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245Y1 -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245Y1
KR200271245Y1 KR2020020000079U KR20020000079U KR200271245Y1 KR 200271245 Y1 KR200271245 Y1 KR 200271245Y1 KR 2020020000079 U KR2020020000079 U KR 2020020000079U KR 20020000079 U KR20020000079 U KR 20020000079U KR 200271245 Y1 KR200271245 Y1 KR 2002712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neumatic cylinder
pneumatic
outer casing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천
Original Assignee
이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천 filed Critical 이재천
Priority to KR2020020000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2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2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245Y1/ko

Link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주 프레임의 전방 영역에 소정간격을 두고 각각 장착되며 전방부에 개구가 형성된 외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에 각각 삽입되어 공압발생회로와 연결된 공압실린더와; 상기 공압 실린더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일단부에 지지판이 고착된 로드와; 상기 공압 실린더의 전방부와 범퍼의 작동공에 위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후단 영역이 상기 외부케싱에 삽입된 내부케이싱과: 상기 내부케이싱에 일단이 고착되며 상기 지지판에 타단이 고착되어 1차 완충역할을 행하는 완충스프링과; 자동차의 변속레버의 상단에 설치되며 자동차의 출발과 정지시 보조레버 조작에 의해 스위칭 접촉돠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측의 전원연결캡을 스위칭 하는 보조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에 의해, 범퍼에 설치된 일련의 충격 완충장치가 어떤 물체와 충돌하였을 때 외부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Impact-Buffering System Automobile}
본고안은 자동차의 충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주 프레임의 전방부분에 고정되어 범퍼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하도록 충격 완충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차가 어떤 물체와 충돌하였을 때 외부의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어떤 물체와 충돌하였을 때 그 충격을 완충시키거나 이로 인한 탑승자의 신변보호를 위한 수단으로 완충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자동차의 전면에 설치된 범퍼를 대표적 예로 들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범퍼는 작은 충격 정도만을 흡수 할 수 있는 구성을 취하고 있어서, 정면으로부터 발생되는 큰 충격에 따른 충격은 흡수 및 완충 할 수 없기 때문에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출한 것으로서, 충돌의 정도에 관계 없이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 완화하여 탑승자의 신변을 안전하게 보호 할 수 있는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고안에 따른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의 전체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일부분 조립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레버에 의한 스위칭수단을 보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충격완충장치
14 : 핀
15,15a. 16,16a, 17 : 첵크밸브
20 : 공압발생회로
A : 전원연결캡
B : 전원연결캡
21 : 솔레노이드밸브
22 : 스위치
23 : 레귤레이더
24 : 압축리미트스위치
25 : 모터(D.C)
26 : 콤퓨레샤
27 : 전원
28 : 공기조절밸브
29 : 릴리프밸브
30,30a : 공압 실린더
31,31a : 지지판
32,32a : 로드
33,33a : 완충스프링
34,34a : 전진배관
35,35a : 수축배관
40,40a : 외부케이싱
50,50a : 내부케이싱
51 : 연결간
60 : 주 프레임
70 : 범퍼
71 : 작동공
80 : 보조레버
81 : 변속레버
상기 목적은 , 본 고안에 따라,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주 프레임의 전방 영역에 소정간격을 두고 각각 장착되며 전방부에 개구가 형성된외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에 각각 삽입되어 공압발생회로와 연결된 공압실린더와; 상기 공압실린더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일단부에 지지판이 고착된 로드와; 상기 공압실린더의 전방부와 범퍼의 작동공에 위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후단 영역이 상기 외부케이싱에 삽입된 내부케이싱과; 상기 내부케이싱에 일단이 고착되며 상기 지지판에 타단이 고착되어 1차 완충격할을 행하는 완충스프링과 자동차의 변속레버의 상단에 설치되며 자동차의 출발과 정지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스위칭 접촉되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측의 전원 연결캡을 스위칭 하는 보조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압 발생회로는 전원과 레귤레이더와 모터가 연결된 콤푸레샤와 압축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콤푸레샤와 연결된 첵크밸브 및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릴리프 밸브가 상기 공압실린더를 연결하는 공압 배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1은 고안에 따른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의 전체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2는 도 1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도 2에 따른 일부분 조립상태의 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충격 완충장치(10)는 , 자동차의 보닛 내부에 설치된 공압발생회로(20)와, 공압발생회로와 연결된 공압 실린더(30)(30a)와, 공압실린더를 수용하는 외부케이싱(40)(40a)과, 외부케이싱의 내측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되는 내부케이싱(50)(50a)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충격 완충장치(10)는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주 프레임(60)에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이하에서는 일측의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만을 설명한다.
자동차의 주 프레임(60)의 전방 영역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전방이 개구된 외부케이싱(40)(40a)을 나란히 위치시켜 용접 또는 고정볼트(도시치 않음)등으로 고정한다. 외부케이싱(40)(40a)의 내부에는 전방에 지지판(31)(31a)이 고착된 로드(32)(32a)를 갖는 공압실린더(30)(30a)를 위치시키, 실린더는 발생회로(20)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다.
외부케이싱 (40)(40a)의 내부 상측에는 내부케이싱(50)(50a)이 위치하며 내부케이싱(50)(50a)과 지지판(31)(31a)에는 완충스프링(33)(33a)의 각 단부가 고착되어 있다.
내부케이싱(50)(50a)은 자동차의 범퍼(70)에 형성한 작동공(71)에 위치되어 공압발생회로(20)에 의한 공압(30)(30a)에 의해 전/후진 이동하며, 충돌시 내부케이싱(50)(50a)은 범퍼(70)로부터 저지되어 않는다.
내부케이싱(50)(50a)의 측 방향에는 내부케이싱을 연결하는 연결간(51)을 설치하여 양측의 내부케이싱(50)(50a)을 함께 이동시키는 보조수단으로 사용되며, 연결간(51)은 충격에 약한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함으로써 자동차의 정면 충돌이 아닌 일측 충돌시 다른 한쪽의 내부케이싱(50)이 타측에 설치된 내부케이싱(50a)의 후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며 첵크밸브(15,15a)도 또한 타측 내부케이싱에 역류되지 않게 배려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레버에 의한 스위칭수단을 보인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자동차에 설치된 기존 변속레버(81)의 상단에는 보조레버(80)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보조레버(80)는 핀(14)에 의해 기존의 변속레버(81)에 설치되어 자동차가 주행중이거나 정지시 보보레버(80)를 좌,우로 움직여 스위치(22)를 접지시켜 공압발생회로(20)와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21)측의 전원연결캡(A),(B)을 스위칭하여 내부케이싱(50)(50a)이 전/후진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공압실린더(30)(30a)에 내부케이싱 (50)(50a)과 외부케이싱(40)(40a)를 장착하여 내부케이싱(50)(50a)의 내측과 로드(32)(32a)상단 사이에 완충스프링(33)(33a)을 고착 설치한다.
내부케이싱(50)(50a)이 외부의 충격을 받아 압력을 받으면 최초완충스프링(33)(33a)이 같이 압축하며, 이때 공압발생회로(20)의 체크밸브(16)(16a)를 거쳐 충격압력이 릴리프밸브(29)에서 설정된 압력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릴리프밸브(29)가 열리고 공기조절밸브(28)로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한다.
공압 실린더(30)(30a)는 (모터(25)에서 콤푸레샤(26)를 가동시키면 공기가 공급되어 배관을 따라 솔레노이드밸브(21)에 유입된다. 이때 전원(27)을 보조레버(80)에 의해 스위치(22)에 접속되며 전원연결캡(A)에 접속되어 솔레노이드밸브(21)가 열리면서 공기가 포터(C)를 통해 전진배관(34)(34a)을 따라 공압실린더(30)(30a)에 유입되어 내부케이싱(50)(50a)에 고정된 로드(32)(32a)가 앞으로 전진하여 상사점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에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전진해 있던 로드(32)(32a)와 완충스프링(33)(33a)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내부케이싱(50)(50a)상단에 완충스프링(33)(33a)이 갑작스런 충격을 일차적으로 흡수시켜주고 로드(32)(32a)를 압박하여 릴리프밸브(29)의 설정된 압력이 이상 발생하면 릴리프밸브(290가 열려 로드(32)(32a)가 점차적으로 수축하면서 충격을 흡수시켜 주는 것이다.
그리고,릴리프밸브(29)가 열려 드레인되는 공기량은 공기 조절밸브(28)가 조절하는 것이다.
한편, 차량이 주/정차할 때에는 내부케이싱(50)(50a)은 전방으로 돌출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로드(32)(32a)를 수축하고자 할 때는 전원(27)을 보조레버(80)에 의해 스위치(22)에 접속되면 전원연결캡(B)에 플라스전기와 마이너스가 접속되여 솔레노이드밸브(21)가 열려 포터(D)를 통해 공기가 수축배관(35)(35a)을 따라 공압실린더(30)(30a)에 유입되어 공압 실린더의 로드(32)(32a)가 하사점으로 수축한다.
그리고, 첵크밸브(15)(15a)는 로드(32)(32a)의 한쪽부분에 많은 힘이 가해졌을 때 다른 한쪽 로드에 충돌압력이 전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자동차의 주/정차시에는 운전자의 습관에 의해서 변속레버(81)를 이동시키는데, 이러한 일련의 동작에 따라 운전자는 보조레버(80)를 좌측방향(1단, 2단위치)으로 밀면 스위치(22)가 접속되어 전원(27)이 솔레노이드밸브(21)의 전원연결캡(B)에 접속되어 로드(32)(32a)에 장착된 내부케이싱(50)(50a)이 함께 수축하므로 내부케이싱(50)(50a)이 수축되는 것이다.
또한, 로드(32)(32a)를 전진시키고자 할 때, 즉 , 차량의 출발하여 가속 진행할 때 변속레버(81)와 보조레버(80)를 우측방향(3단 , 4단, 5단위치)으로 함께 밀어, 보조레버(80)가 스위치(22)를 접지 동작시키면 솔레노이드밸브(21)의 전원연결캡(A)에 전원(27)이 접속되므로 로드(32)와 내부케이싱(50)(50a)이 함께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모터(25)가 콤푸레샤(26)를 작동하면 공압실린더(30)(30a)의 로드(32)(32a)가 범퍼(70)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자동차가 충돌하였을 때, 로드(32)(32a)가 압축을 받아 릴리프밸브(29)에 전해져 설정된 압축압력 이상을 받게되면 릴리프밸브(29)가 열리고 조절밸브(28)에서 드레인되는 공기량을 조정해 놓으면 로드(32)(32a)는 점차적으로 수축하면서 충격을 완화시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르면, 공압발생회로와 이와 연결된 공압 실린더에 의한 충격방지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이에 한하지 않고 유압 발생회로와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여 외부의 충격을 완충할 수 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범퍼에 설치된 일련의 충격 완충장치가 어떤 물체와 충돌하였을 때 외부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탑승자를 안전하게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2)

  1.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주 프레임의 전방 영역에 소정간격을 두고 각각 장착되며 전방부에 개구가 형성된 외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에 각각 삽입되어 공압발생회로와 연결된 공압실린더와;
    상기 공압실린더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일단부에 지지판이 고착된 로드와;
    상기 공압실린더의 전방부와 범퍼의 작동공에 위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후단 영역이 상기 외부케이싱에 삽이된 내부케이싱과;
    상기 내부케이싱에 일단이 고착되며 상기 지지판에 타단이 고착되어 1차 완충역할을 행하는 완충스프링과;
    자동차의 변속레버의 상단에 설치되며 자동차의 출발과 정지시 스위칭 접속되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측의 전원연결캡을 스위칭 하는 보조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 발생회로는 모터와 연결된 콤푸레샤 및 압축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콤푸레샤와 연결된 첵크밸브 및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릴리프밸브가 상기 공압 실린더를 연결하는 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
KR2020020000079U 2002-01-02 2002-01-02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 KR2002712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079U KR200271245Y1 (ko) 2002-01-02 2002-01-02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079U KR200271245Y1 (ko) 2002-01-02 2002-01-02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245Y1 true KR200271245Y1 (ko) 2002-04-09

Family

ID=73083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079U KR200271245Y1 (ko) 2002-01-02 2002-01-02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2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99047A (en) Impact absorbing device and motor vehicle body structure incorporating the same
US6179356B1 (en) Impact damper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110006743A (ko) 자동차 범퍼의 충격완화장치
KR200271245Y1 (ko)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
KR100328687B1 (ko) 자동차용 안전범퍼
KR200227845Y1 (ko)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
KR100196174B1 (ko) 차량충돌시 충격을 완화하는 범퍼와 충격완화장치
KR200291128Y1 (ko) 유압식 안전 범퍼
GB2422581A (en) Collision resistance bumper
KR200325911Y1 (ko) 에어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
KR0135199Y1 (ko) 차량의 높이 조절식 범퍼
KR19980061354A (ko) 자동차용 충격 흡수 장치
KR200171403Y1 (ko) 자동차의 보조범퍼장치
KR101167270B1 (ko) 자동차용 범퍼 완충장치
KR100441908B1 (ko) 자동차의 충격 완충장치
KR20110024541A (ko) 충격 흡수 가변형 범퍼장치
KR100534272B1 (ko)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장치
KR960005994B1 (ko) 자동차의 안전장치
KR960008263B1 (ko) 에어실린더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장치
KR200284054Y1 (ko) 자동차범퍼의 충격완화장치
KR100302512B1 (ko) 형상 복원 범퍼
JP2003146160A (ja) 車両用衝突緩衝装置
KR100383987B1 (ko) 차량의 충돌완충장치
KR200152398Y1 (ko) 차량용 충격 흡수 장치
CN2273670Y (zh) 车辆防撞缓撞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