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274A - 단추공재봉틀의재봉사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단추공재봉틀의재봉사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274A
KR19990072274A KR1019990001098A KR19990001098A KR19990072274A KR 19990072274 A KR19990072274 A KR 19990072274A KR 1019990001098 A KR1019990001098 A KR 1019990001098A KR 19990001098 A KR19990001098 A KR 19990001098A KR 19990072274 A KR19990072274 A KR 19990072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thread
sewing
thread cutting
looper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9611B1 (ko
Inventor
토마스 뇔트게
에버하드 카스트룹
Original Assignee
후란쯔 말그라프, 엑카르트 로렌쯔-메이어
뒬코프 아들러 악틴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란쯔 말그라프, 엑카르트 로렌쯔-메이어, 뒬코프 아들러 악틴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후란쯔 말그라프, 엑카르트 로렌쯔-메이어
Publication of KR19990072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2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controlled by the sew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 D05B3/08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for buttonholes with eyelet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수직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루퍼베어링(70)을 가진 단추공재봉틀의 재봉사 절단 장치에 있어서 루퍼재봉사(60)와 침사(針絲)가 서로 독립하여 이동할 수 있는 재봉사 절단 공구(42, 53)가 설치되어 있다. 루퍼베어링(70)에는 구동장치가 재봉사절단공구(42, 53)를 위한 공압시린더(29, 30)의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장치(69)에 의하여 신축 호스(33, 37)형태 또는 회전전달의 형태로 압축공기가 정치식 압축 공기원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발명에 따르는 재봉사 절단장치는 루퍼베어링(70)의 회전 위치와는 관계없이 재봉사 절단공구(42, 53)의 작동을허용한다.

Description

단추공재봉틀의 재봉사절단장치{Thread cutting device for an eyelet buttonhole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상위개념에 따르는 재봉사 절단장치에 있어서 제특징으로 이루어지며 발명대상은 다음 장점에서 현저히 나타나 있다:
· 재봉사 절단기의 작동은 루퍼베어링의 회전상태와는 무관하게 이루어 진다.
· 루퍼베어링-회전과 재봉사 절단기-제어의 이중작동으로 인한 재봉틀 싸이클 타입의 단축
· 만들 견본의 구조설계 및 재봉제품의 배열시 각각의 제한을 벗어남으로서 견본의 질 제고
· 구성부품수를 될수록 줄여서 제작비를 절감하고 신뢰도를 높임
· 재봉사절단장치는 루퍼베어링의 완벽한 부품으로서 루퍼베어링이 경제적이면서 선조립이 가능한 단위를 이룬다.
청구항 2에 따르는 또 다른 구조는 정치 에너지원으로부터의 에너지 공급을하여준다. 청구항 3의 제특징에 의하여 큰 에너지 공급이 된다. 청구항 4에 따르는 또 다른 구조는 간단하면서 안전한 작동을 하는 구동장치로서 요구되는 구조공간에 대하여 비교적 큰 하중을 낼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르는 형태는 고출력의 재봉사 절단기의 구동이 된다. 청구항 6에 따른 다른 구조에 의하여 간단하면서도 개별 공압시린더의 분리제어라는 장점이 있다. 청구항 7의 특징은 공간절감형이라는 점이다. 청구항 8에 따른 다른 구조는 구동장치의 배치에 관한 설계상의 장점을 가져온다. 청구항 9의 특징은 구동장치를 정치 압축공기원과 연결하여 주기 위한 경제적이며 확실한 작동을 해주는 해결방안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청구항 10에 따르는 다른 구조는 루퍼베어링의 회전상태에 대하여 이에 배치되어 있는 재봉사 절단공구로 완벽한 자유이동을 허용한다. 이로인한 장점을 든다면 루퍼베어링의 소요회전상태는 최소의 시간소요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청구항 10에 따르는 다른 구조에 관하여서는 DE 34 11 178 C2 (미국- PS4.594.954에 상당)에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우징에 정치 압축공기원으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추공재봉틀의 유형에 따른 재봉사절단장치를 루퍼베어링의 각 회전상태에서 그의 재봉사절단공구를 제어할 수 있도록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유형에 의한 단추공재봉틀은 듈코프 아들러 분류번호 578-11321 E 831(최근에는 분류번호 578-113221 E 1831로 표시)로서 코론 견본시장 1MB1997에서 엑스포나트 30으로 전시 되었으며 이에의하면 지그재그형의 교대로 단일 및 이중체인 바늘뜸을 한 재봉비드가 생긴다. 단추공재봉틀의 재봉품 받침대 밑에 있는 회전 루퍼베어링을 포함하는 회전 재봉공구를 가진 것이 특징인데 재봉공구와 루퍼베어링은 재봉침의 종축에 대하여 평행한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가능한 루퍼베어링에는 재봉사 절단공구가 설치되어 있는데 한 개의 침재봉사와 한 개의 루퍼재봉사를 위하여 감안되어 있는 재봉사 절단구로 구성되어 있다. 양 재봉사 절단구는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별도 구동으로 작동이 가능하다. 재봉사 절단공구에 필요한 운동은 루퍼베어링이 설치되어 있는 회전상태에서 구동연결은 재봉사 절삭구로부터 재봉틀프레임에 정치되어 있는 구동장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재봉사절단공구 또는 개별 재봉사절단공구의 제어가 연속적으로 되어서 기계사이클이 길어진다.
원칙적으로 단추공재봉틀의 재봉사절절단기에 대한 이동유형은 DE-PS 631138에 공지되어 있다. 설명한 구조에서는 또한 사용기술상 단점이 생겨난다.
따라서 비드의 설계시 그의 끝 단에서 반드시 루퍼베어링이 이때 재봉사절단을 할수 있게 회전상태를 취하도록 절단이 되거나 또는 배치가 되어야 한다. 일정하게 사용할 때 가공단추공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는 제약을 따르게 된다. 또한 예컨대 실구멍과 같이 일정한 비드형에 있어서 고유 재봉제품 부분에 대한 실구명의 상대위치에 관한 제약 및 이에 따른 품질저하가 생길 수 있다. 또 곤난한 점은 재봉사절단장치가 재봉과정의 끝에가서 필요한 구동운동을 단추공재봉틀의 아직 근소한 각도로 회전하는 주제어판으로부터 유도해야 할 때 발생한다.
또 다른 단점으로서는 기계하우징 또는 이에 지지되어 있는 구동에대한 루퍼베어링의 일정한 상대위치에서 구동연결에 필요한 크러치를 포함한 재봉사절단장치를 작동시켜주는 구동바에 대한 소요부품의 가지수이다.
한편 재봉사절단기 작동을 위하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루퍼베어링의 구동장치 배설의 특징에 관해서는 KSL 유한회사 카일만의 재봉틀에서 볼 수 있다. 이에 추가로 한 카다로구 회전 재봉헤드를 가진 KL l1O CNC 재봉틀, 간기(刊紀) ; 11O brief, 05. 11. 1996과 KSL 유한회사 카일만의 CNC - 재봉틀의 부수명세페지 2 및 3에서 한가지 재봉틀이 명시되어 있는데 이에의하면 회전 재봉헤드는 반드시 재봉방향에 대하여 절선방향으로 향해 있다. 더 설명이 되고 그러한 재봉틀이 견본시장에서 공지되어 있는 바와같이 재봉헤드는 이중단계침 또는 이중체인침-유형 및 회전 루퍼 베어링으로 배설되어 있는 재봉사 절단기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때 루퍼베어링에 배설되어 있는 공압시린더는 유일하게 침 재봉사와 루퍼재봉사를 포함하는 재봉사 견인공구와 절단공구의 조작을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선행기술에서 단추공재봉틀의 경우에 있어서 침재봉사와 루퍼재봉사에 필요한 분리된 재봉사절단공구를 별도 구동장치로 구동시켜 주는 것은 공지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단추공재봉틀의 유형에 따르는 재봉사절단장치를 그의 재봉사절공구가 루퍼베어링의 각 회전상태에서 제어 될 수 있도록 개발하기위한 과제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기타특징, 장점 및 상세는 도면에의한 다음의 실시예의 설명에 나타나 있다.
도 1 단추구멍 사뜨기 재봉틀의 부분도
도 2 도 1의 부분확대도
도 3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부품의 도 2의 화살표방향 측면도
도 4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영역의 도 2의 화살표방향 Ⅳ 측면도
도 5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영역의 도 2의 화살표방향 Ⅴ 측면도
도 6 공합회로 약도
도 7 단추구멍 사뜨기재봉틀의 바느질영역에 대한 투시도
도 8 도 2에 제시되어 있는 부분의 하부 확대 단면도
도 9 도 8에 제시되어 있는 도 8의 Ⅸ 방향측면도
단추공재봉틀은 이하 재봉틀(1)이라 칭하며 일반구조에서 보면 암(2), 스탠드(3) 및 베이스 판(4)으로 구성되어 있다. 암(2)에는 재봉침 바(5)의 상하 이동의 구동을 위한 구동수단(표시안됨)으로 되어 있는데 도관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의 하단부(6)에는 재봉침(7)이 삽입되어 있다. 재봉사 릴(표시안됨)로부터 재봉침바(5)의 안구멍에 재봉사가 공급되는데 이를 통과하여 하단부(6)에서 빠져 나와 재봉 침(7)의 귀에 끼워진다. 실은 이하 재봉사(8)라 칭한다.
재봉사 바(5)는 베어링(9)내에 길이방향에 따라 슬라이딩이 되도록 수용되어 그의 회전위치에 따라 이동한다. 베어링(9)의 특이한 형태는 또한 베어링로드(5)에 진동이 일어나도록 되어 있다. 베어링의 구조는 미국-특허 1.991.627에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에 없는 상세한 없는 상세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베어링(9)에는 또한 기어벨트풀리(10)가 구성되어 있는데 기어벨트(11)에 의해 전달된다. 기어벨트(11)의 자유단은 한축(13)의 상단과 고정연결되어 있는 기어벨트풀리(12)에 의하여 잡혀져 있다. 이것은 암(2)근처 베어링(14)에서와 베이스판(4) 영역에서 또 하나의 베어링(15)이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15)및의 축(13)상에는 치차벨트풀리(16)가 고정되어 있는데 치차벨트(17)로 전동된다. 치차풀리(17)의 자유단은 중공축(19)상에 고정되어 있는 치차 벨트풀리(18)를 포함한다. 치차벨트풀리(10, 12)와 치차벨트풀리(11)에 의하여 상부 치차벨트(20)가 형성되며 치차벨트풀리(16, 18) 및 치차벨트(17)와 함께 하부치차벨트풀리(21)가 형성된다. 양 치차벨트풀리(20, 21)는 각각 변속비가 i = 1이다. 또한 상기 배열은 치차(10 및 18)가 수직으로 뻗어 있는 축(22)상에 배열되어 있도록 되어 있다. 똑같이 재봉침(5)은 축(22)상에서 약간의 변형운동을 제외하고- 재봉침(7)과 함께 뻗어 있다.
치차벨트풀리(18)를 바치는 중공축(19)은 베어링(23)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으며 이때 베어링(23)은 2개의 베어링부시(24, 25)로 구성되어 있다. 중공축(19)은 베어링 부시(24, 25)로 구성되어 있다. 중공축(19)은 베어링부시(24, 25)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축 방향에 따라서 크램핑링(26)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중공축(19)은 축(22)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프렌지(27)와 함께 구성되어 있다. 프렌지(27)는 전면(28)에 공압시린더(29)와 공압시린더(30)가 나사(31)과 (32)로 고정되어 있다. 공압시린더(29)는 복농식 시린더이며 이에 따라 도관(33, 34)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반하여 공압시린더(30)는 단동 공압시린더로 되어 이에따라 도관(35)과 연결되어 있다. 도관(34, 35)은 Y-형 연결조인트(36)에서 끝나며 여기에서부터 도관(37)이 분기된다.
프렌지(27)에는 도 2에 따라서 전면(28)으로부터 위로 뻗어 있는 베어링브록(38)과 베어링(39)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어링브록(38, 39)은 서로 일렬로된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안에 축(40)이 단단히 끼어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축(22)에 대하여 중앙에 있으며 직각이다. 축(40)상에는 선회레버(41)가 있어서 회전가능한채로 수용되어 있으며 한 단부에서 재봉사절단날(42)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선회레버(41)는 레버암(43)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의 임의 케블형태의 단부는 핀(보이지 않음)에 의하여 공압시린더(30)의 피스톤로드(44)와 구동되도록 연결이 되었다. 베어링브록(39)에는 U-형으로 되어 있는 앵글레버(46)의 이동지지를 위한 선회베어링(45)이 있다. 앵글레버(46)는 그의 하나의 선회-슬라이딩조인트(47)에 의해 전달부(48)와 연결된다. 전달부(48)는 상세히 표시되어 있지 않은 볼트-너트-결합에 의하여 공압시린더(29)의 피스톤로드(49)와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앵글레버(46)는 레버암(50)과 함께 구성되어 있는데 회전-슬라이드 조인트(51)에 의하여 재봉사절단구(53)의 구동부(52)와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재봉판(54)내에 구성되어 있어서 나사(56)에 의하여 한 레그(55)를 거쳐서 베어링 브록(39)에 고정되어 있다. 재봉사절단구(53)의 구조는 문헌 DE 44 36 613 C1 및 DE 195 31 727 A1(US-PS 5. 647. 290에 해당)에 공지되어 있으며 구조에 대하여 참조된다. 재봉핀(54)은 지지면 판(5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위에 재봉품(58)이 놓인다.
축(40)상에는 루퍼-장치(59)가 지지되어 있으며 도 2에 따라서 점선영역에 의하여 약도로 표시되어 있다. 루퍼장치(59)는 유형에 따른 단추공재봉틀에 의하여 공지되어 있다. 루퍼장치(59)는 대개 하나의 루퍼(60)를 안내하는 루퍼(61)와 또 하나의 루퍼(표시되어 있지않음)로 구성되어 있다.
루퍼재봉사(60)는 루퍼(61)에 도관(62)을 거쳐서 공급되며 표시되어 있지않은 고정 방식에 의하여 프렌지(27)에 고정되어 있다. 루퍼재봉사(60)는 재봉사릴(표시되어 있지않음)로부터 나와 도관(62)의 하단부(63)로 들어간다. 도관(62)은 그의 자유단과 함께 축 40(도 2)의 하부 약 1cm에서 끝나며 여기에서 루퍼재봉사(60)가 나와 거기서부터 루퍼(61)에 이른다. 루퍼-장치(59)는 텐숀로드(64, 65)에 의하여 구동도관(66, 67)과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도 5에 따라서 서로 동심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때 구동도관(67)은 축방향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구동도관(66)내에 수용된다. 또한 도 3에 따라서 또한 테블(76)에는 재봉틀크램프가 있이서 이에 의하여 재봉 감(58)이 테블(76)위에 부착된다.
재봉사절단인선(42)과 재봉사절단구(53)의 기능은 루퍼재봉사(60) 및 침재봉사(42)의 재봉사절단공구로서 소위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음으로 아래에서는 재봉사 절단공구의 구동장치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국한하고 자한다. 재봉중에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에는 압축밸브(71, 72)가 있다. 이때 공압시린더(29, 30)의 피스톤로드는 들어가 있는 위치를 취함으로 단추구멍-비드(80)(도 7)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루퍼(70)의 필요한 회전운동은 여하한 방법으로도 중공축(19)내에 수용되어 신축합성수지호스로 형성되어 있는 도관(33, 37)에 의하여 지장을 받지 않는다.
구동도관(66)은 슬라이딩이 되어 중공축에 지지되어 있다. 구동도관(67)은 구멍(68)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하여 도관(62)은 도관(37)과 도관(33)을통하여 뻗어 있다. 도관(33) 및 (37)은 신축 합성수지호스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합성수지호스는 도관내에서 여유있는 길이로 설치되어 있음으로 출발위치로부터 루퍼베어링(70)의 회전은 약 400°정도의 회전각만큼 가능하다. 도관(33)과 (37)은 공압시린더(29 및 30)에 압축공기형태의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69)의 일부이다.
상기 중공축(19)은 프렌지(27)와 모든 이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부품이 루퍼베어링(70)을 구성한다. 도1 과 6에 따라서 도관(33)은 공압밸브(71)와 도관(37)은 공압밸브(72)와 연결되어 있다. 양 공압밸브(71, 72)는 루퍼베어링(70)가까이서 장치된 베이스판(4)하부영역에 고정되어 있다. 공압밸브(71,72)는 3방향전환밸브로 되어 있으며 전자기 구동으로 인하여 2개의 위치설정이 가능하다. 공압밸브(71, 72)는 재봉틀(1)의 전기제어(표시되어 있지 않음)와 결속되어 있다. 또한 공압밸브(71, 72)는 도관(73, 74)에 의하여 압축공기원(75)과 연결되어 있다.
도 1에서 인용가능한 바와같이 재봉품(58)은 테블(76)위에 놓이며 그의 상부측은 주로 지지판(57)의 평면상에 뻗어 있다. 테블(76)은 이중화살표 방향으로이리저리 슬라이딩이 되도록 베어링내에 지지되어 있다.
단추구멍-봉합사(80)를 완료한 후 전기제어는 공압밸브(71, 72)의 전환을 시킴으로 공압시린더(29, 30)의 피스톤로드는 그의 밖으로 나온위치에 이르게되며 이에 따라 재봉사절단공구(42, 53)가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침재봉사(8)와 루퍼재봉사(60)가 두부분으로 절단된다. 약 1초의 짧은 시간이 경과한후 재차 공압밸브(71, 72)의 방향이 전환됨으로서 공압시린더(30)는 그안에 들어 있는 스프링에 의하여 안으로 들어온 피스톤로드의 위치로 전환된다. 이에 반하여 공압시린더(29)는 우선 전혀 이동을 하지 않고 그대로 머물러 있으며 이 위치에서 루퍼(61)에 의하여 공급된 루퍼재봉사(60)끝이 재봉사절단구(53)에 의하여 크램핑 된다. 다음에 재봉할 재봉그룹개시후 우선 제어는 공압밸브(71)의 방향전환을 시킴으로서 재봉사 절기(53)에 포함되어 있는 재봉사절공구를 원위치로 돌려준다. 재봉사절공구(42, 53)의 작동은 공압시린더(29, 30)가 한편으로는 재봉사절공구와 상시 구동접속을 하고 또 한편으로는 상시 신축 합성수지호스의 형태로 된 도관(33, 37)을 거쳐서 정치공압밸브(71, 72)와 연결되어 있음으로 루퍼베어링(76)의 회전위치와는 관계없이 행해진다.
유형에 따른 단추구멍 재봉틀의 경우에서 관례인것치럼 단추구멍-솔기(80) 또는 재봉그룹중에 루퍼베어링(7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이것은 각기 재봉과정초기에 재차 원위치를 취한다. 이는 루퍼베어링(70)의 전진 및 후진회전으로 이루어 진다.
도 8과 9에는 장치 69의 또 다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중공축(19)의 하단부에는 관형회전체(82)단부가 크램핑링(83)에 의하여 조여져 있다. 회전체(82)에는 2개의 주위 홈(84, 85)이 구성되어 있다. 홈(84)에는 파이프(86)가 끝나며 홈(85)을 관통하여 뻗어 있으며 회전체구멍(82)내에 납땜이 되어 있다. 홈(85)내에는 파이프(87)가 끝나며 회전체의 또 다른 구멍에 납땜이 되어 있다. 홈(85)내에는 파이프(87)가 끝나며 회전체의 또 다른 구멍에 납땜이 되어 있다.
회전체(82)로부터 파이프(86)의 아래로 나와있는 단부는 호스(88)로 연결되어 있다. 회전체(82)로부터 파이프(87)가 나와 있는 단부는 호스(89)와 연결되어 있다. 호스들(88, 89)은 쇄선(도 8)에 따라서 회전체(82)내부로 뻗어 있으며 거기로부터 중공축(19) 구멍(68)으로 들어가 있다. 호스(88, 89)의 자유단은 끝으로 다시 이미 언급된 라인(33,37)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회전체(82)는 외환(90) 구멍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수용되어 있다. 외환(90)은 크램핑링(83)과 회전체(82)에 형성되어 있는 칼라(91)에 축방향으로 안내되어 있다. 외환(90)은 내부에서 홈과 구성되어 그 안에 씰링(92, 93, 94)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은 회전체(82)의 주위와 밀폐되면서 접해 있다.
외환(90)은 씰링(92 내지 94)사이의 벽에 구멍(95, 9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구멍은 작은파이프에 의하여 호스(97, 98)와 연결되어 있다. 호스(97, 98)는 공압밸브(71, 72)에서 끝난다. 또한 외환(90)에는 케이블형 돌기(99)가 붙어 있어서 베어링(23)에 배치된 바(100)가 유격을 가지고 잡아주고 있다.
회전체(82) 및 외환(90)과 같은 주요부품을 구비한 여직것 설명한 단위는 하나의 회전체(101)를 형성한다. 이것은 정치되어 잇는 호스(97, 98)로부터 압축공기를 루퍼베어링(70)의 임의 회전운동과는 무관하게 호스(88, 89)에 공급하게 되어 있다.
재봉틀이 돌아가는중에 회전체(101)는 재봉사절단공구(42, 53)의 작동을 위한 루퍼베어링(70)의 임의 회전운동이 각각 제한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초래한다. 이는 반대로 루퍼베어링(70)의 원위치로 다시 돌아갈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서 원위치는 각각의 제한 없이 최단거리 즉 최단시간내에 도달할 수 있다.
재봉틀의 재봉사절단공구가 선행기술에 비하여 여러면에서 우수함으로 적용효과가 크다고 사료된다.

Claims (10)

  1. 다음의 제특징을 가진 단추공재봉틀(1)의 재봉사절장치에 있어서: 즉
    - 축(2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루퍼베어링(70)을 가지며
    - 루퍼베어링(70)에는 루퍼재봉사(60) 공급가능하며
    - 침(針)재봉실(8)을 가진 주로 축(22)상에 뻗어 있는 침(7)을 가지며
    - 루퍼베어링(70)에 침재봉사(8)의 제 1 재봉사절공구(42)와 루퍼재봉사의 제 2 재봉사절공구(53)가 상호 독립하여 움직이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 제 1 재봉사절공구(42)의 제 1 구동장치(29)와 제 2 재봉사절공구(53)의 제 2 구동장치(30)는 루퍼베어링(70)에 제 1 (29) 및 제 2 구동장치(30)가 설치되어 있는 제 특징들을 가진 단추공재봉틀(1)의 재봉사절단장치에 있어서 루퍼베어링(70)에는 구동장치(29, 30)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69)가 감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사절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장치(69)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33, 34, 35)에 의하여 정치에너지원(75)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사절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루퍼베어링(70)은 축(22)주위로 뻗어 있는 중공축(19)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적어도 한개 도관(33,34,35)이 통과하여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사절단장치.
  4. 제 1항 내지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구동장치중의 하나는 공압시린더(29, 30)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사절단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공압시린더는 복동 공압시린더(29)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사절단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구동장치중의 하나는 단동 공압시린더(30)이며 구동장치중의 다른 하나는 복동 공압시린더(29)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사절단장치.
  7. 제 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공압시린더(29, 30)는 종축이 일반적으로 축(22)에 평행하게 뻗어 있도록 루퍼베어링(70)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사절단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루퍼베어링(70)은 축(22)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프렌지(27)와 함께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공압시린더(29, 30)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사절단장치.
  9. 제 청구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관은 신축성의 호스(33, 34, 3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사절단장치.
  10. 제 청구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69)는 회전체(101)를 가지며 이에 의하여 에너지(압축공기)가 정치에너지원(75)으로부터 구동장치(29, 30)에 공급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사절단장치.
KR10-1999-0001098A 1998-01-15 1999-01-13 단추공재봉틀의 재봉사절단장치 KR100539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01226A DE19801226C1 (de) 1998-01-15 1998-01-15 Fadenabschneidvorrichtung für eine Augenknopflochnähmaschine
DE19801226.8 1998-0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274A true KR19990072274A (ko) 1999-09-27
KR100539611B1 KR100539611B1 (ko) 2005-12-29

Family

ID=7854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098A KR100539611B1 (ko) 1998-01-15 1999-01-13 단추공재봉틀의 재봉사절단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78902B1 (ko)
JP (1) JP4346140B2 (ko)
KR (1) KR100539611B1 (ko)
CN (1) CN1077624C (ko)
CZ (1) CZ296523B6 (ko)
DE (1) DE19801226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6025B2 (ja) * 1999-12-16 2011-05-18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糸切り装置
DE10035819C1 (de) * 2000-07-22 2001-11-15 Duerkopp Adler Ag Greifer für eine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mit einer Fadenabschneidvorrichtung
CN1097651C (zh) * 2000-09-08 2003-01-01 高林股份有限公司 缝纫机的上叉线切线装置
KR100843364B1 (ko) * 2001-02-23 2008-07-02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
JP2009061020A (ja) * 2007-09-05 2009-03-26 Brother Ind Ltd ミシンの糸切り装置
CN105133216B (zh) * 2015-08-18 2017-08-25 浙江中捷缝纫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机的剪线驱动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73227A (en) * 1917-01-15 1921-03-29 Singer Mfg Co Button-sewing machine
US1705044A (en) * 1926-06-01 1929-03-12 Reece Button Hole Machine Co Thread trimmer for buttonhole-sewing machines
US1991627A (en) 1931-10-16 1935-02-19 Reece Button Hole Machine Co Buttonhole sewing machine
US2020779A (en) * 1933-11-02 1935-11-12 Reece Button Hole Machine Co Buttonhole sewing machine
US2499335A (en) * 1946-04-25 1950-02-28 Singer Mfg Co Thread-trimming and pull-off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US2707927A (en) * 1954-05-25 1955-05-10 Trimless Inc Thread cutting device for sewing machines
US4404921A (en) * 1982-06-29 1983-09-20 Durkoppwerke Gmbh Buttonhole machine with automatic thread clipping
DE3411178C2 (de) 1984-03-27 1986-06-19 Kochs Adler Ag, 4800 Bielefeld Nähautomat mit einem Nähkopf mit Drehgehäuse
JP2722779B2 (ja) * 1990-05-22 1998-03-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穴かがりミシン
DE4110684C1 (ko) * 1991-04-03 1992-05-27 Duerkopp Adler Ag, 4800 Bielefeld, De
DE4436613C1 (de) * 1994-10-13 1996-03-07 Duerkopp Adler Ag Fadenabschneidvorrichtung
DE19531727C2 (de) * 1994-10-13 1999-09-30 Duerkopp Adler Ag Fadenabschneidvorrichtung für eine Nähmaschine
DE19615308C1 (de) * 1996-04-18 1997-07-17 Pfaff Ag G M Näh- oder Stickmaschine mit einer Fadenschneid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44568A (ja) 1999-09-14
US6178902B1 (en) 2001-01-30
CZ12499A3 (cs) 1999-08-11
CZ296523B6 (cs) 2006-04-12
CN1224087A (zh) 1999-07-28
CN1077624C (zh) 2002-01-09
DE19801226C1 (de) 1999-08-12
JP4346140B2 (ja) 2009-10-21
KR100539611B1 (ko)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5131B2 (ja) 外科縫合機
TWI468569B (zh) Crank arm type chain sewing machine blade drive device
KR100539611B1 (ko) 단추공재봉틀의 재봉사절단장치
JP2001232086A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US4574718A (en) Sewing machine head including a rotary housing
US4347797A (en) Sewing device for producing fastening stitches and tack stitches
US5095834A (en) Sewing machine with swingable stitch forming unit
JPH11276736A (ja) ボタン孔かがりミシン
JP3695763B2 (ja) 針棒ストロークと糸供給量とを調節するための調節装置を有するミシン
JPH09140966A (ja) ミシンの送り装置
JPH0148033B2 (ko)
JPH0231792A (ja) 自動ミシン
KR100294067B1 (ko) 다두 패턴 재봉기
US5797337A (en) Needle bar drive for a buttonhole sewing machine
WO2005031057A1 (ja) ルーパ駆動装置
CN218404677U (zh) 缝纫机小嘴式送料牙驱动机构
US4541348A (en) Automatic sewing machine for producing a seam having a fastening seam and a tacking seam
JP3695555B2 (ja) ミシンの保持枠駆動装置
JP2008132234A (ja) ミシン
JP2003175289A (ja) ポスト型ミシン
JP3693139B2 (ja) ミシンの半回転釜駆動装置
JPH0233751Y2 (ko)
CN2151992Y (zh) 一种接头缝纫机
JP3693145B2 (ja) ミシンの半回転釜駆動装置
JPH04175548A (ja) 往復作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