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527A - 선별 계량기 - Google Patents

선별 계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527A
KR20000008527A KR1019980028379A KR19980028379A KR20000008527A KR 20000008527 A KR20000008527 A KR 20000008527A KR 1019980028379 A KR1019980028379 A KR 1019980028379A KR 19980028379 A KR19980028379 A KR 19980028379A KR 20000008527 A KR20000008527 A KR 20000008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unit
value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우
Original Assignee
한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우 filed Critical 한성우
Priority to KR1019980028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8527A/ko
Publication of KR20000008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52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28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electrical contro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3/00Testing, sorting or cleaning eggs ; Conveying devices ; Pick-up devices
    • A01K43/04Grading eggs
    • A01K43/08Grading eggs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81Sorting of food i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9Sorting of fr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별 계량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계량된 물품의 등급을 표시함과 동시에 이를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무게감지 센서와, 상기 무게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값을 증폭하여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중앙처리장치로 출력하는 신호전송부와, 무게감지 센서에 의해 센싱된 값을 표시하는 제1표시기와 키입력부에서 입력된 제한값을 표시하는 제2표시기로 구성되는 표시부와, 키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제한값과 센서에 의해 계량된 값을 비교하여 등급을 정한 후 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로 구성되는 선별장치 및 그 방법.

Description

선별 계량기
본 발명은 선별 계량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계량된 물품의 등급을 표시기에 표시함과 동시에 이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청각적으로 재인식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과일, 구근 및 계란등의 물품은 그 크기에 따라 등급으로 분류되어지며 등급에 따라 가격에 큰 차이가 나므로 서로 비슷한 크기나 무게별로 분류하여 판매하게 된다.
이러한 분류 과정에서 종전에는 목측에 의존하거나 또는 선별기를 이용하여 선별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주로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물품의 크기별로 분류 하였다.
그러나 크기별로 물품을 분류하는 기계식 선별기는 선별하고자 하는 물품에 따라 각 물품의 크기를 구분하기 위한 지그(JIG)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하나의 물품만을 선별할 수밖에 없어 하나의 선별기로 다른 물품의 선별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예를들어 계란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기를 이용하여 사과 또는 배등의 과일을 선별할 수 없으며, 사과를 선별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계란을 선별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선별하고자하는 물품에 따라 여러 가지 선별기를 사용하여야 함에 따라 사용에 불편이 있으며 또한 지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선별하는 경우 오동작이 많아 정확한 선별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선별을 요하는 다양한 물품을 하나의 선별 계량기를 사용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 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용기에서 들어낸 물품의 무게를 감지하여 물품의 등급을 표시기에 표시하므로써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함과 동시에 선별한 물품의 등급을 음성으로 확인하여 줌으로써 청각적으로 재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선별을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선별하고자 하는 물품을 무게별로 감지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선별을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계량하고자 하는 물품의 등급을 작은 무게차이로 세분화 할 수 있어 분류등급을 정확히 책정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게감지 센서와, 상기 무게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값을 증폭하여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중앙처리장치로 출력하는 신호전송부와, 무게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값을 표시하는 제1표시기와 키입력부에서 입력된 제한값을 표시하는 제2표시기로 구성되는 표시부와, 키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제한값과 센서에 의해 계량된 값을 비교하여 등급을 정한 후 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흐름도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무게감지 센서 10와, 상기 무게감지 센서 10에 의해 감지된 값을 증폭하여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중앙처리장치 100로 출력하는 신호전송부 20와, 상기 무게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값을 표시하는 제1표시기 31과 키입력부 40에서 입력된 제한값을 표시하는 제2표시기 32로 구성되는 표시부 30와, 키 입력부 40에서 입력되는 제한값과 센서에 의해 계량된 값을 비교하여 등급을 정한 후 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50로 구성되며, 상기 신호 전송부 20는 신호 증폭기 21와 A/D 변환기 22로 구성되며, 음성 출력부50는 음성기억부 51, 증폭기 52, 음량조절부 53및 스피커 54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 2를 참조하여 각모드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A를 참조하여 무게감지를 할 경우에는 무게감지 센서에 올려진 물품의 무게를 센서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증폭부에서 증폭한후 A/D 변환기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중앙처리장치로 출력한다. 중앙처리장치에서는 센서에서 입력된 신호값에 따라 표시부의 제1표시부에 신호를 출력하여 현재의 무게를 표시하게 된다. 즉 통상적인 저울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선별기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무게감지 센서에 올려진 물품용기에서 하나의 물품을 들어내면 현재 들어올린 물품의 무게를 인식하여 그 물품이 몇등급에 해당하는 물품인가를 표시하여 선별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무게감지 센서의 영점을 조절한후 무게감지 센서에 올려지는 물품을 담는 용기만을 올려놓고 용기의 무게를 측정한다.
이후 용기의 무게를 영점으로 조절할 것인가를 판단하게 되는데 이때 용기의 무게는 거의 동일하므로 용기가 올려진 상태에서 영점을 맞춘다.
이후 키입력부에서 선별키를 입력한후 각물품의 제한값을 설정하여 각 등급에 맞는 무게를 순서별로 순차적으로 입력하면 제 2표시기에는 각 등급에 해당하는 무게값이 표시된다.
이후 용기에 담긴 물품은 하나씩 꺼내어 들어내어진 물품의 무게를 감지하여 이 물품의 등급을 제2표시기에 표시함과 동시에 이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를 도 2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용기의 무게를 영점으로 조절할 것인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용기의 무게를 영점 조절하는 과정일 경우에는 용기의 영점을 조절하며, 영점조절을 하지 않을 경우 물품의 무게별로선별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선별과정이 아닐 경우 초기과정을 수행하며 선별과정일 경우 제 2표시부의 표시값을 삭제하는 과정과, 무게감지 센서에서 입력되는 무게값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무게값이 감소 하였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무게값의 변화가 없을시 표시과정을 수행하고 무게값이 감소하였을시 제한값을 비교하여 물품의 등급을 결정하는 과정과, 등급에 따라 제 1표시기에 등급을 표시하는 램프를 점등하고, 상기 등급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을 본 발명의 구성과 연결하여 설명하면 무게감지 센서의 영점을 조절하는 과정은 통상적인 저울의 영점조절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선별하고자 하는 물품의 담기는 용기의 무게를 계량하여 용기의 무게를 영점으로 할것인가를 설정하게 되는데 이는 통상적으로 동일한 용기를 사용하므로 동일한 무게값을 가지며 하나의 용기에 담긴 물품의 선별이 완료 되면 다른 용기에 담긴 물품을 계량센서에 올리므로 동일한 용기값을 재차 계량하고 수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때 용기의 영점을 조절하지 않을 경우 선별할 것인가를 판단하여 제 2표시부에 표시된 값을 삭제한다.
이후 용기에 물품을 하나 들어내게 되면 들어낸 물품의 무게값만큼 무게가 감소함에 따라 중앙처리장치에서 감소된 무게값을 판단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판단된 값이 최초 키입력부에서 제 1표시부에 입력된 다수의 등급중 어느 등급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하여 해당 등급에 해당하는 등급의 램프를 점등하여 해당 등급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해당 등급을 출력하여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음성기억부에 입력되어 해당 등급의 소리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며 이 신호는 증폭부에서 증폭되어져 스피커를 통해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음성신호를 음량 조절부에서 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선별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하나의 물품에 대하여 선별작업을 완료하고 물품성이 다른 물품을 선별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은 도 3C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정모드키를 입력하는 과정과 수정된 제한값을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수정값이 입력되면 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수정값은 제2표시부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위와같이 제한값을 간편히 조절할 수 있으며 이후에는 다른 물품의 제한값에 따라 물품을 선별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물품의 선별모드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별을 요하는 다양한 물품을 하나의 선별 계량기를 사용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용기에서 들어낸 물품의 무게를 감지하여 물품의 등급을 표시기에 표시하므로써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함과 동시에 선별한 물품의 등급을 음성으로 확인하여 줌으로써 청각적으로 재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선별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물품의 무게를 감지하여 무게별로 선별하는 선별 계량기에 있어서,
    무게감지 센서와, 상기 무게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값을 중앙처리장치로 출력하는 신호전송부와, 무게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값을 표시하는 제1표시기와 키입력부에서 입력된 제한값을 표시하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해당 등급을 표시하는 제2표시기로 구성되는 표시부와, 키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제한값과 센서에 의해 계량된 값을 비교하여 등급을 정한 후 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선별 계량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부는 무게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계량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음성 출력부는 음성기억부와, 상기 음성기억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조절하는 음량조절부와, 스피커 5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계량기.
  4. 용기에 담긴 물품을 무게에 따라 여러 등급으로 선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용기의 무게를 영점으로 조절할 것인가 판단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에서 용기의 무게를 영점 조절하는 과정일 경우에는 용기의 영점을 조절하며, 영점조절을 하지 않을 경우 물품의 무게별로선별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에서 선별과정이 아닐 경우 초기과정을 수행하며 선별과정일 경우 제 2표시부의 표시값을 삭제하고, 무게감지 센서에서 입력되는 무게값을 감지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제 3과정에서 무게값이 감소 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제 4과정에서 무게값의 변화가 없을시 무게값 표시과정을 수행하고 무게값이 감소하였을시 제한값을 비교하여 물품의 등급을 결정하는 제 5과정과,
    상기 제 5과정에서 결정된 등급에 따라 제 1표시기에 등급을 표시하는 램프를 점등하고, 상기 등급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 6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계량 선별 방법.
KR1019980028379A 1998-07-14 1998-07-14 선별 계량기 KR20000008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379A KR20000008527A (ko) 1998-07-14 1998-07-14 선별 계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379A KR20000008527A (ko) 1998-07-14 1998-07-14 선별 계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527A true KR20000008527A (ko) 2000-02-07

Family

ID=19544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379A KR20000008527A (ko) 1998-07-14 1998-07-14 선별 계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852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983A (ko) * 2001-12-29 2003-07-07 김재일 음성 선별기
KR100450336B1 (ko) * 2001-12-12 2004-09-30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음성출력식 선과기 및 그 구동방법
KR100604254B1 (ko) * 2004-03-23 2006-07-28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선과기
KR100788824B1 (ko) * 2006-06-09 2007-12-2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주조용 주물 자동장입을 위한 계량장치 및 이를 이용한장입 계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336B1 (ko) * 2001-12-12 2004-09-30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음성출력식 선과기 및 그 구동방법
KR20030057983A (ko) * 2001-12-29 2003-07-07 김재일 음성 선별기
KR100604254B1 (ko) * 2004-03-23 2006-07-28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선과기
KR100788824B1 (ko) * 2006-06-09 2007-12-2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주조용 주물 자동장입을 위한 계량장치 및 이를 이용한장입 계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503879A (ja) 伝達特性がわかっていない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特に抵抗点溶接用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について自動的にパラメータを確定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KR20000008527A (ko) 선별 계량기
JP3226974B2 (ja) 動的計量装置の計量条件決定装置
JP5890140B2 (ja) 計量装置
JP2005121410A (ja) 重量検査装置
JPH0743196A (ja) 組合せ秤における計量信号の安定時間チェック装置
JPH025248B2 (ko)
JP4364918B2 (ja) 商品処理装置
JP6995444B2 (ja) 自動はかり
JP4024924B2 (ja) 商品処理装置
KR100307931B1 (ko) 과일선별기의중량검출/선별장치
JP2706836B2 (ja) 重量選別装置
JP2994305B2 (ja) 物品分類判定装置及びその判定方法
JPS584770B2 (ja) フクスウノ イシユブツピンセンベツヨウウエイトチエツカ−
JP3202817B2 (ja) 多品種選別装置
JP2706838B2 (ja) 重量選別装置
JP2005249406A (ja) 組合せ計量装置
JPS6220095B2 (ko)
JPH06347314A (ja) 製品区分け用秤
JPH0557253A (ja) 計量装置
JPH03285123A (ja) 重量選別装置
JPH08122138A (ja) 計量装置
JPS62259196A (ja) 硬貨判別方法
JPH034273B2 (ko)
JP2017202457A (ja) 物品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