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550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550A
KR19990076550A KR1019980052136A KR19980052136A KR19990076550A KR 19990076550 A KR19990076550 A KR 19990076550A KR 1019980052136 A KR1019980052136 A KR 1019980052136A KR 19980052136 A KR19980052136 A KR 19980052136A KR 19990076550 A KR19990076550 A KR 19990076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display
main frame
pdp
crack plat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9964B1 (ko
Inventor
히데끼 이소하다
히데오 기무라
Original Assignee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구사 나오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76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63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2217/38Cold-cathode tubes
    • H01J2217/49Display panels, e.g. not making use of alternating current
    • H01J2217/49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을 사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며, 코스트가 큰 증대를 수반하는 일이 없이 방열성, 강도 등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 가능한 프레임 구성을 갖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갖춘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을 탑재하기 위한 메인 프레임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 프레임을 지지하는 균열 플레이트를 갖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을 사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PDP라 한다)은 벽걸이 텔레비전 등의 표시 디바이스로서 근년에 크게 주목되고 있다. PDP에는 전압 구동 방식의 상위에 따라 AC형과 DC형이 존재하고 있으나, 여기서는 AC형 컬러 PDP를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AC형 컬러 PDP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AC형 컬러 PDP는, 예를 들어 AC형 3 전극 구조의 면 방전 패널로 되며, 유리로 된 전면 투명 기판(21)과 유리 또는 세라믹으로 된 배면 기판(22)을 가지며, 그 배면 기판(22) 중의 전면 투명 기판(21)과의 대향면 상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정렬된 어드레스 전극(23)과, 어드레스 전극(23)의 상호간에 형성된 띠 형상의 격벽(리브)(24)과, 어드레스 전극(23) 및 격벽(24) 측면을 덮는 형광체층(25)이 형성되어 있다.
형광체층(25)은,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광하는 적색 형광층(25R), 녹색 형광층(25G) 및 청색 형광층(25B)으로 구성되고, 그들 적색 형광층(25R), 녹색 형광층(25G) 및 청색 형광층(25B)은 격벽(24)을 끼우고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배면 기판(22)에 대향하는 전면 투명 기판(21)의 면에는, 어드레스 전극(23)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접해서 쌍을 이루게 배열된 투명 도전재로 된 표시 전극(서스테인 전극이라고 한다)(26)과 도전성을 보완하는 금속 버스 전극(27)이 형성되고, 또한 표시 전극(26) 및 버스 전극(27)을 피복하는 유전체층(28)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 도전제로서는 ITO(indium tin oxide), 산화 주석(SnO2) 등이 있으며, 금속 버스 전극(27)으로서는 Cr-Cu-Cr의 3 층 전극이 있다. 또한 유전체층(28)의 표면은 산화 마그네슘(MgO)으로 된 보호층(29)로 덮여 있다.
전면 투명 기판(21)과 배면 기판(22)은 보호층(29)과 형광체층(25) 사이에 간극(30)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며, 또한 주위가 기밀(機密)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그 간극(30)에는 감압 상태에서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그 가스는 플라즈마화되어 자외선을 발광하는 가스이며, 예를 들어 네온(Ne)과 크세논(Xe)의 2 성분 가스 조성, 헬륨(He)과 크세논(Xe)의 2성분 가스 조성, 또는 헬륨, 아르곤(Ar) 및 크세논의 3 성분 가스 조성 혹은 네온, 아르곤 및 크세논의 3성분 가스 조성 등을 사용함으로써, 장 수명, 저 동작 전압이고 더구나 충분한 발광 휘도를 갖는 PDP를 실현할 수 있다.
도 6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PDP에 구동 회로 등의 각종 부품을 조립해 넣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10은 PDP, 4는 PDP 내의 가스를 배기하기 위해 사용한 칩관, 17a는 프레임, 11, 12는 구동 회로 등을 탑재한 회로 기판, 13은 드라이버이다.
PDP(10)는 도 5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한 쌍의 유리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PDP(10)에 회로 기판(11, 12)을 탑재할 경우, 나사 등으로 직접 고정하기는 곤란해서, 회로 기판(11, 12)을 금속판 등으로 된 프레임(17a)에 고정하고, 그 프레임(17a)을 예컨대 양면 테이프 등으로 PDP(10)에 접착하는 등의 수법을 취하고 있다. 또한 14, 15는 회로 기판(11, 12)을 각각 보호하는 커버이며, 16은 드라이버(13)를 보호함과 동시에, 드라이버(13)의 방열판으로서의 역할도 겸한 커버 드라이버이다.
회로 기판(11, 12)을 탑재하는 프레임(17a)을 PDP(10)에 접착한 후에,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PDP(10)를 교환할 필요가 생기는 일이 있다. 그 이유는 부착한 PDP(10)에 불량이 발견될 경우, 또는 상이한 타입의 PDP로 바꾸어 설치할 필요가 생길 경우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한번 접착해 버린 PDP(10)와 프레임(17a)을 떼어내기는 곤란하므로, PDP(10)와 프레임(17a)을 동시에 교환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고 교환된 PDP(10) 및 프레임(17a)은 많은 경우에 그대로 폐기하게 된다.
다른 한편에서는, PDP(10)에 접하는 프레임(17a)에는 PDP(10)가 발생하는 열을 균일하게 분산시켜서(균열(均熱)) 방열하는 역할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프레임(17a)은 열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함과 동시에, 표면적을 늘이는 궁리 등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7a)은 PDP(10)와 함께 폐기될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균열(均熱)성, 방열성 등의 향상을 의도한 복잡하고 높은 코스트를 수반하는 구성을 채용하기가 곤란하였다.
도 7은 종래의 프레임(17a)의 사용을 전제로 한 균열성 개량의 일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의 원으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프레임(17a)은 양면 테이프 등의 띠 형상의 접착제(1)로 PDP(10)에 접착되어 있다. 이 띠 형상의 접착제(1)는 프레임(17a)과 PDP(10) 사이에 거의 등 간격으로 형성한 것이며, 또한 접착제(1)의 간극에는 전열 고무 시트(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전열 고무 시트(2)는 열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 것이며, PDP(1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분산해서 균열성을 높이는 것이 기대된다. 그러나 방열성의 향상에 관해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로 있었다.
또 PDP(10)는 유리 기판으로 구성되고 있기 때문에, 대화면화 할수록 강도의 확보가 불가결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7a)을 복잡하고 높은 코스트를 수반하는 구성으로 하기가 곤란하였기 때문에. 종래 프레임(17a)은 금속으로 된 얇은 1 개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 프레임(17a)에 회로 기판(11, 12) 등을 탑재하는 것만으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로서의 강도가 부족해 버린다.
이 때문에 통상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로서의 강도를, 이 장치를 부착하는 외부 부재(이것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부착하는 대상에 따라 가지가지가 있다. 이송할 때 등은 보호용의 부재에 부착되는 일도 있다)에 따라 확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 상기 외부 부재와 프레임(17a)을 회로 기판(11, 12) 및 커버(14, 15) 등을 끼워서 나사 등으로 체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회로 기판에 나사 등의 고저 수단을 관통시키는 구멍을 다수 형성할 수도 없어서, 체결부는 수개 장소 정도에 머물었다. 이 때문에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한 하중 분포가 불균일해서, 체결부를 지점으로 하여 PDP(10)가 휘어져 버리는 등, 강성의 부족이 문제시되고 있었다.
이 강성 부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프레임(17a)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프레임(17a)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이번에는 프레임(17a)의 평면도를 높게 해야할 문제가 생겨 버린다. 즉 프레임(17a)이 얇을 경우에는 프레임(17a)의 평면도가 낮아도, 즉 휘어 있다 하더라도, PDP(10)에 대한 부하는 적어서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 그러나 프레임(17a)이 두꺼워지면, 휜 프레임(17a)에 접착한 패널(10)에는 과대한 부하가 걸리게 되어, 패널이 쪼개지는 원인이 되어 버리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코스트가 큰 증대를 수반하는 일이 없이,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 가능한 프레임 구성을 갖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균열 플레이트의 제1∼제3 형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3은 메인 프레임과 균열 플레이트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5는 AC형 컬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균열성 개량의 일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부호의 설명]
1…접착제
2…전열 고무 시트
3…스페이서
4…칩관
5…탭(tab)
6…소켓(socket)
10…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11, 12…회로 기판
13…드라이버
14, 15…커버
16…커버 드라이버
17…메인 프레임
17a…프레임
18, 18a, 18b, 18c…균열 플레이트
19…나사
21…전면 투명 기판
22…배면 기판
23…어드레스 전극
24…격벽(리브)
25…형광체층
25R…적색 형광층
25G…녹색 형광층
25B…청색 형광층
26…표시 전극(서스테인 전극)
27…금속 버스 전극
28…유전체층
29…보호층
30…간극
31…체결부
32, 33…리브
34…방열 핀(fin)
35…중발부(中拔部)
청구항 1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PDP와, 상기 PDP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갖춘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을 탑재하기 위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PDP에 고정되는 균열(均熱) 플레이트를 갖도록 구성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회로 기판과, PDP 사이에 분리 가능한 메인 프레임과 균열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각조 구성을 메인 프레임에 설치해 두면, PDP에 고정되고, 폐기의 가능성을 전제로 하지 않으면 안될 균열 플레이트는 낮은 코스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어떠한 이유로 인해 PDP를 교환해야 할 경우에는, 메인 프레임을 균열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하고, PDP 및 그것에 고정된 균열 플레이트만을 교환하면 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균열 플레이트는 PDP에 접착되도록 구성된다.
청구항 2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접착제에 의해 PDP와 균열 플레이트가 밀착해서 고정됨과 동시에, PDP와 균열 플레이트 사이의 열 전도성이 양호하게 된다. 이에 따라 PDP에서 생기는 열은 균일하게 분산함과 동시에, 균열 플레이트를 통해서 효율적으로 메인 프레임에 전달된다.
청구항 3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균열 플레이트는 복수의 요철부를 갖추어 이루어지며, 상기 볼록부가 상기 PDP에 근접함과 동시에, 오목부에 형성된 접착제에 의해 상기 PDP에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청구항 3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요철부의 존재에 의해 균열 플레이트 자체의 강도가 증가함과 동시에, 접착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낮은 코스트화가 실현된다. 또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은 영역에서는 균열 플레이트와 PDP가 근접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PDP 전면에서 균열 플레이트에 대한 열 전도성이 양호하게 된다. 이에 따라 PDP에서 생기는 열은 균일하게 분산함과 동시에, 균열 플레이트를 통해서 효율적으로 메인 프레임에 전달된다.
청구항 4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균열 플레이트는 표면에 복수의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PDP에 근접함과 동시에, 상기 스페이서간에 형성된 접착제에 의해 상기 PDP에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청구항 4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3에 관한 구성을 간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즉 스페이서에 의해 청구항 3에서의 볼록부를 실현하고 있기 때문에, 강도 향상의 작용은 적지만 균열 플레이트의 가공 작업이 불요하다. 접착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키는 점과 열 전도성 및 균열성이 양호한 점은 마찬가지이다.
청구항 5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메인 프레임은 복수의 탭을 가지며, 상기 균열 플레이트는 상기 탭이 삽입되는 소켓을 갖추고, 상기 탭(tab)이 상기 소켓에 삽입됨으로써 접합하도록 구성한다.
청구항 6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탭이 소켓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탭 및 상기 소켓이 나사로 죄이도록 구성한다.
청구항 5 및 6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메인 프레임과 균열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접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메인 프레임은 상기 PDP로부터 생기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부를 갖추도록 구성한다.
청구항 8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방열부는 방열 핀(fin)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청구항 7 및 8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PDP로부터 생기는 열을 방열부 예컨대 방열 핀을 갖추고 있으며, PDP로부터 생기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이들 구성은 PDP에 고정된 균열 플레이트로부터 분리 가능한 메인 프레임이 설치되기 때문에, PDP 및 균열 플레이트가 교환되는 가능성을 전제로 하더라도, 코스트를 크게 증대시키는 일은 없다.
청구항 9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메인 프레임은 외주를 따라 설치된 제1 리브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청구항 9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메인 프레임 외주에 설치한 리브에 의해 메인 프레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리브를 형성하고 있는 장소 이외의 영역을 얇게 할 수 있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리브의 존재는 메인 프레임의 표면적을 넓히는 것에도 이어지기 때문에, 방열부로서도 작용한다.
청구항 10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메인 프레임은 그 표리를 관통하는 중발부(中拔部)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청구항 10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중발부의 존재에 의해 메인 프레임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메인 프레임은 상기 중발부의 주위를 따라 설치된 제2 리브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청구항 11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중발부 주위의 리브에 의해 중발부의 형성으로 메인 프레임의 강도가 저하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 리브의 존재는 메인 프레임의 표면적을 넓히는 것에도 이어지기 때문에, 방열부로서의 작용도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과 동일한 것은 동일한 부호로 표기하고 있으며, 17은 메인 프레임, 18은 균열 플레이트이다.
균열 플레이트(18)는 메인 프레임(17)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PDP(10)에 접착되어 고정된다. 메인 프레임(17)에는 구동 회로 등을 갖춘 회로 기판(11, 12)이 탑재되어 있다. 13은 드라이버이며, 회로 기판(11, 12)의 단부에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 등으로 PDP(10)에 접속되어, PDP(10)에 갖추어진 각 전극을 구동하는 것이다. 14, 15는 커버이고, 회로 기판(11, 12)을 보호하기 위해서 회로 기판(11, 12)을 덮어서 설치되어 있다. 16은 커버 드라이버이며, 드라이버(13)를 보호함과 동시에, 드라이버(13)로부터 생기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판으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4는 PDP(10) 내의 가스를 배기하기 위해 사용된 칩관이며, 균열 플레이트(18)의 대응 장소에는 균열 플레이트(18)가 칩관에 접촉하지 않도록 노치(notch)가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PDP(10)와 함께 프레임(17a)이 폐기되는 가능성을 전제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코스트 증대를 초래하는 복잡한 구성을 프레임(17a)에 설치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회로 기판(11, 12)과 PDP(10) 사이에 비교적 낮은 코스트로 형성할 수 있는 균열 플레이트(18)와, 방열성, 강도 등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춘 메인 프레임(17)을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즉 PDP(10)와 균열 플레이트(18)는 접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므로, PDP(10)를 교환할 필요가 생길 때에는 PDP(10)아 균열 플레이트(18)를 동시에 교환하게 되나, 메인 프레임(17)은 균열 플레이트(18)로부터 용이하게 떼낼 수 있기 때문에, 폐기하는 부분은 PDP(10) 및 비교적 낮은 코스트의 균열 플레이트(18)만이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방열성 또는 강도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메인 프레임(17)에 설치해 둠으로써, 코스트의 증대를 수반하는 일이 없이 균열성 및 방열성의 향상, 또는 강도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도 2의 a∼c는 각각 균열 플레이트(18)의 제1∼제3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1에서의 원으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a는 가장 간단한 구성이며, 압연한 알루미늄으로 된 1개의 판으로 구성된 균열 플레이트(18a)를 접착제(1)로 PDP(10)에 접착하는 것이다. 또한 같은 도면에서는 일률적으로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으나,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 등을 까는 방법이어도 상관이 없다.
그러나 전체 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면 코스트의 증가를 초래할 경우가 있다. 도 2b는 접착층을 부분적으로 형성한 예이다.
이 균열 플레이트(18b)에는 주기적인 요철이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볼록부가 PDP(10)에 근접함과 동시에, 오목부에는 접착제(1)가 형성되어 균열 플레이트(18b)와 PDP(10)를 접착하고 있다. 접착제로서는 내열성 및 열 전도성이 우수한 것이 적당하며, 여기서는 3M제의 양면 테이프인 "VHBTM아크릴 폼 구조용 접합 테이프"를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양면 테이프는 주기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전체 면에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양면 테이프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영역은 PDP(10)와 균열 플레이트(18b)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균열 플레이트(18b)가 PDP(10)에 근접하도록 하는 가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상적으로는 복록부가 PDP 표면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소 간격이 벌어져 있어도 상관이 없다. 이는 가공 정밀도에도 좌우되는 것이다.
균열 플레이트(18b)는 압연한 알루미늄의 1개의 판을 드로잉 가공 또는 프레스 가공 등의 수법에 의해 가공함으로써 실현이 가능하다. 또한 균열 플레이트(18b)가 주기적인 요철을 갖추는 것은 균열 플레이트(18b)의 강도 향상에도 이어지는 것이다. 상술한 도 1은 이 도 2b에 개시한 균열 플레이트(18b)를 채용한 예를 개시한 것이며, 상기 요철부가 스트라이브 형상으로 나타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균열 플레이트(18b)에 주기적인 띠 형상의 요철부를 형성하였으나, 이 요철은 반드시 띠 형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격자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랜덤으로 형성할 수도 있어서, 설계자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다.
도 2c는 상술한 드로잉 가공 또는 프레스 가공 등을 실시하는 일이 없이 도 2b와 동등한 균열 플레이트를 실현하는 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b에서의 균열 플레이트(18b)의 볼록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페이서(3)를 배치하고 있다. 그 결과, 균열 플레이트(18c)에 드로잉 가공 또는 프레스 가공 등을 실시하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게 낮은 코스트의 균열 플레이트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스페이서(3)는 띠 형상의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의 것 등 각종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PDP(10)로부터 생긴 열은 균열 플레이트(18a, 18b, 18c)에 의해 균일하게 분산되어, 균열 플레이트(18a, 18b, 18c)가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17)에서 방열된다.
도 3은 메인 프레임(17)과 균열 플레이트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균열 플레이트(18)는 폐기될 가능성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너무 복잡한 구성을 취할 수 없다. 그러나 그 "복잡한 구성"을 메인 프레임(17)에 설치하고, 이 메인 프레임(17)으로 비교적 낮은 코스트의 균열 플레이트(18)를 지지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메인 프레임(17)은 균열 플레이트(18)와 결합하기 위한 탭(5)을 복수(도3에서는 11개 장소) 갖추고 있다. 한편 균열 플레이트(18)는 탭(5)이 삽입되는 소켓(6)을 탭(5)에 대응하는 위치에 갖추고 있다. 또한 탭(5) 및 소켓(6)에는 각각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대응하는 각 탭(5) 및 소켓(6)이 각각 인접하도록 메인 프레임(17) 및 균열 플레이트(18)를 겹쳐서 메인 프레임(17)(또는 균열 플레이트(18))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탭(5)을 소켓(6)에 삽입하여, 메인 프레임(17)을 균열 플레이트(18)에 접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나사 구멍에 나사(19)를 삽입하여 양자를 완전히 체결, 고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 프레임(17)은 PDP(1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강체로서 기능하고, 회로 기판(11, 12)과 PDP(10)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PDP(10)에 접착한 균열 플레이트(18)를 강체인 메인 프레임(17)에 복수 장소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어서, 강도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해서도 하중 분포를 균등하게 할 수 있어서, PDP(10)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작금의 PDP(10)는 고정세화가 진행하고 있어서, 패널 내의 전극이나 리브 구조 등이 미세화하고 있으므로, 휨 방지는 신뢰성의 점에서 대단히 유효하다.
도 4는 도 3에서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a는 메인 프레임(17)과 균열 플레이트(18)를 체결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a에서의 원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다. 31은 체결부이며, 소켓에 탭을 삽입하여 나사로 죈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체결부(31)가 4 귀퉁이와 장변 중앙 부근에 각 1 개씩, 대향하는 장변의 중간 부근에 장변에 거의 평행으로 5개, 합계 11개 장소가 형성되어 있다.
32, 33은 리브, 35는 방열 핀, 35는 중발부이다.
리브(32)는 메인 프레임(17)의 외주를 따라 설치된 볼록부이며, 메인 프레임(17)의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리브(32) 이외의 영역을 얇게 하여 메인 프레임(17)의 경량화를 실현하고 있다. 중발부(35)는 메인 프레임(17)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이며, 중발부(35)에 존재에 의해서도 또한 메인 프레임(17)의 경량화가 도모되고 있다. 또 중발부(35)의 존재에 의해 메인 프레임(17)의 강도가 저하하지 않도록 중발부(35)의 주위를 따라 리브(35)가 설치되어 있다.
방열 핀(34)은 PDP(10)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기 위한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8개의 방열 핀이 갖추어져 있다. 또한 상기 리브(32, 33)는 방열부로서도 작용한다.
이들 구성은 폐기될 가능성을 전제로 하고 제조되는 균열 플레이트(18)와는 별도 부품으로서 메인 프레임(17)을 설치함으로써 채용 가능해진 것이다. 가령 어떠한 이유로 인해 PDP(10)를 교환할 필요가 생길 때에는, 메인 프레임(17)과 균열 플레이트(18)를 분리해서 PDP(10) 및 비교적 낮은 코스트로 제조되는 균열 플레이트(18)만을 교환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구성을 갖춘 메인 프레임(17)은 알루미늄 플레이트의 절삭으로도 제조는 가능하지만, 양산을 고려하면 알루미늄의 주조(알루미늄 다시 캐스트)에 의한 제조가 적당하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고정되는 균열 플레이트와, 그 균열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메인 프레임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코스트가 큰 증대를 수반하는 일이 없이 방열성, 강도 등 각종 문제점을 개선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구비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을 탑재하기 위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고정되는 균열 플레이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 플레이트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 플레이트는 복수의 요철부를 구비하여 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근접함과 동시에, 오목부에 설치된 접착제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 플레이트는 표면에 복수의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근접함과 동시에, 상기 스페이서 사이에 설치된 접착제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복수의 탭을 가지며, 상기 균열 플레이트는 상기 탭이 삽입되는 소켓을 갖추고, 상기 탭이 상기 소켓에 삽입됨으로써 걸기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탭이 상기 소켓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탭 및 상기 소켓이 나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생기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방열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외주를 따라 설치된 제1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그 표리를 관통하는 중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중발부의 주위를 따라 설치된 제2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980052136A 1998-03-25 1998-12-01 플라즈마디스플레이장치 KR100309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7506 1998-03-25
JP07750698A JP3747306B2 (ja) 1998-03-25 1998-03-25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550A true KR19990076550A (ko) 1999-10-15
KR100309964B1 KR100309964B1 (ko) 2001-12-17

Family

ID=13635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136A KR100309964B1 (ko) 1998-03-25 1998-12-01 플라즈마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88489B1 (ko)
EP (1) EP0945888B1 (ko)
JP (1) JP3747306B2 (ko)
KR (1) KR100309964B1 (ko)
DE (1) DE69825030T2 (ko)
TW (1) TW428153B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202A (ko) * 2002-01-31 2003-08-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프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젼용 히트 스프레더
KR100416148B1 (ko) * 2001-09-17 2004-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용 샤시 베이스
KR100444522B1 (ko) * 2002-02-19 2004-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KR100467429B1 (ko) * 2002-06-18 2005-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84107B1 (ko) * 2002-09-14 2005-04-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dp 모듈
KR100486914B1 (ko) * 2002-09-12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체결방법
KR100486913B1 (ko) * 2002-09-12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812865B1 (ko) * 2001-04-05 2008-03-1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모듈의 포장방법
US7564698B2 (en) 2003-08-12 2009-07-21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7790B2 (en) * 1998-05-19 2004-05-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heat insulating member
TW472944U (en) * 2000-01-19 2002-01-11 Acer Display Tech Inc Assembled structure of plasma display module
KR100354929B1 (ko) 2000-10-16 2002-10-11 엘지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방열 시스템
JP5042414B2 (ja) 2001-04-24 2012-10-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261888B2 (ja) 2001-12-25 2009-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3255852A (ja) * 2001-12-25 2003-09-10 Canon Inc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分解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3288028A (ja) 2001-12-25 2003-10-10 Canon Inc 画像表示装置の分解方法、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支持体の製造方法、画像表示部の製造方法、加工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0446084B1 (ko) * 2002-01-16 2004-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표시장치
CN1301528C (zh) * 2002-04-26 2007-02-2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等离子显示装置的制造方法及其拆解方法
KR20040008265A (ko) * 2002-07-06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453902B1 (ko) * 2002-07-23 2004-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채용한 화상 표시장치
KR100450207B1 (ko) * 2002-08-22 2004-09-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90541B1 (ko) * 2002-11-12 2005-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23296B1 (ko) 2003-03-28 2008-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0358073C (zh) * 2003-06-04 2007-12-26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导热贴片及应用此导热贴片的背光模块与等离子显示器
KR100542188B1 (ko) * 2003-08-26 2006-0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44129B1 (ko) * 2003-09-01 2006-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TWI270914B (en) * 2003-10-07 2007-01-11 Au Optronics Corp Plasma display with increased laminate strength between plasma display board and heat dissipation boards
KR100542224B1 (ko) * 2003-10-09 2006-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과 제조 장치
KR100563052B1 (ko) 2003-10-10 2006-03-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42190B1 (ko) * 2003-10-17 2006-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드라이버 ic 방열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69699B1 (ko) * 2003-11-25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69711B1 (ko) 2004-02-19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US7508673B2 (en) * 2004-03-04 2009-03-24 Samsung Sdi Co., Ltd. Heat dissipating apparatus for plasma display device
KR100612278B1 (ko) * 2004-05-18 2006-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53211B1 (ko) 2004-05-24 2006-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12234B1 (ko) * 2004-05-28 2006-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4221605B2 (ja) * 2004-07-12 2009-02-1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パネル装置
JP2006065198A (ja) * 2004-08-30 2006-03-09 Toshiba Corp 表示装置
KR100590043B1 (ko) * 2004-09-24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60082272A1 (en) * 2004-09-24 2006-04-20 Ki-Jung Kim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626021B1 (ko) * 2004-10-19 2006-09-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패널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와,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의 제조 방법
KR100683703B1 (ko) * 2004-11-17 2007-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3732B1 (ko) * 2004-12-10 2007-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US7262968B2 (en) * 2004-12-15 2007-08-28 Chunghwa Picture Tubes, Ltd. Device for decreasing the temperature from address IC of plasma display panel and the method thereof
KR100670252B1 (ko) * 2004-12-17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샤시 베이스 조립체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적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
KR100708671B1 (ko) * 2005-02-15 2007-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751324B1 (ko) * 2005-02-24 2007-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샤시 베이스 조립체와, 이를 적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
KR100728780B1 (ko) 2005-03-10 2007-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9087669B2 (en) * 2005-06-27 2015-07-21 Graftech International Holdings Inc.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properties
JP4746931B2 (ja) * 2005-07-22 2011-08-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パネルモジュール及び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US7609031B2 (en) * 2005-12-02 2009-10-27 Southwest Electronic Energy Corporation Method for balancing lithium secondary cells and modules
JP4893035B2 (ja) * 2006-03-17 2012-03-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平面型表示装置
KR20070107272A (ko) * 2006-05-02 2007-1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722119B1 (ko) * 2006-09-20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KR100729084B1 (ko) 2006-09-21 2007-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KR100769425B1 (ko) 2006-09-21 2007-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893615B1 (ko) * 2006-11-20 2009-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7880434B2 (en) 2008-05-21 2011-02-01 Southwest Electronic Energy Corporation System for balancing a plurality of battery pack system modules connected in series
US8248777B2 (en) 2008-05-23 2012-08-21 Apple Inc. Viscoelastic material for shock prote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US8305744B2 (en) 2010-05-14 2012-11-06 Apple Inc. Shock mounting cover glass in consumer electronics devices
US9099871B2 (en) 2010-10-06 2015-08-04 Southwest Electronic Energy Corporation Module bypass switch for balancing battery pack system modules
CN102681220A (zh) * 2011-03-11 2012-09-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装置
US9342108B2 (en) 2011-09-16 2016-05-17 Apple Inc. Protecting an electronic device
US9129659B2 (en) * 2011-10-25 2015-09-08 Apple Inc. Buckling shock mounting
US8862182B2 (en) 2012-08-31 2014-10-14 Apple Inc. Coupling reduction for electromechanical actuator
US9432492B2 (en) 2013-03-11 2016-08-30 Apple Inc. Drop countermeasures for electronic device
US9505032B2 (en) 2013-03-14 2016-11-29 Apple Inc. Dynamic mass reconfiguration
US9715257B2 (en) 2014-04-18 2017-07-25 Apple Inc. Active screen protection for electronic device
US9612622B2 (en) 2014-05-13 2017-04-0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ousing
US9571150B2 (en) 2014-05-21 2017-02-14 Apple Inc. Screen protection using actuated bumpers
US10310602B2 (en) 2014-07-11 2019-06-04 Apple Inc. Controlled gyroscopic torque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820455B2 (en) 2016-11-22 2020-10-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TWI767283B (zh) * 2020-07-27 2022-06-11 眾福科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0093A (ja) 1994-01-26 1995-08-11 Fujitsu General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885147B2 (ja) 1995-09-29 1999-04-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表示装置
US5971566A (en) * 1996-07-23 1999-10-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lasma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H10143082A (ja) 1996-11-11 1998-05-29 Mitsubishi Electric Corp 平板表示パネル冷却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865B1 (ko) * 2001-04-05 2008-03-1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모듈의 포장방법
KR100416148B1 (ko) * 2001-09-17 2004-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용 샤시 베이스
KR20030065202A (ko) * 2002-01-31 2003-08-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프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젼용 히트 스프레더
KR100444522B1 (ko) * 2002-02-19 2004-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KR100467429B1 (ko) * 2002-06-18 2005-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86914B1 (ko) * 2002-09-12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체결방법
KR100486913B1 (ko) * 2002-09-12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484107B1 (ko) * 2002-09-14 2005-04-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dp 모듈
US7564698B2 (en) 2003-08-12 2009-07-21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47306B2 (ja) 2006-02-22
EP0945888A3 (en) 2000-01-12
EP0945888B1 (en) 2004-07-14
US6288489B1 (en) 2001-09-11
JPH11272182A (ja) 1999-10-08
DE69825030T2 (de) 2004-11-11
TW428153B (en) 2001-04-01
DE69825030D1 (de) 2004-08-19
EP0945888A2 (en) 1999-09-29
KR100309964B1 (ko) 200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9964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장치
KR100751327B1 (ko) 샤시 베이스 조립체와, 이를 적용한 평판 표시 장치
JP430322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759574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US20050067963A1 (en) Plasma display panel assembly
KR20050122517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
KR10045762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165284A (ja) 放熱性能が改善されたプラズマ表示装置の組立体
JP2005332819A (ja) 照明システム
JP2005099734A (ja) 放熱シートを備え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33789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
KR10052892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
KR2005001131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82529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15174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25988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223902B1 (ko) 피디피 세트의 방열판 구조
KR10045318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
KR10062601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3713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123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92262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200265307Y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장치
KR10062605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4972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