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5503A - 멀티 포트 에스램 - Google Patents
멀티 포트 에스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55503A KR19990055503A KR1019970075449A KR19970075449A KR19990055503A KR 19990055503 A KR19990055503 A KR 19990055503A KR 1019970075449 A KR1019970075449 A KR 1019970075449A KR 19970075449 A KR19970075449 A KR 19970075449A KR 19990055503 A KR19990055503 A KR 199900555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put signal
- drain
- word line
- gate
- port
- Prior art date
Links
- 101100247438 Arabidopsis thaliana RBL3 gen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02000000582 Retinoblastoma-Like Protein p107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08010002342 Retinoblastoma-Like Protein p107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02000004642 Retinoblastoma-Like Protein p130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08010003494 Retinoblastoma-Like Protein p130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9687 Lamb Nutrition 0.000 claims 4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0/00—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evic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6—Multiple access memory array, e.g. addressing one storage element via at least two independent addressing line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드 메모리 포트들의 드라이버 트랜지스터를 공통으로 사용하도록 한 멀티 포트 에스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라이트워드라인드라이버의 출력신호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래치하는 데이터래치부와, 상기 데이터래치부의 데이터를 각각의 제 1~4포트로 전달시켜 주는 구동부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의 제 1~4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래치부의 데이터신호를 제 1~4리드비트라인 및 제 1~4리드비트라인으로 출력하는 제 1~4포트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멀티 포트 에스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드 메모리 포트들의 드라이버 트랜지스터를 공통으로 사용하도록 한 멀티 포트 에스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멀티 포트 에스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라이트워드라인드라이버(write word line driver)(미도시)의 출력신호(WWDDR)에 따라, 데이터를 래치하는 데이터래치부(10)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제 1출력신호(RWDDR0)에 따라, 상기 래치부(10)의 데이터를 제 1리드비트라인(RBL0) 및 제 1리드비트바라인(RBBL0)으로 출력하는 제 1포트(20)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제 2출력신호(RWDDR1)에 따라, 상기 래치부(10)의 데이터를 제 2리드비트라인(RBL1) 및 제 2리드비트바라인(RBBL1)으로 출력하는 제 2포트(30)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제 3출력신호(RWDDR2)에 따라, 상기 래치부(10)의 데이터를 제 3리드비트라인(RBL2) 및 제 3리드비트바라인(RBBL2)으로 출력하는 제 3포트(40)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제 4출력신호(RWDDR3)에 따라, 상기 래치부(10)의 데이터를 제 4리드비트라인(RBL3) 및 제 4리드비트바라인(RBBL3)으로 출력하는 제 4포트(10)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래치부(10)는 소스로는 전원전압(Vcc)이 인가되는 제 1피모스트랜지스터(P1)와,
그 제 1피모스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소스로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는 제 1엔모스트랜지스터(N1)로 이루어지는 제 1씨모스인버터(12)와,
소스로는 전원전압(Vcc)이 인가되는 제 2피모스트랜지스터(P2)와, 그 제 2피모스트랜지스터(P2)의 드레인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소스로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는 제 2엔모스트랜지스터(N2)로 이루어지는 제 2씨모스인버터(14)와,
게이트로는 라이트워드라인드라이버(WWDDR)의 출력신호가 인가되고, 소스로는 상기 제 1씨모스인버터(12)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은 라이트비트라인(WBL)에 연결되는 제 3엔모스트랜지스터(N3)와,
게이트로는 라이트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출력신호(WWDDR)가 인가되고, 소스로는 상기 제 2씨모스인버터(14)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은 라이트비트바라인(WBBL)에 연결되는 제 4엔모스트랜지스터(N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3엔모스트랜지스터(N3) 및 제 4엔모스트랜지스터(N4)는 라이트 억세스용 트랜지스터들이고, 상기 제 1씨모스인버터(12)의 출력신호는 제 2씨모스인버터(14)의 입력단으로 인가되고, 제 2씨모스인버터(14)의 출력신호는 제 1씨모스인버터(12)의 입력단으로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래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1포트(20)는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의 제 1출력신호(RWDDR0)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이 제 1리드비트라인(RBL0)에 연결되는 제 5엔모스트랜지스터(N5)와,
그 제 5엔모스트랜지스터(N5)의 드레인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소스로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고, 게이트로는 상기 제 2씨모스인버터(14)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는 제 6엔모스트랜지스터(N6)와,
상기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의 제 1출력신호(RWDDR0)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이 제 1리드비트바라인(RBBL0)에 연결되는 제 7엔모스트랜지스터(N7)와, 그 제 7엔모스트랜지스터(N7)의 드레인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소스로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고, 게이트로는 상기 제 1씨모스인버터(12)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는 제 8엔모스트랜지스터(N8)로 구성된다.
상기 제 2포트는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제 2출력신호(RWDDR1)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이 제 2리드비트라인(RBL1)에 연결되는 제 9엔모스트랜지스터(N9)와,
그 제 9엔모스트랜지스터(N9)의 드레인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소스로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고, 게이트로는 상기 제 2씨모스인버터(14)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는 제 10엔모스트랜지스터(N10)와,
상기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의 제 2출력신호(RWDDR1)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이 제 2리드비트바라인(RBBL1)에 연결되는 제 11엔모스트랜지스터(N11)와,
그 제 11엔모스트랜지스터(N11)의 드레인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소스로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고, 게이트로는 상기 제 1씨모스인버터(12)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는 제 12엔모스트랜지스터(N12)로 구성된다.
상기 제 3포트(40)는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의 제 3출력신호(REDDR2)가 게이트로 인되고, 드레인이 제 3리드비트라인(RBL2)에 연결되는 제 13엔모스트랜지스터(N13)와,
그 제 13엔모스트랜지스터(N13)의 드레인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소스로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고, 게이트로는 상기 제 2씨모스인버터(14)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는 제 14엔모스트랜지스터(N14)와,
상기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의 제 3출력신호(RWDDR2)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이 제 3리드비트바라인(RBBL2)에 연결되는 제 15엔모스트랜지스터(N15)와,
그 제 15엔모스트랜지스터(N15)의 드레인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소스로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고, 게이트로는 상기 제 1씨모스인버터(12)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는 제 16엔모스트랜지스터(N16)로 구성된다.
제 4포트(50)는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의 제 4출력신호(REDDR3)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이 제 4리드비트라인(RBL3)에 연결되는 제 17엔모스트랜지스터(N17)와,
그 제 17엔모스트랜지스터(N17)의 드레인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소스로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고, 게이트로는 상기 제 2씨모스인버터(14)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는 제 18엔모스트랜지스터(N18)와,
상기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의 제 4출력신호(RWDDR3)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이 제 4리드비트바라인(RBBL3)에 연결되는 제 19엔모스트랜지스터(N19)와,
그 제 19엔모스트랜지스터(N19)의 드레인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소스로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고, 게이트로는 상기 제 1씨모스인버터(12)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는 제 20엔스트랜지스터(N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5, 제 7, 제 9, 제 11, 제 13, 제 15, 제 17, 제 19 엔모스트랜지스터들(N5, N7, N9, N11, N13, N15, N17, N19)은 리드 억세스 기능을 수행하고 제 6, 제 8, 제 10, 제 12, 제 14, 제 16, 제 18, 제 20엔모스트랜지스터들(N6, N8, N10, N12, N14, N16, N18, N20)은 그 리드 억세스 트랜지스터들을 드라이브 시키기 위한 드라이버 트랜지스터들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멀티 포트 에스램의 동작 및 작용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라이트(write)동작일 경우, 도 2a의 외부의 라이트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출력신호(WWDDR)가 하이레벨이면 제 3, 4엔모스트랜지스터들(N3,N4)이 턴온되어, 라이트비트라인(WBL) 및 라이트비트바라인(WBBL)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의 데이터들이 제 1, 2씨모스인버들(12,14)의 출력단으로 각각 전달된다.
즉, 예를 들어 도 2b 및 도 2c와 같이, 라이트비트라인(WBL)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신호가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변화되고, 라이트비트바라인(WBBL)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신호가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변화될 때, 도 2d 및 도 2e와 같이, 그 데이터신호들이 전달되는 제 1, 2씨모스인버들(12,14)의 출력단들(제 1, 2노드 A,B)은 로우레벨 및 하이레벨로 각각 바뀌게 된다. 그리고, 제 1, 2씨모스인버들(12,14)은 로우레벨 및 하이레벨로 각각 바뀌게 된다. 그리고, 그 1, 2씨모스인버들(12,14)은 래치기능을 수행하여 그 출력단들의 전압레벨을 로우레벨 및 하이레벨로 유지한다.
이어서, 리드(read)동작의 경우는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출력신호들(REDDR0~REDDR3)이 하이레벨일 때 수행된다.
도 3a와 같이,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제 1출력신호(REDDR0)가 하이레벨로 입력되면 제 1포트(20)가 리드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제 1, 2씨모스인버들(12,14)의 출력단들(제 1, 2노드(A,B))에 각각 로우레벨 및 하이레벨의 데이터신호가 있다면, 그 신호들에 의해 제 1포트의 제 6엔모스트랜지스터(N6)는 턴온되고, 제 8엔모스트랜지스터(N8)는 턴오프된다.
도 3d 및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제 6엔모스트랜지스터(N6) 및 제 8엔모스트랜지스터(N8)의 출력에 의해 제 3노드(C)는 로우레벨로 변화되고, 제 4노드(D)는 하이레벨로 유지된다.
그 제 3노드(C) 및 제 4노드(D)의 신호들은 리드 억세스 트랜지스터인 제 5엔모스트랜지스터(N5) 및 제 6엔모스트랜지스터(N6)를 통해 도 3f 및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리드비트라인(RBL0) 및 제 1리드비트바라인(RBBL0)으로 전달되고, 외부로 출력된다.
또한, 제 2포트(30)~제 4포트(50)의 동작은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제 2~제 4출력신호들(RWDDR1~RWDDR3)에 따라, 상기 제 1포트(20)의 동작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의 멀티 포트 에스램은 리드 동작시에는 억세스 트랜지스터들 마다 독립적인 드라이버 트랜지스터들을 갖게 되므로 메모리 셀의 면적이 커지고, 드라이버 트랜지스터들의 사이즈를 크게하지 못하므로 데이터의 리드억세스 속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리드 메모리 포트의 드라이버 트랜지스터를 공통으로 사용하여, 트랜지스터들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공통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증가시켜 리드 억세스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멀티포트에스램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라이트워드라인드라이버의 출력신호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래치하는 데이터래치부와, 상기 데이터래치부의 데이터를 각각의 제 1~4포트로 전달시켜 주는 구동부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의 제 1~4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래치부의 데이터신호를 제 1~4리드비트라인 및 제 1~4리드비트바라인으로 출력하는 제 1~4포트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멀티포트 에스램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2a~도 2e는 도 1에 있어서, 라이트 동작일 때, 각 부에 대한 신호의 파형도.
도 3a~도 3g는 도 1에 있어서, 리드 동작일 때, 각 부에 대한 신호의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의 멀티 포트 에스램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31,P32 : 피모스트랜지스터 N31~N44 : 엔모스트랜지스터
100 : 데이터래치부 110 : 제 1씨모스인버터
120 : 제 2씨모스인버터 200 : 구동부
300 : 제 1포트 400 : 제 2포트
500 : 제 3포트 600 : 제 4포트
이하, 본 발명의 멀티 포트 에스램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한다.
본 발명의 멀티 포트 에스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라이트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출력신호(WWDDR)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래치하는 데이터래치부(100)와,
상기 데이터래치부(100)의 데이터신호를 각각의 포트들로 전달시켜 주는 구동부(200)와,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제 1출력신호(REDDR0)에 따라, 상기 구동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제 1리드비트라인(RBL0) 및 제 1리드비트바라인(RBBL0)으로 출력하는 제 1포트(300)와,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제 2출력신호(REDDR0)에 따라, 상기 구동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제 2리드비트라인(RBL1) 및 제 2리드비트바라인(RBBL1)으로 출력하는 제 2포트(400)와,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제 3출력신호(RWDDR2)에 따라, 상기 구동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제 3리드비트라인(RBL2) 및 제 3리드비트바라인(RBBL2)으로 출력하는 제 3포트(500)와,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제 4출력신호(RWDDR3)에 따라, 상기 구동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제 4리드비트라인(RBL3) 및 제 4리드비트바라인(RBBL3)으로 출력하는 제 4포트(600)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래치부(100)는 소스로는 전원전압(Vcc)이 인가되는 제 1피모스트랜지스터(P31)와, 제 1피모스트랜지스터(P31)의 드레인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소스로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는 제 1엔모스트랜지스터(N31)로 이루어지는 제 1씨모스인버터(110)와,
소스로는 전원전압(Vcc)이 인가되는 제 2피모스트랜지스터(P2)와, 제 2피모스트랜지스터(P32)의 드레인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소스로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는 제 2엔모스트랜지스터(N32)로 이루어지는 제 2씨모스인버터(120)와,
게이트로는 라이트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출력신호(WWDDR)이 인가되고, 소스로는 상기 제 1씨모스인버터(110)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은 라이트비트라인(WBL)에 연결되는 제 3엔모스트랜지스터(N33)와,
게이트로는 라이트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출력신호(WWDDR)이 인가되고, 소스로는 상기 제 2씨모스인버터(120)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은 라이트비트바라인(WBBL)에 연결되는 제 4엔모스트랜지스터(N3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3엔모스트랜지스터(N33) 및 제 4엔모스트랜지스터(N34)는 라이트 억세스용 트랜지스터들이고, 상기 제 1씨모스인버터(110)의 출력신호는 제 2씨모스인버터(120)의 입력단으로 인가되고, 제 2씨모스인버터(120)의 출력신호는 제 1씨모스인버터(110)의 입력단으로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래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1포트(300)는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제 1출력신호(RWDDR0)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이 제 1리드비트라인(RBL0)에 연결되는 제 5엔모스트랜지스터(N35)와,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제 1출력신호(REDDR0)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은 제 1리드비트바라인(RBBL0)에 연결된 제 6엔모스트랜지스터(N36)로 구성된다.
상기 제 2포트(400)는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제 2출력신호(RWDDR1)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이 제 2리드비트라인(RBL1)에 연결되는 제 7엔모스트랜지스터(N37)와,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제 2출력신호(REDDR1)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은 제 2리드비트바라인(RBBL1)에 연결된 제 8엔모스트랜지스터(N38)로 구성된다.
상기 제 3포트(500)는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제 3출력신호(RWDDR2)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이 제 3리드비트라인(RBL2)에 연결된 제 9엔모스트랜지스터(N39)와,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제 3출력신호(RWDDR2)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은 제 3리드비트바라인(RBBL2)에 연결된 제 10엔모스트랜지스터(N40)로 구성된다.
상기 제 4포트(600)는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제 4출력신호(RWDDR3)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은 제 4리드비트라인(RBL3)에 연결된 제 11엔모스트랜지스터(N41)와,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제 4출력신호(REDDR3)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은 제 4리드비트바라인(RBBL3)에 연결된 제 12엔모스트랜지스터(N42)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200)는 소스로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고, 게이트로는 제 2씨모스인버터(120)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은 상기 각 포트들(300~600)의 제 5,7,9,11엔모스트랜지스터들(N35,N37,N39,N41)의 드레인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 13엔모스트랜지스터(N43)와,
소스로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고, 게이트로는 제 1씨모스인버터(110)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은 상기 각 포트들(300~600)의 제 6,8,10,12엔모스트랜지스터들(N36,N38,N40,N42)의 드레인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 14엔모스트랜지스터(N4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라이트(write)동작일 경우, 외부의 라이트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출력신호(WWDDR)가 하이레벨이면 제 3, 4엔모스트랜지스터들(N33,N34)이 턴온되어, 라이트비트라인(WBL) 및 라이트비트바라인(WBBL)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의 데이터신호들이 데이터래치부(100)의 제 1, 2씨모스인버들(110,120)의 출력단으로 각각 전달되고, 그 데이터신호들은 래치 된다.
이어서, 리드(read)동작의 경우는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출력신호들(RWDDR0~RWDDR3)이 하이레벨일 때 수행된다.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제 1출력신호(RWDDR0)가 하이레벨로 입력되면 제 1포트(300)가 리드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2씨모스인버들(110,120)의 출력단들(제 1,2노드(E,F))에 각각 로우레벨 및 하이레벨의 데이터신호가 있다면, 그 신호들에 의해 구동부(200)의 제 13엔모스트랜지스터(N43)는 턴온되고, 제 14엔모스트랜지스터(N44)는 턴오프된다.
그 제 13엔모스트랜지스터(N43) 및 제 14엔모스트랜지스터(N44)의 출력에 의해 제 3노드(E)는 로우레벨로 변화되고, 제 4노드(F)는 하이레벨로 유지된다.
그 제 3노드(E) 및 제 4노드(F)의 신호들은 리드 억세스 트랜지스터인 제 5엔모스트랜지스터(N35) 및 제 6엔모스트랜지스터(N36)를 통해 제 1리드비트라인(RBL0) 및 제 1리드비트바라인(RBBL0)으로 전달되고, 외부로 출력된다.
또한, 제 2포트(400)~제 4포트(600)의 동작은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제 2~제 4출력신호들(RWDDR1~REDDR3)에 따라, 상기 제 1포트(300)의 동작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따라서, 라이트(write)동작의 경우에는 종래와 동일하게 동작하고, 리드(read)동작의 경우에는, 하나의 구동부(200)가 각각의 제 1~4포트들(300~600)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데이터신호를 전달하고, 그 제 1~4포트들(300~600)은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미도시)의 출력신호들(RWDDR0~RWDDR3)에 따라 데이터들을 외부로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드라이버 트랜지스터를 공통으로 사용함으로써 트랜지스터들의 수를 줄여 면적을 줄일 수 있고,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크게할 수 있으므로 리드 억세스 타임을 빠르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 외부의 라이트워드라인드라이버의 출력신호(WWDDR)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래치하는 데이터래치부(100)와,상기 데이터래치부(100)의 데이터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200)와,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의 제 1출력신호(REDDR0)에 따라, 상기 구동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제 1리드비트라인(RBL0) 및 제 1리드비트바라인(RBBL0)으로 출력하는 제 1포트(300)와,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의 제 2출력신호(RWDDR1)에 따라, 상기 구동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제 2리드비트라인(RBL1) 및 제 2리드비트바라인(RBBL1)으로 출력하는 제 2포트(400)와,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의 제 3출력신호(REDDR2)에 따라, 상기 구동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제 3리드비트라인(RBL2) 및 제 3리드비트바라인(RBBL2)으로 출력하는 제 3포트(500)와,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의 제 4출력신호(RWDDR3)에 따라, 상기 구동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제 4리드비트라인(RBL3) 및 제 4리드비트바라인(RBBL3)으로 출력하는 제 4포트(6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에스램.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래치부(100)는 소스로는 전원전압(Vcc)이 인가되는 제 1피모스트랜지스터(P31)와, 그 제 1피모스트랜지스터(P31)의 드레인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소스로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는 제 1엔모스트랜지스터(N31)로 이루어지는 제 1씨모스인버터(110)와,소스로는 전원전압(Vcc)이 인가되는 제 2피모스트랜지스터(P32)와, 그 제 2피모스트랜지스터(P32)의 드레인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소스로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는 제 2엔모스트랜지스터(N32)로 이루어지는 제 2씨모스인버터(120)와,게이트로는 라이트워드라인드라이버의 출력신호(WWDDR)가 인가되고, 소스로는 상기 제 1씨모스인버터(110)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은 라이트비트라인(WBL)에 연결되는 제 3엔모스트랜지스터(N33)와,게이트로는 라이트워드라인드라이버의 출력신호(WWDDR)가 인가되고, 소스로는 상기 제 2씨모스인버터(120)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은 라이트비트바라인(WBBL)에 연결되는 제 4엔모스트랜지스터(N34)로 구성되고,상기 제 1엔모스트랜지스터(110)의 출력단은 제 2씨모스인버터(120)의 입력단과 연결되고, 그 제 1씨모스인버터(110)의 입력단은 제 2씨모스인버터(120)의 출력단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에스램.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포트(300)는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의 제 1출력신호(RWDDR0)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이 제 1리드비트라인(RBL0)에 연결되는 제 5엔모스트랜지스터(N35)와,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의 제 1출력신호(REDDR0)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은 제 1리드비트바라인(RBBL0)에 연결된 제 6엔모스트랜지스터(N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에스램.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포트(300)는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의 제 2출력신호(RWDDR1)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이 제 2리드비트라인(RBL1)에 연결되는 제 7엔모스트랜지스터(N37)와,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의 제 2출력신호(REDDR1)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은 제 2비드비트바라인(RBBL1)에 연결된 제 8엔모스트랜지스터(N3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에스램.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포트(400)는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의 제 3출력신호(RWDDR2)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이 제 3리드비트라인(RBL2)에 연결된 제 9엔모스트랜지스터(N39)와,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의 제 3출력신호(RWDDR2)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은 제 3리드비트바라인(RBBL2)에 연결된 제 10엔모스트랜지스터(N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에스램.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포트(500)는 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의 제 4출력신호(RWDDR3)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은 제 4리드비트라인(RBL3)에 연결된 제 11엔모스트랜지스터(N41)와,외부의 리드워드라인드라이버의 제 4출력신호(REDDR3)가 게이트로 인가되고, 드레인은 제 4리드비트바라인(RBBL3)에 연결된 제 12엔모스트랜지스터(N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에스램.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0)는 소스로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고, 게이트로는 제 2씨모스인버터(120)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은 상기 각 포트들(300~600)의 제 5,7,9,11엔모스트랜지스터들(N35,N37,N39,N41)의 드레인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 13엔모스트랜지스터(N43)와,소스로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고, 게이트로는 제 1씨모스인버터(110)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은 상기 각 포트들(300~600)의 제 6,8,10,12엔모스트랜지스터들(N36,N38,N40,N42)의 드레인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 14엔모스트랜지스터(N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에스램.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75449A KR100289386B1 (ko) | 1997-12-27 | 1997-12-27 | 멀티 포트 에스램 |
JP10365885A JP2000243087A (ja) | 1997-12-27 | 1998-12-24 | マルチポートsram |
US09/421,233 US6078544A (en) | 1997-12-27 | 1999-10-20 | Multi-port SRA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75449A KR100289386B1 (ko) | 1997-12-27 | 1997-12-27 | 멀티 포트 에스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55503A true KR19990055503A (ko) | 1999-07-15 |
KR100289386B1 KR100289386B1 (ko) | 2001-06-01 |
Family
ID=1952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75449A KR100289386B1 (ko) | 1997-12-27 | 1997-12-27 | 멀티 포트 에스램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6078544A (ko) |
JP (1) | JP2000243087A (ko) |
KR (1) | KR10028938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0347B1 (ko) * | 2000-11-21 | 2003-04-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데이터 리드 방법 |
KR100421040B1 (ko) * | 2001-05-07 | 2004-03-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제어할 수 있는 가상 공급 전원을 이용하여 소비전력 및데이터출력시간이 감소된 반도체 메모리 셀 |
KR100460141B1 (ko) * | 2002-07-08 | 2004-12-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듀얼 포트 정적 메모리 셀 및 이 셀을 구비한 반도체메모리 장치 |
KR100909805B1 (ko) * | 2006-09-21 | 2009-07-29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멀티포트 메모리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17342B2 (en) * | 1998-12-03 | 2006-10-03 | Sun Microsystems, Inc. | Implicitly derived register specifiers in a processor |
US7114056B2 (en) | 1998-12-03 | 2006-09-26 | Sun Microsystems, Inc. | Local and global register partitioning in a VLIW processor |
US6343348B1 (en) * | 1998-12-03 | 2002-01-29 | Sun Microsystem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mizing die utilization and speed performance by register file splitting |
US6301174B1 (en) * | 1999-12-23 | 2001-10-09 | Intel Corporation | Power conservation during memory read operations |
JP4885365B2 (ja) | 2000-05-16 | 2012-02-29 |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半導体装置 |
US6538954B2 (en) * | 2000-07-10 | 2003-03-25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Multi-port static random access memory equipped with a write control line |
JP2002197866A (ja) * | 2000-09-05 | 2002-07-12 | Seiko Epson Corp | 表示用ドライバic |
JP2003223788A (ja) * | 2002-01-29 | 2003-08-08 | Hitachi Ltd | 半導体集積回路装置 |
US6738306B2 (en) * | 2002-09-13 | 2004-05-18 |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 SRAM cell with single-ended and differential read/write ports |
US20060112230A1 (en) * | 2004-11-24 | 2006-05-25 | Christian Sichert | Integrated memory device and memory module |
US7177177B2 (en) * | 2005-04-07 | 2007-02-1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Back-gate controlled read SRAM cell |
US7898894B2 (en) * | 2006-04-12 | 2011-03-0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cells |
US20080212392A1 (en) * | 2007-03-02 | 2008-09-04 | Infineon Technologies | Multiple port mugfet sram |
JP5382886B2 (ja) * | 2009-07-29 | 2014-01-08 |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 Sramセル |
US9384825B2 (en) | 2014-09-26 | 2016-07-05 | Qualcomm Incorporated | Multi-port memory circuits |
US9830976B1 (en) * | 2015-05-01 | 2017-11-28 | Marvell International Ltd. | Systems and methods for a high performance memory cell structure |
CN109861685B (zh) * | 2018-12-29 | 2022-11-18 | 宁波大学 | 一种利用三相双轨预充逻辑实现的全减器 |
US11923035B2 (en) | 2021-05-12 | 2024-03-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seudo dual port memory devices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9230366T2 (de) * | 1992-02-06 | 2000-06-0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Armonk | Multiport statischer Direktzugriffspeicher mit schnellem Schreibdurchschema |
US5696935A (en) * | 1992-07-16 | 1997-12-09 | Intel Corporation | Multiported cache and systems |
US5561638A (en) * | 1995-11-30 | 1996-10-01 | Northern Telecom Limited | Multi-port SRAM core array |
US5642325A (en) * | 1995-09-27 | 1997-06-24 |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 Register file read/write cell |
US5644547A (en) * | 1996-04-26 | 1997-07-01 | Sun Microsystems, Inc. | Multiport memory cell |
US5717638A (en) * | 1996-11-18 | 1998-02-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ulti-port memory cells and memory with parallel data initialization |
US5812469A (en) * | 1996-12-31 | 1998-09-22 | Logic Vision,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multi-port memory |
-
1997
- 1997-12-27 KR KR1019970075449A patent/KR10028938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
- 1998-12-24 JP JP10365885A patent/JP2000243087A/ja active Pending
-
1999
- 1999-10-20 US US09/421,233 patent/US6078544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0347B1 (ko) * | 2000-11-21 | 2003-04-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데이터 리드 방법 |
KR100421040B1 (ko) * | 2001-05-07 | 2004-03-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제어할 수 있는 가상 공급 전원을 이용하여 소비전력 및데이터출력시간이 감소된 반도체 메모리 셀 |
KR100460141B1 (ko) * | 2002-07-08 | 2004-12-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듀얼 포트 정적 메모리 셀 및 이 셀을 구비한 반도체메모리 장치 |
KR100909805B1 (ko) * | 2006-09-21 | 2009-07-29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멀티포트 메모리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6078544A (en) | 2000-06-20 |
KR100289386B1 (ko) | 2001-06-01 |
JP2000243087A (ja) | 2000-09-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89386B1 (ko) | 멀티 포트 에스램 | |
US5844845A (en) | Data read circuit for use in semiconductor storage apparatus of CMOS memory | |
KR100253781B1 (ko) | 스태틱형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US5517461A (en) |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having latch circuitry coupled to data lines for eliminating through-current in sense amplifier | |
TW200401435A (en) | Dual port static memory cell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he same | |
KR0155986B1 (ko) | 반도체 기억장치 | |
KR100280518B1 (ko) | 동기 에스램 회로 | |
KR19990055504A (ko) | 투 포트 에스램의 라이트 스루 기능을 갖는 고속회로 | |
US6741493B1 (en) | Split local and continuous bitline requiring fewer wires | |
KR20000042412A (ko) | 어드레스 버퍼와 칼럼 프리디코더 사이에서 하나의 공통 버스라인을 사용하는 메모리 반도체 소자 | |
JPH01158693A (ja) | 高インピーダンスを用いたスタティックramのデータ出力バッファ | |
KR100224768B1 (ko) | 외부 데이타의 입력없이 라이트 동작을 수행하는기능을 갖는 반도체 기억장치 | |
US5347487A (en) | BICMOS latch/driver circuit, such as for a gate array memory cell | |
KR0172518B1 (ko) | 싱글 에스램 셀을 사용한 이중 포트 에스램 | |
US5808957A (en) | Address buffers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KR940002924A (ko) | 반도체 기억장치 | |
KR100424187B1 (ko) | 멀티포트 에스램 셀 | |
JPS5916356B2 (ja) | Cmos・スタチツク・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 | |
KR940002977Y1 (ko) | 비트라인 부하 제어회로 | |
JPH0793973A (ja) | 半導体記憶装置 | |
KR100631932B1 (ko) | 버츄얼 채널 디램 | |
KR930008077B1 (ko) | Sog형 게이트 어레이용 sram셀 | |
JPH0574160A (ja) | マルチポートメモリ | |
KR960001299B1 (ko) | 독립된 데이타버스 라인을 갖는 스태틱 메모리장치 | |
KR100291188B1 (ko) |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센스앰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1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