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099A - 트렁크연통장치 - Google Patents

트렁크연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099A
KR20000006099A KR1019990021691A KR19990021691A KR20000006099A KR 20000006099 A KR20000006099 A KR 20000006099A KR 1019990021691 A KR1019990021691 A KR 1019990021691A KR 19990021691 A KR19990021691 A KR 19990021691A KR 20000006099 A KR20000006099 A KR 20000006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trunk
trunk room
vehicle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0807B1 (ko
Inventor
아라키도요히로
미와가즈야
미카미노리후미
Original Assignee
가와소에 가츠히코
미쓰비시 지도샤 고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소에 가츠히코, 미쓰비시 지도샤 고교(주) filed Critical 가와소에 가츠히코
Publication of KR20000006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provided with a lock mechanism on the upper part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06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stowing or holding means for elongated articles, e.g. skis insid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40Dual or redundant actuating means, e.g. backrest tilting can be actuated alternatively by a lever at the backrest or a lever in the luggag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렁크 연통 장치에 있어서, 차실측 및 트렁크 룸측으로부터 조작 가능하게 하여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한편, 구조의 간소화 및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시트 등판(12)의 전도 가능부(14)에 제 1 후크(24)를 설치하는 동시에, 시트 등판(12)에 제 1 후크(24)와 결합 가능한 제 2 후크(28)를 설치하고, 양 후크(24, 28)를 코일 스프링(25, 29)에 의해 상호 결합 방향으로 가압하며, 차실측 스트랩(strap; 31) 또는 트렁크 룸측 스트랩(32)에 의해 제 1 후크(24) 또는 제 2 후크(28)를 회동하여 양자의 결합을 해제 가능하게 하고, 전도 가능부(14)가 기립위치에 있을 때에 로크편(33)에 의해 제 1 후크(24)의 회동을 규제하고, 차실측 스트랩(31)에 의한 제 2 후크(28)와의 결합의 해제를 불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트렁크 연통 장치{APPARATUS FOR PERMITTING PASS-THROUGH BETWEEN VEHICLE COMPARTMENT AND TRUNK ROOM}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실과 트렁크 룸의 사이에 설치된 트렁크 연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단형(sedan) 승용차에는 차량 후부 좌석의 시트 등판의 일부에 전도 가능부(forward foldable portion)를 설치하고, 이 전도 가능부를 기립상태로부터 앞으로 전도시킴으로써 차실측과 트렁크 룸측을 통할 수 있게 하여, 차실로부터 트렁크 룸으로의 짐의 출납을 가능하게 한 트렁크 연통 장치를 구비한 것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트렁크 연통 장치에서는 시트 등판에 대하여 전도 가능부를 앞으로 넘어뜨릴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기립상태에서 로크 장치에 의해 로크 가능하게 하고, 차실측, 또는 트렁크 룸측으로부터 이 로크 장치를 해제하여 전도 가능부를 전방으로 넘어뜨려서, 차실측과 트렁크 룸측이 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차실측, 또는 트렁크 룸측의 한쪽으로부터만 로크 장치를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사용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차실측과 트렁크 룸측의 양쪽으로부터 로크 장치를 해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트렁크 연통 장치의 예는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소 64-37740호나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평 1-10203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소 64-37740호에 개시된 「좌석」은 등받이를 넘어뜨릴 수 있게 하는 동시에 기립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이 등받이의 기부의 측부에 전후로 삽통하는 오목부를 설치하며, 이 오목부에 전후로부터 조작 가능한 전도 조작 레버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평 1-102033호에 개시된 「트렁크 연통 시트의 로크 장치」는 로크 장치에 의해 시트 등판측의 결합 부재가 차체측의 결합 부재와 결합하여 시트 등판의 전도를 로크 가능하게 하고, 시트 등판측의 결합 부재를 반결합 방향으로 변위시켜 앞으로 넘어뜨릴 수 있게 하는 조작기구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조작기구와 상호 결합하여 그 변위를 규제하는 스토퍼 기구를 설치하며, 트렁크 룸내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스토퍼 기구와 조작기구의 결합 및 해제를 수행하는 동시에 해제상태에서 시트 등판측의 결합 부재와 차체측의 결합 부재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조작기구를 변위시키는 릴리스 기구를 설치한 것이다.
상술한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소 64-37740호에 개시된 「좌석」에 있어서는 전도 가능한 등받이 기부의 측부에 전후로 삽통하는 오목부를 설치하고, 이 오목부에 전도 조작 레버를 설치하는 것으로, 차실측 및 트렁크 룸측으로부터 이 전도 조작 레버를 조작하여 등받이를 전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 경우, 전도조작 레버를 등받이에 형성한 오목부에 설치하기 때문에, 항상 노출되어 외관상 좋지 않다. 또한, 트렁크 연통 장치에는 일반적으로, 차실측으로부터 전도 조작 레버를 조작불능으로 하여 트렁크 룸측으로부터만 조작 가능하게 하는 도난방지 로크 장치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 공보에 기재된 「좌석」의 구조에는 도난방지 로크 장치를 설치할 수 없다.
또한,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평 1-102033호에 개시된 「트렁크 연통 시트의 로크 장치」에 있어서는, 차실내로부터의 조작기구의 조작에 의해 로크 장치를 해제하여 시트 등판을 앞으로 넘어뜨릴 수 있게 하는 한편, 트렁크 룸내에서의 릴리스 기구의 조작에 의해 스토퍼 기구의 결합 및 해제를 수행하는 동시에, 해제상태에서 조작기구를 개재시켜 시트 등판을 앞으로 넘어뜨릴 수 있게 하고, 차실측 및 트렁크 룸측으로부터 조작기구를 조작하여 시트 등판을 전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술한 도난방지 로크 장치로서의 스토퍼 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도난방지 로크 장치 때문에, 조작기구와 스토퍼 기구와 릴리스 기구를 서로 연계된 기구로 구성하지 않으면 안되며, 구조가 복잡화되어 부품 비용이 비싸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계되는 트렁크 연통 장치의 후부 시트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차실측으로부터의 트렁크 연통 장치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단면도.
도 3은 트렁크 룸측으로부터의 트렁크 연통 장치의 조작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단면도.
도 4는 도난방지 로크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트렁크 연통 장치 주요부의 단면도.
도 5는 트렁크 연통 장치가 장착된 후부 시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후부 좌석 12 : 시트 등판
14 : 전도 가능부 24 : 제 1 후크
25 : 코일 스프링(가압수단) 28 : 제 2 후크
29 : 코일 스프링(가압수단) 31 : 차실측 스트랩(차실측 조작부)
32 : 트렁크 룸측 스트랩(트렁크 룸측 조작부)
33 : 로크편(로크 수단) 34 : 조작부재
R : 차실 T : 트렁크 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차실측 및 트렁크 룸측의 양쪽으로부터 조작 가능하게 하여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한편, 구조의 간소화 및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트렁크 연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트렁크 연통 장치는 차실과 트렁크 룸의 경계에 설치된 차체측의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차실과 트렁크 룸을 통할 수 있게 하는개방 위치와 상기 차실과 트렁크 룸이 통하는 것을 금지하는 폐쇄 위치를 가지는 폐쇄부재와, 상기 폐쇄 부재에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제 1 후크와, 상기 지지부재에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폐쇄 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 1 후크에 결합 가능한 제 2 후크와, 상기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를 상호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차실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후크 또는 제 2 후크 중 어느 한쪽을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맞서서,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양 후크의 상호 결합을 해제하는 차실측 조작 부재와, 상기 트렁크 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후크 또는 제 2 후크 중 다른 어느 한 쪽을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맞서서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양 후크의 상호 결합을 해제하는 트렁크 룸 조작 부재와, 상기 트렁크 룸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실측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변위되는 상기 제 1 후크 또는 제 2 후크 중 어느 한쪽 후크의 변위를 규제하여 상기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의 결합을 차실측으로부터 해제 불가능하게 하는 로크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후크와 제 2 후크의 결합에 의해, 상기 폐쇄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차실측으로부터 상기 차실측 조작부재를 조작함으로써, 또는 트렁크 룸측으로부터 상기 트렁크 룸측 조작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양 후크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차실측에서도 상기 폐쇄부재를 상기 개방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고, 편리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구조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상기 폐쇄 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크 부재에 의해 상기 차실측 조작부재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후크의 회전동작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트렁크 룸측으로부터만 상기 폐쇄부재의 개방위치로의 변위를 허용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계되는 트렁크 연통 장치의 후부 시트로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차실측으로부터의 트렁크 연통 장치의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트렁크 룸측으로부터의 트렁크 연통 장치의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난 방지 로크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트렁크 연통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트렁크 연통 장치가 장착된 후부 시트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트렁크 연통 장치에 있어서, 도 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 후부 좌석(11)은 시트 등판(12)과 시트 쿠션(13)으로 이루어지고, 이 시트 등판(12)의 일부에는 전도 가능부(14)가 설치되어 있고,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 전도 가능부(14)를 하부를 지점으로 하여 전방으로 넘어뜨림으로써, 차실측(R)과 트렁크 룸측(T)이 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전도 가능부(14)의 상부에는 이 전도 가능부(14)를 기립위치에 보유하는 로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도 가능부(14)의 상부 후면에는 노치부(21)가 형성되고, 이 노치부(21)에는 설치 브래킷(22)이 고정되어 있으며,이 설치 브래킷(22)에는 지지축(23)에 의해서 제 1 후크(2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 후크(24)는 가압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25)에 의해 도 1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고, 도시하지 않는 스토퍼에 의해 도 1에 도시되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한편, 시트 등판(12)의 상부 후면에는 설치 브래킷(26)이 고정되며, 이 설치 브래킷(26)에는 지지축(27)에 의해서 제 2 후크(28)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2 후크(28)는 가압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29)에 의해 도 1에서 시계회전 방향으로 가압되어, 스토퍼(30)에 의해 도 1에 도시되는 위치에 보유되어 있다. 이 제 1 후크(24)와 제 2 후크(28)는 전도 가능부(14)가 기립위치에 있을 때에 상호 결합함으로써, 전도 가능부(14)를 시트 등판(12)에 결합하여 기립상태로 보유할 수 있다.
이 제 1 후크(24)에는 차실측 조작부로서의 차실측 스트랩(31)의 기단부가 연결되고, 선단부는 차실(R)측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 차실(R)측으로부터 이 차실측 스트랩(31)을 당기면, 제 1 후크(24)가 코일 스프링(25)의 가압력에 맞서서 도 1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후크(28)의 결합을 해제하여 전도 가능부(14)를 전방으로 넘어뜨릴 수 있다. 또한, 제 2 후크(28)에는 트렁크 룸측 조작부로서의 트렁크 룸측 스트랩(32)의 기단부가 연결되며, 선단부는 트렁크 룸(T)측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 트렁크 룸(T)측으로부터 이 트렁크 룸측 스트랩(32)을 당기면, 제 2 후크(28)가 코일 스프링(29)의 가압력에 맞서서 도 1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 후크(24)와의 결합을 해제하여 전도 가능부(14)를 전방으로 넘어뜨릴 수 있다.
또한, 설치 브래킷(22)의 하부에는 로크 수단으로서의 로크편(3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트렁크 룸(T)측에 노출된 조작부재(3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로크편(33)은 조작부재(34)에 의해서 회전하는 것으로, 선단부가 이 설치 브래킷(22)의 관통구멍(35)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하여, 제 1 후크(24)에 결합함으로써, 이 제 1 후크(24)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전도 가능부(14)가 기립위치에 있을 때, 조작부재(34)에 의해서 로크편(33)을 회전하고, 선단부를 제 1 후크(24)에 결합함으로써, 이 제 1 후크(24)의 도 1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의 회전을 저지하고, 제 2 후크(28)와의 결합을 차실(R)측으로부터 해제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트렁크 연통 장치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되는 전도 가능부(14)의 기립상태에서는 제 1 후크(24)와 제 2 후크(28)가 상호 결합하여 이 전도 가능부(14)를 시트 등판(12)에 결합한 기립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전도 가능부(14)의 기립상태에서, 차실(R)측으로부터 차실측 스트랩(31)을 당기면,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후크(24)가 코일 스프링(25)의 가압력에 맞서서 회전하여 제 2 후크(28)와의 결합이 해제되며, 전도 가능부(14)를 전방으로 넘어뜨려 차실(R)측과 트렁크 룸(T)측을 통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차실(R)로부터 트렁크 룸(T)으로의 짐의 출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전도 가능부(14)의 기립상태에서, 트렁크 룸(T)측으로부터 트렁크 룸측 스트랩(32)을 당기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후크(28)가 코일 스프링(29)의 가압력에 회전하여, 제 1 후크(24)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전도가능부(14)를 전방으로 넘어뜨려 차실(R)측과 트렁크 룸(T)측을 통할 수 있는 상태로 하여, 차실(R)로부터 트렁크 룸(T)으로의 짐의 출납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 1 후크(24)와 제 2 후크(28)가 결합하여 전도 가능부(14)가 기립위치에 보유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34)에 의해 로크편(33)을 회전하여 선단부를 제 1 후크(24)에 결합하면, 제 1 후크(24)는 이 로크편(33)에 의해 제 2 후크(28)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전도 가능부(14)의 기립상태에서, 차실(R)측으로부터 차실측 스트랩(31)을 당기더라도, 제 1 후크(24)는 회전하지 않고서 제 2 후크(28)와의 결합해제가 불가능하게 되며, 차실(R)측으로부터의 전도 가능부(14)의 전도에 의한 차실(R)로부터 트렁크 룸(T)으로의 짐의 출납이 불가능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로크편(33)을 회전시키는 조작부재(34)가 전도 가능부(14)에 설치되어, 전도 가능부(14)의 전도 상태에서, 조작부재(34)에 의해 로크편(33)을 회전시켜 선단부를 제 1 후크(24)에 결합한 후, 전도 가능부(14)를 기립위치에 설치하면, 제 2 후크(28)의 회전에 의해 제 1 후크(24)가 제 2 후크(28)와 결합하여, 전도 가능부(14)를 기립위치에 보유할 수 있는 동시에, 차실(R)측으로부터의 차실측 스트랩(31)에 의한 전도 가능부(14)의 전도를 불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트렁크 룸(T)측으로 가서 조작부재(34)를 조작하는 불편함이 없어진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 1 후크(24)와 제 2 후크(28)를 결합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서 2개의 코일 스프링(25, 29)을 설치하였지만, 도 6, 도 7에 도시되는 1개의 스프링으로 공용하도록 해도 된다.
도 6에는 2개의 코일 스프링(25, 29) 대신에 슬라이더(40)와 코일 스프링(42)을 사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슬라이더(40)는 설치 브래킷(22)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더(40)는 전도 가능부(14)가 기립위치에 보유될 때는 제 2 후크(28)의 상단에 맞닿을 수 있게 된다. 코일 스프링(42)의 한쪽 끝은 제 1 후크(24)에 접속됨과 동시에 다른쪽 끝은 슬라이더(40)에 접속되어 있고, 전도 가능부(14)가 기립위치에 보유되는 경우에는 스프링(42)은 제 1 후크(24)를 도 6중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가압됨과 동시에, 제 2 후크(28)는 슬라이더(40)를 경유하여 도 6중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전도 가능부(14)가 기립위치에 보유되는 경우에는 제 1 후크와 제 2 후크가 상호 결합한다. 또, 도 6에 있어서 슬라이더(40)와 코일 스프링(42)은 전도 가능부(14)측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슬라이더와 코일 스프링을 시트 등판(12)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코일 스프링의 한쪽 끝은 제 2 후크(28)에 접속됨과 동시에 다른쪽 끝은 슬라이더에 접속되며, 전도 가능부(14)가 기립위치에 보유되는 경우에는 도 6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은 제 2 후크(28)를 시계 회전 방향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제 1 후크(24)는 슬라이더를 경유하여 시계 회전 방향으로 가압된다.
도 7에는 2개의 코일 스프링(25, 29) 대신에 1개의 코일 스프링(44)을 사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코일 스프링(44)의 한쪽 끝은 제 2 후크(28)에 접속됨과 동시에 다른쪽 끝은 제 1 후크(24)의 하단에 맞닿고, 전도 가능부(14)가 기립위치에 보유되는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44)이 제 1 후크(24)와 제 2 후크(28)를 각각 시계회전 방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전도 가능부(14)가 기립위치에 보유되는경우에는 제 1 후크와 제 2 후크가 상호 결합한다. 또, 코일 스프링(44)은 시트 등판(12)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코일 스프링(44)을 전도 가능부(14)측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코일 스프링(44)의 한쪽 끝은 제 1 후크(24)에 접속됨과 동시에 다른쪽 끝은 제 2 후크(24)의 상단에 맞닿으며, 전도 가능부(14)가 기립위치에 보유되는 경우에는 스프링(44)이 제 1 후크(24)와 제 2 후크(28)를 각각 시계 회전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차실측 조작부 및 트렁크 룸측 조작부를 각각 차실측 스트랩(31) 및 트렁크 룸측 스트랩(32)으로 하였으나, 제 1 후크(24) 및 제 2 후크(28)에 연결된 조작 레버라도 상관없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차실측 스트랩(31)이 제 1 후크(24)에 연결되고, 트렁크 룸측 스트랩(32)이 제 2 후크(28)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차실측 스트랩(31)을 제 2 후크(28)에, 트렁크 룸측 스트랩(32)을 제 1 후크(24)에 각각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시트 등판(12)의 일부인 전도 가능부(14)가 폐쇄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시트 등판(12) 자체가, 전방으로 넘어지는 구조인 후부 좌석에 있어서, 시트 등판(12)을 폐쇄 부재로 간주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차실과 트렁크 룸의 경계부에 설치되어 차체측의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차실과 트렁크 룸을 연통시키는 개방위치와 상기 차실과 트렁크 룸의 연통을 막는 폐쇄 위치를 가지는 폐쇄 부재와,
    상기 폐쇄 부재에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제 1 후크와,
    상기 지지부재에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폐쇄 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후크에 결합될 수 있는 제 2 후크와,
    상기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를 상호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차실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후크 또는 제 2 후크 중 어느 한쪽을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맞서서 변위시켜서 상기 양 후크의 상호 결합을 해제하는 차실측 조작부재와,
    상기 트렁크 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후크 또는 제 2 후크 중 다른 어느 한쪽을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맞서서 변위시켜서 상기 양 후크의 상호 결합을 해제하는 트렁크 룸측 조작부재와,
    상기 트렁크 룸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실측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변위되는 상기 제 1 후크 또는 제 2 후크 중 어느 한쪽 후크의 변위를 규제하여 상기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와의 결합을 차실측으로부터 해제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로크 부재를 구비한 트렁크 연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는 후부 좌석의 시트 등판인 트렁크 연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는 후부 좌석의 시트 등판의 일부인 트렁크 연통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후부 좌석의 일부인 트렁크 연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실측 조작부재는 상기 제 1 후크 또는 제 2 후크 중 한쪽에 연결되고,
    상기 트렁크 룸측 조작부재는 상기 제 1 후크 또는 제 2 후크 중 다른 한쪽에 연결되며,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제 1 후크 또는 제 2 후크 중 한쪽 후크의 변위를 규제하여 상기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의 결합을 차실측으로부터 해제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트렁크 연통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실측 조작부재는 상기 제 1 후크에 연결되고,
    상기 트렁크 룸측 조작부재는 상기 제 2 후크에 연결되며,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제 1 후크의 변위를 규제하여 상기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의 결합을 차실측으로부터 해제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트렁크 연통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실측 조작 부재 및 상기 트렁크 룸측 조작부재는 상기 제 1 후크 또는 제 2 후크 중 한쪽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제 1 후크 또는 제 2 후크 중 한쪽 후크의 변위를 규제하여 상기 제 1 후크 및 제 2 후크의 결합을 차실측으로부터 해제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트렁크 연통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는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1 후크는 상기 차실측 조작부재를 차실측으로 잡아 당김에 의해 상기 제 2 후크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트렁크 연통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는 후부 좌석의 시트 등판에 설치된 개구를 폐쇄할 수 있고,
    상기 차실측 조작부재는 한쪽 단부가 상기 제 1 후크에 연결되고 다른쪽 단부가 상기 차실내에 위치된 스트랩인 트렁크 연통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폐쇄 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폐쇄 부재의 상단부에서 상기 트렁크 룸으로부터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트렁크 연통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후크는 상기 폐쇄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폐쇄 부재의 상기 트렁크 룸 측면에 설치되는 트렁크 연통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폐쇄 부재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상기 로크 부재에 연동하는 조작 부재를 구비하는 트렁크 연통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 1 후크와 상기 폐쇄 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된 제 1 스프링 및 상기 제 2 후크와 상기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된 제 2 스프링을 구비하는 트렁크 연통 장치.
KR1019990021691A 1998-06-12 1999-06-11 트렁크 연통 장치 KR100300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476498A JP3487179B2 (ja) 1998-06-12 1998-06-12 トランクスルー装置
JP98-164764 1998-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099A true KR20000006099A (ko) 2000-01-25
KR100300807B1 KR100300807B1 (ko) 2001-09-22

Family

ID=15799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691A KR100300807B1 (ko) 1998-06-12 1999-06-11 트렁크 연통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02484B1 (ko)
EP (1) EP0965488B1 (ko)
JP (1) JP3487179B2 (ko)
KR (1) KR100300807B1 (ko)
DE (1) DE6990284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1681B2 (ja) * 2001-10-17 2004-09-29 紀行 音 収納式シート
US20030085605A1 (en) * 2001-11-07 2003-05-08 Hentges William J. Seat and headrest system
US20040195888A1 (en) * 2003-04-03 2004-10-0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Configurable vehicle seat
DE102004028846B3 (de) 2004-06-16 2006-08-17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komponente und Verfahren zur Sicherung einer Klappe gegen Öffnen im Crashfall
DE102004045988B3 (de) * 2004-09-22 2005-12-01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Anzeige zur Signalisierung der Nichtverriegelung einer klappbaren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DE102007060319B4 (de) 2007-03-21 2016-04-28 Johnson Controls Gmbh Durchladeklappe für einen Fahrzeugsitz
US8047614B2 (en) 2007-05-28 2011-11-01 Nhk Spring Co., Ltd. Seat apparatus and vehicle
JP5121309B2 (ja) * 2007-05-30 2013-01-16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リヤシート装置および車輌
JP5134288B2 (ja) * 2007-05-28 2013-01-3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リヤシート装置および車両
US7490908B2 (en) * 2007-07-03 2009-02-17 Lear Corporation Integrated latch assembly
JP5477730B2 (ja) * 2008-02-28 2014-04-2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DE112008004275B3 (de) * 2008-10-28 2018-10-18 Lear Corp. Sitzverriegelung und Haltesystem
FR2939729A1 (fr) * 2008-12-12 2010-06-18 Wagon Automotive Dispositif de verrouillage d'une partie de dossier d'un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sur une partie structurelle du vehicule, et vehicule correspondant.
US8267458B2 (en) * 2010-03-25 2012-09-18 Honda Motor Co., Ltd. Seat assembly for a vehicle having a vertically extended striker mechanism
US11731546B1 (en) * 2020-07-13 2023-08-22 Waymo Llc Seat back release block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2511A1 (de) * 1983-06-23 1985-01-10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Mittelarmlehne fuer kraftfahrzeugsitze
DE3408979A1 (de) * 1984-03-12 1985-09-1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ünchen Transportvorrichtung, insbesondere fuer skier, in einem personenkraftwagen
JPS6437740U (ko) 1987-08-31 1989-03-07
JPH01102033U (ko) 1987-12-28 1989-07-10
JP2737261B2 (ja) * 1989-06-30 1998-04-08 旭硝子株式会社 フッ素化炭化水素系組成物
JPH02143222U (ko) * 1989-04-28 1990-12-05
JP2861058B2 (ja) * 1989-06-08 1999-02-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可変リラクタンスモータの励磁制御装置
US5106158A (en) * 1991-08-22 1992-04-21 Chrysler Corporation Integral child seat module adjustable head support latch
US5540479A (en) * 1992-05-22 1996-07-30 Thomas; Alan V. Vehicle seats
US5366270A (en) * 1992-10-13 1994-11-22 Lear Seating Corporation Child resistant seat including foam and flex layer combination
DE4305248C2 (de) * 1993-02-20 1996-05-2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stelleinrichtung an einer Klappe
JP2666716B2 (ja) * 1993-12-27 1997-10-22 池田物産株式会社 組込み式チャイルドシート
KR0173628B1 (ko) * 1995-12-22 1999-02-18 김태구 시트 개폐차량의 트렁크 전면 차단구조
FR2743589B1 (fr) * 1996-01-11 1998-04-24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Dispositif de verrouillage d'une trappe d'un dossier de siege arriere d'un vehicule automobile
US5700054A (en) * 1996-04-23 1997-12-23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assembly including integral child restraint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87179B2 (ja) 2004-01-13
EP0965488B1 (en) 2002-09-11
US6302484B1 (en) 2001-10-16
KR100300807B1 (ko) 2001-09-22
JPH11348626A (ja) 1999-12-21
EP0965488A1 (en) 1999-12-22
DE69902849D1 (de) 2002-10-17
DE69902849T2 (de) 200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0807B1 (ko) 트렁크 연통 장치
JPH08216792A (ja) 車両の開閉体
US7963608B2 (en) Vehicle seat assembly capable of performing an easy entry function and memory return
US6913303B2 (en) Moun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2010013088A (ja) 車両用トランクスルー開閉装置
US3727943A (en) Occupant restraint system
JPH0122747Y2 (ko)
JPH0725417Y2 (ja) トーイングトラスタのエンジンフードロック
CN212604984U (zh) 安全带固定装置及具有该安全带固定装置的汽车安全座椅
US7870984B2 (en) Housing with lid and kinematic frame
JPS6326974Y2 (ko)
JP3874579B2 (ja) 車載用機器の前面パネル装置
JP2001171484A (ja) 車両のリヤシート構造
JP4137705B2 (ja) 自動車のトランクロック装置
JP2002209659A (ja) リクライニング機構のロック解除装置
JPS6246729A (ja) 自動車のリヤシ−ト装置
JPH0737999Y2 (ja) 車両用リヤー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構造
JPH0533381Y2 (ko)
JPH06171414A (ja) 自動車の可倒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装置
JPH0152207B2 (ko)
JPS6246730A (ja) 車両用シ−トロツク装置
JPH0618837Y2 (ja) 自動車用シートのロック装置
KR0167623B1 (ko) 승용차시트의 등받이 고정장치
JPH057862Y2 (ko)
JP3781257B2 (ja) 車両の折畳み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