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8118A - 지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지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8118A
KR19990068118A KR1019990002329A KR19990002329A KR19990068118A KR 19990068118 A KR19990068118 A KR 19990068118A KR 1019990002329 A KR1019990002329 A KR 1019990002329A KR 19990002329 A KR19990002329 A KR 19990002329A KR 19990068118 A KR19990068118 A KR 19990068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accumulated
bill
diameter portions
roller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와노이치로
Original Assignee
다케시 이케베
로레루 반쿠 마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시 이케베, 로레루 반쿠 마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시 이케베
Publication of KR19990068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11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3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separating from the bottom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07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 B65H3/523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the retainers positioned ov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bottom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B65H7/1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responsive to double feed or sepa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5Height, e.g. of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2Distance
    • B65H2511/224Nip between rollers, between belts or between rollers and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30Numbers, e.g. of windings or ro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30Forces; Stresses
    • B65H2515/34Pressure, e.g.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51Encoders, e.g. lin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veyance By Endless Belt Conveyor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지폐저장통내에 장치되어 그 상면에 집적된 지폐를 지지하는 지폐집적판과,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 중 최저지폐와 접촉가능하도록 지폐집적판 아래에 장치되어 최저 지폐를 측방향으로 축출하는 축출롤러와, 다수의 대직경부와 다수의 소직경부가 있어서 축출롤러에 의해 축출된 지폐를 하류로 더 공급하는 공급롤러와, 각각이 다수의 대직경부와 다수의 소직경부를 갖고 그 대직경부는 공급롤러의 다수의 소직경부와 맞물릴 수 있어 자신과 공급롤러 사이에 있는 지폐들을 하나씩 분리하는 분리롤러와,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를 검출하는 집적지폐수검출기와, 집적지폐수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집적지폐의 개수에 응답하여 분리롤러의 다수의 대직경부가 공급롤러의 다수의 소직경부에 맞물린 깊이를 조절하는 물림량 조절기를 포함하는, 지폐저장통으로부터 지폐를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지폐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지폐공급장치에 의하면, 내부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가 많을 때에도 지폐를 한번에 하나씩 신뢰성있게 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폐공급장치{Bill feed-out device}
본 발명은 지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가 많을 때에도 신뢰성있게 지폐를 한번에 하나씩 배출할 수 있는 지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개평 2-175528호 공보에는 수직으로 집적된 지폐를 한번에 하나씩 최저로부터 배출하도록 구성된 지폐공급장치가 나타나 있다. 이 지폐공급장치는 집적된 지폐중 최저 지폐의 하면과 접촉하고 이 지폐를 축출하는 축출롤러와, 축출롤러에 의해 축출된 지폐의 하면과 접촉하고 이것을 측방향으로 더 공급하는 공급롤러와, 위쪽으로부터 공급롤러와 대면하고 지폐와 공급롤러 사이의 마찰을 일으켜 지폐를 확실하게 하나씩 배출하는 분리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폐처리기가 최근에 훨씬 더 많은 수의 지폐를 처리하도록 요구됨에 따라, 상기 기구에 집적되어야할 지폐의 개수가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방식으로 집적부 중 최저로부터 지폐를 배출하는 지폐공급장치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가 증가될 때, 집적 지폐의 증가된 무게로 인해 집적부의 바닥 근처의 지폐들간에 뿐만아니라 축출롤러와 최저지폐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둘 이상의 지폐가 공급롤러와 분리롤러 사이에 동시에 공급되어 공급롤러와 분리롤러가 이들을 분리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결과 확실하게 한번에 하나씩 지폐를 배출하는 공급장치의 기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적된 지폐의 개수가 많아질 때에도 신뢰성있게 지폐를 한번에 하나씩 배출할 수 있는 지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지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지폐집적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지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지폐공급장치의 또다른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지폐공급장치의 개략확대측면도이다.
도 4는 지폐공급장치의 요부의 개략확대측면도이다.
도 5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인 지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지폐처리기의 제어시스템, 검출시스템, 구동시스템 및 입력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엘리베이터판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와 분리롤러의 공급롤러에의 물림량(맞물린 깊이) 사이의 관계의 일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지폐집적기 2. 하우징
3,4. 가이드판 5. 지폐집적공간부
6. 지폐수용부 7. 엘리베이터판
8. 엘리베이터기구 9. 공급장치
10. 가압기 11. 지폐유입구
12. 지지축 13. 지폐가이드판
14,15. 지지축 16. 수용롤러
17. 베인휠 20. 가이드레일
21. 롤러 22. 풀리
23. 구동벨트 30. 배출통로
31,32. 가이드판 33. 지지축
34. 축출롤러 35. 고마찰재
36,38. 지지축 37. 공급롤러
39. 암 40. 지지축
41. 분리롤러 44. 고마찰재
42,46. 소직경부 43,45. 대직경부
50. 물림량 조절장치 51. 지지축
52. 섹터기어 53. 암
54. 기어 55. 스텝모터
55a. 구동축 60. 가이드레일
61. 롤러 62. 암
63. 가압판 64. 엘리베이터장치
65. 엘리베이터부재 66. 구동벨트
70,71,72,73. 센서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은 지폐저장통으로부터 지폐를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지폐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데, 이 지폐공급장치는 지폐저장통내에 장치되고 그 상면에 집적된 지폐를 지지하는 지폐집적판과, 지폐집적판 아래에 설치되어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 중 최저지폐와 접촉가능하여 최저지폐를 측방향으로 축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출롤러수단과, 축출롤러수단의 지폐축출방향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대직경부와 다수개의 소직경부가 있어서 축출롤러수단에 의해 축출된 지폐를 더 하류로 공급하는 공급롤러수단과, 다수의 대직경부와 다수의 소직경부를 갖고 다수의 대직경부는 공급롤러 수단의 다수의 소직경부와 맞물릴 수 있어서 자신과 공급롤러 수단 사이에 있는 지폐들을 하나씩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롤러 수단과,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를 검출하는 집적지폐수검출수단과, 집적지폐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집적지폐의 개수에 응답하여 분리롤러 수단의 다수의 대직경부가 공급롤러 수단의 다수개의 소직경부와 맞물려 있는 깊이를 조절하는 물림량 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관점에서, 물림량 조절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롤러 수단이 공급롤러 수단에 맞물려 있는 깊이를 조절하여 집적지폐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집적지폐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비례하여 분리롤러 수단의 다수의 대직경부가 공급롤러 수단의 다수의 소직경부에 맞물려있는 깊이를 증가시키도록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관점에서, 물림량 조절장치는 스텝모터수단을 포함하고, 이 스텝모터수단의 구동축의 회전각은 회전부호화수단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관점에서, 지폐공급장치는 지폐집적판을 올리거나 낮추는 스텝모터수단을 더 포함하고, 집적지폐수검출수단은 스텝모터에 인가된 펄스의 수에 의거하여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관점에서, 지폐공급장치는 공급롤러수단의 하류에 설치되어 공급롤러수단에 의해 공급된 지폐의 개수를 세는 배출지폐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관점에서, 지폐공급장치는 배출지폐센서에 부가하여, 지폐저장통으로 받아들여지는 지폐의 개수를 세는 유입지폐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관점에서, 지폐공급장치는 지폐저장통에 수직으로 떨어져 있는 다수개의 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관점에서, 지폐공급장치는 외부로부터 지폐의 개수를 입력하는 지폐수입력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관점에서, 지폐공급장치는 소정수 이하의 지폐가 지폐집적판에 집적될 때 위쪽으로부터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를 아래로 누르는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고, 물림량 조절장치는 가압수단이 위쪽으로부터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를 아래로 누를 때 분리롤러수단의 다수의 대직경부가 공급롤러수단의 다수의 소직경부에 맞물린 깊이를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관점에서, 지폐공급장치는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가 소정의 수에 도달하였는지를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의 집적높이에 의거하여 검출하는 집적높이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관점에서, 지폐공급장치는 그 일단부가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타단부가 적어도 하나의 분리롤러수단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수단과, 암수단을 회전하도록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물림량 조절장치는 지지축 주위로 회전수단을 회전시키므로써 분리롤러수단의 다수의 대직경부가 공급롤러수단의 다수의 소직경부에 맞물린 깊이를 조절하도록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및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고로 설명된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폐입출금기 등의 지폐처리기에 설치된 지폐집적기(1)는 투입된 지폐를 거의 수직으로 집적되게 내부에 저장할 수 있고 필요할 때 지폐를 배출할 수 있다. 지폐집적기(1)는 필요에 따라 지폐처리기에 설치하고 그로부터 해체할 수 있다.
지폐집적기(1)에는 박스형 하우징(2)이 지폐처리기에 직립하여 설치된다. 수평 가이드판(3, 4)은 각각 그 대향하는 측면(2a, 2b) 근처에 하우징(2)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지폐를 집적하는 지폐집적공간부(5)는 가이드판(3, 4)사이에 규정된다. 안내판(4)의 상단과 하단부는 하우징(2)의 측면(2b)쪽으로 굽어져 있다.
지폐집적기(1)에는 하우징(2)의 상부에 지폐를 받아들이기 위한 지폐수용부(6)가 장치되고, 또한 그 상면에 집적된 지폐를 수납하는데 사용되는 엘리베이터판(7)과, 엘리베이터판(7)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기구(8)와, 하우징(2)의 외부로 지폐를 배출하도록 하우징(2)의 저부에 장치된 공급장치(9)와 지폐가 배출될 때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를 아래로 누르는 가압기(10)가 장치된다.
지폐유입구(11)는 지폐집적공간부(5)로 지폐를 안내하도록 하우징(2)에 장치된다.
지폐수용부(6)는 가이드판(4)의 위쪽에 설치되어 하우징(2)의 측면(2a, 2b)에 평행하게 움직이는 수평 지지축(12)과 지지축(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폐가이드판(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폐가이드판(13)은 그 하면을 따라 지폐집적기(1)에 수용된 지폐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 단부는 위쪽으로 굽어있다.
지폐수용부(6)에는 지폐유입구(11) 근방의 위치에 하우징(2)의 측면(2a, 2b)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수평 지지축(14, 15)이 더 장치된다. 지지축(14)은 수용롤러(16)를 지지하고 지지축(15)은 베인휠(Vane wheel)(17)을 지지한다. 지폐유입구(11)를 통해 삽입된 지폐들은 수용롤러(16)와 베인휠(17) 사이에 잡혀서 한번에 하나씩 지폐집적공간부(5)로 전송된다. 수용롤러(16)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된다. 수용롤러(16)의 회전에 따라 종속장치로서 회전하는 베인휠(17)은 수용된 각 지폐의 후단을 문질러 떨어뜨린다.
엘리베이터기구(8)는 하우징내에 설치된다. 이것은 수직연장 가이드레일(20)과 이 가이드레일(20)에 의해 안내되는 한쌍의 롤러(21, 21)를 포함한다. 롤러(21, 21)의 축은 공통부재(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고 엘리베이터판(7)을 지지한다.
엘리베이터기구(8)에는 수직으로 떨어져 있는 수평축을 갖는 한쌍의 풀리(22, 22)(도 1에는 상부풀리만이 도시되어 있음)와, 풀리(22, 22)의 주위를 감싸는 구동벨트(23)와, 하나의 풀리(22)를 회전하는 스텝모터(도 1에 도시되지 않음)가 더 장치된다. 엘리베이터판(7)은 가이드판(4)에 더 가까운 구동벨트(23)의 측면에 고정된다.
도 3은 공급장치(9)의 개략확대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급장치(9)에는 지폐집적공간부(5)에 집적된 지폐를 지폐처리기의 하류의 한 지점으로 배출하는 배출통로(30)가 장치된다. 배출통로(30)의 상단측은 가이드판(4)의 저단부에 의해 한정되고 가이드판(31)은 그로부터 연장한다. 그 바닥측은 가이드판(32)에 의해 한정된다.
공급장치(9)는 하우징(2) 에 가이드판(3, 4) 사이에 부착된 수평 지지축(33)과 하우징(2) 아래에 지지축(3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축출롤러(34, 34)(도 3에는 하나만 도시됨)를 또한 포함한다. 도 2와 3에서 알 수 있듯이, 축출롤러(34, 34)는 이 그 최저위치에 있을 때 내부에 형성된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엘리베이터판(7)의 상부로 돌출하므로써 엘리베이터판(7)의 상면에 집적된 지폐 중 최저의 것과 접촉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축출롤러(34, 34)는 고마찰재(35)로 입혀지고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어 도 1 내지 3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최저지폐를 우측으로 축출한다.
공급장치(9)는 지지축(33)에 평행하게 놓이도록 가이드판(4) 아래의 하우징(2)에 설치된 지지축(36)과, 그 일부분이 가이드판(4)의 하단 위쪽에 돌출하도록 지지축(36)에 설치된 공급롤러(37)와, 지지축(33, 36)과 평행하게 놓이도록 지지축(33)으로부터 가이드판(31)의 반대측의 한 지점에 하우징(2)에 설치된 지지축(38)과, 지지축(38)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암(39, 39)(도 1 내지 3에는 하나만 도시됨)과, 지지축(38)에 평행하게 놓이도록 지지축(38)으로부터 암(39, 39)의 반대측에 설치된 한쌍의 지지축(40, 40)(도 1 내지 3에는 하나만 도시됨)과, 지지축(40, 40)의 각 하나에 지지된 한쌍의 분리롤러(41, 41)(도 1 내지 3에는 하나만 도시됨)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축출롤러(34, 34)를 구동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어, 공급롤러(37)는 도 1 내지 3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축출롤러(34, 34)에 의해 축출된 각 지폐가 그 자신과 분리롤러(41, 41)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고, 이에의해 배출통로(30)를 통해 지폐를 배출한다.
도 4는 지폐공급장치(9)의 요부의 개략확대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급롤러(37)는 4개의 소직경부(42)와 6개의 대직경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대직경부(43)는 부분적으로 고마찰재(44)로 입혀진다.
각 분리롤러(41)는 고마찰재로 입혀지고 도 3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각 분리롤러(41)에는 2개의 대직경부(45) 사이에 소직경부(46)가 있다. 분리롤러(41, 41)의 대직경부(45, 45, ....)의 폭은 공급롤러(37)의 소직경부(42, 42, .....)의 폭보다 작다. 분리롤러(41, 41)의 대직경부(45, 45, ....)는 공급롤러(37)의 소직경부(42, 42, .....)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이 각각은 한쌍의 인접한 대직경부(43, 43)와 그 사이의 소직경부(42)에 의해 규정된 공간으로 들어가므로써 공급롤러(37)와 맞물릴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급장치(9)에는 분리롤러(41, 41)의 지지축(40, 40)과 공급롤러(37)의 지지축(36)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한쌍의 물림량 조절장치(50, 50)(도 3에는 한개만이 도시됨)가 장치되어 분리롤러(41, 41)가 공급롤러(37)에 맞물린 깊이를 조절한다.
각 물림량 조절장치(50)는 도 3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분리롤러(41)를 가세하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과, 지지축(38)에 평행하게 놓이도록 하우징(2)에 고정된 지지축(51)과, 지지축(51)에 지지되고 그 일단이 관련 지지축(40)의 하측과 접촉하고 그 타단이 섹터기어(52)로 형성되어 지지축(51)에 지지된 암(53)과, 구동축(55a)을 갖는 가역 스텝모터(55)와, 스텝모터(55)의 구동축(55a)에 부착되고 암(53)의 섹터기어(52)와 결합된 기어(54)와, 스텝모터(55)의 구동축(55a)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회전부호화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압기(10)는 그 상단부만이 하우징(2)의 측면(2b)을 향하여 굽어진 것만 제외하고 가이드판(4)과 하우징(2)의 측면(2b) 사이에 전체적으로 수직으로 뻗어있도록 하우징(2)에 형성된 가이드레일(60)과, 가이드레일(60)을 따라 움직이는 한쌍의 롤러(61, 61)와, 이 한쌍의 롤러(61, 61)에 의해 지지된 L자형 암(62)과, 이 L자형 암(62)의 단부분에 부착된 가압판(63)과, 가이드레일(60)을 따라 롤러(61, 61)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롤러(61, 61)의 축은 공통부재(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된다.
엘리베이터 장치(64)는 그 축이 하우징(2)의 측면(2b)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놓여 있는 한쌍의 풀리(도시되지 않음)와, 한쌍의 풀리 주위에 감겨진 구동벨트(66)와, 구동벨트(66)에 부착되고 롤러(61, 61) 중 하부의 것의 축의 하측과 접촉하도록 된 엘리베이터 부재(65)와, 풀리 중 하나를 통해 구동벨트(66)를 구동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의 배출시에, 구동벨트(66)는 엘리베이터부재(65)를 하부 롤러(61)로부터 분리하도록 구동되어 가압판(63)이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위로 하강하여 그 무게에 의해 집적된 지폐를 아래로 누를 수 있다.
지폐 가이드판(13)을 검출하는 센서(70)와 엘리베이터판(7)이 그 최저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센서(71)가 하우징(2)에 장치된다.
엘리베이터판(7)이 그 최저위치에 위치할 때 소정수의 지폐가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72)가 하우징(2)에 또한 설치된다.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가 가압기(10)에 의해 눌러지지 않더라도 축출롤러(34, 34)에 의해 집적된 지폐 중 최저의 것의 축출을 보장하도록 그 무게가 최저의 지폐와 축출롤러(34, 34) 사이의 충분한 마찰을 일으키는 최소개수의 지폐로 소정개수의 지폐를 정의한다.
또한, 엘리베이터부재(65)가 그 최저위치("배출위치")인지를 검출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장치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폐집적공간부(5)로부터 벗어난 지점("철회위치")까지 가압판(63)이 상승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장치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폐집적기(1)로부터 배출된 지폐를 검출하는 센서(73)는 지폐배출방향과 관련하여 공급롤러(37)와 분리롤러(41, 41)의 하류에 장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지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지폐처리기의 제어시스템, 검출시스템, 구동 시스템 및 입력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폐처리기의 제어 시스템은 CPU(중앙처리부)(80), 지폐처리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기본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롬(Read-only memory)(81) 및 지폐집적기(1)에 공급되는 지폐의 개수 및 그외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ndom access memory)(82)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폐처리기의 검출 시스템은 지폐의 진위와 종류를 판별하고 또는 그 지폐의 개수를 세고, 지폐선별통로(도시되지 않음)내에 설치된 센서(85)와, 지폐가이드판(13)을 검출하는 센서(70)와, 엘리베이터판(7)이 그 최저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센서(71)와,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가 소정수에 도달했는지를 검출하는 센서(72)와, 지폐집적기(1)로부터 배출된 지폐를 검출하는 센서(73)와, 엘리베이터부재(65)가 배출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센서(86)와, 엘리베이터부재(65)가 철회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센서(87)와, 한쌍의 회전부호화기(88, 88)를 포함한다.
지폐처리기의 구동 시스템은 수용롤러(16)를 구동하는 모터(90)와, 엘리베이터판(7)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해 하나의 풀리(22)를 회전시키는 스텝모터(91)와, 축출롤러(34, 34)와 공급롤러(37)를 회전시키는 모터(92)와, 기어(54, 54)가 암(53, 53)의 섹터기어(52, 52)와 결합되도록 그 구동축에 고정되는 가역 스텝모터(55, 55)와, 엘리베이터부태(65)와 가압판(63)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구동벨트(66)를 구동하는 모터(93)를 포함한다.
지폐처리기의 입력 시스템은 지폐처리기에 투입된 지폐의 개수 또는 가격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투입지시부(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구성된 지폐공급장치는 지폐집적기(1)에 지폐를 수용하기 전에 다음과 같이 제어된다.
CPU(80)는 먼저 엘리베이터판(7)이 그 최저위치에 있는지를 센서(71)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판별한다.
만약 엘리베이터판(7)이 그 최저위치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스텝모터(91)는 센서(71)에 의해 그 최저위치가 검출될 때까지 엘리베이터판(7)을 하강시키도록 작동된다.
다음으로 CPU(80)는 센서(70)가 지폐가이드판(13)을 검출할 때까지 스텝모터(91)가 엘리베이터판(7)을 상승시키도록 작동하고, 동시에 이 동작에 대해 스텝모터(91)에 인가된 펄스의 개수를 램(82)에 저장한다. 따라서 램(82)에 저장된 펄스의 개수는 최저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판(7)의 거리를 나타낸다.
CPU(80)가 센서(70)로부터 지폐가이드판(13)의 검출을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수신할 때, CPU(80)는, 센서(70)로부터의 지폐가이드판(13)검출신호의 입력이 종료할 때까지 스텝모터(91)가 엘리베이터판(7)을 하강하도록 작동하고 그리고나서i개(여기에서i는 양의 정수)의 지폐의 두께와 동일한 소정의 거리(D)로 엘리베이터판(7)을 하강시킨 소정개수의 펄스를 스텝모터(91)에 보낸다. 센서(70)로부터 지폐가이드판(13)검출신호의 입력의 종료로부터 시작하여 스텝모터(91)에 소정개수의 펄스를 인가하므로써 소정의 거리(D)만큼 하강할 때의 엘리베이터판(7)의 위치를 "수용위치"라고 한다.
엘리베이터판(7)이 수용위치에 위치하고 하나이상의 지폐가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될 때, 집적된 지폐의 개수와 무관하게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최상의 지폐의 상면과 각 지폐유입구(11)사이, 즉 지지축(14)과 지지축(15) 사이에 소정크기의 공간이 항상 확립된다. 어떤 지폐도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소정크기의 공간이 엘리베이터판(7)의 상면과 각 지폐유입구(11), 즉 지지축(14)과 지지축(15) 사이에 확립된다.
CPU(80)는 스텝모터(91)에 인가된 펄스의 개수를 램(82)에 저장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판(7)의 위치는 램(82)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알려질 수 있다.
지폐처리기가 투입신호를 수신하고 투입된 지폐가 지폐집적기(1)에 수용될 때, CPU(80)는 엘리베이터판(7)을 수용위치로 이동시키고 그리고나서 모터(90)가 수용롤러(16)를 회전시키도록 작동한다.
지폐들은 지폐선별통로(도시되지 않음)에 공급되어 여기에서 센서(85)에 의해 진위와 종류가 판별되고 세어진다. 그리고나서 이들은 지폐유입구(11)에 공급된다. CPU(80)는 센서(85)로부터의 지폐개수를 램(82)에 저장한다.
지폐유입구(11)에 공급된 지폐는 모터(90)에 의해 회전되는 수용롤러(16)와 수용롤러(16)의 회전에 따라 종속장치로서 회전하는 베인휠(17)에 의해 지폐집적기(1)에 수용되고, 엘리베이터판(7)이나 엘리베이터판(7)위에 집적된 최상의 지폐에 집적된다.
CPU(80)가 엘리베이터판(7)이나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최상의 지폐에의 소정개수의 지폐의 집적으로 인해 센서(70)로부터 지폐가이드판(13)이 검출되었음을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수신할 때, CPU(80)는 센서(70)로부터의 지폐가이드판(13)검출신호의 입력이 종료할 때까지 스텝모터(91)가 엘리베이터판(7)을 하강시키도록 동작하고 그리고나서 스텝모터(91)에 엘리베이터판(7)을 소정거리(D)로 하강시키는 소정개수의 펄스를 보내어 수용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동작을 반복하므로써 지폐들은 엘리베이터판(7)에 연속적으로 집적된다.
롬(81)은 2개의 표를 저장한다. 첫번째는 스텝모터(91)에 인가된 펄스의 개수와 엘리베이터판(7)의 위치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두번째는 엘리베이터판(7)의 위치와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CPU(80)는 스텝모터(91)에 인가된 펄스의 개수와 관련하여 램(82)에 저장된 데이터와 롬(81)에 저장된 표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를 산출하여 이 결과를 램(82)에 저장한다.
지폐처리기가 지폐철회신호를 수신하고 지폐집적기(1)에 수용되고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가 지폐집적기(1)로부터 배출될 때, CPU(80)는 먼저 센서(71)로부터 검출신호를 조사한다. 만약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CPU(80)는 엘리베이터판(7)이 그 최저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만약 검출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즉 엘리베이터판(7)이 그 최저위치에 있지 않으면, CPU(80)는 센서(71)가 엘리베이터판(7)을 검출할 때까지 스텝모터(91)가 엘리베이터판(7)을 하강시키도록 동작한다.
센서(70)가 엘리베이터판(7)을 검출했음을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CPU(80)가 수신할 때, CPU(80)는 지폐집적부가 센서(72)에 의해 검출되었는지를 조사한다.
만약 지폐집적부가 센서(72)에 의해 검출되면, 이것은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가 가압기(10)에 의해 아래로 눌려지지 않더라도 축출롤러(34, 34)에 의해 집적지폐 중 최저의 것을 확실하게 축출할만큼 최저 지폐와 축출롤러(34, 34)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이 발생하는 무게의 지폐의 개수가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CPU(80)는 엘리베이터부재(65)와 가압판(63)을 작동하기 위해 모터(93)에 구동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즉 가압판(63)은 지폐집적공간부(5) 밖의 철회위치에 유지된다.
반대로, 만약 지폐집적부가 센서(72)에 의해 검출되지 않으면, 이것은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가 가압기(10)에 의해 아래로 눌려지지 않는다면 최저지폐와 축출롤러(34, 34) 사이의 마찰이 집적지폐중 최저의 것을 축출롤러(34, 34)에 의해 확실히 축출할만큼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CPU(80)는 모터(93)에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엘리베이터부재(65)와 가압판(63)을 하강시켜 엘리베이터부재(65)를 배출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가압판(63)이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최상의 지폐의 상면으로 하강하므로, 그 무게가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를 아래로 누른다.
본 실시예에서, 공급장치(9)는 분리롤러(41, 41)의 공급롤러(37)에의 물림량이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에 따라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집적부의 바닥근처의 지폐들간의 마찰력도 또한 증가한다. 이것은 2개 이상의 지폐가 동시에 축출되어 공급롤러(37)와 분리롤러(41, 41)가 지폐들을 하나씩 분리하지 못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의 함수로서 분리롤러(41, 41)의 공급롤러(37)에로의 물림량(맞물린 깊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분리롤러(41, 41)의 공급롤러(37)에로의 물림량이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된다.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와 분리롤러(41, 41)의 공급롤러(37)에로의 물림량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는 표가 이런 목적으로 롬(81)에 저장된다.
도 6은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와 분리롤러(41, 41)의 공급롤러(37)에로의 물림량 사이의 관계의 일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분리롤러(41, 41)의 공급롤러(37)에로의 물림량은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가k만큼 증가할 때마다 증가한다.k의 값은i보다 크도록 설정된다(k>i). 이것은 엘리베이터판(7)이i개의 지폐의 두께와 동일한 거리만큼 하강되고 스텝모터(91)에 인가된 펄스의 개수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가 산출되어 램(82)에 저장될 때 램(82)에 저장된 산출 지폐의 개수는 i-1의 오차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으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다른 물림량 조절은 가압기(10)가 가압시인지 비가압시인지에 따라 소정의 지폐의 개수에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오래동안 유통된 지폐들은 보통 구겨지고 따라서 동일한 개수의 새 지폐보다 더 높은 집적부를 형성한다는 사실과 관련된다. 따라서 그 지폐의 개수가 보통 너무 적어서 센서(72)에 의해 검출될 수 없는 지폐집적부가 실제로 센서(72)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가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몇몇 경우에는, 가압기(10)가 작동하지 않아 보통은 이에 의해 아래로 눌려져야할 가압판(63)이 지폐의 집적부를 아래로 누르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같은 경우에, 분리롤러(41, 41)의 공급롤러(37)에로의 물림량은 램(82)에 저장된 집적지폐의 개수에 의거하여 더 작은 값이 되도록 제어된다. 가압기(10)가 작동할 때에 가압판(63)에 의해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에 인가된 압력이 집적부의 바닥 근방의 지폐들간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므로 둘이상의 지폐가 동시에 축출되어 공급롤러(37)와 분리롤러(41, 41)가 이들을 하나씩 분리하지 못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동일한 개수의 지폐에 대해, 본 실시예는 가압기(10)가 비동작할 때보다 동작할 때 더 작은값으로 분리롤러(41, 41)의 공급롤러(37)에로의 물림량을 조절한다.
CPU(80)는 롬(81)에 저장된 도 6의 표로부터 물림량을 검색하기 위한 어드레스 데이터로서 램(82)에 저장된 집적 지폐의 개수를 사용하고 그리고나서 기어(54, 54)와 섹터기어(52, 52)를 통해 암(53, 53)을 회전하도록 스텝모터(55, 55)를 구동하므로써 검색값으로 분리롤러(41, 41)의 공급롤러(37)에로의 물림량을 조절한다. 분리롤러(41, 41)의 공급롤러(37)에로의 물림량은 회전부호화기(88, 88)에 의해 검출된다. CPU(80)는 회전부호화기(88, 88)로부터의 검출신호를 램(82)에 저장한다.
그리고나서 CPU(80)는 구동신호를 모터(92)에 전송하여 축출롤러(34, 34)와 공급롤러(37)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들이 연속적으로 최저지폐로부터 배출되고, 공급롤러(37)와 분리롤러(41, 41)에 의해 하나씩 분리되고, 지폐집적기(1)의 하류에 공급된다. 센서(73)는 배출지폐를 각각 검출하고 검출신호를 CPU(80)에 전송한다. CPU(80)가 센서(73)로부터 검출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램(82)에 저장된 집적 지폐의 개수를 하나씩 감소시킨다.
따라서, 지폐가 지폐집적기(1)로부터 배출됨에 따라, CPU(80)는 스텝모터(55, 55)를 구동하므로써 분리롤러(41, 41)의 공급롤러(37)에로의 물림량을 조절하여 램(82)에 저장된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를 어드레스 데이터로서 사용하여 롬(81)에 저장된 표로부터 검색된 물림량을 확립한다. 또한, 엘리베이터판(7) 밖으로의 지폐의 배출이 센서(72)가 더이상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를 검출하지 않는 지점까지 진행될 때, CPU(80)는 구동신호를 스텝모터(93)에 출력하여 엘리베이터판(7)을 배출위치로 하강시키고 가압판(63)의 무게가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를 아래로 누르도록하고 이에의해 지폐와 축출롤러(34, 34)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지폐의 신뢰성있는 배출을 보장하고, 또한 스텝모터(55, 55)를 작동하여 분리롤러(41, 41)의 공급롤러(37)에로의 물림량을 롬(81)에 저장된 표에 지시된 것으로 조절한다.
지폐집적기(1)로부터의 지폐의 배출 작동이 완료될 때, CPU(80)는 구동신호를 스텝모터(93)에 출력하여 엘리베이터부재(65)를 상승시키고 이에의해 가압판(63)을 움직여서 지폐집적공간(5) 밖의 철회위치에서 정지시킨다.
CPU(80)는 또한 스텝모터(91)를 동작시켜 엘리베이터판(7)을 그 최저위치로 하강시킨다. 센서(71)에 의해 엘리베이터판(7)의 검출시에, CPU(80)는 다시 스텝모터(91)를 동작시켜 지폐가이드판(13)이 센서(70)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엘리베이터판(7)을 상승시키고 이 동작을 위해 스텝모터(91)에 인가된 펄스의 개수를 램(82)에 저장한다. CPU(80)가 센서(70)로부터 지폐가이드판(13)의 검출을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수신할 때, CPU(80)는 스텝모터(91)를 동작시켜 지폐가이드판(13)검출신호의 입력이 종료할 때까지 엘리베이터판(7)을 하강시키고 그리고나서 소정개수의 펄스를 스텝모터(91)에 전송하여i개의 지폐의 두께와 동일한 소정의 거리(D)로 엘리베이터판(7)을 하강시킨다. 엘리베이터판(7)은 이 위치에서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와 지폐가 가압기(10)에 의해 아래로 눌러졌는지에 따라, 다시말해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 중 최저의 것과 축출롤러(34, 34) 사이의 마찰력에 따라 분리롤러(41, 41)의 공급롤러(37)에로의 물림량(맞물린 깊이)을 조절하므로써 지폐가 한번에 하나씩 신뢰성있게 분리되어 배출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부분에 제한되지 않고 부가 청구항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들어, 상기 실시예는 분리지지축(40, 40)에 지지된 2개의 분리롤러(41, 41)가 장치되고 따라서 2개의 물림량조절기(50, 50)가 필요한 반면, 대신에 하나의 지지축(40)에 분리롤러(41, 41)를 지지하고 하나의 물림량 조절기(50)를 장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판(7)의 최저위치가 기준 위치로서 사용되고, 엘리베이터판(7)의 수직위치가 스텝모터(91)에 인가된 펄스의 개수로부터 산출되고,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가 엘리베이터판(7)과 지폐가이드판(13) 사이의 거리로부터 추정되고, 분리롤러(41, 41)의 공급롤러(37)에로의 물림량이 추정된 지폐의 개수에 의거하여 조절되는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대신에, 분리롤러(41, 41)의 공급롤러(37)에로의 물림량은 지폐집적기(1)에 수용된 지폐를 세기위해 지폐선별통로 내부에 설치된 센서(85)의 지폐 카운트와 지폐집적기(1)로부터 배출된 지폐를 검출하는 센서(73)의 지폐카운트로부터 생성된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의 추정에 의거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판(7)의 지폐집적부의 높이를 검출하는 센서(72)에 부가하여 지폐집적기(1)에 장치된 다수의 센서의 출력으로부터 확인된 지폐집적부의 높이로부터 산출된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의 추정에 의거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예를들어 본 발명에 따른 지폐공급장치가 예를들어 지폐처리기에 투입된 지폐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투입 지폐저장통에 설치될 때, 분리롤러(41, 41)의 공급롤러(37)에로의 물림량은 투입지시부(94)를 통해 입력된 지폐값 또는 지폐개수로부터 산출된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의 추정에 의거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센서(72)가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를 검출했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즉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가 가압기(10)에 의해 아래로 눌려지지 않더라도 그 지폐의 무게가 최저 지폐와 축출롤러(34, 34) 사이의 충분한 마찰력을 생성하여 축출롤러(34, 34)에 의해 집적된 지폐 중 최저의 것을 확실하게 축출할 만큼 충분한 소정의 값보다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의 높이가 높거나 같은지를 조사하고, 따라서 가압기(10)를 작동시킬지를 결정한다. 그런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대신에 기준위치로서 엘리베이터판(7)의 최저위치에 대한 엘리베이터판(7)의 수직 위치를 산출하기 위해 스텝모터(91)에 인가된 펄스의 개수를 사용하여 확인된 엘리베이터판(7)과 지폐가이드판(13) 사이의 거리로부터 산출된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의 추정에 의거하거나, 엘리베이터판(7)상의 지폐집적부의 높이를 검출하는 센서(72)에 부가하여 지폐집적기(1)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의 출력으로부터 확인된 엘리베이터판(7)상의 지폐집적부의 높이로부터 산출된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의 추정에 의거하거나, 투입지시부(94)를 통해 입력된 지폐값으로부터 산출된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되 지폐의 개수의 추정에 의거하거나, 또한 센서(85)에 의해 지폐카운트와 센서(73)에 의한 지폐카운트로부터 산출된 엘리베이터판(7)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의 추정에 의거하여 분리롤러(41, 41)의 공급롤러(37)로의 물림량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 수단은 반드시 물리적 수단 및 구성일 필요는 없고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내이면 각 수단의 기능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단일 수단의 기능이 둘이상의 물리적 수단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고 둘이상의 수단의 기능이 단일 물리적 수단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가 많아질 때에도 한번에 하나씩 지폐를 신뢰성있게 배출할 수 있는 지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4)

  1. 지폐저장통으로부터 지폐를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지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공급장치는,
    지폐저장통에 배치되어 그 상면에 집적된 지폐를 지지하는 지폐집적판과,
    지폐집적판상에 집적된 지폐의 최저지폐와 접촉가능하도록 지폐집적판 아래에 설치되어 최저 지폐를 측방향으로 축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출롤러수단과,
    축출롤러수단의 지폐 축출 방향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고 다수의 대직경부와 다수의 소직경부가 있어 축출롤러 수단에 의해 축출된 지폐를 하류로 더 공급하는 공급롤러수단과,
    다수의 대직경부와 다수의 소직경부를 갖고 그 다수의 대직경부는 공급롤러수단의 다수의 소직경부와 맞물릴 수 있어 그 자신(분리롤러수단)과 공급롤러수단 사이에 있는 지폐를 하나씩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롤러수단과,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를 검출하는 집적지폐수검출수단과,
    집적지폐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집적지폐의 개수에 응답하여 분리롤러수단의 다수의 대직경부가 공급롤러수단의 다수의 소직경부에 맞물린 깊이를 조절하는 물림량조절수단과,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물림량조절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분리롤러수단이 공급롤러수단에 맞물린 깊이를 조절하여 집적지폐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집적지폐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하여 분리롤러수단의 다수의 대직경부가 공급롤러수단의 다수의 소직경부에 맞물린깊이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물림량조절수단은 스텝모터수단을 포함하고 스텝모터수단의 구동축의 회전각은 회전부호화기수단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지폐집적판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스텝모터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집적지폐수검출수단은 스텝모터에 인가된 펄스의 개수에 의거하여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지폐공급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공급롤러수단의 하류에 설치되어 공급롤러수단에 의해 공급된 지폐의 개수를 세는 배출지폐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공급롤러수단의 하류에 설치되어 공급롤러수단에 의해 공급된 지폐의 개수를 세는 배출지폐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배출지폐센서에 부가하여, 지폐저장통에 수용된 지폐의 개수를 세는 유입지폐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배출지폐센서에 부가하여, 지폐저장통에 수용된 지폐의 개수를 세는 유입지폐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지폐저장통내에 수직으로 간격이 져 있는 다수의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지폐저장통내에 수직으로 간격이 져 있는 다수의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11. 제 5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지폐의 개수를 입력하는 지폐수입력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지폐의 개수를 입력하는 지폐수입력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13. 제 2항에 있어서,
    소정개수 이하의 지폐가 지폐집적판에 집적될 때 위쪽으로부터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를 아래로 누르는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가압수단이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를 위쪽으로부터 아래로 누를 때 분리롤러수단의 다수의 대직경부가 공급롤러수단의 다수의 소직경부에 맞물린 깊이를 증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14. 제 3항에 있어서,
    소정개수 이하의 지폐가 지폐집적판에 집적될 때 위쪽으로부터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를 아래로 누르는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가압수단이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를 위쪽으로부터 아래로 누를 때 분리롤러수단의 다수의 대직경부가 공급롤러수단의 다수의 소직경부에 맞물린 깊이를 증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15. 제 5항에 있어서,
    소정개수 이하의 지폐가 지폐집적판에 집적될 때 위쪽으로부터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를 아래로 누르는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가압수단이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를 위쪽으로부터 아래로 누를 때 분리롤러수단의 다수의 대직경부가 공급롤러수단의 다수의 소직경부에 맞물린 깊이를 증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16. 제 6항에 있어서,
    소정개수 이하의 지폐가 지폐집적판에 집적될 때 위쪽으로부터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를 아래로 누르는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가압수단이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를 위쪽으로부터 아래로 누를 때 분리롤러수단의 다수의 대직경부가 공급롤러수단의 다수의 소직경부에 맞물린 깊이를 증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집적높이에 의거하여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가 소정의 개수에 도달하였는지를 검출하는 집적높이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집적높이에 의거하여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가 소정의 개수에 도달하였는지를 검출하는 집적높이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집적높이에 의거하여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가 소정의 개수에 도달하였는지를 검출하는 집적높이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20. 제 16항에 있어서,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집적높이에 의거하여 지폐집적판에 집적된 지폐의 개수가 소정의 개수에 도달하였는지를 검출하는 집적높이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21. 제 2항에 있어서,
    그 일단부는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타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롤러수단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물림량조절수단은 회전수단을 지지축 주위로 회전하므로써 분리롤러수단의 다수의 대직경부가 공급롤러수단의 다수의 소직경부에 맞물린 깊이를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22. 제 3항에 있어서,
    그 일단부는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타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롤러수단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물림량조절수단은 회전수단을 지지축 주위로 회전하므로써 분리롤러수단의 다수의 대직경부가 공급롤러수단의 다수의 소직경부에 맞물린 깊이를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23. 제 5항에 있어서,
    그 일단부는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타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롤러수단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물림량조절수단은 회전수단을 지지축 주위로 회전하므로써 분리롤러수단의 다수의 대직경부가 공급롤러수단의 다수의 소직경부에 맞물린 깊이를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24. 제 6항에 있어서,
    그 일단부는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타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롤러수단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물림량조절수단은 회전수단을 지지축 주위로 회전하므로써 분리롤러수단의 다수의 대직경부가 공급롤러수단의 다수의 소직경부에 맞물린 깊이를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공급장치.
KR1019990002329A 1998-01-29 1999-01-26 지폐공급장치 KR199900681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17536 1998-01-29
JP1753698 1998-01-29
JP98-372124 1998-12-28
JP37212498A JP3514999B2 (ja) 1998-01-29 1998-12-28 紙幣繰り出し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118A true KR19990068118A (ko) 1999-08-25

Family

ID=26354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329A KR19990068118A (ko) 1998-01-29 1999-01-26 지폐공급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47693B1 (ko)
EP (1) EP0933732B1 (ko)
JP (1) JP3514999B2 (ko)
KR (1) KR19990068118A (ko)
CN (1) CN1078169C (ko)
DE (1) DE69928710T2 (ko)
TW (1) TW43870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934B1 (ko) * 2001-01-19 2005-03-08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지엽류 취급 장치
KR100718652B1 (ko) * 2004-09-01 2007-05-15 김 마크석휘 지폐집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0966B2 (ja) * 2000-10-03 2010-04-14 富士通株式会社 紙葉類鑑別装置
JP4044281B2 (ja) * 2000-12-21 2008-02-0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3760437B2 (ja) * 2001-10-16 2006-03-29 旭精工株式会社 紙葉類の重ね出し防止装置
JP2005170651A (ja) * 2003-12-15 2005-06-30 Pfu Ltd 給紙装置
CN101075362B (zh) * 2007-06-25 2010-12-01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整扎出钞机
DE102009021320A1 (de) * 2009-05-14 2010-11-18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einzelung von Wertscheinen eines Wertscheinstapels
JP2011173821A (ja) * 2010-02-24 2011-09-08 Sumitomo Chemical Co Ltd 化学物質の活性度の予測方法
WO2011150961A1 (en) * 2010-05-31 2011-12-08 Cts Electronics S.P.A. Device for depositing or depositing and dispensing values such as banknotes or checks
CN102867359B (zh) * 2012-09-21 2014-10-22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金融自助设备及其钞票分离装置和分离方法
CN104599395B (zh) * 2015-01-26 2017-12-19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升降机构及其工作方法
JP6470429B2 (ja) * 2015-12-24 2019-02-13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格納装置、紙葉類取扱装置及び紙葉類繰出方法
CN106485830B (zh) * 2016-09-21 2022-10-11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钞箱、金融自助设备及钞票收集方法
CN108171870B (zh) * 2018-02-07 2024-02-06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接客模块及自助金融设备
CN111217184A (zh) * 2020-04-23 2020-06-02 恒银金融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纸页类片材双运输通道的换向控制装置及其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5874A (en) 1979-02-21 1981-06-30 Brandt-Pra, Inc. Extended stacker
US4474365A (en) 1981-07-30 1984-10-02 Brandt, Inc. Document feeding, handling and counting apparatus
JPS6145856A (ja) 1984-08-10 1986-03-05 Hitachi Ltd 紙葉類収納方法
JPS6373232U (ko) 1986-10-30 1988-05-16
JPH02175528A (ja) 1988-12-23 1990-07-06 Toshiba Corp 紙葉類取込装置
JPH0379531A (ja) 1989-08-18 1991-04-04 Oki Electric Ind Co Ltd 紙葉類分離繰り出し装置及び該装置のローラ噛み合い量調整方法
JPH05186082A (ja) * 1992-01-08 1993-07-27 Canon Inc シート材給送装置
US5211388A (en) 1992-06-03 1993-05-18 Xerox Corporation Retard roll enhancement
JPH07137870A (ja) 1993-11-12 1995-05-30 Kofu Nippon Denki Kk 紙幣繰出し装置
JPH0837870A (ja) * 1994-08-01 1996-02-13 Masaru Tsuda リール式の芝刈機或いは除草装置
DE29622921U1 (de) * 1996-07-25 1997-09-04 Siemens Nixdorf Informationssysteme AG, 33106 Paderborn Vereinzelungseinrichtung mit einstellbarem Vereinzelungsspal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934B1 (ko) * 2001-01-19 2005-03-08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지엽류 취급 장치
KR100718652B1 (ko) * 2004-09-01 2007-05-15 김 마크석휘 지폐집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33732A3 (en) 2001-02-14
EP0933732A2 (en) 1999-08-04
JP3514999B2 (ja) 2004-04-05
EP0933732B1 (en) 2005-12-07
CN1226505A (zh) 1999-08-25
JPH11278700A (ja) 1999-10-12
CN1078169C (zh) 2002-01-23
DE69928710D1 (de) 2006-01-12
TW438707B (en) 2001-06-07
US6247693B1 (en) 2001-06-19
DE69928710T2 (de) 200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8118A (ko) 지폐공급장치
CA1280772C (en) Stacker apparatus
KR19980063261A (ko) 지폐처리기
EP1414725A1 (en) Sheet accepting apparatus and recycler
CN104077837A (zh) 一种现金自动存取装置
KR20080022036A (ko) 지엽류 취급 장치
CN110546092B (zh) 纸页积载装置及负荷调整方法
KR102265004B1 (ko) 지폐 집적 장치 및 지폐 집적 방법
KR101584813B1 (ko) 매체집적장치
KR101836305B1 (ko) 지폐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
JP4250929B2 (ja) ゲーム場の台間装置
US4877232A (en) Paper discharge apparatus
JP3351858B2 (ja) 紙葉類計数装置
KR101098620B1 (ko) 지폐 집적 장치
CN210836298U (zh) 薄片类介质集积装置和薄片类介质处理装置
KR900009172Y1 (ko) 지폐 출납기의 환류지폐 누름장치
KR20180111212A (ko) 다권종 지폐카세트의 푸쉬플레이트 승강구조
KR20180033908A (ko) 지폐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
JP2682822B2 (ja) 循環式紙幣処理方法
KR101449043B1 (ko) 매체 가압력 제어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매체출납장치
JP2977669B2 (ja) 紙幣処理機の払い出しホッパ部構造
JPH042928Y2 (ko)
JPH0352748Y2 (ko)
JP2004145895A (ja) 紙葉類払出し機
KR20160140164A (ko) 지폐집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1224

Effective date: 2003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