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864U -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864U
KR20000005864U KR2019980016772U KR19980016772U KR20000005864U KR 20000005864 U KR20000005864 U KR 20000005864U KR 2019980016772 U KR2019980016772 U KR 2019980016772U KR 19980016772 U KR19980016772 U KR 19980016772U KR 20000005864 U KR20000005864 U KR 200000058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energy absorber
bumper cover
shock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22890Y1 (ko
Inventor
강의영
Original Assignee
강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의영 filed Critical 강의영
Priority to KR2019980016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89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58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8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890Y1/ko

Link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앞뒤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범퍼에 관한 것으로, 에너지업소버(2)의 전면과 범퍼커버(1)의 후면에는 삽입홈(4)을 형성하되 범퍼커버(1)의 후면 중앙부 양측 상, 하에는 다단식으로 걸림턱(5)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6)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의 삽입홈(4)에는 수개의 쿠션볼(3)을 연결구(7)로 연결하여서 된 충격흡수용 쿠션볼(3)을 삽입하되 충격흡수용 쿠션볼(3)의 양측에는 에어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밸브(8)를 설치하며, 에너지업소버(2)의 전면 양측 상, 하에는 체결공(9)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추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2중으로 흡수하여 완충하기 때문에 차체와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완충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앞뒤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범퍼에 관한 것으로, 범퍼의 내부에 완충용 튜브를 설치하여 추돌시 충격파가 완충용 튜브에 의하여 완충되게 하므로서 인체와 차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앞뒤에는 추돌시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범퍼가 설치되어 있는 바, 종래에 사용되어온 범퍼는 단순히 범퍼케이스와 에너지 업소버폼 및 레인포스먼트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동차가 추돌을 하게 되면 레인포스먼트와 범퍼케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에너지 업소버가 완충되면서 충격을 완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방식은 충격파를 주로 에너지업소버가 완충하게 되나 에너지업소버가 우레탄 등의 재질도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충격파를 완벽하게 흡수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충격파가 차체에 전달되므로서 차체가 파손되거나 탑승자가 다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범퍼는 우레탄으로 된 범퍼모양의 완충제로 충격을 완충하기 때문에 충격파를 한번밖에 완충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대부분의 충격파가 차체로 전달되므로서 큰 효과를 얻을 수가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범퍼케이스와 에너지업소버 사이에 에어튜브를 설치하여 에어튜브와 에너지업소버에 의하여 2중으로 충격파를 완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평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결합부 A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 밸브의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범퍼커버 (2) 에너지업소버 (3) 에어쿠션볼
(4) 삽입홈 (5) 걸림턱 (6) 고정핀
(7) 연결구 (8) 밸브 (9) 체결공
충격완충용 에너지업소버가 설치되어 있는 범퍼에 있어서, 범퍼커버(1)와 에너지업소버(2)사이에 에어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에어 쿠션볼(3)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즉, 에너지업소버(2)의 전면과 범퍼커버(1)의 후면에는 삽입홈(4)을 형성하되 범퍼커버(1)의 후면 중앙부 양측 상, 하에는 다단식으로 걸림턱(5)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6)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의 삽입홈(4)에는 수개의 쿠션볼(3)을 연결구(7)로 연결하여서 된 충격흡수용 쿠션볼(3)을 삽입하되 충격흡수용 쿠션볼(3)의 양측에는 에어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밸브(8)를 설치하며, 에너지업소버(2)의 전면 양측 상, 하에는 체결공(9)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너지업소버(2)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4)에 에어 쿠션볼(3)을 삽입한 다음 그 전면에 범퍼커버(1)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범퍼커버(1)의 후면 중앙부 양측 상, 하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6)은 에너지업소버(2)의 전면 중앙부 양측 상, 하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9)에 삽입 체결하되 고정핀(6)의 선단부에 있는 걸림턱(5)에 걸려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자동차가 주행중 추돌을 하게 되면 추돌하는 힘에 의하여 범퍼커버(1)가 파손되면서 후미로 밀려들어오게 되고, 이와 동시에 범퍼커버(1)와 에너지업소버(2)에 삽입되어 있는 에어 쿠션볼(3)이 압축되면서 충격을 완충하게 되며, 에어 쿠션볼(3)을 통과한 충격파는 에너지업소버(2)에 의하여 다시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범퍼커버(1)가 충격에 의하여 후미로 밀릴 경우 범퍼커버(1)의 후면 중앙부 양측 상, 하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핀(6)이 에너지업소버(2)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9)을 삽입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고정핀(6)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5)이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고정되기 때문에 범퍼커버(1)가 외부로 퉁겨 나가는 반발력을 감소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에어쿠션볼(3)에 삽입되어 있는 에어를 측정할 경우에는 쿠션볼(3)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8)에 측정 게이지를 대고 압착하여 측정한 다음 에어가 부족할 경우 게이지를 떼고 다시 에어주입기를 결합시켜 주입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범퍼케이스와 에너지업소버 사이에 에어튜브를 설치하여 에어튜브와 에너지업소버에 의하여 2중으로 충격파를 완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추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범퍼커버와 쿠션볼 및 에너지업소버가 2중으로 흡수하여 완충하고 또한 추돌시 충격에 의하여 범퍼커버와 쿠션볼이 완충된 상태에서 고정핀에 의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탄발력을 최소로 감소시키므로서 차체와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레인포스먼트와 범퍼커버사이에 충격흡수용 에너지업소버가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범퍼에 있어서, 에너지업소버(2)의 전면과 범퍼커버(1)의 후면에는 삽입홈(4)을 형성하되 범퍼커버(1)의 후면 중앙부 양측 상, 하에는 다단식으로 걸림턱(5)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6)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의 삽입홈(4)에는 수개의 쿠션볼(3)을 연결구(7)로 연결하여서 된 충격흡수용 쿠션볼(3)을 삽입하되 충격흡수용 쿠션볼(3)의 양측에는 에어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밸브(8)를 설치하며, 에너지업소버(2)의 전면 양측 상, 하에는 체결공(9)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완충장치.
KR2019980016772U 1998-09-04 1998-09-04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완충장치 KR2002228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772U KR200222890Y1 (ko) 1998-09-04 1998-09-04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772U KR200222890Y1 (ko) 1998-09-04 1998-09-04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864U true KR20000005864U (ko) 2000-04-06
KR200222890Y1 KR200222890Y1 (ko) 2001-05-15

Family

ID=69520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772U KR200222890Y1 (ko) 1998-09-04 1998-09-04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89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9212B1 (ko) * 2001-06-12 2003-12-18 함의신 멀티 셀 튜브를 이용한 완충부재와 이 완충부재를 이용한자동차 범퍼용 에너지 압쇼버
KR20040094192A (ko) * 2003-05-02 2004-11-09 김경환 보행자 친화형 이중 범퍼
CN112289075A (zh) * 2020-10-28 2021-01-29 武汉极目智能技术有限公司 车辆主动安全系统报警策略自适应设定方法及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9212B1 (ko) * 2001-06-12 2003-12-18 함의신 멀티 셀 튜브를 이용한 완충부재와 이 완충부재를 이용한자동차 범퍼용 에너지 압쇼버
KR20040094192A (ko) * 2003-05-02 2004-11-09 김경환 보행자 친화형 이중 범퍼
CN112289075A (zh) * 2020-10-28 2021-01-29 武汉极目智能技术有限公司 车辆主动安全系统报警策略自适应设定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890Y1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5727A (en) Buckle tensioner
KR200222890Y1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완충장치
KR200144267Y1 (ko) 차량도어용 임펙트바 완충장치
KR200182745Y1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완충장치
KR100216038B1 (ko) 보조 범퍼 어셈블리
KR19990018958U (ko)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KR100380350B1 (ko)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
KR19990041303A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흡수장치
KR960005093Y1 (ko) 차량 도어트림의 충격흡수구조
KR100232473B1 (ko) 자동차의 캥거루범퍼 취부구조
KR100580701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충돌에너지 흡수 장치
KR19980026174U (ko) 리어 범퍼 취부 구조
KR200149002Y1 (ko) 자동차 범퍼 구조
KR100201067B1 (ko) 자동차의 범퍼 구조
KR200149005Y1 (ko) 차량의 범퍼 조립구조
KR20000010821U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차량용 안전 벨트
KR100716774B1 (ko) 차량용 범퍼
KR200185158Y1 (ko) 공기를 이용한 자동차 범퍼의 착탈장치
JP2006123812A (ja) シートベルトアンカーの取付構造
KR100240026B1 (ko)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
KR100335210B1 (ko) 차량의 충격흡수용 도어
KR19980041550U (ko) 자동차의 리어범퍼
KR19980033898U (ko) 충격완화용 범퍼 어셈블리
KR19980051739U (ko) 도어 충격 보강구조
KR19980075961A (ko) 범퍼 프로텍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