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844A - 배관용 플랜지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용 플랜지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844A
KR20000006844A KR1019990049133A KR19990049133A KR20000006844A KR 20000006844 A KR20000006844 A KR 20000006844A KR 1019990049133 A KR1019990049133 A KR 1019990049133A KR 19990049133 A KR19990049133 A KR 19990049133A KR 20000006844 A KR20000006844 A KR 20000006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connection
coupl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7230B1 (ko
Inventor
신상호
Original Assignee
신상호
주식회사 코리아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호, 주식회사 코리아정공 filed Critical 신상호
Priority to KR1019990049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230B1/ko
Publication of KR20000006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2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산업현장이나 조선소, 자동화설비 등에 설치되는 배관용 플랜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파이프 등 배관의 선단에 취부되는 플랜지를 용접공법으로 취부하지 않고 분해결합식으로 연결하므로서 자재의 손실과 작업의 공정 등을 최소화하고, 특히 연결되는 플랜지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의 능률성을 일층 향상함은 물론 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원가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개의 연결공(11)을 갖는 플랜지(10)의 중앙에 양면이 관통되게 경사면(12)을 형성하여 확관부(31)가 형성된 배관용 파이프(30)를 끼움으로 연결하고, 상기 파이프(30)의 확관부(31)와 일치되는 경사면(21)에 오링(22)이 결합된 연결구(20)를 결합하며, 타측에는 밀폐용 실(Seal:42)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23)을 형성하여 각 파이프(30)의 확관부(31)에 의해 연결가능하게 하여 볼트(40)와 너트(41) 등의 수단으로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용 플랜지의 연결장치{coupling device of flange for piping}
본 발명은 각종 산업현장이나 조선소, 자동화설비 등에 설치되는 배관용 플랜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파이프 등 배관의 선단에 취부되는 플랜지를 용접공법으로 취부하지 않고 분해결합식으로 연결하므로서 자재의 손실과 작업의 공정 등을 최소화하고, 특히 연결되는 플랜지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의 능률성을 일층 향상함은 물론 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원가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이나 조선소, 자동화설비 등 다양한 장소에는 파이프로 배관을 하여 용도에 따라 기름이나 물, 공기 또는 화학약품 등을 자동으로 이송하는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파이프로 배관을 함에 있어서는 각 파이프끼리 플랜지에 의해 연결하는 경우와 파이프와 기계(또는 각종 장비 등)를 연결하는 경우로 대별할 수 있다.
즉, 배관의 파이프끼리 연결할 경우는 각 파이프의 선단에 연결을 위한 플랜지를 용접공법으로 취부하여 반대편의 대응하는 대칭형의 플랜지와 맛댄 상태에서 볼팅 등의 수단으로 연결하는 방법과, 파이프의 선단에 플랜지를 용접공법으로 취부하여 상기 플랜지를 기계의 연결부위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팅 등의 수단으로 연결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관시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경우나 파이프와 기계를 연결하는 경우는 공히 하기와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 양자의 경우 공히 배관을 하기 위한 파이프의 선단에 플랜지를 취부하기 위해서는 파이프의 규격에 부합되는 구멍이 천공된 플랜지를 구비하여 방사상으로 연결공을 각각 천공하고, 상기 플랜지와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플랜지의 중앙에 천공된 구멍의 내부에 적정의 깊이로 파이프를 결합한 상태에서 내측부에 용접을 하여 고정을 한 다음 반대편의 외주연에 용접을 하므로서 일체적으로 취부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플랜지와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 용접을 할 시에는 용접시에 유해한 가스가 발생하게 되어 환경을 오염시킴은 물론 장시간 용접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시 비드위에 슬래그가 쌓이게 되어 용접후 이를 제거하게 되면 이물질이 발생하여 주위를 오손하게 되며, 특히 금속의 특수성에 의해 용접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해 금속자체에 변형이 발생하게 되므로 기밀을 요하는 배관용 파이프의 수명 단축은 물론 누유나 누수 등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용접을 하게 되면 용접부위에는 비드가 생기게 되어 장기간 사용시 용접부위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게 되므로 반드시 용접부위를 매끈하게 가공하여야 하는 등의 공정이 부가되어 제작상의 난점과 아울러 연마공정의 부가로 인한 작업의 능률성이 크게 저하되고, 이로 인해 코스트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숙련된 용접공이 아닐 경우는 불량용접의 원인이 되며, 항상 고도의 숙련된 용접공이 작업하여야 하므로 인건비의 소요 역시 과도하게 지출되는 등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용접의 공법으로 배관을 위한 파이프의 선단에 플랜지를 고정하게 되면 플랜지가 임의로 가변될 수 없으므로 대응되는 파이프나 기계에 취부된 플랜지의 위치 내지는 연결부위측 연결공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조립이 불가능하여 연결작업을 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플랜지가 각각 대응되게 정확하게 접지되지 못할 경우는 연결공의 위치가 어긋나게 되어 조립작업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상기 용접으로 인한 플랜지와 파이프를 동시에 절단하여 폐기해야 하므로 자재의 손실이 다대할 뿐만 아니라 고가인 플렌지를 재활용할 수가 없게 되어 경제성 면에서 매우 비합리적인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문제점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경우나 파이프와 기계를 연결하는 경우 공히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누수나 누유를 방지하면서 견고한 연결 또는 기밀성이 뛰어나면서도 연결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배관용 플랜지를 연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종 산업현장이나 조선소, 자동화설비 등에 설치되는 배관용 파이프의 선단에 취부되는 플랜지를 용접공법으로 취부하지 않고 분해결합식으로 연결하므로서 자재의 손실과 작업의 공정 등을 최소화하고, 특히 연결되는 플랜지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의 능률성을 일층 향상함은 물론 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원가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배관을 하기 위한 파이프의 선단부에 취부되는 플랜지를 용접공법으로 취부하지 않고 별도의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므로서 상기 플랜지가 자체적으로 유동이 가능하여 대응하는 플랜지의 연결위치나 연결조건에 관계없이 매우 용이하게 연결이 가능하고, 특히 불량연결시 종래와 같이 플랜지와 파이프를 절단하여 폐기하는 현상을 지양하여 상호 분리한 후 플랜지는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귀중한 자재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한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배관용 플랜지(10)의 연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수개의 연결공(11)을 갖는 플랜지(10)의 중앙에 양면이 관통되게 경사면(12)을 형성하여 이에는 적정의 각도로 확관부(31)가 형성된 배관용 파이프(30)를 끼움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파이프(30)의 확관부(31)와 일치되는 경사면(21)이 구비된 연결구(20)를 구비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게 하되, 상기 연결구(20)의 경사면(21)에는 오링(O-Ring:22)을 결합하여 밀폐력을 증대하며, 타측에는 밀폐용 실(Seal:42)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23)을 형성하여 각 파이프(30)의 확관부(31)에 의해 밀폐력을 증대함과 아울러 상호 연결가능하게 하여 볼트(40)와 너트(41) 등의 수단으로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전체적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보인 일부절결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일부절결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일부절결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플랜지 11 : 연결공
12 : 경사면
20 : 연결구 21 : 경사면
22 : 오링 23 : 결합홈
30 : 파이프 31 : 확관부
40 : 볼트 41 : 너트
42 : 실(Seal)
50 : 단턱부 51 : 요환부
52 : 연결링
60 : 평면부 61 :가스켓
본 발명은 주로 각종 산업현장이나 조선소, 자동화설비 등에 설치되는 배관용 플랜지(10)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파이프(30)의 선단에 플랜지(10)를 용접고정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탈피하여 파이프(30)와 플랜지(10)를 분해 결합식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한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수개의 연결공(11)을 갖는 플랜지(10)의 중앙에 양면이 관통되게 경사면(12)을 형성하여 이에는 적정의 각도로 확관부(31)가 형성된 배관용 파이프(30)를 끼움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파이프(30)의 확관부(31)와 일치되는 경사면(21)이 구비된 연결구(20)를 구비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게 하되, 상기 연결구(20)의 경사면(21)에는 오링(O-Ring:22)을 결합하여 밀폐력을 증대하며, 타측에는 밀폐용 실(Seal:42)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23)을 형성하여 각 파이프(30)의 확관부(31)에 의해 밀폐력을 증대함과 아울러 상호 연결가능하게 하여 볼트(40)와 너트(41) 등의 수단으로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상기에서는 각 플랜지(10)를 연결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플랜지(10)와 기계를 연결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 경우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고, 플랜지(10)와 연결되는 기계에는 상기 플랜지(10)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공이 천설되어 있으므로 일측의 파이프(30)를 결합한 상태에서 볼트(40)로서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 중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항은 동일하고, 파이프(30)의 연결되는 부위에 환형의 요환부(51)를 형성하여 이에는 일측이 개구된 연결링(52)을 탄력설치하고, 수개의 연결공(11)이 천설된 플랜지(10)의 중앙에는 양면이 관통되는 단턱부(50)를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30)를 끼움으로 결합하면 일측이 개구된 연결링(52)이 상기 플랜지(10)의 단턱부(50)에 걸리게 되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 중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역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항은 동일하고, 파이프(30)의 선단에 외향으로 절곡된 평면부(60)를 형성하여 상호 대응되는 접지면에 가스켓(61)을 접합한 상태에서 플랜지(10)를 맛대고 연결공(11)을 통해 볼트(40)와 너트(41) 등의 수단으로 상호 연결하므로서 밀폐력을 최대한 보장하면서도 분해 결합이 용이하여 일거양득의 효과를 득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각각을 연결하는 파이프(30)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배관을 위한 파이프(30)와 기계를 연결하는 경우 역시 동일한 것으로, 즉 기름이나 물 또는 약품 등을 이송하는 기계의 연결부위에는 플랜지(10)를 결속할 수 있는 연결공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일측의 파이프(30) 대신에 기계에 바로 연결하면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발명은 각종 산업현장이나 조선소, 자동화설비 등에 설치되는 배관용 파이프(30)의 선단에 취부되는 플랜지(10)를 용접공법으로 취부하지 않고 분해결합식으로 연결하므로서 자재의 손실과 작업의 공정 등을 최소화하고, 특히 연결되는 플랜지(1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의 능률성을 일층 향상함은 물론 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원가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배관을 하기 위한 파이프(30)의 선단부에 취부되는 플랜지(10)를 용접공법으로 취부하지 않고 별도의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므로서 상기 플랜지(10)가 자체적으로 유동이 가능하여 대응하는 플랜지(10)의 연결위치나 연결조건에 관계없이 매우 용이하게 연결이 가능하고, 특히 불량연결시 종래와 같이 플랜지(10)와 파이프(30)를 절단하여 폐기하는 현상을 지양하여 상호 분리한 후 플랜지(10)는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귀중한 자재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한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배관을 할 시 파이프(30)끼리 연결하거나 파이프(30)와 기계를 연결하는 경우를 들 수 있는데 각각 연결방법이 동일하므로 본 발명은 편의상 파이프(30)끼리 연결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배관을 할 경우는 먼저 파이프(30)의 선단에 확관부(31)를 형성한 후 플랜지(10)를 반대편에서 끼우거나 또는 파이프(30)에 플랜지(10)를 끼운 상태에서 확관부(31)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양자 공히 동일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30)의 선단에 확관부(31)를 형성한 후 플랜지(10)를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파이프(30)의 선단에 형성된 확관부(31)의 반대편에서 플랜지(10)를 끼우게 되면 플랜지(10)의 경사면(12)과 확관부(31)가 일치되게 결합이 되고, 상기 파이프(30)의 확관부(31) 내부에 경사면(21)이 형성된 연결구(20)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 연결구(20)의 경사면(21)에는 오링(22)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확관부(31)와 연결구(20) 사이에는 양호한 밀폐력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대응되게 파이프(30)의 확관부(31)에 연결구(20)의 경사면(21)에 의해 결합이 되면 상기 각 연결구(20)의 경사면(21) 반대편에는 환형의 결합홈(2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합홈(23)에는 링 타입의 실(Seal:42)을 결합하여 각 연결구(20)를 맛댄 상태에서 파이프(30)의 외주연에 끼움으로 결합된 플랜지(10)를 각각 마주보게 당겨서 상기 플랜지(10)의 연결공(11)을 통해 볼트(40)와 너트(41) 등의 결속수단으로 체결하게 되면 견고하게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을 하는 과정에서 파이프(30)가 뒤틀리거나 위치가 변할 경우도 파이프(30)의 선단에 취부되는 플랜지(10)가 용접으로 고정된 것이 아니고 가변이 가능하게 끼움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플랜지(10)를 상호 일치되게 돌려서 각 연결공(11)이 일치되면 볼트(40)나 너트(41) 등의 결속수단으로 체결이 가능하여 불량연결이 발생할 염려를 방지할 수 있다.
즉 기존의 경우는 용접방식으로 파이프(30)의 선단에 플랜지(10)를 고정하므로서 조립시 각 플랜지(10)의 각도가 정확하지 않아 연결공(11)이 일치하지 않게 되면 파이프(30)를 절단하여 다시 용접을 하게 되므로 작업의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귀중한 자재를 낭비하게 되고 특히 불량연결이 발생하여 누유나 누수가 발생하여 매우 비합리적이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파이프(30)의 확관부(31)와 플랜지(10)의 경사면(12), 그리고 연결구(20)의 경사면(21)이 각각 일체로 연결되어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연결후 연결구(20)의 경사면(21)에 결합된 오링(22)에 의해 파이프(30) 내부의 이송물이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외측의 확관부(31)와 플랜지(10)의 경사면(12)에 발생하는 공간부는 연결구(20)의 결합홈(23)에 결합된 실(42)에 의해 밀폐력을 발휘하므로 내용물의 이송도중 누출되는 현상이 근본적으로 방지되면서 플랜지(10)가 단순히 끼움으로 결합되어 상호 연결할 시에는 플랜지(10)를 가변하여 연결공(11)을 각각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40)와 너트(41) 등의 조립수단을 이용하여 조립하면 되므로 조립작업의 신속성을 도모함은 물론이고, 불량조립을 하게 되는 요인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 중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일부절결 단면도로서 이 경우는 기본적인 사항은 본 발명과 동일하고, 다만 파이프(30)의 선단부측에 확관부(31) 대신에 환형의 요환부(51)를 형성하여 일측이 개구된 연결링(52)을 결속한 상태에서 상기 요환부(51)에 끼움으로 결합하고, 상기와 같이 플랜지(10)를 파이프(30)의 외단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플랜지(10)의 내측에는 상호 관통되게 단턱부(5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이프(30)의 요환부(51)에는 연결링(52)이 결속되어 있고, 플랜지(10)의 중앙에는 단턱부(5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일측이 개구된 연결링(52)에 의해 단턱부(50)와 요환부(51)에 긴밀히 접지되므로 파이프(30)의 선단에 실(42)을 끼운 상태에서 각 플랜지(10)를 일치시킨 다음 연결공(11)을 통해 볼트(40)나 너트(41) 등의 연결수단으로 체결하게 되면 긴밀하게 연결이 완성된다.
이 경우 역시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연결작업의 용이성과 아울러 플랜지(10)가 파이프(30)에 대해 가변식으로 결합이 되므로 불량연결을 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불량연결로 인해 절단 내지는 폐기하는 등의 불합리한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적용되는 연결수단은 주로 파이프(30)끼리 연결하거나 파이프(30)와 기계 등에 적용이 가능하지만 특히 파이프(30)와 연결되는 밸브류와 연결시 적용하게 되면 매우 합리적인 효과를 득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일부절결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항은 동일하고, 파이프(30)의 연결되는 선단을 외향으로 절곡하여 평면부(60)를 마련한 상태에서 상기 평면부(60)의 규격에 부합되는 가스켓(61)을 접합하므로서 상기 파이프(30)의 외주연에 결합된 플랜지(10)를 일치시키고, 연결공(11)을 통해 볼트(40)나 너트(41) 등의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체결을 하게 되면 긴밀히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경우는 배관을 하기 위한 파이프(30)를 연결하는 수단이 극히 간단하면서도 파이프(30)의 선단에 평면부(60)를 구비하므로서 밀폐력은 물론이고, 각 플랜지(10)의 가장자리에 적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충격이나 기타 외력이 미칠 경우 이를 흡수하게 되어 사용수명이 일층 연장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효과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과 제 2 실시예의 경우 역시 동일하게 득할 수 있는 효과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관을 위한 파이프(30)끼리 연결하거나 파이프(30)와 기계, 또는 파이프(30)와 밸브류를 연결할 경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각각을 연결함에 있어서 파이프(30)의 선단에 결합되는 플랜지(10)가 고정타입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고 가변식으로 결합되어 각각을 연결할 시에 상기 플랜지(10)를 가변하여 플랜지(10)에 형성된 연결공(1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40)나 너트(41) 등의 결속수단으로서 체결하므로서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플랜지(10)의 연결공(11)을 일치시키는 동작이 매우 간단하여 종전과 같이 연결공(11)의 위치가 맞지 않아 전체를 절단하여 폐기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자재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특히 불량연결을 하게 되는 요인을 사전에 방지하여 이송물을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종 산업현장이나 조선소, 자동화설비 등에 설치되는 배관용 파이프(30)의 선단에 취부되는 플랜지(10)를 용접공법으로 취부하지 않고 분해결합식으로 연결하므로서 자재의 손실과 작업의 공정 등을 최소화하고, 특히 연결되는 플랜지(1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의 능률성을 일층 도모함은 물론 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원가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즉 본 발명은 배관을 하기 위한 파이프(30)의 선단부에 취부되는 플랜지(10)를 용접공법으로 취부하지 않고 별도의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므로서 상기 플랜지(10)가 자체적으로 유동이 가능하여 대응하는 플랜지(10)의 연결위치나 연결조건에 관계없이 매우 용이하게 연결이 가능하고, 특히 불량연결시 종래와 같이 플랜지(10)와 파이프(30)를 절단하여 폐기하는 현상을 지양하여 상호 분리한 후 플랜지(10)는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귀중한 자재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득할 수 있으므로 그 기대되는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3)

  1. 배관용 플랜지(10)의 연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수개의 연결공(11)을 갖는 플랜지(10)의 중앙에 양면이 관통되게 경사면(12)을 형성하여 이에는 적정의 각도로 확관부(31)가 형성된 배관용 파이프(30)를 끼움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파이프(30)의 확관부(31)와 일치되는 경사면(21)이 구비된 연결구(20)를 구비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게 하되, 상기 연결구(20)의 경사면(21)에는 오링(O-Ring:22)을 결합하여 밀폐력을 증대하며, 타측에는 밀폐용 실(Seal:42)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23)을 형성하여 각 파이프(30)의 확관부(31)에 의해 밀폐력을 증대함과 아울러 상호 연결가능하게 하여 볼트(40)와 너트(41) 등의 수단으로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플랜지의 연결장치.
  2. 배관용 플랜지의 연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파이프(30)의 연결되는 부위에 환형의 요환부(51)를 형성하여 이에는 내부에 일측이 개구된 연결링(52)을 탄력설치하고, 수개의 연결공(11)이 천설된 플랜지(10)의 중앙에는 양면이 관통되는 단턱부(50)를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30)를 끼움으로 결합하면 연결링(52)이 상기 플랜지(10)의 단턱부(50)에 걸리게 되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플랜지의 연결장치.
  3. 배관용 플랜지의 연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파이프(30)의 선단에 외향으로 절곡된 평면부(60)를 형성하여 상호 대응되는 접지면에 가스켓(61)을 접합한 상태에서 플랜지(10)를 맞대고 연결공(11)을 통해 볼트(40)와 너트(41) 등의 수단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플랜지의 연결장치.
KR1019990049133A 1999-11-08 1999-11-08 배관용 플랜지의 연결장치 KR100337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133A KR100337230B1 (ko) 1999-11-08 1999-11-08 배관용 플랜지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133A KR100337230B1 (ko) 1999-11-08 1999-11-08 배관용 플랜지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844A true KR20000006844A (ko) 2000-02-07
KR100337230B1 KR100337230B1 (ko) 2002-05-17

Family

ID=1961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133A KR100337230B1 (ko) 1999-11-08 1999-11-08 배관용 플랜지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23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355B1 (ko) * 2010-04-23 2010-10-12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비용접식의 관연결 장치
KR101332220B1 (ko) * 2013-04-29 2013-11-22 진기종 플랜지 유동 밸브
CN106979420A (zh) * 2016-03-29 2017-07-25 江阴市诺普得机械有限公司 低温高颈加固型防滑螺纹法兰
KR20180091459A (ko) 2017-02-07 2018-08-16 (주)시스템배관 무용접 배관 플랜지 연결구
CN109578719A (zh) * 2019-01-21 2019-04-05 安庆市鑫华腈工贸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石化管道连接的密封法兰
KR20200136532A (ko) 2019-05-27 2020-12-08 오흥규 클램프 결합 방식의 대형 파이프 이음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37343A (ko) 2019-05-30 2020-12-09 최재진 무용접 플랜지 양 이음쇠 및 그 조립 방법
KR20230082768A (ko) * 2021-12-02 2023-06-09 이병순 자재이음식 플랜지를 갖는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272B1 (ko) 2010-09-01 2010-11-23 주식회사 한양인더스트리 친환경형 화장 소각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355B1 (ko) * 2010-04-23 2010-10-12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비용접식의 관연결 장치
KR101332220B1 (ko) * 2013-04-29 2013-11-22 진기종 플랜지 유동 밸브
CN106979420A (zh) * 2016-03-29 2017-07-25 江阴市诺普得机械有限公司 低温高颈加固型防滑螺纹法兰
KR20180091459A (ko) 2017-02-07 2018-08-16 (주)시스템배관 무용접 배관 플랜지 연결구
CN109578719A (zh) * 2019-01-21 2019-04-05 安庆市鑫华腈工贸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石化管道连接的密封法兰
KR20200136532A (ko) 2019-05-27 2020-12-08 오흥규 클램프 결합 방식의 대형 파이프 이음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37343A (ko) 2019-05-30 2020-12-09 최재진 무용접 플랜지 양 이음쇠 및 그 조립 방법
KR20230082768A (ko) * 2021-12-02 2023-06-09 이병순 자재이음식 플랜지를 갖는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7230B1 (ko) 200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06844A (ko) 배관용 플랜지의 연결장치
JPH0351952B2 (ko)
US6302648B1 (en) Steam turbine jointed stationary blade
WO2020203846A1 (ja) ルーズフランジ及び管継手
JPH10227380A (ja) フランジ形管継手
KR100937056B1 (ko) 정합식 플랜지
US20090290951A1 (en) Sleeve For a T-Bolt and a Sleeve and T-Bolt Combination to Prevent T-Bolt Rotation
KR200396405Y1 (ko) 플랜지관
KR200277305Y1 (ko) 파이프와 플렌지의 연결 구조
KR100424216B1 (ko) 하수관 연결장치
JP3714943B1 (ja) ボルト、開口閉塞用具および板状体の取付け方法
KR20090084518A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KR200328107Y1 (ko) 해수 담수화 증발기의 워터 박스와 라이닝 플레이트 조립체
JPWO2020012820A1 (ja) 筐体装置及び筐体装置の装着方法
KR20030072292A (ko) 고정밴드를 갖는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JP2002030892A (ja) セグメント
JP4149036B2 (ja) 管体フランジ部漏洩補修機構
JP2017110491A (ja) 圧送管の連結構造
KR200218835Y1 (ko) 고압 케이블의 연결부위 커버용 외부 케이싱
KR970002929Y1 (ko) 가스기구의 관접속장치
KR200256974Y1 (ko) 배관용 배관부재
KR200261422Y1 (ko) 파이프 연결장치
WO2004057225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upling of pipes
JPH11325352A (ja) 配管漏洩応急防止方法及びラップジョイント用割りフランジ
JP2671776B2 (ja) バタフライ弁の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