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947A - 크레인 - Google Patents
크레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77947A KR19990077947A KR1019990008911A KR19990008911A KR19990077947A KR 19990077947 A KR19990077947 A KR 19990077947A KR 1019990008911 A KR1019990008911 A KR 1019990008911A KR 19990008911 A KR19990008911 A KR 19990008911A KR 19990077947 A KR19990077947 A KR 199900779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om
- rope
- drum
- winch drum
- plan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74 deto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098 Parthenociss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윈치드럼을 붐의 측방에 설치하는 사이드드럼 형식을 취하면서, 로프의 플리이트 앵글을 작게 억제한다.
윈치드럼축(6a)의 축방향중심점(Wo)을 지나 드럼축(6a)과 직교하는 평면인 드럼배치평면(A)이, 주가이드시이브(8)의 로프접점이 붐(2)의 기복에 의하여 붐 기복평면(B)상에 그려지는 원호궤적(C)의 2점(P1, P2)을 포함하도록 붐 기복평면(B)에 대하여 경사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권상용 윈치드럼이 상부선회체의 선회프레임에 설치되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로 휠식 크레인에 있어서, 권상용의 윈치드럼을 선회프레임에 있어서 붐 기부의 측방에 설치하는 사이드드럼 형식을 취하는 것이 공지이다.
이 사이드드럼 형식을 취하는 경우, 윈치드럼이 붐 선단부에 설치된 붐 포인트 시이브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크게 오프셋하고 있기 때문에, 윈치드럼으로부터 인출한 권상 로프를 붐 포인트 시이브로 직접 유도하면, 플리이트앵글이 지나치게 커져서 난권(亂卷)이나 시이브로부터의 로프의 벗겨짐이 빈발함과 동시에, 로프 수명이 저하한다.
이 때문에, 사이드드럼 형식을 취하는 경우는, 윈치드럼과 붐 포인트 시이브와의 사이에 중간 가이드 시이브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아직 윈치드럼과 중간 가이드 시이브와의 사이, 또는 중간 가이드 시이브와 붐 포인트 시이브와의 사이의 플리이트 앵글을 충분히 작게 할 수는 없다.
여기서, 일본 실개평 3-64986호, 일본 특개평 7-267583호 양 공보 등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윈치드럼을 붐측의 단부가 반대측의 단부보다도 붐 기단 근처에 위치하도록 윈치드럼을 평면에서 보아 경사(예를 들면 윈치드럼이 붐의 좌측방으로 배치된 경우는, 평면에서 보아 드럼의 좌측이 우측보다도 전방으로 위치하도록 경사)시킨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이 구성에 의하면 아직도 다음의 문제가 남겨져 있다.
플리이트 앵글 지지점이 되는 가이드 시이브와 로프의 접점은 붐의 기복작동에 의하여 붐 기복 평면상에 그려지는 원호 궤적상을 이동한다.
이에 대하여, 상기와 같이 윈치드럼을 평면에서 보아 경사시킨 것만으로는, 이 윈치드럼의 배치평면, 즉, 드럼축의 축방향 중간점을 지나 드럼축과 직교하는 평면이 상기 원호궤적에 대하여 최대 1점에서 밖에는 교차하지 않기 때문에, 이 교점을 벗어나는 범위에서 플리이트 앵글이 크게 된다.
즉, 플리이트 앵글이 큰 범위가 아직도 넓게 남겨지고, 로프 수명의 저하 등의 문제가 충분히 해결될 수 없다.
여기서 본 발명은, 사이드 드럼 형식을 취하면서 로프의 플리이트 앵글을 작게 억제할 수 있는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붐 및 윈치 등의 평면도,
도 2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 붐 및 윈치 등의 일부확대측면도,
도 3은 도 2의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붐각도상태에서의 배면도,
도 4는 드럼배치평면과 붐기복평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붐 등을 평면 및 측면의 쌍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 5는 붐각도 0°일 때의 최대 플리이트앵글을 설명하기 위한 도 4의 확대도,
도 6은 붐각도 12.01°일 때 최대 플리이트앵글을 설명하기 위한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7은 붐각도 40°일 때의 최대 프리이트앵글을 설명하기 위한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선회프레임 2: 붐
3: 붐 풋핀 4: 붐 포인트 시이브
5: 윈치 6: 윈치드럼
7: 권상로프
8: 주 가이드 시이브(로프 가이드 수단)
9: 보조 가이드 시이브(보조 로프 가이드 수단)
α: 윈치드럼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경사각도
β: 윈치드럼을 배면에서 보았을 때의 경사각도
A: 드럼배치평면 B: 붐 기복평면
C: 로프접점이 붐 기복평면상에서 그리는 원호궤적
P1, P2: 원호궤적상의 2점
청구항 1의 발명은 하부주행체상에 탑재된 상부선회체의 선회프레임에 붐이 붐 풋핀을 중심으로 기복 자유롭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선회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붐의 측방에 윈치드럼이 설치되고, 이 윈치드럼으로부터 인출된 권상로프가 상기 붐의 선단부에 설치된 붐 포인트 시이브를 통하여 붐 선단부로부터 매달리는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붐의 도복(倒伏) 상태에서의 상면에, 상기 윈치드럼과 붐 포인트 시이브와의 사이에 있고 상기 권상로프를 가이드하는 로프가이드수단이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윈치드럼은,
① 붐측의 단부가 반대측의 단부보다도 붐 기단 근처에 위치하도록 평면에서 보아 기울어지고,
② 붐측의 단부가 반대측의 단부보다도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록 배면에서 보아 기울어지게 설치된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하부주행체상에 탑재된 상부선회체의 선회프레임에 붐이 붐 풋핀을 중심으로 기복 자유롭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선회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붐의 측방에 윈치드럼이 설치되고, 이 윈치드럼으로부터 인출된 권상로프가 상기 붐의 선단부에 설치된 붐 포인트 시이브를 통하여 붐 선단부로부터 매달리는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붐의 도복상태에서의 상면에, 상기 윈치드럼과 붐 포인트 시이브와의 사이에 있고 상기 권상 로프를 가이드하는 로프 가이드 수단에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윈치드럼은,
다음 조건하에서 설치된 것이다.
조건
드럼축의 축방향 중간부를 지나 드럼축과 직교하는 평면인 드럼 배치 평면을 A라 하고,
상기 로프 가이드 수단에 대하여 상기 권상로프가 접촉하는 플리이트 앵글 지지점으로서의 로프 접점이, 붐의 기복에 의하여 붐 기복평면(B)상에 그려지는 원호궤적상의 2점을 P1, P2라 하고,
상기 드럼 배치평면(A)이 상기 2점(P1, P2)을 대략 포함하도록 상기 붐 기복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질 것.
더욱이, 상기 「드럼의 축방향 중간부」란, 엄밀한 의미에서의 중간점 뿐만 아니라, 청구항 2의 발명의 작용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한도에 있어서 중간점에서 다소 어긋난 위치까지도 포함한다.
또, 상기 「상기 2점(P1, P2)을 대략 포함한다」란, 완전히 포함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작용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한도에 있어서 완전하게는 포함하지 않는 경우까지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의 구성에 있어서, 로프 가이드 수단으로서, 붐 수평상태에서 수평으로 되는 수평 가이드 시이브가 설치된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선회프레임에, 윈치드럼으로부터 인출된 권상로프를 로프 가이드 수단과 윈치와의 사이에서 붐 상면측에 유도하는 보조 로프 가이드 수단이 설치된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4의 구성에 있어서, 보조 로프 가이드 수단으로서, 보조 로프 가이드 시이브가 드럼축과 대략 평행한 시이브축 둘레에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5의 구성에 있어서, 보조 로프 가이드 시이브가 시이브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지지된 것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5 또는 6의 구성에 있어서, 보조 로프 가이드 시이브에 대한 권상로프의 접점이, 측면에서 보아 붐 풋핀과 포개지도록 같은 시이브가 배치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다음의 작용을 얻을 수가 있다.
붐 기폭평면은, 붐축과 평행한 수직면인데 비하여, 드럼배치평면은, 상기한 배면에서 본 경사각(θX), 평면에서 본 경사각(θY)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붐 기복평면과 드럼배치평면의 교선(교점끼리를 연결하는 직선)은 Y=aX+b로 표현할 수 있다.
또, 붐 기복평면상에서, 플리이트 앵글 지지점은 붐의 기복에 의하여 원호형상의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한다. 이 궤적과 상기 식의 교점이, 가장 플리이트 앵글을 작게 할 수 있는 점으로 되고, 플리이트 앵글 지지점이 이 교점으로부터 떨어질수록 플리이트 앵글이 크게 된다.
즉, 평면에서 본 경사만을 갖게 한 일본 특개평 7-267583호 양 공보 등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교선은 수직선(X, O)으로 되고, 이 조건에서는 교점은 최대 한점으로 한정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과 같이, 윈치드럼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뿐만 아니라, 배면에서 보았을 때에도 경사시킨(청구항 2에서는, 플리이트 앵글 지지점이 원호궤적상의 2점을 대략 포함하도록 경사시킨) 것에 의해, 상기 교선이 원호의 현과 평행하게 기울어지는 선으로 되는 것이기 때문에 교점은 최대 2점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리이트 앵글을 작게 할 수 있는 붐 각도범위를 많이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로프 가이드 수단(가이드 시이브)에서의 로프 접점이 그리는 원호궤적상의 2점(P1, P2)에서 플리이트 앵글이 최소로 된다.
따라서, 붐의 전체 기복각도범위를 통하여 플리이트 앵글의 변화가 될 수 있는대로 작게 되도록 상기 2점(P1, P2)의 위치, 즉 드럼배치평면의 2방향의 경사각도를 설정함으로서, 전체 붐 기복각도범위를 통하여 플리이트 앵글의 절대치를 작게 억제할 수가 있다.
또, 한정된 붐 각도에서만 작업을 행하는 경우, 또는 흔히 사용하는 붐각도가 있는 경우에, 이들 붐각도에서 플리이트 앵글이 최소로 되도록 설정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사이드 드럼 형식을 취하면서, 윈치드럼에서의 권상로프의 난권의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로프 수명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하면, 윈치드럼과 로프 가이드 수단 사이에 보조 로프 가이드 수단이 개재함으로서, 권상로프를 안정적으로 윈치드럼에 감고, 또 동 드럼으로부터 풀어낼 수가 있다.
이 경우,
i) 보조 로프 가이드 수단으로서의 보조 로프 가이드 시이브를 드럼축과 대략 평행한 시이브 축 둘레에서 회전 자유롭게 설치한 청구항 5의 구성,
ii) 동 가이드 시이브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배치한 청구항 6의 구성
을 채용하고, 혹은 이들 구성을 조합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로프 감기·풀어내기 작용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난권방지효과가 보다 높아지게 된다.
또, 보조 로프 가이드 시이브에 대한 로프 접점이 측면에서 보아 붐 풋핀과 포개지도록 동 시이브를 배치한 청구항 7의 구성에 의하면, 동 시이브로부터 앞의 로프길이가 붐의 기복에 의하여 변화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권상로프에 의하여 달아맨 훅을 붐 선단에 격납고정한 채로 붐을 기복시킬 수가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에 있어서, 1은 도시하지 않은 하부주행체상에 탑재된 상부선회체의 선회프레임, 2는 이 선회프레임(1)에 대하여 붐 풋핀(3)을 중심으로 하여 기복 자유롭게 설치된 붐이다.
이 붐(2)은, 기본(고정붐)(2a)과 복수단의 가동붐(2b…)에 의하여 신축 자유롭게 구성되고, 선단부, 즉, 선단 가동붐(2b)의 선단부에 붐 포인트 시이브(4)가 설치되어 있다.
윈치(5)의 드럼(6)(도 2, 3에서는 윈치(5)중 드럼(6)만을 도시하고 있다)으로부터 인출된 권상로프(7)는 이 붐 포인트 시이브(4)에 의하여 붐 선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유도되어, 동 로프(7)에 의하여 도시하지 않은 훅이 매달아진다.
윈치드럼(6)을 포함하는 윈치(5)는, 붐(2)에 대하여 후방, 동시에 좌우 일측방(도면에서는 붐 기단측에서 볼 때 우측, 이하, 이 예에서 설명한다)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선회프레임(1)에 설치되어 있다.
각 도면중, 6a는 윈치드럼(6)의 회전중심축으로서의 윈치드럼축, 도 1중 Wo는 이 윈치드럼축(6a)의 축방향중심이다.
따라서 윈치드럼(6)은, 붐 포인트 시이브(4)에 대하여 우측 동시에 하방으로 크게 위치어긋난 상태에 있고, 이와 같은 배치의 경우, 이대로는 권상로프(7)를 윈치드럼(6)으로부터 직접, 붐 포인트 시이브(4)로 유도할 수가 없다.
여기서, 기본 붐(2a)의 선단부 상면에 주 가이드 시이브(8)가 붐 수평상태에서 수직으로 되도록 시이브축(8a) 둘레에서 회전자유롭게 설치됨과 동시에, 윈치드럼(6)의 상방에 있어서 보조 가이드 시이브(9)가 선회프레임(1)에 설치되어,
① 주 가이드 시이브(8)에 의하여 윈치드럼(6)과 붐 포인트 시이브(4)의 좌우방향으로 어긋난 분량,
② 보조 가이드 시이브(9)에 의하여 윈치드럼(6)과 붐 포인트 시이브(4)의 상하방향으로 어긋난 분량
이 각각 커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조 가이드 시이브(9)는,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ㄱ) 그 시이브축(9a)이 윈치드럼축(6a)과 대략 평행(완전 평행 또는 거의 평행)으로 되고,
(ㄴ) 권상로프(7)와의 접점이 붐 풋핀(3)과 측면에서 보아 포개지는 상태에서,
(ㄷ) 시이브축(9a)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ㄱ)(ㄷ)의 구성에 의하여, 보조 가이드 시이브(9)가, 윈치드럼(6)으로부터 로프를 풀어내는 지점의 축방향이동에 응하여 풀어내는 지점과 주 가이드 시이브(8)를 연결하는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이동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로프 가이드 작용이 확보된다.
또, (ㄴ)의 구성에 의하여, 권상로프(7)의 보조 가이드 시이브(9)와의 접점으로부터 앞(붐 선단측)의 로프 길이가 붐 기복에 의하여 거의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훅을 붐 선단부에 격납 고정한 채로 붐(2)을 기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윈치드럼(6)은 평면시에서 드럼 우측(붐(2)과 반대측)의 단부가 좌측(붐(2)측)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동시에 배면에서 보아 드럼 우측이 좌측보다도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붐 풋핀(3)과 평행한 축에 대하여 2방향으로 경사하는 상태로 선회프레임(1)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중의 Y는 평면에서 본 경사각도, 도 3중의 X는 배면에서 본 경사각도이다.
여기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 윈치드럼축(6a)의 축방향 중심점(Wo)을 지나 드럼축(6a)와 직교하는 평면인 드럼배치평면을 A라 하고,
(ii) 주 가이드 시이브(8)에 대한 로프접점(플리이트 앵글 지지점)이 붐(2)의 기복에 의하여 붐 기복평면(B)상에 그리는 원호궤적(C)상의 2점을 P1, P2로 하여,
드럼배치평면(A)이 상기 2점(P1, P2)을 포함하도록 붐 기복평면(B)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윈치드럼(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드럼배치에 의하여, 붐 기복평면(B)과, 상기 2점(P1, P2) 및 드럼 축방향 중심점(Wo)을 포함하는 윈치배치평면(A)이 만나는 직선(교선)(L)이 연직축(Lv)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으로 된다.
더욱이, 상기 붐 기복평면(B)이란, 주 가이드 시이브(8)에서의 로프접점을 지나는 붐 길이축과 평행인 면을 말한다.
한편, 드럼배치평면(A)은 2점(P1, P2)을 완전히 포함하는 경우 외에 동등의 작용효과를 이루는 한도에서 완전하게는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 동평면(A)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드럼 축방향 중심점(Wo)을 지나는 경우 뿐만 아니고, 이 중심점(Wo)에서 다소 어긋나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 구성으로 하면, 드럼배치평면(A)의 평면에서 본 그리고 배면에서 본 경사(2방향경사)에 의하여 로프접점이 그리는 원호궤적(C)상의 2점(P1, P2)에서 주로 양 보조 가이드 시이브(8, 9) 사이에서의 로프(7)의 플리이트 앵글이 최소로 된다.
따라서, 붐(2)의 전체 기복각도범위(도 4의 예에서는 0°∼80°)를 통하여 플리이트 앵글의 변화가 될 수 있는 대로 작게 되도록 상기 2점(P1, P2)의 위치, 즉 드럼배치평면(A)의 2방향의 경사각도(X, Y)를 설정함으로서, 전체 붐 기복각도범위를 통하여 플리이트 앵글의 절대치를 작게 억제할 수가 있다.
도 5∼도 7을 병용하여 구체예를 설명하면, 로프접점이 교점(P1)에 도달할 때의 붐 각도가 12.01°, 교점(P2)에 도달할 때의 붐 각도(θ)가 67.2°로 되도록 윈치드럼(6)의 경사각도(X, Y)를 설정한 경우,
ㄱ) 붐 각도 0°에서 최대 플리이트 앵글(θ)이 1.82°(도 5 참조),
ㄴ) 붐 각도 12.01°(교점 P1)에서 최대 플리이트 앵글(θ)이 1.3°(도 6 참조)
ㄷ) 붐 각도 40°(중간각도)에서 최대 플리이트 앵글이 1.82°(도 7 참조)
ㄹ) 붐 각도 67.2°(교점 P2)에서 최대 플리이트 앵글(θ)이 1.3°
ㅁ) 붐 각도 80°(최대각도)에서 최대 플리이트 앵글이 1.82°
로 되고, 최대 플리이트 앵글(θ)을 전체 붐 기복각도범위를 통하여 법령상의 규격치인 2°이내로 억제할 수가 있다.
도 5∼도 7중의 α는 각각의 붐 각도상태에 있어서 윈치드럼(6)에 있어서의 로프를 풀어내는 지점의 축방향의 최대 변위량을 도시한다.
다만, 상기의 설정은 일예로서, 교점(P1, P2)의 붐각도는 상기 이외에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가 있다.
또, 한정된 붐각도에서만 작업을 행하는 경우, 혹은 곧잘 사용하는 붐각도가 있는 경우에, 이들의 붐각도에서 최대 플리이트 앵글(θ)이 최소로 되도록 설정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 가이드 시이브(8)를 붐 수평상태에서 수평으로 되도록 설치하였지만, 동 시이브(8)를 붐 수평상태에서 수직으로 되도록(시이브축(8a) 수평으로 한다) 설정하여도 좋다.
한편, 권상로프(7)를 안정적으로 윈치드럼(6)에 대하여 감거나 풀어내기 위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보조 가이드 시이브(9)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붐 풋핀(3)과 거의 같은 높이에 윈치드럼(6)을 설치하는 것으로, 동 시이브(9)를 사용하지 않고, 윈치드럼(6)으로부터 주 가이드 시이브(8)로 직접 로프(7)를 유도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할 때에는, 윈치드럼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뿐만 아니라 배면에서 보았을 때에도 경사시킨(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플리이트 앵글 지지점이 원호궤적상의 2점을 대략 포함하도록 경사시킨) 것에 의해, 상기 교선이 원호의 현과 평행하게 기울어지는 선으로 되는 것이기 때문에 교점을 최대 2점으로 할 수가 있다.
따라서, 플리이트 앵글을 작게 할 수 있는 붐 각도범위를 많이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드럼배치평면을 로프접점이 붐 기복평면상에 그리는 원호궤적상의 2점(P1, P2)을 포함하도록 붐 기복평면에 대하여 경사시켰으므로, 붐의 전체 기복각도범위를 통하여 플리이트 앵글의 변화가 될 수 있는 대로 작게 되도록 상기 2점(P1, P2)의 위치, 즉 윈치드럼의 2방향의 경사각도를 설정함으로서, 플리이트 앵글의 절대치를 작게 억제할 수가 있다.
또, 한정된 붐각도로만 작업을 행하는 경우, 또는 자주 사용하는 붐각도가 있는 경우에, 이들 붐각도에서 최대 플리이트 앵글이 최소로 되도록 설정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사이드 드럼 형식을 취하면서, 윈치드럼에서의 권상로프의 난권의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로프수명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윈치드럼과 로프 가이드 수단 사이에 보조 로프 가이드 수단이 개재함으로서, 권상로프를 안정적으로 윈치드럼에 감거나 또 동 드럼으로부터 풀어낼 수가 있다.
이 경우,
i) 보조 로프 가이드 수단으로서의 보조 로프 가이드 시이브를 드럼축과 거의 평행한 시이브축 둘레에서 회전 자유롭게 설치한 청구항 5의 발명
ii) 동 가이드 시이브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배치한 청구항 6의 발명
을 채용하거나, 혹은 이들 발명을 조합하거나 함으로서, 보다 안정한 로프 감기·풀어내기 작용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난권방지 효과가 보다 높은 것으로 된다.
또, 보조 로프 가이드 시이브에 대한 로프접점이 측면에서 보아 붐 풋핀과 포개지도록 동 시이브를 배치한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동 시이브로부터 앞의 로프길이가 붐의 기복에 의하여 변화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권상로프에 의하여 달아맨 훅을 붐 선단에 격납고정한 채로 붐을 기복시킬 수가 있다.
Claims (7)
- 하부주행체상에 탑재된 상부 선회체의 선회프레임에 붐이 붐 풋핀을 중심으로 기복 자유롭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선회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붐의 측방에 윈치드럼이 설치되고, 이 윈치드럼으로부터 인출된 권상로프가, 상기 붐의 선단부에 설치된 붐 포인트 시이브를 통하여 붐 선단부로부터 매달리는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붐의 도복상태에서의 상면에, 상기 윈치드럼과 붐 포인트 시이브와의 사이에 있고 상기 권상로프를 가이드하는 로프 가이드 수단이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윈치드럼은,① 붐측의 단부가 반대측의 단부보다도 붐 기단 근처에 위치하도록 평면에서 보아 기울어지고,② 붐측의 단부가 반대측의 단부보다도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록 배면에서 보아 기울어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 하부주행체상에 탑재된 상부 선회체의 선회프레임에 붐이 붐 풋핀을 중심으로 기복 자유롭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선회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붐의 측방에 윈치드럼이 설치되고, 이 윈치드럼으로부터 인출된 권상로프가, 상기 붐의 선단부에 설치된 붐 포인트 시이브를 통하여 붐 선단부로부터 매달리는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붐의 도복상태에서의 상면에, 상기 윈치드럼과 붐 포인트 시이브와의 사이에 있고 상기 권상로프를 가이드하는 로프 가이드 수단이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윈치드럼은, 다음 조건하에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조건드럼축의 축방향 중간부를 지나 드럼축과 직교하는 평면인 드럼배치평면을 A라 하고,상기 로프 가이드 수단에 대하여 상기 권상로프가 접촉하는 플리이트 앵글 지지점으로서의 로프접점이, 붐의 기복에 의하여 붐 기복평면(B)상에 그려지는 원호궤적상의 2점을 P1, P2라 하고,상기 드럼배치평면(A)이 상기 2점(P1, P2)을 대략 포함하도록 상기 붐 기폭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질 것.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로프 가이드 수단으로서, 붐 수평상태에서 수평으로 되는 수평 가이드 시이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회프레임에 윈치드럼으로부터 인출된 권상로프를 로프 가이드 수단과 윈치와의 사이에서 붐 상면측에 유도하는 보조 로프 가이드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 제 4 항에 있어서, 보조 로프 가이드 수단으로서, 보조 로프 가이드 시이브가 드럼축과 대략 평행한 시이브축 둘레에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 제 5 항에 있어서, 보조 로프 가이드 시이브가 시이브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보조 로프 가이드 시이브에 대한 권상로프의 접점이, 측면에서 보아 붐 풋핀과 포개지도록 같은 시이브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8-70511 | 1998-03-19 | ||
JP07051198A JP3436118B2 (ja) | 1998-03-19 | 1998-03-19 | クレーン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77947A true KR19990077947A (ko) | 1999-10-25 |
KR100301942B1 KR100301942B1 (ko) | 2001-09-22 |
Family
ID=13433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08911A KR100301942B1 (ko) | 1998-03-19 | 1999-03-17 | 크레인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EP (1) | EP0943578A3 (ko) |
JP (1) | JP3436118B2 (ko) |
KR (1) | KR10030194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2005015151U1 (de) | 2005-09-26 | 2007-02-15 | Liebherr-Werk Ehingen Gmbh | Fahrzeugkran |
CN101007618B (zh) * | 2006-01-27 | 2011-08-31 | 胡勇 | 摆动绞车排绳方法及装置 |
CN102659043B (zh) * | 2012-05-11 | 2014-05-28 | 中建新疆建工(集团)有限公司 | 一种改进的塔式起重机扶墙杆拆卸装置 |
FI129025B (fi) | 2016-06-16 | 2021-05-14 | Konecranes Global Oy | Köysinostimen nostojärjestely |
CN109650269A (zh) * | 2019-01-30 | 2019-04-19 | 广州市市政集团有限公司 | 泥浆管拆卸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153871B (de) * | 1960-03-08 | 1963-09-05 | Horst Walper | Seilfuehrungsvorrichtung fuer an Arbeitsbuehnen vorgesehene Seilwinden |
DE1204377B (de) * | 1960-10-06 | 1965-11-04 | Lebus Royalty Company | Seilfuehrung mit einer Ausgleichvorrichtung |
JPH07267583A (ja) * | 1994-03-25 | 1995-10-17 | Komatsu Mec Corp | クレーン車 |
-
1998
- 1998-03-19 JP JP07051198A patent/JP343611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
- 1999-03-17 KR KR1019990008911A patent/KR10030194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3-18 EP EP99105550A patent/EP0943578A3/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943578A2 (en) | 1999-09-22 |
JPH11263591A (ja) | 1999-09-28 |
EP0943578A3 (en) | 2002-09-11 |
KR100301942B1 (ko) | 2001-09-22 |
JP3436118B2 (ja) | 2003-08-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16219B1 (en) | Boom foot pin attachment and detachment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 | |
JP2006206233A (ja) | 移動式クレーンの伸縮ブームの横撓み抑制装置 | |
KR100301942B1 (ko) | 크레인 | |
JP2006206233A5 (ko) | ||
KR20180111123A (ko) | 크레인 | |
EP1477450B1 (en) | A crane | |
EP3031770B1 (en) | Gravity actuated crane stop | |
JP7293921B2 (ja) | ピン回り止め構造 | |
JPH06294129A (ja) | 掘削機の吊りロープガイド装置 | |
JP3062898B2 (ja) | スイングレバー式タワークレーン | |
CN219507521U (zh) | 一种可变幅臂头及其起重机 | |
JP3521096B2 (ja) | ショートオーバハングブーム移動式クレーン | |
JP3606800B2 (ja) | 杭打機のトップシーブ | |
JP7275702B2 (ja) | フロントストラットのバックストップ | |
JP2001040701A (ja) | 油圧ショベルのアタッチメント揺動装置 | |
JPS6056792A (ja) | 水平引込み式ジブクレ−ン | |
JP4286368B2 (ja) | ラフィングジブ付き移動式クレーン | |
KR100263639B1 (ko) | 지브형 크레인의 균형추 이동장치 | |
JP2020152501A (ja) | フロントストラットのバックストップ | |
JP2797136B2 (ja) | 自走式クレーンにおけるジブブームの基台支承装置 | |
JP2936063B2 (ja) | 水平引込み式ジブクレーン | |
JPS6320713Y2 (ko) | ||
JP2020045237A (ja) | ジブのチルト機構 | |
JPH11286390A (ja) | クレーンのジブ張出し、格納装置 | |
JP2020083568A (ja) | ガイドローラ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