타이틀데이터를 상기 기록디바이스가 기록하는 데이터로서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기록장치.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가 무엇인가를 표시하는 표시디바이스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기록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디바이스는 자기적작용에 의해 데이터기록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기록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디바이스는 제 1종류의 타이틀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화상기록매체의 제 1위치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제 2종류의 타이틀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화상기록매체의 제 1위치와 다른 화상기록매체의 제 2위치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기록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디바이스는 제 1종류의 타이틀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화상기록매체의 제 1기록트랙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제 2종류의 타이틀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화상기록매체의 제 1기록트랙과 다른 화상기록매체의 제 2기록트랙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기록장치.
  17. 화상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디바이스와;
    (i) 외부장치와 호환성을 가지고, 복수의 문자로 이루어진 타이틀로서 정의된 수치코드로 이루어진 제 1종류의 타이틀데이터를 화상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제 1기록동작과, (ⅱ) 소정의 문자 규격에 따라 각각이 각 1문자에 대응하도록 정의된 복수개의 문자코드를 조합해서 형성된 제 2종류의 타이틀데이터를 화상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제 2기록동작을 상기 기록디바이스에서 행하는 데이터기록제어디바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KR1019990031463A 1998-07-31 1999-07-30 카메라에 적용된 데이터기록장치와 이를 가진 카메라 KR100363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229525 1998-07-31
JP10229525A JP2000047317A (ja) 1998-07-31 1998-07-31 カメ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121A true KR20000012121A (ko) 2000-02-25
KR100363494B1 KR100363494B1 (ko) 2002-11-30

Family

ID=1689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463A KR100363494B1 (ko) 1998-07-31 1999-07-30 카메라에 적용된 데이터기록장치와 이를 가진 카메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54618A (ko)
EP (1) EP0977081A3 (ko)
JP (1) JP2000047317A (ko)
KR (1) KR1003634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33400C2 (de) 2001-07-13 2003-08-07 Siemens Ag Kraftstoffbehält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5372A (en) * 1986-10-10 1987-11-10 The Laitram Corporation Camera for recording keyboard entry of data on film edge
JPH04273238A (ja) * 1991-02-28 1992-09-29 Fuji Photo Film Co Ltd 情報入出力システムを搭載したカメラ
US5666186A (en) * 1994-07-20 1997-09-09 Eastman Kodak Company Text interface for still photographic camera with data recording capability
JP3611580B2 (ja) * 1995-04-21 2005-01-19 均 武笠 数字キーのみを用いて総ての文字・記号を入力することが可能な入力装置と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描写装置
JPH0922056A (ja) * 1995-07-07 1997-01-21 Minolta Co Ltd カメラの磁気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77081A3 (en) 2001-03-07
JP2000047317A (ja) 2000-02-18
KR100363494B1 (ko) 2002-11-30
EP0977081A2 (en) 2000-02-02
US6154618A (en) 2000-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2452A (en) Photographic camera system
US5983035A (en) Method of displaying title and camera and camera remote controller
KR100363494B1 (ko) 카메라에 적용된 데이터기록장치와 이를 가진 카메라
US6006042A (en) Photographic camera system
US5416548A (en) Photographic film strip, photographic film cassette containing the same, and camera for use therewith
CN1118719C (zh) 镶有透镜的照相胶片装置及生产这种装置的方法和设备
US5678088A (en) Method for advancing photographic film for interspersing mono and dual images
US5604553A (en) Data recording apparatus
US5742854A (en) Photographic camera
JP3620663B2 (ja) 磁気記録可能なフイルムのデータ保管方法
JP3481206B2 (ja) 写真フィルムカメラ
JP3428740B2 (ja) カメラ
JPH0772782B2 (ja) フイルム巻上げ装置
JPH09222658A (ja) カメラ
JP2000122149A (ja) タイトル表示機能付きカメラ
JPH11231403A (ja) フィルム情報書込装置、フィルム情報読取装置及びフィルム情報取扱装置
JPH09146178A (ja) 磁気記録層を有するフイルムのフイルムビューア
JP2000275722A (ja) カメラ
JPH0882863A (ja) 磁気情報の記録方法
JPH08114844A (ja) カメラ
JPH05173235A (ja) カメラ及びその露光方法
JP2001255582A (ja) 最終露光以外のフィルムに対する複数の書込を有するフィルム露光・電子露光併用のカメラ
JPH05265089A (ja) 写真フィルムカメラ及び写真フィルム
JPH08234293A (ja) データ写し込みカメラ
JP2000137282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及びプリント写真作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