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276A - 진공회전건조기 - Google Patents

진공회전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276A
KR19990082276A KR1019980706005A KR19980706005A KR19990082276A KR 19990082276 A KR19990082276 A KR 19990082276A KR 1019980706005 A KR1019980706005 A KR 1019980706005A KR 19980706005 A KR19980706005 A KR 19980706005A KR 19990082276 A KR19990082276 A KR 19990082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s
rotating drum
drum
pip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2032B1 (ko
Inventor
타카시 마쯔모토
Original Assignee
마츠모토 타카시
가부시키가이샤 마츠모토 기카이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모토 타카시, 가부시키가이샤 마츠모토 기카이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마츠모토 타카시
Publication of KR19990082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26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e.g. discharging by reversing drum rotation, using spiral-type inse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26B11/049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with provisions for working under increased or reduced pressure, with or without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회전드럼내로의 고형물의 투입과 회전드럼으로부터의 고형물의 반출을 고형물에 일손을 접촉시키지 않고 실시할 수 있는 진공회전건조기를 제공한다.
회전드럼(23)에 가스유통관(46)과 고형물 급배관(56)을 장착한다. 고형물 급배관(56)을 고형물의 공급원과 접속하며, 감압장치(53)에 의하여 가스유통관(46)을 통하여 회전드럼내를 감압하여 건조해야할 고형물을 회전드럼(23)내로 공급한다. 드럼내에서 고형물이 건조된 후, 고형물 급배관(56)을 고형물 흡인반송장치에 접속하고, 가스유통관(46)을 대기압에 개방한다. 회전드럼(23)을 경사진 상태에서 고형물 급배관(56)에 설치된 회전부(56b)를 회전시켜서 고형물속으로 진입시켜, 회전부의 선단으로부터 고형물을 흡인하여 반출한다. 최종적으로는 회전부(56b)의 선단을 회전드럼의 최하부와 대향시켜서 회전드럼내의 거의 모든 고형물을 반출한다.

Description

진공회전건조기
진공회전건조기는, 주벽부를 2중 구조로 하여 형성된 재킷의 내부에 온수를 통하게 하므로서 가열할 수 있도록 한 회전드럼과, 그 회전드럼내를 감압하는 감압장치 등을 구비하고, 건조해야할 피처리물을 수용한 회전드럼내를 감압하면서 건조를 실시하는 것이다.
진공회전건조기에서는, 회전드럼내를 감압한 상태에서 건조를 실시시키기 위하여, 이 건조기를 사용하면, 건조에 필요한 에너지의 절약과 건조시간의 단축 등을 도모할 수 있고, 제품의 수분함유율을 극소로 할 수 있는 피처리물로부터의 유기물질이나 용제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며, 공기중의 산소에 의한 산화나 발화의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고, 열에 민감한 피처리물의 경우에는 저온도에서 건조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건조기는, 산화에 의한 열화나, 불순물의 혼입 또는 세균의 부착 등에 의한 오염(컨테이네이션)을 방지하는 것이 특별히 필요시 되는 의약품의 제조분야에서 많이 이용된다.
의약품의 제조를 실시할 때에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조과정에서 제품에 일손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강력히 필요하며, 제품이 제조의 도중에 직접 외기와 접촉되는 것을 강력히 피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진공회전건조기에서는, 회전드럼내에 건조해야할 고형물(피처리물)을 투입할 때와 그 드럼내에서 건조된 고형물을 판출할 때에, 일손이 필요했기 때문에, 회전드럼내로의 고형물의 투입으로부터 고형물의 반출까지의 모든 공정을 일손에 접촉되지 않게, 또한 외기와 직접 접촉시키지 않게 실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진공회전건조기에서는, 고형물의 투입을 실시할 때와 반출을 실시할 때 일손이 필요했기 때문에, 건조공정을 자동화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고, 제조설비의 자동화를 도모하는 데에 건조공정이 장애로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드럼내로의 고형물의 투입으로부터 고형물의 반출까지의 모든 공정을 일손을 빌리지 않고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회전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미립자형상인 고형물을 건조하는데 적합한 진공회전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회전건조기를 응용한 여과건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회전건조기의 주요부의 구성을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장치에서 사용되는 원심분리기의 상면도이다.
도5A 및 도5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진공회전건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 건조기의 주요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6A 및 도6B는 진공회전건조기에 의하여 고형물의 건조를 실시할 때의 회전드럼의 움직임의 일예를 표시한 설명도이다.
도7A 및 도7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진공회전건조기의 회전드럼고형물을 반출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 건조기의 주요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회전건조기에 설치되는 고형물 급배관의 변형예를 표시한 것이고, 도8A는 그 급배관의 회전부가 최종흡인위치에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8B는 그 급배관이 퇴피위치에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도9A 및 도9B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회전건조기에 설치되는 고형물 급배관 외의 변형예를 표시한 것이고, 도9A는 그 급배관의 회전부가 최종흡인위치에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9B는 그 급배관이 퇴피위치에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회전건조기에 설치되는 고형물 급배관의 또 다른 변형예를 표시한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미립자형상인 고형물을 건조하는 진공회전건조기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회전중심으로 되는 중심축선이 수직면내에서 수평방향에 대하여 이룩하는 경사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지지된 회전드럼과,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드럼경사각 조정장치와, 회전드럼을 회전구동하는 드럼회전구동장치와, 회전드럼의 축선방향의 한쪽끝의 중심부를 기밀로 하고 또한 그 회전드럼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에서 관통하여 그 회전드럼내에 한쪽끝이 삽입되는 가스유통관과, 회전드럼내의 가스를 흡인하여 그 회전드럼내를 감압하는 감압장치와, 가스유통관을 감압장치에 연결하는 배관과 대기압공간과 변환접속하는 유로변환장치와, 회전드럼의 회전을 허용한 상태에서 그 회전드럼의 축선방향의 다른쪽 끝으로부터 그 회전드럼내에 삽입되는 직관부와 그 직관부의 회전드럼내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회전드럼의 주벽부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직관부로 연결되어 통하는 회전부를 보유하는 고형물 급배관과, 고형물 급배관의 직관부를 회전시키므로서 회전부를 회전드럼내에서 회전시키는 급배관 구동장치와, 고형물 급배관의 직관부를 건조해야할 고형물의 공급원과 연결되는 배관과 건조된 고형물을 흡인하여 반송하는 고형물 흡인반송장치와 연결되는 배관 등과 변환접속하는 급배변환장치와,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건조할 때에 그 회전드럼을 가열하는 드럼가열장치와,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의 경사각을 변화시키는 드럼경사각 조정장치 등이 설치되며, 상기한 고형물 급배관의 회전부는, 회전드럼의 축선방향의 다른쪽 끝의 단부벽과 그 회전드럼의 하부 사이의 구석부에 그 회전부의 선단이 접근된 상태로 되는 최종흡인위치와, 그 최종흡인위치로부터 퇴피된 상태로 되는 퇴피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보통의 사용법을 하는 경우에, 상기한 가스유로변환장치, 급배변환장치, 급배관구동장치 및 드럼경사각 조정장치는 하기와 같이 동작한다.
즉, 가스유로변환장치는, 회전드럼내에 건조해야할 고형물을 공급할 때와 그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건조할 때에, 가스유통관의 다른쪽 끝을 감압장치에 연결되는 배관에 접속하고,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반출할 때에 가스유통관의 다른쪽 끝을 대기압공간과 접속한다.
또 급배변환장치는, 회전드럼내에 건조해야할 고형물을 공급할 때에 고형물 급배관의 직관부의 다른쪽 끝을 건조해야할 고형물의 공급원에 연결되는 배관과 접속하며,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건조할 때에 직관부의 다른쪽 끝을 폐쇄하고,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반출할 때에는 직관부의 다른쪽 끝을 고형물 흡인반출장치에 연결되는 배관과 접속한다.
또 급배관 구동장치는, 회전드럼내에 고형물을 공급할 때에 고형물 급배관의 회전부를 퇴피위치로 위치시켜,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반출할 때에 고형물 급배관의 회전부의 선단을 고형물 가운데로 진입시키면서 최종흡인위치까지 회전시킨다.
또 드럼경사각 조정장치는, 회전드럼내에 고형물을 공급할 때에, 회전드럼의 다른쪽 끝을 한쪽끝보다도 높게 하고,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반출할 때에, 회전드럼의 한쪽 끝을 다른쪽 끝보다도 낮게하도록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의 경사각을 변화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할 경우, 고형물 급배관의 직관부를, 건조해야할 고형물의 공급원에 연결되는 배관과 접속하며, 가스유통관을 감압장치에 연결된 배관과 접속시킨 상태에서, 회전드럼내를 감압하므로서, 일손을 빌리지 않고, 또한 고형물을 외기와 접촉시키지 않고, 고형물의 공급원으로부터 소정의 배관과 고형물 급배관 등을 통하여 회전드럼내에 고형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의 양이 규정량에 도달했을 때에, 고형물 급배관의 직관부의 다른쪽 끝을 폐쇄하고, 가스유통관을 감압장치와 접속시킨 상태에서 회전드럼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감압장치에 의한 회전드럼내의 감압과, 드럼가열장치에 의한 회전드럼의 가열 등을 실시함으로서,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압하에서 건조를 실시하면, 회전드럼의 온도를 비교적 낮게 억제하여도 고형물의 수분함유율을 충분히 낮게할 수 있으므로, 건조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 회전드럼내를 감압하면서 건조를 실시하면, 고형물이 산화하거나, 산화반응에 따르는 발열에 의하여 발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고형물에 유기용제가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고형물의 건조처리가 종료했을 때에는, 고형물 급배관의 직관부 및 가스유통관을 각각 고형물 흡인반송장치 및 대기압의 가스공간에 접속함과 아울러, 회전드럼의 다른쪽 끝이 한쪽끝보다 낮게 되도록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의 경사각을 변화시킨 상태에서, 고형물 급배관의 회전부를 최종흡인위치로 향하여 회전시키면서 고형물 흡인반송장치를 동작시키켜, 회전드럼내에서 고형물을 흡인반출하여 제품탱크내로 반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드럼으로부터 건조된 고형물을 반출할 때에, 회전드럼을 경사지게 할 경우, 건조하여 바삭바삭한 상태로 된 결정형상 또는 분말형상인 고형물이 경사진 회전드럼의 최하부측에 모아져서 고형물 급배관의 회전부의 선단으로부터 흡인하여 반출될 수 있으므로,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의 거의 전부를 반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일손을 써서 회전드럼내에 잔류하고 있는 고형물을 반출하는 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다음의 건조처리로 이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드럼내로의 고형물의 투입과, 회전드럼으로부터의 건조된 고형물의 반출 등을, 일손을 통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으므로, 고형물의 건조처리의 전공정을 쉽게 자동화할 수 있다. 또 회전드럼으로의 고형물의 투입에서부터 반출까지의 전공정을 일손에 접촉하지 않고, 또 외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으므로, 고형물을 건조할 때에 그 고형물이 열화되거나, 불순물의 혼입이나 세균의 부착 등에 의하여 고형물이 오염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고형물 급배관의 설치를 쉽게하기 위하여, 회전드럼의 축선방향의 다른쪽 끝의 중심부에 그 회전드럼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에서 급배관지지부재를 결합하여, 그 급배관지지부재에 고형물 급배관을 설치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고형물 급배관은,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급배관지지부재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관통시켜, 한쪽끝이 회전드럼내로 삽입된 직관부와 그 직관부의 회전드럼내로 위치하는 한쪽끝에서부터 회전드럼의 주벽부측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되어서 직관부와 연결되어 통하는 회전부 등을 보유하는 관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형물 급배관의 직관부가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급배관지지부재를 관통하도록 할 경우, 회전부를 퇴피위치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 회전부의 선단과 회전드럼의 내주 사이에 큰 간극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고형물 급배관을 통하여 회전드럼내에 고형물을 공급할 때에, 고형물 급배관으로부터 고형물의 유출을 쉽게 실시할 수 있다. 또 고형물 급배관을 최종흡인위치로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그 급배관의 선단을 회전드럼의 최하부의 내주에 접근시킬 수 있으므로, 회전드럼내에 고형물을 거의 잔류시키지 않고,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액분리처리에서 고형물의 건조 및 반출까지의 모든 공정을 자동적으로 실시하도록, 상기한 드럼회전구동장치와, 급배변환장치와, 가스유로변환장치와, 감압장치와, 고형물 흡인반송장치와, 드럼경사각 조정장치와, 급배관 구동장치와, 드럼가열장치 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어장치는, 예컨대, 고형물 급배관의 직관부의 다른쪽 끝 및 가스유통관의 다른쪽 끝을 각각 고형물의 공급원과 연결되는 배관 및 감압장치에 연결되는 배관과 접속된 상태에서, 동시에 회전드럼의 상기한 다른쪽 끝을 한쪽끝보다 높게한 상태에서 회전드럼내를 감압하므로서 고형물의 공급원으로부터 고형물 급배관을 통하여 회전드럼내에 건조해야할 고형물을 공급하는 고형물 공급동작과, 소정 회수의 고형물 공급동작이 종료하여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의 양이 규정량에 도달했을 때에, 고형물 급배관의 다른쪽 끝을 폐쇄하여, 가스유통관의 다른쪽 끝을 감압장치와 접속된 상태에서 회전드럼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감압장치에 의한 회전드럼내의 감압과 드럼가열장치에 의한 회전드럼의 가열을 실시하여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처리동작과, 건조처리동작이 종료됐을 때에 고형물 급배관의 직관부의 다른쪽 끝 및 상기한 가스유통관의 다른쪽 끝을 각각 고형물 흡인반송장치와 연결되는 배관 및 대기압의 가스공간과 접속함과 아울러 회전드럼의 상기한 다른쪽 끝을 한쪽끝보다 낮게 하도록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의 경사각을 변화시킨 상태에서 급배관의 회전부를 최종흡인위치로 향하여 회전시키면서 고형물 흡인장치에 의하여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흡인반출하는 흡인반출동작 등을 실시하도록, 드럼회전구동장치와, 급배변환장치와, 가스유로변환장치와, 감압장치와, 고형물 흡인반출장치와, 드럼경사각 조정장치와, 급배관구동장치와, 드럼가열장치 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어장치를 설치할 경우, 고액분리처리에서 고형물의 건조 및 반출까지의 모든 공정을 자동적으로 실시시킬 수 있으므로, 결정의 제조를 매우 능률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아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진공회전건조기를 원심여과장치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서, 본 발명에 의한 진공회전건조기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회전건조기를 원심여과장치와 조합시켜 여과건조장치를 구성한 예를 표시하는 것이고, 도1에 있어서, 1 은 원액을 고형물과 액분 등으로 분리하는 고액분리처리를 실시하는 원심여과장치, 2 는 원심여과장치(1)에 원액을 공급하는 원액공급원, 3 은 원심여과장치(1)에서 얻어진 고형물을 건조하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회전건조기, 4 는 진공회전건조기(3)에 의하여 건조된 고형물을 쌓아두는 제품탱크, 5 는 제품탱크(4)의 상부에 설치된 원심분리기, 6 은 원심분리기(5)의 배기구(5b)에 필터(7)를 통하여 접속된 진공펌프, 8 은 컴퓨터를 사용하여 소정의 결과로 진공회전건조기의 각 부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이다. 제품탱크(4)의 하부에는 로터리밸브(4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9 는 제품탱크(4)로부터 로터리밸브(4a)를 통하여 유출되는 고형물을 다음의 단계로 운반하는 운반수단이다.
원심여과장치(1)는, 밀폐된 케이싱(10)과, 케이싱(10)내에 배치되어 축받침장치(11)에 의하여 케이싱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회전축(12)에 설치된 바스켓(13, basket)과, 바스켓(13)을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장치(14)와, 바스켓(13)내에 원액을 공급하는 원액공급파이프(15)와, 바스켓(13)의 내주에 형성된 고형물을 긁어내는 고형물 긁어내는 장치(16)와, 고형물 긁어내는 장치(16)에 의하여 긁어내어져서 바스켓(13)의 저부로 떨어진 고형물을 흡인하여 배출하는 고형물 배출관(17) 등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10)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주벽부를 보유하는 케이싱본체(10a)와, 그 본체의 상단 개구부를 폐쇄하는 뚜껑(10b) 등을 보유하며, 케이싱본체(10a)는 충격흡수제를 구비한 지지장치(18)를 통하여 설치기반 위에 지지되어 있다. 케이싱(10)의 주벽부의 하부에는, 바스켓의 회전에 의하여 분리된 액분을 배출하기 위한 액배출구(10c)가 설치되어 있고, 그 액배출구(10c)에는 밸브(19)를 통하여 액배출관(20)이 접속되어 있다.
바스켓(13)은, 원통형 주벽부(13a)와, 그 주벽부(13a)의 축선방향의 한쪽 끝을 폐쇄하는 저벽부(13b)와, 주벽부(13a)의 축선방향의 다른쪽 끝으로부터 지름방향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둥근고리형상인 판(13c) 등을 보유하는 바구니모양의 것이고, 저벽부(13b)의 중앙부에 형성된 보스부(13d)에, 그 바스켓과 같은 축상에 배치된 회전축(12)이 설치되고, 회전축(12)이 축받이장치(11)에 의하여 케이싱(10)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12)의 하단은 바스켓회전구동장치(14)의 출력축에 연결되며, 그 회전구동장치(14)에 의하여, 바스켓(13)이 회전구동된다. 바스켓회전구동장치(14)로는, 인버터제어되는 전동기나, 유압모터 등이 사용된다. 바스켓(13)의 저벽부(13b)에는, 보스부(13d)의 기반부를 둘러싸는 둥근고리형 홈부(13e)가 형성되어 있다. 바스켓(13)의 주벽부(13a)에는 다수의 투과구멍이 형성되며, 그 주벽부(13a)의 내주에 필터가 배치된다. 필터로는, 직물제인 것이나 원통형으로 성형된 철망의 내주에 다공판을 배치한 것 등이 사용된다.
원액공급파이프(15)는, 케이싱(10)의 뚜껑(10b)을 관통하여 바스켓(13)내에 삽입되어 있다. 원액공급파이프(15)의 케이싱 바깥으로 위치하는 선단부는 배관(21)과 전자밸브(22) 등을 통하여 원액공급원(2)의 원액유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원액공급원(2)은, 원액(슬러리)을 수용한 탱크나 반응용기(reactor) 등으로 되어 있다.
고형물 긁어내는 장치(16)는, 바스켓(13)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축(16a)에 설치되어 바스켓(13)내로 삽입되는 긁어내는 칼(16a)과, 유압실린더 등을 구동원으로서 긁어내는 칼(16b)의 바스켓 축선방향으로의 이동과 축(16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긁어내는 칼이 설치된 축(16a)을 구동시키는 구동기구(16c) 등을 구비한 공지된 것이다.
고형물 배출관(17)은, 케이싱(10)의 뚜껑(10b)을 관통하여 바스켓(13)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 고형물 배출관은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바스켓내로부터 고형물을 배출할 때에, 그 하단은 홈부(13e)에 삽입된다.
상기한 원심여과장치(1)에 있어서, 원액의 고액분리처리를 실시할 때에는, 회전구동장치(14)를 기동하여 바스켓(13)을 회전시켜, 전자밸브(22)를 열고 원액공급원(2)으로부터 배관(21)과 원액공급파이프(15) 등을 통하여 바스켓내에 원액을 공급한다. 바스켓(13)내에 공급된 원액은 바스켓의 주벽부(13b)의 내주에 액층을 형성한다. 원액은 바스켓의 회전에 따라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고형물과 액분 등으로 분리되고, 액분은 바스켓의 내주에 배치된 필터와 바스켓의 주벽부(13a)에 형성된 투과구멍 등을 통하여 바스켓(13)과 케이싱(10)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바스켓의 내주에 고형물(결정)이 층을 이루며 형성된다. 형성된 고형물의 층이 소정 두께로 도달했을 때에 급액공정을 종료시켜, 바스켓의 회전속도를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여 액분을 이탈시키는 탈액공정을 실시하게 한다. 탈액공정이 종료된 후에, 바스켓내에 세정액을 공급하여 고형물을 세정하는 세정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탈수공정을 실시한 후, 회전구동장치에 제동을 걸어 바스켓을 감속시킨다.
상기한 급액공정, 탈액공정, 세정공정 및 탈수공정에 의하여, 고액분리공정이 구성된다. 고액분리공정이 종료된 후, 바스켓을 저속회전시켜, 고형물 배출관(17)에 흡인력을 작용시킨 상태에서, 바스켓의 상단부측에 배치된 긁어내는 칼(16b)을 바스켓의 내주에 형성되어 있는 고형물속으로 진입시켜, 그 고형물을 긁어내고, 긁어낸 고형물을 바스켓의 저부측으로 낙하시킨다. 낙하된 고형물은, 고형물 배출관(17)에 의해 흡인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긁어내는 칼(16b)은 고형물의 긁어내는 동작의 진행에 따라서 바스켓의 저부측으로 하강한다. 긁어내는 칼(16b)이 바스켓의 저부에 도달한 곳에서, 그 긁어내는 칼을 회전시켜 바스켓의 저부상에 잔존하는 고형물을 홈부(13e)내로 낙하시킨다.
상기한 원심여과장치에서는, 바스켓의 내주로부터 긁어낸 고형물을 바스켓의 저부에 형성된 홈부(13e)내로 모아서, 그 홈부내의 고형물을 고형물 배출관(17)에 의해 흡인시켜 외부로 배출하므로, 밀폐된 케이싱(10)내에 바스켓(13)을 배치한 상태에서, 바스켓내에 형성된 고형물의 거의 전부를 외부로 꺼낼 수 있고, 고형물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형식의 원심여과장치에 대해서는, 특공소60-28553호 공보나 특공소62-44982호 공보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회전건조기(3)는, 도2 및 도3에 표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2 및 도3에 있어서, 21 은 설치기반, 22 는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요동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기반(21) 위에 지지된 지지프레임, 23 은 지지프레임(22)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회전드럼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설치기반(21)의 긴쪽방향의 중앙부보다도 전단부(도2에 있어서 좌단부) 근처의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설치기반의 폭방향의 양단으로 브래킷(24, 24)이 고정되며, 지지프레임(22)의 하부에 설치된 브래킷(25, 25)이 각각 중심축선을 공유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핀(26, 26)을 통하여 브래킷(25, 25)에 연결되어 있다.
지지프레임(22)은, 전체가 직방체형상으로 이루어진 틀모양의 본체부분(22a)과, 그 본체부분(22a)의 전단부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장출부(22b, 長出部) 등을 보유하고, 본체부분(22a)의 후단부측의 상부 및 장출부(22b)의 선단부 근처에 각각 지지프레임의 긴쪽방향에 대응하는 지주(22c) 및 (22b)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프레임(22)은, 핀(26)을 중심으로 하여, 그 전단부(장출부(22b)의 선단부)(22A)가 설치기반(21)과 접하는 상태로 되는 제1의 위치와, 그 후단부(22B)가 설치기반(21)과 접하는 상태로 되는 제2의 위치 사이를 5도 내지 10도의 각도범위에 걸쳐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지프레임(22)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설치기반(21)의 후단부(도2에서 우단부)에 유압실린더(27)가 핀(28)을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며, 유압실린더(27)의 피스톤로드(27a)가 지주(22c)에 고정된 브래킷(29)에 핀(30)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유압실린더(27)를 제어하기 위하여, 그 유압실린더(27)에 공급하는 압력유의 흐름방향을 바꾸는 방향교환밸브와 그 압력유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 등을 구비한 제어기(70)(도1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프레임(22)은, 유압실린더(27)의 피스톤로드(27a)가 신장했을 때에, 핀(26)을 중심으로 하여, 그 전단부(장출부(22b)의 선단부)(22A)가 설치기반(21)과 접하는 상태로 되는 제1의 위치까지 회전하며, 피스톤로드(2)가 후퇴하게 됐을 때에, 지지프레임(22)의 후단부(22B)가 설치기반(21)과 접하는 상태로 되는 제2의 위치까지 회전한다.
지주(22c)의 상단에는 회전드럼(23)의 한쪽 끝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축받이장치(31)가 고정되어 있다. 축받이장치(31)는 원통형 베어링케이스(31a)와 그 베어링케이스내에 설치된 볼베어링 또는 롤러베어링(31b) 등으로 되어 있다.
회전드럼(23)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드럼본체(23a)와, 그 드럼본체(23a)의 축선방향의 한쪽 끝을 폐쇄하도록 설치된 저벽부(23b)의 중심부에 그 드럼본체와 축선을 공유한 상태에서 설치된 중공축(23c)과, 드럼본체(23a)의 축선방향의 다른쪽 끝을 폐쇄하는 뚜껑(23d) 등을 보유하며, 중공축(23c)은 베어링장치(31)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뚜껑(23d)은 경첩(23e)에 의하여 드럼본체(23a)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드럼(23)내를 청소할 때에 그 뚜껑(23d)이 열리도록 되어 있다. 뚜껑(23d)의 중심부에는 구멍(23e1)이 형성되며, 그 구멍(23e1)의 주변부에는, 드럼본체(23a)와 축선을 공유하는 원통형 보스부(23f)가 용접되어 있다.
회전드럼(23)의 축선방향의 다른쪽 끝 근처의 외주부에는 둘레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드럼지지링(23g)이 끼워맞춰져 고정되어 있다. 지지프레임(22) 본체(22a)의 전단부 근처의 상부에는, 한쌍의 지지롤러(32, 32)가 지지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상태로 설치되고, 이들 지지롤러의 위에 드럼지지링(23g)이 놓여져, 회전드럼(23)의 축선방향의 다른쪽 끝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다.
본 예에서는, 유압실린더(27)와 제어기(70) 등에 의해, 지지프레임(22)의 경사를 조정하여 회전드럼(23)의 중심축선의 경사각을 변화시키는 드럼경사각 조정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회전드럼의 뚜껑(23d)에 설치된 보스(23f)의 내측으로 회전드럼(23)과 중심축선이 일치하는 원주형 급배관지지부재(33)가 삽입되고, 급배관지지부재(33)와 보스(23f) 사이에는 기밀유지구조의 베어링(34)이 배치된다. 급배관지지부재(33)는 지주(22d)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 즉, 급배관지지부재(33)는, 회전드럼(23)과 축선을 공유하도록 설치되어, 회전드럼의 축선방향의 다른쪽 끝의 중심부에, 그 회전드럼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회전드럼본체(23a)의 주벽부를 2중 구조로 함으로서 재킷이 구성되며, 그 재킷의 내측공간이 격벽에 의해 적당히 분할되어서, 회전드럼본체(23a)의 외주를 그 한쪽끝으로부터 다른쪽 끝으로 회전하여 재차 한쪽 끝으로 복귀하는 가열유체유로(23h)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가열유체유로(23h)의 유입구 및 유출구에 각각 가열유체도입관(23i) 및 가열유체도출관(23j)의 한쪽 끝이 접속되며, 가열유체도입관(23i)의 다른쪽 끝 및 가열유체도출관(23j)의 다른쪽 끝은 각각 중공축(23c)내에 설치된 각각의 유로와, 그 중공축(23c)의 드럼본체와 반대측 선단부에 접속된 로터리조인트(40)내에 설치된 유로 등을 통하여 그 로터리조인트의 가열유체유입구(41) 및 가열유체유출구(42)에 접속된다.
로터리조인트(40)는 가열유체유입구(41)와 도입관(23i) 사이에서의 가열유체의 주고받음와, 가열유체도출관(23j)과 유출구(42) 사이에서의 가열유체의 주고받음등을, 중공축(23c)의 회전을 허용한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이고, 이 로터리조인트는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지지프레임(22)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로터리조인트의 가열유체유입구(41)는 도시하지 않는 전자밸브와 소정의 배관 등을 통하여 온수공급용의 보일러에 접속되며, 가열유체유출구(42)는 도시하지 않는 배관을 통하여 보일러에 물을 공급하는 저수탱크에 접속되어 있다. 가열유체유입구(41)에 유입되는 온수를 제어하는 전자밸브는 제어장치(8)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한 온수입구와 온수출구 등을 로터리조인트를 통하여 회전드럼의 외주에 형성된 가열유체유로에 접속하는 구조는, 종래의 진공회전건조기에서 사용되었던 것과 마찬가지이다. 로터리조인트(40)와 회전드럼(23)의 외주부에 형성된 가열유체유로(23h)와, 그 가열유체유로에 온수를 공급하는 도시하지 않는 보일러 등에 의하여, 회전드럼(23)을 가열하는 드럼가열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중공축(23c)에는 풀리(35)가 장착되며, 지지프레임(22)의 본체(22a)내에 장착된 감속기가 달린 전동기(36)의 출력축에 장착된 풀리(37)와 풀리(35)에 벨트(38)가 걸쳐져 있다. 본 예에서는, 전동기(36)와 풀리(35),(37)와 벨트(38) 등에 의해 회전드럼(23)을 회전구동시키는 드럼회전구동장치(39)가 구성되어 있다.
회전드럼(23)의 저벽부(23b)의 중앙부에는 보스부(23k)가 설치되며, 그 보스부(23k) 내측으로 베어링(45)이 설치되어 있다. 로터리조인트(40)의 축심부에 설치된 구멍과 회전드럼(23)의 한쪽 끝에 설치된 중공축(23c) 안과 베어링(45)의 내륜(內輪) 등을 관통시켜, 가스유통관(46)이 삽입되어 있다.
가스유통관(46)의 각 부중에서, 로터리조인트의 축심부의 구멍안, 중공축(23c) 안과, 베어링(45)의 내륜을 각각 관통하는 부분은 중공축(23c)과 같은 축상으로 연장되는 직관부로 되어 있고, 그 직관부는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지지프레임(22)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가스유통관(46)의 직관부와 베어링(45)의 사이 및 그 직관부와 로터리조인트(40) 축심부의 구멍 사이에는 각각 회전드럼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시일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가스유통관(46)의 회전드럼내에 위치하는 한쪽 끝은 경사진 상방을 향하도록 구부러지며, 가스유통관의 구부러진 선단부에 고형물통과 저지용 필터(47)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유통관(46)의 다른쪽 끝은 전자밸브(48),(49)로 된 가스유로변환장치를 통하여 대기압의 가스공간과 감압장치 등에 접속된다. 전자밸브(48)에서, 제1 내지 제3의 포트(48a)는 가스유통관(46)의 다른쪽 끝으로 가요성(可撓性)을 보유하는 중계관(50)을 통하여 접속되며, 제2의 포트(48b)는 공기필터(51)를 통하여 대기압공간으로 개방되어 있다.
전자밸브(49)도 제1 내지 제3의 포트(49a, 49b, 49c)를 보유하며, 제어장치(8)로부터 부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제1의 포트(49a)를 제2의 포트(49b) 및 제2의 포트(49c)로 변환접속한다. 전자밸브(49)의 제1의 포트(49a)는 전자밸브(48)의 제3의 포트(48c)에 접속되며, 제2의 포트(49b)는 도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콘덴서(52)를 통하여 감압장치(53)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전자밸브(49)의 제3의 포트(49c)는 도시하지 않는 압축공기공급원(54)에 접속되어 있다. 전자밸브(48, 49)는, 지지프레임(22)과 별도로 설치된 적당한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도1에 표시된 콘덴서(52)는, 회전드럼내의 공기에 함유된 액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고, 전자밸브(49)의 제2의 포트(49b)와 감압장치(53)의 가스흡입구 등에 소정의 배관을 통하여 접속되는 용기(52a)와, 그 용기(52a)내에 배치된 냉각파이프(52b) 등을 보유하고, 냉각파이프(52b)의 유입구(52b1)는 도시하지 않는 냉각수 탱크에 접속되어 있다. 또 냉각파이프(52b)의 유출구(52b2)는 도시하지 않는 냉각기를 통하여 냉각수 탱크에 접속되고, 냉각수탱크-냉각파이프(52b)-냉각기-냉각수 탱크의 경로에서 냉각수가 순환되어 냉각파이프(52b)가 냉각되도록 되어 있다. 콘덴서의 용기(52a)에는 또한, 그 용기(52a)내에서 발생된 액체를 모아두기 위한 탱크(55)가 접속되어 있다.
감압장치(53)는 회전드럼(23)내의 가스를 흡인하여 그 회전드럼내를 감압하는 장치이고, 도시된 예에서는 이 감압장치로서 진공펌프가 사용되고 있다.
회전드럼(23)의 축선방향의 다른쪽 끝에는, 급배관지지부재(33)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고형물 급배관(56)이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고형물 급배관(56)은 실질적으로 L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회전드럼(23)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5∼10[㎝] 편심된 위치에서 급배관 지지부재(33)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관통된 직관부(56a)와 그 직관부의 회전드럼(23)내에 위치하는 선단부로부터 회전드럼의 주벽부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회전부(56b) 등을 보유하고, 직관부(56a)의 다른쪽 끝은 로터리조인트(57)와 가요성(可撓性)을 보유하는 중계관(73) 등을 통하여 전자밸브(58)에 접속되어 있다. 고형물 급배관(56)의 회전부(56b)는, 그 선단의 개구부가 도3에 표시한 바와 같이 회전드럼(23)의 주벽부의 하부와 그 회전드럼의 축선방향 다른쪽 끝의 단부벽(도시된 예에서는 뚜껑(23d)) 사이에 형성되는 구석부에서, 그 회전드럼의 주벽부의 내면에 근접한 상태로 되는 최종흡인위치와 그 최종흡인위치로부터 퇴피된 상태로 되는 퇴피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회전부(56b)의 퇴피위치는 예컨대, 도5A에 표시하듯이 최종흡인위치에서 90도 회전한 위치이다. 본 예에서는, 고형물 급배관(56)의 직관부(56a)가 회전드럼(23)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5∼10[㎝] 편심된 위치에 있으므로, 회전부(56b)가 도5A에 표시된 퇴피위치에 있을 때에는, 회전부(56b)의 선단과 회전드럼(23)의 내면과의 사이로 5∼10[㎝]의 간극(G)이 형성된다.
직관부(56a)의 다른쪽 끝부근에는 레버(59)가 설치되고, 레버(59)에 유압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61a)가 핀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유압실린더(61)는 지지프레임(22)의 장출부(22b)의 선단에 설치된 지지쇠장식(62)에 핀(63)을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되어 있다.
유압실린더(61)를 제어하기 위하여, 그 유압실린더(61)에 공급하는 압력유의 흐름의 방향을 바꾸는 방향변환밸브와 그 압력유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 등을 구비한 제어기(71)(도1 참조)가 설치되고, 유압실린더(61)와 제어기(71) 등에 의하여, 고형물 급배관(56)의 직관부(56a)를 회전시키므로서 회전부(56b)를 회전드럼내에서 회전시키는 급배관 구동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전자밸브(58)는, 제1 내지 제3의 포트(58a, 58b, 58c)를 보유하며, 제어장치(8)로부터 부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제1의 포트(58a)를 제2의 포트(58b) 및 제3의 포트(58c)와 변환접속하는 변환동작과, 고형물 급배관(56)의 직관부(56a)의 다른쪽 끝을 폐쇄하는 폐지동작 등을 실시한다. 전자밸브(58)의 제1의 포트(58a)는, 가요성을 보유하는 중계관(73)과 로터리조인트(57) 등을 통하여 고형물 급배관(56)의 직관부(56a)의 다른쪽 끝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전자밸브(58)의 제2의 포오트(58b)는, 도1에 표시된 배관(59)을 통하여 원심여과장치(1)의 고형물배출관(17)에 접속되며, 그 전자밸브(58)의 제3의 포오트(58c)는, 배관(65)을 통하여 원심분리기(5)의 혼합유체도입구(5a)와 접속되어 있다.
원심분리기(5)는, 집진기 등에서, 가스와 미립자형상(분말형상 또는 결정형상)인 고형물의 혼합유체를 가스와 고형물 등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도4에도 표시하듯이 상단이 폐쇄되며, 하부에 원뿔부를 보유하여 그 원뿔부 하단이 제품탱크(4)내에 개구시켜진 외통(501)과, 외통(501)의 중심부에 외통과 동심적으로 배치되어서 상단이 외통(501)의 상단보다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내통(502)과, 외통(501)의 외주의 일부를 따라 배치된 혼합유체도입관(503)등을 구비하고 있다.
혼합유체도입관(503)는, 외통(501)의 접선방향으로 늘어나며 한쪽 끝이 혼합유체도입구(5a)로 되어 있는 직관부(503a)와, 그 직관부의 다른쪽 끝에 한쪽끝이 연속되며, 외통(503a)의 외주의 일부를 포위하도록 설치되어, 다른쪽 끝이 외통(501)내로 연결되어 통하는 만곡부(503b) 등을 보유하며, 만곡부(503b)는 외통(501)의 외주에 수속(收束)하는 원형곡선에 따라 늘어나도록 설치되어 있다. 내통(502)의 하단은 제품탱크(4)측으로 개구되며, 상단은 배기구(5b)로서 소정의 배관(66)을 통하여 필터(7)와 접속되어 있다.
이 원심분리기(5)에 있어서는, 배기공(5b)을 통하여 내통(502)내의 가스가 흡인되었을 때에, 혼합유체도입구(5a)로부터 도입관(503)을 통하여 미립자형상인 고형물과 가스(보통은 공기)의 혼합유체를 외통(501)내로 끌어 넣는다. 외통내로 인입된 혼합유체는, 외통(501)과 내통(502) 사이의 공간에서 회전류를 형성하고, 그 회전류의 회전에 따라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혼합유체중의 고형물과 가스가 분리된다. 분리된 미립자형상인 고형물은 외통(501)의 내면을 통하여 제품탱크(4)내로 낙하되고, 가스는 내통(502) 내를 통하여 배출된다. 필터(7)는, 원심분리기(5)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고 배기구(5b)로부터 유출된 미립자형상인 고형물이 진공펌프(6)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본 예에서는, 원심분리기(5)와, 필터(7)와, 진공펌프(6) 등에 의해, 회전드럼(23)내의 고형물을 흡인하여 제품탱크(4)내로 반송하는 고형물흡인반송장치(72)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자밸브(58)에 의하여 고형물급배관의 직관부(56a)의 다른쪽 끝을 원심여과장치(1)의 고형물배출관(17)에 연결되는 배관(59)과 고형물흡인반송장치(72)에 연결되는 배관(65)등으로 변환접속하는 변환동작과, 그 고형물급배관의 직관부의 다른쪽 끝을 폐쇄하는 폐지동작 등을 실시하는 급배변환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도1에 표시된 장치에 있어서, 유압실린더(27),(61)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기(70),(71)에 각각 설치된 방향변환밸브나 유량조절밸브는 전기적으로 제어되도록 되어 있고, 이들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제어장치(8)로부터 제어기(70),(71)에 부여되어 있다.
상기한 예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중심축(2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지지프레임(22)과, 지지프레임(22)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고, 지지프레임(22)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중심으로 되는 중심축선이 수직면내에서 수평방향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경사각이 변화되는 회전드럼(23)과, 유압실린더(27)를 구동원으로서 회전드럼(23)의 중심축선의 경사각을 변화시키도록 지지프레임(22)을 회전시키는 드럼경사각조정장치와, 전동기(36)를 구동원으로서 회전드럼(23)을 회전구동시키는 드럼회전구동장치와, 회전드럼(23)의 축선방향의 한쪽 끝 중심부를 기밀로 하고 또한 그 회전드럼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에서 관통하여 그 회전드럼내로 삽입된 가스유통관(46)과, 가스유통관(46)의 회전드럼(23)내에 위치하는 한쪽 끝에 설치된 고형물통과 저지용필터(47)와, 가스유통관(46)을 통하여 회전드럼(23)내의 가스를 흡인하여 그 회전드럼내를 감압하는 감압장치(53)와, 가스유통관(46)의 다른쪽 끝을 감압장치(53)와 대기압의 가스공간 등으로 변환접속하는 가스유로변환장치(전자밸브(48),(49))와, 회전드럼(23)과 중심축선을 공유하도록 설치되어 회전드럼의 축선방향의 다른쪽 끝 중심부에 그 회전드럼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에서 결합된 급배관지지부재(33)와, 회전드럼(23)의 중심축선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급배관지지부재(33)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관통하는 직관부(56a)와 그 직관부의 회전드럼내에 위치하는 한쪽 끝으로부터 회전드럼의 주벽부측으로 연장되며, 직관부(56a)와 연결되어 통하는 회전부(56b) 등을 보유하는 고형물급배관(56)과, 유압실린더(61)를 구동원으로서 고형물급배관(56)의 직관부(56a)를 회전시키므로서 회전부(56b)를 회전드럼내에서 회전시키는 급배관구동장치와,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흡인하여 제품탱크(4)로 반송하는 고형물흡인반송장치(72)와, 고형물급배관(56)의 직관부(56a)의 다른쪽 끝을 원심여과장치의 고형물배출관에 연결하는 배관(59)과 고형물흡인반송장치(72)에 연결되는 배관(65)등으로 변환접속하는 변환동작과 그 고형물급배관의 직관부(56a)이 다른쪽 끝을 폐쇄하는 폐지동작 등을 실시하는 급배변환장치(전자밸브58)와, 회전드럼(23)의 외주부내로 형성된 가열유체유로(23h)와 회전드럼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에서 가열유체유로(23h)에 접속되어서 그 가열유체유로(23h)를 가열유체공급원에 접속하는 로우터리조인트(40)에 의하여 구성된 드럼가열장치와, 드럼회전구동장치(39), 공급변환장치, 가스유로변환장치, 감압장치(53), 고형물흡인반송장치(72), 드럼경사각조정장치 및 드럼가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8) 등에 의하여 진공회전건조기(3)가 구성되어 있다.
회전드럼(23)은, 원심여과장치(1)에 의한 복수회의 고액분리처리에 의하여 형성된 고형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적을 보유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어장치(8)는 예컨대, 원심여과장치(1)의 바스켓(13)내로부터 고형물의 배출을 실시할 때에 회전드럼의 축선방향의 다른쪽 끝을 한쪽 끝보다도 높게 하도록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을 경사시킨 상태에서, 또한 고형물급배관(56)의 직관부(56a)의 다른쪽 끝 및 가스유통관(46)의 다른쪽 끝을 각각 원심여과장치의 고형물배출관에 연결되는 배관(59) 및 감압장치(53)에 연결되는 배관에 접속된 상태에서 회전드럼(23)내를 감압하므로서 원심여과장치의 바스켓(13)내의 고형물을 고형물배출관(17)과 급배변환장치와 고형물급배관(56) 등을 통하여 흡인하여 회전드럼(23)내로 공급하는 고형물공급동작과, 소정회수의 고형물공급동작이 종료하여 회전드럼(23)내의 고형물의 양이 규정량으로 도달했을 때에 고형물급배관(56)의 직관부(56a)의 다른쪽 끝을 폐쇄하고, 가스유통관(46)의 다른쪽 끝을 감압장치(53)에 접속한 상태에서 회전드럼(23)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감압장치에 의한 회전드럼(23)내의 감압과 드럼가열장치에 의한 회전드럼(23)의 가열 등을 실시시켜서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처리동작과, 고형물급배관(56)의 직관부의 다른쪽 끝(56a) 및 가스유통관(46)의 다른쪽 끝을 각각 고형물흡인반송장치(72) 및 대가입의 가스공간과 접속함과 아울러 회전드럼의 축선방향의 다른쪽 끝을 한쪽 끝보다도 낮게하도록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을 경사시킨 상태에서 고형물급배관(56)의 회전부(56b)를 최종흡인위치로 향해서 회전시키면서 고형물흡인반송장치(72)에 의하여 회전드럼(23)내의 고형물을 흡인반출하는 흡인반출동작 등을 실시하도록, 드럼회전구동장치(36)와, 급배변환장치와, 가스유로변환장치와, 감압장치(53)와, 고형물흡인반송장치(72)와, 드엄경사각 조정장치와, 급배관구동장치와, 드럼가열장치 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1에 표시된 장치에서는, 우선 원심여과장치(1)에 의하여 원액을 고형물과 액분 등으로 분리하는 고액분리처리와, 분리된 고형물을 세정하는 세정처리 등을 실시한다. 고액분리처리를 실시할 때에는, 고형물 배출관(17)을 도2에 표시된 위치보다 상방으로 끌어올려, 긁어내는 칼(16b)을 바스켓(13)의 선단판(13c)의 내주부와 상응하는 위치보다도 지름방향의 내측으로 퇴피시킨 상태에서, 급액공정과 탈액공정 등으로 이루어진 고액분리공정을 실시한다.
급액공정에서는 우선 회전구동원(14)을 구동하여 바스켓(13)을 급액시에 적합한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전자밸브(22)를 열어서 원액공급원(2)으로부터 급액관(15)을 통하여 바스켓(13)내에 원액을 공급한다. 바스켓내에 공급된 원액은, 그 바스켓의 내주에 액층을 형성한다. 원액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도시하지 않는 액면검출기의 출력으로부터 원액의 액면이 한계위치에 도달한 것이 검출됐을 때에 바스텟내로의 원액의 공급을 중단한다.
바스켓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원액중의 액분이, 바스켓의 주벽부(13a)의 내주에 배치된 필터와 그 바스켓의 주벽부에 형성된 투과구멍 등을 통하여 바스켓 밖으로 배출되며, 원액에 함유된 고형물(결정)은 바스켓(13)의 주벽부(13a)의 내주에 퇴적된다. 바스켓 밖으로 배출된 액분은 케이싱(10)내를 흘러내려 액배출구(10c)로부터 밸브(19)와 액배출관(20) 등을 통하여 배출된다.
탈액이 진척되고, 액면레벨이 소정위치까지 저하된 것이 검출됐을 때에 원액의 공급을 다시 시작하고, 액면이 한계위치에 도달한 것이 검출됐을 때에 다시 원액의 공급을 중단한다.
상기한 동작을 반복하면, 바스켓의 내주에 형성되는 고형물층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고형물층의 두께증대에 따라 탈액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진다. 고형물층의 두께가 충분히 두꺼워져서, 액면레벨의 저하가 일정한 시간 이내로 검출되지 않는 상태가 발생했을 때에, 바스켓내로의 원액의 공급을 정지하고, 급액공정을 종료한다.
급액공정이 종료된 후, 바스켓(20)을 탈액시의 회전속도까지 증속하고, 미리 실험적으로 산출된 일정한 탈액시간 동안에 그 회전속도를 유지하여 탈액을 실시한다.
탈액시간이 경과된 후 바스켓내의 결정을 세정하는 세정공정을 실시한다. 이 세정공정에서는, 세정시에 적합한 회전속도로 바스켓을 회전시키면서 도시하지 않는 세정액공급관을 통하여 바스켓내에 세정액을 공급하고, 이 세정액에 의해 결정을 세정한다. 일정한 세정시간이 경과된 후, 바스켓을 탈액회전속도까지 증속하여 결정속에 함유되는 세정액을 결정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세정공정이 종료된 후, 바스켓(13)내에 형성된 결정을 긁어 떨어뜨리는 결정을 긁어내는 공정과, 긁어 떨어뜨린 결정을 배출하는 배출공정 등을 실시한다. 결정을 긁어내는 공정에서는, 바스켓(13)을 감속된 상태에서 고형물 긁어내는 장치(16)의 긁어내는 칼(16b)을 바스켓의 주벽부(13a)측으로 회전시켜, 이것에 의하여 긁어내는 칼(16b)을 고형물층속에 진입시켜 고형물을 긁어 떨어뜨린다. 긁어 떨어뜨린 고형물은, 바스켓(13)의 저부에 형성된 홈(13e)내로 쌓아둔다.
상기와 같이하여 결정을 긁어 떨어뜨리면서, 결정회수공정을 실시한다. 결정회수공정에서는, 고형물배출관(17)을 하강시켜서, 도1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하단을 바스켓의 저부에 홈(13e)내로 삽입한다. 또 진공회로건조기(3)의 회전드럼(23)에 설치된 고형물급배관(56)의 회전부(56b)를 도5A에 표시하듯이 퇴피위치로 위치시켜두고, 전자밸브(58)의 제1의 포오트(58a)를 제2의 포오트(58b)에 접속하도록 그 전자밸브(58)를 구동하여, 고형물급배관(56)을 배관(59)을 통하여 원심여과장치의 고형물배출관(17)에 접속한다.
또한 진공회전건조기(3)의 전자밸브(48)의 제1의 포오트(48a)를 도3의 포오트(48c)에 접속하고, 전자밸브(49)의 제1의 포오트(49a)를 제2의 포오트(49b)에 접속하도록 전자밸브(48),(49)를 구동하고, 가스유통관(46)을 콘덴서(52)를 통하여 감압장치(53)에 접속시킨다. 또 유압실린더(27)를 구동하여 지지프레임(22)의 후단부(22B)를 전단부(22A)보다 낮게하도록 경사지게 하므로서, 도5B에 표시하듯이, 회전드럼(23)의 축선방향의 다른쪽 끝이 한쪽 끝보다 높게 되도록 회전드럼(23)을 경사진 상태가 되게 하고, 전동기(36)를 구동하여 회전드럼(23)을 회전시킨다.
이 상태에서, 감압장치(53)를 운전하여 회전드럼(23)내의 가스를 흡입한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드럼(23)내가 감압되므로, 원심여과장치(1)의 고형물배출관(17)에 흡인력이 작용하여, 바스켓(13)의 저부의 홈(13e)내의 고형물(S)이 고형물배출관(17)에 의하여 흡인되어 배출된다. 고형물배출관(17)을 통하여 유출되는 고형물(S)은, 배관(59)과 고형물급배관(56) 등을 통하여 회전드럼(23)내로 공급된다. 고형물급배관(56)은, 그 직관부(56a)가 회전드럼(23)의 중십축선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있어서, 그 고형물급배관(56)의 고형물급배관(56)의 회전부(56b)가 퇴피위치로 있는 상태에서는, 도5A에 표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56b)의 선단과 회전드럼(23)의 내면 사이에 큰 간극(G)이 형성되므로, 고형물급배관(56)으로부터 회전드럼(23)내로의 고형물(S)의 공급은 쉽게 실시된다.
회전드럼(23)내로 고형물을 공급할 때에, 그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을 수평방향으로 향하는 상태로 두면, 고형물급배관의 회전부(56b)의 선단에서 유출된 고형물이 그 회전부(56b)의 바로밑부분에 쌓여서 산을 이루고, 회전드럼내로 공급된 고형물의 양이 규정된 처리량으로 도달하기 전에, 그 고형물의 산더미가 회전부(56b)의 선단을 막아서 고형물의 유출을 방해할 염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5B에 표시한 바와 같이, 회전드럼(23)의 축선방향의 다른쪽 끝을 한쪽끝보다도 높게 하도록 회전드럼(23)을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회전드럼(23)을 회전시키면서 그 드럼내로 고형물의 공급을 실시하면, 회전부(56b)로부터 유출된 고형물(S)은 그 회전부(56b)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간다. 따라서, 회전부(56b)의 바로밑부분에 고형물이 쌓여서, 회전부(56b)의 선단이 고형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드럼내로 공급되는 고형물(S)의 양이 규정된 처리량으로 도달할 때까지, 회전드럼내로의 고형물의 공급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원심여과장치(2)로부터 진공회전건조기(3)의 회전드럼(23)내로의 고형물 공급이 종료된 후, 감압장치(53)의 운전을 정지하고, 원심여과장치(1)에 의한 고액분리처리를 다시 시작한다. 그 고액분리처리가 종료된 후, 재차 감압장치(53)를 운전하여 회전드럼(23)내를 감압하고, 바스켓(13)내의 고형물을 회전드럼(23)내로 이송하는 동작을 실시한다.
아래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반복하여, 회전드럼(23)내에 공급된 고형물의 양이 규정된 처리량으로 도달한 곳에서, 전자밸브(58)에 폐지동작을 실시하여 고형물급배관(56)의 직관부(56a)의 다른쪽 끝을 폐쇄한다. 계속해서 감압장치(53)를 운전하여 회전드럼(23)내를 감압하면서 그 회전드럼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로터리조인트(40)를 통하여 회전드럼(23)의 외주부의 가열유체유로(23h)에 온수를 공급하고, 회전드럼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까지 상승시킨다. 이 상태를 일정 시간동안 계속시키므로서, 건조처리동작을 실시한다. 이 건조처리동작을 실시할때의 회전드럼의 자세는 임의적이고, 그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은 수평방향을 향하고 있어도 좋다.
또, 건조처리동작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 유압실린더(27)의 피스톤로드를 왕복이동시켜서, 지지프레임(22)을 요동시키므로서, 도6B에 표시한 바와 같이, 회전드럼(23)을 소정의 주기로 요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회전드럼(23)을 요동시키면, 그 내부의 고형물을 두루 건조할 수 있다.
고형물의 건조가 종료된 후, 가열유체유로(23h)으로의 온수공급을 정지시켜,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반출하는 흡인반출동작을 실시한다. 이 흡인반출동작에서는, 전자밸브(58)의 제1의 포오트(58a)를 제3의 포오트(58c)에 접속하여, 고형물급배관(56)의 직관부(56a)의 다른쪽 끝을 고형물흡인반송장치(72)에 연결되는 배관(65)과 접속함과 아울러, 전자밸브(48)의 제1의 포오트(48a)를 제2의 포오트(48b)에 접속하여, 가스유통관의 다른쪽 끝을 필터(51)를 통하여 대기압이 가스공간에 접속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유압실린더(27)를 구동하여, 도7B에 표시하듯이, 회전드럼(23)의 축선방향의 다른쪽 끝(회전부(56b)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선단부)을 한쪽끝보다 낮게 하도록 회전드럼을 경사지게 한다. 계속하여, 진공펌프(6)를 운전하여, 배관(65)을 통하여 고형물급배관(56)으로 흡인력을 작용시켜, 회전드럼(23)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유압실린더(61)를 구동하여 고형물급배관(56)의 회전부(56b)의 선단을 고형물층속으로 진입시킨다. 회전부(56b)의 선단을 고형물층속으로 진입시키면, 건조하여 보송보송한 상태로 된 고형물(S)이 필터(H)를 통하여 회전드럼(23)내로 유입하는 청정한 공기류와 아울러 고형물급배관(56)과 배관(65) 등을 통하여 원심분리기(5)에 반송된다. 원심분리기(5)에 유입된 고형물과 공기의 혼합유체는, 원심분리기내에서 발생되는 회전류에 의하여 고형물과 공기로 분리된다. 분리된 공기는 필터(7)를 통하여 진공펌프(6)측으로 흐르며, 고형물은 제품탱크(4)내로 떨어진다. 고형물급배관(56)의 회전부(56b)는,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의 양의 감소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도7A에 표시하는 최종흡인위치까지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는, 회전부(56b)의 선단이, 경사진 상태로 있는 회전드럼(23)의 최하부와 회전드럼의 축선방향의 단부벽(도시된예에서는 뚜껑(23d)) 사이에 형성되는 구석부에서 그 회전드럼의 주벽부의 내면에 근접한 상태로 된다. 도7B에 표시한 바와 같이, 회전드럼내의 고형물(S)은, 회전드럼이 하부의 경사면에 따라서, 최종흡인위치에 있는 회전부(56b)이 선단부근처로 모여들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구성의 경우, 회전드럼내의 거의 모든 고형물을 고형물급배관(56)을 통하여 원심분리기측으로 반출할 수 있다.
상기한 장치에 있어서, 압축공기공급원(54)은, 가스유통관(46)을 통하여 회전드럼(23)내에 고압공기를 공급하므로서, 필터(47)의 로딩(loading)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가요성을 보유하는 중계관(50),(73)은, 회전드럼(23)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형물급배관(56)의 직관부(56a)의 다른쪽 끝 및 가스유통관(46)의 다른쪽 끝을 각각 원심여과장치의 고형물배출관(17)에 연결된 배관(59) 및 갑압장치(53)에 연결된 배관과 접속한 상태에서, 회전드럼(23)내를 감압하므로서 원심여과장치의 바스켓내의 고형물을 그 원심여과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고형물배출관과 급배변환밸브의 고형물급배관 등을 통하여 회전드럼내로 공급하도록 할 경우, 원심여과장치의 바스켓으로부터 진공회전건조기의 회전드럼(23)으로의 고형물의 공급을 외기와 접촉시키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해야 할 고형물의 공급원(상기한 예에서는 원여과장치)으로부터 회전드럼(23)내로의 고형물의 투입, 회전드럼 내에서의 고형물의 건조처리 및 회전드럼에서의 고형물의반출을 전부외기로부터 차단된 계에서 실시할 수 있으므로, 고형물을 건조하는 공정에서 제품이 직접 외기에 접촉하거나 일손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화가 없고, 오염되지 않은 제품을 쉽게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예에서는, 고형물급배관(56)의 회전부(56b)의 최종흡인위치를 도7A에 표시하듯이 직관부(56a)의 바로밑 위치에 설정하고 있으므로, 그 회전부(56b)의 선단이 최종흡인위치에서 회전드럼(23)의 최하부로부터 약간 빗나간 위치에 위치한다. 이 경우에, 회전드럼(23)은, 그 주벽부의 최하부에 존재하는 고형물을 최종흡인위치에 있는 고형물급배관(56)의 회전부(56b) 선단측으로 접근하도록(도7A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회전부(56)의 최종흡인위치를 상기와 같이 설정하는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도8A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예보다도 회전부(56b)의 길이를 길게하여, 그 회전부(56b)가 최종흡인위치에 있을 때에 그 선단이 경사진 회전드럼(23)의 최하부에서 회전드럼의 주벽부와 대향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도, 도8B에 표시하듯이 회전부(56b)가 대략 수평방향으로 향하는 상태의 위치를 그 회전부의 퇴피위치로 할 수 있다.
또, 도9A에 표시하듯이, 고형물급배관(56)의 직관부(56a)가 회전드럼(23)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하방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급배관지지부재(33)를 관통하도록 설치하여, 회전부(56b)가 수직하방으로 향하는 상태로 되는 위치를 최종흡인위치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회전부(56b)의 퇴피위치는, 도9B에서 표시하듯이, 수평방향보다 경사진 상방으로 기울어진 위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예에서는, 직관부(56a)와 회전부(56b)등이 연속된 L자모양의 관을 고형물급배관(56)으로서 사용하여, 그 고형물급배관의 직관부를 회전드럼(23)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편심딘 위치로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고형물급배관을 이와같이 설치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10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고형물급배관(56)의 직관부(56a)를 회전드럼(23)의 중심축선과 같은 축상에 설치하여, 그 직관부(56a)의 회전드럼내에 위치하는 선단부에 전자밸브(75)의 제1의 포오트(75a)를 접속하고, 직관부(56a)의 축선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개구된 전자밸브(75)의 제2의 포오트(75b)에 회전부(56b)를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전자밸브(75)의 제3의 포오트(75c)를 예컨대 회전드럼의 축선방향으로 개구시켜서, 회전드럼내로 고형물을 공급하는 경우, 그 제3의 포오트(75c)를 배출구로 한다.
상기한 예에서는, 감압장치(53)로서 진공펌프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 감압장치는 회전드럼내의 가스를 흡인하여 그 드럼내의 압력을 충분히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좋고, 진공펌프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예와 같이, 진공회전건조기의 회전드럼으로부터 반출된 고형물과 공기의 혼합유체를 고형물과 공기로 분리하는 분리수단으로서, 원심분리기를 사용할 경우, 간단한 구조로 고형물과 공기로 분리할 수 있지만, 이 분리수단은 다른 수단에 의한 것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고형물급배관 및 가스유통관을 각각 건조해야 할 고형물의 공급원에 연결된 배관 및 감압장치에 연결된 배관과 접속한 상태에서, 회전드럼내를 감압하므로서, 건조해야 할 고형물을 회전드럼내로 공급하도록 하였으므로, 고형물을 외기에 접촉시키지 않고, 또한 일손과 접촉시키지 않는 회전드럼내로 고형물의 공급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반출할 때에, 회전드럼을 경사지게 하여, 고형물급배관의 회전부를 회전드럼의 최하부 위치까지 회전시키면서 회전드럼내로부터 고형물을 흡인하여 반출하므로, 일손을 통하지 않고,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의 거의 전부를 반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반출할 때에, 고형물급배관 및 가스유통관을 각각 고형물흡인반송장치에 연결된 배관 및 대기압의 가스공간과 접속하여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흡인하여 반출하므로,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외기와 접촉시키지 않고, 또한 일손과 접촉시키지 않고 반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드럼내로의 고형물의 공급에서 고형물의 건조 및 반출까지의 모든 공정을 외기로부터 차단된 계에서, 일손을 통하지 않고 실시시켜, 열화나 오염이 없는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으므로, 의약품의 제조 등의 정밀화학의 산업분야에 있어서, 제품의 건조를 실시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Claims (6)

  1. 미립자형상인 고형물을 건조하는 진공회전건조기에 있어서,
    회전중심으로 되는 중심축선이 수직면내에서 수평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지지된 회전드럼과,
    상기한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드럼경사각 조정장치와,
    상기한 회전드럼을 회전구동하는 드럼회전구동장치와,
    상기한 회전드럼의 축선방향의 한쪽 끝의 중심부를 기밀로 하고 또한 그 회전드럼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에서 관통하여 그 회전드럼내로 한쪽 끝이 삽입된 가스유통관과,
    상기한 회전드럼내의 가스를 흡인하여 그 회전드럼내를 감압하는 감압장치와,
    상기한 가스유통관을 상기한 감압장치에 연결된 배관과 대기압공간으로 변환접속하는 가스유로변환장치와,
    상기한 회전드럼의 회전을 허용한 상태에서 그 회전드럼의 축선방향의 다른쪽 끝으로부터 그 회전드럼내에 한쪽 끝이 삽입된 직관부와 그 직관부의 회전드럼내에 위치하는 한쪽 끝으로부터 상기한 회전드럼의 주변부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한 직관부와 연결되어 통하는 회전부를 보유하는 고형물급배관과,
    상기한 고형물급배관의 직관부를 회전시키므로서 상기한 회전부를 회전드럼내에서 회전시키는 급배관구동장치와,
    상기한 고형물급배관의 직관부를 건조해야 할 고형물의 공급원과 연결되는 배관과 건조된 고형물을 흡인하여 반송하는 고형물흡인장치에 연결되는 배관으로 변환접속하는 급배변환장치와,
    상기한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건조할 때에, 그 회전드럼을 가열하는 드럼가열장치와, 상기한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의 경사각을 변화시키는 드럼경사각조정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한 고형물급배관의 회전부가, 상기한 회전드럼의 축선방향의 다른쪽 끝의 단부벽과 그 회전드럼의 하부 사이의 구석부에 그 회전부의 선단이 근접한 상태로 되는 최종흡인위치와 그 최종흡인위치로부터 퇴피된 상태로 되는 퇴피위치 사이을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회전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형물급배관의 직관부의 다른쪽 끝 및 가스유통관의 다른쪽 끝을 각각 고형물의 공급원과 연결되는 배관 및 감압장치에 연결되는 배관에 접속한 상태에서, 동시에 회전드럼의 상기한 다른쪽 끝을 한쪽끝보다 높게하도록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을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회전드럼내를 감압하므로서 상기한 고형물의 공급원으로부터 고형물급배관을 통하여 회전드럼내로 건조해야 할 고형물을 공급하는 고형물공급동작과, 소정 회수의 고형물공급동작이 종료하여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의 양이 규정량으로 도달했을 때에 고형물급배관의 직관부의 다른쪽 끝을 폐쇄하고, 가스유통관의 다른쪽 끝을 감압장치에 접속한 상태에서 회전드럼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감압장치에 의한 회전드럼내의 감압과 드럼가열장치에 의한 회전드럼의 가열을 실시하여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처리동작과, 건조처리동작이 종료됐을 때에 고형물급배관의 직관부의 다른쪽 끝 및 상기한 가스유통관의 다른쪽 끝을 각각 고형물흡인반송장치와 연결된 배관 및 대기압의 가스공간과 접속함과 아울러 회전드럼의 상기한 다른쪽 끝을 한쪽 끝보다 낮게하도록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을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급배관의 회전부를 최종흡인위치로 향해서 회전시키면서 고형물흡인장치에 의해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흡인반출하는 흡인반출동작을 실시하도록, 상기한 드럼회전구동장치와 급배변환장치 및 가스유로변환장치와 감압장치 및 고형물흡인반송장치와 드럼경사각조정장치 및 급배관구동장치와 드럼가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회전건조기.
  3. 미립자형상인 고형물을 건조하는 진공회전건조기에 있어서,
    회전중심으로 되는 중심축선이 수직면내에서 수평방향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경사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지지된 회전드럼과,
    상기한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드럼경사각조정장치와,
    상기한 회전드럼을 회전구동하는 드럼회전구동장치와,
    상기한 회전드럼의 축선방향의 한쪽 끝의 중심부를 기밀로 또한 그 회전드럼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에서 관통하여 그 회전드럼내로 한쪽 끝이 삽입된 가스유통관과,
    상기한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이 상기한 가스유통관을 통하여 유출하는 것을 저지하는 고형물통과저지용 필터와,
    상기한 회전드럼내의 가스를 흡인하여 그 회전드럼내를 감압하는 감압장치와,
    상기한 회전드럼내로 건조해야할 고형물을 공급할 때 및 그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건조할 때에 상기한 가스유통관의 다른쪽 끝을 상기한 감압장치에 연결되는 배관과 접속하여,
    상기한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반출할 때에 상기한 가스유통관의 다른쪽 끝을 대기압공간과 접속하는 가스유로변환장치와,
    상기한 회전드럼의 회전을 허용한 상태에서 그 회전드럼의 축선방향의 다른쪽 끝으로부터 그 회전드럼내로 한쪽 끝이 삽입된 직관부와 그 직관부의 회전드럼내에 위치하는 한쪽 끝으로부터 상기한 회전드럼의 주벽부측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한 직관부와 연결되어 통하는 회전부를 보유하는 고형물급배관과,
    상기한 고형물급배관의 직관부를 회전시키므로서 상기한 회전부를 회전드럼내에서 회전시키는 급배관 구동장치와,
    상기한 회전드럼내로 건조해야할 고형물을 공급할 때에 상기한 고형물급배관의 직관부의 다른쪽 끝을 그 고형물의 공급원에 연결된 배관과 접속시키며, 상기한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건조할 때에 상기한 직관부의 다른쪽 끝을 폐쇄하고, 상기한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반출할 때에는 상기한 직관부의 다른쪽 끝을 건조된 고형물을 흡인하여 반송하는 고형물흡인반송장치에 연결된 배관과 접속하는 급배변환장치와,
    상기한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건조할 때에 그 회전드럼을 가열하는 드럼가열장치와,
    상기한 회전드럼내로 고형물을 공급할 때에 상기한 회전드럼의 다른쪽 끝을 한쪽끝보다 높게 하고, 상기한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반출할 때에 상기한 회전드럼의 한쪽 끝을 다른쪽 끝보다 낮게하도록, 상기한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의 경사각을 변화시키는 드럼경사각조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한 고형물급배관의 회전부는, 상기한 회전드럼의 다른쪽 끝의 단부벽과 그 회전드럼의 주벽부 하부사이의 구석부에 선단이 근접한 상태로 되는 최종흡인위치와 그 최종흡인위치로부터 멀어진 퇴피위치 사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한 급배관구동장치는, 상기한 회전드럼내로 고형물을 공급할 때에 상기한 고형물급배관의 회전부를 퇴피위치로 위치시켜, 상기한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반출할 때에 상기한 고형물급배관의 회전부의 선단을 고형물속으로 진입시키면서 상기한 최종흡인위치까지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회전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형물급배관의 직관부의 다른쪽 끝 및 가스유통관의 다른쪽 끝을 각각 고형물의 공급원에 연결되는 배관 및 감압장치와 연결되는 배관에 접속된 상태에서, 또한 회전드럼의 상기한 다른쪽 끝을 한쪽 끝보다도 높게하도록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을 경사시킨 상태에서 회전드럼내를 감압하므로서 상기한 고형물의 공급원으로부터 고형물급배관을 통하여 회전드럼내로 건조해야 할 고형물을 공급하는 고형물공급동작과, 소정회수의 고형물공급동작이 종료하여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의 양이 규정량에 도달했을 때에 고형물급배관의 직관부의 다른쪽 끝을 폐쇄하고, 가스유통관의 다른쪽 끝을 감압장치에 접속한 상태에서 드럼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감압장치에 의한 회전드럼내의 감압과 드럼가열장치에 의한 회전드럼의 가열을 실시하여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처리동작과, 건조처리동작이 종료했을 때에 고형물급배관의 직관부의 다른쪽 끝 및 상기한 가스유통관의 다른쪽 끝을 각각 고형물흡인반송장치와 열결된 배관 및 대기압의 가스공간에 접속함과 아울러 회전드럼의 상기한 다른쪽 끝을 한쪽 끝보다 낮게하도록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을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급배관의 회전부를 최종흡인위치로 향하여 회전시키면서 고형물흡인장치에 의하여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흡인반출하는 흡인반출동작을 실시하도록, 상기한 드럼회전구동장치와 급배변환장치 및 가스유로변환장치와 감압장치 및 고형물흡인반송장치와 드럼경사각조정장치 및 급배관구동장치와 드럼가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회전건조기.
  5. 미립자형상인 고형물을 건조하는 진공회전건조기에 있어서,
    회전중심으로 되는 중심축선이 수직면내에서 수평방향에 대해 이루는 경사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지지된 회전드럼과,
    상기한 회전드럼을 회전구동하는 드럼회전구동장치와,
    상기한 회전드럼의 축선방향의 한쪽 끝의 중심부를 기밀로 하고 또한 그 회전드럼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에서 관통하여 그 회전드럼내로 한쪽 끝이 삽입된 가스유통관과,
    상기한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이 상기한 가스유통관을 통하여 유출하는 것을 저지하는 고형물통과저지용 필터와,
    상기한 회전드럼내의 가스를 흡인하여 그 회전드럼내를 감압하는 감압장치와,
    상기한 회전드럼내로 건조해야할 고형물을 공급할 때 및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건조할 때에 상기한 가스유통관의 다른쪽 끝을 상기한 감압장치에 접속하고, 상기한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반출할 때에 상기한 가스유통관의 다른쪽 끝을 대기압공간과 접속하는 가스유로변환장치와,
    상기한 회전드럼과 중심축선을 공유하도록 설치되어 상기한 회전드럼의 축선방향의 다른쪽 끝의 중심부에 그 회전드럼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에서 결합된 급배관지지부재와,
    상기한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상기한 급배관지지부재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관통하여 한쪽 끝이 회전드럼내로 삽입되는 직관부와 그 직관부의 회전드럼내에 위치하는 한쪽 끝으로부터 상기한 회전드럼의 주벽부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한 직관부와 연결되어 통하는 회전부를 보유하는 고형물급배관과,
    상기한 고형물급배관의 직관부를 회전시키므로서 상기한 회전부를 회전드럼내에서 회전시키는 급배관구동장치와,
    상기한 회전드럼내로 건조해야 할 고형물을 공급할 때에 상기한 고형물급배관의 직관부의 다른쪽 끝을 그 고형물의 공급원과 연결된 배관에 접속하고, 상기한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건조할 때에 상기한 직관부의 다른쪽 끝을 폐쇄하고, 상기한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반출할 때에는 상기한 고형물급배관의 다른쪽 끝을 건조된 고형물을 흡인하여 반송하는 고형물흡인반송장치와 연결된 배관에 접속하는 급배변환장치와,
    상기한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건조할 때에 그 회전드럼을 가열하는 드럼가열장치와,
    상기한 회전드럼내로 고형물을 공급할 때에 상기한 회전드럼의 다른쪽 끝을 한쪽 끝보다 높게 하고, 상기한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반출할 때에 상기한 회전드럼의 다른쪽 끝을 한쪽 끝보다 낮게하도록 상기한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의 경사각을 변화시키는 드럼경사각조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한 고형물급배관의 회전부가, 상기한 회전드럼의 다른쪽 끝의 단부벽과 그 회전드럼의 하부사이의 구석부에 그 회전부의 선단이 근접한 상태로 되는 최종흡인위치와 그 최종흡인위치로부터 퇴피된 상태로 되는 퇴피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한 급배관구동장치가, 상기한 회전드럼내로 고형물을 공급할 때에 상기한 급배관의 회전부를 퇴피위치로 위치시켜, 상기한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반출할 때에 상기한 급배관의 회전부 선단을 고형물속으로 진입시키면서 상기한 최종흡인위치까지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회전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형물급배관의 직관부의 다른쪽 끝 및 가스유통관의 다른쪽 끝을 각각 고형물의 공급원과 연결되는 배관 및 감압장치에 연결되는 배관에 접속한 상태에서, 동시에 회전드럼의 상기한 다른쪽 끝을 한쪽 끝보다 높게 하도록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을 경사시킨 상태에서 회전드럼내를 감압하므로서 상기한 고형물의 공급원으로부터 고형물급배관을 통하여 회전드럼내로 건조해야 할 고형물을 공급하는 고형물공급동작과, 소정회수의 고형물공급동작이 종료하여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의 양이 규정량에 도달했을 때에 고형물급배관의 직관부의 다른쪽 끝을 폐쇄하고, 가스유통관의 다른쪽 끝을 감압장치에 접속한 상태에서 회전드럼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감압장치에 의한 회전드럼내의 감압과 드럼가열장치에 의한 회전드럼의 가열을 실시하여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처리동작과, 건조처리동작이 종료됐을 때에 고형물급배관의 직관부의 다른쪽 끝 및 상기한 가스유통관의 다른쪽 끝을 각각 고형물흡인반송장치와 연결된 배관 및 대기압의 가스공간에 접속함과 아울러, 회전드럼의 상기한 다른쪽 끝을 한쪽 끝보다 낮게하도록 회전드럼의 중심축선을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급배관의 회전부를 최종흡인위치로 향하여 회전시키면서 고형물흡인장치에 의해 회전드럼내의 고형물을 흡인반출하는 흡인반출동작을 실시하도록, 상기한 드럼회전구동장치와 급배변환장치 및 가스유로변환장치와 감압장치 및 고형물흡인반송장치 및 드럼경사각조정장치와 급배관구동장치 및 드럼가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회전건조기.
KR1019980706005A 1996-12-11 1997-12-10 진공회전건조기 KR100332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30624 1996-12-11
JP33062496A JP3347963B2 (ja) 1996-12-11 1996-12-11 真空回転乾燥機
PCT/JP1997/004543 WO1998026244A1 (fr) 1996-12-11 1997-12-10 Sechoir a vide rotati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276A true KR19990082276A (ko) 1999-11-25
KR100332032B1 KR100332032B1 (ko) 2002-10-04

Family

ID=1823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005A KR100332032B1 (ko) 1996-12-11 1997-12-10 진공회전건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52917A (ko)
EP (1) EP0884544A4 (ko)
JP (1) JP3347963B2 (ko)
KR (1) KR100332032B1 (ko)
CN (1) CN1211315A (ko)
TW (1) TW360771B (ko)
WO (1) WO19980262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200B1 (ko) * 2000-09-05 2005-07-25 주식회사 포스코 석탄 건조설비의 석탄 불출량 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6889B1 (en) 1998-03-19 2001-05-08 Sepradyne Corporation Continuous rotary vacuum retor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6105275A (en) * 1998-03-19 2000-08-22 Sepredyne Corporation Continuous rotary vacuum retor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6564482B2 (en) * 2001-04-27 2003-05-20 G. H. Hensley Industries, Incorporated Excavating apparatus with curved adapter/tooth point sliding pivotal interface area
US6754978B1 (en) 2001-10-13 2004-06-29 Micronics, L.L.C. Vacuum treatment of waste stream
US7020980B1 (en) 2001-10-13 2006-04-04 Micronics, L.L.C. Vacuum treatment of waste stream with anti-incrustation measures
US7140122B1 (en) 2001-10-13 2006-11-28 Micronics, Llc Vacuum treatment of waste stream with anti-incrustation measures
US7017277B1 (en) 2001-10-13 2006-03-28 Adams Randall G Vacuum treatment of an input stream without ruining delicate output fractions
KR100905617B1 (ko) * 2002-12-10 2009-07-02 주식회사 포스코 회전식 테일 가스 배관 장치
GB0230082D0 (en) * 2002-12-24 2003-01-29 Perry Ophneil H Oven
DE102005023258A1 (de) * 2004-11-16 2006-11-23 Fan Separator Gmbh Drehtrommel zur aeroben Erwärmung rieselfähiger Feststoffe
US7958650B2 (en) * 2006-01-23 2011-06-14 Turatti S.R.L. Apparatus for drying foodstuffs
KR100867782B1 (ko) 2007-01-12 2008-11-10 김봉섭 회전형 교반 건조기
DE202007001123U1 (de) * 2007-01-25 2007-06-06 KRÜGER, Günter Anlage zum Trocknen von organischen Massen
UA86702C2 (ru) * 2007-09-11 2009-05-12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Парк "Институт Монокристаллов" Сушилка для сыпучих диэлектрических материалов
ITVE20070080A1 (it) * 2007-10-25 2009-04-26 Piovan Spa Deumidificatore ad infrarossi
RU2395766C1 (ru) * 2009-05-25 2010-07-27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Твин Трейдинг Компани" Способ сушки материалов растительного, животн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рыбы и морепродукт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3402923A (zh) * 2011-01-31 2013-11-20 迪韦尔西菲德技术服务公司 硼回收处理方法
JP5694015B2 (ja) * 2011-03-14 2015-04-01 株式会社 アメロイド日本サービス社 省スペース乾燥装置
CN102735025A (zh) * 2011-04-12 2012-10-17 陆宏卿 愈合海绵干燥工艺
DE102014204024B3 (de) * 2014-03-05 2015-03-19 Hauni Maschinenbau Ag Mediendurchführungseinrichtung für eine Trocknungstrommel der Tabak verarbeitenden Industrie
US9689611B2 (en) 2014-08-20 2017-06-27 Gencor Industries, Inc. Locking cam stop
US9689441B2 (en) 2015-04-10 2017-06-27 Gencor Industries, Inc. Horizontal cam stop
CN105300063B (zh) * 2015-11-17 2018-03-06 上海东富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喷雾冻干设备用加热干燥装置及方法
CN105674723B (zh) * 2016-02-24 2017-12-26 湛江嘉力手套制品有限公司 一种柔性物品转桶烘干机
IT201600078894A1 (it) * 2016-07-27 2018-01-27 Walter Tosto S P A Apparato per essiccare inerti, come sabbia e simili, con applicazione specifica per flussi per saldature effettuate con processo arco sommerso e/o elettroscoria.
CN106196941A (zh) * 2016-08-31 2016-12-07 天津市施易得肥料有限公司 一种复合肥造粒烘干设备
CN107388035B (zh) * 2017-08-15 2023-07-07 嵊州市科灵机械有限公司 大型滚筒的摆杆式输送管
KR102504657B1 (ko) * 2019-11-18 2023-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압 원심 탈수기
CN112772820B (zh) * 2021-01-28 2022-03-11 江苏海洋大学 一种工业自动化滚筒干燥设备
CN114111254B (zh) * 2021-11-12 2022-09-02 仲恺农业工程学院 一种用于氧化锌制备的干燥装置
CN115900265B (zh) * 2022-11-16 2023-11-21 湖南越洋药业有限公司 一种药品生产用多滚筒负压干燥设备
CN116618667B (zh) * 2023-07-24 2023-09-29 河南工学院 一种钨钴合金粉末精处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4724C (de) * 1925-06-09 Hoechst Ag Entleerungsvorrichtung an Trockenoefen, Roestoefen oder aehnlichen sich drehenden trommelartigen Gefaessen
DE1246590B (de) * 1962-08-03 1967-08-03 Haas Vakuum Technik G M B H Vakuum-Taumeltrockner
DE1890585U (de) * 1962-10-23 1964-04-02 Wibau Gmbh Vorrichtung zum kurzfristigen entleeren einer vorzugsweise im bituminoesen strassenbau verwendeten trockentrommel.
AU4770568A (en) * 1968-12-12 1970-06-18 Alfred Thygesen Neilsen A drying apparatus, particularly for green crops
DE2615767C2 (de) * 1976-04-10 1978-02-16 Th. Goldschmidt Ag, 4300 Essen Vakuumdrehrohrofen
DE3446424A1 (de) * 1984-12-20 1986-06-26 Glatt GmbH, 7851 Binzen Waermestrahlungs-trockner
US4864942A (en) * 1988-01-14 1989-09-12 Chemical Waste Management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organic contaminants from contaminated inert materials
JPH0794027B2 (ja) * 1990-10-30 1995-10-11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回転バレル装置
NL9101802A (nl) * 1991-10-28 1993-05-17 Recycling Nederland B 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wijderen van een of meer verontreinigingen uit een bulkmateriaal.
JPH0642867A (ja) * 1992-07-23 1994-02-18 Nippon Kansouki Kk タンブラー型回転乾燥機
JPH0794027A (ja) * 1993-09-24 1995-04-07 Fujikura Ltd 電線・電気ケーブル
KR0183630B1 (ko) * 1995-05-15 1999-03-20 윤종용 형광체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200B1 (ko) * 2000-09-05 2005-07-25 주식회사 포스코 석탄 건조설비의 석탄 불출량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26244A1 (fr) 1998-06-18
EP0884544A4 (en) 2000-09-06
US6052917A (en) 2000-04-25
EP0884544A1 (en) 1998-12-16
CN1211315A (zh) 1999-03-17
JPH10170150A (ja) 1998-06-26
JP3347963B2 (ja) 2002-11-20
TW360771B (en) 1999-06-11
KR100332032B1 (ko) 200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2032B1 (ko) 진공회전건조기
US5163895A (en) Centrifuge-drier
KR100267006B1 (ko) 원심여과방법 및 장치
US624190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watering sludge
US5460717A (en) Particle separation and drying apparatus
US20040108281A1 (en) Invertible filter centrifuge
US3437209A (en) Continuous centrifugal filter construction
CN112371069B (zh) 一种连续式反应、结晶、过滤、洗涤、干燥系统
JP3347962B2 (ja) ろ過乾燥装置
JPH0720558B2 (ja) 懸濁液をろ過するろ過方法及び遠心ろ過機
CN101380611A (zh) 过滤脱水—干燥一体离心机
RU2182852C2 (ru) Центрифуга с выворачиваемым фильтром
US4303522A (en) Continuous separation system
KR20020066369A (ko) 가압여과장치 및 감압챔버와 재료이송수단을 이용한 방법
JP2000051622A (ja) ろ過・乾燥装置
KR100437552B1 (ko) 매체를고체함유성분과액체성분으로분리하기위한방법및장치
JPH0342058A (ja) 遠心分離機
JP3347018B2 (ja) 遠心ろ過方法及び装置
RU2064810C1 (ru) Барабанная фильтр-сушилка
JP3445066B2 (ja) 真空濾過方法及び濾過装置
JP2001252593A (ja) 遠心ろ過装置
JPH01151959A (ja) 遠心分離機
JP2001232115A (ja) 除塵脱水装置
HU209895B (en) Apparatus formed with multi-functional container-carriage of intermittent running and operation unit for chemical-industrial operations
CN105043023A (zh) 简易离心干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