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0398A - 소화전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화전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0398A
KR19990080398A KR1019980013646A KR19980013646A KR19990080398A KR 19990080398 A KR19990080398 A KR 19990080398A KR 1019980013646 A KR1019980013646 A KR 1019980013646A KR 19980013646 A KR19980013646 A KR 19980013646A KR 19990080398 A KR19990080398 A KR 19990080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hydrant
plane
vertical
frame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6804B1 (ko
Inventor
변기수
Original Assignee
변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기수 filed Critical 변기수
Priority to KR1019980013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6804B1/ko
Publication of KR19990080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52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boxes, cigarette ca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4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6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in press brakes or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Pliers with forming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소화전틀의 직각절곡면에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소화전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소화전틀은 도어받침을 위해 수평상으로 형성된 받침연부와, 소화전틀 전방으로 향하는 수평면과, 상기 받침연부와 수평면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수직면과, 상기 수평면 타단에 연결된 제 2 수직면과, 상기 제 2 수직면과 수직되게 연결되고 내부공간을 마련키 위한 배면부로 이루어지는 각 직각 절곡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절곡부의 날카로움을 제거하여 시각적으로도 미려한 형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소화전틀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소화전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소화전틀의 제조공정에 프레스가공 공정에 따라 소화전틀의 수직면과 수평면이 만나는 전면 경계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소화전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소화전의 형상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따르면 소화전틀의 평판상의 배면부(7)와, 정면개구부와 좌우양측의 장측면부(1)와, 상, 하단측면부(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소화전틀에는 정면 개구부 내측에 소화전용 도어가 위치하는 4개의 받침연부를 구비하게 된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종래의 소화전틀의 내부형상을 자세히 나타낸 상세도로서 대략 강판에 수개의 직각 절곡부(10a,10b,10c,10d)를 가공 형성하므로써, 받침연부(3), 제 1 수직면(4), 수평면(5), 제 2 수직면(6) 및 배면부(7)를 갖추게 된다.
첨부 도면중 도 3은 상기 소화전틀이 가공되기 전 단계의 전개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중심에 배면부가 위치하고 사방으로 각면을 형성하기 위한 절곡선을 형성한다.
점선은 V컷팅 작업후 내측방향으로 밴딩시키고, 이점쇄선은 외측방향으로 밴딩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종래의 소화전틀의 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정두께의 강판을 소화전의 배면부(7)와 4개의 틀의 전개형상에 맞게 판재를, 사각으로 절단기를 이용해서 절단하는 절단가공단계와, 각모서리 부분을 제거하는 데는 형상과 똑같은 금형으로 프레스기계에서 작업하는 프레스 작업단계와, 상기 각틀의 전면내측에서 수평상으로 소폭연장되는 받침연부(3)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연부(3)와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제 1 수직면(4)과의 사이에 제 4 절곡부(10d)를 형성하는 받침연부 가공단계와, 상기 받침연부(3)와 수직된 제 1수직면(4)을 형성하기 위한 제 1절곡부(10a) 가공단계(10a)와, 틀체 전방을 향한 수평면(5)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절곡부(10b) 가공단계와, 상기 제 2 절곡부(10b)에서 수직형성된 제 2 수직면(6)과 배면부(7)를 형성하기 위한 제 3 절곡부(10c)가공단계와, 각 면간의 연접부를 용접시켜 완성된 소화전틀을 형성하는 용접단계로 구성된다.
도 4a와 도 4b는 상기 단계중에 제 1 내지 제 4 절곡부(10a,10b,10c,10d)가공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접히는 부분에 도 4a와 같이 V홈(12)을 가공하기 위해 V홈커팅 작업을 하게된다. 상기 V홈(12)의 깊이는 강판(50)의 두께의 약 절반 이상으로 설정하는 게 이상적이다. 만일 V홈(12)의 깊이를 작게 설정하면 밴딩작업후에 도 4b와 같은 깨끗한 접힘부가 형성되지 못하고 우그러지게 된다. 상기 제 2 단계는 V홈(12)가공을 하는데 가공장비와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대량생산을 하는데 있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소화전틀의 작업공정시 V홈가공공정을 없애고 작업공정의 단순화와 대량생산에 유리한 소화전틀 가공방법과 V홈가공시 판재의 두께에 홈을 파서 절곡하므로, 견고하지 못하고 또한 수명도 짧아지는 것과 같은 단점들을 보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전틀의 각 면의 직각절곡부에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종래의 직각절곡부에서 나타나는 날카로움을 없애어 시공 완성된 건물색상에 어울리는 보다 고급화하고 부드러우며 미려함이 있는 소화전틀을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소화전틀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소화전의 외곽틀을 나타내는 상세도
도 3은 종래의 소화전틀의 전개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절곡부를 형성하기 위해 V홈 가공한 강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V홈을 중심으로 밴딩시킨 강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소화전 틀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소화전의 외곽틀을 나타내는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소화전틀의 전개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한 프레스 가공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장측면부 2:단측면부
3:받침연부 4:제 1 수직면
5:수평면 6:제 2 수직면
7:배면부 10a,10b,10c,10d:제 1내지 제 4 절곡부
11a,11b,11c:제 1내지 제 3 경사면 12:V홈
30:금형 50:재료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의 틀 제조방법은 소화전틀 제조방법에 있어서, 일정두께의 둥글게 감은 강판을 스리팅기계에서 소폭으로 스리팅작업(길이 방향으로 코일을 풀면서 필요한 치수를 여러가닥 전단작업한 후 다시 감아 작은 코일을 만드는 것)한 후 프레스에서 소화전틀의 도 5에서장측면부(1)와 단측면부(2) 전개형상의 폭이나 길이에 맞게 금형으로 프레스기계에서 타공하는 단계와, 상기 각 틀의 전면내측에서 수평상으로 소폭연장되는 받침연부와 직각방향으로 밴딩된 제 1 수직면과 직각밴딩되고 틀체 전방을 향한 수평면을 형성하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연결시키는 제 2 경사면과, 상기 수평면에서 직각밴딩되는 제 2 수직면을 형성하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연결시키는 제 3 경사면이 모두 한 공정에 나오도록 특수한 재질의 금형에 대형 프레스로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수직면에서 직각방향으로 배면부를 형성하기 위해 직각 절곡하는 배면부 가공단계 및 각 틀간의 연접부를 용접시켜 완성된 소화전틀을 형성하는 용접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소화전틀은 전면내측으로 도어 받침을 위하여 수평상으로 연장된 소정의 받침연부와, 소화전틀 전방으로 향하는 수평면과, 상기 받침연부와 수평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면과, 상기 복수의 수직면중에서 소화전 외측으로 형성된 수직면과 직각을 이루는 배면부로 구성되는 소화전틀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과 복수의 수직면의 직각절곡연결부마다 소폭의 경사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소화전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와 마찬가지로 소화전틀은 크게 보아 장측면부(1), 단측면부(2) 및 배면부(7)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소화전틀에서 어느 한 외곽틀을 제거시켜 인접한 틀의 내부 형상을 자세히 나타낸 상세도이다.
상기 외곽틀은 열고 닫기 위한 도어를 받치기 위한 받침연부(3)와, 상기 받침연부(3)와 직각이고 도어를 수용키 위한 두께만큼 높이를 가진 제 1 수직면(4)과 소화전틀의 전방으로 향한 수평면(5)과, 상기 수평면(5)과 직각을 이루는 제 2 수직면(6)과, 상기 수평면(5)과 평행을 이루며 제 2 수직면의 일단과 직각을 이루는 배면부(7)로 구성된다.
받침연부(3), 제 1수직면(4), 수평면(5)과 제 2 수직면(6)의 끝단은 각각 제 1 내지 제 3 경사면(11a,11b,11c)과 연설되어 일체를 형성한다.
또한 제 2 수직면(6)과 배면부(7)는 직각절곡된 절곡부(10)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소화전틀의 전개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점선은 V커팅작업후 구부리는 곳을 의미하고, 가는 실선은 금형에 의해 제 1내지 제 3 경사면(11a,11b,11c)이 가공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따라서, 종래에는 V커팅 작업후 구부리는 작업을 최소한 3번해야 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단 1회로써 작업이 완료된다. 즉 금형으로 프레스 가공후에 1회의 V커팅 작업과 구부리는 작업만 하면 소화전틀이 완성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소화전틀의 제작공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소화전틀의 경사면을 가공하기 위해 금형(30)을 이용한 프레스공법이 적용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형(30)은 소화전틀의 형상과 일치되게끔 설계되어 있다. 상기 금형(30)으로 강판(50)을 프레스 가공하게 되면 금형상의 제 1 내지 제 3 경사가공부(110a,110b,110c)에 의해 받침연부(3), 제 1 경사면(11a), 제 1 수직면(4), 제 2 경사면(11b), 수평면(5), 제 3 경사면(11c) 및 제 2 수직면(6)이 형성되어 프레스공정만으로 대부분의 외곽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프레스 공정후에 상기 제 2 수직면(6)과 배면부(7)의 경계는 V커팅작업후 구부려 전체 소화전틀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 프레스 공정은 높은 압력으로 강판(50)을 금형(30)에 의해 소성변형시키는 가공법이며, 4차례 압력을 가하게 되면 틀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금형의 단면형상은 금형의 저면과 측면의 연결부가 정직각을 이룰 경우에는 강판(50)의 접힘부가 불규칙한 형상이 되기 쉽다. 따라서 금형의 저면부와 측면부는 정직각을 이루되 연결부는 경사진 단을 구비함으로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V홈가공과 상기 V홈을 중심으로 구부려 절곡부를 형성하는 과정이 금형을 이용한 프레스공정으로 대체됨으로써, 제작공정을 통합하고 단순화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종래에는 V커팅작업과 밴딩작업이 많아 작업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소화전틀은 대부분의 틀의 형상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이루어지면서 상기 V커팅 공정을 줄임으로써 작업시간의 단축과 공정의 효율성을 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프레스공정에 따라 소화전틀의 전면부에 직각절곡부에 경사면을 형성하므로써, 금속면이 갖는 날카로움을 개선하였고, 시각적으로 미려한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5)

  1. 소화전틀 제조방법에 있어서,
    일정두께의 둥글게 감은 강판을 필요한 치수로 스리팅하고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판재를 소화전틀의 크기, 치수에 맞게 절단선 및 절곡선과 똑같게 전개형상의 금형으로 펀칭작업하는 가공단계;
    상기 소화전 틀의 상기 표시된 받침연부를 직각방향으로 밴딩예정인 제 1 수직면과 직각으로 밴딩하는 받침연부 가공단계;
    상기 밴딩된 제 1 수직면과 상기 표시된 수평면을 직각 밴딩함과 동시에 소정각도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 2 경사면 가공단계;
    상기 수평면에서 상기 표시된 제 2 수직면을 직각 밴딩하면서 제 2 수직면과의 사이에 소정각도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 3 경사면 가공단계;
    상기 제 2 수직면에서 상기 표시된 절곡라인을 따라 V커팅 작업후 직각절곡하는 배면부 가공단계;및
    상기 가공된 소화전 틀의 각 단부를 용접시켜 소화전틀을 형성하는 용접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화전틀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연부 가공단계의 받침연부와 제 1수직면 사이에 제 1경사면 가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틀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내지 제 3 경사면 가공단계가 서로 대응하는 상, 하부 금형의 경사면을 통하여 프레싱 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틀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수평면에 헤어라인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틀 제조방법.
  5. 전면내측으로 도어를 받치기 위하여 수평상으로 연장된 소정의 받침연부와, 소화전틀 전방으로 향하는 수평면과, 상기 받침연부와 수평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면과, 상기 복수의 수직면중에서 소화전 외측으로 형성된 수직면과 직각을 이루는 배면부로 구성되는 소화전틀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 및 각 수직면의 직각절곡부마다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틀.
KR1019980013646A 1998-04-16 1998-04-16 소화전틀 제조방법 KR100266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646A KR100266804B1 (ko) 1998-04-16 1998-04-16 소화전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646A KR100266804B1 (ko) 1998-04-16 1998-04-16 소화전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398A true KR19990080398A (ko) 1999-11-05
KR100266804B1 KR100266804B1 (ko) 2000-09-15

Family

ID=19536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646A KR100266804B1 (ko) 1998-04-16 1998-04-16 소화전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68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158B1 (ko) * 1999-06-26 2002-05-18 이 상 종 토목용 덮개의 제조방법
KR100849061B1 (ko) * 2006-11-23 2008-07-30 (주)넴스프로브 3차원 프로브빔 제조방법
CN116511930A (zh) * 2023-06-29 2023-08-01 无锡维凯科技有限公司 基于锂电池外壳制造的折弯成型装置及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2093B (zh) * 2013-11-22 2016-04-13 四川聚能核技术工程有限公司 手套箱箱体及其加工方法
CN108406236B (zh) * 2018-03-21 2019-08-20 华璟智能装备(湖州)有限公司 板金壳体圆弧楞边交汇圆球顶点的制做方法
KR200494371Y1 (ko) 2019-08-16 2021-09-30 (주)현지산업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KR102413962B1 (ko) 2021-11-19 2022-06-28 (주)현지산업 설비수납함의 도어패널 유닛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158B1 (ko) * 1999-06-26 2002-05-18 이 상 종 토목용 덮개의 제조방법
KR100849061B1 (ko) * 2006-11-23 2008-07-30 (주)넴스프로브 3차원 프로브빔 제조방법
CN116511930A (zh) * 2023-06-29 2023-08-01 无锡维凯科技有限公司 基于锂电池外壳制造的折弯成型装置及其方法
CN116511930B (zh) * 2023-06-29 2023-09-22 无锡维凯科技有限公司 基于锂电池外壳制造的折弯成型装置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6804B1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7825A (en) Method of forming part in progressive die system
JPS6134003B2 (ko)
KR100266804B1 (ko) 소화전틀 제조방법
US7021110B2 (en) Apparatus for preparing U-shaped spacers for insulating units
KR100407587B1 (ko) 건축용 금속판넬의 코너 가공방법
FI78013B (fi) Saog och saett att framstaella densamma.
JP4204601B2 (ja) プレス機及びプレス方法
JP3413140B2 (ja) プレス機による追い抜き加工方法
JP2006340938A (ja) 電気かみそり器の内刃及びその製法
US6125520A (en) Shake and break process for sheet metal
KR19980064851A (ko) 복합문틀재 및 그 제조방법
JPH0732059A (ja) プレス加工方法
JP2723826B2 (ja) 中空角パイプ屈曲加工方法及びその加工金型
KR100353572B1 (ko) 천정등용 갓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H09253756A (ja) 中空角パイプ部材のフレーム筐体工法
JPH0444264Y2 (ko)
JP2820907B2 (ja) 中空角パイプ屈曲加工方法
US2812526A (en) Process of manufacturing sheet metal nails
JP2885593B2 (ja) Icリードフレームのタイバーカット金型
JP3271298B2 (ja) 打抜き加工方法
JPH08267147A (ja) 金属板のプレス加工装置
EP1017517B1 (en) A method for punching and a punch die
JP2000288638A (ja) 金属板材の歪み防止方法
JP4287562B2 (ja) フロア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88564A (ja) ブランク材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