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1691A - 디지털 변조장치, 디지털 변조방법 및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변조장치, 디지털 변조방법 및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1691A
KR19990071691A KR1019980703968A KR19980703968A KR19990071691A KR 19990071691 A KR19990071691 A KR 19990071691A KR 1019980703968 A KR1019980703968 A KR 1019980703968A KR 19980703968 A KR19980703968 A KR 19980703968A KR 19990071691 A KR19990071691 A KR 19990071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word
conversion
memory
conversion table
codew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0240B1 (ko
Inventor
신이치 다나카
도시유키 시마다
다다시 고지마
고이치 히라야마
요시아키 모리야마
후미히코 요코가와
다카오 아라이
도시후미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츠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오카모토 세이시
도시바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오 이토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츠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오카모토 세이시, 도시바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오 이토,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90071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2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5/00Conversion of the form of th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digits
    • H03M5/02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 H03M5/04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the pulses having two levels
    • H03M5/14Code representation, e.g. transition, for a given bit cell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in one or more adjacent bit cells, e.g. delay modulation code, double density co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5/00Conversion of the form of th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digits
    • H03M5/02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 H03M5/04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the pulses having two levels
    • H03M5/14Code representation, e.g. transition, for a given bit cell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in one or more adjacent bit cells, e.g. delay modulation code, double density code
    • H03M5/145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지털 변조장치(DMA)는, 데이터워드(D)에 상응한 런랭스한정 코드워드(C)를 포함하는 복수의 변환표(Tp(m) 및 Ts(m))를 저장하기 위한 ROM표(201a, 201b, 201c 및 201d)와; 변환대상 데이터워드들(D(i))이 제공되는 연속적 코드워드들간에 상기 런랭스-한계 제한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앤드-런랭스 메모리(203a 및 203b) 및 산출기(204a 및 204b)와; 두 개의 변환표(Tp(1) 및 Tp(4))로부터 선택가능한 각각의 코드워드(C1(i) 및 C2(i))를, 상기 런랭스-한계 제한이 충족되는 경우, 버퍼 메모리(105a 및 105b)로 저장하며, 해당 코드워드(C(i))의 NRZI변환후 신호에 있어 최대한의 저주파요소 억압효과를 갖는 한의 코드워드(C(i))를 선택하기 위한 DSV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변조장치, 디지털 변조방법 및 그 기록매체
광디스크 매체관련 기록 및 재생에 이용되는 디지털 변조 및 변조장치는 전형적으로 도 8c의 블록도와 같이 구성된다. 통상의 디지털 변조 및 복조장치(DMC)는 데이터워드(data word)를 0비복귀반전신호(SNRZI)로 변조하기 위한 변조유닛(1000)과, 광디스크(OD)에 상기 신호(SNRZI)를 입력하거나 그로부터 읽어내기 위한 광헤드(optical head, OH)와, 상기 판독신호(SNRZI)를 최초의 데이터워드로 복조하기 위한 복조기(2000)를 포함한다.
특히, 변조과정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1000)에 의한 데이터워드(D(i))는 먼저, 코드컨버터(code converter, 1001)를 수단으로 하여, 광디스크(OD)상에 기록하기 적합한 코드워드(code word, C(i))로 변환된다. 상기 변환된 코드워드(C(i))는 이어서 NRZI컨버터(1002)에 의해 0비복귀반전신호(SNRZI)로 변환된다. 여기서, 'i'는 해당 데이터워드의 입력순서를 나타내는 정수이며, 따라서 입력되는 데이터워드의 총수보다 크지 않다. 상기 최종 NRZI신호는 다음으로 광헤드(OH)에 의해 상기 광디스크(OD)상에 기록된다.
상기 NRZI신호(SNRZI)는, 복조기(2000)에 의한 복조를 위하여, 상기 광디스크(OH)로부터 판독된다. 복조과정의 경우, 상기 NRZI신호(SNRZI)가 상기 코드워드(C(i) )로 변환된다. 즉, 최초의 데이터워드(D(i))를 판독해내기 위해서는, 상기 변조기( 1000)에 의한 변환과정이 역으로 실시된다. 상기 데이터워드(D(i)), 코드워드(C (i )) 및 NRZI신호(SNRZI)간의 관계는 도 9에 예시한다.
EFM변환
코드컨버터에서 데이터워드(D(i))를 코드워드(C(i))로 변환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8-14변조(eight-to-fourteen modulation, EFM) 변환이 있다. (d, k;m, i)용어로 표현되는 EFM변환법은, 상기 d를 각각의 코드워드(C(i))에서 허용된 최소 런랭스(runlength)로 하고, k를 각 코드워드(C(i))에서 허용된 최대 런랭스로 하고, m을 상기 데이터워드(D(i)) 길이로 하고, i를 상기 코드워드(C(i)) 길이로 하는 (2, 10; 8, 17) 코드시퀀스제한 변환법(code sequence constraint conversion method)이다.
런랭스는, NRZI변환후의 비신호전이(non-signal-transition), 예의 경우 1, 에 해당하는 상이값의 비트들간에 있어서, NRZI변환후의 신호전이(signal- transition), 예의 경우 0, 에 해당하는 값의 비트수이다. 상기 d 및 k제한은 런랭스한계를 의미하며, 이러한 형태의 런랭스제한 코드를 통상 (d, k)코드라 한다.
EFM변환의 경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8비트 데이터워드를 우선 14비트 코드워드로 변환한다. 예에 있어서는, 상기 코드워드(C(i))가 (2, 10)코드시퀀스제한을 충족시킴에 따라, 각 코드워드내 두 워드 사이에 2개 이상 10개 이하의 0을 갖게 된다. 이어서, 3비트 병합코드를 두 개의 14비트 코드워드 사이에 삽입한다. 각 코드워드는, 코드워드(C(i)) 및 전이코드를 갖는 17비트 코드시퀀스내에서 상기 ( 2, 10) 코드시퀀스제한을 또한 충족시키는 상태로 구성된다.
상기 전이코드는, 코드시퀀스제한을 충족시킴과 아울러, DSV(digital sum variation)값의 절대치를 감소시켜 해당 채널신호(channel signal), 즉, 상기 NRZI신호(SNRZI)의 저주파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상기 DSV는, 1비트 상태의 비트들이 +1값을 갖는 한편 다른 상태의 비트들은 -1값을 갖게 되는 2진비트시퀀스의 초기부터 누적됨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상기 변환과정을 제어하여 이 DSV값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비트시퀀스의 저주파요소를 억압할 수 있음이 공지되어 있다. 재생중의 신호 디지털화과정에 있어서의 스래시홀드값 변동(threshold value fluctuation)에 기인한 판독오차(read error)를 방지하기 위해서, 또는 기록 및 재생중 서보에러신호(servo error sig- nal)의 변동을 막기 위해서는 상기 NRZI신호(SNRZI)의 저주파요소를 억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FM변환은 상기 NRZI신호(SNRZI)의 저주파요소 억압에 관한 한 이처럼 효과적인 변환법이지만, 최근의 높은 기록밀도 광디스크 매체를 이용함에 있어서는 완전히 만족스러운 변환법이 못된다.
EFMplus변환법
EFMplus변환법은, 고밀도 기록(참조, Kees A. Schouhamer Immink, "EFMplus: The Coding Format of the High-Density Compact Disc," IEEE, 1995)관련 작업성향상을 위해 개발된 수정 EFM변환법이다. 상기 EFMplus변환법은, 앞서의 (2, 10; 8, 17)코드시퀀스제한 변환법과 비교할 때, 기록밀도면에서 17/16향상을 가져오는 (2, 10; 8, 16)코드시퀀스제한 변환법이다. EFMplus변환법에 있어서는 8-14변조(EFM) 변환이 8-16변조(ESM) 변환까지 확장되는 바, 이때, 8비트 데이터워드(D(i))는 16비트 코드워드(C(i))로 변환된다.
상기 EFM변환이 단일 정적 변환표를 이용하는 데 비하여, EFMplus변환에서는, 변환용 데이터워드가 주어질 때마다 특정 규칙에 따라 다수의 유용 변환표 가운데서 하나의 변환표를 선정하고, 해당 변환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워드를 코드워드로 변환한다. 특정된 단일 변환표의 이용을 해당 변환표에 상응하는 "상태(state)"라고 한다.
도 10은 EFMplus변환법에서 쓰일 수 있는 변환표(Tpc(m) 및 Tsc(m))의 예를 나타낸다. 도면에 따르면, 4개의 상태(상태 1에서 상태 4)별로, 각각의 상태와 관련지어 주(main) 및 부(secondary)의 형태로 2개씩 그룹지어진 전체 8개의 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주변환표는, 부호 Tpc(m)로 표시하며, 여기서, m은 상태번호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m=1은 상태 1일 때의 주변환표(Tpc(m=1))를 의미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m=2, 3 및 4는 상태 2에 대한 주변환표(Tpc(m=2)), 상태 3에 대한 주변환표(Tpc(m=3)) 및 상태 4에 대한 주변환표(Tpc(m=4))를 각각 의미한다. 아울러, 부변환표(Tsc(m)) 역시 그 상응하는 m을 써서 나타낸다.
상기 주변환표(Tpc(m))는, 8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워드, 즉, 256종류의 데이터워드와, 이들 각각의 데이터워드에 상응하는 16비트 코드워드를 포함한다. 각각의 부변환표(Tsc(m))는 한정적으로 선택된 데이터워드들(D)을 포함하며, 특히, 00000000으로부터 01010111에 이르기까지 88종류의 데이터워드 및 그에 상응하는 코드워드(C)를 포함한다. 상기 주변환표(Tpc(m)) 및 부변환표(Tsc(m ))는, 다음차례 변환의 상태를 나타내는 1부터 4까지의 숫자중 하나로 된 후속상태지수(NS)를 포함하고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후속변환상태, 즉 상기 주 및 부변환표(Tpc (m) 및 Tsc(m))가 해당 후속변환을 위해 사용되는 상태는, 직전변환으로부터 얻어진 코드워드(C(i-1))로 표시된다. 각각의 코드워드에 의한 후속상태 표시는, 자체 런랭스(최종적으로 연속된 '0'수)를 근거로 미리 결정된다. 이 단계가 있는 관계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의 코드워드(C(i-1) 및 C(i))간 연결에 있어서조차 상기 (2, 10)제한이 충족된다. 상기 첫 번째 변환표(Tpc(m=1) 및 Tsc(m=2))는 첫 번째 변환대상 데이터워드(D(i)), 즉, 첫 번째 동기화코드(synchronization code)에 이어지는 데이터워드를 위해 이용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각각의 변환표(Tpc(m) 및 Tsc(m))는, 단일 변환표에 포함된 코드워드들이 모두 공통의 특성을 공유하도록 편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두 번째 변환표(Tpc(m=2) 및 Tsc(m=2))에 포함된 코드워드들은, 첫 번째 비트 및 열세번째 비트가 모두 0임을 전제로, 한 개 이상 다섯 개 이하의 0으로 된 초기 런랭스를 갖는다. 상기 표(도 11)상의 "X"는, 비트값이 1 또는 0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하나의 데이터워드가 주어질 때마다 이들 8개의 변환표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1) 제1단계는, 앞서 언급한 방식대로의 선행 코드워드(C(i-1))에 의한 표시에 따라 후속변환(NS(i-1)) 상태를 결정하는 것이다.
(2) 변환대상 후속 데이터워드(D(i))가 00000000으로부터 01010111의 범위, 즉, 87 이하의 데이터워드인 경우, 상기 데이터워드(D(i))를 해당 NRZI신호(SNRZI)의 저주파요소에 대한 최대억압 효과를 가져오는 한의 코드워드(C(i))로 변환시켜주는 주변환표(Tpc(m)) 또는 부변환표(Tsc(m))를 선택한다. 변환대상 데이터워드(D(i))가 상기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주변환표(Tpc(m))가 항상 이용됨은 자명한 일이다.
이로써, 상기 EFMplus변환법에 의해 하나의 데이터워드(D(i))가 코드워드(C(i))로 변환되었다.
그러나, 도 10에 나타낸 바의 상기 각 변환표에 포함된 코드워드(C(i))에 어느 정도의 복사(duplication)가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선택상태에 따라서는 상이한 데이터워드(D(i))에 동일한 코드워드(C(i))가 배정될 수 있다. 도 10의 표에 있어 직사각형 상자로 둘러싸인 4개의 코드워드가 그러한 복사워드이다. 따라서, 복조과정, 즉, 이들 복사 코드워드(C(i))들을 상응하는 데이터워드로 재변환함에 있어서, 상기 코드워드는 특별히 최초 데이터워드로 해독된다.
데이터워드(D(i))를 복사 코드워드(C(i))로 변환하는 경우, 상기 후속상태, 즉, 상태 2 및 상태 3으로 이동함으로써 EFMplus변환법에 있어 이를 수행할 수 있다. 변환이 상태 2 또는 상태 3으로 이동하느냐 그렇지 않느냐 하는 것은 이들중 어느쪽이 변환대상 데이터워드(D(i))와 상이하냐에 의해 결정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광디스크(OD)로부터 판독된 코드워드(C(i))를 복조함에 있어서는, 해당 코드워드(C (i))에 이어지는 상태를 알기에 비록 그것이 복사 코드워드인 경우라도 최초 데이터워드(D(i))로 특별히 해독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의 규칙에 의한 복조과정중 상기 판독 코드워드 의 상태(NS(i))를 알 수 있음은 자명하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드워드(C(i))에 대한 판독 직전, 코드워드(C(i-1)) 판독 종료시점에서의 런랭스로부터 해당 코드워드가 상태 1, (2 또는 3), 또는 4하에서 변환되었는지 어떤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드워드가 도 11상의 코드워드 비트값(1 및 13)으로부터 상태 2 또는 상태 3하에서 변환되었는지 어떤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EFMplus변환을 수단으로 하여 8비트 데이터워드를 특별히 16비트 코드워드(C(i))로 변환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코드워드(C(i))를 최초 데이터워드(D(i))로 판독할 수 있다.
EFMplus변환은 이처럼 기록밀도면에서 EFM변환보다 향상된 반면, 상기 NRZI신호(SNRZI)의 저주파요소를 억압하는 측면에서 보면, EFM변환의 경우에 비해 저조하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EFMplus변환이 EFM변환에 비해 기록밀도를 17/16 증대시키지만, 저주파요소 억압면에서는 대략 3dB 정도 부진하다.
본 발명은 광디스크 매체를 이용한 디지털 변조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0비복귀반전(non-return-to-zero inverted, NRZI)신호의 저주파요소를 억압함에 적용할 수 있는 변조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변조장치를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block diagram),
도 2는 상기 도 1상 선행컨버터(preceding converter)의 특정형상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EFMplus변환법에 쓰일 수도 있는 변환표의 일예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디지털 변조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flow chart),
도 5는 상기 도 1의 디지털 변조장치의 실행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6은 상기 도 5상 플로우챠트의 DC제어 서브루틴(subroutine)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디지털 복조장치를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도 8은 통상의 변조 및 복조장치를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도 9는 상기 도 8상 통상의 변조 및 복조장치에 대한 상기 데이터워드, 코드워드 및 최종 NRZI신호간 상호관계를 나타낸 표,
도 10은 상기 8-16변환법에 이용된 통상의 변환표 일예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상기 도 10상 각 통상의 변환표에 포함된 코드워드의 공통적 특성을 나타낸 표,
도 12는 상기 도 10상 통상의 변한표에 대한 상기 코드워드 및 후속변환 상태간 상호관계를 나타낸 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따라서, 이들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디지털 변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바의 단점들을 실질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본질적 목적은 개선형 디지털 변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데이터워드를 런랭스제한 코드워드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변조장치가, 복수의 변환표 세트(set)를 저장하고 상기 코드워드를 상기 데이터워드로 연관지어주기 위한 저장수단과, 직전변환에서 얻어진 상기 코드워드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변환표로부터 후속 변환표를 선택하기 위한 셀랙션(selection)수단과, 상기 셀랙션수단에 의한 변환표로부터 상기 데이터워드에 상응하는 코드워드를 판독하고 출력하기 위한 판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여기서, 상기 셀랙션수단은, 상기 바로 선행변환 및 후속변환을 통한 코드워드들간의 상호연결에 있어 상기 런랭스제한을 충족시키는 한에서 해당 데이터워드를 코드워드로 변환시키는 변환표 세트를 선택한다. 또한, 판독가능한 코드워드를 최초 데이터워드로 배정하는 각각의 복수 변환표 세트가 있는 경우, 상기 선택된 변환표는, 0비복귀반전 변환후 신호에 있어 가장 양호한 DSV값을 가져오는 코드워드를 배정하게 되는 변환표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인 바, 동일부품의 경우 전 도면에 걸쳐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디지털 변조장치의 구조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변조장치는 도 1에 나타나 있다. 해당 디지털 변환장치(DM)는, 선행컨버터(101)와, 병렬컨버터(102a, 102b 및 102c)와, DSV카운터(coun- ter, 103a 및 103b)와, 직렬컨버터(104a, 104b)와, 버퍼 메모리(buffer memo- ry)(105a 및 105b), 입력/출력(I/O) 셀랙터(106a 및 106b)와, 셀랙터(107a 및 107b )와, DSV제어기(108)와, 기록어드레스 카운터(write address counter)(109) 및 판독어드레스 카운터(read address counter)(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행컨버터(101)는 8비트 데이터워드(D(i))를 받아들이기 위해 외부 데이터워드원(data word source, 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i'는 상응하는 데이터워드의 입력순서를 나타내는 정수로서, 입력바이트 카운터로 이용된다. 또한, 상기 선행컨버터(101)는 해당 데이터워드 및 두 개의 DCC플래그(Fd1, Fd2)를 위한 두 개의 16비트 코드워드 후보(C1(i) 및 C2(i))를 만든다. 이들 DCC플래그(Fd1, Fd2)는 각각의 데이터워드(D(i))에 대한 DSV제어가 가능한지 여부를 분명히 한다. 여기서, "DSV제어가능"이라 함은, 하나의 데이터워드(D(i)) 변환을 위해 두 개의 코드워드(C(i))가 선택될 수 있으며, 그 선택결과, 해당 코드워드(C(i))의 NRZI변환후 DSV값 절대치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DSV제어는 DCC (DC제어)와도 역시 유관함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상기 선행컨버터(101)의 구조에 관해서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제1 병렬컨버터(102a)는 첫 번째 코드워드 후보(C1(i))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선행컨버터(10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병렬컨버터(102)는 또한, 워드 클록신호를 받기 위해 외부 워드 클록원(word clock source, 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는 한편, 코드워드비트유닛에 의해 전송된 코드워드비트 클록(Sbc)을 받아들이기 위해 외부 코드워드비트 클록원(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병렬컨버터(102a)는, 상기 16비트 병렬(parallel) 코드워드 후보(C1(i))를 직렬(serial) 코드워드로 변환하여 직렬 코드워드시퀀스를 출력한다. 상기 변환 및 출력은 워드 클록신호(Swc) 및 코드워드비트 클록신호(Sbc)로 동기화됨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16비트 병렬 코드워드 및 직렬 코드워드를 각각 "병렬 코드워드" 및 "직렬 코드워드"로 지칭한다.
제1 DSV카운터(103a)는 상기 변환된 직렬 코드워드시퀀스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제1 병렬 컨버터(102a)에 연결되어 있다. 제1 DSV카운터(103a)는 또한 상기 클록신호(Sbc)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외부 코드워드비트 클록원에 연결된다. 이들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DSV카운터(103a)는 각 직렬 코드워드의 DSV값을 세고 이들을 집계한다. 더욱 상세히 언급하면, 상기 DSV카운터(103)는, 0을 세는 한편, 직렬코드내 하나가 검출됨에 있어 업-카운트 모드(up-count mode) 및 다운-카운트 모드(down-count mode) 사이에 직각으로 스위칭된 상승/하강 카운터(up/down-coun- ter)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직렬컨버터(104a)는 상기 직렬 코드워드 및 병렬 코드워드시퀀스를 받아들이기 위하여 상기 제1 병렬컨버터(102a)에 연결된다. 제1 직렬컨버터(104a)는 또한 상기 각각의 클록신호(Sbc 및 Swc)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외부 코드워드비트 클록원 및 워드 클록원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제1 직렬컨버터(104a)는 해당 직렬 코드워드를 16비트 병렬 코드워드(C(i))로 변환한다.
상기 DSV제어기(108)는 상기 플래그(Fd1 및 Fd2)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선행컨버터(101)에 연결되며, 또한, 그로부터의 첫 번째 DSV카운트값(DSV1)을 받아 첫 번째 DSV카운터 업데이트신호(updated signal)를 회송하기 위해 제1 DSV카운터(103a)에 연결되어 있다. DSV제어기(108)는 두 번째 DSV카운트값(DSV2)을 받아 두 번째 DSV카운터 업데이트신호를 회송하기 위해 상기 제2 DSV카운터(103b)와도 역시 연결된다. 특히, 상기 제어기(108)는, 제1 및 제2 DSV카운터(103a 및 103b)의 카운트값중 타측 DSV카운터(103)의 카운트값에 비해 열세인 쪽을 업데이트한다.
DSV제어기(108)는 CPU, ROM 및 RAM을 포함하며, 이른바 룩어헤드법(look- ahead method)을 이용하여 DSV누적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성한다. 상기 DSV제어기(108)는,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행컨버터(101)로부터 공급된 DCC플래그(Fd1, Fd2 )와 DSV카운터(103a, 103b)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한 요소부재를 제어한다.
상기 룩어헤드법은 하나의 특정 데이터워드를 위해 선택될 수 있는 코드워드가 두 개 있을 때, 즉, DSV제어가 가능한 경우, 사용되는 기법이다. 이처럼 DSV제어가 가능한 상태의 경우, 상기 두 개의 코드중 어느 쪽을 쓸 것이냐에 대한 결정은 DSV제어 상태가 재발생할 때까지 연기되는 바, 재발생시에는, 해당 두 번째 DSV제어상태 발생시까지 누적된 DSV의 절대치가 최저로 되는 상기 첫 번째 DSV제어상태에 대한 상기 코드워드를 선택하는 결정을 하게 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DSV제어기(108)는, 상기 선행컨버터(101)로부터의 두 개 코드워드 출력중 어느쪽이 최종 NRZI신호에 있어 최대 저주파요소 억압효과를 가져올 것인가를 궁극적으로 결정하고 해당 코드워드를 선택한다. 상기 과정에 관해서는 플로우챠트를 참조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들 신호들(DSV1, DSV2, Fd1 및 Fd2)을 근거로, 상기 DSV제어기(108)는 I/O셀랙터(106a 및 106b) 제어를 위한 하나의 I/O셀랙터 제어신호를 만든다. 상기 DSV제어기(108)는 또한 상기 셀랙터(107a 및 107b)를 제어하기 위한 셀랙터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2 셀랙터(107b)는 그로부터 상기 셀랙터 제어신호를 받아 판독/입력 어드레스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DSV제어기(108)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I/O셀랙터(106a)는 상기 16비트 병렬 코드워드를 받아들이기 위하여 상기 제1 직렬컨버터(104a)와 연결되며, 또한, 상기 16비트 코드워드(C(i))를 받아 해당 데이터 판독치를 회송하기 위해 상기 DSV제어기(108)에도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버퍼 메모리(105a)는, 상기 DSV제어기(108)로부터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상기 16비트 병렬 코드워드(C(i))를 선택적으로 교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 I/O셀랙터(106a)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버퍼 메모리(105a)는 또한 판독/기록 어드레스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제2 셀랙터(107b)와 연결된다.
제1 버퍼 메모리(105a)는 병렬 코드워드들을 취합하고 저장한다. 상기 버퍼 메모리(105a)로의 기록 및 입력어드레스들은, 상기 DSV제어기(108)의 제어를 받는 상태로, 상기 기록어드레스 카운터(109) 및 판독어드레스 카운터(110)로부터 나와 셀랙터(107b)를 통해 거쳐 공급된다.
상기 제1 셀랙터(107a)는, 상기 제1 코드워드(C1(i))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제1 I/O셀랙터(106a)에 연결되어 있다.
제1 I/O셀랙터(106a)는 상기 DSV제어기(108 )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1 직렬컨버터(104a)로부터의 병렬 코드워드(C(i))를 제1 버퍼 메모리(105a)상에 저장하거나, 또는, 해당 버퍼 메모리(105a)상의 병렬 코드워드(C(i))를 상기 제1 셀랙터(107a)상으로 판독 및 출력한다.
이처럼, 상기 제1 병렬컨버터(102a), DSV카운터(103a), 직렬컨버터(104a), 버퍼 메모리(105a) 및 I/O셀랙터(106a)는, 제2 코드워드 후보(C2(i))에 대한 제1 코드워드 후보(C1(i)) 산출시까지 제1 코드워드 후보(C1(0))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제1 후보 코드워드들(C1(0)에서 C1(i-1)까지)을 상기 제1 셀랙터(107a)로 출력하는 제1 룩어헤드유닛(look-ahead unit, 111a)을 구성한다.
동일한 원리로서, 제2 병렬컨버터(102b), DSV카운터(103b), 직렬컨버터(104b ), 버퍼 메모리(105b) 및 I/O셀랙터(106b)는, 제2 코드워드 후보들(C2(0)에서 C2(i )까지)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제2 후보 코드워드들(C2(0)에서 C2(i-1)까지)을 제1 셀랙터(107a)로 출력하는 제2 룩어헤드유닛(111b)을 구성한다.
특히, 상기 DSV제어기(108)는, 제1 및 제2 룩어헤드유닛(111a 및 111b)을 제어함으로써, 어느 후보 코드워드(C1(0) 또는 C2(0))가 좋을지 결정할 때까지 상기 제1 및 제2 후보 코드워드들(C1(0)에서 C1(i-1)까지, C2(0)에서 C2(i-1)까지)을 저장한다. 이어서, 양호한 것으로 결정된 후보 코드워드를 그로부터 출력하게 된다.
상기 선행컨버터(101)의 특정형상을 도 2에 나타낸다. 선행컨버터(101)는 또한, ROM표(201a, 201b, 201c 및 201d)와, 셀랙터(202a, 202b, 202c 및 202d)와, 앤드-런랭스 메모리유닛(203a 및 203b)과, 산출기(evaluator)(204a 및 204b)와, 후속상태 메모리(205a 및 205b)와, 동기화코드 생성기(206a 및 206b)와, 제어기(207)와, 1/93주파수분할기(208)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ROM표(201a, 201b, 201c 및 201d)는 본 발명의 모든 8-16변환표를 상태별로 저장하고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8-16변환법에서 이용되는 변환표(Tp(m), Ts(m))를 나타낸다. 도 8상의 표((Tpc(m), Tsc(m))와 유사한 형태로, 각 상태에 대해 주,부 두 개의 표로 된 네 개의 상태(상태 1에서 상태 4까지)별로 그룹지어진 전체 8개의 표가 도시되어 있다. 주변환표는 기호 Tp(m)로 표기하는 바, 여기서 'm'은 상태 번호에 해당한다. 부변환표(Ts(m)) 역시 'm'으로 그 상응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점에 있어서, 'm'을 "상태지수"라 지칭한다.
상기 주변환표(Tp(m))는 8비트로 표현가능한 모든 종류의 데이터워드(D), 즉, 256가지 데이터워드와, 상기 16비트 코드워드(C)와, 상기 2비트 후속상태지수(NS)를 포함한다. 상기 16비트 코드워드(C) 및 후속상태지수(NS(i))는 모두 이들 데이터워드(D)에 상응한다.
상기 부변환표(Ts(m))는 한정적으로 선택된 데이터워드들(D)을 포함하며, 특히, 00000000으로부터 01010111에 이르기까지 88종류의 데이터워드 및 그에 상응하는 코드워드(C)를 포함한다.
상기 주변환표(Tp(m)) 및 부변환표(Ts(m))는 모두 4비트 시작런랭스지수(beginning runlength indicator, IR) 및 4비트 앤드런랭스지수(end runlength indicator, ER)를 포함한다. 두 개의 런랭스지수(IR 및 ER) 역시 상기 선행 코드워드와 상응한다.
특히, 상태 1 ROM표(201a)는 도 3상에서의 제1 상태(상태 1)에 대한 첫 번째 주변환표(Tp(m=1)) 및 부변환표(Ts(m=1))를 저장하고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다른 ROM표(201b, 201c 및 201d)들은 각각 제2 상태(상태 2), 제3 상태(상태 3) 및 제4 상태(상태 4)에 대한 변환표(Tp(m=2, 3 및 4), Ts(m=2, 3 및 4))를 포함한다. 각각의 ROM표는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코드워드(C) 자체에 덧붙여, 후속상태(NS(i)), 시작런랭스(IR) 및 앤드런랭스(ER)를 포함한 각 코드워드(C) 특성표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i번째 8비트 데이터워드(D(i))가 상기 상태 1 ROM표(201a) 및 상태 4 ROM표(201d)에 입력되면, 각각의 ROM표(201a 및 201d)는 입력 데이터워드(D(i))에 상응하는 26비트 데이터블록을 출력한다. 상기 26비트 데이터블록은 22비트 블록과 4비트 블록으로 분할된다.
22비트 블록은 16비트 코드워드(C(i))와, 해당 코드워드(C(i))의 앤드런랭스를 나타내는 4비트 앤드런랭스지수(ER(i))와, 후속상태를 나타내는 2비트 후속상태지수(NS(i))를 포함한다. 상기 4비트 블록은 해당 코드워드(C(i))의 시작런랭스를 나타내는 시작런랭스지수(IR(i))이다.
그러나, 하나의 8비트 데이터워드(D(i))가 다른 ROM표(201b 및 201c)에 제공되면, 16비트 코드워드(C(i)), 4비트 앤드런랭스지수(ER(i)) 및 2비트 후속상태지수(NS(i))를 포함하는 상기 22비트 블록만이 선택되고 또한 그로부터 출력된다.
다시 도 2에 관해 언급하자면, 상기 제어기(207)는 데이터워드(D(i))를 받아들이기 위해 외부 데이터워드원(data word source)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워드 클록신호(Swc) 및 1/93주파수분할된 워드클록을 각각 받아들이기 위하여 외부 워드 클록원(도시하지 않음)과 직접 그리고 1/93주파수분할기(208)를 통해 또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3 제어기(202a)는 상기 22비트 블록을 받아들이기 위해 ROM표(201a, 201b, 201c 및 201d)상 각각의 주변환표(Tp(m))에 연결된다. 유사한 원리로, 제4 제어기(202b)는, 각 주변환표(Tp(m))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22비트블록을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ROM표(201a, 201b, 201c 및 201d)상 부변환표(Ts(m))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룩어헤드법에 맞도록, 해당 22비트 데이터중 하나는 상기 ROM표(201a, 201b, 201c 및 201d)로부터 상기 제3 제어기(202a)로 병렬 출력되는 반면, 22비트 데이터중 2개는 상기 각각의 ROM표(201a, 201b, 201c 및 201d)로부터 제4 제어기(202b)로 병렬 출력됨으로써, 데이터워드가 87 이하일 때 발생가능한 예로, 하나의 데이터워드(D(i))에 상응하는 두 개의 코드워드(C1(i) 및 C2(i))가 있을 경우 해당 코드워드(C1(i) 및 C2(i))는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이들 제3 및 제4 제어기(202a 및 202b)는 모두 셀랙터 제어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제어기(207)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셀랙터(202a 및 202b)는 제어기(207)의 제어를 받아 네 개의 ROM표(201a, 201b, 201c 및 201d)중 하나를 선택하고, 네 개의 ROM표로부터의 네 개 22비트 데이터블록(C(i), ER(i) 및 NS(i))중 하나의 단위 22비트 데이터블록만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제어기(207)는 산출기(204a 및 204b)로부터 회송된 산출결과와 후속상태 메모리(205a 및 205b)에 저장된 값(NS(i))을 근거로 네 개의 ROM표(201a, 201b, 201c 및 201d)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제1 앤드런랭스 메모리(203a)는,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4비트 앤드런랭스지수(ER1(i))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제1 셀랙터(202a)와 연결된다. 유사한 원리로, 상기 제2 앤드런랭스 메모리(203b)는 역시 선택 출력되는 상기 4비트 앤드런랭스지수(ER2(i))를 받아들이기 위해 제2 셀랙터(202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산출기(204a)는 두 개의 4비트 시작런랭스지수(IR(i))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상태 1 ROM표(201a)에 연결되며, 또한, 역시 두 개의 4비트 시작런랭스지수(IR(i))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상태 4 ROM표(201d)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산출기(204a)는 또한, 4비트 앤드런랭스지수(ER1(i))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제1 앤드런랭스 메모리(203a)와 연결된다.
제1 산출기(204a)는, 상기 제1 앤드런랭스 메모리(203a)에 의해 저장된 앤드런랭스지수(ER1(i-1))에 상기 후속 코드워드(C1(i))의 시작런랭스지수(IR(i))를 추가한다. 후속 코드워드(C1(i))는, 상기 ROM표(201a 및 201d)로부터 개별적으로 출력되며, 상기 과정으로 얻어진 전체 런랭스가 상태 1 및 상태 4에 대한 (2, 10) 런랭스제한을 동시에 충족시키는지 어떤지를 결정하게 된다.
유사한 원리로, 상기 제2 산출기(204b)는, 상기 4비트 시작런랭스지수(IR(i) )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태 1 ROM표(201a)에 연결되는 한편, 역시 4비트 시작런랭스지수(IR(i))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태 4 ROM표(201d)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산출기(204b)는 또한 4비트 앤드런랭스지수(ER2(i-1))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제2 엔드런랭스 메모리(203b)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산출기(204b)는 상기 제2 앤드런랭스 메모리(203b)에 의해 저장된 앤드런랭스지수(ER(i))에 상기 후속 코드워드(C2(i))를 추가한다. 후속 코드워드( C2(i))는, 상기 ROM표(201a 및 201d)로부터 개별적으로 출력되며, 상기 과정으로 얻어진 전체 런랭스가 상태 1 및 상태 4에 대한 (2, 10) 런랭스제한을 동시에 충족시키는지 어떤지를 결정하게 된다. 이들 제1 및 제2 산출기(204a, 204b)는, 산출결과를 나타내는 해당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모두 상기 제어기(207)에 연결된다.
상기 산출기(204a, 204b)에 의한 산출의 중요성에 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네 개의 ROM표(201a, 201b, 201c 및 201d)는 도 3의 변환표들을 저장하며, 도 12에 나타낸 바의 규칙에 따른 상태변화에 관한 한, 연속적 코드워드들간 상호연결에 있어 상기 (2, 10)시퀀스제한이 충족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산출기(204a 및 204b)는 불필요하게 보일 수도 있다.
상기 후속상태가 상태 1 또는 상태 4일 경우, 그러나, 디지털 변조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상태전이는 선행 코드워드(C(i-1))에 의해 정적으로 지정된대로 자동 결정되지는 않는다. 상태 1 또는 상태 4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기 위해 동적으로 결정되는 상기 상태전이는, 어느 쪽이든, 두 경우 모두에 대해 (2, 10)제한이 충족되는 한의 가장 가능성있는 DSV제어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제1 산출기(204a)가 상기 코드워드(C(i))를 선택가능한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데이터워드(D(i))가 87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기(207)는 DCC플래그(Fd1)를 설정한다. 같은 원리로, 상기 제2 산출기(204b)가 코드워드(C2(i))를 선택가능한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워드(D(i))가 87 이하이면, 상기 제어기(207)는 DCC플래그(Fd2)를 설정한다.
제1 후속상태 메모리(205a)는 상기 2비트 후속상태지수(NS1(i))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제1 셀랙터(205a)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후속상태 메모리(205b)는 상기 2비트 후속상태지수(NS2(i))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제2 제어기(202b)와 연결된다. 이들 제1 및 제2 후속상태 메모리(205a 및 205b)는 모두, 자체 저장된 상기 2비트 후속상태지수(NS1(i) 및 NS2(i))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어기(207)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동기화코드 발생기(206a 및 206b)는 상기 워드 클록신호(Swc) 및 주파수분할된 클록을 받아들이기 위해 모두 상기 제어기(207)에 연결된다. 주파수분할된 클록은 이어서 상기 동기화코드 발생기(206a 및 206b)로부터 출력된다. 상기 동기화코드는, 재생과정중 이용되는 동기화코드인 한편 91 코드워드에 대해 두 코드가 많은 동기화코드가 삽입됨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동기화코드는 93 워드 클록사이클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디지털 변조장치에 있어 상기 DSV제어를 목적으로, 상기 동기화코드는 DSV제어가능 코드워드와 동일방식으로 취급된다.
제5 셀랙터(202c)는, 선택적으로 출력된 상기 16비트 코드워드(C1(i))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제3 셀랙터(202a)에, 상기 동기화코드를 받아들이기 위해 제1 동기화코드 발생기(206a)에, 또한, 제어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제어기(207)에 연결되어 있다. 유사한 구조로서, 제6 셀랙터(202d)는, 상기 16비트 코드워드( C2(i)), 동기화코드 및 제어신호를 각각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제4 셀랙터(202b), 제2 동기화코드 발생기(206b) 및 제어기(207)와 연결된다.
이로써, 상기 제3 셀랙터(202a), 제1 앤드런랭스 메모리(203a), 제1 산출기(204a), 제1 후속상태 메모리(205a), 제1 동기화코드 발생기(206a) 및 제5 셀랙터( 202c)는 상기 입력 코드워드(C1(i))의 일시적 저장을 위한 제1 예비변환유닛(101a)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4 셀랙터(202a), 제2 앤드런랭스 메모리(203b), 제2 산출기(204b), 제2 후속상태 메모리(205a), 제2 동기화코드 발생기(206b) 및 제6 셀랙터(202d)는 또한 입력 코드워드(C2(i))의 일시적 저장을 위한 제2 예비변환유닛(101b)을 구성하게 된다.
셀랙터(202c 및 202d)는 상기 셀랙터(202a 및 202b)로부터 상기 코드워드를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동기화코드 발생기(206a 및 206b)로부터 동기화코드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기(207)는, CPU, ROM, 및 RAM으로 구성되며, 후속 선택가능 상태 및 각 요소의 작동시점을 결정한다. 상기 제어기(207)에 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디지털 변조장치의 작동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지털 변조장치의 실행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를 참조로 전체적 실행개념에 관해 설명한 다음, DC제어루틴 관련 실행에 관해서는 도 5를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념적 실행의 플로우챠트가 도시된다.
실행시작시, 스탭 #1에서는, 'i'가 0으로 설정되는 한편 'm'은 1로 설정된다. 즉, 작동시작시에 있어서는, 상기 바이트 카운터(i)가 비워지고 상태지수(m)로 표시되는 '상태 1'이 설정된다.
스탭 #3에서는, (n+1)번째 데이터워드(D(i))가 입력된다.
스탭 #5에서는, 데이터워드(D(i))가 88보다 작은지 어떤지를 판단하게 된다. "YES"로 판단되는 경우, 작업(process)은 #13으로 진행한다.
스탭 #13에서는, 상기 데이터워드(D(i))가, 현재 표기된 상태지수(m)하의 변환표(Tp(m), Ts(m))에 의해 제1 및 제2 코드워드 후보(C1(i), C2(i))로 일시 변환된다. 이어서, 작업은 #19로 진전된다.
스탭 #19에서는, 스탭 #13에서 생성된 상기 두 코드워드(C1(i), C2(i))중에서 상기 DC요소를 감소시키기에 적합한 쪽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스탭 #10에서 상기 바이트 카운터(i)가 증가되고 작업은 스탭 #11로 진전된다.
스탭 #11에서는, 모든 데이터워드(D)가 변환되었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반면, 스탭 #5에서 "NO"라고 판단되면, 작업은 스탭 #7로 진행한다.
스탭 #7에서는, 상기 상태번호지수가 1 및 4 가운데 하나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YES"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태 1 또는 상태 4에 대한 변환표를 이용하며 작업는 스탭 #15로 진행한다.
스탭 #15에서는, 현재의 상태번호지수(1 또는 4)가 다른 지수(4 또는 1)로 대체가능하냐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상기 변환표(Tp(m=1))가 현재 선택된 경우, 런랭스제한, 즉, (2, 10)제한에 위배됨이 없이, 상기 변환표(Tp(m=4))를 현재의 변환표 대신 이용할 수 있느냐 없느냐를 판단하게 된다. "YES"라고 판단되는 경우, 작업은 스탭 #17로 진행한다.
스탭 #17에서는, 상기 데이터워드(D(i))가, 상기 변환표(Tp(m=1))에 의해 제1 코드워드 후보(C1(i))로, 또한, 변환표(Tp(m=4))에 의해 제2 코드워드 후보(C2 (i))로 일시 변환된다. 이어서, 작업은 스탭 #10으로 진전된다.
그러나, 스탭 #7에서 판단하는 경우, 현재 선택된 변환표(Tp(m=1 또는 4))를 다른 변환표(Tp(m=4 또는 1)로 교체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의미한다. 작업은 스탭 #9로 진행한다.
스탭 #9에서는, 상기 데이터워드(D(i))가, 현재 상태번호지수(m)로 표시된 상기 변환표(Tp(m))에 의해 상기 코드워드(C(i))로 변환된다. 다음으로, 작업은 스탭 #11로 나아간다.
스탭 #11에서, "YES"라고 판단되는 경우 모든 데이터워드(D(i))가 변환되었음을 의미하는 바, 상기 제어가 종료된다.
도 5에는, 상기 도 1상 디지털 변조장치(DMA)의 작동과정이 도시된다. 병렬로 표시된 여러 스탭들은 어디까지나 표현편의를 위한 것인 바, 시간면에서는 일렬 실시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스탭(S401)은 상기 제어변수들을 'i=0, m1=1 및 m2=1'로 초기설정하기 위한 것인 바, 'i'는, 상기 디지털 변조장치(DMA)에 입력되는 데이터워드(D)와의 동기화과정중 증가되며, DC제어가 실시되는 경우 비워진다. m1은 제1 룩어헤드채널(look-ahead channel, 하나의 버퍼 메모리(105a)에 저장된 코드워드(C1)가 가공작업될 데이터버스(data bus))용의 코드워드(C1(i))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후속상태이며, m2는 제2 룩어헤드채널(다른 버퍼 메모리(105b)에 저장된 코드워드(C2)가 가공작업될 데이터버스)용의 코드워드(C2(i))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후속상태이다.
하나의 데이터워드(D(i))가 선행컨버터(101, (스탭 S403))로 이어서 입력되면, 상기 DSV제어기(108)는 상기 입력 데이터워드(D(i))가 88(스탭 S407)보다 작은 데이터워드인지를 결정한다.
상기 입력 데이터워드(D(i))가 88보다 작은 데이터워드이면, 상기 DCC플래그(Fd1 및 Fd2)가 설정되며, 이어서, 스탭(S411)에서 DC제어 루틴이 수행된다. DC제어 루틴은, DSV제어가능 코드워드가 선택되는 경우 실시되는 전형적인 룩어헤드작업인 동시에, 도 6상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DCC플래그(Fd1 및 Fd2)가 설정되었음을 상기 DSV제어기(108)가 감지하는 경우, 상기 DSV카운터(103a 및 103b)에 저장된 DSV값( DSV1 및 DSV2)이 판독되고 그 절대값이 비교된다(스탭 S503). 둘중 작은 쪽에 상응하는 코드워드 시퀀스가 저장된 버퍼 메모리(105a 및 105b)가 이어서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코드워드 시퀀스가 상기 디지털 변조장치로부터 상기 제어기(107a) 및 병렬컨버터(102c(스탭 S505 및 S511))를 거쳐 출력되며, 또한, 상기 DSV카운터(103a 및 103b) 및 제어변수(m1 또는 m2, i)가 업데이트(스탭 S507, S513 및 S509)된다.
다시 도 5에 있어서, DC제어 루틴이 종료되면, 상기 입력 데이터워드(D(i))는, m1에 의해 분명해진 상태의 주변환표로부터 해당 코드워드(C1(i))로 변환되며, 상기 병렬컨버터(102a)를 통해 버퍼 메모리(105a)에 저장된다. 동시에, 상기 제1 DSV값(DSV1)이 계산된다(스탭 S413). 동일한 입력 데이터워드(D(i))가, m2에 의해 분명해진 상태의 부주변환표로부터 해당 코드워드(C2(i))로 변환되며, 상기 병렬컨버터(102b)를 통해 버퍼 메모리(105b)에 저장된다. 제2 DSV값(DSV2)이 또한 계산된다(스탭 S415).
상기 코드워드(C1(i), C2(i))로 얻어진 후속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어변수(m1 및 m2)에 저장된다(스탭 S417, S419).
모든 필수 데이터워드가 입력되고나면(스탭 S405), 그때까지 누적된 코드워드들은 출력되고(스탭 S425), 상기 디지털 변조장치의 작동은 종료된다. 데이터워드가 모두 입력되지 않은 상태(스탭 S405)에서는, 그러나, 상기 변수(i)가 증가되고(스탭 S421), 또한 상기 장치는 후속 데이터워드의 입력을 기다리게 된다.
스탭 S407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워드(D(i))가 87보다 큰 것으로 결정되면, 제1 룩어헤드채널상의 현재상태(m1)가 상태 1인지 또는 상태 4인지를 결정함과 아울러, 또한, 상태 1 및 상태 4를 교환하는 경우 상기 런랭스제한에 위배될 것인가를 결정한다(스탭 S429). 상태 1 및 상태 4로부터의 상기 코드워드가 모두 사용가능한 경우, 상기 변수(m1)는 5(상태 5)로 설정되고(스탭 S431), 또한 DC제어 루틴이 실시된다(스탭 S433). m1을 상태 5로 설정함은 도 2에 있어서 DCC플래그(Fd1)를 설정하는 것에 해당한다.
그러나, 제1 룩어헤드채널상의 현재 m1상태가 상태 1 또는 상태 4일 수 없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룩어헤드채널 2(스탭 S443)을 위한 산출은 계속된다. 그 결과, 상기 변환대상 데이터워드(D(i))가 채널 2상의 상태 1 또는 상태 4로 변환가능한 한편 DSV제어가능 코드워드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m2가 5로 설정되고(스탭 S447), DC제어 루틴이 실행된다(스탭 S431). m2를 5로 설정함은 도 2상에서 DCC플래그(Fd2)를 설정하는 것에 해당함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DC제어 루틴이 완료되고나면(스탭 S433), 제1 룩어헤드 채널의 상태값(m1)이 산출된다(스탭 S435). m1이 5인 경우, m1 및 m2는 각각 1 및 4로 업데이트되고(스탭 S437), 그렇지 않은 경우, 불변인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스탭 S435에 있어 m1이 5가 아닌것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스탭 S437의 작업과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데이터워드(D(i))는, m1에 의해 분명해지고 버퍼 메모리(105a)에 저장된 상기 상태에 대한 주변환표로부터 코드워드(C1(i))로 변환된다(스탭 S439). 또한, 데이터워드(D(i))는, m2에 의해 분명해지고 버퍼 메모리(105b)에 저장된 해당 상태에 대한 주변환표로부터 코드워드(C2(i))로 동시 변환된다(스탭 S441). 이들 DSV값(DSV1 및 DSV2)은 각각 스탭 S439 및 S441에서 산출된다.
상기 S427부터 S431까지의 스탭에서 실행된 작업과정을 통해, 상기 EFMplus 컨버터술의 통상적 이행과정중, 상기 상태 1 또는 상태 4로 스위칭하는 동적 제어법(dynamic control method)은 본 발명을 수단으로 하여 더욱 개선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변조장치에 있어 상태 1 또는 상태 4로의 전이가 있는 경우, 해당 상태전이는, 자동으로 지정되지 않고, 상기 출력 채널신호의 DC요소를 억압할 수 있도록 지능적으로 선택된다. 바꾸어 말하자면, 상기 코드워드 후보가 DSV제어를 가능케 하는지와, 가능할 경우, 상기 DSV제어가능 코드워드가 동적으로 선택되는지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입력 데이터워드(D(i))가 하나의 DSV제어가능 코드워드로 연관지어질 수 없는 경우, 해당 데이터워드는 일정 한정가능(uniformly definable) 데이터워드로 변한되어 상기 버퍼 메모리(105a, 105b)에 저장된다(스탭 S449∼S441). 그러나, 상기 버퍼 메모리(105a, 105b)의 저장용량으로 인해 최대 룩어헤드 카운터가 하나의 정수(Bc), 예를 들면, 15, 로 설정되기 때문에, 해당 버퍼 메모리의 잔류 저장여유는 역시 모니터링(monitoring)된다(스탭 S449). 하나의 DSV제어가능 동기화코드가 각 91 코드워드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룩어헤드 카운터를 91 워드로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스탭 S449를 삭제할 수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 복조장치의 작동
데이터워드가 상기 디지털 변조장치에 의해 일단 기록매체상에 입력되고 나면, 기록된 코드워드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판독하고 해당 판독 코드워드를 최초의 데이터워드로 복조해야 한다. 해당 작업과정은, 디지털 복조장치를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 도 7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7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복조장치(DM')는, 상호 연결된 13비트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501)와, 1비트 래치(latch, 502a 및 502b)와, 16비트 시프트 레지스터(503)와, 16비트 래치(504)와, 2인풋(input) OR게이트(505a)와, 2인풋 NOR게이트(505b)와, 4인풋 OR게이트(506)와, AND회로(507)와, 메인 디코더(main decoder)(508)와, 서브 디코더(sub decoder)(509)와, 셀랙터(5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 복조장치(DM')는 도 8에 나타낸 디지털 변조/복조장치의 역전 코드컨버터(reversed code converter, 2003)에 해당하는 것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상기 메인 디코더(508)는, 모든 코드워드 및 데이터워드간 비중복 상관관계, 즉, 각 데이터워드에 대해 단 하나의 코드워드만이 있게 되며 해당 중복 상관관계의 경우 후속상태가 상태 2인 관계, 를 저장한다. 상기 해독대상 코드워드가 이들 상관관계 세트중 하나에 속하는 코드워드이면, 해당 코드워드는 특별히 최초 데이터워드로 해독된다.
서브 디코더(509)는, 후속상태가 3인 중복관계만을 저장하며, 그에 따라, 해당 상관관계 세트에 속하는 코드워드들을 특별히 최초 데이터워드로 해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디지털 복조장치의 작동과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상기 코드워드들은, 상기 13비트 시프트 레지스터(501)에 하나의 비트시퀀스 형태로 입력되며, 후속 코드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16비트 시프트 레지스터(503)로 옮겨간다. 이번에는, 16비트 시프트 레지스터(503)로 통과한 상기 코드워드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코드워드를 16비트 시프트 레지스터(503)에 입력함으로써, 상기 AND회로(507)가, 다음 조건들이 충족되는 시점을 감지할 수 있게 됨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AND회로(507)에 의한 검사대상 조건들인 즉, (1) 현재 코드워드에 이어지는 후속 코드워드에 있어서의 비트-1(Q0) 및/또는 비트-13(Q12)이 '1'인가와, (2) 현재 코드워드의 비트-16(Q15) 및 비트-15(Q14)가 둘다 '0'인가와, (3) 현재 코드워드의 비트-11(Q10)로부터 비트-14(Q13)까지의 비트중 어느 하나라도 '1'인가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조건(2) 및 조건(3)이 모두 사실이면, 현재 코드워드의 상기 앤드런랭스는 2 내지 5 범위에 있다. 결과적으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후속 코드워드가 상태 2 또는 상태 3인 것으로 결정된다. 조건 (1)의 경우, 도 11을 통해 알게 되겠거니와, 후속 코드워드는 상태 2가 아님을 의미한다. 따라서, 세 개의 조건 (1), (2) 및 (3)이 모두 사실이면, 후속 코드워드는 상태 3으로 결정된다.
상기 조건들의 사실 여부를 검사함에 있어서, 상기 AND회로(507)는, 셀랙터(51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서브디코더(509)로부터 데이터워드를 선택하고 출력하게 된다. 상기 조건들이 사실이 아닌 경우, AND회로(507)는, 상기 메인 디코더(508)로부터 데이터워드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작동의 결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코드워드들은, 변조에 이용된 상태와 중복 코드워드가 이용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메인 디코더(508) 또는 서브 디코더(509)를 수단으로 하여 특별히 최초 데이터워드로 해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기 디지털 변조장치는 (2, 10; 8, 16)시퀀스제한 변조를 실시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들 제한치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고정길이(fixed length) 데이터워드로부터 일정 런랭스제한을 갖는 코드워드로 변환시키는 일정길이 코드워드 변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을 당업자에 있어 자명한 일일 것이다.
또한, DSV제어를 위한 룩어헤드법을 이용하여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디지털 변조장치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는 바, 기타 DSV제어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DSV제어법에 관한 것이 아니지만, 통상의 (EFMplus) 변환법의 경우 허용되지 않는 DSV제어를 가능케 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 실시예의 디지털 변조장치의 경우, ROM표를 상기 변환표로 쓰고는 있지만, 랜덤 로직 조합회로(random logic combinational circuit)를 상기 저장수단으로 선택·이용할 수는 없다.
나아가, 상기 본 발명 실시예의 디지털 변조장치는, 상기 NRZI신호의 저주파요소를 억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DSV제어과정중 상기 최종 DSV값의 절대치가 최소로 되는 해당 코드워드를 선택하나, 상기 룩어헤드 기간중의 DSV값 절대치가 최소 피크치(peak value)로 되는 해당 코드워드를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DSV값의 제곱의 합이 최소로 되는, 즉, 상기 룩어헤드 기간중 각 시간점(time point)에서의 최저 DSV값 분포를 취하게 되는 해당 코드워드를 선택함으로써 동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상태 1 내지 4의 ROM표(201a 내지 201d)가 26비트를 각각의 코드워드로 배정하는 한편, 상태 2 및 3 ROM표(201b, 201c)의 초기 런랭스를 분명히 하는 상기 4비트는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관계로 누락될 수 있음을 또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덧붙여, 유사한 사항으로서, 후속상태가 상태 2 또는 상태 3인 경우 상기 앤드런랭스를 분명히 하는 해당 4비트 역시 누락될 수 있다.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디지털 변조장치(DMA)와, 데이터워드를 런랭스한정 코드워드로 변환하기 위한 청구항 제5항의 디지털 변조방법은 모든 가능한 데이터워드에 상응하는 코드워드로 된 복수 형태의 변환표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과, 상기 복수의 변환표로부터, 직전 선행변환에서 얻어진 코드워드를 근거로, 후속 변환표를 선택하기 위한 각 셀랙션수단 또는 스탭과, 상기 셀랙션수단에 의해 선택된 변환표로부터 변환대상 데이터워드에 상응하는 코드워드를 판독 및 출력하는 각 판독수단 또는 스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셀랙션수단 또는 스탭은, 상기 직전변환에서의 코드워드와 상기 후속변환에서의 코드워드간 상호연결에 있어 상기 런랭스제한이 역시 충족됨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데이터워드를 코드워드로 변환시켜주는 변환표를 선택하며, 상기 두 개의 코드워드가 모두 최초 데이터워드로 판독가능한 한의 후속 코드워드를 배정할 수 있는 복수 변환표가 있는 경우, 상기 코드워드가 0비복귀반전(NRZI) 변환된 후의 신호에 있어 가장 양호한 DSV값을 가져오는 해당 코드워드를 배정한다.
변환대상 데이터워드가 본 디지털 변조장치 또는 방법에 제공되면, 복수의 예정된 변환표중 하나가 선택된다. 선택된 변환표는, 상기 데이터워드를, 상기 직전변환에서의 코드워드와 후속변환에서의 코드워드간 상호연관면에 있어 상기 런랭스제한이 충족되는 한 최종 NRZI신호의 저주파요소에 대한 최대 억압효과를 가져오는 해당 코드워드로 변환되도록 하는 표이다. 결과적으로, 후속변환을 위한 상기 변환표는, 직전 선행변환으로부터의 해당 코드워드의 지정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되지 않고, 상기 NRZI신호상에서 최대한의 저주파요소 억압효과를 가져오는 해당 코드워드가 얻어지도록 지능적으로 결정된다.
청구항 제2항에 따른 디지털 변조장치와 청구항 제6항에 따른 디지털 변조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각 변환표는, 해당 코드워드의 초기 런랭스가 각 형태의 변환표에 대해 한정된 특정범위내에 속하며 다수의 코드워드가 하나의 특정 데이터워드로 연관지어지는 한의 코드워드들만을 모든 데이터워드로 연관시키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셀랙션수단(방법)은, 해당 데이터워드가 선행 특정 데이터워드중 하나인 경우 직전변환된 해당 코드워드만을 근거로 해당 변환표를 선택하며, 상기 코드워드가, 변환된 코드워드에 대한 NRZI변환후 신호의 해당 DSV값이 최적상태가 되도록 선택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디지털 변조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변환표는, 다수의 코드워드가 하나의 특정 데이터워드와 연관지어지도록 편성되며, 또한, 이들 특정 데이터워드중 하나가 제공되는 경우, 최종 NRZI신호에 있어 최적상태의 DSV값을 얻게 되는 해당 코드워드가 선택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상기 NRZI신호의 저주파요소를 더욱 효과적으로 억압하게 된다.
청구항 제3항 및 제4항에 따른 디지털 변조장치와 청구항 제7항 및 제8항에 따른 디지털 변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셀랙션수단(방법)은 다수의 연속된 코드워드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갖춘 제1 메모리유닛 및 제2 메모리유닛과; 상기 직전 선행변환으로부터의 코드워드와 후속변환으로부터의 코드워드간 상호연관면에 있어 상기 시퀀스제한을 충족시키는 한의 코드워드를 포함하는 두가지 형태(제1 및 제2)의 변환표가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산출수단(방법)과; 두 개의 이용가능한 변환표가 있는 것으로 상기 산출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제1 변환표에 포함된 코드워드와 후속 코드워드를 제1 메모리유닛에 저장하고, 상기 제2 변환표에 포함된 코드워드와 후속 코드워드를 제2 메모리유닛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방법)과; 적어도 상기 제1 메모리유닛 또는 제2 메모리유닛에 저장된 코드워드시퀀스를 따르는 코드워드를 형성하는 두 개의 이용가능한 변환표가 있는 것으로 상기 산출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그 지점에서의 코드워드로부터 산출되어 상기 제1 메모리유닛에 저장된 제1 룩어헤드 DSV값의 절대치 크기를 역시 그 지점에서의 코드워드로부터 산출되어 상기 제2 메모리유닛에 저장된 제2 룩어헤드 DSV값의 절대치 크기를 비교하는 비교수단(방법)과; 상기 제1 룩어헤드 DSV값의 절대치가 보다 작은 것으로 상기 비교수단이 결정하는 경우, 더욱 바람직한 변환표로서 제1 코드워드시퀀스를 선택하는 한편, 상기 제1 룩어헤드 DSV값의 절대치가 작지 않은 것으로 상기 비교수단이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제2 코드워드시퀀스를 더욱 바람직한 변환표로 선택하는 룩어헤드 셀랙션수단(방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나의 특정 변환대상 데이터워드에 대한 두 개의 서로 다른 변환표를 선택가능한 경우, 상기 본 발명 실시예의 장치 및 방법은, 그 지점에서의 출력 코드워드의 DSV값을 근거로 이용대상 변환표를 특정짓지 않고, 두 개의 변환표가 선택될 수 있는 순간이 다시 발생할 때까지 얻을 수 있는 코드워드의 DSV값을 검토한 후에, 이용할 해당 변환표를 특정짓게 된다. 상기 룩어헤드법은, 후속 변환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해당 코드워드를 고려하여 저주파요소 억압을 제어하는 결과, 이미 선택된 코드워드만을 고려하는 방법에 비해, 상기 NRZI신호의 저주파요소를 제어함에 있어 보다 큰 효과를 얻게 된다.
청구항 제7항에 따른 기록매체와 청구항 제4항, 제5항 및 제6항에 따른 디지털 변조방법은 기록되는 데이터워드에 특징이 있다.
상기 기록매체의 경우, 그 기록되는 데이터워드는, 일정 런랭스제한이 충족되는 동시에 일정 저주파요소 억압이 이루어지도록 배열된다. 데이터워드가 그런 형태로 기록되는 상기 기록매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기록매체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저주파요소가 효과적으로 억압되는 NRZI신호로 판독할 수 있다. 즉, 신호의 디지털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래시홀드값 변동에 따른 판독오차가 일정치 이하로 떨어지며, 또한, 재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상기 서보에러 신호(servo error signal)의 변동 가능성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하듯이, 각각 청구항 제1항 또는 제5항에 따른 디지털 변조장치 또는 방법에 데이터워드가 제공되면, 미리 한정된 다수의 변환표중 하나가 선택되는 바, 그로부터, 상기 런랭스제한을 충족시키고 최종 NRZI신호의 저주파요소에 대한 최대한의 억제효과를 가져오는 하나의 코드워드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변환표는 이어 해당 데이터워드를 코드워드로 변환시키는 데 이용된다.
따라서, 다수 변환표로부터의 후속변환표 선택이 앞선 코드워드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되는 EFMplus같은 통상적 변환법의 경우처럼 기록밀도를 저하시키지 않고서도, 최종 NRZI신호에 있어 최대한의 저주파요소 억압효과를 가능케 하는 코드워드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제2항 또는 제6항에 따른 상기 디지털 변조장치 또는 방법에 있어서는, 다수의 코드워드가 특정범위내 각각의 데이터워드와 연관지어지며, 해당 데이터워드는, 상기 저주파요소 억압을 위해 코드워드들을 일정하게 한정시키는 변환표에 근거하여, 해당 코드워드로 변한된다. 상기 작동의 결과, 작업동작이 단순화됨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데이터워드에 연관된 코드워드가 하나밖에 없는 형태의 방법에 비해 해당 저주파요소를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저주파요소 억제제어는 청구항 제3항 및 제4항과 제7항 및 제8항에 따른 상기 디지털 변조장치 또는 방법상의 룩어헤드법을 이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처럼, 상기 저주파요소는, 현재 얻어진 코드워드만을 고려하는 형태의 억제기술의 경우에 비해 더욱 억제된다.
청구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및 제12항에 따른 상기 기록매체는 청구항 제5항, 제6항, 제7항 또는 제8항에 의해 얻어진 상기 NRZI신호, 즉, 그 저주파요소가 통상의 변조방법에 의한 것보다 더욱 억압되는 신호, 를 기록한다. 상기 재생신호를 디지털화하는 과정에서의 상기 스래시홀드값 변동, 및 서보에러 신호로 인한 변동은, 따라서, 상기 기록매체 재생장치내에서 억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기록밀도와 기록 및 판독작업중의 낮은 에러율(error rate)의 특징을 갖는 고품질 기록매체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기록매체를 생산하기 위한 디지털 변조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로 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분명히 밝혀둔다.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의 그러한 변형 및 수정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마땅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상의 8-16변환법과 비교할 때, 후속변환용의 변환표가, 최종 NRZI신호의 저주파요소를 억압하도록 지능적으로 결정된다. 이로써, 상기 작업은 보다 단순화되는 반면, 재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서보에러 신호내 변동가능성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높은 밀도 및 낮은 에러율을 갖는 고품질 기록 및 재생을 위한 디지털 변조 및 복조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DVD, DVC, DAT 등등, 고품질 기록매체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진보적 디지털 기록 및 재생 시스템들이 본 발명의 효과를 크게 받게 된다.

Claims (12)

  1. 코드워드(C)를 데이터워드(D)와 연관시켜주는 다수의 변환표 세트(Tp(m) 및 Ts(m))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201a, 201b, 201c 및 201d)과,
    직전변환에서의 상기 코드워드(C(i-1))를 근거로, 후속 변환표(Tp(m)/Ts(m) )를 상기 다수의 변환표(Tp(m) 및 Ts(m))로부터 선택하기 위한 셀랙션수단(202a, 202b 및 207)과,
    상기 셀랙션수단(202a, 202b 및 207)에 의해 선택된 변환표(Tp(m) 및 Ts(m))로부터 변환대상 데이터워드(D(i))에 상응하는 코드워드(C(i))를 판독하고 출력하기 위한 판독수단(10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셀랙션수단(202a, 202b 및 207)이, 직전변환에서의 코드워드(C(i-1))와 후속변환에서의 코드워드(C(i))간 상호연결에 있어 런랭스제한이 역시 충족되는 한에서 데이터워드(D(i))를 코드워드(C(i))로 변환시키는 변환표 세트(Tp(m)/Ts(m))를 선택하며, 또한, 최초 데이터워드(D(i))로 해독될 수 있는 코드워드(C(i))를 각각 배정하게 되는 복수의 변환표 세트(Tp(1) 및 Tp(4))가 있을 경우, 상기 선택된 변환표(Tp(m) 및 Ts(m))가, 해당 코드워드(C(i))의 0비복귀반전(NRZI)변환후 신호에 있어 가장 양호한 DSV값을 가져오는 코드워드(C(i))를 배정하게 되는 변환표(Tp(m) 및 Ts(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워드(D)를 런랭스한정 코드워드(C)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변조장치(DMA).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환표 세트(Tp(m) 및 Ts(m)) 각각이 초기 런랭스(IR(i))가 각 형태의 변환표(Tp(m) 및 Ts(m))에 대해 한정된(도 11)범위내인 코드워드들(C)만을 해당 데이터워드와 연관지음과 아울러, 다수의 코드워드(C)를 각각의 특정 데이터워드(D)와 연관지어주며,
    상기 셀랙션수단(202a, 202b 및 207)이, 데이터워드(D(i))가 상기 특정 데이터워드(D(i))인 경우 직전변환에서의 코드워드(C(i))를 근거로 변환표 세트(Tp(m) 및 Ts(m))를 선택함과 아울러, 상기 변환된 코드워드(C(i))의 NRZI변환후 신호에 있어 가장 양호한 DSV값을 가져오는 코드워드(C(i))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변환장치(DMA).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랙션수단(202a, 202b 및 207)이,
    복수의 연속적 코드워드(C)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의 제1 메모리(105a) 및 제2 메모리(105b)와;
    직전변환으로부터 얻어진 코드워드(C(i-1))와 후속변환으로부터 얻어진 코드워드(C(i))간 상호연결에 있어 상기 런랭스제한을 충족시키는 코드워드(C1(i) 및 C2(i))를 포함하는 각기 다른 세트의 두개 변환표(Tp(1) 및 Tp(4))가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산출수단(#7 및 #15)과;
    두 개의 이용가능 변환표(Tp(1) 및 Tp(4))가 있는 것으로 상기 산출수단(#7 및 #15)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제1 변환표(Tp(1))에 포함된 코드워드(C1(i))와 그 후속의 코드워드(C2)를 상기 제1 메모리(105a)에 저장하고, 상기 제2 변환표(Tp (4))에 포함된 코드워드(C2(i))와 그 후속의 코드워드를 상기 제2 메모리(105b)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106a, 106b, 107b, 108, 109 및 110)과;
    적어도 상기 제1 메모리(105a)에 저장된 코드워드 시퀀스 또는 상기 제2 메모리(105b)에 저장된 코드워드 시퀀스에 이어지는 해당 코드워드를 만드는 두 개의 이용가능한 변환표(Tp(1) 및 Tp(4))가 있는 것으로 상기 산출수단(#7 및 #15)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그 지점에서의 코드워드(C1)로부터 계산되어 상기 제1 메모리(105a)에 저장된 제1 룩어헤드 DSV값(DSV1)의 절대치를, 역시 그 지점에서의 코드워드(C2)로부터 계산되어 상기 제2 메모리(105b)에 저장된 제2 룩어헤드 DSV값(DSV2)의 절대치와 비교하는 비교수단(S503)과;
    상기 제1 룩어헤드 DSV값(DSV1)의 절대치가 보다 작은 것으로 상기 비교수단(S503)에 의해 결정되면, 더욱 바람직한 코드워드 시퀀스로서 제1 코드워드 시퀀스를 선택(S507)하고, 상기 제1 룩어헤드 DSV값(DSV1)이 작은 것으로 결정되지 않으면, 더욱 바람직한 코드워드 시퀀스로서 제2 코드워드 시퀀스를 선택(S513)하는 룩어헤드 셀랙션수단(S503, S505, S507, S511 및 S51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변조장치(DMA).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랙션수단(202a, 202b 및 207)이,
    복수의 연속적 코드워드(C)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의 제1 메모리(105a) 및 제2 메모리(105b)와;
    직전변환으로부터 얻어진 코드워드(C(i-1))와 후속변환으로부터 얻어진 코드워드(C(i))간 상호연결에 있어 상기 런랭스제한을 충족시키는 코드워드(C1(i) 및 C2(i))를 포함하는 각기 다른 세트의 두개 변환표(Tp(1) 및 Tp(4))가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산출수단(#7 및 #15)과;
    두 개의 이용가능 변환표(Tp(1) 및 Tp(4))가 있는 것으로 상기 산출수단(#7 및 #15)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제1 변환표(Tp(1))에 포함된 코드워드(C1(i))와 그 후속의 코드워드(C2)를 상기 제1 메모리(105a)에 저장하고, 상기 제2 변환표(Tp(4))에 포함된 코드워드(C2(i))와 그 후속의 코드워드를 상기 제2 메모리(105b)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106a, 106b, 107b, 108, 109 및 110)과;
    적어도 상기 제1 메모리(105a)에 저장된 코드워드 시퀀스 또는 상기 제2 메모리(105b)에 저장된 코드워드 시퀀스에 이어지는 해당 코드워드를 만드는 두 개의 이용가능한 변환표(Tp(1) 및 Tp(4))가 있는 것으로 상기 산출수단(#7 및 #15)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그 지점에서의 코드워드(C1)로부터 계산되어 상기 제1 메모리(105a)에 저장된 제1 룩어헤드 DSV값(DSV1)의 절대치를, 역시 그 지점에서의 코드워드(C2)로부터 계산되어 상기 제2 메모리(105b)에 저장된 제2 룩어헤드 DSV값(DSV2)의 절대치와 비교하는 비교수단(S503)과;
    상기 제1 룩어헤드 DSV값(DSV1)의 절대치가 보다 작은 것으로 상기 비교수단(S503)에 의해 결정되면, 더욱 바람직한 코드워드 시퀀스로서 제1 코드워드 시퀀스를 선택(S507)하고, 상기 제1 룩어헤드 DSV값(DSV1)이 작은 것으로 결정되지 않으면, 더욱 바람직한 코드워드 시퀀스로서 제2 코드워드 시퀀스를 선택(S513)하는 룩어헤드 셀랙션수단(S503, S505, S507, S511 및 S51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변조장치.
  5. 직전변환으로부터 얻어진 코드워드(C(i-1))를 근거로, 복수의 변환표 세트(Tp(m) 및 Ts(m))로부터 후속변환표(Tp(m) 및 Ts(m))를 선택하는 단계(#13, #17 및 #19)와,
    상기 선택단계(#13, #17 및 #19)에서 선택된 변환표(Tp(m)/Ts(m))로부터 변환대상 데이터워드(D(i))에 상응하는 코드워드(C(i))를 판독 및 출력하는 단계(#19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선택단계에서, 직전변환에 의해 얻어진 코드워드(C(i-1))와 후속변환에 의해 얻어진 코드워드(C(i))간 상호연결에 있어 런랭스제한이 역시 충족되는 한에서 데이터워드(D(i))를 코드워드(C(i))로 변환시켜주는 변환표(Tp(m)/Ts(m))를 선택(S503, S507 및 S513)하며,
    각각 최초 데이터워드(D(i))로 해독가능한 코드워드(C(i))를 배정하는 복수의 변환표가 있을 경우, 선택된 변환표(Tp(1)/Tp(4))가, 0비복귀반전(NRZI)변환후의 신호에 있어 가장 바람직한 DSV값을 가져오는 해당 코드워드(C(i))를 배정하게 되는 변환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워드(D)에 상응하는 런랭스한정 코드워드의 복수 변환표 세트(Tp(m) 및 Ts(m))를 이용하여 데이터워드(D(i))를 코드워드(C(i))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변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형태의 각 변환표(Tp(m) 및 Ts(m))가, 변환표(Tp( m) 및 Ts(m)) 형태별로 한정된 범위(도 11)내의 초기 런랭스(IR(i))를 갖는 코드워드(C)만을 해당 데이터워드(D)와 연관지음과 아울러, 복수의 코드워드(C1(i) 및 C2 (i))를 각각의 특정 데이터워드(D(i):0-87)와 연관지어주며,
    상기 선택단계(#13, #17 및 #19)에서, 데이터워드(D(i))가 상기 특정 데이터워드(D(i):0-87)인 경우 직전변환에서의 코드워드(C(i))만을 근거로 변환표 세트(Tp(m) 및 Ts(m))를 선택함과 아울러, 변환된 코드워드(C1(i) 또는 C2(i))의 NRZI변환후 신호에 있어 가장 양호한 DSV값을 가져오는 해당 코드워드(C1(i) 또는 C2 (I))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변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단계(#13, #17 및 #19)에서, 직전변환으로부터 얻어진 코드워드(C(i-1))와 후속변환으로부터 얻어진 코드워드(C(i))간 상호연결에 있어 런랭스제한을 충족시키는 해당 코드워드(C1(i))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변환표(Tp(1) 및 Tp(4))가 있는지를 결정하며; 또한,
    두 개의 이용가능한 변환표(Tp(1)및 Tp(4))가 있는 것으로 결정(#7 및 #15)되는 경우, 상기 제1 변환표(Tp(1))에 포함된 코드워드(C1(i))와 그 후속 코드워드(C)를 제1 메모리(105a)에, 상기 제2변환표(Tp(4))에 포함된 코드워드(C2(i))와 그 후속 코드워드(C)를 제2 메모리(105b)에 저장하는 단계와;
    적어도 상기 제1 메모리(105a) 또는 제2 메모리(105b)에 저장된 코드워드 시퀀스에 이어지는 코드워드(C(i))를 만드는 두 개의 이용가능한 변환표(Tp(1) 및 Tp(4))가 있는 것으로 결정(#7)되는 경우, 그 지점에서의 코드워드(C1)로부터 계산되어 상기 제1 메모리(105a)에 저장된 제1 룩어헤드 DSV값(DSV1)의 절대치를, 역시 그 지점에서의 코드워드(C2)로부터 계산되어 상기 제2 메모리(105b)에 저장된 제2 룩어헤드 DSV값(DSV2)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룩어헤드 DSV값(DSV1)의 절대치가 보다 작은 것으로 결정(S503)되는 경우, 더욱 바람직한 코드워드 시퀀스로서 상기 제1 코드워드 시퀀스를 선택하고, 상기 제1 룩어헤드 DSV값의 절대치가 보다 작은 것으로 결정(S503)되지 않는 경우, 더욱 바람직한 코드워드 시퀀스로서 상기 제2 코드워드 시퀀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변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단계(#13, #17, #19)에서, 직전변환으로부터 얻어진 코드워드(C(i-1))와 후속변환으로부터 얻어진 코드워드(C(i))간 상호연결에 있어 런랭스제한을 충족시키는 한의 코드워드(C(i))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변환표(Tp(1) 및 Tp(4))가 있는지를 결정하며; 또한,
    두 개의 이용가능한 변환표(Tp(1) 및 Tp(4))가 있는 것으로 결정(#17 및 #15 )되는 경우, 상기 제1 변환표(Tp(1))에 포함된 코드워드(C1(i)) 및 그 후속 코드워드(C)를 제1 메모리(105a)에 저장하고, 상기 제2 변환표(Tp(4))에 포함된 코드워드(C2(i)) 및 그 후속 코드워드(C)를 제2 메모리(105b)에 저장하는 단계와;
    적어도 상기 제1 메모리(105a) 또는 제2 메모리(105b)에 저장된 코드워드 시퀀스에 이어지는 코드워드(C(i))를 만드는 두 개의 이용가능한 변환표(Tp(1) 및 Tp(4))가 있는 것으로 결정(#7)된 경우, 그 지점에서의 코드워드(C1)로부터 계산되어 상기 제1 메모리(105a)에 저장된 제1 룩어헤드 DSV값(DSV1)의 절대치를, 역시 그 지점에서의 코드워드(C2)로부터 계산되어 상기 제2 메모리(105b)에 저장된 제2 룩어헤드 DSV값(DSV2)의 절대치와 비교하는 단계(S503)와;
    상기 제1 룩어헤드 DSV값(DSV1)의 절대치가 보다 작은 것으로 결정(S503)되는 경우, 더욱 바람직한 코드워드 시퀀스로서 상기 제1 코드워드 시퀀스를 선택하고, 상기 제1 룩어헤드 DSV값의 절대치가 보다 작은 것으로 결정(S503)되지 않는 경우, 더욱 바람직한 코드워드 시퀀스로서 상기 제2 코드워드 시퀀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변조방법.
  9. 그 위의 데이터워드(D(i))를 제5항에 따른 디지털 변조방법을 수단으로 하여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OH).
  10. 그 위의 데이터워드(D(i))를 제6항에 따른 디지털 변조방법을 수단으로 하여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OH).
  11. 그 위의 데이터워드(D(i))를 제7항에 따른 디지털 변조방법을 수단으로 하여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OH).
  12. 데이터워드(D(i))를 제8항에 따른 디지털 변조방법을 수단으로 하여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OH).
KR10-1998-0703968A 1995-12-13 1996-12-12 디지털변조장치,디지털변조방법및그기록매체 KR100400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24169 1995-12-13
JP32416995A JP3339539B2 (ja) 1995-12-13 1995-12-13 デジタル変調装置、その方法及び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691A true KR19990071691A (ko) 1999-09-27
KR100400240B1 KR100400240B1 (ko) 2003-12-18

Family

ID=18162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968A KR100400240B1 (ko) 1995-12-13 1996-12-12 디지털변조장치,디지털변조방법및그기록매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917857A (ko)
EP (1) EP0867073B1 (ko)
JP (1) JP3339539B2 (ko)
KR (1) KR100400240B1 (ko)
CN (1) CN1134110C (ko)
DE (1) DE69629490T2 (ko)
HK (1) HK1016366A1 (ko)
MX (1) MX9804702A (ko)
MY (1) MY120916A (ko)
TW (1) TW402718B (ko)
WO (1) WO199702218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923B1 (ko) * 2000-05-02 2003-02-25 대우전자주식회사 고밀도 디브이디를 위한 변조방법
KR100421004B1 (ko) * 2001-04-20 2004-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코드 생성 및 배치 방법
KR100424482B1 (ko) * 2000-06-22 200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련의 데이터 워드를 변조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72399B1 (ko) * 2000-05-04 2007-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기록매체의 데이터 변/복조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599B1 (ko) * 2000-09-06 2006-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된 dc 억압 능력을 갖는 rll 코드 변복조 방법
JP3962439B2 (ja) * 1996-06-21 2007-08-2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並びに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TW362305B (en) * 1996-10-18 1999-06-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 sequence of m-bit information words into a modulated signal
JP3500026B2 (ja) * 1997-01-27 2004-02-23 矢崎総業株式会社 データ変調装置、及びデータ変調方法
JP3500028B2 (ja) * 1997-01-29 2004-02-23 矢崎総業株式会社 データ復調装置、及びデータ復調方法
US6317397B1 (en) 1997-11-17 2001-11-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recording medium, data recording apparatus,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JP3722331B2 (ja) * 1997-12-12 2005-11-30 ソニー株式会社 変調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3985173B2 (ja) * 1998-05-29 2007-10-03 ソニー株式会社 変調装置および方法、復調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データ格納媒体
US6297753B1 (en) * 1999-01-29 2001-10-0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Eight-to-fifteen modulation using no merging bit and optical disc recording or reading systems based thereon
KR100565046B1 (ko) * 1999-04-21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된 dc 억압 능력을 갖는 rll 코드 배치 방법, 변복조 방법 및 복조 장치
KR100565039B1 (ko) * 1999-07-08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rll 변복조방법
KR100726083B1 (ko) * 2000-04-14 200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기록매체와 그의 데이터 변/복조 방법 및 장치
JP2002319242A (ja) * 2001-02-13 2002-10-31 Victor Co Of Japan Ltd 記録方法、記録装置、伝送装置、再生方法、再生装置、受信装置、記録媒体及び伝送媒体
KR100724354B1 (ko) * 2001-03-24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 및 그 장치
KR100531781B1 (ko) * 2001-03-26 2005-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데이터 변조 방법/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변조된 데이터 기록매체
KR100424483B1 (ko) * 2001-05-14 200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련의 데이터 워드를 변조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17936B1 (ko) * 2001-05-14 2008-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련의 데이터 워드를 변조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
CN100428633C (zh) * 2001-06-29 2008-10-22 日本胜利株式会社 数字信号的调制方法及调制装置
KR100462594B1 (ko) * 2001-07-16 2004-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장치의 동작 마진을 향상시키고 dvd-ram과dvd-r/rw에 겸용으로 사용되는 디지털 변조장치및 방법
CA2458540A1 (en) * 2001-09-10 2003-03-20 Koda Investments Limited Coding method and device
DE10163556A1 (de) * 2001-12-21 2003-08-07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m Kodieren eines Datenstroms
KR100513328B1 (ko) * 2001-12-21 2005-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련의 데이터 워드를 변조신호로 변환하는 장치 및 방법
JP3757918B2 (ja) 2002-08-20 2006-03-22 日本電気株式会社 符号化変調方法および変調装置、復調方法および復調装置
US7317408B2 (en) 2003-05-13 2008-01-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modulation apparatus and digital modulation method
EP1652175B1 (en) * 2003-08-05 2009-10-28 Lg Electronics Inc.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playback management information on/from optical disc
JP4425918B2 (ja) 2003-08-05 2010-03-0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追記型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に管理情報を記録し再生する方法及び装置
US7313065B2 (en) 2003-08-05 2007-12-25 Lg Electronics Inc.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management information on/from optical disc
TWI225730B (en) * 2003-12-31 2004-12-21 Ind Tech Res Inst Type-dependent coding method with type control
TWI267828B (en) 2004-11-12 2006-12-01 Ind Tech Res Inst Encoding apparatus with fast look-ahead path
US20070222650A1 (en) * 2006-03-17 2007-09-27 Joonbae Park Serial interface circuit and apparatus including serial interface circuit
JP4899616B2 (ja) * 2006-04-28 2012-03-21 ソニー株式会社 変調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7738339B2 (en) * 2006-11-28 2010-06-15 Mediatek Inc. Data recording devices and methods thereof
US8041927B2 (en) * 2008-04-16 2011-10-18 Nec Corporation Processor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multiple data by single instruction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6866A (en) * 1981-04-24 1982-10-30 Sony Corp Encoder of binary signal
US4644545A (en) * 1983-05-16 1987-02-17 Data General Corporation Digital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DE3587535T2 (de) * 1984-10-01 1994-0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numerischen Datenkodierung.
US4988999A (en) * 1989-04-12 1991-01-29 Nippon Hoso Kyokai Digital modulation method
JP2809832B2 (ja) * 1990-07-13 1998-10-15 株式会社東芝 符号変調方法
EP0471130B1 (en) * 1990-08-16 1995-1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ipelined and parallel processing
DE69130817T2 (de) * 1990-08-18 1999-10-21 Mitsubishi Electric Corp Datenumsetzungsverfahren und Verfahren zur Bildung von Pilotsignalen mit diesem Verfahren
JPH05284035A (ja) * 1992-03-31 1993-10-29 Sony Corp 情報変換方法
JPH06197024A (ja) * 1992-11-09 1994-07-15 Sony Corp 変調方法、変調装置及び復調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923B1 (ko) * 2000-05-02 2003-02-25 대우전자주식회사 고밀도 디브이디를 위한 변조방법
KR100672399B1 (ko) * 2000-05-04 2007-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기록매체의 데이터 변/복조 방법 및 장치
KR100424482B1 (ko) * 2000-06-22 200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련의 데이터 워드를 변조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421004B1 (ko) * 2001-04-20 2004-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코드 생성 및 배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29490D1 (de) 2003-09-18
MY120916A (en) 2005-12-30
TW402718B (en) 2000-08-21
CN1204424A (zh) 1999-01-06
JP3339539B2 (ja) 2002-10-28
MX9804702A (es) 1998-10-31
JPH09162744A (ja) 1997-06-20
KR100400240B1 (ko) 2003-12-18
EP0867073B1 (en) 2003-08-13
US5917857A (en) 1999-06-29
EP0867073A1 (en) 1998-09-30
CN1134110C (zh) 2004-01-07
WO1997022182A1 (en) 1997-06-19
HK1016366A1 (en) 1999-10-29
DE69629490T2 (de) 200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1691A (ko) 디지털 변조장치, 디지털 변조방법 및 그 기록매체
US47603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 run length limited code
KR100384312B1 (ko) 기록매체,디지탈변조/복조장치및디지탈변조/복조방법
US5748119A (en) Devices and methods for channel-encoding and channel-decoding of digital data
US4985700A (en) Variable-length coding/decoding device
EP1168331B1 (en) Signal demodulating method and signal demodulating apparatus
KR100297528B1 (ko) 변조회로
US6229459B1 (en) Data conver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H10508456A (ja) mビットの情報語の系列を変調信号に変換する方法、記録キャリアを製造する方法、コード装置、装置、記録装置、信号及び記録キャリア
US5579003A (en) Digital data modulation/demodulation system wherein the modulated data satisfies a minimum run number of zeros
US6559779B2 (en) Data encoding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020033724A (ko) 이진 정보신호의 데이터비트들로 구성된 스트림을 제약된이진 채널신호의 데이터비트들로 구성된 스트림으로변환하는 방법, 인코딩 장치, 제약된 이진 채널신호의데이터비트들로 구성된 스트림을 포함한 신호, 기록매체,디코딩 방법, 디코딩 장치
JPH01286626A (ja) データ符号化方式
US6903667B2 (en) Data conversion apparatus and data conversion method
KR20020011981A (ko) 정보 코딩을 위한 장치 및 방법과, 그 코딩된 정보를디코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변조신호 및 기록매체제조방법
JP3013651B2 (ja) デジタル変調装置
KR100470026B1 (ko) 정보를 코딩/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CN100367675C (zh) 编码方法和设备
JP3011436B2 (ja) ディジタル信号変調方式
JP2005513706A (ja) データストリームの符号化方法
KR100752880B1 (ko) 정보를 코딩/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4220766A (ja) 変調方法、変調装置、復調方法、復調装置、情報記録媒体、情報伝送方法および情報伝送装置
JP4059210B2 (ja) 情報記録媒体
JP2794719B2 (ja) 符号変換装置
JP2004220767A (ja) 変調方法、変調装置、復調方法、復調装置、情報記録媒体、情報伝送方法および情報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