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149B1 - 사이드씰 부근에 설치된 커튼 에어백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이드씰 부근에 설치된 커튼 에어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149B1
KR100526149B1 KR20030037374A KR20030037374A KR100526149B1 KR 100526149 B1 KR100526149 B1 KR 100526149B1 KR 20030037374 A KR20030037374 A KR 20030037374A KR 20030037374 A KR20030037374 A KR 20030037374A KR 100526149 B1 KR100526149 B1 KR 100526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curtain airbag
inflator
vehicle
airba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37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6144A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37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149B1/ko
Publication of KR20040106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149B1/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 에어백이 차량 사이드씰 부근에 설치되어, 차량 시트 착석자의 하반신을 보호하는 커튼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커튼 에어백 모듈과, 측면충돌센서와, 상기 측면충돌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커튼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에어백 컨트롤 유니트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트 착석자의 하반신을 보호하도록, 상기 커튼 에어백 모듈이 상기 차량 앞, 뒤 시트의 측면에 따라 길게 설치되며 차량 사이드씰 부근에 설치되어, 차량의 측면충돌시 차량 시트 착석자의 하반신이 보호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이드씰 부근에 설치된 커튼 에어백 시스템{Curtain airbag system which is installed near a side seal}
본 발명은 커튼 에어백이 차량 사이드씰 부근, 구체적으로 차체의 플로어 또는 사이드 씰에 설치되어, 차량 시트 착석자의 하반신을 보호하는 커튼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시스템은 충돌센서, 에어백 모듈 및 에어백컨트롤유니트로 이루어져, 차량의 충돌시에 에어백을 가스로 부풀려 운전자 또는 탑승자와 사이에 완충작용을 하여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이다.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전방 충돌을 대비하여 주로 개발되었고, 최근에는 측면 충돌 또는 전복을 대비하여 개발되고 있다.
에어백 시스템은 충돌, 진단, 가스, 백 팽창, 충격흡수 및 복귀 과정으로 작동된다. 위 충돌과정에서 차량이 충돌될 때 감속도 크기를 판단하는 충돌센서에 의하여 충격의 크기를 감지한다. 측면 충돌시를 대비하여 측면방향의 충격량에 의하여 측면 충돌을 감지하는 측면충돌센서가 장착된다. 그리고, 위 진단과정에서 에어백컨트롤유니트가 충돌센서의 신호를 분석하여, 설정치보다 큰 경우에 에어백 모듈의 인플레이터로 신호를 출력하며, 10~20ms 내에 이루어진다.
위 가스과정에서, 에어백 모듈의 인플레이터가 폭발에 의하여 가스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가스가 에어백인 쿠션에 주입되며, 5ms정도 소요된다. 위 백 팽창과정에서 에어백 모듈의 쿠션이 30ms에 걸쳐 팽창된다.
위 충격흡수과정에서 운전자 또는 탑승원은 충격물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팽창된 쿠션이 충격을 흡수하여, 상해도를 감소시킨다. 보통 충돌후 40~60ms 내에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운전자 또는 탑승원은 쿠션의 반발력으로 원위치로 복귀되며, 에어백 모듈의 쿠션에서 가스가 서서히 배출된다. 보통 120~135ms 시간이 소요된다.
종래에 에어백 시스템에서 사이드 에어백 모듈이 시트와 도어 사이에서 전개되어, 시트 착석자의 옆구리 부위 또는 머리 부위를 보호하였다. 또한, 커튼 에어백 시스템이 개발되어, 커튼 에어백 시스템과 함께 측면 충돌 또는 차량 전복시에 시트 착석자의 옆구리 부위 또는 머리 부위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사이드 에어백 시스템 또는 커튼 에어백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머리와 흉부를 보호할 수 있었지만, 시트 착석자의 하체 부위를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측면 충돌시 신체의 하체 부위의 관성 이동량은 시트와의 마찰에 의하여 신체 상반신에 비하여 적지만, 차량의 측면 차체 또는 도어의 파손에 의하여 시트 착석자의 하반신에도 중상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 사이드씰 부근에 커튼 에어백이 장착되어, 시트 착석자의 하반신 보호를 하는 커튼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설계에 있어 다른 부품과 간섭되지 않고 장착이 용이하며 커튼 에어백 시스템의 관련 부품 설계가 용이한, 커튼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도록,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커튼 에어백 모듈과, 측면충돌센서와, 상기 측면충돌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커튼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에어백 컨트롤 유니트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트 착석자의 하반신을 보호하도록, 상기 커튼 에어백 모듈이 상기 차량 앞, 뒤 시트의 측면에 따라 길게 설치되며 차량 사이드씰 부근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커튼 에어백 모듈은 차량의 플로어 또는 사이드씰에 설치된다. 그리고, 커튼 에어백 모듈은 차량의 측면 전체에 걸쳐, 다시 말하면 앞시트와 뒤시트에 걸쳐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의한 커튼 에어백 시스템은 크게 차량에 장착되는 커튼 에어백 모듈(20)과, 측면충돌센서(도시 안됨)와, 상기 충돌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에어백 컨트롤 유니트(도시 안됨)를 포함하며, 상기 커튼 에어백 모듈(20)은 사이드씰(31)의 부근에 설치되어, 시트 착석자(40)의 하반신을 보호한다. 도1, 2에는 착석자가 앞, 뒤 시트에 앉은 경우에 커튼 에어백의 장착 위치 및 전개된 경우에 쿠션(22)의 형상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3에는 조립된 커튼 에어백 모듈(20)이 도시되어 있고, 도4에는 분해된 커튼 에어백 모듈(2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 컨트롤 유니트는 차량에 장착되는 일종의 이씨유(ECU)이며, 상기 측면충돌센서의 신호에 따라 에어백을 전개시킨다.
상기 측면충돌센서는 예를 들어 차량 충돌을 질량의 관성력 등에 의해 측정하는 센서이며, 차량의 측면 차체 또는 도어에 장착되며, 상기 에어백 컨트롤 유니트와 연결되어, 소정의 충돌상태에서 상기 에어백 컨트롤 유니트에 의하여 커튼 에어백 모듈(20)이 전개될 수 있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측면충돌센서는 조기충돌센서일 수도 있다.
상기 커튼 에어백 모듈(20)은 크게 접쳐진 에어백인 쿠션(22)과, 상기 쿠션(22)이 장착되는 커버(21)와, 상기 쿠션(22)을 부풀리어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23) 및 디퓨져(25)로 이루어진다.
도3 및 도4에 도시되듯이, 상기 인플레이터(23)는 에어백 컨트롤 유니트와 연결되어 있어, 측면충돌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에어백 컨트롤 유니트가 인플레이터(23)를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작동가스가 발생된다. 또한, 하우징(29)은 상기 인플레이터(200)를 수납하며 후술되는 사이드씰(31) 또는 플로어(30)에 고정된다.
상기 디퓨져(25)는 관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퓨져(25)는 쿠션(22)의 하단부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단이 인플레이터(23)와 결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23)에서 발생된 작동가스를 고르게 쿠션(22)으로 주입하여, 상기 쿠션(22)을 팽창시킨다. 이때, 상기 디퓨져(25)와 상기 인플레이터(23)가 상기 하우징(29)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위는 쿠션(22)의 일부분이 감싸게 되고, 클램프(24)가 상기 쿠션(22)의 일부분을 조여 밀폐한다.
상기 쿠션(22)은 도2에 도시되듯이 작동가스에 따라 팽창되며, 단부 일측에는 쿠션(22)의 전개시 상하 또는 좌우로 넓게 펴질 수 있도록 가이드해 주는 테더(Tether;2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테더(26)는 차체에 고정된다.
도3에 도시되듯이 상기 쿠션(22)은 평상시에는 커버(21)에 삽입되고, 상기 커버(21)를 감싸는 다수의 쿠션홀더(27)와 함께 상기 쿠션(22)은 사이드씰(31) 또는 플로어(3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21)에는 상기 쿠션(22)의 팽창에 따라 쉽게 찢어질 수 있도록 파열라인이 형성되거나 별도의 도어식 개방구조로 형성된다.
도4에 도시되듯이, 비팽창부(28)가 앞시트(41)와 뒤시트(42)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쿠션(22) 부분에 위치되며, 재봉되거나 접착되어, 상기 쿠션(22)이 팽창되더라도 비팽창부(28)는 팽창되지 않게 된다. 이에 의하여, 쿠션(22)중에서 착석자의 보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지 않는 부분에는 작동가스가 주입되지 않아, 효율적이며 인플레이터(200)의 용량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되듯이 상기 커튼 에어백 모듈(20)은 사이드씰(31)의 부근, 구체적으로 플로어(30)에 장착되며, 앞시트(41)와 뒤시트(42)에 걸쳐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소정의 측면충돌시에 쿠션(22)이 팽창되면서 커버(21)가 파열되거나 개방되면서 쿠션(22)이 상기 시트(41)와 도어(32) 사이에 완전히 전개되어, 착석자(40)의 하반신을 보호하게 된다. 기타, 상기 커튼 에어백 모듈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이드씰(31)의 부근에 장착될 수 있으며, 사이드씰(31)의 내부에 장착되거나, 장착홈이 형성된 플로어(30)의 하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커튼 에어백 모듈(20)은 차량 좌우측면에 따라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차체 사이드씰 부근에 커튼 에어백이 장착되어, 차량의 측면충돌시에 시트 착석자의 하반신이 보호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장착공간이 여유로운 사이드씰 부근에 설치되어, 차량의 설계에 있어 다른 부품과 간섭되지 않고 장착이 용이하며 커튼 에어백 시스템의 관련 부품 설계가 용이한 작용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이드씰 부근에 설치된 커튼 에어백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의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사이드씰 부근에 설치된 커튼 에어백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의 좌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립된 커튼 에어백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커튼 에어백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기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20...커튼 에어백 모듈, 21...커버, 22...쿠션, 23...인플레이터, 24...클램프, 25...디퓨져, 26...테더, 27....쿠션홀더, 28...피팽창부, 29...하우징,
30...플로어, 31...사이드씰, 32...도어,
40...착석자, 41...앞시트, 42...뒤시트.

Claims (5)

  1. 차량에 장착되는 커튼 에어백 모듈과, 측면충돌센서와, 상기 측면충돌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커튼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에어백 컨트롤 유니트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커튼 에어백 모듈(20)은, 접쳐진 에어백인 쿠션(22)과, 상기 쿠션(22)이 장착되는 커버(21)와, 상기 쿠션(22)을 부풀리어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23) 및 디퓨져(25)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플레이터(23)는, 에어백 컨트롤 유니트와 연결되어 있어, 측면충돌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에어백 컨트롤 유니트가 인플레이터(23)를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작동가스가 발생되며;
    상기 인플레이터(200)를 수납하는 하우징(29)을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25)는, 관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쿠션(22)의 하단부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단이 인플레이터(23)와 결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23)에서 발생된 작동가스를 고르게 쿠션(22)으로 주입하여 상기 쿠션(22)을 팽창시키며;
    상기 디퓨져(25)와 상기 인플레이터(23)가 상기 하우징(29)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위는 쿠션(22)의 일부분이 감싸게 되고, 클램프(24)가 상기 쿠션(22)의 일부분을 조여 밀폐하고;
    상기 에어백 모듈은, 앞시트와 뒤시트에 걸쳐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측면충돌시에 쿠션이 팽창되면서 커버가 파열되거나 개방되면서 쿠션이 상기 시트와 도어 사이에 전개되어 착석자의 하반신을 보호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씰 부근에 설치된 커튼 에어백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비팽창부가 앞, 뒤 시트의 중간부분에 위치되는 상기 쿠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씰 부근에 설치된 커튼 에어백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에어백 모듈이 상기 차량 사이드씰 부근의 플로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씰 부근에 설치된 커튼 에어백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에어백 모듈이 상기 차량 사이드씰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씰 부근에 설치된 커튼 에어백 시스템.
KR20030037374A 2003-06-11 2003-06-11 사이드씰 부근에 설치된 커튼 에어백 시스템 KR100526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7374A KR100526149B1 (ko) 2003-06-11 2003-06-11 사이드씰 부근에 설치된 커튼 에어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7374A KR100526149B1 (ko) 2003-06-11 2003-06-11 사이드씰 부근에 설치된 커튼 에어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144A KR20040106144A (ko) 2004-12-17
KR100526149B1 true KR100526149B1 (ko) 2005-11-03

Family

ID=3738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37374A KR100526149B1 (ko) 2003-06-11 2003-06-11 사이드씰 부근에 설치된 커튼 에어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1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37252A1 (en) 2006-03-14 2007-09-26 Delphi Korea Corporation Bracket for securing side airbag for automotive vehicle
US11975675B2 (en) 2022-02-18 2024-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ody-mounted side airbag below seat botto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37252A1 (en) 2006-03-14 2007-09-26 Delphi Korea Corporation Bracket for securing side airbag for automotive vehicle
US11975675B2 (en) 2022-02-18 2024-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ody-mounted side airbag below seat bott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144A (ko) 200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8179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에어백
KR100254731B1 (ko) 측면충돌용 에어백
EP1506105B1 (en) Active ve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irbag systems
US7347444B2 (en) Inflatable airbag with overlapping chamber
EP1358091B1 (en) Bumper airbag and system
US6923483B2 (en) Bumper airbag and system
AU2002236760A1 (en) Bumper airbag and system
JPH09164899A (ja) 横方向衝撃に対するガスバッグ保護装置
JP4569310B2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KR100458188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100526149B1 (ko) 사이드씰 부근에 설치된 커튼 에어백 시스템
JP2915380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2016068848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526147B1 (ko) 차량도어의 하부에 설치된 사이드 에어백 시스템
WO1998012077A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a vehicle occupant
KR100512859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KR100532598B1 (ko) 사이드씰 부근에 설치된 사이드 에어백 시스템
KR100977598B1 (ko) 팽창충격 완화 에어백장치
KR100512860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KR100526148B1 (ko) 차량 시트의 보텀에 설치된 사이드 에어백 시스템
JP2938835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KR20140042496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0526150B1 (ko) 차량 시트의 브라켓에 설치된 사이드 에어백 시스템
JP5455425B2 (ja) エアバッグ
KR100803624B1 (ko) 측면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