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2407A - Wiring device plate - Google Patents

Wiring device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2407A
KR19990062407A KR1019980018755A KR19980018755A KR19990062407A KR 19990062407 A KR19990062407 A KR 19990062407A KR 1019980018755 A KR1019980018755 A KR 1019980018755A KR 19980018755 A KR19980018755 A KR 19980018755A KR 19990062407 A KR19990062407 A KR 19990062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intermediate plate
wiring
wir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7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08177B1 (en
Inventor
구니히로 기다자와
유다카 가토
마스오 기타무라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요스케
Publication of KR19990062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4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177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배선기구를 조영면(造營面)에 형성된 매입공(埋入孔)에 미관상 보기 좋게 배설한다.The wiring mechanism is beautifully disposed in a buried hole formed in the contrast surface.

플레이트프레임 A 의 앞면에 장착되는 중간 플레이트 B 의 플레이트본체(40)는 주부(主部)(41)와 주부(41)의 전체 주위 에지로부터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측벽(42)을 일체로 형성한 대략 상자형으로 되어 있다. 이 중간 플레이트 B 의 앞면에는 금속플레이트 C 가 부착된다. 플레이트본체(40)가 대향하는 측벽(42)사이의 폭 크기가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각 폭 크기보다 크게 하고 있다. 즉, 조영면에 배설한 플레이트프레임 A 의 앞면측에 중간 플레이트 B 를 부착했을 때, 플레이트프레임본체(1)가 중간 플레이트 B 의 플레이트본체(40)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플레이트본체(40)의 측벽(42)의 선단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 A 와 중간 플레이트 B 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아,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보기 좋게 할 수 있다.The plate body 40 of the intermediate plate B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frame A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a main part 41 and side walls 42 protruding from the entire peripheral edge of the main part 41 to the back side. It is box-shaped. Metal plate C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is intermediate plate B. The width size between the side wall 42 which the plate body 40 opposes is larger than each width size of the plate frame body 1. That is, when the intermediate plate B is at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plate frame A disposed on the contrast surface, the plate frame body 1 is housed inside the plate body 40 of the intermediate plate B, and the plate body 40 The leading edge of the side wall 42 is almost in contact with the contrast surface. As a result, the abutting surface of the plate frame A and the intermediate plate B does not come out in front of the contrast surface as in the prior art, so that the abutting line of both can be made almost invisible from the side.

Description

배선기구용 플레이트Wiring device plate

본 발명은 벽면 등의 조영면(造營面)에 형성한 매입공(埋入孔)에 배선기구를 배설하기 위한 배선기구용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ing mechanism plate for disposing a wiring mechanism in a buried hole formed in an imaging surface such as a wall surface.

종래부터, 벽면 등의 조영면에 형성한 매입공에 매입박스(스위치박스)를 매설(埋設)하고, 스위치나 콘센트 등의 배선기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레이트프레임을 매입공의 앞면측에서 매입박스에 장착하고, 또한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중간 플레이트를 부착하는 동시에, 이 중간 플레이트의 앞면에 장식용의 금속플레이트를 부착함으로써 배선기구를 벽 등에 미관상 보기 좋게 매입 배설하도록 한 배선기구용 플레이트가 제공되고 있다.Conventionally, a buried box (switch box) is buried in a buried hole formed on an imaging surface such as a wall surface, and a plate frame in which a wiring mechanism such as a switch or an outlet is detachably mounted is embedd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buried hole. There is provided a wiring apparatus plate which is mounted on a box and also attaches an intermediate plate to the front of the plate frame, and attaches a decorative metal plate to the front of the intermediate plate so that the wiring apparatus can be embedded and disposed in a beautiful view. have.

그런데, 상기 종래구조에서는, 플레이트프레임과 중간 플레이트의 맞닿는 면이 벽면보다 앞쪽으로 나와 있으므로,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 보이거나 또는 양자가 상대적으로 어긋나서 보기 흉하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since the abutment surfaces of the plate frame and the intermediate plate extend outward from the wall surf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butment lines of the two are seen on the side surfaces or both are relatively displaced and become unsightly.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배선기구를 조영면에 형성된 매입공에 미관상 보기 좋게 배설할 수 있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ing mechanism plate which can be arranged to have a beautiful appearance in a buried hole formed in the contrast surface.

도 1은 실시형태 1을 나타낸 앞면측에서 본 사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front side which shows Embodiment 1. FIG.

도 2는 도 1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back side of Fig. 1.

도 3은 도 2의 플레이트프레임의 요부(要部)를 나타낸 일부 생략한 사시도.3 is a partially omitt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plate frame of FIG.

도 4는 도 3의 중간 플레이트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단면도, (c)는 다른 측면단면도.Figure 4 shows the intermediate plate of Figure 3, (a) is a front view, (b) a side cross-sectional view, (c) another side cross-sectional view.

도 5는 도 4의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도.5 is a rear view of the intermediate plate of FIG. 4.

도 6은 도 5의 중간 플레이트의 요부 측면단면도.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late of FIG.

도 7은 도 6의 금속플레이트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일부 파단한 측면도, (c)는 다른 측면단면도.Figure 7 shows the metal plate of Figure 6, (a) is a front view, (b) a partially broken side view, (c) another side cross-sectional view.

도 8은 도 7의 금속플레이트의 요부 측면단면도.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metal plate of FIG.

도 9는 도 8의 중간 플레이트에 금속플레이트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단면도, (c)는 다른 측면단면도.Figure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metal plate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late of Figure 8, (a) is a front view, (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c) is another side cross-sectional view.

도 10은 도 9의 중간 플레이트에 금속플레이트를 부착한 상태의 배면도.FIG. 10 is a rear view of the metal plate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late of FIG. 9; FIG.

도 11은 도 10의 중간 플레이트에 금속플레이트를 부착한 상태의 요부 측면단면도.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 metal plate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late of FIG. 10;

도 12는 도 11의 중간 플레이트에 금속플레이트를 부착한 상태의 요부 측면단면도.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 metal plate attached to an intermediate plate of FIG. 11;

도 13은 도 12의 금속플레이트를 부착한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일부 파단한 측면도, (c)는 측면단면도.FIG. 13 shows a state in which an intermediate plate to which the metal plate of FIG. 12 is attached is mounted on a plate frame, (a) is a front view, (b) is a partially broken side view, and (c)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배선기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iring mechanism in FIG. 13.

도 15a 및 15b는 도 14의 플레이트프레임에의 배선기구의 장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15A and 15B are explanatory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attaching a wiring mechanism to the plate frame of FIG.

도 16은 도 15에 있어서의 중간 플레이트 및 금속플레이트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FIG. 1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intermediate plate and the metal plate in FIG. 15. FIG.

도 17은 도 16에 있어서의 중간 플레이트 및 금속플레이트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FIG. 17 is a front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intermediate plate and the metal plate in FIG. 16; FIG.

도 18은 도 17에 있어서의 중간 플레이트 및 금속플레이트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FIG. 18 is a front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intermediate plate and the metal plate in FIG. 17; FIG.

도 19는 실시형태 2의 플레이트프레임을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좌측에서 본 측면단면도, (c)는 우측에서 본 측면단면도, (d)는 하측에서 본 측면단면도, (e)는 하측에서 본 측면단면도, (f)는 배면도.19 shows a plate frame of Embodiment 2, (a) is a front view, (b) is a side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left side, (c) is a side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right side, (d) is a side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lower side, ( e)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een from below, and (f) is a rear view.

도 20은 도 19의 플레이트프레임의 요부 측면단면도.2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late frame of FIG.

도 21은 도 20의 플레이트프레임의 요부 측면단면도.2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late frame of FIG.

도 22는 실시형태 3의 플레이트프레임을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좌측에서 본 측면단면도, (c)는 우측에서 본 측면단면도, (d)는 배면도, (e)는 하측에서 본 측면단면도.22 shows a plate frame of Embodiment 3, (a) is a front view, (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een from the left side, (c)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een from the right side, (d) is a rear view, and (e) is Side sectional view from below.

도 23은 도 22의 플레이트프레임의 요부 측면단면도.FIG. 23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the plate frame of FIG. 22; FIG.

도 24는 도 23의 플레이트프레임의 요부 측면단면도.2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late frame of FIG.

도 25는 도 24의 중간 플레이트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단면도, (c)는 다른 측면단면도.Figure 25 shows the intermediate plate of Figure 24, (a) is a front view, (b) a side cross-sectional view, (c) another side cross-sectional view.

도 26은 도 25의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도.FIG. 26 is a rear view of the intermediate plate of FIG. 25;

도 27은 도 26의 중간 플레이트의 요부 측면단면도.FIG. 2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late of FIG. 26; FIG.

도 28은 도 27의 금속플레이트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일부 파단한 측면도, (c)는 다른 측면단면도.FIG. 28 shows the metal plate of FIG. 27, (a) is a front view, (b) is a partially broken side view, and (c) is another side cross-sectional view;

도 29는 도 28의 중간 플레이트에 금속플레이트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단면도, (c)는 다른 측면단면도.FIG. 29 shows a metal plate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late of FIG. 28, (a) is a front view, (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nd (c) is another side cross-sectional view.

도 30은 도 29의 중간 플레이트에 금속플레이트를 부착한 상태의 배면도.FIG. 30 is a rear view of the metal plate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late of FIG. 29; FIG.

도 31은 도 30의 중간 플레이트에 금속플레이트를 부착한 상태의 요부 측면단면도.Fig. 3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a metal plate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late of Fig. 30;

도 32는 도 31의 중간 플레이트에 금속플레이트를 부착한 상태의 요부 측면단면도.3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 metal plate attached to an intermediate plate of FIG. 31;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A : 플레이트프레임, B : 중간 플레이트,A: plate frame, B: middle plate,

C : 금속플레이트, 1 : 플레이트프레임본체,C: metal plate, 1: plate frame body,

2 : 개구부, 3 : 측프레임편,2: opening part, 3: side frame piece,

4 : 고정량부, 4a : 계지홈,4: fixed amount portion, 4a: locking groove,

5 : 가동량부, 5a : 계지홈,5: moving part, 5a: locking groove,

6 : 연결부, 30 : 금속플레이트본체,6: connection part, 30: metal plate body,

31 : 노출창, 40 : 플레이트본체,31: exposure window, 40: plate body,

41a : 개구창, 42 : 측벽,41a: aperture window, 42: side wall,

43 : 계지돌기.43: protrusion.

청구항 1의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매입형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 상기 배선기구가 구비하는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배설되는 고정량부(固定梁部), 상기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휘어질 수 있게 배설되는 가동량부(可動梁部)를 구비하여 조영면에 형성된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프레임과,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主部), 이 주부의 대략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장착하는 중간 플레이트와,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가지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앞면을 덮는 금속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가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폭 크기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각 폭 크기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측에 중간 플레이트를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프레임이 중간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과 중간 플레이트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고,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보기 좋게 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vention of claim 1 has an opening for exposing the functional surface of the buried wiring mechanism, a fixed amount portion provided at a peripheral edge of the opening, having a locking groove for engaging the locking click provided by the wiring mechanism. A locking groove which engages the locking click and has a movable amount portion which is disposed so as to be bent at a peripheral edge of the opening to cover the opening surface side of the buried hole formed in the contrast surfac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frame having a plate frame, a main portion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frame and having an opening for exposing the functional surface of the wiring mechanism, and a side wall protruding from approximately the entire peripheral edge of the main portion. A metal plate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having an intermediate plate to be mounted and an exposure window exposing the functional surface of the wiring mechanism; And the width between the side walls facing the intermediate plate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each of the plate frames, wherein the plate frame is the intermediate plate when the intermediate plate is at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plate frame. Since the tip edge of the side wall of the intermediate plate is almost in contact with the contrast surface, the abutment surface between the plate frame and the intermediate plate does not come forward than the contrast surface as in the prior art, and the abutment line of both is almost at the side surface. You can make it look invisible.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최소한 일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압입하여 이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in the invention of claim 1, at least a part of the metal plate is pressed into the intermediate plate to attach the metal plate to the intermediate plate, and the metal plate is simply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late. can do.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를 양면테이프에 의해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맞붙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aspect, the metal plate is bonded to the intermediate plate by a double-sided tape, and the metal plate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late.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에 1 내지 복수의 계지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각 계지부와 요철(凹凸)계합하는 1 내지 복수의 피(被)계지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특별한 공정이나 부착부재등이 없이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어서, 조립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invention of claim 1, in the invention of claim 1, one to a plurality of locking portions that form one to a plurality of locking portions on the metal plate and engage with each locking portion are irregula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mediate plate is disposed, and the metal plate can be simply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late without any special process or attachment member, thereb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of assembly.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열착(熱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The invention of claim 5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nvention of claim 1, the metal plate is thermally adhered to the intermediate plate, and the metal plate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late.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일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측으로 되접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Invention of Claim 6 WHEREIN: The invention of Claim 1 consists of returning a part of said metal plate to the back side of the said intermediate plate, and can attach a metal plate to an intermediate plate easily.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측면에 접촉하는 리브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레이트프레임에 대한 중간 플레이트의 조영면에 따른 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in the invention of claim 1, the ribs contacting the side surfaces of the plate frame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and the direction along the contras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with respect to the plate frame. Can prevent the flow of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측면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에 대략 전체 주위에 걸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레이트프레임에 대한 중간 플레이트의 조영면에 따른 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in the invention of claim 1, the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plate frame is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intermediate plate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and the contrast of the intermediate plate to the plate fra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in the direction along the plane.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브 또는 접촉부가 앞면측에서 접촉하는 장출부(張出部)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 주위 에지의 최소한 일부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레이트프레임에 대한 중간 플레이트의 조영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b or contact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at least part of an edge around the plate frame, wherein the elongate portion that the rib or contact portion contacts on the front side is 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in a direction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contras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with respect to.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9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매입공에 매설되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박스나사가 삽통되는 삽통공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장출부를 상기 삽통공의 주변 이외의 부분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박스나사의 조임으로 플레이트프레임이 변형되어도 장출부가 중간 플레이트에 간섭하지 않아 미관상 보기 좋게 장착할 수 있다.In the invention of claim 9, in the invention of claim 9, a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a box screw is inserted into the buried box embedded in the buried hole is formed in the plate frame, and the elongated portion is placed outside the periphery of the insertion hole. It is formed in the portion of the, and even if the plate frame is deformed by tightening the box screw, the elongated portion does not interfere with the intermediate plate can be mounted aesthetically good.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주위 에지부에 상기 중간 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측에서 덮어 씌울 때에 테이퍼면에 의해 중간 플레이트가 가이드되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in the invention of claim 1, a tapered surface is formed in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plate frame in a direction for mounting the intermediate plate, and the intermediate plat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plate frame. The intermediate plate is guided by the tapered surface when it is covered in, so that it can be easily mounted.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주위 에지부에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의 장착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측에서 덮어 씌울 때에 테이퍼면에 의해 중간 플레이트가 가이드되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in the invention of claim 1, a tapered surface is formed in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late to guide in the mounting direction to the plate frame, and the intermediate plat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plate frame. The intermediate plate is guided by the tapered surface when it is covered in, so that it can be easily mounted.

청구항 13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측에 계지돌기를 돌출 배설하는 동시에 이 계지돌기를 걸어 맞추는 계지공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형성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에 중간 플레이트분리용 지그를 삽입하는 절결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절결부에 지그를 삽입하여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중간 플레이트를 들어 올림으로써, 계지돌기와 계지공과의 걸어 맞춤을 풀어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in the invention of claim 1, a locking hol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frame to protrude and arrange the locking projections on the back side of the intermediate plate, and to engage the locking projections. And a cutout portion for inserting the middle plate separating jig into the cutout, and inserting the jig in the cutout portion to lift the intermediate plate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thereby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locking projection and the locking hole The plate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plate frame.

청구항 14의 발명은, 청구항 1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중간 플레이트분리용 지그를 도피시키는 도피부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절결부에 삽입된 지그를 도피부에 도피시킴으로써 안까지 삽입할 수 있어, 중간 플레이트를 분리할 때에 힘을 가하기 쉽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a thir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vacuation portion for evacuating the intermediate plate separating jig is formed in the plate fram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tout portion. It can be inserted to the inside by escaping to a skin part, and it can make it easy to apply a force when removing an intermediate plate.

청구항 15의 발명은, 청구항 14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피부의 배면측 단부에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절결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리브를 연설(延設)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절결부에 삽입된 지그가 리브에 접촉함으로써,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지그에 의해 조영면에 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4, in the invention of claim 14, a rib which does not protrude from the cutout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late is extended at the rear side end of the bleeding portion, and a jig inserted into the cutout portion is provided. By contacting the ribs, it is possible to prevent scratches on the contrast surface by the jig when the intermediate plate is separated from the plate frame.

청구항 16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한쪽의 측프레임편에 상기 가동량부를 휘어질 수 있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동량부의 양단에 구비하고, 상기 가동량부와 측프레임편과의 사이에 생기는 슬릿의 양단부를 상기 연결부쪽으로 굴곡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레이트프레임에 장착한 배선기구에 앞면측에서 배면방향으로 강한 압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가동량부가 개구부측으로 넘어지듯 휘어지게 되어, 가동량부의 계지홈에서 배선기구의 계지클릭이 벗겨지지 않고, 플레이트프레임으로부터의 배선기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in the invention of claim 1, there is provided a connecting portion at both ends of the movable amount portion so as to be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to one side frame piece of the plate frame, a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and the side frame piece. And both ends of the slit generated between the ends of the slit are bent toward the connecting portion, and when a strong pressing force is appli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back side to the wiring mechanism mounted on the plate frame, the movable amount portion is bent to the opening side. Thus, the locking click of the wiring mechanism does not come off from the locking groove of the movable amount portion, thereby preventing the wiring mechanism from falling off from the plate frame.

청구항 17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지홈을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에 등(等)피치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레이트프레임에 대한 배선기구의 장착위치의 자유도를 넓힐 수 있다.According to a seven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xed amount portion a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at equal pitches, and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wiring mechanism with respect to the plate frame is improved. You can widen it.

청구항 18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개구부에서 기능면을 노출시켜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에 배선기구를 계지 고정하는 경우에 상기 개구부에 대한 배선기구의 장착위치를 소정의 위치로 구획하는 칸막이리브를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에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배선기구의 플레이트프레임에 대한 장착위치의 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wiring mechanism with respect to the opening portion is predetermined when the functional surface is exposed from the opening portion of the plate frame to lock the wiring mechanism to the fixed amount portion a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The partition ribs partitioned at the position of are arranged in the fixed amount portion a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a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wiring mechanism with respect to the plate frame can be prevented.

청구항 19의 발명은, 청구항 1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량부와 측프레임편과의 사이에 생기는 상기 슬릿에 삽입하는 돌조편(突條片)을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측으로 돌출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돌조편에 의해 가동량부의 작동이 규제되므로 배선기구에 큰 충격 등이 가해진 경우에도, 배선기구의 계지클릭과 가동량부의 계지홈과의 걸어 맞춤이 잘 풀어지지 않게 된다.Invention of Claim 19 WHEREIN: In the invention of Claim 16, the protrusion piece inserted in the said slit which arises between the said movable amount part and a side frame piece protrudes and arrange | positions to the back side of an intermediate plate,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amount portion is regulated by the protruding piece, even when a large impact or the like is applied to the wiring mechanism, the engagement of the locking click of the wiring mechanism and the locking groove of the movable amount portion is hardly released.

청구항 20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의 계지홈에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고 배선기구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배선기구의 측면의 최소한 일부에 접촉하여 배선기구의 유동을 억제하는 수단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레이트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의 배선기구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배선기구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계지클릭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in the invention of claim 1, when the locking click is 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 of the fixed amount portion a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and the wiring mechanism is mounted on the plate frame, the wiring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wiring mechanism. Means for suppressing the flow of the mechanism is provided in the plate fram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low of the wiring mechanism in the state mounted on the plate frame, the locking click even if unnecessary force is applied to the wiring mechanism The occurrence of problems such as breakage can be prevented.

청구항 21의 발명은, 청구항 1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계지공의 주위 에지부분을 최소한 얇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박스나사의 조임 등에 의해 플레이트프레임이 다소 변형되어도, 계지공의 주위 에지부분이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계지공 부분에 변형의 영향이 미치기 어렵고,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에 미관상 보기 좋게 장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3, in the invention of claim 13,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locking hole of the plate frame is formed at least thinly, and even if the plate frame is somewhat deformed by tightening the box screw or the like, Since the peripheral edge portion is thinly formed, it is difficult to influence the deformation on the engagement hole portion, and the intermediate plate can be attached to the plate frame in aesthetic appearance.

청구항 2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측프레임편 앞면에서 상기 고정량부의 배선기구에 대향하는 면까지 관통하는 기구분리공을 상기 계지홈 사이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기구분리공에 삽입된 지그의 선단부분에서 배선기구를 가동량부측으로 밀어주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약간의 힘으로 가동량부를 휘게 할 수 있고, 고정량부측의 계지홈과 배선기구의 계지클릭과의 걸어 맞춤을 풀어 플레이트프레임으로부터 배선기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ice separation hole that penetrates from the front of the side frame piece of the plate frame to a surface opposite to the wiring mechanism of the fixed amount portion, between the locking grooves. If the wiring mechanism is pushed to the movable part at the tip of the jig inserted into the mechanism separating hole, the movable part can be bent with a slight forc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lever, and the locking groove on the fixed amount side and the latch of the wiring mechanism are clicked. The wiring mechanism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plate frame by disengaging the fitting.

청구항 23의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매입형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1쌍의 개구부, 상기 배선기구가 구비되는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1쌍의 개구부 사이에 배설되는 고정량부, 상기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휘어질 수 있게 배설되는 가동량부를 구비하여 조영면에 형성한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프레임과,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1쌍의 개구창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 이 주부의 대략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장착하는 중간 플레이트와,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1쌍의 노출창을 가지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앞면을 덮는 금속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폭 크기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각 폭 크기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측에 중간 플레이트를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프레임이 중간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과 중간 플레이트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고,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플레이트프레임, 중간 플레이트 및 금속플레이트를 2조(組) 사용하여 배선기구를 배설하는 경우에 대해 플레이트프레임, 중간 플레이트 및 금속플레이트가 1조로 끝나고, 부품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1개소에 배설가능한 배선기구의 개수나 조합의 패턴이 증가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vention of claim 23 has a pair of openings for exposing a functional surface of the buried wiring mechanism, and a locking groove for engaging the locking click provided with the wiring mechanism, and between the pair of openings. A plate frame having a fixed amount portion to be disposed, a locking groove for engaging the locking click and a movable amount portion disposed to be bent at a peripheral edge of the opening to cover the opening surface side of the buried hole formed in the contrast surface; An intermediate plate having a pair of opening windows exposing a functional surface of a wiring mechanism and having a main portion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frame, a middle plate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frame, having a side wall protruding from an approximately entire peripheral edge thereof; A metal plate having a pair of exposed windows for exposing the functional surface of the wiring mechanism and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is provided. The width of the width between the opposite side wall of the intermediate plate is larger than the width of each of the plat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frame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intermediate plate when the intermediate plate is at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plate frame Since the tip edge of the side wall of the intermediate plate is almost in contact with the contrast surface,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plate frame and the intermediate plate does not come forward than the contrast surface as in the prior art, and both contact lines are almost invisible from the side surface. At the same time, the plate frame, the intermediate plate and the metal plate are finished in one pair, and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when the wiring apparatus is laid out using two sets of the plate frame, the intermediate plate, and the metal plate. We can plan and ship to one place The pattern of the number and the combination of possible wiring devices are increased, the usability is improved.

(실시형태 1)(Embodiment 1)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선기구용 플레이트는 플레이트프레임 A 와 중간 플레이트 B 와 금속플레이트 C 로 이루어진다.With reference to FIG. 1 thru | or FIG. 18,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The plate for wiring apparatus of this invention consists of plate frame A, the intermediate plate B, and the metal plate C.

사각형 틀형상의 플레이트프레임본체(1)는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ABS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탄성을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각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부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위치나 콘센트 등의 매입형 배선기구 D 의 기체(器體)(60)의 기능면(스위치의 조작체가 배설된 면이나 콘덴서의 삽입구가 배설된 면)을 앞면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해 사각형의 개구부(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의 주위 에지 배면측에는, 개구부(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서로 대향하도록 띠모양의 고정량부(4) 및 가동량부(5)가 배설되어 있다. 가동량부(5)는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길이방향에 따른 1쌍의 측프레임편(3a),(3b)의 한쪽의 측프레임편(3b)으로부터 이간하고, 또한 연결부(6)에 의해 그 양단에 있어서 측프레임편(3b)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가동량부(5) 및 연결부(6)를 포함하여 플레이트프레임본체(1)를 형성하고 있는 합성수지는 가요성 재료이며,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에 대해 가동량부(5) 및 연결부(6)가 각각 휘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In the rectangular frame-shaped plate frame body 1, each member is integrally formed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a thermoplastic resin such as ABS resin or a thermosetting resin having elasticity), and a switch as shown in FIG. Square openings (2) for exposing the functional surface of the body 60 of the recessed wiring device D such as an outlet (the surface on which the switch operating body is disposed or the surface on which the condenser is inserted) to the front side. Is formed. On the peripheral edge back side of this opening part 2, the strip-shaped fixed amount part 4 and the movable amount part 5 are arrange | positioned so as to oppose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part 2. The movable amount part 5 is separated from one side frame piece 3b of one pair of side frame pieces 3a and 3b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frame main body 1, and is connected by the connection part 6, Both end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ide frame piece 3b. Here, the synthetic resin forming the plate frame body 1 including the movable amount part 5 and the connecting part 6 is a flexible material, and the movable amount part 5 and the connecting part 6 with respect to the plate frame body 1. Are each able to bend.

또, 측프레임편(3b)으로부터 일체로 연설된 폭이 좁은 1쌍의 리브(7)에 의해 가동량부(5)가 지지되어 있으며, 가동량부(5)와 측프레임편(3b)과의 사이에 생기는 틈이 상기 리브(7)에 의해 3개의 부분(이하, 각 부분을 슬릿(8a)∼(8c)이라고 함)으로 분할되게 된다. 이 중, 양측의 슬릿(8a),(8c)은 외측 단부가 연결부(6)쪽으로 굴곡되어 있다. 또한 측프레임편(3b)의 각 리브(7) 근방의 부위에는, 가동량부(5)를 휘기 쉽도록 하기 위해 긴 구멍형상의 홈(9)이 1쌍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movable amount part 5 is supported by the pair of narrow ribs 7 which were unfolded integrally from the side frame piece 3b, and between the movable amount part 5 and the side frame piece 3b. The gap formed in the ribs 7 is divided into three portions (hereinafter, each portion is referred to as slits 8a to 8c) by the ribs 7. Among them, the outer ends of the slits 8a and 8c on both sides are bent toward the connecting portion 6. In addition, a pair of long hole-shaped grooves 9 are formed in a portion near each rib 7 of the side frame piece 3b so as to be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5.

한편, 고정량부(4) 및 가동량부(5)의 개구부(2)측의 면에는, 배선기구 D 의 기체(60)의 양측면에서 1쌍씩 돌출 배설된 계지클릭(61)이 걸어 맞춰지는 계지홈(4a),(5a)을 각각 3쌍씩 같은 피치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배선기구 D 의 기체(60)에 배설된 계지클릭(61)을 각 계지홈(4a),(5a)에 걸어 맞춤으로써, 기체(60)의 상기 기능면을 개구부(2)로부터 노출시킨 상태로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에 배선기구 D 의 기체(6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량부(4) 및 가동량부(5)의 선단부분에는, 배선기구 D 의 계지클릭(61)을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배면측에서 계지홈(4a),(5a)에 걸어 맞출 때에, 각 계지클릭(61)을 계지홈(4a),(5a)에 가이드하기 위해, 각각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진 테이퍼면을 가지는 가이드부(4b),(5b)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 A 에 배선기구 D 를 장착할 때에, 계지클릭(61)을 가이드부(4b),(5b)의 테이퍼면에 접촉한 상태로 배선기구 D 의 기체(60)를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배면측으로부터 앞면측으로 밀어 넣으면, 계지클릭(61)이 가이드부(4b),(5b)의 테이퍼면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가이드부(4b),(5b)에 가이드되어 원활하게 계지홈(4a),(5a)에 걸어 맞출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 locking groove in which the locking clicks 61 protruding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base 60 of the wiring mechanism D are engaged with the surfaces of the fixed amount portion 4 a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5 on the opening 2 side. Three pairs (4a) and (5a) are formed at the same pitch, respectively. Accordingly, by engaging the engaging clicks 61 disposed on the base 60 of the wiring mechanism D with the respective engagement grooves 4a and 5a, the functional surface of the base 60 is exposed from the opening 2. The base 60 of the wiring mechanism D can be attached to the plate frame body 1 in a state. Here, when the locking click 61 of the wiring mechanism D is 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s 4a and 5a at the rear side of the plate frame body 1 at the distal end portions of the fixed amount portion 4 a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5. In order to guide the locking clicks 61 to the locking grooves 4a and 5a, guide portions 4b and 5b each having a tapered surface inclined outward are formed. That is, as shown in FIG. 15, when attaching the wiring mechanism D to the plate frame A, the base 60 of the wiring mechanism 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apered surfaces of the guide portions 4b and 5b. ) Is pushed from the back side of the plate frame body 1 to the front side, the locking click 61 is moved along the tapered surfaces of the guide portions 4b and 5b to the guide portions 4b and 5b. Guided to be able to smoothly fit the locking groove (4a), (5a).

또, 고정량부(4) 및 가동량부(5)의 기부(基部)와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개구부(2)의 끝 에지와의 사이에는, 계지클릭(61)을 각 계지홈(4a),(5a)에 걸어 맞춘 상태로 배선기구 D 의 기체(60)의 앞면측의 일부에 접촉하는 접촉부(4d),(5d)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플레이트프레임 A 에 장착한 상태로 배선기구 D 의 기체(60)에 플레이트프레임 A 의 앞면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에, 기체(60)가 앞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접촉부(4d),(5d)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배선기구 D 의 기체(60)에 플레이트프레임 A 의 배면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계지클릭(61)과 계지홈(4a),(5a)이 접촉하고 있으므로 기체(60)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더욱이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가동량부(5)와 측프레임편(3b)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6)는, 슬릿(8a),(8c)의 외측단부가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얇게 되어 있으며, 그 결과 배선기구 D 의 기체(60)에 앞면측에서 배면방향으로의 강한 압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가동량부(5)가 개구부(2)측으로 넘어지듯 휘어지므로, 가동량부(5)의 계지홈(5a)으로부터 배선기구 D 의 기체(60)에 배설된 계지클릭(61)이 벗겨지지 않고, 플레이트프레임 A 로부터의 배선기구 D 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locking click 61 is provided between each of the locking grooves 4a between the base portion of the fixed amount portion 4 a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5 and the end edge of the opening portion 2 of the plate frame body 1. The contact parts 4d and 5d which contact part of the front surface side of the base body 60 of the wiring mechanism D in the state which engaged with (5a) are formed. Therefor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base 60 of the wiring mechanism 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plate frame A while being mounted on the plate frame A, the contact portions 4d and 5d move the base 60 to the front side. Can be regulated by Similarly,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base 60 of the wiring mechanism 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plate frame A, the engagement click 61 and the engagement grooves 4a and 5a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ovement of the base 60 is prevented. It can be regulated. Further, the connecting portion 6 connecting the movable amount portion 5 of the plate frame body 1 and the side frame piece 3b is thinned by the outer ends of the slits 8a and 8c being formed by bending. As a result, when a strong pressing force from the front side to the back direction is applied to the base 60 of the wiring mechanism D, the movable amount portion 5 bends as if falling down toward the opening portion 2 side, so that the locking amount of the movable amount portion 5 is locked. The locking click 61 disposed in the base 60 of the wiring mechanism D from the groove 5a does not come off, and the fall of the wiring mechanism D from the plate frame A can be prevented.

또한 고정량부(4)에는 각 계지홈(4a)의 사이에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앞면측에서 삽통하는 기구분리공(4c)이 뚫려 있어서, 드라이버나 분리전용 지그 등의 선단부분을 이 기구분리공(4c)에 삽입하고, 지그의 선단부분으로 기체(60)를 가동량부(5)측으로 밀어 주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약간의 힘으로 가동량부(5)를 휘게 할 수 있어, 고정량부(4)측의 계지홈(4a)과 기체(60)의 계지클릭(61)과의 걸어 맞춤을 풀어 플레이트프레임본체(1)로부터의 배선기구 D 의 기체(60)를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xed amount portion 4 is provided with a mechanism separation hole 4c which is insert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plate frame body 1 between the respective locking grooves 4a. Inserting into the separating hole 4c and pushing the gas 60 toward the movable amount portion 5 by the tip of the jig, the movable amount portion 5 can be bent with a slight forc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lever, and the fixed amount portion ( The engagement groove 4a on the side 4) and the engagement click 61 of the base 60 are released to remove the base 60 of the wiring mechanism D from the plate frame body 1.

그런데, 개구부(2)의 크기는 도 14에 나타낸 배선기구 D 의 크기를 기준크기(이하, 이 크기를「1개 모듈크기」라고 함)로 했을 때에, 배선기구 D 의 길이방향을 개구부(2)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시킨 상태로 1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 D 가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3개 나란히 장착할 수 있는 크기(이하, 이 크기를「3개 모듈크기」라고 함)로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고정량부(4) 및 가동량부(5)에 형성한 각 계지홈(4a),(5a)의 피치는, 1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 D 의 기체(60)측면에 돌출 배설되어 있는 계지클릭(61)의 피치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1개 모듈크기는 적당한 값으로 설정하면 되고(예를 들면, 일본공업규격의 대각형연용배선기구(JIS C8304)등, 이와 같은 모듈크기에 적합한 배선기구라면, 공통적으로 플레이트프레임 A 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By the way, when the size of the opening 2 is a reference size (hereinafter referred to as "one module size") as the size of the wiring mechanism D shown in Fig. 14, the length direction of the wiring mechanism D is defined as the opening 2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cable), and the size of three modules can be mounted side by side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engthwise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 three module size ''). Doing. Similarly, the pitch of each of the locking grooves 4a and 5a formed in the fixed amount portion 4 a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5 of the plate frame body 1 is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60 of the wiring mechanism D having one module size. The pitch is equal to the pitch of the locking click 61 protruding and disposed at. In addition, the one module size may be set to an appropriate value (for example, a Japanese industrial standard diagonal joint wiring mechanism (JIS C8304), and the like. It can be attached.

한편, 고정량부(4) 및 가동량부(5)의 각 계지홈(4a),(5a)은 모두 같은 피치로 6개씩 형성되어 있으므로, 1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 D 를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에 장착할 때에 배선기구 D 의 기체(60)에 배설한 1쌍의 계지클릭(61)이 어떤 계지홈(4a),(5a)에도 걸어 맞출 수 있으며,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개구부(2)에 대한 배선기구 D 의 장착위치는 5가지중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2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의 경우라면, 3가지의 장착위치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each of the locking grooves 4a and 5a of the fixed amount portion 4 a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5 is formed in six pieces at the same pitch, the wiring mechanism D having one module size is formed in the plate frame body 1. The pair of locking clicks 61 disposed on the base 60 of the wiring mechanism D can be fitted to any of the locking grooves 4a and 5a when mounted to the base 60 of the wiring mechanism 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wiring device D can be arbitrarily selected from five types. In the case of a two-module-sized wiring mechanism, three mounting positions can be selected.

그런데,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편(10)에는 각각 요소(凹所)(11)가 형성되어 있다. 각 요소(11)에는, 플레이트프레임 A 를 매입박스(도시하지 않음)에 장착하기 위한 박스나사를 삽통하는 긴 구멍(12)과, 플레이트프레임 A 를 벽면 등의 조영면에 직접 부착하기 위한 나사가 삽통되는 나사삽통공(13)과, 조영면을 형성하는 벽 패널 등에 장착할 때에 사용하는 협지금구(도시하지 않음)를 걸어 맞추는 협지금구 계지공(14)이 형성되어 있다.By the way, the element 11 is formed in the both side piece 10 which oppos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frame main body 1, respectively. Each element 11 has a long hole 12 through which a box screw for mounting plate frame A to a buried box (not shown) and a screw for attaching plate frame A directly to an imaging surface such as a wall surface. A screw insertion hole 13 for engaging the screw insertion hole 13 to be inserted into a narrowing port opening (not shown) used for mounting to a wall panel or the like for forming an imaging surface is formed.

또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4귀퉁이에는, 중간 플레이트 B 의 플레이트본체(40)배면으로부터 돌출 배설된 계지돌기(43)를 걸어 맞추는 중간 플레이트 계지공(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중간 플레이트 계지공(15)에 계지돌기(43)를 삽입 계지함으로써 플레이트프레임 A 의 앞면측에 중간 플레이트 B 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t four corners of the plate frame body 1, intermediate plate locking holes 15 for engaging the locking projections 43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plate body 40 of the intermediate plate B are formed. By inserting and locking the locking projection 43 into the paper hole 15, the intermediate plate B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side of the plate frame A. FIG.

한편, 중간 플레이트 B 의 플레이트본체(40)는, 절연성을 가진 합성수지(ABS 수지와 같은 열가역성 수지 또는 탄성을 가진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플레이트프레임 A 의 앞면을 덮는 사각형의 주부(主部)(41)와, 주부(41)의 전체 주위에지로부터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측벽(42)을 일체로 형성한 대략 상자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계지돌기(43)는 주부(41)의 배면측의 4귀퉁이에 돌출 배설되어 있다. 또 주부(41)의 대략 중앙에는, 플레이트프레임 A 에 장착된 배선기구 D 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41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본체(40)가 대향하는 측벽(42)사이의 폭 크기가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각 폭 크기보다 크게 되어 있다. 조영면에 배설한 플레이트프레임 A 의 앞면측에 중간 플레이트 B 를 부착했을 때, 플레이트프레임본체(1)가 중간 플레이트 B 의 플레이트본체(40)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플레이트본체(40)의 측벽(42)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 A 와 중간 플레이트 B 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고,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ate body 40 of the intermediate plate B is formed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a thermoreversible resin such as ABS resin or a thermosetting resin having elasticity), and has a rectangular main part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frame A ( 41 and the side wall 42 which protrudes to the back side from the whole periphery of the main part 41 are formed in the substantially box shape. The locking projection 43 is projected and disposed at four corners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portion 41. Moreover, the opening window 41a which exposes the functional surface of the wiring mechanism D attached to the plate frame A is form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of the main part 41. As shown in FIG. Here, the width between the side walls 42 that the plate body 40 opposes is larger than the width of each width of the plate frame body 1. When the intermediate plate B is at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plate frame A disposed on the contrast surface, the plate frame body 1 is housed inside the plate body 40 of the intermediate plate B, and the side wall of the plate body 40 The leading edge of 42 is almost in contact with the contrast surface. As a result, the abutment surface of the plate frame A and the intermediate plate B does not come out in front of the contrast surface as in the prior art, and the abutment line of both is almost invisible from the side surface, making it aesthetically pleasing.

또, 플레이트본체(40)의 각 측벽(42)에는, 조영면에 접촉하는 끝 에지로부터 주부(41) 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42a)을 형성하는 동시에, 각각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측면에 조영면에 따른 방향에서 접촉하여 중간 플레이트 B 의 동작을 규제하는 규제리브(44)를 복수 나란히 배설하고 있다. 즉, 플레이트프레임 A 의 앞면측에 중간 플레이트 B 를 장착했을 때에 규제리브(44)가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측면에 접촉하고,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에 대한 중간 플레이트 B 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on each side wall 42 of the plate body 40, an inclined surface 42a inclined toward the main portion 41 from an end edge in contact with the contrast surface is formed, and the contrast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 frame body 1, respectively. A plurality of regulating ribs 44 which contact in the direction along the surface and regulate the operation of the intermediate plate B are arranged side by side. That is, when the intermediate plate B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plate frame A, the regulating rib 44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plate frame body 1 and prevents the flow of the intermediate plate B with respect to the plate frame body 1. Can be.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양 측프레임편(3a),(3b)의 측면에서 배면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외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3c) 및 테이퍼면(3c)에 연속하여 외측으로 장출된 장출부(3d)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출부(3d)의 앞면에 재치(載置)되어 중간 플레이트 B 의 유동을 방지하는 리브(45)가 플레이트본체의 주부(41)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측벽(42)의 내측면을 따라서 돌출 배설되어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프레임 A 에 중간 플레이트 B 를 장착할 때에, 중간 플레이트 B 의 규제리브(44)가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측프레임편(3a),(3b)에 형성된 상기 테이퍼면(3c)에 가이드되므로, 장착이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규제리브(44) 및 유동방지용 리브(45)대신에,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상기 장출부(3d)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측벽(42)에 따라서 전주(全周)에 걸쳐서 형성하도록 해도 되고, 이 경우에도 플레이트프레임 A 에 대한 중간 플레이트 B 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tapered surface 3c and the tapered surface 3c which are inclined outwardly from the side surfaces of both side frame pieces 3a and 3b of the plate frame body 1 toward the back side. The elongated part 3d extended outward is formed continuously, and the rib 45 which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is extension part 3d, and prevents the flow of the intermediate plate B has the main part 41 of the plate main body. It protrudes along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42 of the direction orthogonal to a longitudinal direction. Here, when attaching the intermediate plate B to the plate frame A, the regulating rib 44 of the intermediate plate B is formed on the tapered surface 3c formed on the side frame pieces 3a and 3b of the plate frame body 1. Since it is guid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mounting becomes easy. Instead of the regulating rib 44 and the flow preventing rib 45,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elongated portion 3d of the plate frame body 1 is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along the side wall 42. In this case, the flow of the intermediate plate B with respect to the plate frame A can also be prevented.

플레이트본체(40)의 길이방향에 따른 한쪽의 측벽(42)에는 1쌍의 절결부(4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46)에 지그(드라이브의 선단 등)를 삽입하여 플레이트본체(40)에 앞면측으로의 힘을 가함으로써, 플레이트본체(40)의 계지돌기(43)와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중간 플레이트 계지공(15)과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여, 중간 플레이트 B 를 플레이트프레임 A 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측프레임편(3b)의 절결부(4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테이퍼면(3c)보다 내측으로 오목한 도피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절결부(46)에 삽입된 지그를 도피시킴으로써 안까지 삽입할 수 있고, 중간 플레이트 B 를 분리할 때에 힘을 가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도피부(16)의 배면측 끝부로부터는 장출부(3d)보다 얇은 리브(17)가, 중간 플레이트 B 의 절결부(46)로부터 돌출하지 않을 정도까지 연장 배설되어 있다. 즉, 절결부(46)에 삽입된 지그에 조영면에 접촉하는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힘을 가함으로써 조영면에 흠이 생길 우려가 있으나, 리브(17)를 배설함으로써 절결부(46)에 삽입된 지그가 리브(17)에 접촉하게 되어, 중간 플레이트 B 를 플레이트프레임 A 로부터 분리할 때에 지그에 의해 조영면에 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pair of cutouts 46 are formed in one side wall 4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body 40, and a jig (a tip of a drive, etc.) is inserted into the cutouts 46 to form a plate body ( By applying a force to the front side to 40), the engagement protrusion 43 of the plate body 40 and the intermediate plate locking hole 15 of the plate frame body 1 are released to release the intermediate plate B. It can be separated from frame A. Here,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tout portion 46 of the side frame piece 3b of the plate frame body 1, a cutout portion 16 which is concave inward from the tapered surface 3c is formed, and the cutout portion 46 is formed. It can be inserted inward by escaping the jig inserted in the inside, and a force is easily applied when the intermediate plate B is separated. Moreover, the rib 17 thinner than the elongate part 3d is extended from the back side edge part of the skin part 16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protrude from the notch 46 of the intermediate plate B. That is, there is a risk that the contrast surface may be damaged by applying a force to the jig inserted into the cutout portion 46 as a support point, but the rib 17 is inserted into the cutout portion 46 by disposing the rib 17. Since the jig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ib 17,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jig from being scratched by the jig when the intermediate plate B is separated from the plate frame A.

또 플레이트본체(40)의 배면측에는, 플레이트프레임 A 에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에 형성한 3개의 슬릿(8a)∼(8c)에 각각 삽입되는 돌조편(48a)∼(48c)이 나란히 배설되어 있다. 여기서, 각 돌조편(48a)∼(48c)의 크기는,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각 슬릿(8a)∼(8c)에 삽입된 상태로, 슬릿(8a)∼(8c)의 내주면과 각 돌조편(48a)∼(48c)과의 사이에 약간의 틈밖에 생기지 않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즉, 배선기구 D 를 장착한 플레이트프레임 A 에 중간 플레이트 B 를 부착한 상태에서는, 3개의 돌조편(48a)∼(48c)이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각 슬릿(8a)∼(8c)에 삽입되어, 슬릿(8a)∼(8c)의 내주면과 각 돌조편(48a)∼(48c)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틈밖에 생기지 않으므로,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가동량부(5)의 작동(휨)이 규제되게 된다. 그 결과, 배선기구 D 로서 콘센트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 콘센트에 삽입된 플러그를 큰 힘으로 잡아 빼는 등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량부(5)의 작동이 규제되고 있으므로 배선기구 D 의 계지클릭(61)과 가동량부(5) 및 고정량부(4)의 계지홈(5a),(4a)과의 걸어 맞춤이 풀어지기 어렵게 되는 것이다.On the back side of the plate body 40, protrusion pieces 48a to 48c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three slits 8a to 8c formed on the plate frame body 1 when attached to the plate frame A are provided. Excreted side by side. Here, the size of each of the protrusion pieces 48a to 48c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slits 8a to 8c of the plate frame body 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slits 8a to 8c and each of the protrusions 48a to 48c. It is set to such a size that only a small gap i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48a to 48c.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intermediate plate B is attached to the plate frame A on which the wiring mechanism D is mounted, three protrusion pieces 48a to 48c are attached to the respective slits 8a to 8c of the plate frame body 1. Since only a small gap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ts 8a to 8c and each of the protrusion pieces 48a to 48c,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amount portion 5 of the plate frame body 1 Warpage) is regulated. As a result, even when an impact such as pulling out the plug inserted into the outlet with a large force when the outlet is used as the wiring mechanism D,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part 5 is regulated as described above. The engagement between the locking click 61 a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5 and the locking grooves 5a and 4a of the fixed amount portion 4 becomes difficult to be released.

그리고, 중간 플레이트 B 의 규제리브(44)나 유동방지용의 리브(45)가 재치되는 장출부(3d)는,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전체 주위에 형성하도록 해도 되지만, 그 경우에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해 박스나사를 조였을 때에 플레이트프레임본체(1)가 다소 변형됨으로써 박스나사가 삽통되는 긴 구멍(12)의 주변 부분에서 중간 플레이트 B 와 플레이트프레임본체(1)가 간섭하여, 중간 플레이트 B 가 미관상 보기 좋게 장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긴 구멍(12)의 주변(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4귀퉁이)을 벗어나서 장출부(3d)를 형성함으로써, 박스나사의 조임으로 플레이트프레임본체(1)가 변형되어도 중간 플레이트 B 에 간섭하지 않고 미관상 보기 좋게 장착할 수 있다.The elongated portion 3d on which the regulating rib 44 and the flow preventing rib 45 of the intermediate plate B are placed may be formed around the entire plate frame body 1, but in that case, When the box screw is tightened for mounting, the plate frame body 1 is slightly deformed, so that the intermediate plate B and the plate frame body 1 interfere with each other at the periphery of the long hole 12 through which the box screw is inserted. In some cases, it may not look good. Thus, by forming the elongated portion 3d out of the periphery (four corners of the plate frame body 1) of the long hole 12 as in this embodiment, even if the plate frame body 1 is deformed by tightening the box screw. It can be installed with aesthetic appearanc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intermediate plate B.

그런데, 중간 플레이트 B 의 앞면에는 장식 또는 디자인상의 미관 및 내화(耐火)성능의 향상을 위해 금속플레이트 C 가 부착된다. 이 금속플레이트 C 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중앙에 3개분의 배선기구 D 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3개 모듈크기에 대응한)노출창(31)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면측으로 대략 원호형상으로 절곡된 측부(30a)를 가진 금속플레이트본체(30)로 이루어진다.By the way, the metal plate C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B in order to improve aesthetics and fire resistance of the decorative or design. As shown in Fig. 7, the metal plate C has an exposure window 31 (corresponding to three module sizes) that exposes the functional surfaces of the three wiring mechanisms D in approximately the center thereof, and has a rear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consists of a metal plate body 30 having a side portion 30a that is bent in an approximately arc shape to the side.

금속플레이트본체(30)의 단폭방향에 대향하는 양측부(30a)에는, 대략 등(等)간격으로 각각 4개의 부착편(32)이 배면측에 늘어뜨려 형성되는 동시에, 각 부착편(32)의 내측면에는 돌기형상의 계지부(3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부(33)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부(30a)의 선단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내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33a)이 형성되어 있다.On both side portions 30a facing the short width direction of the metal plate body 30, four attachment pieces 32 are formed on the back side at approximately equal intervals, and each attachment piece 32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rojection engaging portion 33 is formed. As shown in FIG. 8, the locking part 33 is provided with the taper surface 33a which inclines inward as it moves away from the front end of the side part 30a.

한편, 중간 플레이트 B 의 플레이트본체(40)의 앞면측에는 금속플레이트본체(30)가 결합하는 결합 요소(凹所)(47)가 형성되고, 또한 플레이트본체(40)의 양측벽(42)에는 금속플레이트본체(30)의 양측부(30a)의 선단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49)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플레이트본체(30)의 각 부착편(32)에 대응하는 위치의 양측벽(42)에는 부착편(32)을 도피시키기 위한 요부(凹部)(5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 요부(50)에 면하는 선단에 금속플레이트 C 의 계지부(33)가 요철 계합하는 휘어질 수 있는 계합편(51)이 플레이트본체(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front side of the plate body 40 of the intermediate plate B, a coupling element 47 to which the metal plate body 30 is coupled is formed, and both side walls 42 of the plate body 40 are made of metal. An insertion groove 49 into which the front end portions of both side portions 30a of the plate body 30 are inserted is formed. 4 to 6, recesses 50 for evacuating the attachment piece 32 are provided on both side walls 42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attachment pieces 32 of the metal plate body 30. ) Is formed, and at the distal end facing the recess 50, a bent engagement piece 51,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33 of the metal plate C engages with the irregularities,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late body 40. have.

그리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본체(40)의 양측벽(42)에 형성된 삽입홈(49)에 금속플레이트 C 의 양측부(30a)의 선단 부분이 삽입되는 동시에, 금속플레이트 C 의 부착편(32)이 요부(50)로 들어 간다. 이 때, 부착편(32)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계지부(33)의 테이퍼면(3c)이 계합편(51)에 접촉하고, 부착편(32)이 압입됨에 따라서 계지부(33)로부터의 압압력을 받은 계합편(51)이 휘고, 곧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합편(51)의 선단과 부착편(32)의 계지부(33)가 요철 계합되어, 금속플레이트 C 의 금속플레이트본체(30)가 중간 플레이트 B 의 플레이트본체(40)앞면의 결합요소(47)에 결합되고 또한 계지부(33)와 계합편(51)과의 요철 계합에 의해 고정(이탈방지)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2, the tip portions of both side portions 30a of the metal plate C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49 formed in the side walls 42 of the plate body 40, and the attachment pieces of the metal plate C are also inserted. 32 enters the recess 50. At this time, the tapered surface 3c of the locking portion 33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iece 3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gagement piece 51, and from the locking portion 33 as the attachment piece 32 is press-fitted. As shown in FIG. 11, the engaging piece 51 which was press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bent, and the front end of the engaging piece 51 and the locking part 33 of the attachment piece 32 were concave and convex, and the metal plate of the metal plate C The main body 30 is coupled to the coupling element 47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body 40 of the intermediate plate B and is fixed (prevented from falling off) by the uneven engagement between the locking portion 33 and the engagement piece 51.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속플레이트 C 에 배설한 부착편(32)의 계지부(33)와 플레이트본체(40)에 배설한 계합편(51)과의 요철 계합에 의해, 금속플레이트 C 를 중간 플레이트 B 의 앞면에 부착하여 고정하고 있으나, 부착편(32)이나 계합편(51)을 형성하지 않고 플레이트본체(40)의 삽입홈(49)에 금속플레이트본체(30)의 양측부(30a)의 선단 부분을 압입하여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etal plate C is made of an intermediate plate by an uneven engagement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33 of the attachment piece 32 disposed on the metal plate C and the engaging piece 51 disposed on the plate body 40. Although it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B, both side portions 30a of the metal plate body 30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9 of the plate body 40 without forming the attachment piece 32 or the engagement piece 51. The tip portion may be press-fitted and fixed.

또는,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금속플레이트본체(30)를 플레이트본체(40)의 앞면에 맞붙이거나, 합성수지제의 플레이트본체(40)의 앞면에 금속플레이트본체(30)를 열착(熱着)하거나, 또는 플레이트본체(40)에 형성한 슬릿(도시하지 않음)에 금속플레이트본체(30)의 양측부(30a)의 선단 부분을 삽통하고, 그 선단 부분을 플레이트본체(40)의 배면측으로 되접는 것을 금속플레이트본체(30)를 플레이트본체(40)에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Alternatively, the metal plate body 30 may be bond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body 40 using double-sided tape, or the metal plate body 30 may be thermally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body 40 made of synthetic resin. Alternatively, the tip portions of both side portions 30a of the metal plate body 30 are inserted into slits (not shown) formed in the plate body 40, and the tip portions are folded back to the back side of the plate body 40. The metal plate body 30 may be fixed to the plate body 40.

단, 본 실시형태와 같이 부착편(32)의 계지부(33)와 계합편(51)과의 요철 계합에 의해 금속플레이트 C 와 중간 플레이트 B 를 고정하도록 하면, 압입이나 되접음등의 특별한 공정이나, 양면테이프 등의 부착부재 등이 없이 금속플레이트 C 를 중간 플레이트 B 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고, 조립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However, when the metal plate C and the intermediate plate B are fixed by the uneven engagement between the locking portion 33 of the attachment piece 32 and the engagement piece 51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pecial step such as press fitting or refolding is performed. However, the metal plate C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late B without attaching members such as double-sided tapes, etc., and is most preferable in that work efficiency of assembly can be improved.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레이트프레임 A 의 대략 중앙에 1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 D 를 3개 장착하거나, 3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를 장착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중간 플레이트 B 및 금속플레이트 C 의 대략 중앙에 3개분의 배선기구 D 의 기능면을 노출하는 개구창(41a) 및 노출창(31)이 형성되어 있으나, 예를 들면 1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 D 를 1개만 장착하는 경우라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은 1개 모듈크기에 대응한 개구창(41a)을 가지는 중간 플레이트 B 및 1개 모듈크기에 대응한 노출창(31)을 가지는 금속플레이트 C 를 이용하면 된다. 또는, 2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거나 1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 D 를 2개 나란히 장착하는 경우라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2개 모듈크기에 대응한 개구창(41a)을 가지는 중간 플레이트 B 및 2개 모듈크기에 대응한 노출창(31)을 가지는 금속플레이트 C 를 이용하면 된다. 또한, 1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 D 를 2개 이간하여 장착하는 경우에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은 1개 모듈크기에 대응한 2개의 개구창(41a),(41a)을 가지는 중간 플레이트 B 및 1개 모듈크기에 대응한 2개의 노출창(31),(31)을 가지는 금속플레이트 C 를 사용하도록 하면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ee roughening mechanisms D of one module size are mounted in the center of the plate frame A, or the three roughnesses of the intermediate plate B and the metal plate C correspond to the case of mounting the three module size wiring mechanisms. Although the opening window 41a and the exposure window 31 which expose the functional surfaces of three wiring mechanisms D are formed in the center, for example, when only one wiring apparatus D of one module size is mounted, FIG. An intermediate plate B having an opening window 41a corresponding to one module size as shown in 16 and a metal plate C having an exposure window 31 corresponding to one module size may be used.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mounting two module-sized wiring mechanisms (not shown) or mounting two module-size wiring mechanisms D side by side, an opening window corresponding to two module sizes as shown in FIG. A metal plate C having an intermediate plate B having 41a) and an exposure window 31 corresponding to two module sizes may be used. In the case where two wiring mechanisms D of one module size are mounted apart from each other, an intermediate plate B having two opening windows 41a and 41a corresponding to one module size as shown in FIG. 18 and The metal plate C having two exposed windows 31 and 31 corresponding to one module size may be used.

(실시형태 2)(Embodiment 2)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를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본 실시형태의 기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공통이며, 공통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to 21. However, the basic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is common with Embodiment 1,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a common part, and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are abbreviate | omitted.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고정량부(4) 및 가동량부(5)의 각 계지홈(4a),(5a)을 모두 같은 피치로 6개씩 형성함으로써,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개구부(2)에 대한 배선기구 D 의 장착위치를 여러 종류중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플레이트프레임 A 에 대한 배선기구 D 의 장착위치가 증가됨으로써, 각 장착위치에 대응한 개구창(41a)을 가지는 중간 플레이트 B 나, 각 장착위치에 대응한 노출창(31)을 가지는 금속플레이트 C 를 갖추어야 할 필요가 생기는 등의 결점도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opening portions 2 of the plate frame body 1 are formed by forming each of the locking grooves 4a and 5a of the fixed amount portion 4 a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5 at the same pitch.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wiring device D with respect to can be selected arbitrarily from various types. However, a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wiring mechanism D with respect to the plate frame A is increased, the intermediate plate B having the opening window 41a corresponding to each mounting position, or the metal plate having the exposure window 31 corresponding to each mounting position is provided. There are also drawbacks such as the need to have C.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레이트프레임 A 의 3개 모듈크기의 개구부(2)에 대해 1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 D 가 3개 나란히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위치를 한정하기 위해, 고정량부(4) 및 가동량부(5)의 계지홈(4a),(5a)의 근방에 칸막이 리브(20)를 돌출 배설하고 있다. 이들 칸막이리브(20)는, 고정량부(4) 및 가동량부(5)의 내측면에 각 1쌍씩 모두 3조(組)가 형성된 계지홈(4a),(5a)의 각 조의 외측의 위치에 각각 1쌍씩이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의 3개 나란히 장착할 수 있는 장착위치 이외에서 배선기구 D 를 장착하고자 해도, 계지홈(4a),(5a)의 각 조의 사이에 돌출하는 칸막이리브(20)가 기체(60)에 간섭하므로 장착할 수 없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장착위치에 배선기구 D 의 기체(60)를 장착했을 때에 각 칸막이 리브(20)가 기체(60)측면의 최소한 일부에 접촉하는 위치에 돌출 배설되어 있다. 즉, 플레이트프레임 A 에 장착한 상태의 배선기구 D 의 기체(60)의 유동을 억제하는 수단을 칸막이 리브(20)로 겸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장착상태에 있어서의 기체(60)의 유동을 억제함으로써 기체(60)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계지클릭(61)이 파손하는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us,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limit the mounting position so that the wiring mechanism D of one module size can be mounted side by side with respect to the opening part 2 of the three module sizes of plate frame A, the fixed amount part 4 and The partition rib 20 is protruded and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engaging grooves 4a and 5a of the movable amount portion 5. These partition ribs 20 are located at positions outside the respective grooves of the locking grooves 4a and 5a in which three pairs are formed on each of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fixed amount portion 4 a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5. One pair each protrudes integrally with the plate frame body 1. That is, even when the wiring mechanism D is to be mounted at positions other than the above three side-by-side mounting positions, the partition ribs 20 protruding between the sets of the locking grooves 4a and 5a are provided on the base 60. Because it interferes, it cannot be mounted. Moreover, in this embodiment, when the base body 60 of the wiring mechanism D is attached to the said mounting position, each partition rib 20 protrudes and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contacts at least one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body 60.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the partition rib 20 serves as a means for suppressing the flow of the base body 60 of the wiring mechanism D mounted on the plate frame A. Therefore, by suppressing the flow of the base 60 in the mounted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problem such as the locking click 61 being broken even when unnecessary force is applied to the base 60.

(실시형태 3)(Embodiment 3)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를 도 22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2 to 32.

상기 실시형태 1 및 2에서는,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대략 중앙에 3개 모듈크기의 개구부(2)를 1개만 가진 이른바 일련형의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실시형태는 3개 모듈크기의 개구부(2)를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한 이른바 2연형의 것이다. 그리고,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형태 1 및 2와 공통이므로 공통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1 and 2, a so-called series type having only one opening 2 having three module sizes in the center of the plate frame body 1 i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ree openings having three module sizes ( It is a so-called double type which arranges 2)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basic structure is common with Embodiment 1 and 2,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a common part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레이트프레임 A'의 플레이트프레임본체(1')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일련의 플레이트프레임본체(1)를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2개 배열하여 일체로 한 것 같은 구조를 갖는다.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대략 중앙에는 3개 모듈크기의 개구부(21),(22)가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양 개구부(21),(22)를 구획하는 중앙프레임편에 고정량부(4')가 배설되어 있다. 이 고정량부(4')의 양 측면에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계지홈(4a)이 같은 피치로 각 1쌍씩의 모두 3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계지홈(4a)의 조의 외측에는,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칸막이 리브(20)가 돌출 배설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2, two plate frame bodies 1 'of the plate frame A' in the present embodiment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ries of plate frame bodies 1 in the first embodiment. It has a structure that is arranged in one piece. In the substantially center of the plate frame body 1 ', three module-sized openings 2 1 and 2 2 are formed side by si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openings 2 1 and 2 2 The fixed amount part 4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center frame piece which divide | disconnects. As shown in Fig. 23, all three pairs of pairs are formed on each side of the fixed amount portion 4 'at the same pitch, respectively. And the partition rib 20 protrudes and arrange | positioned in the outer side of the tank of each locking groove 4a similarly to Embodiment 2. As shown in FIG.

또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양 측프레임편(3a),(3b)에는, 연결부(6)에 의해 연결된 가동량부(5), 슬릿(8a)∼(8c), 홈(9)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 가동량부(5)에도 각 1쌍의 모두 3조의 계지홈(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개구부(21),(22)양측의 측편(10)에는, 각각 요소(11), 긴 구멍(12), 나사삽통공(13) 및 협지금구 계지공(14)이 형성되어 있고,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4귀퉁이에는 중간 플레이트 B' 의 계지돌기(43)가 삽입 계지되는 중간 플레이트 계지공(15)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on both side frame pieces 3a and 3b of the plate frame body 1 ', the movable amount portions 5, the slits 8a to 8c, and the grooves 9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ortions 6 are respectively. In each movable amount section 5, three sets of locking grooves 5a are formed in each pair. In addition, an element 11, an elongated hole 12, a screw insertion hole 13, and a narrow jaw locking hole 14 are formed in the side pieces 10 on both sides of each of the openings 2 1 and 2 2 , respectively. In the four corners of the plate frame body 1 ', an intermediate plate locking hole 15 into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43 of the intermediate plate B' is inserted is latched.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중간 플레이트 B' 의 플레이트본체(40')는,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주위에 걸쳐 측벽(42')이 형성된 주부(41')의 대략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1쌍의 개구창(41a')을 가지는 것이다. 이 개구창(41a')의 크기는 3개 모듈크기에 대응한 크기로서, 플레이트프레임 A' 에 1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 D 를 3개 나란히 장착했을 때나 3개 모듈크기의 배선기구 D 를 장착했을 때에 각 배선기구 D 의 기능면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플레이트본체(40')의 대향하는 측벽(42')사이의 폭 크기를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각 폭 크기보다 크게 하고 있으므로, 플레이트프레임 A' 의 앞면측에 중간 플레이트 B' 를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프레임본체(1')가 플레이트본체(40')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ate body 40 'of the intermediate plate B'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roximately at the center of the main portion 41 'formed with sidewalls 42' over its entire circumference as shown in Figs. It has a pair of opening window 41a 'arrange |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size of the opening window 41a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ree modules, and when three wiring mechanisms D of one module size are mounted side by side or three module size wiring mechanism D is mounted in the plate frame A'. In this case, the functional surface of each wiring mechanism D can be exposed. 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dth between the side walls 42 'of the plate body 40' is made larger than the width of each of the plate frame body 1 ', so that the front side of the plate frame A' When the intermediate plate B 'is attached to the plate frame body 1', the plate frame body 1 'is housed inside the plate body 40', so that the abutting lines of both are almost invisible from the side as in the first embodiment, so that the aesthetic appearance is good. Can be.

또, 주부(41')의 배면에는,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중간 플레이트 계지공(15)에 삽입 계지되는 계지돌기(43), 측프레임편(3a),(3b)의 각 슬릿(8a)∼(8c)에 삽입되는 돌조편(48a)∼(48c)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42')에는,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측면에 접촉하여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에 대한 중간 플레이트 B' 의 유동을 방지하는 규제리브(44), 플레이트프레임본체(1')의 장출부(3d)의 앞면에 재치되어 중간 플레이트 B' 의 유동을 방지하는 리브(45), 중간 플레이트 B' 를 플레이트프레임 A' 로부터 분리할 때에 지그가 삽입되는 절결부(46)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part 41 ', each slit of the engaging protrusion 43, the side frame pieces 3a, and 3b inserted into the intermediate plate locking hole 15 of the plate frame body 1' (3b) ( The protrusion pieces 48a to 48c inserted into the 8a) to 8c are protruded. In addition, the side wall 42 'includes a regulating rib 44 and a plate frame body 1',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s of the plate frame body 1 'and prevent the flow of the intermediate plate B' to the plate frame body 1 '. Ribs 45 plac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longated portion 3d of the cuff) to prevent the flow of the intermediate plate B ', and a cutout portion 46 into which the jig is inserted when the intermediate plate B' is separated from the plate frame A ' It is.

한편, 중간 플레이트 B' 의 플레이트본체(40')의 앞면측에는, 도 25 및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금속플레이트 C' 의 금속플레이트본체(30')가 결합하는 결합요소(要所)(47)가 형성되고, 또한 플레이트본체(40')의 양측벽(42')에는 금속플레이트본체(30')의 양측부(30a')의 선단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49)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플레이트본체(30')의 각 부착편(32)에 대응하는 위치의 양측벽(42')에는 부착편(32)을 피하기 위한 요부(5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 요부(50)에 면하는 선단에 금속플레이트 C' 의 계지부(33)가 요철 계합하는 휘어질 수 있는 계합편(51)이 플레이트본체(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front side of the plate body 40 'of the intermediate plate B', a coupling element 47 to which the metal plate body 30 'of the metal plate C' as shown in Figs. 25 and 27 is coupled. And an insertion groove 49 into which the front end portions of both side portions 30a 'of the metal plate body 30' are inserted into both side walls 42 'of the plate body 4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7, recesses 50 are formed on both side walls 42 ′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attachment pieces 32 of the metal plate body 30 ′ to avoid the attachment pieces 32. Further, at the distal end facing the recessed portion 50, a bent engagement piece 51 to which the locking portion 33 of the metal plate C 'is engage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late body 40'.

금속플레이트 C' 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 모듈크기에 대응한 1쌍의 노출창(311),(312)이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또, 금속플레이트본체(30')의 대향하는 양측부(30a')에는, 대략 같은 간격으로 각각 4개의 부착편(32)이 배면측으로 늘어뜨려 형성되는 동시에, 각 부착편(32)의 내측면에는 돌기형상의 계지부(3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부(33)에는, 측부(30a')의 선단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내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33a)이 형성되어 있다.Metal plate C 'are formed side by si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exposure windows of the pair (31 1), (31 2) corresponding to a size of three modules as shown in Fig. In addition, on both opposing side portions 30a 'of the metal plate body 30', four attachment pieces 32 are formed on the rear side at approximately equal intervals, and an inner surface of each attachment piece 32 is formed. In the projection engaging portion 33 is formed. The locking portion 33 is provided with a tapered surface 33a which is inclined inward as it moves away from the tip of the side portion 30a '.

그래서, 플레이트본체(40')의 양측벽(42')에 형성된 삽입홈(49)에 금속플레이트 C' 의 양측부(30a')의 선단 부분이 삽입되는 동시에, 금속플레이트 C' 의 부착편(32)이 요부(50)로 들어 간다. 이 때, 부착편(32)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계지부(33)의 테이퍼면(33a)이 계합편(51)에 접촉하고, 부착편(32)이 압입됨에 따라서 계지부(33)로부터의 압압력을 받은 계합편(51)이 휘고, 곧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합편(51)의 선단과 부착편(32)의 계지부(33)가 요철 계합되어, 금속플레이트 C' 의 금속플레이트본체(30')가 중간 플레이트 B '의 플레이트본체(40')앞면의 결합요소(47)에 결합되고 또한 계지부(33)와 계합편(51)과의 요철 계합에 의해 고정(이탈방지)되는 것이다.Thus, the front end portions of both side portions 30a 'of the metal plate C'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49 formed on both side walls 42 'of the plate body 40' and at the same time, the attachment pieces of the metal plate C '( 32 enters the recess 50. At this time, the tapered surface 33a of the locking portion 33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iece 3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gagement piece 51, and from the locking portion 33 as the attachment piece 32 is press-fitted. As shown in FIG. 31, the distal end of the engaging piece 51 and the engaging portion 33 of the attachment piece 32 are concave and convex, and the metal of the metal plate C 'is bent. The plate body 30 'is coupled to the coupling element 47 on the front of the plate body 40' of the intermediate plate B 'and is fixed by the uneven engagement between the locking portion 33 and the engagement piece 51 (prevents separation). )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레이트프레임 A , 중간 플레이트 B 및 금속플레이트 C 를 2조 사용하여 배선기구를 배설하는 경우에 대하여, 플레이트프레임 A' , 중간 플레이트 B' 및 금속플레이트 C' 의 1조로 되고, 부품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1개소에 배설 가능한 배선기구의 개수나 조합의 패턴이 증가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다는 이점도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wiring mechanism is arranged using two sets of the plate frame A, the intermediate plate B, and the metal plate C, it becomes one set of the plate frame A ', the intermediate plate B', and the metal plate C ',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Moreover, there also exists an advantage that the pattern of the number and combination of wiring mechanisms which can be arrange | positioned at one place increases, and usability is improved.

청구항 1의 발명은, 매입형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 상기 배선기구가 구비되는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배설되는 고정량부, 상기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휘어질 수 있게 배설되는 가동량부를 구비하여 조영면에 형성된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프레임과,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 이 주부의 대략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장착하는 중간 플레이트와,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가지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앞면을 덮는 금속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폭 크기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각 폭 크기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므로,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측에 중간 플레이트를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프레임이 중간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과 중간 플레이트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고,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vention of claim 1 further includes an opening for exposing the functional surface of the buried wiring mechanism, a fixed amount portion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for engaging the locking click provided with the wiring mechanism, and disposed at a peripheral edge of the opening, for engaging the locking click. And a plate frame covering the opening surface side of the buried hole formed in the contrasting surface, having a locking groove and having a movable amount disposed to bend at the peripheral edge of the opening, and an opening window for exposing the functional surface of the wiring mechanism. A middle plate having a main portion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frame, a side plate protruding from an approximately full peripheral edge of the main portion, and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frame; and an exposure window exposing a functional surface of the wiring apparatus. A metal plate covering the front side of the plate, the opposite sidewall of the intermediate plate Since the width is made larger than the width of each plate frame, when the intermediate plate is at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plate frame, the plate frame is accommodated inside the intermediate plate, and the leading edge of the side wall of the intermediate plate is contrasted. Since it is almost in contact with, the abutment surface between the plate frame and the intermediate plate does not come out in front of the contrast surface as in the prior art, and the abutment line of both is almost invisible from the side, thereby improving the aesthetics.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최소한 일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압입하여 이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므로,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vention of claim 2 is achieved by press-fit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metal plate to the intermediate plate and attaching the metal plate to the intermediate plate, whereby the metal plate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late.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금속플레이트를 양면테이프에 의해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맞붙여 이루어지므로,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3, since the metal plate is bonded to the intermediate plate by a double-sided tap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etal plate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late.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금속플레이트에 1 내지 복수의 계지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각 계지부와 요철 계합하는 1 내지 복수의 피계지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배설하였으므로, 특별한 공정이나 부착부재등이 없이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어서, 조립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vention of claim 4 forms one to a plurality of locking portions on the metal plate, and one to several locking portions that engage with each of the locking portions are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plate, so that there is no special process or attachment member. Since the metal plate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lat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of assembly.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금속플레이트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열착하여 이루어지므로,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vention of claim 5 is achieved by thermally bonding the metal plate to the intermediate plate, so that the metal plate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late.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일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측으로 되접어서 이루어지므로,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art of the metal plate is folded back to the rear side of the intermediate plate, the metal plate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late.

청구항 7의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측면에 접촉하는 리브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배설하여 이루어지므로, 플레이트프레임에 대한 중간 플레이트의 조영면에 따른 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vention of claim 7 is achieved by disposing rib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plate fram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in the direction along the contras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to the plate frame. .

청구항 8의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측면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에 대략 전체 주위에 걸쳐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플레이트프레임에 대한 중간 플레이트의 조영면에 따른 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vention of claim 8 is made by forming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plate frame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intermediate plate about the entire circumference, thereby preventing the flow of the direction along the contras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to the plate frame It has an effect.

청구항 9의 발명은, 상기 리브 또는 접촉부가 앞면측에서 접촉하는 장출부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 주위 에지의 최소한 일부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플레이트프레임에 대한 중간 플레이트의 조영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vention of claim 9 is achieved by forming an elongate portion in which the rib or contact portion contacts at the front side at least a part of the edge around the plate frame, thereby preventing flow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tras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with respect to the plate frame. It can work.

청구항 10의 발명은, 상기 매입공에 매설되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박스나사가 삽통되는 삽통공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장출부를 상기 삽통공의 주변 이외의 부분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박스나사의 조임으로 플레이트프레임이 변형되어도 장출부가 중간 플레이트에 간섭하지 않아 미관상 보기 좋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vention of claim 10 is formed by forming a insertion hole into the plate frame through which a box screw is inserted into the buried box embedded in the buried hole, and forming the elongated portion in a portion other than the periphery of the insertion hole. , Even if the plate frame is deformed by tightening the box screw, the elongated par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intermediate plate, so it can be installed in aesthetically pleasing way.

청구항 11의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주위 에지부에 상기 중간 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측에서 덮어 씌울 때에 테이퍼면에 의해 중간 플레이트가 가이드되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vention of claim 11 is achieved by forming a tapered surface for guiding the intermediate plate in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plate frame in the direction of mounting the intermediate plate, so that the intermediate plate is covered by the tapered surface when the intermediate plate is cover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plate fram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guide can be easily mounted.

청구항 12의 발명은,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주위 에지부에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의 장착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측에서 덮어 씌울 때에 테이퍼면에 의해 중간 플레이트가 가이드되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twel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apered surface is formed in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late to guide the mounting direction to the plate frame, the intermediate plate is formed by the tapered surface when the intermediate plate is cover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plate fram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guide can be easily mounted.

청구항 13의 발명은,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측에 계지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동시에 이 계지돌기를 걸어 맞추는 계지공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형성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에 중간 플레이트분리용 지그를 삽입하는 절결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절결부에 지그를 삽입하여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중간 플레이트를 들어 올림으로써, 계지돌기와 계지공과의 걸어 맞춤을 풀어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 thir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cking hol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frame while the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intermediate plate and the locking projection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rojection. Since it is made by inserting the notch, the jig is inserted into the notch to lift the intermediate plate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so that the intermediate plat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plate frame by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locking hole. It has an effect.

청구항 14의 발명은, 상기 절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중간 플레이트분리용의 지그를 도피시키는 도피부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절결부에 삽입된 지그를 도피부에 도피시킴으로써 안까지 삽입할 수 있고, 중간 플레이트를 분리할 때에 힘을 가하기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vention of claim 14 is made by forming an escape portion in the plate frame for escaping the jig for separating the intermediate plat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otch portion, so that the jig inserted in the notch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escape portion. There is an effect of making it easier to apply a force when removing the intermediate plate.

청구항 15의 발명은, 상기 도피부의 배면측 끝부에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절결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리브를 연설하여 이루어지므로, 절결부에 삽입된 지그가 리브에 접촉함으로써,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지그에 의해 조영면에 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vention of claim 15 is achieved by extending the ribs which do not protrude from the cutouts of the intermediate plate at the rear end of the escape portion, so that the intermediate plate is separated from the plate frame by the jig inserted in the cutout contacting the ribs. At this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jig can prevent scratches on the contrast surface.

청구항 16의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한쪽의 측프레임편에 상기 가동량부를 휘어질 수 있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동량부의 양단에 구비하고, 상기 가동량부와 측프레임편과의 사이에 생기는 슬릿의 양단부를 상기 연결부쪽으로 굴곡시켜 이루어지므로, 플레이트프레임에 장착된 배선기구에 앞면측에서 배면방향으로 강한 압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가동량부가 개구부측으로 넘어지듯 휘어지므로, 가동량부의 계지홈에서 배선기구의 계지클릭이 벗겨지지 않고, 플레이트프레임으로부터의 배선기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6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at both ends of the movable amount portion so as to be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to one side frame piece of the plate frame, and the slit formed between the movable amount portion and the side frame piece. Since both ends are bent toward the connecting portion, when a strong pressing force is appli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back side to the wiring apparatus mounted on the plate frame, the movable amount is bent as if to fall to the opening side, so that the wiring mechanism The locking click is not peeled off, an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wiring mechanism from falling off from the plate frame.

청구항 17의 발명은, 상기 계지홈을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에 같은 피치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플레이트프레임에 대한 배선기구의 장착위치의 자유도를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even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xed amount portion a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at the same pitch,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wiring mechanism with respect to the plate frame.

청구항 18의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개구부에서 기능면을 노출시켜 서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에 배선기구를 계지 고정하는 경우에 상기 개구부에 대한 배선기구의 장착위치를 소정의 위치로 구획하는 칸막이리브를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에 배설하여 이루어지므로, 배선기구의 플레이트프레임에 대한 장착위치의 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artition according to claim 18 divide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wiring mechanism in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wiring mechanism is latched and fixed to the fixed amount portion a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by exposing a functional surface from the opening of the plate frame. Since the ribs are arranged in the fixed amount portion a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wiring mechanism with respect to the plate frame can be prevented.

청구항 19의 발명은, 상기 가동량부와 측프레임편과의 사이에 생기는 상기 슬릿에 삽입하는 돌조편을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측으로 돌출 배설하여 이루어지므로, 돌조편에 의해 가동량부의 작동이 규제되므로 배선기구에 큰 충격 등이 가해진 경우에도, 배선기구의 계지클릭과 가동량부의 계지홈과의 걸어 맞춤이 잘 풀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9, the protrusion piece inserted into the slit generated between the movable amount portion and the side frame piece is formed by protruding to the back side of the intermediate plate. Even when a large impact or the like is applied, the engagement of the locking click of the wiring mechanism and the locking groove of the movable amount portion is not easily released.

청구항 20의 발명은,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의 계지홈에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고 배선기구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배선기구의 측면의 최소한 일부에 접촉하여 배선기구의 유동을 억제하는 수단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구비하여 이루어지므로, 플레이트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의 배선기구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배선기구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계지클릭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0 is a means for restraining the flow of the wiring mechanism by contacting at least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wiring mechanism when the locking click is 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 of the fixed amount portion a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and the wiring mechanism is mounted on the plate frame. Since it is provided in the plate fram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low of the wiring mechanism mounted on the plate frame,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problems such as the locking click is broken even if unnecessary force is applied to the wiring mechanism. It can be effective.

청구항 21의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계지공의 주위 에지부분을 최소한 얇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박스나사의 조임 등에 의해 플레이트프레임이 다소 변형되어도, 계지공의 주위 에지부분이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계지공 부분에 변형의 영향이 미치기 어려워, 중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에 미관상 보기 좋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vention of claim 21 is made by forming at least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engagement hole of the plate frame, so that even if the plate frame is somewhat deformed by tightening the box screw or the like,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engagement hole is thinly formed. Since the deformation is hardly influenced on the part, the intermediate plate can be attached to the plate frame in aesthetically pleasing way.

청구항 22의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측프레임편 앞면에서 상기 고정량부의 배선기구에 대향하는 면까지 관통하는 기구분리공을 상기 계지홈 사이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기구분리공에 삽입된 지그의 선단부분에서 배선기구를 가동량부측으로 밀어주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약간의 힘으로 가동량부를 휘게 할 수 있고, 고정량부측의 계지홈과 배선기구의 계지클릭과의 걸어 맞춤을 풀어 플레이트프레임으로부터 배선기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2 is formed by forming a mechanism separation hole penetrating from the front of the side frame piece of the plate frame to a surface opposite to the wiring mechanism of the fixed amount portion between the locking grooves, If the wiring mechanism is pushed to the movable part side at the distal end, the movable part can be bent by a slight forc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lever, and the wiring is released from the plate frame by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locking groove on the fixed amount side and the locking click of the wiring mechanism.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echanism can be easily separated.

청구항 23의 발명은, 매입형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1쌍의 개구부, 상기 배선기구가 구비되는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1쌍의 개구부 사이에 배설되는 고정량부, 상기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휘어질 수 있게 배설되는 가동량부를 구비하여 조영면에 형성된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프레임과,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1쌍의 개구창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 이 주부의 대략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장착하는 중간 플레이트와,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1쌍의 노출창을 가지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앞면을 덮는 금속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가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폭 크기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각 폭 크기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므로,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측에 중간 플레이트를 부착했을 때에 플레이트프레임이 중간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의 선단 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과 중간 플레이트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고,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플레이트프레임, 중간 플레이트 및 금속플레이트를 2조 사용하여 배선기구를 배설하는 경우에 대해 플레이트프레임, 중간 플레이트 및 금속플레이트가 1조로 끝나고, 부품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1개소에 배설가능한 배선기구의 개수나 조합의 패턴이 증가하게 되어, 사용성이 좋아진다는 효과가 있다.The invention of claim 23 includes a pair of openings exposing the functional surface of the buried wiring mechanism, a fixed amoun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openings, having a locking groove for engaging the locking click provided with the wiring mechanism, the locking A plate frame having an engaging groove for engaging a click and having a movable amount disposed to be bent at a peripheral edge of the opening to cover the opening surface side of the buried hole formed in the contrast surface, and exposing a functional surface of the wiring mechanism. An intermediate plate having a pair of opening windows and covering a front surface of the plate frame, a side plate protruding from an approximately entire peripheral edge of the main plate, and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frame; and a functional surface of the wiring mechanism. A metal plate covering a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and having a pair of exposed windows. Since the width between the opposing side walls is made larger than the width of each of the plate frames, when the intermediate plate is at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plate frame, the plate frame is received inside the intermediate plate, and the tip of the side wall of the intermediate plate is Since the edges are almost in contact with the contrast surface, the abutment surface of the plate frame and the intermediate plate does not come out in front of the contrast surface as in the prior art, and the abutment lines of both are almost invisible from the side surface, making the aesthetic view more attractive. In the case of laying out the wiring mechanism by using two sets of frames, intermediate plates and metal plates, the plate frame, intermediate plates and metal plates are finished in one set, and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wiring can be arranged in one place. The number of instruments or the pattern of combinations increases There is an effect that usability improves.

Claims (23)

매입(埋入)형의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 상기 배선기구가 구비되는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배설되는 고정량부(固定梁部), 상기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휨이 가능하게 배설되는 가동량부(可動梁部)를 구비하여 조영면(造營面)에 형성된 매입공(埋入孔)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프레임과,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主部), 이 주부의 대략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장착하는 중간 플레이트와,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가지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앞면을 덮는 금속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가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폭 크기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각 폭 크기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A fixed amount portion having an opening for exposing the functional surface of the buried wiring mechanism, a locking groove for engaging the locking click provided with the wiring mechanism and disposed at a peripheral edge of the opening, and the locking The opening surface side of the buried hole formed in the contrast surface with a movable amount part which has a locking groove for engaging a click, and which can be deflected to the peripheral edge of the opening so that bending is possible. A plate frame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frame, the main frame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frame, and a side wall protruding from an approximately entire peripheral edge of the main frame. A metal plate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the intermediate plate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and an exposure window exposing the functional surface of the wiring mechanism; Plate for the width dimension between the side walls between which the plate is opposed wiring devic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each of a width larger than the size of the plate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최소한 일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압입하여 이 금속플레이트를 중간 플레이트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The wiring apparatus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metal plate is pressed into the intermediate plate and the metal plate is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를 양면테이프에 의해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맞붙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The wiring mechanism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al plate is bonded to the intermediate plate by a double-sided t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에 1 내지 복수의 계지부를 형성하는 동 시에, 각 계지부와 요철 계합(係合)하는 1 내지 복수의 피계지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atches engaged with each of the locks is disposed on the intermediate plate while forming one to a plurality of locks on the metal plate. Plate for wiring apparatus to d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 열착(熱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The wiring mechanism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al plate is thermally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일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측으로 되접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The wiring mechanism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art of the metal plate is folded back to the rear side of the intermediat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측면에 접촉하는 리브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The wiring apparatus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ribs contacting the side surfaces of the plate frame are dispos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측면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에 대략 전체 주위에 걸쳐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The wiring apparatus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 frame is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intermediate plate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또는 접촉부가 앞면측에서 접촉하는 장출부(張出部)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 주위 에지의 최소한 일부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8. The plate for wi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rib or contact portion is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an edge around the plate frame in contact with the front sid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입공에 매설(埋設)되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박스나사가 삽통되는 삽통공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장출부를 상기 삽통공의 주변 이외의 부분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box screw is inserted into the embedding box embedded in the embedding hole is formed in the plate frame, and the elongation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ther than the periphery of the insertion hole. Wiring mechanism plat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주위 에지부에 상기 중간 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The wiring instrument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apered surface is formed to guide a direction in which the intermediate plate is mounted in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plate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주위 에지부에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의 장착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The wiring instrument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apered surface is formed at a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late to guide in a mounting direction to the plate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측에 계지돌기를 돌출 배설하는 동시에 이 계지돌기를 걸어 맞추는 계지공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형성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측벽에 중간 플레이트분리용 지그를 삽입하는 절결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ocking hol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frame while protruding and engaging the locking projections on the rear side of the intermediate plate, and engaging the locking projection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Wiring mechanism plate formed by forming the notch part to inser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중간 플레이트분리용의 지그를 도피시키는 도피부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The wiring apparatus plat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an escape portion for evacuating the jig for separating the intermediate plate is disposed on the plate fram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tout por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피부의 배면측 단부에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절결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리브를 연설(延設)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15. The wiring instrument plat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a rib which does not protrude from the cutout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late is extended at the rear end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한쪽의 측프레임편(片)에 상기 가동량부를 휘어질 수 있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동량부의 양단에 구비하고, 상기 가동량부와 측프레임편과의 사이에 생기는 슬릿의 양단부를 상기 연결부쪽으로 굴곡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2.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movable amount portion to one side frame piece of the plate frame so that the movable amount portion can be bent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ovable amount portion, and between the movable amount portion and the side frame piece. A wiring mechanism plate, wherein both ends of the slit generated are bent toward the connec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홈을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에 같은 피치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The wiring mechanism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at the same pitch as the fixed amount portion a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개구부에서 기능면을 노출시켜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에 배선기구를 계지 고정하는 경우에 상기 개구부에 대한 배선기구의 장착위치를 소정의 위치로 구획하는 칸막이리브를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에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2. The partition rib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rtitioning rib partition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wiring mechanism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wiring mechanism is latched and fixed to the fixed amount portion a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by exposing a functional surface from the opening of the plate frame. The wiring mechanism plat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ixed amount portion a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량부와 측프레임편과의 사이에 생기는 상기 슬릿에 삽입하는 돌조편(突條片)을 중간 플레이트의 배면측으로 돌출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17. The wiring mechanism plat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a protrusion piece inserted into the slit formed between the movable amount portion and the side frame piece is provided to protrude to the rear side of the intermediat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량부 및 가동량부의 계지홈에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고 배선기구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배선기구의 측면의 최소한 일부에 접촉하여 배선기구의 유동을 억제하는 수단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2. A mean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king click engages with the locking groove of the fixed amount portion and the movable amount portion and contacts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wiring mechanism to suppress the flow of the wiring mechanism when the wiring mechanism is mounted on the plate frame. Wiring mechanism plat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plate fram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계지공의 주위 에지부분을 최소한 얇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The wiring mechanism plat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locking hole of the plate frame is formed at least thin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측프레임편 앞면에서 상기 고정량부의 배선기구에 대향하는 면까지 관통하는 기구분리공을 상기 계지홈 사이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The wiring instrument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mechanism separation hole penetrat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side frame piece of the plate frame to a surface facing the wiring mechanism of the fixed amount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locking grooves. 매입형의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1쌍의 개구부, 상기 배선기구가 구비되는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1쌍의 개구부 사이에 배설되는 고정량부, 상기 계지클릭을 걸어 맞추는 계지홈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휘어질 수 있게 배설된 가동량부를 구비하여 조영면에 형성된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프레임과,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1쌍의 개구창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을 덮는 주부, 이 주부의 대략 전체 주위 에지보다 돌출시킨 측벽을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장착하는 중간 플레이트와,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1쌍의 노출창을 가지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앞면을 덮는 금속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가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폭 크기를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각 폭 크기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A pair of openings exposing the functional surface of the buried wiring mechanism, a fixed amoun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openings, having a locking groove for engaging the locking click provided with the wiring mechanism, and the locking click engaging the locking click A pair of opening windows having grooves and having movable portions disposed to bend at the peripheral edges of the openings to cover the opening face side of the buried holes formed in the contrasting surface, and exposing the functional surface of the wiring mechanism; A pair of exposures having a main portion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frame, a side plate protruding from an approximately entire peripheral edge of the main portion, the intermediate plate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frame, and a functional surface of the wiring mechanism; A metal plate having a window and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the side plate facing the intermediate plate Plate for the width size of the wiring devic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each of a width larger than the size of the plate frame.
KR1019980018755A 1997-12-03 1998-05-25 Plate for wiring device KR10030817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3326A JPH11168813A (en) 1997-12-03 1997-12-03 Plate for wiring attachment
JP333326 1997-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407A true KR19990062407A (en) 1999-07-26
KR100308177B1 KR100308177B1 (en) 2001-10-19

Family

ID=1826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755A KR100308177B1 (en) 1997-12-03 1998-05-25 Plate for wiring devic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H11168813A (en)
KR (1) KR100308177B1 (en)
CN (1) CN1092412C (en)
HK (1) HK1020231A1 (en)
ID (1) ID21399A (en)
TW (1) TW362300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RM20050162A1 (en) * 2005-04-07 2006-10-08 Bticino Spa SUPPORT FRAME AND GROUP OF PARTS, INCLUDING SUCH FRAME, FOR THE WALL MOUNTING OF AN ELECTRIC APPLIANCE.
ITRM20050241A1 (en) * 2005-05-17 2006-11-18 Bticino Spa ELECTRICAL APPLIANCE AND SUPPORT FRAME FOR THE WALL MOUNTING OF THE ELECTRICAL APPLIANCE.
FR2910732B1 (en) 2006-12-20 2009-02-27 Legrand France ELECTRICAL EQUIPMENT SUPPORT WITH MODULAR CONTROL OPENING
DE102016121074B3 (en) * 2016-11-04 2018-05-09 Rittal Gmbh & Co. Kg Busbar holder and a corresponding arrangement
CN108122697B (en) * 2016-11-28 2021-01-29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Plate for wiring device and wiring devic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62300B (en) 1999-06-21
HK1020231A1 (en) 2000-03-31
ID21399A (en) 1999-06-03
KR100308177B1 (en) 2001-10-19
JPH11168813A (en) 1999-06-22
CN1092412C (en) 2002-10-09
CN1219013A (en) 1999-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8177B1 (en) Plate for wiring device
JPH06283219A (en) Terminal board
JP3562227B2 (en) Plate structure for wiring equipment
KR100361858B1 (en) Plate for wiring device
KR19990028174A (en) Wiring fixture plate
JP3433630B2 (en) Plate frame for wiring equipment
JP3508536B2 (en) Wiring plate
JP4053349B2 (en) Fastener structure
JP2007074808A (en) Attachment element
JP2000023328A (en) Wiring appliance plate
JPH1186926A (en) Coaxial cable connector
JP2002171634A (en) Plate for wiring fittings
JP2001177940A (en) Plate for wiring tool
JPH0746017Y2 (en) Plate frame for wiring equipment
JP3690302B2 (en) Wiring plate
JP2834768B2 (en) Plate frame for wiring equipment
JP3632613B2 (en) Wiring plate
JP3582445B2 (en) Mounting frame
JP3509562B2 (en) Wiring plate
JPH08140235A (en) Protector
JP3070856B2 (en) Plate frame for wiring equipment
JP2001157338A (en) Plate for wiring accessory
JP2001069635A (en) Plate for wiring accessory
JP2834828B2 (en) Plate frame for wiring equipment
JP2002078133A (en) Plate for wiring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