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2292A - 고정밴드를 갖는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고정밴드를 갖는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2292A
KR20030072292A KR1020030057715A KR20030057715A KR20030072292A KR 20030072292 A KR20030072292 A KR 20030072292A KR 1020030057715 A KR1020030057715 A KR 1020030057715A KR 20030057715 A KR20030057715 A KR 20030057715A KR 20030072292 A KR20030072292 A KR 20030072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ipe
fixing band
fixing
branch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경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경산업
Priority to KR1020030057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2292A/ko
Publication of KR2003007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29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간편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조립체는 원형 관체로서 일측 단부에 상기 주관에 형성된 분기공에 삽입되는 걸림턱이 소정의 높이(L)만큼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과 수직을 이루고 밴드고정부가 형성된 분기관 연결구와, 중단을 관통하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관 연결구에 형성된 밴드 고정부에 그 중단이 결합된 고정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주관에 형성된 분기공에 분기관 연결구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밴드가 대향되게 하고, 고정밴드를 주관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감싼 후 고정밴드의 양단부가 서로 대면되게 하며, 대면된 고정밴드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고정볼트 또는 리벳을 설치하는 방법에 의해 시공된다.

Description

고정밴드를 갖는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branch pipe assembly with the fixed band and assembling methode}
본 발명은 액체 또는 기체 등의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관의 분기관 조립체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기관을 주관에 형성된 분기공의 외부로부터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서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손상되었을 때 용이하게 보수 유지 할 수 있게 한 분기관 조립체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또는 기체 등과 같은 유체를 장거리에 지속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관(管)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관은 공급자 또는 합류지점에는 대경의 주관을 사용하고 수요자 또는 분기 지점에서부터는 소경의 분기관(分岐管)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관 조립체에 있어서 대경의 주관과 소경의 분기관의 연결부위는 외부로의 유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특히 그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많은 종류의 분기 수단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종래의 분기관 조립 구조의 일예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주관에 분기관을 조립하는 구조는 주관(2)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분기공(2a)의 주위에 메쉬 코일(3)을 설치하고 분기관 연결구(1)의 단부에 형성된 접합부(1a)를 상기 매쉬 코일(3)에 밀착시킨 후 메쉬 코일(3)에 전원을 공급하여 주관(2)의 외주면과 분기관 연결구(1)의 접합부(1a)와의 대향면이녹아 융착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메쉬 코일(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수단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시공시 많은 불편이 있었으며,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서로의 접착면 사이에 틈이 남게되고 이 틈으로 유체가 유입되어 틈이 확장되어 분기관(1)의 접합부(1a)가 주관(1)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관 연결구(4)를 "T"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분기관 연결구(4)의 양단에 접착제(6)를 도포한 후, 주관(5)을 삽입하여 접착제(6)가 굽게 하여 분기관 연결구(4)를 주관(5)에 연결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주관(5)의 굵기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분기관 연결구(4)를 만들어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함은 물론 주관에 맞는 연결부를 갖는 분기관 연결구(4)를 찾아 조립해야 하므로 그 번거로움 또한 만만치 않았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조립 구조 및 방법에 의해 시공된 분기관 조립체는 그 중 어느 일측이 손상되어 교체하고자 할 때 그 일부만을 교체할 수 없고 전체를 교체하거나 보수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분기관 연결구의 단부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주관의 일측 단부로부터 분기관 연결구를 주관의 내부에 넣은 후 주관에 형성된 분기공으로 분기관 연결구를 삽입한 후 외부에서 고정 너트를 조여 조립하는 분기관 조립 구조가 있으나 긴(長) 주관의 일측 단부로부터 분기공이 형성된 부분까지 분기관 연결구를 밀어 넣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어 시공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립이 용이하고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시공이 간편함은 물론 사후 분기관 연결구의 파손시 용이하게 교체하여 시공할 수 있는 조립 구조를 갖는 분기관 조립체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조립체의 일예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조립체가 주관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조립체가 주관에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조립체가 주관에 설치된 상태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분기관 조립체가 주관에 설치된 상태의 횡단면도이고,
도 6은 종래 분기관 조립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며,
도 7은 종래 분기관 조립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분기관 연결구 20 : 고정밴드
21 : 결합날개 30 : 절단선
40 : 주관 41 : 분기공 50 : 패킹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또는 기체 등의 유체를 이송시키는 주관에 분기관을 연결하는 분기관 연결구 조립체에 있어서, 원형 관체로서 일측 단부에 상기 주관에 형성된 분기공에 삽입되는 걸림턱이 소정의 높이(L)만큼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과 수직을 이루고 밴드고정부가 형성된 분기관 연결구와, 중단을 관통하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관 연결구에 형성된 밴드 고정부에 그 중단이 결합된 고정밴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밴드를 갖는 분기관 조립체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분기관 연결구를 주관에 결합하는 시공 방법에 있어서, 주관에 형성된 분기공에 분기관 연결구의 고정밴드가 형성된 단부가 대향되게 하고, 고정밴드를 주관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감싼 후 고정밴드의 양단부가 서로 대면되게 하며, 대면된 고정밴드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고정볼트를 조여거나 리벳팅하여 이루어지는 분기관 조립체 시공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조립체의 일예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조립체가 주관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조립체가 주관에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조립체가 주관에 설치된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조립체는 분기관 연결구(10)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밴드(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분기관 연결구(10)는 원통형 통체 형상으로 그 일측 단부는 주관(40)의 외주면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호형상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고정밴드(20)가 고정되는 밴드고정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밴드(20)는 그 중단 즉, 상기 분기관 연결구(10)의 유로와 대향되는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 단부에는 고정볼트가 조여지거나 리벳이 설치되는 결합 구멍이 형성된 결합날개(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20)에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금속 등으로 만들어진 보강 심재(20a)가 매설되어 고정밴드를 구성하는 합성수지 등이 노후되어도 고정밴드(20)가 끈기지 않게 하였다.
상기 보강 심재(20a)는 망체 형상으로 고정밴드(20) 본체를 구성하는 합성수지 등이 망체의 눈 사이에 끼이게 함으로서 보강 심재(20a)와 고정밴드(20)가 분리되지 않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보강심재(20a)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고정밴드의 재질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염화비닐 등과 같은 합성수지가 되며, 고정밴드(20)를 금속판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보강심재(20a)를 매설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20)와 분기관 연결구(10)는 소정의 고정 수단으로 서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결합수단으로는 고정볼트, 리벳이나 전기 융착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20)와 분기관 연결구(10)의 외주면과 인접한 부분에는 다수의 체결 구멍를 형성하고 이 체결 구멍과 주관(40)을 관통하여 고정 볼트를 조이거나 리벳팅함으로서 고정밴드(20)의 단부를 조임에 의해 결합된 분기관 연결구(10)가 보다 견고하게 주관(4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기관 연결구(10)의 주관(40)과의 대향 단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관(40)에 형성된 분기공(41)에 끼워지는 걸림턱(11)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턱(11)을 더 형성함으로서 분기관 연결구(10)를 주관(40)에 설치시 분기관 연결구(10)가 보다 정확하게 주관(10)의 분기공(41)에 정렬되어 분기관 연결구(10)의 위치 선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분기관 연결구(10)와 주관(40)사이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걸림턱(11)의 높이는 분기관 연결구(10)이 연결되는 주관(40)의 두께의 1내지 4배가 되게 형성한다.
상기 분기관 연결구(10)와 주관이 대향되는 부분에는 패킹(50)이 더 설치될수 있다.
상기 패킹(50)은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패킹(50)은 홈 부분이 주관(40)에 형성된 분기공(41)의 가장자리에 삽입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조립체의 시공 방법을 다시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공되는 작업 장소의 상황에 따라 고정밴드(20)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고정밴드(20)의 단부에 고정볼트를 체결하기거나 리벳팅하기 어려운 장소에서는 고정밴드(20)를 사용하지 않고 분기관 연결구(10)의 단부 즉, 주관을 향한 단부를 주관(40)에 형성된 분기공(41)에 정렬되게 한 상태에서 체결 구멍을 관통하여 주관(40)의 벽에 다수의 체결 구멍을 형성한 후, 천공된 체결 구멍에 고정볼트를 조여이거나 리벳팅하여 분기관 연결구(10)가 주관(40)에 고정되게 한다.
이때 고정볼트 또는 리벳은 분기관 연결구(10)의 유로가 작업자의 손이 들어가기에 충분한 넓이를 갖음으로 이 유로를 통하여 삽입하여 고정하면 된다.
고정밴드(20)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분기관 연결구(10) 의 밴드 고정부(30)에 고정밴드(20)를 볼트 또는 리벳으로 고정시킨 후 고정밴드(20)의 양단을 주관(40)을 감싸도록 주관(40)의 반대측에 위치시킨 후 고정 밴드(20)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날개(21)에 형성된 체결 구멍에 고정볼트 또는 리벳을 조이거나 설치하여 고정함에 의해 분기관 연결구(10)가 주관(4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밴드(20)의 양단에 형성된 두 개의 결합날개(21)를 결합한 후 분기관 연결구(10)의 밴드고정부(30)에 구멍을 형성하고 고정볼트나 리벳을 더 설치함으로서 분기관 연결구(10)가 보다 견고하게 주관(40)에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고정밴드(20)의 중단을 분기관 연결구(10)의 밴드 고정부(30)에 결합한 것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측 단부를 밴드 고정부(30)에 연결하고 반대측 단부는 주관(40)을 감싸 돌려진 후 반대측의 밴드 고정부(3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밴드(20)를 설치함으로서 분기관 연결구(10)가 파손되어 교체할 때 분기관 연결구(10)가 묻혀진 지면을 깊게 굴착하??지 않고 고정밴드(20)의 단부가 조여진 부분만을 굴착한 후, 고정밴드(20)를 해체하고 분기관 연결구(10)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은 분기관 연결구를 주관에 형성된 분기공의 외부로부터 설치할 수 있음으로 그 시공이 용이하며, 분기관 연결구가 파손되었을 때 이를 쉽게 교체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밴드가 주관을 감싸고 있으므로 외부의 힘에 의해서도 분기관 연결구가 주관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내용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익숙한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고로 다양하게 변형, 부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액체 또는 기체 등의 유체를 이송시키는 주관(40)에 분기관을 연결하는 분기관 연결구 조립체에 있어서,
    원형 관체로서 일측 단부에 상기 주관(40)에 형성된 분기공(41)에 삽입되는 걸림턱(11)이 소정의 높이(L)만큼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1)과 수직을 이루고 밴드고정부(30)가 형성된 분기관 연결구(10)와,
    그 일부에 상기 분기관 연결구의 상기 걸림턱부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관 연결구(10)에 형성된 밴드 고정부(30)에 결합된 고정밴드(2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밴드를 갖는 분기관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관(40)에 형성된 분기공(41)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분기관 연결구(10)와의 결합 부분에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5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밴드를 갖는 분기관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20)는 그 중단이 상기 분기관 연결구(10)에 결합되고 그 양단에는 리벳 또는 고정볼트가 결합되는 결합날개(21)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밴드를 갖는 분기관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20)는 그 일측 단부가 상기 분기관연결구(10)에 결합되고 그 반대측 단부에는 상기 분기관 연결구(10)의 밴드 고정부(30)에 고정되는 체결 구멍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밴드를 갖는 분기관 조립체.
  5.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20)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 등으로 만들어진 보강 심재(20a)가 매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밴드를 갖는 분기관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2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 어느 하나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밴드를 갖는 분기관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11)의 높이(L)는 주관(40)의 두께의 1.5내지 4배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밴드를 갖는 분기관 조립체.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50)은 그 단면이 "ㄷ"형상을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조립체.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20)에 배설된 보강 심재(20a)는 망체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밴드를 갖는 분기관 조립체.
  10. 분기관 연결구를 주관에 결합하는 시공 방법에 있어서,
    주관(40)에 형성된 분기공(41)에 분기관 연결구(30)에 결합된 고정밴드(20)를 주관(4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감싼 후 고정밴드(20)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구멍을 관통하여 리벳 또는 고정볼트를 설치하여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밴드를 갖는 분기관 조립체 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고정밴드(20)의 양단부를 고정볼트로 조여 고정한 후, 분기관 연결구와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 볼트 구멍과 주관(40)을 관통하여 고정볼트를 더 설치함으로서 분기관 연결구(10)와 주관(40)의 결합을 강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밴드를 갖는 분기관 조립체 시공 방법.
KR1020030057715A 2003-08-20 2003-08-20 고정밴드를 갖는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KR20030072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715A KR20030072292A (ko) 2003-08-20 2003-08-20 고정밴드를 갖는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715A KR20030072292A (ko) 2003-08-20 2003-08-20 고정밴드를 갖는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292A true KR20030072292A (ko) 2003-09-13

Family

ID=32227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715A KR20030072292A (ko) 2003-08-20 2003-08-20 고정밴드를 갖는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22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709B1 (ko) * 2006-09-15 2007-07-09 백충원 분기관 연결구
KR101407685B1 (ko) * 2013-04-17 2014-06-13 노대식 분기관 연결용 조인트
KR101472494B1 (ko) * 2013-11-01 2014-12-12 박문식 새들 플랜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709B1 (ko) * 2006-09-15 2007-07-09 백충원 분기관 연결구
KR101407685B1 (ko) * 2013-04-17 2014-06-13 노대식 분기관 연결용 조인트
KR101472494B1 (ko) * 2013-11-01 2014-12-12 박문식 새들 플랜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561B1 (ko)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와 그 체결방법
KR100959303B1 (ko)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
JP2011208801A (ja) 継手要素及びその組立方法
EP1834123B1 (en) Flange
JP5833414B2 (ja) 電気融着継手、それを用いた接合方法、および電気融着継手と合成樹脂管との接合構造
KR20030072292A (ko) 고정밴드를 갖는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US7083204B1 (en) Composite metal pipe coupling and assembly
KR200489098Y1 (ko)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KR100834830B1 (ko) 분기관 연결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0432862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150090550A (ko) 연결용 유닛이 구비된 파형강관
JP4025393B2 (ja) 補強部材および分岐管継手装置
KR20000006844A (ko) 배관용 플랜지의 연결장치
KR100453386B1 (ko)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JP4743725B1 (ja) ライニング体及びそれを用いたライニング構造物
KR101137895B1 (ko) 안전 연결형 상하수도관
KR101805790B1 (ko) 패킹이 구비된 파이프 이음장치
KR200382029Y1 (ko)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CN113154155A (zh) 一种用于管道连接的防滑连接器
KR200362324Y1 (ko) 분기관 연결구 조립체
KR200483288Y1 (ko) 배관 연결장치
KR200351415Y1 (ko) 분기관 연결구 어셈블리
KR100779984B1 (ko) 관 연결구
KR101113814B1 (ko) 안전 연결형 상하수도관
CN211901957U (zh) 一种龟甲网加强型复合管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