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9369A - 식빵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빵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9369A
KR19990059369A KR1019970079569A KR19970079569A KR19990059369A KR 19990059369 A KR19990059369 A KR 19990059369A KR 1019970079569 A KR1019970079569 A KR 1019970079569A KR 19970079569 A KR19970079569 A KR 19970079569A KR 19990059369 A KR19990059369 A KR 19990059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inutes
yeast
product
bre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구
Original Assignee
김영덕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덕,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filed Critical 김영덕
Priority to KR1019970079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9369A/ko
Publication of KR19990059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36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강력분, 생이스트, 이스트후드, 개량제, 소금, 물 등을 배합 및 믹싱하고 발효시키는 제1차공정(중종공정)과, 상기 제1차공정의 배합물에 강력분, 설탕, 계란, 분유, 냉동용이스트, 개량제, 소금, 우유, 마가린(유지)을 배합하여 믹싱하고 플로어타임과 벤치타임 후 성형하는 제2차공정(본종공정), 그리고 상기 제2차공정의 결과물을 냉동하고 비닐로 포장하여 냉동보관하도록 하는 제3차공정(냉동공정), 상기 제3차공정의 결과물을 해동하는 제4차공정(해동공정) 및 상기 제4차공정의 결과물을 성형 및 2차발효시키고 소성 등을 거쳐 제품을 완성하는 제5차공정(발효소성공정)으로 제조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스트를 활성화시켜 발효향을 향상시킴으로써 제품의 풍미를 향상시키도록 하며 기계적인 내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소프트화를 이루게 된다.

Description

식빵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식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식빵의 제조단계를 중종, 본종, 냉동 및 해동하여 발효 소성을 거치는 단계로 시행함으로써 이스트를 활성화시켜 발효향을 향상시킴으로써 제품의 풍미를 향상시키도록 하며 기계적인 내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소프트화를 이루도록 한 식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빵은 밀가루에 여러 가지 원료를 첨가시켜 반죽하고 발효시켜서 굽거나 찐 음식으로서, 부가되는 원료와 제조방법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빵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주원료로 소맥분, 이스트, 물, 식염 등이 사용되고, 준 주원료로서는 설탕, 유지, 계란, 분유 등이 사용되며 반죽개량제로서 산화제, 효소제, 유화제 등이 사용된다.
종래에 있어서 일반적인 빵을 제조하는 방법은 직접법과 중종법이 있는 바, 직접법은 모든 재료를 믹서에 넣고 한 번에 믹싱을 시행하는 제빵법이다.
중종법은 상기한 직접법보다 제품의 맛과 향을 개선시키고자 중종(重種) 및 본종(本種)의 2단계를 통하여 빵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는 처음 배합물과 나중 배합물로 믹싱과정을 2번 행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중종법의 공정은 하기의 단계로 시행된다.
1) 소맥분, 이스트, 물(급수), 개량제 등의 전 재료를 개량하여 믹서에 넣고 저속으로 3분, 고속으로 1분 동안 믹싱을 시행한다.(중종배합) 이때의 날상온도는 24℃이다.
2) 제1차 발효공정(중종발효)으로써 상기 믹싱한 제1차배합물을 온도 25∼26℃, 상대습도 80%, 4시간 동안 발효를 실시한다. 종점온도는 28℃이다.
3) 제2차 배합공정(본종배합)으로서, 계량한 소맥분, 설탕, 소금, 계란, 마아가린, 물 등의 재료를 상기 제1차배합물 반죽에 추가하여 배합하고 저속으로 2분, 고속으로 3분, 다시 저속으로 1분, 고속으로 6∼7분 동안 믹싱을 시행한다. 이때 날상온도는 27∼28℃이다.
4) 상기 배합후 1차로 반죽을 안정화 시키는 FT공정(Floor Time)으로서 27∼28℃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안정시킨다.
5) 반죽을 빵 크기에 따른 정량으로 자르는 분할공정 및 절단면의 라운딩(Rounding ; 둥글리기)공정을 시행한다.
6) 절단된 반죽을 2차로 안정화 시키는 BT공정(Bench Time)을 시행하고, 펀치(Punch)공정으로 반죽의 가스를 빼준다.
7) 빵의 성형공정을 거친 후 온도 35∼38℃, 상대습도 85%에서 50여분 동안 2차발효를 실시한다.
8) 온도 200℃, 30∼35시간 동안 소성하고 냉각→ 포장 공정을 거쳐 출하한다.
이러한 중종법에 의한 제품은 직접법에 비해 이스트취가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으나 pH가 비교적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배합된 반죽을 냉동시킴으로써 제품을 제조하는 냉동법이 제공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동법으로 제조된 제품은 냉동공정으로 인하여 이스트의 활성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발효력이 떨어져 완성된 제품의 발효향이 부족하며 기계적인 내성이 부족하여 식감과 풍미를 저하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이스트를 활성화시켜 발효향을 향상시킴으로써 제품의 풍미를 향상시키도록 하며 기계적인 내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소프트화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식빵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종의 공정과 본종 공정 후 냉동 및 해동의 공정을 추가하여 제품의 제조공정을 시행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제품을 제조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강력분 50중량%, 생이스트 2.75중량%, 이스트후드 0.03중량%, 개량제 0.5중량%, 소금 0.25중량%, 물 32.75중량% 등을 반죽온도 24±1℃로 배합하여 저속으로 2분 고속으로 2분 믹싱하고 상대습도 70∼75%에서 4시간 발효시키는 제1차공정(중종공정);
상기 제1차공정의 배합물에 강력분 50중량%, 설탕 7중량%, 계란 5중량%, 분유 5중량%, 냉동용이스트 4중량%, 개량제 1중량%, 소금 1.55중량%, 우유 28중량%, 마가린 10중량%를 배합하여 믹싱하고 15∼20분의 플로어타임과 15∼20분의 벤치타임 후 성형하는 제2차공정(본종공정);
상기 제2차공정의 결과물을 -40℃에서 30분간 냉동하고 비닐로 포장하여 -18℃ 이하에서 보관하도록 하는 제3차공정(냉동공정);
상기 제3차공정의 결과물을 5℃에서 12∼16시간, 실온에서 1시간 해동하는 제4차공정(해동공정);
상기 제4차공정의 결과물을 성형하고 온도 36℃, 상대습도 75∼85%에서 50∼60분 동안 2차발효시키고 200℃에서 25∼30분간 소성을 시행하는 제5차공정(발효소성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빵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은 강력분 50중량%, 생이스트 2.75중량%, 이스트후드 0.03중량%, 개량제 0.5중량%, 소금 0.25중량%, 물 32.75중량% 등을 배합 발효시킨 제1차결과물;
상기 제1차결과물에 강력분 50중량%, 설탕 7중량%, 계란 5중량%, 분유 5중량%, 냉동용이스트 4중량%, 개량제 1중량%, 소금 1.55중량%, 우유 28중량%, 마가린 10중량% 등을 배합하여 믹싱하고 플로어타임과 벤치타임을 거쳐 제조된 제2차결과물;
상기 제2차결과물을 냉동하고 포장한 후 해동하고 성형, 2차발효 및 소성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빵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스트를 최대로 활성화시키도록 하여 발효력이 우수하며 기계적 내성이 좋고 부드러운 식감과 풍미를 갖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본 발명은 다음의 다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제1차공정(중종공정)
제1차공정은 하기 재료로 이루어진다.
강력분 50 중량%
생이스트 2.75 ˝
이스트후드 0.03 ˝
개량제 0.5 ˝
소금 0.25 ˝
물 32.75 ˝
제1차공정인 중종공정은 상기 재료를 반죽온도 24±1℃로 배합하여 저속으로 2분, 고속으로 2분 믹싱하고 상대습도 70∼75%에서 4시간 발효시키는 공정이다.
제2차공정(본종공정)
제2차공정은 상기 제1차공정의 결과물에 하기 재료를 배합하여 이루어진다.
강력분 50 중량%
설탕 7 ˝
계란 5 ˝
분유 5 ˝
냉동용이스트 4 ˝
개량제 1 ˝
소금 1.55˝
우유 28 ˝
마가린 10 ˝
제2차공정인 본종공정은 상기 제1차공정인 주종공정의 결과물에 상기한 재료를 배합하여 믹싱하고, 15∼20분의 플로어타임과 15∼20분의 벤치타임을 시행한다. 이러한 이러한 플로어타임과 벤치타임을 거치며 반죽의 유연성과 안정성을 상승시키고 둥글게 성형한다.
이때 상기 믹싱은 이스트활성을 저하시키는 온도인 22∼23℃에서 저속3분, 고속3분 후 마가린(유지)을 투입하고 다시 저속3분, 고속으로 4∼5분 시행한다.
제3차공정(냉동공정)
상기 제2차공정의 결과물을 -40℃의 냉동고에서 30분간 냉동하고 비닐로 포장하여 -18℃ 이하에서 보관하도록 한다. 이는 냉동상태에서 9개월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제4차공정(해동공정)
상기 제3차공정의 결과물을 5℃에서 12∼16시간, 실온에서 1시간 해동한다. 실온에서 1시간은 생지온도가 18℃로 될 때 이스트의 활성이 시작되므로 종점포인트로 한다.
제5차공정(발효소성공정)
상기 제4차공정의 결과물을 성형하고 온도 36℃, 상대습도 75∼85%에서 50∼60분 동안 2차발효시키고 200℃에서 25∼30분간 소성을 거쳐 제품을 완성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냉동식빵보다 이스트를 최대한 활성화시키게 되어 발효력이 좋게 되며, 중종법으로 제조하게 되므로 제품의 기계적 내성이 향상되며 또한 식감이 부드럽고 풍미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공장에서 발효 공정을 거친 것이므로 냉동공정을 거쳐도 해동시 발효가 원활하게 되고 이에 따라 맛이 향상된다.

Claims (3)

  1. 강력분 50중량%, 생이스트 2.75중량%, 이스트후드 0.03중량%, 개량제 0.5중량%, 소금 0.25중량%, 물 32.75중량% 등을 배합 발효시킨 제1차결과물;
    상기 제1차결과물에 강력분 50중량%, 설탕 7중량%, 계란 5중량%, 분유 5중량%, 냉동용이스트 4중량%, 개량제 1중량%, 소금 1.55중량%, 우유 28중량%, 마가린 10중량% 등을 배합하여 믹싱하고 플로어타임과 벤치타임을 거쳐 제조된 제2차결과물;
    상기 제2차결과물을 냉동하고 포장한 후 해동하고 성형, 2차발효 및 소성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빵.
  2. 강력분 50중량%, 생이스트 2.75중량%, 이스트후드 0.03중량%, 개량제 0.5중량%, 소금 0.25중량%, 물 32.75중량% 등을 반죽온도 24±1℃로 배합하여 저속으로 2분 고속으로 2분 믹싱하고 상대습도 70∼75%에서 4시간 발효시키는 제1차공정(중종공정);
    상기 제1차공정의 배합물에 강력분 50중량%, 설탕 7중량%, 계란 5중량%, 분유 5중량%, 냉동용이스트 4중량%, 개량제 1중량%, 소금 1.55중량%, 우유 28중량%, 마가린(유지) 10중량%를 배합하여 믹싱하고 15∼20분의 플로어타임과 15∼20분의 벤치타임 후 성형하는 제2차공정(본종공정);
    상기 제2차공정의 결과물을 -40℃에서 30분간 냉동하고 비닐로 포장하여 -18℃ 이하에서 보관하도록 하는 제3차공정(냉동공정);
    상기 제3차공정의 결과물을 5℃에서 12∼16시간, 실온에서 1시간 해동하는 제4차공정(해동공정);
    상기 제4차공정의 결과물을 성형하고 온도 36℃, 상대습도 75∼85%에서 50∼60분 동안 2차발효시키고 200℃에서 25∼30분간 소성을 시행하는 제5차공정(발효소성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빵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공정의 믹싱은 이스트활성을 저하시키는 온도인 22∼23℃에서 저속3분, 고속3분 후 마가린(유지)를 투입하고 다시 저속3분, 고속으로 4∼5분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빵제조방법.
KR1019970079569A 1997-12-30 1997-12-30 식빵 및 그 제조방법 Ceased KR19990059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569A KR19990059369A (ko) 1997-12-30 1997-12-30 식빵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569A KR19990059369A (ko) 1997-12-30 1997-12-30 식빵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369A true KR19990059369A (ko) 1999-07-26

Family

ID=6618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569A Ceased KR19990059369A (ko) 1997-12-30 1997-12-30 식빵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9369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897A (ko) * 2001-08-10 2003-02-15 김대영 식빵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67386A (ko) * 2002-02-08 2003-08-14 주식회사 샤니 식빵의 제조 방법
KR20030073556A (ko) * 2002-03-12 2003-09-19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냉동 반죽을 이용한 빵 제조 방법
KR100404130B1 (ko) * 2001-07-20 2003-11-03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파이 슈의 제조 방법
KR100431493B1 (ko) * 2002-03-09 2004-05-14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발효빵의 제조 방법
KR100431495B1 (ko) * 2001-08-10 2004-05-14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식빵의 제조 방법
KR100431494B1 (ko) * 2002-03-20 2004-05-14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바게뜨 빵의 제조 방법
KR100942611B1 (ko) * 2007-10-31 2010-02-16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식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빵
KR100942610B1 (ko) * 2007-10-31 2010-02-16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식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빵
KR101661082B1 (ko) * 2016-01-22 2016-09-28 홍종흔 곤드레 식빵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130B1 (ko) * 2001-07-20 2003-11-03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파이 슈의 제조 방법
KR20030013897A (ko) * 2001-08-10 2003-02-15 김대영 식빵 및 그 제조방법
KR100431495B1 (ko) * 2001-08-10 2004-05-14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식빵의 제조 방법
KR20030067386A (ko) * 2002-02-08 2003-08-14 주식회사 샤니 식빵의 제조 방법
KR100431493B1 (ko) * 2002-03-09 2004-05-14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발효빵의 제조 방법
KR20030073556A (ko) * 2002-03-12 2003-09-19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냉동 반죽을 이용한 빵 제조 방법
KR100431494B1 (ko) * 2002-03-20 2004-05-14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바게뜨 빵의 제조 방법
KR100942611B1 (ko) * 2007-10-31 2010-02-16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식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빵
KR100942610B1 (ko) * 2007-10-31 2010-02-16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식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빵
KR101661082B1 (ko) * 2016-01-22 2016-09-28 홍종흔 곤드레 식빵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6549B (zh) 制备即可焙烤冷冻面团的新方法
KR101057598B1 (ko) 쌀발효 빵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20860B1 (ko) 호밀분 샤워종을 이용한 빵 제조방법
KR102202151B1 (ko) 식빵 제조방법
EP3409123A1 (en) Method for producing frozen dough for bread containing filling and method for producing cream-filled bread by employing the frozen dough
KR19990059369A (ko) 식빵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17124A (ko) 상황버섯을 발효한 천연 발효종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발효 빵 제조방법
KR100431494B1 (ko) 바게뜨 빵의 제조 방법
JPS61195637A (ja) パン類の製造法
JP2008079547A (ja) 冷凍の米パン生地及び米パンの製造方法
KR100431496B1 (ko) 식빵의 제조 방법
KR100431495B1 (ko) 식빵의 제조 방법
US8512773B2 (en) Method of making bread
RU2109447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заварных хлебобулочных изделий
KR101489884B1 (ko) 호화 전분을 이용한 식빵의 제조방법
US8383173B2 (en) Method of making bread
KR102414433B1 (ko) 매생이를 함유한 빵가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249647B1 (ko) 주종발효빵및그제조방법
KR100470077B1 (ko) 트레할로스를 이용한 냉동 반죽의 제조방법
JPH0677500B2 (ja) パン用冷凍生地の製造方法
KR19990059370A (ko) 과자빵 및 그 제조방법
JP7360228B1 (ja) 冷却パン生地を用いたパンの製造システム
JPH1156221A (ja) 冷凍中種生地、冷凍パン生地及びこれを用いた製パン方法
JPH078159A (ja) パン生地成型済みホイロ後冷凍製法及びホイロ後冷凍生地改良剤
KR19990059368A (ko) 식빵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003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907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