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571A - 벼작물용살진균제조성물및벼작물병방제방법 - Google Patents

벼작물용살진균제조성물및벼작물병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571A
KR20000011571A KR1019990027427A KR19990027427A KR20000011571A KR 20000011571 A KR20000011571 A KR 20000011571A KR 1019990027427 A KR1019990027427 A KR 1019990027427A KR 19990027427 A KR19990027427 A KR 19990027427A KR 20000011571 A KR20000011571 A KR 20000011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methyl
ethyl
rice
cy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3045B1 (ko
Inventor
니시구치쓰토무
다지마소키치
야마모토요시노부
Original Assignee
무라타 도시카즈
니혼노야쿠가부시키가이샤
윌리암 에이취 캘넌, 에곤 이 버그
아메리칸사이아나미드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도시카즈, 니혼노야쿠가부시키가이샤, 윌리암 에이취 캘넌, 에곤 이 버그, 아메리칸사이아나미드컴파니 filed Critical 무라타 도시카즈
Publication of KR20000011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 A01N37/3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having at least one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N-(1-시아노-1,2-디메틸프로필)-2-(2,4-디클로로페녹시)프로판아미드와 살진균 활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벼 작물용 살진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벼 작물용 살진균제 조성물 및 벼 작물 병 방제 방법{Fungicidal compositions for paddy-rice plants and method for disease control of paddy-rice plants}
본 발명은 2종 이상의 상이한 제제의 혼합물에 의해, 병해를 방제하는데, 단독 제제로부터 유도될 수 없는 상조 효과 또는 광범위한 살진균 스펙트럼을 발휘하는 벼 작물용 살진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벼 작물의 병해를 방제하기 위해, 도열병(피리큘라리아 오리재(Pyricularia oryzae))에 대비하여 프로벤아졸(속명) 및 트리사이클아졸(속명), 초 마름병(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에 대비하여 디클로메진(속명) 및 발리다마이신(속명) 등, 및 헬민토스포륨 잎 마름병(코클리오볼루스 미야베아누스(Cochliobolus miyabeanus))에 대비하여 페림존(속명), 프탈리드(속명), 이프로디온(속명) 등과 같은 살진균제를 개발하여 사용해 왔다.
지금, 농작인들은 더욱 고령화되어 농작일에서의 노동 감소가 요망되고 있다. 또한, 벼 작물의 병해를 방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제를 적용하는 작업에서, 광범위한 살진균 스펙트럼을 갖는 제제 또는 각각의 활성 성분 화합물을 상실시키지 않으면서 각종 병을 방제하는데 유용한 살진균제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진정으로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각각의 병을 방제하는 시간이 항상 동일한 것은 아니며, 단순 혼합 사용은 병해를 충분하게 방제하는 바람직한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N-(1-시아노-1,2-디메틸프로필)-2-(2,4-디클로로페녹시)프로판아미드(이후, 화합물 A로 칭함)를 살진균 활성 화합물과 혼합 사용함으로써 상조 작용 및 살진균 스펙트럼의 확대에 의해 벼 작물의 병해를 방제하는 탁월한 효과를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서 활성 성분 화합물 중 하나인 화합물 A는 일본 특허원 공개 공보 제(소)63-132867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또한 화합물 A가 농예 및 원예에서 살진균제로서 유용하다고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활성 성분 중 하나인 화합물 A는 2개의 키랄 탄소원자를 가지며, 따라서 4개의 광학 이성체를 갖는다. 본 발명은 각각의 광학 이성체 및 상기 광학 이성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활성 성분 화합물 중 하나인 살진균 활성 화합물에 대해, 다음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1) α,α,α-트리플루오로-3'-이소프로폭시-O-톨루아닐리드(속명: 플루톨아닐; 이후 화합물 1로 칭함);
(2) 3'-이소프로폭시-2-메틸벤즈아닐리드(속명: 메프로닐; 이후 화합물 2로 칭함);
(3) N-(2,6-디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2-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카복스아미드(속명: 티플루즈아미드; 이후 화합물 3으로 칭함);
(4) 5-클로로-1,3-디메틸-N-(1,1-디메틸-2-옥사-4-인다닐)-피라졸-4-카복스아미드(속명: 푸라메트피르; 이후 화합물 4로 칭함);
(5) 발리다마이신(속명; 이후 화합물 5로 칭함);
(6) 1-(4-클로로벤질)-1-사이클로펜틸-3-페닐우레아(속명: 펜사이쿠론; 이후 화합물 6으로 칭함);
(7) 6-(3,5-디클로로-4-메틸페닐)-3(2H)-피리다지논(속명: 디클로메진; 이후 화합물 7로 칭함);
(8) 3-(3,5-디클로로페닐)-N-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카복스아미드(속명: 이프로디온; 이후 화합물 8로 칭함);
(9) 2-p-클로로페닐-2-(1H-1,2,4-트리아졸-1-일메틸)헥산니트릴(속명: 마이클로부타닐; 이후 화합물 9로 칭함);
(10) (RS)-2-(2,4-디클로로페닐)-1-(1H-1,2,4-트리아졸-1-일)-헥산-2-올(속명: 헥사콘아졸; 이후 화합물 10으로 칭함);
(11) (Z)-2'-메틸아세토페논 4,6-디메틸피리미딘-2-일하이드라존(속명: 페림존; 이후 화합물 11로 칭함);
(12) 1,1'-이미노디(옥타메틸렌)디구아니디늄 트리아세테이트(속명: 구아자틴; 이후 화합물 12로 칭함);
(13) 메틸 (E)-2-{2-[6-(2-시아노페녹시)피리미딘-4-일옥시]페닐}-3-메톡시-아크릴레이트(속명: 아족시스트로빈; 이후 화합물 13으로 칭함);
(14) 2-메톡시이미노-N-메틸-2-(2-페녹시)페닐-아세트아미드(코드명: SSF-126; 이후 화합물 14로 칭함);
(15) 디이소프로필-1,3-디티올란-2-일리덴말로네이트(속명: 이소프로티올란; 이후 화합물 15로 칭함);
(16) O-에틸-S,S-디페닐디티오포스페이트(속명: 히노산; 이후 화합물 16으로 칭함);
(17) 5-메틸-1,2,4-트리아졸로[3,4-b]벤조티아졸(속명: 트리사이클아졸; 이후 화합물 17로 칭함);
(18) 4,5,6,7-테트라-클로로프탈라이드(속명: 프탈라이드; 이후 화합물 18로 칭함);
(19) 카수가마이신(이후 화합물 19로 칭함);
(20) N-[1-(4-클로로페틸)에틸]-2,2-디클로로-1-에틸-3-메틸-사이클로프로판카복스아미드(속명; 카프로파미드; 이후 화합물 20으로 칭함);
(21) N-[1-(2,4-디클로로페틸)에틸]-2-시아노-3,3-디메틸부탄아미드(이후 화합물 21로 칭함);
(22) 1,2,5,6-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3,2,1-i,j)퀴놀린-4-온(속명: 피로퀼론; 이후 화합물 22로 칭함);
(23) 3-알릴옥시-1,2-벤조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속명: 프로벤아졸; 이후 화합물 23으로 칭함); 및
(24) S-메틸-벤조(1,2,3)-티아디아졸-7-카보티올레이트(코드명: CGA-245704; 이후 화합물 24로 칭함).
본 발명의 벼 작물용 살진균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100중량부에 화합물 A와 살진균 활성 화합물을 합하여 0.01 내지 8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0중량부 혼입할 수 있으며, 살진균 활성 화합물의 혼입비는 통상적으로 화합물 A 1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1000중량부(1:0.01 내지 1:1000), 바람직하게는 1:100 내지 50:1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0:1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벼 작물용 살진균제로서 사용할 경우, 통상적으로, 활성 물질을 고체 또는 액체 담체, 및 필요한 경우, 표면 활성제 또는 이외의 제제용 보조제를 사용하기 위한 오일 용액, 유화 농축액, 습윤화 산제, 입제, 분제, 액체 제형, 현탁제, 발포제, 마이크로캡슐제, ULV, 페이스트 등을 제조하기 위해 가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전체로 활성 성분을 0.1 내지 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80중량% 함유한다. 상기 제제는,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을 전착제, 즉, 고체 담체 또는 액체 담체, 필요한 경우, 표면 활성제, 점착제, 분산제, 안정화제, 발포제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혼합하여 수득할 수 있다.
고체 담체는 점토(카올린, 규조토, 합성 함수 산화규소, 점토, 벤토나이트, 산 점토 등), 활석, 및 이외의 무기 미네랄(견운모, 석영 분말, 황 분말, 활성 탄소, 탄산칼슘, 함수 실리카 등)의 미세 분말 또는 입자를 예로 들 수 있다. 액체 담체는 물, 알콜(메탄올, 에탄올 등), 케톤(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등), 방향족 탄화수소(벤젠,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메틸나프탈렌 등), 지방족 탄화수소(n-헥산, 사이클로헥산, 케로신, 케로센 등), 에스테르(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등), 니트릴(아세토니트릴, 이소부티로니트릴 등), 에테르(디옥산, 이이소프로필 에테르 등), 산 아미드(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디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등)를 예로 들 수 있다.
표면 활성제는 알킬 설페이트, 알킬 설포네이트,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알킬아릴 에테르 및 이의 폴리옥시에틸렌화 물질,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다가 알콜 에스테르, 당 알콜 유도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외의 제제용 보조제는 점착제 및 분산제, 예를 들어, 카제인, 젤라틴, 폴리사카라이드(전분, 아라비아 검, 셀룰로스 유도체, 알긴산 등), 리그닌 유도체, 벤토나이트, 합성 수용성 중합체(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등) 등, 및 안정화제, 예를 들어, PAP(산성 이소프로필 포스페이트), BHT(2,6-디-t-부틸-4-메틸페놀), 식물성 오일, 광유,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벼 작물용 살진균제 조성물을 벼 작물의 병해를 방제하기 위해 사용할 경우, 이를 그대로 또는 잎 처리, 물 처리, 토양 처리 또는 모 배양 박스의 처리를 위해 물 등으로 희석한 다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를 다른 살진균제, 살충제, 제초제, 비료 또는 토질 개선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활성 성분 화합물 중 하나인 화합물 A는 살충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며, 당해 살충제는 1,3-비스(카바모일티오)-2-(N,N-디메틸아미노)프로판 하이드로클로라이드(속명: 카르탑), 1-(6-클로로-3-피리딜메틸)-N-니트로이미다졸리딘-2-일리덴아미드(속명: 이미다클로프리드), 4,5-디하이드로-6-메틸-4-(3-피리딜메틸렌아미노)-1,2,4-트리아진-3(2H)-온(속명: 피메트로진), 에틸 N-[2,3-디하이드로-2,2-디메틸벤조푸란-7-일옥시-카보닐(메틸)아미노티오]-N-이소프로필-β-알라니네이트(속명: 벤푸라카브), 2,3-디하이드로-2,2-디메틸-7-벤조푸라닐[(디부틸아미노)티오]메틸카바메이트(속명: 카보설판), (E)-N-(6-클로로-3-피리딜메틸)-N-에틸-N'-메틸-2-니트로비닐리덴디아민(속명: 니텐피람), p-메틸티오페닐 디프로필 포스페이트(속명: 프로파포스), N-t-부틸-N'-(4-에틸벤조일)-3,5-디메틸벤조하이드라지드(속명: 테부페노지드), 2-t-부틸이미노-3-이소프로필-5-페닐-3,4,5,6-테트라하이드로-2H-1,3,5-티아디아진-4-온(속명: 부프로페진), 2-(4-에톡시페닐)-2-메틸프로필 3-페녹시벤질 에테르(속명: 에토펜프록스), O,O-디메틸-O-3,5,6-트리클로로-2-피리딜포스포로티오에이트(속명: 클로르피리포스-메틸), 디메틸 4-니트로-m-톨릴 포스포로티오에이트(속명: MEP), 4-에톡시페닐-[3-(4-플루오로-3-페녹시페닐)프로필]디메틸실란(속명: 실라플루오펜), 2-2급-부틸페닐-N-메틸카바메이트(속명: BPMC), S-[α-(에톡시카보닐)벤질]디메틸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속명: PAP), O,O-디에틸-O-(5-페닐-3-이소옥사졸릴)포스포로티오에이트(속명: 이속사티온), 디메틸 4-메틸티오-m-톨릴 포스포로티에이트(속명: MPP), (RS)-α-시아노-3-페녹시벤질(RS)-2,2-디클로로-1-(4-에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판카복실레이트(속명: 사이클로프로트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할 양은 활성 성분의 조성비, 기후 조건, 제제 형태, 사용할 시간, 사용 방식, 사용할 장소, 방제할 병 등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아르당 활성 성분 0.1 내지 1000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g을 사용한다. 유화 농축액, 습윤화 산제, 현탁제, 액체 제형 등을 예정량의 물로 희석하여 사용할 경우, 희석 용액 중의 활성 성분의 농도는 0.0001 내지 0.1%이다. 입제, 산제 등은 통상적으로 물로 희석하지 않고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방제 효과를 발휘하는 벼 작물의 병은 도열병(피리큘라리아 오리재), 초 마름병(리족토니아 솔라니), 헬민토스포륨 잎 마름병(코클리오볼루스 미야베아누스), 세르코스포라 잎 마름병(스파룰리나 오리지나(Spharulina oryzina)), 줄기 썩음병(레프토스파에리아 슬라비니(Leptosphaeria slavini)), 착색 벼 등을 예를 들 수 있다.
다음은 제형예 및 시험예의 전형적인 예이다. 다음 예에서, 부는 중량 기준이다.
제형예 1: 습윤화 산제
화합물 A 1부
화합물 1 내지 24 중 하나 10부
소성 규조토 72부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5부
나프탈렌설폰산 및 포르말린의 축합 생성물 4부
함수 규산 8부
상기 성분을 함께 균질하게 혼합하고 분쇄하여 습윤화 산제를 형성시킨다.
제형예 2: 습윤화 산제
화합물 A 1부
화합물 1 내지 24 중 하나 50부
소성 규조토 32부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5부
나프탈렌설폰산 및 포르말린의 축합 생성물 4부
함수 규산 8부
상기 성분을 함께 균질하게 혼합하고 분쇄하여 습윤화 산제를 형성시킨다.
제형예 3: 습윤화 산제
화합물 A 5부
화합물 1 내지 24 중 하나 10부
소성 규조토 68부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5부
나프탈렌설폰산 및 포르말린의 축합 생성물 4부
함수 규산 8부
상기 성분을 함께 균질하게 혼합하고 분쇄하여 습윤화 산제를 형성시킨다.
제형예 4: 습윤화 산제
화합물 A 20부
화합물 1 내지 24 중 하나 1부
소성 규조토 62부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5부
나프탈렌설폰산 및 포르말린의 축합 생성물 4부
함수 규산 8부
상기 성분을 함께 균질하게 혼합하고 분쇄하여 습윤화 산제를 형성시킨다.
제형예 5: 습윤화 산제
화합물 A 20부
화합물 1 내지 24 중 하나 5부
소성 규조토 58부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5부
나프탈렌설폰산 및 포르말린의 축합 생성물 4부
함수 규산 8부
상기 성분을 함께 균질하게 혼합하고 분쇄하여 습윤화 산제를 형성시킨다.
제형예 6: 습윤화 산제
화합물 A 10부
화합물 1 내지 24 중 하나 1부
소성 규조토 72부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5부
나프탈렌설폰산 및 포르말린의 축합 생성물 4부
함수 규산 8부
상기 성분을 함께 균질하게 혼합하고 분쇄하여 습윤화 산제를 형성시킨다.
제형예 7: 입제
화합물 A 1부
화합물 1 내지 24 중 하나 20부
함수 규산 1부
칼슘 리그닌 설포네이트 2부
벤토나이트 30부
카올린 점토 46부
상기 성분을 함께 균질하게 혼합하고 분쇄한 다음, 적당량의 물과 합하여 혼련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과립화시킨 다음 건조시켜 입제를 형성시킨다.
제형예 8: 입제
화합물 A 5부
화합물 1 내지 24 중 하나 5부
함수 규산 3부
칼슘 리그닌 설포네이트 2부
벤토나이트 30부
카올린 점토 55부
상기 성분을 함께 균질하게 혼합하고 분쇄한 다음, 적당량의 물과 합하여 혼련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과립화시킨 다음 건조시켜 입제를 형성시킨다.
제형예 9: 입제
화합물 A 1부
화합물 1 내지 24 중 하나 5부
함수 규산 3부
칼슘 리그닌 설포네이트 2부
벤토나이트 30부
카올린 점토 59부
상기 성분을 함께 균질하게 혼합하고 분쇄한 다음, 적당량의 물과 합하여 혼련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과립화시킨 다음 건조시켜 입제를 형성시킨다.
제형예 10: 입제
화합물 A 4부
화합물 1 내지 24 중 하나 1부
함수 규산 1부
칼슘 리그닌 설포네이트 2부
벤토나이트 30부
카올린 점토 62부
상기 성분을 함께 균질하게 혼합하고 분쇄한 다음, 적합한 양의 물과 합하여 혼하여, 입상화시키고 건조시켜 입제를 형성시킨다.
시험예 1 도열병(피리큘라리아 오리재)에 대비한 적용에 의한 예방 효과
제형예에 따라 제조된 습윤화 산제를 예정된 농도로 물로 희석한 다음, 담수하에 포트내에서 재배한 육엽기 벼 작물(킨-메이즈)의 줄기 및 잎 위에 분무한다. 공기-건조 후에, 도열병(피리큘라리아 오리재)의 포자 현탁액을 작물에 분무하여 접종시킨다. 이후, 작물을 습윤 조건하에 20℃에서 1주일 동안 정치시킨 다음, 병소의 수를 측정하여, 다음 기준에 따른 예방 지수를 수득한다. 결과는 표 1에 제시한다.
[기준]
예방 지수 예방 효과
5 예방치 95% 이상
4 예방치 85 내지 94%
3 예방치 60 내지 84%
2 예방치 40 내지 59%
1 예방치 1 내지 39%
시험 화합물 활성 성분의 농도(ppm) 예방 지수
화합물 A + 화합물 1 10 + 500 5
화합물 A + 화합물 2 10 + 500 5
화합물 A + 화합물 3 10 + 500 5
화합물 A + 화합물 5 10 + 500 5
화합물 A + 화합물 6 10 + 500 5
화합물 A + 화합물 11 5 + 50 5
화합물 A + 화합물 13 5 + 10 5
화합물 A + 화합물 14 5 + 50 5
화합물 A + 화합물 15 5 + 50 5
화합물 A + 화합물 16 5 + 50 5
화합물 A + 화합물 17 5 + 5 5
화합물 A + 화합물 18 5 + 5 5
화합물 A + 화합물 20 5 + 5 5
화합물 A + 화합물 21 5 + 5 5
화합물 A 10 4
화합물 A 5 4
화합물 1 500 0
화합물 2 500 0
화합물 3 500 0
화합물 5 500 0
화합물 6 500 0
화합물 11 50 3
화합물 13 10 4
화합물 14 50 4
화합물 15 50 4
화합물 16 50 3
화합물 17 5 4
화합물 18 5 3
화합물 20 5 4
화합물 21 5 4
시험예 2 도열병(피리큘라리아 오리재)에 대비한 벼 담수 살포에 의한 예방 효과
1/14000 아르의 포트를 사용하여, 제형예에 따라 제조한 입제를 담수하에 재배한 육엽기 벼 작물(킨-메이즈)에 담수 살포시킨다. 처리된 포트를 온실내에 7일 동안 정치시킨 다음, 도열병(피리큘라리아 오리재)의 포자 현탁액을 작물에 분무하여 접종시킨다. 다음, 작물을 습윤 조건하에 20℃에서 1주일 동안 정치시킨 다음, 병소의 수를 측정하여, 시험예 1의 기준에 따른 예방 지수를 수득한다. 결과는 표 2에 제시한다.
시험 화합물 활성 성분의 농도(g/10a) 예방 지수
화합물 A + 화합물 1 10 + 200 5
화합물 A + 화합물 4 10 + 200 5
화합물 A + 화합물 13 10 + 10 5
화합물 A + 화합물 14 10 + 50 5
화합물 A + 화합물 22 10 + 10 5
화합물 A + 화합물 23 10 + 50 5
화합물 A + 화합물 24 10 + 50 5
화합물 A 10 3
화합물 1 200 0
화합물 4 200 0
화합물 13 10 3
화합물 14 50 3
화합물 22 10 4
화합물 23 50 3
화합물 24 50 3
시험예 3 도열병(피리큘라리아 오리재)에 대비한 살포에 의한 처리 효과
담수하에 포트내에서 재배한 육엽기 벼 작물(킨-메이즈)에 도열병(피리큘라리아 오리재)의 포자 현탁액을 분무하여 접종시킨다. 접종 후, 예정된 농도로 물로 희석한 제형예에 따른 습윤화 산제를 습윤 조건하에 20℃에서 1일 동안 작물의 줄기 및 잎 위에 분무한다. 공기-건조 후에, 작물을 습윤 조건하에 1주일 동안 정치시킨 다음, 병소의 수를 측정하여, 시험예 1의 기준에 따른 예방 지수를 수득한다. 결과는 표 3에 제시한다.
시험 화합물 활성 성분의 농도(ppm) 예방 지수
화합물 A + 화합물 19 200 + 20 5
화합물 A 200 0
화합물 19 20 4
시험예 4 초 마름병(리족토니아 솔라니)에 대비한 살포에 의한 예방 효과
예정된 농도로 물로 희석한, 제형예에 따라 제조된 습윤화 산제를 담수하에 포트내에서 재배한 십엽기 벼 작물(킨-메이즈)의 줄기 및 잎에 분무한다. 공기-건조 후, 초 마름병(리족토니아 솔라니)의 균핵을 작물의 뿌리에 접종시킨다. 이후, 작물을 습윤 조건하에 30℃에서 1주일 동안 정치시킨 다음, 병소의 수를 측정하여 시험예 1의 기준에 따른 예방 지수를 수득한다. 결과는 표 4에 제시한다.
시험 화합물 활성 성분의 농도(ppm) 예방 지수
화합물 A + 화합물 1 200 + 10 4
화합물 A + 화합물 2 200 + 10 3
화합물 A + 화합물 3 200 + 10 4
화합물 A + 화합물 5 200 + 10 4
화합물 A + 화합물 6 200 + 10 4
화합물 A + 화합물 7 200 + 10 3
화합물 A + 화합물 13 200 + 10 4
화합물 A + 화합물 14 200 + 50 4
화합물 A 200 0
화합물 1 10 3
화합물 2 10 2
화합물 3 10 3
화합물 5 10 3
화합물 6 10 3
화합물 7 10 2
화합물 13 10 3
화합물 14 50 3
시험예 5 초 마름병(리족토니아 솔라니)에 대비한 벼 담수 살포에 의한 예방 효과
1/8000 아르의 포트를 사용하여, 예정된 농도로 물로 희석한, 제형예에 따라 제조한 화합물을 담수하에 재배한 십엽기 벼 작물(킨-메이즈)에 담수 살포시킨다. 처리된 포트를 온실내에 7일 동안 정치시킨 다음, 초 마름병(리족토니아 솔라니)의 균핵을 작물의 뿌리에 접종시킨다. 다음, 작물을 습윤 조건하에 30℃에서 1주일 동안 정치시킨 다음, 병소의 수를 측정하여, 시험예 1의 기준에 따른 예방 지수를 수득한다. 결과는 표 5에 제시한다.
시험 화합물 활성 성분의 농도(g/10a) 예방 지수
화합물 A + 화합물 8 200 + 10 4
화합물 A + 화합물 9 200 + 10 3
화합물 A + 화합물 10 200 + 10 4
화합물 A + 화합물 11 200 + 10 4
화합물 A + 화합물 12 200 + 10 4
화합물 A 200 0
화합물 8 10 3
화합물 9 10 3
화합물 10 10 3
화합물 11 10 3
화합물 12 10 3
시험예 6 헬민토스포륨 잎 마름병(코클리오볼루스 미야베아누스)에 대비한 살포에 의한 예방 효과
예정된 농도로 물로 희석한, 제형예에 따라 제조된 습윤화 산제를 담수하에 포트내에서 재배한 육엽기 벼 작물(킨-메이즈)의 줄기 및 잎에 분무한다. 공기-건조 후, 헬민토스포륨 잎 마름병(코클리오볼루스 미야베아누스)의 포자 현탁액을 뿌리에 분무하여 접종시킨다. 접종 후, 작물을 습윤 조건하에 20℃에서 1주일 동안 정치시킨 다음, 병소의 수를 측정하여 시험예 1의 기준에 따른 예방 지수를 수득한다. 결과는 표 6에 제시한다.
시험 화합물 활성 성분의 농도(ppm) 예방 지수
화합물 A +화합물 8 200 + 10 4
화합물 A +화합물 9 200 + 10 4
화합물 A +화합물 10 200 + 10 4
화합물 A +화합물 11 200 + 10 4
화합물 A +화합물 12 200 + 10 4
화합물 A +화합물 13 200 + 10 4
화합물 A +화합물 14 200 + 50 4
화합물 A 200 0
화합물 8 10 3
화합물 9 10 3
화합물 10 10 3
화합물 11 10 3
화합물 12 10 3
화합물 13 10 3
화합물 14 50 3
N-(1-시아노-1,2-디메틸프로필)-2-(2,4-디클로로페녹시)프로판아미드를 살진균 활성 화합물과 혼합 사용함으로써 상조 작용 및 살진균 스펙트럼의 확대에 의해 벼의 병해를 방제하는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활성 성분으로서, N-(1-시아노-1,2-디메틸프로필)-2-(2,4-디클로로페녹시)프로판아미드와 살진균 활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벼 작물용 살진균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살진균 활성 화합물이 α,α,α-트리플루오로-3'-이소프로폭시-O-톨루아닐리드, 3'-이소프로폭시-2-메틸벤즈아닐리드, N-(2,6-디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2-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카복스아미드, 5-클로로-1,3-디메틸-N-(1,1-디메틸-2-옥사-4-인다닐)-피라졸-4-카복스아미드, 발리다마이신, 1-(4-클로로벤질)-1-사이클로펜틸-3-페닐우레아, 6-(3,5-디클로로-4-메틸페닐)-3(2H)-피리다지논, 3-(3,5-디클로로페닐)-N-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카복스아미드, 2-p-클로로페닐-2-(1H-1,2,4-트리아졸-1-일메틸)헥산니트릴, (RS)-2-(2,4-디클로로페닐)-1-(1H-1,2,4-트리아졸-1-일)-헥산-2-올, (Z)-2'-메틸아세토페논 4,6-디메틸피리미딘-2-일하이드라존, 1,1'-이미노디(옥타메틸렌)디구아니디늄 트리아세테이트, 메틸 (E)-2-{2-[6-(2-시아노페녹시)피리미딘-4-일옥시]페닐}-3-메톡시-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이미노-N-메틸-2-(2-페녹시)페닐-아세트아미드, 디이소프로필-1,3-디티올란-2-일리덴말로네이트, O-에틸-S,S-디페닐디티오포스페이트, 5-메틸-1,2,4-트리아졸로[3,4-b]벤조티아졸, 4,5,6,7-테트라-클로로프탈라이드, 카수가마이신, N-[1-(4-클로로페틸)에틸]-2,2-디클로로-1-에틸-3-메틸-사이클로프로판카복스아미드, N-[1-(2,4-디클로로페틸)에틸]-2-시아노-3,3-디메틸부탄아미드, 1,2,5,6-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3,2,1-i,j)퀴놀린-4-온, 3-알릴옥시-1,2-벤조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 또는 S-메틸-벤조(1,2,3)-티아디아졸-7-카보티올레이트인 벼 작물용 살진균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살진균 활성 화합물의 함량이 N-(1-시아노-1,2-디메틸프로필)-2-(2,4-디클로로페녹시)프로피온산 아미드 1중량부당 0.01 내지 1000중량부인 벼 작물용 살진균제 조성물.
  4. 벼를 N-(1-시아노-1,2-디메틸프로필)-2-(2,4-디클로로페녹시)프로판아미드와 살진균 활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벼 작물용 살진균제 조성물로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벼 작물 병 방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살진균 활성 화합물이 α,α,α-트리플루오로-3'-이소프로폭시-O-톨루아닐리드, 3'-이소프로폭시-2-메틸벤즈아닐리드, N-(2,6-디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2-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카복스아미드, 5-클로로-1,3-디메틸-N-(1,1-디메틸-2-옥사-4-인다닐)-피라졸-4-카복스아미드, 발리다마이신, 1-(4-클로로벤질)-1-사이클로펜틸-3-페닐우레아, 6-(3,5-디클로로-4-메틸페닐)-3(2H)-피리다지논, 3-(3,5-디클로로페닐)-N-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카복스아미드, 2-p-클로로페닐-2-(1H-1,2,4-트리아졸-1-일메틸)헥산니트릴, (RS)-2-(2,4-디클로로페닐)-1-(1H-1,2,4-트리아졸-1-일)-헥산-2-올, (Z)-2'-메틸아세토페논 4,6-디메틸피리미딘-2-일하이드라존, 1,1'-이미노디(옥타메틸렌)디구아니디늄 트리아세테이트, 메틸 (E)-2-{2-[6-(2-시아노페녹시)피리미딘-4-일옥시]페닐}-3-메톡시-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이미노-N-메틸-2-(2-페녹시)페닐-아세트아미드, 디이소프로필-1,3-디티올란-2-일리덴말로네이트, O-에틸-S,S-디페닐디티오포스페이트, 5-메틸-1,2,4-트리아졸로[3,4-b]벤조티아졸, 4,5,6,7-테트라-클로로프탈라이드, 카수가마이신, N-[1-(4-클로로페틸)에틸]-2,2-디클로로-1-에틸-3-메틸-사이클로프로판카복스아미드, N-[1-(2,4-디클로로페틸)에틸]-2-시아노-3,3-디메틸부탄아미드, 1,2,5,6-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3,2,1-i,j)퀴놀린-4-온, 3-알릴옥시-1,2-벤조이소티아졸-1,1-디옥사이드 또는 S-메틸-벤조(1,2,3)-티아디아졸-7-카보티올레이트인 벼 작물 병 방제 방법.
KR1019990027427A 1998-07-10 1999-07-08 벼 작물용 살진균제 조성물 및 벼 작물 병 방제 방법 KR100663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564898A JP3467639B2 (ja) 1998-07-10 1998-07-10 水稲用殺菌組成物及び防除方法
JP98-195648 1998-07-10
US09/339,791 US6469059B1 (en) 1998-07-10 1999-06-24 Fungicid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disease control of paddy-rice pl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571A true KR20000011571A (ko) 2000-02-25
KR100663045B1 KR100663045B1 (ko) 2007-01-02

Family

ID=26509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427A KR100663045B1 (ko) 1998-07-10 1999-07-08 벼 작물용 살진균제 조성물 및 벼 작물 병 방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69059B1 (ko)
JP (1) JP3467639B2 (ko)
KR (1) KR100663045B1 (ko)
CN (1) CN100364396C (ko)
BR (1) BR9902665B1 (ko)
TW (1) TW4422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3373A1 (de) * 2003-07-23 2005-02-10 Bayer Ag Fungizide Wirkstoffkombinationen
CN101690483B (zh) * 2009-06-27 2012-11-14 深圳诺普信农化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三唑类化合物的杀菌组合物
CN101707998A (zh) * 2009-11-18 2010-05-19 青岛奥迪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灭锈胺和丙环唑的杀菌组合物
JP5720137B2 (ja) * 2010-08-04 2015-05-20 住友化学株式会社 有害節足動物防除組成物及び有害節足動物の防除方法
KR102090092B1 (ko) * 2011-08-19 2020-03-17 바스프 에스이 벼논을 위한 배합물
CN102405915B (zh) * 2011-11-17 2015-10-21 湖南农大海特农化有限公司 一种含有噻呋酰胺和腈菌唑的杀菌组合物及其应用
CN102754661A (zh) * 2012-07-31 2012-10-31 潘登 防治稻瘟病的组合杀菌剂及其使用方法
CN103918652A (zh) * 2014-03-31 2014-07-16 海利尔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啶氧菌酯与稻瘟酰胺的杀菌组合物
CN105076152B (zh) * 2015-08-31 2017-05-31 河北中天邦正生物科技股份公司 一种杀菌剂组合物及其应用
CN105284857A (zh) * 2015-11-27 2016-02-03 京博农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稻瘟酰胺与异菌脲复配的杀菌组合物
CN106070224A (zh) * 2016-06-23 2016-11-09 江苏省绿盾植保农药实验有限公司 一种含有稻瘟酰胺和嘧菌酯复配的杀菌组合物及其应用
CN106614672A (zh) * 2016-12-16 2017-05-10 张宗斌 一种应用于旱育秧的农药颗粒剂
CN107242240A (zh) * 2017-06-30 2017-10-13 江苏省绿盾植保农药实验有限公司 一种含有烯丙苯噻唑和稻瘟酰胺的复配杀菌剂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1632A (en) * 1974-11-25 1976-05-28 Nihon Nohyaku Co Ltd Hoimochibyo oyobi unkaruino bojohoho
DE3783415D1 (de) * 1986-08-29 1993-02-18 Shell Int Research Aryloxycarbonsaeurederivat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5409951A (en) * 1990-06-15 1995-04-25 Novo Nordisk A/S Fungicidally active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42260B (en) 2001-06-23
BR9902665B1 (pt) 2010-12-28
JP2000026213A (ja) 2000-01-25
US6469059B1 (en) 2002-10-22
CN100364396C (zh) 2008-01-30
KR100663045B1 (ko) 2007-01-02
JP3467639B2 (ja) 2003-11-17
BR9902665A (pt) 2001-01-09
CN1244342A (zh) 200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7996B2 (ja) アミド化合物とテトラクロロイソフタロニトリルに基づく殺菌剤混合物
KR100663045B1 (ko) 벼 작물용 살진균제 조성물 및 벼 작물 병 방제 방법
AU753485B2 (en) Fungicide mixtures based on amide compounds and pyridine derivatives
NZ522341A (en) Method for inducing viral resistance in plants
JPH04235104A (ja) 殺虫・殺ダニ剤組成物
CN1915020B (zh) 水稻作物的杀真菌组合物和水稻作物的病害防治方法
JPH07330512A (ja) 殺菌剤組成物
RU2042327C1 (ru) Фунгицид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грибками
JPS6368505A (ja) 農業用殺虫殺菌組成物
KR100334349B1 (ko) 살진균제 조성물
KR100478401B1 (ko) 살진균및살충조성물
RU2818416C2 (ru) Способы контроля или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заражения растений кукурузы фитопатогенными микроорганизмами
JPH0796482B2 (ja) 農業用殺虫殺菌剤組成物
KR100387586B1 (ko) 살진균활성 화합물의 배합물
KR100309896B1 (ko) 농/원예용살균조성물
KR0168853B1 (ko) 살진균 및 살충 조성물
JPH0784363B2 (ja) 農業用の殺虫殺菌組成物
MXPA99006366A (en) Fungicide compositions for rice-rice plants and methods for control of rice diseases-ar plants
CA1208126A (en) Method for controlling whiteflies, and psyllids and suckers
KR20020073087A (ko) 신규한 살충 및 살진균 조성물
JP3566001B2 (ja) 殺菌・殺カビ活性化合物の組合せ
KR920010297B1 (ko) 농업 및 원예용 살진균 조성물
KR100314196B1 (ko) 농원예용살진균제조성물
KR100330692B1 (ko) 농업용 살충 및 살진균 조성물
AU2006201406B2 (en) Fungicide mixtures based on amide compounds and pyridine deriva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