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2407A -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2407A
KR19990062407A KR1019980018755A KR19980018755A KR19990062407A KR 19990062407 A KR19990062407 A KR 19990062407A KR 1019980018755 A KR1019980018755 A KR 1019980018755A KR 19980018755 A KR19980018755 A KR 19980018755A KR 19990062407 A KR19990062407 A KR 19990062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intermediate plate
wiring
wir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8177B1 (ko
Inventor
구니히로 기다자와
유다카 가토
마스오 기타무라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요스케
Publication of KR19990062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배선기구를 조영면(造營面)에 형성된 매입공(埋入孔)에 미관상 보기 좋게 배설한다.
플레이트프레임 A 의 앞면에 장착되는 중간 플레이트 B 의 플레이트본체(40)는 주부(主部)(41)와 주부(41)의 전체 주위 에지로부터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측벽(42)을 일체로 형성한 대략 상자형으로 되어 있다. 이 중간 플레이트 B 의 앞면에는 금속플레이트 C 가 부착된다. 플레이트본체(40)가 대향하는 측벽(42)사이의 폭 크기가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각 폭 크기보다 크게 하고 있다. 즉, 조영면에 배설한 플레이트프레임 A 의 앞면측에 중간 플레이트 B 를 부착했을 때, 플레이트프레임본체(1)가 중간 플레이트 B 의 플레이트본체(40)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플레이트본체(40)의 측벽(42)의 선단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 A 와 중간 플레이트 B 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아,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본 발명은 벽면 등의 조영면(造營面)에 형성한 매입공(埋入孔)에 배선기구를 배설하기 위한 배선기구용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벽면 등의 조영면에 형성한 매입공에 매입박스(스위치박스)를 매설(埋設)하고, 스위치나 콘센트 등의 배선기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레이트프레임을 매입공의 앞면측에서 매입박스에 장착하고, 또한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중간 플레이트를 부착하는 동시에, 이 중간 플레이트의 앞면에 장식용의 금속플레이트를 부착함으로써 배선기구를 벽 등에 미관상 보기 좋게 매입 배설하도록 한 배선기구용 플레이트가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구조에서는, 플레이트프레임과 중간 플레이트의 맞닿는 면이 벽면보다 앞쪽으로 나와 있으므로,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 보이거나 또는 양자가 상대적으로 어긋나서 보기 흉하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배선기구를 조영면에 형성된 매입공에 미관상 보기 좋게 배설할 수 있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형태 1을 나타낸 앞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플레이트프레임의 요부(要部)를 나타낸 일부 생략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중간 플레이트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단면도, (c)는 다른 측면단면도.
도 5는 도 4의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도.
도 6은 도 5의 중간 플레이트의 요부 측면단면도.
도 7은 도 6의 금속플레이트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일부 파단한 측면도, (c)는 다른 측면단면도.
도 8은 도 7의 금속플레이트의 요부 측면단면도.
도 9는 도 8의 중간 플레이트에 금속플레이트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단면도, (c)는 다른 측면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중간 플레이트에 금속플레이트를 부착한 상태의 배면도.
도 11은 도 10의 중간 플레이트에 금속플레이트를 부착한 상태의 요부 측면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중간 플레이트에 금속플레이트를 부착한 상태의 요부 측면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금속플레이트를 부착한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일부 파단한 측면도, (c)는 측면단면도.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배선기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a 및 15b는 도 14의 플레이트프레임에의 배선기구의 장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6은 도 15에 있어서의 중간 플레이트 및 금속플레이트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7은 도 16에 있어서의 중간 플레이트 및 금속플레이트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8은 도 17에 있어서의 중간 플레이트 및 금속플레이트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9는 실시형태 2의 플레이트프레임을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좌측에서 본 측면단면도, (c)는 우측에서 본 측면단면도, (d)는 하측에서 본 측면단면도, (e)는 하측에서 본 측면단면도, (f)는 배면도.
도 20은 도 19의 플레이트프레임의 요부 측면단면도.
도 21은 도 20의 플레이트프레임의 요부 측면단면도.
도 22는 실시형태 3의 플레이트프레임을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좌측에서 본 측면단면도, (c)는 우측에서 본 측면단면도, (d)는 배면도, (e)는 하측에서 본 측면단면도.
도 23은 도 22의 플레이트프레임의 요부 측면단면도.
도 24는 도 23의 플레이트프레임의 요부 측면단면도.
도 25는 도 24의 중간 플레이트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단면도, (c)는 다른 측면단면도.
도 26은 도 25의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도.
도 27은 도 26의 중간 플레이트의 요부 측면단면도.
도 28은 도 27의 금속플레이트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일부 파단한 측면도, (c)는 다른 측면단면도.
도 29는 도 28의 중간 플레이트에 금속플레이트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단면도, (c)는 다른 측면단면도.
도 30은 도 29의 중간 플레이트에 금속플레이트를 부착한 상태의 배면도.
도 31은 도 30의 중간 플레이트에 금속플레이트를 부착한 상태의 요부 측면단면도.
도 32는 도 31의 중간 플레이트에 금속플레이트를 부착한 상태의 요부 측면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플레이트프레임, B : 중간 플레이트,
C : 금속플레이트, 1 : 플레이트프레임본체,
2 : 개구부, 3 : 측프레임편,
4 : 고정량부, 4a : 계지홈,
5 : 가동량부, 5a : 계지홈,
6 : 연결부, 30 : 금속플레이트본체,
31 : 노출창, 40 : 플레이트본체,
41a : 개구창, 42 : 측벽,
43 : 계지돌기.
청구항 1의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매입형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 상기 배선기구가 구비하는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배설되는 고정량부(固定梁部), 상기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휘어질 수 있게 배설되는 가동량부(可動梁部)를 구비하여 조영면에 형성된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프레임과,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主部), 이 주부의 대략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장착하는 중간 플레이트와,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가지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앞면을 덮는 금속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가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폭 크기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각 폭 크기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측에 중간 플레이트를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프레임이 중간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과 중간 플레이트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고,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최소한 일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압입하여 이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를 양면테이프에 의해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맞붙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에 1 내지 복수의 계지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각 계지부와 요철(凹凸)계합하는 1 내지 복수의 피(被)계지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특별한 공정이나 부착부재등이 없이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어서, 조립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열착(熱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일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측으로 되접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측면에 접촉하는 리브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레이트프레임에 대한 중간 플레이트의 조영면에 따른 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측면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에 대략 전체 주위에 걸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레이트프레임에 대한 중간 플레이트의 조영면에 따른 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브 또는 접촉부가 앞면측에서 접촉하는 장출부(張出部)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 주위 에지의 최소한 일부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레이트프레임에 대한 중간 플레이트의 조영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9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매입공에 매설되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박스나사가 삽통되는 삽통공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장출부를 상기 삽통공의 주변 이외의 부분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박스나사의 조임으로 플레이트프레임이 변형되어도 장출부가 중간 플레이트에 간섭하지 않아 미관상 보기 좋게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주위 에지부에 상기 중간 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측에서 덮어 씌울 때에 테이퍼면에 의해 중간 플레이트가 가이드되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주위 에지부에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의 장착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측에서 덮어 씌울 때에 테이퍼면에 의해 중간 플레이트가 가이드되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측에 계지돌기를 돌출 배설하는 동시에 이 계지돌기를 걸어 맞추는 계지공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형성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에 중간 플레이트분리용 지그를 삽입하는 절결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절결부에 지그를 삽입하여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중간 플레이트를 들어 올림으로써, 계지돌기와 계지공과의 걸어 맞춤을 풀어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청구항 1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중간 플레이트분리용 지그를 도피시키는 도피부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절결부에 삽입된 지그를 도피부에 도피시킴으로써 안까지 삽입할 수 있어, 중간 플레이트를 분리할 때에 힘을 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5의 발명은, 청구항 14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피부의 배면측 단부에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절결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리브를 연설(延設)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절결부에 삽입된 지그가 리브에 접촉함으로써,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지그에 의해 조영면에 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6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한쪽의 측프레임편에 상기 가동량부를 휘어질 수 있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동량부의 양단에 구비하고, 상기 가동량부와 측프레임편과의 사이에 생기는 슬릿의 양단부를 상기 연결부쪽으로 굴곡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레이트프레임에 장착한 배선기구에 앞면측에서 배면방향으로 강한 압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가동량부가 개구부측으로 넘어지듯 휘어지게 되어, 가동량부의 계지홈에서 배선기구의 계지클릭이 벗겨지지 않고, 플레이트프레임으로부터의 배선기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7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지홈을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에 등(等)피치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레이트프레임에 대한 배선기구의 장착위치의 자유도를 넓힐 수 있다.
청구항 18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개구부에서 기능면을 노출시켜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에 배선기구를 계지 고정하는 경우에 상기 개구부에 대한 배선기구의 장착위치를 소정의 위치로 구획하는 칸막이리브를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에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배선기구의 플레이트프레임에 대한 장착위치의 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9의 발명은, 청구항 1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량부와 측프레임편과의 사이에 생기는 상기 슬릿에 삽입하는 돌조편(突條片)을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측으로 돌출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돌조편에 의해 가동량부의 작동이 규제되므로 배선기구에 큰 충격 등이 가해진 경우에도, 배선기구의 계지클릭과 가동량부의 계지홈과의 걸어 맞춤이 잘 풀어지지 않게 된다.
청구항 20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의 계지홈에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고 배선기구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배선기구의 측면의 최소한 일부에 접촉하여 배선기구의 유동을 억제하는 수단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레이트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의 배선기구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배선기구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계지클릭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1의 발명은, 청구항 1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계지공의 주위 에지부분을 최소한 얇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박스나사의 조임 등에 의해 플레이트프레임이 다소 변형되어도, 계지공의 주위 에지부분이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계지공 부분에 변형의 영향이 미치기 어렵고,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에 미관상 보기 좋게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2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측프레임편 앞면에서 상기 고정량부의 배선기구에 대향하는 면까지 관통하는 기구분리공을 상기 계지홈 사이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기구분리공에 삽입된 지그의 선단부분에서 배선기구를 가동량부측으로 밀어주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약간의 힘으로 가동량부를 휘게 할 수 있고, 고정량부측의 계지홈과 배선기구의 계지클릭과의 걸어 맞춤을 풀어 플레이트프레임으로부터 배선기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청구항 23의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매입형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1쌍의 개구부, 상기 배선기구가 구비되는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1쌍의 개구부 사이에 배설되는 고정량부, 상기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휘어질 수 있게 배설되는 가동량부를 구비하여 조영면에 형성한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프레임과,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1쌍의 개구창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 이 주부의 대략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장착하는 중간 플레이트와,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1쌍의 노출창을 가지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앞면을 덮는 금속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폭 크기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각 폭 크기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측에 중간 플레이트를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프레임이 중간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과 중간 플레이트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고,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플레이트프레임, 중간 플레이트 및 금속플레이트를 2조(組) 사용하여 배선기구를 배설하는 경우에 대해 플레이트프레임, 중간 플레이트 및 금속플레이트가 1조로 끝나고, 부품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1개소에 배설가능한 배선기구의 개수나 조합의 패턴이 증가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다.
(실시형태 1)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선기구용 플레이트는 플레이트프레임 A 와 중간 플레이트 B 와 금속플레이트 C 로 이루어진다.
사각형 틀형상의 플레이트프레임본체(1)는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ABS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탄성을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각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부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위치나 콘센트 등의 매입형 배선기구 D 의 기체(器體)(60)의 기능면(스위치의 조작체가 배설된 면이나 콘덴서의 삽입구가 배설된 면)을 앞면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해 사각형의 개구부(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의 주위 에지 배면측에는, 개구부(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서로 대향하도록 띠모양의 고정량부(4) 및 가동량부(5)가 배설되어 있다. 가동량부(5)는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길이방향에 따른 1쌍의 측프레임편(3a),(3b)의 한쪽의 측프레임편(3b)으로부터 이간하고, 또한 연결부(6)에 의해 그 양단에 있어서 측프레임편(3b)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가동량부(5) 및 연결부(6)를 포함하여 플레이트프레임본체(1)를 형성하고 있는 합성수지는 가요성 재료이며,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에 대해 가동량부(5) 및 연결부(6)가 각각 휘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측프레임편(3b)으로부터 일체로 연설된 폭이 좁은 1쌍의 리브(7)에 의해 가동량부(5)가 지지되어 있으며, 가동량부(5)와 측프레임편(3b)과의 사이에 생기는 틈이 상기 리브(7)에 의해 3개의 부분(이하, 각 부분을 슬릿(8a)∼(8c)이라고 함)으로 분할되게 된다. 이 중, 양측의 슬릿(8a),(8c)은 외측 단부가 연결부(6)쪽으로 굴곡되어 있다. 또한 측프레임편(3b)의 각 리브(7) 근방의 부위에는, 가동량부(5)를 휘기 쉽도록 하기 위해 긴 구멍형상의 홈(9)이 1쌍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량부(4) 및 가동량부(5)의 개구부(2)측의 면에는, 배선기구 D 의 기체(60)의 양측면에서 1쌍씩 돌출 배설된 계지클릭(61)이 걸어 맞춰지는 계지홈(4a),(5a)을 각각 3쌍씩 같은 피치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배선기구 D 의 기체(60)에 배설된 계지클릭(61)을 각 계지홈(4a),(5a)에 걸어 맞춤으로써, 기체(60)의 상기 기능면을 개구부(2)로부터 노출시킨 상태로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에 배선기구 D 의 기체(6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량부(4) 및 가동량부(5)의 선단부분에는, 배선기구 D 의 계지클릭(61)을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배면측에서 계지홈(4a),(5a)에 걸어 맞출 때에, 각 계지클릭(61)을 계지홈(4a),(5a)에 가이드하기 위해, 각각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진 테이퍼면을 가지는 가이드부(4b),(5b)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 A 에 배선기구 D 를 장착할 때에, 계지클릭(61)을 가이드부(4b),(5b)의 테이퍼면에 접촉한 상태로 배선기구 D 의 기체(60)를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배면측으로부터 앞면측으로 밀어 넣으면, 계지클릭(61)이 가이드부(4b),(5b)의 테이퍼면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가이드부(4b),(5b)에 가이드되어 원활하게 계지홈(4a),(5a)에 걸어 맞출 수 있는 것이다.
또, 고정량부(4) 및 가동량부(5)의 기부(基部)와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개구부(2)의 끝 에지와의 사이에는, 계지클릭(61)을 각 계지홈(4a),(5a)에 걸어 맞춘 상태로 배선기구 D 의 기체(60)의 앞면측의 일부에 접촉하는 접촉부(4d),(5d)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플레이트프레임 A 에 장착한 상태로 배선기구 D 의 기체(60)에 플레이트프레임 A 의 앞면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에, 기체(60)가 앞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접촉부(4d),(5d)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배선기구 D 의 기체(60)에 플레이트프레임 A 의 배면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계지클릭(61)과 계지홈(4a),(5a)이 접촉하고 있으므로 기체(60)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더욱이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가동량부(5)와 측프레임편(3b)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6)는, 슬릿(8a),(8c)의 외측단부가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얇게 되어 있으며, 그 결과 배선기구 D 의 기체(60)에 앞면측에서 배면방향으로의 강한 압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가동량부(5)가 개구부(2)측으로 넘어지듯 휘어지므로, 가동량부(5)의 계지홈(5a)으로부터 배선기구 D 의 기체(60)에 배설된 계지클릭(61)이 벗겨지지 않고, 플레이트프레임 A 로부터의 배선기구 D 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량부(4)에는 각 계지홈(4a)의 사이에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앞면측에서 삽통하는 기구분리공(4c)이 뚫려 있어서, 드라이버나 분리전용 지그 등의 선단부분을 이 기구분리공(4c)에 삽입하고, 지그의 선단부분으로 기체(60)를 가동량부(5)측으로 밀어 주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약간의 힘으로 가동량부(5)를 휘게 할 수 있어, 고정량부(4)측의 계지홈(4a)과 기체(60)의 계지클릭(61)과의 걸어 맞춤을 풀어 플레이트프레임본체(1)로부터의 배선기구 D 의 기체(60)를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개구부(2)의 크기는 도 14에 나타낸 배선기구 D 의 크기를 기준크기(이하, 이 크기를「1개 모듈크기」라고 함)로 했을 때에, 배선기구 D 의 길이방향을 개구부(2)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시킨 상태로 1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 D 가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3개 나란히 장착할 수 있는 크기(이하, 이 크기를「3개 모듈크기」라고 함)로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고정량부(4) 및 가동량부(5)에 형성한 각 계지홈(4a),(5a)의 피치는, 1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 D 의 기체(60)측면에 돌출 배설되어 있는 계지클릭(61)의 피치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1개 모듈크기는 적당한 값으로 설정하면 되고(예를 들면, 일본공업규격의 대각형연용배선기구(JIS C8304)등, 이와 같은 모듈크기에 적합한 배선기구라면, 공통적으로 플레이트프레임 A 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고정량부(4) 및 가동량부(5)의 각 계지홈(4a),(5a)은 모두 같은 피치로 6개씩 형성되어 있으므로, 1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 D 를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에 장착할 때에 배선기구 D 의 기체(60)에 배설한 1쌍의 계지클릭(61)이 어떤 계지홈(4a),(5a)에도 걸어 맞출 수 있으며,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개구부(2)에 대한 배선기구 D 의 장착위치는 5가지중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2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의 경우라면, 3가지의 장착위치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그런데,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편(10)에는 각각 요소(凹所)(11)가 형성되어 있다. 각 요소(11)에는, 플레이트프레임 A 를 매입박스(도시하지 않음)에 장착하기 위한 박스나사를 삽통하는 긴 구멍(12)과, 플레이트프레임 A 를 벽면 등의 조영면에 직접 부착하기 위한 나사가 삽통되는 나사삽통공(13)과, 조영면을 형성하는 벽 패널 등에 장착할 때에 사용하는 협지금구(도시하지 않음)를 걸어 맞추는 협지금구 계지공(14)이 형성되어 있다.
또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4귀퉁이에는, 중간 플레이트 B 의 플레이트본체(40)배면으로부터 돌출 배설된 계지돌기(43)를 걸어 맞추는 중간 플레이트 계지공(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중간 플레이트 계지공(15)에 계지돌기(43)를 삽입 계지함으로써 플레이트프레임 A 의 앞면측에 중간 플레이트 B 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중간 플레이트 B 의 플레이트본체(40)는, 절연성을 가진 합성수지(ABS 수지와 같은 열가역성 수지 또는 탄성을 가진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플레이트프레임 A 의 앞면을 덮는 사각형의 주부(主部)(41)와, 주부(41)의 전체 주위에지로부터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측벽(42)을 일체로 형성한 대략 상자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계지돌기(43)는 주부(41)의 배면측의 4귀퉁이에 돌출 배설되어 있다. 또 주부(41)의 대략 중앙에는, 플레이트프레임 A 에 장착된 배선기구 D 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41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본체(40)가 대향하는 측벽(42)사이의 폭 크기가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각 폭 크기보다 크게 되어 있다. 조영면에 배설한 플레이트프레임 A 의 앞면측에 중간 플레이트 B 를 부착했을 때, 플레이트프레임본체(1)가 중간 플레이트 B 의 플레이트본체(40)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플레이트본체(40)의 측벽(42)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 A 와 중간 플레이트 B 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고,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또, 플레이트본체(40)의 각 측벽(42)에는, 조영면에 접촉하는 끝 에지로부터 주부(41) 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42a)을 형성하는 동시에, 각각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측면에 조영면에 따른 방향에서 접촉하여 중간 플레이트 B 의 동작을 규제하는 규제리브(44)를 복수 나란히 배설하고 있다. 즉, 플레이트프레임 A 의 앞면측에 중간 플레이트 B 를 장착했을 때에 규제리브(44)가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측면에 접촉하고,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에 대한 중간 플레이트 B 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양 측프레임편(3a),(3b)의 측면에서 배면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외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3c) 및 테이퍼면(3c)에 연속하여 외측으로 장출된 장출부(3d)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출부(3d)의 앞면에 재치(載置)되어 중간 플레이트 B 의 유동을 방지하는 리브(45)가 플레이트본체의 주부(41)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측벽(42)의 내측면을 따라서 돌출 배설되어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프레임 A 에 중간 플레이트 B 를 장착할 때에, 중간 플레이트 B 의 규제리브(44)가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측프레임편(3a),(3b)에 형성된 상기 테이퍼면(3c)에 가이드되므로, 장착이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규제리브(44) 및 유동방지용 리브(45)대신에,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상기 장출부(3d)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측벽(42)에 따라서 전주(全周)에 걸쳐서 형성하도록 해도 되고, 이 경우에도 플레이트프레임 A 에 대한 중간 플레이트 B 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플레이트본체(40)의 길이방향에 따른 한쪽의 측벽(42)에는 1쌍의 절결부(4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46)에 지그(드라이브의 선단 등)를 삽입하여 플레이트본체(40)에 앞면측으로의 힘을 가함으로써, 플레이트본체(40)의 계지돌기(43)와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중간 플레이트 계지공(15)과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여, 중간 플레이트 B 를 플레이트프레임 A 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측프레임편(3b)의 절결부(4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테이퍼면(3c)보다 내측으로 오목한 도피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절결부(46)에 삽입된 지그를 도피시킴으로써 안까지 삽입할 수 있고, 중간 플레이트 B 를 분리할 때에 힘을 가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도피부(16)의 배면측 끝부로부터는 장출부(3d)보다 얇은 리브(17)가, 중간 플레이트 B 의 절결부(46)로부터 돌출하지 않을 정도까지 연장 배설되어 있다. 즉, 절결부(46)에 삽입된 지그에 조영면에 접촉하는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힘을 가함으로써 조영면에 흠이 생길 우려가 있으나, 리브(17)를 배설함으로써 절결부(46)에 삽입된 지그가 리브(17)에 접촉하게 되어, 중간 플레이트 B 를 플레이트프레임 A 로부터 분리할 때에 지그에 의해 조영면에 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플레이트본체(40)의 배면측에는, 플레이트프레임 A 에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에 형성한 3개의 슬릿(8a)∼(8c)에 각각 삽입되는 돌조편(48a)∼(48c)이 나란히 배설되어 있다. 여기서, 각 돌조편(48a)∼(48c)의 크기는,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각 슬릿(8a)∼(8c)에 삽입된 상태로, 슬릿(8a)∼(8c)의 내주면과 각 돌조편(48a)∼(48c)과의 사이에 약간의 틈밖에 생기지 않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즉, 배선기구 D 를 장착한 플레이트프레임 A 에 중간 플레이트 B 를 부착한 상태에서는, 3개의 돌조편(48a)∼(48c)이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각 슬릿(8a)∼(8c)에 삽입되어, 슬릿(8a)∼(8c)의 내주면과 각 돌조편(48a)∼(48c)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틈밖에 생기지 않으므로,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가동량부(5)의 작동(휨)이 규제되게 된다. 그 결과, 배선기구 D 로서 콘센트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 콘센트에 삽입된 플러그를 큰 힘으로 잡아 빼는 등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량부(5)의 작동이 규제되고 있으므로 배선기구 D 의 계지클릭(61)과 가동량부(5) 및 고정량부(4)의 계지홈(5a),(4a)과의 걸어 맞춤이 풀어지기 어렵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중간 플레이트 B 의 규제리브(44)나 유동방지용의 리브(45)가 재치되는 장출부(3d)는,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전체 주위에 형성하도록 해도 되지만, 그 경우에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해 박스나사를 조였을 때에 플레이트프레임본체(1)가 다소 변형됨으로써 박스나사가 삽통되는 긴 구멍(12)의 주변 부분에서 중간 플레이트 B 와 플레이트프레임본체(1)가 간섭하여, 중간 플레이트 B 가 미관상 보기 좋게 장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긴 구멍(12)의 주변(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4귀퉁이)을 벗어나서 장출부(3d)를 형성함으로써, 박스나사의 조임으로 플레이트프레임본체(1)가 변형되어도 중간 플레이트 B 에 간섭하지 않고 미관상 보기 좋게 장착할 수 있다.
그런데, 중간 플레이트 B 의 앞면에는 장식 또는 디자인상의 미관 및 내화(耐火)성능의 향상을 위해 금속플레이트 C 가 부착된다. 이 금속플레이트 C 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중앙에 3개분의 배선기구 D 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3개 모듈크기에 대응한)노출창(31)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면측으로 대략 원호형상으로 절곡된 측부(30a)를 가진 금속플레이트본체(30)로 이루어진다.
금속플레이트본체(30)의 단폭방향에 대향하는 양측부(30a)에는, 대략 등(等)간격으로 각각 4개의 부착편(32)이 배면측에 늘어뜨려 형성되는 동시에, 각 부착편(32)의 내측면에는 돌기형상의 계지부(3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부(33)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부(30a)의 선단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내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33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중간 플레이트 B 의 플레이트본체(40)의 앞면측에는 금속플레이트본체(30)가 결합하는 결합 요소(凹所)(47)가 형성되고, 또한 플레이트본체(40)의 양측벽(42)에는 금속플레이트본체(30)의 양측부(30a)의 선단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49)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플레이트본체(30)의 각 부착편(32)에 대응하는 위치의 양측벽(42)에는 부착편(32)을 도피시키기 위한 요부(凹部)(5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 요부(50)에 면하는 선단에 금속플레이트 C 의 계지부(33)가 요철 계합하는 휘어질 수 있는 계합편(51)이 플레이트본체(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본체(40)의 양측벽(42)에 형성된 삽입홈(49)에 금속플레이트 C 의 양측부(30a)의 선단 부분이 삽입되는 동시에, 금속플레이트 C 의 부착편(32)이 요부(50)로 들어 간다. 이 때, 부착편(32)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계지부(33)의 테이퍼면(3c)이 계합편(51)에 접촉하고, 부착편(32)이 압입됨에 따라서 계지부(33)로부터의 압압력을 받은 계합편(51)이 휘고, 곧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합편(51)의 선단과 부착편(32)의 계지부(33)가 요철 계합되어, 금속플레이트 C 의 금속플레이트본체(30)가 중간 플레이트 B 의 플레이트본체(40)앞면의 결합요소(47)에 결합되고 또한 계지부(33)와 계합편(51)과의 요철 계합에 의해 고정(이탈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속플레이트 C 에 배설한 부착편(32)의 계지부(33)와 플레이트본체(40)에 배설한 계합편(51)과의 요철 계합에 의해, 금속플레이트 C 를 중간 플레이트 B 의 앞면에 부착하여 고정하고 있으나, 부착편(32)이나 계합편(51)을 형성하지 않고 플레이트본체(40)의 삽입홈(49)에 금속플레이트본체(30)의 양측부(30a)의 선단 부분을 압입하여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금속플레이트본체(30)를 플레이트본체(40)의 앞면에 맞붙이거나, 합성수지제의 플레이트본체(40)의 앞면에 금속플레이트본체(30)를 열착(熱着)하거나, 또는 플레이트본체(40)에 형성한 슬릿(도시하지 않음)에 금속플레이트본체(30)의 양측부(30a)의 선단 부분을 삽통하고, 그 선단 부분을 플레이트본체(40)의 배면측으로 되접는 것을 금속플레이트본체(30)를 플레이트본체(40)에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단, 본 실시형태와 같이 부착편(32)의 계지부(33)와 계합편(51)과의 요철 계합에 의해 금속플레이트 C 와 중간 플레이트 B 를 고정하도록 하면, 압입이나 되접음등의 특별한 공정이나, 양면테이프 등의 부착부재 등이 없이 금속플레이트 C 를 중간 플레이트 B 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고, 조립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레이트프레임 A 의 대략 중앙에 1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 D 를 3개 장착하거나, 3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를 장착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중간 플레이트 B 및 금속플레이트 C 의 대략 중앙에 3개분의 배선기구 D 의 기능면을 노출하는 개구창(41a) 및 노출창(31)이 형성되어 있으나, 예를 들면 1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 D 를 1개만 장착하는 경우라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은 1개 모듈크기에 대응한 개구창(41a)을 가지는 중간 플레이트 B 및 1개 모듈크기에 대응한 노출창(31)을 가지는 금속플레이트 C 를 이용하면 된다. 또는, 2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거나 1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 D 를 2개 나란히 장착하는 경우라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2개 모듈크기에 대응한 개구창(41a)을 가지는 중간 플레이트 B 및 2개 모듈크기에 대응한 노출창(31)을 가지는 금속플레이트 C 를 이용하면 된다. 또한, 1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 D 를 2개 이간하여 장착하는 경우에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은 1개 모듈크기에 대응한 2개의 개구창(41a),(41a)을 가지는 중간 플레이트 B 및 1개 모듈크기에 대응한 2개의 노출창(31),(31)을 가지는 금속플레이트 C 를 사용하도록 하면 된다.
(실시형태 2)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를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본 실시형태의 기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공통이며, 공통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고정량부(4) 및 가동량부(5)의 각 계지홈(4a),(5a)을 모두 같은 피치로 6개씩 형성함으로써,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개구부(2)에 대한 배선기구 D 의 장착위치를 여러 종류중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플레이트프레임 A 에 대한 배선기구 D 의 장착위치가 증가됨으로써, 각 장착위치에 대응한 개구창(41a)을 가지는 중간 플레이트 B 나, 각 장착위치에 대응한 노출창(31)을 가지는 금속플레이트 C 를 갖추어야 할 필요가 생기는 등의 결점도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레이트프레임 A 의 3개 모듈크기의 개구부(2)에 대해 1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 D 가 3개 나란히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위치를 한정하기 위해, 고정량부(4) 및 가동량부(5)의 계지홈(4a),(5a)의 근방에 칸막이 리브(20)를 돌출 배설하고 있다. 이들 칸막이리브(20)는, 고정량부(4) 및 가동량부(5)의 내측면에 각 1쌍씩 모두 3조(組)가 형성된 계지홈(4a),(5a)의 각 조의 외측의 위치에 각각 1쌍씩이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의 3개 나란히 장착할 수 있는 장착위치 이외에서 배선기구 D 를 장착하고자 해도, 계지홈(4a),(5a)의 각 조의 사이에 돌출하는 칸막이리브(20)가 기체(60)에 간섭하므로 장착할 수 없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장착위치에 배선기구 D 의 기체(60)를 장착했을 때에 각 칸막이 리브(20)가 기체(60)측면의 최소한 일부에 접촉하는 위치에 돌출 배설되어 있다. 즉, 플레이트프레임 A 에 장착한 상태의 배선기구 D 의 기체(60)의 유동을 억제하는 수단을 칸막이 리브(20)로 겸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장착상태에 있어서의 기체(60)의 유동을 억제함으로써 기체(60)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계지클릭(61)이 파손하는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를 도 22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 1 및 2에서는,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대략 중앙에 3개 모듈크기의 개구부(2)를 1개만 가진 이른바 일련형의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실시형태는 3개 모듈크기의 개구부(2)를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한 이른바 2연형의 것이다. 그리고,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형태 1 및 2와 공통이므로 공통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레이트프레임 A'의 플레이트프레임본체(1')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일련의 플레이트프레임본체(1)를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2개 배열하여 일체로 한 것 같은 구조를 갖는다.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대략 중앙에는 3개 모듈크기의 개구부(21),(22)가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양 개구부(21),(22)를 구획하는 중앙프레임편에 고정량부(4')가 배설되어 있다. 이 고정량부(4')의 양 측면에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계지홈(4a)이 같은 피치로 각 1쌍씩의 모두 3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계지홈(4a)의 조의 외측에는,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칸막이 리브(20)가 돌출 배설되어 있다.
또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양 측프레임편(3a),(3b)에는, 연결부(6)에 의해 연결된 가동량부(5), 슬릿(8a)∼(8c), 홈(9)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 가동량부(5)에도 각 1쌍의 모두 3조의 계지홈(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개구부(21),(22)양측의 측편(10)에는, 각각 요소(11), 긴 구멍(12), 나사삽통공(13) 및 협지금구 계지공(14)이 형성되어 있고,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4귀퉁이에는 중간 플레이트 B' 의 계지돌기(43)가 삽입 계지되는 중간 플레이트 계지공(1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중간 플레이트 B' 의 플레이트본체(40')는,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주위에 걸쳐 측벽(42')이 형성된 주부(41')의 대략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1쌍의 개구창(41a')을 가지는 것이다. 이 개구창(41a')의 크기는 3개 모듈크기에 대응한 크기로서, 플레이트프레임 A' 에 1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 D 를 3개 나란히 장착했을 때나 3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 D 를 장착했을 때에 각 배선기구 D 의 기능면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플레이트본체(40')의 대향하는 측벽(42')사이의 폭 크기를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각 폭 크기보다 크게 하고 있으므로, 플레이트프레임 A' 의 앞면측에 중간 플레이트 B' 를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프레임본체(1')가 플레이트본체(40')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또, 주부(41')의 배면에는,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중간 플레이트 계지공(15)에 삽입 계지되는 계지돌기(43), 측프레임편(3a),(3b)의 각 슬릿(8a)∼(8c)에 삽입되는 돌조편(48a)∼(48c)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42')에는,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측면에 접촉하여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에 대한 중간 플레이트 B' 의 유동을 방지하는 규제리브(44),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장출부(3d)의 앞면에 재치되어 중간 플레이트 B' 의 유동을 방지하는 리브(45), 중간 플레이트 B' 를 플레이트프레임 A' 로부터 분리할 때에 지그가 삽입되는 절결부(4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중간 플레이트 B' 의 플레이트본체(40')의 앞면측에는, 도 25 및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금속플레이트 C' 의 금속플레이트본체(30')가 결합하는 결합요소(要所)(47)가 형성되고, 또한 플레이트본체(40')의 양측벽(42')에는 금속플레이트본체(30')의 양측부(30a')의 선단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49)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플레이트본체(30')의 각 부착편(32)에 대응하는 위치의 양측벽(42')에는 부착편(32)을 피하기 위한 요부(5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 요부(50)에 면하는 선단에 금속플레이트 C' 의 계지부(33)가 요철 계합하는 휘어질 수 있는 계합편(51)이 플레이트본체(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금속플레이트 C' 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 모듈크기에 대응한 1쌍의 노출창(311),(312)이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또, 금속플레이트본체(30')의 대향하는 양측부(30a')에는, 대략 같은 간격으로 각각 4개의 부착편(32)이 배면측으로 늘어뜨려 형성되는 동시에, 각 부착편(32)의 내측면에는 돌기형상의 계지부(3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부(33)에는, 측부(30a')의 선단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내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3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플레이트본체(40')의 양측벽(42')에 형성된 삽입홈(49)에 금속플레이트 C' 의 양측부(30a')의 선단 부분이 삽입되는 동시에, 금속플레이트 C' 의 부착편(32)이 요부(50)로 들어 간다. 이 때, 부착편(32)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계지부(33)의 테이퍼면(33a)이 계합편(51)에 접촉하고, 부착편(32)이 압입됨에 따라서 계지부(33)로부터의 압압력을 받은 계합편(51)이 휘고, 곧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합편(51)의 선단과 부착편(32)의 계지부(33)가 요철 계합되어, 금속플레이트 C' 의 금속플레이트본체(30')가 중간 플레이트 B '의 플레이트본체(40')앞면의 결합요소(47)에 결합되고 또한 계지부(33)와 계합편(51)과의 요철 계합에 의해 고정(이탈방지)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레이트프레임 A , 중간 플레이트 B 및 금속플레이트 C 를 2조 사용하여 배선기구를 배설하는 경우에 대하여, 플레이트프레임 A' , 중간 플레이트 B' 및 금속플레이트 C' 의 1조로 되고, 부품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1개소에 배설 가능한 배선기구의 개수나 조합의 패턴이 증가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다는 이점도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매입형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 상기 배선기구가 구비되는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배설되는 고정량부, 상기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휘어질 수 있게 배설되는 가동량부를 구비하여 조영면에 형성된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프레임과,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 이 주부의 대략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장착하는 중간 플레이트와,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가지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앞면을 덮는 금속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폭 크기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각 폭 크기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므로,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측에 중간 플레이트를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프레임이 중간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과 중간 플레이트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고,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최소한 일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압입하여 이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므로,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금속플레이트를 양면테이프에 의해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맞붙여 이루어지므로,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금속플레이트에 1 내지 복수의 계지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각 계지부와 요철 계합하는 1 내지 복수의 피계지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배설하였으므로, 특별한 공정이나 부착부재등이 없이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어서, 조립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금속플레이트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열착하여 이루어지므로,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일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측으로 되접어서 이루어지므로,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측면에 접촉하는 리브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배설하여 이루어지므로, 플레이트프레임에 대한 중간 플레이트의 조영면에 따른 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측면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에 대략 전체 주위에 걸쳐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플레이트프레임에 대한 중간 플레이트의 조영면에 따른 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상기 리브 또는 접촉부가 앞면측에서 접촉하는 장출부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 주위 에지의 최소한 일부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플레이트프레임에 대한 중간 플레이트의 조영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상기 매입공에 매설되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박스나사가 삽통되는 삽통공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장출부를 상기 삽통공의 주변 이외의 부분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박스나사의 조임으로 플레이트프레임이 변형되어도 장출부가 중간 플레이트에 간섭하지 않아 미관상 보기 좋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주위 에지부에 상기 중간 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측에서 덮어 씌울 때에 테이퍼면에 의해 중간 플레이트가 가이드되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주위 에지부에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의 장착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측에서 덮어 씌울 때에 테이퍼면에 의해 중간 플레이트가 가이드되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측에 계지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동시에 이 계지돌기를 걸어 맞추는 계지공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형성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에 중간 플레이트분리용 지그를 삽입하는 절결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절결부에 지그를 삽입하여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중간 플레이트를 들어 올림으로써, 계지돌기와 계지공과의 걸어 맞춤을 풀어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상기 절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중간 플레이트분리용의 지그를 도피시키는 도피부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절결부에 삽입된 지그를 도피부에 도피시킴으로써 안까지 삽입할 수 있고, 중간 플레이트를 분리할 때에 힘을 가하기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5의 발명은, 상기 도피부의 배면측 끝부에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절결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리브를 연설하여 이루어지므로, 절결부에 삽입된 지그가 리브에 접촉함으로써,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지그에 의해 조영면에 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6의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한쪽의 측프레임편에 상기 가동량부를 휘어질 수 있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동량부의 양단에 구비하고, 상기 가동량부와 측프레임편과의 사이에 생기는 슬릿의 양단부를 상기 연결부쪽으로 굴곡시켜 이루어지므로, 플레이트프레임에 장착된 배선기구에 앞면측에서 배면방향으로 강한 압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가동량부가 개구부측으로 넘어지듯 휘어지므로, 가동량부의 계지홈에서 배선기구의 계지클릭이 벗겨지지 않고, 플레이트프레임으로부터의 배선기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7의 발명은, 상기 계지홈을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에 같은 피치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플레이트프레임에 대한 배선기구의 장착위치의 자유도를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8의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개구부에서 기능면을 노출시켜 서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에 배선기구를 계지 고정하는 경우에 상기 개구부에 대한 배선기구의 장착위치를 소정의 위치로 구획하는 칸막이리브를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에 배설하여 이루어지므로, 배선기구의 플레이트프레임에 대한 장착위치의 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9의 발명은, 상기 가동량부와 측프레임편과의 사이에 생기는 상기 슬릿에 삽입하는 돌조편을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측으로 돌출 배설하여 이루어지므로, 돌조편에 의해 가동량부의 작동이 규제되므로 배선기구에 큰 충격 등이 가해진 경우에도, 배선기구의 계지클릭과 가동량부의 계지홈과의 걸어 맞춤이 잘 풀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0의 발명은,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의 계지홈에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고 배선기구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배선기구의 측면의 최소한 일부에 접촉하여 배선기구의 유동을 억제하는 수단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구비하여 이루어지므로, 플레이트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의 배선기구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배선기구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계지클릭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1의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계지공의 주위 에지부분을 최소한 얇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박스나사의 조임 등에 의해 플레이트프레임이 다소 변형되어도, 계지공의 주위 에지부분이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계지공 부분에 변형의 영향이 미치기 어려워,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에 미관상 보기 좋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2의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측프레임편 앞면에서 상기 고정량부의 배선기구에 대향하는 면까지 관통하는 기구분리공을 상기 계지홈 사이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기구분리공에 삽입된 지그의 선단부분에서 배선기구를 가동량부측으로 밀어주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약간의 힘으로 가동량부를 휘게 할 수 있고, 고정량부측의 계지홈과 배선기구의 계지클릭과의 걸어 맞춤을 풀어 플레이트프레임으로부터 배선기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3의 발명은, 매입형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1쌍의 개구부, 상기 배선기구가 구비되는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1쌍의 개구부 사이에 배설되는 고정량부, 상기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휘어질 수 있게 배설되는 가동량부를 구비하여 조영면에 형성된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프레임과,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1쌍의 개구창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 이 주부의 대략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장착하는 중간 플레이트와,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1쌍의 노출창을 가지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앞면을 덮는 금속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가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폭 크기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각 폭 크기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므로,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측에 중간 플레이트를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프레임이 중간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과 중간 플레이트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고,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플레이트프레임, 중간 플레이트 및 금속플레이트를 2조 사용하여 배선기구를 배설하는 경우에 대해 플레이트프레임, 중간 플레이트 및 금속플레이트가 1조로 끝나고, 부품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1개소에 배설가능한 배선기구의 개수나 조합의 패턴이 증가하게 되어, 사용성이 좋아진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매입(埋入)형의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 상기 배선기구가 구비되는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배설되는 고정량부(固定梁部), 상기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휨이 가능하게 배설되는 가동량부(可動梁部)를 구비하여 조영면(造營面)에 형성된 매입공(埋入孔)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프레임과,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主部), 이 주부의 대략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장착하는 중간 플레이트와,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가지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앞면을 덮는 금속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가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폭 크기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각 폭 크기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최소한 일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압입하여 이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를 양면테이프에 의해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맞붙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에 1 내지 복수의 계지부를 형성하는 동 시에, 각 계지부와 요철 계합(係合)하는 1 내지 복수의 피계지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열착(熱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일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측으로 되접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측면에 접촉하는 리브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측면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에 대략 전체 주위에 걸쳐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또는 접촉부가 앞면측에서 접촉하는 장출부(張出部)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 주위 에지의 최소한 일부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입공에 매설(埋設)되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박스나사가 삽통되는 삽통공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장출부를 상기 삽통공의 주변 이외의 부분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주위 에지부에 상기 중간 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주위 에지부에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의 장착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측에 계지돌기를 돌출 배설하는 동시에 이 계지돌기를 걸어 맞추는 계지공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형성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에 중간 플레이트분리용 지그를 삽입하는 절결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중간 플레이트분리용의 지그를 도피시키는 도피부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피부의 배면측 단부에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절결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리브를 연설(延設)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한쪽의 측프레임편(片)에 상기 가동량부를 휘어질 수 있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동량부의 양단에 구비하고, 상기 가동량부와 측프레임편과의 사이에 생기는 슬릿의 양단부를 상기 연결부쪽으로 굴곡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홈을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에 같은 피치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개구부에서 기능면을 노출시켜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에 배선기구를 계지 고정하는 경우에 상기 개구부에 대한 배선기구의 장착위치를 소정의 위치로 구획하는 칸막이리브를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에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량부와 측프레임편과의 사이에 생기는 상기 슬릿에 삽입하는 돌조편(突條片)을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측으로 돌출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의 계지홈에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고 배선기구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배선기구의 측면의 최소한 일부에 접촉하여 배선기구의 유동을 억제하는 수단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계지공의 주위 에지부분을 최소한 얇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측프레임편 앞면에서 상기 고정량부의 배선기구에 대향하는 면까지 관통하는 기구분리공을 상기 계지홈 사이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23. 매입형의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1쌍의 개구부, 상기 배선기구가 구비되는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1쌍의 개구부 사이에 배설되는 고정량부, 상기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휘어질 수 있게 배설된 가동량부를 구비하여 조영면에 형성된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프레임과,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1쌍의 개구창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 이 주부의 대략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장착하는 중간 플레이트와,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1쌍의 노출창을 가지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앞면을 덮는 금속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가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폭 크기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각 폭 크기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KR1019980018755A 1997-12-03 1998-05-25 배선기구용플레이트 KR100308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3326A JPH11168813A (ja) 1997-12-03 1997-12-03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333326 1997-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407A true KR19990062407A (ko) 1999-07-26
KR100308177B1 KR100308177B1 (ko) 2001-10-19

Family

ID=1826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755A KR100308177B1 (ko) 1997-12-03 1998-05-25 배선기구용플레이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H11168813A (ko)
KR (1) KR100308177B1 (ko)
CN (1) CN1092412C (ko)
HK (1) HK1020231A1 (ko)
ID (1) ID21399A (ko)
TW (1) TW3623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RM20050162A1 (it) * 2005-04-07 2006-10-08 Bticino Spa Telaio di supporto e gruppo di parti, includente tale telaio, per il montaggio a parete di un apparecchio elettrico.
ITRM20050241A1 (it) * 2005-05-17 2006-11-18 Bticino Spa Apparecchio elettrico e telaio di supporto per il montaggio a parete di detto apparecchio elettrico.
FR2910732B1 (fr) 2006-12-20 2009-02-27 Legrand France Support d'appareillage electrique a ouverture centrale modulable
DE102016121074B3 (de) * 2016-11-04 2018-05-09 Rittal Gmbh & Co. Kg Sammelschienenhalter und eine entsprechende Anordnung
CN108122697B (zh) * 2016-11-28 2021-01-29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配线器具用板件和配线器具组合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62300B (en) 1999-06-21
HK1020231A1 (en) 2000-03-31
ID21399A (id) 1999-06-03
KR100308177B1 (ko) 2001-10-19
JPH11168813A (ja) 1999-06-22
CN1092412C (zh) 2002-10-09
CN1219013A (zh) 1999-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8177B1 (ko) 배선기구용플레이트
JPH06283219A (ja) 端子台
JP3562227B2 (ja) 配線器具用のプレート構造
KR100361858B1 (ko)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KR19990028174A (ko) 배선 기구용 플레이트
JP3433630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枠
JP3508536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4053349B2 (ja) ファスナ構造
JP2007074808A (ja) 取着体
JP2000023328A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H1186926A (ja) 同軸ケーブル接続器
JP2002171634A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2001177940A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H0746017Y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枠
JP3690302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2834768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枠
JP3632613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3582445B2 (ja) 取付枠
JP3509562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H08140235A (ja) プロテクタ
JP3070856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枠
JP2001157338A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2001069635A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2834828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枠
JP2002078133A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