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911Y1 - 에어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911Y1
KR200325911Y1 KR20-2003-0017347U KR20030017347U KR200325911Y1 KR 200325911 Y1 KR200325911 Y1 KR 200325911Y1 KR 20030017347 U KR20030017347 U KR 20030017347U KR 200325911 Y1 KR200325911 Y1 KR 200325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umper
pressure release
conductor
releas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영
Original Assignee
김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영 filed Critical 김선영
Priority to KR20-2003-0017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9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9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19/2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 B60R19/205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inflatable in the direction of an obstacle upon impending impact, e.g. usin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28Metall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38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adjustably or movably mounted, e.g. horizontally displaceable for securing a space between park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운전자 안전을 위한 에어백을 충격과 동시에 작동시키지 않고 에어범퍼의 작동후 이어서 가해지는 강한 충격이 발생되었을 때에만 작동시킬 수 있는 에어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 범퍼(12)의 내측에 에어 범퍼(12)의 내경을 따라 일정간격 떨어지게 프레스 페달부(40)가 형성되고, 프레스 페달부(40)는 에어 범퍼(12)내에서 전후로 연동되도록 고압해제밸브(34)에 결합되며, 고압해제밸브(34)는 범퍼 프레임(14)의 두께방향으로 프레스 페달부(40)의 운동에 의해 전후로 미끄럼 운동되게 형성되고, 고압해제밸브(34)의 후단부에는 전도체용 돌기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전도체용 돌기부(52)에 대향되는 위치에 전도체용 오목홈부(54)가 형성되고, 전도체용 돌기부(52) 및 전도체용 오목홈부(54)는 차량내에 설치된 에어백(60)에 공기를 공급시켜 주는 에어백 팽창장치(56)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에어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AIR BAG SWITCHING UNIT OF AIR BUMPER}
본 고안은 에어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운전자 안전을 위한 에어백을 충격과 동시에 작동시키지 않고 에어범퍼의 작동후 이어서 가해지는 강한 충격이 발생되었을 때에만 작동시킬 수 있는 에어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충돌시에 운전석의 전면에서 에어백이 팽창되어 올라와 운전자가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운전대 등에 부딪혀 다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충돌시에 작동되는 에어백 장치는 전자적인 충격센서 등을 이용해 작동시키고 있어 작은 충격 등에도 작동하는 사례가 있다.
또한, 전자적인 충격센서 등은 차량의 주행중 진동 등에 의해 수명이 단축되고 작동시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보다 나은 안전을 위해 특허출원 제 2002-7000002호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범퍼를 개발하였다.
에어 범퍼는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해서 차량 및 차량의 운전석 및 동승자에게 전해지는 충격을 최대한 완화시켜주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구성이 에어범퍼(12)와, 범퍼프레임(14), 팽창성 블래더(16), 튜브(18), 유체유입밸브(32) 및 고압해제밸브(34) 등으로 구성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범퍼(12)는 튜브(18)의 공기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면 고압해제밸브(34)를 통해 에어범퍼(12)의 튜브(18)내의 공기는 배출되면서 완충된다.
고압해제밸브(34)는 에어범퍼(12)의 팽창성블래더(16)에 충격이 가해지면 내부의 공기는 압력을 받아 고압해제밸브(34)의 패킹부(2)를 밀치게 되면 패킹부(2)를 밀치고 있는 스프링(6)이 끼워져 있는 스템(4)이 밀쳐지면서 공기가 배출된다.
또한, 에어범퍼(12)에 가해지는 충격이 약해지면 스프링(6)의 밀침에 의해 밀쳐져 내부의 공기는 더이상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차후에 사용자는 충격에 의해 배출된 공기량만큼 유체유입밸브(32)를 통해 주입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에어 범퍼는 차량의 충돌시 차량으로 전해지는 충격을 에어범퍼(12)를 통해 감소시킴과 동시에 차량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충격의 강도가 클 경우에는 운전자가 앞으로 쏠려서 운전대 등에 부딪힘 등을 당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에어백이 달려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에어백은 범퍼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바로 작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접촉사고나 경미한 사고일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에어백이 작동되어 낭패를 보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의 충돌시 일차 충격을 흡수하는 에어범퍼에 의해 완충되고 에어범퍼의 충격흡수가 클경우 충격에 의해 밀리는 충격의 강도에 따라 기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에어범퍼의 에어백 스위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종래의 에어 범퍼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종래의 에어 범퍼의 고압해제밸브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고안의 에어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본 고안의 에어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에어범퍼 14: 범퍼 프레임
32: 유체유입밸브 34: 고압해제밸브
40: 프레스 페달부 42: 탄성부재
48: 튜브 52: 전도체용 돌기부
54: 전도체용 오목홈부 56: 에어백 팽창장치
60: 에어백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에어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는, 튜브를 갖는 에어범퍼와, 에어범퍼의 후방에 형성되어 에어범퍼를 고정시키고 있는 범퍼 프레임과, 상기 에어범퍼내에 관통되어 있으며, 충격시에만 공기가 배출되는 고압해제밸브와, 상기 에어범퍼의 내부 공기 배출시 원상 복귀시키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유체유입밸브로 이루어진 에어 범퍼에 있어서, 에어 범퍼의 내측에 에어 범퍼의 내경을 따라 일정간격 떨어지게 프레스 페달부가 형성되고, 프레스 페달부는 에어범퍼내에서 전후로 연동되도록 고압해제밸브에 결합되고, 고압해제밸브는 범퍼 프레임에 프레스 페달부의 운동에 의해 전후로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고압해제밸브의 후단부는 전류가 흐르는 상태의 전도체용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도체용 돌기부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전도체용 돌기부와 반대되는 전류를 띠고 있는 전도체용 오목홈부가 형성되고, 전도체용 오목홈부는 차량내에 설치된 에어백에 공기를 공급시켜 주는 에어백 팽창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에어 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를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공기 등이 충전되어 있는 에어범퍼(12)의 내측에 에어범퍼(12)의 내경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프레스 페달부(40)가 형성된다.
충격시에 밀쳐지는 본 고안의 프레스 페달부(40)는 에어범퍼(12) 내측의 허공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또한, 프레스 페달부(40)는 에어범퍼(12)내에서 전후로 연동되도록 고압해제밸브(34)에 결합되며, 고압해제밸브(34)는 프레스 페달부(40)와 일체로 움직이도록 결합되어 있어 동일하게 연동되게 형성된다.
상기 프레스 페달부(40)의 일단에 고정되게 결합된 고압해제밸브(34)의 타단은 차체측에 고정되어 있는 범퍼 프레임(14)에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범퍼 프레임(14)에 관통되어 운동되는 고압해제밸브(34)의 후단부는 전류가 흐르는 상태의 전도체용 돌기부(5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도체용 돌기부(52)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전도체용 돌기부(52)와 반대되는 전류를 띠고 있는 전도체용 오목홈부(54)가 형성된다.
상기 전류가 흐르는 전도체용 오목홈부(54)는 차량내에 핸들(58) 상에 장착된 에어백(60)에 공기를 공급시켜 주는 에어백 팽창장치(56)가 작동되도록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에어 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의 에어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에어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구성과 동일한 도면 부호는 종래의 도면과 동일한 부호를 명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차량의 범퍼로 전면부에 차량의 충돌사고시 충격을 완화해주기 공기가 충전된 에어범퍼(12)가 형성되어 있다.
충돌시에 완충역할을 하는 공기 등이 충전된 에어범퍼(12)의 내측에는 내경을 따라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프레스 페달부(40)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범퍼(12)내에 형성된 프레스 페달부(40)는 에어범퍼(12)의 내경측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충돌에 의해 에어범퍼(12)의 전면측 어느 위치에서든 에어범퍼(12)의 전면측 부분이 밀려도 에어범퍼(12) 내의 공기가 배출되면서 프레스 페달부(40)는 차량의 후부측으로 밀쳐진다.
에어범퍼(12)는 범퍼 프레임(14)의 고정된 상태로 내측의 공기가 충격에 의해 배출되도록 고압해제밸브(3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충전되어 있는 공기는 에어범퍼(12)측으로 일정한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상기 고압해제밸브(34)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압력이 가해지기 전에는 에어범퍼(12)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지 않으며, 일정압력이 가해지면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패킹부 등이 스템 및 스프링 등을 밀쳐 에어범퍼(12)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차량의 전면부에 설치된 에어범퍼(12)로 차량의 충돌 등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이 약하게 발생되면 내부의 공기는 고압해제밸브(34)를 통해 배출되지만 이때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범퍼(12)내에 위치되어 있는 프레스 페달부(40)는 에어범퍼(12)의 내측 중앙부측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약한 충격에는 밀쳐지지 않는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차량의 전면부에 설치된 에어범퍼(12)에 가해지는 충격이 클 경우에는 에어범퍼(12)를 이루고 있는 팽창성 블래더(46) 및 튜브(48)가 밀쳐지면서 찌그러지기 때문에 에어범퍼(12)내의 공기가고압해제밸브(34)를 통해 많이 배출되면서 프레스 페달부(40)를 밀치게 된다.
이때에 에어범퍼(12)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고압해제밸브(34)는 에어 범퍼(12)의 내측에 충전되어 있는 공기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에어 범퍼(12)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프레스 페달부(40)와 연동되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후미측의 범퍼 프레임(14) 측으로 밀쳐진다.
상기 프레스 페달부(40)를 고정하고 있는 고압해제밸브(34)는 범퍼 프레임(14)의 두께방향으로 미끄럼 운동되게 끼워져 있으며, 고압해제밸브(34)의 외주면은 전후로 슬라이딩되면서 그 사이로 에어범퍼(12)내의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압해제밸브(34)의 외주면에 면시일링 등이 되어 있다.
프레스 페달부(40)는 범퍼 프레임(14)에 고압해제밸브(34)가 관통되게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되므로 동시에 프레스 페달부(40)와 동일하게 밀쳐진다.
프레스 페달부(40)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고압해제밸브(34)는 범퍼 프레임(14)과 프레스 페달부(40)의 사이에 탄성부재(42)가 끼워져 있어 항상 전방측으로 밀쳐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스 페달부(40)에 충격 압력이 전달되면 프레스 페달부(40)를 밀치고 있는 탄성부재(42)가 수축되면서 범퍼 프레임(14)측으로 밀쳐진다.
에어범퍼(12)의 공기를 다시 충전시킬시에는 유체유입밸브(32)를 통해 공기를 불어넣으면 원래의 형태로 에어범퍼(12)는 복귀된다.
상기의 탄성부재(42)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뿐만 아니라, 고무 등의 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레스 페달부(40)가 밀쳐지면서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고압해제밸브(34)는 범퍼 프레임(14)의 두께방향 후미측으로 미끄러지면서 동일하게 밀려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범퍼 프레임(14)의 두께방향으로 미끄러짐 운동을 하는 고압해제밸브(34)의 후단부측에는 일정한 전류가 흐르도록 된 전도체용 돌기부(52)에 의해, 이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전도체용 오목홈부(54)가 서로가 맞닿음되게 끼워지면서 전류가 서로 통하기 때문에 전도체용 오목홈부(54)측 또는 전도체용 돌기부(52)측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백 팽창장치(56) 등을 가동시키게 된다.
에어백 팽창장치(56)가 고압해제밸브(34)의 전도체용 돌기부(52) 및 전도체용 오목홈부(54)의 접촉에 의해 작동되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백(60) 등을 작동시켜 차량의 운전자 및 동승자를 안전하도록 충격을 완화시켜 준다.
본 고안은 차량에 가해지는 일차적인 충격은 에어범퍼(12)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켜주고 그보다 충격이 클경우에는 이차적으로 차량내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백(60)을 작동시켜 주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차량내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백(60)에 장착되는 구성부품으로 범퍼 등에 장착되는 고가의 충격 센서 등에 의해 차량 내의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의 정도에 따라 작동되는 것으로 에어 범퍼(12)에 밀리도록 형성된 프레스 페달부(40), 고압해제밸브(34)의 전도체용 돌기부(52) 및 전도체용 오목홈부(54)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식 스위치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전도체용 오목홈부(54)의 내부측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압해제밸브(34)의 전도체용 돌기부(52)가 끼워지면서 접촉성을 높일수 있도록 미끄럼편 등이 돌출되게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기계식 스위치는 다른 전파에 의한 오동작의 발생율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될시의 고장률이 없는 특징이 있다.
또한, 에어범퍼(12)내에 형성되어 있는 프레스 페달부(40)를 탄성부재를 이용해 한번더 완충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에어범퍼(12)에서 일차적인 충격을 감소시키고 에어범퍼(12)에 견디지 못하는 충격을 이차적으로 프레스 페달부(40)의 탄성부재에 의해 완충시켜줌과 동시에 차량내의 에어백(6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프레스 페달부(40)를 고압해제밸브(34) 상에 이동되도록 전도체용 돌기부(52)를 형성시켜 사용하고 있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프레스 페달부(40)에 다른 스템을 이용해서 전도체용 돌기부 및 전도체용 오목홈부가 맞닿음시켜 에어백 팽창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에어 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에 의해 차량의 충돌시 일차 충격을 흡수하는 에어범퍼에 의해 완충되고 에어범퍼의 충격흡수가 클경우 충격에 의해 밀리는 충격의 강도에 따라 에어백을 기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스위치장치는 기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고장율이 없을 뿐만 아니라 밀치는 힘에 의해 접촉만되면 전류가 흐르는 특징이 있어 순간작동에 효과적이다.
또한, 스위치장치를 밀치는 프레스 페달부에는 탄성부재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차량의 충돌이 완충역할을 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튜브(48)를 갖는 에어범퍼(12)와, 에어범퍼(12)의 후방에 형성되어 에어범퍼(12)를 고정시키고 있는 범퍼 프레임(14)과, 상기 에어범퍼(12)내에 관통되어 있으며, 충격시에만 공기가 배출되는 고압해제밸브(34)와, 상기 에어범퍼(12)의 내부 공기 배출시 원상 복귀시키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유체유입밸브(32)로 이루어진 에어 범퍼에 있어서,
    에어범퍼(12)의 내측에 에어범퍼(12)의 내경을 따라 일정간격 떨어지게 프레스 페달부(40)가 형성되고,
    프레스 페달부(40)는 에어 범퍼(12)내에서 전후로 연동되도록 고압해제밸브(34)에 결합되며, 고압해제밸브(34)는 범퍼 프레임(14)의 두께방향으로 프레스 페달부(40)의 운동에 의해 전후로 미끄럼 운동되게 형성되고,
    고압해제밸브(34)의 후단부에는 전도체용 돌기부(52)가 형성되고,
    전도체용 돌기부(52)에 대향되는 위치에 전도체용 오목홈부(54)가 형성되고,
    전도체용 돌기부(52) 및 전도체용 오목홈부(54)는 차량내에 설치된 에어백(60)에 공기를 공급시켜 주는 에어백 팽창장치(56)를 작동시키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해제밸브(34)의 외주면에 끼워지게 형성되며,프레스 페달부(40)를 복원시키도록 범퍼 프레임(14)의 전면측에 탄성부재(4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
KR20-2003-0017347U 2003-06-03 2003-06-03 에어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 KR200325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347U KR200325911Y1 (ko) 2003-06-03 2003-06-03 에어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347U KR200325911Y1 (ko) 2003-06-03 2003-06-03 에어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911Y1 true KR200325911Y1 (ko) 2003-09-13

Family

ID=49414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347U KR200325911Y1 (ko) 2003-06-03 2003-06-03 에어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91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6520A (zh) * 2018-06-22 2018-10-30 盐城工学院 一种汽车磁流变减震器
KR101974441B1 (ko) * 2019-01-11 2019-05-02 주식회사 스마트에어챔버 다단으로 구성된 대형트럭의 에어 백 충격흡수 장치
CN113665515A (zh) * 2021-09-14 2021-11-19 李全星 一种新能源汽车的防撞保护装置及其防撞保护方法
CN116413021A (zh) * 2023-06-09 2023-07-11 新乡职业技术学院 一种计算机键盘寿命检测测试设备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6520A (zh) * 2018-06-22 2018-10-30 盐城工学院 一种汽车磁流变减震器
CN108716520B (zh) * 2018-06-22 2024-04-26 盐城工学院 一种汽车磁流变减震器
KR101974441B1 (ko) * 2019-01-11 2019-05-02 주식회사 스마트에어챔버 다단으로 구성된 대형트럭의 에어 백 충격흡수 장치
WO2020145447A1 (ko) * 2019-01-11 2020-07-16 주식회사 스마트에어챔버 다단으로 구성된 대형트럭의 에어 백 충격흡수 장치
CN113665515A (zh) * 2021-09-14 2021-11-19 李全星 一种新能源汽车的防撞保护装置及其防撞保护方法
CN116413021A (zh) * 2023-06-09 2023-07-11 新乡职业技术学院 一种计算机键盘寿命检测测试设备
CN116413021B (zh) * 2023-06-09 2023-08-15 新乡职业技术学院 一种计算机键盘寿命检测测试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9356B1 (en) Impact damper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789949A (en) Certain new and usefu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trol means for the release of safety appliances in vehicles, more particularly passenger carrying automobiles
KR200325911Y1 (ko) 에어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
KR101855756B1 (ko) 차량 탑승자 안전을 위한 스티어링 컬럼 시스템
WO2016129251A1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JPH04362415A (ja) 自動車用ドア
KR100489986B1 (ko) 충격완화장치를 갖춘 자동차용 안전시트
KR200238804Y1 (ko) 차량용 범퍼
KR100428081B1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 흡수장치
CN111016753A (zh) 一种车辆及安全座椅
KR100599573B1 (ko) 운전석 에어백모듈용 인플레이터조립체의 구조
KR200291128Y1 (ko) 유압식 안전 범퍼
KR19990018958U (ko)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CN210116471U (zh) 车辆防撞装置和车辆
KR20050027544A (ko) 자동차 무릎보호장치
KR0181458B1 (ko) 자동차의 정면 충격 흡수 장치
KR20050101978A (ko) 자동차 무릎 보호 장치
KR200141796Y1 (ko) 충격흡수용 자동차 범퍼
KR100461364B1 (ko)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휠
KR10034974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커팅장치
KR0184547B1 (ko) 자동차 후방 범퍼의 접촉 경보장치
KR19990041303A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흡수장치
KR920005586Y1 (ko)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의 작동장치
KR200271245Y1 (ko)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
KR980007661U (ko) 자동차의 전방충격 흡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