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292B1 - 데이타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타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292B1
KR100330292B1 KR1020017004975A KR20017004975A KR100330292B1 KR 100330292 B1 KR100330292 B1 KR 100330292B1 KR 1020017004975 A KR1020017004975 A KR 1020017004975A KR 20017004975 A KR20017004975 A KR 20017004975A KR 100330292 B1 KR100330292 B1 KR 100330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ry
packet
data
picture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와무라마꼬또
후지나미야스시
벨트만마르쿠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69813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3029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235121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551447B2/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2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involving pointers to the content, e.g. pointers to the I-frames of the video strea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04N7/52Systems for transmission of a pulse code modulated video signal with one or more other pulse code modulated signals, e.g. an audio signal or a synchronizing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제 1 영역 포인트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제 1 영역 포인트에 기초해서, 제 1 영역 포인트에 대해서 전방향 또는 후방향에 있는 제 2 영역 포인트에 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발생하고, 전송되는 부호화 데이타의 소정 위치에 상기 패킷을 다중화해서 정보의 전송을 행한다. 이 패킷을 다중화하는 부호화 데이타를 기록한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 출력된 재생 데이타를 복호화하는 데이타 복호화 장치는 상기 재생 데이타로부터 부호화 데이타와, 제 1 영역 포인트에 대해서 전방향 또는 후방향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역 포인트에 관한 위치 정보와, 상기 부호화 데이타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이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부호화 데이타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단과, 특수 재생시에,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부가 정보에 기초해서, 기록 매체의 판독 출력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특수 재생 전송된 패킷의 데이타를 이용해서 소망의 속도로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타의 서치가 행해진다.

Description

데이타 기록 매체{Data recording medium}
기술분야
본 발명은 데이타 전송 방법 및 장치와 데이타 복호화 장치 및 데이타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변 속도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타와, 부호화된 음성 데이타를 디스크에 시분할 다중 기록하고, 소정의 화상을 고속으로 서치하는 경우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데이타 전송 방법 및 장치와 데이타 복호화 장치 및 데이타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의 데이타 부호화 장치 및 데이타 복호화 장치의 예를 제 1 도와 제 2 도에 도시한다. 제 1 도에 있어서,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엔코더(1)에 의해 압축되는 동시에 부호화(엔코드)되고, 다중화 장치(3)내의 코드 버퍼(4)에 입력된다. 또, 음성 신호는 오디오 엔코더(2)에 의해 압축됨과 동시에 부호화(엔코드)되며, 다중화 장치(3)의 코드 버퍼(5)에 입력된다.
코드 버퍼(4, 5)의 출력 단자는 각각 스위칭 회로(6)의 입력 단자(E1, E2)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회로(6)의 출력 단자(F)는 헤더 부가 회로(7)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헤더 부가 회로(7)의 출력은 예컨대 광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하드 디스크)등의 기록 매체, 기록/재생 헤드, 헤드 구동회로 등으로 이루는 디지탈 데이타 기록 장치(DSM)(10)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제어 장치(8)는 다중화시스템 클럭 발생 회로(9)의 출력하는 시스템 클럭의 입력을 받아서 소정의 주기로 스위칭 회로(6)의 입력 단자(E1, E2)를 출력 단자(F)와 순차 접속 상태로 해서, 코드 버퍼(4 또는 5)로부터의 데이타를 순차로 꺼내서, 시분할 다중한다.
제어 장치(8)는 제 3 도에 도시하는 포맷에 따라서 비트 스트림이 생성되게 스위칭 회로(6)와 헤더 부가 회로(7)를 제어한다.
즉, 제 3 도에 도시하듯이 ISO 11172(MPEG)의 다중화 방식에서 하나의 다중화 비트 스트림은 하나 이상의 팩(PACK)과, 하나의 ISO_11172_end_code 로 구성된다. ISO_11172_end_code 는 32 비트의 부호이며, 16 진수로 나타내면 0x000001b9 이다. 여기에서 선두의 0x 는 16 진수이라는 것을 나타낸다(C 언어).
하나의 팩은 Pack_Start_Code, SCR(System Clock Reference), MUX_Rate 로 되는 헤더와, 하나 이상의 패킷(Packet)으로 구성된다. 헤더의 Pack_Start_Code 는 32 비트의 부호이며 16 진수로 나타내면 0 x 000001b4 이다. 팩의 길이는 가변길이로서 정의되고 있으나 여기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2048 바이트로 고정시킨다.
하나의 패킷은 Packet_Start_Code_Prefix, Stream_id, Packet_length, PTS(Presentation Time Stamp), DTS(Decoding Time Stamp)로 되는 헤더와, 패킷 데이타(Code Data)로 구성된다. Packet_Start_Code_Prefix 는 24 비트의 부호로 0 x 000001 이다. Stream_id 는 8 비트의 부호이며 제 4 도에 도시하듯이 패킷의 종류를 나타낸다. Packet_length(16 비트)는 그 이후의 패킷의 길이를 나타낸다.
각 패킷의 Code Data 에는 오디오 데이타(audio stream)의 경우, 또는 비디오 데이타(video stream)의 경우가 기록된다. 또, audio stream 은 32 종류, Video Stream 은 16 종류의 상이한 stream_id 를 갖기 때문에 이 수까지의 복수의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다중화할 수 있다.
reserved stream 은 예컨대 자막등의 데이타를 갖는다. Private_stream_1 및 private_stream_2 는 용도가 정해지고 있지 않다. padding_stream 은 데이타량을 증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상의 포맷에 따라서 팩의 간격이 2048 바이트로 되도록, 제어 장치(8)는 예컨대 제 5 도에 도시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헤더 부가, 코드를 읽어들이는 처리를 행한다.
최초에, 제어 장치(8)는 헤더 부가 회로(7)에 명령하고 팩 헤더를 부가시킨다(스텝 S1). 그리고 M4 와 M5 의 합이 하나의 팩에 포함되는 코드 데이타량(D)에 같게 되든가 그보다 크게 되기까지 대기한다(스텝 S2). 즉, 하나의 팩에 수용할만큼의 데이타가 코드 버퍼(4, 5)에 축적되기까지 대기한다.
여기에서, M4 는 코드 버퍼(4)에 기록된 데이타량, M5 는 코드 버퍼(5)에 기록된 데이타량이다. 또, D 는 하나의 코드 버퍼(5)에 기록된 데이타의 총량을 나타낸다. 여기에선 간단화하기 위해서 D 를 정수, 즉 팩의 크기(2048 바이트)로 부터 팩헤더의 크기, 비디오 패킷 헤더의 크기 및 오디오 패킷 헤더의 크기를 감소시킨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그 팩에서 얻은 비디오 데이타의 양(P1)과, 그 팩에서 얻은 오디오 데이타의 양(P2)을 다음식을 따라서 연산한다(스텝 3).
P1 = D × M4 / (M4+M5)
P2 = D - P1
여기에서 단순히 팩에 포함되는 코드 데이타의 총량 D 은 각 코드 버퍼(4, 5)의 데이타량에 비례해서 배분하고 있다.
데이타량이 결정되면 제어 장치(8)는 헤더 부가 회로(7)에 지령하고 비디오 패킷 헤더를 출력시킨다(스텝 S4). 다음에 P1 바이트의 비디오 데이타를 코드 버퍼(4)에서 판독하고, DSM 10 에 출력시킨다(스텝 S5). 마찬가지로 오디오 패킷 헤더를 부가하고(스텝 S6), P2 바이트의 오디오 데이타를 코드 버퍼(5)에서 판독하고 DSM(10)에 출력시킨다(스텝 S7). DSM(10)에서 내장하는 디스크에 이들 입력 데이타가 기록된다.
이와 같이, 해서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타는 제 2 도에 도시하는 데이타 복호화 장치에서 복호화된다. 즉, 분리 장치(21)의 헤더 분리 회로(22)는 DSM(10)으로부터 읽어내어진 데이타로부터 팩헤더 및 패킷 헤더를 분리해서 제어 장치(24)에 공급하는 동시에, 시분할 다중된 데이타를 스위칭 회로(23)의 입력 단자(G)에 공급한다. 스위칭 회로(23)의 출력 단자(H1, H2)는 각각 비디오 디코더(25), 오디오 디코더(26)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분리 장치(21)의 제어 장치(24)는 헤더 분리 회로(22)로부터 공급된 패킷 헤더의 stream_id 에 따라 스위칭 회로(23)의 입력 단자(G)와 출력 단자(H1, H2)를 순차 접속 상태로 하고, 시분할 다중된 데이타를 바르게 분리하고, 대응하는 디코더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다중화한 비디오 데이타가 MPEG 의 부호화 방식으로 압축되어 있는 경우, 랜덤 액세스나 서치 동작에 제한이 발생한다. 즉, MPEG 에서 프레임내 부호화 픽쳐(I(인트라) 픽쳐)와 프레임간 부호화 픽쳐(P(전방예측)) 픽쳐, B(양방향 예측) 픽쳐)를 갖고 있다. I 픽쳐의 부호화는 그 화상(프레임 또는 필드)내의 데이타만을 써서 행해지기 때문에 데이타의 압축 효율은 낮아진다. 이 I 픽쳐 자체는 디코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P 픽쳐와 B 픽쳐는 전후의 픽쳐로부터의 차분 신호를 부호화한 것이기 때문에 데이타의 압축 효율은 높아진다. 이 P 픽쳐 또는 B 픽쳐를 디코드하려면 그보다 전 또는 후의 예측 화상이 필요로 된다. 이 때문에 통상은 1 초간에 2 개 정도의 I 픽쳐가 출현되게 해서 랜덤 액세스성과 압축효율의 균형을 취하고 있다.
제 6 도에 DSM(10)에 의해 디스크에 기록되는 I 픽쳐, P 픽쳐 및 B 픽쳐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하나의 연속의 비디오 비트 스트림은 하나 이상의 GOP(Group of Pictures)로 분할된다. GOP 는 선두 부분에 I 픽쳐를 갖는다. 비디오 데이타에 대해서 고정 속도의 압축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 I 픽쳐는 주기적으로 소정의 위치에 출현하기 때문에 그 위치를 계산으로 구하고 액세스할 수 있다. 그러나 가변 속도의 압축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 I 픽쳐의 위치는 고정되지 않으며, 액세스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즉, 제 2 도의 데이타 복호화 장치에서 서치의 명령을 받은 경우, 도시하지 않은 주제어 장치는 제어 장치(24), 비디오 디코더(25) 및 오디오 디코더(26)에 대해서 서치 모드로의 천이를 명령한다. 서치 모드에서 비디오 디코더(25)는 입력된 비디오 데이타중에서 I 픽쳐의 데이타만을 디코드한다. 또는 분리 장치(21)에서 I픽쳐의 데이타만이 선택되며, 비디오 디코더(25)에 입력된다. 비디오 디코더(25)에서 입력된 데이타가 디코드된다.
서치 모드에서, 제어 장치(24)는 DSM(10)에 대해서 디스크상의 데이타의 판독 위치를 전방(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명령을 지령한다. 이때의 판독 위치의 이동량은 서치의 속도나 부호화 속도 등에 의존하지만, 일반적으로 서치의 속도가 빠를수록 또, 부호화 속도가 높을수록 이동량이 증가한다. 읽어내기 위치가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 DSM(10)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는 분리 장치(21)에 입력된다. 헤더 분리 회로(22)는 비디오 데이타를 분리하고, 비디오 디코더(25)에 공급한다. 비디오 디코더(25)는 최초에 출현한 I 픽쳐를 디코드하고 출력한다. 서치 모드에서 오디오 디코더(26)는 뮤트(mute)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서치 동작(I 픽쳐의 연속 재생)은 랜덤 액세스의 반복으로서 실현된다. 즉, 사용자로부터, 예컨대, 전방으로의 고속서치가 지시된 경우, 비디오 디코더(25)는 입력되는 데이타 중, 소정의 프레임수의 데이타를 훑어 읽고, I 픽쳐를 찾고, 디코드해서 출력한다. 또는 DSM(10)에 의해 I 픽쳐의 서치가 행해지며, I 픽쳐의 데이타만이 비디오 디코더(25)에 공급되고 디코드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서치 동작(I 픽쳐의 연속 재생)이 실현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장치에 I 픽쳐의 위치(액세스 포인트)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재생 위치를 어느 정도 이동한 후에 액세스 포인트를 기다린다는 동작이 필요로 된다. 이 때문에 서치 동작의 반복 주기가 길어지며, 신속한 서치 동작이 곤란해진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태를 감안하여 이뤄진 것이며 비디오 데이타의 액세스 포인트를 신속하게 알아내고 소망의 속도로 신속한 서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관한 데이타 전송 방법은 부호화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타 전송 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제 1 엔트리(entry) 포인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 1 엔트리 포인트에 기초해서, 상기 제 1 엔트리 포인트에 대해서 전방향 또는 후방향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엔트리 포인트에 관한 위치 정보와, 상기 부호화 데이타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발생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타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패킷을 다중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데이타 전송 장치는 상술한 데이타 전송 방법을 적용할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특수 재생시에 소망의 속도로 신속한 서치를 행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데이타 복호화 장치는 기록 매체로 부터 읽어낸 재생 데이타를 복호화하는 데이타 복호화 장치에서 상기 재생 데이타로부터 부호화 데이타와, 제 1 엔트리 포인트에 대해서 전방향 또는 후방향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엔트리 포인트에 관한 위치 정보와, 상기 부호화 데이타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상기부호화 데이타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단과, 특수 재생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부가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읽어내기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특수 재생시에 전송된 패킷의 데이타를 써서 소망의 속도로 신속한 서치를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기록 매체는 부호화 데이타를 기록한 데이타 기록 매체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제 1 엔트리 포인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 1 엔트리 포인트에 기초해서, 상기 제 1 엔트리 포인트에 대해서 전방향 또는 후방향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엔트리 포인트에 관한 위치 정보와, 상기 부호화 데이타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발생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타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패킷을 다중화하고, 상기 다중화된 데이타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데이타 기록 매체를 쓰면 기록 매체상의 데이타를 소망의 속도로 신속한 서치를 행할 수 있다.
제 1 도는 종래의 데이타 부호화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 2 도는 종래의 데이타 복호화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 3 도는 종래의 비트스트림의 포맷의 설명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Stream-id 의 설명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데이타 부호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 6 도는 제 1 도 및 제 2 도의 DSM(10)에 의해 구동되는 디스크에서 비트 스트림의 설명도.
제 7 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데이타 부호화 장치의 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데이타 복호화 장치의 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팩의 포맷의 도시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엔트리 패킷의 포맷의 설명도.
제 11 도는 제 7 도의 데이타 부호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 12 도는 본 발명의 엔트리 패킷의 포멧의 다른 실시예 설명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엔트리 패킷의 포맷의 다른 실시예 설명도.
제 14 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데이타 부호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 15 도는 본 발명의 데이타 복호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 16 도는 본 발명의 엔트리 패킷의 포맷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제 17 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데이타 부호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 18 도는 본 발명의 데이타 복호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 19 도는 본 발명의 엔트리 패킷의 포맷의 다른 실시예 설명도.
제 20 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데이타 부호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 21 도는 본 발명의 데이타 복호화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비디오 엔코더 2: 오디오 엔코더
3: 다중화 장치 6: 스위칭 회로
8: 제어 장치 21: 분리 장치
31: 비디오 엔트리 포인트 검출 회로 32: 엔트리 패킷 발생 회로
실시예
제 7 도 및 제 8 도는 본 발명에 관한 데이타 전송 방법을 적용한 데이타 부호화 장치 및 데이타 복호화 장치의 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제 1 도 및 제 2 도에 있어서의 경우와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 참조부호가 병기되어 있다.
제 7 도의 데이타 부호화 장치에서 비디오 엔코더(1)의 출력 단자는 비디오 엔트리 포인트 검출 회로(31)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며 그 출력 단자는 코드 버퍼(4)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엔트리 패킷 발생 회로(32)는 제어 장치(80)의 제어 입력을 받고, 그 출력을 스위칭 회로(6)의 입력 단자(E3)에 공급하게 되어 있다. 또, 제어 장치(80)는 다중화 시스템 클럭 발생 회로(9)의 출력하는 시스템 클럭의 입력을 받고, 소정의 주기로 스위칭 회로(6)의 입력 단자(E1, E2, E3)를 출력 단자(F)와 순차 접속상태로 하고, 코드 버퍼(4, 5) 또는 엔트리 패킷 발생 회로(32)로부터 데이타를 순차로 꺼내어서 시분할 다중하고, 헤더 부가 회로(7)에 출력한다.
또, 제어 장치(80)는 헤더 부가 회로(7)를 제어하고 코드 버퍼(4)로부터 읽어낸 비디오 데이타에는 비디오 패킷 헤더를 부가시킨다. 또, 코드 버퍼(5)로부터 읽어낸 오디오 데이타에는 오디오 패킷 헤더를 부가시킨다.
또한, 제어 장치(80)는 비디오 엔코더(1) 또는 비디오 엔트리 포인트 검출 회로(31)로부터 I 픽쳐의 발생 타이밍에서 발생되는 엔트리 포인트 발생 신호의 입력을 받고, 엔트리 패킷 발생 회로(32)를 제어해서, 비트 스트림의 소정의 위치에 엔트리 패킷을 삽입시킨다. 비디오 엔코더(1)가 엔트리 포인트 발생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되고 있는 경우, 비디오 엔코더(1)가 I 픽쳐의 발생 타이밍에서 엔트리 포인트 발생 신호를 출력한다.
또, 비디오 엔코더(1)가 엔트리 포인트 발생 신호를 출력할 수 없는 구성의 경우나, 이미 엔코드하고 있는 비디오 비트 스트림을 다중화할 때는 비디오 엔트리포인트 검출 회로(31)가 I 픽쳐의 발생 타이밍에서 엔트리 포인트 발생 신호를 발생하든가 또는 비디오 엔코더(1)에서 입력된 비디오 데이타로부터 엔트리 포인트를 검출하고, 엔트리 포인트 발생 신호를 출력한다.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33)는 제어 장치(80)로부터 판독기록할 수 있는 메모리이며, 검출된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를 기억한다. 기타의 구성은 제 1 도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다.
제 7 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다중화 비트 스트림은 적어도 하나의 팩과, ISO_11172_end_code 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각 팩은 예컨대 제 9 도에 도시하는 포맷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최초에 제 3 도에 있어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pack_start_code, SCR, MUX_Rate 로 되는 Pack_Header(헤더)가 배치되며, 다음에, Video_Packet_Header 가 또한 그 다음에 I 픽쳐를 포함하지 않는 비디오 데이타가 패킷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비디오 데이타의 다음에는 Entry_Packet 이 그 다음에는 Video_Packet_Header 가 또한 그 다음에는 I 픽쳐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타가 패킷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즉, I 픽쳐(엔트리 포인트)를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타의 직전(Video_Packet_ Header 의 직전)에는 Entry_Packet 이 배치되게 이뤄지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경우, 비디오 데이타의 다음에 Audio_Packet_Header 가 그 다음에 패킷 구조의 오디오 데이타가 순차 배치되어 있다.
Entry_Packet(엔트리 패킷)은 제 10 도에 도시하는 포맷으로 되어 있다. 이 포맷은 MPEG 의 패킷중, Private_Stream_2 의 패킷의 포맷에 대응하는 것이다. 선두에는 Packet_Start_Code_Prefix 가 배치되며 그 다음엔 16 진으로 oxbf 로 되는Stream_id 이 배치되고 있다.
그 다음엔 그후의 패킷의 길이를 나타내는 length 가 배치되고 있다. 이상의 배치는 제 3 도에서 Packet 의 헤더에 있어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서 다음에 AAAA_id 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이 프라이비트(private) 패킷이 AAAA 로 인식되는 사용자의 독자적인 포맷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 다음에는 AAAA_Packet_type 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것은 사용자의 독자적인 프라이비트 패킷 포맷내의 분류를 나타내며, 엔트리 패킷의 경우는 oxff 로 된다. 또한, 그 다음에 순차 배치되어 있는 current_#_data_streams, current_#_video_streams, current_#_audio_streams 는 이 엔트리 패킷의 직후로부터 다음의 엔트리 패킷의 직전까지에 다중화되어 있는 데이타 패킷, 비디오 패킷, 오디오 패킷의 수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그 다음엔 엔트리 패킷 위치 정보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enable_flag 가 배치된다.
또한 그 다음에 entry_packet_-3, entry_packet_-2, entry_packet_-1, entry_packet_+1, entry_packet_+2, entry_ packet_+3 가 순차 배치되며 이것들에 각각 3 개 직전, 2 개 직전, 하나 직전, 하나 직후, 2 개 직후, 3 개 직후의 엔트리 패킷의 위치와, 해당 엔트리 패킷과의 상대 거리를 DSM(10)에서 구동하는 디스크의 섹터수로 나타낸 것이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entry_packet_-3, entry_packet_-2, entry_packet_-1, entry_packet_+1, entry_packet_+2, entry_packet_+3 은 실제로는 각각 엔트리 패킷을 포함하는 3 개 직전, 2 개 직전, 하나 직전, 하나 직후, 2 개 직후, 3 개 직후의 섹터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후의 설명에서 엔트리 패킷의 위치로 표현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 엔트리 패킷을 포함하는 섹터의 위치를 섹터간의 상대 거리로 나타내고 있는데 절대위치 즉 디스크의 섹터번호 그 자체로 나타내어도 좋다.
다음에 제 7 도의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 장치(80)는 비디오 엔코더(1) 또는 비디오 엔트리 포인트 검출 회로(31)로부터의 엔트리 포인트 발생 신호를 얻고 비디오 엔트리 포인트의 직전에 엔트리 패킷을 삽입시킨다(제 9 도). 즉, 엔트리 포인트 발생 신호의 입력을 받았을 때 엔트리 패킷 발생 회로(32)에 엔트리 패킷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스위칭 회로(6)를 입력 단자(E3)측으로 전환케하고, 헤더 부가 회로(7)에 공급시켜서 코드 버퍼(4, 5)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타 및 오디오 데이타로 다중화시킨다.
제 10 도에 도시하듯이 각 엔트리 패킷에는 그 엔트리 패킷으로부터 3 개 직전, 2 개 직전, 하나 직전, 하나 직후, 2 개 직후, 및 3 개 직후의 엔트리 패킷의 위치가 entry_packet_-3, entry_packet_-2, entry_packet_-1, entry_packet_+1, entry_packet_+2, entry_packet_+3 으로 각각 기록된다. 직전(과거)의 엔트리 패킷의 위치(3 개 직전, 2 개 직전 및 하나 직전의 위치)는 엔트리 포인트 기억장치(33)에 기억해두므로서 현재의 엔트리 패킷을 기록하는 시점에서 이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직후(장래의) 엔트리 패킷의 위치는 현시점에 있어서 이것을 알 수 없다. 이 때문에 DSM(10)에 대해서 최초에 엔트리 패킷을 공급하는 시점에서 엔트리 패킷 발생 회로(32)의 발생하는 엔트리 패킷의 데이타는 더미(dummy) 데이타로된다. 제어 장치(80)는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를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32)에 모두 기억시켜 두고 모든 다중화가 종료된 후에(비디오 데이타와 오디오 데이타의 비트스트림의 디스크로의 기록이 완료된 후에)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33)로부터 각 엔트리 패킷의 3 개 직전, 2 개 직전, 하나 직전, 하나 직후, 2 개 직후, 및 3 개 직후의 엔트리 패킷의 위치를 판독하고 이것을 엔트리 패킷 발생 회로(32)에 공급한다. 엔트리 패킷 발생 회로(32)는 이것들의 위치 정보에 기초해서 바른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이다. entry_packet_-3, entry_packet-2, entry_packet_-1, entry_packet_+1, entry_packet_+2, entry_packet_+3 을 발생한다. 제어 장치(80)는 스위칭 회로(6)를 제어하고 이 바른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를 DSM(10)에 공급하는 디스크상의 대응하는 각 엔트리 패킷에 entry_packet_-3, entry_packet-2, entry_packet_-1, entry_ packet_+1, entry_packet_+2, entry_packet_+3 을 기록(추기) 시킨다.
또, 비디오 엔코더(1)와 오디오 엔코더(2)는 각각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가변 속도로 부호화하는데 제어 장치(80)는 헤더 부가 회로(7)를 제어하고 팩의 간격이 소정의 바이트수로 되게 팩헤더를 부가시킨다. 이 때문에 제어 장치(80)는 예컨대 제 11 도와 같은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헤더부가, 코드 읽어들이기, 엔트리 패킷 삽입의 처리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1 섹터의 바이트수를 2048 바이트로 하고 1 팩의 바이트수를 1 섹터의 바이트수와 같은 2048 바이트로 한다. 이 경우, 팩의 위치는 섹터의 위치를 나타내게 되므로 결국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는 팩의 위치 정보로 나타내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제 5 도의 처리에 있어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M4 는 코드 버퍼(4)에 축적되어 있는 데이타량, M5 는 버퍼(5)에 축적되어 있는 데이타량으로 한다.
또, D 는 하나의 팩중에 포함되는 데이타의 총량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간단화하기 위해서 D 를 정수, 즉 팩의 크기(2048 바이트)로부터 팩헤더의 크기, 비디오 패킷 헤더의 크기 및 오디오 패킷 헤더의 크기를 감소시킨 것이다. 또, D2 는 엔트리 패킷을 포함하는 팩중의 데이타의 총량을 나타낸다. 즉, D 로부터 엔트리 패킷의 크기와 비디오 패킷 헤더의 크기를 감소시킨 것이다.
최초에 제어 장치(80)는 헤더 부가 회로(7)에 명령해서 팩 헤더를 부가시킨다(스텝 S11). 그리고 M4 와 M5 의 합이 하나의 팩에 포함되는 코드 데이타량(D)과 같아지든가 커질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12). 즉, 하나의 팩에 수용된 만큼의 데이타가 코드 버퍼(4, 5)에 축적되기까지 대기한다.
다음에 그 팩에 수용된 비디오 데이타의 양(P1)과, 그 팩에 수용된 오디오 데이타의 양(P2)을 다음식으로 계산한다(스텝 S13). P1, P2 는 팩에 포함되는 코드 데이타의 총량 D 을 각 코드 버퍼(4, 5)의 데이타량(M4, M5)에 비례해서 배분한 것으로 되어 있다.
P1 = D x M4/(M4 + M5)
P2 = D - P1
다음에 제어 장치(80)는 M4 의 데이타중, 선두의 P1 바이트까지의 데이타에 비디오 엔트리 포인트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한다(스텝 14). 팩내에 비데오 엔트리 포인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제어 장치(80)는 헤더 부가 회로(7)에 지령하고,비데오 패킷 헤더를 출력시킨다(스텝 15). 다음에 P1 바이트의 비디오 데이타를 코드 버퍼(4)로부터 판독하고 DSM(10)에 출력시킨다(스텝 S16). 마찬가지로 오디오 패킷 헤더를 부가시키고(스텝 S17), P2 바이트의 오디오 데이타를 코드 버퍼(5)에서 판독시키고 DSM(10)에 출력시킨다(스텝 S18).
팩내에 비디오 엔트리 포인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이상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 처리는 제 5 도의 경우의 처리와 동일하다.
한편 팩내에 비디오 엔트리 포인트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 장치(80)는 우선,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33)에 현재의 팩의 위치를 기억시킨다. 그리고, 그 팩에 수용되는 비디오 데이타의 양(P1)과 오디오 데이타의 양(P2)을 다음식에 따라서 계산한다(스텝 S19).
P1 = D2 x M4/(M4 + M5)
P2 = D2 - P1
스텝(S13)에서 연산을 행한 후, 여기에서 마찬가지의 연산을 또한 행하는 것은 그 팩에 엔트리 패킷을 포함하기 때문에 데이타의 용량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P1, P2 는 D2 를 각 코드 버퍼(4, 5)의 데이타량(M4, M5)에 비례해서 배분한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비디오 패킷 헤더가 헤더 부가 회로(7)로부터 DSM(10)에 출력되고(스텝 S20), 계속해서 비디오 엔트리 포인트 직전까지의 비디오 데이타가 비디오 엔코더(1), 비디오 엔트리 포인트 검출 회로(31), 코드 버퍼(4), 스위칭 회로(6)의 입력 단자(E1), 출력 단자(F), 헤더 부가 회로(7)의 경로에서 DSM(10)에 출력되며 디스크에 기록된다(스텝 S21). 다음에 엔트리 패킷 발생 회로(32)에 의해 엔트리 패킷이 출력되며 디스크에 기록된다(스텝 S22). 단, 이때의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는 더미데이타이며 엔트리 패킷의 상대 위치 정보는 디스크에는 기록되지 않는다.
그후, 또한번 비디오 패킷 헤더가 출력기록되고(스텝 S23), 나머지의 비디오 데이타가 출력, 기록된다(스텝 S24). 그리고 스텝(S17, S18)으로 나아가고 오디오 패킷 헤더가 부가되며 P2 바이트의 오디오 데이타가 기록된다.
제 11 도의 알고리즘을 반복하고 비디오 엔코더(1)와 오디오 인코더(2)로의 입력이 없어진 시점에서 이미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엔트리 패킷에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가 기록된다. 즉, 제어 장치(80)는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33)로부터 엔트리 패킷을 포함하는 팩의 위치를 판독하고 DSM(10)의 디스크의 각 엔트리 패킷에 전후 3 개씩의 엔트리 패킷을 포함하는 팩의 상대 위치를 기록케 한다.
또, 상술의 예에서 최초에 엔트리 패킷을 DSM(10)에 공급하는 시점에서 엔트리 패킷의 데이타를 모두 더미데이타로 하고 있는데 바로직전(과거)의 엔트리 패킷의 위치(3 개 바로직전, 2 개 바로직전 및 하나 바로직전의 위치) 정보에 대해서 최초로 엔트리 패킷을 DSM(10)으로 보내는 시점으로부터 바른 위치 정보 entry_packet_-3, entry_packet_-2, entry_packet_-1 로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상술같이 직후의 위치에 있는(미래의) 엔트리 패킷의 위치를 알 수 없으므로 적어도 이것들의 위치 정보에 대해서 모든 다중화가 종료된 후에 DSM(10)의 다중화 비트 스트림중에 있는 엔트리 패킷에 추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33)의 용량이 충분히 또는 전적으로 없는 경우, 직후의 위치에 있는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를 충분히 또는 전적으로 유지할 수 없으므로 DSM(10)에 기록된 다중화 비트 스트림중의 엔트리 패킷에 추기할 수는 없다. 또, 엔트리 패킷 기억 장치(33)의 용량이 전혀 없을 경우에 최초에 엔트리 패킷을 DSM(33)으로 보낼때에 앞의 위치에 있는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 entry_packet_-3, entry_packet_-2, entry_packet_-1 에 대해서도 기록할 수 없다. 이 같은 경우, 완성한 다중화 비트 스트림중의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에 들어있는 값은 바른 값이 아니므로 이와 같은 값에 기초해서 서치를 행한 경우에는 예기치 않는 동작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선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플래그(enable_flag)를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엔트리 패킷 발생 회로(32)로부터 발생시키는 엔트리 패킷의 형식을 제 10 도에서 도시하는 형식으로 하고 있다. 제 10 도의 형식은 1 엔트리 패킷에 포함되는 모든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 정보의 유효성을 하나의 1bit 플래그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또, 제 10 도의 엔트리 패킷의 형식을 대신해서 제 12 도의 엔트리 패킷의 형식을 쓸수도 있다. 제 12 도의 경우는 엔트리 포인트마다 유효성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부가하는 방법이다.
제 10 도의 형식의 엔트리 패킷을 쓰는 경우, 다중화를 행해서 최초에 다중화 비트스트림을 DSM(10)으로 보내는 단계에서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를 완전하게 기록할 수 없으므로 그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의 「유효」 플래그, Enable flag 에 「무효」를 의미하는 0 을 세트하고, DSM(10)에 기록한다. 모든 다중화데이타를 기록 종료한 후,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33)에 기억되어 있는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를 써서 엔트리 패킷에 추기를 행하는 때, 모든 위치 정보를 기록한 엔트리 패킷에 대해서 제어 장치(80)는 그 엔트리 패킷에 있는 Enable flag 를 「유효」 를 의미하는 1 로 갱신한다.
제 12 도의 형식의 엔트리 패킷을 쓰는 경우는 다중화를 행하고 최초에 다중화 비트스트림을 DSM(10)로 보내는 단계에서 Enable Flag-3∼Enable Flag+3 의 「유효」 플래그중 기록할 수 있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유효」 플래그에는 「유효」 를 나타내는 1 을 세트하고 기록할 수 없었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유효」 플래그에는 「무효」 를 나타내는 0 을 세트해서 DSM(10)에 기록한다. 모든 다중화 데이타를 기록 종료한 후,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33)에 기억되어 있는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를 써서 엔트리 패킷에 추기를 행할때 제어 장치(80)는 추기할 수 있던 위치 정보에 관해서 대응하는 「유효」 플래그를 「유효」 를 의미하는 1 로 갱신한다.
제 12 도에서 enable_flag_N 과, entry_Packet_N(-3 ≤ N ≤ +3) 을 연속한 비트열로 생각하고 이 비트열에서 하나의 수를 나타낸다고 생각하면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 「유효」 플래그를 설치하는 대신에 엔트리 패킷 위치 정보 그 자체로서 그 값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것과 등가로 된다. 즉 「유효」한 위치 정보를 기입할 수 없는 경우, 특정한 범위의 값 또는 위치 정보로서 「무효」인 값을 기입해 두므로서 위치 정보 「유효」 플래그를 부가하는 것과 동등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특정한 값을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에 기입하므로서 각각의 엔트리 포인트가 「무효」인 것을 표시하는 경우, 「무효」를 표시하는 특정의 값을 복수 종류 설치할 수도 있다. 예컨대, 단지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 정보의 기록에 실패하였기 때문에 그것의 엔트리 포인트의 정보가 「무효」인 경우와, 의도적으로 그것의 엔트리 포인트에 판독하고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금지하는 경우를 다른 값으로 엔트리 패킷에 기입하므로서 데이타 복호화 장치에 알릴 수가 있다.
다음에 제 10 도 또는 제 12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enable_falg 을 이용하여 써치 동작을 하는 데이타 복호화 장치를 제 8 도를 사용하여 설명을 한다. 통상 재생시 분리 장치(21)의 헤더 분리 회로(22)는 DSM(10)으로부터 판독한 데이타로부터 팩 헤더, 패킷 헤더 및 엔트리 패킷을 분리하여 제어 장치(60)에 공급함과 함께 시분할 다중된 데이타를 스위칭 회로(23)의 입력 단자(G)에 공급한다. 스위칭 회로(23)의 출력 단자(H1, H2)는 각각 비디오 디코더(25), 오디오 디코더(26)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60)는 헤더 분리 회로(22)에서 공급된 패킷 헤더의 stream_id 에 따라 스위칭 회로(23)의 입력 단자(G)와 출력 단자(H1, H2)를 차례로 접속상태로 하여 시분할 다중된 데이타를 정확하게 분리시켜 비디오 데이타를 비디오 디코더(25)에 오디오 데이타를 오디오 디코더(26)에 각각 공급한다.
또, 제어 장치(60)는 헤더 분리 회로(22)로부터 입력된 데이타로부터 엔트리 포인트에 관한 정보(엔트리 패킷의 정보)를 읽어내고,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41)에 공급하고 기억시킨다. 제어 장치(60)에는 DSM(10)에서 현재의 읽어내기 위치의 정보, 예컨대, DSM(10)의 디스크의 섹터 번호가 공급되므로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41)는 엔트리 패킷의 위치와 그것의 내용을 DSM(10)의 판독 위치와 대응지어서 기억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60)는 제 10 도 또는 제 12 도에 도시되어 있는 enable_flag 을 포함해서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41)에 공급하여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41)는 그것도 기억한다.
다음으로 제 8 도의 데이타 복호 장치의 써치 동작이 지령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시하지 아니하는 주제어 장치는 제어 장치(60), 비디오 디코더(25) 및 오디오 디코더(26)에 대해서 써치 모드로의 천이를 명령한다. 제어 장치(60)는 DSM(10)에서 공급되는 현재의 읽어낸 위치 정보에 기초해서 그 위치의 근처의 엔트리 패킷 정보를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41)로부터 추출한다. 이때 제어 장치(60)는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41)에 기억된 enable_flag 로부터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무효」인 경우 그것의 정보에 기초해서는 DSM(10)에 써치 동작을 명령하지 아니하고 별도의 엔트리 패킷 정보를 기억 장치(41)에서 추출한다. 다른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 정보등에서 이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가 내압, 추정등으로 계산되는 경우에는 그와 같이해서 구해진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에 DSM(10)를 써치시킬 수도 있다.
제어 장치(60)는 「유효」한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를 구했을때 DSM(10)에 써치 명령을 보내 읽어내기 위치를 그 엔트리 포인트를 포함하는 섹터에 고속이동시킨다. 이동이 완료하였을때 DSM(10)은 그것의 엔트리 포인트를 포함하는 섹터에서 데이타를 재생하고 분리 장치(21)에 공급한다. 제 9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엔트리 패킷은 I 픽쳐가 기록되어 있는 비디오 데이타의 직전에 설치되어있다. 따라서 헤더 분리 회로(22)에 의해 엔트리 패킷에 이어지는 비디오 데이타를 분리하고 비디오 디코더(25)에 공급하면, 이 비디오 데이타의 최초의 픽쳐는 I 픽쳐로 되어 있다. 비디오 디코더(25)는 최초로 출현한 I 픽쳐를 곧바로 디코드하고 출력한다. 써치 모드에 있어서는 오디오 디코더(26)는 뮤트 상태로 된다.
엔트리 패킷에는 전후 각각 3 개의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제어 장치(60)는 그 위치 정보에서 다음의 엔트리 패킷을 포함하는 섹터를 써치키시고 재생시키는 동작을 반복시킨다. 이들에 의해 I 픽쳐가 신속하게 차례로 연속 재생된다.
제어 장치(60)는 지정된 써치의 속도가 빠를 때에는 보다 먼 엔트리 포인트에 액세스시켜 지정된 써치의 속도가 늦을때에는 보다 가까운 엔트리 포인트에 액세스시킨다. 엔트리 포인트는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각각 3 개씩 기록시키고 있으므로 선택하는 엔트리 포인트의 조합에 의해 3 단계이상의 써치 속도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제 10 도 또는 제 12 도에 도시하는 엔트리 패킷의 entry_packet_-3, entry_packet_-2, entry_packet_-1, entry_ packet_+1, entry_packet_+2, entry_packet_+3 에는 각각 그것의 엔트리 패킷의 3 개의 직전, 2 개의 직전, 하나의 직전, 하나 직후, 2 개 직후, 3 개 직후의 엔트리 포인트의 상대 위치가 섹터수로 기록되어 있으나 여기에 기입하는 엔트리 포인트의 상대 위치는 반드시 해당 엔트리 패킷에 대해서 -3, -2, -1, +1, +2, +3 의 위치의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자면 -25, -8, -1, +1, +5, +20 와 같이 임의의 엔트리 패킷의상대위치를 기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기록 매체의 종별, 다중화 비트 스트림의 신호 형식, 다중화하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타의 성질등의 제특성에 의해 기입 엔트리 포인트의 상대 위치를 기록 장치 마다, 다중화 데이타마다, 엔트리 패킷마다 변경해서 써치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IS011172(MPEG)로 규정되는 다중화 비트 스트림에서는 I 픽쳐에서 다음의 I 픽쳐까지의 픽쳐 매수는 가변이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항상 엔트리 패킷에 -3, -2, -1, +1, +2, +3 의 위치의 엔트리 포인트가 기입되어 있는 경우 I 픽쳐간의 매수가 다른 비트 스트림에서는 실시간 재생에 대한 써치 재생의 속도는 변화해 버리나 I 픽쳐간의 픽쳐 매수에 대응해서 엔트리 포인트의 상대 위치를 가변시켜서 엔트리 패킷에 기록하므로서 써치 속도를 조정해서 I 픽쳐간의 매수가 다른 비트 스트림간에서 일정한 써치 재생의 속도를 실현할 수 있다.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에 기입하는 엔트리 포인트의 상대 위치는 반드시 이 엔트리 패킷에 대해서 -3, -2, -1, +1, +2, +3 의 위치의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자면 -25, -8, -1, +1, +5, +20 와 같이 임의의 엔트리 패킷의 상대 위치를 기록할 수도 있으나 정·역방향의 느린 재생 동작이나 지령 보내기 재생 동작등의 특수 재생을 하는 경우에 전후 -1, +1 의 위치의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가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거기에서 이와 같은 특수 재생이 필요해지는 비트 스트림에 관해서는 entry_packet_-1, entry_packet_+1 에 기록하는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에 제한을 설치하고 각각 반드시 전후 -1, +1 의 위치의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를 기입하도록 할 수도 있다.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임의의 개수분 직후 또는 앞에 있는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엔트리 패킷에 기록하는 경우에 있어서 예컨대, -25, -8, -1, +1, +5, +20 개 직후의 엔트리 패킷의 상대 위치를 기록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 제 10 도 또는 제 12 도와 같은 형식의 엔트리 패킷을 사용하면 제 8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데이타 복호화 장치에서는 그들의 자유롭게 기입된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 정보가 몇개 직후 또는 앞의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관한 것인가를 판별할 수 없다. 따라서 그들의 상대 위치 정보를 써치 동작에 사용한 경우 어느 정도의 써치 속도가 실현할 수 있는 것인가가 예측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거기에서 엔트리 패킷을 제 13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식으로 하고 entry_packet_-3, entry_packet_-2, entry_packet_ -1, entry_packet_+1, entry_packet_+2, entry_packet_+3 이 각각 몇개분 앞 또는 직후의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를 표시하는가를 나타내는 엔트리 포인트 간격 정보, Entry Point Position -3, Entry Point Position -2, Entry Point Position -1, Entry Point Position +1, Entry Point Positi on +2, Entry Point Position +3 을 엔트리 패킷에 기록할 수도 있다.
예컨대, entry_packet_-3, entry_packet_-2, entry_ packet_-1, entry_packet_+1, entry_packet_+2, entry_packet_ +3 에, 각각, -25, -8, -1, +1, +5, +20 개 직후에 있는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 Entry PointPosition -3, Entry Point Position -2, Entry Point Position -1, Entry Point Position +1, Entry Point Position +2, Entry Point Position +3 에 각각 -25, -8, -1, +1, +5, +20 를 기록해 둔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엔트리 포인트의 간격을 엔트리 포인트의 개수를 단위로 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시간, 픽쳐수 또는 프레임 수를 단위로 하여 표현을 해도 좋다.
제 14 도는 이와 같은 엔트리 패킷을 발생하는 데이타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기본적인 구성은 제 7 도와 같으나 엔트리 패킷 발생 회로(34) 및 제어 장치(81)의 동작이 다르다. 제어 장치(81)에는 도시하지 아니한 입력 장치에서 엔트리 포인트의 간격을 지정하는 간격 지정 신호가 입력된다. 제 7 도의 경우와 같이 제어 장치(81)는 비디오 엔트리 포인트 검출 회로(31)로부터의 엔트리 포인트 발생 신호를 받아 엔트리 패킷 발생 회로(34)를 제어하여 더미 데이타로 구성되는 엔트리 패킷을 발생시킨다. 제어 장치(81)는 모든 데이타의 다중화가 종료하면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33)에 기억된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서 간격 지정 신호에 대응하는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이것을 엔트리 패킷 발생 회로(34)에 공급한다. 이때 제어 장치(81)는 엔트리 패킷 발생 회로(34)에 대해 간격 지정 신호도 공급한다. 엔트리 패킷 발생 회로(34)는 각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 정보와 간격 지정 신호에 기초해서 entry_packet_-3, entry_packet_-2, entry_packet_-1, entry_packet_+1, entry_packet_+2, entry_ packet_+3 및 Entry Point Position -3, Entry Point Position -2, Entry Point Position -1, Entry Point Position +1, Entry Point Position +2, Entry PointPosition +3 를 발생한다. 제어 장치(81)는 스위칭 회로(6)를 제어해서 이 정보를 DSM(10)에 공급함과 함께 DSM(10)를 제어해서 이들 정보를 각각 대응하는 엔트리 패킷에 추기시킨다.
제 15 도는 이와 같은 Entry Point Position -3∼+3 까지의 정보를 사용해서 써치를 하는 데이타 복호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기본적인 구성은 제 8 도와 같다.
통상 재생시 헤더 분리 회로(22)는 DSM(10)에서 보내어져 온 다중화 비트 스트림에서 엔트리 패킷을 판별하고 엔트리 패킷의 내용을 제어 장치(61)로 보낸다. 제어 장치(61)는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entry_packet_-3, entry_packet_-2, entry_packet_-1, entry_packet_+1, entry_packet_+2, entry_ packet_+3) 및 간격 정보(Entry Point Position -3, Entry Point Position +1, Entry Point Position +2, Entry Point Position +3)을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42)로 보내고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도시하지 아니한 주제어 장치에서 제어 장치(61)에 대해서 써치 속도의 목표치를 부여함과 함께 써치 동작을 지령한다. 제어 장치(61)는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42)에 기억되어 있는 엔트리 패킷 정보의 간격 정보 Entry Point Position -3, Entry Point Position -2, Entry Point Position -1, Entry Point Position +1, Entry Point Position +2, Entry Point Position +3 중에서 지시된 써치 속도에 가장 가까운 속도를 실현하는 것을 검출한다. 다시 제어 장치(61)는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41)에 기억된 entry_packet_-3, entry_packet_ -2, entry_packet_-1, entry_packet_+1, entry_packet_+2, entry _packet_+3 중에서 검출된 간격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선택한다. 제어 장치(61)는 이와 같이해서 선택한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를 사용해서 DSM(10)에 엔트리 포인트로의 써치 동작을 지령한다.
이와 같이, 각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가 몇개 직후 또는 앞의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인가를 표시하는 간격 정보를 써서 여러가지 희망하는 써치 속도에 대해서 그것에 가장 가까운 써치 속도를 실현하는 엔트리 패킷 위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엔트리 패킷을 제 16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식으로 하고 그것의 엔트리 포인트의 직후에 계속되는 I 픽쳐의 데이타의 크기(바이트수) I-picture length, 또는 그것의 I 픽쳐의 데이타의 끝이 다중화되어 있는 팩의 위치 I-picture END sector-NO., 또는 그것의 양편을 엔트리 패킷에 기록할 수도 있다.
제 17 도에 I-picture length, I-picture END sector- No. 를 엔트리 패킷에 기록하기 위한 데이타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또, 제 7 도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간단히 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I 픽쳐 종료점 검출 회로(51)는 비디오 엔코더(1)로부터 보내져 오는 비트 스트림에서 I 픽쳐의 데이타의 종단을 찾아 내어 그것의 종단의 발생 타이밍을 제어 장치(82)에 알리는 기능을 갖는다.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37)는 엔트리 패킷의 위치와 그것의 엔트리 패킷의 직후에 계속되는 I 픽쳐의 데이타의 길이 I-picture length 와 그것의 I 픽쳐의 데이타의 종단이 다중화되어 있는 섹타의 위치 정보 I-picture END sector-No. 를 보존하는 기능을 갖는다.
I 픽쳐의 데이타의 길이 I-picture length 는 다음과 같이해서 구해진다. 제어 장치(82)는 비디오 엔코더(1) 또는 비디오 엔트리 포인트 검출 회로(31)에서 엔트리 포인트의 발생 타이밍을 얻음과 함께 I 픽쳐 종료점 검출 회로(51)에서 그것의 엔트리 포인트의 직후에 계속되는 I 픽쳐의 데이타의 종료점의 발생 타이밍을 얻는다.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는 I 픽쳐의 데이타의 개시점의 위치이므로 제어 장치(82)는 I 픽쳐의 데이타의 종료점의 발생 타이밍과 엔트리 포인트의 발생 타이밍과의 차분을 연산하여 이것을 바이트수로 환산하므로서 I 픽쳐의 데이타의 길이 I-picture length 를 계산한다. 제어 장치(82)는 얻어진 I-picture length 를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37)에 공급하여 기억시킨다.
I 픽쳐의 데이타의 길이는 코드 버퍼(4)의 기억 용량보다 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최초로 엔트리 패킷을 다중화해서 DSM(10)에 기입할때에는 그것의 엔트리 패킷에 기입해야 할 I 픽쳐의 데이타의 길이 I-picture length 는 아직 계산되지 아니한 일이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엔트리 패킷 발생 회로(36)는 엔트리 패킷의 I-picture length 의 부분에 대해서는 이 계산을 표시하는 0 또는 특정한 값을 발생한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DSM(10)의 디스크에는 더미의 I-picture length 를 포함하는 엔트리 패킷이 기록되어 있게 된다. 제어 장치(82)는 I 픽쳐의 데이타의 길이가 계산된 시점에서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37)에 I 픽쳐의 데이타의 길이 I-picture length 를 공급하고 기억시켜 두고 직후에 엔트리 패킷에 추기를 할때에 DSM(10)에 I-picture length 의 값을 공급해서 기록한다.
또, I 픽쳐의 데이타가 다중화되어 있는 팩의 종단의 위치 I-picture ENDsector-No. 는 다음과 같이해서 구해진다. 제어 장치(82)는 코드 버퍼(4)와 코드 버퍼(5)에 축적되어 있는 데이타량(M4, M5)에 의해 제 11 도에 도시되는 알고리즘으로 데이타를 다중화하나 여기에서 제어 장치(82)는 제 11 도에서 도시되는 알고리즘에 기술되어 있는 처리와는 달리 각 섹터마다 그 섹타의 비디오 데이타에 I 픽쳐의 종료점이 포함되는가를 판정한다. 그것의 섹터에 I 픽쳐의 데이타의 종료점이 포함되는 경우 제어 장치(82)는 그것의 섹터의 위치를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37)에 기억시킨다.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37)는 그것의 I 픽쳐의 직전에 다중화된 엔트리 패킷에 기입되는 데이타와 대응되도록 하여 기억한다.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37)에 기억된 I 픽쳐의 데이타의 종단 위치가 포함되는 섹터의 위치 I-picture END sector-No. 는 I 픽쳐의 데이타의 길이 I-picture length 와 같이 엔트리 패킷의 추기가 행해질때에 DSM(10)에 그 값이 공급되어 기록된다. 이때 I-picture END sector-No. 는 그것의 I 픽쳐의 데이타의 다중화가 개시된 섹터의 위치 즉 엔트리 패킷의 다중화되어 있는 섹터의 위치로부터의 상대거리(섹터수)로 DSM(10)에 기입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해서 엔트리 패킷에 기입된 I-picture END sector-No. 및 I-picture length 를 사용해서 고속의 써치를 하는 데이타 복호화 장치의 예를 제 18 도를 써서 설명한다.
그런데 ISO11172(MPEG)에 의거한 비디오 데이타는 픽쳐 마다 그것의 데이타의 량이 다른 비트 스트림에 대해서도 디코드 동작을 보증하기 위해, 디코더 내부에 비디오 코드 버퍼를 갖고 있다. 비디오 디코더(25)에 들어온 비트 스트림은 먼저, 일단, 이 비디오 코드 버퍼에 축적되고 그후 필요한 타이밍으로 디코드된다.
종래는 I 픽쳐를 연속 재생하기 위해, 제어 장치(62)는 비디오 디코더(25)에 의한 I 픽쳐의 디코드가 종료하였는가를 감시하여, 디코드 종료가 확인된후 다음의 I 픽쳐의 써치 지령을 DSM(10)에 대해서 행하는 동작을 하고 있었다. 이때 비디오 디코더(25)가 비디오 코드 버퍼를 갖고 있는 경우 비디오 디코더(25)의 디코드부가 I 픽쳐의 디코드를 종료한 단계에서는 비디오 디코더(25)의 비디오 코드 버퍼에는 I 픽쳐에 계속해서 다중화되어 있는 P, B 픽쳐의 데이타가 축적되어 있고 그들의 데이타는 디코드되지 아니함에도 불구하고 DSM(10)에서 읽어내어 있는 상태에 있다. 많은 경우 써치의 속도는 비디오 디코더(25)의 디코드에 요하는 시간보다도 DSM(10)에서 데이타를 읽어내는 시간에 지배되므로, 낭비의 P, B 픽쳐의 로드에 의해 써치의 속도는 저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엔트리 패킷에 기입되어 있는 I-picture END sector-No. 정보를 사용하므로서 낭비되는 P, B 픽쳐의 읽어낸량을 적어도으로 억제하고, 다음에 표시해야할 I 픽쳐의 데이타를 비디오 디코더(25)내의 비디오 코드 버퍼내에 미리 읽어들일 수가 있으므로 써치 속도가 DSM(10)로부터의 읽어낸 속도에 지배되는 데이타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보다 고속인 써치 동작이 실현된다. 다음에 그 동작을 설명한다.
써치 동작중에 있어서 제어 장치(62)는 엔트리 패킷에 기록되어 있는 전후의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에 기초해서 DSM(10)에 써치를 지령한다. DSM(10)는 지정된 위치(섹터)에서 다중화 비트 스트림을 읽어내서 헤더 분리 회로(70)로 보낸다.헤더 분리 회로(70)는 보내져온 다중화 비트 스트림중에 엔트리 패킷을 검출하면 제어 장치(62)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고 이것을 알린다. 제어 장치(62)는 이 인터럽트 신호를 받아서 DSM(10)의 현재의 읽어낸중의 섹터 번호를 검출하고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43)에 현재의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로서 기억한다.
또, 동시에 제어 장치(62)는 헤더 분리 회로(70)에서 엔트리 패킷에 기입되어 있는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끄집어내어,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43)에 기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I-picture END sector-No. 는 현재의 엔트리 포인트의 선두의 섹터 위치로부터의 상대위치(섹터수)에서 엔트리 패킷 중에 기입되어 있으므로 제어 장치(62)는 DSM(10)에서 읽어내어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43)에 기억한 현재의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 정보는 I-picture END sector-No. 를 가산하므로서 상대 위치 정보를 절대 위치 정보(섹터 번호)로 변환한다.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43)는 다른 엔트리 패킷의 정보와 함께 이 절대 위치 정보를 기억한다.
DSM(10)이 다중화 비트 스트림을 헤더 분리 회로(70)에 계속 공급함에 따라서 DSM(10)의 판독한 섹터의 섹터 번호는 시간과 함께 증가해간다. 제어 장치(62)는 DSM(10)에서 섹터 번호를 일정주기로 읽어내고,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43)에 기억되어 있는 절대 위치 정보에 변환된 I-picture END sector- No. 와 비교한다. 이때 DSM(10)에서 얻어진 섹터 번호가 절대 위치 정보로 변환된 I-picture END sector-No. 가 표시하는 섹터 번호를 넘었을 때는 필요한 I 픽쳐의 읽어내는 종료하고, I 픽쳐에 계속되는 P, B 픽쳐등의 불필요한 데이타가 로드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곧바로 DSM(10)에 다음의 I 픽쳐를 읽어들이기 위한 써치를 명령한다.
또, 본 실시예의 데이타 복호화 장치는 엔트리 패킷에 기입된 I 픽쳐의 데이타의 크기 I-picture length, 또는 그것의 I 픽쳐 데이타의 종단이 다중화되어 있는 팩의 위치 I-picture END sector-No. 를 사용해서 보다 일정한 써치 속도로 써치를 행할 수 있다. 제 18 도에 도시하는 제어 장치(62)는 써치 동작으로 들어간 경우 엔트리 패킷에 기억되어 있는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I 픽쳐의 데이타의 선두를 포함하는 섹터를 DSM(10)에서 판독한다. 판독된 섹터에는 반드시 엔트리 패킷이 다중화되어 있으므로 거기에 기입되어 있는 I-picture length, I-picture END sector-No. 에서 그것의 I-picture 의 데이타의 길이나 읽어들여야할 섹터의 량을 읽어들일 수가 있다. 제어 장치(62)는 엔트리 패킷에 기입된 I-picture length 또는 I-picture END sector-No. 이 어떤 임계치를 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다시 I-picture length 또는 I-picture END sector-No. 가 어떤 임계치를 넘었을 경우, 임계치를 넘은 I 픽쳐가 몇매 연속하였는가를 판정한다. 데이타량이 임계치를 넘은 I 픽쳐가 일정한 매수이상 계속된 경우에는 DSM(10)으로부터의 데이타의 읽어내거나 비디오 디코더(25)에 의한 디코드 처리에 시간이 걸리고 써치 속도가 늦어진 것이 추정되므로 제어 장치(62)는 일시적으로 I 픽쳐의 디코드의 중지 혹은 -3∼+3 까지의 엔트리 포인트중 선택하는 엔트리 포인트의 변경을 하여 지연을 수정한다. I 픽쳐의 디코드의 중지는 비디오 디코더(25) 및 오디오 디코더(26)에 데이타가 공급되지 아니하는 중에 DSM(10)에 다음의 엔트리 포인트로의 써치를 명령하므로서 실현한다. 선택하는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의 변경은 다음 I 픽쳐를 써치할때에 그때까지 행하고 있던 써치보다도 고속인 써치를 하는 엔트리포인트에 DSM(10)를 써치시키므로서 실현한다. 예컨대, entry_packet_+2 를 사용한 써치를 행하고 있는 경우라면 일시적으로 entry_packet_ +3 를 사용한 써치로 변경한다.
상기 순서에 따라 일시적으로 써치 속도가 저하한 경우에 직후의 써치 동작을 일시적으로 생략 또는 고속화하여 보다 일정 속도로 가까운 써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엔트리 패킷의 형식을 제 1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고 이 엔트리 패킷에 계속되는 I 픽쳐에 관한 I-picture length, I-picture END sector-No. 뿐만이 아니고 entry_packet_ -3∼entry_packet_+3 까지에 표시되어 있는 엔트리 패킷에 계속되는 I 픽쳐에 관한 I-picture length, I-picture END sector-No. 를 엔트리 패킷에 기록할 수 있다. 즉 I-picture length_-3∼I-picture length_+3, I-picture END sector-No._-3 ∼I-picture END sector-No._+3 를 엔트리 패킷에 기입한다.
이에 따라 새로운 I 픽쳐를 읽어들일때 그 I 픽쳐의 직전에 다중화되어 있는 엔트리 패킷을 읽어들이기 전에 데이타 복호화 장치의 제어 장치는 그것의 I 픽쳐의 길이나 DSM(10)의 디스크 위의 끝의 위치를 알수가 있으므로 더욱 고속인 써치를 실현할 수 있다.
다시 제 19 도에 도시하는 엔트리 패킷의 실시예에서는 엔트리 패킷에 비디오 스트림 번호 Video stream-No. 를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ISO11172(MPEG)에 규정되어 있는 다중화 비트 스트림에는 최대 16 까지의 비디오 데이타가 다중화되는것이 허여되고 있다. 하나의 다중화 비트 스트림에 복수의 비디오 스트림이 다중화되고 또한 다중화된 2 개이상의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서 써치 동작을 하는 것이 고려될때는 각 비디오 스트림에 의해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가 다르므로 각각의 비트 스트림에 대한 엔트리 포인트 정보를 기억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엔트리 패킷의 형식에서는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엔트리 패킷밖에 다중화할 수 없었으나 Video stream-No. 정보를 엔트리 패킷에 기록해서 각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엔트리 패킷을 다중화하므로서 데이타 복호화 장치가 필요한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엔트리 패킷을 선택할 수 있게 되고 복수의 비디오 스트림이 다중화되어 있는 다중화 데이타에 있어서도 임의의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서 써치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다시 제 19 도에 도시하는 엔트리 패킷의 실시예에서는 Copy Management Flag 를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Copy Management Flag 는, CD(콤팩트 디스크) DAT(디지탈 오디오 테이프)에 채용되고 있는 SCMS(Serial Copy Management System)와 같은 작용을 실현하는 것으로 다중화 데이타의 제작자의 의도에 따르지 아니하는 복사(Copy)를 불가능으로 하는 것을 지정하는 플래그이다. 또, Copy Management Flag 는 복사 금지인가 아닌가의 정보뿐만 아니라 복사가 허여되는 회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트 스트림을 복사해서 복제물을 작성할 수는 있으나 그것의 복제물을 근거로한 복제물 즉 손(孫) 복사에 의한 복제를 금할 수 있다. 이상으로 제작권이 주장되고 있는 등의 이유로 복사를 금지하고져 하는 비트 스트림을 데이타 복호 장치 또는 거기에 접속되는 기기에 대해서 명시할 수있다.
제 20 도는 이와 같은 다중화 비트 스트림을 형성하는 데이타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 20 도에 도시되는 데이타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는 비디오 엔코더(1), 비디오 엔트리 포인트 검출 회로(31), I 픽쳐 종료점 검출 회로(51), 코드 버퍼(4 및 5)가 각각 n 개 존재한다. 이와 같은 데이타 부호화 장치의 경우 제어 장치(83)는 각각의 코드 버퍼(4, 5)에 축적되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 비트 스트림을 스위칭 회로(6)에서 절환하여서 헤더 부가 회로(7)에 공급해서 비디오 패킷 헤더 또는 오디오 패킷 헤더를 부가하여 팩단위로 DSM(10)에 기록한다.
DSM(10)에 기록하려고 하는 팩에 어떤 것의 비디오 스트림의 I 픽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것의 I 픽쳐의 직전에 엔트리 패킷이 다중화된다. 이때 그것의 엔트리 패킷이 어느 비디오 스트림에 대하는 것인가를 제어 장치(83)는 엔트리 패킷 발생 회로(38)에 공급하고 엔트리 패킷의 Video stream-No. 에 기록한다.
제어 장치(83)는 제 7 도의 경우와 같이 해서 각 I 픽쳐에 관한 I-picture length 과 I-picture END sector-No. 를 구하고 이것을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39)에 기억시킨다. 모든 데이타의 다중화가 끝나면 제어 장치(83)는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39)로부터 I-picture length 와 I-picture END sector-No. 를 읽어내고, 이것을 엔트리 패킷 발생 회로(38)에 공급한다. 엔트리 패킷 발생 회로(38)는 I-picture length 와 I-picture END sector-No. 에 기초해서 I-picture length_-3∼I-picture length_+3, I-picture END sector-No._ -3∼I-picture ENDsector-No._+3 를 발생한다. I-picture length 과 I-picture END sector-No., I-picture length_-3∼ I-picture length_+3, I-picture END sector-No._-3∼I-picture END sector-No._+3 은 스위칭 회로(6)를 거쳐서 DSM(10)에 공급되고 대응하는 엔트리 패킷에 각각 추기시킨다.
또, 제어 장치(83)는 도시하지 아니한 입력 장치로부터 복사 금지를 표시하는 복사 정보가 입력된 경우 복사를 금지하고져 하는 비트 스트림에 대해 엔트리 패킷 발생 회로(38)에 지령해서 발생시키는 엔트리 패킷 Copy Management Flag 에 복사 금지를 표시하는 값을 세트한다.
제 21 도에 도시되는 데이타 복호화 장치에서는 도시하지 아니한 입력 장치로부터 제어 장치(63)에 대해서 선택하고져 하는 비트 스트림의 스트림 번호 stream-No. 가 공급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어 장치(63)에 대해서 써치 지령이 이루어지면 제어 장치(63)는 헤더 분리 회로(70)에서 공급된 엔트리 패킷의 Video stream-No. 를 읽어내고, 그것의 값이 선택되어 있는 stream-No. 와 일치한 때에는 그것의 엔트리 패킷에 기록되어 있는 엔트리 포인트 정보등을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44)에 기억한다. 또, 일치하지 아니할때는 그것의 엔트리 포인트 정보 등을 파기한다. 제어 장치(63)는 다른 실시예로 표시된 제어 장치의 동작과 같이해서 엔트리 포인트 기억 장치(44)에 기억된 엔트리 포인트 정보에 기초해서 DSM(10)를 제어해서 써치 동작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다중화하는 비디오 스트림마다 엔트리 패킷을 설치하고 어느 비디오 스트림에 대응하는 가의 식별자를 엔트리 패킷에 포함함으로서 다중화되어 있는 모든 비디오 스트림으로 써치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제 21 도에 도시하는 데이타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83)는 헤더 분리 회로(70)에서 공급된 엔트리 패킷 Copy Management Flag 를 읽어들이고, 여기에 복사 금지를 표시하는 값이 세트되어 있으면 그것의 비디오 스트림을 복사 금지해서 취급한다. 비디오 디코더(25)가 외부 출력 단자를 설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63)는 복사 금지로서 취급되는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서 비트 스트림 데이타를 외부 출력 단자로 출력하지 아니하도록 비디오 디코더(25)를 제어하거나 또는 외부 출력할때에 송출하는 비트 스트림의 복사 금지를 표시하는 영역에 복사 금지를 표시하는 값을 세트해서 송출선의 기기에 그것의 비트 스트림이 복사 금지임을 알린다.
써치 동작을 하는 경우 데이타 복호화 장치는 엔트리 패킷 정보를 사용해서 I 픽쳐를 연속 표시하나 이 경우 시간적으로 연속이 아닌 픽쳐가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시간적으로 연속이 아닌 화상을 일정시간이상 들여다 볼수 있으므로서 극도로 눈이 피로해질 가능성이 있다.
거기에서 제 21 도에 도시하는 데이타 복호화 장치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63)가 비디오 디코더(25)에 휘도 제어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써치중의 표시화면의 휘도를 떨어뜨려 눈의 피로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어 장치(63)는 도시하지 아니한 주제어 장치로부터 지령되어서 써치 동작으로 들어가면 비디오 디코더(25)에 휘도를 떨어뜨리는 제어 신호를 보낸다. 비디오 디코더(25)는 휘도 제어 신호를 받으면 표시화면의 휘도를 떨어뜨려 표시화면을 어둡게 한다. 또, 써치 동작이 끝나면 제어 장치(63)는 휘도를 통상으로 되돌리는 제어 신호를 보낸다. 비디오 디코더(25)는 그것의 신호에 의해 표시 화면의 휘도를 통상 상태로 되돌린다. 이에 따라 써치 동작이 행해지고 시간적으로 불연속인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은 표시 화상의 휘도를 떨어뜨리게 되어 써치 동작시의 눈의 피로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한 데이타 부호화 장치에 의하면, 엔트리 포인트 신호에 대응해서 발생되는 엔트리 패킷을 가변 속도의 데이타와 다중화하도록 하므로서 이 엔트리 패킷에 대응해서 소정의 데이타를 신속하게 써치할 수 있게 된다. 또, 가변 속도의 데이타를 축적하고 있는 기간에 액세스해야할 포인트가 발생하였을때 엔트리 포인트가 발생되고 축적한 가변 속도의 데이타가 소정의 량에 이르렀을때 그것의 축적기간에 있어서 엔트리 포인트의 유무가 판정되고, 엔트리 포인트의 직전에 엔트리 패킷이 가변 속도의 데이타에 다중화된다. 이에 의해 엔트리 패킷을 확실하게 소정의 다중화 할수가 있게 된다. 다시 엔트리 패킷에 enable_flag, entry_point_position, I-picture length, I-picture END sector-No., Video Stream No., Copy management flag 등의 부가 정보를 넣토록 하였으므로 써치 속도 제어나 써치의 고속화등의 디코더측에 필요한 정보를 엔코드시에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본 발명의 데이타 복호화 장치에 의하면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데이타로부터 가변 속도의 데이타와 엔트리 패킷이 분리되고, 이 분리된 엔트리 패킷의 전후의 엔트리 패킷의 위치 정보 및 부가 정보에 대응해서 기록 매체의 액세스 위치를 제어하도록 하였으므로 소정의 데이타를 확실하고 신속하게 써치할 수 있도록 된다. 또, 엔트리 패킷중의 부가 정보에 기초해서 복사 금지등의 디코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Claims (1)

  1. 데이타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적어도 부호화 데이타의 기록 영역을 갖고, 해당 기록 영역에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검출된 제 1 엔트리 포인트에 대하여 전 방향(前方向) 또는 후 방향(後方向)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엔트리 포인트에 관한 위치 정보와, 해당 부호화 데이타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부가 정보가, 상기 부호화 데이타의 소정의 위치에 패킷으로서 다중화되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기록 매체.
KR1020017004975A 1993-09-21 1994-09-21 데이타 기록 매체 KR100330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35121 1993-09-21
JP23512193A JP3551447B2 (ja) 1992-09-22 1993-09-21 データ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データ復号化装置および方法
KR1019950702043A KR100323785B1 (ko) 1993-09-21 1994-09-21 데이타전송방법및장치와데이타복호화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2043A Division KR100323785B1 (ko) 1993-09-21 1994-09-21 데이타전송방법및장치와데이타복호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0292B1 true KR100330292B1 (ko) 2002-03-27

Family

ID=1698136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975A KR100330292B1 (ko) 1993-09-21 1994-09-21 데이타 기록 매체
KR1020017004977A KR100330293B1 (ko) 1993-09-21 1994-09-21 데이타 전송 방법 및 장치, 데이타 복호화 장치, 및데이타 기록 매체
KR1019950702043A KR100323785B1 (ko) 1993-09-21 1994-09-21 데이타전송방법및장치와데이타복호화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977A KR100330293B1 (ko) 1993-09-21 1994-09-21 데이타 전송 방법 및 장치, 데이타 복호화 장치, 및데이타 기록 매체
KR1019950702043A KR100323785B1 (ko) 1993-09-21 1994-09-21 데이타전송방법및장치와데이타복호화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21840A (ko)
EP (1) EP0676756B1 (ko)
KR (3) KR100330292B1 (ko)
DE (1) DE69427578T2 (ko)
WO (1) WO19950088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9196B (en) * 1991-08-19 1996-03-13 Sony Corp Data storing medium
US5534944A (en) * 1994-07-15 1996-07-09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Method of splicing MPEG encoded video
JP3248380B2 (ja) * 1994-12-15 2002-01-21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復号化装置およびデータ復号化方法
MX9707116A (es) * 1995-03-20 1998-02-28 Closures & Packaging Serv Ltd Aparato para grabacion de informacion de imagen y metodo para grabacion de informacion de imagen.
JP3290851B2 (ja) * 1995-05-31 2002-06-10 株式会社東芝 ストリーム多重化装置、ストリーム多重化方法及び記録媒体
US5793927A (en) * 1995-06-07 1998-08-11 Hitachi America, Ltd. Methods for monitoring and modifying a trick play data stream to insure MPEG compliance
US5917438A (en) * 1995-06-30 1999-06-29 Victor Company Of Japan, Ltd. Data storing and outputting apparatus
JP3484832B2 (ja) * 1995-08-02 2004-01-0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3493822B2 (ja) * 1995-08-04 2004-02-03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方法及び装置、並びに、データ再生方法及び装置
US5703859A (en) * 1995-09-01 1997-12-30 Sony Corporation Digital video copy protection system
PL315880A1 (en) * 1995-09-01 1997-03-03 Sony Corp Apapratus for recording data and method of preventing illegal copying
TW385431B (en) * 1995-09-29 2000-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ncoding a bitstream with plural possible searching reproduction paths information useful in multimedia optical disk
KR100223163B1 (ko) * 1995-12-11 1999-10-15 윤종용 배속재생을 위한 디스크포맷 및 이를 이용한 동화상데이타의 배속재생방법 및 그장치
US6055271A (en) * 1996-01-18 2000-04-25 Sony Corporation Signal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volving the use of a number of pseudo access units
US6172988B1 (en) 1996-01-31 2001-01-09 Tiernan Communications, Inc. Method for universal messaging and multiplexing of video, audio, and data streams
JP3282489B2 (ja) * 1996-04-12 2002-05-13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情報データ記録及び再生装置
US6445738B1 (en) * 1996-04-25 2002-09-03 Opentv, In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trick play video streams from a compressed normal play video bitstream
JPH103745A (ja) * 1996-06-12 1998-01-06 Sony Corp 記録媒体、デジタルコピー管理方法、再生装置、及び記録装置
TW351903B (en) * 1996-07-03 1999-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ncoding method, encoding apparatus, decoding and compositing method, decoding and composition appratus, and record medium recorded with the aforesaid methods for multiple images
KR100219610B1 (ko) * 1996-09-20 1999-10-01 윤종용 디지탈 신호의 기록 및 재생장치
JP3500880B2 (ja) * 1996-11-26 2004-02-23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及びオーディオデータ処理方法及び装置
US6208655B1 (en) * 1996-11-27 2001-03-27 Sony Europa, B.V.,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ng data
KR100238668B1 (ko) * 1996-11-28 2000-01-15 윤종용 디지털 비디오 재생장치
JP3763172B2 (ja) * 1996-12-16 2006-04-0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復号方法及び装置、並びに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JPH1118083A (ja) * 1997-06-25 1999-01-22 Sony Corp ディジタル信号符号化方法及び装置、信号記録媒体並びに信号伝送方法
JPH1174794A (ja) 1997-09-01 1999-03-16 Sony Corp 付加情報の重畳伝送方法、付加情報重畳伝送システムおよび重畳付加情報検出装置
US7085478B2 (en) 1997-09-17 2006-08-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W436765B (en) * 1997-09-17 2001-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JP3185863B2 (ja) * 1997-09-22 2001-07-11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多重化方法および装置
GB9721662D0 (en) * 1997-10-14 1997-12-10 Philips Electronics Nv Encoded video signal formatting
US6396874B1 (en) * 1997-11-12 2002-05-28 Sony Corporation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picture data
JP3552506B2 (ja) * 1997-12-05 2004-08-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EP1630997B1 (en) * 1997-12-26 2011-02-16 Panasonic Corporation Coded signal reproduction apparatus
JPH11205696A (ja) * 1998-01-20 1999-07-30 Sony Corp 映像伝送装置及び映像伝送方法
JPH11213628A (ja) * 1998-01-21 1999-08-06 Toshiba Corp 記録媒体とその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装置
DE19806913A1 (de) * 1998-02-19 1999-08-26 Cit Alcatel Verfahren zum Generieren einer Einsprungstelle in einen Bilddatenstrom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6650659B1 (en) * 1998-02-27 2003-11-18 Sony Corporation Data transmitting method
US6442329B1 (en) * 1998-02-28 2002-08-27 Michael L. Gough Method and apparatus for traversing a multiplexed data packet stream
KR100309695B1 (ko) * 1998-06-01 2001-12-28 구자홍 간헐영상의압축기록방법및압축간헐영상의재생방법
US6323909B1 (en) * 1998-10-28 2001-11-27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high definition television programming using a digital satellite system transport and MPEG-2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KR100345235B1 (ko) * 1998-11-08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데이터스트림기록방법및그장치
JP2000156034A (ja) * 1998-11-18 2000-06-06 Sony Corp ディジタル信号記憶装置、ディジタル信号記憶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及びディジタル信号記録方法
CA2289958C (en) * 1998-11-19 2003-01-21 Tomoyuki Okada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data thereof
EP2665062A3 (en) * 1998-12-11 2016-10-19 Sony Corporation Technique for controlling copying of data
EP1021048A3 (en) * 1999-01-14 2002-10-02 Kabushiki Kaisha Toshiba Digital video recording system and its recording medium
WO2000049803A1 (fr) * 1999-02-18 2000-08-24 Kabushiki Kaisha Toshiba Support d'enregistrement pour flux de donnees, procede d'enregistrement et procede de reproduction associes
WO2000055962A2 (en) * 1999-03-15 2000-09-21 Sony Electronics, Inc. Electronic media system, method and device
JP4292654B2 (ja) * 1999-03-19 2009-07-08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GB9909362D0 (en) * 1999-04-23 1999-06-16 Pace Micro Tech Plc Memory database system for encrypted progarmme material
MY130203A (en) * 1999-05-06 2007-06-29 Sony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data reproducing and recording media
JP3372221B2 (ja) * 1999-06-16 2003-01-2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記録装置
US7133598B1 (en) * 1999-08-20 2006-11-07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converting packetized video data and corresponding navigation data into a second data format
US7647618B1 (en) 1999-08-27 2010-01-12 Charles Eric Hunter Video distribution system
US20060212908A1 (en) * 1999-08-27 2006-09-21 Ochoa Optics Llc Video distribution system
US8090619B1 (en) 1999-08-27 2012-01-03 Ochoa Optics Llc Method and system for music distribution
US7209900B2 (en) 1999-08-27 2007-04-24 Charles Eric Hunter Music distribution systems
US7370016B1 (en) 1999-08-27 2008-05-06 Ochoa Optics Llc Music distribution systems
US6952685B1 (en) 1999-08-27 2005-10-04 Ochoa Optics Llc Music distribution system and associated antipiracy protection
US6647417B1 (en) 2000-02-10 2003-11-11 World Theatre, Inc. Music distribution systems
WO2001033832A1 (fr) * 1999-10-29 2001-05-10 Fujitsu Limited Appareil de reproduction d'images et appareil d'enregistrement/reproduction d'images
GB2356100B (en) 1999-11-05 2004-02-25 Sony Uk Ltd Data format and data transfer
US6850901B1 (en) 1999-12-17 2005-02-01 World Theatre, Inc. System and method permitting customers to order products from multiple participating merchants
JP2001202698A (ja) * 2000-01-19 2001-07-27 Pioneer Electronic Corp オーディオ及びビデオ再生装置
US9252898B2 (en) 2000-01-28 2016-02-02 Zarbaña Digital Fund Llc Music distribution systems
JP4286435B2 (ja) * 2000-06-28 2009-07-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ィジタル録画装置
US7415188B2 (en) 2000-11-17 2008-08-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tion
US8112311B2 (en) * 2001-02-12 2012-02-07 Ochoa Optic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on of entertainment and advertising content
US20020112235A1 (en) * 2001-02-12 2002-08-15 Ballou Bernard L. Video distribution system
US20030061607A1 (en) * 2001-02-12 2003-03-27 Hunter Charles Eri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sumers with entertainment content and associated periodically updated advertising
US20020112243A1 (en) * 2001-02-12 2002-08-15 World Theatre Video distribution system
US8081865B2 (en) * 2001-03-29 2011-12-20 Panasonic Corporation AV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a recorded by the same, AV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V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8515773B2 (en) 2001-08-01 2013-08-20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distribution and brokering of content information
US7960005B2 (en) * 2001-09-14 2011-06-14 Ochoa Optics Llc Broadcast distribution of content for storage on hardware protected optical storage media
US7924921B2 (en) * 2003-09-07 2011-04-12 Microsoft Corporation Signaling coding and display options in entry point headers
US7852919B2 (en) * 2003-09-07 2010-12-14 Microsoft Corporation Field start code for entry point frames with predicted first field
US8213779B2 (en) * 2003-09-07 2012-07-03 Microsoft Corporation Trick mode elementary stream and receiver system
US7609762B2 (en) * 2003-09-07 2009-10-27 Microsoft Corporation Signaling for entry point frames with predicted first field
US7839930B2 (en) * 2003-11-13 2010-11-23 Microsoft Corporation Signaling valid entry points in a video stream
US7242851B2 (en) * 2004-04-01 2007-07-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layback apparatus, playback method, and program product with playback processing program
US8768844B2 (en) 2004-10-06 2014-07-01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sharing and authentication between multiple devices
US7675872B2 (en) * 2004-11-30 2010-03-09 Broadcom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ictures
KR100698277B1 (ko) * 2005-07-15 200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신호 재생 방법
US8102878B2 (en) * 2005-09-29 2012-01-24 Qualcomm Incorporated Video packet shaping for video telephony
US8842555B2 (en) * 2005-10-21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adaptive encoding of real-time information in packet-switch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406309B2 (en) * 2005-10-21 2013-03-26 Qualcomm Incorporated Video rate adaptation to reverse link conditions
US8514711B2 (en) * 2005-10-21 2013-08-20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lower layer assisted video error control
US8548048B2 (en) * 2005-10-27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Video source rate control for video telephony
WO2008048008A1 (en) * 2006-10-16 2008-04-24 Jason R & D Co., Ltd. System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be added to content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20120034084A (ko) * 2007-01-10 2012-04-09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멀티미디어 전화 통신을 위한 컨텐트- 및 링크-의존 코딩 적응 구조
US8797850B2 (en) * 2008-01-10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adapt to network congestio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4116A (en) * 1979-08-23 1981-04-06 Nec Corp Magnetic disc recording system
JPS57158007A (en) * 1981-03-23 1982-09-29 Nf Kairo Sekkei Block:Kk Pcm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S58115608A (ja) * 1981-12-28 1983-07-09 Fujitsu Ltd イメ−ジデ−タ記録方式
JPS58121115A (ja) * 1982-01-13 1983-07-19 Fujitsu Ltd デ−タ圧縮制御方式
JPS60217567A (ja) * 1984-04-13 1985-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タ記録方法
JPS626468A (ja) * 1985-07-01 1987-01-13 Akai Electric Co Ltd Pcm信号処理装置
JPH01314080A (ja) * 1988-06-13 1989-12-19 Hitachi Ltd 画像データ転送方式
JP2629869B2 (ja) * 1988-08-25 1997-07-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2797404B2 (ja) * 1989-04-20 1998-09-17 ソニー株式会社 動画像データの記録方式
JPH0711899B2 (ja) * 1991-03-18 1995-02-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再生装置、記録装置、再生媒体、及び伝送方式
JP3084811B2 (ja) * 1991-07-24 2000-09-0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サーチ方法および装置
JP2785220B2 (ja) * 1992-09-22 1998-08-13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データ復号化装置および方法
US5414455A (en) * 1993-07-07 1995-05-09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Segmented video on dem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27578D1 (de) 2001-08-02
DE69427578T2 (de) 2001-10-04
WO1995008823A1 (fr) 1995-03-30
US5621840A (en) 1997-04-15
KR950704781A (ko) 1995-11-20
KR100323785B1 (ko) 2002-06-20
KR100330293B1 (ko) 2002-03-27
EP0676756A1 (en) 1995-10-11
EP0676756A4 (en) 1996-01-17
EP0676756B1 (en) 2001-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292B1 (ko) 데이타 기록 매체
EP0622002B1 (en)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550458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lural pictures while searching a recording medium whereon a compressed picture signal is recorded
EP07574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digital video data
KR100283976B1 (ko) 가변 레이트 코드화된 신호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JP3491365B2 (ja) 符号化データ復号方法および復号装置
JPH08168042A (ja) データ復号化装置およびデータ復号化方法
JP3551447B2 (ja) データ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データ復号化装置および方法
JP3491401B2 (ja) データ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データ復号化装置および方法
JP3582530B2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3589241B2 (ja) データ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データ復号化装置および方法
JP3651479B2 (ja) 記録媒体へのビデオデータの記録方法、ビデオデータを記録した記録媒体の生産方法
JP3582529B2 (ja) データ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データ復号化装置および方法
JP4058437B2 (ja) 記録媒体
JP3654300B2 (ja) データ符号化方法、ビデオデータを記録した記録媒体の生産方法
JP4191207B2 (ja) 記録媒体
JP3651480B2 (ja) 記録媒体へのビデオデータの記録方法、ビデオデータを記録した記録媒体の生産方法
JP4191208B2 (ja) 記録媒体
JP3485111B2 (ja) 再生方法および再生装置
JP2003333533A (ja) 映像音声信号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