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573B1 - 운전석 에어백모듈용 인플레이터조립체의 구조 - Google Patents
운전석 에어백모듈용 인플레이터조립체의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99573B1 KR100599573B1 KR1020050050701A KR20050050701A KR100599573B1 KR 100599573 B1 KR100599573 B1 KR 100599573B1 KR 1020050050701 A KR1020050050701 A KR 1020050050701A KR 20050050701 A KR20050050701 A KR 20050050701A KR 100599573 B1 KR100599573 B1 KR 1005995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lator
- driver
- lower case
- seat
- housing mean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운전석 에어백모듈용 인플레이터조립체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조향핸들(3)의 중앙부위에 마운팅브라켓트(1)를 매개로 장착되는 리테이너(51)와, 상기 리테이너(51)상에 일체로 결합되고 다수개의 분사구멍(533b)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외력 작용시 운전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체의 길이가 가변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수단(53)과,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배출구멍(55a)이 형성되면서 상기 하우징수단(53)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인플레이터(55)와, 상기 하우징수단(53)에 결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55)가 폭발하기 전에는 상기 하우징수단(53)의 길이가변이 불가능하도록 억제시키는 하우징결합수단(57)으로 구성되어져, 운전석을 향해 전개된 에어백쿠션(20)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착좌한 상태의 운전자도 효과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성인을 기준으로 평균 이하의 체격조건을 갖춘 운전자가 전개된 에어백쿠션(20)에 의해 2차 충격을 받는 상황도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에어백모듈. 인플레이터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인플레이터조립체를 구비한 운전석 에어백모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인플레이터조립체에 의해 에어백쿠션이 전개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플레이터조립체를 구비한 운전석 에어백모듈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플레이터조립체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인플레이터의 폭발시 작동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플레이터조립체에 의해 에어백쿠션이 전개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마운팅브라켓트 3 - 조향핸들
50 - 인플레이터조립체 51 - 리테이너
53 - 하우징수단 55 - 인플레이터
55a - 배출구멍 57 - 하우징결합수단
531 - 하부케이스 531a - 상부돌기
533 - 상부케이스 533a - 하부돌기
533b - 분사구멍
본 발명은 운전석 에어백모듈용 인플레이터조립체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정상적으로 착좌한 상태의 운전자 및 성인의 평균 이하의 체격조건에 해당하는 운전자를 모두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운전석 에어백모듈용 인플레이터조립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에어백모듈은 충돌 및 추돌사고시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정도의 큰 충격력이 발생될 때 에어백튜브가 실내측으로 전개되면서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조향핸들내에 장착되는 운전석용 에어백모듈과 인스트루먼트패널내에 안착되도록 장착되는 조수석 에어백모듈로 분류되며, 이외에도 측면 에어백모듈 및 커튼식 에어백모듈 등 용도와 장착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한편, 운전석용 에어백모듈의 통상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브라켓트(1)를 매개로 조향핸들(3)의 중앙부위에 고정되도록 장착되면서 차량의 충격 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에어백ECU를 통해 뇌관이 점화되어 에어백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조립체(10)와, 상기 인플레이터조립체(10)에 밀봉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인플레이터조립체(10)로부터 분사되는 에어백가스에 의해 실내측으로 전개되는 에어백쿠션(20)과, 상기 에어백쿠션(20)을 감싸면서 상기 마 운팅브라켓트(1)에 고정 장착되는 한편 상기 에어백쿠션(20)이 실내측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티어라인(Tear line)이 형성된 쿠션커버(30)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플레이터조립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핸들(3)의 중앙부위에 마운팅브라켓트(1)를 매개로 결합되는 리테이너(11)와, 상기 에어백쿠션(20)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원통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리테이너(11)상에 일체로 결합되는 하우징(13)과, 상기 하우징(13)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인플레이터(15)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인플레이터(15)의 외주면에는 에어백가스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멍(15a)이 다수개 형성된다.
따라서, 충돌 및 추돌사고가 발생되면 에어백ECU의 제어신호에 따라 인플레이터(15)가 폭발하게 되고, 상기 인플레이터(15)의 폭발시 발생된 에어백가스는 인플레이터(15)에 형성된 배출구멍(15a)을 통해 하우징(13)으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3)으로 배출된 에어백가스는 하우징(13)의 벽면을 따라 개구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에어백쿠션(20)으로 분사되어지며, 상기 에어백쿠션(20)은 전개압력을 이용하여 쿠션커버(4)의 티어라인을 절개시키면서 운전석쪽으로 전개되어 진다.
이에 따라, 머리를 포함한 운전자의 상체는 실내측으로 전개된 에어백쿠션(20)에 의해 보호받게 된다.
한편, 인플레이터(15)를 포함한 하우징(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상태의 에어백쿠션(20)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일측의 중앙부위에 위치하도록 상 기 에어백쿠션(20)과 결합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인플레이터(15)의 폭발에 의해 발생된 에어백가스는 도 1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최초 인플레이터(15)의 배출구멍(15a)을 통해 측방으로 배출되다가 하우징(13)의 벽면을 따라 재차 에어백쿠션(20)의 중앙부를 향해 분사되는 흐름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에어백가스의 흐름에 의해 실내측으로 전개되어지는 에어백쿠션(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와 대면하는 중앙부위가 그 주변의 측면부위보다 더 강한 압력으로서 급격하게 팽창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에어백쿠션(20)의 중앙부위가 강한 압력으로서 급격하게 팽창하게 되면 성인의 평균 체격조건을 갖춘 운전자가 운전석에 정상적으로 착좌한 상태일 경우에만 효과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성인의 평균 체격조건을 갖춘 운전자일 경우라도 운전석에 비정상적으로 착좌한 상태(OOP ; Out of Position)인 경우에는, 운전자의 상체가 상대적으로 적은 압력으로서 전개된 에어백쿠션(20)의 측면부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운전자가 전개된 에어백쿠션(20)에 의해 효과적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운전석에 정상적으로 착좌한 운전자일지라도 성인의 평균 이하의 체격조건을 갖춘 운전자라면, 강한 압력으로서 급격하게 팽창하는 에어백쿠션(20)의 중앙부위에 의해 2차 충격을 받게 됨으로써, 운전자의 상해치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플레이터의 폭발시 발생한 에어백가스가 먼저 에어백쿠션의 측방으로 분사된 후 재차 중앙부위를 향해 이동하면서 에어백쿠션을 전개시킬 수 있도록 그 흐름을 유도하는 새로운 구성을 갖춤으로써, 전개된 에어백쿠션을 통해 정상적으로 착좌한 상태의 운전자 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으로 착좌한 상태의 운전자도 모두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운전석 에어백모듈용 인플레이터조립체의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백쿠션으로 분사되는 에어백가스의 흐름을 중앙 집중에서 측방 분산으로 유도함으로써, 성인 평균 이하의 체격조건을 갖춘 운전자가 전개된 에어백쿠션에 의해 2차 충격을 받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플레이터조립체는, 조향핸들의 중앙부위에 마운팅브라켓트를 매개로 장착되는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상에 일체로 결합되고 다수개의 분사구멍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외력 작용시 운전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체의 길이가 가변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수단과,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배출구멍이 형성되면서 상기 하우징수단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하우징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가 폭발하기 전에는 상기 하우징수단의 길이가변이 불가능하도록 억제시키는 하우징결합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플레이터조립체를 구비한 운전석 에어백모듈의 분리사시도로서,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운전석 에어백모듈을 구성하는 인플레이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운전석 에어백모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브라켓트(1)를 매개로 조향핸들(3)의 중앙부위에 고정되도록 장착되면서 차량의 충격 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에어백ECU를 통해 뇌관이 점화되어 에어백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조립체(50)와, 상기 인플레이터조립체(50)에 밀봉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인플레이터조립체(50)로부터 분사되는 에어백가스에 의해 실내측으로 전개되는 에어백쿠션(20)과, 상기 에어백쿠션(20)을 감싸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트(1)에 고정 장착되는 한편 상기 에어백쿠션(20)이 실내측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티어라인(Tear line)이 형성된 쿠션커버(30)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인플레이터조립체(5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핸들(3)의 중앙부위에 마운팅브라켓트(1)를 매개로 장착되는 리테이너(51)와, 상기 리테이너(51)상에 일체로 결합되고 다수개의 분사구멍(533b)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외력 작용시 운전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체의 길이가 가변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수단(53)과,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배출구멍(55a)이 형성되면서 상기 하우징수단(53)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인플레이터(55)와, 상기 하우징수단(53)에 결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55)가 폭발하기 전에는 상기 하우징수단(53)의 길이가변이 불가능하도록 억제시키는 하우징결합수단(57)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수단(53)은, 상기 리테이너(51)상에 고정되면서 그 내부에는 인플레이터(55)가 설치되고 운전석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끝단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상부돌기(531a)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케이스(531)와, 상기 하부케이스(53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하부케이스(531)와의 사이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인플레이터(55)의 폭발시 발생하는 에어백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531)를 따라 직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돌기(531a)와의 접촉을 통해 하부케이스(531)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하부돌기(533a)가 개구된 끝단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다수개의 분사구멍(533b)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상부케이스(53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결합수단(57)은, 상기 인플레이터(55)가 폭발하기 전에 상기 하부케이스(531)의 내부로 수용된 상부케이스(533)의 길이가변이 불가능하도록 양단이 상기 하부케이스(531)와 상기 상부케이스(533)에 접착되는 접착테이프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테이프부재는, 상기 인플레이터(55)가 폭발하기 전에는 상기 하부케이스(531)로부터 상기 상부케이스(533)가 돌출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수단(53)의 전체적인 길이가변을 억제시키고, 상기 인플레이터(55)의 폭발시에는 이때 발생하는 에어백가스의 압력을 이기지 못함으로써 하우징수단(53)의 전체적인 길이가변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부재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결합수단(57)으로 접착테이프부재만을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인플레이터(55)의 폭발시 에어백가스의 압력을 이기지 못하는 결합력이라면 접착테이프부재 대신에 점용접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533)에 형성된 분사구멍(533b)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플레이터(55)가 폭발하기 전에는 상기 하부케이스(531)내에 수용된 상태가 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플레이터(55)가 폭발한 후에는 상기 하부케이스(531)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존재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케이스(533)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도 4와 도 5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의 충돌 및 추돌사고 발생시 에어백ECU의 제어신호에 의해 인플레이터(55)가 폭발하게 되면, 이때 발생된 고압의 에어백가스는 인플레이터(55)에 형성된 배출구멍(55a)을 통해 하부케이스(531)로 배출되어진다.
상기 하부케이스(531)로 배출된 에어백가스의 압력이 상부케이스(553)에 작용하게 되면, 상기 상부케이스(553)는 하부케이스(531)로부터 돌출되면서 운전석 방향을 향해 직선이동을 하게 된다.
즉, 인플레이터(55)가 폭발하기 전에는 접착테이프부재로 된 하우징결합수단(57)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553)가 하부케이스(531)내에 수용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나, 인플레이터(55)의 폭발후에는 고압의 에어백가스가 상기 상부케이스(553)에 작용함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553)는 하우징결합수단(57)의 결합력을 이기면서 운전석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운전석 방향을 향해 돌출되던 상부케이스(553)는 하부돌기(533a)가 상부돌기(531a)에 접촉하는 순간 이동을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케이스(553)가 하부케이스(531)로부터 돌출되어지면, 상기 상부케이스(553)에 형성된 분사구멍(533b)은 하부케이스(531)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플레이터(55)에서 하부케이스(551)로 배출된 에어백가스는 상부케이스(553)에 형성된 분사구멍(533b)을 통해 에어백쿠션(20)으로 분사되어지며, 상기 에어백쿠션(20)은 분사되는 에어백가스에 의해 운전석을 향해 전개되면서 운전자를 보호하게 된다.
한편, 분사구멍(533b)을 통해 에어백쿠션(20)으로 분사되어지는 에어백가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에어백쿠션(20)의 측방으로 분사되다가 그 이후에 중앙부로 이동을 하는 흐름을 갖게 된다.
이는, 상기 분사구멍(533b)이 에어백쿠션(20)의 측방을 향해 형성된 구조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와 같이, 에어백쿠션(20)으로 분사되는 에어백가스가 처음부터 에어백쿠션(20)의 중앙부를 향해 분사되지 않고, 먼저 측방으로 분사된 후 그 흐름에 의해 중앙부로 이동을 하면서 에어백쿠션(20)을 전개시키게 되면, 완전히 전개된 상태의 에어백쿠션(20)은 운전자의 정면을 향하는 중앙부가 종래에 비해 보다 적은 압력으로서 전개되는 반면, 주위의 측방부는 종래에 비해 더 넓은 면적으로서 전개되는 모양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석에 정상적으로 착좌한 상태의 운전자 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으로 착좌한 상태의 운전자도 측방으로 더 넓게 전개된 에어백쿠션(20)에 의해 효과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성인을 기준으로 평균 이하의 체격조건을 갖춘 운전자가 전개된 에어백쿠션(20)의 중앙부위에 부딪히게 되더라도, 에어백쿠션(20)에 의해 2차 충격을 받는 상황이 미리 예방되어 짐으로써, 운전자의 상해치를 최대한 경감시킬 수 있는 잇점도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플레이터의 폭발시 에어백쿠션으로 분사되는 에어백가스가 먼저 에어백쿠션의 측방으로 분사된 후 그 이후에 중앙부위로 이동하는 흐름을 갖도록 함으로써, 운전석을 향해 전개된 에어백쿠션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착좌한 상태의 운전자도 효과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성인을 기준으로 평균 이하의 체격조건을 갖춘 운전자가 전개된 에어백쿠션에 의해 2차 충격을 받는 상황도 미리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 조향핸들(3)의 중앙부위에 마운팅브라켓트(1)를 매개로 장착되는 리테이너(51)와;상기 리테이너(51)상에 일체로 결합되고, 다수개의 분사구멍(533b)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외력 작용시 운전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체의 길이가 가변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수단(53)과;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배출구멍(55a)이 형성되면서 상기 하우징수단(53)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인플레이터(55)와;상기 하우징수단(53)에 결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55)가 폭발하기 전에는 상기 하우징수단(53)의 길이가변이 불가능하도록 억제시키는 하우징결합수단(57);으로 구성되는 운전석 에어백모듈용 인플레이터조립체의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수단(53)은,상기 리테이너(51)상에 고정되면서 그 내부에는 인플레이터(55)가 설치되고, 운전석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끝단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상부돌기(531a)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케이스(531)와;상기 하부케이스(53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하부케이스(531)와의 사이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인플레이터(55)의 폭발시 발생하는 에어백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531)를 따라 직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돌기 (531a)와의 접촉을 통해 하부케이스(531)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하부돌기(533a)가 개구된 끝단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다수개의 분사구멍(533b)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상부케이스(5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모듈용 인플레이터조립체의 구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멍(533b)은,상기 인플레이터(55)가 폭발하기 전에는 상기 하부케이스(531)내에 수용된 상태가 되고, 상기 인플레이터(55)가 폭발한 후에는 상기 하부케이스(531)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존재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케이스(533)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모듈용 인플레이터조립체의 구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결합수단(57)은,상기 인플레이터(55)가 폭발하기 전에 상기 하부케이스(531)의 내부로 수용된 상부케이스(533)의 길이가변이 불가능하도록 양단이 상기 하부케이스(531)와 상기 상부케이스(533)에 접착되는 접착테이프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모듈용 인플레이터조립체의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0701A KR100599573B1 (ko) | 2005-06-14 | 2005-06-14 | 운전석 에어백모듈용 인플레이터조립체의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0701A KR100599573B1 (ko) | 2005-06-14 | 2005-06-14 | 운전석 에어백모듈용 인플레이터조립체의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99573B1 true KR100599573B1 (ko) | 2006-07-13 |
Family
ID=3718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0701A KR100599573B1 (ko) | 2005-06-14 | 2005-06-14 | 운전석 에어백모듈용 인플레이터조립체의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9957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124150B2 (en) | 2017-11-08 | 2021-09-21 | Joyson Safety Systems Japan K.K. | Air bag device |
-
2005
- 2005-06-14 KR KR1020050050701A patent/KR10059957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124150B2 (en) | 2017-11-08 | 2021-09-21 | Joyson Safety Systems Japan K.K. | Air ba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18179B1 (ko) | 차량용 헤드레스트 에어백 | |
JP2005525965A (ja) | エアバッグ装置の積極的ガス抜き装置及び方法 | |
JP4569310B2 (ja) |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 |
JP2008149965A (ja) | エアバッグ装置 | |
US20080106128A1 (en) | Airbag for side collision, airbag device for side collision, and vehicle seat | |
WO2016025152A2 (en) | Hybrid inflator device for a passive restraint air bag system | |
US7540533B2 (en) | Air bag device | |
EP1920976B1 (en) | Airbag for side collision, airbag device for side collision, and vehicle seat | |
KR101684988B1 (ko) | 차량용 에어백 장치 | |
KR100599573B1 (ko) | 운전석 에어백모듈용 인플레이터조립체의 구조 | |
US20100171295A1 (en) | Driver's air bag | |
JP2005178659A (ja) | エアバッグ装置 | |
KR100526147B1 (ko) | 차량도어의 하부에 설치된 사이드 에어백 시스템 | |
US7118128B2 (en) | Low leakage airbag module | |
JPH081154Y2 (ja) | エアバッグ装置におけるインフレータ取付部構造 | |
KR100529145B1 (ko) | 조수석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튜브의 구조 | |
KR100622119B1 (ko) |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 |
KR100788189B1 (ko) |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및 그 폴딩방법 | |
KR101594772B1 (ko) | 에어백장치 | |
KR100526149B1 (ko) | 사이드씰 부근에 설치된 커튼 에어백 시스템 | |
WO2000021799A9 (en) | Flow regulated inflator | |
KR100565369B1 (ko) |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 |
KR19990005093U (ko) |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 | |
KR100526148B1 (ko) | 차량 시트의 보텀에 설치된 사이드 에어백 시스템 | |
KR0132775Y1 (ko) | 감압밸브가 장착된 자동차용 에어 백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70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