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164A - 지폐집적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집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164A
KR20160140164A KR1020150076431A KR20150076431A KR20160140164A KR 20160140164 A KR20160140164 A KR 20160140164A KR 1020150076431 A KR1020150076431 A KR 1020150076431A KR 20150076431 A KR20150076431 A KR 20150076431A KR 20160140164 A KR20160140164 A KR 20160140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
drive roller
banknote
roller
convey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2687B1 (ko
Inventor
박종성
이용철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6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687B1/ko
Publication of KR20160140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4Apparatus for squaring-up piled articles
    • B65H31/36Auxiliary devices for contacting each article with a front stop as it is pi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G07D11/00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4Paddl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집적공간으로 진입하는 지폐의 속도를 감속 제어함으로써 스택롤러의 탄성시트에 의해 타격되는 지폐가 지폐집적공간의 하방향으로 유도되어 푸쉬플레이트 상에 안정적으로 집적될 수 있도록 하는 지폐집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 그 사이로 지폐가 통과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반송드라이브롤러와 반송아이들롤러;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중계기어; 상기 중계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지폐집적공간의 일측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에 비하여 선속도가 느리게 회전되는 스택드라이브롤러와,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의 승강에 따라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스택아이들롤러;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와 스택아이들롤러를 통과하여 지폐집적공간 내로 진입하는 지폐를 하방향으로 타격하는 스택롤러; 상기 지폐집적공간으로 반송되는 지폐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지폐감지부;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를 승강시키는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 및 상기 지폐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지폐의 통과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과 상기 스택롤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지폐집적장치{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
본 발명은 지폐집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집적공간으로 진입하는 지폐의 속도를 감속 제어함으로써 지폐집적공간에 지폐를 안정적으로 집적할 수 있도록 하는 지폐집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는 지폐, 수표, 기타 소정 두께를 갖는 집적대상물(이하 '지폐'로 통칭함)의 자동 입출금을 처리하는 지폐입출금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지폐입출금장치는, 입출금을 위하여 고객이 지폐를 투입하거나 수취하는 공간인 입출금부, 상기 입출금부를 통해 입출금되는 지폐가 이송되는 반송로, 상기 반송로 상에 구비되어 지폐의 권종과 이상 유무를 감별하는 감별부, 상기 감별부를 거친 후 입금된 지폐가 일시적으로 수납되는 일시저장부, 고객으로부터 입금된 지폐가 수납되고 그 수납된 지폐가 출금됨으로써 환류기능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리사이클박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입출금부와 일시저장부 및 리사이클박스는 픽업롤러와 피드롤러와 가이드롤러 및 스택롤러를 이용하여 지폐집적공간에 집적되어 있는 지폐를 낱장 분리하여 반송로로 이송하거나, 반송로로부터 이송되어 온 지폐를 상기 입출금부와 일시저장부 및 리사이클박스 내부의 지폐집적공간에 집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피드롤러를 통해 지폐집적공간에 진입하는 지폐의 속도는 일정하므로, 스택롤러의 탄성시트에 의해 지폐의 후단을 타격하는 경우 지폐가 집적되어야 할 하방향으로 스택되는 것이 아니라 탄성시트에 의해 전방으로 타격되어 지폐의 선단이 지폐집적공간의 진입부의 반대편에 충돌하게 되므로 지폐의 집적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41221호에 개시된 지폐류 저장장치는, 스택공간으로 반입되는 지폐류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감지센서, 상기 지폐류 저장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지폐류의 스택을 안내하는 안내면이 형성된 스택가이드, 상기 감지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스택가이드의 안내면을 따라 이동되는 지폐류의 후단부를 파지하여 지폐류를 정지시키기 위한 클램핑 유닛, 및 상기 클램핑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지폐류가 스택롤러의 오버랩 구간을 벗어나는 시점에 클램핑 유닛은 컨트롤러의 작동신호에 따라 지폐류의 후단을 클램핑하여 지폐류를 정지시키고, 계속해서 컨트롤러의 해제신호에 따라 지폐류의 클램핑을 해제하여 지폐류를 스택공간에 안정적으로 스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클램핑 유닛의 구동을 위해서는 별도의 액츄에이터를 구비해야 하므로 지폐류의 진입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구동수단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구동수단의 구동을 위한 동력이 추가로 소요되며, 지폐류의 클램핑과 클램핑 해제 및 지폐류의 타격시점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폐집적공간으로 진입하는 지폐의 속도를 감속 제어함으로써 스택롤러의 탄성시트에 의해 타격되는 지폐가 지폐집적공간의 하방향으로 유도되어 푸쉬플레이트 상에 안정적으로 집적될 수 있도록 하는 지폐집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폐집적공간으로 진입하는 지폐의 감속 제어를 위한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 한 지폐집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폐집적장치는,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 그 사이로 지폐가 통과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반송드라이브롤러와 반송아이들롤러;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중계기어; 상기 중계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지폐집적공간의 일측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에 비하여 선속도가 느리게 회전되는 스택드라이브롤러와,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의 승강에 따라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스택아이들롤러;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와 스택아이들롤러를 통과하여 지폐집적공간 내로 진입하는 지폐를 하방향으로 타격하는 스택롤러; 상기 지폐집적공간으로 반송되는 지폐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지폐감지부;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를 승강시키는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 및 상기 지폐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지폐의 통과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과 상기 스택롤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실시예로,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가 결합되는 반송드라이브롤러 축에는 상기 중계기어의 일측에 기어결합되는 반송드라이브롤러 축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가 결합되는 스택드라이브롤러 축에는 상기 중계기어의 타측에 기어결합되는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가 결합되되,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 축기어와 중계기어 및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는 동일한 기어비로 구성되고,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의 직경은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가 결합되는 반송드라이브롤러 축에는 상기 중계기어의 일측에 기어결합되는 반송드라이브롤러 축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가 결합되는 스택드라이브롤러 축에는 상기 중계기어의 타측에 기어결합되는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가 결합되되,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 축기어와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는 상이한 기어비로 구성되고,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의 직경은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은,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른 신축 동작에 의해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를 상기 스택아이들롤러에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폐감지부는 지폐가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와 반송아이들롤러 사이를 통과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폐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지폐의 통과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과 상기 스택롤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폐집적공간으로 반송되는 지폐의 권종을 감별하는 감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별부에서 감별된 지폐의 권종과, 상기 지폐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지폐의 통과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과 상기 스택롤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택롤러는 상기 지폐집적공간 내로 진입하는 지폐의 후단부를 하방향으로 타격하기 위한 복수의 탄성시트가 몸체의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탄성시트는 상기 스택롤러의 회전방향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가 점차 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택롤러는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와 상기 스택아이들롤러가 구비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지폐집적공간에 더욱 근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집적장치에 의하면, 반송드라이브롤러에 비하여 선속도가 느리게 설정된 스택드라이브롤러에 의해 지폐의 진입속도를 감속시키고, 감속된 지폐의 후단부 상면을 회전하는 스택롤러의 탄성시트에 의해 타격하여 지폐집적공간의 하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푸쉬플레이트 상에 지폐를 정렬된 상태로 집적할 수 있다.
또한 반송드라이브롤러와 스택드라이브롤러가 중계기어를 매개로 연결되어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폐집적공간으로 진입하는 지폐의 진입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집적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집적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집적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집적장치에서 지폐가 반송드라이브롤러와 반송아이들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집적장치에서 지폐가 스택드라이브롤러와 스택아이들롤러 사이를 통과하며 감속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집적장치에서 진입속도가 감속된 지폐가 스택롤러의 탄성시트에 의해 타격되어 푸쉬플레이트 상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집적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집적장치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집적장치에서 지폐가 반송드라이브롤러와 반송아이들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집적장치에서 지폐가 스택드라이브롤러와 스택아이들롤러 사이를 통과하며 감속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집적장치에서 진입속도가 감속된 지폐가 스택롤러의 탄성시트에 의해 타격되어 푸쉬플레이트 상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집적장치(100)는, 지폐가 반송되는 반송로(110), 상기 반송로(110)를 따라 온 지폐가 집적되는 지폐집적공간(121)이 내부에 마련된 지폐저장부(120), 상기 반송로(110)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 그 사이로 지폐가 통과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반송드라이브롤러(130)와 반송아이들롤러(130a),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13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중계기어(140), 상기 중계기어(140)와 연결되며 지폐집적공간(121)의 일측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130)에 비하여 선속도가 느리게 회전되는 스택드라이브롤러(150)와,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150)의 승강에 따라 스택드라이브롤러(130)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스택아이들롤러(150a),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150)와 스택아이들롤러(150a)를 통과하여 지폐집적공간(121) 내로 진입하는 지폐를 하방향으로 타격하는 스택롤러(160), 상기 지폐집적공간(121)을 향하여 반송되는 지폐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지폐감지부(170),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150)를 승강시키는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180), 및 상기 지폐감지부(170)에서 감지되는 지폐의 통과 시점을 기준으로,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180)과 스택롤러 구동부(19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반송로(110)는 상부 반송가이드(111)와 하부 반송가이드(112) 사이에 마련되어 지폐가 반송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지폐저장부(120)는 반송로(110)를 따라 반송되어 온 지폐가 적재되는 구성으로서, 지폐집적공간(121)을 기준으로, 하부에는 푸쉬플레이트(122)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스택가이드(123)가 구비된다.
상기 푸쉬플레이트(122)는 지폐집적공간(121)에 집적되는 지폐(P)의 매수 증감에 대응하여 승강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스택가이드(123)는 반송드라이브롤러(130)와 반송아이들롤러(130a)에 의해 이송되어 지폐집적공간(121)의 진입구(121a)를 통과하여 진입하는 지폐의 상방향 날림을 방지하고, 지폐가 지폐집적공간(121)의 하방향으로 유도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스택가이드(123)는 진입구(121a) 측에 위치하는 전방측단에서 후방측벽(124) 측에 위치하는 후방측단을 향하여 하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어, 지폐집적공간(121)으로 진입하는 지폐의 선단은 스택가이드(123)의 저면을 타고 후방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유도되게 된다.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130)와 반송아이들롤러(130a)는 반송로(110)를 따라 반송되어 온 지폐를 지폐저장부(120)를 향하여 이송하기 위한 구성으로, 반송드라이브롤러(130)는 반송드라이브롤러 축(132)에 결합되고, 반송드라이브롤러 축(132)은 모터(M)에 연결되어 구동되며, 반송아이들롤러(130a)는 반송드라이브롤러(130)의 구동에 종동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반송로(110)를 따라 반송되어 온 지폐는 서로 외접하는 반송드라이브롤러(130)와 반송아이들롤러(130a) 사이에 협지되어 지폐저장부(120)를 향하여 반송된다.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130)가 결합되는 반송드라이브롤러 축(132)에는 반송드라이브롤러 축기어(131)가 결합되고,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 축기어(131)는 중계기어(140;141,142,143) 중 일측에 위치하는 중계기어(141)와 기어결합된다.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150)가 결합되는 스택드라이브롤러 축(152)에는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151)가 결합되고,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151)는 중계기어(140;141,142,143) 중 타측에 위치하는 중계기어(143)와 기어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 축기어(131)와 중계기어(140;141,142,143) 및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151)는 동일한 기어비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150)의 직경은 반송드라이브롤러(130)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스택드라이브롤러(150)의 선속도는 반송드라이브롤러(130)의 선속도보다 느려지게 되므로, 반송드라이브롤러(130)와 반송아이들롤러(130a)를 통과한 지폐가 스택드라이브롤러(150)와 스택아이들롤러(150a) 사이에 협지되어 이송되는 동안 지폐의 이동속도를 스택드라이브롤러(150)의 선속도에 대응되도록 감속시킬 수 있다.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150)는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180)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스택아이들롤러(150a)는 그 상부가 반송로(110) 내에 돌출된 상태로 구비된다.
지폐가 반송드라이브롤러(130)와 반송아이들롤러(130a)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 스택드라이브롤러(150)는 지폐의 선단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스택아이들롤러(150a)와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지폐가 반송드라이브롤러(130)와 반송아이들롤러(130a) 사이를 통과하여 지폐의 선단이 스택드라이브롤러(150)와 스택아이들롤러(150a)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스택드라이브롤러(150)는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180)의 구동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택아이들롤러(150a)와 사이에 지폐를 협지 및 이송하게 된다.
상기 스택롤러(160)는, 스택드라이브롤러(150)와 스택아이들롤러(150a)를 통과하여 지폐저장부(120)의 진입구(121a)로 진입하는 지폐를 지폐집적공간(121) 내에 스택하기 위한 구성으로, 스택롤러 회전축(163)에 결합되는 몸체(161)와, 몸체(161)의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부착된 복수의 탄성시트(162)로 구성된다. 상기 진입구(121a)를 통하여 지폐가 지폐집적공간(121)의 내부로 진입하면, 그 지폐의 후단부는 회전하는 스택롤러(160)의 탄성시트(162)에 의해 하방향으로 타격되어 푸쉬플레이트(122) 상에 집적되도록 유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시트(162;162-1,162-2,162-3,162-4)는, 스택롤러(16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가 점차 길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탄성시트(162)의 길이를 회전방향을 따라서 점차 길어지도록 구성할 경우, 지폐집적공간(121)으로 진입한 지폐의 후단부를 회전하는 복수의 탄성시트(162;162-1,162-2,162-3,162-4)가 순차로 타격할 때, 이동하는 지폐의 후단부를 일정한 지점에서 연속적으로 타격할 수 있게 되므로 지폐가 보다 안정적으로 집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스택롤러(160)의 탄성시트(162)에 의해 지폐의 후단부가 타격되는 타격 각도는, 지폐의 후단부의 상면과 탄성시트(162)의 타격면이 평행한 상태에 가까울수록 타격된 지폐가 수직 하방향을 향하여 유도되어 지폐의 집적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상기 스택롤러(160)는 스택드라이브롤러(150)와 스택아이들롤러(150a)가 구비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지폐집적공간(121)에 더욱 근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폐감지부(170)는 반송로(110)를 따라 지폐저장부(120)를 향하여 반송되는 지폐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발광부(170a)와 수광부(170b)로 구성된 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지폐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감지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폐감지부(170)는 지폐가 반송드라이브롤러(130)와 반송아이들롤러(130a) 사이를 통과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반송드라이브롤러(130)와 반송아이들롤러(130a)가 외접하는 지점의 전방에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90)는 지폐감지부(170)에서 감지되는 지폐의 통과 시점을 기준으로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180)과 스택롤러 구동부(192)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반송로(110) 상에는 반송되는 지폐의 권종을 감별하기 위한 감별부(191)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90)는 감별부(191)에서 감별된 지폐의 권종과, 지폐감지부(170)에서 감지되는 지폐의 통과 시점을 기준으로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180)과 스택롤러 구동부(192)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90)는 감별부(191)에서 감별된 지폐의 권종에 따른 지폐의 길이, 지폐감지부(170)에서 감지되는 지폐 후단의 통과 시점, 지폐의 이송속도, 반송드라이브롤러(130)와 스택드라이브롤러(150) 간의 거리 등을 기준으로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180)의 구동 및 스택롤러 구동부(192)의 회전 개시 시점과 회전 속도 등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180)은 스택드라이브롤러 축(152)에 연결되어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신축 동작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면, 솔레노이드의 작동로드가 실린더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스택드라이브롤러 축(152)과 이에 결합된 스택드라이브롤러(150) 및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151)가 하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스택드라이브롤러(150)와 스택아이들롤러(150a)가 접하게 되어 그 사이에 지폐가 협지 및 이송되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 솔레노이드의 작동로드가 실린더의 내부로 인입되어 스택드라이브롤러 축(152)과 이에 결합된 스택드라이브롤러(150) 및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151)가 상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스택드라이브롤러(150)와 스택아이들롤러(150a)가 서로 이격되게 된다.
다만,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180)은 솔레노이드 이외에도 스택드라이브롤러 축(152)과 이에 결합된 스택드라이브롤러(150) 및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151)를 승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집적장치(100)에서 지폐의 진입 속도가 감속되어 지폐집적공간(121)에 집적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지폐(P)가 반송로(110)를 따라 반송되어 반송드라이브롤러(130)와 반송아이들롤러(130a)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 스택드라이브롤러(150)는 스택아이들롤러(150a)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스택롤러(160)의 탄성시트(162)는 푸쉬플레이트(122) 상에 적재된 지폐의 상면을 가압하는 위치에 정지해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지폐감지부(170)에서 지폐(P)의 후단이 통과하였음을 감지한 경우, 지폐감지부(170)는 감지신호를 제어부(190)로 송출하고, 제어부(190)는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180)과 스택롤러 구동부(192)에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190)는 지폐감지부(170)에서 지폐의 후단이 감지된 시점과, 감별부(191)에서 감별된 지폐의 권종에 따른 지폐의 길이를 산출 근거로 하여, 지폐가 스택드라이브롤러(150)와 스택아이들롤러(150a) 사이에 위치한 시점에서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180)이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이와 동시에 스택롤러 구동부(190)의 구동 시점과 회전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150)와 스택아이들롤러(150a) 사이에 지폐가 협지되면, 지폐는 스택드라이브롤러(150)의 선속도에 맞춰져 감속된 후에 지폐집적공간(121)을 향하여 이송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택드라이브롤러(150)와 스택아이들롤러(150a)를 통과하며 감속된 상태로 지폐집적공간(121) 내에 진입한 지폐는, 회전하는 스택롤러(160)의 탄성시트(162)에 의해 지폐 후단부의 상면이 하방향을 향하도록 타격되어 지폐집적공간(121)의 하방향으로 유도되어 푸쉬플레이트(122) 상에 집적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드라이브롤러 축이어(131)와 중계기어(140;141,142,143), 및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151)의 기어비를 동일하게 구성하고, 스택드라이브롤러(150)의 직경을 반송드라이브롤러(130)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하여, 스택드라이브롤러(150)의 선속도를 반송드라이브롤러(130)의 선속도보다 느려지도록 구성하고, 지폐감지부(170)에서 지폐의 통과 시점을 기준으로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180)과 스택롤러 구동부(192)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지폐의 진입속도를 감속시켜 지폐의 안정적인 집적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지폐의 진입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집적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집적장치(100)는, 반송드라이브롤러(130)가 결합되는 반송드라이브롤러 축(132)에는 반송드라이브롤러 축기어(131)가 결합되고,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 축기어(131)는 중계기어(140)의 일측에 기어결합된다.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150)가 결합되는 스택드라이브롤러 축(152)에는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151)가 결합되고,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151)는 중계기어(140)의 타측에 기어결합된다.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 축기어(131)와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151)는 상이한 기어비로 형성되고,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150)의 직경은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151)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계기어(140)와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151)는 동일한 기어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택드라이브롤러(150)의 선속도를 반송드라이브롤러(130)의 선속도보다 느려지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되며,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중계기어(140)를 하나의 기어로 구성할 수 있어 지폐의 진입속도 감속을 위한 장치의 구성을 보다 간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9 내지 도 11은 지폐의 진입속도가 감속되어 지폐가 집적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전술한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원리가 적용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지폐집적장치 110 : 반송로
120 : 지폐저장부 121 : 지폐집적공간
122 : 푸쉬플레이트 123 : 스택가이드
130 : 반송드라이브롤러 130a : 반송아이들롤러
131 : 반송드라이브롤러 축기어 132 : 반송드라이브롤러 축
140 : 중계기어 150 : 스택드라이브롤러
150a : 스택아이들롤러 151 :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
152 : 스택드라이브롤러 축 160 : 스택롤러
161 : 몸체 162 : 탄성시트
163 : 스택롤러 회전축 170 : 지폐감지부
170a : 발광부 170b : 수광부
180 :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 190 : 제어부
191 : 감별부 192 : 스택롤러 구동부
M : 모터 P : 지폐

Claims (8)

  1.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 그 사이로 지폐가 통과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반송드라이브롤러와 반송아이들롤러;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중계기어;
    상기 중계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지폐집적공간의 일측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에 비하여 선속도가 느리게 회전되는 스택드라이브롤러와,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의 승강에 따라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스택아이들롤러;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와 스택아이들롤러를 통과하여 지폐집적공간 내로 진입하는 지폐를 하방향으로 타격하는 스택롤러;
    상기 지폐집적공간으로 반송되는 지폐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지폐감지부;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를 승강시키는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 및
    상기 지폐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지폐의 통과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과 상기 스택롤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지폐집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가 결합되는 반송드라이브롤러 축에는 상기 중계기어의 일측에 기어결합되는 반송드라이브롤러 축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가 결합되는 스택드라이브롤러 축에는 상기 중계기어의 타측에 기어결합되는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가 결합되되;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 축기어와 중계기어 및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는 동일한 기어비로 구성되고;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의 직경은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집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가 결합되는 반송드라이브롤러 축에는 상기 중계기어의 일측에 기어결합되는 반송드라이브롤러 축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가 결합되는 스택드라이브롤러 축에는 상기 중계기어의 타측에 기어결합되는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가 결합되되;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 축기어와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는 상이한 기어비로 구성되고;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의 직경은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 축기어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집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은,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른 신축 동작에 의해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를 상기 스택아이들롤러에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집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감지부는 지폐가 상기 반송드라이브롤러와 반송아이들롤러 사이를 통과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폐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지폐의 통과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과 상기 스택롤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집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집적공간으로 반송되는 지폐의 권종을 감별하는 감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별부에서 감별된 지폐의 권종과, 상기 지폐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지폐의 통과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 승강수단과 상기 스택롤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집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롤러는 상기 지폐집적공간 내로 진입하는 지폐의 후단부를 하방향으로 타격하기 위한 복수의 탄성시트가 몸체의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탄성시트는 상기 스택롤러의 회전방향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가 점차 길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집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롤러는 상기 스택드라이브롤러와 상기 스택아이들롤러가 구비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지폐집적공간에 더욱 근접하는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집적장치.
KR1020150076431A 2015-05-29 2015-05-29 지폐집적장치 KR102312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431A KR102312687B1 (ko) 2015-05-29 2015-05-29 지폐집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431A KR102312687B1 (ko) 2015-05-29 2015-05-29 지폐집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164A true KR20160140164A (ko) 2016-12-07
KR102312687B1 KR102312687B1 (ko) 2021-10-13

Family

ID=5757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431A KR102312687B1 (ko) 2015-05-29 2015-05-29 지폐집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6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897A (ko) * 2021-08-06 2023-02-14 우정에이치앤씨 주식회사 전기차 배터리 셀 보호용 면압 패드의 스크랩 자동 제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8493A (ja) * 1995-01-20 1996-08-06 Hitachi Ltd 紙葉類取扱い装置
KR20090038988A (ko) * 2007-10-17 2009-04-2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롤러 편마모방지구조
KR20100080090A (ko) * 2008-12-31 2010-07-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시트롤러
KR20150018138A (ko) * 2013-08-09 2015-02-2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반송롤러 승강구조를 이용한 스큐보정장치 및 스큐보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8493A (ja) * 1995-01-20 1996-08-06 Hitachi Ltd 紙葉類取扱い装置
KR20090038988A (ko) * 2007-10-17 2009-04-2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롤러 편마모방지구조
KR20100080090A (ko) * 2008-12-31 2010-07-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시트롤러
KR20150018138A (ko) * 2013-08-09 2015-02-2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반송롤러 승강구조를 이용한 스큐보정장치 및 스큐보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897A (ko) * 2021-08-06 2023-02-14 우정에이치앤씨 주식회사 전기차 배터리 셀 보호용 면압 패드의 스크랩 자동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687B1 (ko) 202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835B1 (ko) 다권종 지폐의 입금을 제어하기 위한 입금장치 및 입금방법
KR101868226B1 (ko) 지폐집적장치
KR20080052393A (ko) 지엽류 반복반출 기구
KR102425145B1 (ko)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KR20170112341A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KR101745089B1 (ko) 지폐집적장치
KR20160140164A (ko) 지폐집적장치
KR101776386B1 (ko) 지폐집적장치
KR102361651B1 (ko)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CN108961535B (zh) 纸币处理装置
JPH08198493A (ja) 紙葉類取扱い装置
KR20130141222A (ko) 지폐류 저장장치 및 스택가이드의 제어방법
KR101769622B1 (ko)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와 지폐집적방법
KR101098620B1 (ko) 지폐 집적 장치
KR20160107391A (ko) 매체집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52228B1 (ko) 지폐류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에서 출금지폐겹침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금지폐겹침 방지방법
KR20120078054A (ko) 집적 공간 조절 가이드를 구비한 지폐취급장치와 지폐취급방법
KR101341302B1 (ko)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KR20170042866A (ko) 지폐집적장치
JPH04125237A (ja) 紙葉類自動取扱い装置
KR20100080189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저장부에서 분리되는 지폐의 정렬 방법
KR101203762B1 (ko) 지폐취급장치 및 지폐취급방법
KR100600348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유입/반출가이드위치감지장치
JP2559389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3254514B2 (ja) 自動販売機等の紙幣取込・排出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