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006A - 휴대용 전화기 핸드세트 구조_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화기 핸드세트 구조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006A
KR19990087006A KR1019980053552A KR19980053552A KR19990087006A KR 19990087006 A KR19990087006 A KR 19990087006A KR 1019980053552 A KR1019980053552 A KR 1019980053552A KR 19980053552 A KR19980053552 A KR 19980053552A KR 19990087006 A KR19990087006 A KR 19990087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dy portion
tambour
cover me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5987B1 (ko
Inventor
폴 앤쏘니 머피
브라이언 더글라스 스미스
둔칸 그랜트 영
나이겔 티모시 코트
Original Assignee
폴 에이.머피
브이텍 커뮤니케이션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 에이.머피, 브이텍 커뮤니케이션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폴 에이.머피
Publication of KR19990087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관절 회전되는 이동 가능한 커버를 갖는 전화기 핸드세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 커버는 강성 부분과 유연 부분을 갖는다. 커버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커버의 유연 부분은 전화기 핸드세트의 전방과 상방부분 둘레로 감긴다. 커버의 강성 부분을 전화기 핸드세트의 주 본체부분에 먼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커버를 전개 할 때에 커버의 유연 부분은 풀려져서 전화기 핸드세트의 주 본체부분 배면을 실질적으로 덮는 위치로 이동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화기 핸드세트 구조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전기 구동되는 휴대용 전화기 핸드세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말하면 폐쇄 상태에서 개방상태로 관절 회전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 핸드세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개념은 폐쇄 구조에서 개방구조로 관절 회전 가능한 임의의 휴대용 전화 송수화기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송수화기 구조는 이동식 커버 또는 탬부어(tambour)를 포함하는데, 이는 커버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실질적으로 송수화기의 내부 작동부를 에워싼다.
탬부어의 일부는 실질적으로 강성이고, 가상 마이크로폰 송화구(microphone mouthpiece) 부분을 형성하지만, 이 마이크로폰은 가능 작동될 수 있다. 여러 가지 전화 송수화기용 제어장치는 강성 송화구 부분에 또한 배치되어 탬부어의 전개시 노출되어 기능 작동될 수 있다.
탬부어의 제 2부분은 실질적으로 유연하고, 송수화기의 주요 내부 작동부를 포함하는 송수화기 부분 둘레로 감고 펼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탬부어는 완전히 유연(flexible)할 수 있다.
송수화기 하우징의 측부에는, 감고 펴지는 동안 탬부어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트랙 구조물이 제공된다.
탬부어가 폐쇄상태일 때, 유연부분은 실질적으로 수신기(earpiece)와 사용할 때 사용자를 향한 핸드세트의 주 본체 부분을 덮는다. 핸드세트의 강성 부분은 탭어가 폐쇄상태일 때 전화기 주 본체 부분 배면을 실질적으로 덮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안내 휠들은 연장(개방) 상태에서 후회(폐쇄)상태로 탬부어를 다시 용이하게 감기 위해, 탬부어와 탬부어 강성 부분의 바닥단부를 파지하여 하향으로 잡아당기는 것을 포함하고 전화기 주 본체 부분의 배면을 실질적으로 덮는 위치로 유연부분을 이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개방상태에서 탬부어가 확장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핸드세트 구조물의 분해 평면도.
도 2는 완전히 조립되어 폐쇄된 상태에서 탬부어가 수축된 도 1의 실시예의 전화기 핸드세트 구조물의 평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전화기 핸드세트 실시예의 일부개략 측면도.
도 4는 도 2의 4-4선을 따른 도 1-3 실시예의 전화기 핸드세트 구조물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2의 5-5선을 따른 도 1-3 실시예에 전화기 핸드세트 구조물의 단면도.
도 6은 도치된 형태의 탬부어를 갖고 "이빨"은 외측면에 있으면 기능 또는 파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가로로 변하는 형상이 제공된, 도 1-5 실시예에 따른 탬부어 부분의 사시도.
도 7은 전화기 핸드세트 하우징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선택적인 특성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핸드세트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전원 위치용의 다양한 선택적인 구조물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더욱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핸드세트 구조물의 사시도.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의 실시예가 가능할지라도 여러 개의 특정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됐고 상술될 것이며, 본 발명의 설명은 본 발명원리의 표본으로 간주되고 본 발명을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음을 명심해야 한다.
핸드세트(10)는 개방형태로 도 1에 분해 평면도로 도시됐고, 도 2는 완전히 조립되어 폐쇄된 형태로 핸드세트를 도시한다. 핸드세트(10)는 주 본체부분(13), 좌측 폐쇄부(16), 우측 폐쇄부(19), 및 덮개 또는 탬부어(tambour)(2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4)가 핸드세트(10)의 좌측부(16) 또는 기타 부분에서 연장될 수 있을지라도 안테나(14)는 주 본체부분(13)의 우측에서 연장되나 핸드세트가 완전히 조립될 때 우측 폐쇄부(19)의 적당한 노치 또는 개구부를 통해 돌출된다. 다른 경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전화기 전자부품의 대부분이 주 본체 부분 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지라도 특정부품들은 탬부어 및/또는 좌측 또는 우측 폐쇄부의 일부분 또는 전부를 차지한다.
핸드세트(10)의 이동 가능한 커버의 기계적인 부분은 도 3-5를 볼 때 즉시 이해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핸드세트 실시예의 일부 측면도를 보여준다. 탬부어(22)는 전개된 위치로 도시됐다. 탬부어(22)는 일반적으로 도면번호 23으로 도시된 강성 부분과 유연 부분(flexible portion)(24)을 갖고 이 유연 부분은 가로로 연장되는 이빨/홈(25)에 의해 유연하게 이루어진다. 핸드세트(10)의 주 본체 부분(13)은 하나 이상의 안내 휠(28)을 갖고, 이 안내 휠 들은 메인 본체 부분(13)에 대회 회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안내 휠(28)이 제공되고, 주 본체 부분의 각 측면에 하나씩 제공된다. 각 안내 휠(28)은 톱니모양의 기어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어)이빨(29)은 유연 부분(24)의 일부가 주 본체부분(13) 둘레로 감겨질 때 탬부어(22)의 유연 부분(24) 이빨(25)과 맞물리는 크기로 제조되고 간격이 유지된다. 안내 휠의 이빨과 탬부어 유연 부분의 이빨들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도시됐으나 기타 형태의 이빨들은 탬부어가 안내 휠에 대해 제자리에 유지될 때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측면 폐쇄부에 의해 탬부어와 안내 휠 사이에 구동/피동 관계가 있는 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안내 휠과 탬부어는 이빨이 없을 수 있고, 안내 휠과 탬부어가 만족스러운 마찰 결합이 가능하도록 보완물질(complementary material)로 제조되는 경우 탬부어는 측면 폐쇄부에 의해 안내 휠에 의해 그와 같은 마찰결합이 유지된다.
탬부어가 상부, 바닥, 정면 및 후방에 의해 핸드세트용 커버를 형성하므로 강성 부분(23) 바닥 단부의 만곡부 호상길이를 포함하는 탬부어(22)의 전체 길이는 도 3에 도시된 형태 둘레로 주 본체부분(13)의 주변 둘레와 대략 동일해야 한다. 이와 달리 핸드세트(10)는 강성 부분(23) 바닥 단부의 만곡부분이 생략되게 제조될 수 있다. 좌측 폐쇄부(16)와 우측 폐쇄부(19)는 트림 패널(trim pannel) 또는 기타 구조물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 강성 부분(23)은 상기 트림부품 아래의 구역으로부터 또는 강성 부분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탬부어가 안내 휠과 결합이 유지되고 주 본체부분 둘레로 이동이 안내되는 방식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4 및 도 5에 도시됐다.
도 4는 도 2의 4-4선을 따른 도 1-3 실시예의 전화기 핸드세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탬부어(22)는 주 본체 부분(13)의 폭보다 조금 더 큰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의 폭을 갖고, 그래서 탬부어(22)의 양은 주 본체부분(13)의 각 측면에서 가로로 돌출된다. 탬부어(22)가 따르는 트랙을 제공하기 위해 좌측 폐쇄부(19)의 둘레 부분은 가로로 연장되는 외부 트랙 구조물(71)이 제공되어 A지점에서 B지점까지 시계방향 둘레로 연장된다. A지점과 B지점에 대한 특정 위치가 도 4에 도시됐을지라도 하우징 전체의 특정 형태들은 공지의 기술을 갖는 이 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 등에 의해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A 지점과 B 지점의 특정 위치들은 또한 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적당히 형성된 좌측 폐쇄부(16)의 맞물림 표면은 적당한 방법, 예컨대 접착, 초음파 접합, 고정구 등에 의해 이에 상응되게 주 본체 부분(13)의 적당히 형성된 맞물림 표면에 부착될 때, 외부 트랙 구조물917)의 가로 폭 부분은 위로 걸려서(아래로 걸려서) 탬부어(22)부분을 둘러싼다.
좌측 폐쇄부(16)는 내부 트랙 구조물(18,20)이 또한 제공되고, 이 트랙 구조물 각각은 마찬가지로 벽(21)에서 주 본체 부분(13)을 향해 가로로 돌출된다. 주 본체 부분(13)의 두께는 좌측 폐쇄부(16)의 구조물에 반영되고, 트랙 구조물(16,17,20)이 탬부어(22)의 이동경로를 한정하므로 주 본체부분(13)은 트랙구조물(18,20)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 실질적으로 맞추어져야 한다. 또한 우측 폐쇄부(19)는 이에 따라 형성된 내부 트랙 구조물이 제공되고 마찬가지로 우측 폐쇄부(19)의 내측면에서 주 본체부분(13)을 향해 가로로 돌출된다.
커버가 개방될 때, 탬부어(22)는 핸드세트의 바닥에서 멀리 당겨진다. 도 4에 대하여 이는 탬부어(22)의 강성 부분(23)이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당겨지는 것을 의미한다. 개방시키기 위해 A지점과 B지점 사이에 간격이(거리가)있고, 도 4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트랙 구조물은 완전히 비어있거나 A지점과 B지점 사이의 간격 부분보다 작게 가로로 연장되어서 도 4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트랙 구조물(17)은 탬부어의 강성 부분(23)과 겹쳐지지 않는다. 도시된 탬부어 부분(23)은 도 3에 도시된 상향으로 만곡된 만곡 구조물을 가질 필요가 없고, 대신에 실질적으로 편평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경우(편평한 경우) 좌측 폐쇄부(16)와 우측 폐쇄부(13)는 전방 패널 구조물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고, 이 전방 패널 구조물은 주 본체부분(13)의 상부와 겹치고, 키패드 키(keypad key)가 연장될 수 있고, 시각 표시(visual display)가 보여질 수 있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안내 휠(28)과 탬부어(22) 유연 부분(24)과의 결합이 또한 도 4에 도시됐다.
도 5는 도 2의 5-5선을 따른 전화기 핸드세트(10)의 단면도이고, 전화기 핸드세트 상부에서 멀리 본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안내 휠은 탬부어가 폐쇄되어 감긴 상태의 구조로 도시됐다. 이외에 주 본체 부분은 단순화된 형태로 그리고 파선으로 도시됐고, 안테나는 도면의 용이한 예시를 위해 도면에서 생략됐다. 위로 돌출되고 아래로 돌출되는 트랙 구조물(17,18,20)들은 탬부어(22) 가로 중첩부분으로 도시될 수 있고, 감긴(폐쇄)상태에서 커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 및 하방에서) 주 본체부분의 전, 후방 양자를 덮는다.
우측 폐쇄부(19)는 안내 트랙 구조물 세트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본체 부분(13)의 우측에서 돌출되는 안테나 구조물을 수용하기 위해 우측에 제공된 적당한 간극 또는 구멍(개구부)을 갖는다.
이전에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안내 휠들은 (탬부어 상의 상호결합 이빨 및 안내 휠을 통해서 또는 상대적으로 편평한 표면의 마찰 결합을 통해) 탬부어와 구동/피동 관계에 있다. 더욱이 안내 휠들은 전화기 핸드세트의 주 본체부분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안내 휠들은 주 본체 부분의 폭으로 연장되는 축(axle)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이는 이와 달리 전자부품 및 기타 전화기의 작동부품에 의해 점유되는 주 본체 부분의 내부 공간을 차지한다(점유한다). 이와 달리, 안내 휠들은 주 본체 부분의 측벽에서 나오거나 측벽에 고정되어 짧게 고정되거나 회전 가능한 "정지(dead)" 축들에서 회전되게 장착 설치될 수 있다.
안내 휠들은 주 본체부분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물은 특히 탬부어 전개를 실행시키지 못한다. 주 본체 부분에서 멀리 있는 강성 부분의 파지 및 당김 시에, 안내 트랙 구조물을 따라 당겨지는 유연 부분은 안내 휠들이 간단히 회전되게 한다. 그러나, 강성 부분을 주 본체부분을 향해 복귀 이동시킴으로써 전화기를 폐쇄시키기 위해 유연 부분은 신속히 구부려지거나 감겨질 수 있고 안내 휠들을 확실히 구동할 수 없다.
따라서, 탬부어를 폐쇄상태로 용이하게 복귀하도록 구동 메커니즘을 갖는 안내 휠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차 및/또는 주거용 창문 커튼(residential window shades)에 사용되는 래칫 스프링 바이어싱 메커니즘(ratcheting spring biasing mechanism)과 같은 많은 그와 같은 메커니즘이 공지됐다. 이와 같은 메커니즘에서(또는 본 발명에서) 커튼을 당기는 것은
탬부어 전개(배출)는 스프링(대개 코일 스프링)의 증가되는 스프링 힘에 반대로 달성된다. 래칫 메커니즘은 일단 당김력이 해제되면 커튼(탬부어)이 후퇴(폐쇄상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일단 커튼(탬부어)이 특정의 예정거리를 지나서 당겨지면, 래칫이 해제되고, 스프링은 안내 휠을 회전시켜서 탬부어가 감기거나 보관방향으로 복귀되게 당겨진다. 이와 같은 메커니즘들은 공지됐고, 따라서 이와 같은 메커니즘의 상세한 설명 및 예시는 전화기 하우징 설계의 기능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 불필요한 것은 예시는 도면에서 생략됐다.
이와 달리 탬부어를 개방하는 당김은 스프링 바이어스에 반대로 권취함으로써(감음으로써) 달성되고, 이는 탬부어의 돌발적인 재권취를 방지하는 래칫 메커니즘을 갖춘다. 자동 창문 커튼과 같이 이 분야에 공지된 푸시버튼형 해제 메커니즘은 탬부어 재권취(다시 감는 것)를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푸시버튼(예컨대 버튼(62), 도 7의 실시예)은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주 본체부분(23)의 측면에 위치된 상대 레버 또는 멈춤쇠(counterpart lever or pawl)(64)와 결합될 수도 있다. 안내 휠 상에 스프링 바이어스를 시킴으로써 그리고 안내 휠이 바람직하지 않은 수축(후퇴)를 정지시키도록 스프링이 장착된(부하된) 멈춤쇠를 제공함으로써 탬부어는 밖으로 당겨질 수 있고 그와 같은 위치에 정지된다. 해제버튼(62)을 가압함으로써, 멈춤쇠는 안내 휠과의 결합이 풀리도록 해제되도록 이동될 수도 있고, 안내 휠은 탬부어에 감기도록 스프링력(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자유로이 이동된다. 다시 그와 같은 메커니즘이 공지됐고 따라서, 그와 같은 메커니즘의 상세한 설명 및 예시는 전화기 하우징 설계의 기능을 완전히 (충분히) 이해하는데 불필요하므로 도면에서 생략됐다.
기타 공지된 보관에너지(축적된 에너지)(stored-energy) 구동 메커니즘은 잘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 탬부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에 따라 내부공간 및 전원 고려(power consideration)가 허용되는 경우 안내 휠에 연결된 서보모터와 같은 동력구동(전원구동) 메커니즘은 탬부어를 연장(확장) 및/또는 후퇴(수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동력구동 시스템은 적당한 제어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예컨대 그와 같은 제어를 하는 버튼이 측면 폐쇄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주 본체장치의 외부측면에 있는 상대 접촉부와 결합되는 측면 폐쇄부상의 전기 접촉부에 의해 주 본체장치에 연결된다.
도 1-도 5의 실시예는 탬부어(22)(또한 도 6에 비교 목적으로 도시됨)의 미끄럼 이동 가능한 커버 또는 탬부어(22)가 도시되고, 여기에서 탬부어의 외측면은 내측면이 이빨면이 설치됐을지라도 이빨이 형성된 안내 휠 또는 이와 달리 편평한 안내 휠과 결합하는 편평면과 결합되는 편평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외측면은 가로 홈(transverse grooves)들이 설치될 수도 있고, 이 가로 홈들은 감촉이 부드러운 파지면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즉 이빨면들은 볼록 또는 오목형태를 갖출 수도 있고 일측 변부에서 타측 변부로 진행된다. 도 6의 실시예에서, 탬부어(40)는 이빨이 형성된 형태의 외측면(42)이 제공(설치)되나, 편평한 내측면(안내 휠과의 마찰 구동 결합시에 따라)이 설치된다. 이는 편평하거나 편평하지 않은 상이한 결합이 또는 심지어 널링(knurling)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공지된 정보를 갖는 이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탬부어의 내측면과 외측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도 5의 실시예에 대해 기술된 기본 특성(특징)이외에, 본 발명의 전화기 핸드세트 구조는 다양한 특징을 수용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예컨대, 주 본체 부분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안테나 구조물은 연장 가능한 신축 안테나(telescopic antenna)일 수도 있고, 한 쌍의 적당히 위치된 핀치 로울러(pinch rollers)에 의해 또는 볼 스크류 또는 웜 기어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는 중앙 코어에 의해 확장(연장)되거나 수축(후퇴)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것 중 어느 하나가 하우징의 측면에 있는 안내 휠에 대해 기어 구동관계로 용이하게 배치(배열)될 수도 있고, 그와 같은 안테나는 탬부어가 연장(확장)될 때 자동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커니즘은 일반적으로 공지됐고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설명을 간략히 예시할 목적으로 생략됐다.
도 1-도 5에 도시된 안테나 구조(형태)(14)와 달리, 전화기 핸드세트의 구조(형태)를 단순화시키기 위해 안테나는 대신에 탬부어의 강성 부분(도 1의 도면번호 14')내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적당한 슬라이드 전기 접촉 구조물(도시되지 않음)에 의하거나 탬부어와 주 본체부분(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유연 케이블 리본(flexible cable ribbon)에 의해 주 본체부분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항구적으로 포함된 안테나를 제공함으로써 도 1-도 5 실시예의 안테나를 전개 및/또는 수축(복귀)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할 필요성은 제거되고, 전화기 핸드세트는 핸드세트가 사용될 때마다 자동으로 전개(확장)(연장)되는 안테나를 갖는 이점(장점)이 있다.
도 1-도 5의 전화기 핸드세트 구조물은 간략한 도시를 위해 안테나 이외에 비교적 간단하고 정식의(표준의)(보통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도시됐다. 정면도로부터 전화기 핸드세트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측면도로부터 전화기 핸드세트는 실질적으로 직선의 전후방 면과 상부 및 바닥에서 반원형 형태를 갖는 것으로 도시됐다. 이들 형태는 본 발명의 공지기술을 갖는 전화기 핸드세트 설계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7의 전화기 핸드세트의 형태가 사용될 수도 있고 이 형태는 만곡된 측면 형태를 갖는다. 그와 같은 형태를 감싸도록 (유연 부분(52)과 실질적으로 강성 부분(54)을 갖는) 적당히 안내된 탬부어(50)를 제공하는 문제는 측부 폐쇄부상의 트랙이 전화기 핸드세트 외측면(외부면)의 형태를 실질적으로 (실제) 따르는 것을 보장하는 문제이다.
본 발명의 전화기 핸드세트 설계에 결합(도입)될 수도 있는 또 다른 특성그룹들은 전화기 핸드세트를 구동하도록(전원공급시키도록) 사용될 수도 있는 전원형태에 관한 것이다. 이들 설계(계획) 각각은 독립적으로(각각)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 핸드세트는 여러 상이한 전원형태로 구동될 수도(전원공급될 수도) 있다. 제 1 전원(first battery)(56)은 전화기 핸드세트의 주 본체부분 내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도 있다. 측면 폐쇄(60) 중 한 부분 또는 기타 부분에 적당한 개구부를(구멍을)(58) 제공함으로써, 그리고 전원상에 (도시되지 않은) 잠금 및 해제구조물(locking and releasing structures), 측면 폐쇄부 및/또는 주 본체부분을 제공함으로써 작동자(사용자)는 튀어나와서 비워질 수 있고 그 다음 새로운 전원으로 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으로(내부에) 운반된(유지된) 전원은 제자리에 전원(battery)을 유지시키도록(고정하도록) 측부 폐쇄부나 주 본체부분의 오목부(detent)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탭이 걸린 변형 가능한 감긴 슴베부분(one or more tapped deflectable barbed tangs)을 가지나 신속한 제거(해제)를 가능하게 한다.
현대의 전원들은 가상적으로 바람직할 수도 있는 어떤 형태 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전원 옵션(battery option)이 도 8에 예컨대 내부에 유지된 전원 외에 두 개의 또 다른 옵션을 보여주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측면 폐쇄부(70)는 적당한 전기 접촉부(72)가 제공되는 경우 전원을 둘러쌀 수도 있고(하우징시킬 수도 있고), 이 전기 접촉부는 주 본체부분(74)의 측면 상에 있는 대응 접촉부와 맞물린다. 이와 달리 스냅(으로 잠그는)식의 전원(snap-on battery)(도시되지 않음)은 측면 폐쇄부의 한 표면 또는 기타 표면상에 있는 접촉부에 스냅 끼움되도록(snap on to)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접촉부를 커버할 수도(덮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전원 옵션은(전원 추가는) 탬부어(82) 강성 부분의 바닥면과 외측면(외부면)에 전원을 (도 8에 도시된 폐쇄상태로) 스냅 끼움시키는 것이다. 탬부어의 외부면에 필요한 전기 접촉부 및 결합 구조물을 제공(설치)함으로써, 이는 전원상의 보충 결합구조물(대우(상대) 결합구조물)과 해제되게 결합될 수 있고, 이 전원은 탬부어의 이동가능한 강성 부분을 따라 유지될 수도(운반될 수도) 있다. 탬부어와 주 본체부분 사이의 슬라이드 전기 접촉부 또는 유연 커넥터 리본의 사용은 주 본체부분을 통한 전기 연결(전기접속)을 완성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화기 구조물이 제공될 수도 있는 제어/디스플레이를 위해 이용 가능한 다수의 잠재적인 옵션이 존재한다. 예컨대, 주 본체부분은 종래의 키보드(도 1의 도면번호 31, 32로 파선으로 도시됨) 및 LCD 디스플레이가 제공될 수도 있다. 탬부어 강성 부분의 만곡부분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 커버(도 1의 구역 도면번호 36 참조)인 오목한 가짜 홈(mock grooves) 또는 구멍들이 제공될 수 있을지라도, 이어폰 및 마이크로폰(도 5에 각각 도면번호 33, 34로 표시됨) 양자는 주 본체부분(13)을 차지하며, 이 마이크로폰은 주 본체부분(13)의 하부 또는 바닥구역에 일반적으로 위치된다.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탬부어(23)의 부분은 만곡될 필요도 없고 강성일 필요가 없으며 마이크로폰은 유사하게 이루어질 필요도 없으나 대신에 기능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특정한 이동 전화기 시스템(cellular telephone system) 및/또는 이 전화기에 조립된(완성된) 복잡한 프로그램의 수준에 따라(수준에 좌우되어), 전화기는 GSM 셀룰러폰(cellular phone)시스템에 현재 사용되는 소위 "스마트 카드(smart cards)"와 작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슬롯(째진 구멍)(slot)이 핸드세트에 이 스마트 카드를 수용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고, 전화기 핸드세트의 주 본체부분 내에 있는 대응 전기 접촉부와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전화기 핸드세트의 주 본체부분 바닥에 위치되는 스마트 카드(88)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의 잠재적인 슬롯(86) 위치를 예시한다. 이 슬롯은 탬부어가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접근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1 슬롯과 정렬된 또 다른 슬롯(제 2슬롯)은 탬부어의 강성 부분에 위치될 수도 있어서, 스마트 카드는 전화기 핸드세트를 개방하지 않고 삽입 또는 제거될 수 있다. 더욱 다른 상이한 형태에서 정렬된 한 쌍의 슬롯들은 주 본체부분에 그리고 하나 또는 기타 측면 폐쇄부에 제공(설치)되어 전화기 핸드세트의 측면을 통한 스마트 카드의 삽입 수용 및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커버가 폐쇄상태(위치)일 때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도록 전원동작(power on), 전원 상태(battery status), 기능 호출(paging functions), 및 기타 기능과 같은 특정 디스플레이들이 간단한 LED 또는 (충전용 녹색으로 읽혀진)다색 LED(multi-color LED)에 의해 선택(address)될 수 있고, 이 LED는 필요한 인디케이터(indicators)들 (기타 적당한 인디셔(indicia)에 수반됨)을 도 7의 도면번호 90, 92, 9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폐쇄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필요한 전기 접촉부들은 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주 본체부분의 측면에 있는 대응 접촉부와 결합되어 연결되도록 측면 폐쇄부의 내측면(내부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나 이상의 탬부어 구역들은 주 본체부분의 정면에 위치한 LED 및 주 디스플레이 등을 표시하게 종래와 같이 배치된 상태가 폐쇄 탬부어를 통해 직접 보이도록 맑은 물질 또는 투명 물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설명 및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고 예시하는 것이고, 본 발명은 본 발명에 기술된 관련 기술을 갖는 이 분야의 전문가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으므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을 제외하고 예시된 설명 및 도면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6)

  1. 전화기 하우징의 전자 기능적 구성부품을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주 본체 부분으로서, 종축, 이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전후방 구역, 상부 구역, 상기 전후방 구역을 실질적으로 연결시키는 하부 구역, 및 두 개의 대향 측면 구역을 갖는 주 본체 부분 ;
    커버 부재가 폐쇄 형태일 때 전후방 구역 및 상하부 구역을 실질적으로 둘러싸서 커버하도록 작동되게 형성되고, 관절 회전 중에 실질적으로 주 본체부분의 외형을 따르는 경로로 이동하도록 작동되게 형성된 관절 회전 결합식 커버부재 ;
    상기 관절 회전 중에 관절 회전 결합식 커버 부재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해 주 본체 부분과 작동되게 결합된 하나 이상의 안내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용 하우징.
  2. 제 1항에 있어서, 주 본체부분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작동되게 겹쳐서 위치된 하나 이상의 폐쇄부재를 더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안내부재는 하나 이상의 측면 폐쇄부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용 하우징.
  3. 제 1항에 있어서, 커버부재는 유연한 부분과 실질적으로 강성 부분을 가져서 상기 관절 회전 시에, 상기 개방상태에 대하여 커버부재의 유연한 부분은 주 본체부분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커버부재의 형태를 변화시키고, 상기 관절 회전 시에 상기 개방상태에 대하여 상기 실질적으로 강성 부분은 상기 주 본체 부분에서 실질적으로 멀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용 하우징.
  4. 재 1항에 있어서, 작동 시에 관절 회전 가능한 커버부재를 주 본체 부분에 대해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동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용 하우징.
  5. 제 4항에 있어서, 구동 메커니즘은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느 전화기용 하우징.
  6. 제 4항에 있어서, 구동 메커니즘은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용 하우징.
KR1019980053552A 1998-05-12 1998-12-04 휴대용전화기핸드세트구조 KR100325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810177A GB2337393B (en) 1998-05-12 1998-05-12 Portable telephone handset construction
GB9810177.7 1998-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006A true KR19990087006A (ko) 1999-12-15
KR100325987B1 KR100325987B1 (ko) 2002-06-27

Family

ID=10831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552A KR100325987B1 (ko) 1998-05-12 1998-12-04 휴대용전화기핸드세트구조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6201868B1 (ko)
EP (1) EP0961456B1 (ko)
JP (1) JP3030632B2 (ko)
KR (1) KR100325987B1 (ko)
CN (1) CN1235464A (ko)
AR (1) AR013982A1 (ko)
AT (1) ATE203361T1 (ko)
AU (1) AU709949B1 (ko)
BR (1) BR9804294A (ko)
CA (1) CA2250691C (ko)
DE (1) DE69801151T2 (ko)
GB (1) GB2337393B (ko)
ID (1) ID23966A (ko)
NO (1) NO985074L (ko)
NZ (1) NZ332254A (ko)
SG (1) SG87778A1 (ko)
TW (1) TW4270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54665A (en) * 1999-05-18 2001-03-28 Vtech Communications Ltd Articulated sliding cover for a mobile telephone with a handwriting input surface
JP2001119460A (ja) * 1999-10-20 2001-04-27 Fujitsu Ltd 折りたたみ型携帯電話機及び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
SE519537C2 (sv) * 2000-01-21 2003-03-11 Richard Granberg Elektronisk anordning med tryckkänslig bildskärm och förskjutbart tangentborg
FI20000931A (fi) 2000-04-18 2001-10-19 Nokia Mobile Phones Ltd Kannettava elektroninen laite
EP1182849A1 (de) * 2000-08-25 2002-02-27 Roulements Miniatures S.A. Mobiles elektronisches Kommunikationsgerät mit Vibrationseinheit
AU2000276661A1 (en) 2000-10-02 2002-04-15 Nokia Corporation Sliding cover
US20040263478A1 (en) * 2001-11-27 2004-12-30 Erwan Berrou Electronic portable device
GB2392473B (en) * 2002-08-31 2004-07-14 Visteon Global Tech Inc Retaining clip
GB2396769A (en) * 2002-12-24 2004-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retractable sliding keypad
US6839576B2 (en) 2002-12-30 2005-01-04 Motorola, Inc. Multiple axis hinge assembly
DE102005049822A1 (de) * 2005-10-18 2007-04-19 Benq Mobile Gmbh & Co. Ohg Elektronisches Endgerät
FI20065292A (fi) * 2006-05-05 2007-11-06 Elcoteq Se Suojusrakenne matkaviestintä varten
KR100810264B1 (ko) * 2006-07-20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킹 해제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5806431B1 (ja) * 2015-05-20 2015-11-10 初田拡撒機株式会社 目砂、肥料等の散布機およびその搬送ベルト
CN111866225A (zh) * 2019-04-26 2020-10-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5279A (en) * 1976-05-24 1977-01-25 Julian Richter Lockable cover for push button telephones
FR2533783B1 (fr) * 1982-09-23 1989-02-03 Depaepe Sa Henri Combine telephonique extensible
GB2235606B (en) 1989-08-24 1994-03-30 Technophone Ltd Portable telephone
JPH04117849A (ja) * 1990-09-07 1992-04-17 Fujitsu Ltd カード式電話機
EP0536578A3 (en) * 1991-10-08 1993-05-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Radiotelephone
JPH077285A (ja) * 1992-01-31 1995-01-10 Mitsubishi Materials Corp 磁気シールド材
DE4220670C2 (de) * 1992-06-24 1994-04-14 Daimler Benz Ag Schließbarer Behälter
JPH06289992A (ja) * 1993-04-02 1994-10-18 Citizen Watch Co Ltd 携帯型コンピュータ
JPH06334778A (ja) 1993-05-20 1994-12-02 Canon Inc 通信端末
JP3290258B2 (ja) * 1993-07-06 2002-06-10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セラミックスと金属の接合体の製造方法
US5448251A (en) * 1993-09-23 1995-09-05 At&T Corp. Automatic telescopic antenna mechanism
JP2595932B2 (ja) * 1994-05-18 1997-04-0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機
DE29623336U1 (de) * 1995-07-10 1998-06-18 Peiker Andreas Handfunktelefon
US6073027A (en) * 1996-08-29 2000-06-06 Bellsouth Corporation Portable radiotelephone with sliding cover and automatic antenna extension
JP2959500B2 (ja) * 1996-12-04 1999-10-0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情報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61456B1 (en) 2001-07-18
EP0961456A1 (en) 1999-12-01
SG87778A1 (en) 2002-04-16
CA2250691A1 (en) 1999-11-12
AU709949B1 (en) 1999-09-09
CN1235464A (zh) 1999-11-17
JPH11341129A (ja) 1999-12-10
AR013982A1 (es) 2001-01-31
GB2337393B (en) 2000-04-05
ATE203361T1 (de) 2001-08-15
DE69801151D1 (de) 2001-08-23
BR9804294A (pt) 2000-01-18
NO985074D0 (no) 1998-10-30
CA2250691C (en) 2003-06-24
GB2337393A (en) 1999-11-17
DE69801151T2 (de) 2002-03-28
JP3030632B2 (ja) 2000-04-10
NZ332254A (en) 2000-06-23
KR100325987B1 (ko) 2002-06-27
US6201868B1 (en) 2001-03-13
ID23966A (id) 2000-06-08
TW427080B (en) 2001-03-21
GB9810177D0 (en) 1998-07-08
NO985074L (n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5987B1 (ko) 휴대용전화기핸드세트구조
KR960006143B1 (ko) 소형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
US6301487B1 (en) Information terminal unit incorporating cellular phone function and on/off-hook method
US20030184521A1 (en) Mouse with storage section for cord and the like
US6748249B1 (en) Electronic device with a sliding lid
JP2001048428A (ja) コード収納器
CN113572870B (zh) 壳体组件和电子装置
JP2503866B2 (ja) アンテナ・イヤホン付無線装置
KR20000075448A (ko) 감김가능한 키패드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 핸드셋 장치
JP2006304094A (ja) 携帯電話機
KR200215028Y1 (ko) 차량용 핸즈프리장치
JPH11268535A (ja) ドアガード
JP3883973B2 (ja) 充電装置
JP4676870B2 (ja) 携帯機器
JP4161810B2 (ja) 巻取装置
JPH10340770A (ja) 巻取り式コードセット
WO2004109884A1 (ja) ケーブル装置
JP2001267002A (ja) 扉の開閉構造
JPH05338502A (ja) 自動車用電話機格納装置
JP3149841B2 (ja) 携帯通信機
JPH083118Y2 (ja) 小型電子機器
KR200307571Y1 (ko) 휴대용 충전기
JPS599371Y2 (ja) カ−ステレオ等の照明装置
JP4129386B2 (ja) 電子回路配線の接続構造
JPH071919Y2 (ja) 薄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