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898A - 복수의 서치재생 경로정보를 비트 스트림에 부여하는 엔코드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서치재생 경로정보를 비트 스트림에 부여하는 엔코드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898A
KR19990063898A KR1019980702370A KR19980702370A KR19990063898A KR 19990063898 A KR19990063898 A KR 19990063898A KR 1019980702370 A KR1019980702370 A KR 1019980702370A KR 19980702370 A KR19980702370 A KR 19980702370A KR 19990063898 A KR19990063898 A KR 19990063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ell
data
system stream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8847B1 (ko
Inventor
요시히로 모리
가즈히로 쓰가
다쿠미 하세베
가즈히코 나카무라
요시히사 후쿠시마
마사유키 고즈카
지에코 마쓰다
야스히코 야마네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치
마쓰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치, 마쓰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치
Publication of KR19990063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3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has a specific layer structure
    • G11B2220/235Multilayer discs, i.e. multiple recording layers accessed from the same si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3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has a specific layer structure
    • G11B2220/235Multilayer discs, i.e. multiple recording layers accessed from the same side
    • G11B2220/237Multilayer discs, i.e. multiple recording layers accessed from the same side having exactly two recording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 G11B7/0037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with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VTS_PGC)에 의해 셀을 공유하는 경우라도 또한, 시스템 스트림(CELL)내를 분할하여 복수의 셀을 인터리브한 경우라도, 특수재생을 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및 그 재생장치, 재생방법 및 기록방식이다. 동화상데이터 등과 다음에 재생해야 할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기술한 트릭 플레이 정보를 갖는 재생제어정보(NV)가 GOP단위로 인터리브 기록된 복수의 시스템 스트림(CELL)으로부터되는 프로그램 체인(VTS_PGC)에 관해서, 시스템 스트림(CELL)의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를 소정의 영역에 기술하고 또, 시스템 스트림(CELL)의 재생순서에 따라서 각각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선두의 데이터의 위치정보와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의 위치정보를 기술한다.

Description

복수의 서치재생 경로정보를 비트 스트림에 부여하는 엔코드방법 및 그 장치
근년, 레이저 디스크나 비디오 CD 등을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동작화상, 오디오, 부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지털처리하여, 일련의 관련되게 만들어진 내용을 갖는 타이틀을 구성하는 오소링시스템이 실용화되어 있다.
특히, 비디오 CD를 쓴 시스템에 있어서는 약 600M 바이트의 기억용량을 가져 원래 디지털 오디오의 기록용이던 CD매체상에 MPEG라고 불리는 고압축율의 동작화상 압축수법에 의해, 동작화상 데이터의 기록을 실현하고 있다. 노래방을 비롯하여 종래의 레이저 디스크의 타이틀이 비디오 CD로 대치되고 있다.
해마다, 각 타이틀의 내용 및 재생품질에 대하는 사용자의 요망은 보다 복잡 및 고도로 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요망에 응하기 위해서는 종래부터 깊은 계층구조를 갖는 비트 스트림으로써 각 타이틀을 구성해야 한다. 이와 같이 보다 깊은 계층구조를 갖는 비트 스트림에 의해,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데이터량은 종래의 수배이상으로 된다. 더욱 타이틀의 세부에 대하는 내용을 치밀하게 편집해야 하고 그것에는 비트 스트림을 보다 하위의 계층데이터 단위로 데이터처리 및 제어해야 한다.
이와 같이, 다계층구조를 갖는 대량의 디지털 비트 스트림을 각계층 레벨로 효율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비트 스트림구조 및 기록재생을 포함하는 고도한 디지털 처리방법의 확립이 필요하다. 더욱, 이러한 디지털처리를 하는 장치, 이 장치로 디지털처리된 비트 스트림 정보를 효율적으로 기록저장하여 기록된 정보를 신속히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기록매체도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봐, 기록매체에 관해서 말하면 종래 사용하고 있는 광디스크의 기억용량을 높이는 검토가 열심히 행하여지고 있다. 광디스크의 기억 용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광 빔의 스폿직경 D를 작게 해야 하지만, 레이저의 파장을 λ, 대물렌즈의 개구수를 NA로 하면, 상기 스폿직경 D는, λ/NA에 비례하여, λ가 작게 NA가 크면 클수록 기억용량을 높이는 데 바람직하다.
그런데, NA가 큰 랜즈를 사용했을 경우, 예컨대 미국특허 5,235,581에 기재와 같이, 티틀(tilt)라고 불리는 디스크면과 광 빔의 광축이 상대적인 경사에 의해 생기는 코마수차가 커져,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투명기판의 두께를 엷게 해야 한다. 투명기판을 엷게 한 경우는 기계적강도가 약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데이터처리에 관해서는 동작화상, 오디오, 그래픽 등의 신호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방식으로서 종래의 MPEG1보다,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전송이 가능한 MPEG2가 개발되어 실용되어 있다. MPEG2로서는 MPEG1과 다소 다른 압축방식, 데이터형식이 채용되어 있다. MPEG1와 MPEG2의 내용 및 그 차이에 있어서는 ISO11172 및 ISO13818의 MPEG규격서에 상술되어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MPEG2에 있어서도,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의 구조에 관련해서는 규정하고 있지만, 시스템 스트림의 계층구조 및 하위의 계층레벨의 처리방법을 분명히 하지 않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오소링시스템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여러 가지의 요구를 만족하는 것에 충분한 정보를 가진 대량의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할 수가 없었다. 더욱, 처리기술이 확립하였다고 해도, 대용량의 데이터 스트림을 효율적으로 기록, 재생에 충분히 쓰는 것을 할 수 있는 대용량 기록매체가 없기 때문에, 처리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되풀이하여 이용할 수가 없다.
바꿔 말하면, 타이틀보다 작은 단위로, 비트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기록매체의 대용량화 디지털처리의 고속화라고 하는 하드웨어 및 세련된 데이터구조를 포함하는 고도한 디지털 처리방법의 고안이라고 하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과대한 요구를 해소해야 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고도한 요구를 갖는다. 타이틀이하의 단위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을 제어하여, 보다 사용자의 요망에 합치한 효과적인 오소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 복수의 타이틀사이에서 데이터를 공유하여 광디스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복수의 타이틀을 공통의 신데이터와, 동일한 시간축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신을 임의로 선택하여 재생하는 다중장면 제어가 바람직하다. 복수의 신, 요컨대 다중장면 데이터를 동일한 시간축상에 배치하기 위하여는 다중장면의 각 신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배열하기 위해서, 선택한 공통신과 선택된 다중장면 데이터의 사이에 비선택의 다중장면 데이터를 삽입하여 비트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록한 매체에 있어서, 빨리감기나 되돌감기 등의 특수재생(trick플레이)을 행하는 경우에는 디스크 등의 랜덤 액세스 가능하다. 기록매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재생속도에 응해서 스킵선을 계산 혹은(또는), 비트 스트림중의 스킵용의 데이터에 따라서, 이산적으로 비트 스트림을 재생하여, 고속재생을 실현하는 것이 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공통신과 다중장면이 존재하는 비트 스트림상에서, 빨리 감기나 되돌려감기 등의 특수재생(trick플레이)을 하는 경우, 예컨대, 공통신에서, 다중장면의 1개에 분기의 경우, 연속하여 배치하고 있는 분기선 데이터 에 있어서는, 비트비로부터 다음 스킵선의 위치를 계산할 수가 있지만, 연속배치하지 않는 분기선 데이터에 있어서는 계산할 수 없다. 또한, 스킵선의 위치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 관해서도, 1개의 분기선의 기록으로서는 다른쪽에의 분기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불충분하다. 또한, 모든 분기선의 위치정보를 기술하여 서는 한정된 기록매체의 데이터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가 없으며, 또한 공통신의 이용이 불어날 때에, 분기서 GOP의 위치정보의 기록이 필요하게 되어, 데이터작성이 복잡하게 되어서 현실적이지 못하다. 이와 같이, 다중장면의 1개에 분기하는 경우의 빨리 감기로 데이터를 찾아내는 것의 실현이 곤란하여 진다.
마찬가지로, 역재생의 경우도 다중장면으로부터 공통신으로 결합하는 경우에 관해서도, 재생데이터를 찾아내는 것의 실현이 곤란하여 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다중장면 데이터에 있어서도, 특수재생을 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및 그 재생장치, 재생방법 및 기록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출원은 일본국특허 출원번호 H7-276574(1995년 9월 29일 출원)에 따라서 출원되는 것이고, 해당 명세서에 의한 개시사항은 전부 본 발명의 개시의 일부이다.
본 발명은 일련의 관련되게된 내용을 갖는 각 타이틀을 구성하는 동작화상데이터, 오디오데이터, 부영상데이터의 정보를 반송하는 비트 스트림에 여러 가지 처리를 하여 사용자의 요망에 응한 내용을 갖는 타이틀을 구성하도록 비트 스트림을 생성하고 그 생성된 비트 스트림을 소정의 기록매체에 효율적으로 기록하는 기록장치와 기록매체 및 재생하는 재생장치 및 오소링시스템에 쓰이는 비트 스트림에 서치정보를 부여하는 엔코드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다.
도 1은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오소링 엔코더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오소링 디코더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단일의 기록면을 갖는 DVD기록매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확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확대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복수의 기록면(한면2층형)을 갖는 DVD기록매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복수의 기록면(양면1층형)을 갖는 DVD기록매체의 단면을 도면.
도 9는 DVD기록매체의 평면도.
도 10은 DVD기록매체의 평면도.
도 11은 한면2층형 DVD기록매체의 전개도.
도 12는 한면2층형 DVD기록매체의 전개도.
도 13은 양면1층형 DVD기록매체의 전개도.
도 14는 양면1층형 DVD기록매체의 전개도.
도 15는 멀티디스크 디지트 타이틀 스트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VTS의 데이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시스템 스트림의 데이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시스템 스트림의 데이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시스템 스트림의 팩데이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내브팩(NV)의 데이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DVD다중장면의 시나리오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DVD의 데이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멀티앵글 제어의 시스템 스트림의 접속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다중장면의 대응하는 VOB의 예를 게시하는 도면.
도 25는 DVD오소링 엔코더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DVD오소링 디코더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VOB세트 데이터열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VOB데이터열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엔코드 파라미터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DVD다중장면의 프로그램 체인 구성예를 게시하는 도면.
도 31은 DVD다중장면의 VOB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32는 내브팩(NV)의 서치정보의 데이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4는 엔코드 제어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도면.
도 35는 비심리스 전환 멀티앵글의 엔코드 파라미터 생성 플로우챠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36은 엔코드 파라미터 생성의 공통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37은 심리스 전환 멀티앵글의 엔코드 파라미터 생성플로우챠트를 도시한 도면.
도 38은 파렌털 제어의 엔코드 파라미터 생성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39는 단일신의 엔코드 파리미터 생성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40은 포맷터작동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41은 비심리스 전환 멀티앵글의 포맷터작동 서브루틴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도면.
도 42는 심리스 전환 멀티앵글의 포맷터작동 서브루틴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도면.
도 43은 파렌털 제어의 포맷터작동 서브루틴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44는 단일신의 포맷터작동 서브루틴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도면.
도45는 디코드 시스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46은 디코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47은 디코더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48은 PGC재생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49는 스트림 버퍼내의 데이터 디코드처리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50은 각 디코더의 동기처리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51은 서치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2는 서치작동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53은 복수의 재생경로가 이는 경우의 서치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4는 복수의 재생경로가 있는 경우의 역서치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5는 복수의 재생경로가 있는 경우의 역서치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6은 서치작동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57은 인터리브 블록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8은 VTS의 VOB블록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9는 연속블록내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0은 인터리브 블록내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도면.
적어도 하나의 정보층을 갖는 광디스크으로서, 상기 정보층에는 적어도 동작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와, 특수재생시의 모드에 응해서 다음에 재생해야 할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기술한 트릭 플레이 정보를 갖는 재생제어정보와 GOP단위로 인터리브 기록된 복수의 시스템 스트림, 및 1개 이상의 시스템 스트림으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체인에 있어서의 시스템 스트림의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 정보에 기록되며 적어도 1개의 시스템 스트림이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에 의해서 공유되고, 상기 프로그램 체인 정보에는 시스템 스트림의 재생순서에 맞추어, 각각의 시스템 스트림의 선두의 데이터의 위치정보와 시스템 스트림의 최후의 재생제어정보의 위치정보와 기술된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의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오소링 시스템의 데이터구조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기록장치, 기록매체, 재생장치 및 그것들의 기능을 포함하는 오소링시스템에 있어서 처리대상이 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의 논리구조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내용을 인식하여, 이해하여, 혹 즐길수 있는 화상 및 음성정보를 1타이틀로 한다. 이 타이틀로는 영화로 말하면, 최대로는 한편의 영화의 완전한 내용을 그리고 최소로서는, 각 신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량에 해당한다.
소정수의 타이틀분의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 데이터로부터,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가 구성된다. 이후, 간편화를 위해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로 호칭한다. VTS는 상기한 각 타이틀의 내용자체를 나타내는 영상, 오디오 등의 재생 데이터와, 그것들을 제어하는 제어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소정수의 VTS에서, 오소링시스템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 단위인 비디오존 (VZ)이 형성된다. 이후, 간편화를 위해 비디오존(VZ)으로 호칭한다. 하나의 VZ에, K+1개의 VTS#0∼VTS#K(K는, 0을 포함하는 정의 정수)가 직선적으로 연속하여 배열된다. 따라서 그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선두의 VTS#0가 각 VTS에 포함되는 타이틀의 내용정보를 나타내는 비디오 메니저로서 쓰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소정수의 VZ에서, 오소링시스템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의 최대관리 단위인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MBS)가 형성된다.
오소링 엔코더EC
도 2는 사용자의 요망에 응한 임의의 시나리오에 따라서, 오리지널의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을 엔코드하여 새로운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MBS)을 생성하는 본 발명에 근거하는 오소링 엔코더(EC)의 1실시형태를 가리킨다. 또, 오리지널의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은 영상정보를 나르는 비디오 스트림(St1), 캡션(자막) 등의 보조영상 정보를 나르는 서브픽쳐 스트림(St3) 및 음성정보를 나르는 오디오 스트림(St5)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은 소정의 시간의 사이에 대상으로부터 얻어지는 화상 및 음성의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이다. 한편, 서브픽쳐 스트림은 1화면분, 요컨대 순간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이다. 필요하면, 1화면분의 서브픽쳐를 비디오 메모리 등에 캡쳐하여, 그 캡쳐된 서브픽쳐 화면을 계속적으로 표시할 수가 있다.
이것들의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St1, St3, 및 St5)는 실황중계의 경우에는, 비디오 카메라 등의 수단으로부터 영상 및 음성신호가 리얼타임으로 공급된다. 또한, 비디오 테이프 등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비리얼타임인 영상 및 음성신호이기도 한다. 한편, 동도면에 있어서는, 간편화를 위해, 3종류의 멀티미디어 소오스 스트림으로서, 3종류이상으로 각각이 다른 타이틀 내용을 나타내는 소오스 데이터가 입력되더라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복수의 타이틀의 음성, 영상, 보조영상정보를 갖는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를, 멀티타이틀 스트림으로 호칭한다.
오소링 엔코더(EC)는 편집정보 작성부(100),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 비디오 엔코더(300), 비디오 스트림 버퍼(400), 서브픽쳐 엔코더(500), 서브픽쳐 스트림 버퍼(600), 오디오 엔코더(700), 오디오 스트림 버퍼(800), 시스템 엔코더(900), 비디오존 포맷터(1300), 기록부(1200) 및 기록매체(M)에서 구성되어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엔코더에 의해서 엔코드된 비트 스트림은 일례로서 광디스크매체에 기록된다.
오소링 엔코더(EC)는 오리지널의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의 영상, 서브픽쳐, 및 음성에 관한 사용자의 요망에 응해서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MBS)의 해당부분의 편집을 지시하는 시나리오 데이터로서 출력할 수 있는 편집정보 생성부(100)를 구비하고 있다. 편집정보 작성부(100)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부, 스피커부, 키이보드 CPU, 및 소오스 스트림 버퍼부 등으로 구성된다. 편집정보 작성부(100)는 상술의 외부멀티 미디어 스트림원에 접속되어 있고,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St1, St3 및 St5)의 공급을 받는다.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를 써 영상및 음성을 재생하여 타이틀의 내용을 인식할 수가 있다. 더욱, 사용자는 재생된 내용을 확인하면서, 원하는 시나리오에 따른 내용의 편집지시를 키이보드부를 써 입력한다. 편집지시 내용으로는, 복수의 타이틀 내용을 포함하는 각 소오스 데이터의 전부 혹은 각각에 대하여, 소정시간마다 각 소오스 데이터의 내용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그것들의 선택된 내용을 소정의 방법으로 접속재생하는 것 같은 정보를 말한다.
CPU는 키이보드 입력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의 각각의 스트림(St1, St3 및 St5)의 편집대상부분의 위치, 길이 및 각 편집부분사이의 시간적상호 관계 등의 정보를 코드화한 시나리오 데이터(St7)를 생성한다.
소오스 스트림 버퍼는 소정의 용량을 갖고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의 각 스트림(St1, St3 및 St5)을 소정의 시간(Td)지연시킨 후에 출력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시나리오 데이터(St7)를 작성하는 것과 동시에 엔코드를 하는 경우, 요컨대 차차 엔코드처리의 경우에는, 후술하였듯이, 시나리오 데이터 (St7)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의 편집처리 내용을 결정하는데 약간의 시간(Td)를 요하기 때문에, 실제로 편집엔코드를 하는 경우에는 이 시간(Td)만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를 지연시켜, 편집엔코드와 동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차례로 편집처리하는 경우, 지연시간(Td)은 시스템내의 각 요소사이에서의 동기조정에 필요한 정도이기 때문에, 통상 소오스 스트림 버퍼는 반도체메모리 등의 고속기록 매체로 구성된다.
그렇지만, 타이틀의 전체를 통해서 시나리오 데이터(St7)를 완성시킨 후에,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를 단숨에 엔코드한다. 소위 배치편집시에 있어서는 지연시간(Td)은 1타이틀분 혹은 그 이상의 시간필요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소오스 스트림 버퍼는 비디오 테이프,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등의 저속 대용량 기록매체를 이용하고 구성할 수 있다. 요컨대, 소오스 스트림버퍼는 지연시간(Td ) 및 제조코스트에 응해서, 적당한 기억매체로써 구성하면 좋다.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편집정보 작성부(100)에 접속되어 있고, 시나리오 데이터(St7)를 편집정보 작성부(100)로부터 받아들인다.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포함되는 편집대상부의 시간적 위치 및 길이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의 편집대상분을 엔코드하기 위한 각각의 엔코드 파라미터 데이터 및 엔코드 개시, 종료의 타이밍신호 (St9, Stl1 및 St13)를 각각 생성한다. 또, 상술한 것과 같이, 각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St1, St3 및 St5)는 소오스 스트림 버퍼에 의해서, 시간(Td)지연하여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각 타이밍(St9, St11 및 St13)과 동기하고 있다.
요컨대, 신호(St9)는 비디오 스트림(St1)으로부터 엔코드 대상부분을 추출하여, 비디오 엔코드 단위를 생성하기 위해서, 비디오 스트림(St1)을 엔코드하는 타이밍을 지시하는 비디오 엔코드신호이다. 마찬가지로, 신호(Stl)는 서브픽쳐 엔코드 단위를 생성하기 위해서 서브픽쳐 스트림(St3)을 엔코드하는 타이밍을 지시하는 서브픽쳐 스트림 엔코드신호이다. 또한, 신호(St13)는 오디오 엔코드단위를 생성하기 위해서, 오디오 스트림(St5)을 엔코드하는 타이밍을 지시하는 오디오 엔코드신호이다.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더욱,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의 각각의 스트림(St1, St3 및 St5)의 엔코드 대상부분사이의 시간적 상호관계 등의 정보에 따라서, 엔코드된 멀티미디어 엔코드 스트림을 소정의 상호 관계가 되도록 배열하기 위한 타이밍신호(St21, St23 및 St25)을 생성한다.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1비디오존(VZ)분의 각 타이틀의 타이틀 편집단위(VOB)에 관련하여, 그 타이틀 편집단위(VOB)의 재생시간을 가리키는 재생시 시간정보(IT) 및 비디오, 오디오, 서브픽쳐의 멀티미디어 엔코드 스트림을 다중화(멀티플렉스)하는 시스템 엔코드를 위한 엔코드 파라미터를 가리키는 스트림 엔코드 데이터(St33)를 생성한다.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소정의 상호적 시간관계에 있는 각 스트림의 타이틀 편집단위(VOD)에서,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MBS)의 각 타이틀의 타이틀 편집단위(VOB)의 접속 또는, 각 타이틀 편집단위를 중첩하고 있는 인터리브 타이틀 편집단위(VOBk)를 생성하기 위한 각 타이틀 편집단위(VOB)를 멀티미디어비트 스트림(MBS)으로서, 포맷하기 위한 포맷 파라미터를 규정하는 배열지시신호 (St39)를 생성한다.
비디오 엔코더(300)는 편집정보 작성부(100)의 소오스 스트림 버퍼 및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있고, 비디오 스트림(St1)과 비디오 엔코드를 위한 엔코드 파라미터 데이터 및 엔코드 개시종료의 타이밍신호의 St9, 예컨대, 엔코드의 개시종료 타이밍, 비트비 엔코드 개시종료시에 엔코드조건, 소재의 종류로서, NTSC신호 또는 PAL신호 혹은 텔리시니 소재인지등의 파라미터가 각각 입력된다. 비디오 엔코더(300)는 비디오 엔코드신호(St9)에 따라서, 비디오 스트림(St1)의 소정의 부분을 엔코드하여,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Encoded video stream)(St15)을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서브픽쳐 엔코더(500)는 편집정보 작성부(100)의 소오스 버퍼 및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있고, 서브픽쳐 스트림(St3)과 서브픽쳐 스트림 엔코드신호(St11)가 각각 입력된다. 서브픽쳐 엔코더(500)는 서브픽쳐 스트림 엔코드를 위한 파라미터신호(St11)에 따라서, 서브픽쳐 스트림(St3)의 소정의 부분을 엔코드하여,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17)을 생성한다.
오디오 엔코더(700)는 편집정보 작성부(100)의 소오스버퍼 및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있고, 오디오 스트림(St5)과 오디오 엔코드신호 (St13)가 각각 입력된다. 오디오 엔코더(700)는, 오디오 엔코드를 위한 파라미터 데이터 및 엔코드개시 종료타이밍의 신호(St13)에 따라서, 오디오 스트림(St5)의 소정의 부분을 엔코드하여,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19)을 생성한다.
비디오 스트림 버퍼(400)는 비디오 엔코더(300)에 접속되어 있고, 비디오 엔코더(300)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15)을 저장한다. 비디오 스트림 버퍼(400)는 더욱,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타이밍신호(St21)의 입력에 따라서, 보존하고 있는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15)을, 동기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27)으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서브픽쳐 스트림 버퍼(600)는 서브픽쳐 엔코더(500)에 접속되어 있고, 서브픽쳐 엔코더(500)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 (St170을 저장한다. 서브픽쳐 스트림 버퍼(600)는 더욱,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타이밍신호(St23)의 입력에 따라서, 보존하고 있는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17)을 동기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29)으로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스트림 버퍼(800)는 오디오 엔코더(700)에 접속되어 있고, 오디오 엔코더(700)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19)을 저장한다. 오디오 스트림 버퍼(800)는 더욱,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타이밍신호(St25)의 입력에 따라서, 보존하고 있는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19)을, 동기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31)으로서 출력한다.
시스템 엔코더(900)는 비디오 스트림 버퍼(400), 서브픽쳐 스트림 버퍼(600) 및 오디오 스트림 버퍼(800)에 접속되어 있고, 동기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 (St27), 동기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29) 및 동기 오디오 엔코드(St31)가 입력된다. 시스템 엔코더(900)는 또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고 스트림 엔코드 데이터(St33)가 입력된다.
시스템 엔코더(900)는 시스템 엔코드의 엔코드 파라미터 데이터 및 엔코드 개시종료 타이밍의 신호(St33)에 따라서, 각 동기스트림(St27, St29 및 St31)에 다중화 처리를 하여 타이틀 편집단위(VOB)(St35)를 생성한다.
비디오존 포맷터(1300)는 시스템 엔코더(900)에 접속되어 타이틀 편집단위(St35)를 입력된다. 비디오존 포맷터(1300)는 더욱,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MBS)을 포맷하기 위한 포맷 파라미터 데이터 및 포맷 개시종료 타이밍의 신호(St39)를 입력된다. 비디오존 포맷터(1300)는 타이틀 편집단위(St39)에 따라서, 1비디오존(VZ)분의 타이틀 편집단위 (St35)를 사용자의 요망 시나리오에 따르는 순서에, 한줄로 세워 바꿔, 편집끝나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St43)을 생성한다.
이 사용자의 요망 시나리오의 내용에 편집되었다.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St43)은 기록부(1200)에 전송된다. 기록부(1200)는 편집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MBS)을 기록매체(M)에 응한 형식의 데이터(St43)에 가공하여, 기록매체(M)에 기록한다. 이 경우, 멀티미디어비트 스트림 MBS에는 미리, 비디오존포맷터(1300)에 의해서 생성된 매체상의 볼륨 어드레스를 가리키는 볼륨 파일 스트럭쳐 (VFS)가 포함된다.
또한, 엔코드된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St35)을 이하에 말하는 것 같은 디코더에 직접 출력하여, 편집된 타이틀 내용을 재생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는,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MBS)에는 볼륨파일 스트럭쳐(VFS)는 포함되지 않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오소링 디코더DC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이러한 오소링 엔코더(EC)에 의해서, 편집된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MBS)을 디코드하여, 사용자의 요망의 시나리오에 따라 각 타이틀의 내용을 전개한다. 오소링 디코더(DC)의 1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록매체(M)에 기록된 오소링 엔코더 (EC)에 의해서 엔코드된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St45)은 기록매체(M)에 기록되어 있다.
오소링 디코더(DC)는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 재생부(2000), 시나리오 선택부(2100),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 스트림 버퍼(2400), 시스템 디코더(2500), 비디오 버퍼(2600), 서브픽쳐 버퍼(2700), 오디오 버퍼(2800), 동기제어부(2900), 비디오 디코더(3800), 서브픽쳐 디코더(3100), 오디오 디코더(3200), 합성부(3500), 비디오 데이터 출력단자(3600), 및 오디오 데이터 출력단자(3700)로 구성되어 있다.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 재생부(2000)는 기록매체(M)을 구동시키는 기록매체 구동유닛(2004), 기록매체(M)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출력하여 2의 값의 판독출력 신호 St57를 생성하는 독해헤드유닛2006, 판독출력신호(ST57)에 여러 가지의 처리를 하여 재생비트 스트림(St61)을 생성하는 신호처리부(2008), 및 기구제어부(2002)로 구성된다. 기구 제어부(2002)는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접속되어,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 재생지시신호(St53)를 받아, 각각 기록매체 구동유닛(모터)(2004) 및 신호처리부(2008)를 각각 제어하는 재생제어신호 (St55 및 St59)를 생성한다.
디코더(DC)는 오소링 엔코더(EC)에서 편집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의 영상, 서브픽쳐, 및 음성에 관한, 사용자의 원하는 부분이 재생되도록 대응하는 시나리오를 선택하여 재생하는 것같이, 오소링 디코더(DC)에 지시를 주는 시나리오 데이터로서 출력할 수 있는 시나리오 선택부(2100)를 구비하고 있다.
시나리오 선택부(2100)는 바람직하게는, 키이보드 및 CPU 등으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오소링 엔코더(EC)에서 입력된 시나리오의 내용에 따라서, 원하는 시나리오를 키이보드부를 조작하여 입력한다. CPU는 키이보드 입력에 따라서, 선택된 시나리오를 지시하는 시나리오 선택데이터(St51)를 생성한다. 시나리오 선택부(2100)는, 예컨대, 적외선 통신장치 등에 의해서,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접속되어 있다.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는 St51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 재생부(20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재생지시신호(St53)를 생성한다.
스트림 버퍼(2400)는 소정의 버퍼용량을 갖아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 재생부(2000)로부터 입력되는 재생신호 비트 스트림(St61)을 일시적으로 보존함과동시에, 및 각 스트림의 어드레스 정보 및 동기초기값 데이터를 추출하여 스트림제어 데이터(St63)를 생성한다. 스트림 버퍼(2400)는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접속되어 있고, 생성한 스트림 제어데이터(St63)를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공급한다.
동기제어부(2900)는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접속되어, 동기제어 데이터(St81)에 포함되는 동기초기값 데이터(SCR)를 받어들여 내부의 시스템록 (St79)의 세트하여, 리세트된 시스템록(St79)을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공급한다.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는 시스템록(St79)에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스트림 판독출력신호(St65)를 생성하여, 스트림 버퍼(2400)에 입력한다.
스트림 버퍼(2400)는 판독출력신호(St65)에 따라서 재생비트 스트림(St61)을 소정의 간격으로 출력한다.
디코드시스템 제어부(2300)는 더욱, 시나리오 선택 데이터(St51)에 근거하여, 선택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비디오, 서브픽쳐, 오디오의 각 스트림의 ID를 가리키는 디코드 스트림 지시신호(St69)를 생성하여, 시스템 디코더(2500)에 출력한다.
시스템 디코더(2500)는 스트림 버퍼(2400)로부터 입력되어 있는 비디오, 서브픽쳐, 및 오디오의 스트림을, 디코드 지시신호(St69)의 지시에 따라서, 각각,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71)으로서 비디오 버퍼(2600)에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73)으로서 서브픽쳐 버퍼(2700)에 및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75)으로서 오디오 버퍼(2800)에 출력한다.
시스템 디코더(2500)는 각 스트림(St67)의 각 최소 제어단위에서의 재생개시시간(PTS) 및 디코드 개시시간(DTS)을 검출하여, 시간정보신호(St77)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정보신호(St77)는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를 경유하여, 동기 제어데이터(St81)로서 동기제어부(2900)에 입력된다.
동기제어부(2900)는 동기제어 데이터(St81)로서, 각 스트림에 관해서 각각이 디코드후에 소정의 순서가 되는 것 같은 디코드 개시타이밍을 결정한다. 동기제어부(2900)는 이 디코드 타이밍에 따라서, 비디오 스트림 디코드 개시신호 (St89)를 생성하여, 비디오 디코더(3800)에 입력한다. 마찬가지로, 동기제어부(2900)는 서브픽쳐 디코드 개시신호(St91) 및 오디오 디코드 개시신호(St93)를 생성하여, 서브픽쳐 디코더(3100) 및 오디오 디코더(3200) 에 각각 입력한다.
비디오 디코더(3800)는 비디오 스트림 디코드 개시신호(St89)에 따라서, 비디오 출력요구신호(St84)를 생성하여, 비디오버퍼(2600)에 대하여 출력한다. 비디오버퍼(2600)는 비디오 출력요구신호(St84)를 받아 비디오 스트림(St83)을 비디오 디코더(3800)에 출력한다. 비디오 디코더(3800)는 비디오 스트림(St83)에 포함되는 재생시간정보를 검출하여, 재생시간에 해당하는 량의 비디오 스트림 (St83)의 입력을 받은 시점에서, 비디오 출력요구신호(St84)를 무효로 한다. 이렇게 하여, 소정재생시간에 해당하는 비디오 스트림이 비디오 디코더(3800)로 디코드되어, 재생된 비디오신호(Stl04)가 합성부(3500)에 출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브픽쳐 디코더(3100)는 서브픽쳐 디코드 개시신호(St91)에 따라서, 서브픽쳐 출력요구신호(St86)를 생성하여, 서브픽쳐 버퍼(2700)에 공급한다. 서브픽쳐 버퍼(2700)는 서브픽쳐 출력요구신호(St86)를 받아, 서브픽쳐 스트림(St85)을 서브픽쳐 디코더(3100)에 출력한다. 서브픽쳐 디코더(3100)는 서브픽쳐 스트림(St85)에 포함되는 재생시간정보에 따라서, 소정의 재생시간에 해당하는 량의 서브픽쳐 스트림(St85)을 디코드하여 서브픽쳐 신호(St99)를 재생하여, 합성부(3500)에 출력할 수 있다.
합성부(3500)는 비디오신호(St104) 및 서브픽쳐신호(St99)를 중첩시켜, 멀티픽쳐 비디오 신호(Stl05)를 생성하여, 비디오 출력단자(3600)에 출력한다.
오디오 디코더(3200)는 오디오 디코드 개시신호(St93)에 따라서, 오디오 출력요구신호(St88)를 생성하여, 오디오버퍼(2800)에 공급한다. 오디오버퍼(2800)는 오디오 출력요구신호(St88)를 받아, 오디오 스트림(St87)을 오디오 디코더(3200)에 출력한다. 오디오 디코더(3200)는 오디오 스트림(St87)에 포함되는 재생시간정보에 따라서, 소정의 재생시간에 해당하는 량의 오디오 스트림(St87)을 디코드하여, 오디오 출력단자(3700)에 출력한다.
이렇게하여, 사용자의 시나리오 선택에 응답하여, 리얼타임에 사용자의 요망하는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MBS)을 재생할 수 있다. 요컨대, 사용자가 다른 시나리오를 선택할 때마다 오소링 디코더(DC)는 그 선택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MBS)를 재생함으로써, 사용자의 요망하는 타이틀 내용을 재생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했듯이, 본 발명의 오소링 시스템에 있어서는 기본의 타이틀 내용에 대하여, 각 내용을 나타내는 최소 편집단위의 복수의 분기가능한 서브스트림을 소정의 시간적 상관관계에 배열하도록,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를 리얼타임 혹 일괄해서 엔코드하여, 복수의 임의의 시나리오에 따르는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엔코드된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과 복수의 시나리오의 중의 임의의 시나리오에 따라서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재생중에 있더라도, 선택한 시나리오로부터 별도의 시나리오를 선택하여(전환하여)도, 그 새로운 선택된 시나리오에 응한(동적으로)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시나리오에 따라서 타이틀내용을 재생중에, 더욱 복수의 신중의 임의의 신을 동적으로 선택하여 재생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오소링시스템에 있어서는 엔코드하여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MBS)을 리얼타임에 재생한 뿐만이 아니고, 되풀이하여 재생할 수가 있다. 한편, 오소링 시스템의 상세에 관해서는 본 특허출원과 동일 출원인에 의한 1996년 9월 27일부의 일본국 특허출원에 개시되어 있다.
DVD
도 4에 단일의 기록면을 갖는 DVD의 일례를 가리킨다. 본예에 따르는 DVD 기록매체(RC1)는 레이저광선(LS)을 조사하여 정보의 기록 및 판독출력을 하는 정보기록면(RS1)과 이것을 덮는 보호층(PL1)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기록면(RS1)의 뒷편에는 보강층(BL1)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보호층(PL1)측의 면을 표면(SA), 보강층(BL1)측의 면을 이면(SB)으로 한다. 이 매체(RC1)와 같이, 한 면에 단일의 기록층(RS1)을 갖는 DVD매체를 한면일층 디스크라고 부른다.
도 5에, 도 4의 C1부의 상세를 가리킨다. 기록면(RS1)은 금속박막 등의 반사막을 부착한 정보층(4109)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 위에, 소정의 두께(T 1)를 갖는 제1의 투명기판(4108)에 의해서 보호층(PL1)이 형성된다. 소정의 두께 (T2)를 갖는 제2투명기판(4111)에 의해서 보강층(BL1)이 형성된다. 제1및 제2투명기반(4108 및 4111)은 그 사이에 설정되고 접착층(4110)에 의해서 서로 접착되어 있다.
더욱, 필요에 응해서 제2의 투명기판(4111)의 위에 라벨인쇄용의 인쇄층(4112)이 설정된다. 인쇄층(4112)은 보강층(BL1)의 기판(4111)상의 전영역이 아니라, 문자나 그림의 표시에 필요한 부분만 인쇄되고, 다른 부분은 투명기판(4111)을 드러냄에게도 좋다. 그 경우, 이면(SB)측에서 보면 , 인쇄되어 있지 않은 부분으로서는 기록면(RS1)을 형성하는 금속박막(4109)이 반사하는 빛이 직접보이는 것으로 되고, 예컨대, 금속박막이 알루미늄 얇은 막인 경우에는 배경이 은백색에 보여, 그 위에 인쇄문자나 도형이 떠올러 보인다. 인쇄층(4112)은 보강층(BL1)의 전면에 마련하는 필요는 없고, 용도에 응해서 부분적으로 마련하더라도 좋다.
도 6에서, 더욱 도 5의 C2부의 상세를 가리킨다. 광 빔(LS)이 입사하여 정보가 꺼내어지는 표면(SA)에 있어서, 제1의 투명기판(4108)과 정보층(4109)의 접하는 면은 성형기술에 의해 요철의 피트가 형성되어, 이 피트의 길이와 간격을 바꾸는 것에 의해 정보가 기록된다. 요컨대, 정보층(4109)에는 제1의 투명기판(4108)의 요철의 피트형상이 전사된다. 이 피트의 길이나 간격은 CD의 경우에 비교하여 줄어들어, 피트열에서 형성하는 정보트랙도 피치도 좁게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면기록 밀도가 대폭 향상하고 있다.
또한, 제1의 투명기판(4108)의 피트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표면(SA)측은 평탄한 면으로 되어있다. 제2의 투명기판(4111)은 보강용이고, 제1의 투명기판(4108)과 같은 재질로 구성되는 양면이 평탄한 투명기판이다. 따라서, 소정의 두께(T1 및 T2)는 같이, 예컨대 0.6mm이 바람직하지만, 그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정보의 꺼냄은 CD의 경우와 같이, 광 빔(LS)이 조사되는 것에 의해 광 스폿의 반사율 변화로서 꺼내어 진다. DVD시스템에 있어서는, 대물렌즈의 개구수 (NA)를 크게하여 광 빔의 파장(λ)을 작게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광 스폿 (Ls)의 지름을 CD에서의 광 스폿의 약 1/L6으로 집중하여 넣을 수 있다. 이것은 CD시스템에 비교해서, 약 1.6배의 해상도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DVD부터의 데이터 판독출력에는 파장이 짧은 650nm의 적색반도체 레이저와 대물렌즈의 NA(개구수)를 0.6mm까지 크게 한 광학계가 이용되고 있다. 이것과 투명기판의 두께(T)를 0.6mm에 엷게 하는 것과 동시에, 지름 120mm의 광디스크의 한면에 기록할 수 있는 정보용량이 5G바이트를 넘는다.
DVD시스템은, 위에서 설명했듯이 단일의 기록면(RS1)을 갖는 단측 일층층디스크(RC1)에 있어서도, CD에 비교해서 기록가능한 정보량이 10배가까이 되기 때문에, 단위당 데이터 사이즈가 대단히 큰 동작화상을, 그 화질을 손상하지 않고서 취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CD시스템에 비례하게 동작화상의 화질을 희생하여도 재생시간이 74분인 데 비교해서, DVD에서는 고화질 동작화상을 2시간 이상 걸려 기록재생가능하다. 이와 같이, DVD는 동작화상의 기록매체에 적합하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도 7 및 도 8에, 상기의 기록면(RS)을 복수 갖는 DVD기록매체가 예를 게시한다. 도 7의 DVD기록매체(RC2)는 동일측, 요컨대 표면측(SA)에 2층으로 배치된 제1 및 반투명의 제2기록면(RS1 및 RS2)을 갖고 있다. 제1기록면(RS1) 및 제2기록면(RS2)에 대하여 각각 다른 광 빔(LS1 및 LS2)을 쓰는 것에 의해, 동시에 이면부터의 기록재생이 가능하다. 또한, 광 빔(LS1 혹 LS2)의 한편으로써, 양기록면(RS1 및 RS2)에 대응시키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DVD기록매체를 한면 이층층 디스크라고 부른다. 이 예로서는 2장의 기록층(RS1 및 RS2)을 배치하였지만, 필요에 응해서, 2장이상의 기록층(RS)을 배치한 DVD기록매체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디스크와 한면다층 디스크라고 부른다.
한편, 도 8의 DVD기록매체(RC3)는 반대측, 요컨대 표면측(SA)측에는 제1 기록면(RS1)이, 요컨데 뒷편(SB)에는 제2기록면(RS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 이것들의 예에 있어서는 한 장의 DVD에 기록면을 2층을 얻는 예를 게시하였지만, 2층이상의 다층의 기록면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말할필요도 없다. 도 7의 경우와 같이, 광 빔(LS1 및 LS2)을 개별로 마련하더라도 좋고, 한 개의 광 빔으로 양쪽의 기록면(RS1 및 RS2)의 기록재생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DVD기록매체를 양면일층 디스크라고 부른다. 또한, 한 면에 2장이상의 기록층 (RS)을 배치한 DVD기록매체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디스크를 양면다층 디스크라고 부른다.
도 9 및 도 10에, DVD기록매체(RC)의 기록면(RS)을 광 빔(LS)의 조사측에서 본 평면도를 각각 가리킨다. DVD에는 내주로부터 외주방향에 향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트랙(TR)이 나선상으로 연속하여 설치된다. 트랙(TR)은 소정의 데이터단위마다 복수의 색터에 분할되어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트랙 1주당 3가지 이상의 색터에 분할되어 있도록 나타내고 있다.
통상, 트랙(TR)은 도 9에 나타나 있듯이, 디스크(RCA)의 내주의 끝점(IA)에서 외주의 끝점(OA)에 향하고 시계회전방향(DrA)에 되감기게 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크(RCA)를 시계회전 디스크, 그 트랙을 시계회전트랙(TRA)이라고 부른다. 또한, 용도에 의해서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디스크(RCB)의 외주의 끝점(OB)에서 내주의 끝점(IB)에 향하고, 시계주위방향(DrB)에 트랙(TRB)이 되감기게 되어 있다. 이 방향(DrB)은 내주로부터 외주에 향해서 보면, 반시계주위 방향이기 때문에, 도 9의 디스크(RCA)와 구별하기 위해서, 반시계회전 디스크(RCB) 및 반시계 회전트랙(TRB)이라고 부른다. 상기의 트랙 되감기방향(DrA 및 DrB)은 광 빔이 기록재생을 위해에 트랙을 스캔하는 움직이는 요컨대 트랙패스이다. 트랙 되감기방향(DrA)의 반대방향(RdA)이 디스크(RCA)를 회전시키는 방향이다. 트랙 되감기방향(DrB)의 반대방향(RdB)은 디스크(RCB)를 회전시키는 방향이다.
도 11에서 도 7에 가리키는 한쪽2층 디스크(RC2)의 일례인 디스크(RC2o)의 전개도를 모식적으로 가리킨다. 아래쪽의 제1기록면(RS1)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시계회전트랙(TRA)이 시계회전방향(DrA)에 설치된다. 위쪽의 제2기록면 (RS2)에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듯이, 반시계회전트랙(TRB)이 반시계회전방향(DrB)에 설치된다. 이 경우, 상하측의 트랙외주단부(OB 및 OA)는 디스크(RC2o)의 중심선에 평행한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의 트랙(TR)의 되감기방향(DrA 및 DrB)은 같이, 디스크(RC)에 대하는 데이터의 읽고 쓰기의 방향이기도 한다. 이 경우, 상하의 트랙의 되감기방향은 반대, 요컨대, 상하의 기록층의 트랙패스 (DrA 및 DrB)가 대향하고 있다.
대향 트랙패스 타입의 한쪽2층 디스크(RC2o)는 제1기록면(RS1)에 대응하여 RdA방향으로 회전되어, 광 빔(LS)이 트랙패스(DrA)에 따라, 제1기록면(RS1)의 트랙을 추적하여, 외주단부(OA)에 도달한 시점에서, 광 빔(LS)을 제2기록면(RS2)의 외주단부(OB)에 초점을 맺도록 조절하는 것으로, 광 빔(LS)은 연속적으로 제2기록면(RS2)의 트랙을 추적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하여, 제1및 제2기록면(RS1 및 RS2)의 트랙(TRA 와 TRB)과의 물리적 거리는 광 빔(LS)의 초점을 조정하는 것으로, 순간적에 해소할 수 있다. 그 결과, 대향 트랙패스 타입의 한쪽2층 디스크 (RCo)에 있어서는 상하 2층상의 트랙을 하나의 연속한 트랙(TR)으로서 처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고로, 도 1을 참조하여 말한, 오소링 시스템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최대 관리단위인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MBS)을 하나의 매체(RC2o)의 2층의 기록층(RS1 및 RS2)에 연속적으로 기록할 수가 있다.
한편, 기록면(RS1 및 RS2)의 트랙의 되감기방향을 본 예로 말한 것과 반대로, 요컨대 제1기록면(RS1)에 반시계 회전트랙(TRB)을, 제2기록면에 시계회전트랙(TRA)을 마련하여 경우는 디스크의 회전방향을(RdB)에 바꾸는 것을 제외하면, 상술의 예와 같이, 양기록면을 하나의 연속한 트랙(TR)을 갖는 것으로 하여 쓴다. 따라서, 간편화를 위해 그와 같은 예와 관련하여서의 도시 등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DVD를 구성함으로써, 큰 타이틀의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 (MBS)을 한 장의 대향트랙 패스타입 한면2층 디스크(RC2o)에 수록할 수 있다. 이러한 DVD매체를 편면 2층대향 트랙패스형 디스크라고 부른다.
도 12에서, 도 7에 가리키는 한쪽2층 디스크(RC2)의 또다른 예 RC2p의 전개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제1 및 제2기록면(RS1 및 RS2)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동일하게 시계회전트랙(TRA)이 설치된다. 이 경우, 한쪽2층 디스크(RC2p)는 RdA방향에 회전되고, 광 빔의 이동방향은 트랙의 되감기방향과 같은, 요컨대, 상하의 기록층의 트랙패스가 서로 평행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는, 상하측의 트랙 외주단부(OA 및 OA)는 디스크(RC2p)의 중심선에 평행한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렇기 때문에, 외주단부(OA)에 있어서, 광 빔(LS)의 초점을 조절하는 것으로, 도 11로 말한 매체(RC2o)와 같이, 제1기록면(RS1)의 트랙(TRA)의 외주단부(OA)에서 제2기록면(RS2)의 트랙(TRA)의 외주단부(OA)로 순간적에, 액세스 선을 바꿀 수 있다.
그렇지만, 광 빔(LS)에 의해서, 제2기록면(RS2)의 트랙(TRA)을 시간적으로 연속하여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매체(RC2p)를 반대(반(RdA)방향으로)회전시키면 좋다. 그러나, 광 비임의 위치에 응해서, 매체의 회전방향을 바꾸는 것은 효율이 좋지 않기 때문에,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되고 있도록, 광 빔(LS)이 제1기록면(RS1)의 트랙 외주단부(OA)에 도달한 뒤에, 광 빔을 제2기록면(RS2)의 트랙내주단부(IA)에, 이동시키는 것으로 논리적으로 연속한 하나의 트랙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면 상하의 기록면의 트랙을 하나의 연속한 트랙으로서 취급하지 않고서, 각각 별도의 트랙으로서, 각 트랙에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 (MBS)을 1타이틀마다 기록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DVD매체를 편면2층 평행 트랙패스형 디스크라고 부른다.
한편, 양기록면(RS1 및 RS2)의 트랙의 되감기방향을 본 예로 말한 것과 반대로, 요컨대 반시계 회전트랙(TRB)을 마련하더라도, 디스크의 회전방향을 RdB로 하는 것을 제외하면 같다. 이 편면2층평행 트랙패스형 디스크는 백과사전같은 빈번히 랜덤액세스가 요구되는 복수의 타이틀을 한 장의 매체(RC2p)에 수록하는 용도에 적합한다.
도 13에서, 도 8에 가리키는 편면에 각각 일층의 기록면(RS1 및 RS2)을 갖는 양면일층형의 DVD매체(RC3)의 일례, RC3s의 전개도를 가리킨다. 한편의 기록면(RS1)은 시계회전트랙(TRA)이 설정되고 다른쪽의 기록면(RS2)에는 반시계회전트랙(TRB)이 설치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는 양기록면의 트랙외주단부(OA 및 OB)는 디스크(RC3s)의 중심선에 평행한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들의 기록면(RS1 과 RS2)은 트랙의 되감기 방향은 반대이지만, 트랙패스가 서로 면대상의 관계에 있다. 이러한 디스크(RC3s)를 양면일층 대상 트랙패스형 디스크라고 부른다. 이 양면일층 대상 트랙패스형 디스크(RC3s)는 제1기록매체 (RS1)에 대응하여 RdA방향에 회전된다. 그 결과, 반대측의 제2기록매체(RS2)의 트랙패스는 그 트랙권회방향(DrB)과 반대의 방향, 요컨대 DrA이다. 이 경우, 연속, 비연속적으로 관계하지 않고 본질적으로 두개의 기록면(RS1 및 RS2)에 동일한 광 빔(LS)에서 액세스하는 것은 실제적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표리의 기록면의 각각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MSB)을 기록한다.
도 14에서, 도 8에 가리키는 양면일층 DVD매체 RC3의 또다른 예 RC3a의 전개도를 가리킨다. 양기록면(RS1및 RS2)에는 같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시계회전트랙(TRA)이 설치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는 양기록면측(RS1및 RS2)의 트랙외주단부(OA 및 OA)는 디스크(RC3a)의 중심선에 평행한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단지, 본예에 있어서는 먼저 말한 양면일층 대상 트랙패스형 디스크(RC3s)와 달라서 이것들의 기록면(RS1과 RS2)상의 트랙은 비대칭의 관계에 있다. 이러한 디스크(RC3a)를 양면일층 비대상 트랙패스형 디스크라고 부른다. 이 양면일층 비대상 트랙패스형 디스크(RC3s)는 제1기록매체(RS1)에 대응하여 RdA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반대측의 제2기록면(RS2)의 트랙패스는 그 트랙권회방향(DrA)과 반대의 방향, 요컨대 DrB방향이다.
고로, 단일의 광 빔(LS)을 제1기록면(RS1)의 내주로부터 외주로, 제2기록면(RS2)의 외주로부터 내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 기록면마다 다른 광 빔원을 준비하지 않더라도, 매체(PC3a)를 표리반전시키지 않고서 양면의 기록재생이 가능하다. 또한, 이 양면일층 비대상 트랙패스형 디스크로서는 양기록면(RS1 및 RS2)의 트랙패스가 동일이다. 이에 따라서, 매체(PC3a)의 표리를 반전함에 의해, 기록면마다 다른 광 빔원을 준비하지 않더라도, 단일의 광 빔(LS)에서 양면의 기록재생이 가능하고, 그 결과, 장치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한편, 양기록면(RS1 및 RS2)에 트랙(TRA)의 대신에 트랙(TRB)을 마련하더라도, 본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기록면의 다층화에 따라서, 기록용량의 배증화가 용이한 DVD시스템에 의해서 1장의 디스크상에 기록된 복수의 동작화상 데이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복수의 그래픽 데이터등을 사용자와의 대화조작을 통하여 재생하는 멀티미디어의 영역에 있어서 그 진가를 발휘한다. 요컨데 종래 소프트 제공자의 꿈이였든 한 개의 영화를 제작한 영화의 품질을 그대로 기록으로, 다수의 다른 언어권 및 다수의 다른 세대에 대하여, 하나의 매체에 의해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파렌털
종래는 영화타이틀의 소프트 제공자는 동일한 타이틀에 관해서, 전세계의 다수의 언어, 및 구미각국에서 규제화되어 있는 파렌털록에 대응한 개별의 패키지로서 멀티레이트 타이틀(Multi-rated title)DMF 제작, 공급, 관리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 시간은, 매우 큰 것이었다. 또한, 이것은, 고화질도 물론이거니와 또, 의도한 종류로 재생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소원의 해결에 한 걸음가까이 가는 기록매체가 DVD이다.
멀티앵글
또는, 대화조작이 전형적인 예로서, 1개의 신을 재생중에, 별도의 시점부터의 신에 바꾼다고 하는 멀티앵글이라는 기능이 요구되어 있다. 이것은, 예컨대, 야구의 신 이면, 백내트측에서 본 투수, 포수, 타자를 중심으로한 앵글, 백네트측에서 본 내야를 중심으로한 앵글, 센터측에서 본 투수, 포수, 타자를 중심으로한 앵글등 몇 개의 앵글의 속에서, 사용자를 좋아한 것을 마치 카메라를 바꾸고 있는 것처럼, 자유롭게 고른다고 하는 것같은 어프리케이션의 요구가 있다.
DVD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응하도록 동화상, 오디오, 그래픽 등의 신호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으로서 비디오 CD와 같은 MPEG이 사용되고 있다. 비디오 CD와 DVD로는 그 용량과 전송속도 및 재생장치내의 신호처리 성능의 차로부터 같은 MPEG형식이라고 하더라도, MPEG1와 MPEG2라는 다소 다른 압축방식, 데이터형식이 채용되어 있다. 단지, MPEG1와 MPEG2의 내용 및 그 차이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취지와는 직접관계하지 않기 때문 설명을 생략한다(예컨대, ISO11172, ISO13818의 MPEG 규격서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의 DVD시스템의 데이터구조와 관련하여 도 16, 도 17, 도 18,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후에 설명한다.
다중장면
상기한 파렌털록 재생 및 멀티앵글 재생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각 요구대로의 내용의 타이틀을 각각 준비하고 있으면, 근소한 일부분이 다른 신데이터를 갖는 거의 동일 내용의 타이틀을 요구수만 준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해 놓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은 기록매체의 대부분의 영역에 동일한 데이터를 되풀이하여 기록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기록매체의 기억용량의 이용효율을 현저히 소외한다. 더욱, DVD같은 대용량의 기록매체를 가지고 한다 할지라도, 모든 요구에 대응하는 타이틀을 기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는 기본적으로 기록매체의 용량을 증가시키면 해결할 수 있다고 하겠지만, 시스템 리소오스의 유효이용의 관점에서 대단히 바람직하지 않다.
DVD시스템에 있어서는 이하에 그 개략을 설명하는 다중장면 제어를 사용하여, 다종의 바리에이션을 갖는 타이틀을 최저 필요한도의 데이터로 가지고 구성하여, 기록매체 등의 시스템 리소오스의 유효활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요컨대, 여러 가지 바리에이션을 갖는 타이틀을 각 타이틀 사이에서의 공통의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기본 신 구간과, 각각의 요구에 의거한 다른 신 군으로 이루어지는 다중장면 구간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재생시에, 사용자가 각 다중장면 구간에서의 특정한 신을 자유, 또한 수시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해 놓는다. 또, 파렌털록재생 및 멀티앵글 재생을 포함하는 다중장면 제어에 관해서, 후에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DVD시스템의 데이터구조
도 22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DVD시스템에 따른 오소링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가리킨다. DVD시스템으로서는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MBS)을 기록하기 위하여, 리드인 영역(LI) 볼륨영역(VS) 및 리드아웃 영역(LO)에 3가지로 대별되는 기록영역을 구비한다.
리드인 영역(LI)은 광디스크의 최내주부에, 예컨대, 도 9 및 도 10으로 설명한 디스크에 있어서는 그 트랙의 내주단부(IA 및 IB)에 위치하고 있다. 리드인 영역(L1)은 재생장치의 독츨 개시의 동작 안정용의 데이터 등이 기록된다.
리드 아웃영역(LO)은 광디스크의 최외주에, 요컨대 도 9 및 도 10으로 설명한 트랙의 외주단부(OA 및 OB)에 위치하고 있다. 이 리드 아웃영역(LO)에는 볼륨영역(VS)이 종료한 것을 가리키는 데이터 등이 기록된다.
볼륨영역(VS)은 리드인영역(LI)과 리드아웃영역(LO)의 사이에 위치하여, 2048바이트의 논리색터(LS)가 n+1개(n은 0을 포함하는 정의 정수) 일차원배열로서 기록된다. 각 논리색터(LS)는 색터넘버(#0, #1, #2, …, #n)로 구별된다. 더욱, 볼륨영역(VS)은 m+1개의 논리색터(LS#0∼LS#m)(m은 n보다 작은 0를 포함하는 정의 정수)부터 형성되는 볼륨/파일관리영역(VFS)과, n-m개의 논리색터(LS#m+ 1∼LS#n)에서 형성되는 파일데이터영역(FDS)에 분별된다. 이 파일데이터영역(FDS)은, 도 1에 가리키는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MBS)에 해당한다.
볼륨/파일관리영역(VFS)은 볼륨영역(VS)의 데이터를 파일로서 관리하기 위한 파일시스템이며, 디스크전체의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의 수납에 필요한 색터수 m(m은 n보다 작은 자연수)의 논리색터(LS#0)로부터 LS#m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볼륨/파일관리영역(VFS)에는 예컨대, ISO9660 및 ISO13346 등의 규격에 따라서, 파일데이터영역(FDS)내의 파일의 정보가 기록된다.
파일데이터영역(FDS)은 n-m개의 논리색터(LS#m+1∼LS#n)에서 구성되어 있고, 각각 논리색터의 정수배(2048×I, 여기서 I는 소정의 정수)의 사이즈를 갖는 비디오 메니저(VMG)와 및 k개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1∼VTS#k(k는, 100보다 작은 자연수)를 포함한다.
비디오 메니저(VMG)는 디스크전체의 타이틀 관리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유지함과 동시에, 볼륨전체의 재생제어의 설정/변경을 하기 위한 메뉴인 볼륨메뉴를 나타내는 정보를 갖는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 #k는 단지 비디오 파일이라고도 부르고, 동화, 오디오, 정지화상 등의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타이틀을 나타낸다.
도 16은 도 22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의 내부구조를 가리킨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는 디스크전체의 관리정보를 나타내는 VTS정보(VTSI)로, 멀티미디어비트 스트림의 시스템 스트림인 VTS 타이틀용 VOBS(VTSTT_VOBS)것에 대별된다. 우선, 이하에 VTS정보에 관해서 설명한 후 VTS타이틀용 VOBS에 관하여 설명한다.
VTS정보는 주로, VTSI관리테이블(VTSI_MAT) 및 VTS정보테이블(VTS-PGCIT)을 포함한다.
VTSI관리테이블은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의 내부구성 및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중에 포함되는 선택가능한 오디오 스트림의 수, 서브픽쳐의 수 및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의 격납장소 등이 기술된다.
VTSPGC정보관리 테이블은 재생순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체인(PGC)을 나타내는 i개(1는 자연수)의 PGC정보(VTS_PGCI#1∼VTS_PGCI#I)를 기록한 테이블이다 . 각 엔트리의 PGC정보(VTS_PGCI#I)는 프로그램 체인을 나타내는 정보로 이고 j 개(1는 자연수)의 셀재생정보(C_PBI#1∼C_PB#j)로 이루어진다. 각 셀재생정보 (C_PB#j)는 셀의 재생순서나 재생에 관한 제어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 체인(PGC)이라는 것은 타이틀의 스토리를 기술하는 개념이고, 셀(후술)의 재생순을 기술하는 것으로 타이틀을 형성한다. 상기 VTS정보는, 예컨대, 메뉴에 관한 정보의 경우에는 재생개시시에 재생장치내의 버퍼에 격납되어, 재생의 도중에서 원격제어기의「메뉴」키이가 압하된 시점에서 재생장치에 의해 참조되고 예컨대 #1의 탑메뉴가 표시된다. 계층메뉴의 경우는, 예컨대,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I#I)가「메뉴」키이압하에 의해 표시되는 메인메뉴이고, #2로부터 #9가 원격제어기의「점키이」의 숫자에 대응하는 서브메뉴, #10이후가 더욱 하위층의 서브메뉴라는 것같게 구성된다. 또한 예컨대, #1이「메뉴」키이압하에 의해 표시되는 탑메뉴, #2이후가「점」키이의 숫자에 대응하여 재생되는 음성 가이던스로 구성된다.
메뉴자체는 이 테이블에 지정되는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계층메뉴인지, 음성가이던스를 포함하는 메뉴일 것이나, 임의의 형태의 메뉴를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예컨대, 영화의 경우에는 재생개시시에 재생장치내의 버퍼에 격납되어, PGC내에 기술하고 있는 셀재생순서를 재생장치가 참조하여, 시스템 스트림을 재생한다.
여기서 말하는 셀이란 시스템 스트림의 전부 또는 일부이고, 재생시의 액세스 포인트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영화의 경우는, 타이틀을 도중에서 구분하고 있는 장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엔트리된 PGC정보(C_PBI#j) 각각은 셀재생 처리정보 및 셀정보 테이블을 포함한다. 재생처리 정보는 재생시간, 되풀이 하고 회수 등의 셀의 재생에 필요한 처리정보에서 구성된다. 블록모드(CBM), 셀블록타입(CBT), 심리스 재생 플래그(SPF), 인터리브 블록배치 플래그(IAF), STC재설정 플래그(STCDF), 셀재생시간(C_PBTM), 심리스 앵글전환 플래그(SACF), 셀선두 VOBU개시 어드레스(C_FVOBU_SA), 및 셀종단 VOBU개시 어드레스(C_LVOBU_SA)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말하는 심리스 재생이란 DVD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음성, 부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각 데이터 및 정보를 중단하는 일없이 재생하는 것이고 자세히는, 도 23 및 도 24에 참조하여 후에 설명한다.
블록모드(CBM)는 복수의 셀이 1개의 기능블록을 구성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가리키고, 기능블록을 구성하는 각 셀의 셀재생정보는 연속적으로 PGC정보내에 배치되고 그 앞머리에 배치되는 셀재생 정보의 CBM에는“블록의 선두셀"을 가리키는 값, 그 최후에 배치되는 셀재생 정보의 CBM에는“블록의 최후의 셀"을 가리키는 값, 그 사이에 배치되는 셀재생 정보의 CBM에는“블록내의 셀을 가리키는 값을 가리킨다.
셀블록타입(CBT)은 블록모드(CBM)에서 가리킨 블록의 종류를 가리키는 것이다. 예컨대 멀티앵글 기능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각 앵글의 재생에 대응하는 셀정보를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블록으로서 설정하고, 더욱 그 블록의 종류로서, 각 셀의 셀재생 정보의(CBT)에 앵글을 가리키는 값을 설정한다.
심리스 재생 플래그(SPF)는 해당 셀이 전에 재생되는 셀 또는 셀블록과 심리스에 접속하여 재생하는가 아닌가를 가리키는 플래그이고, 앞셀 또는 앞셀블록과 심리스에 접속하여 재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셀의 셀재생정보의 SPF에는 플래그치 1를 설정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플래그치 O를 설정한다.
인터리브 어프리케이션(IAF)은 해당 셀이 인터리브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가 아닌가를 가리키는 플래그이고, 인터리브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셀의 인터리브 어프리케이션(IAF)에는 플래그치1를 설정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플래그치 0를 설정한다.
STC재설정 플래그(STCDF)는 동기를 잡을 때에 사용하는 STC를 셀의 재생시에 재설정해야 하는 가의 여부의 정보이고, 재설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플래그치 1을 설정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플래그치 0을 설정한다.
심리스 앵글 체인지 플래그(SACF)는 해당 셀이 앵글구간에 속하고 또한, 심리스에 바꾸는 경우, 해당 셀의 심리스 앵글 체인지 플래그(SACF)에는 플래그치 1를 설정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플래그치 O을 설정한다.
셀재생시간(C_PBTM)은 셀의 재생시 사이를 비디오의 프레임수 정밀도로 도시하고 있다.
C-LVOBU_SA는 셀종단 VOBU개시 어드레스를 가리키고 그 값은 VTS타이틀용 VOBS(VTSTT_VOBS)의 선두 셀의 논리색터로부터의 거리를 색터수로 도시하고 있다. C_FVOBU_SA는 셀선두 VOBU개시 어드레스를 가리키고 VTS타이틀용 VOBS(VTSTT_VOBS)것의 선두 셀의 논리색터로부터 거리를 색터수로 도시하고 있다.
다음에, VTS타이틀용 VOBS, 요컨대, 1멀티미디어 시스템 스트림 데이터 VTSTT-VOBS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스트림 데이터(VTSTT_VOBS)는 비디오 오브젝트(VOB)라고 불리는 i개(1는 자연수)의 시스템 스트림(SS)으로 이루어진다. 각 비디오 오브젝트(VOB#1∼VOB#i)는 적어도 1개의 비디오 데이터로 구성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최대 8개의 오디오 데이터, 최대 32의 부영상 데이터까지가 인터리브되어 구성된다.
각 비디오 오브젝트(VOB)는, q개(q는 자연수)의 셀(C#1∼C#q)로 이루어진다. 각 셀 C는 r개(1는 자연수)의 비디오 오브젝트 유닛(VOBU#1∼VOBU#r)으로 형성된다.
각 VOBU는 비디오 엔코드의 원기회복 주기인 GOP의 여러 개 및 또한 해당하는 시간의 오디오 및 서브픽쳐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 VOBU의 선두에는 해당 VOBU의 관리정보인 내브팩(NV)을 포함한다. 내브팩(NV)의 구성에 있어서는 도 19를 참조하고 후술한다.
도 17에, 도 25를 참조하고 후술하는 엔코더(EC)에 의해서 엔코드된 시스템 스트림(St35)(도 25), 요컨대 비디오존(VZ)(도 22)의 내부구조를 가리킨다. 동도면에 있어서,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15)은 비디오 엔코더(300)에 의해서 엔코드되었다, 압축된 일차원의 비디오 데이터열이다.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 (St19)도 같이, 오디오 엔코더(700)에 의해서 엔코드되었다, 스트레오의 좌우의 각 데이터가 압축, 및 통합된 일차원의 오디오 데이터열이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로서 서라운드 등의 다중채널이라도 좋다.
시스템 스트림(St35)은 도 22로 설명하였다, 2048바이트의 용량을 갖는 논리색터(LS#n)에 해당하는 바이트수를 갖는 팩이 일차원에 배열된 구조를 갖고 있다. 시스템 스트림(St35)의 선두, 요컨대 VOBU의 선두에는, 네비게이션팩(NV)라고 불린다, 시스템 스트림내의 데이터 배열 등의 관리정보를 기록하였다, 스트림 관리팩이 배치된다.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15) 및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19)은 각각, 시스템 스트림의 팩에 대응하는 바이트수마다 패킷화된다. 이들 패킷은 도면에서, V1, V2, V3, V4, … 및 A1, A2, …로 표현되어 있다. 이들 패킷은 비디오, 오디오각 데이터 신장용의 디코더의 처리시간 및 디코더의 버퍼 사이즈를 고려하여 적절한 순서로 도면중의 시스템 스트림(St35)으로서 인터리브되어 패킷의 배열을 한다. 예컨대, 본 예로서는 V1, V2, A1, V3, V4, A2의 순서에 배열되어 있다.
도 17에서는 1개의 동화상데이터와 하나의 오디오데이터가 인터리브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DVD시스템에 있어서는 기록재생용량이 대폭 확대되어, 고속의 기록재생이 실현되어, 신호처리용(LSI)의 성능향상이 기도된 결과, 1개의 동화상데이터에 복수의 오디오데이터나 복수의 그래픽 데이터인 부영상데이터가 1개의 MPEG시스템 스트림으로서 인터리브된 형태로 기록되어, 재생시에 복수의 오디오데이터나 복수의 부영상데이터로부터 선택적인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도 18에서, 이러한 DVD시스템으로 이용되는 시스템 스트림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8에 있어서도, 도 17과 같이 패킷화된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15)은, V1,V2, V3, V4, …로 나타나고 있다. 단지, 이 예로서는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19)은 하나로는 없고, St19A, St19B, 및 St19C와 3열의 오디오 데이터열이 소오스로서 입력되어 있다. 더욱, 부화상 데이타열인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 (St17)도, St17A 및 St17B와 이열의 데이터가 소오스로서 입력되어 있다. 이들 합계 6열의 압축 데이터열이 1개의 시스템 스트림(St35)에 인터리브된다.
비디오 데이터는 MPEG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고 GOP라는 단위가 압축의 단위로 되어 있고, GOP단위는 표준이 NTSC의 경우, 15프레임으로 1GOP를 구성하지만, 그 프레임수는 가변으로 되어 있다. 인터리브된 데이터상호의 관련 등의 정보를 갖는 관리용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스트림 관리팩도 비디오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는 GOP를 단위로 하는 간격으로 인터리브되어 GOP를 구성하는 프레임수가 변하면, 그 간격도 변동한다. DVD에서는 그 간격을 재생시간 길이로 0.4초로부터 1.0초의 범위내로서, 그 경계는 GOP단위라고 하고 있다. 만약에 연속하는 복수의 GOP의 재생시 사이가 1초이하 이면, 그 복수 GOP의 비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관리용의 데이터팩이 1개의 스트림중에 인터리브되는 것이 된다.
DVD에서는 이러한, 관리용 데이터팩을 내브팩(NV)이라고 부르고, 이 내브팩(NV)에서, 다음 내브팩(NV)직전의 팩까지를 비디오 오브젝트 유닛(이하 VOBU라고 부른다)으로 부르고, 일반적으로 1개의 신과 정의할 수 있는 1개의 연속한 재생단위를 비디오 오브젝트라고 부르고(이하 VOB라고 부른다),1개 이상의 VOBU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VOB가 복수로 모인 데이터의 집합을 VOB세트(이하 VOBS라고 부른다)으로 부른다. 이들은, DVD에 있어서 처음으로 채용된 데이터형식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데이터열이 인터리브되는 경우, 인터리브된 데이터상호의 관련을 가리키는 관리용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네비게이션팩(NV)도 소정의 팩수단위라고 불리는 단위로 인터리브되는 필요가 있다. GOP는 통상 12로부터 15프레임의 재생시 사이에 해당하는 약 0.5초의 비디오 데이터를 정리한 단위이고, 이 시간의 재생에 요하는 데이터 패킷수에 하나의 스트림 관리패킷이 인터리브된다고 생각된다.
도 19는 시스템 스트림을 구성한다, 인터리브된 비디오데이터, 오디오데이터, 부영상데이터의 팩에 포함되는 스트림 관리정보를 가리키는 설명도이다. 동도면과 같이 시스템 스트림중의 각 데이터는 MPEG2에 준거하는 패킷화 및 팩화된 형식으로 기록된다. 비디오, 오디오, 및 부화상 데이터와 함께, 패킷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동일한다. DVD시스템에 있어서는, 1패킷은 상기한 바와 같이, 2048바이트의 용량을 가지며, PES패킷이라고 불리는 1패킷을 포함하고 팩헤더 (PKH), 패킷헤더(PTH), 및 데이터영역으로 이루어진다.
팩헤더(PKH)중에는 그 팩이 도 26에 있어서의 스트림 버퍼(2400)로부터 시스템 디코더(2500)에 전송되야 되는 시간, 요컨대 AV동기재생을 위한 기준시간정보를 가리키는 SCR(System Clcck Reference)이 기록되어 있다. MPEG에 있어서는 이 SCR를 디코더 전체의 기준클럭으로 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DVD 등의 디스크 메디아의 경우에는 개개의 프레이어에 있어서 닫힌 시간관리로 좋기 때문에 별도에 디코더전체의 시간의 기준이 되는 클럭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패킷헤더(PTH)중에는 그 패킷에 포함되는 비디오 데이터 혹은 오디오 데이터가 디코드된 뒤에 재생출력으로서 출력할 수 있어야 되는 시각을 가리키는 PTS나, 비디오 스트림이 디코드되야 되는 시각을 가리키는 DTS 등이 기록되어 있는 PTS 및 DTS는 패킷내에 디코드 단위인 액세스 유닛의 선두가 있는 경우에 위치되고 PTS는 액세스유닛의 표시 개시시각을 가리키고 DTS는 액세스 유닛의 디코드 개시시각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PTS와 DTS가 동시각의 경우, DTS는 생략된다.
더욱, 패킷헤더(PTH)에는 비디오 데이터열을 나타내는 비디오 패킷인지, 프라이 비트 패킷인지, MPEG오디오 패킷인지를 가리키는 8비트길이의 필드인 스트림 ID가 포함되고 있다.
여기서, 프라이 비트 패킷으로는 MPEG2의 규격상 그 내용을 자유롭게 정의하기 좋은 데이터이고, 본 실시형태로서는 프라이 비트 패킷(1)을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MPEG오디오이외)및 부영상 데이터를 반송하고 프라이 비트 패킷(2)을 사용하여 PCI패킷 및 DSI패킷을 반송하고 있다.
프라이 비트 패킷(1) 및 프라이 비트패킷(2)은 패킷헤더, 프라이 비트 데이터영역 및 데이터영역으로 이루어진다. 프라이 비트 데이터영역에는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인지 부영상데이터인지를 가리킨다, 8비트길이의 필드를 갖는 서브스트림 ID가 포함된다. 프라이 비트 패킷2으로 정의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리니어(PCM)방식, AC-3방식 각각에 관하여 #0∼#7까지 최대 8종류가 설정가능하다. 또한 부영상데이터인 #0∼#31까지의 최대 32종류가 설정가능하다.
데이터영역은 비디오 데이터의 경우는 MPEG2형식의 압축데이터, 오디오데이터의 경우는 리니어(PCM)방식, AC-3방식 또는 MPEG방식의 데이터, 부영상데이터의 경우는 런랭쓰부호화에 의해 압축된 그래픽 데이터 등이 기록되는 필드이다.
또한, MPEG2비디오 데이터는 그 압축방법으로서, 고정비트 비방식(이하「CBR」(이)라고도 적는다)으로 가변비트 비방식(이하 「VBR」라고도 적는다)이 존재한다. 고정비트 비방식이란 비디오 스트림이 일정비로 연속하여 비디오 버퍼로의 입력되는 방식이다. 이것에 대하여 가변비트 비방식이란 비디오 스트림이 간헐하여 비디오 버퍼로 입력되는 방식이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부호량의 발생을 누르는 것이 가능하다. DVD에서는 고정비트 비방식 및 가변비트 비방식도 사용이 가능하다. MPEG에서는 동작화상데이터는 가변길이 부호화방식으로 압축되기 때문에, GOP의 데이터량이 일정하지 않다. 더욱, 동화상과 오디오의 디코드시간이 다르고, 광디스크로부터 판독출력한 동화상데이터와 오디오데이터의 시간관계와 디코더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동화상데이터와 오디오데이터의 시간관계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것 때문에, 동화상과 오디오의 시간적인 동기를 잡는 방법을 도 26을 참조하여, 나중에, 상술하지만, 우선, 간편을 위해 고정비트 비방식을 기초로 설명을 한다.
도 20에, 내브팩(NV)의 구조를 나타낸다. 내브팩(NV)은 PCI패킷과 DSI패킷으로 이루져 있고 선두에 팩헤더(PKH)를 마련하고 있다. PKH에는 상기한 대로, 그 팩이 도 26에 있어서의 스트림 버퍼(2400)로부터 시스템 디코더(2500)에 전송되야되는 시각, 요컨대 AV동기재생을 위한 기준시각정보를 가리키는 SCR이 기록되어 있다.
PCI패킷은 PCI정보(PCI_GI)로 비심리스 멀티앵글 정보(NSML_AGLI)를 지니고 있다.
PCI정보(PCI_GI)에는 Y해당 VOBU에 포함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선두비디오프레임 표시시간(VOBU_S_PTM) 및 최종 비디오 프레임 표시시각(VOBU_E_PTM)을 시스템록 정밀도(90KHz)로 기술한다.
비심리스 멀티앵글 정보(NSML_AGLI)에는 앵글을 전환하여 판독출력된 개시 어드레스를 VOB선두부터의 색터수로서 기술한다. 이 경우, 앵글수는 9이하 이기 때문에, 영역으로서 9앵글분의 어드레스 기술영역(NSML_AGL_C1_DSTA∼NSML_AGL_C9_DSTA)을 갖는다.
DSI패킷에는 DSI정보(DSI_GI), 심리스 재생정보(SML_PBI), 및 심리스 멀티앵글 재생정보(SML_AGLI)를 갖고 있다.
DSI정보(DSI_GI)로서 해당 VOBU내의 최종팩 어드레스(VOBU_EA)를 VOBU선두부터의 색터수로서 기술한다.
심리스재생에 관해서는 후술하지만, 분기 혹은 결합하는 타이틀을 심리스에 재생하기 위해서, 연속 판독 출력된 단위를 ILVU(InterleavedUnit)로 하여, 시스템 스트림 레벨로 인터리브(다중화)해야 한다. 복수의 시스템 스트림이 ILVU를 최소 단위로서 인터리브처리되어 있는 구간을 인터리브 블록과 정의한다.
이와 같이, ILVU를 최소단위로서 인터리브된 스트림을 심리스에 재생하기 위해서, 심리스 재생정보(SM L_PBI)를 기술한다. 심리스 재생정보(SM L_PBI)에는 해당 VOBU가 인터리브 블록인지 아닌지를 가리키는 인터리브 유닛플래그(ILVU flag)를 기술한다. 이 플래그는 인터리브 영역에(후술)에 존재하는 가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고인터리브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1"을 설정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플래그치 O를 설정한다.
또한, 해당 VOBU가 인터리브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VOBU가 ILVU의 최종 VOBU일까를 가리키는 유닛 앤드 플래그(UNIT END Flag)를 기술한다. ILVU는, 연속 판독출력된 단위이기 때문에, 현재 판독출력되고 있는 VOBU가 ILVU의 최후의 VOBU로되면 "1"를 설정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플래그치 0을 설정한다.
해당 VOBU가 인터리브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VOBU가 속하는 ILVU의 최종 팩의 어드레스를 가리키는 ILVU최종팩 어드레스(ILVU_EA)를 기술한다. 여기서 어드레스로서, 해당 VOBU의 NV부터의 색터수로 기술한다.
또한, 해당 VOBU가 인터리브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다음 ILVU의 개시어드레스(NT_ILVU_SA)를 기술한다. 여기서 어드레스로서, 해당 VOBU의 NV부터의 색터수로 기술한다.
또한, 2개의 시스템 스트림을 심리스에 접속하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접속앞과 접속후의 오디오가 연속하지 않는 경우(다른 오디오의 경우 등), 접속후의 비디오와 오디오의 동기를 잡기 위해서 오디오를 일시정지(pause)해야 한다. 예컨대, NTSC의 경우 비디오의 프레임주기는 약 33.33msec이고, 오디오 AC-3의 프레임 주기는 32msec이다.
이 때문에, 오디오를 정지하는 시간 및 기간정보를 가리키는 오디오 재생 정지시각1(VOBU_A_STP_PTMI), 오디오 재생정지시각(VOBU_A_STP_PTM2), 오디오 재생 정지기간1(VOB_A_GAP_LENl), 오디오 재생 정지기간2(VOB_A_GAP_LEN2)를 기술한다. 이 시간정보는 시스템록 정밀도(90KHz)로 기술된다.
또한, 심리스 멀티앵글 재생정보(SM L_AGLI)로서 앵글을 바꾼 경우의 판독출력된 개시 어드레스를 기술한다. 이 필드는 심리스 멀티앵글의 경우에 유효한 필드이다. 이 어드레스는 해당 VOBU의 NV부터의 색터수로 기술된다. 또한, 앵글수는 9이하이기 때문에, 영역으로서 9앵글분의 어드레스 기술영역: (SM L_AGL_C1_DSTA∼SML_AGL_C9_DSTA)를 갖는다.
DVD엔코더
도 25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 오소링시스템을 상술의 DVD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의 오소링 엔코더(ECD)의 1실시형태를 가리킨다. DVD시스템에 적용한 오소링 엔코더(ECD)(이후, DVD엔코더와 호칭한다)는 도 2에 가리킨 오소링 엔코더(EC)에 대단히 유사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DVD오소링 엔코더(ECD)는 기본적으로는, 오소링 엔코더(EC)의 비디오존포맷터(1300)가 VOB버퍼(1000)와 포맷터(1100)에 있어서 변화된 구조를 갖고 있다. 말할 필요도 없고, 본 발명의 엔코더에 의해서 엔코드된 비트 스트림은 DVD매체 (M)에 기록된다. 이하에, DVD오소링 앤코더(ECD)의 동작을 오소링 엔코더(EC)와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DVD오소링 엔코더(ECD)에 있어서도 오소링 엔코더(EC)와 같이, 편집정보 작성부(10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편집지시내용을 나타내는 시나리오 데이터 (St7)에 따라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가 각 제어신호(St9, St11, St13, St21, St23, St25, St33 및 St39)를 생성하여, 비디오 엔코더(300), 서브픽쳐 앤코더(500) 및 오디오 엔코더(700)를 제어한다. 한편, DVD시스템에 따르는 편집지시 내용이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오소링 시스템에 따르는 편집지시 내용과 같이, 복수의 타이틀 내용을 포함하는 각 소오스 데이터의 전부 혹은, 각각에 대하여, 소정시간마다 각 소오스 데이터의 내용을 하나 이상선택하여, 그것들의 선택된 내용을, 소정의 방법으로 접속재생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음과 동시에, 더욱 이하의 정보를 포함한다. 요컨대 멀티타이틀 소오스 스트림을 소정시간 단위마다 분할한 편집단위에 포함되는 스트림수, 각 스트림내의 오디오수 나 서브픽쳐수 및 그 표시기간 등의 데이터, 파렌털 혹은 멀티앵글 등 복수스트림으로부터 선택하는지여부, 설정된 멀티앵글 구간에서의 신사이의 전환 접속방법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DVD시스템에 있어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는 메디아 소오스 스트림을 엔코드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VOB단위에서의 제어내용, 요컨대, 멀티앵글인지 어떤지, 파렌털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멀티레이티드 타이틀의 생성인지, 후술하는 멀티앵글이나 파렌털제어의 경우의 인터리브와 디스크용량을 고려한 각 스트림의 엔코드때의 비트비 각 제어의 개시간과 종료시각, 전후의 스트림과 심리스 접속하는지 아닌지의 내용이 포함된다.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시나리오 데이터(St7)로부터 정보를 추출하여,
엔코드제어에 필요한 엔코드 정보 테이블 및 엔코드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엔코드 정보 테이블 및 엔코드 파라미터에 관해서는 나중에, 도 27,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시스템 스트림 엔코드 파라미터 데이터 및 시스템 엔코드 개시 종료 타이밍의 신호(St33)에는 상기한 정보를 DVD시스템에 적용하여 VOB생성정보를 포함한다. VOB생성정보로서, 전후의 접속조건, 오디오수, 오디오의 엔코드정보, 오디오 ID, 서브픽쳐수, 서브픽쳐ID, 비디오표시를 시작하는 시각정보(VPTS), 오디오재생을 시작하는 시각정보(APTS) 등이 있다. 더욱, 멀티미디어미 비트 스트림(MBS)의 포맷 파라미터 데이터 및 포맷 개시종료 타이밍의 신호(St39)는 재생제어정보및 인터리브 정보를 포함한다.
비디오 엔코더300는 비디오 엔코드를 위한 엔코드 파라미터신호 및 엔코드 개시종료 타이밍의 신호(St9)에 근거하여 비디오 스트림(St1)의 소정의 부분을 엔코드하여, ISO13818에 규정되는 MPEG2비디오 규격에 준하는 엘레맨터리 스트림을 생성한다. 따라서, 이 엘레맨터리 스트림을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15)으로서, 비디오 스트림 버퍼(400)에 출력한다.
여기서, 비디오 엔코더(300)에 있어서 ISO13818에 규정되는 MPEG2비디오규격에 준하는 엘레멘터리 스트림를 생성하지만, 비디오 엔코드 파라미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St9)에 기초로 엔코드 파라미터로서, 엔코드 개시종료 타이밍, 비트비, 엔코드개시 종료시에 엔코드조건, 소재의 종류로서, NTSC신호 또는 PAL신호 혹은 텔리시니 소재인가의 여부 등의 파라미터 및 오픈 GOP 혹은 클로스된 GOP의 엔코드모드의 설정이 엔코드 파라미터로서 각각 입력된다.
MPEG2의 부호화방식은 기본적으로 프레임사이의 상관을 이용하는 부호화이다. 요컨대, 부호화 대상 프레임의 전후의 프레임을 참조하여 부호화를 한다. 그러나, 에러전파 및 스트림도중부터의 액세스성의 면에서, 다른 프레임을 참조하지 않은 인트라 프레임을 삽입한다. 이 인트라 프레임을 적어도 1프레임을 갖는 부호화 처리단위를 GOP라고 부른다.
이 GOP에 있어서, 완전히 해당 GOP내에서 부호화가 닫히고 있는 GOP가 클로스된 GOP이고 앞의 GOP내의 프레임을 참조하는 프레임이 해당 GOP내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GOP을 오픈 GOP라고 부른다.
따라서, 클로스된 GOP을 재생하는 경우는, 해당 GOP만으로 재생할 수 있지만, 오픈 GOP을 재생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1개 앞의 GOP가 필요하다.
또한, GOP의 단위는 액세스단위로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타이틀의 도중부터의 재생하는 경우의 재생개시점, 영상의 전환점, 혹은 빨리 감기 등의 특수재생시에는 GOP내의 프레임 내부호화 프레임인 있어 프레임만을 GOP단위로 재생하는 것에에 의해 고속재생을 실현한다.
서브픽쳐 엔코더(500)는 서브픽쳐 스트림 엔코드신호(Stl1)에 따라서, 서브픽쳐 스트림(St3)의 소정의 부분을 엔코드하여, 비트맵 데이터의 가변길이 부호화(coding)데이터를 생성한다. 따라서, 이 가변길이 부호화 데이터를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17)으로서, 서브픽쳐 스트림 버퍼(600)에 출력한다.
오디오 엔코더(700)은 사람 오디오 엔코드신호(St13)에 의거하여, 오디오스트림(St5)의 소정의 부분을 엔코드하여, 오디오 엔코드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오디오 엔코드 데이터로서는 ISO11172에 규정되는 MPEG1오디오규격및 ISO13818에 규정되는 MPEG2오디오규격에 근거하는 데이터, 또한, AC-3 오디오 데이터, 및 PCM(LPCM)데이터 등이 있다. 이것등의 오디오 데이터를 엔코드하는 방법 및 장치는 공지이다.
비디오 스트림 버퍼(400)는 비디오 엔코더(300)에 접속되어 있고, 비디오 엔코더(300)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15)을 저장한다. 비디오 스트림 버퍼(400)는 더욱,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타이밍신호(St21)의 입력에 따라서, 보존하고 있는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15)을 동기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27)으로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서브픽쳐 스트림 버퍼(600)는 서브픽쳐 엔코더(500)에 접속되어 있고, 서브픽쳐 엔코더(500)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 (St17)을 저장한다. 서브픽쳐 스트림 버퍼(600)는 더욱,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타이밍신호(St23)의 입력에 따라서 보존하고 있는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17)을 동기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29)으로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스트림 버퍼(800)는 오디오 엔코더(700)에 접속되어 있고, 오디오 엔코더(700)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19)을 저장한다. 오디오 스트림 버퍼(800)는 더욱,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타이밍신호(St250의 입력에 의거하여 저장하고 있는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19)을 동기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31)으로서 출력한다.
시스템 엔코더(9000는 비디오 스트림 버퍼(400), 서브픽쳐 스트림 버퍼(600) 및 오디오 스트림 버퍼(800)에 접속되어 있고, 동기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 (St27), 동기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29), 및 동기 오디오 엔코드(St31)가 입력된다. 시스템 엔코더(900)는 또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접속되어 있고 시스템 엔코드를 위한 엔코드 파라미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St33가 입력된다.
시스템 엔코더(900)는 엔코드 파라미터 데이터 및 엔코드 개시종료 타이밍신호(St33)에 따라서, 각 동기스트림(St27, St29 및 St31)에 다중화(멀티플렉스)처리를 하여 최소 타이틀 편집단위(VOBs)(St35)를 생성한다.
VOB버퍼(1000)는 시스템 엔코더(900)에 있어서 생성된 VOB를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버퍼영역이고, 포맷터(11000에 있어서는 St39에 따라서 VOB버퍼(1100)로부터 동기 필요한 VOB를 판독출력한 1비디오존(VZ)을 생성한다. 또한, 동포맷터(1100)에 있어서는 파일시스템(1FS)을 부가하여 St43를 생성한다. 이 사용자의 요망 시나리오의 내용에 편집되었다, 스트림(St43)은 기록부(1200)에 전송된다. 기록부(1200)는 편집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MBS)을 기록매체(M)에 응한 형식의 데이터(St43)에 가공하여 기록매체 M에 기록한다.
DVD디코더
다음에, 도 26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오소링시스템을 상술의 DVD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의, 오소링 디코더(DC)의 1실시형태를 가리킨다. DVD시스템에 적용한 오소링 엔코더 DCD(이후, DVD디코더와 호칭한다)는 본 발명에 이러한 DVD엔코더(ECD)에 의해서 편집된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MBS)을 디코드하여, 사용자의 요망의 시나리오에 따라 각 타이틀의 내용을 전개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DVD엔코더(ECD)에 의해서 엔코드된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St45)은 기록매체(M)에 기록되어 있다.
DVD오소링 디코더(DCD)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3에 가리키는 오소링 디코더(DC)와 동일이고, 비디오 디코더(3800)가 비디오 디코더(3801)에 교체함과 동시에 비디오 디코더(3801)와 합성부(3500)의 사이에 리오더 버퍼(3300)와 전환기(3400)가 삽입되어 있다. 또, 전환기(3400)는 동기제어부(2900)에 접속되어 전환지시신호(Stl03)의 입력을 받고 있다.
DVD오소링 디코더 DCD는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 재생부(2000), 시나리오 선택부(2100),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 스트림 버퍼(2400), 시스템 디코더(2500), 비디오 버퍼(2600), 서브픽쳐 버퍼(2700), 오디오 버퍼(2800), 동기제어부(2900), 비디오 디코더(3801), 리오더 버퍼(3300), 서브픽쳐 디코더(3100), 오디오 디코더(3200), 선택기(3400), 합성부(3500), 비디오 데이터 출력단자(3600), 및 오디오 데이터 출력단자(3700)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 재생부(2000)는 기록매체(M)을 구동시키는 기록매체 구동유닛(2004), 기록매체(M)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2값의 판독출력신호(St57)를 생성하는 독해 헤드유닛(2006), 판독출력신호(ST57)에 여러 가지의 처리를 행하여 재생비트 스트림(St61)을 생성하는 신호처리부(2008) 및 기구제어부(2002)로 구성된다. 기구제어부(2002)는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접속되어,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 재생 지시신호(St53)를 받아, 각각 기록매체구동유닛(모터)(2004) 및 신호처리부(2008)를 각각 제어하는 재생제어신호(St55 및 St59)를 생성한다.
디코더(DC)는 오소링 엔코더(EC)에서 편집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의 영상, 서브픽쳐, 및 음성에 관한, 사용자의 원하는 부분이 재생되도록, 대응하는 시나리오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오소링 디코더(DC)에 지시를 주는 시나리오 데이터로서 출력할 수 있는 시나리오 선택부(2100)를 구비하고 있다.
시나리오 선택부(2100)는 바람직하게는 키이보드 및 CPU 등으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오소링 엔코더(EC)에서 입력된 시나리오의 내용에 따라서, 원하는 시나리오를 키이보드부를 조작하여 입력한다. CPU는 키이보드 입력에 따라서, 선택된 시나리오를 지시하는 시나리오 선택 데이터(St51)를 생성한다. 시나리오 선택부(2100)는 예컨대, 적외선 통신장치 등에 의해서,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접속되어, 생성한 시나리오 선택신호(St51)를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입력한다.
스트림 버퍼(2400)는 소정의 버퍼용량을 갖고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 재생부(2000)로부터 입력되는 재생신호 비트 스트림(St61)을 일시적으로 보존함과 동시에 볼륨파일 스트럭쳐(VFS), 각 팩에 존재하는 동기초기값 데이터(SCR)및 내브팩(NV) 존재하는 VOBU제어정보(DSI)를 추출하여 스트림 제어데이터(St63)를 생성한다.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는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로 생성된 시나리오 선택 데이터(St51)에 의거하여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 재생부(20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재생지시신호(St53)를 생성한다.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는 더욱, 시나리오 데이터(St53)로부터 사용자의 재생지시정보를 추출하여, 디코드제어에 필요하다, 디코드 정보 테이블을 생성한다. 디코드 정보 테이블에 있어서는 나중에, 도 45, 및 도 46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더욱,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는 스트림 재생데이터(St63)중의 파일데이터영역(FDS)정보로부터, 비디오 메니저(VMG, VTS) 정보(VTS L PGC) 정보(C_PBI#j), 셀재생시간(C_PBTM)등의 광디스크(M)에 기록된 타이틀정보를 추출하여 타이틀정보(St200)를 생성한다.
여기서, 스트림 제어데이터(St63)는 도 19에 있어서의 팩단위에 생성된다. 스트림버퍼(2400)는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접속되어 있고, 생성한 스트림 제어 데이터(St63)를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공급한다.
동기제어부(2900)는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접속되어, 동기재생데이터(St81)에 포함되는 동기초기값 데이터(SCR)를 받아들이고 내부의 시스템록(STC)세트하여, 리세트된 시스템록(St79)을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공급한다.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는 시스템록(St79)에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스트림 판독출력신호(St65)를 생성하여, 스트림 버퍼(2400)에 입력한다. 이 경우의 판독출력단위는 팩이다.
여기서 스트림 판독출력신호(St65)의 생성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로서는 스트림 버퍼(2400)로부터 추출된 스트림 제어데이터중의 SCR와, 동기제어부(2900)로부터의 시스템록(St79)을 비교하여, St63중의 SCR보다도 시스템록(St79)이 커진 시점에서 판독출력 요구신호(St65)를 생성한다. 이러한 제어를 팩단위에 하는 것으로, 팩전송을 제어한다.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는 더욱, 시나리오 선택데이터(St51)에 근거하여 선택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비디오, 서브픽쳐, 오디오의 각 스트림의 ID를 가리키는 디코드 스트림 지시신호(St69)를 생성하여 시스템 디코더(2500)에 출력한다.
타이틀중에, 예컨대 일본어, 영어, 불어 등, 언어별도의 오디오 등의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및, 일본어자막, 영어자막, 불어자막 등, 언어별도의 자막등의 복수의 서브픽쳐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 ID가 부여되어 있다. 요컨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듯이, 비디오 데이터 및, MPEG오디오 데이터에는 스트림 ID가 부여되고, 서브픽쳐 데이터, AC3방식의 오디오 데이터, 리니어(PCM) 및 내브팩(NV)정보에는 서브스트림 ID가 부여되어 있다. 사용자는 ID를 의식하는 것은 없지만, 어떤 언어의 오디오 혹은 자막을 선택하는 가를 시나리오 선택부(2100)로 선택한다. 영어의 오디오를 선택하면, 시나리오 선택데이터(St51)로서 영어의 오디오에 대응하는 ID가 데이터 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반송된다. 더욱,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는 시스템 디코더(2500)에 그 ID를 St69상에 반송하여 건네 준다.
시스템 디코더(2500)는 스트림 버퍼(2400)로부터 입력되어진 비디오, 서브픽쳐, 및 오디오의 스트림을 디코드 지시신호(St69)의 지시에 따라서 각각,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St71)으로서 비디오 버퍼(2600)에, 서브픽쳐 엔코드 스트림(St73)으로서 서브픽쳐 버퍼(2700)에 및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St75)으로서 오디오 버퍼(2800)에 출력한다. 요컨데 시스템 디코더(2500)는 시나리오 선택부(2100)에 의해 입력된다, 스트림의 ID와, 스트림 버퍼(2400)로부터 전송되는 팩의 ID가 일치한 경우에 각각의 버퍼(비디오 버퍼(2600), 서브픽쳐 버퍼(2700), 오디오 버퍼(2800))에 해당 팩을 전송한다.
시스템 디코더(2500)는 각 스트림(St67)의 각 최소 제어단위에서의 재생개시시간(PTS) 및 재생 종료시각(DTS)을 검출하여, 시간정보신호(St77)를 생성한다. 이때 정보신호(St77)는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를 경유하여, St81로서 동기제어부(2900)에 입력된다.
동기제어부(2900)는 이 시간정보신호(St81)에 의거하여 각 스트림에 관해서, 각각이 디코드후에 소정의 순서가 되는 것 같은 디코드 개시 타이밍을 결정한다. 동기제어부(2900)는 이 디코드 타이밍에 따라서, 비디오 스트림 디코드 개시신호(St89)를 생성하여, 비디오 디코더(3801)에 입력한다. 마찬가지로, 동기제어부(2900)는 서브픽쳐 디코드 개시신호(St91) 및 오디오 엔코드 개시신호(St93)를 생성하여, 서브픽쳐 디코더(3100) 및 오디오 디코더(3200)에 각각 입력한다.
비디오 디코더(3801)는 비디오 스트림 디코드 개시신호(St89)에 따라서, 비디오 출력요구신호(St84)를 생성하여, 비디오버퍼(2600)에 대하여 출력한다. 비디오 버퍼(2600)는 비디오 출력요구신호(St84)를 받아, 비디오스트림(St83)을 비디오 디코더(3801)에 출력한다. 비디오 디코더(3801)는 비디오 스트림(St83)에 포함되는 재생시간정보를 검출하여, 재생시간에 해당하는 량의 비디오 스트림 (St83)의 입력을 받은 시점에서, 비디오 출력요구신호(St84)를 무효로 한다. 이렇게 하여, 소정재생시 사이에 해당하는 비디오 스트림이 비디오 디코더(3801)로 디코드되어, 재생된 비디오신호(St95)가 리오더 버퍼(3300)와 전환기(3400)에 출력할 수 있다.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은 프레임간의 상관을 이용한 부호화이기 때문에, 프레임 단위로 본 경우, 표시순과 부호화 스트림순이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디코드 순차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때문에, 디코드를 종료한 프레임을 일시 리오더 버퍼(3300)에 받아들인다. 동기제어부(2900)에 있어서, 표시차례로 되도록 St103을 제어하여 비디오 디코더(3801)의 출력(St95)과, 리오더버퍼(St97)의 출력을 바꿔, 합성부(3500)에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서브픽쳐 디코더(3100)는 서브픽쳐 디코드 개시신호(St91)에 따라서, 서브픽쳐 출력요구신호(St86)를 생성하여, 서브픽쳐 버퍼(2700)에 공급한다. 서브픽쳐 버퍼(2700)는 비디오 출력요구신호(St84)를 받아 서브픽쳐 스트림(St85)을 서브픽쳐 디코더(3100)에 출력한다. 서브픽쳐 디코더(3100)는 서브픽쳐 스트림(St85)에 포함되는 재생시간 정보에 따라서, 소정의 재생시간에 해당하는 량의 서브픽쳐 스트림(St85)을 디코드하여, 서브픽쳐 신호(St99)를 재생하여, 합성부(3500)에 출력한다.
합성부(3500)는 선택기(3400)의 출력 및 서브픽쳐신호(St99)를 중첩시켜, 영상신호(St105)를 생성하여, 비디오 출력단자(3600)에 출력한다.
오디오 디코더(3200)는 오디오 디코드 개시신호(St93)에 따라서, 오디오 출력요구신호(St88)를 생성하여, 오디오버퍼(2800)에 공급한다. 오디오버퍼(2800)는 오디오 출력요구신호(St88)를 받아 오디오 스트림(St87)을 오디오 디코더(3200)에 출력한다. 오디오 디코더(3200)는 오디오 스트림(St87)에 포함되는 재생시간정보에 따라서, 소정의 재생시간에 해당하는 량의 오디오 스트림(St87)을 디코드하여, 오디오 출력단자(3700)에 출력한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의 시나리오 선택에 응답하여, 리얼타임에 사용자의 요망하는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MBS)을 재생할 수 있다. 요컨대, 사용자가 다른 시나리오를 선택할 때마다 오소링 디코더(DCD)는 그 선택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MBS)을 재생함으로써, 사용자의 요망하는 타이틀내용을 재생할 수가 있다.
한편,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는 상기의 적외선 통신장치 등을 경유하여, 시나리오 선택부(2100)에 타이틀 정보신호(St200)를 공급하더라도 좋다. 시나리오 선택부(2100)는 타이틀 정보신호(St200)에 포함되는 스트림 재생 데이터(St63)중의 파일 데이터영역(FDS) 정보로부터, 광디스크(M)에 기록된 타이틀정보를 추출하여, 내장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상호작용인 사용자에 의한 시나리오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의 예로서는 스트림버퍼(2400), 비디오버퍼(2600), 서브픽쳐 버퍼(2700), 및 오디오버퍼(2800) 및 리오더버퍼(3300)는 기능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각각 별도의 버퍼로서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것들의 버퍼에 있어서 요구되는 판독입력 및 판독출력 속도의 수배의 동작속도를 갖는 버퍼메모리를 시분할로 사용함에 의해 한 개의 버퍼메모리를 이들 개별의 버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다중장면
도 21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다중장면 제어의 개념을 설명한다. 이미, 상술하였듯이, 각 타이틀 사이에서의 공통의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기본신구간과, 각각의 요구에 의거한 다른 신군으로 이루어지는 다중장면 구간으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신1, 신5, 및 신8이 공통신이다. 공통 신1과 신5의 사이의 앵글신 및, 공통 신5과 신8의 사이의 파렌털신이 다중장면 구간이다. 멀티앵글 구간에 있어서는 다른 앵글, 요컨대 앵글1 앵글2 및 앵글3로부터 촬영된 신의 어느 것인가를 재생중에 동적으로 선택재생할 수 있다. 파렌털구간에 있어서는 다른 내용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6 및 신7의 어느 것인가를 미리 정적으로 선택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장면 구간의 어느 신을 선택하여 재생하는 가라는 시나리오 내용을 사용자는 시나리오 선택부(2100)로써 입력하여 시나리오 선택데이터(St51)로서 생성한다. 도면에 있어서, 시나리오1로서는 임의의 앵글신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파렌털구간에서는 미리 선택한 신6을 재생하는 것을 표하고 있다. 같이, 시나리오2로서는, 앵글구간에서는 자유롭게 신을 선택할 수 있고 파렌털구간에서는 신7이 미리 선택되어 있는 것을 표하고 있다.
이하에, 도 21로 가리킨 다중장면을 DVD의 데이터구조를 쓴 경우의, PGC 정보(VTS_PGCI)에 관해서 , 도 30 및 도 3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30에서는 도 21에 가리킨 사용자지시의 시나리오를 도 16의 DVD데이터구조내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VTSI데이터구조로 기술한 경우에 관해서, 도면에 있어서, 도 21의 시나리오1, 시나리오2는 도 16의 VTSI 중의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IT)내의 2개 프로그램 체인(VTS_PGCI#1과 VTS_PGCI#2)로서 기술된다. 즉, 시나리오1를 기술하는 VTS_PGCI#1인 신1에 해당하는 셀재생정보(C_PBI#1), 멀티앵글신에 해당하는 멀티앵글 셀블록내의 셀재생정보(C_PBI#2), 셀재생정보(C_PBI#3), 셀재생정보(C_PBI#4), 신5에 해당하는 셀재생정보(C_PBI#5), 신6에 해당하는 셀재생정보(C_PBI#6), 신8에 해당하는 (C_PBI#7)로 이루어진다.
또한, 시나리오2를 기술하는 VTS_PGC#2는 신1에 해당하는 셀재생정보(C_PBI#1), 멀티앵글신에 해당하는 멀티앵글 셀블록내의 셀재생정보(C_PBI#2), 셀재생정보(C_PBI#3), 셀재생정보(C_PBI#4), 신5에 해당하는 셀재생정보(C_PBI#5), 신7에 해당하는 셀재생정보(C_PBI#7), 신8에 해당하는 C_PBI#7로 이루어진다. DVD데이터구조로서는 시나리오의 1개의 재생제어의 단위인 신을 셀이라는 DVD데이터구조상의 단위로 대체하고 기술하여, 사용자가 지시하는 시나리오를 DVD상에서 실현하고 있다.
도 31에서는 도 21에 가리킨 사용자지시의 시나리오를 도 16의 DVD데이터구조내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용의 멀티미디어 비트 스트림인 VOB데이터구조 (VTSTT_VOBS)에서 기술한 경우에 관해서 가리킨다.
도면에 있어서, 도 21의 시나리오1와 시나리오2의 2개의 시나리오는 1개의 타이틀용 VOB데이터를 공통에 사용하는 것이 된다. 각 시나리오로 공유하는 단독의 신은 신1에 해당하는 VOB#1, 신5에 해당하는 VOB#5, 신8에 해당하는 VOB#8은 단독의 VOB로서, 인터리브 블록이 아닌 부분, 즉 연속블록에 배치된다.
시나리오1와 시나리오2로 공유하는 멀티앵글신에서, 각각 앵글1은 VOB#2,앵글2은 VOB#3, 앵글3은 VOB#4으로 구성, 요컨대 1앵글을 1VOB에서 구성되어 있고, 더욱 각 앵글사이의 전환과 각 앵글의 심리스 재생를 위해, 인터리브 블록으로 한다.
또한, 시나리오1와 시나리오2에서 고유한 신인 신6과 신7은 각 신의 심리스 재생은 물론, 전후의 공통신과 심리스에 접속재생하기 위해서, 인터리브 블록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도 21에 가리킨 사용자 지시의 시나리오는 DVD데이터구조에 있어서, 도 30에 가리키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재생제어정보와 도 31에 가리키는 타이틀 재생용 VOB데이터구조로 실현된다.
심리스
상기한 DVD시스템의 데이터구조에 관련되어 말한 심리스 재생에 관해서 설명한다. 심리스 재생이란, 공통신 구간끼리로, 공통신 구간과 다중장면 구간과로, 및 다중장면 구간끼리로, 영상, 음성, 부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접속하여 재생할 때에, 각 데이터및 정보를 중단하는 일없이 재생하는 것이다. 이 데이터 및 정보재생의 중단의 요인으로서는, 하드웨어에 관련되는 것으로 하여, 디코더에 있어서, 소오스 데이터 입력되는 속도와, 입력된 소오스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속도의 발란스가 허물어진다, 소위 디코더의 언더플로라고 불리는 것이 있다.
더욱, 재생되는 데이터의 특질에 관한 것으로서, 재생 데이터가 음성과 같이, 그 내용혹 정보를 사용자가 이해하기 위하여는 일정시간 단위이상의 연속재생을 요구되는 데이터의 재생에 관해서 그 요구되는 연속재생시 사이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 정보의 연속성이 상실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정보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재생하는 것을 연속정보 재생과, 더욱 심리스 정보재생이라고 부른다. 또한, 정보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없는 재생을 비연속 정보재생이라고 부르고, 더욱 비심리스 정보재생이라고 부른다. 한편 말할 필요도 없이 연속정보재생과 비연속 정보재생은, 각각 심리스및 비심리스 재생이다.
상술과 같이, 심리스 재생에는 버퍼의 언더플로 등에 의해서 물리적으로 데이터 재생에 공백 혹은 중단의 발생을 막는 심리스 데이터 재생과, 데이터 재생 자체에는 중단은 없지만, 사용자가 재생데이터로부터 정보를 인식할 때에 정보의 중단을 느끼는 것을 막는 심리스 정보재생이라고 정의한다.
심리스의 상세한 설명
이와 같이 심리스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구체적인 방법 에 있어서는, 제23도및 제24도참조하여 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인터리브의 상세한 설명
상기한 DVD 데이터의 시스템 스트림을 오소링 엔코더 EC를 써, DVD 매체상의 영화같은 타이틀을 기록한다. 그러나, 동일한 영화를 복수가 다른 문화권 혹은 나라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대사를 각국의 언어마다 기록하는 것은 당연하며 더욱 각 문화권의 윤리적요구에 응해서 내용을 편집하여 기록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원래의타이틀로부터 편집된 복수의 타이틀을 1장의 매체에 기록하기 위해서는 DVD라고하는 대용량시스템에 있어서까지도 비트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 안되고, 고화질이라는 요구가 만족되지 않는다. 그래서, 공통부분을 복수의 타이틀로 공유하여, 다른 부분만을 각각의 타이틀마다 기록하는 방법을 취한다. 이에 따라, 비트비를 떨어뜨리지 않고, 1장의 광디스크에, 국가별 혹은 문화권별도의 복수의 타이틀을 기록할 수 있다.
1장의 광디스크에 기록되는 타이틀은 도 21에 도시되어 있듯이, 파렌털록제어나 멀티앵글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공통부분(신)과 비공통부분(신)을 갖는 다중장면 구간을 갖는다.
파렌털록제어의 경우는 한개의타이틀중에, 성적신, 폭력적신 등의 아이에게 상응하지 않은 소위 성인용신이 포함되고 있는 경우, 이 타이틀은 공통의 신과, 성인용신과, 미성년용신으로 구성되다. 이러한 타이틀스토리는 성인용신과 비성인용신을 공통신사이에 마련한 다중장면 구간으로서 배치하여 실현한다.
또한, 멀티앵글제어를 통상의 단일앵글타이틀내에 실현하는 경우에는 각각 소정의 카메라앵글로 대상물을 촬영하여 얻어지는 복수의 멀티미디어신을 다중장면 구간으로서, 공통신사이에 배치하는 것으로 실현한다. 여기서, 각 신은 다른 앵글로 촬영된 신의 예를 들고 있다, 동일한 앵글이지만, 다른 시간에 촬영된 신이더라도 좋고, 또한 컴퓨터그래픽 등의 데이터이더라도 좋다.
복수의 타이틀로 데이터를 공유하면, 필연적으로, 데이터의 공유부분으로부터 비공유부분에의 광 빔(LS)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광학픽업을 광디스크(RC1) 상의 상위하는 위치에 이동하는 것이 된다. 이 이동에 요하는 시간이 원인이 되어 소리나 영상을 도중에서 끊기지않고서 재생하는 것, 즉 심리스재생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론적에는 최악의 액세스시간에 해당하는 시간분의 트랙버퍼(스트림버퍼2400)를 구비하면 좋다. 일반적으로,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는 광픽업에 의해 판독출력되어 지고, 소정의 신호처리가 행해진후, 데이터로서 트랙버퍼에 일단 축적된다. 축적된 데이터는 그후 디코드되어, 비디오데이터 혹은 오디오 데이터로서 재생된다.
인터리브의 정의
상기한 것과 같은 어떤 신을 컷하는 것이나, 복수의 신에서 선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기록매체의 트랙상에 각 신에 속하는 데이터단위로, 서로 연속한 배치로 기록되기 때문에, 공통신데이터와 선택신데이터와의 사이에 비선택신의 데이터가 끼어들어 기록되는 사태가 필연적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경우, 기록되어 있는 순서에 데이터를 판독하면, 선택한 신의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디코드하기 전에, 비선택신의 데이터에 액세스하지 않을수 없기때문에, 선택한 신에의 심리스접속이 곤란하다. 그렇지만, DVD시스템에 있어서는, 그 기록매체에 대하여 우수한 랜덤액세그성능을 살리고, 이러한 복수신사이에서의 심리스접속이 가능하다.
요컨대, 각 신에 속하는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량을 갖는 복수의 단위에 분할하여, 이것들의 다른 신이 속하는 복수의 분할데이터 단위를 서로 소정의 순서에 배치 하는 것으로 점프성능 범위에 배치하는 것으로, 각각 선택된 신이 속하는 데이터를 분할단위마다 단속적으로 액세스하여 디코드함으로써 그 선택된 신을 데이터가 도중에서 끊기는 일없게 재생할 수 있다. 요컨대, 심리스 데이터 재생이 보증된다.
인터리브 블록 유닛구조
도 24및 도 57를 참조하여, 심리스 데이터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리브방식을 설명한다. 도 24에서는 1개의 VOB(VOB-A)부터 복수의 VOB(VOB-B, VOB-D, VOB-C)로 분기재생하여, 그 후 1개의 V0B(V0B-D)에 결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7에 있어서는 이것들의 데이터를 디스크상의 트랙(TR)에 실제로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7에 따른 VOB-A와 VOB-B는 재생의 개시점과 종료점이 단독인 비디오오브젝트이고, 원칙으로서 연속영역에 배치한다. 또한, 도 24에 에 나타나 있듯이, VOB-B, VOB-C, VOB-D에 있어서는 재생의 개시점, 종료점을 일치시켜, 인터리브처리를 한다. 따라서 그 인터리브처리된 영역을 디스크상의 연속영역에 인터리브영역으로서 배치한다. 더욱, 상기 연속영역과 인터리브영역을 재생의 순서에, 요컨대 트랙패스(Dr)의 방향으로 배치하고 있다. 복수의 VOB, 즉 VOBS를 트랙(TR)상에 배치한 도면을 도 57에 가리킨다.
도 57에서는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배치된 데이터영역을 블록으로 하고 그 블록은 상기의 개시점과 종료점이 단독으로 완결하고 있는 VOB를 연속하여 배치하고 있는 연속블록, 개시점과 종료점을 일치시켜, 그 복수의 VOB를 인터리브한 인터리브 블록의 두 가지이다. 그것들의 블록이 재생순차로, 도 58에 도시되어 있듯이, 블록1, 블록2, 블록3, …블록7과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한다.
도 58에 있어서, VTSTT_VOBS는 블록1, 2, 3, 4, 5, 6및 7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블록1에는 VOB1이 단독으로 배치되어 있다. 같이, 블록2, 3, 5 및 7에는 각각, VOB2, 3, 6 및 10이 단독으로 배치되어 있다. 요컨대, 이것들의 블록2, 3, 5 및 7은 연속블록이다.
한편, 블록4에는 VOB4와 VOB5가 인터리브되고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블록6에는 VOB 7, VOB 8,및 VOB9의 셋의 VOB가 인터리브되고 배치되어 있다. 요컨데, 이것들의 블록4 및 6은 인터리브 블록이다.
도 59에 연속블록내의 데이터구조를 가리킨다. 동 도면에 있어서, VOBS에 VOB-i, VOB-j가 연속블록으로서 배치되어 있다. 연속블록내의 VOB-i 및 VOB-j는 도 16을 참조하고 설명한 바와 같이, 더욱 논리적인 재생단위인 셀에 분할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는 VOB-i 및 VOB-j의 각각이, 3가지의 셀(CELL#1,CELL#2, CELL#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셀은 1개 이상의 VOBU에서 구성되어 있고, VOBU의 단위로, 그 경계가 정의되어 있다. 셀은 DVD의 재생제어정보인 프로그램 체인(이하 PGC이라고 부른다)에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듯이, 그 위치정보가 기술된다. 요컨대, 셀개시의 VOBU와 종료의 VOBU의 어드레스가 기술되어 있다. 도 59에 명시되 되어 있듯이, 연속블록은 연속적으로 재생되도록, VOB도 그 속에서 정의되는 셀도 연속영역에 기록된다. 그 때문, 연속블록의 재생은 문제는 없다.
다음에, 도 60에 인터리브 블록내의 데이터구조를 가리킨다. 인터리브 블록으로서는 각 VOB가 인터리브 유닛(ILVU) 단위에 분할되어, 각 VOB에 속하는 인터리브 유닛이 교대로 배치된다. 따라서, 그 인터리브 유닛과는 독립하여, 셀경계가 정의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VOB-k는 네개의 인터리브 유닛(ILVUk1, ILVUk2, ILVUk3 및 ILVUk4)에 분할됨과 동시에, 두개의 셀(CELL#1 k, 및 CELL#2 k)이 정의되어 있다. 같이, VOB-m은 ILVUm1, ILVUm2, ILVUm3 및 ILVUm4에 분할됨과 동시에, 두개의 셀(CELL#1 m, 및 CELL#2 m)이 정의되어 있다. 요컨대, 인터리브 유닛(ILVU)에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고 있다.
도 60의 예로서는, 두 개가 다른 VOB-k와 VOB-m의 각 인터리브 유닛(ILVUk1, ILVUk2, ILVUk3 및 ILVUk4 과 ILVUm1, ILVUm2, ILVUm3 및 ILVUm4)이 인터리브 블록내에 교대에 배치되어 있다. 두개의 VOB의 각 인터리브 유닛(ILVU)을, 이러한 배열에 인터리브하는 것으로, 단독의 신에서 복수의 신의 1개로 분기, 더욱 그것들의 복수신의 1개로부터 단독의 신에의 심리스인 재생이 실현된다. 이와 같이 인터리브 하는 것으로, 많은 경우의 분기결합이 있는 신의 심리스재생가능한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다중장면
여기서, 본 발명에 따라서, 다중장면제어의 개념을 설명 함과 동시에 다중장면 구간에 관련하여 설명한다.
다른 앵글로 촬영된 신으로 구성된 예가 들고 있다. 그러나, 다중장면의 각 신은 동일한 앵글이지만, 다른 시간에 촬영된 신이더라도 좋고, 또한 컴퓨터그래픽등의 데이터이더라도 좋다. 바꿔 말하면, 멀티앵글신구간은 다중장면 구간이다.
파렌털
도 15를 참조하여, 파렌털록 및 디랙터스컷드 등의 복수타이틀의 개념을 설명한다.
도 15에 파렌털록에 근거하는 멀티비 타이틀 스트림의 일례를 가리킨다. 한개의타이틀중에, 성적신, 폭력적신등의 아이에게 상응하지 않은 소위 성인용신이 포함되고 있는 경우, 이 타이틀은 공통의 시스템 스트림(SSa, SSb, 및 SSe)와, 성인용신을 포함하는 성인용시스템 스트림 SSc과, 미성년용신만을 포함하는 비성인용시스템 스트림(SSd)으로 구성되다. 이러한 타이틀스트림은 성인용시스템 스트림 SSc과 비성인용시스템 스트림(SSd)을 공통시스템 스트림(SSb와 SSe)의 사이에, 마련한 다중장면 구간에 다중장면 시스템 스트림으로서 배치한다.
상기한 쓰임으로 구성된 타이틀 스트림의 프로그램 체인(PGC)에 기술되는 시스템 스트림과 각 타이틀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성인용 타이틀의 프로그램 체인(PGC1)에는 공통의 시스템 스트림(SSa, SSb), 성인용 시스템 스트림(SSc)및, 공통시스템 스트림(SSe)이 순서대로 기술된다. 미성년용 타이틀의 프로그램 체인 (PGC2에는 공통의 시스템 스트림(SSa, SSb), 미성년용시스템 스트림(SSd) 및, 공통시스템 스트림(SSe)이 순서대로 기술된다.
이와 같이, 성인용시스템 스트림(SSc)과 미성년용시스템 스트림(SSd)을 다중장면으로서 배열함으로써 각 PGC의 기술에 근거하여, 상술의 디코딩방법으로, 공통의 시스템 스트림(SSa 및 SSb)을 재생한 후, 다중장면 구간에서 성인용 (SSc)을 선택하여 재생하고 더욱, 공통의 시스템 스트림(SSe)을 재생하는 것으로, 성인에 향한 내용을 갖는 타이틀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한편, 다중장면 구간에서, 미성년용 시스템 스트림(SSd)를 선택하여 재생 하는 것으로, 성인용신을 포함하지 않는다, 미성년에 향한 타이틀을 재생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타이틀스토리는 복수의 대체신으로 이루어지는 다중장면 구간을 준비 해 둬, 사전에 해당멀티구간의 신중에 재생하는 신을 선택한 간격, 그 선택내용에 따라서, 기본적으로 동일한 타이틀신에서 다른 신을 갖는 복수의 타이틀을 생성하는 방법을, 파렌털록이라고 한다.
또, 파렌털록은 미성년보호라고 하는 관점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파렌털록이라고 불리지만, 시스템 스트림처리의 관점은 상기와 같이, 다중장면 구간에서의 특정한 신을 사용자가 미리 선택함에 의해, 정적으로 다른 타이틀스트림생성하는 기술이다. 한편, 멀티앵글은 타이틀재생중에, 사용자가 수시 또한 자유롭게, 다중장면 구간의 신을 선택함으로써 동일한 타이틀의 내용을 동적으로 변화시키는 기술이다.
또한, 파렌털록기술을 이용하여, 소위 디랙터스컷드라고 불리는 타이틀스트림편집도 가능하다. 디랙터스컷드란 영화등으로 재생시간이 긴 타이틀을 비행기내에서 주어질 경우에는, 극장에서의 재생과 다르고, 비행시간에 의해서는 타이틀을 최후까지 재생할 수 없다. 이러한 사태를 피하여, 미리 타이틀제작책임자, 요컨대 디렉터의 판단으로, 타이틀 재생시간 단축을 위해, 컷하더라도 좋은 신을 정하여 놓고, 그와 같은 컷신을 포함하는 시스템 스트림과 신컷되어 있지 않은 시스템 스트림을 다중장면 구간에 배치해 놓은 것에따라, 제작자의 의지에 따르는 신컷트편집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파렌털제어로서는 시스템 스트림으로부터 시스템 스트림에의 이은 곳에 있어서, 재생화상을 매끄럽게 모순되지 않게하는것, 즉 비디오, 오디오등버퍼가 언더플로우하지 않은 심리스데이터재생과 재생영상, 재생오디오가 시청각상, 부자연이스럽지 않고 또 중단하는 일없이 재생하는 심리스 정보재생이 필요하게 된다.
멀티앵글
도 3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멀티앵글제어의 개념을 설명한다. 통상, 멀티미디어앵글은 대상물을 시간 T의 경과와 같이 녹음및 촬영(이후, 단지 촬영이라고 한다)하여 얻어진다. #SC1,#SM1,#SM2,#SM3,및 #SC3의 각 블록은, 각각 소정의 카메라앵글로 대상물을 촬영하여 얻어지는 촬영단위시간(T1, T2 및 T 3)에 얻어지는 멀티미디어신을 대표하고 있다. 신#SM1,#SM2 및 #SM3는 촬영단위시간(T2)에 각각 다른 복수(제1,제2,및 제3)의 카메라앵글로 촬영된 신이고, 이후, 제1,제2 및 제3멀티앵글신이라고 부른다.
여기서는 다중장면이 다른 앵글로 촬영된 신으로 구성된 예를 들고 있다. 그러나, 다중장면의 각신은 동일의 앵글이지만, 다른 시간에 촬영된 신이더라도 좋고, 또한 컴퓨터그래픽 등의 데이터이더라도 좋다. 바꿔 말하면, 멀티앵글 신구간은 다중장면 구간이고, 그 구간의 데이터는 실제로 다른 카메라앵글로 얻어진 신데이터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그 표시시간이 동일한 기간에 있는 복수의 신을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것 같은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구간이다.
신#SC1과 #SC3는 각각 촬영단위시간(T1 및 T3)에서 요컨대 멀티앵글신의 전후로, 동일한 기본의 카메라앵글로 촬영된 신이고, 이후, 기본앵글신이라고 부른다. 통상, 멀티앵글중의 한개는 기본 카메라앵글과 동일이다.
이것들의 앵글신의 관계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야구의 중계방송을 예로 설명한다. 기본앵글 신(#SC1 및 #SC3)은, 센터측에서 본 투수, 포수, 타자를 중심으로한 기본카메라앵글로써 촬영된 것이다. 제1멀티앵글신(#SM1)은 백네트측에서 본 투수, 포수, 타자를 중심으로한 제1멀티카메라 앵글로써 촬영된 것이다. 제2멀티앵글신(#SM2)은 센터측에서 본 투수, 포수, 타자를 중심으로한 제2멀티카메라앵글, 요컨대 기본카메라 앵글로써 촬영된 것이다. 이 의미로, 제2멀티앵글신(#SM2)은 차영단위시간(T2)에 따르는 기본앵글신(#SC2)이다. 제3멀티앵글신(#SM)은 백네트측에서 본 내야를 중심으로한 제3멀티카메라앵글로써 촬영된 것이다.
멀티앵글 신(#SM1, #SM2 및 #SM3)은 촬영단위시간(T2)에 관해서, 표시시간이 중복하고 있어 이 기간을 멀티앵글구간이라고 부른다. 시청자는 멀티앵글구간에 있어서, 이 멀티앵글 신(#SM1,#SM2,및 #SM3)을 자유롭게 선택함으로써, 기본 앵글 신에서, 기호의 앵글신영상을 마치 카메라를 바꾸고 있 도록 즐길 수 있다. 또, 도면중에서, 기본앵글신(#SC1및 #SC3)과, 각 멀티앵글 신(#SML #SM2 및 #SM3)사이에, 시간적갭이 있듯이 보이지만, 이것은 멀티앵글신의 어느것을 선택할까에 의해서, 재생되는 신의 경로가 어떻게 되는 가를 알기 쉽고, 화살표를 써 가리키기 위해서, 실제로는 시간적갭이 없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23에 본 발명에 근거하는 시스템 스트림의 멀티앵글제어를 데이터의 접속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기본앵글신(#SC)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본앵글데이터(BA)로 하여, 촬영단위시간(T1 및 T3)에 따르는 기본앵글데이터(BA)를 각각 BA1및 BA3으로 한다. 멀티앵글신(#SM1, #SM2 및 #SM3)에 대응하는 멀티앵글데이터를 각각 제1, 제2 및 제3멀티앵글 데이터(MA1, MA2 및 MA3)와 표하고 있다. 먼저,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같이 멀티앵글 신데이터(MA1, MA2 및 MA3의) 어느 것인가를 선택함으로써, 기호의 앵글신영상을 바꿔 즐길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기본앵글 신 데이터(BA1및 BA3)와 각 멀티앵글 신 데이터 (MA1, MA2 및 MA3)의 사이에는 시간적갭은 없다.
그렇지만, MPEG시스템 스트림의 경우, 각 멀티앵글 데이터(MA1, MA2및 MA3)중의 임의의 데이터와 선행 기본 앵글 데이터(BA1)로부터의 접속과, 또는 후속기본 앵글 데이터(BA3)에의 접속때는 접속되는 앵글 데이터의 내용에 의해서는 재생되는 데이터사이에서, 재생정보에 불연속이 생기고, 한 개의 타이틀로서 자연스럽게 재생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요컨대, 이 경우, 심리스 데이터 재생이지만, 비심리스 정보재생이다.
이하에, 도 23을 DVD시스템에 따르는 다중장면 구간내에서의 복수의 신을 선택적으로 재생하여 전후의 신에 접속하는 심리스 정보재생인 멀티앵글 전환에 관해서 설명한다.
앵글 신영상의 전환, 요컨대 멀티앵글 신 데이터(MA1, MA2 및 MA3)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선행하는 기본 앵글 데이(BA1)의 재생종료앞까지 완료되지 않으면 안된다. 예컨대, 앵글신데이터(BA1)의 재생중에 별도의 멀티앵글 신 데이터(MA2)로 전환하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다. 이것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가변길이 부호화방식의 MPEG의 데이터구조를 갖기 때문에, 전환전의 데이터의 도중에서, 데이터의 사이를 찾아내는 것이 곤란하고, 또한, 부호화처리에 프레임간의 상관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앵글의 전환시에 영상이 흐트러질 가능성이 있다. MPEG에 있어서는 적어도 1프레임의 리프래쉬 프레임을 갖는 처리단위로서 GOP가 정의되어 있다. 이 GOP라는 처리단위에 있어서는 다른 GOP에 속하는 프레임을 참조하지않은 클로스된 처리가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재생이 멀티앵글구간에 이르는 이전에는 느리더라도, 선행기본 앵글 데이터(BA1)의 재생이 끝난 시점에서 임의의 멀티앵글 데이터, 예컨대 MA3를 선택하면, 이 선택된 멀티앵글 데이터는 심리스에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멀티앵글 데이터의 재생의 도중에, 다른 멀티앵글 신데이터를 심리스에 재생하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다. 이것때문에, 멀티앵글 기간중에는 카메라를 바꾸는 것 같은 자유로운 시점을 얻는 것은 곤란하다.
플로우챠트 : 엔코더
도 27을 참조하여 상기한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따라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가 생성하는 엔코드 정보 테이블관하여 설명한다. 엔코드 정보 테이블은 신의 분기점·결합점을 단락으로 한 신구간에 대응하여, 복수의 VOB가 포함되는 VOB세트 데이터열과 각 신마다 대응하는 VOB데이터열로 이루어진다. 도 27에 표시되고 있는 VOB세트 데이터열은 후에 상술한다.
도 34의 스텝 #100에서, 사용자가 지시하는 타이틀 내용에 근거하여, DVD의 멀티미디어 스트림 생성를 위해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내에서 작성하는 엔코드 정보 테이블이다. 사용자지시의 시나리오로서는, 공통인 신에서 복수의 신에의 분기점, 혹은 공통인 신에의 결합점이 있다. 그 분기점·결합점을 단락으로 한 신구간에 해당하는 VwOB를 VOB세트로 하여, VOB세트를 엔코드하기 위해서 작성하는 데이터를 VOB세트 데이터열이라고 하고 있다. 또한, VOB세트 데이터열에서는 다중장면 구간을 포함하는 경우, 표시되고 있는 타이틀수를 VOB세트 데이터열의 타이틀수(TITLE_NO)로 가리킨다.
도 27의 VOB세트 데이터구조는 VOB세트 데이터열의 1개의 VOB세트를 엔코드하기 위한 데이터의 내용을 가리킨다. VOB세트 데이터구조는 VOB세트번호(VOBS_NO), VOB세트내의 VOB번호(VOB_NO), 선행 VOB심리스 접속 프래그(VOB_Fsb), 후속 V0B심리스 접속 플래그(VOB_Fsb), 다중장면 플래그(VOB_Fp), 인터 리브 플래그(VOB_Fi), 멀티앵글(V0B-Fm), 멀티앵글 심리스 전환 플래그 (VOB_FsV), 인터리브 VOB의 최대 비트비(ILV_BR), 인터리브 VOB의 분할수(ILV_DID), 최소인터리브 유닛재생시간(ILV_MT)으로 되어 앴다.
VOB세트번호 VOBS_NO는, 예컨대 타이틀 시나리오 재생순을 보기좋게 기입하는 VOB세트를 식별하기위한 번호이다.
VOB 세트내의 VOB번호 VOB_NO는 예컨대 타이틀 시나리오 재생순을 보기좋게 타이틀 시나리오 전체에 걸쳐 VOB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이다.
선행 V0B심리스 접속 플래그(V0B_Fsb)는 시나리오재생으로 선행의 VOB와 심리스에 접속하는가 아닌가를 가리키는 플래그이다.
후속 V0B심리스 접속 플래그(V0B_Fsb)는 시나리오 재생으로 후속의 VOB와 심리스에 접속하는가 아닌가를 가리키는 플래그이다.
다중장면 플래그(VOB_Fp)는, VOB세트가 복수의 VOB에서 구성하고 있는 가 아닌가를 가리키는 플래그이다.
인터리브 플래그(VOB_Fi)는 VOB세트내의 VOB가 인터리브 배치하는가 아닌가를 가리키는 플래그이다.
멀티앵글 플래그(VOB_Fm)는 VOB세트가 멀티앵글인 가 아닌가를 가리키는 플래그이다.
멀티앵글 심리스 전환 플래그(V0BFsV)는 멀티앵글내의 전환이 심리스인 가 아닌가를 가리키는 플래그이다.
인터리브(VOB) 최대 비트비(ILV_BR)는 인터리브하는 VOB의 최대 비트비의 값을 가리킨다.
인터리브(VOB) 분할수(ILV_DIV)는 인터리브하는 VOB의 인터리브 유닛수를 가리킨다.
최소 인터리브 유닛재생시간(ILVU_MT)은 인터리브 블록재생시에, 트랙버퍼의 언더플로우하지 않은 최소의 인터리브 유닛에 있어서, 그 VOB의 비트비가 ILV_BR의 때에 재생할 수 있는 시간을 가리킨다.
도 28을 참조하여 상기의,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따라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가 생성하는 VOB마다 대응하는 엔코드 정보 테이블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엔코드 정보 테이블을 기초로, 비디오 엔코더(300), 서브픽쳐 엔코더(500), 오디오 엔코더(700), 시스템 엔코더(900)로, 후술하는 각 VOB에 대응하는 엔코드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28에 표시되고 있는 VOB데이터열은 도 34의 스텝 #100에서, 사용자가 지시하는 타이틀 내용에 근거하여, DVD의 멀티미디어 스트림 생성를 위해 엔코드 시스템 제어내에서 작성하는 VOB마다의 엔코드정보 테이블이다. 1개의 엔코드단위를 VOB로 하여, 그 VOB를 엔코드하기 위해서 작성하는 데이터를 VOB데이터열이라고 하고있다. 예컨대, 3가지의 앵글신에서 구성되는 VOB세트는 3가지의 VOB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8의 VOB데이터구조는 VOB데이터열의 1개의 VOB를 엔코드하기 위한 데이터의 내용을 가리킨다.
V0B데이터 구조는 비디오소재의 개시시각(V0B_VST), 비디오 소재의 종료시각(VOB_VEND), 비디오 소재의 종류(VOB_V_KIND), 비디오의 엔코드 비트비(V_BR), 오디오소재의 개시시각(VOB-ASD, 오디오소재의 종료시각(VOB-AEND), 오디오 엔코드방식(VOB_A_KIND), 오디오의 비트비(A_BR)로 되어 있다.
비디오소재의 개시시각(VOB_VST)은 비디오소재의 시각에 대응하는 비디오엔코드의 개시시각이다.
비디오소재의 종료시각(V0B_VEND)은 비디오소재의 시각에 대응하는 비디오엔코드의 종료시각이다.
비디오소재의 종류(VOB_V_KIND)는 엔코드소재가 NTSC형식 또는 PAL형식중 어느 하나인가 또는 비디오소재가 텔리시니 변환처리된 소재인가 아닌가를 가리키는 것이다.
비디오의 비트비(V_BR)는 비디오의 엔코드 비트비이다.
오디오소재의 개시시각(VOB_AST)은 오디오소재의 시간에 대응하는 오디오엔코드 개시시각이다.
오디오소재의 종료시각(VOB_AEND)은 오디오소재의 시간에 대응하는 오디오 엔코드 종료시각이다.
오디오 엔코드방식(VOB_A_KIND)은 오디오의 엔코드방식을 가리키는 것이고, 엔코드 방식에는 AC-3방식, MPEG방식, 리니어 PCM방식 등이 있다.
오디오의 비트레이트(A_BR)는 오디오의 엔코드 비트비이다.
도 29에서, VOB를 엔코드하기 위한 비디오, 오디오, 시스템의 각 엔코더(300, 500 및 900)에의 엔코드 파라미터를 가리킨다. 엔코드 파라미터는 VOB번호(VOB_NO), 비디오 엔코드 개시시각(V_STTM), 비디오 엔코드 종료시각(V_ENDTM), 엔코드모드(V_ENCMD), 비디오 엔코드 비트비(V_RATE), 비디오 엔코드 최대 비트비(V_MRATE), GOP구조 고정 플래그(GOP_FXflag), 비디오 엔코드 GOP구조(GOPST), 비디오 엔코드 초기데이터(V-INTST), 비디오 엔코드 종료데이터(V_ENDST), 오디오 엔코드 개시시각(A_STTM), 오디오 엔코드 종료시각(AMENDTM), 오디오 엔코드 비트비(A_RATE), 오디오 엔코드방식(A_ENCDM), 오디오 개시시갭(A_STGAP), 오디오종료때 갭(AMENDGAP), 선행 VOB번호(B-VOB-NO), 후속 VOB번호(F_VOB_NO)로 되어 있다.
VOB 번호(VOB_NO)는 예컨대 타이틀 시나리오 재생순서를 표준으로, 타이틀 시나리오 전체에 걸쳐 번호로 책정하는 VOB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이다.
비디오 엔코드 개시시각(V-STTM)은 비디오 소재상의 비디오 엔코드 개시시각이다.
비디오 엔코드 종료시각(V_STTM)은 비디오 소재상의 비디오 엔코드 종료시각이다.
엔코드모드(V_ENCMD)는 비디오소재가 텔리시니 변환된 소재의 경우에는 효율이 좋은 엔코드을 할 수 있도록 비디오 엔코드시에 역텔리시니 변환처리를 하는가 아닌가 등을 설정하기 위한 엔코드모드이다.
비디오 엔코드 비트비(V_RATE)는 비디오 엔코드때의 평균비트비이다.
비디오 엔코드 최대비트비는 V_MRATE는 비디오 엔코드때의 최대 비트비이다.
GOP구조 고정 플래그(GOP-FXflag) 비디오 엔코드시에 도중에서, GOP구조를 바꾸는 일없이 엔코드를 하는가 아닌가를 가리키는 것이다. 멀티앵글 신중에 심리스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 유효한 파라미터이다.
비디오 엔코드 GOP구조 GOPST는 엔코드때의 GOP구조데이터이다.
비디오 엔코드 초기데이터(V_INST)는 비디오 엔코드 개시시의 VBV버퍼(복호버퍼)의 초기값 등을 설정한다, 선행의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과 심리스 재생하는 경우에 유효한 파라미터이다.
비디오 엔코드 종료데이터(V_ENDST)는 비디오 엔코드 종료때의 VBV버퍼(복호버퍼)의 종료치 등을 설정한다. 후속의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과 심리스 재생하는 경우에 유효한 파라미터이다.
오디오 엔코더 개시시각(A_STTM)은 오디오 소재상의 오디오 엔코드 개시시각이다.
오디오 엔코더 종료시각(A_ENDTM)은 오디오 소재상의 오디오 엔코드 종료시각이다.
오디오 엔코드 비트비(A_RATE)는 오디오 엔코드시의 비트비이다.
오디오 엔코드방식(A_ENCMD)는 오디오의 엔코드방식이고, AC-3방식, MPEG방식, 리니어 PCM방식 등이 있다. 오디오 개시시갭(A_STGAP)은 VOB개시시의 비디오와 오디오의 개시가 어긋나는 시간이다. 선행의 시스템 엔코드 스트림과 심리스재생하는 경우에 유효한 파라미터이다.
오디오 종료때 갭(A_ENDGAP)은 VOB종료때의 비디오와 오디오의 종료가 어긋나는 시간이다. 후속의 시스템 엔코드 스트림과 심리스 재생하는 경우에 유효한 파라미터이다.
선행 VOB번호(B_VOB_NO)는 심리스 접속의 선행(VOB)이 존재하는 경우에 그 VOB번호를 가리키는 것이다.
후속 VOB번호(LVOB_NO)는 심리스 접속의 후속(VOB)이 존재하는 경우에 그 VOB번호를 가리키는 것이다.
도 34에 가리키는 플로우챠트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하는 DVD엔코더 (ECD)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 동 도면에 있어서 2중선으로 둘러싸인 블록은 각각 서브루틴을 가리킨다. 본 실시형태는 DVD시스템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말할필요도 없이 오소링 엔코더(EC)에 의해서도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가 있다.
스텝 #100에서 사용자는 편집정보 작성부(100)에서 멀티미디어 소오스 데이터(St1, St2 및 St3)의 내용을 확인하면서, 원하는 시나리오에 따른 내용의 편집지시를 입력한다.
스텝 #200에서, 편집정보 작성부(100)는 사용자의 편집지시에 응해서, 상기하 편집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시나리오 데이터(St7)를 생성한다.
스텝 #200에서, 시나리오 데이터(St7)의 생성시에, 사용자의 편집지시내용의 안, 인터리브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는 멀티앵글, 파렌털의 다중장면 구간에서의 인터리브때의 편집지시는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입력한다.
우선 화질적으로 충분한 화질를 얻을 수 있는 것 같은 VOB의 최대비트비를 결정하고 더욱 DVD엔코드 데이터의 재생장치로서 상정하는 DVD디코더 DCD의 트랙버퍼량 및 점프성능, 점프시간과 점프거리의 값을 결정한다. 상기치를 바탕으로, 식3, 식4에 의해 최소 인터리브 유닛의 재생시간을 얻는다.
다음에, 다중장면 구간에 포함되는 각 신의 재생시간을 바탕으로 식5 및 식6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만족하지 않으면 후속신-부신을 다중장면 구간의 각 신접속하는 등의 처리를 하여 식5 및 식6을 만족하도록 사용자는 지시의 변경입력한다.
더욱, 멀티앵글의 편집지시의 경우, 심리스 전환시에는 식7을 만족함과 동시에, 앵글의 각 신의 재생시간, 오디오는 동일로 하는 편집지시를 입력한다. 또한 비심리스 전환시에는 식8을 만족하도록 사용자는 편집지시를 입력한다.
스텝 #300에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따라서, 우선, 대상신을 선행신에 대하여, 심리스에 접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심리스 접속이란 선행신 구간이 복수의 신으로 이루어지는 다중장면 구간인 경우에, 그 선행 다중장면 구간에 포함되는 전신중의 임의의 1신을 현시점의 접속대상인 공통신과 심리스에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현시점의 접속대상신이 다중장면 구간인 경우에는, 다중장면 구간의 임의의 1신을 접속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텝 #300에서, NO, 요컨대, 비심리스 접속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400으로 진행한다. 스텝 #400에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대상신이 선행신과 심리스접속되는 것을 가리킨 선행 신 심리스 접속 플래그(VOBFsb)를 리세트하여, 스텝 #600에 진행한다.
한편, 스텝 #300에서, YES 요컨대 선행시트와 심리스 접속이라고 판단된 때로는 스텝 #500에 진행한다.
스텝 #500에서, 선행신 심리스 접속 플래그(VOB_Fsb)를 세트하여, 스텝 #600에 진행한다.
스텝 #600에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시나리오 데이터 St7에 따라서, 대상신을 후속하는 신과 심리스접속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600에서, NO, 요컨대 비심리스접속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700으로 진행한다.
스텝 #700에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신을 후속신과 심리스접속하는 것을 가리킨다, 후속신심리스 접속 플래그(VOB_Fsf)를 리세트하여, 스텝 #900에 진행한다.
한편, 스텝 #600에서, YES, 요컨대 후속시트와 심리스접속 하면 판단된 때로는 스텝 #800에 진행한다.
스텝 #800에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후속신심리스 접속 플래그 (VOB_Fsf)를 세트하여 스텝 #900에 진행한다.
스텝 #900에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시나리오 데이터 St7에 따라서, 접속대상의 신이 하나 이상, 요컨대, 다중장면인 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멀티신에는 다중장면으로 구성할 수 있는 복수의 재생경로중 1개의 재생경로만을 재생하는 파렌털제어와 재생경로가 다중장면 구간의 사이, 전환 가능한 멀티앵글제어가 있다.
시나리오스텝 #900에서, NO, 요컨대 비다중장면접속이다고 판단될 때는 스텝 #1000에 진행한다.
스텝 #1000에서, 다중장면 접속인 것을 가리키는 다중장면 플래그(VOB _Fb)를 리세트하여, 엔코드 파라미터 생성 스텝 #1800에 진행한다. 스텝 #1800의 동작 에 있어서는 후에 설명한다.
한편, 스텝 #900에서, YES, 요컨대 다중장면 접속이라고 판단된 때에는 스텝 #1100에 진행한다.
스텝 #1100에서, 다중장면 플래그(VOB_Fp)를 세트하여, 멀티앵글 접속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스텝 #1200에 진행한다.
스텝 #1200에서, 다중장면 구간중의 복수신사이에서의 전환을 하는 지 어떤지, 즉, 멀티앵글의 구간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스텝 #1200에서, NO, 요컨대, 다중장면 구간의 도중에서 바꾸지 않고서, 1개의 재생경로만을 재생하는 파렌털제어라고 판단된 때로는 스텝 #1300에 진행한다.
스텝 #1300에서, 접속대상신이 멀티앵글인 것을가리키는 멀티앵글 플래그(VOB_Fm)을 리세트하여 스텝 #1302에 진행한다.
스텝 #1302에서, 선행신 심리스 접속 플래그 VOB_Fsb 및 후속신심리스 접속 플래그(V0B_Fsb)중 어느것이 세트되어 있는 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스텝 #1300에서, YES, 요컨대 접속대상신은 선행 혹은 후속의 신의 어느것이나 또는 양쪽과 심리스접속 한다고 판단될때에는 스텝 #1304에 진행한다.
스텝 #1304에서는 대상신의 엔코드데이터인 VOB를 인터리브하는 것을 )가리키는 인터리브플래그 VOB-Fi를 세트하여, 스텝 #1800에 진행한다.
한편, 스텝 #1302에서, NO, 요컨대, 대상신은 선행신및 후속신의 어느것과도 심리스 접속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1306에 진행한다.
스텝 #1306에서 인터리브 플래그 VOB_Fi를 리세트하여 스텝 #1800에 진행한다.
한편, 스텝 #1200에서, YES, 요컨대 멀티앵글이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1400에 진행한다.
스텝 #1400에서는 멀티앵글 플래그(VOB_Fm) 및 인터리브 플래그(VOB_Fi)를 세트한 뒤 스텝 #1500에 진행한다. 스텝 #1500에서, 엔코드 시스템 제어부(200)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따라서, 멀티앵글신 구간에서, 요컨대 VOB보다도 작은 재생단위로, 영상이나 오디오를 도중에서 끊기는 일없이, 소위 심리스에 전환되는가를 판단한다. 스텝 #1500에서, NO, 요컨대, 비심리스 전환이라고 판단된 때에는 스텝 #1600에 진행한다. 스텝 #1600에서, 대상신이 심리스전환인 것을 가리키는 심리스 전환 플래그(VOB_FsV)를 리세트하여, 스텝 #1800에 진행한다.
한편, 스텝 #1500, YES, 요컨대 심리스전환이라고 판단된 때로는 스텝 #1700에 진행한다.
스텝 #1700에서, 심리스 전환 플래그(VOB_FsV)를 세트하여 스텝 #1800에 진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편집의사를 반영한 시나리오 데이터(St7)로부터, 편집정보가 상기의 각 플래그의 세트상태로서 검출되며 뒤에, 스텝 #1800에 진행한다.
스텝 #1800에서, 상기와 같이 각 플래그의 세트상태로서 검출된 사용자의 편집의사에 따라서, 소오스 스트림을 엔코드하기위한 각각 도 27및 도 28에 표시되는 VOB세트단위 및 VOB단위마다 엔코드 정보테이블에의 정보부가와, 도 29에 표시되는 VOB데이터단위에서의 엔코드 파라미터를 작성한다. 다음에, 스텝 #1900에 진행한다. 이 엔코드 파라미터작성스텝의 상세 에 있어서는, 도 35, 도 36, 도 37 및 도 38를 참조하여 후에 설명한다.
스텝 #1900에서, 스텝 #1800으로 작성하여 엔코드 파라미터에 따라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엔코드를 한 뒤에 스텝 #2000에 진행한다. 한편, 서브픽쳐는 원래 필요에 응해서, 비디오 재생중에, 수시 삽입하여 이용할 목적으로부터, 전후의 신 등과의 연속성은 원래 불필요하다. 더욱, 서브픽쳐는 약, 1화면분의 영상정보이기 때문에, 시간축상에 연재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와 다르고, 표시상은 정지의 경우가 대부분, 항상 연속하여 재생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심리스 및 비심리스라고 하는 연속재생에 관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간편화를 위해 서브 픽쳐데이터의 엔코드에 있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2000에서는 VOB세트의 수만큼 스텝 #300으로부터 스텝 #1900까지의 각 스텝으로 구성된 루우프를 돌려, 도 16의 타이틀의 각 VOB의 재생순 등의 재생정보를 자신의 데이터구조가 가지는 프로그램 체인(VTS_PGC#I)정보를 포맷하여, 멀티신구간의 VOB를 인터리브 배치를 작성하여, 시스템 엔코드하기 위해서 필요한 VOB세트 데이터열 및 VOB데이터열을 완성시킨다. 다음에 스텝 #2100에 진행한다.
스텝 #2100에서, 스텝 #2000까지의 루우프의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전 VOB 세트수(VOBS_NUM)를 얻어, VOB세트 데이터열에 추가하고, 더욱 시나리오 데이터 (St7)에 있어서, 시나리오 재생경로의 수를 타이틀수로 한 경우의, 타이틀수 (TITLE_NO)를 설정하여, 엔코드 정보테이블로서의 VOB세트 데이터열을 완성한 뒤 스텝 #2200에 진행한다.
스텝 #2200에서, 스텝 #1900으로 엔코드한 비디오 엔코드 스트림, 오디오 엔코드 스트림, 도 29의 엔코드 파라미터에 따라서, 도 16의 VTSTT_VOBS내의 V OB(VOB#i)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시스템 엔코드를 행한다. 다음에, 스텝 #2300에 진행한다.
스텝 #2300에서, 도 16의 VTS정보, VTSI에 포함되는 VTSI관리테이블(VTSI_MAT), VTSPGC정보테이블(VTSPGCIT)및, VOB데이터의 재생순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I#I)의 데이터작성 및 다중장면 구간에 포함시킬 수 있는 VOB의 인터리브 배치 등의 처리를 포함하는 포맷을 행한다.
이 포맷스텝의 상세 에 있어서는, 도 40, 도 41, 도 42, 도 43, 도 44를 참조하여 후에 설명한다.
도 35, 도 36, 및 도 37를 참조하여, 도 34에 가리키는 플로우챠트의 스텝 #1800의 엔코드 파라미터생성 서브루틴에 따른 멀티앵글 제어때의 엔코드 파라미터생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35를 참조하여, 도 34의 스텝 #1500에서, NO라고 판단되었을 때, 요컨대 각 플래그는 각각 V0B_Fsb=1 또는 V0B_Fsf=1, VOB_Fp=1, VOB-Fi=1, VOB_Fm=1, FsV=0인 경우, 즉 멀티앵글 제어때의 비심리스 전환 스트림의 엔코드 파라미터 생성동작을 설명한다. 이하의 동작으로, 도 27, 도 28에 가리키는 엔코드 정보테이블, 도 29에 가리키는 엔코드 파라미터를 작성한다.
스텝 #1812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포함되고 있는 시나리오 재생순을 추출하여, VOB세트번호(VOBS_NO)를 설정하고, 더욱 VOB세트내의 1개 이상의 VOB에 대하여, VOB번호(VOB_NO)를 설정한다.
스텝 #1814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의해, 인터리브(VOB)의 최대비트비(ILV_BRdmf)추출, 인터리브 플래그(VOB_Fi=1)에 근거하여, 엔코드 파라미터의 비디오 엔코드 최대비트비(V_MRATE)에 설정.
스텝 #1816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의해 최소 인터리브 유닛재생시간(ILVU_MT)을 추출.
스텝 #1818에서는 멀티앵글 플래그(VOB_Fp=1)에 근거하여, 비디오 엔코드 GOP구조(GOPST의 N=1 5, M=3)의 값과 GOp구조고정 플래그(GOPFXflag=“1”)에 설정.
스텝 #1820은, VOB데이터설정의 공통의 루우틴이다.
도 36에서 스텝 #1820의 VOB데이터 공통 설정루우틴를 가리킨다. 이하의 동작순서으로, 도 27, 도 28에 가리키는 엔코드 정보테이블, 도 29에 가리키는 엔코드 파라미터를 작성한다.
스텝 #1822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의해 각 VOB의 비디오소재의 개시시각(VOB_VST), 종료시각(VOB_VEND)을 추출하여, 비디오 엔코드 개시시각 (V_STTM)과 엔코드 종료시각(V_ENDTM)을 비디오 엔코드의 파라미터로 한다.
스텝 #1824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의해 각 VOB의 오디오 소재의 개시시각(VOB_AST)을 추출하여, 오디오 엔코드 개시시각(A_STTM)을 오디오 엔코드의 파라미터로 한다.
스텝 #1826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의해 각 VOB의 오디오소재의 종료시각(VOB_AEND)을 추출하고 VOB_AEND를 넘지 않은 시간에서, 오디오 엔코드방식으로 정되는 오디오 액세스유닛(이하 AAU와 기술한다)단위의 시간을 오디오 엔코드의 파라미터이다, 엔코드 종료시각(A_ENDTM)으로 한다.
스텝 #1828은 비디오 엔코드 개시시각(V_STTM)과 오디오 엔코드 개시시각 (A_STTM)의 차에 의해 오디오 개시간 갭(A_STGAP)을 시스템 엔코드의 파라미터로 한다.
스텝 #1830에서는 비디오 엔코드 종료시각(V_ENDTM)과 오디오 엔코드 종료시각(A_ENDTM)의 차에 의해 오디오 종료때 갭(A_ENDGAP)을 시스템 엔코드의 파라미터로 한다.
스텝 #1832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의해 비디오의 비트비(V_BR)을 추출하여, 비디오 엔코드의 평균비트비로서, 비디오 엔코드 비트비(V_RATE)를 비디오 엔코드의 파라미터로 한다.
스텝 #1834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의해 오디오의 비트비(A_BR)을 추출하여, 오디오 엔코드 비트 레이트(A_RATE)를 오디오 엔코드의 파라미터로 한다.
스텝 #1836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의해 비디오소재의 종류 (VOB_V_KIND)를 추출하여, 필름소재, 즉 텔리시니 변환된 소재이면, 비디오 엔코드모드(V_ENCMD)에 역텔리시니 변환을 설정하여, 비디오 엔코드의 파라미터로 한다.
스텝 #1838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의해 오디오의 엔코드방식 VOB_A_KIND를 추출하여, 오디오 엔코드모드(A_ENCMD)에 엔코드방식을 설정하며, 오디오 엔코드의 파라미터로 한다.
스텝 #1840에서는 비디오엔코드초기데이터 V_INST의 V_BV버퍼 초기값이 비디오 엔코드 종료데이터(V_ENDST)의 VB_V버퍼종료치이하의 값이 되도록 설정하여, 비디오 엔코드의 파라미터로 한다.
스텝 #1842에서는 선행 VOB심리스 접속 플래그(VOB_Fsb=1)에 근거하여, 선행접속의 VOB번호(VOB_NO)를 선행접속의 VOB번호(B_VOB_NO)에 설정하여, 시스템엔코드의 파라미터로 한다.
스텝 #1844에서는 후속 VOB심리스 접속 플래그(VOB_Fsb=1)에 근거하여, 후속접속의 VOB번호(VOB_NO)를 후속접속의 VOB번호(F_VOB_NO)에 설정하여, 시스템엔코드의 파라미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멀티앵글의 VOB세트이고, 비심리스 멀티앵글 전환의 제어의 경우의 엔코드 정보테이블 및 엔코드 파라미터가 생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7를 참조하여, 도 34에 있어서, 스텝 #1500에서, Yes 라고 판단되었을 때, 요컨대 각 플래그는 각각 V0B_Fsb=1 또는 VOB_Fsb=1, VOB_Fp=1, VOB_Fi=1, VOB_Fm=1, VOB_FsV= 1인 경우의, 멀티앵글 제어때의 심리스바꿔 스트림의 엔코드 파라미터 생성동작을 설명한다.
이하의 동작으로, 도 27, 도 28에 가리키는 엔코드 정보테이블 및 도 29에 가리키는 엔코드 파라미터를 작성한다.
스텝 #1850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포함되고 있는 시나리오 재생순을 추출하고 VOB세트번호(VOBS-NO)를 설정하고 더욱 VOB세트내의 1개 이상의 VOB에 대하여, VOB번호(VOB_NO)를 설정한다.
스텝 #1852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의해 인터리브 VOB의 최대 비트비(V_BR)를 추출, 인터리브 플래그(VOB_Fi=1) 근거하여, 비디오 엔코드 최대비트비(V_RATE)에 설정.
스텝 #1854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의해 최소 인터리브 유닛재생시간(ILVU_MT)을 추출한다.
스텝 #1856에서는 멀티앵글 플래그(VOB_Fp=1)에 근거하여, 비디오 엔코드 GOP구조(GOPST의 N=1 5, M= 3)의 값과 GOP구조 고정플래그(GOPXflag=“1")에 설정.
스텝 #1 8 5 8에서는 심리스전환 플래그 VOB_FsV= 1에따라서, 비디오 엔코드 GOP구조 GOPST에 클로스된 GOP을 설정, 비디오 엔코드의 파라미터로 한다.
스텝 #1860은 VOB데이터설정의 공통의 루우틴이다. 이 공통의 루우틴는 도 35에 도시하고 있는 루우틴이고, 이미 설명하고 있기때문에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멀티앵글의 VOB세트로, 심리스 전환제어의 경우의 엔코드 파라미터가 생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8를 참조하여, 도 34에 있어서, 스텝 #1200에서, NO라고 판단되어, 스텝1304으로 YES라고 판단되었을 때, 요컨대 각 플래그는 각각 V0B_Fsb= 1또는 V 0 B_Fsf=1, V0B_Fp=1, V0B_Fi=1, VOB_Fm= 0인 경우의, 파렌털제어때의 엔코드 파라미터 생성동작을 설명한다. 이하의 동작으로, 도 27, 도 28에 가리키는 엔코드 정보테이블, 및 도 29에 가리키는 엔코드 파라미터를 작성한다.
스텝 #1870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포함되고 있는 시나리오 재생순를 추출하여, VOB세트번호(VOBS_NO)를 설정하고 더욱 VOB세트내의 1개 이상의 VOB에 대하여, VOB번호(VOB_NO)를 설정한다.
스텝 #1872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의해 인터리브 VOB의 최대비트비 ID인(BR)를 추출, 인터리브 플래그(VOB_Fi=1) 근거하여, 비디오 엔코드 최대비트비(V_RATE)에 설정한다.
스텝 #1874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의해 VOB인터리브 유닛분할수 ILV_DIV를 추출한다.
스텝 #1876은 VOB 데이터설정의 공통의 루우틴이다. 이 공통의 루우틴는 도 35에 도시하고 있는 루우틴이고, 이미 설명하고 있기때문에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다중장면의 VOB세트로, 파렌털제어의 경우의 엔코드 파라미터가 생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9를 참조하여, 도 34에 있어서, 스텝 #900에서 NO라고 판단되었을 때, 요컨대 각 플래그는 각각 VOB_Fp= 0인 경우의, 즉 단일신의 엔코드 파라미터 생성동작을 설명한다. 이하의 동작으로, 도 27, 도 28에 가리키는 엔코드 정보테이블 및 도 29에 가리키는 엔코드 파라미터를 작성한다.
스텝 #1880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포함되고 있는 시나리오재생순을 추출하여, VOB세트번호(VOBS_NO)를 설정하고 더욱 VOB세트내의 1개 이상의 VOB에 대하여, VOB번호(VOB_NO)를 설정한다.
스텝 #1882에서는 시나리오 데이터(St7)에 의해 인터리브(VOB)의 최대비트비(ILV_BR)를 추출, 인터리브 플래그(VOB-Fi=1)을근거하여, 비디오 엔코드 최대비트비(V_RATE)에 설정한다.
스텝 #1884은 VOB데이터설정의 공통의 루우틴이다. 이 공통의 루우틴는 도 35에 도시하고 있는 루우틴이고, 이미 설명하고 있으므로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엔코드 정보테이블 작성, 엔코드 파라미터 작성순서에 의해서, DVD의 비디오, 오디오, 시스템 엔코드(DVD)의 포맷터를 위한 엔코드 파라미터는 생성할 수 있다.
포맷터순서
도 40, 도 41, 도 42, 도 43 및 도 44에, 도 34에 가리키는 스텝 #2300의 DVD멀티미디어 스트림생성의 포맷터 서브루틴에 따르는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0에 가리키는 플로우챠트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하는 DVD엔코더 ECD의 포맷터(1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 동 도면에 있어서 2중선으로 둘러싸인 블록은 각각 서브루틴을 가리킨다.
스텝 #2310에서는 VOB세트 데이터열의 타이틀수 TITLE_NUM에 근거하여, VTSI내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관리 테이블(VTSI_MAT)에 TITLE_NUM 수분의 (VTSI_PGCI)를 설정한다.
스텝 #2312에서는 VOB세트 데이터내의 다중장면 플래그(VOB_Fp)에 따라서, 다중장면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스텝 #2112으로 NO, 요컨대, 다중장면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2114에 진행한다.
스텝 #2314에서는 단일의 VOB의 도 25의 오소링 엔코더에 있어서의 포맷터(1100)의 동작의 서브루틴을 가리킨다. 이 서브루틴 에 있어서는, 후술한다.
스텝 #2312에 있어서, YES, 요컨대, 다중장면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2316에 진행한다.
스텝 #2316에서는 VOB세트 데이터내의 인터리브 플래그(VOB_Fi)에 따라서, 인터리브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스텝 #2316에서 NO, 요컨대, 인터리브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2314에 진행한다.
스텝 #2318에서는 VOB세트 데이터내의 멀티앵글 플래그 VOB_Fm에 따라서, 멀티앵글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스텝 #2318에서 NO, 요컨대, 멀티앵글로 되지 않는 다고 판단된 경우에, 즉 파렌털제어의 서브루틴인 스텝 #2320에 진행한다.
스텝 #2320에서는 파렌털 제어제어의 VOB세트에서의 포맷터동작의 서브루틴을 가리킨다. 이 서브루틴은 도 43에 나타내고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스텝 #2320에 있어서, YES, 요컨대 멀티앵글인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2322에 진행한다.
스텝 #2322에서는 멀티앵글 심리스 전환 플래그(V0B_FsV)에 따라서, 심리스전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2322에서 NO, 요컨대 멀티앵글이 비심리스 전환 제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2326에 진행한다.
스텝 #2326에서는 비심리스 전환 제어의 멀티앵글의 경우의 도 25의 오소링 엔코드의 포맷터(1100)의 동작의 서브루틴을 가리킨다. 도 41을 사용하여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스텝 #2322에 있어서, YES, 요컨대 심리스 전환 제어의 멀티앵글 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2324에 진행한다.
스텝 #2324에서는 심리스 전환 제어의 멀티앵글의 포맷터(1100)의 동작의 서브루틴을 가리킨다. 도 42를 사용하여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스텝 #2328에서는 전번의 순서으로 설정하고 있는 셀재생정보(CPBI)를 VTS I의 CPBI정보로서 기록한다.
스텝 #2330에서는 포맷터순서이 VOB 세트 데이터열의 VOB세트수 (VOBS_NUM)에서 가리킨 분의 VOB세트의 처리가 종료한 지 어떤지 판단한다. 스텝 #2130에 있어서, NO, 요컨대 모든 VOB세트의 처리가 종료하지 않고 있으면, 스텝 #2112에 진행한다.
스텝 #2130에 있어서, YES, 요컨대 모든 VOB세트의 처리가 종료하고 있으면,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도 41을 써, 도 40의 스텝 #2322에 있어서, NO, 요컨대 멀티앵글이 비심리스전환 제어라고 판단된 경우의 서브루틴 스텝 #2326의 서브루틴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가리키는 동작순서에 멀티미디어스트림의 인터리브배치와 도 16에서 나타내는 셀재생정보(C_PBI#i)의 내용및 도 20에 가리키는 내브팩NV 내의 정보를, 생성된 DVD의 멀티미디어스트림에 기록한다.
스텝 #2340에서는 다중장면 구간이 멀티앵글제어를 하는 것을 가리키는 VOB_Fm= 1의 정보에 따라서, 각 신에 대응하는 VOB의 제어정보를 기술하는 셀(도 16의 C_PBI#i)의 셀블록모드 (제16도중의 CBM)에, 예컨대, 도 23에 (보이다)가리키는 MA1의 셀의 CBM=“셀블록선두= 01b", MA2의 셀의 CBM=“셀블록중 안= 10 b", MA3의 셀의 CBM=“셀블록의 최후=11b"를 기록한다.
스텝 #2342에서는 다중장면 구간이 멀티앵글제어를 하는 것을 가리키는 VOB_Fm=1의 정보에 따라서, 각 신에 대응하는 VOB의 제어정보를 기술하는 셀(도 16의 C_PBI#i)의 셀블록타입(도 16중의 CBT)에 “앵글을가리키는 값=“01b"을 기록한다.
스텝 #2344에서는 심리스접속을 하는 것을 가리키는 VOB_Fsb= 1의 정보에 따라서, 신에 대응하는 VOB의 제어정보를 기술하는 셀(도 16의 C_PBI#i)의 심리스재생플래그(도 16중의 SPF)에 1를 기록한다.
스텝 #2346에서는 심리스접속을 하는 것을 가리키는 VOB_Fsb=-1의 정보에 따라서, 신에 대응하는 VOB의 제어정보를 기술하는 셀(도 16의 C_PBI#i)의 STC 재설정플래그(도 16중의 STCDF)에 1를 기록한다.
스텝 #2348에서는 인터리브요인 것을 가리키는 VOB_FsV= 1의 정보에 따라서, 신에 대응하는 VOB의 제어정보를 기술하는 셀(도 16의 C_PBI#i)의 인터리브 블록 배치 플래그(도 16중의 IAF)에"1"를 기록한다.
스텝 #2350에서는 도 25의 시스템 엔코더(900)에 의해 얻어지는 타이틀편집단위(이하, VOB와 기술한다)에 의해 내브팩(NV)의 위치정보(VOB 선두부터의 상대색터수)를 검출하여, 도 35의 스텝 #1816으로 얻은 포맷터의 파라미터인 최소인터리브 유닛의 재생시간(ILVU_MT)의 데이터에 따라서, 내브팩(NV)을 검출하여, VOBU의 위치정보(VOB의 선두부터의 색터수 등)을 얻어 VOBU단위로 분할한다. 예컨대, 상기의 예로서는 최소 인터리브 유닛재생시간은 2초, VOBU1개의 재생시간0.5초이기때문에, 4개 VOBU마다 인터리브 유닛으로서 분할한다. 이 분할처리는 각 다중장면에 해당하는 VOB에 대하여 행한다.
스텝 #2352에서는 스텝 #2140으로 기록한 각 신에 대응하는 VOB의 제어정보로서, 기술한 셀블록모드(도 16중의 CBM)기술순서(“셀블록선두",“셀블록의 안", “셀블록의 최후"로한 기술순서)에 따라서, 예컨대, 도 23에 가리키는 MA1의 셀, MA2의 셀, MA3의 셀의 순서로 스텝 #2350으로 얻어진 각 VOB의 인터리브 유닛을 배치하고 도 57 및 도 58에서 가리키는 것 같은 인터리브 블록을 형성하여, VTSTT_VOB 데이터에 가한다.
스텝 #2354에서는 스텝 #2350으로 얻어진 VOBU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각 VOBU의 내브팩(NV)의 VOBU최종팩 어드레스(도 20의 COBU_EA)에 VOBU선두부터의 상대색터수를 기록한다.
스텝 #2356에서는 스텝 #2352으로 얻어지는 VTSTT_VOBS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셀의 선두의 VOBU의 내브팩(NV)의 어드레스, 최후의 VOBU의 내브팩(NV)의 어드레스로서, VTSTT_VOBS의 선두부터의 색터수를 셀선두(VOBU) 어드레스 (C_FVOBU_SA)와 셀종단(VOBU) 어드레스(C_LVOBU-SA)를 기록한다.
스텝 #2358에서는 각각의 VOBU의 내브팩(NV)의 비심리스 앵글정보(도 20의 NSM_AGLI)에 그 VOBU의 재생개시시각에 가깝다. 모든 앵글신의 VOBU에 포함되는 내브팩(NV)의 위치정보(도 50)로 하여, 스텝 #2352으로 형성된 인터리브 블록의 데이터내에서의 상대 색터수를 앵글#iVOBU개시어드레스(도 20의 NSML_AGL_C1_DSTA ∼NSML_AGL_C9_DSTA )에 기록한다.
스텝 #2160에서는 스텝 #2350으로 얻어진 VOBU에 있어서, 다중장면 구간의 각 신의 최후 VOBU이면, 그 VOBU의 내브팩(NV)의 비심리스 앵글정보(도 20의NSM_AGLD의 앵글#iVOBU개시어드레스(도 20의 NSM_AGL1)의 앵글#VOBU개시어드레스(도 20이 NSML_AGL_C1_DSTA∼NSML_AGL_C9DSTA))에“7 FFFFFFFh"를 기록한다.
이상의 스텝에 의해, 다중장면 구간의 비심리스 전환 멀티앵글 제어에 해당하는 인터리브 블록과 그 다중장면에 해당하는 재생제어정보인 셀내의 제어정보가 포맷된다.
다음에 도 42를 이용하여, 도 40의 스텝 #2322에 있어서, YES, 요컨대 멀티앵글이 심리스전환 제어라고 판단된 경우의 서브루틴 스텝 #2324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가리키는 동작순서에 의해,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인터리브 배치와 도 16으로 보이는 셀재생정보(C_PBI#i)의 내용 및 도 20에서 가리키는 내브팩(NV)내의 정보를 생성된 DVD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기록한다.
스텝 #2370에서는 다중장면 구간이 멀티앵글제어를 하는 것을 가리키는 VOB_Fm=1의 정보에 따라서, 각 신에 대응하는 VOB의 제어정보를 기술하는 셀(도 16의 C_PBI#i)의 셀블록 모드(도 16중의 CBM)에, 예컨대, 도 23에 가리키는 MA1의 셀의 CBM=“셀블록선두= 0lb", MA2의 셀의 CBM=“셀블록중=10b", MA3의 셀의 CBM=“셀블록의 최후= 11b"를 기록한다.
스텝 #2372에서는 다중장면 구간이 멀티앵글 제어를 하는 것을 가리키는 VOB_Fm=1의 정보에 따라서, 각 신에 대응하는 VOB의 제어정보를 기술하는 셀(도 16의 C-PBI#i)의 셀블록타입(도 16중의 CBT)에 “앵글을 나타내는 값=“01b"을 기록한다.
스텝 #2374에서는 심리스 접속을 하는 것을 가리키는 VOB_Fsb=1의 정보에따라서, 신에 대응하는 VOB의 제어정보를 기술하는 셀(도 16의 C_PBI#i)의 심리스 재생 플래그(도 16중의 SPF)에 "1" 를 기록한다.
스텝 #2376에서는 심리스접속을 하는 것을 가리키는 VOB_Fsb=1의 정보에 따라서, 신에 대응하는 VOB의 제어정보를 기술하는 셀(도 16의 C_PBI#i)의 STC 재설정 플래그(도 16중의 STCDF)에 1를 기록한다.
스텝 #2378에서는 인터리브요인 것을 가리키는 V0B_Fsb=1의 정보에 따라서, 신에 대응하는 V0B의 제어정보를 기술하는 셀(도 16의 C_PBI#i)의 인터리브 블록 배치 플래그(도 16중의 DAF)에"1"를 기록한다.
스텝 #2380에서는 도 25의 시스템 엔코더(900)에 의해 얻어지는 타이틀편집단위(이하, VOB와 기술한다)에 의해 내브팩(NV)의 위치정보(VOB 선두부터의 상대색터수)를 검출하여, 도 36의 스텝 #1854으로 얻은 포맷터의 파라미터인 최소인터리브 유닛의 재생시간(ILVU_MT)의 데이터에 따라서, 내브팩(NV)을 검출하여, VOBU의 위치정보(VOB의 선두부터의 색터수 등)을 얻어 VOBU단위로 분할한다. 예컨대, 상기의 예로서는 최소인터리브 유닛재생시간은 2초, VOBU1개의 재생시간 0.5초이기 때문에, 4개 VOBU단위마다 인터리브 유닛으로서 분할한다. 이 분할처리는 각 다중장면에 해당하는 VOB에 대하여 행해 진다.
스텝 #2382에서는 스텝 #2160에서 기록한 각 신에 대응하는 VOB의 제어정보로서 기술한 셀블록 모드(도 16중의 CBM)기술순(“셀블록선두", “셀블록중", “셀블록의 최후"로 한 기술순)에 따라서, 예컨대, 도 23에 가리키는 MA1의 셀, MA2의 셀 MA3의 셀의 순서대로 스텝 #1852로 얻어진 각 VOB의 인터리브 유닛을 배치하여, 도 57 또는 도 58에서 가리키는 것 같은 인터리브블록을 형성하여 VTSTT_VOBS 데이터에 가한다.
스텝 #2384에서는 스텝 #2360으로 얻어진 VOBU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각 VOBU의 내브팩(NV)의 VOBU최종팩 어드레스(도 20의 COBU_EA)에 VOBU선두부터의 상대 색터수를 기록한다.
스텝 #2386에서는 스텝 #2382으로 얻어지는 VTSTT_VOBS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셀의 선두의 VOBU의 내브팩(NV)의 어드레스, 최후의 VOBU의 내브팩(NV)의 어드레스로서, VTSTT-VOBS의 선두부터의 색터수를 셀선두 VOBU어드레스(C_FVOBU )상 A와 셀종단 VOBU어드레스(C_LVOBU_SA)를 기록한다.
스텝 #2388에서는 스텝 #2370으로 얻은 인터리브 유닛의 데이터에 따라서, 그 인터리브 유닛을 구성하는 각각 VOBU의 내브팩(NV)의 인터리브 유닛 최종팩어드레스(ILVU최종 팩어드레스)(도 20의 ILVU_EA)에 인터리브 유닛의 최후의 팩까지의 상대색터수를 기록한다.
스텝 #2390에서는 각각의 VOBU의 내브팩(NV)의 심리스 앵글정보(도 20의 SML_AGL1)에, 그 VOBU의 재생종료 시각에 계속되는 개시시각을 갖는다, 모든 앵글신의 VOBU에 포함되는 내브팩(NV)의 위치정보(도 50)로 하여, 스텝 #2382에서 형성된 인터리브 블록의 데이터내에서의 상대 색터수를 앵글#iVOBU개시 어드레스(도 20의 SML_AGL_C1_DSTA∼SML_AGL_C9_DSTA)에 기록한다.
스텝 #2392에서는 스텝 #2382으로 배치된 인터리브 유닛이 다중장면 구간의 각 신의 최후의 인터리브 유닛이면 그 인터리브 유닛에 포함되는 VOBU의 내브팩(NV)의 심리스 앵글정보(도 20의 SM하여 AGLD의 앵글 #iVOBU개시 어드레스 (도 20의 SML_AGL_C1_DSTA∼SML_AGL_C9_DSTA)에 “FFFFFFFFh"를 기록한다.
이상의 스텝에 의해, 다중장면 구간의 심리스 전환 멀티앵글 제어에 해당하는 인터리브 블록과 그 다중장면에 해당하는 재생제어정보인 셀내의 제어정보가 포맷된 것으로 된다.
다음에 도 43을 이용하여, 도 40의 스텝 #2318에 있어서, NO, 요컨데, 멀티앵글이 아니라, 파렌털 제어라고 판단된 경우의 서브루틴 스텝 #2320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가리키는 동작순서에 의해,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인터리브 배치와 도 16에서 가르키는 셀재생정보(C_PBI#i)의 내용 및 도 20에서 가리키는 내브팩(NV)내의 정보를 생성된 DVD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기록한다.
스텝 #2402에서는 다중장면 구간이 멀티앵글제어를 하지 않은 것을 가리키는 VOB_Fm= 0의 정보에 따라서, 각 신에 대응하는 VOB의 제어정보를 기술하는 셀(도 16의 C_PBI#i)의 셀블록모드구(도 16중의 CBM)에 “00 b"를 기록한다.
스텝 #2404에서는 심리스 접속을 가리키는 VOB_Fsb= 1의 정보에 따라서, 신에 대응하는 VOB의 제어정보를 기술하는 셀(도 16의 C_PBI#i)의 심리스 재생플래그(도 16중의 SPF)에 "1"를 기록한다.
스텝 #2406에서는 심리스 접속을 하는 것을 가리키는 VOB_Fsb=1의 정보에 따라서 신에 대응하는 VOB의 제어정보를 기술하는 셀(도 16의 C_PBI#i)의 STC재설정 플래그(도 16중의 STCDF)에 "1"를 기록한다.
스텝 #2408에서는 인터리브 요인 것을 가리키는 VOB_FsV=1의 정보에 따라서, 신에 대응하는 VOB의 제어정보를 기술하는 셀(도 16의 C_PBI#i)의 인터리브 블록 배치 플래그(도 16중의 IAF)에 "1"를 기록한다.
스텝 #2410에서는 도 25의 시스템 엔코더(900)에 의해 얻어지는 타이틀편집단위(이하, VOB와 기술한다)에 의해 내브팩(NV)의 위치정보(VOB 선두부터의 상대색터수)를 검출하여, 도 38의 스텝 #1874으로 얻은 포맷터의 파라미터인 VOB 인터리브 분할수 ILV_DIV의 데이터에 따라서, 내브팩(NV)을 검출하여, VOBU의 위치정보(VOB의 선두부터의 색터수 등)을 얻고 VOBU 단위에, VOB를 설정된 분할수의 인터리브 유닛으로 분할한다.
스텝 #2412에서는 스텝 #2410에서 얻어진 인터리브 유닛을 교대로 배치한다. 예컨대 VOB번호의 올림차순서로 배치하여, 도 57 또는 도 58로 가리키는 것 같은 인터리브 블록을 형성하고, VTSTT_VOBS에 가해 진다.
스텝 #2414에서는 스텝 #2186에서 얻어진 VOBU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각 VOBU의 내브팩NV의 VOBU최종팩 어드레스(도 20의 COBU_EA)에 VOBU선두부터의 상대색터수를 기록한다.
스텝 #2416에서는 스텝 #2412으로 얻어지는 VTSTT_VOBS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셀의 선두의 VOBU의 내브팩(NV)의 어드레스, 최후의 VOBU의 내브팩(NV)의 어드레스로서, VTSTT_VOBS의 선두부터의 색터수를 셀선두 VOBU어드레스(C_FVOBU_SA)와 셀종단 VOBU어드레스(C_LVOBU_SA)를 기록한다.
스텝 #2418에서는 스텝 #2412에서 얻은 배치된 인터리브 유닛의 데이터에 따라서, 그 인터리브 유닛을 구성하는 각각 VOBU의 내브팩(NV)의 인터리브 유닛최종 팩어드레스(ILVU최종 팩어드레스)(도 20의 ILUV_EA)에, 인터리브 유닛의 최후의 팩까지의 상대 색터수를 기록한다.
스텝 #2420에서는 인터리브 유닛(ILVU)에 포함되는 VOBU의 내브팩(NV)에, 다음 ILVU의 위치정보로서, 스텝 #2412으로 형성된 인터리브 블록의 데이터내에서의 상대 색터수를 다음 인터리브 유닛 선두 어드레스(NT_ILUV_SA)를 기록한다.
스텝 #2422에서는 인터리브 유닛 ILVU 에 포함되는 VOBU의 내브팩(NV)에 I LVU플래그(ILUVflag)를 기록한다.
스텝 #2424에서는 인터리브 유닛(ILVU)내의 최후의 VOBU의 내브팩(NV)의 UnitEnd플래그 UnitENDflag에 "1"를 기록한다.
스텝 #2426에서는 각 VOB의 최후의 인터리브 유닛(ILVU)내의 VOBU의 내브팩(NV)의 다음 인터리브 유닛 선두 어드레스(NT_ILUV_SA)에 “FFFFFFFFh"를 기록한다.
이상의 스텝에 의해 다중장면 구간의 파렌털 제어에 해당하는 인터리브 블록과 그 다중장면에 해당하는 셀재생 제어정보인 셀내의 제어정보가 포맷된다.
다음에 도 44를 이용하여, 도 40의 스텝 #2312 및 스텝 #2316에 있어서, NO, 요컨대 다중장면이 아니라, 단일신이라고 판단된 경우의 서브루틴 스텝 #2314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가리키는 동작순서에 의해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인터리브 배치와 도 16에서 가리키는 셀재생정보(C_PBI#i)의 내용 및 도 20에 가리키는 내브팩(NV)내의 정보를 생성된 DVD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기록한다.
스텝 #2430에서는 다중장면 구간이 아니라, 단일 신구간인 것을 가리키는 VOB_Fp=0의 정보에 따라서, 각 신에 대응하는 VOB의 제어정보를 기술하는 셀(도 16의 C_PBI#i)의 셀블록 모드(도 16중의 CBM)에 비셀블록인 것을 가리키는“00 b"를 기록한다.
스텝 #2432에서는 인터리브 불필요한 것을 가리키는 VOB_FsV=0의 정보에 따라서, 신에 대응하는 VOB의 제어정보를 기술하는 셀(도 16의 C_PBI#i)의 인터리브 블록 배치 플래그(도 16주의 IAF)에“0"를 기록한다.
스텝 #2434에서는 도 25의 시스템 엔코더(900)에 의해 얻어지는 타이틀편집단위(이하, VOB와 기술한다)에 의해 내브팩(NV)의 위치정보(VOB선두부터의 상대색터수)를 검출하고 VOBU단위에 배치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비디오 등의 스트림 데이터인(VTSTT_VOB)에 가한다.
스텝 #2436에서는 스텝 #2434에서 얻어진 VOBU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각 VOBU의 내브팩NV의 VOBU최종팩 어드레스(도 20의 COBU_EA)에 VOBU선두부터의 상대 색터수를 기록한다.
스텝 #2438에서는 스텝 #2434에서 얻어지는 VTSTT_VOBS 데이터에 따라서, 각 셀의 선두의 VOBU의 내브팩(NV)의 어드레스 및 최후의 VOBU의 내브팩(NV)의 어드레스를 추출한다. 더욱, VTT_VOBS의 선두부터의 색터수를 셀선두 VOBU어드레스(C_FVOBU_SA)로서, VTSTT_VOBS의 종단부터의 색터수를 셀종단(VOBU) 어드레스 (C_LVOBS_SA)로서 기록한다.
스텝 #2440에서는 도 34의 스텝 #300 또는 스텝 #600에서 판단된 상태, 즉 전후의 신과 심리스접속을 가리키는 VOB_Fsb=1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스텝 #2440으로 YES라고 판단된 경우 스텝 #2442에 진행한다.
스텝 #2442에서는 심리스 접속을 하는 것을 가리키는 VOB_Fsb=1의 정보에 따라서, 신에 대응하는 VOB의 제어정보를 기술하는 셀(도 16의 C_PBI#i)의 심리스 재생 플래그(도 16중의 SPF)에 "1"를 기록한다.
스텝 #2444에서는 심리스 접속을 하는 것을 가리키는 VOB_Fsb=1의 정보에 따라서, 신에 대응하는 VOB의 제어정보를 기술하는 셀(도 16의 C_PBI#i)의 STC재설정플래그(도 16중의 STCDF)에 "1" 를 기록한다.
스텝 #2440에서 NO라고 판단된 경우, 즉, 앞신과는 심리스 접속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2446에 진행한다.
스텝 #2446에서는 심리스 접속을 하는 것을 가리키는 VOB_Fsb=0의 정보에따라서, 신에 대응하는 VOB의 제어정보를 기술하는 셀(도 16의 C_PBI#i)의 심리스재생 플래그(도 16중의의 SPF)에“0"를 기록한다.
스텝 #2448에서는 심리스접속을 하는 것을 가리키는 VOB_Fsb=0의 정보에 따라서, 신에 대응하는 VOB의 제어정보를 기술하는 셀(도 16의 C_PBI#i)의 STC 재설정 플래그(도 16중의 STCDF) "0" 를 기록한다.
이상에서 가리키는 동작순서에 의해, 단일 신구간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스트림의 배치와 도 16에서 가리키는 셀재생정보(C_PBI#i)의 내용및 도 20을 가리키는 내브팩(NV)내의 정보를 생성된 DVD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상에 기록된다.
디코더의 플로우챠트
디스크로부터 스트림 버퍼 전송순서
이하에, 도 45 및 도 46을 참조하여, 시나리오 선택 데이터(St51)에 따라서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가 생성하는 디코드 정보 테이블에 관해서 설명한다. 디코드 정보 테이블은 도 45에서 가리키는 디코드 시스템 테이블와 도 46에서 가리키는 디코드 테이블로 구성된다.
도 45에 도시되어 있듯이, 디코드 시스템 테이블은 시나리오 정보 레지스터부와 셀정보 레지스터부로 이루어진다. 시나리오 정보 레지스터부는 시나리오 선택데이터(St51)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선택하였다. 타이틀 번호 등의 재생 시나리오 정보를 추출하여 기록한다. 셀정보 레지스터부는 시나리오 정보 레지스터부는 추출된 사용자의 선택한 시나리오 정보에 기인하여 프로그램 체인을 구성하는 각 셀정보를 재생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기록한다.
더욱, 시나리오 정보 레지스터부는 앵글번호 레지스터(ANGLE_NO_reg), VTS번호 레지스터(VTS_NO_reg), PGC번호레지스터(VTS_PGCI_NO_reg), 오디오 ID 레지스터(AUDIO_ID_reg), 부영상 ID 레지스터(SP_ID_reg), 및 SCR용 버퍼레지스터(SCR_buffer)를 포함한다.
앵글번호 레지스터(ANGLE_NO_reg)는 재생하는 PGC에 멀티앵글이 존재하는 경우, 어떤 앵글을 재생할까의 정보를 기록한다. VTS번호 레지스터(VTS_NO_reg)는 디스크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VTS중, 다음에 재생하는 VTS의 번호를 기록한다. PGC번호 레지스터(VTS_PGCI_NO_reg)는 파렌털 등의 용도로 VTS중 존재하는 복수의 PGC중, 어떤 PGC을 재생하는 가를 지시하는 정보를 기록한다.
오디오 ID 레지스터(AUDIO_ID_reg)는 VTS중존재하는 복수의 오디오 스트림의 어느 것을 재생하는가를 지시하는 정보를 기록한다. 부영상 ID 레지스터 (SP_ID_reg)는 VTS 중에 복수의 부영상 스트림이 존재하는 경우는 어떤 부영상 스트림을 재생할까 지시하는 정보를 기록한다. SCR용 버퍼(SCR_buffer)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팩헤더에 기술되는 SCR를 일시기억하는 버퍼이다. 이 일시기억된 SCR는 도 26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스트림 재생데이터(St63)에서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출력할 수 있다.
셀정보 레지스터부는 셀블록 모드 레지스터(CBM_reg), 셀블록 타입 레지스터(CBT_reg), 심리스재생 프래그 레지스터(SPB_reg), 인터리브 어프리케이션 레지스터(IAF_reg), STC재설정 프래그 레지스터(STCDF_reg), 심리스 앵글전환 플래그 레지스터(SACF_reg), 셀최초의 VOBU개시 어드레스 레지스터 (C_FVOBU_SA_reg), 셀최후의 VOBU개시 어드레스 레지스터(C_LVOBU__SA_reg)를 포함한다.
셀블록모드 레지스터(CBM_reg)는 복수의 셀이 1개의 기능블록을 구성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가리켜, 구성하지 않는 경우는 값으로서 "N_BL0CK"를 기록한다. 또한, 셀이 1개의 기능블록을 구성하고 있는 경우, 그 기능블록의 선두의 셀의 경우“F_CELL"를, 최후의 셀의 경우 "L_LCELL"를, 그 사이의 셀의 경우 “BLOCK"를 값으로서 기록한다.
셀블록 타입 레지스터(CBT_reg)는 셀블록 모드 레지스터(CB M_reg)에서 가리킨 블록의 종류를 기록하는 레지스터 이고, 멀티앵글의 경우 "A_ANGLE"를 멀티앵글이 아닌 경우" N_BL0CK"를 기록한다.
심리스 재생 플래그 레지스터(SPF_reg)는 해당 셀이 전에 재생되는 셀 또는 셀블록과 심리스에 접속하여 재생하는가 아닌가를 가리키는 정보를 기록한다. 앞셀 또는 앞셀블록과 심리스에 접속하여 재생하는 경우에는, 값으로서 "SML"를, 심리스접속이 아닌 경우는 값으로서 “NSML"를 기록한다.
인터리브 어프리케이션 레지스터(IAF_reg)는 해당 셀이 인터리브영역에 배치되어 있는가 아닌가의 정보를 기록한다. 인터리브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값으로 "ILVB"를 인터리브영역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N-ILVB"을 기록한다.
STC재설정 플래그 레지스터(STCDF_reg)는 동기를 잡을 때에 사용하는 STC를 셀의 재생시에 재설정해야 하는 가의 여부정보를 기록한다. 재설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값으로서“STC_RESET"를, 재설정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값으로서, “STC-NRESET"를 기록한다.
심리스앵글 체인지 플래그 레지스터(SACF_reg)는 해당셀이 앵글구간에 속하고 또한, 심리스에 바꾸는 지 어떤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한다. 앵글구간에서 또한 심리스에 바꾸는 경우에는 값으로서 "SML"을 그렇지 않은 경우는"NSML " 기록한다.
셀최초의 VOBU개시 어드레스 레지스터(C_FVOBU_SA_regg)는 셀선두 VOBU 개시 어드레스를 기록한다. 그 값은 VTS타이틀용 VOBS(VTSTT_VOBS)의 선두셀의 논리색터부터의 거리를 색터수로 가리켜, 해당색터수를 기록한다.
셀최후의 VOBU개시 어드레스 레지스터(C_LOVOBU_SA_reg)는 셀최종 VOBU 개시어드레스를 기록한다. 그 값은 VTS타이틀용 VOBS(VTSTT_VOBS)의 선두셀의 논리색터로부터 거리를 색터수로 가리켜, 해당색터수를 기록한다.
다음에, 도 46의 디코드 테이블에 관해서 설명한다. 동 도면에 도시되어 있듯이 디코드 테이블은 비심리스 멀티앵글 정보 레지스터부, 심리스 멀티앵글 정보 레지스터부, VOBU정보 레지스터부, 심리스재생 레지스터부로 이루어진다.
비심리스 멀티앵글 정보 레지스터부는, NSML_AGL_C1_DSTA_reg∼NSML_AGL_C9_DSTA_reg을 포함한다.
NSML_AGL_C1_DSTA_reg∼NSML_AGL_C9_DSTA_reg에는 도 20에 가리키는 PC I패킷중의 NSML_AGL_C1_DSTA∼ NSML_AGL_C9_DSTA를 기록한다.
심리스 멀티앵글 정보 레지스터부는 SML_AGL_C1_DSTA_reg∼SML_AGL_C9_DSTA_regNSML_AGL_C9_DSTA을 포함한다.
SML_AGL_C1_DSTA_reg∼SML_AGL_C9_DSTA_reg에는 도 20에 도시한 DSI패킷주의 SML_AGL_C1_DSTA_reg∼SML_AGL_C9_DSTA_reg을 기록한다.
VOBU정보 레지스터부는 VOBU최종 어드레스 레지스터(VOBU_EA_reg)를 포함한다.
VOBU정보 레지스터(VOBU_EA_reg)에는 도 20에 가리키는 DSI패킷중의 VOBU_EA를 기록한다.
심리스 재생 레지스터부는 인터리브 유닛 플래그 레지스터(ILVU_flag_reg, ) 유닛 앤드플래그 레지스터(UNIT_END_flag-reg), LVU최종팩 어드레스 레지스터 (ILVU_EA_reg), 다음 인터리브 유닛 개시어드레스(NT_ILUV_SA_reg), VOB중 선두비디오 프레임 표시개시시각 레지스터(VOB」_SPTM_reg), VOB내 최종 비디오 프레임 표시 종료시각 레지스터(VOB_EPTM_reg), 오디오 재생정지시간1 레지스터 (VOB_A_GAP_PTM1_reg), 오디오 재생정지시간2 레지스터(VOB_A_GAP_PTM2_reg), 오디오 재생정지기간1 레지스터(VOB_A_GAP_LEN1), 오디오 재생정지기간2 레지스터 (VOB_LGAP_LEN2)를 포함한다.
인터리브 유닛 플래그 레지스터(ILVU_Flag_reg)는 VOBU가 인터리브영역에 존재하는가를 가리키고 인터리브영역에 존재하는 경우“ILVU"를, 인터리브영역에 존재하지않은 경우 "N_ILVU"을 기록한다.
유닛 앤드플래그 레지스터(UNIT_END_flag_reg)는 VOBU가 인터리브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VOBU가 ILVU의 최종 VOBU일까를 가리키는 정보를 기록한다. ILVU는 연속판독 출력하는 단위이기 때문에, 현재 판독출력되고 있는 있는 VOBU가 ILVU의 최후의 VOBU이면“END"을, 최후의 VOBU가 아니면“N_END"를 기록한다.
ILVU최종팩 어드레스 레지스터(ILVU_EA_reg)는 VOBU가 인터리브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VOBU가 속하는 ILVU의 최종 팩의 어드레스를 기록한다. 여기서 어드레스는 해당 VOBU의 NV부터의 색터수이다.
다음 ILVU개시 어드레스 레지스터(NT_ILVU_SA_reg)는 VOBU가 인터리브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다음 ILVU의 개시어드레스를 기록한다. 여기서 어드레스는 해당 VOBU의 NV부터의 색터수이다.
VOB중 선두 비디오 프레임 표시 개시시각 레지스터(VOB_SPTM_reg)는 VOB의 선두 비디오 프레임의 표시를 시작하는 시간을 기록한다.
VOB중 최종 비디오 프레임 표시 종료시각 레지스터(VOB_V_EPTM_reg)는 VOB의 최종 비디오 프레임의 표시가 종료하는 시간을 기록한다.
오디오 재생정지시간1 레지스터(VOB__A_GAP_PTMI_reg)는 오디오재생을 정지시키는 시간을, 오디오재생정지기간1 레지스터(VOB_A_GAP_LEN!_reg)는 오디오재생을 정지시키는 기간을 기록한다.
오디오 재생정지시간2 레지스터(VOB_A_GAP_PTM2_reg) 및 오디오 재생정지기간2 레지스터(VOB_A_GAP_LEN2)에 관해서도 같다.
다음에 도 47에서 가리키는 DVD디코더순서을 참조하면서, 도 26에 블럭도를 가리킨 본 발명에 관하는 DVD디코더 DCD의 동작을 설명한다.
스텝 #310202은 디스크가 삽입된 가를 평가하는 스텝이고 디스크가 세트되면 스텝 #310204으로 진행한다.
스텝 #310204에 있어서, 도 22의 볼륨파일정보를 판독출력한 후, 스텝 #310206에 진행한다.
스텝 #310206에서는 도 22에 가리키는 비디오 메니저(VMG)를 판독출력하여 재생하는 VTS를 추출하여, 스텝 #310208에 진행한다.
스텝 #310208에서는 VTS의 관리테이블 VTSI에 의해 비디오 타이틀 세트메뉴 어드레스정보(VTSM_C_ADT)를 추출하여 스텝 #310210에 진행한다.
스텝 #310210에서는 VTSM_C_ADT정보에 근거하여, 비디오 타이틀 세트메뉴(VTSM_VOBS)를 디스크로부터 판독출력하여 타이틀 선택메뉴를 표시한다. 이 메뉴에 따라서 사용자는 타이틀을 선택한다. 이 경우, 타이틀뿐 만이 아니라, 오디오번호, 부영상번호, 멀티앵글을 포함하는 타이틀이면 앵글번호를 입력한다. 사용자의 입력이 끝나면, 다음 스텝 #310214으로 진행한다.
스텝 #310214에서 사용자의 선택한 타이틀번호에 대응하는 VTS_PGCI#I를 관리테이블에 의해 추출한 뒤, 스텝 #310216에 진행한다.
다음 스텝 #310216에서, PGC의 재생을 시작한다. PGC의 재생이 종료하면, 디코드처리는 종료한다. 이후, 별도의 타이틀을 재생하는 경우는 시나리오 선택부에서 사용자의 키이입력이 있으면 스텝 #310210의 타이틀 메뉴표시에 되돌아가는 등의 제어로 실현된다.
다음에, 도 48를 참조하여, 먼저 말한 스텝 #310216의 PGC의 재생에 관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PGC재생 스텝 #310216은 도시한것 같이, 스텝 #31030,#31032,#31034,및 #31035으로 된다.
스텝 #31030에서는 도 45에 가리킨 디코드 시스템테이블의 설정을 한다. 앵글번호 레지스터(ANGLE_NO_reg), VTS번호 레지스터(VTS__NO_reg), PGC번호 레지스터(PGC_NO_reg), 오디오 ID 레지스터(AUDIO_ID_reg), 부영상 ID 레지스터 (SP_ID_reg)는 시나리오 선택부(2100)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서 설정한다.
사용자가 타이틀을 선택하는 것으로, 재생하는 PGC가 오로지 결정되면, 해당하는 셀정보(C_PBI)를 추출하여, 셀정보 레지스터에 설정한다. 설정하는 레지스터는, CBM_reg, CBT-reg, SPF_reg, IAF_reg, STCDF_reg, SACF_eg, C_FVOBU_SA_reg, C_LVOBU_reg 이다.
디코드시스템테이블의 설정후, 스텝 #31032의 스트림버퍼에의 데이터전송처리와, 스텝 #31034의 스트림버퍼내의 데이터 디코드처리를 병렬로 기동한다.
여기서, 스텝 #31032의 스트림버퍼에의 데이터전송처리는 도 26에 있어서, 디스크(M)에서 스트림버퍼(2400)에의 데이터전송에 관한 것이다. 즉, 사용자의 선택한 타이틀정보, 및 스트림중에 기술되어 있는 재생제어정보(내브팩NV)에 따라서 필요한 데이터를 디스크 M에서 판독출력하여 스트림버퍼(2400)에 전송하는 처리이다.
한편, 스텝 #31034은 도 26에 있어서, 스트림버퍼(2400)내의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비디오출력(3600) 및 오디오출력(3700)으로 출력하는 처리를 하는 부분이다. 즉, 스트림버퍼(2400)에 대비된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재생하는 처리이다.
이 스텝 #31032과, 스텝 #31034은 병렬로 동작한다. 스텝 #31032에 관해서 이하,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스텝 #31032의 처리는 셀단위이고, l개의셀의 처리가 종료 하면 다음 스텝 #31035으로 PGC의 처리가 종료한 가를 평가한다. PGC의 처리가 종료하지 않고 있으면, 스텝 #31030으로 다음 셀에 대응하는 디코드 시스템테이블의 설정을 한다. 이 처리를 PGC이 종료할 때까지 행해 진다.
스트림 버퍼부터의 디코드순서
다음에 도 49를 참조하여, 도 48에 가리킨 스텝 #31034의 스트림버퍼내의 디코드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스텝 #31034은 도시과 같이 스텝 #31110, 스텝 #31112, 스텝 #31114, 스텝 #31116으로 이루어진다.
스텝 #31110은 도 26에 가리키는 스트림버퍼(2400)로부터 시스템디코더(2500)에의 팩단위에서의 데이터전송을 하여 스텝 #31112으로 진행한다.
스텝 #31112은 스트림버퍼(2400)로부터 전송되는 팩데이터를 각 버퍼, 즉, 비디오버퍼(2600), 서브픽쳐 버퍼(2700), 오디오버퍼(2800)에의 데이터 전송을 한다.
스텝 #31112에서는 사용자의 선택한 오디오 및 부영상의 ID, 즉 도 45에 가리키는 시나리오정보 레지스터에 포함되는 오디오 ID 레지스터(AUDIO_ID_reg, ) 부영상 ID 레지스터(SP_ID_reg)와, 도 19에 가리키는 패킷헤더중의 스트림 ID 및 서브스트림 ID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패킷을 각각의 버퍼(비디오 버퍼(2600),오디오 버퍼(2700), 서브픽쳐 버퍼(2800))로 나누어져 스텝 #31114으로 진행한다.
스텝 #31114은 각 디코더(비디오디코더, 서브픽쳐디코더, 오디오디크드)의 디코드타이밍을 제어한다, 요컨대, 각 디코더사이의 동기처리를 하여, 스텝 #31116으로 진행한다. 스텝 #31114의 각 디코더의 동기처리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스텝 #31116은 각 엘레멘터리의 디코드 처리를 한다. 요컨데 비디오 디코더는 비디오 버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출력한 디코드처리를 한다. 서브픽쳐 디코더도 마찬가지로, 서브픽쳐 버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출력한 디코드처리를 한다. 오디오 디코더도 마찬가지로, 오디오 디코더 버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출력하고 디코드처리를 행한다. 디코드처리가 끝나면 스텝 #31034을 종료한다.
다음에, 도 50을 참조하여, 먼저 말한 스텝 #31114에 관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스텝 #31114은 도시한것과 같이, 스텝 #31120, 스텝 #31122, 스텝 #31124으로 이루어진다.
스텝 #31120은, 선행하는 셀과 해당셀이 심리스 접속일까를 평가하는 스텝이고, 심리스 접속이면 스텝 #31122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스텝 #31124으로 진행한다.
스텝 #31122은 심리스용의 동기처리를 한다.
한편, 스텝 #31124은 비심리스용의 동기처리를 한다.
특수재생
도 21에 가리키는 것 같은 다중장면 구간을 기록매체(M)상에 도 58에 가리키는 것 같은 인터리브 블록에 배치한 경우의 빨리 감기나 역재생등, 소위 특수재생(트릭플레이)을 하는 것을 생각한다.
도 51를 참조하여, MPEG방식에 따르는 비트 스트림을 특수재생하는 경우 에 관해서 설명한다. 동도면에 있어서, 테두리 V의 각각이 GOP개에 대응하고 있다. 빨리 감기로서는 화살표(TRF)에서 표시되도록, 비트 스트림중의 모든 GOP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은 아니고, 비트 스트림중의 재생개시위치의 GOP에서, 통상재생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GOP데이터를 이산적으로 선택하여 재생한다. 한편, 그 간격은 일정하더라도 좋고, GOP선택하는 때마다 변화하더라도 좋다. 역방향재생으로는 화살표(TRB)에 나타나 있듯이, GOP를 통상의 재생방향과 역의 방향으로 재생한다.
이러한 이산적으로 GOP를 선택하기 위해서, 선택재생하는 모든 GOP의 위치정보를 미리 시스템의 메모리가지는 방법과, 선택재생시에 다음에 선택해야 할 GOP의 위치정보를 차차 결정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방법은 시스템의 메모리용량에 부담이 걸리고, 현실적이지 않다. 순차적으로 본 발명은 후자의 순차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개량하는 것이다. 또한, 후자의 순차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에는 비트 스트림의 비등에 의해, 다음 선택재생의 GOP의 위치를 정하는 방법과 비트 스트림중에 영상이나 오디오데이터에 가하여, 재생속도에 응한 다음 GOP의 위치정보를 기록한 간격, 그 정보로부터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이산적으로 선택된 GOP에 관해서, 각 GOP을 구성하는 모든 프레임을 재생한다면, GOP내의 I 프레임 또는 P 프레임을 소정수를 선택하여 재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특수재생을 하기 위해서는 통상, 비트 스트림을 구성하는 데이터의 중의 일부만을 복호화 하여 표시한다.
그러나, 도 21,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중장면 구간과같이, 복수의 스트림데이터의 공유를 허용하면 특수재생을 잘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우선, 공통신으로부터 다중장면의 1개에 분기하는 경우, 순차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속하여 배치하고 있는 분기앞 데이터는 비트비로부터 다음 GOP의 위치를 계산할 수가 있지만, 연속배치하지 않는 분기앞 데이터에 있어서는 계산할 수 없다. 또한, 미리 다음 선택재생하는 GOP의 위치정보도 어느쪽 한쪽의 분기선의 기록에서는 다른 쪽에의 분기를할 수 없기 때문에 불충분하다. 또한, 모든 분기전번의 GOP의 위치정보를 기술하여서는 데이터용량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또한 공통신의 이용이 증가할 때마다, 분기선 GOP의 위치정보의 기록이 필요하게 되어, 데이터작성이 복잡하게 되고, 현실적이지 않다.
이와 같이, 다중장면의 1개에 분기하는 경우의 빨리 감기로, 데이터를 찾는 것의 실현이 곤란하여 진다.
마찬가지로, 역재생의 경우도, 다중장면으로부터 공통으로 결합하는 경우, 데이터를 찾는 것의 실현이 곤란하여 진다.
더욱, 도 57과 같이, 파렌털 제어 혹은 멀티앵글의 다중장면과 공통신사이의 심리스재생를 위해, VOB-B와 VOB-C와 VOB-D를 인터리브하고 있는 경우, 상기의 순차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킵선의 GOP의 위치정보의 계산은더욱 곤란하게되고, 분기나 결합때 에서의 빨리 감기, 역재생의 실현은 인터리브가 없는 경우와 같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도 21,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나 있듯이,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을 구성하는 셀이 VOB를 공유한 경우라도, 또한, 시스템 스트림내를 분할하여 복수의 VOB를 인터리브 유닛 ILVU단위로 인터리브한 경우라도, 특수재생을 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및 그 재생장치, 재생방법및 기록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DVD시스템에 있어서도, 공통의 VOB를 사용하여,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을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도, 빨리 감기, 역되돌리기 등의 특수재생이 가능하고, 또한 데이터작성도 용이한 데이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데이터구조의 특징으로서는, 셀의 선두어드레스와 같이, 종단어드레스를 가지는 것으로, 반대재생시에도 대응가능한 셀정보를 갖고 더욱 특수재생을 재빠르게 하기위한 스킵선의 어드레스의 기록은 셀내의 어드레스 혹은, 셀경계를 넘는 것을 가리키는 정보(예컨대 DVD에서 상대어드레스로서, 존재할 수 있지 않은 어드레스치)으로 하고 다른 셀과는 독립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 그 셀이 다른 프로그램 체인에서의 사용하는 경우라도, 데이터작성이 용이하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1의 실시형태로서는 특수재생을 재빠르게 하기위한 스킵의 맨선의 어드레스가, 셀경계를 넘는 경우에는, 셀경계를 넘은 것을 가리키는 특수데이터를 가리킨 경우이다.
우선, 도 3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는 비트 스트림 데이터의 빨리 감기 재생및 역되돌리기 재생으로 재생속도에 응한 다음 GOP을 지닌 VOBU의 색터에 재빠르게 이동하기 위한, 상대색터정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사이한 상대 색터정보는, 내브팩(NV)내에 VOBU서치정보 VOBU상 RI로서 기록된다.
또, 동비트 스트림의 데이터구조는 이미, 도 22및 도 16를 이용하여 설명을 하였고 더욱 비트 스트림중의 내브팩NV 에 관해서도, 도 20 및 도 32를 이용하여 설명을 했기 때문에, 여기 에서는 VOBU서치정보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VOBU 서치정보(VOBU_SRI)는 순방법, 즉 빨리 감기 조작의 시에 사용하는 서치정보(FWDIn, FWDI Next)와 역되돌리기 조작때에 사용하는 서치정보(BWDI n, BWDI Prev)를 포함한다.
FWDI, BWDI의 뒤의 숫자 n은 내브팩(NV)을 포함하는 VOBU부터의 상대재생시간를 나타내고 그 재생시간은 0.5초×n에 대응한다. 예컨대, FWDI120는 통상재생으로 60초후에 재생하는 VOBU의 상대색터 어드레스를가리킨다. FWDINext는 다음 VOBU의 상대 섹터 어드레스를 기술하고 있다. BWDIPrev는 전의 VOBU의 상대 색터 어드레스를 기술하고 있다.
VOBU서치정보(VOBU_SRI)인 FWDI1∼240, FWDINext, BWDI1∼240, BWDIPrev에는, 그 내브팩(NV)을 포함하는 셀이외의 위치정보는 기록하지 않는다. 즉, 셀내의 내브팩(NV)의 FWDI, BWDI를 기록하는 경우, 그 기록하고자 하는 내브팩(NV)부터의 상대재생 시간의 데이터가 셀을 넘는 FWDI, BWDI에는 접속하고 있는 다른 셀의 VOBU의 상대어드레스를 기술하는 것은 아니고, 셀을 경계를 넘은 것을 가리키는 값, 예컨대 “3 FFFFFFFh"를 기록한다. 이렇게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VOBU를 솎아내어 재생한다, 소위 고속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어드레스를 지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하는 DVD디코더 DCD의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에 의한 재생, DVD디스크 및 PGC의 재생에 관해서, 도 47, 도 5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7에서, DVD디스크의 재생에 관해서 가리킨다. DVD디스크 삽입으로부터, 재생하는 타이틀정보(VTS)를 추출하고 더욱 사용자가 지시하는 타이틀의 재생정보인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i)를 추출하여, 그 프로그램 체인 정보 (VTS_PGC# i)에 따라 재생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47의 상세한 설명은, 이미 하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도 52로서는 스텝 #310214에서 얻어진 프로그램 체인 정보에 따라서, 재생하고 있는 시에,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특수재생(빨리 감기, 역되돌리기)가 행하여진 경우의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의 처리에 관해서 가리킨다.
도면에 있어서, 스텝 #331202에서는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i)에 따라서, 재생하고 있는 타이틀 VOB데이터(VTSTT_VOB)중의 현재 재생중의 데이터로서, 스트림 버퍼(2400)로부터, VOBU의 내브팩(NV) 데이터의 DSI팩 데이터로부터 VOBU서치정보(VOBU-SRI)를 판독출력한다.
스텝 #331203에서는 디코드시스템제어부2300에 의해서, 이 때의 재생모드즉 통상재생인지 여부, 또는 빨리 감기 때, 되돌려감을 때의 재생속도에 응해서, VOBU서치정보(VOBU_SRI)의 값을 다음에 재생해야 할 데이터인 VOBU의 내브팩(NV)의 어드레스 Adsi로 한다. 도 3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듯이,
예컨대, 재생모드가 통상재생이면, 제32도에 가리키는 것 다음 DSI어드레스를 가리키는 FWDI Next를 어드레스 Adsi의 값으로 한다. 또한, 빨리 감기, 역재생등의 특수재생시이면, 재생속도에 응해서 VOBU서치정보의 다른 위치정보(FWDI 1∼280,BWDI 1∼240)의 각각의 값을 어드레스 Adsi 치로 한다.
스텝 #331204에서는 스텝 #331203에서 얻은 어드레스 Adsi의 값에 따라서, 다음에 재생해야 할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에 관해서 판단된다. 그를위하여, Adsi의 값으로서는 사용하는 기록매체(M)의 볼륨영역(VS)상에서 허락되는 최대 어드레스치보다 큰 값이 쓰인다. 본예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한면일층 디스크가 기록매체(M)으로서 쓰이는 경우를 상정하고, 값3 FFFFFFFh가 채용되어 있다. 동스텝에 있어서, YES“이면, 재생해야 되는 데이터가 동일셀내, 즉 C_PBI에 기술하고 있는 셀범위내에 벌써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스텝 #331206으로 진행한다. 한편, “NO"이면, 아직 재생해야 할 데이터가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스텝 #331205으로 진행한다.
스텝 #331205에서는 어드레스 Adsi가 가리키는 내브팩(NV)에 액세스하여, 그 내브팩(NV)에 계속되는 VOBU를 판독출력하도록 재생부(2000)를 제어한다. 따라서, 판독출력하기 시작한 데이터는 스트림버퍼(2400)에 전송된다. 한편, 빨리 감기, 역재생 등의 특수재생시이면, 스트림버퍼(2400)에 데이터가 전송된 시점에서, 이미 스트림버퍼(2400)에 기억되어 있는 현재 재생중의 VOBU속에서, 특수재생시에 표시하지 않은 데이터를 파기하여, 시스템 디코더(2500)이후에서의 처리를 중단한다. 이렇게함으로써, 고속재생시에 표시해야 할 프레임만의 데이터가 시스템디코더(2500)이후에 공급되어, 스무스한 고속재생이 실현된다.
스텝 #331206에서는 재생모드가 순방향인지 아닌지를 평가하여, 순방향 이면 스텝 #331207에 진행한다. 한편, 역방향이면 스텝 #331210으로 진행한다.
스텝 #331207에서는 도 47로 가리킨 스텝 #310214으로 추출된 VTS_PGC# I로부터 요컨대 현재 액세스하여 재생중의 셀을 가리키는 PGC정보(C_PBI#j)의 재생셀순서를 표시하는 j파라미터를 하나만 증가하여 요컨대 j+1로 한다.
스텝 #331208에서는 스텝 #310214에서 추출되어 있는 프로그램 체인 정보 (VTS_PGCI)와 스텝 #331207에서 얻어진 재생셀순서j에 근거하여, 순방향 재생해야 할셀의 유무가 판단된다.
요컨대, 스텝 #331207에서 증분된 재생셀순서인 파라미터 j에서 규정되는 셀재생정보(C_PBI# j)가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I)중에 기재된 재생해야 할 다음 셀의 유무가 판단된다.
스텝 #331207에서 얻어진 재생셀순서를 가리키는 j파라미터를 기초로 프로그램 체인지정보 VTS_PGC#i에 다음 셀 재생정보(C_PBI)가 되면 종료한다.
스텝 #331207의 결과, 셀이 계속되면, 즉 스텝 #331207으로 얻어진 셀재생순서 j로 가리키는 셀재생정보 C_PBI# j+1가 있으면, 스텝 #331209으로 진행한다.
스텝 #331209에서는 프로그램 체인지정보(VTS_PGCI# i)의 셀재생정보(C_PB I)에서 j번째의 셀의 개시 VOBU어드레스(C_FVOBU_SA)를 판독출력하여 그 값을 어드레스 Adsi로하여 상기의 스텝 #331205에 진행한다.
스텝 #331210에서는 역방향재생이기 때문에, 도 47로 가리킨 스텝 #310214으로 추출된 VTS_PGC# i에서, 요컨대 현재 액세스하여 재생중의 셀을 가리키는 PCG정보(C_PBI#j)의 재생셀순서를 표시하는 j 파라미터를 1만 증분, 요컨대 j-1로 한다.
스텝 #331211에서는 스텝 #310214으로 추출되어 있는 프로그램 체인 정보 (VTS_PGC I#) i에 근거로해서, 역재생해야 할 다음 셀의 유무가 판단될 수 있다. 요컨데 스텝 #331210에서의 증분된 j에서 규정되는 셀재생정보(C_PBI# j)가 프로그램 체인지정보(VTS_PGCI)에 기재되어 있으면, 역재생 대상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다음 스텝 #331211으로 진행한다. 한편, 셀재생정보(C_PBI# j)가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I)중에 기재되어 있지 않으면 역재생대상셀은 없다, 즉 PGC선두의 셀이 이미 역재생하였다, 요컨대 VTS_PGC# i의 역재생은 완료한 것 이라고 판단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331212에서는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I#i)의 셀재생 제어정보 (C_PBI)에서 j번째의 셀재생정보(C_PB) I로부터의 셀개시 VOBU어드레스(C_LVOBU_SA)를 판독출력하야 이것을 어드레스 Adsi로 하여 상기의 스텝 #331205에 진행한다.
이상과 같은 각 스텝의 처리에 의해, 디코드 시스템 제어부(2300)는 1개의 프로그램 체인의 재생을 한다.
이상과 같은 처리에 의해, 예컨대, 도 30에 가리키는 것 같은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이 공통신을 갖고 있는 경우의 각각의 프로그램 체인의 특수재생을 포함하는 재생이 실현된다.
도 53 및 도 5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공통신과 다중장면이 있는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에 있어서, 특수재생한 경우의 각 셀의 VOBU의 재생의 실례에 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왼쪽테두리 몸체 도 30 및 도 31에 가리킨다, 프로그램 체인(VTS_PGCI#1, VTS_PGCI#2)의 공통의 공통셀 즉 셀재생정보(C_PB I# 5)에 해당하는 VOB# 5이다.
위테두 몸체는 프로그램 체인지(VTS_PGC#1)의 C_PB I# 6에 해당하는 VOB# 6이다.
아래 테두리 몸체는 프로그렘 체인지(VTS_PGC#2)의 C_PB I# 6에 해당하는 VOB# 6이다.
오른쪽 테두리 본체는 프로그램 체인지(VTS_PGCI#1, VTS_PGCI# 2)의 공통의 셀, 즉 재생정보(C_PB I#7)에 해당하는 VOB# 8이다.
도면 있어서, 경로 A는 프로그램 체인(VTS PGCI# 1의 C_PB I# 5∼7)을 나타내다. 경로 B는 프로그램 체인(VTS_ PGCI#2의 C_PBI# 5∼7)을 가리킨다. 본 도면에서는 각각 1V0B에 1셀이 대응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DSI라고 쓰여진 부분은 DSI팩정보를 포함하는 내브팩(NV)을 나타내다. VOBU서치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이하, 본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는 DS1팩이라고 설명한다. V는 비디오팩으로 복수의 비디오팩에 의해 VOBU가 구성된다. 도면에 있어서, VOBU는 DSI팩으로부터, 다음 DSI팩직전의 팩까지이다. 도 50, 도 54로서는 2개의 비디오 팩에 의해 1VOBU를 구성하고 있다. A는 오디오팩으로, 1VOBU에 해당하는 길이의 오디오 데이터가 복수의 오디오팩에 분할하여 기록되어 있다. 도 53, 도 54, 도 55에서는 1개의 오디오팩으로 1VOBU 해당한다. SP는 부영상팩으로 부영상데이터가 포함되고 있다.
도 53은 1개 걸러서 VOBU상당 데이터를 재생하고 빨리감기를 하는 경우를가리킨다. 2개의 VTS_PGC의 공통의 VOB(VOB#5)를 사용하는 C_PBI#5의 초기의 DSI팩의 VOBU서치정보로부터, 다음 DSI팩의 어드레스를 얻어, 초기의 VOBU를 소정량만 재생한 뒤, 다음 DSI팩(C_PB I#5의 3번째의 DSI) D를 포함하는 VOBU를 재생한다. 그 DSI팩의 VOBU서치정보로부터 다음 DSI팩의 어드레스를 판독하면) “3 FFFFFFFh"으로 되기 때문에, 경로 A의 VTS_PGC#1를 재생중에 있으면, 그 프로그램 체인지 정보로부터, VTS_PG# 1의 C_PBI# 6 (VOB# 6)의 최초의 DSI팩의 어드레스를 얻어, C_PBI# 5 (VOB# 5)의 3번째의 DSI팩을 포함하는 VOBU의 비디오팩을 소정량 재생한 뒤, C_PBI# 6 (VOB# 6)의 최초의 DSI팩을 판독한다. 이와 같이 하여, 프로그램 체인을 찾으면서 특수재생을 행한다.
비디오팩를 어떻게 재생할까, 즉, GOP내의 I프레임만을 재생하는 것이나 또는 P프레임도 재생하는 것일까라는 것인가 셀사이를 이동한 최초의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은 몇 번째의 VOBU에서 할것인가 등의 특수재생의 속도 등에 따라 다르다.
도 54는 2개의 VTS_PGC의 공통의 VOB(VOB#8)을 사용하는 C_PBI#7의 최후에서, 통상속도로 역방향에 재생하는 경우의 특수재생의 예이다.
우선, C_PBI#7(VOB# 8)의 최후의 DSI팩의 VOBU서치정보를 판독하고 1개 앞의 DSI팩의 어드레스를 얻어, 최후의 DSI팩를 포함하는 VOBU의 비디오팩을 소정량재생 하고 1개 앞의 DSI팩을 판독한다. 마찬가지로, 그 전의 DSI팩의 어드레스를 얻어, VOBU를 재생한다. 이를 계속해서 C_PBI#7(VOB# 8)의 선두의 DSI팩의 VOBU서치정보로부터 1개 앞의 DSI팩의 VOBU서치정보를 판독하면 어드레스가 “3 FFFFFFFh"이고, 경로 C를 재생중에 있으면, 프로그램 체인정보(VTS_PGC#1)로부터, C_PB I# 6의 최후의 DSI패킷을 포함하는 내브팩(NV)의 어드레스, 즉 셀재생정보(C_PB I)내의 셀종료 VOBU어드레스(C_LVOBU_SA)를 얻어, C_PB I# 6의 최후의 DSI팩을 포함하는 VOBU의 비디오팩을 소정량 재생한다. 이와 같이하여, 역방향 재생을 프로그램 체인을 반대로 찾으면서 행한다.
이상과 같이,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에서 공통신을 갖는 경우의 특수재생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셀사이의 심리스재생에 대응하기 위해서 인터리브된 셀에 대하여도, 인터리브 블록은 VOBU단위이고, 각 VOBU의 내브팩(NV)에 VOBU서치정보(VOBU_SRI)를 기록하는 것으로, VOBU서치정보내에 기록되는 상대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적으로 배치된 셀보다 이동이 큰 것으로 되지만, 연속블록내의 셀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으로 공유된 셀의 특수재생이 순방향, 역방향으로도 할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구조의 작성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도 34∼도 44에 가리키는 엔코드순서에 따라서 생성한다.
도 34∼도 44의 엔코드 순서중에서, 본 발명에서는, 도 57, 도 58, 도 59, 도 60에 가리킨 포맷순서의 일부가 다르다. 각각, VOBU의 내브팩(NV)에 VOBU의 최종위치(VOBU_EA) 등의 기록에 가해져, 도 32에서 가리킨 본 발명의 특징인 VOBU서치정보의 기록을 가하는 것이 된다. 이하, 각각의 포맷순서에 관해서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도 41에서 가리키는 멀티앵글 비심리스 전환포맷터 순서로서는, 스텝 #2350에서 얻어진 VOBU4정보, 스텝 #2352에서 얻어진 VTSTT_VOBS데이터를 기초로 스텝 #2356에서의 셀개시 VOBU어드레스(C_FVOBU_SA)와 셀종단 VOBU어드레스(C_LVOBU_SA)를 기록함과 동시에, 도 32에 가리킨 VOBU서치정보(VOBU_SRI)에 대응하는 VOBU의 내브팩(NV) 어드레스를 기록한다. 각 FWDI n 및 BWDIn의 기록에 있어서, VOBU서치정보(VOBU_SIR)가, 셀을 넘는 경우에는, “3 FFFFFFFh"을 기록한다.
도 42에서 가리키는 멀티앵글 심리스 전환포맷터에는 멀티앵글 비심리스 전환포맷터 순서와 같이, 스텝 #2380에서 얻어진 VOBU정보, 스텝 #2382에서 얻어진 VTSTT_VOBS데이터에 근거하여, 스텝 #2386에서의 셀개시 VOBU어드레스(C_FVOBU_SAA)와 셀종단(VOBU) 어드레스(C_LVOBU_SA)를 기록함과 동시에, 도 32에서 가리킨 VOBU서치정보(VOBU_SIR)에 대응하는 VOBU의 내브팩(NV) 어드레스를 기록한다. 각 RUM n 및 mVDI n의 기록에 있어서, VOBU서치정보 VOBU상 m이, 셀을 넘는 경우에는, “3 FFFFFFFh"을 기록한다.
도 43에서 가리키는 파렌털 제어의 다중장면의 포맷터 순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텝 #2410에서 얻어진 VOB정보, 스텝 #2412에서 얻어진 VTSTT_VOBS데이터에 근거하여, 스텝 #2316에서의 셀개시 VOBU어드레스(C_FVOBU_SA)와 셀종단 VOBU어드레스(C_LVOBU_SA)를 기록함과 동시에, 도 32에서 가르키는 VOBU서치정보(VOBU_SRI)에 대응하는 VOBU의 내브팩(NV) 어드레스를 기록한다. 각 FWDIn 및 BWmn의 기록에 있어서, VOBU서치정보(VOBS_SRI)가 셀을 넘는 경우에는,“3 FFFFFFFh"을 기록한다.
도 44에서 가리키는 단신의 포맷터순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텝 #2434에서 얻어진 VOBU 정보에 근거하여, 스텝 #2438에서의 셀개시 VOBU어드레스 (C_FVOBU_SA)와 셀종단 VOBU어드레스(C_LVOBU_SA)를 기록함과 동시에, 도 32에서 가리키는 VOBU서치정보(VOBU_SRI)에 대응하는 VOBU의 내브팩(NV) 어드레스를 기록한다. 각 FWDI n 및 BWDIn의 기록에 있어서, VOBU서치정보(VOBU_SRI가 )셀을 넘는 경우에는“3 FFFFFFFh"을 기록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데이터구조를 작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의 실시형태에서는 특수재생을 재빠르게 하기위한 스킵선단의의 어드레스가, 셀경계를 넘는 경우에는, 셀경계를 넘은 것을 가리키는 특수한 데이터를 가리킨 것이었지만, 제2의 실시형태는 특수재생을 재빠르게 하기위한 스킵전번의 어드레스가, 셀경계를 넘지 않은 어드레스로 제한하는 것이다.
실시형태2는 실시형태1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실시형태2에의한 광디스크의 논리구조가 실시형태1의 경우와 다른 점은 내브팩(NV)의 DSI팩 어드레스정보에 기술되는 트릭 플레이 정보인 VOBU서치정보 (VOBU_SRI)의 기록에 관한 부분이다.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나브NV의 VOBU서치정보(VOBU_SRI)는, 그 나브NV가 속해 있는 셀이외를 가리키는 어드레스를 기록하지않는다고 하는 점에 관해서는 실시형태1와 동일한다. 다른 점은 셀의 양단의 VOBU를 제외한 VOBU의 나브NV의 VOBU서치정보(VOBU_SRI)가 특수재생에 있어서, 다음에 재생해야 할 VOBU가 셀경계를 넘는 경우, 셀의 양단의 VOBU의 나브NV의 어드레스를 기술하는 것이다.
즉, 역방향의 재생에 관련된 「BWDP rev」, 「BWD60」,「BWD2026」, 「BWD19」, 「BWD2」, 「BWD1 등이 셀경계를 넘는 경우, 셀의 선두의 VOBU의 나브NV의 어드레스를 기술한다. 또한 순방향의 재생에 관련된 「FWDNT」, 「FWD60」,「FWD20」,「FWD19」, 「FWD2」, 「FWD1」등이 셀경계를 넘는 경우, 셀의 최후의 VOBU의 내브팩(NV)의 어드레스를 기술한다.
셀의 선두의 VOBU의 내브팩(NV)에서는 역방향의 재생에 관련된 「BWDP rev」, 「BWD60」,「BWD2026」, 「BWD19」, 「BWD2」, 「BWD1등이 어드레스는「0」이고 셀의 최후의 V0BU의 내브팩(NV)의 VOBU서치정보에는 순방향의 재생에 관련된「FWDNext」, 「FWD60」,「FWD20」,「FWD19」, 「FWD2」, 「FWD1」 등이 어드레스는「0」이 된다.
이상에서 처럼, VOBU의 내브팩(NV)의 VOBU서치정보(VOBU_SRI)에는 그 셀이외의 어드레스는 기록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다른 프로그램 체인에서 더욱 그 셀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셀을 구성하는 VOB데이터의 변경을 할 필요는 없게 데이터작성이 용이하다.
제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재생장치는 제1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디코드시스템제어부의 처리순서를 도 56에 가리킨다.
도면에 있어서, 도 52에서 가리키는 제1의 실시형태와 거의 같다. 다른 점에 관해서, 이하 설명한다.
제1의 실시형태인 도 52의 스텝 #331204에서 어드레스가「3 FFFFFFFh」인 가를 평가한다는 점이 도 56에서는 어드레스가 「0」인가를 평가한다는 점이 다르다. 그 밖의 스텝의 내용은 도 52와 마찬가지다. 즉, 도면에서 가리키는 순서에 있어서, 셀경계를 넘는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것으로 VOBU서치정보로부터 추출되는 다음 스킵선의 어드레스 정보인 Adsi정보가, 제1의 실시형태로서는「3 FFFFFFh」이지만, 제2의 실시형태로서는「0」이라는 점이 다르다. 또한, 빨리 감기 시에는 셀종단의 VOBU의 내브팩(NV)이, 역되돌리기 때에는, 셀선두의 VOBU의 내브팩(NV)이 필히 판독출력된다는 점이 다르다.
이 차에 의해서, 프로그램 체인(VTS_PGCI#i)의 재생처리가 다른 것은 없다. 그러나, 실제로 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는 다르기 때문에,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특수재생시의 프로그램 체인의 재생방법을 설명한다.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수재생시의 프로그램 체인의 재생방법을 도시한 도 53에 대응 하는 경우의 제2의 실시형태의 도면은 도 55이다.
도 55에 있어서, 도 52와 같이, 좌테두리 몸체는 도 30 및 도 31에 가리킨다, 프로그램 체인(VTS_PGCI#1, VTS_PGCI# 2)의 공통셀, 즉 셀재생정보(C_PB I#5)에 해당하는 VOB# 5이다.
위테두리 몸체는 프로그램 체인(VTS_PGC#1)의 C_PB I# 6에 해당하는 VOB# 6이다.
하테두리 몸체는 VTS_PGC#2의 C_PB I# 6에 해당하는 VOB# 6이다.
오른쪽 테두리신은 프로그램 체인 VTS_PGCI#1, VTS_PGCI# 2의 공통셀, 즉 셀재생정보 C_PBI# 7에 해당하는 VOB#8이다.
도면에 있어서, 경로 A는 프로그램 체인(VTS_PGCI#1)의 C_PBI# 5∼7를 나타내고 경로 B는 프로그램 체인(VTS_PGCI#2)의 C_PBI# 5∼7를 가리킨다. 본 도면으로서는 각각 1VOB에 1셀이 대응하고 있다.
도면에서, DSI로 기록된 부분은 DSI팩정보를 포함하는 내브팩(NV)을 나타내고 VOBU서치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이하, 본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는, DSI팩이라고 설명한다. 또한, VOBU의 구성은 도 52도 마찬가지다.
도 55에 있어서, 도 52와 다른점은 경로 A 및 경로 B의 재생에 있어서, 반드시 셀종단의 VOBU의 내브팩(NV)을 추출하여 재생하는 점이 다르다.
또한, VOBU를 어떻게 재생할까, 또한 셀을 이동한 후의 최초의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은 그 셀의 몇 번째의 DSI에서 할것인가는 특수재생의 속도 등에 의하여 어디보다 다른 것은 제1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제2의 실시형태의 되돌리기 재생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역되돌리기 재생의 속도가 변화하더라도, 재생시에 있어서 반드시 셀의 선두의 VOBU의 내브팩(NV)을 추출하는 것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에서 공통신을 갖는 경우의 특수재생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또한, 제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의 실시형태와 같이 셀사이의 심리스 재생에 대응하기 위해서 인터리브된 셀에 대하여도 인터리브 블록은 VOBU단위이고, 각 VOBU의 내브팩(NV)에 VOBU서치정보(VOBU_SRI)를 기록하는 것으로, VOBU서치정보내에 기록되는 상대 어드레스 정보는 연속적으로 배치된 셀보다 이동이 큰 것으로 되지만, 연속블록내의 셀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으로 공유된 셀의 특수재생이 순방향, 역방향으로도 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구조의 작성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제1의 실시형태와 같이, 도 34∼도 44에 가리키는 엔코드 순서에 따라서, 도 34∼도 44의 엔코드 순서중에서, 도 41, 도 42, 도 43, 도 44에 가리킨 포맷순서의 일부가 다르다. 각각, VOBU의 내브팩(NV)에 VOBU의 최종위치 (VOBU_EA) 등의 기록에 덧붙여, 도 32에서 나타내는 본 발명의 특징인 VOBU서치정보의 기록을 가하는 것이 된다. 이하, 각각의 포맷순서에 관해서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도 41에 가리키는 멀티앵글 비심리스 전환포맷터 순서로서는, 스텝 #2350에서 얻어진 VOBU정보, 스텝 #2352에서 얻어진 VTSTT_VOBS데이터에 근거하여, 스텝 #2356에서의 셀개시 VOBU어드레스(C_FVOBU_SA)와 셀종단 VOBU어드레스(C_LVOBU_SA)를 기록함과 동시에, 도 32에 도시된 VOBU서치정보(VOBU_SRI)에 대응하는 VOBU의 내브팩(NV) 어드레스를 기록한다. 각 FWDI n 및 BWDh의 기록에 있어서, VOBU서치정보(VOBU_DRI)가, 셀을 넘는 경우에는 셀의 양단에 위치하는 V0BU의 어드레스를 기록하고 셀의 양다리의 VOBU에는“0"을 기록한다.
또한, 도 42에서 가리키는 멀티앵글 심리스 전환 포맷터로서는 멀티앵글 비심리스 전환포맷터 순서와 같이, 스텝 #2380으로 얻어진 VOBU정보, 스텝 #2382에서 얻어진 VTSTT_VOBS데이터에 근거하여, 스텝 #2386에서의 셀개시 VOBU 애드레(C_FVOBU_SA)와 셀종단 VOBU어드레스(C_LVOBU_SA)를 기록함과 동시에, 도 32에서 가리킨 VOBU서치정보(VOBU_SRI)에 대응하는 VOBU의 내브팩(NV) 어드레스를 기록한다. 각 FWDIn 및 BWDIn의 기록에 있어서, VOBU서치정보(VOBU_SRI)가, 셀을 넘는 경우에는, 셀의 양단에 위치하는 VOBU의 어드레스를 기록하여, 셀의 양단의 VOBU에는“0"을 기록한다.
도 43에서 가리키는 파렌털제어의 다중장면의 포맷터 순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텝 #2410에서 얻어진 VOBU정보, 스텝 #2412에서 얻어진 VTSTT_VOBS 데이터를 근거하여, 스텝 #2316에서의 셀의 개시 VOBU어드레스(C_FVOBU_SA)와 셀종단 VOBU어드레스(C_LVOBU_SA)를 기록함과 동시에, 도 32에서 가리키는 VOBU서치정보(V0BU_SRI)에 대응하는 VOBU의 내브팩(NV) 어드레스를 기록한다. 각 RQIn 및 BWDh의 기록에 있어서, VOBU서치정보(VOBU_SRI)가, 셀을 넘는 경우에는, 셀의 양단에 위치하는 VOBU의 어드레스를 기록하여, 셀의 양단의 VOBU에는 “0"을 기록한다.
도 44에 나타난 단신의 포맷터 순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텝 #2434에서 얻어진 VOBU정보에 근거하여, 스텝 #2438에서의 셀개시 V0BU어드레스(C_FVOBU_SA)와 셀종단 V0BU어드레스(C_LVOBU_SA)를 기록함과 동시에, 도 32에서 가리킨 VOBU서치정보(VOBU_SRI)에 대응하는 VOBU의 내브팩(NV) 어드레스를 기록한다. 각 FWDI n 및 BWDIn의 기록에 있어서, VOBU서치정보(VOBU_SRI)가, 셀을 넘는 경우에는, 셀의 양단에 위치하는 V0BU의 어드레스를 기록하고 셀의 양단의 VOBU에는“0"을 기록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의 데이터구조를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을 파렌털제어의 타이틀에 적용, 즉 1개의 프로그램 체인(VTS_PGC#1)을 어른용 PGC, 다른 프로그램 체인(VTS_PGC#2)을 아이용 PGC으로 하는 것으로, 각각의 프로그램 체인에 있어서, 특수재생이 실현된다. 또한, 멀티앵글 신이있는 프로그램 체인에 있어서, DVD에서는 1개의 앵글은 1개의 셀로부터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1개의 앵글내에서의 특수재생은 실현가능하다. 또한, 특수재생시에, 공통 셀로부터, 멀티앵글의 1개의 셀에 이동하는 경우에는 타이틀 재생시에 디폴트 혹은 사용자가 설정하는 앵글번호에 해당하는 셀에 이동함에 의해, 실현되어 멀티앵글 셀로부터, 공통셀에의 이동때는 파렌털 제어때와 마찬가지인 제어를 행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각 실시형태에서는 시스템 스트림중에 인터리브되는 데이터서치정보가 압축단위인 GOP마다 인터리브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데이터서치정보팩이 인터리브되는 단위는 GOP에 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DVD판독전용 디스크에 의해 설명을 하였지만 개서가능한 디스크이더라도 효과는 같다.
더욱, 메뉴의 개념은 널리 사용자에게 선택을 구하는 수단이고, 원격제어기의 텐키이에 의한 선택에 아무런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마우스 조작에 있어서도 음성에 의한 지시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시스템 스트림은 MPEG규격에 준거하고 있지만 장래규격이 확장되거나, 새로운 규격의 것이 사용되더라도, 복수의 데이터가 인터리브되어, 시계열적으로 재생되는 것이면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인터리브되는 압축동작 화상데이터의 수는 1개라고 설명을 진행시키었지만 본질적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트릭 플레이 정보는 데이터 서치정보에 기술되어, 시스템 스트림에 인터리브것으로, 설명을 진행시키었지만, 재생되는 비디오데이터, 오디오데이터에 부수한 정보로서 기술되어 있으면 반드시 시스템 스트림에 인터리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셀의 선두에, 셀에 포함되는 모든 트릭 플레이 정보가 기술되어 있더라도, 모든 셀의 트릭 플레이 정보가 같은 영역에 기술되어 있더라도, 그 정보가 필요할 때는 지금까지 설명을 하여 온 경우와 변하지 않고, 효과도 변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체인지정보가 기술되는 위치는, 실제로 재생되는 데이터와 분리하여 판독출력하면 좋고 본 실시형태에 가리킨 위치에 기술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셀의 선두의 데이터는 데이터 서치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인 것을 전제로 하였지만, 반드시 선두인 필요는 없고 관련되는 비디오데이터, 오디오데이터, 부영상데이터가 식별가능하면 데이터 서치정보, 비디오데이터, 오디오데이터, 부영상데이터, 각각의 기록의 순서는 묻지 않는다.
또한, 특수재생시의 셀내의 재생 및 셀사이의 재생에 있어서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 설명한 방법이외의 방법도 있지만, 셀사이의 재생은 트릭 플레이 정보에 기술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셀의 단부의 검출에 어드레스 3FFFFFFh」혹은 어드레스「0」혹은, 그 밖의「셀외」를 가리키는 것이 검출할 수 있는 값을 이용하여, 셀사이의 재생에 있어서는, 프로그렘 체인지 정보를 이용하면 좋다.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으로 셀을 공유한 경우라도, 임의의 프로그램 체인에 있어서, 고속의 빨리보내기 통상속도 및 고속의 되돌리기의 특수재생을 스무스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이러한 비트 스트림의 인터리브로서 매체에 기록재생하는 방법 및 그 장치는 여러 가지 정보를 반송하는 비트 스트림으로 구성된 타이틀을 사용자의 요망에 응해서 편집하여 새로운 타이틀을 구성할 수가 있는 오소링시스템에 쓰는 데 알맞고, 더욱 근년 개발된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시스템, 소위 DVD시스템에 적합한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정보층(RS)을 지니는 광디스크(M)에 있어서, 해당정보(RS)는,
    적어도 동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와,
    특수재생시의 모드에응해서 다음에 재생해야 할데이터의 위치정보를 기술한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을 갖는 재생제어정보가 GOP 단위로 인터리브기록된 복수의 시스템 스트림(VOB) 및 1개 이상의 시스템 스트림으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체인에 있어서의 시스템 스트림의재생순서를 나타내는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에 기록되고,
    적어도 1개의 시스템 스트림(CELL, C_PBI)이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VTS_PGC)에 의해서 공유되어, 해당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에는 시스템 스트림의 재생순서(C_PBI)로 맞추어서 각각의 시스템 스트림의선두(C_FVOBU_SA)의 데이터의 위치정보와 시스템 스트림의 최후(C_LVOBU_SA)의 재생제어정보의 위치정보가 기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M).
  2. 적어도 하나의 정보층을(RS)갖는 광디스크(M)에 있어서, 해당 정보층은
    적어도 동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와,
    특수재생시의 모드에 응해서 다음에 재생해야 할데이터의 위치정보를 기술한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를 갖는 재생제어정보가 GOP 단위로 인터리브기록된 복수의 시스템 스트림(CELL) 및 1개 이상의 시스템 스트림(CELL)부터되는 프로그렘체인(VTS_PGC)에 있어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에 기록되고,
    적어도 1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이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VTS_PGC)에 의해서 공유되어, 해당재생제어정보의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에 기술되는 위치정보에는 그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자신이 기술되어 있는 재생제어정보(NV)가 포함되는 시스템 스트림내의 위치정보(VOBU_SRI 내의 상대어드레스)및 해당시스템 스트림이외를 가리키는 값(VOBU_SRI내의 “3 FFFFFFFh )중어느1개가 기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M).
  3. 적어도 하나의 정보층(RS)을 갖는 광디스크(M)에 있어서, 해당정보층(RS)에는,
    적어도 동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와,
    특수재생시의 모드에응해서 다음에 재생해야 할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기술하는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를 갖는 재생제어정보(NV)가 GOP 단위로 인터리브기록된 복수의 시스템 스트림(CELL) 및 1개 이상의 시스템 스트림(CELL)부터되는 프로그램 체인(VTS_PGC)에 있어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재생순서을 나타내는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가 기록되고,
    적어도 1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이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VTS_PGC)으로 공유되고,
    해당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L〕에는 시스템 스트림(CELL)의 재생순서로 맞추어서, 각각의 시스템 비트 스트림(CELL)의 선두의 데이터의 위치정보(C_FVOBU_SA)와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의 위치정보(C LV--OBU_SA)가 기술되고,
    해당 재생제어정보(NV)의 트릭플레이(VOBU_SRI) 에 기술되는 위치정보는 그 트릭프레이정보(VOBU_SRI)자신이 기술되어 있는 재생제어정보(NV)가 포함되는 시스템 스트림 (CELL)내의 위치정보(VOBU_SRI내의 상대어레스) 및 해당시스템 스트림(CELL)이외를 가리키는 값(VOBU_SRI 내의 “3 FFFFFFFh ")중어느 1개가 기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M).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초와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의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에 기술되는 위치정보를 특수재생시의 모드원래의 정의에의한 값이 상기 트릭 플레이 정보 (VOBU_SRI)자신이 술되어 있는 재생제어정보(NV)가 포함되는 시스템 스트림(CELL)이외의 위치를 가리키는 경우, 해당 위치정보를 어드레스치「0」으로 기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M).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초와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의 트릭플레이 정보(VOBU_SRI)에 기술되는 위치정보를 특수재생시의 모드 원래의 정의에 의한 값이 상기 트릭 플레이 정보자신(VOBU_SRI)이 기술되어 있는 재생제어정보(NV)가 포함된 시스템 스트림(CELL)이외의 위치를 가리키는 경우, 해당 위치정보를 어드레스치「3 FFFFFFh」으로 기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M).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초의 재생제어정보(NV)의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중에서, 역방향재생에 관한 위치정보을 어드레스치을 「0」,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의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의 안에서, 순방향재생에 관한 위치정보를 어드레스치 「0」으로 하고, 그 밖의 트릭 플레이 정보(V0BU_SRI)에 기술되는 위치정보는 특수재생시의 모드원래의 정의에의한 값이 상기 트릭 플레이 정보자신이 기술되어 있는 재생제어정보(NV)가
    포함되는 시스템 스트림(CELL)이외의 위치를 가리키는 경우, 순방향재생에 관한 위치정보는 해당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를 가리키는 어드레스치로 하고, 역방향재생에 관한 위치정보는 해당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초의 데이터를 가리키는 어드레스치로서 기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7. 제1항, 제 2항, 제 3항, 제4항,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스트림(CELL)에 포함되는 최초의 데이터는 반드시 재생제어정보(NV)이고, 상기 트릭 플레이 정보는 재생해야 할 위치의 재생제어정보(NV)의 위치정보이며, 1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이 재생제어정보(NV)의 기록되는 단위(NV)로, 재생제어정보(NV)를 선두로 한 분할로서 인터리브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M).
  8. 적어도 동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와, 특수재생시의 모드에 응해서 다음에 재생해야 할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기술한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를 갖는 재생제어정보(NV)가 GOP 단위로 인터리브기록된 복수의 시스템 스트림(CELL) 및 1개 이상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가 기록되어, 적어도 1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이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VTS_PGC)에 의해서 공유되고, 해당 포로그램체인정보(VTS_PGC)에는 시스템 스트림(CELL)의 재생순서로 맞추어서 각각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선두의 데이터의 위치정보와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의 위치정보와가 기술된 멀티미디어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광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출력출력수단(2000)과,
    판독출력 데이터를 일시기억하는 트랙버퍼수단(2400) 와,
    해당 트랙버퍼 수단으로부터 판독출력 시스템 스트림(CELL)에 인터리브된 동작 화상데이터, 복수의 부영상데이터, 복수의 오디오데이터 및 재생제어정보(NV)를 서로 분리하는 데이터 디코드수단(2500)과,
    그 판독수단이 판독한 데이터로부터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 I 내의 VTS_PGC)를 판독하고, 다음에 재생해야 할 시스템 스트림(CELL)의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현재 재생중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프로그램 체인(VTS_PGC)의 중에서의 순방향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정보(C_PBI#j)를 기억하는 재생순서 카운터(j) 및 재생모드가 순방향재생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의 재생 순서 카운터(j)를 나타내는 순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선두의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선택하고, 또한 재생모드가 역방향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의 재생순서 카운터(j)를 나타내는 순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의 위치정보(C_LVOBU_SA)를 선택하는 위치정보 선택수단(스텝 #331212)에 의해 구성된 시스템 스트림(CELL) 선택수단과,
    해당 데이터 디코드수단에 의해 분리된 재생제어정보(NV)의 트릭플레이 정보(VOBU_SRI)로부터 그 때의 재생모드에 응해서 다음에 재생해야 할데이터의 위치정보를 판독하는 재생위치 선택수단(스텝 #331203)과,
    해당 시스템 스트림 선택수단 및 해당 재생위치 선택수단으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위치정보에 응해서, 판독수단을 제어하는 판독제어수단(스텝 #331205)과,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 부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디코드하여 디코드 결과를 기본으로 영상출력 및 음성출력을 행하는 출력처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의 재생장치(DCD).
  9. 적어도 동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와, 특수재생시의 모드에 응해서 다음에 재생해야하는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기술한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를 갖는 재생제어정보(NV)가 GOP단위로 인터리브 기록된 복수의 시스템 스트림(CELL) 및 1개 이상의 시스템 스트림(CELL)으로된 프로그램 체인(VTS_PGC)에 있어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가 기록되고, 적어도 1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이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VTS_PGC)으로 공유되고, 해당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에는 시스템 스트림(CELL)의 재생순서에 따라 각각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선두의 데이터의 위치정보와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의 위치정보가 기술되고, 해당 재생제어정보(NV)의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에 기술되는 위치정보는 해당 트릭 플레이 정보자신이 기술되어 있는 재생제어정보(NV)가 포함하는 시스템 스트림(CELL)안의 위치정보 및 해당 시스템 스트림(CELL)이외를 가리키는 값중 어느 1개가 기술된 멀티미디어 광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로 있어서,
    광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수단(2000)과,
    판독된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는 트랙버퍼수단(스텝400)과
    해당 트랙버퍼수단으로부터 판독된 시스템 스트림(CELL)에 인터리브된 동화상 데이터, 복수의 부영상데이터, 복수의 오디오데이터 및 재생제어정보(NV)를 서로 분리하는 데이터 디코드수단(2500)과,
    판독수단이 판독한 데이터로부터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를 판독하고, 다음에 재생해야 할 시스템 스트림(CELL)의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현재 재생중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프로그램 체인(VTS_PGC)의 중에서의 순방향의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순서정보(C_PBI#j)를 기억하는 재생순서 카운터 및 재생모드가 순방향 재생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의 재생모드가 순방향 재생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의 재생순서 카운터를 나타내는 순서의 시스템 스트림 셀(CELL)의 선두의 데이터의 위치정보(C_FVOBU_SA)를 선택하고, 또한 재생모드가 역방향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의 재생순서 카운터를 나타내는 순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의 위치정보(C_LVOBU_SA)를 선택하는 위치정보 선택수단에 의해 구성된 시스템 스트림 선택수단과.
    해당 데이터 디코드수단에 의해 분리된 재생제어정보(NV)의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에서, 그 때의 재생모드에 응해서 다음에 재생해야 하는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판독하는 수단(스텝 #331203)으로서,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재생위치 추출수단 및 추출된 위치정보가 시스템 스트림(CELL)이외를 가리키는 값(3 FFFFFFh")인 경우(스텝 #331206의 YES)에는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후 혹은 최초인 것을 가리키는 스트림 단부신호를 출력하는 시스템 스트림 단부검출수단(스텝 #331208 또는 스텝 #331211)에 의해 구성된 재생위치 선택수단과,
    스트림 단부검출 신호가 출력할 수 있으면, 재생순서 카운터를 순방향 재생모드의 경우 1개 진행시켜, 역방향재생 모드의 경우 1개 감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재생순서 변경수단과,
    해당 시스템 스트림 선택수단 및 해당 재생위치 선택수단으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위치정보에 응해서, 판독수단을 제어하는 판독수단 제어수단과,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 부영상데이터, 오디오데이터를 각각 디코드하고 디코드결과에 따라서 영상표시 및 음성출력하는 출력처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재생장치(DCD).
  10. 제9항에 있어서, 시스템 스트림 단부검출수단이 추출된 위치정보가 어드레스「3 FFFFFFFh」인 것에 의하여, 시스템 스트림(CELL)이외를 가리키는 것을 검출하고,
    다음에 재생해야 할 데이터의 위치정보로서 현재 재생중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의 위치정보 또는 최초의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출력함과 동시에,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후 또는 최초인 것을 가리키는 스트림 단부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재생장치(DCD).
  11. 제6항, 제7항, 제8항 또는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디스크 재생장치이며 시스템 스트림(CELL)에 포함되는 최초의 데이터는 반드시 재생제어정보(NV)이고,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는 재생해야 할 위치의 재생제어정보(NV)의 위치정보(NV)이며, 1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이 재생제어정보(NV)의 기록되는 단위로서, 재생제어정보(NV)를 선두로 한 분할로 인터리브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M)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광디스크재생장치(DCD).
  12. 적어도 동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와, 특수재생시의 모드에 응해서 다음에 재생해야 할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기술한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D를 갖는 재생제어정보(NV)가 GOP단위로 인터리브 기록된 복수의 시스템 스트림(CELL)및 1개 이상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가 기록되고, 적어도 1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이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VTS_PGC)에 의해서 공유되며, 해당 프로그램 체인(VTS_PGC)에는 시스템 스트림(CELL)의 재생순서에 따라 각각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선두의 데이터의 위치정보와 시스템 스트림의 EU의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의 위치정보가 기술된 멀티미디어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수단을 이용하여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재생모드가 순방향재생의 경우에 있어서,
    현재 재생중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후까지 재생한 경우, 현재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프로그램 체인(VTS_PGC)에서의 순방향의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재생순차 카운터를 1가산하고, 재생순차 카운터가 가리키는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초의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이 위치재생정보가 나타내는 위치까지 판독수단을 작동하여 다음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재생모드가 역방향재생의 경우에 있어서, 현재 재생하고 있는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초의 데이터까지 재생한 경우, 현재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프로그램 체인(VTS_PGC)에서의 순방향의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재생카운터 1을 감산하고 이 재생순서 카운터가 나타내는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이 위치정보가 가리키는 위치까지 그 판독수단을 작동하여 다음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13. 적어도 동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와, 특수재생시의 모드에 응해서 다음에 재생해야 할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기술한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를 갖는 재생제어정보(NV)가 GOP단위로 인터리브 기록된 복수의 시스템 스트림(CELL) 및 1개 이상의 시스템 스트림(CELL)으로된 프로그램 체인(VTS_PGC)에 있어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가 기록되어, 적어도 1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이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VTS_PGC)로 공유되고, 해당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에는 시스템 스트림(CELL)의 재생순서에 따라, 각각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선두의 데이터의 위치정보와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의 위치정보가 기술되며, 해당 재생제어정보(NV)의 트릭 플레이 정보에 기술되는 위치정보는 해당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 자신이 기술되어 있는 재생제어정보(NV)가 포함되는 시스템 스트림에 (CELL)중의 위치정보 및 해당 시스템 스트림(CELL)이외를 가리키는 값의 어느 1개가 기술된 멀티미디어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수단을 이용하여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재생모드가 순방향재생의 경우에 있어서, 재생제어정보(NV)의 트릭 플레이 정보의 순방향재생에 대응하는 다음에 재생해야 할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판독하고, 그 값이 시스템 스트림(CELL)내를 나타내는 경우, 값이 가리키는 위치까지 판독수단을 작동하여 다음 데이터를 판독하지만,
    해당치가 시스템 스트림(CELL)이외를 가리키는 경우, 현재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프로그램 체인(VTS_PGC)에서의 순방향의 재생순서를 가리키는 재생순서 카운터를 1가산하고, 재생순서 카운터가 가리키는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초의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위치정보가 가리키는 위치까지 판독수단을 작동하여 다음 데이터를 판독하며,
    재생모드가 역방향재생의 경우에 있어서, 재생제어정보(NV)의 트릭 플레이 정보의 역방향재생에 대응하는 다음에 재생해야 할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판독하고, 그 값이 시스템 스트림(CELL)내를 가리키는 경우, 값이 가리키는 위치까지, 판독수단을 움직여서 다음 데이터를 판독했으나, 값이 시스템 스트림(CELL) 이외를 가리키는 경우, 현재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프로그램 체인(VTS_PGC)에서의 순방향의 재생순서를 가리키는 재생순서 카운터를 1감산하고서, 재생순서 카운터가 가리키는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위치정보가 가리키는 위치까지 판독수단을 움직여, 다음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M)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시스템 스트림(CELL) 이외를 가리키는 값으로서 어드레스「3FFFFFFh」를 사용하는 트릭 플레이 정보에 기술된 어드레스가 어드레스「0」이외인 경우, 시스템 스트림(CELL)내의 위치정보로 하고, 어드레스「3FFFFFFFh」인 경우, 시스템 스트림(CELL)이외를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M)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15. 적어도 동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와, 특수재생시의 모드에 응해서 다음에 재생해야 할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기술한 트릭 플레이 정보(VOBU SRI)를 갖는 재생제어정보(NV)가 GOP단위로 인터리브 기록된 복수의 시스템 스트림(CELL) 및 1개 이상의 시스템 스트림(CELL)으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체인(VTS_PGC)에 있어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를 기록하고,
    적어도 1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이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VTS_PGC)으로 공유되어 있는 경우에,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에 시스템 스트림 (CELL)의 재생순서에 따라서, 각각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선두의 데이터의 위치정보와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의 위치정보를 기술하여 , 트릭 플레이 정보에 특수재생시의 모드에 의거한 다음에 재생해야 할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M)에 기록하는 방법.
  16. 적어도 동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와, 특수재생시의 모드에 따라서 다음에 재생해야 할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기술한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를 갖는 재생제어정보(NV)가 GOP단위로 인터리브 기록된 복수의 시스템 스트림(CELL) 및 1개 이상의 시스템 스트림(CELL)으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체인(VTS_PGC)에 있어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를 기록하고,
    적어도 1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이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VTS_PGC)으로 공유되어 있는 경우에,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에, 시스템 스트림(CELL)의 재생순서에 따라서 각각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선두의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기술하고,
    적어도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초와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의 트릭 플레이 정보에 기술되는 위치정보를 특수재생시의 모드 원래의 정의에 의한 값이, 해당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 자신이 기술되어 있는 재생제어정보(NV)가 포함되는 시스템 스트림(CELL)내의 위치정보인가, 혹은 해당 시스템 스트림(CELL) 이외를 가리키는 값을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M)에 기록하는 방법.
  17. 적어도 동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와, 특수재생시의 모드에 응해서 다음에 재생해야 할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기술한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를 갖는 재생제어정보(NV)가 GOP단위로 인터리브 기록된 복수의 시스템 스트림(CELL) 및 1개 이상의 시스템 스트림(CELL)으로되는 프로그램 체인(VTS_PGC)에 있어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를 기록하고,
    적어도 1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이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VTS_PGC)으로 공유되어 있는 경우에, 프로그램 체인 정보(VTS_PGC)에, 시스템 스트림(CELL)의 재생순서에 따라서 각각의 시스템 스트림(CELL)의 선두의 데이터의 위치정보와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의 위치정보를 기술하고,
    적어도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초와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의 트릭 플레이 정보에 기술되는 위치정보를 특수재생시의 모드 원래의 정의에 의한 값이 해당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 자신이 기술되어 있는 재생제어정보(NV)가 포함되는 시스템 스트림(CELL)내의 위치정보인지 혹은 해당 시스템 스트림(CELL) 이외를 가리키는 값으로서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M)에 기록하는 방법.
  18. 제15항, 제16항 또는 제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초와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의 트릭 플레이 정보에 기술되는 위치정보를, 특수재생시의 모드 본래의 정의에 의한 값이 상기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 자신이 기술되어 있는 재생제어정보(NV)가 포함되는 시스템 스트림(CELL)이외의 위치를 가리키는 경우, 해당 위치정보를 어드레스값「3 FFFFFFh」로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에 기록하는 방법.
  19. 제15항, 제16항 또는 제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초의 재생제어정보(NV)의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중 안에서, 순방향 재생에 관한 위치정보를 어드레스값「0」,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의 (VOBU_SRI)중에서, 순방향재생에 관한 위치정보를 어드레스치「0」으로 하고, 그 밖의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에 기술되는 위치정보는 특수재생시의 모드 원래의 정의에 의한 값이, 상기 트릭 플레이 정보 자신이 기술되어 있는 재생제어정보(NV)가 포함되는 시스템 스트림(CELL)이외의 위치를 가리키는 경우, 순방향재생에 관한 위치정보는 해당 시스템 스트림(CELL)의 최후의 재생제어정보(NV)를 가리키는 어드레스치로하고 역방향재생에 관한 위치정보는 해당 시스템 스트림에 접시력의 최초의 데이터를 가리키는 어드레스치로서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에 기록하는 방법.
  20. 제15항, 제16항, 제17항, 제18항, 제19항 또는 제2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스템 스트림(CELL)에 포함되는 최초의 데이터는 반드시 재생제어정보(NV) 이고 트릭 플레이 정보(VOBU_SRI)는 재생해야 할 위치의 재생제어정보(NV)의 위치정보이이며, 1개의 시스템 스트림(CELL)이 재생제어정보(NV)의 기록되는 단위로서, 재생제어정보(NV)를 선두로 한 분할로서 인터리브 기록된 멀티미디어 광디스크(M) 에 기록하는 방법.
KR1019980702370A 1995-09-29 1996-09-27 복수의서치재생경로정보를비트스트림에부여하는엔코드방법및그장치 KR100348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76574 1995-09-29
JP27657495 1995-09-29
PCT/JP1996/002798 WO1997013361A1 (fr) 1995-09-29 1996-09-27 Procede et dispositif de codage destine a donner des informations d'acheminement de recherche-reproduction a un train bina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898A true KR19990063898A (ko) 1999-07-26
KR100348847B1 KR100348847B1 (ko) 2002-11-18

Family

ID=17571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370A KR100348847B1 (ko) 1995-09-29 1996-09-27 복수의서치재생경로정보를비트스트림에부여하는엔코드방법및그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854873A (ko)
EP (1) EP0847195B1 (ko)
JP (1) JP3325581B2 (ko)
KR (1) KR100348847B1 (ko)
CN (2) CN100354937C (ko)
DE (1) DE69602272T2 (ko)
HK (2) HK1011910A1 (ko)
MX (1) MX9801214A (ko)
MY (1) MY110656A (ko)
TW (1) TW385431B (ko)
WO (1) WO199701336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5207B2 (en) 2003-02-10 2007-11-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animation chunk data and its attribute information for use in an interactive disc
KR100907955B1 (ko) * 2003-09-12 2009-07-16 인스티튜트 어브 컴퓨팅 테크놀로지, 차이니스 아카데미 어브 사이언시스 이미지 플래그의 인코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8709B1 (en) * 1994-12-30 2004-10-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mmunoglobulins containing protection proteins and their use
TW305043B (ko) 1995-09-29 1997-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W436777B (en) 1995-09-29 2001-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bitstream having non-sequential system clock data seamlessly therebetween
US6502199B2 (en) 1995-09-29 2002-12-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bitstream having non-sequential system clock data seamlessly therebetween
JP3729920B2 (ja) 1996-03-18 2005-12-2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並びにその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H10134548A (ja) * 1996-10-31 1998-05-22 Sony Corp 記録媒体再生装置および方法
KR100254610B1 (ko) * 1997-01-06 2000-05-01 구자홍 광디스크의 재생시간 산출장치 및 방법
US20020110354A1 (en) * 1997-01-09 2002-08-15 Osamu Ikeda Image recording and edi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editing an image
MY124583A (en) * 1997-03-19 2006-06-30 Sony Corp Video data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video signal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US6243086B1 (en) * 1997-05-29 2001-06-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production apparatus
JPH114417A (ja) * 1997-06-12 1999-01-06 Toshiba Corp ビット・ストリーム情報表示方法、ビット・ストリーム情報作成方法及び記録媒体
US20030113096A1 (en) * 1997-07-07 2003-06-19 Kabushiki Kaisha Toshiba Multi-screen display system for automatically changing a plurality of simultaneously displayed images
ID21786A (id) * 1997-09-17 1999-07-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eralatan editing data video, disk optikal untuk digunakan sebagai media perekam peralatan editing data video dan media perekam komputer yang bisa dibaca yang menyimpan program editing
US6487364B2 (en) 1997-09-17 2002-11-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video data editing apparatu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n editing program, reproduction apparatus for the optical disc,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reproduction program
CN1309252C (zh) * 1997-09-17 2007-04-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将视频数据记录在光盘的设备和方法
JP3552506B2 (ja) * 1997-12-05 2004-08-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TW385436B (en) * 1997-12-12 2000-03-21 Toshiba Corp Digital recording system using variable recording rate
EP2261920A3 (en) * 1998-02-23 2011-03-09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formation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US7162147B2 (en) 1998-03-13 2007-01-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storage mediu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the data from the same
WO1999046939A1 (en) 1998-03-13 1999-09-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storage mediu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the data from the same
US6788880B1 (en) * 1998-04-16 2004-09-07 Victor Company Of Japan, Ltd Recording medium having a first area for storing an audio title set and a second area for storing a still picture set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recorded information
US7822320B2 (en) 1998-06-23 2010-10-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still picture management data and recording still pictures on a recording medium
KR100302497B1 (ko) 1998-06-23 2001-11-22 구자홍 재기록가능기록매체의정지영상관리데이터의생성/기록방법
US6092120A (en) * 1998-06-26 2000-07-18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ly delivery of a byte code and serialized objects stream
KR100326337B1 (ko) * 1998-09-05 2002-09-12 엘지전자주식회사 재기록가능기록매체의데이터재생순서정보의생성기록방법
JP4059410B2 (ja) * 1998-10-07 2008-03-12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ゲーム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US6643450B1 (en) * 1998-10-29 2003-11-04 Oak Technology, Inc. Digital versatile disc playback system with program chain object searching capabilities
WO2000030113A1 (en) * 1998-11-16 2000-05-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real-time information
CA2289958C (en) * 1998-11-19 2003-01-21 Tomoyuki Okada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data thereof
KR100657237B1 (ko) * 1998-12-16 200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열간의 연속 재생을 보장하기 위한 부가 정보 생성 방법
KR100618961B1 (ko) 1998-12-16 2006-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데이터의 고속 탐색을 위한 정보 생성 방법과 이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 이를 이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EP1021048A3 (en) * 1999-01-14 2002-10-02 Kabushiki Kaisha Toshiba Digital video recording system and its recording medium
CA2341658C (en) * 1999-06-25 2010-02-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rder of titles in a real-time dvd video recording
JP4211153B2 (ja) * 1999-09-17 2009-01-2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方法
KR100739357B1 (ko) 1999-09-30 2007-07-1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01202698A (ja) * 2000-01-19 2001-07-27 Pioneer Electronic Corp オーディオ及びビデオ再生装置
US20030174549A1 (en) * 2000-03-31 2003-09-18 Yoshitaka Yaguchi Recording format, recording device and reproducing device
KR100394974B1 (ko) * 2000-05-23 2003-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 기록매체에서의 멀티경로 데이터를 수용하는 방법
JP2002152681A (ja) * 2000-11-14 2002-05-24 Alpine Electronics Inc 記録媒体再生方法及び記録媒体再生装置
US7043484B2 (en) * 2000-12-05 2006-05-09 Dvdemand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storage media images
GB0031221D0 (en) * 2000-12-21 2001-01-3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mpressed-data processing arrangement and related method
FR2823343B1 (fr) * 2001-04-05 2003-07-04 Cit Alcatel Dispositif de generation d'un fichier multimedia a destination d'un terminal de telecommunications et fichier multimedia associe
JP2002330379A (ja) * 2001-05-02 2002-11-15 Sony Corp コンテンツ提供装置
KR100752480B1 (ko) 2001-06-21 2007-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채널 스트림 기록장치 및 방법과, 그에 따른 기록매체
KR100598285B1 (ko) 2001-06-21 200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채널 스트림 기록장치 및 방법과, 그에 따른 기록매체
KR20020097454A (ko) 2001-06-21 2002-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채널 스트림 기록장치 및 방법과, 그에 따른 기록매체
US7643727B2 (en) 2001-07-24 2010-01-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recording a multi-channel stream, and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 multi-channel stream recorded by said method
JP3852693B2 (ja) * 2002-03-19 2006-12-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TWI275272B (en) * 2002-05-10 2007-03-01 Interdigital Tech Corp Radio network controller and node-B
EP1516328B1 (en) * 2002-06-21 2013-11-13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video data recorded thereon
KR20040000290A (ko) 2002-06-24 200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멀티 경로 데이터 스트림 관리방법
US7889968B2 (en) 2002-06-24 2011-02-15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multiple reproduction path video data for at least a segment of a title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CN101350214B (zh) 2002-06-24 2015-07-01 Lg电子株式会社 记录和再现用于视频数据的再现的数据结构的方法及装置
AU2003241203B2 (en) 2002-06-24 2009-08-20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multiple reproduction path video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KR100554767B1 (ko) 2002-06-28 2006-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경로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구조를 갖는 기록 매체와 그에 따른 기록 및 재생 방법 및장치
CA2459070C (en) 2002-06-28 2013-10-22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multiple playback path video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MXPA04004148A (es) * 2002-09-05 2005-07-05 Lg Electronics Inc Medio de grabacion, que tiene estructura de datos para adminstrar reproduccion de imagenes fijas ahi grabadas y metodos y aparatos para grabacion y reproduccion.
WO2004023480A1 (en) * 2002-09-06 2004-03-18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still images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CA2462192C (en) * 2002-09-07 2013-07-30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still images from a clip file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AU2003276759A1 (en) * 2002-11-08 2004-06-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 multi-component stream and a high-density recording medium having a multi-component stream recorded theron a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of said recording medium
US7720356B2 (en) * 2002-11-12 2010-05-18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multiple reproduction path video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AU2003276756B2 (en) 2002-11-12 2007-09-13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multiple reproduction path video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US7783160B2 (en) 2002-11-20 2010-08-24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interleaved multiple reproduction path video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RU2334285C2 (ru) * 2002-11-20 2008-09-20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со структурой данных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ем записанных на нем данных и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записи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US7664372B2 (en) 2002-11-20 2010-02-16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multiple component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MY141419A (en) * 2003-01-20 2010-04-30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still pictures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KR100998906B1 (ko) 2003-01-20 2010-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된 정지 영상의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를갖는 기록 매체, 그에 따른 기록 및 재생 방법 및 장치
US8145033B2 (en) * 2003-02-05 2012-03-27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on duration of still pictures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US7734154B2 (en) * 2003-02-14 2010-06-08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duration of still pictures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US8055117B2 (en) 2003-02-15 2011-11-08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duration of still pictures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US7606463B2 (en) * 2003-02-24 2009-10-20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playback control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US8041179B2 (en) * 2003-02-24 2011-10-18 Lg Electronic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producing and recording still picture and audio data and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still picture and audio data
US7809775B2 (en) 2003-02-27 2010-10-05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playback control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WO2004077417A1 (en) 2003-02-28 2004-09-10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andom/shuffle reproduction of video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US7224664B2 (en) * 2003-03-25 2007-05-29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data streams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TWI247288B (en) * 2003-04-03 2006-01-11 Lite On It Corp Manufacturing unit and method of multimedia audio/video data stream
EP2068563B1 (en) * 2003-06-30 2010-11-10 Panasonic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reproduction device, recording method, program, and reproduction method
JP3791515B2 (ja) * 2003-07-04 2006-06-28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記録再生装置及び可搬性記録媒体
DE602004008923T2 (de) * 2003-07-11 2008-01-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Aufzeichnungsmedium und -verfahren, wiedergabegerät und -verfahren, und computerlesbares programm
US7366405B2 (en) * 2003-07-11 2008-04-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thod,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program
BRPI0412790A (pt) * 2003-07-21 2006-09-26 Thomson Licensing gravador de vìdeo pessoal que grava através de mudança de canal
JP2005108294A (ja) * 2003-09-29 2005-04-21 Pioneer Electronic Corp 信号処理装置
JP3675464B2 (ja) * 2003-10-29 2005-07-27 ソニー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符号化制御方法
JP3675465B2 (ja) * 2003-10-29 2005-07-27 ソニー株式会社 符号化制御装置および符号化システム
US7519274B2 (en) 2003-12-08 2009-04-14 Divx, Inc. File format for multiple track digital data
US8472792B2 (en) 2003-12-08 2013-06-25 Divx, Llc Multimedia distribution system
ATE479987T1 (de) * 2004-03-26 2010-09-15 Lg Electronics Inc Speichermedium,verfahren, und gerät zum wiedergeben von untertiteldatenströmen
RU2376659C2 (ru) * 2004-03-26 2009-12-2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и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потока текстовых субтитров, записанного на носителе записи
US8233779B2 (en) * 2004-07-09 2012-07-31 Panasonic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thod,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program
KR101071139B1 (ko) * 2004-12-09 2011-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네비게이션정보의 구조와 그 구조를 이용하는 기록/재생 방법 및장치
JP2006202402A (ja) * 2005-01-20 2006-08-03 Toshiba Corp 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再生方法
US20090010329A1 (en) * 2005-02-17 2009-01-08 Pioneer Corporation Encoding Device, Enco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ncoding
EP2860732A1 (en) 2005-04-26 2015-04-15 Thomson Licensing Synchronized stream packing
US20070031112A1 (en) * 2005-08-08 2007-02-08 Triverity Corporation Fast generation of a personalized DVD from a common template
WO2007106844A2 (en) 2006-03-14 2007-09-20 Divx, Inc. Federated digital rights management scheme including trusted systems
US8416859B2 (en) 2006-11-13 2013-04-09 Cisco Technology, Inc. Signalling and extraction in compressed video of pictures belonging to interdependency tiers
US8875199B2 (en) 2006-11-13 2014-10-28 Cisco Technology, Inc. Indicating picture usefulness for playback optimization
US8155207B2 (en) 2008-01-09 2012-04-10 Cisco Technology, Inc. Processing and managing pictures at the concatenation of two video streams
CN101636726B (zh) 2007-01-05 2013-10-30 Divx有限责任公司 包含连续播放的视频分配系统
US8958486B2 (en) 2007-07-31 2015-02-17 Cisco Technology, Inc. Simultaneous processing of media and redundancy streams for mitigating impairments
US8804845B2 (en) 2007-07-31 2014-08-12 Cisco Technology, Inc. Non-enhancing media redundancy coding for mitigating transmission impairments
JP5513400B2 (ja) 2007-11-16 2014-06-04 ソニック アイピ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メディアファイルのための階層的で簡略なインデックス構造体
US8718388B2 (en) 2007-12-11 2014-05-06 Cisco Technology, Inc. Video processing with tiered interdependencies of pictures
US8416858B2 (en) * 2008-02-29 2013-04-09 Cisco Technology, Inc. Signalling picture encoding schemes and associated picture properties
WO2009152450A1 (en) 2008-06-12 2009-12-17 Cisco Technology, Inc. Picture interdependencies signals in context of mmco to assist stream manipulation
US8699578B2 (en) 2008-06-17 2014-04-15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multi-latticed video streams
US8971402B2 (en) 2008-06-17 2015-03-03 Cisco Technology, Inc. Processing of impaired and incomplete multi-latticed video streams
US8705631B2 (en) 2008-06-17 2014-04-22 Cisco Technology, Inc. Time-shifted transport of multi-latticed video for resiliency from burst-error effects
ES2546091T3 (es) 2008-11-12 2015-09-18 Cisco Technology, Inc. Procesamiento de un programa de vídeo que tiene representaciones procesadas plurales de una señal de vídeo única para reconstrucción y emisión
US9141860B2 (en) * 2008-11-17 2015-09-22 Liveclips Llc Method and system for segmenting and transmitting on-demand live-action video in real-time
US8949883B2 (en) 2009-05-12 2015-02-03 Cisco Technology, Inc. Signalling buffer characteristics for splicing operations of video streams
US8279926B2 (en) 2009-06-18 2012-10-02 Cisco Technology, Inc. Dynamic streaming with latticed representations of video
CA2782825C (en) 2009-12-04 2016-04-26 Divx, Llc Elementary bitstream cryptographic material transport systems and methods
US8914534B2 (en) 2011-01-05 2014-12-16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bitrate streaming of media stored in matroska container files usin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US8812662B2 (en) 2011-06-29 2014-08-19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vailable bandwidth and performing initial stream selection when streaming content
US9467708B2 (en) 2011-08-30 2016-10-11 Sonic Ip, Inc. Selection of resolutions for seamless resolution switching of multimedia content
US9955195B2 (en) 2011-08-30 2018-04-24 Div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and streaming video encoded using a plurality of maximum bitrate levels
US8787570B2 (en) 2011-08-31 2014-07-22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genenrating top level index files
US8799647B2 (en) 2011-08-31 2014-08-05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ication identification
US8909922B2 (en) 2011-09-01 2014-12-09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laying back alternative streams of protected content protected using common cryptographic information
US8964977B2 (en) 2011-09-01 2015-02-24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aving encoded media streamed using adaptive bitrate streaming
US20130179199A1 (en) 2012-01-06 2013-07-11 Rovi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granting access to digital content using electronic tickets and ticket tokens
CN103369355A (zh) * 2012-04-10 2013-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在线媒体数据转换的方法、播放视频方法及相应装置
JP2013236319A (ja) * 2012-05-10 2013-11-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9936267B2 (en) 2012-08-31 2018-04-03 Divx Cf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creasing an initial buffering period of an adaptive streaming system
US9313510B2 (en) 2012-12-31 2016-04-12 Sonic Ip, Inc. Use of objective quality measures of streamed content to reduce streaming bandwidth
US9191457B2 (en) 2012-12-31 2015-11-17 Sonic Ip, Inc.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controlling delivery of content
US9906785B2 (en) 2013-03-15 2018-02-27 Sonic Ip, Inc.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transcoding video data according to encoding parameters indicated by received metadata
US10397292B2 (en) 2013-03-15 2019-08-27 Divx, Llc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delivery of content
US9094737B2 (en) 2013-05-30 2015-07-28 Sonic Ip, Inc. Network video streaming with trick play based on separate trick play files
US9380099B2 (en) 2013-05-31 2016-06-28 Sonic Ip, Inc. Synchronizing multiple over the top streaming clients
US9100687B2 (en) 2013-05-31 2015-08-04 Sonic Ip, Inc. Playback synchronization across playback devices
US9386067B2 (en) 2013-12-30 2016-07-05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laying adaptive bitrate streaming content by multicast
US9866878B2 (en) 2014-04-05 2018-01-09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and playing back video at different frame rates using enhancement layers
SG11201609457UA (en) 2014-08-07 2016-12-29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elementary bitstreams incorporating independently encoded tiles
EP3243130B1 (en) 2015-01-06 2019-08-14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and sharing content between devices
SG11201706160UA (en) 2015-02-27 2017-09-28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rame duplication and frame extension in live video encoding and streaming
US10075292B2 (en) 2016-03-30 2018-09-11 Div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quick start-up of playback
US10231001B2 (en) 2016-05-24 2019-03-12 Div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dio content during trick-play playback
US10129574B2 (en) 2016-05-24 2018-11-13 Div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variable speeds in a trick-play mode
US10148989B2 (en) 2016-06-15 2018-12-04 Div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video content
US10498795B2 (en) 2017-02-17 2019-12-03 Div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switching between multiple content delivery networks during adaptive bitrate streaming
WO2020191406A1 (en) 2019-03-21 2020-09-24 Div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edia swarm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7864B2 (ja) * 1991-04-18 1998-02-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及び再生装置
JPH0568282A (ja) * 1991-09-06 1993-03-19 Nec Corp 自動車電話交換方式
JPH0662369A (ja) * 1992-08-06 1994-03-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動画情報の特殊再生制御方式
US5481543A (en) * 1993-03-16 1996-01-02 Sony Corporation Rational input buffer arrangements for auxiliary information in video and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s
US5587806A (en) * 1993-03-26 1996-12-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separately recording input coded video signal and important data generated therefrom
KR100205494B1 (ko) * 1993-06-10 1999-07-01 오오가 노리오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보조정보를 위한 합리적인 입력 버퍼 회로 배열
KR100330292B1 (ko) * 1993-09-21 2002-03-27 이데이 노부유끼 데이타 기록 매체
US5596564A (en) * 1993-10-08 1997-01-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EP0836191B1 (en) * 1993-10-29 1999-03-03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a recording medium
EP0651391A3 (en) * 1993-10-29 1997-02-05 Tokyo Shibaura Electric Co Threaded fastener.
US5463565A (en) * 1993-10-29 1995-10-31 Time Warner Entertainment Co., L.P. Data block format for software carrier and player therefor
DE69431048T2 (de) * 1993-12-10 2003-02-13 Sony Corp Datenaufzeichnungsträger und datenwiedergabegerä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5207B2 (en) 2003-02-10 2007-11-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animation chunk data and its attribute information for use in an interactive disc
US8300054B2 (en) 2003-02-10 2012-10-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animation chunk data and its attribute information for use in an interactive disc
US8305379B2 (en) 2003-02-10 2012-11-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animation chunk data and its attribute information for use in an interactive disc
KR100907955B1 (ko) * 2003-09-12 2009-07-16 인스티튜트 어브 컴퓨팅 테크놀로지, 차이니스 아카데미 어브 사이언시스 이미지 플래그의 인코딩방법
US7941034B2 (en) 2003-09-12 2011-05-10 Institute Of Computing Technology Chinese Academy Of Sciences Method for encoding the flag of the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7195B1 (en) 1999-04-28
EP0847195A4 (ko) 1998-06-10
KR100348847B1 (ko) 2002-11-18
DE69602272T2 (de) 1999-12-16
CN100354937C (zh) 2007-12-12
EP0847195A1 (en) 1998-06-10
JP3325581B2 (ja) 2002-09-17
MY110656A (en) 1998-11-30
DE69602272D1 (de) 1999-06-02
HK1011910A1 (en) 1999-07-23
CN1516124A (zh) 2004-07-28
US5854873A (en) 1998-12-29
CN1115046C (zh) 2003-07-16
CN1197573A (zh) 1998-10-28
TW385431B (en) 2000-03-21
WO1997013361A1 (fr) 1997-04-10
MX9801214A (es) 1998-04-30
HK1016794A1 (en)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847B1 (ko) 복수의서치재생경로정보를비트스트림에부여하는엔코드방법및그장치
JP3827097B2 (ja) 情報記録方法
JP3769507B2 (ja) 再生装置
JP3922592B2 (ja) 記録方法
US5745645A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ncoding telecine-converted video data for seamless connection
KR19990063896A (ko) 비트 스트림의 심리스 접속 시스템 엔코드 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63897A (ko) 비트 스트림의 심리스 접속 엔코드방법 및 그 장치
JP3338039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77788B1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920921B2 (ja) テレシネ変換されたビデオデータのシームレス接続エンコード方法及びその装置
JP3813070B2 (ja) 光ディスクを再生する再生装置
JP3377790B1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27917B2 (ja) 記録方法、記録装置、及び光ディスク
JP3338041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37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36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33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42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34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32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35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38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38040B2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3377789B1 (ja)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