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927A - 녹크식필기구 - Google Patents

녹크식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927A
KR20000011927A KR1019990029994A KR19990029994A KR20000011927A KR 20000011927 A KR20000011927 A KR 20000011927A KR 1019990029994 A KR1019990029994 A KR 1019990029994A KR 19990029994 A KR19990029994 A KR 19990029994A KR 20000011927 A KR20000011927 A KR 20000011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knock
outer cylinder
writing medium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0730B1 (ko
Inventor
가게야마히데헤이
노구치요시오
Original Assignee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윤휘정
주식회사 수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윤휘정, 주식회사 수한 filed Critical 가게야마 도시히코
Publication of KR20000011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7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43K25/028Clips combined with means for propelling, projecting or retracting the wri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Clips For Writ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녹크의 조작성이 좋고, 클립을 사용할때는 자동적으로 필기매체를 퇴몰위치로 되돌릴 수가 있는 녹크식 필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외통(12)내에서 필기매체(20)와 함께 이동하는 걸림부재(26)에 걸림돌기 (26a)가 형성됨과 더불어, 외통(12)에 기단부가 고정시켜진 클립(28)의 기단부 반대쪽 이면에는 앞끝쪽에 걸림부를 가진 걸림돌출부(28b)가 형성되고, 이 걸림돌출부 (28b)에 대응해서 외통(12)에는 안내구멍(12a)이 형성되어 있다. 녹크부재(24)와 일체로 된 녹크바아(25)에는 걸림돌기(26a)에 닿는 캠부(25a)가 형성되어, 이 캠부(25a)가, 상기 걸림돌기(26a)를 걸림돌출부(28b)보다 뒤쪽에서부터 이 걸림돌출부(28b)를 넘어 걸림부까지 이동시키거나 또는 걸림돌기(26a)를 걸림부에서부터 걸림돌출부(28b)를 피해 가로방향 돌출편쪽을 지나 걸림돌출부(28b)보다 뒤쪽까지 이동하도록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녹크식 필기구{Knocking Type Writing Utensil}
본 발명은 볼펜이나 샤프펜슬, 마킹펜과 같은 필기구의 필기매체를 녹크하게 되면, 필기매체의 앞끝이 외통의 앞끝에서 돌출된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성된 녹크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녹크식 필기구는, 외통과 이 외통내에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수납된 필기매체, 이 필기매체를 뒷쪽으로 밀어부치는 스프링, 상기 외통에 기단부가 고정시켜진 클립 및 녹크조작을 할 수 있도록 외통의 뒷끝에서 윗쪽으로 노출시켜진 녹크부재를 구비하고서, 녹크부재를 녹크조작하면 필기매체가 외통내로 퇴몰된 퇴몰위치로부터 필기매체의 앞끝이 외통의 앞끝으로부터 돌출시켜진 전진위치까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녹크식 필기구에서는 사용자가 필기매체를 퇴몰시키는 것을 잊고서 양복주머니 가장자리에다 클립을 꽂아 수납시키면 필기매체에 의해 주머니가 더럽혀진다거나 구멍이 뚫려지는 일이 있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도록 된 녹크식 필기구로서는, 본 출원인이 일본국에 출원하여 일본국 실용신안공보에 실공평 5-25915 및 실공평 6-15735호로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는바, 이들 공보에 기재되어 개시된 녹크식 필기구에서는, 클립이 외통의 뒷끝에서 돌출시켜진 녹크부재와 일체로 되고서 이 클립의 앞끝 이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이 걸림돌기가 외통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필기매체가 전진위치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녹크식 필기구에서는, 클립을 주머니에 꽂기 위해 클립의 앞끝을 외통에서 떨어지게 하면, 걸림돌기와 걸림부재의 걸림상태가 벗겨지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필기매체가 퇴몰해서 주머니를 더럽힌다거나 손상을 입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녹크식 필기구에서는 녹크부재를 녹크하면 클립이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클립을 잡고 있으면 녹크조작을 할 수가 없게 되어 녹크하기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또 퇴몰위치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클립의 양끝을 상하로 요동시켜야만 하며, 녹크부재를 가지고 녹크조작하게 되면 녹크부재를 수납위치로 되돌릴 수가 없기 때문에 전진을 위한 조작과 퇴몰을 위한 조작이 달라져 조작하기가 어렵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녹크조작의 조작성이 좋고, 클립을 사용할때는 자동적으로 필기매체가 퇴몰위치로 되돌려지도록 된 녹크식 필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크식 필기구의 제 1실시예를 필기매체가 전진상태
로 있는 상태에서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크식 필기구의 제 1실시예를 필기매체가 퇴몰상태
로 있는 상태에서 나타낸 종단면도,
도 3a는 제 1실시예의 녹크부재와 걸림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평면
도, 도 3c는 측면도,
도 4a는 제 1실시예의 측면도, 도 4b는 저면도, 도 4c는 도 4a를 화살표 방
향에서 본 도면,
도 5는 제 1실시예에서의 외통의 평면도,
도 6a 내지 도 6f는 각각 제 1실시예에서의 외통의 안내구멍과 걸림돌기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녹크식 필기구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7의 8-8선 단면도,
도 9a는 제 2실시예에서의 걸림부재를 나타낸 측면도, 도 9b는 평면도, 도
9c는 도 9b의 9c-9c선 단면도,
도 10a는 제 2실시예에서의 녹크바아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b는 평면도, 도
10c는 도 10b의 10c-10c선 단면도,
도 11은 제 2실시예에서의 클립의 이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a 내지 도 12f는 제 2실시예에서의 외통의 안내구멍과 걸림돌기와의
동작(좌측) 및 캠받침부와 캠부(우측)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녹크식 필기구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뒷쪽부분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녹크식 필기구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6은 제 4실시예에서의 외통의 안내구멍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제 4실시에에서의 걸림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0, 30, 60, 80 ­­­ 녹크식 필기구,
12, 32, 62, 82 ­­­ 외통,
12a, 32a, 62a, 82a ­­­ 안내구멍,
12b, 32b ­­­ 캠면, 20, 40, 70 ­­­ 필기매체,
22, 42, 72 ­­­ 스프링, 24, 44, 74 ­­­ 녹크부재,
25, 45, 75 ­­­ 녹크바아, 25a, 75a ­­­ 캠부,
25b ­­­ 제1캠면, 25c ­­­제2캠면,
26, 46, 76, 86 ­­­ 걸림부재,
26a, 46a, 76a, 86a ­­­ 걸림돌기,
26c ­­­ 경사면, 28, 48 ­­­ 클립,
28a, 48a ­­­ 기단부, 28b, 48b ­­­ 걸림용 받침 돌기
28c, 48c ­­­ 경사면, 28e, 48e ­­­ 걸림부,
46d, 76d ­­­ 갬받침부, 82d ­­­ 앞끝캠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통과 이 외통내에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수납된 필기매체, 이 필기매체를 뒤쪽으로 밀어부치는 스프링 및 녹크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통의 뒤끝에서 뒤쪽으로 노출시켜진 녹크부재를 갖추어, 이 녹크부재를 녹크조작하면 필기매체가 외통내로 퇴몰시켜진 퇴몰위치와 필기매체의 앞끝이 외통의 앞끝에서 돌출시켜진 전진위치 사이를 왕복이동하도록 된 녹크식 필기구에 있어서,
외통내에는 필기매체의 위치결정을 수행하는 걸림부재가 설치되고서 이 걸림부재에 걸림돌기가 형성됨과 더불어, 외통에 기단부가 고정시켜진 클립의 기단부 반대편 이면에는 앞끝쪽에 걸림부가 갖춰진 걸림돌출부가 형성되고, 이 걸림돌출부와 대응하여 외통에는 안내구멍이 형성되고서 이 안내구멍이 걸림돌출부에 대해 가로방향 돌출편쪽만 걸림돌출부보다 폭이 넓도록 되어 있어서, 이 안내구멍을 통해 걸림돌기가 걸림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필기매체가 전진위치를 유지하게 되는 한편, 걸림돌기가 걸림돌출부에 걸어맞춰지지 않아 걸림돌출부보다 뒤쪽에 위치하게 되면 필기매체인 퇴몰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외통내에는 녹크부재와 일체 또는 녹크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녹크바아가 설치되고서 이 녹크바아에 걸림부재와 걸어맞춰지는 캠부가 형성되어, 이 캠부가 상기 걸림돌기를 걸림돌출부보다 뒤쪽에서 이 걸림돌출부를 넘어 걸림부까지 유도함과 더불어 상기 걸림돌기를 걸림부에서 걸림돌출부를 피해 가로방향돌출편쪽을 지나 걸림돌출부보다 뒤쪽으로 유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녹크부재를 조작하면, 녹크부재와 일체로 또는 녹크부재의 조작과 함께 전진하는 녹크바아의 캠부가 걸림부재에 걸어맞춰져 스프링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걸림돌기를 앞쪽으로 압압하게 되어, 녹크바아의 캠부가 걸림돌기를 클립의 걸림돌출부보다 뒤쪽에서 이 걸림돌출부를 타고넘도록 해서, 걸림돌출부의 앞끝쪽에 갖춰진 걸림부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해서 걸림돌기가 걸림부에 걸어맞춰지면 필기매체가 그 앞끝이 외통의 앞끝보다 더 돌출되어진 전진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필기를 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녹크바아의 캠부가 상기 걸림부재의 상기 걸림돌기에 걸어맞춰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서, 상기 걸림돌기를 걸림돌출부보다도 뒤쪽에서 이 걸림돌출부를 넘어 걸림부까지 유도하는 제1캠면과, 상기 걸림돌기를 걸림돌출부에서 이 걸림돌출부를 피해 가로방향 돌출편쪽을 통해 걸림돌출부보다도 뒤쪽까지 유도하는 제2캠면을 갖도록 되어 있어서, 녹크바아의 캠면의 제1캠면과 제2캠면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가 소정의 행로를 따라 확실하게 유도되기 때문에 오동작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에는 상기 걸림돌기와는 별도로 상기 녹크바아의 캠받침부와 걸어맞춰지는 캠부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렇게 걸림돌기와 별도로 캠받침부가 걸림부재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녹크바아의 캠부에 의한 걸림부재의 유도동작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외통과 이 외통내에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수납시켜진 필기매체, 이 필기매체를 뒤쪽으로 밀어부치는 스프링 및 녹크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통의 측면에서 바깥쪽으로 노출시켜진 녹크부재를 구비하고서, 이 녹크부재의 녹크조작에 따라 필기매체가 전진해서 필기매체가 외통내에 퇴몰시켜진 퇴몰위치와 필기매체의 앞끝이 외통의 앞끝에서 돌출시켜진 전진위치 사이를 왕복이동하도록 된 녹크식 필기구에 있어서,
외통내에는 필기매체와 연결되어 필기매체의 위치결정을 수행하는 걸림부재가 설치되고서 이 걸림부재에 걸림돌기가 형성됨과 더불어, 외통에 기단부가 고정시켜진 클립의 기단부 반대쪽 이면에는 앞끝쪽에 걸림부를 갖춘 걸림돌출부가 형성되고, 이 걸림돌출부에 대응하여 외통에는 안내구멍이 형성되고서 이 안내구멍이 걸림돌출부에 대해 가로방향 돌출편쪽만 걸림돌출부보다 폭이 넓게 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구멍에는 걸림부와 마주보는 앞끝부분에 앞쪽으로 갈수록 점차 걸림돌출부가 없는 쪽을 향해 앞끝캠면이 형성되어,
이 안내구멍을 통해 걸림돌기가 걸림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필기매체가 전진위치를 유지하게 되는 한편, 걸림돌기가 걸림부에 걸어맞춰지지 않게 되면 걸림돌출부보다 뒤쪽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필기매체가 퇴몰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녹크부재를 녹크조작해서 상기 퇴몰위치에 있는 필기매체를 스프링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전진시켜 상기 걸림돌기를 걸림돌출부보다도 뒤쪽에서 걸림돌출부를 넘어 걸림부까지 이동시킴과 더불어 녹크부재를 녹크조작해서 상기 전진위치에 있는 필기매체를 전진시켜 상기 걸림돌기를 걸림부에서 앞끝캠면에다 접촉시켜 걸림돌출부를 피하도록 해서 가로방향 돌출편쪽을 통해 걸림돌출부보다도 뒤쪽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녹크조작을 해서, 퇴몰위치에 있는 필기매체를 스프링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전진시키면, 필기매체에 연결된 걸림부재의 걸림돌기에 클립의 걸림돌출부보다 뒤쪽에서 걸림돌출부를 넘어 이 걸림돌출부의 앞끝쪽에 갖춰진 걸림부까지 이동하게 되어, 걸림돌출부가 걸림부에 걸어맞춰져 필기매체가 그 앞끝의 외통의 앞끝으로부터 돌출시켜진 전진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필기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어 녹크부재를 녹크조작해서 전진위치에 있는 필기매체를 더 전진시키게 되면, 걸림부로부터 앞끝캠면으로 접촉되면서 걸림돌출부를 피해 이 걸림돌출부보다 뒤쪽까지 이동하게 됨으로써 걸림돌기가 걸림부와 걸어맞춰지지 않고서도 걸림돌출부보다 뒤쪽에 위치할 수 있게 되어, 필기매체가 외통내로 퇴몰한 퇴몰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걸림부재에는 걸림돌기를 직경방향 안쪽으로 휘어지도록 하기 위한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서, 걸림돌기가 클립의 걸림돌출부에 닿았을 때 걸림돌기가 직경방향 안쪽으로 휘어져 걸림돌출부를 빠져나가 걸림돌출부 앞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의 저항을 조작자가 녹크부재를 통해 느낄수가 있어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출부의 뒤쪽에는 뒤쪽으로 가면서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한편, 걸림돌기의 꼭대기에는 앞쪽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걸림돌기가 클립의 걸림돌출부에 닿았을 때 이 걸림돌출부의 경사면과 걸림돌기의 경사면이 닿아 미끄럼접촉해서 걸림돌기가 걸림돌출부를 타고 넘을 수가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크식 필기구의 제 1실시예를 종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것을 필기구로 볼펜에다 적용한 예로서, 이에 사용되는 필기매체는 잉크가 수용된 필기매체로 되어 있다.
이 녹크식 필기구(10)는, 뒤쪽외통(14)과 이 뒤쪽외통(14)의 앞끝에 나사결합된 앞쪽외통(16) 및 이 앞쪽외통(16)의 앞끝에 나사결합된 선구(18)로 이루어진 외통(12)을 갖추고서, 이 외통(12)내에는 필기매체(20)가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수납되어져 있다. 또 상기 선구(18)의 내부에 형성된 단차부(18a)와 필기매체(20)에 형성된 스프링받침부(20a) 사이에 스프링(22)이 끼워져 이 스프링 (22)이 필기매체(20)를 항상 뒤쪽으로 밀어부치도록 되어 있다.
필기부재(20)의 뒤끝은 걸림부재(26)에 삽입되어 있어서 필기부재(20)와 함께 걸림부재(26)가 외통(12)내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걸림부재 (26)의 외주면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걸림돌기 (26a)가 형성됨과 더불어, 걸림돌기(26a)의 3방향을 에워싸도록 절결되어 슬릿형태로 된 U자형상구멍(26b)가 형성되어, 이 U자형상구멍(26b)에 의해 걸림돌기(26a)가 직경방향 안쪽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걸림돌기(26a)의 꼭대기는 앞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26c)으로 되어 있다.
걸림부재(26)의 뒤끝은 녹크바아(25)의 내부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는 바, 여기서 상기 녹크바아(25)에는 그 앞끝에 상기 걸림부재(26)의 걸림돌기(26a)에 닿게 되는 캠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캠부(25a)는 앞쪽을 향해 예리한 형상을 하고서 그 양 측면이 제1캠면(26b)와 제2캠면(25c)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녹크바아(25)의 외주면에는 축선방향으로 뻗은 길이방향홈(25d)이 여러개 형성되는 한편, 이에 대응하는 뒤쪽외통(14)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 리브 (14a)가 형성되어, 이들 길이방향홈(25d)과 길이방향리브(14a)가 끼워맞춰짐으로써 녹크바아(25)가 외통(12)에 대해 상대회전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녹크바아(25)의 후단부는 일체적으로 녹크부재(24)를 이루고서 이 녹크부재(24)가 뒤쪽외통(14)에서 뒤쪽으로 돌출되어 바깥쪽으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단, 녹크부재(24)와 녹크바아(25)가 별개체로 되어도 좋다.
외통(12)의 외주부 뒤쪽에는 클립(28)의 기단부(28a)가 끼워지게 되는바, 이 클립(28)의 기단부 반대쪽 이면에는 외통(12)쪽으로 돌출된 걸림돌출부(28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돌출부(28b)의 뒤쪽에는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뒤쪽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28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걸림돌출부(28b)의 앞끝쪽에는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앞쪽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혀지도록 경사진 캠면(28d)이 형성됨과 더불어 앞끝을 향해 개구되어져 상기 걸림돌기(26a)를 수용할 수 있는 걸림부(28e)가 캠면(28d)의 뒤끝에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어져 있다.
외통(12)의 뒤쪽외통(14) 외주면에는 걸림돌출부(28b)에 대응해서 안내구멍 (12a)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안내구멍(12a)은 도 5에 가상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는 것과 같이 걸림돌출부(28b)에 대해 가로방향 돌출편만 걸림돌출부(28b)보다 폭이 넓게 되어 있다. 안내구멍(12a)의 뒤끝에는 뒤쪽으로 갈수록 점차 걸림돌출부 (28b)가 있는 쪽을 향해 폭이 좁혀지는 캠면(12b)이 형성되어, 이 안내구멍(12a)을 상기 걸림부재(26)의 걸림돌기(26a)가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녹크바아 (25)의 캠부(25a)의 앞끝은 걸림부(28e)와 캠면(28d)의 경계선부근을 통과하는 축선방향 선상에 오도록 설정되어 있고(도 6참조), 그 경계선에서 캠면(28d)쪽에는 제1캠면(25b)가, 걸림부(28e)쪽에는 제2캠면(25c)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녹크식 필기구의 작용에 대해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사용하지 않을때는, 필기매체(20)가 스프링(22)에 의해 뒤쪽으로 밀어부쳐져 외통(12)내에 완전히 수납된 퇴몰위치에 있게 된다. 이때 걸림부재(26)의 걸림돌기(26a)가 안내구멍(12a)의 캠면(12b) 최후단에서 안내구멍(12a)에 닿아(도 6a), 걸림부재(26) 및 필기매체(20)가 더 이상 뒤쪽으로 후퇴하지 못하도록 저지하게 된다.
다음, 필기매체(2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녹크부재(24)를 앞쪽으로 녹크조작하면, 녹크바아(25)의 캠부(25a)의 제1캠면(25b)이 걸림돌기(26a)에 닿아 걸림돌기(26a)를 앞쪽으로 밀게 된다(도 6b). 이때 이 걸림돌기(26a)는 클립 (28)의 걸림돌출부(28b)에 닿지만 걸림돌출부(28b)의 경사면(28c)과 걸림돌기(26a)의 경사면(26c)가 닿아 미끄럼접촉하게 되어 걸림돌기(26a)가 휘어지면서 경사면 (28c)을 따라 외통(12)내로 잠입해 들어가기 때문에 걸림돌출부(28b)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캠면(25b)에 의해 걸림돌기(26a)가, 가로방향으로 빗나가 걸림돌출부 (28b)에서 벗어나지 않고 축선방향으로 똑바로 전진해서 걸림돌출부 (28b)를 통과하게 된다. 이렇게 걸림돌기(26a)가 걸림돌출부(28b)를 통과한 후 안내구멍(12a)의 앞끝까지 도달하게 된다(도 6c).
이어, 사용자가 녹크부재(24)에 가하던 힘을 완화하게 되면 스프링(22)에 의해 필기매체(20) 및 걸림부재(26)가 뒤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이때 상기 걸림돌기(26a)는 녹크바아(25)의 캠부(25a)의 제1캠면(25b)에 의해 유도되어 가로방향으로 빗나가지 않고 축선방향으로 똑바로 후퇴해서 걸림돌출부(28b)의 캠면(28d)에 닿은 후, 이를 따라 미끄럼접촉하면서 걸림부(28e)에 도달하여 걸림부(28e)와 걸어맞춰지게 되고(도 6d), 그에 따라 필기매체(20)의 후퇴이동이 저지되어 필기매체 (20)의 앞끝이 외통(12)의 앞끝으로부터 돌출된 전진위치를 유지하게 되므로 필기에 사용될 수가 있게 된다.
사용이 끝나 다시 사용자가 녹크부재(24)를 녹크하면, 녹크바아(25)의 캠부 (25a)의 제2캠면(25c)이 걸림돌기(26a)에 닿아 걸림돌기(26a)를 앞쪽으로 밀게 되고, 그에 따라 걸림돌기(26a)가 걸림부(28e)에서 벗어나 녹크바아(25)의 캠부 (25a)의 제2캠면(25c)을 미끄럼접촉해서 걸림돌출부(28b)가 있는 쪽과 가로방향 반대되는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6e). 그리고 사용자가 녹크부재(24)에서 손을 떼면, 걸림돌기(26a)가 걸림돌출부(28b)의 옆을 지나 후퇴하여 캠면(12b)에 닿은 후 캠면(12b)을 따라 미끄럼접촉해서 그 최후단부위치로 되돌려지게 되고, 그에 따라 필기매체(20)가 퇴몰위치로 되돌려져 외통(12)내에 수납시켜지게 된다(도 6f).
클립(28)의 기단부(28a)는 외통(1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녹크부재(24)의 녹크와 함께 클립(28)이 이동하지 않게 되어, 클립(28)을 잡은 상태에서도 녹크부재(24)를 녹크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아지게 된다. 또, 필기매체(20)가 퇴몰위치로 되돌리는 것도 녹크부재(24)의 녹크조작으로 되돌릴 수가 있어서, 즉 전진위치와 퇴몰위치의 절환이 녹크부재(24)를 녹크조작을 하는 것만으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아지게 된다.
또, 녹크부재(24)에 힘을 가하는 전진조작시에는 걸림부재(26)의 걸림 돌기(26a)가 강제적으로 클립(28)의 걸림돌출부(28b) 하부를 빠져나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때의 저항감이 조작자에게 느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후퇴시의 녹크부재(24)에 힘이 가해지지 않을때는 걸림돌기(26a)에 클립(28)의 걸림돌출부 (28b)의 옆을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서, 걸림돌기(26a)가 도중에서 부딛치지 않아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필기매체(20)를 수납시키는 것을 잊고서 필기매체(20)가 전진상태로 있는 상태에서 필기구를 주머니같은 곳에다 끼우게 되면, 클립(28)의 기단부 반대쪽이 외통(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여 걸림부(28e)와 걸림돌기 (26a)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필기매체(20)가 자동적으로 스프링(22)의 탄발력으로 뒤쪽으로 이동해서 퇴몰위치로 되돌려지게 되고, 그에 따라 잉크로 주머니가 더렵혀지는 일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외통(12)의 안내구멍(12a)에서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한 걸림돌기(26a)가 직경방향 안쪽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할때도 이렇게 휘어지는 성질을 이용해서 뒤쪽외통(14)의 앞쪽으로부터 걸림부재(26)를 밀어넣으면 뒤쪽외통(14)내로 조립될 수가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제 2실시예의 녹크식 필기구(30)는, 뒤쪽외통(34)과 이 뒤쪽외통(34)의 앞끝에 나사결합된 앞쪽외통(36) 및 이 앞쪽외통(36)의 앞끝에 나사결합되는 선구(38)로 이루어진 외통(32)을 구비하고서, 이 외통(32)내에는 필기매체(40)가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수납되어져 있다. 상기 선구(38)내 내부에 형성된 단차부(38a)와 필기매체(40)에 형성된 스프링받침부(40a) 사이에 스프링 (42)이 끼워져 이 스프링(42)이 필기매체(40)를 항상 뒤쪽으로 밀어부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기매체(40)의 뒤끝이 걸림부재(46)에 삽입되어 필기매체(40)와 함께 걸림부재(46)가 외통(32)내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재(46)의 외주면에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걸림돌기 (46a)가 형성됨과 더불어, 걸림돌기(46a)의 3방향을 에워싸도록 슬릿형태로 절결되어 형성된 U자형상구멍(46b)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U자형상구멍(46b)에 의해 걸림돌기(46a)가 직경방향 안쪽으로 휘어질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걸림부재(46)의 걸림돌기(46a)보다도 뒤쪽에서 원주방향에서 보아 걸림돌기(46a)에서 대략 ±90°떨어진 위치에 뒤에 설명되는 녹크바아(45)의 캠부 (45a)에 걸어맞춰지는 캠받침부(46d)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 캠받침부(46d)는 각각 경사면으로 된 제1캠면(46d1) 및 제2캠면(46d2)와 이들 제1캠면(46d1) 및 제2캠면 (46d2)의 교차점에 형성된 오목부(46d3)를 갖도록 되어 있다. 걸림부재(46)의 뒤끝은 녹크바아(45)의 내부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바, 이 녹크바아(45)에는 도 10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앞끝에 상기 걸림부재 (46)의 캠받침부(46d)에 걸어맞춰지는 캠부(45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캠부 (45a)는 각각 경사면으로 된 제1캠면(45a1) 및 제2캠면(45a2)과, 이들 제 1캠면 (45a1)과 제 2캠면(45a2)의 교차점으로서 앞끝을 향해 예리한 형상을 한 정수리부 (45a3)를 갖도록 되어 있다. 또, 녹크바아(45)의 외주면에는 축선방향으로 뻗은 길이방향리브(45d)가 여러개 형성되는 한편, 대응하는 뒤쪽외통(34)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홈(34a)이 형성되어, 이들 길이방향리브(45d)와 길이방향홈(34a)이 걸어맞춰짐으로써 녹크바아(45)가 외통(32)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녹크바아(45)의 뒤끝은 녹크부재(44)내에 압압되어져 녹크바아(45)와 녹크부재(44)가 일체로 되어 있고, 녹크부재(44)는 뒤쪽외통(34)보다 뒤쪽으로 돌출되어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다. 녹크부재(44)와 걸림부재(46) 사이에는 양자를 축방향으로 떨어지게 하는 쪽으로 밀어부치는 스프링(47)이 끼워져 있다.
외통(32)의 외주면 뒤쪽에는 클립(48)의 기단부(48a)가 끼워지는데, 이 클립 (48)은 상기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일체로 된 것이어도 좋으나, 본 제 2실시예에서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클립본체(49)와 이 클립본체(49)의 기단부 반대쪽에 부착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클립장식부(50)로 구성되고서, 이 클립장식부(50)의 이면에 외통(32)쪽으로 돌출된 걸림돌출부(48b)가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림돌출부(48b)의 뒤쪽에는 뒤쪽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48c)가 형성되어 있다(도 8). 또, 걸림돌출부(48b)의 앞끝쪽에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앞쪽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혀지도록 경사진 캠면(48d)가 형성됨과 더불어, 앞쪽을 향해 개구되어져 상기 걸림돌기(46a)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 걸림부(48e)가 캠면(48d)의 뒤끝에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클립장식부(50)의 이면 양쪽 측부에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립본체(49)의 돌출부 (49a)를 받쳐주기 위한 오목부(50a)가 형성되어 있다.
외통(32)의 뒤쪽외통(34) 외주면에는 걸림돌출부(48b)에 대응해서 안내구멍 (32a)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안내구멍(32a)은 도 7에 점선으로 도시된 가상선과 같이 걸림돌출부(48b)에 대해 가로방향 돌출편만 걸림돌출부(48b)보다 폭이 넓게 되어 있다. 상기 안내구멍(32a)의 뒤끝에는 뒤쪽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혀지면서 걸림돌출부(48b)가 있는 쪽을 향하는 캠면(32b)가 형성되어, 이 안내구멍(32a) 을 걸림부재(46)의 걸림돌기(46a)가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녹크바아(45)의 캠면(45a)의 정수리부(45a3)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기매체(40)가 외통(32)내의 퇴몰위치에 있을때 오목부(46d3)와 축선방향 동일선상에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 2실시예에 따른 녹크식 필기구의 작용에 대해 도 12를 참조로 설명한다.
필기구를 사용하지 않을때는 필기매체(40)가 스프링(42)에 의해 밀어부쳐져 외통(32)내에 완전히 수납시켜진 퇴몰위치에 있게 되는바, 이 때에는 걸림부재(46)의 걸림돌기(46a)가 안내구멍(32a)의 캠면(32b) 최후단에서 안내구멍(32a)에 닿아 있어서(도 12a) 걸림부재(46) 및 필기매체(40)가 더 이상 뒤쪽으로 후퇴하지 못하도록 저지하게 된다.
다음, 필기매체(4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녹크부재(44)를 앞쪽으로 녹크하면, 녹크바아(45)의 캠부(45a)의 정수리부(45a3)이 걸림부재(46)의 캠받침부 (46d)의 오목부(46d3)에 걸어맞춰져 걸림부재(46)를 앞쪽으로 밀어내게 된다(도 12b). 이때 걸림부재(46)의 걸림돌기(46a)는 클립(48)의 걸림돌출부(48b)에 닿게 되지만 걸림돌출부(48b)의 경사면(48c)에 미끄럼접촉하게 되고, 걸림돌기(46a)가 그의 휘어지는 성질에 의해 경사면(48c)을 따라 외통(32)내로 들어가기 때문에 걸림돌출부(48b)를 통과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캠부(45a)의 정수리부(45a3)가 캠받침부(46d)의 오목부(46d3)에 걸어맞추져 있기 때문에 걸림돌기(46a)가 가로방향으로 빗나가 걸림돌출부(48b)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축선방향으로 똑바로 전진해서 걸림돌출부(48b)를 통과하게 된다. 이렇게 걸림돌기(46a)가 걸림돌출부(48b)를 통과한 다음에는 안내구멍(32a)의 앞끝까지 도달하게 된다(도 12c).
이어, 사용자가 녹크부재(44)에 가하고 있던 힘을 느슨하게 하면, 스프링 (42)에 의해 필기매체(40) 및 걸림부재(46)이 뒤쪽으로 밀려 이동하게 됨으로써, 걸림돌기(46a)가 녹크바아(45)의 캠부(45a) 정수리부(45a3)가 오목부(46d3)에 걸어맞춰질때까지 가로방향으로 빗나가지 않고 축선방향으로 똑바로 후퇴해서 걸림돌출부(48b)의 캠면(48d)에 닿게 된다.
그리고, 녹크부재(44)에 가하고 있던 힘을 좀 더 느슨하게 하면, 걸림부재 (46)의 오목부(46d3)와 캠부(45a)의 정수리부(45a3)의 걸림이 벗겨져 걸림돌기(46a)가 캠면(48d)을 미끄럼접촉해서 걸림부(48e)에 도달하여 걸림부(48e)와 걸어맞춰지게 되고(도 12d), 그에 따라 필기매체(40)의 후퇴이동이 저지되어 필기매체(40)의 앞끝이 외통(32)의 앞끝에서 돌출시켜진 전진위치를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때 녹크부재(44)는 스프링(47)의 탄발력에 의해 후방위치로 되돌려지게 된다.
사용이 끝나 다시 사용자가 녹크부재(44)를 녹크조작하면, 녹크바아(45)의 캠부(45a)의 제1캠면(45a1)이 걸림부재(46)의 캠받침부(46d)의 제1캠면에 닿아 걸림부재(46)를 앞쪽으로 밀게 되고, 그에 따라 걸림부재(46)의 걸림돌기(46a)가 걸림부(48e)에서 벗겨져 걸림돌출부(46b)가 있는 쪽과 가로방향 반대되는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12e).
그리고, 사용자가 녹크부재(44)에서 손을 떼면, 걸림돌기(46a)가 걸림돌출부
(48b)의 옆을 지나 후퇴해서 캠면(32b)에 닿은 후 캠면(32b)을 따라 미끄럼접촉해서 그 최후단위치로 되돌아가게 되고(도 12f), 그에 따라 필기매체(40)가 퇴몰위치로 되돌려져 외통(32)내에 수납시켜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게 됨으로써 본 제 2실시예도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본 제 2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46a)와는 별도로 캠받침부(46d)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녹크부재(45)의 캠부(45a)에 의한 걸림부재(46)의 유도동작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 1 및 제 2실시예는 녹크부재(24,44)가 외통(12,32)의 뒤끝에서 돌출하는 후단녹크식 필기구에 관한 설명이었으나, 본 제 3실시예는 외통의 측부에 녹크부재가 구비된 이른바 측방녹크식 필기구로 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와 다르게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녹크부재는 직경방향으로 녹크하는 형식이거나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축방녹크식 필기구(60)는, 뒤쪽외통(34)의 앞끝에 나사결합되는 앞쪽외통 (66) 및 이 앞쪽외통(66)의 앞끝에 나사결합되는 선구(68)로 이루어진 외통(62)을 구비하고서, 이 외통(62)내에 필기매체(70)가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수납시켜진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앞쪽외통(66)의 내부에 형성된 단차부(66a)와 필기매체받침부(71)의 앞끝 사이에 스프링(72)이 끼워져 있다.
상기 필기매체받침부(71)내에는 필기매체(70)의 뒤끝이 삽입되어 이들 필기매체받침부(71)와 필기매체(70)가 일체를 이루도록 되어 있는 한편, 스프링(72)이 이들 필기매체받침부(71) 및 필기매체(70)를 항상 뒤쪽으로 밀어부치되록 되어 있다.
필기매체받침부(71)의 앞쪽부분에는 직경이 확대됨과 더불어 그 후단면이 캠면으로 된 녹크받침부(71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앞쪽외통(66)에는 이 앞쪽외통 (66)의 외주면에 대해 요동할 수 있도록 된 녹크부재(74)가 부착되어 있는 바, 이 녹크부재(74)가 측방녹크조작되어 앞쪽외통(66) 내부로 요동해 들어가면 녹크받침부(71a)의 캠면이 앞쪽으로 밀려나도록 되어 있다.
필기매체받침부(71)의 후단부에는 걸림부재(76)가 닿아 있어서 걸림부재(76)의 위치에 따라 필기매체받침부(71) 및 필기매체(70)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걸림부재(76)의 외주면에는 도 14에 확대해서 도시해 놓은 것과 같이, 제 2실시예에서의 걸림돌기(46a)와 U자형상구멍(46b) 및 캠받침부(46d)와 같이 걸림돌기(76a)와 U자형상구멍(76b) 및 캠받침부(76d)가 형성되고서 걸림돌기(76a)가 직경방향 안쪽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캠받침부(76d)는 각각 경사면으로 된 제1캠면(76d1) 및 제2캠면(76d2)과 이들 제1캠면(76d1) 및 제2캠면(76d2)의 교차점에 형성된 오목부(76d3)를 갖추도록 되어 있는 것도 제 2실시예와 같게 되어 있다.
필기매체받침부(71)의 뒤끝은 녹크바아(75)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이 녹크바아(75)에는 제 2실시예에서의 녹크바아(45)의 캠부(45a)와 같도록 상기 걸림부재(76)의 캠받침부(76d)에 걸어맞춰지는 캠부(75a)가 형성되고서, 이 캠부(75a)가 각각 경사면으로 된 제1캠면(75a1) 및 제2캠면(75a2)과 이들 제1캠면(75a1) 및 제2캠면(72a2)의 교차점으로서 앞끝쪽이 예리한 형상을 한 정수리부(75a3)를 갖도록 되어 있다. 또, 녹크바아(75)의 외주면에는 축선방향으로 뻗은 길이방향리브(75d)가 여러개 형성되어 대응하는 뒤쪽외통(34)의 길이방향홈(34a)에 상기 길이방향리브 (75d)가 걸어맞춰짐으로써 녹크바아(75)가 외통(62)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걸림부재(76)의 내주면쪽에는 스프링(77)이 설치되어 이 스프링(77)이 걸림부재(76)와 필기매체받침부(71)사이에 끼워져 걸림부재(76)를 필기매체받침부(71)에 대해 뒤쪽으로 밀어부치도록 되어 있다. 즉, 녹크바아(75)쪽을 향해, 다시 말해 걸림부재(76)의 캠받침부(76d)를 캠부(75a)로 향해 닿도록 밀어부치는 역활을 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이 스프링(77)은 스프링(72)보다 탄발력이 약한 것으로 선정되게 된다.
외통(62)의 뒤끝에는 후단캡(78)이 부착되어 있고, 외통(62)의 외주면 뒤쪽부분에는 클립(48)가 끼워지게 된다. 이 클립(48)은 제 2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조로 된 것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또, 외통(6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안내구멍(62a)도 제 2실시예에서와 같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측방녹크식 필기구의 작용은 제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필기매체(70)를 전진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녹크부재(74)를 녹크하게 되면 녹크부재(74)가 필기매체 받침부(71)을 전진시켜 이 필기매체받침부
(71)에 연결된 녹크바아(75)가 전진해서 녹크바아(75)의 캠부(75a)와 걸림부재(76)의 캠받침부(76d)가 도 12a∼도 12d와 같이 동작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걸림부재 (76)의 걸림돌기(76a)가 걸림부(48e)와 걸어맞춰져 걸림부재(76)에 의해 필기매체 (70)가 후퇴이동이 저지되어, 필기매체(70)의 앞끝이 외통(62)의 앞끝에서 돌출시켜진 전진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사용이 끝난 다음 사용자가 다시 녹크부재(74)를 녹크하면, 녹크부재(74)가 필기매체받침부(71)를 전진시켜 이 필기매체받침부(71)에 연결된 녹크바아(75)가 전진하게 됨으로써, 녹크바아(75)의 캠부(75a)와 걸림부재(76)의 캠부(76d)가 도 12e∼도 12f와 같이 동작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필기매체(70)의 앞끝이 외통(62)의 앞끝으로부터 퇴몰위치로 되돌려져 외통(62)내에 수납시켜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본 제 3실시예도 상기 제 1 및 제 2실시예와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앞의 실시예와 같은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측방녹크식 필기구로서 제 3실시예에 비해 부품수가 줄여진 점에서 다르게 되어 있다.
즉, 이 제 4실시예 녹크식 필기구(80)에서의 걸림부재(86)는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걸림돌기(86a) 및 U자형상 구멍(86b)를 갖고 있으면서, 걸림돌기(86a)와 원주방향 180°떨어진 곳에는 슬릿(86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림부재 (86)는 슬릿(86c)을 매개로 필기매체받침부(81)의 뒤끝에 끼워맞춰져, 필기매체 (70)의 뒤끝을 지지하는 필기매체받침부(81)와 일체로 외통(82)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녹크바아(75)나 스프링(77)은 생략할 수가 있다.
또, 외통(82)의 안내구멍(82a)은 도 16에 가상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는 것과 같이 걸림돌출부(48b)에 대해 가로방향 돌출편만 걸림돌출부(48b)보다도 폭이 넓게 되어 있다. 안내구멍(82a)의 뒤끝에는 뒤쪽으로 갈수록 점차 걸림돌출부(48b)가 있는 쪽을 향해 후단캠면(82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안내구멍(82a)의 앞끝에는 앞쪽으로 갈수록 점차 걸림돌출부(48b)가 없는 쪽을 향해 앞끝 제1캠면(82c) 및 이 앞끝 제1캠면(82c)와 이어지는 제2캠면(82d)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 4실시예에 따른 측방녹크식 필기구에서, 필기매체 (70)를 전진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녹크부재(74)를 녹크조작하게 되면, 녹크부재 (74)가 필기매체받침부(81)를 전진시켜 이 필기매체 받침부(81)의 뒤끝에 연결된 걸림부재(86)가 전진하게 되고, 그에 따라 도 12a∼도 12d의 왼쪽편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걸림부재(86)의 걸림돌기(86a)와 걸림돌출부(48b)의 협동동작이 이루어져 도 16에 화살표로 도시된 것과 같이 걸림돌기(86a)가 이동해서 걸림부(48e)와 걸어맞춰지게 되고, 그에 따라 필기매체(70)의 앞끝이 외통(82)의 앞끝에서 돌출시켜진 전진위치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사용이 끝난 다음 다시 사용자가 녹크부재(74)를 녹크조작하면, 녹크부재 (74)가 필기매체받침부(71)를 전진시켜 이 필기매체받침부(71)에 연결된 걸림부재 (86)가 전진하게 되고, 그에 따라 걸림부재(86)의 걸림돌기(86a)가 도 16에 화살표로 나타난 것과 같이 걸림부(48e)를 이탈해서 앞끝제2캠면(82d)에 도달하여 앞끝제 2캠면(82d)에 닿아 미끄러져 걸림돌출부(48b)가 있는 쪽과 가로방향 반대되는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녹크부재(74)에서 손을 떼면, 걸림돌기(86a)가 걸림돌출부(48b)의 곁을 지나 후퇴해서 뒤끝캠면(82b)에 닿은 후 이 뒤끝캠면 (82b)에 미끄러져 그 최후단위치로 되돌려지게 되고, 그에 따라 필기매체(70)가 퇴몰위치로 되돌려져 외통(82)내로 수납되게 된다.
이러한 후퇴동작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앞끝 제1캠면(82c) 및 앞끝제2캠면(82d)의 경계선이 걸림부(48e)에 마주보는 부분보다도 걸림돌출부(48b)쪽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제 4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앞의 실시예에서 얻어지는 효과에 더해서 부품수가 적어져 구조가 간단해질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어서는 필기구로서 볼펜에다 적용시킨 예를 들었으나, 그에 한하지 않고 샤프펜슬에서도 필기매체로서 필심송출기구를 쓰게 되면, 녹크부재의 녹크조작으로 필심송출기구를 퇴몰위치에서 전진위치까지 이동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게 된다. 또 마킹펜에서도 필기매체로서 잉크 또는 펠트필심을 포함해서 이들을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체로 하게 되면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걸림부재와 필기매체 및 필기매체받침부가 별개의 부품으로 되어 있었으나, 그에 한하지 않고 필기매체나 걸림부 등을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클립의 기단부가 외통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녹크부재의 녹크와 함께 클립이 이동하지가 않아, 클립을 잡고서도 녹크부재를 녹크조작할 수가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 통상적인 녹크식 필기구와 마찬가지로 녹크부재의 녹크조작만으로 필기매체의 전진위치와 퇴몰위치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아지게 된다. 게다가, 필기매체가 전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주머니에다 필기구를 꽂아 수납시킬려 하는 경우에는, 클립의 기단부 반대쪽을 움직이게 함과 동시에 걸림돌기와 걸림부의 걸림이 해제시켜지기 때문에 필기매체가 퇴몰위치로 되돌려지게 되고, 그에 따라 필기매체에 의해 주머니가 더럽혀진다거나 손상을 일으킨다 하는 일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외통과 이 외통내에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수납시켜진 필기매체, 이 필기매체를 뒤쪽으로 밀어부치는 스프링 및 녹크조작을 할 수 있도록 외통에서 바깥쪽으로 노출시켜진 녹크부재를 구비하고서, 이 녹크부재를 녹크조작하면 필기매체가 외통내로 퇴몰한 퇴몰위치와 필기매체의 앞끝이 외통의 앞끝에서 돌출시켜진 전진위치사이를 이동하도록 된 녹크식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외통(12, 32)내에는 필기매체(20, 40)의 위치결정을 하게 되는 걸림부재(26, 46)가 설치되고서 이 걸림부재(26, 46)에 걸림돌기(26a, 46a)가 형성됨과 더불어, 외통(12, 32)에 기단부가 고정된 클립(28, 48)의 기단부 반대쪽 이면에는 앞끝쪽에 걸림부(28c, 48c)를 갖춘 걸림돌출부(28b, 48b)가 형성되고, 이 걸림돌출부(28b, 48b)에 대응해서 외통(12, 32)에는 안내구멍(12a, 32a)이 형성되고서 이 안내구멍(12a, 32a)이 상기 걸림돌출부(28b, 48b)에 대해 가로방향 돌출편쪽만 걸림돌출부(28b, 48b)보다도 폭이 넓게 되어 있어서, 이 안내구멍(12a, 32a)을 통해 상기 걸림돌기(26a, 46a)가 걸림부(28e, 48e)에 걸어맞춰짐으로써 필기매체(20, 40)가 전진위치로 유지되는 한편, 걸림돌기(26a, 46a)가 걸림돌출부(28b, 48b)에 걸어맞춰지지 않고 걸림돌출부(28b, 48b)보다도 뒤쪽에 위치하게 되면 필기매체 (20, 40)가 퇴몰위치로 유지되고, 외통(12, 32)내에서 녹크부재(24, 44)와 일체로 되거나 또는 녹크부재(24, 44)의 조작에 따라 전진하게 되는 녹크바아(25, 45)가 설치되고서 이 녹크바아 (25, 45)에는 걸림부재(24, 44)와 걸어맞춰질 수 있는 캠부(25a)가 형성되어, 이 캠부(25a)가 상기 걸림돌기(26a, 46a)를 걸림돌출부(28b, 48b)보다도 뒤쪽으로 이 걸림돌출부(28b, 48b)를 넘어 걸림부(28e, 48e)까지 유도함과 더불어, 상기 걸림돌기(26a, 46a)를 걸림부(28e, 48e)에서부터 걸림돌출부 (28b, 48b)를 피해 가로방향 돌출편쪽을 지나 걸림돌출부(28b, 48b)보다도 뒤쪽까지 유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크식 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크바아(25)의 캠부(25a)가 상기 걸림부재(26)의 걸림돌기(26a)에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으면서, 상기 걸림돌기(26a)를 걸림돌출부 (28b)보다 뒤쪽에서부터 이 걸림돌출부(28b)를 넘어 걸림부(28e)까지 유도하는 제1캠면(25b)과, 상기 걸림돌기(26a)를 걸림부(26c)에서부터 걸림돌출부(28b)를 피해 가로방향 돌출편쪽을 지나 걸림돌출부(28b)보다도 뒤쪽까지 유도하는 제2캠면(25c)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크식 필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46)에는 상기 걸림돌기(46a)와는 별도로 상기 녹크바아(25)의 캠부(25a)와 걸어맞춰지는 캠받침부(46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크식 필기구.
  4. 외통과 이 외통내에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수납시켜진 필기매체, 이 필기매체를 뒤쪽으로 밀어부치는 스프링 및 녹크조작을 할 수 있도록 외통에서 바깥쪽으로 노출시켜진 녹크부재를 구비하고서, 이 녹크부재를 녹크조작하면 필기매체가 외통내로 퇴몰한 퇴몰위치와 필기매체의 앞끝이 외통의 앞끝에서 돌출시켜진 전진위치사이를 이동하도록 된 녹크식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외통(62, 82)내에는 필기매체(70)와 연결되어 필기매체(70)의 위치결정을 하도록 하는 걸림부재(76, 86)가 설치되고서 이 걸림부재(76, 86)에 걸림돌기 (76a, 86a)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외통(62, 82)에 기단부가 고정시켜진 클립 (48)의 기단부와 반대되는 쪽 이면에는 앞끝쪽에 걸림부(48e)를 가진 걸림돌출부 (48b)가 형성되고, 이 걸림돌출부(48b)에 대응해서 상기 외통(62, 82)에는 안내구멍(62a, 82a)이 형성되어 이 안내구멍(62a, 82a)이 상기 걸림돌출부(48b)에 대해 가로방향 돌출편쪽만 걸림돌출부(48b)보다도 폭이 넓게 되어 있으면서, 이 안내구멍(62a, 82a)의 상기 걸림부(48e)와 마주보는 앞끝부분에 앞쪽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도록 된 걸림돌출부(48b)가 없는 쪽을 향하는 앞끝캠면(82d)가 형성되어, 이 안내구멍(62a, 82a)를 통해 걸림돌기(76a, 86a)가 걸림부(48e)에 걸어맞춰짐으로써 필기매체(70)가 전진위치로 유지되는 한편 걸림돌기(76a, 86a)가 걸림부(48e)에 걸어맞춰지지 않고 걸림돌출부(48b)보다도 뒤쪽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필기매체(70)가 퇴몰위치로 유지되고,
    녹크부재(74)를 녹크조작해서 상기 퇴몰위치에 있던 필기매체(70)를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걸림돌기(76a, 86a)를 걸림돌출부(48b)보다도 뒤쪽에서부터 이 걸림돌출부(48b)를 넘어 걸림부(48e)까지 이동시킴과 더불어, 녹크부재(74)를 녹크조작해서 상기 전진위치에 있는 필기매체(70)를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걸림돌기(76a, 86a)를 걸림부(48e)에서부터 앞끝캠면(82d)에도 미끄럼접촉시켜 걸림돌출부(48b)를 피해 가로방향 돌출편쪽을 지나 걸림돌출부(48b)보다도 뒤쪽까지 이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크식 필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76, 86)에는 걸림돌기(76a, 86a)를 직경방향 안쪽으로 휘어지도록 하기 위한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크식 필기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출부(48b)의 뒤쪽부분에는 앞쪽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걸림돌기(76a, 86a)의 정수리부에는 앞쪽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크식 필기구.
KR1019990029994A 1998-07-27 1999-07-23 녹크식 필기구 KR1003107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165598 1998-07-27
JP211655/1998 1998-07-27
JP19093199A JP3626041B2 (ja) 1998-07-27 1999-07-05 ノック式筆記具
JP190931/1999 1999-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927A true KR20000011927A (ko) 2000-02-25
KR100310730B1 KR100310730B1 (ko) 2001-10-18

Family

ID=26506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994A KR100310730B1 (ko) 1998-07-27 1999-07-23 녹크식 필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6227734B1 (ko)
EP (1) EP0976578B1 (ko)
JP (1) JP3626041B2 (ko)
KR (1) KR100310730B1 (ko)
CN (1) CN2381502Y (ko)
DE (1) DE69909192T2 (ko)
TW (1) TW39533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0706B1 (en) * 1999-01-28 2002-05-21 Pentel Kabushiki Kaisha Retractable writing implement
US6742953B2 (en) 2002-01-24 2004-06-01 Bic Corporation Writing instrument with display window
US20040047669A1 (en) * 2002-09-06 2004-03-11 David Lo Side knock or end knock mechanical pencil for thick lead
ES2284771T3 (es) * 2002-12-13 2007-11-16 Societe Bic Instrumento para escribir, en particular un boligrafo.
JP4578112B2 (ja) * 2004-01-26 2010-11-10 株式会社サクラクレパス 塗布具
JP4731501B2 (ja) * 2007-01-23 2011-07-27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ック式筆記具
CN103240417B (zh) * 2013-05-27 2016-02-10 宁夏东方钽业股份有限公司 一种钽带及其制备方法
US10272714B2 (en) 2016-12-06 2019-04-30 Sanford L.P. Anti-rotation extendable eraser mechanism
JP2018171921A (ja) * 2017-03-31 2018-11-08 ぺんてる株式会社 出没式筆記具
JP7139328B2 (ja) * 2017-06-30 2022-09-20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加圧式筆記具
CN108273093B (zh) * 2018-03-28 2020-08-14 冷洁 一种用于医疗检测设备的消毒装置
USD998038S1 (en) * 2020-05-19 2023-09-05 Mitsubishi Pencil Company, Ltd. Writing instrument
USD1010733S1 (en) * 2020-05-19 2024-01-09 Mitsubishi Pencil Company, Ltd. Mechanical penci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83718A (en) * 1923-02-05 1926-05-04 Hudson George Reginald Propeller pencil
US3130710A (en) * 1961-01-23 1964-04-28 Sheaffer W A Pen Co Clip assembly
US4991988A (en) * 1989-04-18 1991-02-12 Bic Corporation Component writing instrument having retractable cartridge
JPH0525915U (ja) 1991-09-12 1993-04-02 藤井電工株式会社 送電線用作業足場
DE9204124U1 (ko) * 1992-03-27 1993-05-13 Inform Plastik Gmbh, 4920 Lemgo, De
JPH0615735U (ja) 1992-07-27 1994-03-01 オルガノ株式会社 液体処理塔
US5415487A (en) * 1993-06-08 1995-05-16 Bic Corporation Vented plug for ink cartridges
DE4329772A1 (de) * 1993-09-03 1995-03-16 Hauser Gmbh & Co Kg A Schreibstift
US5918993A (en) * 1996-04-18 1999-07-06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Clicking-type writing imp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26041B2 (ja) 2005-03-02
EP0976578B1 (en) 2003-07-02
US6227734B1 (en) 2001-05-08
CN2381502Y (zh) 2000-06-07
TW395335U (en) 2000-06-21
US20010001026A1 (en) 2001-05-10
US6390707B2 (en) 2002-05-21
US20010016140A1 (en) 2001-08-23
EP0976578A1 (en) 2000-02-02
KR100310730B1 (ko) 2001-10-18
US20010018004A1 (en) 2001-08-30
DE69909192T2 (de) 2004-05-06
JP2000103193A (ja) 2000-04-11
DE69909192D1 (de) 200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730B1 (ko) 녹크식 필기구
US6752557B1 (en) Retractile pen
JP4648818B2 (ja) クリップ
JP3885315B2 (ja) シャ−プペンシル
JP4818805B2 (ja) 筆記具
US7452147B2 (en) Writing instrument with a lateral button
JP2019010827A (ja) ノック式筆記具
JP5758666B2 (ja) 出没式筆記具
JP2011093184A (ja) ノック式筆記具
JPH11321182A (ja) ノック式筆記具
JPH10119481A (ja) ノック式筆記具
JP5216474B2 (ja) 多芯筆記具
JP7209162B2 (ja) 消しゴム付きノック式筆記具
KR100350310B1 (ko) 안전녹크식 필기구
JPH04221700A (ja) ノック式筆記具
JPH07214983A (ja) ノック式筆記具
JP5896722B2 (ja) 多機能ペン
JP5525409B2 (ja) 筆記具
JP2542037Y2 (ja) 筆記部の出没装置
JPH1191289A (ja) 筆記具
JP6267935B2 (ja) サイドノック式筆記具
JP2003211894A (ja) ノック式筆記具
KR200170974Y1 (ko) 신축작동 조작이 편리한 볼펜
JP2003054187A (ja) サイドノック式筆記具
JPH044335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