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8291A - 인쇄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정보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인쇄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정보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8291A
KR19990078291A KR1019990010442A KR19990010442A KR19990078291A KR 19990078291 A KR19990078291 A KR 19990078291A KR 1019990010442 A KR1019990010442 A KR 1019990010442A KR 19990010442 A KR19990010442 A KR 19990010442A KR 19990078291 A KR19990078291 A KR 19990078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printing apparatus
offline
printing
pri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8882B1 (ko
Inventor
푸카노카주코
키노시타요시아키
Original Assignee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카와 히데아키
Publication of KR19990078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22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 G06K2215/0002Handling the output data
    • G06K2215/0005Accepting output data; Preparing data for the controlling system
    • G06K2215/0011Accepting output data; Preparing data for the controlling syste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mmand or data flow, e.g. Page Description Language, configuration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22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 G06K2215/0082Architecture adapted for a particular function
    • G06K2215/0085Error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오프라인 상태로부터의 복귀시의 처리를 선택할 수 있는 인쇄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정보기록매체를 제공한다.
호스트로부터의 커맨드에 응하여,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시에 어떠한 처리를 할 것인지를 그 오프라인의 원인별로 설정한다.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할 때에는, 당해 설정된 복귀처리를 실행한다.
일련의 종합이 있는 데이터열의 구분을 나타내는 마커를 설정함으로써,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시에, 당해 데이터열의 선두로부터 인쇄를 재개할 수 있다. 또한, 마커를 설정할 때의 인쇄장치의 각종 정보를 기억해 둠으로써, 오프라인이 되기 전의 상태로 복구할 수 있다. 또, 마커는 1개 또는 여러개 설정할 수 있으며, 다수 설정한 경우에는 목적하는 마커로부터 인쇄를 재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정보기록매체{Print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it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인쇄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정보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프라인 상태로부터 복귀하였을 때의 처리를 선택할 수 있는 인쇄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정보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점포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레지스터나 전자탁상 계산기에는, 인쇄장치를 갖추고 있는 것이 많이 보인다. 이러한 인쇄장치에서는, 리시트나 영수증, 납품서, 대여품의 메모, 그 외 일정한 종합을 갖는 정보를 1장 또는 여러장으로 이루어지는 용지에 인쇄한다.
용지에 미리 점선구멍이 나 있고, 이 점선구멍으로 구분된 단위에 하나의 정보의 종합을 인쇄하는 경우도 있다면, 용지가 로울지이고, 하나의 정보의 종합의 인쇄가 종료한 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용지를 절단하는 경우도 있다. 이하, 이러한 하나의 정보의 종합이 인쇄되는 용지 단위를 「리시트」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와 같이, 리시트의 길이는 전부 동일한 경우도 있다면 다른 경우도 있다.
도 1은 이러한 프린터(101) 구성의 개요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장치인 호스트(102)로부터 데이터(인쇄 데이터 또는 제어 커맨드)가 이송되고, 인터페이스(103)가 이것을 수신한다. 수신된 데이터는 일시적으로 수신 버퍼(104)에 격납된다. 수신 버퍼(104)는 링 버퍼로서 실현되는 경우가 많다.
호스트(102)는, 레지스터내나 전자탁상 계산기내에 구비되어 프린터와 일체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프린터와는 독립적으로 구성된 범용 컴퓨터나 전용 컴퓨터인 경우도 있다. 즉,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기기라도 호스트(102)로 충분하다.
호스트(102)가 컴퓨터에 실현되어 있는 경우에는, 호스트(102)측에서 프린터(101)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동작하고 있다. 이 호스트측 제어 프로그램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CD-ROM 등의 정보기록매체에 기록해 두면, 프로그램의 갱신이나 배포면에서 편리하다.
한편, 프린터(101)가 구비하는 CPU(105)는, 수신 버퍼로부터 차례로 데이터를 판독한다. 판독한 데이터가 인쇄해야 할 문자를 지정하는 인쇄 데이터인 경우에는, 폰트 ROM(106)으로부터 그 문자의 폰트정보를 꺼내어, 프린트 버퍼(107)에 전개한다.
판독한 데이터가 각종 제어 커맨드인 경우에는, 그 커맨드에 근거하여 프린터(101)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 커맨드가 각종 정의정보를 지정하는 경우에는, 프린터(101)내의 기억장치(108)에 기억되는 각종 정의정보를 갱신한다. 프린트 버퍼(107)로의 폰트정보를 전개할 때, 이 정의정보도 참조된다. 정의정보로서는, 「확대인쇄, 축소인쇄의 설정」,「강조인쇄, 반전인쇄의 설정」,「밑줄인쇄의 설정」, 「개행량의 설정」, 「외자폰트 정의의 설정」등이 있다.
프린터 버퍼(107)가 가득차게 되든가, 인쇄 개행 등의 커맨드가 지정된 경우에, CPU(105)는, 프린트 버퍼(107)의 내용에 따라서 인쇄 헤드(109) 및 종이 이송 기구(110)에 지시를 내어, 용지에 프린트 버퍼(107)의 내용을 인쇄한다. 1행의 인쇄가 종료하면 종이를 이송하며, 프린트 버퍼(107)의 내용을 클리어한다.
이러한 프린터의 동작은, CPU(105)의 제어에 의해서 수행되지만, 이 제어를 실현하는 프린터측의 제어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ROM(111) 등의 기억매체에 기록되어 있고, 프린터(101)의 전원을 투입하면 CPU(105)는 프로그램 ROM(111)으로부터 프로그램을 로드하여 동작을 개시한다.
또, 프린터측의 제어 프로그램 자체가 갱신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ROM(111) 대신에 SRAM이나 플래시 ROM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프린터측의 제어 프로그램은, 호스트측의 제어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프린터(101)와는 독립하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CD-ROM 등의 정보기록매체에 기록해 둘 수 있다.
그런데, 인쇄장치에서는, 여러가지의 사정이 원인으로, 처리가 도중에서 중단되는 경우가 있다. 이 중단을 「오프라인이 발생하였다」라고 하며, 중단된 후에 처리를 재개하는 것을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하였다」라고 한다.
오프라인이 발생하는 요인의 예로는 이하와 같은 것이 있다.
(a) 용지가 없어진 경우. 점구멍이 들어간 용지나 롤지를 쓰면 다수의 리시트를 인쇄할 수 있지만, 이것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용지가 떨어지게 되면 용지를 보급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용지를 보급하면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할 수 있다.
(b) 인쇄되는 용지 등이 도중에서 종이 막힘이 발생한 경우, 용지를 정상으로 풀어낼 수 없거나, 용지 막힘으로 인해 꺾여진 용지에 방해되어 헤드(또는 헤드가 탑재된 캐리지)가 이동할 수 없는 것 등으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종이 막힘을 제거하면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할 수 있다.
(c) 인쇄를 장시간 계속하였기 때문에 헤드가 지나치게 고온으로 된 경우. 헤드가 고온이 되면, 헤드의 열화를 초래하여, 인쇄 품질이 떨어진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에는, 헤드의 온도가 내려갈 때까지 오프라인 상태로서 인쇄를 중단한다.
(d) 조작자가 직접 프린터를 조작하여 오프라인 상태로 한 경우. 예를 들면, 프린터의 전면 패널 등에 설치된 오프라인 스위치를 조작한 경우나, 프린터의 커버를 연 경우 등이다.
이러한 오프라인의 발생은, 반드시 리시트와 리시트의 구획에서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어떤 정보의 종합을 인쇄하고 있는 도중에 프린터가 오프라인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종래에는 프린터가 오프라인 상태로부터 복귀하였을 때에는, 수신 버퍼나 프린터 버퍼에 남겨진 데이터를 계속 처리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특히 종이 막힘이다 종이 부족이 발생한 경우 등에는, 리시트의 전반부분은 꺾여져서 이미 사용할 수 없게 된 용지나 앞의 로울지에 인쇄되어 있는 한편, 리시트의 후반부분은 새롭게 보급된 용지에 인쇄되게 된다.
결국,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하였을 때, 리시트의 데이터가 도중에서 인쇄되기 때문에 이미 이용할 수 없는 리시트의 단편이 생기게 된다. 이로서는, 용지가 낭비하게 될뿐만 아니라, 인쇄처리의 능률도 저하되어 버린다.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하였을 때에 프린터 전원을 재투입하거나, 이에 대응하는 리세트 처리를 하면, 수신 버퍼 및 프린트 버퍼가 모두 초기화되고, 데이터는 클리어되기 때문에, 무의미한 리시트의 단편이 인쇄되는 일은 없어진다. 그러나, 프린터내의 기억장치에 기억된 각종 정의정보도 초기화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하였을 때, 지정한 데이터로부터 인쇄를 재개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있었다.
또한, 프린터의 구조, 예를 들어 용지수납 등의 구조에 의해서, 인자 계속 또는 데이터 클리어의 어느 하나가 적합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오프라인 상태로부터 복귀하였을 때, 인쇄장치내에 기억된 각종 정의정보를 유지한 채로, 필요 없는 리시트를 인쇄하지 않을 수 있는 인쇄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정보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발명이 하기의 발명이다.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인쇄 데이터 또는 커맨드에 근거하여 인쇄하는 인쇄장치에 있어서, 인쇄 데이터 또는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에 의해서 수신된 인쇄 데이터 또는 커맨드를 격납하는 버퍼와, 버퍼에 격납된 인쇄 데이터 또는 커맨드에 근거하여 인쇄하는 인쇄 유닛과,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제1 커맨드에 근거하여, 인쇄장치의 오프라인 요인마다 당해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할 때의 동작을 미리 설정하는 설정부와, 인쇄장치가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할 때에 설정부에 의해서 설정된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을 수행시키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시의 처리를 미리 선택하여 설정해 둘 수 있다.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오프라인 발생시에 인쇄를 하고 있는 영역의 맨처음부터 인쇄를 재개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이로써,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시에 인쇄처리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중이었던 행의 선두로부터 인쇄를 재개할 수 있다. 이른바 페이지 모드 프린터의 경우에는, 인쇄중이었던 인쇄영역의 맨처음부터 인쇄를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오프라인 발생시에 행하고 있던 커맨드 처리를 계속 처리하는 조작을 포함한다.
이로써, 처리중이었던 커맨드 처리를 계속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버퍼에 격납된 인쇄 데이터 및 커맨드를 클리어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이로써,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시에 아직 인쇄되지 않은 인쇄 데이터를 무시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오프라인 발생시에 행하고 있던 커맨드 처리를 중지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이로써,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시에 아직 처리되어 있지 않은 커맨드를 무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장치는,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제2 커맨드에 근거하여, 버퍼에 격납된 인쇄 데이터 또는 커맨드를 특정하는 정보를 격납하는 특정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버퍼에 격납되고, 특정부에 격납된 정보에 의해서 특정되는 인쇄 데이터 또는 커맨드로부터 인쇄하는 조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시에 인쇄 데이터열의 미리 정한 장소로 되돌아와서 인쇄를 재개할 수 있다.
또한 특정부는 또한 인쇄장치의 설정정보를 격납하고,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또한 특정부에 의해서 격납된 설정정보를 인쇄장치에 재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인쇄를 재개할 때에, 그 시점에서의 인쇄장치의 설정을 복구시킬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의 실행결과를 호스트 장치로 통지하는 통지부를 또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재개처리에 실패한 경우에 인쇄 데이터의 재송신을 재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쇄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도 파악하는 것이 적당하고, 이 경우에도 같은 작용과 효과를 보이는 것이다.
또한, 인쇄장치의 제어방법은, 제어부에서 실행 가능한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인터넷 등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사용자측의 퍼스널 컴퓨터나 인쇄장치의 기록매체에 기억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장치를 접속하여, 당해 인쇄장치에 인쇄 데이터 또는 커맨드를 송신하여 제어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인쇄장치가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할 때에 당해 인쇄장치가 실행해야 할 동작을 그 오프라인 요인마다 설정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인쇄장치로부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의 실행결과의 통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에 의해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의 실행이 불가능하다는 취지의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인쇄 데이터 또는 커맨드를 재송신하는 재송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인쇄장치가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시의 재개처리에 실패한 경우에는, 호스트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재송신함으로써, 목적하는 인쇄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도 파악하는 것이 적당하고, 이 경우에 있어서도 같은 작용과 효과를 보이는 것이다.
또한,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제어부에서 실행 가능한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공급할 수 있고,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통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인터넷 등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사용자측의 퍼스널 컴퓨터나 정보처리장치의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인쇄장치 구성의 개요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데이터 수신처리의 기본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데이터 해석·전개·인쇄처리의 기본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오프라인 발생·복귀시 처리의 기본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커 인쇄처리의 기본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01: 프린터 102: 호스트
103: 인터페이스 104: 수신 버퍼
105: CPU 106: 폰트 ROM
107: 프린터 버퍼 108: 기억장치
109: 인쇄헤드 110: 종이 이송 기구
111: 프로그램 ROM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 이하에 제시하는 실시형태는 설명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어느 한 요소 또는 모든 요소를 균등한 것으로 치환할 수 있고, 이것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인쇄장치의 실시형태의 기본구성은, 도 1에 도시되는 종래의 인쇄장치의 기본구성과 같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인쇄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새로운 커맨드를 제공하고 있고, 당해 커맨드에 대응하여, CPU(105)의 동작이 추가되며, 기억장치(108)에 기억되는 정보가 종래보다도 많아지는 점에서 다르다.
이 새로운 커맨드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인쇄장치는,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을 당해 오프라인의 발생 요인별로 미리 설정하여, 선택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는 수신부로서 기능하고, 수신 버퍼 또는 프린트 버퍼는 버퍼로서 기능하며, 인쇄 헤드 및 종이 이송 기구는 함께 작동하여 인쇄 유닛으로서 기능하고, CPU는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CPU 및 기억장치는 함께 작동하여 설정부로서, 또한 특정부로서 기능한다.
이 커맨드로서, 이하의 3개의 커맨드를 개시한다.
(a) 오프라인 상태로부터의 복귀시의 처리를 설정하는 커맨드.
「ESC A n m」, 16진 표기로서는「1Bh 41h n m」.
단, n은 1 내지 3까지의 정수, m은 1 내지 4까지의 정수이다.
(b) 마커를 설정하는 커맨드.
「ESCB」, 16진 표기로서는 「1Bh 42h」.
(c) 프린터를 초기화하는 커맨드.
「ESCC」, 16진 표기로서는「1Bh 43h」.
이들 커맨드의 구성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 마커 설정 커맨드 및 프린터 초기화 커맨드는 부가적인 기능으로서, 이들을 구비하지 않는 실시형태도 생각된다.
이하, 이들 커맨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커맨드 「ESCA」는, 오프라인 상태로부터의 복귀시의 처리를 미리 설정하는 것이다. 파라미터(n)는, 오프라인의 원인을 지정한다.
n=1은, 어떠한 에러로 인한 오프라인.
n=2는, 로울지 등의 연속지의 종이 떨어짐으로 인한 오프라인.
n=3은, 조작자의 조작으로 인한 오프라인.
또한 파라미터(m)는,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하였을 때에 행하는 처리를 지정한다.
m=1은, 계속 인쇄를 지정한다. 오프라인 발생시에 인쇄하는 행의 선두로부터 인쇄를 개시한다. 이른바 페이지 모드의 경우는, 인쇄중이었던 인자영역의 맨처음부터 인쇄를 개시한다. 또한 처리중인 커맨드가 있던 경우, 그 커맨드 처리를 계속한다.
m=2는, 없앰(抹消)을 지정한다. 수신 버퍼 및 프린트 버퍼에 기억된 데이터를 모두 클리어한 후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한다. 또한, 데이터 클리어하였다는 취지를 호스트에 통지한다. 단, 프린터내에 기억된 정의정보(각종 커맨드에 의한 설정치)는 그대로 유지한다. 또한 처리중의 커맨드가 있는 경우, 그 커맨드 처리를 종료한다.
m=3은, 마커 인쇄를 지정한다. 이것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m=4는, 초기화 커맨드 인쇄를 지정한다. 이것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예를 들면, 호스트(102)로부터 「ESCA21」가 송신된 경우, 프린터(101)는, 종이 떨어짐으로 인한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하였을 때에 계속 인쇄하도록 설정한다.
그 때문에, 프린터(101)의 기억장치(108)에는, 커맨드「ESCAnm」로 설정된 내용을 기억하는 영역이 설정되어 있다. 오프라인의 원인(n)에 대하여 1개의 기억영역을 설정하고, 각각의 기억영역에는,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조작(m)이 기억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n=3이므로 3개의 영역이 필요하고, m=4이기 때문에 2 비트가 필요하며, 적어도 16 비트가 필요하게 된다.
단, 오프라인 원인의 종류나, 복귀동작의 종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CPU(105)로부터의 액세스의 편리성을 생각하면, 각각의 기억영역에 대하여 1 바이트나 1 워드를 할당하는 실시형태도 생각된다. 또한, 당해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단편(procedure)의 어드레스를 기억해 두는 수법, 종류의 번호(m)와 대응을 취하는 어떠한 정보를 기억해 두는 수법 등이 생각된다.
다음에, 프린터(101)의 기본적인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처리가 가 프린터(101)에서 실행된다.
(a) 호스트(102)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의 수신 버퍼(104)로의 격납.
(b) 수신 버퍼(104)내의 데이터의 해석과 프린트 버퍼(107)로의 데이터의 개시 및 인쇄.
(c) 오프라인이 발생하여,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한 경우의 처리.
맨 먼저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호스트(102)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 버퍼(104)로 격납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1) 호스트(102)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을 기다린다(S201).
(2)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 버퍼(10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말미에 추가한다(S202).
(3) 수신 버퍼(104)가 가득찼는지의 여부를 조사(S203), 가득차지 않았으면 순서(1)로 돌아간다.
(4) 가득찬 경우에는, 수신 버퍼(104)에 빈공간이 생길 때까지 대기한다 (S204). 빈공간이 있으면 순서(1)로 되돌아간다.
수신버퍼에 빈공간이 생길 때까지 순서(4)로부터 순서(3)으로 되돌아가도록 루프(순환)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순서(4)에서 대기하고, 다른 처리로 제어를 넘겨줌으로써, CPU(105)의 처리능력의 유효한 활용을 꾀할 수 있다. 이하 「대기」라고 말하는 경우에는, 다른 처리로 제어를 옮기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수신 버퍼(104)내의 데이터의 해석과 프린트 버퍼(107)로의 데이터의 전개 및 인쇄에 관해서 설명한다.
(1) 수신 버퍼(104)에 데이터가 있는지 조사하고(S301), 없는 경우에는 대기한다(S312). 어떤 경우에는 다음으로 진행한다.
(2) 데이터가 문자 코드인지 조사한다(S302).
(3) 문자 코드인 경우에는, 그 문자의 폰트정의를 폰트 ROM(106)으로부터 취득하여(S303), 프린트 버퍼(107)로 전개하고(S304), 순서(8)로 진행한다.
(4) 문자 코드가 아닌 경우에는, 데이터의 커맨드의 종류를 조사한다(S305).
(5) 오프라인 상태로부터 복귀하였을 때의 처리를 설정하는 「ESCA」 커맨드의 경우에는, 순서(7)로 진행한다.
(6) 그 이외의 커맨드의 경우에는, 그 커맨드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여(S306) 순서(8)로 진행한다.
(7) 파라미터(n)를 취득하고, 이것에 대응하는 기억영역에 파라미터(m)를 기억함으로써, 오프라인 원인과 그 경우의 복귀동작을 정의한다(S307)
(8) 수신버퍼(104)의 상태를 갱신한다(S308). 이것에 의해서 수신 버퍼(104)의 빈공간이, 처리한 데이터분만큼 증가하게 된다.
(9) 프린트 버퍼(107)가 가득찼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고(S309), 가득차지 않았다면 순서(1)로 되돌아간다.
(10) 가득찬 경우에는, 인쇄 헤드(109)를 구동하여 인쇄처리를 하고(S310), 프린트 버퍼(107)를 클리어하여(S311) 순서(1)로 되돌아간다. 이 순서의 처리 도중에서, 오프라인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때에는, 오프라인 처리로 제어를 넘겨주게 된다.
다음에,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오프라인이 발생하고,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한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1) 현재 오프라인 상태에 있는지를 조사한다(S401). 오프라인 상태이면, 이 순서로 되돌아간다. 오프라인 상태로부터 복귀한다면, 즉, 오프라인 상태가 아니게되면, 다음으로 진행한다.
(2) 오프라인 상태의 원인을 취득한다(S402).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파라미터(n)로 표현되며 3종류로 분류된다. ·
(3) 기억장치(108) 중에서 n에 대응하는 기억영역을 선택하고, 정의된 복귀동작의 종류를 취득한다(S403).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파라미터(m)로 표현되며 4종류로 분류된다.
(4) 취득한 처리의 종류(m)를 조사한다(S404).
(5) m=1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현재의 수신 버퍼(104) 및 프린트 버터(107)에 기억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를 계속한다(S405).
(6) m=2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신 버퍼(104) 및 프린트 버퍼(107)의 내용을 소거한다(S406).
(7) m=3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커 인쇄처리를 행한다(S407).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8) m=4가 지정되어 있던 경우에는, 초기화 커맨드 인쇄를 행한다(S408).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9) 본 처리를 종료하고, 다른 처리로 제어를 옮긴다(S409).
이러한 구성 및 처리에 의해서, 오프라인 상태로부터 복귀하였을 때에 수행해야할 처리를, 오프라인의 발생원인에 따라서 미리 설정해 둘 수 있고, 목적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에, 부가적인 처리인 마커등록 및 마커 인쇄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마커를 등록함으로써,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시에 마커까지 되돌아가서 인쇄를 재개한다는 마커 인쇄처리를 설정할 수 있다.
호스트(102)로부터 마커 설정 커맨드「ESCB」가 송신되면, 프린터(101)는 이것을 수신 버퍼(104)에 격납한다. 상기 각종 커맨드의 처리순서(S305, S306)에 있어서 「ESCB」가 발견된 경우에, 아래의 처리를 행한다.
(1) 기억장치(108)내에 확보된 마커용 기억영역(이하「마커포인터」라고 한다)에, 수신 버퍼(104)내에서 마커 등록 커맨드「ESCB」가 기억되어 있는 영역의 어드레스를 기억시킨다.
(2) 이 마커가 발견된 시점에서 프린터내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정의정보를, 기억장치(108)내에 확보된 마커용 정의정보 기억영역에 카피한다.
또한,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한 후에 실행되는 마커 인쇄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마커 포인터가 가리키는 수신 버퍼(104)내의 어드레스에 기억된 인쇄 데이터를 조사한다(S501).
(2) 기억된 데이터가 「ESCB」인 경우에는, 순서(4)로 진행한다
(3)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그 후 수신한 데이터로 마커가 중복기재(over write)된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수신 버퍼(104)가 링 버퍼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 외에, 수신버퍼(104)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한 것도 생각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호스트(102)에 「마커이상」을 알리고(S502),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러한 마커 이상을 통지함으로써, 호스트는 리시트를 인쇄하기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다.
(4) 마커 포인터로 나타내는 어드레스로부터 데이터의 처리를 재개하도록, 수신 버퍼(104)의 상태를 설정한다(S503).
(5) 마커용 정보 기억 영역에 기억된 정의정보를, 프린터내의 정의 정보 기억 영역에 카피한다. 이로써, 각종 인쇄 모드 등의 프린터 설정을, 마커등록하였을 때의 설정으로 되돌릴 수 있다.
(6) 본 처리 종료후에 인쇄처리로 제어를 옮김으로써, 마커가 등록된 장소에서 인쇄가 재개된다.
이와 같이, 각 리시트의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기 직전에 「ESCB」 커맨드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현재부터 인쇄하고자 하는 리시트의 선두에 마커가 설정된다. 그리고, 이 리시트를 인쇄하고 있는 도중에 오프라인이 발생하여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하였을 때에는, 마커가 설정된 장소까지 거슬러올라가 인쇄처리를 재개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가 중단한 리시트의 잔여 부분만을 인쇄하는 것이 아니라, 인쇄가 중단한 리시트를 선두로부터 다시 인쇄하게 되므로, 인쇄결과로서 완전한 리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 여기서는 마커가 1개인 경우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복수의 마커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마커 포인터나 마커용 정의정보 기억영역의 수를, 마커의 수에 따라서 늘릴 필요가 있다. 그리고, 「최신의 마커로부터 인쇄」,「2번째에 새로운 마커로부터 인쇄」등의 지정을 함으로써 목적하는 마커로부터의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마커 자체에 번호나 이름을 붙여, 「5번 마커로부터 인쇄」등과 같은 처리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마커의 수를 늘리는 경우에는, 공지의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의 각종 정의정보는, 마커용 정의정보 기억영역에 기억되므로, 복수의 리시트를 인쇄하는 경우라도 정의정보가 공통인 경우에는, 최초에 1회만 정의해 두면 된다.
또한, 리시트 1매분의 인쇄 데이터의 양과, 수신 버퍼(104)의 크기를 비교하면, 수신버퍼(104)의 쪽이 훨씬 큰 경우가 많다. 예컨대, 어떤 실시예에서는, 리시트 1매가 400바이트인 데 대하여, 수신 버퍼(104)의 크기는 4 킬로바이트이다. 이러한 경우, 마커 자체가 중복기재되는 현상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마커 포인터가 가리키는 어드레스에 마커등록 커맨드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가지고 마커가 유효하고 판단하였지만, 이 이외의 판단수법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수신 버퍼(104)에 기억할 때마다, 데이터를 기억하는 어드레스와 마커 포인터가 나타내는 어드레스를 비교하는 것이다. 전자가 후자를 앞지른 경우에, 그 마커는 유효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마커 포인터에 NULL을 설정한다. 이 경우, 마커인쇄처리에서는, 마커 포인터의 값을 체크하여, 이것이 NULL인 경우에는 호스트(102)에 마커 이상을 통지하면 된다.
다음에, 부가적인 처리인 프린터 초기화 커맨드 및 초기화 커맨드 인쇄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것은, 마커등록 및 마커인쇄처리와 유사한 동작이지만, 다음의 점에서 상이하다. 즉, 마커등록 커맨드 「ESCB」에서는 그 때의 프린터의 정의정보가 보존되고,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시에 당해 정보에 따라서 프린터가 복구되는 데 대하여, 프린터 초기화 커맨드 「ESCC」에서는, 그 때의 프린터의 정의정보를 초기 상태로 되돌리고, 프린트 버퍼(107)를 클리어한다. 또한, 마커 포인터에 상당하는 기억영역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기억장치의 용량이 적은 인쇄장치에 적합하다.
초기화 커맨드 인쇄처리에서는, 수신 버퍼(104)의 말미로부터 선두를 향하여 「ESCC」가 기억되어 있는 장소를 검색하고, 최초에 발견된 장소에서 해석·전개·인쇄처리를 재개한다.
이 장소로부터 해석을 개시하면, 우선「ESCC」가 해석되기 때문에, 프린터의 정의정보는 초기 상태로 되돌려지고, 프린트 버퍼(107)가 클리어된다. 이 이후는, 통상과 같이 데이터를 처리하게 된다.
또, 이 「ESCC」가 기억되어 있는 장소를 검색하는 수법은, 상기와 같이, 수신버퍼(104)의 말미로부터 선두를 향하여 검색한 경우에, 최초에 발견된 장소를 검색결과로 하는 수법 외에, 이미 처리된 데이터를 격납한 부분도 포함시켜, 수신 버퍼(104)의 선두로부터 말미로 「ESCC」를 검색해가며, 최후에 발견된 「ESCC」의 장소를 검색결과로 하는 수법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수신 버퍼(104) 중에서「ESCC」가 발견될 때마다, 그 마크 포인터에 상당하는 기억영역에 중복기재하면서 기억해두면, 수신 버퍼 자체의 검색을 하지 않더라도, 즉시 「ESCC」의 장소를 알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마크 포인터와 동일한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수신 버퍼(104)에 관해서는, 「ESCC」 커맨드가 있는 어드레스로부터 인쇄 커맨드의 해석·전개·인쇄처리가 수행된다. 즉, 수신 버퍼(104)의 내용은 클리어되지 않으며, 이 점에서 전원의 재투입과는 다르다.
수신버퍼(104)내의「ESCC」가 중복기재되어 있는 경우, 즉, 「ESCC」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는, 「초기화 커맨드 이상」을 호스트(102)에 통지한다. 이 점은머커 등록 및 마커 인쇄처리의 경우와 같다.
이 초기화 커맨드 및 초기화 커맨드 인쇄처리를 이용한 경우의 리시트의 인쇄는 이하 같은 순서를 취한다. 호스트 장치 (102)는, 프린터 초기화 커맨드「ESCC」를 출력하고, 다음에 그 리시트용 각종 정의를 하는 커맨드를 출력하며, 계속해서 리시트의 내용의 인쇄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것을 반복하여 복수의 리시트의 인쇄를 지정한다.
따라서, 인쇄하는 리시트의 수와 같은 회수만큼 각종 정의를 행하는 커맨드를 출력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은, 다소 번잡하지만, 마커등록 및 마커 인쇄처리의 경우에 필요한 특별한 기억영역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린터의 구조를 간략화하여 비용 삭감의 효과를 갖는다.
한편, 프린터(101)에서는,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시에, 지금까지 처리된 리시트중, 가장 마지막에 처리된 리시트의 선두로부터 처리가 재개된다. 요컨대, 「ESCC」에 의해서,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시에 처리를 재개하는 경우에, 구획으로서 적절한 부분을 지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오프라인 상태로부터의 복귀시의 처리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오프라인 상태로부터 복귀하였을 때에, 인쇄장치내에 기억된 각종 정의정보를 유지하고, 또한 쓸데 없는 리시트를 인쇄하지 않을 수 있다. 복귀시의 처리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이 처리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호스트에 그 취지가 통지되기 때문에, 인쇄를 재개할 때의 사용성이 향상된다.

Claims (27)

  1.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인쇄 데이터 또는 커맨드에 근거하여 인쇄를 행하는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 데이터 또는 상기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서 수신된 상기 인쇄 데이터 또는 상기 커맨드를 격납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에 격납된 상기 인쇄 데이터 또는 상기 커맨드에 근거하여 인쇄를 행하는 인쇄 유닛과,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제1 커맨드에 근거하여, 상기 인쇄장치의 오프라인 요인마다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할 때의 동작을 미리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인쇄장치가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할 때에 상기 설정부에 의해서 설정된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을 행하게 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오프라인 발생시에 있어서 인쇄를 행하고 있던 영역의 최초로부터 인쇄를 재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오프라인 발생시에 있어서 행하고 있던 커맨드 처리를 계속하여 처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상기 버퍼에 격납된 상기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커맨드를 클리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오프라인 발생시에 있어서 행하고 있는 커맨드 처리를 중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제2 커맨드에 근거하여, 상기 버퍼에 격납된 상기 인쇄 데이터 또는 상기 커맨드를 특정하는 정보를 격납하는 특정부를 또한 갖고,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상기 버퍼에 격납되고, 상기 특정부에 격납된 정보에 의해서 특정되는 상기 커맨드 데이터 또는 상기 커맨드로부터 인쇄를 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부는 또한 인쇄장치의 설정정보를 격납하고,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또한 상기 특정부에 의해서 격납된 설정정보를 상기 인쇄장치에 재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의 실행결과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통지하는 통지부를 또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9.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인쇄 데이터 또는 커맨드에 근거하여 인쇄를 행하는 인쇄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 데이터 또는 상기 커맨드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수신된 상기 인쇄 데이터 또는 상기 커맨드를 격납하는 스텝과,
    상기 격납된 상기 인쇄 데이터 또는 상기 커맨드에 근거하여 인쇄를 행하는 스텝과,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제1 커맨드에 근거하여, 상기 인쇄장치의 오프라인 요인마다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할 때의 동작을 미리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인쇄장치가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할 때에 상기 설정된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을 행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오프라인 발생시에 있어서 인쇄를 행하고 있던 영역의 최초부터 인쇄를 재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오프라인 발생시에 있어서 행하고 있던 커맨드 처리를 계속하여 처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격납된 상기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커맨드를 클리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오프라인 발생시에 있어서 행하고 있던 커맨드 처리를 중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제2 커맨드에 근거하여, 격납된 상기 인쇄 데이터 또는 상기 커맨드를 특정하는 정보를 격납하는 스텝을 또한 갖고,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상기 격납된 인쇄 데이터 또는 커맨드로서, 상기 특정 스텝에 있어서 격납된 정보에 의해서 특정되는 상기 인쇄 데이터 또는 상기 커맨드로부터 인쇄를 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스텝은 또한 인쇄장치의 설정정보를 격납하고,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또한 상기 특정 스텝에 의해서 격납된 설정정보를 상기 인쇄장치에 재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의 실행결과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통지하는 스텝을 또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17.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인쇄 데이터 또는 커맨드에 근거하여 인쇄를 행하는 인쇄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인쇄 데이터 또는 상기 커맨드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수신된 상기 인쇄 데이터 또는 상기 커맨드를 격납하는 스텝과,
    상기 격납된 상기 인쇄 데이터 또는 상기 커맨드에 근거하여 인쇄를 행하는 스텝과,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제1 커맨드에 근거하여, 상기 인쇄장치의 오프라인 요인마다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할 때의 동작을 미리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인쇄장치가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할 때에 상기 설정된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을 행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오프라인 발생시에 있어서 인쇄를 행하고 있던 영역의 최초부터 인쇄를 재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오프라인 발생시에 있어서 행하고 있던 커맨드 처리를 계속하여 처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격납된 상기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커맨드를 클리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오프라인 발생시에 있어서 행하고 있던 커맨드 처리를 중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제2 커맨드에 근거하여, 격납된 상기 인쇄 데이터 또는 상기 커맨드를 특정하는 정보를 격납하는 스텝을 또한 갖고,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상기 격납된 인쇄 데이터 또는 커맨드로서, 상기 특정 스텝에 있어서 격납된 정보에 의해서 특정되는 상기 인쇄 데이터 또는 상기 커맨드로부터 인쇄를 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스텝은 또한 인쇄장치의 설정정보를 격납하고,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은 또한 상기 특정 스텝에 의해서 격납된 설정정보를 상기 인쇄장치에 재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의 실행결과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통지하는 스텝을 또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25. 인쇄장치를 접속하고, 상기 인쇄장치에 인쇄 데이터 또는 커맨드를 송신하여 제어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가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할 때에 상기 인쇄장치가 실행해야 할 동작을 그 오프라인 요인마다 설정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인쇄장치로부터,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의 실행결과의 통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의 실행이 불가능한 취지의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인쇄 데이터 또는 상기 커맨드를 재송신하는 재송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6. 인쇄장치를 접속하고, 상기 인쇄장치에 인쇄 데이터 또는 커맨드를 송신하여 제어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가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할 때에 상기 인쇄장치가 실행해야 할 동작을 그 오프라인 요인마다 설정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인쇄장치로부터,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의 실행결과의 통지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수신 스텝에 의해,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의 실행이 불가능한 취지의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인쇄 데이터 또는 상기 커맨드를 재송신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7. 인쇄장치를 접속하고, 상기 인쇄장치에 인쇄 데이터 또는 커맨드를 송신하는 정보처리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가 오프라인으로부터 복귀할 때에 상기 인쇄장치가 실행해야 할 동작을 그 오프라인 요인마다 설정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인쇄장치로부터,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의 실행결과의 통지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수신 스텝에 의해, 상기 오프라인으로부터의 복귀동작의 실행이 불가능한 취지의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인쇄 데이터 또는 상기 커맨드를 재송신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록매체.
KR10-1999-0010442A 1998-03-26 1999-03-26 인쇄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정보기록매체 KR100468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970198A JP3861958B2 (ja) 1998-03-26 1998-03-26 オフラインからの復帰時の処理の種類を選択できる印刷装置、印刷方法、および、情報記録媒体
JP98-79701 1998-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291A true KR19990078291A (ko) 1999-10-25
KR100468882B1 KR100468882B1 (ko) 2005-01-31

Family

ID=1369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442A KR100468882B1 (ko) 1998-03-26 1999-03-26 인쇄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정보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132117A (ko)
EP (2) EP1936537B1 (ko)
JP (1) JP3861958B2 (ko)
KR (1) KR100468882B1 (ko)
CN (1) CN1205534C (ko)
DE (1) DE69938753D1 (ko)
HK (1) HK10207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454B1 (ko) * 2000-08-30 2006-04-1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인쇄 장치, 정보 기록 매체, 인터페이스 장치, 인쇄 장치제어 방법 및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1958B2 (ja) * 1998-03-26 2006-12-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オフラインからの復帰時の処理の種類を選択できる印刷装置、印刷方法、および、情報記録媒体
JP4560917B2 (ja) * 1999-10-15 2010-10-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及びその制御方法
JP4524912B2 (ja) * 2000-12-20 2010-08-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747870B2 (ja) * 2002-03-27 2006-02-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04114674A (ja) * 2002-08-27 2004-04-1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記憶領域確保方法
US20070248393A1 (en) * 2002-12-20 2007-10-25 Transact Technologie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 printer
US8085418B2 (en) * 2002-12-20 2011-12-27 Transact Technologie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 printer firmware download port to a communicatons port
JP2005007762A (ja) 2003-06-19 2005-01-13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装置の制御方法
KR100529330B1 (ko) * 2003-07-02 2005-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에러 복구 가능한 인쇄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 프로그램을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EP1630662B1 (en) 2004-08-27 2013-01-02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er and printer control method
JP2006062266A (ja) 2004-08-27 2006-03-09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の制御方法
JP4581815B2 (ja) * 2005-04-26 2010-1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4682711B2 (ja) * 2005-06-08 2011-05-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端末装置の制御方法
JP2007018127A (ja) * 2005-07-06 2007-01-25 Seiko Epson Corp 印刷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252294A (ja) * 2006-03-24 2007-10-04 Noritsu Koki Co Ltd 酵素水生成装置
JP5135963B2 (ja) * 2006-10-04 2013-0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保存システム
US8218160B2 (en) 2007-08-08 2012-07-1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Adaptive automatic printing
JP4949980B2 (ja) * 2007-09-11 2012-06-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8859928B2 (en) * 2007-12-19 2014-10-14 Illinois Tool Works Inc. Multi-stage compressor in a plasma cutter
JP2010188533A (ja) * 2009-02-16 2010-09-02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JP6171530B2 (ja) * 2013-04-23 2017-08-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4075A (ja) * 1987-04-10 1988-10-20 Nec Corp プリンタ
JP2513682B2 (ja) * 1987-05-08 1996-07-03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
US5163122A (en) * 1987-12-09 1992-11-10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processing system
US5594653A (en) * 1993-11-08 1997-01-14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a control method therefor, and a data processing apparatus using said printing apparatus
US5533172A (en) * 1993-12-16 1996-07-02 Xerox Corporation Method of printing a print job with a print file
CN1101315C (zh) * 1995-12-18 2003-02-1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打印机及其控制方法
JPH09323463A (ja) * 1996-06-05 1997-12-16 Seiko Epson Corp 通信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861958B2 (ja) * 1998-03-26 2006-12-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オフラインからの復帰時の処理の種類を選択できる印刷装置、印刷方法、および、情報記録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454B1 (ko) * 2000-08-30 2006-04-1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인쇄 장치, 정보 기록 매체, 인터페이스 장치, 인쇄 장치제어 방법 및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38753D1 (de) 2008-07-03
HK1020790A1 (en) 2000-05-19
CN1205534C (zh) 2005-06-08
JP3861958B2 (ja) 2006-12-27
EP0945824A2 (en) 1999-09-29
KR100468882B1 (ko) 2005-01-31
EP1936537A3 (en) 2009-12-30
EP1936537B1 (en) 2011-09-14
EP0945824B1 (en) 2008-05-21
US6491453B1 (en) 2002-12-10
US6132117A (en) 2000-10-17
CN1232210A (zh) 1999-10-20
EP0945824A3 (en) 2000-09-06
EP1936537A2 (en) 2008-06-25
JPH11268384A (ja)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8291A (ko) 인쇄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정보기록 매체
US7483163B2 (en) Printing apparatus, data storage medium, interface device, printer control method, and interface control method
JP4246367B2 (ja) 印刷装置
US8441666B2 (en) Printing control device and printing control method
US7027169B1 (en) System for efficiently distributing print jobs
US5413419A (en) Printer, a printer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08001396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3558799B2 (ja) プリンタ装置
JP3315758B2 (ja) 印字装置
JP3748485B2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出し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2851973B2 (ja) 出力方法及び装置
US6804015B1 (en) Page prin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0168202A (ja) 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可能枚数取得方法
JP3326042B2 (ja) 印刷システム
JP2000238385A (ja) プリンタシステムにおける排給紙先変更方法
JP3311969B2 (ja) 印刷装置における排紙位置制御方法及び装置
JP4274512B2 (ja) プリンタ
JPH05189172A (ja) プリンタ装置
JP2000108437A (ja) プリント装置
JPH0671988A (ja) 印字制御方式
JP2001199138A (ja) プリンタシステム
JPH0781155A (ja) 印字装置
JPH1115607A (ja) 印字復旧方法および印字復旧システム
JP2003291464A (ja) 画像形成装置
JPH10315562A (ja) プリン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