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958U -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958U
KR19990018958U KR2019970032264U KR19970032264U KR19990018958U KR 19990018958 U KR19990018958 U KR 19990018958U KR 2019970032264 U KR2019970032264 U KR 2019970032264U KR 19970032264 U KR19970032264 U KR 19970032264U KR 19990018958 U KR19990018958 U KR 199900189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ehicle
impact
coupled
impac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2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958U/ko
Publication of KR199900189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958U/ko

Link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충돌시 가해지는 충격력과 함께 상쇄되도록 충격력의 역방향 힘을 발생시킴으로써, 차량의 충격력을 현저하게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후면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레일(12)이 결합되는 범퍼(10)와;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단부에 결합되는 충격부재(20)와; 상기 충격부재(20)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설된 상태로 차체 프레임(P)에 고정 장착되되, 상기 충격부재(20)가 후진됨에 따라 내부의 공기가 압축될 수 있도록 상기 충격부재(20)의 외면이 밀착되게 결합되는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 내측에 장착되는 압력센서(50); 그리고, 상기 하우징(40)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압력센서(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압력센서(50)에 의하여 한계값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면 폭발되어 상기 범퍼(10)측 방향으로 상기 충격부재(20)에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장약(60); 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40)의 내측 후방에는 내외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공기홀(40a)을 형성하여 팽창된 공기가 서서히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본 고안은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Absorbing Device of Crash Power for Ca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퍼는 차량의 앞뒤에서 차량의 보디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장치로서,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이러한 범퍼와 보디 사이에는 우레탄 등의 충격 흡수재를 개재함으로서, 차량의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범퍼는, 차량의 보디에 고정된 상태로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상기 범퍼 및 충격 흡수재에 의하여 흡수되는 충격량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흡수되지 못한 대부분의 충격이 차체에 전달되어 탑승자의 안전을 위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충돌시 가해지는 충격력과 함께 상쇄될 수 있도록 완충작용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장약 폭발에 의하여 역방향 힘 발생시키며, 이때 발생된 팽창 공기가 공기홀을 통하여 서서히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충격력을 현저하게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중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작동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범퍼, 12:가이드 레일, 20:충격부재, 22:충격판, 24:연결바, 26:압력판, 30:주름판, 40:하우징, 40a:공기홀, 50:압력센서, 60:장약, 61:뇌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후면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는 범퍼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단부에 결합되는 충격부재와; 상기 충격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설된 상태로 차체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되, 상기 충격부재가 후진됨에 따라 내부의 공기가 압축될 수 있도록 상기 충격부재의 외면이 밀착되게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장착되는 압력센서;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압력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압력센서에 의하여 한계값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면 폭발되어 상기 범퍼측 방향으로 상기 충격부재에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장약;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중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의 작동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범퍼(10), 충격부재(20), 주름판(30), 하우징(40), 압력센서(50) 및 장약(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범퍼(10)는 전방범퍼를 나타낸 것으로서, 후면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레일(12)이 부착되도록 구성되는데, 이 가이드 레일(12)은 차체 프레임(P)에 저강도(低强度) 재질의 볼트(13)로 결합됨으로써, 차량의 충돌에 의하여 범퍼(10)와 가이드 레일(12)이 후방으로 가압될 때에 상기 볼트(13)가 부러지면서 일부의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충격부재(20)는,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후방단부에 결합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에 범퍼(10)에 가해진 충격력을 상기 가이드 레일(12)을 통하여 전달받고 후진하게 되는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0)은, 차체 프레임(P)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부재로서, 상기 충격부재(20)가 후진될 때에 내부의 공기가 압축되도록 상기 충격부재(20)의 후방부가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설된다.
상기 하우징(40)의 후방 측면에는 내외부를 연결하는 작은 직경의 공기홀(40a)이 다수개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충격부재(20)의 후진에 의하여 하우징(40) 내부에서 압축된 공기가 상기 공기홀(40a)을 통하여 서서히 빠지면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충격부재(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판(22), 연결바(24) 및 압력판(26)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충격판(22)은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후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바(24)는 상기 충격판(22)의 후면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된 상태로 차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압력판(26)은, 상기 하우징(4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재인데, 상기 연결바(24)의 타단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충격판(22)의 후진에 따라 하우징(40) 내측으로 압압되며 하우징(40) 내측의 공기를 압축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주름판(30)은 상기 충격판(22)의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40)의 전방 외측면 사이에 연결되며 탄성력을 갖는 충격 흡수부재로서, 상기 충격판(22)에 충격이 전달되어 충격이 전달되어 충격판(22)이 하우징(40) 측으로 후진할 때에 이 주름판(30)이 고유 탄성력에 대항하여 접히면서 일부 충격력이 흡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력센서(50)는 상기 하우징(40)의 내측에 장착되며, 하우징(40) 내부의 공기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장약(60)은 폭발시 상기 압력판(26)을 상기 범퍼(1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우징(40)의 내측 후면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장약(60)의 뇌관(61)이 상기 압력센서(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압력센서(50)로부터 한계값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뇌관(61)에 일정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장약(60)이 터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범퍼(10)에 충돌이 발생되어 범퍼(10)가 후방으로 가압되면, 먼저, 상기 가이드 레일(12)과 차체 프레임(P) 사이에 결합된 볼트(13)가 파손되면서 제 1 차 충격흡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볼트(13)를 파손시키고 후진하게 되는 범퍼(10)에 의하여 주름판(30)이 압축됨과 동시에, 압력판(26)의 후진에 의하여 압축된 하우징(40) 내부공기가 공기홀(40a)을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제 2 차 충격흡수가 진행된다. 상기 제 2 차 충격흡수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하우징(40) 내의 공기압력이 한계값 이상되게 되면, 상기 압력센서(50)에 의하여 일정전류가 인가된 뇌관(61)이 점화되어 장약(60)이 터지게 되며, 이때, 하우징(40) 내부의 공기압력은 순간적으로 최고값이 되나. 상기 압력판(26)에 가해지는 압력은 상기 범퍼(10)로부터 전달된 압력과는 반대방향의 압력이 됨으로써, 장약(60)의 폭발력이 상기 범퍼(10)에 가해진 충격력을 상쇄시키는 제 3 차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 3 차 충격흡수가 이루어진 후, 잔여된 충격력은, 상기 압력판(26)을 계속하여 후진시키게 되는데, 이때, 후진되는 압력판(26)에 의하여 압축된 하우징(40) 내부공기가 상기 공기홀(40a)을 통하여 서서히 배출되게 되는 제 4 차 충격흡수가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에 의하여, 차량의 충돌시, 다단의 단계로 충격력을 흡수함과 동시에, 가해지는 충격력에 역방향의 압력을 가하여 충격력을 상쇄시킴으로써, 차량의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후면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는 범퍼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단부에 결합되는 충격부재와; 상기 충격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설된 상태로 차체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되, 상기 충격부재가 후진됨에 따라 내부의 공기가 압축될 수 있도록 상기 충격부재의 외면이 밀착되게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장착되는 압력센서;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압력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압력센서에 의하여 한계값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면 폭발되어 상기 범퍼측 방향으로 상기 충격부재에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장약;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차량의 충돌시 차체 프레임과의 결합이 분리되도록 차체 프레임에 저강도 재질의 볼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단부에 전면이 결합되는 충격판과; 상기 충격판의 후면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 수용되는 압력판;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판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 외면 사이에는 충격 흡수용 주름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부재에 의한 하우징 내부의 압축시 압축된 공기가 서서히 누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 후방에는 내외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공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KR2019970032264U 1997-11-14 1997-11-14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KR199900189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264U KR19990018958U (ko) 1997-11-14 1997-11-14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264U KR19990018958U (ko) 1997-11-14 1997-11-14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958U true KR19990018958U (ko) 1999-06-05

Family

ID=69691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264U KR19990018958U (ko) 1997-11-14 1997-11-14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95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708B1 (ko) * 1999-06-08 2001-11-15 조윤익 자동차의 정면충돌시 안전장치
KR20030055496A (ko) * 2001-12-26 2003-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서브 프레임의 분리장치
KR100461383B1 (ko) * 2002-06-17 2004-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용차의 앞좌석 탑승자 보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708B1 (ko) * 1999-06-08 2001-11-15 조윤익 자동차의 정면충돌시 안전장치
KR20030055496A (ko) * 2001-12-26 2003-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서브 프레임의 분리장치
KR100461383B1 (ko) * 2002-06-17 2004-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용차의 앞좌석 탑승자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6234A (ko) 충돌 제동 장치
US6179356B1 (en) Impact damper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4515416A (ja) 構造物を弱化させる装置
KR19990018958U (ko)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JP2004161109A (ja) 車両のエネルギー吸収構造体
GB2308100A (en) Motor vehicle bumper arrangement with two-stage crushable energy absorbers
US11299116B2 (en) Variable back beam and method of allowing inflator to vary variable back beam in case of collision
KR200152841Y1 (ko) 충격흡수성이 우수한 자동차 범퍼
CN111152745A (zh) 汽车驾驶员侧仪表板腿部保护结构
KR200325911Y1 (ko) 에어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
CN212313480U (zh) 汽车驾驶员侧仪表板腿部保护结构
KR200141796Y1 (ko) 충격흡수용 자동차 범퍼
KR100196174B1 (ko) 차량충돌시 충격을 완화하는 범퍼와 충격완화장치
KR200222890Y1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완충장치
KR0171784B1 (ko) 오일댐핑설린더를 이용한 자동차의 범퍼스테이
KR970002549Y1 (ko) 자동차 범퍼의 완충장치
KR970002542Y1 (ko) 자동차 범퍼의 충격 흡수장치
KR0136951Y1 (ko) 자동차의 정면 충격 흡수 구조
KR20020044324A (ko) 인출식 자동차용 범퍼
KR200158116Y1 (ko) 자동차의 범퍼조립체
KR200152398Y1 (ko) 차량용 충격 흡수 장치
KR0129394Y1 (ko) 범퍼 스테이 완충구조
KR980007661U (ko) 자동차의 전방충격 흡수구조
KR970039389A (ko) 가스식 쇽압쇼바 내장 범퍼
KR960005093Y1 (ko) 차량 도어트림의 충격흡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