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4218A - 묘목의 이식기 - Google Patents

묘목의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4218A
KR19990084218A KR1019980013459A KR19980013459A KR19990084218A KR 19990084218 A KR19990084218 A KR 19990084218A KR 1019980013459 A KR1019980013459 A KR 1019980013459A KR 19980013459 A KR19980013459 A KR 19980013459A KR 19990084218 A KR19990084218 A KR 19990084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s
conveyor
thin film
seedling
film p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쓰오 난부
히데가즈 데라사와
야스노부 가와모토
Original Assignee
바바 고타로
닛폰 텐사이세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44675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5602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4467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52807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6699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27621A/ja
Application filed by 바바 고타로, 닛폰 텐사이세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바바 고타로
Publication of KR19990084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21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60Apparatus for preparing growth substrates or culture med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연속집합화분을 사용하여 육묘한 묘목을, 임의로 간단히 주간피치를 바꾸어 이식할 수 있게 한다.
기체(10)위에 박막박리장치(15)와 반송콘베이어(16)를 배설하고, 기체(10)위에 얹어 놓은 연속집합화분(1)으로부터 1쌍의 안내판(32)을 거쳐 연속화분(7)을 당겨내어, 그 2매의 박막(3A, 3B)을 가이드부재(34)를 통하여 인출로울러쌍(35A, 35B)으로 기체 앞쪽으로 당김으로써, 연속화분(7)의 화분체(6)로부터 묘목(2)을 흙이 붙은채로 노출시켜, 그 흙이 붙은 묘목(8)을 먼저 제1콘베이어(55)에 의하여 그 뿌리블록부(8a)를 끼워지지하며, 기체(10)의 활주속도와 같은 속도로 기체 뒤쪽으로 반송하고, 다음에 제2콘베이어(56)에 의하여 흙이 붙은 묘목(8)의 일부분(8b)을 끼워지지하여 기체 뒤쪽으로 반송하고, 그대로 기체(10) 아래의 오프너에 의하여 형성된 심는 홈내에 흙이 붙은 묘목(8)을 밀어내어 심는다.

Description

묘목의 이식기
본 발명은 2매의 띠형상 박막을 소정의 피치로 접합하여, 그 접합부분의 상호간을 화분체로 한 연속화분을 수용성 접착제를 통하여 겹쳐 맞추어 이루어지는 연속집합화분을 사용하여 육묘한 묘목을 밭에 심기위한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연속집합화분으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공소 58-11817호 공보, 특공평 4-79612호 공보등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것은, 사용하지 않을때에 압편상태로서 사용할시에 전개함으로써 벌집형상으로 다수의 화분체가 출현하여, 이 전개상태를 유지하여 육묘상자내에 넣어 흙을 채워 파종함으로써, 다수의 묘목을 집중적으로 육묘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연속집합화분에 의한 육묘에 의하면, 화분체내에서 독립적으로 생육하기 때문에 묘목사이에서 뿌리가 얽히지 않을뿐만 아니라, 육묘시의 관수로 수용성 접착제가 퇴화하므로, 소정일수 육묘한 후, 연속체의 한끝을 당기면, 겹쳐 맞추어진 연속화분이 쉽게 분리되어 1렬로 인출가능하게 되어, 그 연속이식도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연속집합화분을 사용하여 육묘한 묘목은, 연속화분의 연속상태를 유지한채로 화분체마다 이식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종래 그를 위한 전용의 이식기가 개발되어, 실용에 제공되고 있었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5-308822호 공보, 특개평 8-89028호 공보에 기재된 이식기는, 진행방향의 후부쪽에 심는 홈을 형성하는 오프너를 설치한 기체를 구비하고, 이 기체상에, 상기 연속집합화분을 얹어놓는 화분묘목 재치부와, 그 화분묘목 재치부로부터 인출한 연속체를 1렬로 정렬하여 안내하는 화분묘목 안내부와, 이 화분묘목 안내부로부터 논에 연속화분을 밀어내는 화분묘목 밀어내기부를 연속적으로 설치한 간이형구조로 되어 있어서, 기체를 위에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오프너에 의하여 형성된 심는 홈에 묘목을 넣은 화분체, 이른바 화분묘목이 연속적으로 밀려나와, 그 간편한 이식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연속집합화분은 연속체를 겹쳐 맞추어 화분체를 조밀하게 집합시키는 형편상, 2매의 박막의 접합부분(연결편)의 길이를 화분체의 1개의 측면의 폭과 같게 하여야 하고, 그 때문에 상기 공보류에 기재된 간이형 이식기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이식하려고 하면, 그 주(株)간 피치는 연결편에 의하여 제약을 받아, 심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주간피치가 너무 좁아서, 그 이용을 단념하지 않을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예를들면 일본국 특공소 63-61886호 공보에는, 열형상으로 한 연속화분의 선행하는 화분체를 회전하는 이식간(杆)으로 끼워지지하여 당겨냄과 동시에, 후속의 화분체를 스토퍼로 정지시켜 연결편을 분단하여, 분리된 선행의 화분체를 이식간의 움직임에 의하여 심는 홈내에 심도록한 이식기가 기재되어 있는데, 이 이식기를 사용함으로써 주간피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것은 이식기 자체가 복잡하고 규모가 커져서, 간이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7-123869호 공보에는, 화분체의 측벽 또는 연결편에 복수의 절삭을 넣고, 연속화분의 당겨내기에 따라 상기 절삭에 의하여 형성된 신장편(片)을 신장시키는 것이, 그리고 특개평 8-205687호 공보에는, 연결편을 수용성 접착제를 통하여 접어서 연속화분의 당겨내기에 따라 그 연결편을 신장시키는 것이 각각 기재되어 있는데, 이러한 연속집합화분을 사용함으로써 주가피치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인출저항에 의하여 신장편이 파단되는 경우가 생기고, 후자의 경우에는 연속집합화분의 제조가 곤란하게 됨과 동시에, 그 제조코스트도 비싸져서, 어느것이나 문제점이 많은 것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연속집합화분을 사용하여 육묘한 묘목을, 주간피치를 임의로 그리고 간단히 변경하여 이식할 수 있는 이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이식기(移植機)로부터 주요기구부분을 빼내어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제1실시예로서의 이식기로부터 주요기구부분을 빼내어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제1실시예로서의 이식기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제1실시예로서의 이식기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식대상인 묘목을 수납한 연속화분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접지활주체와 오프너와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제1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박막박리장치내의 권취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구동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기구도.
도 9는 제1실시예로서의 이식기를 제작할때의 주의점을 설명한 설명도.
도 10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이식상황을 순서에 따라 설명한 설명도.
도 11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박막박리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특징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박막박리장치를 구성하는 인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특징부분을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도 14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16은 제3실시예로서의 이식기를 사용할때의 주의점을 설명한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반송콘베이어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체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속집합화분 2 : 묘목
3A, 3B : 박막 5 : 접합부분
6 : 화분체 7 : 연속화분
8 : 흙이 붙은 묘목 8a : 뿌리블록부
8b : 잎부분 10 : 기체
11 : 접지활주체 12 : 오프너
13 : 화분묘목 재치부(載置部) 14 : 화분묘목 안내부
15 : 박막박리장치 16 : 반송콘베이어
29 : 전동륜(轉動輪) 32 : 화분묘목 안내부의 안내판
34 : 가이드부재 35A , 35B : 인출로울러쌍
36A, 36B : 권취릴 40 : 박막박리장치용 구동기구
55 : 제1콘베이어 56 : 제2콘베이어
60 : 반송콘베이어용 구동기구 65, 66 : 구동풀리
67, 70 : 종동풀리 86 : 반송콘베이어용 동력전달기구
100A, 100B : 박막박리장치의 인출장치 F : 기체의 진행방향
G : 밭 S : 심는 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매의 띠형상 박막을 소정의 피치로 접합하여, 그 접합부분의 상호간을 화분체로 한 연속화분을 수용성 접착제를 통하여 겹쳐맞추어 이루어지는 연속집합화분을 사용하여 육묘한 묘목을 밭에 심는 이식기로서, 진행방향의 후부쪽에 심는 홈을 형성하는 오프너를 설치한 기체(機體)를 구비하고, 그 기체상에 그 진행방향 앞쪽에서 차례로 상기 연속집합화분을 묘목마다 얹어놓는 화분묘목 재치부와, 그 화분묘목 재치부에서 당겨낸 연속화분을 한줄로 정렬하여 안내하는 화분묘목 안내부와, 그 화분묘목 안내부에서 당겨낸 연속화분의 2매의 얇은막을 좌우로 벗겨서 상기 화분체내의 묘목을 흙이 붙은채로 노출시키는 박막박리장치와, 그 박막박리장치에서 밀려나온 흙이 붙은 묘목을 세워진 자세인체로 기체의 후부로 끼워지지 반송하는 반송콘베이어를 연이어 설치하고, 상기 기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박막박리장치 및 상기 반송콘베이어를 작동시켜, 그 기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반송콘베이어로부터 상기 오프너에 의하여 형성된 심는 홈내에 상기 흙이 붙은 묘목을 연속적으로 밀어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한 이식기에 있어서는, 박막박리장치에 의하여 2매의 박막을 박리하여 화분체로부터 묘목을 흙이 붙은채로 노출시켜, 이 흙이 붙은 묘목을 반송콘베이어로 반송하여, 그대로 심는 홈내에 연속적으로 밀어내어 심도록 하였으므로, 박막박리장치에 의한 박리속도와 반송콘베이어에 의한 반송속도와의 속도비를 바꿈으로써, 주간피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반송콘베이어에 의한 반송속도를 기체의 이동속도와 대략 같은 값에 설정하면, 밭에 대하여 흙이 붙은 묘목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가 되어, 반송콘베이어로부터 심는 홈내에 흙이 붙은 묘목을 밀어내었을 때, 흙이 붙은 묘목에 관성력이 작용하는 일이 없어서, 묘목이 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체에 그 기체의 이동에 따라 밭위를 전동(轉動)하는 전동륜을 설치하여, 그 전동륜을 박막박리장치 및 반송콘베이어의 동력원으로서 사용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같이 전동륜을 동력원으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박막박리장치 및 반송콘베이어를 구동하는 모우터 등의 특별한 동력원이 불필요하게 될 뿐만아니라, 기체의 이동속도에 박막박리장치 및 반송콘베이어를 간단히 동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박막박리장치는 벗긴 2매의 박막을 기체진행방향의 앞쪽으로 당겨내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화분묘목 안내부의 연장부분이 박막박리장치에 의하여 크게 점유되는 일이 없어져서, 반송콘베이어를 박막박리장치에 의한 묘목의 노출부분에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어서, 박막박리장치로부터 반송콘베이어까지 묘목을 보내는 특별한 수단이 불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송콘베이어는 박막박리장치로부터 밀려나온 흙이 붙은 묘목의 일부분을 끼워지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같이 잎부분을 끼워지지시킴으로써, 흙이 붙은 묘목은 그 일부분으로부터 아래쪽부분이 자중에 의하여 수직으로 드리워져서, 심는 홈내에 밀려나온 때의 넘어짐 방지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상기 반송콘베이어는, 또 박막박리장치에서 밀려나온 흙이 붙은 묘목의 뿌리블록부를 끼워지지 반송하는 제1의 콘베이어와, 상기 흙이 붙은 묘목의 잎부분을 끼워지지 반송하는 제2의 반송콘베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의 콘베이이어는, 상기 제1의 콘베이어의 종단부의 윗쪽에 그 시단부를 오우버랩시키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같이 반송콘베이어를 2단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최초에 제1의 콘베이어가 박막박리장치로부터 밀려나온 흙이 붙은 묘목의 뿌리블록부를 끼워지지하므로, 박막박리장치로 노출된 묘목의 잎부분과 화분묘목 안내부로부터 박막박리장치에 당겨져나온 후속의 화분체내의 묘목의 잎부분이 겹쳐져 있어도, 후속의 묘목의 잎부분을 뽑아버릴 염려는 없어서, 1개씩 안정되게 흙이 붙은 묘목을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이 제1콘베이어의 시단부에 제2콘베이어의 시단부가 랩하고 있으므로, 제1콘베이어로부터 흙이 붙은 묘목이 떨어지기 전에 제2반송콘베이어가 흙이 붙은 묘목의 잎부분을 확실히 끼워지지하여, 반송도중에 흙이 붙은 묘목이 낙하하는 일은 없다.
상기 반송콘베이어는, 또한 기체의 후부로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지고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하여 밭에 가까운 위치에서 흙이 붙은 묘목을 밀어낼 수가 있어서, 그 묘목이 넘어지는 것이 보다 확실히 방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송콘베이어는 특히 2종류를 묻는 것은 아니나, 1쌍의 벨트콘베이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하여 간편하게 흙이 붙은 묘목을 끼워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의 이식기의 전체적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이식기는 연속집합화분(1)을 사용하여 육묘한 묘목(2)을 연속적으로 이식하려고 하는 것으로, 진행방향(F)의 뒤쪽에 접지활주체(11)와 오프너(12)를 설치한 기체(10)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기체(10)위에는 그 진행방향(F)의 앞쪽위치에 상기 연속집합화분(1)을 얹어놓는 화분묘목 재치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연속집합화분(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매의 띠형상박막(3A, 3B)을 소정의 피치로 내수성 접착제(4)로 접합하고, 그 접합부분(연결편)(5)의 상호간을 화분체(6)로한 연속화분(7)을 수용성 접착제를 통하여 겹쳐 맞추어 이루어지는 것이나, 그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예를들면 상기 일본국 특공소 58-11817호 공보, 특공평 4-79612호 공보등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 연속집합화분(1)은 압편상태로서 보관되고, 이 상태에서 전개하면 벌집모양으로 다수의 화분체(6)가 출현하여, 육묘시에는 그 전개상태를 유지하여 육묘상자(도시생략)에 넣어진다. 그리고, 육묘상자에 넣어진 연속집합화분(1)에는 전용의 흙채움 파종기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흙채움 파종이 실시되어, 예를들면 온실내에서 집중적으로 육묘관리가 행하여진다. 각 묘목(2)은 상기한 바와 같이, 화분체(6)내에서 독립적으로 생육하기 때문에 뿌리가 얽히지 않고, 또한 육묘시의 관수로 상기 수용성 접착제가 퇴화하고 있다. 따라서, 육묘후에 이 연속집합체(1)를 상기 기체(10)의 화분묘목 재치부(13)에 얹어놓고, 그 연속화분(7)의 한끝을 당기면, 겹쳐맞춘 연속화분(7)이 쉽게 분리되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줄로 당겨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속집합화분(1)은 육묘상자로부터 화분묘목 재치부(13)로 옮겨도, 상기 육묘상자마다 화분묘목 재치부(13)에 얹어놓아도 좋은 것인데, 육묘상자마다 얹어놓은 경우에는, 육묘상자의 내외를 연접하는 연접판(도시생략)을 육묘상자의 가장자리에 씌워서 연속화분(7)의 이동을 쉽게 한다.
원점으로 되돌아가서 이식기의 구조를 다시 설명하면, 상기 기체(10)위에는 그 진행방향(F)의 앞쪽(이하, 이 진행방향(F)의 앞쪽을 기체 앞쪽, 이와 반대방향쪽을 기체 뒤쪽이라고 한다)으로부터 차례로, 상기 화분묘목 재치부(13)로부터 당겨낸 연속화분(7)을 한줄로 정렬시켜 안내하는 화분묘목 안내부(14)와, 화분묘목 안내부(14)로부터 당겨낸 연속화분(7)의 2매의 얇은막(3A, 3B)을 좌우로 벗겨서 화분체(6)내의 묘목(2)을 흙이 붙은채로 노출시키는 박막박리장치(15)와, 박막박리장치(15)로부터 밀려나온 흙이 붙은 묘목(8)을 기립자세인채로 기체 뒤쪽으로 끼워지지 반송하는 반송콘베이어(16)가 설치되어 있다.
기체(10)는, 여기서는 상기 접지활주체(11)에 공통의 축(20)(도 4)을 사용하여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기체 앞쪽으로 뻗은 좌우 1쌍의 제1의 지지프레임(21) 및 제2의 지지프레임(22)과, 제1의 지지프레임(21)에 축(23)(도 4)을 사용하여 일단부가 결합됨과 동시에, 제2의 지지프레임(22)에 축(24)(도 3)을 사용하여 중간부가 결합된 ㄷ자형의 손잡이 프레임(25)과, 제2의 지지프레임(22)의 윗면에 고정된 지지판(26)으로 구성되고 있다. 제2의 지지프레임(22)은 제1의 지지프레임(21)의 안쪽에 접지활주체(11)로부터 기체 앞쪽을 향하여 윗쪽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따라서 이 제2의 지지프레임(22)위의 지지판(26)은 기체 뒤쪽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1쌍의 제1의 지지프레임(21) 사이에는, 축받이(27)(도 4)를 사용하여 차축(28)이 가교되어 있고, 제1의 지지프레임(21)의 양옆쪽으로 빠진 이 차축(28)의 양단부에는 전동륜(29)이 부착되어 있다. 전동륜(29)은 접지활주체(11)를 밭(G)에 전면적으로 접촉시켰을 때, 약간 밭(G)에 파고드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접지활주체(11)를 밭에 접지시켜 기체(10)를 이동시키면, 전동륜(29)이 밭(G)위를 전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지활주체(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모양으로 되어 있는데, 그 선단쪽의 경사벽(11a)이 기체 앞쪽을 향하고 있다. 이 접지활주체(11)의 폭바닥의 중간부에는, 그 후단으로부터 경사벽(11a)쪽으로 소정길이로 절삭하여 이루어지는 슬릿(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슬릿(30)은, 상기 반송콘베이어(16)에 의하여 반송된 흙이 붙은 묘목(8)을 밭(G)에 밀어내는 조출구로서 사용되는 것인데, 흙이 붙은 묘목(8)을 무리없이 통과시키기에 족한 필요최소한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오프너(12)는 기체 앞쪽을 향한 선단을 예각으로 닫고, 또한 후단을 개방시켜, 개구부(30)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부를 따라 수직으로 드리워지게 설치되고, 그 선단의 선예부(12) 및 그 내부공간을 상기 슬릿(30)에 정합시키도록, 접지활주체(11)의 아래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릿(30)을 통과한 흙이 붙은 묘목(8)은 그대로 오프너(12)내로 들어가서, 그 오프너(12)에 의하여 형성된 심는 홈( S)(도 2)의 바닥에 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접지활주체(11)에는 1쌍의 흙모우기판(31)이 부착되어 있는데, 이 1쌍의 흙모우기판(31)은 슬릿(30)을 끼운 간격으로 기체(10)의 뒤쪽으로 뻗어있다.
상기 화분묘목 안내부(14)는 기체(10)의 지지판(26)위에 세워설치된 좌우 1쌍의 안내판(32)을 구비하고 있다. 이 1쌍의 안내판(32)은, 기체 앞쪽에서 충분히 큰 확대를 가지며, 또한 기체 뒤쪽에서 좁은 통과구(33)를 형성하도록 八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화분묘목 재치부(13)로부터 당겨낸 연속화분(7)은, 이 1쌍의 안내판(32)의 좁은 통과구(33)를 통하여 한줄로 당겨져 나오게 된다.
또, 상기 박막박리장치(15)는 화분묘목 안내부(14)의 통과구(33)에 대향하여 배치된 1쌍의 가이드부재(34)와, 화분묘목 안내부(14)의 1쌍의 안내판(32)의 바깥쪽에 배치된 인출로울러쌍(35A, 35B)과, 각 인출로울러쌍(35A, 35B)보다 기체 앞쪽에 배치된 2개의 권취릴(36A, 36B)을 구비하고 있다. 인출로울러쌍(35A, 35B)과 권취릴(36A, 36B)은, 후술하는 구동기구(40)(도 8)에 의하여 동기하여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고, 연속화분(7)으로부터 좌우로 벗겨진 2매의 박막(3A, 3B)은, 각각 각 인출로울러쌍(35A, 35B)의 회전에 의하여 가이드부재(34)를 우회하여 기체 앞쪽으로 당겨져 나와서, 대응하는 권취릴(36A, 36B)에 감긴다. 그리고, 각 인출로울러쌍(35A, 35B)을 구성하는 로울러는, 박막(3A, 3B)과의 마찰저항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그 표면에 셀레이션과 같은 凹凸을 설치하도록 한다.
각 권취릴(36A, 36B)은 회전수가 일정하면 박막(3A, 3B)의 감는수(감는직경)에 따라 둘레속도가 변화하여, 그 감는속도와 인출로울러쌍(35A, 35B)에 의한 박막(3A, 3B)의 인출속도와의 사이에 차가 생겨, 그대로 무리하게 권취릴(36A, 36B)을 회전시키면, 박막박리장치(15)에 의한 박막(3A, 3B)의 박리속도가 계획보다 커지거나, 박막(3A, 3B)이 절단되는 등의 폐단이 생긴다. 그래서, 본 제1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권취릴(36A, 36B)의 릴본체(37)를 회전축(38)으로부터 독립시켜 양자의 사이를 코일스프링(39)에 의하여 연결하고 있다. 이와같이 권취릴(36A, 36B)을 구성함으로써, 권취직경의 증대에 따라 코일스프링(39)이 감는방향으로 변형되어 릴본체(37)가 회전축(38)에 대하여 공회전하여, 그 권취속도가 인출로울러쌍(35A, 35B)에 의한 박막(3A, 3B)의 인출속도와 일치하도록 조정된다. 그리고 회전축(38)은, 후술하는 박막박리장치용 기어박스(41)에 1쌍의 축받이(41a)를 통하여 지지되고 있다.
박막박리장치용 기어박스(4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10)의 제2의 지지프레임(22)에 고정시켜 설치되고 있는데, 상기 지지판(26)이 이 기어박스(41)의 윗판으로서 공용되고 있다. 기어박스(41)의 아래면에는 소기어박스(4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소기어박스(42)에는 도 4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10)의 폭방향으로 수평으로 뻗은 수평축(43)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수평축(43)은, 소기어박스(42)의 밖으로 돌출시킨 그 일단부에 스프로켓(44)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스프로켓(44)에는 상기 전동륜(29)용의 차축(28)에 부착된 스프로켓(45)에 걸린 체인(46)이 걸려있다. 한편, 소기어박스(42)내에 도입된 수평축(43)의 타단부에는 베벨기어(47)가 부착되어 있고, 이 베벨기어(47)에는 한쪽의 권취릴(36B)의 회전축(38)(도 7)의 하단부에 부착된 베벨기어(48)가 맞물려 있다. 즉, 전동륜(29)의 회전이 양 스프로켓(45, 44) 및 체인(46)을 통하여 수평축(43)에 전달되어, 다시 양베벨기어(47, 48)를 통하여 회전축(38)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기어박스(41)내에는 상기 각 권취릴(36A, 36B)의 회전축(38)에 부착된 스프로켓(49), 각 인출로울러쌍(35A, 35B)의 회전축(50)에 부착된 스프로켓(51)이나 기어(52), 상기 스프로켓(49)와 (51)을 연결하는 체인(53)등을 포함한 동력전달기구(54)가 배설되어 있다(도 8). 이 동력전달기구(54), 상기 수평축(43), 체인(46), 전동륜(29)등은 상기 구동기구(40)를 구성하고, 그 전동륜(29)이 각 인출로울러쌍(35A, 35B) 및 각 권취릴(36A, 36B)의 구동원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전동륜(29)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접지활주체(11)를 밭(G)에 접촉시켜, 기체(10)를 진행방향(F)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밭(G)위를 전동하며, 따라서 기체(10)의 이동에 따라 각 인출로울러쌍(35A, 35B) 및 권취릴(36A, 36B)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기구(40)는, 기체(10)의 이동속도에 대하여 박막박리장치(15)에 의한 2매의 박막(3A, 3B)의 박리속도가 충분히 감속되도록 그 기어비 또는 풀리비를 설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반송콘베이어(16)는 박막박리장치(15)로부터 밀려나온 흙이 붙은 묘목(8)의 뿌리블록부(8a)를 끼워지지 반송하는 제1의 콘베이어(55)와 그 흙이 붙은 묘목(8)의 잎부분(8b)을 끼워지지 반송하는 제2의 콘베이어(56)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제1의 콘베이어(55)는 그 시단이 박막박리장치(15)의 가이드부재(34)에 접근하도록 위치결정되고, 한편, 제2의 콘베이어(56)는 제1의 콘베이어(55)의 종단부의 윗쪽에 그 시단부를 랩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2의 콘베이어(55, 56)는 각각 1쌍의 벨트콘베이어로 이루어져 있고, 기체(10)의 접지활주체(11)의 윗쪽에 배치된 콘베이어용 기어박스(59)에 배설된 구동기구(60)(도 8)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콘베이어용 기어박스(59)는 접지활주체(11) 및 제2의 지지프레임(22)으로부터 윗쪽으로 뻗은 브라겟(61, 62)(도 3)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그 전체가 그 제2의 지지프레임(22)상의 지지판(26)과 똑같이 기체 뒤쪽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지고 있다. 이 기어박스(59)에는 그 상하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뻗은 2쌍의 회전축(63, 64)이 축받이(도시생략)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2쌍의 회전축(63, 64)은, 기체(10)의 전후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각각의 하단부를 기어박스(59)의 아래쪽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 뒤쪽에 배치한 한쪽의 1쌍의 회전축(63)의 하단부에는 제1의 콘베이어(55)용의 구동풀리(65)가 기체 앞쪽에 배치된 다른쪽의 1쌍의 회전축(64)의 하단부에는 제2의 콘베이어(55)용의 구동풀리(66)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도 2 3).
제2의 지지프레임(22)위의 지지판(26)에는, 상기 박막박리장치(15)내의 1쌍의 가이드부재(34)에 인접하여 제1의 콘베이어(55)용의 종동풀리(67)를 지지하는 1쌍의 지지축(68)이 기어박스(59)의 후단에는 브라켓(69)을 사용하여 제2의 콘베이어(56)용의 종동풀리(70)를 지지하는 1쌍의 지지축(71)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도 2, 3). 제1, 제2 콘베이어(55, 56)의 각각은, 각 1쌍의 구동풀리(65, 66)와 종동풀리(67, 70)에 걸어돌린 1쌍의 무단벨트(72, 73)를 구비하고 있는데, 제1의 콘베이어(55)의 1쌍의 무단벨트(72)의 간격은 흙이 붙은 묘목(8)의 뿌리블록부(8a)를, 제2의 콘베이어(56)의 1쌍의 무단벨트(73)의 간격은 흙이 붙은 묘목(8)의 잎부분(8b)을 각각 끼워지지 반송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 무단밸트(72, 73)는 흙이 붙은 묘(8)의 뿌리블록부(8a) 또는 잎부분(8b)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적어도 그 표층부에 유연성을 가진 재료, 예를들면 플라스틱폼을 배려한 구조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베이어용 기어박스(59)의 윗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기어박스(7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소기어박스(74)에는 기체(10)의 폭방향으로 수평으로 뻗은 수평축(75)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수평축(75)은, 소기어박스(74)의 밖으로 돌출시킨 그 일단부에 스프로켓(76)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스프로켓(76)에는, 상기 전동축(29)용의 차축(28)에 부착된 스프로켓(77)에 걸린 체인(78)이 걸어돌려져 있다. 한편, 소기어박스(74)내에 도입된 수평축(75)의 타단부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벨기어(79)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 베벨기어(79)에는, 기어박스(59)내에서 윗쪽으로 뻗은 중간축(80)의 상단부에 부착된 베벨기어(81)가 맞물려 있다. 즉, 전동륜(29)의 회전이 양 스프로켓(77, 76) 및 체인을 통하여 수평축(75)에 전달되고, 다시 양 베벨기어(79, 81)를 통하여 중간축(80)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기어박스(59)내에는 도 4 및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축(80)에 부착된 중간기어(82), 상기 제1의 콘베이어(55)용의 1쌍의 회전축(63)에 부착된 기어쌍(83), 상기 제2의 콘베이어(56)용의 1쌍의 회전축(64)에 부착된 기어쌍(84), 중간기어(82)의 회전을 제2의 콘베이어(56)용의 한쪽의 회전축(64)에 전달하는 전달기어(85)등을 포함한 동력전달기구(86)가 배설되어 있다. 이 동력전달기구(86), 중간축(80), 수평축(75), 체인(78), 전동륜(29)등은 상기 구동기구(60)를 구성하고, 그 전동륜(29)이 제1 및 제2의 콘베이어(55, 56)의 구동원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기구(86)는 제1의 콘베이어(55)와 제2의 콘베이어(56)를 같은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그 기어비를 설정하고 있다. 또 상기 구동기구(60)는 상기 제1, 제2의 콘베이어(55, 56)가 기체(10)의 이동속도와 같은 속도로 흙이 붙은 묘목(8)을 반송하도록 그 기어비 또는 풀리비를 설정하고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식기에 의한 이식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식할때에는, 미리 화분묘목 재치부(13)위에 얹어놓인 연속집합화분(1)으로부터 연속화분(7)을 당겨내어, 그 단부쪽의 2매의 박막(3A, 3B)을 손작업으로 적당한 길이로 벗겨서, 각 박막(3A, 3B)을 박막박리장치(15)의 가이드부재(34)를 우회시켜 기체 앞쪽으로 당겨내어, 인출로울러쌍(35A, 35B)을 통하여 대응하는 권취릴(36A, 36B)의 릴본체(37)(도 7)에 각각의 한끝을 고정시킨다. 이때, 연속체(7)는 화분묘목 안내부(14)의 1쌍의 안내판(32)의 통과구(33)를 통과시켜 기체 뒤쪽으로 당겨낸 상태로 한다.
상기 준비완료후, 기체(10)의 손잡이 프레임(25)을 잡고, 접지활주체(11)를 밭(G)에 전면적으로 접촉시키면서 기체(10)를 진행방향으로 진행시킨다. 그러면, 기체(10)에 부착한 전동륜(29)이 밭(G)위를 전동하여, 그 회전이 각 구동기구(40, 60)(도 8)를 통하여 박막박리장치(15) 및 반송콘베이어(16)에 동시에 전달된다. 즉 박막박리장치(15)의 인출로울러쌍(35A, 35B)이 각 박막(3A, 3B)을 끼워지지하여 이것에 인장력을 가하고, 이에 의하여, 연속화분(7)에 벗기는 방향의 힘이 가해져서, 2매의 박막(3A, 3B)의 접합부분(5)(도 5)이 좌우로 연속적으로 벗겨진다. 이 2매의 박막(3A, 3B)의 벗김에 의하여, 각 화분체(6)내의 묘목(2)이 흙이 붙은채로 차례로 노출되어, 흙이 붙은 묘목(8)으로서 반송콘베이어(16)를 향하여 1개씩 밀려나와, 한편 벗겨진 각 박막(3A, 3B)은 대응하는 권취릴(36A, 36B)에 차츰 감긴다. 이때, 각 권취릴(36A, 36B)은, 상기한 바와 같이 권취직경의 증대에따라 릴본체(37)를 회전축(38)에 대하여 공회전시킴으로써, 그 둘레속도를 자동조정하므로, 박막(3A, 3B)의 박리속도는 일정하게 된다.
한편, 구동기구(60)에 의하여 전동륜(29)의 회전이 전달된 반송콘베이어(16)는, 그 회전을 2쌍의 회전축(63, 64)에 받아서 2쌍의 구동풀리(65, 66)을 회전시키고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및 제2의 콘베이어(55, 56)는 동일방향으로 동일 둘레속도로 회전한다. 상기 박막박리장치(15)로부터 밀려나온 흙이 붙은 묘목(8)은, 제1의 콘베이어(55)의 시단부가 가이드부재(34)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나, 박리시의 반동도 있어서 그대로 제1의 콘베이어(55)의 1쌍의 무단벨트(72)의 사이에 진입하여, 제1의 콘베이어(55)는, 상기 진입한 흙이 붙은 묘목(8)의 뿌리블록부(8a)를 끼워지지하여 기체 뒤쪽으로 반송한다. 그리하여 이 제1의 콘베이어(55)의 반송속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박막박리장치(15)에 의한 2매의 박막(3A, 3B)의 박리속도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흙이 붙은 묘목(8)은, 연속화분(7)에 있어서의 화분체(6)의 상호간격보다도 큰 간격(피치)으로 반송된다.
제1의 콘베이어(55)에 의하여 기체 뒤쪽으로 반송된 흙이 붙은 묘목(8)은 제1의 콘베이어(55)의 종단부근에서 그 잎부분(8b)이 제2의 콘베이어(56)의 1쌍의 무단벨트(73)에 끼워지지 된다. 그리고, 흙이 붙은 묘목(8)은 그 뿌리블록부(8a)가 제1의 콘베이어(55)의 1쌍의 무단벨트(72)로부터 방출됨과 동시에, 그 전체가 제2의 콘베이어(56)로 이행하여, 다시 기체 뒤쪽으로 반송된다. 이때, 제1의 콘베이어(55)의 종단과 제2의 콘베이어(56)의 시단이 서로 랩되어 있으므로, 제1의 콘베이어(55)에 흙이 붙은 묘목(8)의 뿌리블록부(8a)가 끼워지지되어 있는 동안에, 제2의 콘베이어(56)가 흙이 붙은 묘목(8)의 잎부분(8b)을 끼워지지하고, 따라서 흙이 붙은 묘목(8)은 제1의 콘베이어(55)로부터 제2의 콘베이어(56)로 확실히 건너가게 된다. 그리고, 예를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의 콘베이어(55)의 종단과 제2의 콘베이어(56)의 시단이 서로 랩하고 있지 않으면,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의 콘베이어(55)로 반송되는 흙이 붙은 묘목(8)의 잎부분(8a)이 기체 앞쪽으로 기울어져있는 경우에, 건너받는 타이밍이 어긋나서 흙이 붙은 묘목(8)이 반송콘베이어(16)로부터 낙하할 위험이 있다.
제2의 콘베이어(56)에 의하여 기체 뒤쪽으로 반송되고 있는 흙이 붙은 묘목(8)은 그 잎부분(8b)이 끼워지지되어 있으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잎부분(8b)보다 아래쪽부분이 자중에 의하여 수직으로 드리워진다. 그리고, 제2의 콘베이어(56)가 기체 뒤쪽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지고 있는 일도 있어서, 흙이 붙은 묘목(8)의 수직으로 드리워진 부분은 그 반송도중에 접지활주체(11)의 슬릿(30)(도 6)을 통하여, 오프너(12)에 의하여 형성된 심는 홈(S)내로 차츰 들어간다. 흙이 붙은 묘목(8)은, 제2의 콘베이어(56)의 종단가까이 까지 반송된 단계에서 상기 심는 홈(S)의 바닥에 착지하여, 그대로 제2의 콘베이어(56)로부터 해방되어 심는 홈(S)의 바닥에 서있다. 그후, 기체(10)의 진행에 따라 오프너(12)로부터도 해방되어, 흙모우기판(31)에 의하여 모아진 흙내에 그 뿌리블록부(8a)가 완전히 묻힌다. 흙이 붙은 묘목(8)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연속화분(7)에 있어서의 화분체(6)의 상호간격보다도 큰 간격(피치)으로 반송되고 있으므로, 밭(G)에 심어진 흙이 붙은 묘목(8)의 주간피치는 충분한 크기가 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체(10)의 이동속도(VA)와 제1, 제2 콘베이어(55, 56)에 의한 흙이 붙은 묘목(8)의 반송속도(VB)가 같은속도(VA=VB)로 되어 있으므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의 콘베이어(56)로 반송중의 흙이 붙은 묘목(8)은 밭(G)에 대하여 어느위치(L)에서 정지상태가 된다. 따라서, 기체(10)가 그대로의 속도(VA)로 이동을 계속하면, 흙이 붙은 묘목(8)은, 동도면에 ①∼③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지위치(L)위를 하강하여 상기 심는 홈(S)의 바닥에 수직상태를 유지하여 착지하고, 그대로 제2의 콘베이어(56)로부터 해방된다. 즉, 흙이 붙은 묘목(8)에는, 그 착지시에 기체(10) 또는 제2의 콘베이어(56)로부터 관성력이 작용하지 않아, 이에 의하여 흙이 붙은 묘목(8)이 넘어지는 것은 방지된다. 또 오프너(12)에 의하여 형성된 심는 홈(S)의 둘레의 흙은, 동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프너(12)의 통과와 함께 붕락하여, 오프너(12)의 후단으로부터 약간 떨어져있는 점(P)에서 합류하게 되는데(①), 흙이 붙은 묘목(8)은, 이 합류점(P)의 직전에 착지하므로(②), 합류한 흙에 올라타서 넘어지는 일은 없고, 이 복귀흙내에 흙이 붙은 묘목(8)의 뿌리블록부(8a)가 원활히 묻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박막박리장치(15)에 있어서의 인출로울러쌍(35A, 35B)은 예를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콘베이어쌍(90A, 90B)에 대신할 수 있다. 각 콘베이어쌍(90A, 90B)은 구동풀리(91)와 종동풀리(92)와의 사이에 무단벨트(93)를 걸어올린 구조로 되어 있고, 그 구동풀리(91)를 상기 구동기구(40)에 의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무단벨트(93)의 상호간에 소정압력으로 박막(3A, 3B)을 끼워지지하여 당겨낼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제2실시예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상기 박막박리장치(15)에 있어서의 인출로울러쌍(35A, 35B)과 권취릴(36A, 36B)의 기능을 1개의 인출유니트(100A, 100B)에 집약시킨 점에 있다. 즉, 각 인출유니트(100A, 100B)는, 상기 구동기구(40)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는 회전축(도 8)에 끼워맞추어 고정시킨 1개의 구동로울러(101)와, 이 구동로울러(101)와 협동하여 박막(3A, 3B)을 감는 1개의 권취릴(10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권취릴(102)은 기체(10)의 지지판(26)위에 심어세운 축(103)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선회플레이트(104)로부터 뻗은 지지아암(105)의 선단부에 축받이(106) 및 회전축(107)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선회플레이트(104)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제1의 콘베이어(55)의 종동풀리(67)를 지지하는 지지축(68)(도 3)에 한끝을 고착시킨 압축스프링(108)의 파단부가 고착되어 있다. 선회플레이트(104)의 자유단부는, 상기 압축스프링(108)에 의하여 상시에는 기체(10)의 중심선쪽으로 가압되어, 이에 의하여 각 권취릴(102)은, 구동로울러(101)의 둘레면에 대하여 압압되게 된다. 그리고, 구동로울러(101) 및 권취릴(102)은 도 13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여기서는 각 심재(101a, 102a)에 약간의 탄력성을 가진 플라스틱링(101b, 102b)을 끼워맞춘 복합부재로 되어 있다. 또, 각 플라스틱링(101b, 102b)의 표면에는 박막(3A, 3B)과의 마찰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한 셀레이션과 같은 凹凸(도시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인출장치(100A, 100B)를 구비한 박막박리장치(15)에 있어서는, 연속화분(7)으로부터 벗긴 2매의 박막(3A, 3B)을, 각각 가이드부재(34)를 우회시켜 기체 앞쪽으로 당겨내어, 그 인출단을 각 인출장치(100A, 100B)의 구동로울러(101)와 권취릴(102)의 사이를 통하여 그 권취릴(102)에 고정시킨다. 이 상태하에서 접지활주체(11)를 밭(G)에 접촉시키면서 기체(10)를 진행방향(F)으로 진행시키면, 기체(10)에 부착된 전동륜(29)이 밭(G)위를 전동하여, 그 회전이 각 구동기구(40, 60)(도 8)를 통하여 박막박리장치(15) 및 반송콘베이어(16)에 동시에 전달되어, 이 동력전달에 의하여 인출장치(100A, 100B)의 구동로울러(101)가 회전한다. 이때, 압축스프링(108)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권취릴(102)이 박막(3A, 3B)을 구동로울러(101)의 둘레면에 압압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로울러(101)의 회전에 따라 권취릴(102)이 회전하여, 각 박막(3A, 3B)에 인장력이 작용한다. 이 결과, 연속화분(7)에 벗기는 방향의 힘이 가해져서, 2매의 박막(3A, 3B)이 차츰 좌우로 벗겨져, 각 화분체(6)로부터 노출된 흙이 붙은 묘목(8)이, 상기 제1실시예와 똑같이 제1 및 제2의 콘베이어(55, 56)에 의하여 끼워지지 반송되어 그대로 심는 홈(S)에 심어진다.
한편, 연속화분(7)으로부터 벗겨진 각 박막(3A, 3B)은 대응하는 권취릴(102)에 감겨지나, 그 둘레속도는 박막(3A, 3B)의 인출속도와 동기하고 있으므로, 박막(3A, 3B)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일은 없다. 즉, 본 제2실시예에 의하면, 권취릴(102)에, 제1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은 둘레속도를 자동조정하는 수단(스프링(39)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을뿐만 아니라, 권취릴(102)을 회전시키는 특별한 동력전달기구(54)도 불필요하게 되어, 박막박리장치(15)의 구조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그것보다 간단해진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제3실시예로하는 바는, 상기 반송콘베이어(16)로서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콘베이어(55)를 생략하고, 제2콘베이어(56)만을 사용하도록 한 점에 있다. 이 경우, 제2콘베이어(56)는 그 시단부가 박막박리장치(15)의 1쌍의 가이드부재(34)에 근접하도록 배치한다. 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콘베이어(56)가 박막박리장치(15)로부터 밀려나온 흙이 붙은 묘목(8)의 잎부분(8b)을 끼워지지하여 기체 뒤쪽으로 반송하여, 제1실시예와 똑같이 오프너(12)에 의하여 형성된 심는 홈(S)에 흙이 붙은 묘목(8)을 밀어내어, 이에 의하여 제1실시예와 똑같은 태양으로 이식이 행하여진다.
본 제3실시예에 의하면, 제1콘베이어(55)를 생략한만큼 반송콘베이어(16)의 구조 및 그 구동기구(60)의 구조가 간단해져서, 이식기 전체의 소형간략화를 달성할 수 있다. 다만,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집합화분(1)으로부터 당겨낸 연속화분(7)에 있어서, 인접한 화분체(6)내의 묘목(2)의 잎부분이 겹쳐져 있는 경우에는 박막박리장치(15)로부터 밀려나온 흙이 붙은 묘목(8)을 제2의 콘베이어(56)가 끼워지지할 때, 연속화분(7)으로서 남아있는 후속의 화분체(6)내의 묘목(2)의 잎부분도 함께 끼워지지하여, 그 묘목(2)의 잎부분을 뽑아버릴 염려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그리고, 상기 반송콘베이어(16)를 구성하는 제2콘베이어(56)는, 예를들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회전로울러(111)를 2렬로 배설한 로울러 콘베이어(110)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각 로울러(111)는 심재(112)에 유연성을 가진 링(113)을 끼워맞춘 복합부재로 형성하고, 그 링(113)이 서로 압착되도록 각 로울러(111)를 배설한다. 이러한 로울러 콘베이어(110)는, 박막박리장치(15)로부터 밀려나온 흙이 붙은 묘목(8)을, 각 로울러(111)의 링(113)의 사이에 끼워 차례로 기체 뒤쪽으로 반송하여, 벨트콘베이어로서 구성한 제2콘베이어(56)와 똑같이 기능한다. 이 로울러 콘베이어(110)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콘베이어(55) 대신에 사용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기체(10)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접지활주체(11)의 양쪽에 밭(G)위를 전동하는 차륜(120)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체(10)는 이 1쌍의 차륜(120)과 상기한 앞쪽의 1쌍의 전동륜(29)에 의하여 밭(G)위에 지지되므로, 박막박리장치(15)나 반송콘베이어(16)의 탑재로 중량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동은 쉬워져서, 인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노동부담이 경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체(10)를 인력에 의하지 않고 동력으로 자동주행시키거나, 트랙터등에 견인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는 기체(10)를 동력으로 자동주행시키는 경우에는, 예를들면 기체(10)에 엔진이나 전동모우터를 탑재하여, 이들 동력을 전동륜(29)이나 차륜(120)에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방식, 전동륜(29)이나 차륜(120)에 전동모우터를 조립해넣어서 이들을 직접 회전시키는 방식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상기 박막박리장치(15) 및 반송콘베이어(16)의 구동원으로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륜(29) 대신에, 전동모우터나 엔진등의 특별한 동력원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기체(10)의 위 또는 아래의 적당한 곳에 이들 동력원을 설치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속화분(7)을 형성하는 박막(3A, 3B)의 재료의 종류는 임의이고, 예를들면 플라스틱 시이트, 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 박막을 접합하는 방법도 임의이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은 내수성 접착제(4)에 의한 접합대신에, 예를들면 열 또는 용제에 의한 접합, 또는 봉착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묘목의 이식기에 의하면, 박막박리장치에 의한 박막의 박리속도와 반송콘베이어에 의한 흙이 붙은 묘목의 반송속도와의 비를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주간피치를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어서, 그 적용범위가 확대된다.
또, 기존의 간이접지형 이식기의 기체상에 박막박리장치와 반송콘베이어를 설치하는 것만의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그 전체는 그다지 복잡대형으로 되지 않아, 간이형으로서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연속집합화분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집중육묘의 유리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흙이 붙은 묘목의 상태로 이식하므로, 화분체에 의하여 발근이 저해되는 일도 없어서, 본 발명은 총체적으로 현저히 이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Claims (17)

  1. 2매의 디형상 박막을 소정의 피치로 접합하고, 그 접합부분의 상호간을 화분체로한 연속화분을 수용성 접착제를 통하여 겹쳐 맞추어 이루어지는 연속집합화분을 사용하여 육묘한 묘목을 밭에 그 이동에 따라 심는 이식기로서, 이동의 진행방향의 뒤쪽에 심는 홈을 형성하는 오프너를 설치한 기체를 구비하고, 그 기체상에 그 진행방향 앞쪽으로부터 차례로, 상기 연속집합화분을 묘목마다 얹어놓는 화분재치부와, 그 화분묘목 재치부로부터 당겨낸 연속화분을 한줄로 정렬하여 안내하는 화분묘목 안내부와, 그 화분묘목 안내부로부터 당겨낸 연속화분의 2매의 박막을 벗겨서 상기 화분체내의 묘목을 흙이 붙은채로 노출시키는 박막박리장치와, 그 박막박리장치로부터 밀려나온 흙이 붙은 묘목을 세워진 자세로 기체의 후부로 끼워지지 반송하는 반송콘베이어를 연이어 설치하고, 그 반송콘베이어로부터 상기 심는 홈내에 상기 흙이 붙은 묘목을 연속적으로 밀어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의 이식기.
  2. 제1항에 있어서, 기체에 그 기체의 이동에 따라 밭위를 전동하는 전동륜을 설치하고, 그 전동륜을 박막박리장치 및 반송콘베이어의 동력원으로서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의 이식기.
  3. 제1항에 있어서, 박막박리장치가 벗겨진 2매의 박막을 기체 진행방향의 앞쪽으로 당겨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의 이식기.
  4. 제1항에 있어서, 반송콘베이어가 박막박리장치로부터 밀려나온 흙이 붙은 묘목의 잎부분을 끼워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의 이식기.
  5. 제1항에 있어서, 반송콘베이어가 박막박리장치로부터 밀려나온 흙이 붙은 묘목의 뿌리블록부를 끼워지지하는 제1의 콘베이어와, 상기 흙이 붙은 묘목의 잎부분을 끼워지지 반송하는 제2의 콘베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의 콘베이어는, 상기 제1의 콘베이어의 종단부의 윗쪽에 그 시단부를 오우버랩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의 이식기.
  6. 제1, 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반송콘베이어가 기체의 후부로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의 이식기.
  7. 제1, 4, 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반송콘베이어가 1쌍의 벨트콘베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의 이식기.
  8. 화분체를 집합시킨 집합화분내에서 육묘한 묘목을, 화분체에 넣은 개별화분체 묘목의 상태, 또는 화분체로부터 꺼낸 흙이 붙은 묘목의 상태로 밭에 연속적으로 심는 이식기로서, 밭위를 이동가능한 기체에, 상기 묘목의 잎부분을 끼워지지하여 기체의 진행방향 뒤쪽으로 반송하는 이식콘베이어를 설치하고, 상기 이식콘베이어에 의한 묘목의 반송속도를 기체의 이동속도와 대략 같은속도로 설정하여, 그 이식콘베이어로부터 직접 밭위에 개별화분체 묘목 또는 흙이 붙은 묘목을 방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의 이식기.
  9. 제8항에 있어서, 기체에 그 기체의 이동에 따라 밭위를 전동하는 전동륜을 설치하고, 그 전동륜을 이식콘베이어의 동력원으로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의 이식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이식콘베이어가 1쌍의 벨트콘베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의 이식기.
  11. 제8, 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이식콘베이어가 기체의 진행방향 뒤쪽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의 이식기.
  12. 제8항 내지 제1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체가 진행방향의 뒤쪽에 심는 홈을 형성하는 오프너를 설치하고 있고, 이식콘베이어로부터 방출된 묘목이, 상기 심는 홈내에 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의 이식기.
  13. 2매의 띠형상 박막을 소정의 피치로 접합하고, 그 접합부분의 상호간을 화분체로한 연속화분을 수용성 접착제를 통하여 겹쳐맞추어 이루어지는 연속집합화분을 사용하여 육묘한 묘목을, 상기 화분체내에서 연속적으로 꺼내기위한 이식기용 박막박리장치로서, 이식기의 기체상에 묘목을 넣은 연속집합화분을 얹어놓는 화분묘목 재치부와, 그 화분묘목 재치부로부터 당겨낸 연속화분의 2매의 박막을 서로 벗기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1쌍의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각각을 우회시킨 각 박막을 끼워지지하여 당겨내는 회전인출수단과, 그 회전인출수단에 의하여 인출된 각 박막을 감는 권취릴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용 박막박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회전인출수단이 가이드부재를 우회시킨 각 박막을 화분묘목 재치부쪽으로 당겨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용 박막박리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회전인출수단이 회전로울러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용 박막박리장치.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회전인출수단이 회전벨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용 박막박리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회전로울러쌍중의 한쪽의 회전로울러를 권취릴로 바꾸어놓고, 그 권취릴은 쌍을 이루는 회전로울러에 대하여 접근이간 가능하게 배설함과 동시에, 상시에는 그 권취릴을 상기 쌍을 이루는 회전로울러에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용 박막박리장치.
KR1019980013459A 1997-08-26 1998-04-15 묘목의 이식기 KR199900842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467697 1997-08-26
JP97-244676 1997-08-26
JP97-244675 1997-08-26
JP24467597A JPH1156023A (ja) 1997-08-26 1997-08-26 苗の移植機
JP24467297A JP3528076B2 (ja) 1997-08-26 1997-08-26 苗の移植機
JP97-244672 1997-08-26
JP97-366998 1997-12-25
JP36699897A JPH11127621A (ja) 1997-08-26 1997-12-25 移植機用薄膜剥離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218A true KR19990084218A (ko) 1999-12-06

Family

ID=2747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459A KR19990084218A (ko) 1997-08-26 1998-04-15 묘목의 이식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96513A (ko)
EP (1) EP0898867B1 (ko)
KR (1) KR19990084218A (ko)
BR (1) BR9804401A (ko)
DE (1) DE69817104T2 (ko)
ES (1) ES2205301T3 (ko)
TW (1) TW3932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6796B2 (ja) 1998-06-01 2006-06-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植え付け作業装置
NL1017452C2 (nl) * 2001-02-26 2002-08-27 Germaco B V Invoerstation voor de verwerking van bolbloemen.
DK200301535A (da) * 2003-10-20 2005-04-21 Bentle Products Ag Maskine til udplantning af frö- eller plantebånd
CN100486210C (zh) * 2005-01-05 2009-05-06 国际商业机器公司 Sip网络中的拓扑发现方法和系统
WO2008013933A2 (en) * 2006-07-27 2008-01-31 Millermorse, Llc Handling apparatus for plant growth substrates
CN102113430B (zh) * 2010-08-27 2012-11-07 浙江大学 带式钵苗移分机
ITTO20130970A1 (it) * 2013-11-28 2015-05-29 Consiglio Per La Ricerca E La Speri Mentazione In Dispositivo per il trasporto e la deposizione di astoni di piante vegetali
US9814176B2 (en) 2014-11-26 2017-11-14 Cnh Industrial Canada, Ltd. Belted seed transfer mechanism
CN106718171B (zh) * 2016-11-29 2020-11-06 河南科技大学 一种树苗切苗生产线
CN111386812B (zh) * 2018-11-20 2021-12-17 莆田市荔城区任西贸易有限公司 一种水田秧苗的供给设备
US11864486B2 (en) * 2020-09-23 2024-01-09 Square Rooted, Llc Automated planter apparatus
CN115104439A (zh) * 2022-06-30 2022-09-27 南昌大学 一种高压水冲式的沙地沙柳夹送植灌装置
US11871693B1 (en) * 2022-10-07 2024-01-16 Neversink Tools Transplan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2337A (en) * 1976-03-02 1979-01-02 Nippon Tensai Seito Kabushiki Kaisha Continuous paper cylinder assembly and method of separating the same and transplanting apparatus for the same
JPS61249305A (ja) * 1985-04-30 1986-11-06 阿部 寿人 移植機
JPH02104208A (ja) * 1988-10-13 1990-04-17 Kubota Ltd テープ苗の植付装置
JPH07241106A (ja) * 1994-01-11 1995-09-19 Hokuei:Kk 苗の転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0041A (en) * 1956-02-09 1961-04-18 Nielsen Robert Apparatus for planting seedlings
US3719158A (en) * 1968-02-14 1973-03-06 H Roths Transplanting machine
US4167911A (en) * 1976-03-02 1979-09-18 Nippon Tensai Seito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separation and transplanting paper tube seedlings from a continuous paper tube seedling assembly
US4122784A (en) * 1976-06-25 1978-10-31 Wolf-Gerate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generation of lawn surfaces in particular of grass sport pitches
US4455950A (en) * 1977-08-22 1984-06-26 General Mills, Inc. Transplanting apparatus utilizing a disc mechanism for transferring plants from a supply tape to the furrow
JPS5811817B2 (ja) 1980-04-15 1983-03-04 日本甜菜製糖株式会社 連続集合鉢体の製造方法
JPS5811817A (ja) * 1981-07-15 1983-01-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音響ホログラフイ用マイクロホントラバ−ス装置
US4395846A (en) * 1981-08-17 1983-08-02 Munksjo Ab Arrangement in boxes holding cellular compartments
JPS58138309A (ja) 1982-02-09 1983-08-17 日本甜菜製糖株式会社 連続紙筒集合鉢体苗の分離移植機における植付け方法及び装置
JPS6361886A (ja) * 1986-09-02 1988-03-18 清水建設株式会社 粉粒体の搬送冷却装置
US4788920A (en) * 1987-02-26 1988-12-06 University Of Florida Spatial transplanter mechanism
JPH01205687A (ja) * 1988-02-12 1989-08-18 Nec Ic Microcomput Syst Ltd ミューティング回路
JPH01211415A (ja) * 1988-02-18 1989-08-24 Hokuei:Kk 土付苗移植機
GB8905469D0 (en) * 1989-03-10 1989-04-19 Sheeter Eric Apparatus for handling tree seedlings
JPH0479612A (ja) * 1990-07-20 1992-03-13 Fujitsu Ltd ルビジウムランプ
JPH0484812A (ja) * 1990-07-25 1992-03-18 Hokuei:Kk 整列苗の分離装置
JPH0538209A (ja) * 1991-09-11 1993-02-19 Kubota Corp 移植機のシユート装置
JP2627471B2 (ja) * 1992-05-08 1997-07-09 日本甜菜製糖株式会社 接地型の連続鉢苗移植機
JP2747879B2 (ja) * 1993-11-04 1998-05-06 日本甜菜製糖株式会社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体
JP3025858B2 (ja) * 1994-09-26 2000-03-27 日本甜菜製糖株式会社 連続鉢苗移植機
JP3280857B2 (ja) * 1996-07-19 2002-05-13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の畝高さ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2337A (en) * 1976-03-02 1979-01-02 Nippon Tensai Seito Kabushiki Kaisha Continuous paper cylinder assembly and method of separating the same and transplanting apparatus for the same
JPS61249305A (ja) * 1985-04-30 1986-11-06 阿部 寿人 移植機
JPH02104208A (ja) * 1988-10-13 1990-04-17 Kubota Ltd テープ苗の植付装置
JPH07241106A (ja) * 1994-01-11 1995-09-19 Hokuei:Kk 苗の転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804401A (pt) 1999-11-23
ES2205301T3 (es) 2004-05-01
EP0898867B1 (en) 2003-08-13
DE69817104T2 (de) 2004-04-01
TW393290B (en) 2000-06-11
US5996513A (en) 1999-12-07
EP0898867A1 (en) 1999-03-03
DE69817104D1 (de) 200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4218A (ko) 묘목의 이식기
US4167911A (en) Apparatus for separation and transplanting paper tube seedlings from a continuous paper tube seedling assembly
US4132337A (en) Continuous paper cylinder assembly and method of separating the same and transplanting apparatus for the same
US3906875A (en) Transplant handling means
US4341333A (en) Block handling apparatus
JP3528076B2 (ja) 苗の移植機
JP3491060B2 (ja) 苗の移植機
JPH11127621A (ja) 移植機用薄膜剥離装置
JP3663526B2 (ja)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およびその移植機
US20220330471A1 (en) Seedling packag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20220330475A1 (en) Seedling planter
JPH1156023A (ja) 苗の移植機
US20220330470A1 (en) Seedling-forming system and method
JPH0410724Y2 (ko)
JP3686356B2 (ja) 移植機の苗供給装置
JP3493569B2 (ja) けん引型移植機
JP2549005B2 (ja) 帯状いぐさ苗の分割植付方法
JPS635447Y2 (ko)
WO20222213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nting seedlings
JP2001016914A (ja) 甘藷挿苗機
JPH0236330Y2 (ko)
JP3626574B2 (ja) 苗移植装置および多条苗移植機
JPH0639532Y2 (ja) 移植用帯状苗の製造装置
JPH0340088Y2 (ko)
JP2854382B2 (ja) 藺草移植機における移植苗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